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735U - 밸러스팅 라인의 서포트용 지그 - Google Patents

밸러스팅 라인의 서포트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735U
KR20130006735U KR2020120004026U KR20120004026U KR20130006735U KR 20130006735 U KR20130006735 U KR 20130006735U KR 2020120004026 U KR2020120004026 U KR 2020120004026U KR 20120004026 U KR20120004026 U KR 20120004026U KR 20130006735 U KR20130006735 U KR 201300067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jig
ballasting
ballasting lin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0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1227Y1 (ko
Inventor
정인교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40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227Y1/ko
Publication of KR201300067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7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2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2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밸러스팅 라인의 서포트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블바텀 내를 가로지는 밸러스팅 라인을 지지하는 서포트를 설치하기 위한 밸러스팅 라인의 서포트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더블바텀이 끼움되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끼움부재와, 상기 끼움부재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부재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수직부재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상기 서포트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취부 높이에 맞추어 서포트를 용이하게 지지하여,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밸러스팅 라인의 서포트용 지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밸러스팅 라인의 서포트용 지그{Jig for support of ballasting line}
본 고안은 밸러스팅 라인의 서포트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전세계 물자수송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운송수단으로서, 일반적으로 선박을 건조함에 있어서는, 강판이나 형강 등과 같은 소재로 부품을 조립하고 이들 부품으로부터 블록을 조립한 후에 블록을 선대 위에 탑재하여 조립하는 블록건조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런 선체의 조립에는 용접에 의한 접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화물선에는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가 구비되어, 선적 화물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물속에서 추진기 및 방향타의 효율적인 작동과 균형 유지 및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밸러스트 탱크에 해수가 담긴 상태로 운항된다.
이러한, 밸러스트 탱크는 더블바텀(double bottom) 구역에 관으로 이루어지는 밸러스팅 라인이 설치되어 형성된다. 이때, 밸러스팅 라인은 서포트에 의해 지지되어 더블바텀 내에 조립된다.
한편, 밸러스팅 라인에 서포트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용접을 하는 동시에, 서포트가 쓰러지지 않도록 서포트를 붙잡고 있어야 하는 작업자가 요구되어 불필요한 인력이 낭비될 우려가 있다. 또한, 서포트를 배치하기 위해 조작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 등에 의해 서포트를 떨어뜨려 협착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서포트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협착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밸러스팅 라인의 서포트용 지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팅 라인의 서포트용 지그는, 더블바텀 내를 가로지는 밸러스팅 라인을 지지하는 서포트를 설치하기 위한 밸러스팅 라인의 서포트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더블바텀이 끼움되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끼움부재와, 상기 끼움부재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부재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수직부재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상기 서포트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수직부재에 연결되는 수평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 상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서포트에 대향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수직부재에 상하 일렬로 서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밸러스팅 라인의 서포트용 지그는, 취부 높이에 맞추어 서포트를 용이하게 지지하여,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서포트를 용접위치에 바로 배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서, 작업자가 서포트를 잡다가 떨어뜨려 발생되는 작업자의 부상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배치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팅 라인의 서포트용 지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팅 라인의 서포트용 지그가 더블바텀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팅 라인의 서포트용 지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팅 라인의 서포트용 지그가 더블바텀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팅 라인의 서포트용 지그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팅 라인(10)의 서포트용 지그(100)는 더블바텀(20) 내를 가로지는 밸러스팅 라인(10)을 지지하는 서포트(30)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부(110) 및 받침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더블바텀(20)은 보강재(H형의 빔)가 조립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110)는 더블바텀(20)에 연결되어 받침부(12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끼움부재(111), 수직부재(113) 및 연결부재(115)를 포함한다.
끼움부재(111)는 더블바텀(20)에 연결되는 매개물로서, 더블바텀(20)이 끼움되는 끼움홈(111A)이 형성된다. 여기서, 끼움홈(111A)은 끼움부재(111)가 내측으로 절단된 형태로 관통되는 공간으로서, 끼움홈(111A)의 상하 폭은 끼움되는 더블바텀(20)의 상단부 폭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부재(1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
Figure utm00001
"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끼움부재(111)는 더블바텀(20)의 상단부 일측, 구체적으로는 더블바텀(20) 상부에 설치된 보강재의 상단부 일측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부재(111)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이격되어 더블바텀(20)에 연결됨으로써, 받침부(120)가 서포트(30)를 수평하게 받칠 수 있도록 한다.
수직부재(113)는 끼움부재(111)의 상부 길이를 연장시켜 받침부(120)가 서포트(30)에 대향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끼움부재(111)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일 예로, 수직부재(113)는 바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재(115)는 한 쌍의 수직부재(113)를 연결한다. 일 예로, 연결부재(115)는 수직부재(113)에 상하 일렬로 서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지그(100)의 전체 중량을 감량시킬 수 있다.
받침부(120)는 서포트(30)를 지지하는 지지물로서, 수직부재(113)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서포트(30)를 지지한다. 여기서, 받침부(120)는 수평부재(121) 및 돌출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서포트(30)의 양측을 동일하게 지지함으로써, 서포트(30)를 수평하게 지지할 수 있다.
수평부재(121)는 수직부재(113)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수평부재(121)는 서포트(30)의 상단부의 하측에 맞닿아 서포트(30)를 지지할 수 있으며, 바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수평부재(121)는 서포트(30)의 양측을 동일하게 지지하여 서포트(30)의 상하 높이를 수평하게 맞출 수 있다.
이때, 수평부재(121)는 수직부재(113)에 연결된 부분이 슬라이딩되어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는, 수직부재(113)에는 복수의 제1 홀(미도시)이, 수평부재(121)의 일단에는 하나의 제2 홀(미도시)이 형성되어, 두 홀을 별도의 볼트(미도시) 등으로 고정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수평부재(121)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돌출부재(123)는 수평부재(121) 상에 돌출형성되어 서포트(30)에 대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재(123)는 수평부재(121) 상에 상부로 절곡되어 서포트(30)의 상단부에 맞닿아 서포트(30)의 양측을 동일하게 지지하여 좌우 수평을 맞출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팅 라인의 서포트용 지그는, 취부 높이에 맞추어 서포트를 용이하게 지지하여,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서포트를 용접위치에 바로 배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서, 작업자가 서포트를 잡다가 떨어뜨려 발생되는 작업자의 부상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배치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서포트용 지그
110 : 지지부
111 : 끼움부재
111A : 끼움홈
113 : 수직부재
115 : 연결부재
120 : 받침부
121 : 수평부재
123 : 돌출부재

Claims (3)

  1. 더블바텀 내를 가로지는 밸러스팅 라인을 지지하는 서포트를 설치하기 위한 밸러스팅 라인의 서포트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더블바텀이 끼움되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끼움부재와, 상기 끼움부재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부재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수직부재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상기 서포트를 지지하는 받침부;
    를 포함하는 밸러스팅 라인의 서포트용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수직부재에 연결되는 수평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 상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서포트에 대향되는 돌출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팅 라인의 서포트용 지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수직부재에 상하 일렬로 서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팅 라인의 서포트용 지그.
KR2020120004026U 2012-05-15 2012-05-15 밸러스팅 라인의 서포트용 지그 KR2004712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026U KR200471227Y1 (ko) 2012-05-15 2012-05-15 밸러스팅 라인의 서포트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026U KR200471227Y1 (ko) 2012-05-15 2012-05-15 밸러스팅 라인의 서포트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735U true KR20130006735U (ko) 2013-11-25
KR200471227Y1 KR200471227Y1 (ko) 2014-02-11

Family

ID=51419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026U KR200471227Y1 (ko) 2012-05-15 2012-05-15 밸러스팅 라인의 서포트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227Y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128B1 (ko) 2007-07-06 2008-03-12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철골빔용 파이프 유니트 및 그 인양방법
KR200471684Y1 (ko) * 2009-10-08 2014-03-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중량물 파이프 서포트 설치용 지그
KR20120003687U (ko) * 2010-11-18 2012-05-29 주식회사 유림텍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
KR20120007320U (ko) * 2011-04-15 2012-10-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카 데크의 곡직용 이동형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227Y1 (ko) 201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33390B2 (ja) デッキクレーンの設置構造及び船舶
KR20130136136A (ko) 강판 운반용 크레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강판의 운반방법
CN105600181B (zh) 一种总段组装运输平台
KR200471227Y1 (ko) 밸러스팅 라인의 서포트용 지그
KR20180072673A (ko) 해상 부체 구조물
KR20140000687U (ko) 선박 블록 또는 해양구조물 블록의 보강재 취부지그
KR20130110467A (ko) 선박의 수직 브라켓 취부용 지그
KR20210072891A (ko) 래싱 브리지
KR101520834B1 (ko) 래싱 브리지
CN208306922U (zh) 船用a型架支撑结构
KR101284854B1 (ko) 선체 블록 구조체 및 그 조립방법
CN104554627A (zh) 基于压载舱内肋板大开口的宽体双舷侧双层底船舶
KR102455882B1 (ko) 대상물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
KR20140003022U (ko) 선박 및 해양조물용 안전핸드레일
KR102404260B1 (ko) 밸러스트수 여과 필터 설치 장치 및 방법
KR20140070775A (ko) 영구접근 조립체가 설치된 액화가스운반선
CN214001961U (zh) 一种船舶设备安装基座
KR20180041929A (ko) 선박
KR20130066217A (ko) T-bhd의 면재 취부용 지그
KR20130005890U (ko) 액체 화물 운반선
KR20090006243U (ko) 선박의 포터블 리프팅 장치
KR20110087147A (ko) 블록 지지장치용 지지캡
KR101540915B1 (ko) 헬리데크 리프팅 장치
KR20120007549U (ko) 전도방지용 지그
KR200468736Y1 (ko) 케이블 다운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