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1584A - 복합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합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1584A
KR20130011584A KR1020110072829A KR20110072829A KR20130011584A KR 20130011584 A KR20130011584 A KR 20130011584A KR 1020110072829 A KR1020110072829 A KR 1020110072829A KR 20110072829 A KR20110072829 A KR 20110072829A KR 20130011584 A KR20130011584 A KR 20130011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omposite powder
cosmetic composition
plane
curv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선경
양영준
황윤균
최재욱
최영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10072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1584A/ko
Publication of KR20130011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5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면 및 평면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분체; 및 미립자 분체;를 포함하는 복합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복합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결점을 가리는 커버력이 우수하면서, 헤이즈 효과(Haze effect)를 가져 자연스러운 피부 표현이 가능하고, 퍼짐성 및 피부 밀착성이 뛰어나므로,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 가능하다.

Description

복합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MPOSITE POWDER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합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곡면 및 평면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분체에 미립자 분체가 코팅되어 있는 복합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유행하고 있는 내추럴 화장은 가릴 결점은 가리면서, 얼굴은 전체적으로 내추럴하게, 마치 자신의 본 피부 자체에 결점이 없었던 것처럼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내추럴 화장 트렌드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위한 화장료는 조성적인 면과 원료적인 면, 두 방향 모두에서 시도되고 있다. 조성적인 면에서는 상대적으로 굴절율이 높은 물질, 예를 들어 이산화티탄의 함량을 줄이고, 낮아진 커버력을 위해 블러링 효과가 뛰어난 구상을 사용하거나, 높은 백탁도를 가지는 체질 안료를 도입하는 방법 등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원료적인 면으로는 판상 또는 구상의 기재에 상대적으로 굴절율이 높은 물질, 예를 들어 이산화티탄을 부착하는 방법이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 제 2003-012461호에 판상 분말에 미세 입자가 부착된 복합 안료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판상에 이산화티탄을 부착하는 경우에는 밀착이 높은 판상의 특성에 마찰력이 높은 이산화티탄이 부착됨으로 인해 제품의 퍼짐성이 좋지 못하였다. 반면 구상에 이산화티탄이 부착된 경우에는 성형성이 좋지 않은 구상의 특성에 의해 그 사용 함량에 제약이 따랐다.
일본 공개특허 제 2003-012461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자의 평면 부분은 피부에 밀착되고 입자의 곡면 부분은 피부 외측에 위치하게 되는 고투명도의 분체와, 고굴절율의 코팅층을 복합화시킴으로써, 자연스러운 커버력을 가지는 동시에, 우수한 퍼짐성 및 피부 밀착성을 가지는 복합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곡면 및 평면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분체; 및 미립자 분체;를 포함하는 복합분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곡면 및 평면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분체는 곡면 및 평면을 동시에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분체는 곡면 및 평면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분체의 표면을 코팅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곡면 및 평면을 동시에 구비하는 분체는 반구형, 반타원형, 종형, 원반형, 원기둥형, 육면체형, 사면체형 및 피라미드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형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곡면 및 평면을 동시에 구비하는 분체는 실리카, 알루미나, 나일론,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실리콘 엘라스토머, 아크릴계 폴리머, 메틸실록산 망상 중합체, 가교형 디메틸 폴리실록산 및 식물 유래 추출물의 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곡면 및 평면을 동시에 구비하는 분체의 평균 입자 크기는 3 내지 20㎛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분체는 고굴절율이고, 바람직하게 굴절율이 1.8 내지 3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분체는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산화철, 실리카, 알루미나, 나일론,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실리콘 엘라스토머, 칼슘 카보네이트, 아크릴계 폴리머, 폴리메틸실세스키옥산, 식물 유래 추출물 및 색소의 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분체의 평균 입자 크기는 1 내지 1,000nm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분체의 함량은 복합분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0중량%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합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80중량%의 복합분체를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베이스 메이크업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결점을 가리는 커버력이 우수하면서, 헤이즈 효과(Haze effect)를 가져 자연스러운 피부 표현이 가능하고, 퍼짐성 및 피부 밀착성이 뛰어나므로,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분체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구형 분체의 각도별 수집광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분체의 SEM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곡면 및 평면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분체; 및 미립자 분체;를 포함하는 복합분체를 제공한다.
상기 곡면 및 평면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분체는 분체 하나의 입자가 곡면으로 이루어지거나, 평면으로 이루어지거나, 곡면 및 평면 모두로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특히, 상기 곡면 및 평면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분체는 곡면 및 평면을 동시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곡면 및 평면을 동시에 구비하는 분체라 함은, 분체 하나의 입자 내에 구상의 일부 및 판상의 일부를 동시에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곡면 및 평면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분체는 반구형, 반타원형, 종(bell)형, 원반형, 원기둥형, 육면체형, 사면체형 및 피라미드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형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반구형일 수 있다. 반구형의 기재에 미립자 분체가 코팅되어 있는 복합분체의 모식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곡면 및 평면을 모두 구비하는 기재를 함유하는 복합분체를 피부에 도포시, 평면 부분이 피부에 밀착함으로써 피부 밀착성을 높이게 되고, 곡면 부분이 도포 균일성 및 퍼짐성을 상승시키며, 피부 외측 방향에 위치하게 되는 곡면 부분은 볼록 렌즈를 엎어 놓은 것과 같은 형상이 되므로 빛을 입자 내부의 중심점에 모아 수집광의 반대 방향으로 방출하는 형태의 빛 거동을 보이는 결과 정반사율이 높아져 자연스럽게 윤기 나는 피부를 만들 수 있게 된다.
상기 곡면 및 평면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분체는 투명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실리카, 알루미나, 나일론,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실리콘 엘라스토머, 아크릴계 폴리머, 메틸실록산 망상 중합체, 가교형 디메틸 폴리실록산 및 식물 유래 추출물의 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탄소수 1 내지 18개의 알킬기가 부가된 아크릴계 단량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하이드록시기가 부가된 아크릴계 단량체; 비닐피롤리돈;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량체가 중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식물 유래 추출물은 식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이면 어떠한 식물이라도 제한되지 않는다.
투명도가 높은 기재를 사용하는 경우, 피부 표현의 둔탁함을 감소시키고 투명한 느낌의 자연스러운 피부 커버가 가능하다.
상기 곡면 및 평면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분체의 평균 입자 크기는 3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체의 평균 입자 크기가 3㎛ 미만일 경우에는 조각이 작아 빛을 충분히 모으지 못해 피부 윤기를 주기 어려우며, 20㎛ 초과일 경우에는 입자가 거칠어 화장료에 사용하기에 적당하지 않다.
본 발명의 복합분체에서, 상기 미립자 분체는 곡면 및 평면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분체의 표면을 코팅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미립자 분체는 고굴절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굴절율이 1.8 내지 3인 것일 수 있다. 굴절율이 높은 경우, 피부 결점을 가려주는 커버력(은폐력이라고도 함)이 생기며, 이러한 고굴절율의 미립자 분체가 상기 투명도가 높은 곡면 및 평면을 동시에 구비하는 분체를 코팅하여 줌으로써, 본 발명의 복합분체는 커버력 및 도포시 투명성을 우수하게 조화시켜 자연스러운 커버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미립자 분체는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산화철, 실리카, 알루미나, 나일론,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실리콘 엘라스토머, 칼슘 카보네이트, 아크릴계 폴리머, 폴리메틸실세스키옥산, 식물 유래 추출물 및 색소의 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산화아연 또는 이산화티탄, 가장 바람직하게는 산화아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산화아연의 굴절율은 약 1.9 내지 2.0이고, 이산화티탄의 굴절율은 약 2.5 내지 2.7이다. 상기 식물 유래 추출물은 식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이면 어떠한 식물이라도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색소는 무기착색안료, 유기착색안료, 무기체질안료, 유기체질안료, 각종 천연색소 등일 수 있다.
상기 미립자 분체의 평균 입자 크기는 1 내지 1,000nm인 것일 수 있다. 평균 입자 크기가 1nm 이하일 경우에는 커버력이 떨어지고, 1,000nm 초과할 경우에는 곡면 및 평면을 동시에 구비하는 분체의 표면에 너무 적은 양으로 코팅되어, 빛을 고르게 확산시키지 못함과 동시에 큰 입자로 인해 거친 사용감이 나타난다.
상기 미립자 분체의 함량은 복합분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곡면 및 평면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분체는 전 복합분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70.0 내지 99.0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미립자 분체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의 경우에는 커버력이 떨어지며, 또한, 3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높은 비표면적으로 인해, 곡면 및 평면을 동시에 구비하는 분체 표면에 코팅되어 있지 못하고, 부산물로 독립적으로 떨어져 효율적으로 코팅되지 못하는 현상이 일어남과 동시에, 제형의 사용감을 거칠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합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80중량%의 복합분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중량% 미만의 경우에는 커버력이 낮아지는 문제점을 나타내며, 80중량% 초과의 경우에는 제형 안정도에 영향을 미쳐 안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자연스러운 커버가 가능하며, 도포 시 부드럽게 펴 발라짐과 동시에 밀찰력 있게 피부에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복합분체는 피부의 자연스러운 커버력을 나타내는 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에, 특히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메이크업이라 함은 포인트 메이크업과 같이 눈 또는 입술과 같은 협소 부위에 도포하는 것이 아니고, 피부의 넓은 부위에 도포하는 경우 사용되는 화장료를 말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이크업 프라이머,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투웨이케익, 팩트, 파우더, 아이섀도우 등의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복합분체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물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의 실시를 통하여 본 발명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들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분체 형상에 따른 반사광 평가
본 발명의 복합분체에 포함되는 곡면 및 평면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분체로서 반구형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반사광 패턴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이는 인조피부, 구상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분체, 및 반구형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분체에 대하여 입사광 45°로 빛을 가하여, 각도별 수집광을 측정하는 고니어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분체 샘플은 퍼프를 이용하여 인공 피부 위에 0.1mg/Cm2의 양으로 도포한 샘플을 준비하여 측정 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조피부(맨 피부)의 경우 수집광의 각도가 20 내지 75°인 전 각도에 걸쳐 광량이 유사하므로 빛이 고르게 방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형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분체 또한 인조피부와 유사하게 전 각도에 걸쳐 고르게 빛이 방출되고 있으며, 광량이 인조피부보다 조금 높이 나와 블러링(blurring)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반구형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분체의 경우, 입사광의 반대 영역인 20 내지 50°인 수집광 각도 근처에서 훨씬 높은 광량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구형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분체와 달리 반구형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분체의 경우, 인공피부 위에서 빛을 반구형 내부의 중심점에 모아 수집광의 반대 방향으로 방출하는 형태의 빛 거동을 나타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는 화장의 효과적인 측면에서 일반적인 구상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반구형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부드러운 정반사 부분의 빛을 많이 가지게 되어 과하지 않으면서 윤기 나는 피부로 연출해 주는 기능을 가지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인 내추럴 커버를 위해 빛을 모아주는 역할을 하는 복합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윤기와 커버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복합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반구형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분체을 준비하고 그 표면을 산화아연으로 코팅하여 복합분체를 제조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평균 직경이 6~9㎛인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 코팅한 평균 직경 10~30nm의 산화아연을 5중량%로 피복한 파우더를 사용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산화아연 코팅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분체의 SEM 사진을 도 3에 나타내었다.
제조된 산화아연 코팅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분체 및 기타 첨가물을 하기 표 1의 조성대로 첨가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통상적인 제조방법에 따라 팩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3]
비교를 위하여 아무 것도 넣지 않은 제형과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산화아연을 따로 넣은 제형을 각각 비교예 1 및 2로 하였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된 반구형의 폴리메틸메타그릴레이트 대신 구형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산화아연 코팅 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분체를 제조하였고, 마찬가지로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팩트(비교예 3)를 제조하였다.
성분명 실시예 1
(중량%)
비교예 1
(중량%)
비교예 2
(중량%)
비교예 3
(중량%)
탈크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산화아연 코팅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분체 20.0 - - -
산화아연 코팅 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분체 - 20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 19.0
산화아연 1.0
세리사이트 10.0 10.0 10.0 10.0
마이카 10.0 10.0 10.0 10.0
산화철 2.0 2.0 2.0 2.0
미네랄 오일 10.0 10.0 10.0 10.0
[시험예 2] 은폐력 및 헤이즈(Haze) 평가
상기 실시예 1 과 비교예 1 내지 3의 은폐력과 헤이즈 평가는 색차계를 통하여 반사 빛과 투과 빛을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측정을 위한 샘플은 슬라이드 글라스에 투명 외과용 테이프를 붙인 후, 그 위에 내용물을 퍼프를 이용하여 10 회씩 도포한 샘플을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은폐력(Opacity, 커버력이라고도 함)은 반사광을 측정하는 것으로 아래의 식을 통하여 구하는데, 은폐력 값이 높다는 것은 샘플의 뒤에 흰색 판과 검은 판을 댈 때의 광량의 변화가 적다는 뜻으로, 이는 빛이 샘플을 많이 통과하지 못함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01
흩어짐 효과인 헤이즈(Haze) 효과는 아래의 식과 같이 투과 광량을 통하여 구하였다.
Figure pat00002
헤이즈 값이 높다는 것은 전체 투과된 빛 중에 빛이 꺾여 들어오는 빛이 많음을 뜻하고, 이는 안개와 같이 뿌옇게 흐리게 표현됨이 큼을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대한 은폐력과 헤이즈 값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성분명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은폐력(Opacity) 56.4 40.3 53.5 50.2
헤이즈 효과(Haze) 86.2 75.3 80.1 87.2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산화아연 코팅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분체를 함유한 실시예 1의 경우 높은 은폐력을 보여, 높은 커버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시에 헤이즈 효과 역시 높아 자연스런 화장 표현이 가능하므로 둔탁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커버 표현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산화아연을 전혀 포함하고 있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에는 은폐력과 헤이즈 효과 값이 모두 매우 낮게 측정되었으며, 반구형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과 산화아연을 따로 넣어준 비교예 2는 효과적으로 빛을 흩어내면서 흡수, 방출하지 못하여 헤이즈 값이 특히 낮게 측정되었다. 또한 구형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 산화아연을 코팅한 비교예 3의 경우, 반구형보다 높은 빛 흩어냄 효과에 의해 헤이즈 값이 실시예 1보다 조금 높게 측정되었으나, 빛을 모으지 못하고, 표면에서 그대로 흩트리며 방출하기 때문에 반구형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 비해 적은 양의 빛을 반사함으로 인해 낮은 은폐력을 보였다.
[시험예 3] 패널에 의한 관능 평가
본 발명에 의한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표면을 산화아연으로 코팅한 복합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커버력, 도포 균일함, 밀착력, 도포시 거칠기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을 이용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1 과 비교예 1 내지 3의 커버력, 도포 균일함, 밀착력, 도포시 거칠기 비교 평가는 소비자 패널 테스트에서 20~30대 여성 10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3일간 사용하게 한 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커버력 도포 균일성(퍼짐성) 밀착력 도포 시 사용감
실시예 1
비교예 1 ×× × ×
비교예 2
비교예 3 ×
※ 평가기준
◎: 매우 우수 ○: 우수 △: 보통 ×: 나쁨 ××: 매우 나쁨
상기 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반구형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표면에 산화아연이 코팅된 파우더를 함유한 실시예 1의 경우, 커버력과 도포 균일성, 밀착력, 그리고 도포 사용감에 이르는 모든 영역에서 높은 만족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도포 균일성인 퍼짐성과 밀착력이 동시에 좋게 나왔는데, 이는 반구형의 형상으로 인해 굴곡에 의한 퍼짐과 평평한 면에 의한 밀착의 특성을 모두 가지기 때문으로, 이는 구형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 산화아연을 코팅한 파우더를 넣은 비교예 4가 높은 도포 균일성을 보이나, 밀착력이 떨어지는 특성과 비교된다.

Claims (14)

  1. 곡면 및 평면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분체; 및 미립자 분체;를 포함하는 복합분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및 평면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분체는 곡면 및 평면을 동시에 구비하는 것인 복합분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분체는 곡면 및 평면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분체의 표면을 코팅하는 것인 복합분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및 평면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분체는 반구형, 반타원형, 종형, 원반형, 원기둥형, 육면체형, 사면체형 및 피라미드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인 복합분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및 평면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분체는 실리카, 알루미나, 나일론,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실리콘 엘라스토머, 아크릴계 폴리머, 메틸실록산 망상 중합체, 가교형 디메틸 폴리실록산 및 식물 유래 추출물의 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복합분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및 평면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분체의 평균 입자 크기는 3 내지 20㎛인 것인 복합분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분체는 고굴절율을 갖는 것인 복합분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분체는 굴절율이 1.8 내지 3인 것인 복합분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분체는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산화철, 실리카, 알루미나, 나일론,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실리콘 엘라스토머, 칼슘 카보네이트, 아크릴계 폴리머, 폴리메틸실세스키옥산, 식물 유래 추출물 및 색소의 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복합분체.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분체의 평균 입자 크기는 1 내지 1,000nm인 것인 복합분체.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분체의 함량은 복합분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0중량%인 것인 복합분체.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복합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80중량%의 복합분체를 함유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베이스 메이크업용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072829A 2011-07-22 2011-07-22 복합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115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829A KR20130011584A (ko) 2011-07-22 2011-07-22 복합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829A KR20130011584A (ko) 2011-07-22 2011-07-22 복합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584A true KR20130011584A (ko) 2013-01-30

Family

ID=47840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829A KR20130011584A (ko) 2011-07-22 2011-07-22 복합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1584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478A (ko) * 2015-01-22 2016-08-0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기능성 화장품용 무기분체의 제조방법
WO2016148375A1 (ko) * 2015-03-13 2016-09-22 (주)아모레퍼시픽 다공성 고분자에 무기분체가 함침된 복합분체,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003131A1 (ko) * 2015-06-30 2017-01-05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조성물
WO2017003130A1 (ko) * 2015-06-30 2017-01-05 (주)아모레퍼시픽 다공성 다면체 파우더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20180036424A (ko) * 2016-09-30 2018-04-09 (주)아모레퍼시픽 그라데이션 화장품의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화장품
WO2020141781A1 (ko) * 2019-01-03 2020-07-09 씨큐브 주식회사 흡수성 및 흡유성이 향상된 화장품용 조성물
CN107920963B (zh) * 2015-06-30 2024-05-28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包含多孔性多面体粉末的油包水型化妆品组合物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478A (ko) * 2015-01-22 2016-08-0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기능성 화장품용 무기분체의 제조방법
US10278903B2 (en) 2015-03-13 2019-05-07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e powder having inorganic powder impregnated with porous polymer,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WO2016148375A1 (ko) * 2015-03-13 2016-09-22 (주)아모레퍼시픽 다공성 고분자에 무기분체가 함침된 복합분체,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0383800B2 (en) 2015-06-30 2019-08-20 Amorepacific Corporation Cosmetic composition
KR20170002989A (ko) * 2015-06-30 2017-01-09 (주)아모레퍼시픽 다공성 다면체 파우더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3002A (ko) * 2015-06-30 2017-01-0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조성물
CN107920963A (zh) * 2015-06-30 2018-04-17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包含多孔性多面体粉末的油包水型化妆品组合物
WO2017003130A1 (ko) * 2015-06-30 2017-01-05 (주)아모레퍼시픽 다공성 다면체 파우더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WO2017003131A1 (ko) * 2015-06-30 2017-01-05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조성물
CN107920963B (zh) * 2015-06-30 2024-05-28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包含多孔性多面体粉末的油包水型化妆品组合物
KR20180036424A (ko) * 2016-09-30 2018-04-09 (주)아모레퍼시픽 그라데이션 화장품의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화장품
WO2020141781A1 (ko) * 2019-01-03 2020-07-09 씨큐브 주식회사 흡수성 및 흡유성이 향상된 화장품용 조성물
US11207264B2 (en) 2019-01-03 2021-12-28 Cqv Co., Ltd. Cosmetics composition having improved water absorbability and oil absorbabi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11584A (ko) 복합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51277B1 (ko) 다층구조를 갖는 화장품용 복합분체 및 그의 제조방법
WO2001052794A1 (fr) Cosmetiques brillants
CN1106831C (zh) 具有改进的皮肤覆盖度的化妆品粉末组合物
KR102394933B1 (ko) 화장품 접착제로서 또한 유용한 고광택 장기 착용 화장품 조성물
KR20010101380A (ko) 2층 메이크업 화장품
KR20130100782A (ko) 고형 분말 화장료
KR20190116458A (ko) 화장료 조성물, 화장품 및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JP2001270805A (ja) 光揮性化粧料
JP2016041673A (ja) 睫用化粧料
KR101729541B1 (ko) 이산화티탄과 마이카의 복합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JP4212480B2 (ja) 化粧料
JP5042540B2 (ja) 複合粒子を含む化粧料の製造方法
JP7081784B2 (ja) 固形粉末化粧料及び固形粉末化粧料の製造方法
KR101822003B1 (ko)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0941496B1 (ko) 번들거림 및 지속성을 개선시키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2010163368A (ja) 固形粉末化粧料
KR102416850B1 (ko) 폴리에스터 기재의 펄 안료를 포함하는 글리터 타입의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
JP2008074707A (ja) 固形化粧料
KR20130122071A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08451794B (zh) 化妆品及其制造方法
JP2020180088A (ja) 皮膚外用剤
EP3436154B1 (en) Nail composition
JP5758142B2 (ja) 化粧料
JP7493218B2 (ja) メイクアップ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