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687U -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687U
KR20120003687U KR2020100011881U KR20100011881U KR20120003687U KR 20120003687 U KR20120003687 U KR 20120003687U KR 2020100011881 U KR2020100011881 U KR 2020100011881U KR 20100011881 U KR20100011881 U KR 20100011881U KR 20120003687 U KR20120003687 U KR 201200036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bracket
wireless connector
fastening
bal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8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영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림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림텍
Priority to KR20201000118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3687U/ko
Publication of KR201200036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68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8Frames or mounting racks for relay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10Housing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8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in specific systems
    • H04Q2201/808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in specific systems in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와이파이 무선접속기(Wi-Fi Access Point)가 설치되는 제1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의 하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볼이 형성된 연결로드; 상기 볼의 상부와 접촉하며, 상기 볼과의 분리를 방지하는 걸림부가 형성된 상부 볼하우징; 상기 상부 볼하우징과 체결되고, 상기 볼의 하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볼의 하부와 접촉하는 하부 볼하우징; 및 상기 하부 볼하우징이 상면에 체결되며, 상기 와이파이 무선접속기가 설치되는 대상물에 체결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여, 무선접속기를 다양한 방향 또는 보다 큰 각도 범위까지 움직일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 {MOUNTING APPARATUS FOR WI-FI ACCESS POINT}
본 고안은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와이파이 무선접속기가 장착된 상태에서 와이파이 무선접속기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볼 조인트를 구비한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파이란 하이파이(Hi-Fi, High Fidelity)에 무선기술을 접목한 것으로 고성능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랜 기술이다.
무선 랜이란 네트워크 구축시 유선을 사용하지 않고 전파나 빛 등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식으로 와이파이라고 불리는 802.11B(IEEE 802.xx는 IEEE의 LAN에 대한 일련의 규격)는 3Com, 시스코 시스템즈(Cisco Systems), 애플(Apple Computer), 루슨트 테크놀러지(Lucent Technologies) 등에서 제안하고 있는 무선 표준이다.
2.4G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있으며, 1999년 9월에 무선 LAN 표준으로 승인되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노트북 컴퓨터를 집 주위에서 무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고속 기술을 이용하면 5대 이상의 PC를 연결하고 큰 파일이나 그래픽, 비디오 및 오디오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무선 이더넷은 초당 11Mbps의 속도를 제공하며 최적의 조건에서는 반경 500m안에는 어디에서든지 사용할 수 있으며, 가정이나 직장 어느 곳에서든 사용할 수 있다.
최근 스마트 폰 등이 보급되면서 무선 인터넷을 하기 위한 와이파이(Wi-Fi) 기술이 각광을 받고 있다. 스마트 폰 또는 노트북 등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을 하기 위해서는 와이파이 존이 형성된 구역 내에서 해당 기기를 작동시켜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와이파이 무선 인터넷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와이파이 존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접속기(AP, Access Point)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무선접속기에서 출력되는 전파의 도달 거리가 와이파이 존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고, 무선접속기에서 출력되는 전파는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기 때문에 무선접속기에서 출력되는 전파가 도달하는 거리를 크게 하거나 전파가 도달하는 방향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무선접속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무선접속기를 원하는 각도 또는 방향으로 움직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에는 무선접속기를 건물 등에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무선접속기 장착장치에 무선접속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무선접속기의 방향을 조절하거나 설치 각도를 변경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예를 들면, 장착장치에 무선접속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무선접속기를 상하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밖에 없거나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도 움직일 수 있는 각도에 한계가 있어 전파의 도달 거리 또는 방향을 쉽게 바꿀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은 와이파이 무선접속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무선접속기를 조정할 수 있고 무선접속기를 움직일 수 있는 각도 범위를 크게 할 수 있는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볼과 상부/하부 하우징을 이용하여 볼 조인트를 형성하기 때문에 와이파이 무선접속기의 방향성에 대한 제한을 줄일 수 있는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볼 조인트를 이용하여 와이파이 무선접속기가 임의의 방향을 향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와이파이 무선접속기가 담당하는 무선 통신의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상부 볼하우징과 하부 볼하우징을 분리할 때 상부 볼하우징과 볼이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유지 보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는, 와이파이 무선접속기(Wi-Fi Access Point)가 설치되는 제1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의 하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볼이 형성된 연결로드; 상기 볼의 상부와 접촉하며, 상기 볼과의 분리를 방지하는 걸림부가 형성된 상부 볼하우징; 상기 상부 볼하우징과 체결되고, 상기 볼의 하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볼의 하부와 접촉하는 하부 볼하우징; 및 상기 하부 볼하우징이 상면에 체결되며, 상기 와이파이 무선접속기가 설치되는 대상물에 체결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볼과 상부/하부 볼하우징이 일종의 볼 조인트(Ball Joint)를 형성하게 되고 이로 인해 와이파이 무선접속기를 대상물에 설치한 상태에서 와이파이 무선접속기의 조향 각도를 다양하게 취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의 양단에는 상기 와이파이 무선접속기가 거치되도록 상기 제2브라켓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와이파이 무선접속기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브라켓의 양단을 거의 직각방향으로 절곡함으로써 제1브라켓과 와이파이 무선접속기의 연결 작업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의 양단에는 상기 대상물과 상기 제2브라켓의 접촉 지지면적을 확대하기 위한 지지부가 절곡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대상물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브라켓 양단의 절곡된 지지부로 인하여 제2브라켓과 대상물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고 제2브라켓이 지지부에 의해 대상물에서 안정적으로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부 볼하우징과 상기 제2브라켓을 체결하는 체결수단의 헤드에 의해 상기 대상물과 상기 지지부가 밀착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ㄴ"자 형태로 절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브라켓의 양단이 거의 "ㄴ"자 형태로 절곡되기 때문에 제2브라켓의 양단과 가운데 부분 사이에 높이 차이가 발생하고, 이 높이 차이를 이용하여 하부 볼하우징과 제2브라켓을 체결하기 위한 나사 등을 설치할 수 있다. 이 때 나사의 헤드가 높이 차이가 있는 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에 나사의 헤드 때문에 대상물과 지지부가 밀착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로드는 상기 제1브라켓에 연결되는 메인원통부 및 상기 메인원통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서브원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원통부의 일단에는 상기 볼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서브원통부의 직경은 상기 메인원통부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볼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원통형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공간 내면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부가 돌출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하부 볼하우징과의 연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볼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평선 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의 직경은 상기 볼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의 상단면은 상기 연결로드가 움직이는 경우에 상기 연결로드와 상기 걸림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상기 볼의 중심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볼하우징의 상부 내부에는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볼의 외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볼하우징의 상단은 상기 볼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평선 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볼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제2브라켓과의 연결을 위한 체결수단이 장착되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공은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나사공이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됨으로써, 체결수단의 일단이 수용공간에 노출될 수 있고, 노출된 체결수단의 일단이 상기 볼의 하단부를 밀어 줌으로써 상기 볼과 상기 걸림부가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볼과 상부/하부 하우징을 이용하여 볼 조인트를 형성하기 때문에 와이파이 무선접속기의 방향성에 대한 제한을 줄일 수 있다.
본 고안은 볼 조인트를 이용하여 와이파이 무선접속기가 임의의 방향을 향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와이파이 무선접속기가 담당하는 무선 통신의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부 볼하우징과 하부 볼하우징을 분리할 때 상부 볼하우징과 볼이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유지 보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와이파이 무선 인터넷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100)는, 와이파이 무선접속기(Wi-Fi Access Point, 도 1 참조)가 설치되는 제1브라켓(110), 제1브라켓(1100)의 하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볼(126)이 형성된 연결로드(120), 볼(126)의 상부와 접촉하며 볼(126)과의 분리를 방지하는 걸림부(131)가 형성된 상부 볼하우징(130), 상부 볼하우징(130)과 체결되고 볼(126)의 하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43)이 형성되며 수용공간(143)은 볼(126)의 하부와 접촉하는 하부 볼하우징(140) 및 하부 볼하우징(140)이 상면에 체결되며 상기 와이파이 무선접속기가 설치되는 대상물(미도시)에 체결되는 제2브라켓(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볼과 상부/하부 볼하우징이 일종의 볼 조인트(Ball Joint)를 형성하게 되고 이로 인해 와이파이 무선접속기를 대상물에 설치한 상태에서 와이파이 무선접속기의 조향 각도를 다양하게 취할 수 있다.
제1브라켓(110)의 양단에는 와이파이 무선접속기가 거치되도록 제2브라켓(150)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체결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브라켓(110)의 절곡된 체결부(111) 사이에 와이파이 무선접속기의 대응 구조물이 위치하게 되며, 체결부(111)에 형성된 체결공(112)을 통해 나사 등 체결수단을 삽입하여 와이파이 무선접속기와 제1브라켓(110)을 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브라켓(110) 양단의 체결부(111)를 거의 직각방향으로 절곡함으로써 제1브라켓(110)과 와이파이 무선접속기의 연결 작업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즉, 체결부(111)의 외부에서 체결도구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나사 등 체결수단을 체결공(112)에 삽입 체결할 수 있다.
한편, 제1브라켓(110)의 가운데 부분에는 연결로드(120)와 제1브라켓(110)을 연결하기 위한 체결공(116)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브라켓(110)과 연결로드(120)의 연결은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수단(113)을 이용하는데, 제1브라켓(110)과 연결로드(120)의 연결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 체결수단(113)과 제1브라켓(110) 사이에 복수개의 링와셔(113,114)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브라켓(150)의 양단에는 와이파이 무선접속기가 설치되는 대상물(예를 들면, 건물의 외면, 가정 내 벽면 등)과 제2브라켓(150)의 접촉 지지면적을 확대하기 위한 지지부(151)가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제1브라켓(110)과 달리 제2브라켓(150)의 양단은 제2브라켓(150)의 가운데 부분과 평행하도록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2브라켓(150)의 지지부(151)는 하부 볼하우징(140)과 제2브라켓(150)을 체결하는 체결수단(153)의 헤드에 의해 상기 대상물과 지지부(151)가 밀착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ㄴ"자 형태로 절곡될 수 있다.
만일 제2브라켓(150)의 지지부(151)가 "ㄴ"자 형태로 절곡되지 않는 경우에는 체결수단(153)의 헤드 때문에 제2브라켓(150)과 대상물이 밀착하지 못하고 이 상태에서 대상물에 제2브라켓(150)을 고정하면 체결수단(153)의 헤드 때문에 제2브라켓(150)이 휘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브라켓(150) 양단의 지지부(151)가 거의 "ㄴ"자 형태로 절곡되기 때문에 제2브라켓(150)의 양단과 가운데 부분 사이에 높이 차이가 발생하고, 이 높이 차이를 이용하여 하부 볼하우징(140)과 제2브라켓(150)을 체결하기 위한 나사 등 체결수단(153)을 설치할 수 있다. 이 때 나사 헤드가 높이 차이가 있는 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에 나사 헤드 때문에 대상물과 지지부(151)가 밀착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브라켓(150)의 지지부(151)에는 대상물에 제2브라켓(150)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152)이 형성되며, 제2브라켓(150)의 가운데 부분에는 하부 볼하우징(140)과의 체결을 위한 장착공(155)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브라켓(150)과 하부 볼하우징(140)의 체결은 제2브라켓(150)의 하면에서부터 나사 등의 체결수단(153)을 장착공(155)에 삽입 장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2브라켓(150)과 하부 볼하우징(140)의 견고한 체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체결수단(153)에 링와셔(154)를 사용할 수 있다.
제2브라켓(150) 양단의 절곡된 지지부(151)로 인하여 제2브라켓(150)과 대상물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고 제2브라켓(150)이 지지부(151)에 의해 대상물에서 안정적으로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하부 볼하우징(140)의 하부에는 나사공(14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나사공(142)은 하부 볼하우징(140)의 상부에 형성된 볼 수용공간(143)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브라켓(110)의 하면에 연결되는 연결로드(120)는 제1브라켓(110)의 하면에 연결되는 메인원통부(123) 및 메인원통부(123)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서브원통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로드(120)는 제1브라켓(110)과 제2브라켓(150)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서브원통부(121)의 일단에는 볼(126)이 일체로 형성되고, 서브원통부(121)의 직경이 메인원통부(123)의 직경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원통부(123)에는 나사 등 체결수단(113)을 위한 체결공(122)이 형성되는데, 체결공(122)의 형성을 위한 여유를 확보하고 제1브라켓(110)과의 접촉 지지면 확보를 위해 메인원통부(123)가 서브원통부(121)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브원통부(121)의 일단에 형성된 볼(126)은 거의 완전한 구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제1브라켓(110)과 연결로드(120)를 체결하기 전에 상부 볼하우징(130)에 연결로드(120)를 삽입한 후에 연결로드(120)와 제1브라켓(110)을 결합해야 한다.
상부 볼하우징(130)에 연결로드(120)를 끼운 상태에서 볼(126)에 상부 볼하우징(130)이 걸리기 때문에 연결로드(120)에서 상부 볼하우징(130)이 빠지는 것은 아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볼하우징(130)의 아래쪽에서부터 위쪽으로 연결로드(120)를 끼워 넣으면, 볼(126)에 상부 볼하우징(130)이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볼하우징(130)의 내부에는 연결로드(120)의 볼(126)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원통형 공간(1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볼하우징(130)의 원통형 공간(134)은 볼(126)의 직경 보다는 큰 직경을 가지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원통형 공간(134) 내면의 상부에는 볼(126)의 상부와 접촉하는 걸림부(13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31)는 원통형 공간(134)의 내면에서 상부 볼하우징(130)의 중심을 향하여 일정 길이 돌출되어 있는데, 이 걸림부(131)의 직경이 볼(126)의 직경 보다 작기 때문에 상부 볼하우징(130)에서 볼(126)이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원통형 공간(134)의 하부에는 하부 볼하우징(140)과의 연결 내지 체결을 위한 나사산(13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부 볼하우징(130)에 형성된 걸림부(131)가 형성된 위치(D2)는 볼(126)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평선(D1) 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부(131)가 볼(126)의 중심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부 볼하우징(130)이 볼(126)에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걸림부(131)의 상단면(131a)은 와이파이 무선접속기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와이파이 무선접속기와 함께 연결로드(120)가 움직이는 경우에 연결로드(120)와 걸림부(131)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볼(126)의 중심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만약 걸림부(131)의 상단면(131a)이 경사지게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연결로드(120)가 움직이는 경우에 연결로드(120)의 외면과 걸림부(131)의 상단면 또는 상부 볼하우징(130)의 상단이 접촉할 수 있고, 이러한 접촉은 연결로드(120) 등의 마모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걸림부(131)의 상단면(131a)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볼하우징(130)의 하부에 체결되는 하부 볼하우징(140)의 상부 내부에는 볼(126)의 하부를 수용하여 볼(126)과의 접촉 지지상태를 만드는 수용공간(143)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수용공간(143)은 볼(126)의 외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143)이 볼(126)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와이파이 무선접속기의 방향을 변경함에 따라 연결로드(120)가 움직일 때 수용공간(143)의 내면이 볼(126)의 외면과 접촉하면서 일종의 접촉 베어링 역할을 할 수 있다. 만약, 수용공간(143)의 모양이 볼(126)의 모양과 다른 경우에는 연결로드(120)가 원활하게 움직일 수 없고, 와이파이 무선접속기가 일정한 방향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볼하우징(140)의 상단은 볼(126)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평선(D1) 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131)와 하부 볼하우징(140)의 상단이 볼(126)의 중심선 위쪽에서 맞물리기 때문에 걸림부(131)와 볼(126) 상부의 접촉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하부 볼하우징(140)의 외면 상단부에는 상부 볼하우징(130)과의 체결을 위한 나사산(14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볼하우징(140)의 하부 일단에는 제2브라켓(150)과의 연결을 위한 체결수단(153)이 장착되는 나사공(142)이 형성될 수 있는데, 하부 볼하우징(140)에 형성된 나사공(142)은 수용공간(143)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나사공(142)이 수용공간(143)과 연통되게 형성됨으로써, 체결수단(153)의 일단이 수용공간(153)에 노출될 수 있고, 노출된 체결수단(153)의 일단이 볼(126)의 하단부를 밀어 줌으로써 볼(126)과 걸림부(131)가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가공 오차 등으로 인해 볼(126) 보다 수용공간(143)이 크게 형성된 경우에는 상부 볼하우징(130)과 하부 볼하우징(140)이 체결된 상태에서도 볼(126)이 상부 볼하우징(130)과 하부 볼하우징(14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움직일 수 있다. 즉, 볼(126)과 볼하우징(130,140)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생길 수 있고, 이로 인해 와이파이 무선접속기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연결로드(120)를 움직이는 경우 연결로드(120)가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 하부 볼하우징(140)의 나사공(142)을 통해 체결수단(153)을 체결할 때 체결수단(153)의 일단이 수용공간(143)으로 노출되게 하고, 체결수단(153)으로 볼(126)을 위쪽으로 밀어줌으로써 볼(126)과 걸림부(131)의 접촉 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볼 조인트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착장치에 와이파이 무선접속기를 장착함으로써 무선 인터넷의 활용 범위를 넓힐 수 있고, 무선 인터넷이 미치지 않는 영역을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
110: 제1브라켓
120: 연결로드
126: 볼
130: 상부 볼하우징
140: 하부 볼하우징
150: 제2브라켓

Claims (12)

  1. 와이파이 무선접속기(Wi-Fi Access Point)가 설치되는 제1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의 하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볼이 형성된 연결로드;
    상기 볼의 상부와 접촉하며, 상기 볼과의 분리를 방지하는 걸림부가 형성된 상부 볼하우징;
    상기 상부 볼하우징과 체결되고, 상기 볼의 하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볼의 하부와 접촉하는 하부 볼하우징; 및
    상기 하부 볼하우징이 상면에 체결되며, 상기 와이파이 무선접속기가 설치되는 대상물에 체결되는 제2브라켓;
    을 포함하는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의 양단에는 상기 와이파이 무선접속기가 거치되도록 상기 제2브라켓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와이파이 무선접속기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의 양단에는 상기 대상물과 상기 제2브라켓의 접촉 지지면적을 확대하기 위한 지지부가 절곡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대상물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부 볼하우징과 상기 제2브라켓을 체결하는 체결수단의 헤드에 의해 상기 대상물과 상기 지지부가 밀착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ㄴ"자 형태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는 상기 제1브라켓에 연결되는 메인원통부 및 상기 메인원통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서브원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원통부의 일단에는 상기 볼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서브원통부의 직경은 상기 메인원통부의 직경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볼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원통형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공간 내면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부가 돌출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하부 볼하우징과의 연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볼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평선 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직경은 상기 볼의 직경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상단면은 상기 연결로드가 움직이는 경우에 상기 연결로드와 상기 걸림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상기 볼의 중심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볼하우징의 상부 내부에는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볼의 외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볼하우징의 상단은 상기 볼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평선 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볼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제2브라켓과의 연결을 위한 체결수단이 장착되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공은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
KR2020100011881U 2010-11-18 2010-11-18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 KR2012000368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881U KR20120003687U (ko) 2010-11-18 2010-11-18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881U KR20120003687U (ko) 2010-11-18 2010-11-18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687U true KR20120003687U (ko) 2012-05-29

Family

ID=46612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881U KR20120003687U (ko) 2010-11-18 2010-11-18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368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227Y1 (ko) * 2012-05-15 2014-02-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밸러스팅 라인의 서포트용 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227Y1 (ko) * 2012-05-15 2014-02-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밸러스팅 라인의 서포트용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11607B1 (en) Ceiling lamp structure
US9263826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cable tie
US70653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a wireless data signal in a building
US7763797B2 (en) Ceiling-mounted wireless network access point
US20140009894A1 (en) Communication device having multi-module assembly
WO2018166193A1 (zh) 吸顶天线
JP2004343704A (ja) 携帯電話機用のアンテナユニット
US8792251B2 (en) Electronic device with locking assembly
US20130320819A1 (en) Server cabinet
KR20020064005A (ko) 외장형 안테나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KR19990063664A (ko) 휴대 전화 단말기용 수직 보정 안테나
US20190353282A1 (en) Adapter for mounting cables and cable hangers and clamp members for mounting same
KR20120003687U (ko) 와이파이 무선접속기 장착장치
US10658769B1 (en) Electronic device
US9843110B2 (en) Mitigating co-channel interference in multi-radio devices
JP2015531166A (ja) 無線通信機器の函体装置
US20130170896A1 (en) Fixing apparatus for fan
US20220330037A1 (en) Adjustable communication equipment assembly structure and apparatus including same
US20140138497A1 (en) Bracket device for installing an electronic device on different objects
US9397452B1 (en) Connecting device with jumper
US20130279120A1 (en) Shell for fixing main board thereto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CN203150691U (zh) 天线基座及具有该天线基座的天线
US9564673B1 (en) Adjustable in-building antenna structure
KR20240044259A (ko) 조절 가능한 통신 장비 조립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CN219658963U (zh) 一种天线支架、天线模组及无线通信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