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8820A -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8820A
KR20130008820A KR1020110069431A KR20110069431A KR20130008820A KR 20130008820 A KR20130008820 A KR 20130008820A KR 1020110069431 A KR1020110069431 A KR 1020110069431A KR 20110069431 A KR20110069431 A KR 20110069431A KR 20130008820 A KR20130008820 A KR 20130008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aliphatic
weight
resin composition
oxazo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9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5826B1 (ko
Inventor
김기철
최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솔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솔테크
Priority to KR1020110069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5826B1/ko
Publication of KR20130008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8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30/00Compositions for preparing biodegradabl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자구조 내에 지방족(환상지방족포함)디카르복실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중량평균분자량 3,000~300,000인 폴리락티드와 지방족(환상지방족포함)글리콜로 구성된 한 개의 융점을 갖는 투명성이 우수한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종래의 생분해성 수지의 물성,투명성, 가공성, 반응속도 및 수분취약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서 압출과 사출 등의 모든 성형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하나의 융점을 갖는 투명성이 우수한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BIODEGRADABLE ALIPHATIC/AROMATIC COPOLYESTER RESIN COMPOSITION WITH HIGH TRANSPARENCY}
본 발명은 기존의 생분해성 수지의 제조에 있어 발생되었던 문제점인 취약한 기계적 물성 및 투명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300,000인 폴리락티드, 지방족(환상 지방족 포함) 디카르복실산(또는 그 무수물 포함), 방향족 디카르복실산(또는 그 무수물)과 지방족(환상 지방족 포함)글리콜 포함하는 한 개의 융점을 갖는 투명성이 우수한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함으로써,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한 투명성이 우수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 때 얻어진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수평균분자량이 30,000 내지 70,000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내지 300,000이며 융점이 80 내지 150℃임을 특징으로 한다.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수십여년 전부터 그 조성물 및 제조방법 등이 공지되어 왔으며, 현재까지도 용도확대, 가공성 및 기계적 물성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지고 있다.
일예로 미국특허 제4094721호(June 13. 1978), 및 제4966959호(Oct. 30. 1996)에 의하면 코폴리에스테르 분자구조내에 방향족 산 성분이 적어도 40몰%이상이며, 나머지 산 성분이 지방족 산 성분으로 구성되어 총 산 성분의 양이 100몰%이며, 이와 반응되는 글리콜 성분으로서 1,4-부탄디올과 그 외 디올의 혼합성분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여 각각의 융점 및 특성을 설명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는 특히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중 제조되어지는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가 생분해성을 나타낼 수 있는 지방족 산 성분과 방향족 산 성분 등 구성성분의 조성의 범위를 자세히 제시하고 있으며, 이 때의 구성성분의 조성에 따른 융점, 고유점도 등 그 제반특성에 대해서도 자세히 기술하고 있다.
모든 플라스틱은 열에 의하여 용융시킨 후 냉각되면 굳는 성질을 이용하여 그 용도에 맞게 접착제로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또한 핫멜트 접착제로서 그 사용이 가능하다.(미국특허 제4,401,805제 Aug. 30. 1983, 및 제4,328,059호 May 4. 1982)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는 그 구성성분의 종류와 수에 따라서 점착성을 나타나게 되며, 미국특허 제4,966,959호 (1990, Cox. A. Heyer. M. F.)에서는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제조에 있어 점착성을 가지기 위하여 사용되는 글리콜 성분은 두 개의 디알콜 성분을 함유해야 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10-1993-0701622호에서는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의 점착성은 플라스틱 제품 성형에 있어 문제점이 발생하기때문에 이를 해결코자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제조에 사용되는 글리콜 성분을 혼합성분이 아닌 단독성분을 사용하여 그 문제를 극복하였다고 제시하였다. 하지만 이는 당 업계에서 종사하는 이라면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구성성분의 수와 종류의 조절을 통해서 점착성 제거가 가능하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며, 미국특허 제4,328,059호에도 단독성분의 디알콜을 사용한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제조방법이 공지되었다.
특허 이외에, Journal of Macromolecule, SCI-Chem A-23(3), 1986, P393-409에는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조성물에 있어 지방족 산 성분이 일정 성분이상으로 존재할 경우 생분해성이 존재함을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의 경우 아직까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등의 범용수지에 비해 가공성 및 기계적 물성 등이 떨어져 현재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의 문제점 해결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9-7002353호의 경우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함에 있어 사슬 연장제인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헥사메틸렌디이소네이트를 올리고머화 하여 사슬연장 관능기인 NCO 함량을 조절하여 투입하여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였다. 이는 제조되는 코폴리에스테르를 고분자량화 하여 가공성 및 기계적 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관능기와 이소시아네이트의 사용하는데 이 경우 제조 작업시 이소시아네이트로 인한 작업자의 안전성 및 코폴리에스테르의 생분해 과정에서 자연환경 및 인체에 유해성을 발생할 수 있으며, 작업공정의 증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취약하다.
대한민국특허 출원번호 제10-1997-2703252호에서는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기 위해 술포네이트 화합물 또는 3개 이상의 에스테르 형성 가능한 관능기를 가진 화합물을 사용하는 방법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은 반응시간을 짧게하고, 평균분자량을 높일 수 있으나 생성되어지는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분자량 분포가 넓어져 저분자량의 코폴리에스테르가 다량 존재하게 된다. 이는 가공과정에 있어 쉽게 열분해를 유발시키며 대기중의 수분에 취약하여 제조되어지는 가공품의 내구성이 약해진다.
대한민국특허 출원번호 제10-1997-0703253호 발명의 경우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에테르 관능기를 함유하는 디히드록시 화합물을 사용하였는데 제시된 실시예를 보면 락트산 같은 단량체를 첨가하여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는데 이는 락트산 열에 의해 쉽게 날아가고, 저진공에서는 쉽게 날아가기 때문에 축중합하기가 상당히 어렵고, 수율이 떨어져 경제적으로 맞지 않다. 또 이특허에서 보면 올리고머 및 고분자량 폴리락티드는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수지 제조 후 첨가하는 방법인것은 서로 반응되지 않고, 두 개의 다른 수지 블렌드 또는 화합물 개념으로 2개의 서로 다른 융점이 나와 투명성이 떨어져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300,000인 폴리락티드, 지방족(환상 지방족 포함) 디카르복실산(또는 그 무수물 포함), 방향족디카르복실산(또는 그 무수물) 과 지방족(환상 지방족 포함)글리콜로 제조된 한 개의 융점을 갖는 투명성이 우수한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그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또한 당 조성물의 제조에 적합한 원료 조성물의 최적의 구성비 및 그 반응조건 최적화를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그 주요 구성성분으로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300,000인 폴리락티드로 구성된 혼합물과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산 성분; 및 상기 산 성분인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과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300,000인 폴리락티드의 산 성분의 합 1몰에 대하여 1.1 내지 1.5몰 비의 지방족 글리콜을 혼합한 후 촉매 및 안정제의 존재하에 에스테르화 반응 및 에스테르교환반응 및 축중합반응을 통하여 제조되어 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자 구조 내에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300,000인 폴리락티드를 첨가하여 블렌드 개념이 아닌 한 개의 융점을 갖는 투명성이 우수한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생분해성 수지의 물성, 가공성, 반응속도 및 수분 취약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압출과 사출 등의 모든 성형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1)방향족 디카르복실산(또는 그의 무수물)과, (2) 지방족(환상 지방족을 포함) 디카르복실산(또는 그 무수물) 및 (3)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300,000인 폴리락티드의 혼합물로 구성되어지는 산 성분과, 글리콜 성분으로 지방족(환상 지방족을 포함) 글리콜 존재 하에서 에스테르화반응, 에스테르 교환반응, 축중합반응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반응을 거친 축중합반응을 특징으로 하여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락트산을 포함하는 완전 생분해성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또는 그의 산 무수물)로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2,6-나프토산 및 이들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이다. 특히 테레프탈산(또는 그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이 가장 유용하며, 상기 성분들은 단독 또는 혼합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지방족(환상 지방족을 포함) 디카르복실산(또는 그의 산 무수물)로서는 탄소소가 2~14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예로서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세바신산, 아젤라산, 노난디카르복실산, 디메틸숙시네이트, 디메틸아디페이트 및 그 무수물 유도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또한 본 조성물에 중량평균 분자량이 3,000~300,000인 폴리락티드를 사용한다. 또한 락트산을 이용하여 제조된 중합체의 경우 광학이성질체로 D-형태, L-형태와 D,L-형태가 존재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300,000인 폴리락티드는 광학이성질체의 각 성분의 구성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산 성분중 지방족 산의 범주에 해당하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또는 그의 산무수물)과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300,000인 폴리락티드의 합과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몰비율은 70몰%:30몰% 내지 30몰%:70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몰%:40몰% 내지 40몰%:60몰% 이다.
전체 산 성분의 조성에 대하여 지방족 산이 30몰%미만, 방향족디카르복실산이 70몰%를 초과할 경우 얻어지는 수지조성물이 생분해성을 나타내지 못하여 본 발명의 의미가 없어지며, 지방족이 70몰% 초과, 방향족디카르복실산이 30몰% 미만일 경우 얻어지는 조성물이 융점이 낮아 성형가공성이 낮아지는 단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폴리락티드의 몰합을 100몰%로 기준할 때 사용되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300,000인 폴리락티드의 구성은 99.99몰%:0.01몰%내지 50몰%:50몰%의 몰비율로 구성된다. 사용되는 락트산 또는 그의 중합체가 0.01몰% 미만일 경우 그 효과가 없고, 50몰%이상일 경우 수지의 색상변화 및 반응의 속도가 느려 경제적 효과가 없다.
또한 상기 지방족 글리콜로서는 탄소수가 2~20인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양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글리콜을 사용하며, 상기 글리콜과 함께 에테르기가 포함된 글리콜을 사용할 수도 있다. 먼저 양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디올의 예로서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2-부탄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로 구성된 그룹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며, 이 때 사용되는 지방족 글리콜의 양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300,000인 폴리락티드로 이루어진 산 조성물 1몰을 기준으로 할 때 몰비율로 1:1.1 내지 1:1.5의 양으로 사용된다.
투입량이 1.1몰비 미만일 경우 반응이 늦고 색상의 변색등이 유발되며, 1.5몰비를 초과할 경우 경제적비용이 증가하여 그 발명의 효과가 감소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서, (i)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지방족 글리콜을 촉매 및 안정제의 존재하에 에스테르화반응 및 에스테르교환반응 생성물을 수득하는 단계; (ii) 단계 (i)의 반응생성물 존재하에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중량평균 분자량 3,000~300,000인 폴리락티드를 촉매 및 안정제의 존재하에 에스테르화반응 및 에스테르교환반응 생성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iii) 단계 (ii)의 반응생성물을 반응온도 240℃-260℃에서 축중합 반응시키는 단계로 제조되어지며, 여기서, 지방족 글리콜은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300,000인 폴리락티드 및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산 성분의 합 1몰에 대하여 1.1 내지 1.5몰의 양으로 첨가되며, 상기 단계 (i) 및 단계 (ii)에서 에스테르화 반응 및 에스테르교환 반응에서, 촉매와 안정제 각각은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산 무수물,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300,000인 폴리락티드의 산 성분과 지방족 글리콜의 전체 중량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각각 0.0001~1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되며, 상기 단계 (iii)에서의 중축합반응에서, 0.3~1.5중량부의 중축합 반응촉매 및 0.0001~0.5중량부의 안정제가 첨가되는,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2,6-나프토산 및 이들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 및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은 숙신산, 글루타루산, 아디프산, 피멜산, 아젤라산, 세박식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및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지방족 글리콜은 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2-부탄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1,2-시클로헥산디메탄올 및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시에, 2,2-비스-(2-옥사졸린), N,N'-헥사메틸렌-비스-(2-카바모일-2-옥사졸린), 2,2'-메틸렌-비스-(2-옥사졸린), 2,2'-에틸렌-비스-(2-옥사졸린), 2,2'-프로필렌-비스-(2-옥사졸린), 1,3-페닐렌-비스-(2-옥사졸린), 2,2-P-페닐렌-비스-(2-옥사졸린) 및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옥사졸린 화합물이, 산 성분과 지방족 글리콜의 전체 중량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0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추가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부터 사출 또는 압출 성형된 제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전분, 탄산칼슘, 또는 탈크의 무기물을 첨가하여 컴파운드된 조성물 또는 그로부터 성형된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의 (i), (ii)의 과정에서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 온도는 170~230℃ 정도가 적합하며,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 초기단계에 촉매 및 안정제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촉매로서는 디부틸틴옥사이드와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가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촉매로 사용되며, 상기 안정제로서는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메틸포스페이트가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안정제로 사용된다.
상기 촉매와 안정제의 첨가량은 각각 산 성분과 지방족 글리콜의 전체 중량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001~1중량부가 적당하고, 상기 촉매의 첨가량이 0.0001중량부 미만일 때는 에스테르 교환반응 속도가 느려지고, 반면 1중량부를 초과하면 반응속도는 빠르나 색상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안정제의 첨가량이 0.0001중량부 미만일 때는 에스테르 교환반응 중 반응생성물이 가스분해 될 수 있는 요인을 방지하지 못하며, 반면 1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반응속도를 저하시킨다.
본 발명의 중축합 초기단계에 중축합반응을 촉진하기 위한 촉매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촉매로서는 마그네슘아세테이트, 테트라프로필티타네이트, 징크아세테이트,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 디부틸틴옥사이드, 테트라프로필티타네이트, 칼슘아세테이트,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촉매를 사용할 수 있고, 그 첨가량은 산 성분과 지방족 글리콜의 전체 중량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3~1.5중량부가 적당하다. 만일, 첨가량이 0.3중량부 미만이면 어느 일정 시간에 촉매로서 활성을 잃어 분자량을 올리는데 한계가 있으며, 1.5중량부를 초과하면 반응속도는 증가하지만 색상을 저하시킬 우려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중축합단계에서 안정제가 첨가될 수 있으며, 상기 안정제로서는 트리메틸포스페이트, 트리메틸포스핀,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포스페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 안정제를 사용 할 수 있으며, 그 첨가량은 산 성분과 지방족 글리콜의 전체 중량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001~0.5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이 때, 안정제의 첨가량이 0.0001중량부 미만이면 안정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반면 0.5중량부를 초과하면 반응을 지연시켜 반응시간이 길어진다.
본 발명에서 중축합반응 온도는 230~260℃가 바람직하며, 상기 중축합 반응 온도가 230℃미만이면 중축합 반응시간이 길어지며, 반면 260℃를 초과하면 열분해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중축합반응 시간은 촉매와 안정제의 양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150분~250분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조성물로 제조된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경우 그 기능성의 향상을 위해 반응과정에서 사슬연장제, 내가수분해제, 반응안정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사슬연장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산 성분과 지방족 글리콜의 전체 중량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5중량부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있고, 특히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가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며, 0.01~5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사용될 수 있는 내가수분해제로는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이 사용되며, 1,3-디사이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일본의 Nisshinbo社에서 판매하는 HMV-8CA, HMV-10B, 비스-(2,6-디이소프로필-페닐린-2,4-카르보디이미드), 폴리-(1,3,5-트리이소프로필-페닐리-2,4-카르보디이미드) 등이 좋다. 그 투입량은 투입되는 산 성분과 지방족 글리콜의 전체 중량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0중량부이다.
상기의 반응과정에서 반응의 안정성을 위하여 옥사졸린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2,2-비스-(2-옥사졸린), N,N'-헥사메틸렌-비스-(2-카바모일-2-옥사졸린), 2,2'-메틸렌-비스-(2-옥사졸린), 2,2'-에틸렌-비스-(2-옥사졸린), 2,2'-프로필렌-비스-(2-옥사졸린), 1,3-페닐렌-비스-(2-옥사졸린), 2,2-P-페닐렌-비스-(2-옥사졸린)이며, 그 투입량은 산 성분과 지방족 글리콜의 전체 중량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0중량부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들에 의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500㎖의 둥근바닥 플라스크를 질소로 치환하고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93.2g, 1,4-부탄디올 121.6g을 투입하고 테트라메틸티타네이트 0.1g을 넣고 200℃에서 두 시간 동안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시켜 이론량의 메탄올을 유출시킨 후, 아디프산 68.7g,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00인 폴리락티드 4.5g을 투입한 후 반응온도를 200℃로 고정시키고 물을 유출시켰다. 이 때 촉매로서 안티몬 아세테이트 0.1g, 티부틸틴옥사이드 0.1g,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 0.1g, 안정제로서는 트리메틸포스페이트 0.2g을 첨가하였다. 이론적 물의 양이 유출된 후 계속해서, 온도를 상승시키고 온도가 255℃에서 2.0Torr이하의 감압하에서 150분 동안 축중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이 때 얻어진 수지는 융점이 110℃ 수평균 분자량이 33,800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74.300이었다.
실시예 2
500㎖의 둥근바닥 플라스크를 질소로 치환하고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93.2g, 1,4-부탄디올 121.6g을 투입하고 테트라메틸티타네이트 0.1g을 넣고 200℃에서 두 시간 동안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시켜 이론량의 메탄올을 유출시킨 후 아디프산 62g,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인 폴리락티드 9.08g을 투입한 후 반응온도를 200℃로 고정시키고 물을 유출시켰다. 이 때 촉매로서 안티몬 아세테이트 0.1g, 티부틸틴옥사이드 0.1g,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 0.1g, 안정제로서는 트리메틸포스페이트 0.2g을 첨가하였다. 이론적 물의 양이 유출된 후 계속해서, 온도를 상승시키고 온도가 255℃에서 2.0Torr이하의 감압하에서 150분 동안 축중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이 때 얻어진 수지는융점이 115℃ 수평균 분자량이 38,300고, 중량평균분자량이 80,600이었다.
실시예 3
500㎖의 둥근바닥 플라스크를 질소로 치환하고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93.2g, 1,4-부탄디올 121.6g을 투입하고 테트라메틸티타네이트 0.1g을 넣고 200℃에서 두 시간 동안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시켜 이론량의 메탄올을 유출시킨 후 아디프산 62g을 투입한 후 반응온도를 200℃로 고정시키고 물을 유출시켰다. 그 후 분자량 110,000인 폴리락티드 20g, 촉매로서 안티몬 아세테이트 0.1g, 티부틸틴옥사이드 0.1g,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 0.1g, 안정제로서는 트리메틸포스페이트 0.2g을 첨가하였다. 이론적 물의 양이 유출된 후 계속해서, 온도를 상승시키고 온도가 250℃에서 2.0Torr이하의 감압하에서 100분 동안 축중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이 때 얻어진 수지는 융점이 100℃ 수평균 분자량이 35,300고, 중량평균분자량이 75,200이었다.
실시예 4
500㎖의 둥근바닥 플라스크를 질소로 치환하고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93.2g, 1,4-부탄디올 121.6g을 투입하고 테트라메틸티타네이트 0.1g을 넣고 200℃에서 두 시간 동안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시켜 이론량의 메탄올을 유출시킨 후 분자량 110,000인 폴리락티드 20g, 아디프산 62g을 투입한 후 반응온도를 200℃로 고정시키고 물을 유출시켰다. 이 때 촉매로서 안티몬 아세테이트 0.1g, 티부틸틴옥사이드 0.1g,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 0.1g, 안정제로서는 트리메틸포스페이트 0.2g을 첨가하였다. 이론적 물의 양이 유출된 후 계속해서, 온도를 상승시키고 온도가 250℃에서 2.0Torr이하의 감압하에서 100분 동안 축중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얻어진수지에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0g을 첨가하여 컴파운드를하였다. 융점이100℃, 수평균 분자량이 47,000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97,000이었다.
비교예 1
500㎖의 둥근바닥 플라스크를 질소로 치환하고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93.2g, 1,4-부탄디올 121.6g을 투입하고 테트라메틸티타네이트 0.1g을 넣고 200℃에서 두 시간 동안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시켜 이론량의 메탄올을 유출시킨 후아디프산 76g을 투입한 후 반응온도를 200℃로 고정시키고 물을 유출시켰다. 이 때 촉매로서 안티몬 아세테이트 0.1g, 티부틸틴옥사이드 0.1g,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 0.1g, 안정제로서는 트리메틸포스페이트 0.2g을 첨가하였다. 이론적 물의 양이 유출된 후 계속해서, 온도를 상승시키고 온도가 255℃에서 2.0Torr이하의 감압하에서 320분 동안 축중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이 때 얻어진 수지는 수평균 분자량이 23,000고, 중량평균분자량이 51,000이었다.
비교예 2
500㎖ 삼각플라스크를 질소로 치환하고 나서, 숙신산 23.6g과 1,4-부탄디올 27g, 촉매로서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 0.1g을 첨가하여 질소 기류 중에서 승온을 하면서 에스테르화반응을 거쳐 물을 유출시킨다. 이 때, 온도를 205℃로 고정
시키고 이론량의 물을 완전히 유출시켜 분자량 600정도인 " 지방족 저분자량 고분자체" 34.4g을 생성한 후, 상기 삼각플라스크에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77.7g, 1,4-부탄디올 135.2g, 촉매로서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 0.2g을 투입하여 온도를 서서히 올린 후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통하여 메탄올을 유출시킨다. 이 때 온도를 205℃로 유지시키면서 완전히 메탄올을 유출시킨 후, 상기 삼각플라스크에 숙신산 35.4g, 아디프산 43.8g 투입하여 에스테르화 반응을 실시한다. 이때, 온도를 180℃로 고정시키고 완전히 물을 유출한 후, 촉매로서 삼산화안티몬 0.1g, 디부틸틴옥사이드 0.3g,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 0.07g, 안정제로서 트리메틸포스페이트 0.1g을 첨가하였다. 계속해서 온도를 상승시키고 온도가 245℃에서 0.3Torr의 감압하에서 180분동안 축중합반응을 실시하였다. 수평균분자량 48,000, 중량평균분자량 310,000이었다.
비교예 3
500㎖ 삼각플라스크를 질소로 치환하고 나서, 1,4-부탄디올 116.8g, 아디프산 35g 및 틴디옥토에이트 0.25g을 첨가한 후 230 내지 240℃의 범위의 온도에서 반응시켜 이론적 물 유출량은 완전히 제거했다. 얻어진 중합체 82.6g을 취한 후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65.5g, 1,4-부탄디올 85g을 첨가한 후 서서히 교반하면서 180℃로 가열하면서 발생되는 메탄올을 제거하였다. 이 과정에서 테트라부틸오르토티타네이트 0.235g,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0.0825g, 50% 아인산수용액 0.095g을 첨가하고 230~240℃의 온도와 1torr 미만의 고 진공하에서 축중합반응을 120분 가량 진행시킨 후 용융물을 200℃로 냉각, 15분에 걸쳐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5g을 첨가한 다음,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이 때 얻어진 수지의 융점은 108.3℃였고, 수평균분자량 17,589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은 113,550이었다.
비교예 4
500㎖의 둥근바닥 플라스크를 질소로 치환하고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93.2g, 1,4-부탄디올 121.6g을 투입하고 테트라메틸티타네이트 0.1g을 넣고 200℃에서 두 시간 동안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시켜 이론량의 메탄올을 유출시킨 후 아디프산 76g을 투입한 후 반응온도를 200℃로 고정시키고 물을 유출시켰다. 이 때 촉매로서 안티몬 아세테이트 0.1g, 티부틸틴옥사이드 0.1g,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 0.1g, 안정제로서는 트리메틸포스페이트 0.2g을 첨가하였다. 이론적 물의 양이 유출된 후 계속해서, 온도를 상승시키고 온도가 255℃에서 2.0Torr이하의 감압하에서 320분 동안 축중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이 때 얻어진 수지에 질소기류하에 폴리락티드 25g 첨가하여 20분간 교반후 반응 종료하였다. 이때 얻어진 수지는 융점이 120℃,173℃의 두 개의 융점이고, 수평균 분자량은 23,000 중량평균분자량이 47,000이었다.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로부터 얻어진 수지의 특성을 표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수평균분자량 및 중량평균분자량은 폴리스티렌을 기본물질로 하여 겔크로마토그래피 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생분해도 평가는 토양 지표로부터 30cm 깊이로 매립 후 3개월 후 회수하여 무게감소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투명성은 Haze meter를 이용하여 30㎛ 필름의 흐림도(Haze, %) 값으로 측정하였다.

Claims (14)

  1.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서,
    (i)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지방족 글리콜을 촉매 및 안정제의 존재하에 에스테르화반응 및 에스테르교환반응 생성물을 수득하는 단계;
    (ii) 단계 (i)의 반응생성물 존재하에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중량평균 분자량 3,000~300,000인 폴리락티드를 촉매 및 안정제의 존재하에 에스테르화반응 및 에스테르교환반응 생성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iii) 단계 (ii)의 반응생성물을 반응온도 240℃-260℃에서 축중합 반응시키는 단계로 제조되어지며,
    여기서, 지방족 글리콜은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300,000인 폴리락티드 및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산 성분의 합 1몰에 대하여 1.1 내지 1.5몰의 양으로 첨가되며,
    상기 단계 (i) 및 단계 (ii)에서 에스테르화 반응 및 에스테르교환 반응에서, 촉매와 안정제 각각은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산 무수물,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300,000인 폴리락티드의 산 성분과 지방족 글리콜의 전체 중량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각각 0.0001~1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되며,
    상기 단계 (iii)에서의 중축합반응에서, 0.3~1.5중량부의 중축합 반응촉매 및 0.0001~0.5중량부의 안정제가 첨가되는,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지방족 산인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과 중량평균분자량 3,000~300,000인 폴리락티드의 합과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구성 몰 비율이 70몰%:30몰% 내지 30몰%:70몰%임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과 중량평균분자량 3,000~300,000인 폴리락티드의 구성 몰 비율이 99.99몰%:0.01몰% 내지 50몰%:50몰%임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2,6-나프토산 및 이들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 및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이 숙신산, 글루타루산, 아디프산, 피멜산, 아젤라산, 세박식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및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지방족 글리콜이 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2-부탄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1,2-시클로헥산디메탄올 및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에스테르화 반응 및 에스테르 교환반응시에, 2,2-비스-(2-옥사졸린), N,N'-헥사메틸렌-비스-(2-카바모일-2-옥사졸린), 2,2'-메틸렌-비스-(2-옥사졸린), 2,2'-에틸렌-비스-(2-옥사졸린), 2,2'-프로필렌-비스-(2-옥사졸린), 1,3-페닐렌-비스-(2-옥사졸린), 2,2-P-페닐렌-비스-(2-옥사졸린) 및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옥사졸린 화합물이, 산 성분과 지방족 글리콜의 전체 중량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0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추가로 사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에스테르화 반응 및 에스테르 교환반응시에, 1,3-디사이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HMV-8CA, HMV-10B, 비스-(2,6-디이소프로필-페닐린-2,4-카르보디이미드), 폴리-(1,3,5-트리이소프로필-페닐리-2,4-카르보디이미드) 및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이, 산 성분과 지방족 글리콜의 전체 중량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0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추가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스테르화 반응 및 에스테르 교환반응시에, 사슬 연장제로서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이, 산 성분과 지방족 글리콜의 전체 중량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추가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평균분자량이 30,000 내지 70,000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내지 300,000이며, 융점이 80 내지 150℃임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성 및 생분해성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산 성분과 지방족 글리콜의 전체 중량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0중량부 이하로 다관능기산 또는 다관능기 글리콜이 추가로 첨가 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2,6-나프토산 및 이들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 및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이 숙신산, 글루타루산, 아디프산, 피멜산, 아젤라산, 세박식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및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지방족 글리콜이 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2-부탄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1,2-시클로헥산디메탄올 및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시에, 2,2-비스-(2-옥사졸린), N,N'-헥사메틸렌-비스-(2-카바모일-2-옥사졸린), 2,2'-메틸렌-비스-(2-옥사졸린), 2,2'-에틸렌-비스-(2-옥사졸린), 2,2'-프로필렌-비스-(2-옥사졸린), 1,3-페닐렌-비스-(2-옥사졸린), 2,2-P-페닐렌-비스-(2-옥사졸린) 및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옥사졸린 화합물이, 산 성분과 지방족 글리콜의 전체 중량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0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추가로 사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13. 제1항의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부터 사출 또는 압출 성형된 제품.
  14. 제1항의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전분, 탄산칼슘, 또는 탈크의 무기물을 첨가하여 컴파운드된 조성물 또는 그로부터 성형된 제품.
KR1020110069431A 2011-07-13 2011-07-13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1255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431A KR101255826B1 (ko) 2011-07-13 2011-07-13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431A KR101255826B1 (ko) 2011-07-13 2011-07-13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820A true KR20130008820A (ko) 2013-01-23
KR101255826B1 KR101255826B1 (ko) 2013-04-17

Family

ID=47838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9431A KR101255826B1 (ko) 2011-07-13 2011-07-13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582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0192A (ko) * 2018-03-20 2019-09-30 (주) 티엘씨 코리아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및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다이올의 에스테르화반응 및 축중합반응에 의한 생분해성 코폴리에스테르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205865B1 (ko) * 2020-06-24 2021-01-21 (주)팬에코 바이오매스로 유도된 점착성 생분해성 폴리에스터수지 및 그 제조방법
CN115260466A (zh) * 2022-03-23 2022-11-01 旭科新材料(山东)有限责任公司 一种脂肪-芳香族共聚酯的制备方法
WO2023236862A1 (zh) * 2022-06-06 2023-12-14 惠州博科环保新材料有限公司 一种可生物降解的嵌段共聚酯的合成方法以及嵌段共聚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2902A1 (ko) * 2020-11-11 2022-05-19 에코밴스 주식회사 생분해성 적층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94168B1 (ko) * 2021-09-01 2022-05-03 바이오플라스틱스 이노베이션스 리미티드 투명성과 충격강도가 우수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조성물
KR102621143B1 (ko) * 2023-03-07 2024-01-03 김효열 생분해성 점착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0285A (ja) * 2003-03-31 2004-10-28 Unitika Ltd 生分解性接着剤用ポリエステル樹脂
IT1387503B (it) * 2008-05-08 2011-04-13 Novamont Spa Poliestere biodegradabile alifatico-aromatic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0192A (ko) * 2018-03-20 2019-09-30 (주) 티엘씨 코리아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및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다이올의 에스테르화반응 및 축중합반응에 의한 생분해성 코폴리에스테르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205865B1 (ko) * 2020-06-24 2021-01-21 (주)팬에코 바이오매스로 유도된 점착성 생분해성 폴리에스터수지 및 그 제조방법
CN115260466A (zh) * 2022-03-23 2022-11-01 旭科新材料(山东)有限责任公司 一种脂肪-芳香族共聚酯的制备方法
CN115260466B (zh) * 2022-03-23 2024-02-06 旭科新材料(山东)有限责任公司 一种脂肪-芳香族共聚酯的制备方法
WO2023236862A1 (zh) * 2022-06-06 2023-12-14 惠州博科环保新材料有限公司 一种可生物降解的嵌段共聚酯的合成方法以及嵌段共聚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5826B1 (ko) 201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5826B1 (ko)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1372581B1 (ko) 내가수분해성 및 생분해성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수지 조성물
KR101989045B1 (ko) 내후성 및 저장안정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68030B1 (ko) 내가수분해성 및 생분해성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1995457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방법
TW200411000A (en) Ester-modified dicarboxylate polymers
KR101200824B1 (ko) 내가수분해성 및 생분해성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수지 조성물
KR20120110477A (ko) 젖산과 아이소소바이드가 공중합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그 제조방법
AU2013297329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biodegradable copolymer by split-injecting aromatic dicarboxylic acid compound
KR101276100B1 (ko) 바이오매스 원료로부터 만들어지는 생분해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CN110563937A (zh) 一种高阻隔噻吩聚酯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S5863718A (ja) 高溶融強度弾性コポリエステル
KR101255823B1 (ko)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US4223106A (en) Block copolyesters which crystallize rapidly
KR101317767B1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및 그의 제조방법
EP0075527B1 (en) High melt strength elastomeric copolyesters
KR102589190B1 (ko) 이소시아네이트로 가교된 무수당 알코올-알킬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210711B1 (ko) 무수당 알코올과 무수당 알코올-알킬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14786B1 (ko) 바이오 매스 유래 성분을 포함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91700B1 (ko) 지방족 코폴리에스터 수지 제조방법
JPS62292833A (ja) ポリエステル・ポリカ−ボネ−ト系エラストマ−
KR101831854B1 (ko) 내가수분해성 및 생분해성이 우수한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1200823B1 (ko) 내가수분해성 및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수지 조성물
KR20200054781A (ko) 바이오매스 유래 성분을 이용한 기능성 수지 조성물
KR102589193B1 (ko) 무수당 알코올과 무수당 알코올계 폴리카보네이트 디올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