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6763A - 약제투입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약제투입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6763A
KR20140146763A KR1020130069438A KR20130069438A KR20140146763A KR 20140146763 A KR20140146763 A KR 20140146763A KR 1020130069438 A KR1020130069438 A KR 1020130069438A KR 20130069438 A KR20130069438 A KR 20130069438A KR 20140146763 A KR20140146763 A KR 20140146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tray
main body
seated
dr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riority to KR1020130069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6763A/ko
Priority to EP20140172248 priority patent/EP2815736A1/en
Priority to US14/306,900 priority patent/US20140367301A1/en
Publication of KR20140146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7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8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causing operation of audible or visible alarm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69Trays for holding or distributing medic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제투입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약제 트레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약제 수용부 중 약제가 투입될 약제 수용부들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약제투입 표시장치는 상기 약제 트레이 상에 안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가 상기 약제 트레이 상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약제 트레이에 형성된 약제 수용부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약제 투입구; 및 상기 약제 투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특정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약제 트레이 상에 약제가 수동으로 분배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처방전에 따른 약제가 분배될 약제수용부를 정확히 안내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약제투입 표시장치{Indicator for insertion of drug}
본 발명은 약제투입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약제 트레이 상에 안착되어 약제가 투입될 약제수용부에 관한 정보를 정확하고 간편하게 표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제 자동포장장치는 약제 카세트에 수용되는 약제와 약제 카세트에 수용될 수 없는 약제를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1회 복용분씩 자동으로 포장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약제 카세트에 수용되는 약제는 약제자동포장장치 내의 소정위치에 다량으로 보관되어 필요에 따라 자동적으로 분배될 수 있으나, 법률 상의 문제 등으로 약제 카세트에 수용될 수 없는 약제는 필요할 때마다 약제가 분배되어 있는 약제 트레이를 별도로 준비한 후 약제자동포장장치 내에 장착시켜 자동적으로 분배되도록 할 수 있다.
약제 카세트에 수용될 수 없는 약제는 약사 등의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약제 트레이에 미리 분배시키는 과정, 즉 처방전에 기재된 약제 중 약제카세트에 수용될 수 없는 약제를 트레이에 일일이 분배하는 행위가 반드시 요구된다.
이러한 수동 분배과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약제 트레이 상에 분배된 약제를 일일이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며, 확인 후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면 트레이를 약제자동포장장치에 삽입하고 난 후 약제자동포장장치를 작동시켜 약제 카세트와 약제 트레이에 분배된 약제를 1회 복용분씩 포장되도록 한다.
여기서, 약제카세트에 수용될 수 없는 약제를 분배하기 위한 트레이는 약사 등의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투입해야 한다는 특성상 대략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관통되어 형성되고 필요에 따라 저면이 개폐 가능한 약제수용부를 복수의 열과 행으로 구비하게 된다.
사용자가 약제 트레이에 약제를 수동적으로 분배하는 과정에는 필연적으로 약제가 잘 못 분배될 확률이 존재하게 된다. 약제 포장 단계에서의 실수는 환자의 약제 오복용, 즉 처방전과는 다른 수량의 약제를 복용하거나 다른 종류의 약제를 복용함으로써 의료 사고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약제 트레이에 약제를 수동 분배하는 경우에도 처방전에 따른 약제가 정확히 분배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약제 트레이 상에 약제가 수동으로 분배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처방전에 따른 약제가 분배될 약제수용부를 정확히 안내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약제 트레이에 설치하여 약제 분배 시의 안내를 수행하거나 약제 트레이로부터 분리되어 보관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제 트레이 상에 안착되는 방향을 인식하여 처방전에 따른 약제가 분배될 약제수용부를 안내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약제 트레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약제 수용부 중 약제가 투입될 약제 수용부들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약제투입 표시장치는 상기 약제 트레이 상에 안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가 상기 약제 트레이 상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약제 트레이에 형성된 약제 수용부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약제 투입구; 및 상기 약제 투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특정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 수단은 약제 투입구들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 트레이 상에 안착되는 방향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외부 서버로부터 특정 약제가 투입될 약제 수용부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약제 트레이의 안착 방향을 전달받아 상기 특정 약제가 투입될 약제 수용부에 대응하는 약제 투입구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본체부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가 상기 약제 트레이의 모서리 중 어느 모서리에 대응하여 안착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약제 트레이에 구비되는 피감지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기계적 스위치, 전기적 센서, 근접센서, 광센서 및 자기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본체부가 상기 약제 트레이 상에 안착 될 때에 상기 약제 트레이에 형성된 제2 가이드부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부의 안착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약제 트레이 상에 안착되는 방향이 감지되도록 상기 약제 트레이에 의하여 감지되는 피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외부 서버 또는 상기 약제 트레이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본체부가 상기 약제 트레이 상에 안착되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특정 약제가 투입될 약제 수용부에 대응하는 약제 투입구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본체부가 상기 약제 트레이 상에 안착 될 때에 상기 약제 트레이에 형성된 제2 가이드부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부의 안착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피감지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제 트레이 또는 약제 자동분배장치에 포함된 약제 트레이 상에 스킨 타입으로 안착되어 처방전에 따른 약제가 투입될 약제 수용부를 각각 안내함으로써 수동적으로 약제를 분배함에도 약제가 잘 못 투입될 확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투입 표시장치는 필요에 따라 약제 트레이로부터 분리가 가능함으로써 약제의 분배작업과는 독립적으로 보관,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약제투입 표시장치가 약제 트레이 상에서 정방향으로 안착되거나, 수평으로 180도 회전하여 상하가 뒤바뀐 방향으로 안착되는 경우에도 이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처방전에 따른 약제가 분배될 약제수용부를 안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투입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투입 표시장치와 약제 트레이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투입 표시장치가 약제 트레이와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투입 표시장치가 약제 자동 포장장치에 구비된 약제 트레이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감지부를 포함하는 약제투입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약제투입 표시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6의 약제투입 표시장치가 이에 대응하는 약제 트레이 상에 안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약제투입 표시장치가 방향을 달리하여 약제 트레이 상에 안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투입 표시장치의 전기적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투입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투입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투입 표시장치와 약제 트레이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투입 표시장치가 약제 트레이와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투입 표시장치가 약제 자동 포장장치에 구비된 약제 트레이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약제투입 표시장치(100)는 본체부(110), 약제 투입구(120) 및 표시 수단(1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는 전체적으로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체부(110)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 및 경질의 합성수지 재질 등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보관 등의 편의를 위하여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10)에는 상부면 및 하부면을 관통하는 약제 투입구(120)가 다수 형성된다.
약제 투입구(120)는 본체부(110)에 형성되어 약제가 투입되는 관통구로서, 다수의 행과 다수의 열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약제 투입구(120)는 사각형상으로 관통되어 있으나, 목적하는 약제가 투입될 수 있는 크기 및 모양인 한 약제 투입구(120)의 관통된 형상 및 크기에는 제한이 없다.
약제 투입구(120)들의 주변에는 각 약제 투입구(120)들에 대응하는 표시수단(130)이 구비된다. 표시수단(130)은 대응하는 약제 투입구(120)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표시수단(130)은 점등 상태에 따라 약제가 투입되어야 할 제1 발광소자(131)를 구비한다. 또한 표시수단(130)은 필요에 따라 대응하는 약제 투입구(120)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제2 발광소자(132)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표시수단(130)은 제1 발광소자(131) 이외에도 대응하는 약제 투입구(120)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발광소자들을 다양하게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1 발광소자(131)는 점등 상태에 따라 대응하는 약제 투입구(120)에 약제가 투입되어야 하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1 발광소자들(131) 중 오프 상태인 것들에 대응하는 약제 투입구(120)에만 특정 약제를 투입하여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제1 발광소자들(131) 중 온 상태인 것들에 대응하는 약제 투입구(120)에만 특정 약제를 투입하여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약제투입 표시장치(100)는 약제 트레이(10) 상에 안착된다. 약제 트레이(10)는 트레이 본체(11)와 약제 수용부(12)를 포함한다.
트레이 본체(11)는 약제 트레이(10)의 외부 하우징을 구성한다.
약제 수용부(1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약제가 각각 투입되어 보관되었다가 필요에 따라 저면이 개폐됨으로써 보관 중인 약제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낙하시킴으로써 공급한다. 약제 수용부(12)는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투입되는 약제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약제 수용부(12)는 복수로 구비되며, 다수의 행과 다수의 열로 배열된다. 약제 수용부(12)들은 앞서 설명한 약제투입 표시장치(100)의 약제 투입구(120)들과 각각 1대1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약제투입 표시장치(100)가 약제 트레이(10) 상에 안착된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약제투입 표시장치(100)의 약제 투입구(120)들과 약제 트레이(10)의 약제 수용부(12)들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약제 투입구(120)를 통하여 투입되는 약제들이 약제 트레이(10)의 약제 수용부(12) 내로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수단(130)들은 각각 어느 하나의 약제 투입구(120)에 대응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표시수단(130)이 안내하는 약제 투입구(120)에 약제가 투입되는 경우에는 해당 약제 투입구(120)를 통하여 해당 약제 투입구(120)에 대응하는 약제 수용부(12)에 약제가 수용된다.
약제 트레이(10)와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한다. 즉, 앞서 설명한 독립형 약제 트레이(10) 이외에도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제자동포장장치에 구비되는 약제 트레이(10a)에 안착되도록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약제자동포장장치(20)는 약제카세트(21), 약제 트레이(10a) 및 포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제자동포장장치(20)는 약제카세트(21)나 약제 트레이(10a)로부터 불출되는 약제를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1회 복용분씩 포장하는 장치이다. 포장부는 약제카세트(21) 및 약제 트레이(10a)로부터 불출된 후 호퍼 등의 구조물을 통해 취합된 약제들을 포장용지에 포장한다.
한편, 약제자동포장장치(20)에 구비되는 약제 트레이(10a)는 고정형일 수 있으나, 앞서 설명한 독립형 약제 트레이(10; 도 2 및 도 3 참조)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형 또는 독립형 약제 트레이 등 그 타입과는 관계없이 표시수단(130)은 어느 하나의 약제 투입구(120)에 대응하여 해당 약제 투입구(120)를 안내하도록 작동한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제투입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감지부를 포함하는 약제투입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약제투입 표시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8 및 도 9는 도 6의 약제투입 표시장치가 이에 대응하는 약제 트레이 상에 안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6의 약제투입 표시장치가 방향을 달리하여 약제 트레이 상에 안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약제투입 표시장치는 가이드부와 피감지부(또는 감지부)를 구비하는 것이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는 다른 점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약제투입 표시장치(100a)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제 트레이와 접하는 저면에 돌출된 제1 가이드부(140)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부 중 어느 하나는 자석이 일체형으로 내장됨으로써 별도의 센서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는 피감지부(140a)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피감지부가 가이드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피감지부와 가이드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가이드부(140)와 피감지부(140a)는 약제투입 표시장치(100)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이드부(140)와 피감지부(140a)는 본체부(110)의 각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나 본체부(110)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4개의 변 중 어느 부분에도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가이드는 정확한 위치 및 방향으로 결합하거나 안착되도록 기능하도록 복수의 가이드들이 비대칭적으로 구비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이드부(140) 및 피감지부(140a)는 약제투입 표시장치(100)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다른 방향으로 안착되는 경우에도 이를 자동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제1 가이드부(140) 및 피감지부(140a)들이 점대칭 또는 선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약제 트레이(10)에는 제1 가이드부(140) 및 피감지부(140a)의 총 수에 해당하는 수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가이드부(14)가 형성된다. 제2 가이드부(14)는 제1 가이드부(14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부(140)가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면, 제2 가이드부(14)는 제1 가이드부(140)를 수용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대로 제1 가이드부(140)가 홈 형상으로 형성되면, 제2 가이드부(14)는 제1 가이드부(140)에 수용될 수 있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가이드부(14) 중 피감지부(140a)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가이드부(14)의 하단에는 감지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총 4개의 제2 가이드부(14) 중 12시 방향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두번째의 제2 가이드부(14-2)에는 피감지부(140a)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약제투입 표시장치(100)가 수평방향으로 180도 회전하는 경우 피감지부(140a)는 12시 방향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네번째의 제2 가이드부(14-4)에도 삽입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술한 두번째 및 네번째의 제2 가이드부(14-2, 14-4) 각각의 하단에는 피감지부(140a)를 감지하는 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감지부는 피감지부(140a)가 제2 가이드부(14)에 삽입되거나 근접한 상태임을 감지한다. 감지부 및 감지부에 이용되는 센서의 종류에 대하여는 이후 상세히 설명한다.
제1 가이드부(140)와 피감지부(140a)들이 각각 대응하는 제2 가이드부(14)에 수용된 상태로 약제투입 표시장치(100)가 약제 트레이(10) 상에 안착된다. 이 경우 약제투입 표시장치(10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가지 방향으로 안착될 수 있다. 이 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두 개의 감지부 중 피감지부(140a)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식별함으로써 약제투입 표시장치(100)가 안착된 방향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약제투입 표시장치의 전기적 구성 및 연결관계를 설명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투입 표시장치의 전기적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1 통신부(150) 및 제2 통신부(15)는 외부 서버(4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약제투입 표시장치(100)와 약제 트레이(10)에는 상호 대응하는 감지부와 피감지부가 구비된다. 약제투입 표시장치(100)에 감지부가 형성되는 경우 약제 트레이(10)에는 피감지부가 구비됨으로써 약제투입 표시장치(100)가 약제 트레이(10) 상에 안착되는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약제투입 표시장치(100)에 피감지부가 형성되는 경우 약제 트레이(10)에는 감지부가 구비됨으로써 약제투입 표시장치(100)가 약제 트레이(10) 상에 안착되는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40)를 중심으로 상기의 두 가지 경우, 즉 감지부 및 피감지부를 구비하는 구성에 따른 경우에 대하여 각각 설명한다.
먼저, 약제투입 표시장치(100)에 감지부가 형성되고 약제 트레이(10)에 피감지부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제어부(140)가 외부 서버(40)로부터 처방전에 대한 정보, 즉 특정 약제가 투입될 약제 수용부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는다. 또한 제어부(140)는 감지부들 중 약제 트레이(10)의 피감지부를 감지한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약제투입 표시장치(100)가 어떠한 방향으로 약제 트레이(10) 상에 안착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이후 제어부(140)는 약제투입 표시장치(100)의 방향을 인식함으로써 약제투입 표시장치(100)의 약제 투입구와 약제 트레이(10)의 약제 수용부를 매칭시켜 약제가 투입되어야 할 약제 투입구를 안내하도록 표시수단(130)을 제어한다.
다음으로 약제투입 표시장치(100)에 피감지부가 형성되고 약제 트레이(10)에 감지부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제어부(140)가 외부 서버(40)로부터 처방전에 대한 정보, 즉 특정 약제가 투입될 약제 수용부에 대한 정보와, 약제 트레이(10)의 감지부 중 약제투입 표시장치(100)의 피감지부를 감지한 감지부의 식별 데이터(또는 약제투입 표시장치(100)의 안착 방향에 관한 데이터)를 전달받는다. 제어부(140)는 전달받은 처방전 정보와 안착방향에 대한 정보를 종합하여 약제투입 표시장치(100)의 약제 투입구와 약제 트레이(10)의 약제 수용부를 매칭시켜 약제가 투입되어야 할 약제 투입구를 안내하도록 표시수단(130)을 제어한다.
한편, 약제투입 표시장치(100)는 약제 트레이(10)의 감지부 중 약제투입 표시장치(100)의 피감지부를 감지한 감지부의 식별 데이터(또는 약제투입 표시장치(100)의 안착 방향에 관한 데이터)를 외부 서버(40)를 통하지 않고 약제 트레이(10)로부터 직접 전달받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감지부와 피감지부는 기계적 스위치, 전기적 센서, 근접센서, 광센서 및 자기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센서로는 가이드부(피감지부)의 삽입에 의하여 작동되는 스위치(감지부), 발광부(피감지부)와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수광부(감지부) 및 자석(피감지부)과 자기센서(감지부) 등 다양한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약제투입 표시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10: 약제 트레이 20: 약제 포장장치
100: 약제투입 표시장치 110: 본체부
120: 약제 투입구 130: 표시수단

Claims (11)

  1. 약제 트레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약제 수용부 중 약제가 투입될 약제 수용부들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상기 약제 트레이 상에 안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가 상기 약제 트레이 상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약제 트레이에 형성된 약제 수용부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약제 투입구; 및
    상기 약제 투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특정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약제투입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약제 투입구들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약제투입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트레이 상에 안착되는 방향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약제투입 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외부 서버로부터 특정 약제가 투입될 약제 수용부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약제 트레이의 안착 방향을 전달받아 상기 특정 약제가 투입될 약제 수용부에 대응하는 약제 투입구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약제투입 표시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본체부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가 상기 약제 트레이의 모서리 중 어느 모서리에 대응하여 안착되는지를 감지하는 약제투입 표시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약제 트레이에 구비되는 피감지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기계적 스위치, 전기적 센서, 근접센서, 광센서 및 자기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를 구비하는 약제투입 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본체부가 상기 약제 트레이 상에 안착 될 때에 상기 약제 트레이에 형성된 제2 가이드부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부의 안착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가 더 형성되는 약제투입 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약제 트레이 상에 안착되는 방향이 감지되도록 상기 약제 트레이에 의하여 감지되는 피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약제투입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외부 서버 또는 상기 약제 트레이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본체부가 상기 약제 트레이 상에 안착되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특정 약제가 투입될 약제 수용부에 대응하는 약제 투입구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약제투입 표시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본체부가 상기 약제 트레이 상에 안착 될 때에 상기 약제 트레이에 형성된 제2 가이드부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부의 안착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피감지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일체로 형성되는 약제투입 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되는 약제투입 표시장치.
KR1020130069438A 2013-06-18 2013-06-18 약제투입 표시장치 KR2014014676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438A KR20140146763A (ko) 2013-06-18 2013-06-18 약제투입 표시장치
EP20140172248 EP2815736A1 (en) 2013-06-18 2014-06-13 Apparatus for indicating insertion of medicine, medicine insertion apparatus, auto-pack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dicine insertion area indication method thereof
US14/306,900 US20140367301A1 (en) 2013-06-18 2014-06-17 Apparatus for indicating insertion of medicine, medicine insertion apparatus, auto-pack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dicine insertion area indic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438A KR20140146763A (ko) 2013-06-18 2013-06-18 약제투입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763A true KR20140146763A (ko) 2014-12-29

Family

ID=52675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438A KR20140146763A (ko) 2013-06-18 2013-06-18 약제투입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67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0921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item management
KR101840485B1 (ko) 약제 공급 장치
KR20190000870A (ko) 약제 인출 장치
KR100429026B1 (ko) 약제 포장장치
US11756669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item management
WO2012050120A1 (ja) 薬箱払出装置
US20110231006A1 (en) Medication cassette system
US20140261881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Item Management Including Item Detection
US10741275B2 (en) Medicine dispensing system with feedback pre-fill apparatus
JP2016523152A (ja) 自動保存システムから医薬品パックを順次供給する排出/投入ステーションを用いて、複数の受承用コンパートメントを有する輸送ボックスを確実に充填するための方法、及び上記方法のための排出/投入ステーション
ES2855275T3 (es) Botes de dispensación para envasar productos farmacéuticos mediante tecnología robótica
KR20140146763A (ko) 약제투입 표시장치
EP3473977B1 (en) Detecting device for detecting removal of accommodated object from blister pack, detecting method for same, and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WO2017184055A1 (en) System, device and computer related method for monitoring usage of medication
KR20140098455A (ko) 약제 포장 장치용 카트리지
JP2018027182A (ja) 包装体開封検知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367301A1 (en) Apparatus for indicating insertion of medicine, medicine insertion apparatus, auto-pack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dicine insertion area indication method thereof
KR101774698B1 (ko) 약제 인출 장치
KR20220161373A (ko) 약물용 자동 포장기
CA2846365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item management including item detection
KR20180006343A (ko) 약제 인출 장치
WO2014184781A1 (en) Counting device for dispensing pharmaceutical substances
KR20160051305A (ko) 약제 투입 상태를 표시하는 약제 포장 장치 및 그 약제 포장 방법
KR20140146762A (ko) 약제 투입 표시장치, 약제 투입 장치, 이를 포함하는 약제 자동포장장치 및 이의 약제 투입영역 표시 방법
KR20150078128A (ko) 의약품 불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