KR20130014050A - 약제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4050A
KR20130014050A KR1020127025318A KR20127025318A KR20130014050A KR 20130014050 A KR20130014050 A KR 20130014050A KR 1020127025318 A KR1020127025318 A KR 1020127025318A KR 20127025318 A KR20127025318 A KR 20127025318A KR 20130014050 A KR20130014050 A KR 20130014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chemical
medical agent
drug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5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0485B1 (ko
Inventor
히로유키 유야마
히로카즈 아마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30014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18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electronic history memo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5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for dispensing of multiple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63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for multiple pati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04Restocking arrangements theref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5/0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 A61J2205/6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using magnetic or electronic identifications, e.g. chips, RFID, electronic tag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미리 사람의 손을 통해 준비해 두어야만 하는 약제의 준비작업을, 틀림없이, 또한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다. 약제를 복용 시기 단위로 수용 가능하고, 또한 수용한 약제를 적절하게 배출 가능한, 복수의 약제 수용부(18)를 갖는 약제 공급 수단(3)과, 각 약제 수용부(18)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표시부(19)를 구비한 표시 수단(20)과,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약제 수용부(18) 중, 해당하는 약제를 수용해야 할 약제 수용부(18)의 표시부(19)를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5)을 구비한다. 표시 수단(20)의 표시부(19)는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약제마다의 복용 시기에 대응한 수를 표시 가능하다.

Description

약제 공급 장치 {DRUG SUPPLY DEVICE}
본 발명은 약제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약제 공급 장치로서, 예를 들어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수납 구획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한 안내 수단의 점등에 의해, 투입해야 할 수납 구획을 안내하고, 안내 수단과 별도로 설치한 표시 수단에, 약제의 1복용분의 수량을 표시시키도록 한 것이 공지이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특허 문헌 1에서는, 약제를 투입하는 수납 구획이 어디인지는, 그곳에 설치한 안내 수단에 의해 안내되지만, 투입해야 할 약제의 수량에 대해서는, 별도로 설치한 표시 수단에서의 표시 내용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시선의 위치를 크게 변경해야만 해, 투입하는 약제의 수량을 틀릴 우려가 있다.
또한, 다른 약제 공급 장치로서, 예비 분배 카세트에 종횡으로 복수의 구획실을 형성하고, 수동 분배 처방의 내용에 따라서 사용해야 할 구획실의 위치 또는 범위를 지시하는 표시 수단을 설치한 것이나, 예비 분배 카세트에 사용하는 계량 용기의 개수를 표시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이 공지이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3 참조).
그러나, 특허 문헌 2, 3에서는, 예비 분배 카세트에 사용하는 계량 용기의 개수가 표시될 뿐이고, 약제를 수동 분배하는 계량 용기의 개수는 알지만, 어느 약제를 어느 계량 용기에 얼마만큼 수동 분배하면 되는지는 불분명하다. 즉, 약제의 수동 분배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은 기대할 수 없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203433호 공보 일본 특허 제2509821호 공보 일본 특허 제2866543호 공보
본 발명은 미리 사람의 손을 통해 준비해 두어야만 하는 약제의 수동 분배 작업을, 틀림없이, 또한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약제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약제 공급 장치를,
약제를 복용 시기 단위로 수용 가능하고, 또한 수용한 약제를 적절하게 배출 가능한, 복수의 약제 수용부를 갖는 약제 공급 수단과,
상기 각 약제 수용부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표시부를 구비한 표시 수단과,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 수용부 중, 해당하는 약제를 수용해야 할 약제 수용부의 표시부를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의 표시부는,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약제마다의 복용 시기에 대응한 수를 표시 가능하게 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각 약제 수용부에 약제를 수용할 때, 약제 공급 수단에 설치한 표시부에 의해, 사용자에 대해, 어느 약제 수용부에 얼마만큼의 수의 약제를 수용하면 되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동일 시계 내에 약제 수용부와 표시부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해당하는 약제를 표시부에 의해 특정된 약제 수용부에, 표시된 수량만큼 수용하면 되므로, 효율적이고, 또한 틀림없이,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약제 공급 장치를,
약제를 임의로 수용 가능하고, 또한 수용한 약제를 적절하게 배출 가능한, 복수의 약제 수용부를 갖는 약제 공급 수단과,
상기 각 약제 수용부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표시부를 구비한 표시 수단과,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 수용부 중, 해당하는 약제가 수용된 약제 수용부의 표시부를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해당하는 약제의 처방 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표시 수단은, 약제 공급 수단에 설치한 표시부에서, 어느 약제 수용부에 약제를 수용하면 되는지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찬가지로 약제 공급 수단에 설치한 제2 표시부에서 얼마만큼의 수량의 약제를 수용하면 되는지를 알 수 있다. 수량을 표시하는 고가의 제2 표시부는 각 약제 수용부에 대응하여 설치한 표시부와는 별도로 설치하고 있으므로, 그 수를 적게 하여 제작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약제 공급 장치를,
약제를 임의로 수용 가능하고, 또한 수용한 약제를 적절하게 배출 가능한, 복수의 약제 수용부를 갖는 약제 공급 수단과,
상기 각 약제 수용부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표시부를 구비한 표시 수단과,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 수용부 중, 해당하는 약제가 수용된 약제 수용부의 표시부를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의 표시부는 식별 가능한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약제가 복수 종인 경우, 상기 표시부를 각 약제에 대응하여 표시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약제가 복수 종이어도, 어느 약제를 어느 약제 수용부에 수용하면 되는지를 한눈에 알 수 있으므로, 복수 종의 약제를 한번에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처방 데이터 중, 적어도 약제의 명칭을 표시하는 제2 표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약제가 복수 종인 경우, 상기 제2 표시 수단에 상기 약제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시키고, 상기 약제 공급 수단에 설치한 표시 수단에는 상기 제2 표시 수단에서의 표시에 대응시켜 표시부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제2 표시부에 표시시킨 약제의 명칭에 대응시켜 약제 공급 수단 및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부를 식별 가능하게 할 수 있어, 작업을 한층 더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제 공급 수단의 각 약제 수용부에 대응하여 설치한 표시부에, 각 약제 수용부에 수용하는 약제의 수량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사용자는 어떤 약제 공급부에, 약제를 얼마만큼 수용하면 되는지를, 시선을 이동시키는 일 없이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약제의 수용 장소뿐만 아니라, 수용 수도 틀리는 일이 없어, 더욱 작업 효율이 좋게 작업을 진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공급 장치를 구비한 약제 분포 장치의 개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분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a는 도 1의 조작 패널에 표시되는 안내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의 예에서의 구체적인 복용 시기 및 복용량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4a는 도 1의 수동 분배 약제 공급부의 개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3a의 알파롤을 연속 분포하는 경우의 수동 분배 약제 공급부의 7세그먼트 디스플레이의 표시 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4c는 도 3a의 버퍼린을 연속 분포하는 경우의 수동 분배 약제 공급부의 7세그먼트 디스플레이의 표시 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4d는 도 3a의 아키네이트정을 연속 분포하는 경우의 수동 분배 약제 공급부의 7세그먼트 디스플레이의 표시 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4e는 도 3a의 알파롤을 반복 분포하는 경우의 수동 분배 약제 공급부의 7세그먼트 디스플레이의 표시 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제어 장치에 의한 표시 제어 처리의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수동 분배 약제 공급부의 개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패널에 표시되는 안내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수동 분배 약제 공급부의 개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분포 장치를 도시한다. 이 약제 분포 장치는, 대략, 장치 본체(1) 내에, 약제 자동 공급 장치(2)와, 약제 수동 공급 장치(3)(수동 분배 장치=DTA 장치)와, 약제 포장 장치(4)와, 제어 장치(5)를 구비한 구성이다.
장치 본체(1)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고, 도 1 중, 전면의 상반부 우측에는, 상방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조작 패널(6), 바코드 리더(7), 저널 프린터(8)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조작 패널(6)은 터치 패널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안내 화면(9)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안내 화면(9)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제란(10), 포수란(11), 환자란(12), 처방명세란(13), 기타란(14) 및 각종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제란(10)에는 표시 내용이 무엇에 관한 것인지가 표시된다. 도 3의 예에서는, 표제란(10)에 「다음 처방의 DTA입니다.」라고 표시되고, 표시 내용이 다음의 처방이 약제 수동 공급 장치(3)로부터 불출되는 약제에 관한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포수란(11)에는 어떤 처방 데이터에서의 모든 포장수가 표시된다. 환자란(12)에는 환자의 성명, 용법(약제의 복용 방법) 등이 표시된다. 처방명세란(13)에는 처방하는 약제의 명칭, 용량 등이 표시된다. 기타란(14)은 종이 잔량(포장지의 잔량), DTA 예약수[약제 수동 공급 장치(3)에 세트된 처방 수], 온도(포장지의 시일 온도), 통신(서버와의 통신 상태, 통신 중이면 ○, 그렇지 않으면 ×로 표시)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코드 리더(7)는 후술하는 카세트 등에 부착된 라벨의 바코드를 판독하여, 약제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해 이용된다. 저널 프린터(8)는 처방 데이터(환자명, 약제명, 용법, 용량 등)를 인쇄하기 위한 것이다.
약제 자동 공급 장치(2)는, 예를 들어 종래 공지의 구조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8-183502호 등 참조). 즉, 동종의 약제(주로, 정제이지만, 캡슐제 등도 포함됨)마다 각각 수용된 복수의 약제 카세트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해당하는 약제가 수용된 약제 카세트로부터 처방 수량만큼 불출되어, 후술하는 약제 포장 장치(4)에 공급됨으로써, 1포분씩 포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약제 수동 공급 장치(3)는 장치 본체(1)의 전면의 중앙부(약간 하방측)로부터 전방을 향해 인출 가능하게 설치한 슬라이드대(15)를 구비한다. 슬라이드대(15)는 약제 수동 공급부(16)와, 카세트 적재부(17)를 구비한다.
약제 수동 공급부(16)는 격자 형상으로 구획됨으로써 복수의 약제 수용부(18)가 형성되어 있다. 각 약제 수용부(18)에는 후술하는 약제 포장 장치(4)에서 포장되는 1복용분(복용 시기 단위)의 약제가, 도시하지 않은 약병으로부터 수작업으로 수용된다. 각 약제 수용부(18)의 저면은 개방 가능하게 되어 있고, 슬라이드대(15)가 장치 본체(1)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순차 개방됨으로써, 수용한 약제를 약제 포장 장치(4)로 배출한다. 각 약제 수용부(18)의 근방(여기서는, 우측)에는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되는 7세그먼트 디스플레이(19)가 각각 배치되어, 표시 부재(20)를 구성하고 있다(도 4 참조).
또한, 표시 부재(20)에는 LED 대신에, 조사식의 것이나, 액정 패널, 유기 EL 패널(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등의 평면 형상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터치 패널을 채용하면, 수동 분배가 종료된 계량 용기에 대응하는 부분이 터치 조작됨으로써, 배경색을 변경시켜, 계량 용기마다 한눈에 완료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또한, 작업 완료 시에 누락이 없는지 시스템 체크하여 경고를 내도록 해도 좋다. 또한, 표시 부재(20)는 약제 수용부(18)의 우측으로 한정되지 않고, 좌측, 상측, 하측 등, 각 약제 수용부(18)와의 대응 관계를 특정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위치에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카세트 적재부(17)는 적재하는 카세트(정제 카세트나 약병 등)가 위치 어긋나지 않도록,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의 오목부(21)를 구비한다. 오목부(21)에 적재되는, 도시하지 않은 카세트(약제 용기)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가 설치되고, 카세트 적재부(17)에 설치한 RFID 리더(22)(도 2 참조)에서 기억한 정보가 판독되도록 되어 있다.
약제 포장 장치(4)는, 예를 들어, 종래 공지의 구조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8-183502호 등 참조). 즉, 약제 자동 공급 장치(2) 혹은 약제 수동 공급 장치(3)로부터 공급된 약제를, 도시하지 않은 호퍼를 통해 회수한다. 회수한 약제는 경사 하방을 향하는 길이 방향으로 두겹으로 접은 포장지에 공급한다. 포장지는 소정 피치로 시일하여, 공급된 약제를 1포분씩 포장한다. 포장지에는, 시일 전에 적절하게, 용법, 용량 등을 인쇄한다.
제어 장치(5)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23)(호스트 컴퓨터)나 키보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입력된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약제 자동 공급 장치(2)나 약제 수동 공급 장치(3)로부터 해당하는 약제를 불출하는 불출 제어를 행한다. 또한, 상기 카세트의 RFID가 RFID 리더로 판독되거나, 부착된 라벨에 인쇄한 바코드가 바코드 리더(7)로 판독되면, 그 약제가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약제와 합치하고 있는지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작 패널(6)에 약제의 명칭 등을 표시시키거나, 약제 수동 공급 장치(3)의 표시 부재(20)를 점등시켜 수량을 표시시키는 등의 표시 제어를 행한다. 또한, 저널 프린터(8)에서 소정의 인쇄를 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약제 포장 장치(4)에서, 약제 자동 공급 장치(2)나 약제 수동 공급 장치(3)로부터 공급된 약제를, 1포분씩 포장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약제 분포 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 5의 흐름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우선, 처방 데이터를 읽어들여(스텝 S1), 장치 본체(1)의 조작 패널(6)에 도 3에 도시하는 안내 화면(9)을 표시시킨다(스텝 S2). 안내 화면(9)의 처방명세란(13)에는 약제 수동 공급 장치(3)에 공급해야 할 약제의 명칭과 용량의 리스트를 표시한다. 이때, 표시된 리스트로부터, 이제부터 약제 수용부(18)에 수용해야 할 약제, 또는 약제의 행이 선택되면, 예를 들어 하이라이트 표시, 반전 표시 등으로 강조 표시한다(스텝 S3). 또한, 처방명세란(13)에 표시된 리스트 표시로부터 약제를 선택할 때, 약병의 바코드(또는 RFID)를 읽어들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대상이 되는 약제를 잘못 취하는 일이 없어진다. 특히, 복수의 환자의 처방을 DTA에서 일괄 처리할 때(이 경우, 환자명란이 복수로 됨. 또한, 상세에 대해서는 일본 특허 제4253357호 공보 참조.), 동종의 약이 포함되는 경우라도, 잘못 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수동 분배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약제 수동 공급부(16)에서는, 조작 패널(6)에 식별 가능하게 표시된 약제를 수용해야 할 약제 수용부(18)에 대응하는 표시 부재(20)에 처방 수를 표시시킨다(스텝 S4). 구체적으로, 도 3a의 예(알파롤 10㎎ 9정, 버퍼린 5㎎ 14정, 아키네이트정 7정)에서는, 도 4a의 표시 부재(20)에서 7세그먼트 디스플레이(19)에서의 표시는 다음과 같이 된다. 즉, 도 3a의 예에서의 구체적인 복용 시기 및 복용량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다. 알파롤은, 복용 시기가 아침의 각 1정의 7일분, 복용 시기가 6일째 및 7일째의 낮의 각 1정의 2일분의 합계 9정으로 되어 있다. 또한, 버퍼린은 복용 시기가 아침의 각 1정의 7일분, 복용 시기가 저녁의 각 1정의 7일분의 합계 14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아키네이트정은 복용 시기가 낮의 각 1정의 7일분의 합계 7정으로 되어 있다. 연속 분포(아침, 낮, 저녁…의 복용 순서에 따라서 분포하는 형태)의 경우, 알파롤에서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하방 코너의 1일째로부터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7일째까지의 아침과, 6, 7일째의 낮에서, 7세그먼트 디스플레이(19)의 표시가 「1」로 된다. 이하 마찬가지로, 버퍼린에서는,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고, 아키네이트정에서는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또한, 반복 분포(아침, 아침…, 낮, 낮…의 복용 시기마다 분포하는 형태)의 경우, 알파롤에서는 도 4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사용자는 표시 패널의 처방명세란(13)을 보고, 처방해야 할 약제를 확인하여, 도시하지 않은 약품 선반 등으로부터 카세트(도시하지 않음)를 취출하고, 약제 수동 공급부(16)에서 점등하는 표시 부재(20)의 숫자에 따라서, 대응하는 약제 수용부(18)에, 상기 카세트로부터 약제를 표시 수만큼 보급하면 된다.
사용자는 일단 작업을 개시하면, 표시 부재(20)의 표시에 따라서 소정 수의 약제를 각 약제 수용부(18)에 수용해 가면 되므로, 수용하는 약제 수용부(18)가 바뀔 때마다, 일일이 확인을 위해 시선을 표시 패널로 돌릴 필요가 없다. 따라서, 각 약제 수용부(18)에, 해당하는 약제를, 틀림없이, 또한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해당하는 약제의 각 약제 수용부(18)로의 수동 분배 작업이 완료되면, 조작 패널(6)의 DTA 세트 버튼을 조작하면 된다.
DTA 세트 버튼이 조작되어, 수동 분배 작업이 완료된 것이 검출되면(스텝 S5), 조작 패널(6)의 처방명세란(13)에 표시되는 약제의 명칭이 복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6). 약제의 명칭이 복수 있는 경우, 처방명세란(13)에 표시된 다음의 약제를 강조 표시하여, 다른 것과 식별 가능하게 한다(스텝 S7). 그리고, 상기 스텝 S4로 돌아가 동일한 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의해, 처방 데이터에 복수의 약제가 포함되는 경우라도, 현재 어느 약제를 약제 수용부(18)에 수용해야 하는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표시 패널의 처방명세란(13)을 보고, 처방해야 할 약제를 확인하여, 도시하지 않은 약품 선반 등으로부터 카세트를 취출하고, 약제 수동 공급부(16)의 표시 부재(20)에서의 표시에 따라서, 대응하는 각 약제 수용부(18)에 약제를 수용하면 된다.
이하, 조작 패널(6)에 표시된, 어떤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모든 약제에 대한 처리가 종료되면, 다음의 처방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8). 다음의 처방 데이터가 없으면 처리를 종료하고, 있으면 스텝 S1로 돌아가 다음의 처방 데이터에 대해 상기와 동일한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조작 패널(6)에서의 식별 가능한 표시 형태를 다음의 약제로 이행하는 경우, 약제 수용부(18)에 약제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설치해 두고, 약제가 수용된 것이 확인됨으로써, 자동적으로 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공급 장치에 따르면, 각 약제 수용부(18)에 대응하여 표시 부재(20)를 설치하여,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약제를, 어느 약제 수용부(18)에 수용하면 되는지를 표시시킬 뿐만 아니라, 얼마만큼 수용하면 되는지도 표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일이 조작 패널의 표시 내용을 확인할 것도 없이, 작업을 진행시킬 수 있어, 매우 효율이 좋다. 또한, 수용하는 약제 수용부(18)의 근방에 표시되므로, 수용 수를 틀리는 일도 없다. 또한, 약제의 수동 분배 작업 종료 후의 감사 작업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약제 수동 공급부(16)는 각 약제 수용부(18)에 대응하여 7세그먼트 디스플레이(19)를 배치하도록 구성하였지만, 다음과 같이 구성해도 좋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약제 수용부(18)에 대응하는 위치(예를 들어, 우측 근방)에는 어떤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조작 패널(6)의 처방명세란(13)에 표시한 약제를 어떤 약제 수용부(18)에 수용할지를 나타내기 위한 LED 등의 위치 표시부(2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1개소(필요에 따라서 복수 개소여도 됨)에 7세그먼트 디스플레이, 액정 등의 수량 표시부(2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약제 수동 공급부(16)에 따르면, 사용자는 위치 표시부(24)의 점등을 확인하여 약제를 수용해야 할 약제 수용부(18)를 특정하고, 수량 표시부(25)에 표시된 수량으로부터 약제 수용부(18)에 수용해야 할 약제의 수량을 확인할 수 있다. 수량 표시부(25)는, 위치 표시부(24)의 점등을 확인하면서 시인 가능한 위치, 즉 동일 시계 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조작 패널측으로 시선을 크게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이 결과, 작업 효율이 좋고, 또한 확실하게 약제를 약제 수용부(18)로 수용할 수 있다. 또한, 고가의 수량 표시부(25)의 수를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약제 수동 공급부(16)는,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약제 수용부(18)의 근방에는 발광 시의 색채가 다른 3개의 LED(적, 청, 황색)로 이루어지는 위치 표시부(2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패널(6)에 표시하는 처방명세란(13)에 복수의 약제의 명칭을 표시하는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약제에, 상기 위치 표시부(24)의 각 LED에 맞춘 색채(여기서는 원형의 적, 청, 황색)를 표시시킨다. 어떤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약제가 2 또는 3종류인 경우, 처방명세란(13)에 표시된 2 또는 3의 약제에, 각각 LED의 표시색에 대응한 각 색채의 표시를 행한다.
또한, 약제 수동 공급부(16)에서는, 처방명세란(13)에 표시한 약제를 수용해야 할 약제 수용부(18)에 대응하는 LED 중, 각 색에 대응하는 LED를 점등한다. 이에 의해, 어느 약제를 어느 약제 수용부(18)에 수용하면 되는지를, 한번에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매우 효율적으로, 각 약제 수용부(18)에 해당하는 약제를 수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색의 위치 표시부(24)에 대응시켜, 수량 표시부(25)를 각각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각 색의 약제에 대해 각 약제 수용부(18)에 수용해야 할 약제의 수량도 파악할 수 있어, 한층 더 효율적으로 약제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경우, 수량 표시부(25)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약제 수용부(18)의 각 위치 표시부(24)에 대해 개별로 설치해도 좋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소에 모아서 설치해도 좋다.
또한,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약제의 종류가 4 이상이면, 처방명세란(13)에는 3종류의 약제를 표시하고, 화면을 전환함으로써, 남은 약제를 표시하도록 하면 좋다. 그리고, 남은 약제가 4종류 이상인 한, 순차적으로 화면을 전환하여 남은 약제를 더 표시할 수 있도록 하면 좋다. 또한, 대상이 되는 약제를 3종류로 좁혀, 처방명세란(13)에서 그 3종류가 다른 것과 식별 가능하게 표시되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약제의 종류가 4 이상이어도, 3색의 LED만으로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LED는 3색으로 한정되지 않고, 2색, 혹은 4색 이상으로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LED의 수에 따라서 처방명세란(13)에 표시하는 약제 수나, 식별 가능한 표시 수를 다르게 하면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약제 수동 공급부(16)에 표시 부재(20)를 설치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에 의해 안내하도록 하였지만, 음성에 의해 청각에 호소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어, 「A약을 첫번째에 3정 수용해 주십시오.」 등과, 약제의 명칭, 수용 장소 및 수용 수의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음성으로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수용 수만의, 수용 수 및 약제의 명칭의, 혹은 수용 수 및 수용 장소의 통지여도 상관없다. 또한, 음성에 의한 통지는 조작 패널(6)에서 작업 완료를 나타내는 입력이 있거나, 혹은 각 약제 수용부(18)에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이 센서에서의 검출 신호에 의해, 약제가 수용된 것이 검출될 때까지 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장치 본체
2 : 약제 자동 공급 장치
3 : 약제 수동 공급 장치(약제 공급 수단)
4 : 약제 포장 장치
5 : 제어 장치(표시 제어 수단)
6 : 조작 패널
7 : 바코드 리더
8 : 저널 프린터
9 : 안내 화면
10 : 표제란
11 : 포수란
12 : 환자란
13 : 처방명세란
14 : 기타란
15 : 슬라이드대
16 : 약제 수동 공급부
17 : 카세트 적재부
18 : 약제 수용부
19 : 7세그먼트 디스플레이(표시부)
20 : 표시 부재(표시 수단)
21 : 오목부
22 : RFID 리더
23 : 서버
24 : 위치 표시부
25 : 수량 표시부

Claims (4)

  1. 약제를 복용 시기 단위로 수용 가능하고, 또한 수용한 약제를 적절하게 배출 가능한, 복수의 약제 수용부를 갖는 약제 공급 수단과,
    상기 각 약제 수용부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표시부를 구비한 표시 수단과,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 수용부 중, 해당하는 약제를 수용해야 하는 약제 수용부의 표시부를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의 표시부는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약제마다의 복용 시기에 대응한 수를 표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공급 장치.
  2. 약제를 임의로 수용 가능하고, 또한 수용한 약제를 적절하게 배출 가능한, 복수의 약제 수용부를 갖는 약제 공급 수단과,
    상기 각 약제 수용부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표시부를 구비한 표시 수단과,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 수용부 중, 해당하는 약제가 수용된 약제 수용부의 표시부를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해당하는 약제의 처방 수를 표시하는 제2 표시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공급 장치.
  3. 약제를 임의로 수용 가능하고, 또한 수용한 약제를 적절하게 배출 가능한, 복수의 약제 수용부를 갖는 약제 공급 수단과,
    상기 각 약제 수용부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표시부를 구비한 표시 수단과,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 수용부 중, 해당하는 약제가 수용된 약제 수용부의 표시부를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의 표시부는 식별 가능한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약제가 복수 종인 경우, 상기 표시부를 각 약제에 대응하여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처방 데이터 중, 적어도 약제의 명칭을 표시하는 제2 표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약제가 복수 종인 경우, 상기 제2 표시 수단에 상기 약제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시키고, 상기 약제 공급 수단에 설치한 표시 수단에는 상기 제2 표시 수단에서의 표시에 대응시켜 표시부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공급 장치.
KR1020127025318A 2010-04-02 2011-03-29 약제 공급 장치 KR1018404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86275 2010-04-02
JPJP-P-2010-086275 2010-04-02
PCT/JP2011/057810 WO2011125650A1 (ja) 2010-04-02 2011-03-29 薬剤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050A true KR20130014050A (ko) 2013-02-06
KR101840485B1 KR101840485B1 (ko) 2018-03-20

Family

ID=44762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5318A KR101840485B1 (ko) 2010-04-02 2011-03-29 약제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26822B2 (ko)
JP (2) JPWO2011125650A1 (ko)
KR (1) KR101840485B1 (ko)
CN (1) CN102821736A (ko)
TW (1) TW201201790A (ko)
WO (1) WO20111256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64124B2 (en) * 2008-02-20 2022-03-01 Chudy Group, LLC System and apparatus for item management
WO2014051281A1 (ko) * 2012-09-27 2014-04-03 (주)제이브이엠 정제 분배 장치 및 정제 분배 장치의 제어방법
US9150119B2 (en) 2013-03-15 2015-10-06 Aesynt Incorporated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anticipating and deliver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using a track based transport system
US9511945B2 (en) 2012-10-12 2016-12-06 Aesynt Incorporated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port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in a healthcare facility
KR101618410B1 (ko) 2012-11-20 2016-05-04 캐논 마케팅 저팬 가부시키가이샤 분포 시스템, 정제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기억 매체
EP2815736A1 (en) * 2013-06-18 2014-12-24 JVM Co., Ltd. Apparatus for indicating insertion of medicine, medicine insertion apparatus, auto-pack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dicine insertion area indication method thereof
US9365315B2 (en) * 2014-01-28 2016-06-14 Omnicell, Inc. Versatile lighting system for dispensing cabinets
US11443841B2 (en) 2014-02-03 2022-09-13 Synergy Medical Brg Inc. System for assisting the preparation of medication dose packs and methods
CN106413664B (zh) * 2014-07-01 2020-12-04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剂发放装置
WO2016047525A1 (ja) * 2014-09-24 2016-03-3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品払出装置及び散薬調剤業務支援システム
TWI608439B (zh) * 2015-03-31 2017-12-11 Canon Marketing Japan Kk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ablet supply system, and control method, program product
TWI571364B (zh) * 2015-04-08 2017-02-21 美和學校財團法人美和科技大學 藥錠辨識裝置
WO2017006525A1 (ja) * 2015-07-06 2017-01-12 株式会社トーショー 薬剤手撒き装置
JP6362112B2 (ja) * 2015-07-06 2018-07-25 株式会社トーショー 薬剤手撒き装置
JP6460337B2 (ja) * 2015-07-15 2019-01-30 株式会社トーショー 薬剤手撒き装置
JP2017018512A (ja) * 2015-07-15 2017-01-26 株式会社トーショー 薬剤手撒き装置
USD816771S1 (en) * 2016-03-23 2018-05-01 Eight Inc. Design Singapore Pte. Ltd. Digital parcel vending machine
JP6996354B2 (ja) * 2017-03-07 2022-01-17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手撒き装置、薬剤手撒き装置の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支援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10358247B2 (en) 2017-10-27 2019-07-23 Chudy Group, LLC Compartmentalized container loading and management system
CA3133091A1 (en) * 2019-03-25 2020-10-01 Pepsico, Inc. Beverage container dispenser and method for dispensing beverage containers
KR20210149722A (ko) * 2019-04-08 2021-12-09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품 불출 시스템, 약품 불출 프로그램
CN112802271A (zh) * 2021-01-26 2021-05-14 易联众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售取药自助服务装置、方法及存储介质和电子设备
JP2024040665A (ja) * 2022-09-13 2024-03-26 株式会社タカゾノ 薬剤手撒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9821B2 (ja) 1990-02-05 1996-06-26 株式会社 東京商会 薬剤手撒き装置
JP2866543B2 (ja) 1992-12-10 1999-03-08 株式会社トーショー 薬剤手撒き装置
JP2872599B2 (ja) 1994-12-28 1999-03-17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包装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30230590A1 (en) * 1998-06-25 2003-12-18 Gilmore Janice F. Automatic medicament dispenser system
JP4462690B2 (ja) * 2000-01-18 2010-05-12 株式会社トーショー 薬品収納装置
US7463947B1 (en) * 2000-05-05 2008-12-09 Automed Technologies, Inc. Medical item storage cabinet and method
US7286900B1 (en) * 2000-05-05 2007-10-23 Automed Technologies, Inc. Medical item storage cabinet and method
US7689316B1 (en) * 2000-05-05 2010-03-30 Automed Technologies, Inc. Medical item storage cabinet and method
JP4504578B2 (ja) * 2001-02-16 2010-07-14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分包装置
JP4638616B2 (ja) * 2001-03-08 2011-02-23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分包装置
US7040077B2 (en) * 2001-09-28 2006-05-09 Yuyama Mfg. Co. Ltd. Medicine packing apparatus
JP4093856B2 (ja) 2002-12-25 2008-06-04 三洋電機株式会社 薬剤供給装置
JP4539962B2 (ja) * 2004-05-24 2010-09-08 株式会社トーショー 調剤支援システム
WO2006046642A1 (ja) * 2004-10-28 2006-05-04 Yuyama Mfg. Co., Ltd. 調剤支援装置及び調剤支援方法
US7177721B2 (en) * 2004-11-24 2007-02-13 Cerner Innovation, Inc. Computerized method and system for loading and/or unloading a tray having a light grid over a surface thereof
JP4953652B2 (ja) 2006-02-10 2012-06-13 株式会社トーショー 薬剤手撒き装置
JP4849950B2 (ja) * 2006-04-28 2012-01-11 株式会社トーショー 薬剤手撒き装置
WO2007091375A1 (ja) * 2006-02-10 2007-08-16 Tosho Inc. 薬剤手撒き装置
JP4253357B1 (ja) * 2007-09-27 2009-04-0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手撒き薬剤供給装置、薬剤の手撒き方法、及び、薬剤分包装置
JP5212135B2 (ja) * 2007-09-27 2013-06-19 株式会社湯山製作所 手撒き薬剤供給装置、薬剤の手撒き方法、及び、薬剤分包装置
US8380346B2 (en) * 2008-02-20 2013-02-19 Chundy Group, LLC System and apparatus for item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28740A (ja) 2014-07-10
CN102821736A (zh) 2012-12-12
WO2011125650A1 (ja) 2011-10-13
TW201201790A (en) 2012-01-16
US20130026174A1 (en) 2013-01-31
KR101840485B1 (ko) 2018-03-20
US9626822B2 (en) 2017-04-18
JPWO2011125650A1 (ja)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14050A (ko) 약제 공급 장치
US20200211689A1 (en) Pharmaceutical Tray Filling System and Method
US10650921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item management
US11705236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item management
US20140261881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Item Management Including Item Detection
JP7440807B2 (ja) 薬剤手撒き装置、薬剤手撒き装置の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支援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495542B2 (ja) 薬剤包装装置
JP2021186660A (ja) 薬剤ピッキング支援調剤台
JP2022182942A (ja) 薬剤供給装置、薬剤供給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こ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140146763A (ko) 약제투입 표시장치
KR20120022451A (ko) 약품 카트 및 상기 약품 카트를 이용한 약품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