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433A -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7433A KR20130007433A KR1020120064979A KR20120064979A KR20130007433A KR 20130007433 A KR20130007433 A KR 20130007433A KR 1020120064979 A KR1020120064979 A KR 1020120064979A KR 20120064979 A KR20120064979 A KR 20120064979A KR 20130007433 A KR20130007433 A KR 201300074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rage medium
- encryption key
- user
- usb memory
- cpu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78—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storage of data
- G06F21/79—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storage of data in semiconductor storage media, e.g. directly-addressable memori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14—Protection against unauthorised use of memory or access to memor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14—Protection against unauthorised use of memory or access to memory
- G06F12/1408—Protection against unauthorised use of memory or access to memory by using cryptograph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67—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 common memory, e.g. mailbox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 가능한 기억 매체에 데이터를 저장 가능한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억 매체와 접속하는 기억 매체 인터페이스와, 소정의 타이밍에서 암호 키를 생성하고, 기억 매체에 저장해야 할 데이터를, 상기 암호 키를 이용해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기억 매체에 저장한 후, 사용자에 의한 기억 매체의 분리 조작이 이루어진 것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암호 키를 암호화된 데이터와 관련지어 기억 매체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억 매체를 두고 가는 것에 의한 정보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착탈 가능한 기억 매체에 데이터를 저장 가능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복사기 또는 복합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 중에는,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혹은 SD(Secure Digital) 카드 등이 착탈 가능한 기억 매체(리무버블 미디어)를 장착 가능한 기종이 있다. 이들 기종을 이용함으로써, 리무버블 미디어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을 인쇄하거나, 스캐너에 의해 판독한 원고 화상을 리무버블 미디어에 저장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기에 있어서, 리무버블 미디어를 두고 가는 것에 의한 정보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리무버블 미디어를 두고 간 것을 검지한 경우에, 사용자에게 경고를 발함으로써, 리무버블 미디어를 두고 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종래로부터 리무버블 미디어를 두고 가는 것은, 안전성의 관점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로서 인식되고 있으며, 두고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여러 가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기술은 어디까지나 두고 가는 것 그 자체를 방지하는 기술이며, 실제로 두고 간 경우에, 어떻게 정보 누설을 방지하는지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또한, 실제로 두고 간 경우를 고려하여, 화상(데이터)을 암호화하고 나서 리무버블 미디어에 저장함으로써 정보 누설을 방지하는 수법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수법을 이용하는 경우, 미리 암호 키의 등록이 필요하거나, 혹은, 특정한 PC 상에서밖에 화상을 복호화할 수 없는 등, 편리성이 나쁘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사용자의 편리성을 확보하면서, 착탈 가능한 기억 매체를 두고 가는 것에 의한 정보 누설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착탈 가능한 기억 매체에 데이터를 저장 가능한 전자 기기는, 상기 기억 매체와 접속하는 기억 매체 인터페이스와, 소정의 타이밍에서 암호 키를 생성하고, 상기 기억 매체에 저장해야 할 데이터를 상기 암호 키를 이용해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기억 매체에 저장한 후, 사용자에 의한 상기 기억 매체의 분리 조작이 이루어진 것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암호 키를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와 관련지어 상기 기억 매체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 의하면, 착탈 가능한 기억 매체를 두고 간 경우(사용자에 의한 기억 매체의 분리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기억 매체에 암호 키가 저장되지 않으므로, 제3자는 기억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암호 키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없어, 정보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 의하면, 미리 암호 키를 등록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는 기억 매체에 저장된 암호 키를 이용하여 범용 컴퓨터 상에서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상기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 의하면, 사용자의 편리성을 확보하면서, 착탈 가능한 기억 매체를 두고 가는 것에 의한 정보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기 A(전자 기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제1 케이스에 있어서의 본 복합기 A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제2 케이스에 있어서의 본 복합기 A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제3 케이스에 있어서의 본 복합기 A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제4 케이스에 있어서의 본 복합기 A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제5 케이스에 있어서의 본 복합기 A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제6 케이스에 있어서의 본 복합기 A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제1 케이스에 있어서의 본 복합기 A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제2 케이스에 있어서의 본 복합기 A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제3 케이스에 있어서의 본 복합기 A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제4 케이스에 있어서의 본 복합기 A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제5 케이스에 있어서의 본 복합기 A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제6 케이스에 있어서의 본 복합기 A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로서, 화상 형성 장치의 한 형태인 복사기, 프린터, 및 팩시밀리 등의 기능을 겸비한 복합기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기 A의 기능 블록도이다. 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복합기 A는, 착탈 가능한 기억 매체(리무버블 미디어)로서 USB 메모리 RM을 장착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이며, CPU(Central Processing Unit)(1), ROM(Read Only Memory)(2), RAM(Random Access Memory)(3), 각종 센서군(4), 용지 반송부(5), 화상 판독부(6), 화상 데이터 기억부(7), 화상 형성부(8), 통신 I/F부(9), 조작 표시부(10), 및 USB 포트(11)를 구비하고 있다.
CPU(1)는, ROM(2)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 각종 센서군(4)으로부터 수신하는 각종 검출 신호, 화상 데이터 기억부(7)에 기억되어 있는 원고 화상 데이터, 프린트 화상 데이터, 및 팩시밀리 화상 데이터, 통신 I/F부(9)를 통해 클라이언트 컴퓨터(도시 생략)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지시, 및 조작 표시부(10)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지시에 의거하여 복합기 A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이 CPU(1)의 제어 처리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이하에 복합기 A의 동작으로서 설명한다.
ROM(2)은, CPU(1)로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 및 그 외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불휘발성 메모리이다. RAM(3)은, CPU(1)가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각종 동작을 행할 때에, 데이터의 일시 저장처가 되는 작업 영역로서 이용되는 휘발성 메모리이다. 각종 센서군(4)으로서는, 예를 들면 용지 끊김 검출 센서, 용지 막힘 검출 센서, 용지 위치 검출 센서, 혹은 온도 센서 등의 화상 형성 동작에 필요한 각종 센서를 들 수 있으며, 각각의 센서로 검출한 각종의 정보를 검출 신호로서 CPU(1)에 출력한다.
용지 반송부(5)는, 용지 트레이에 수납되어 있는 인쇄 용지를 화상 형성부(8)에 반송하기 위한 반송 롤러 및 반송 롤러 구동용의 모터, 혹은 화상 형성 처리 후의 인쇄 용지를 도시 생략의 배지 트레이에 반송하기 위한 반송 롤러 및 반송 롤러 구동용 모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상 판독부(6)는, ADF(자동 원고 이송 장치)와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등을 구비하며, ADF에 의해 순차적으로 급지되는 원고의 화상을 CCD 센서에 판독시켜, 원고 화상에 의거한 원고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화상 판독부(6)는, 원고 화상 데이터를 CPU(1)에 출력한다. 한편, CPU(1)는, 원고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 기억부(7)에 기억시킨다. 화상 데이터 기억부(7)는,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로 구성되며, CPU(1)의 지시 하에서, 원고 화상 데이터, 통신 I/F부(9)가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 수신하는 프린트 화상 데이터, 및 통신 I/F부(9)가 공중망 NW로부터 수신하는 팩시밀리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화상 형성부(8)는, CPU(1)의 제어 하에서, 화상 데이터 기억부(7)에 기억되어 있는 원고 화상 데이터, 프린트 화상 데이터, 또는 팩시밀리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용지 반송부(5)로부터 반송되는 인쇄 용지에 토너에 의해 형성되는 화상 형성 화상을 전사하여, 정착 롤러가 상기 화상 형성 화상의 정착 처리를 행한다. 통신 I/F부(9)는, 클라이언트 컴퓨터 및 공중망 NW에 접속하여, 이 클라이언트 컴퓨터 및 공중망 NW의 사이에서 각종 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조작 표시부(10)는, 복사 기능 전환 키, 프린트 기능 전환 키, 스캔 기능 전환 키, 팩시밀리 기능 전환 키, 스타트 키, 스톱/클리어 키, 전원 키, 텐 키(수치 입력 키), 터치 패널(10a), 및 그 외의 각종 조작 키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의 키의 조작 지시를 CPU(1)에 출력함과 더불어, CPU(1)의 제어 하에서, 터치 패널(10a)로 여러 가지의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복사 기능 전환 키, 프린트 기능 전환 키, 스캔 기능 전환 키, 및 팩시밀리 기능 전환 키는, 각각의 기능을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에, 각 기능의 동작 모드로 복합기 A를 전환하기 위한 키이다.
USB 포트(11)는, USB 규격에 대응한 시리얼 인터페이스이며, USB 메모리 RM이 장착되면, USB 메모리 RM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 USB 포트(11)는, USB 메모리 RM과 접속하고 있는 경우에, CPU(1)의 제어 하에서, USB 메모리 RM과의 사이에서 화상 데이터를 입출력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복합기 A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케이스>
우선, 제1 케이스인 사용자에 의한 USB 메모리 RM의 분리 조작으로서, USB 메모리 RM의 분리 버튼이 눌러진 경우에 있어서의 본 복합기 A의 동작에 대해,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는, 조작 표시부(10)(터치 패널(10a))에 로그인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도중에, 조작 표시부(10)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에 의한 로그인 조작이 이루어진 것을 검지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로그인 ID의 인증을 행한다(단계 S1). 그리고, CPU(1)는, 로그인 ID의 인증이 완료되어, USB 포트(11)에 USB 메모리 RM이 장착된 것을 검지하면(단계 S2), 공지의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암호 키를 생성한다(단계 S3).
CPU(1)는, 조작 표시부(10)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에 의한 스캔 조작이 이루어진 것을 검지하면, 화상 판독부(5)를 제어하여, 화상 판독부(5)에 사용자가 세팅한 원고의 화상을 판독시킨다(단계 S4). 그리고, CPU(1)는, 화상 판독부(5)로부터 얻어지는 원고 화상 데이터를, 상기 단계 S3에서 생성한 암호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고(단계 S5), 암호화 후의 원고 화상 데이터(이하, 암호화 화상 데이터라고 칭한다)를, USB 포트(11)를 통해 USB 메모리 RM에 저장한다(단계 S6).
여기에서, 원고 화상 데이터의 암호화에는, 범용 컴퓨터에서의 복호화의 용이성과 호환성을 고려하여, 예를 들면, ZIP 파일 형식에 의한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ZIP 파일은, 숫자 문자 정도의 문자열을 암호 키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범용 컴퓨터로의 입력이 용이하다. 또, Windows(등록 상표) 등의 널리 보급되어 있는 OS에 표준으로 서포트되어 있으므로, 특별한 소프트웨어를 도입하지 않고, 복호화할 수 있다.
그 후, CPU(1)는, USB 메모리 RM의 분리 버튼이 눌러진 것을 검지하면(단계 S7), 원고 화상 데이터의 암호화에 이용한 암호 키를, USB 포트(11)를 통해 암호화 화상 데이터와 관련지어 USB 메모리 RM에 저장한다(단계 S8). 또한, 도 1에서는 USB 메모리 RM의 분리 버튼의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이 분리 버튼은 터치 패널(10a) 상에 표시시켜도 되고, 혹은 기계적인 버튼을 별도로 설치해도 된다.
그리고, CPU(1)는, USB 메모리 RM을 언마운트, 요컨대 안전하게 분리 가능한 상태로 하고(단계 S9), 조작 표시부(10)를 제어하여, 조작 표시부(10)에 USB 메모리 RM을 안전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는 표시를 행한다(단계 S10).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USB 메모리 RM을 두고 간 경우(사용자에 의한 USB 메모리 RM의 분리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USB 메모리 RM에 암호 키가 저장되지 않으므로, 제3자는 USB 메모리 RM에 저장된 암호화 화상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없어, 정보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미리 암호 키를 등록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는 USB 메모리 RM에 저장된 암호 키를 이용하여 범용 컴퓨터 상에서 암호화 화상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사용자의 편리성을 확보하면서, USB 메모리 RM을 두고 가는 것에 의한 정보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케이스>
이어서, 제2 케이스인 사용자에 의한 USB 메모리 RM의 분리 조작으로서, 로그아웃 버튼이 눌러진 경우에 있어서의 본 복합기 A의 동작에 대해,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는, 조작 표시부(10)(터치 패널(10a))에 로그인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도중에, 조작 표시부(10)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에 의한 로그인 조작이 이루어진 것을 검지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로그인 ID의 인증을 행한다(단계 S11). 그리고, CPU(1)는, 로그인 ID의 인증이 완료되어, USB 포트(11)에 USB 메모리 RM이 장착된 것을 검지하면(단계 S12), 공지의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암호 키를 생성한다(단계 S13).
CPU(1)는, 조작 표시부(10)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에 의한 스캔 조작이 이루어진 것을 검지하면, 화상 판독부(5)를 제어하여, 화상 판독부(5)에 사용자가 세팅한 원고의 화상을 판독시킨다(단계 S14). 그리고, CPU(1)는, 화상 판독부(5)로부터 얻어지는 원고 화상 데이터를, 상기 단계 S13에서 생성한 암호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고(단계 S15), 암호화 후의 암호화 화상 데이터를, USB 포트(11)를 통해 USB 메모리 RM에 저장한다(단계 S16).
그 후, CPU(1)는, 로그아웃 버튼이 눌러진 것을 검지하면(단계 S17), 원고 화상 데이터의 암호화에 이용한 암호 키를, USB 포트(11)를 통해 암호화 화상 데이터와 관련지어 USB 메모리 RM에 저장한다(단계 S18). 또한, 이 로그아웃 버튼은 터치 패널(10a) 상에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CPU(1)는, USB 메모리 RM을 언마운트하고(단계 S19), 조작 표시부(10)를 제어하여, 조작 표시부(10)에 USB 메모리 RM을 안전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는 표시를 행한다(단계 S20). 그리고, CPU(1)는, USB 메모리 RM이 분리된 것을 검지하면(단계 S21), 조작 표시부(10)를 제어하여, 조작 표시부(10)에 로그인 화면을 표시시킨다(단계 S22).
이러한 제2 케이스에서도, 제1 케이스와 동일하게, 로그아웃 버튼을 누름으로써 USB 메모리 RM의 분리가 명시된 경우에만, USB 메모리 RM에 암호 키를 저장함으로써, 제3자는 USB 메모리 RM에 저장된 암호화 화상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없어, 정보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케이스>
이어서, 제3 케이스인 사용자에 의한 USB 메모리 RM의 분리 조작으로서, 분리 버튼이 눌러진 후, USB 메모리 RM이 분리되지 않고 로그아웃 버튼이 눌러진 경우에 있어서의 본 복합기 A의 동작에 대해,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는, 조작 표시부(10)(터치 패널(10a))에 로그인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도중에, 조작 표시부(10)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에 의한 로그인 조작이 이루어진 것을 검지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로그인 ID의 인증을 행한다(단계 S31). 그리고, CPU(1)는, 로그인 ID의 인증이 완료되어, USB 포트(11)에 USB 메모리 RM이 장착된 것을 검지하면(단계 S32), 공지의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암호 키를 생성한다(단계 S33).
CPU(1)는, 조작 표시부(10)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에 의한 스캔 조작이 이루어진 것을 검지하면, 화상 판독부(5)를 제어하여, 화상 판독부(5)에 사용자가 세팅한 원고의 화상을 판독시킨다(단계 S34). 그리고, CPU(1)는, 화상 판독부(5)로부터 얻어지는 원고 화상 데이터를, 상기 단계 S33에서 생성한 암호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고(단계 S35), 암호화 후의 암호화 화상 데이터를, USB 포트(11)를 통해 USB 메모리 RM에 저장한다(단계 S36).
그 후, CPU(1)는, USB 메모리 RM의 분리 버튼이 눌러진 것을 검지하면(단계 S37), 원고 화상 데이터의 암호화에 이용한 암호 키를, USB 포트(11)를 통해 암호화 화상 데이터와 관련지어 USB 메모리 RM에 저장한다(단계 S38). 그리고, CPU(1)는, USB 메모리 RM을 언마운트하고(단계 S39), 조작 표시부(10)를 제어하여, 조작 표시부(10)에 USB 메모리 RM을 안전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는 표시를 행한다(단계 S40).
그 후, CPU(1)는, 로그아웃 버튼이 눌러진 것을 검지하면(단계 S41), 조작 표시부(10)를 제어하여, 조작 표시부(10)에 사용자에 대해 USB 메모리 RM을 분리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경고 화면을 표시시킨다(단계 S42). 그리고, CPU(1)는, USB 메모리 RM이 분리된 것을 검지하면(단계 S43), 조작 표시부(10)를 제어하여, 조작 표시부(10)에 로그인 화면을 표시시킨다(단계 S44).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USB 메모리 RM의 분리 조작으로서, USB 메모리 RM의 분리 버튼이 눌러진 후, USB 메모리 RM이 분리되지 않고 로그아웃 버튼이 눌러진 경우에는, 사용자에 대해 USB 메모리 RM을 분리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경고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USB 메모리 RM을 두고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케이스>
이어서, 제4 케이스(암호화 화상 데이터를 USB 메모리 RM에 저장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해도 사용자에 의한 USB 메모리 RM의 분리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의 본 복합기 A의 동작에 대해,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는, 조작 표시부(10)(터치 패널(10a))에 로그인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도중에, 조작 표시부(10)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에 의한 로그인 조작이 이루어진 것을 검지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로그인 ID의 인증을 행한다(단계 S51). 그리고, CPU(1)는, 로그인 ID의 인증이 완료되어, USB 포트(11)에 USB 메모리 RM이 장착된 것을 검지하면(단계 S52), 공지의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암호 키를 생성한다(단계 S53).
CPU(1)는, 조작 표시부(10)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에 의한 스캔 조작이 이루어진 것을 검지하면, 화상 판독부(5)를 제어하여, 화상 판독부(5)에 사용자가 세팅한 원고의 화상을 판독시킨다(단계 S54). 그리고, CPU(1)는, 화상 판독부(5)로부터 얻어지는 원고 화상 데이터를, 상기 단계 S53에서 생성한 암호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고(단계 S55), 암호화 후의 암호화 화상 데이터를, USB 포트(11)를 통해 USB 메모리 RM에 저장한다(단계 S56).
CPU(1)는, 암호화 화상 데이터를 USB 메모리 RM에 저장한 후, 자동 로그아웃 기능인 타임아웃이 발생하면(단계 S57), USB 메모리 RM을 언마운트하여(단계 S58), 자동 로그아웃을 행한다(단계 S59). 또한, 자동 로그아웃 기능이란, 일정 시간, 사용자에 의한 복합기 A에 대한 일절의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자동적으로 로그아웃하는 기존의 기능이다.
이와 같이, 암호화 화상 데이터를 USB 메모리 RM에 저장한 후, 자동 로그아웃 기능인 타임아웃이 발생한 경우(일정 시간, 사용자에 의한 복합기 A에 대한 일절의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암호 키를 USB 메모리 RM에 저장하지 않고 USB 메모리 RM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한다. 이에 의해, 가령 사용자가 USB 메모리 RM을 두고 복합기 A로부터 멀어져 버린 경우여도, USB 메모리 RM 내에는 암호 키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3자로의 정보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제5 케이스>
이어서, 제5 케이스인 사용자에 의한 USB 메모리 RM의 분리 조작으로서, 분리 버튼이 눌러져, 암호 키를 USB 메모리 RM에 저장한 후, USB 메모리 RM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해도, USB 메모리 RM이 분리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의 본 복합기 A의 동작에 대해,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는, 조작 표시부(10)(터치 패널(10a))에 로그인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도중에, 조작 표시부(10)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에 의한 로그인 조작이 이루어진 것을 검지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로그인 ID의 인증을 행한다(단계 S61). 그리고, CPU(1)는, 로그인 ID의 인증이 완료되어, USB 포트(11)에 USB 메모리 RM이 장착된 것을 검지하면(단계 S62), 공지의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암호 키를 생성한다(단계 S63).
CPU(1)는, 조작 표시부(10)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에 의한 스캔 조작이 이루어진 것을 검지하면, 화상 판독부(5)를 제어하여, 화상 판독부(5)에 사용자가 세팅한 원고의 화상을 판독시킨다(단계 S64). 그리고, CPU(1)는, 화상 판독부(5)로부터 얻어지는 원고 화상 데이터를, 상기 단계 S63에서 생성한 암호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고(단계 S65), 암호화 후의 암호화 화상 데이터를, USB 포트(11)를 통해 USB 메모리 RM에 저장한다(단계 S66).
그 후, CPU(1)는, USB 메모리 RM의 분리 버튼이 눌러진 것을 검지하면(단계 S67), 원고 화상 데이터의 암호화에 이용한 암호 키를, USB 포트(11)를 통해 암호화 화상 데이터와 관련지어 USB 메모리 RM에 저장한다(단계 S68). 그리고, CPU(1)는, USB 메모리 RM을 언마운트하고(단계 S69), 조작 표시부(10)를 제어하여, 조작 표시부(10)에 USB 메모리 RM을 안전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는 표시를 행한다(단계 S70).
CPU(1)는, USB 메모리 RM을 언마운트하고 나서 자동 로그아웃 기능인 타임아웃이 발생하면(단계 S71), USB 메모리 RM의 재마운트(USB 포트(11)와 USB 메모리 RM의 접속 상태를 복귀시킨다)를 행한다(단계 S72).
그리고, CPU(1)는, USB 메모리 RM으로부터 암호 키를 삭제한 후(단계 S73), 재차, USB 메모리 RM을 언마운트하고(단계 S74), 조작 표시부(10)를 제어하여, 조작 표시부(10)에 로그인 화면을 표시시킨다(단계 S75).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USB 메모리 RM의 분리 조작으로서, 분리 버튼이 눌러져, 암호 키를 USB 메모리 RM에 저장한 후, USB 메모리 RM을 분리 가능 상태로 하고 나서 자동 로그아웃 기능인 타임아웃이 발생한 경우(일정 시간, 사용자에 의한 복합기 A에 대한 일절의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USB 메모리 RM으로부터 암호 키를 삭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암호 키를 삭제함으로써, 가령 사용자가 USB 메모리 RM을 두고 복합기 A로부터 멀어져 버린 경우여도, USB 메모리 RM 내에는 암호 키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3자로의 정보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제6 케이스>
이어서, 제6 케이스(사용자에 의한 USB 메모리 RM의 분리 조작으로서, 로그아웃 버튼이 눌러져, 암호 키를 USB 메모리 RM에 저장한 후, USB 메모리 RM을 분리 가능 상태로 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해도 USB 메모리 RM이 분리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의 본 복합기 A의 동작에 대해, 도 7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는, 조작 표시부(10)(터치 패널(10a))에 로그인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도중에, 조작 표시부(10)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에 의한 로그인 조작이 이루어진 것을 검지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로그인 ID의 인증을 행한다(단계 S81). 그리고, CPU(1)는, 로그인 ID의 인증이 완료되어, USB 포트(11)에 USB 메모리 RM이 장착된 것을 검지하면(단계 S82), 공지의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암호 키를 생성한다(단계 S83).
CPU(1)는, 조작 표시부(10)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에 의한 스캔 조작이 이루어진 것을 검지하면, 화상 판독부(5)를 제어하여, 화상 판독부(5)에 사용자가 세팅한 원고의 화상을 판독시킨다(단계 S84). 그리고, CPU(1)는, 화상 판독부(5)로부터 얻어지는 원고 화상 데이터를, 상기 단계 S83에서 생성한 암호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고(단계 S85), 암호화 후의 암호화 화상 데이터를, USB 포트(11)를 통해 USB 메모리 RM에 저장한다(단계 S86).
그 후, CPU(1)는, 로그아웃 버튼이 눌러진 것을 검지하면(단계 S87), 원고 화상 데이터의 암호화에 이용한 암호 키를, USB 포트(11)를 통해 암호화 화상 데이터와 관련지어 USB 메모리 RM에 저장한다(단계 S88). 그리고, CPU(1)는, USB 메모리 RM을 언마운트하고(단계 S89), 조작 표시부(10)를 제어하여, 조작 표시부(10)에 USB 메모리 RM을 안전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는 표시를 행한다(단계 S90).
CPU(1)는, USB 메모리 RM을 언마운트하고 나서 타이머를 스타트하고, USB 메모리 RM이 분리되지 않고 타이머의 타임아웃이 발생하면(단계 S91), USB 메모리 RM의 재마운트를 행한다(단계 S92).
그리고, CPU(1)는, USB 메모리 RM으로부터 암호 키를 삭제한 후(단계 S93), 재차, USB 메모리 RM을 언마운트하고(단계 S94), 조작 표시부(10)를 제어하여, 조작 표시부(10)에 로그인 화면을 표시시킨다(단계 S95).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USB 메모리 RM의 분리 조작으로서, 로그아웃 버튼이 눌러져, 암호 키를 USB 메모리 RM에 저장한 후, USB 메모리 RM을 분리 가능 상태로 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해도 USB 메모리 RM이 분리되지 않는 경우에는, USB 메모리 RM으로부터 암호 키를 삭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암호 키를 삭제함으로써, 가령 사용자가 USB 메모리 RM을 두고 복합기 A로부터 멀어져 버린 경우여도, USB 메모리 RM 내에는 암호 키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3자로의 정보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착탈 가능한 기억 매체(리무버블 미디어)로서, USB 메모리 RM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SD 카드, 콤팩트 플래시(등록 상표), 메모리 스틱, 스마트 미디어,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 CD-RW, DVD-RW, 및 MO 디스크 등의 모든 기억 매체를 장착 가능한 복합기에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USB 메모리 RM의 분리 조작으로서, USB 메모리 RM의 분리 버튼이 눌러지거나, 혹은 로그아웃 버튼이 눌러지는 것을 들었지만, 이 이외의 조작을 USB 메모리 RM의 분리 조작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USB 메모리 RM의 복합기 A로의 장착을 검지한 타이밍에서 암호 키를 생성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암호 키를 생성하는 타이밍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로그인 인증이 완료된 타이밍에서 암호 키를 생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복합기 A를 참조하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사기, 프린터, 스캐너, 및 팩시밀리 등의 다른 화상 형성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 화상 형성 장치 이외의 다른 전자 기기로서, 착탈 가능한 기억 매체와 접속하는 기억 매체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이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5)
- 착탈 가능한 기억 매체에 데이터를 저장 가능한 전자 기기로서,
상기 기억 매체와 접속하는 기억 매체 인터페이스와,
소정의 타이밍에서 암호 키를 생성하고, 상기 기억 매체에 저장해야 할 데이터를, 상기 암호 키를 이용해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기억 매체에 저장한 후, 사용자에 의한 상기 기억 매체의 분리 조작이 이루어진 것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암호 키를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와 관련지어 상기 기억 매체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기억 매체의 분리 조작으로서 상기 기억 매체의 분리 버튼이 눌러진 것을 검지하여 상기 암호 키를 상기 기억 매체에 저장한 후, 상기 기억 매체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하고, 일정 시간,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고 자동 로그아웃 기능인 타임아웃이 발생한 경우, 재차, 상기 기억 매체 인터페이스와 상기 기억 매체의 접속 상태를 복귀시켜 상기 기억 매체로부터 상기 암호 키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기억 매체의 분리 조작으로서 로그아웃 버튼이 눌러진 것을 검지하여 상기 암호 키를 상기 기억 매체에 저장한 후, 상기 기억 매체를 분리 가능 상태로 하고 나서 타이머를 스타트하고, 상기 기억 매체가 분리되지 않고 상기 타이머의 타임아웃이 발생한 경우, 재차, 상기 기억 매체 인터페이스와 상기 기억 매체의 접속 상태를 복귀시켜 상기 기억 매체로부터 상기 암호 키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억 매체에 저장해야 할 데이터를, 상기 암호 키를 이용해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기억 매체에 저장한 후, 일정 시간,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고 자동 로그아웃 기능인 타임아웃이 발생한 경우, 상기 기억 매체에 저장된 상기 암호 키를 삭제하여, 상기 기억 매체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기억 매체의 분리 조작으로서 상기 기억 매체의 분리 버튼이 눌러진 것을 검지한 경우, 상기 암호 키를 상기 기억 매체에 저장하고 나서 상기 기억 매체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하고, 그 후에 로그아웃 버튼이 눌러진 것을 검지한 경우, 상기 사용자에 대해 상기 기억 매체를 분리하도록 경고를 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1-145100 | 2011-06-30 | ||
JP2011145100A JP5393733B2 (ja) | 2011-06-30 | 2011-06-30 | 電子機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7433A true KR20130007433A (ko) | 2013-01-18 |
KR101377794B1 KR101377794B1 (ko) | 2014-03-25 |
Family
ID=46633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64979A KR101377794B1 (ko) | 2011-06-30 | 2012-06-18 | 착탈식 기억 매체의 데이터를 보호하는 전자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8935540B2 (ko) |
EP (1) | EP2541460B1 (ko) |
JP (1) | JP5393733B2 (ko) |
KR (1) | KR101377794B1 (ko) |
CN (1) | CN102866959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181055B2 (en) * | 2007-09-27 | 2019-01-15 | Clevx, Llc | Data security system with encryption |
CA3030712C (en) * | 2009-03-03 | 2023-02-14 | Albert Kleinikkink | Multi-mode and multi-pitch conveyor system |
WO2015005894A1 (en) * | 2013-07-08 | 2015-01-15 |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 Access control of external memory |
JP6157346B2 (ja) * | 2013-12-27 | 2017-07-05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ログ記録方法 |
US10296206B2 (en) * | 2014-09-23 | 2019-05-21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Multi-finger touchpad gestures |
JP6990994B2 (ja) * | 2017-05-26 | 2022-01-12 | キヤノン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Family Cites Families (2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40883A (ja) * | 1997-02-24 | 1998-09-11 | Toshiba Corp | Icカードシステムとicカードシステムのセキュリティ方法 |
US20050182822A1 (en) * | 2004-02-17 | 2005-08-18 | Daniel Stuart W. | Imaging device with memory device interface |
JP4198628B2 (ja) * | 2004-04-08 | 2008-12-17 | 株式会社リコー | 情報記録装置、その記録動作制御方法及び記録動作制御用プログラム |
JP4420450B2 (ja) * | 2004-06-24 | 2010-02-24 | 株式会社リコー | 画像記録装置 |
WO2006098009A1 (ja) * | 2005-03-16 | 2006-09-21 | Fujitsu Limited | ライブラリ装置におけるキー管理装置及び方法 |
JP2006350494A (ja) * | 2005-06-14 | 2006-12-28 |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 情報処理装置 |
JP2007288747A (ja) * | 2006-04-20 | 2007-11-01 | Ricoh Co Ltd | 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再生装置 |
JP4921862B2 (ja) * | 2006-06-12 | 2012-04-25 | 株式会社東芝 |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
JP3899365B1 (ja) * | 2006-07-05 | 2007-03-28 | 有限会社トゥールビヨン | 情報記憶装置 |
JP2008028575A (ja) * | 2006-07-19 | 2008-02-07 |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 受信装置 |
JP4301275B2 (ja) | 2006-09-28 | 2009-07-22 | ソニー株式会社 | 電子機器、および情報処理方法 |
JP4827684B2 (ja) * | 2006-10-17 | 2011-11-30 | 有限会社トゥールビヨン | 情報記憶装置 |
JP4009315B1 (ja) * | 2007-02-14 | 2007-11-14 | 有限会社トゥールビヨン | セキュリティアダプタ |
US9111568B2 (en) | 2007-08-20 | 2015-08-18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Bulk data erase utilizing an encryption technique |
US8539572B2 (en) * | 2007-11-05 | 2013-09-17 | Lenovo (Singapore) Pte. Ltd. |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usage of peripheral devices using shared secrets |
US8281407B2 (en) * | 2008-12-09 | 2012-10-02 | Pitney Bowes Inc. | In-line decryption device for securely printing documents |
JP5156604B2 (ja) | 2008-12-10 | 2013-03-06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電子機器及び記憶媒体管理システム |
JP2010141501A (ja) | 2008-12-10 | 2010-06-24 | Kyocera Mita Corp | 電子機器 |
JP2010146500A (ja) | 2008-12-22 | 2010-07-01 | Kyocera Mita Corp | 電子機器 |
JP2010225000A (ja) * | 2009-03-25 | 2010-10-07 | Nec Corp | 着脱可能記録媒体のパスワード設定方式 |
JP2010258679A (ja) | 2009-04-23 | 2010-11-11 | Kyocera Mita Corp | 電子機器 |
JP5172776B2 (ja) * | 2009-05-12 | 2013-03-27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電子機器 |
JP4787893B2 (ja) * | 2009-07-07 | 2011-10-05 | 富士通株式会社 | キーデータ記憶装置,方法,ライブラリ装置および収納装置 |
JP5202487B2 (ja) * | 2009-09-24 | 2013-06-05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画像読取装置 |
JP2011109444A (ja) * | 2009-11-18 | 2011-06-02 | Panasonic Corp | コンテンツの保護方法、コンテンツ再生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
JP5505010B2 (ja) * | 2010-03-19 | 2014-05-28 | 富士通株式会社 | 記憶媒体アダプタ及びデータアクセス不能化方法 |
JP2011233087A (ja) * | 2010-04-30 | 2011-11-17 | Fujitsu Kansai-Chubu Net-Tech Ltd | 記憶装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US8549585B2 (en) * | 2010-06-14 | 2013-10-01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to implement secured, layered logout from a computer system |
JP5652297B2 (ja) * | 2011-03-30 | 2015-01-14 | 富士通株式会社 | 情報端末、情報漏洩防止方法および情報漏洩防止プログラム |
-
2011
- 2011-06-30 JP JP2011145100A patent/JP539373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
- 2012-06-07 CN CN201210193015.5A patent/CN102866959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6-18 KR KR1020120064979A patent/KR10137779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06-27 US US13/534,884 patent/US893554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6-28 EP EP12174011.2A patent/EP2541460B1/en not_active Not-in-for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541460A1 (en) | 2013-01-02 |
US20130007472A1 (en) | 2013-01-03 |
KR101377794B1 (ko) | 2014-03-25 |
CN102866959B (zh) | 2015-07-08 |
US8935540B2 (en) | 2015-01-13 |
JP5393733B2 (ja) | 2014-01-22 |
EP2541460B1 (en) | 2017-05-17 |
JP2013012964A (ja) | 2013-01-17 |
CN102866959A (zh) | 2013-0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77794B1 (ko) | 착탈식 기억 매체의 데이터를 보호하는 전자 장치 | |
CN102611816B (zh) | 图像形成装置及图像形成装置的控制方法 | |
CN105100531A (zh) | 图像形成装置以及图像形成装置的控制方法 | |
US20060282684A1 (en) | Imag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 |
JP2008277982A (ja) |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読取装置 | |
JP2010268063A (ja) | 電子機器 | |
JP2006303563A (ja) | 画像処理装置 | |
JP5911795B2 (ja) |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 |
US20140152868A1 (en) | Imaging device, image stor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processing image capturing location information | |
JP2010258679A (ja) | 電子機器 | |
JP4846830B2 (ja) | 画像形成装置とそ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5000346B2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 |
JP4394059B2 (ja) | 電子機器システム、電子機器及び画像形成装置 | |
US20080199008A1 (en) | Image forming device and image forming method | |
JP4735665B2 (ja) | 情報処理装置 | |
JP2009005032A (ja) | 画像形成装置、ファイルの自動出力方法並びにファイルの自動出力プログラム。 | |
JP2010141501A (ja) | 電子機器 | |
JP5305160B2 (ja) | 画像形成装置とそ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101269468B1 (ko) | 화상형성장치 및 그 문서출력방법 | |
JP2007088603A (ja) | 画像処理装置、画像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方法 | |
JP2013077942A (ja) | 画像形成装置 | |
JP5092641B2 (ja) | 画像処理装置、画像データ保存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JP2010146500A (ja) | 電子機器 | |
JP2009027404A (ja) | ジョブ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JP2017169149A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