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259A - 조절 가능한 통신 장비 조립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조절 가능한 통신 장비 조립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4259A
KR20240044259A KR1020220123815A KR20220123815A KR20240044259A KR 20240044259 A KR20240044259 A KR 20240044259A KR 1020220123815 A KR1020220123815 A KR 1020220123815A KR 20220123815 A KR20220123815 A KR 20220123815A KR 20240044259 A KR20240044259 A KR 20240044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leeve
slit
assembly structure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환
안구철
구형준
곽지희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3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4259A/ko
Priority to PCT/KR2023/013464 priority patent/WO2024071727A1/ko
Publication of KR20240044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42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 H01Q3/0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for varying one co-ordinate of the orientation
    • H01Q3/0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for varying one co-ordinate of the orientation over a restricted angle

Abstract

실시예들에 있어서, 조립체(assembly)가 제공된다. 상기 조립체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제1 브라켓(bracke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립체는, 통신 장비를 거치하기 위한 제2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립체는, 상기 제1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 각각에 체결되고, 상기 제2 브라켓의 오리엔테이션(orientation)의 변경 및 상기 제2 브라켓의 위치의 변경을 위한, 상기 제1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 사이의 제3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브라켓은, 상기 제1 브라켓과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제1 부분(por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브라켓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에 대하여 배열되고(arrangerd with respect to), 제1 방향으로 배치된 제1 슬릿 및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sleeve)를 포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슬릿 내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 또는 상기 제1 슬릿 내에서 상기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에 따라, 상기 제1 부분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3 브라켓은, 상기 제2 브라켓에 체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에 대하여 배열되고, 곡선으로 형성된 제2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에 대하여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2 슬릿 내에서 제1 회전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 또는 상기 제2 슬릿 내에서 상기 제1 회전 방향에 반대인 제2 회전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에 따라,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절 가능한 통신 장비 조립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ADJUSTABLE ASSEMBILING STURCTURE FOR COMMUNICATIONS EQUIPMENT AND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아래의 설명들은, 통신 장비의 위치를 조절 가능한 조립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장비(예: RU(radio unit), RU와 DU(digital unit)을 포함하는 AU(access unit), 및 smallcell 등)는 다양한 설치 환경들에 설치될 수 있고, 원활한 통신을 위하여 설치 환경을 고려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통신 장비를 벽, 천장, 폴(pole)과 같은 설치 환경과 연결하기 위한 조립 구조는 통신 장비의 위치를 조절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비의 방향이나 위치를 조절함에 있어서, 통신 장비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른 제약이 존재할 수 있다. 조립 구조는 주변 환경의 제약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통신 장비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조립체(assembly)가 제공된다. 상기 조립체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제1 브라켓(bracke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립체는, 통신 장비를 거치하기 위한 제2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립체는, 상기 제1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 각각에 체결되고, 상기 제2 브라켓의 오리엔테이션(orientation)의 변경 및 상기 제2 브라켓의 위치의 변경을 위한, 상기 제1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 사이의 제3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브라켓은, 상기 제1 브라켓과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제1 부분(por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브라켓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에 대하여 배열되고(arrangerd with respect to), 제1 방향으로 배치된 제1 슬릿 및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sleeve)를 포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슬릿 내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 또는 상기 제1 슬릿 내에서 상기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에 따라, 상기 제1 부분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3 브라켓은, 상기 제2 브라켓에 체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에 대하여 배열되고, 곡선으로 형성된 제2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에 대하여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2 슬릿 내에서 제1 회전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 또는 상기 제2 슬릿 내에서 상기 제1 회전 방향에 반대인 제2 회전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에 따라,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기지국(base station)이 제공된다. 상기 기지국은, 통신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폴(pol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폴 및 상기 통신 장비 사이의 조립체(assembl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립체는, 상기 폴과 연결되는 제1 브라켓(bracke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립체는, 상기 통신 장비를 거치하기 위한 제2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립체는, 상기 제1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 각각에 체결되고, 상기 제2 브라켓의 오리엔테이션(orientation)의 변경 및 상기 제2 브라켓의 위치의 변경을 위한, 상기 제1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 사이의 제3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브라켓은, 상기 제1 브라켓과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제1 부분(por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브라켓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에 대하여 배열되고(arrangerd with respect to), 제1 방향으로 배치된 제1 슬릿 및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sleeve)를 포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슬릿 내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 또는 상기 제1 슬릿 내에서 상기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에 따라, 상기 제1 부분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3 브라켓은, 상기 제2 브라켓에 체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에 대하여 배열되고, 곡선으로 형성된 제2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에 대하여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2 슬릿 내에서 제1 회전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 또는 상기 제2 슬릿 내에서 상기 제1 회전 방향에 반대인 제2 회전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에 따라,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a는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고정형 조립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2b는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고정형 조립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틸팅(tilting) 조립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틸팅(tilting) 조립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TV(television)용 조립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의 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의 예에 대한 육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의 예에 대한 다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의 이동(sliding) 동작에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의 회전(rotating, tilting) 동작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도 12a는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와 설치 환경 사이의 결합 상태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도 12b는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와 설치 환경 사이의 결합 상태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4a는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의 다른 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b는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의 다른 예에 대한 육면도이다.
도 15는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의 이동(sliding) 동작 및 회전(rotating, tilting) 동작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7a는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의 다른 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b는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의 다른 예에 대한 육면도이다.
도 18은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의 이동(sliding) 동작 및 회전(rotating, tilting) 동작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장치의 부품을 지칭하는 용어(예: 조립체(assembly), 조립 구조(assembling structure), 브라켓(bracket), 볼트(bolt), 너트(nut), 슬리브(sleeve), 슬리브 블록(sleeve block), 부재(member), 모듈(module), 안테나, 안테나 소자, 회로, 프로세서, 칩, 구성요소, 기기), 부품의 형상을 지칭하는 용어(예: 슬릿(slit), 구조체, 구조물, 지지부, 돌출부, 개구부), 구성요소 간 연결부를 지칭하는 용어(예: 연결부, 접촉부, 급전부(feeding unit)) 구성요소의 접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물', '...체'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형상 구조를 의미하거나 또는 기능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특정 조건의 만족(satisfied), 충족(fulfilled)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초과 또는 미만의 표현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예를 표현하기 위한 기재일 뿐 이상 또는 이하의 기재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으로 기재된 조건은 '초과', '이하'로 기재된 조건은 '미만', '이상 및 미만'으로 기재된 조건은 '초과 및 이하'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이하, 'A' 내지 'B'는 A부터(A 포함) B까지의(B 포함)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장비(예: RU(radio unit), RU와 DU(digital unit)을 포함하는 AU(access unit), 및 smallcell 등)는 원활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특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통신 장비는 다양한 설치 환경(예: 벽면, 천장, 폴(pole), 타워(tower) 등)을 고려하여 배치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통신 장비가 다양한 설치 환경에 결합되기 위하여, 서로를 연결 또는 결합하는 조립 구조(예: 브라켓(bracket) 또는 브라켓(bracket)들의 조립체(assembly))가 요구될 수 있다. 그러나, 조립 구조를 이용하여 통신 장비와 설치 환경을 결합하는 경우, 고정형 조립 구조를 이용하면 항상 특정 이격 거리가 요구될 수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이격 거리를 갖는 고정형 조립 구조를 생산하는 것은 제조 과정의 복잡함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회전(rotation)(이하 회전은 틸팅(tilting)으로 지칭될 수 있다.) 기능을 포함하는 조립 구조의 경우에도, 틸팅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 장비와 설치 환경 사이의 이격 거리가 요구될 수 있고, 조립 구조의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다양한 설치 환경에 따른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최소한의 공간을 활용하면서 통신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조립 구조가 요구된다.
이하, 본 개시에서는 통신 장비와 설치 환경 사이를 연결하는 조립 구조에 있어서 통신 장비와 연결되는 부분과 설치 환경과 연결되는 부분이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한 구조(이하, 통신 장비의 위치를 조절가능한 조립체라 지칭한다.)를 제안한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의 무선 통신 환경은 무선 채널을 이용하는 노드(node)들의 일부로서, 기지국(100) 및 단말(110-1 내지 110-6)을 예시한다.
기지국(100)은 단말(110-1 내지 110-6)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이다. 기지국(100)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거리에 기초하여 일정한 지리적 영역으로 정의되는 커버리지(coverage)를 가진다. 기지국(100)은 기지국(base station) 외에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이노드비(eNodeB, eNB)', '5G 노드(5th generation node)', '5G 노드비(5G NodeB, NB)', '무선 포인트(wireless point)',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액세스 유닛(access unit)',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DU)',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무선 유닛(radio unit, RU), 원격 무선 장비(remote radio head, RRH)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100)은 하향링크 신호를 송신하거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110-1 내지 110-6)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기지국(100)과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경우에 따라, 단말(110-1 내지 110-6)은 사용자의 관여 없이 운영될 수 있다. 즉, 단말(110-1 내지 110-6)은 기계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지 아니할 수 있다. 단말(110-1 내지 110-6)은 단말(terminal) 외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고객 댁내 장치'(customer premises equipment, CPE),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무선 단말(wireless terminal)',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또는 '차량(vehicle)용 단말', '사용자 장치(user device)'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지국(100)은 조립 구조(120)에 의해 통신 장비(13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1의 조립 구조(120)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통신 장비의 위치를 조절가능한 조립 구조일 수 있다. 기지국(100)이 단말(110-1 내지 110-6)들과 원활한 통신을 위해 틸팅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틸팅에 따른 통신 장비(130)와 설치 환경(예: 기지국(100)의 폴(pole))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특정 이격 거리가 요구될 수 있다. 이 때, 통신 장비(130)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120)에 의해 슬라이딩 및 틸팅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고,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100)과 단말(110-1 내지 110-6) 사이의 원활한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a는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고정형 조립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2b는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고정형 조립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2a를 참고하면, 고정형 조립 구조(200)가 도시된다. 고정형 조립 구조(200)의 경우, 설치 환경과 결합하기 위한 제1 결합 부재 및 통신 장비와 결합하기 위한 제2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형 조립 구조(200)의 경우, 제1 결합 부재 및 제2 결합 부재의 크기(size)가 고정될 수 있다. 고정형 조립 구조(200)의 제2 결합 부재와 결합한 통신 장비는 다양한 설치 환경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고, 통신 장비는 동일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b를 참고하면 고정형 조립 구조(200)의 설치 과정들(210, 220, 230, 240)을 도시한다. 설치 과정(210)을 참고하면, 고정형 조립 구조(200)는 2개가 쌍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형 조립 구조(200)의 일부가 제2 고정형 조립 구조(200)의 일부와 맞물린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설치 과정(220)을 참고하면, 두께가 서로 다른 설치 환경(예: 폴(pole))에서 고정형 조립 구조(200)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치 과정(220)의 왼쪽 도면을 고려하면, 고정형 조립 구조(200)는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폴(pole)에 연결될 수 있다. 설치 과정(220)의 오른쪽 도면을 고려하면, 고정형 조립 구조(200)는 왼쪽 도면의 폴보다 비교적 두께가 얇은 폴(pole)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형 조립 구조(200)의 제1 결합 부재의 연결 상태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설치 과정(230)을 참고하면, 고정형 조립 구조(200)는 제1 결합 부재를 통해 폴과 결합될 수 있고, 제2 결합 부재를 통해 통신 장비와 연결될 수 있다. 설치 과정(240)을 참고하면, 고정형 조립 구조(200)는 통신 장비와 제2 결합 부재에서 고정 부재(예: 나사, 볼트와 너트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형 조립 구조(200)에 의한 설치 환경 및 통신 장비 사이의 결합은 이격 거리가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틸팅(tilting) 조립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틸팅(tilting)은 통신 장비가 기울어지거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rotation)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틸팅이 가능한 조립 구조(300)가 도시된다. 조립 구조(300)는 설치 환경(예: 폴(pole)) 및 통신 장비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조립 구조(300)가 통신 장비와 결합되는 결합 부재의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통신 장비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다. 다만, 틸팅된 통신 장비와 주변 설치 환경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조립 구조(300)는 설치 환경(예: 벽, 천장, 폴(Pole))으로부터 틸팅 기능을 포함하지 않는 조립 구조(예: 도 2의 조립 구조(200))와 비교하여 큰 이격 거리가 요구될 수 있다. 여기서, 이격 거리는 최대 틸팅 각도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틸팅(tilting) 조립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 조립 구조(400-1) 및 제2 조립 구조(400-2)를 포함하는 조립 구조(400)가 폴 및 통신 장비와 결합되어 다운 틸팅(down-tilting)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제1 도면(410)이 도시된다. 또한, 도 4는 제1 조립 구조(400-1) 및 제2 조립 구조(400-2)를 포함하는 조립 구조(400)가 폴 및 통신 장비와 결합되어 업 틸팅(up-tilting)되는 경우를 나태내는 제2 도면(420)을 도시한다. 또한, 도 4는 제1 조립 구조(400-1) 및 제2 조립 구조(400-2)를 포함하는 조립 구조(400)가 벽면 및 통신 장비와 결합되어 다운 틸팅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제3 도면(430)이 도시한다. 틸팅이 가능한 조립 구조(40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 부재들 및 관절 구조의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립 구조(400)는 폴에 결합하기 위한 제1 결합 부재 및 제2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 구조(400)는 관절 구조의 연결 부재가 접힌 정도에 따라 틸팅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TV(television)용 조립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TV(television)용 조립 구조(500)가 도시된다. TV용 조립 구조(500)는 벽면과 같은 설치 환경 및 TV를 연결할 수 있고, 설치 환경과 TV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분절형 조립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형 조립 구조는 제작한 시점부터 이격 거리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틸팅이 가능한 조립 구조의 경우, 최대 틸팅 각도를 기반으로 이격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즉, 틸팅이 되는 회전축으로부터의 통신 장비까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설치 환경(벽, Pole)으로부터의 멀리 이격될 수 있다. 실제 설치 환경에서 요구되는 조립 구조의 틸팅 각도가 틸팅가능한 최대 각도보다 작을 경우, 불필요한 돌출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불필요한 돌출 영역은 통신 장비를 설치함에 있어서 효율적인 설치를 저해할 수 있다. 도 3의 조립 구조(300)의 경우, 이격 거리가 틸팅 최대 각도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고, 이격 거리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조립 구조(400)의 경우, 통신 장비와 결합 및 틸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최소 2개 이상의 조립 구조가 요구될 수 있고, 틸팅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일부의 조립 구조가 접히더라도 일정 거리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TV용 조립 구조(500)의 경우, 통신 장비와 설치 환경사이의 이격 거리의 조절이 가능하나 기지국에 설치되는 통신 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실외 설치 환경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통신 장비의 위치를 조절 가능한 조립 구조는 이격 거리의 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다양한 설치 환경 조건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고, 요구되는 틸팅 각도에 따른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틸팅 기능을 수행하더라도 하나의 조립 구조(또는 조립체)를 통해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공간 활용 측면에서 기존의 조립 구조에 비하여 효율적이다. 추가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는, 통신 장비와 결합될 때, 다양한 환경에 따라 변화가 요구되는 이격 거리 및 틸팅 각도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조립 구조를 통해 유연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는, 포장 및 운반 시 틸팅 기능을 포함하지 않는 조립 구조와 동일한 수준의 최소 부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는 제작 및 운송 과정에 있어서 기존의 조립 구조에 비하여 효율적이고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6a는 y축 방향에서 조립 구조(600)를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a를 참고하면, 조립 구조(600)는 제1 브라켓(bracket)(610), 제2 브라켓(620), 및 제3 브라켓(6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은 특정 물체와 다른 물체 따위를 고정 또는 결합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와 동등하거나 유사한 의미를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은 결합 부재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조립 구조(600)는 브라켓들이 모인 하나의 브라켓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조립 구조(600)는 조립체(assembly), 브라켓 조립체, 결합을 위한 조립체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6b를 참고하면, 조립 구조(600)는 통신 장비(650)와 설치 환경(미도시) 사이에 위치 또는 배치되고, 통신 장비(650)와 설치 환경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제1 브라켓(610)은 조립 구조(600)를 설치 환경(예: 폴(pole), 천장, 벽면, 타워(tower) 등)에 연결하기 위한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브라켓(610)의 제3 브라켓(630)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는 면을 통해 설치 환경과 체결될 수 있다. 제1 브라켓(610)은, 고정 부재(예: 나사, 볼트 및 너트, 스크류(screw) 등)를 통해 설치 환경과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브라켓(610)은 고정 부재(예: 나사, 볼트 및 너트, 스크류(screw) 등)를 통해 제3 브라켓(630)과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브라켓(610)은 제3 브라켓(630)과 분리되지 않고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브라켓(620)은 조립 구조(600)와 통신 장비(650)를 체결하기 위한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브라켓(620)의 제3 브라켓(630)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는 면을 통해 설치 환경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브라켓(620)은, 고정 부재(예: 나사, 볼트 및 너트, 스크류(screw) 등)를 통해 통신 장비(65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브라켓(620)은, 고정 부재를 통해 제3 브라켓(630)과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브라켓(630)은 제1 브라켓(610)과 제2 브라켓(620) 사이에서 제1 브라켓(610)과 제2 브라켓(620)을 연결할 수 있다. 제3 브라켓(630)은 제1 브라켓(610)과 제2 브라켓(6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브라켓(630)은 x축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 및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브라켓(630)은 제2 브라켓(620) 및 제2 브라켓(620)과 체결되는 통신 장비(650)의 위치(예: 방향, 오리엔테이션(orientation))를 변경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브라켓(630)은 제2 브라켓(620)과 인접한 가장자리 및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다른 가장자리가 접하는 일 영역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적어도 하나의 곡선 형태의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의 조립 구조(600)는 2개의 곡선 형태의 슬릿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조립 구조(600)는 하나의 곡선 형태의 포함하거나, 3개 이상의 곡선 형태의 슬릿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곡선 형태의 슬릿들이 많아질수록, 제2 브라켓(620) 및 통신 장비(650)의 회전시 조립 구조(600)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의 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의 조립 구조(700)는 도 6a 및 도 6b의 조립 구조(600)를 분해하여 나타낸 것으로, 도 6a 및 도 6b의 조립 구조(600)와 동일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조립 구조(700)는 제1 브라켓(bracket)(710), 제2 브라켓(720), 및 제3 브라켓(7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은 특정 물체와 다른 물체 따위를 고정 또는 결합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와 동등하거나 유사한 의미를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은 결합 부재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조립 구조(700)는 브라켓들이 모인 하나의 브라켓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조립 구조(700)는 조립체(assembly), 브라켓 조립체, 결합을 위한 조립체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조립 구조(700)는 통신 장비(미도시)와 설치 환경(미도시) 사이에 위치 또는 배치되고, 통신 장비와 설치 환경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제1 브라켓(710)은 조립 구조(700)를 설치 환경(예: 폴(pole), 천장, 벽면, 첨탑 등)에 연결하기 위한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브라켓(710)의 제3 브라켓(730)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는 면을 통해 설치 환경과 체결될 수 있다. 제1 브라켓(710)은, 고정 부재(예: 나사, 볼트 및 너트, 스크류(screw) 등)를 통해 설치 환경과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브라켓(710)은 고정 부재(예: 나사, 볼트 및 너트, 스크류(screw) 등)를 통해 제3 브라켓(730)과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브라켓(710)은 제3 브라켓(730)과 분리되지 않고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2 브라켓(720)은 조립 구조(700)와 통신 장비를 체결하기 위한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브라켓(720)의 제3 브라켓(730)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는 면을 통해 설치 환경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브라켓(720)은, 고정 부재(예: 나사, 볼트 및 너트, 스크류(screw) 등)를 통해 통신 장비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브라켓(720)은, 고정 부재(780) 및 고정 부재(780)와 결합되는 체결 구조(785)를 통해 제3 브라켓(730)과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780) 및 체결 구조(785)는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브라켓(730)은 제1 부분(portion)(731), 제2 부분(732), 및 제3 부분(7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731)은 제1 브라켓(710)과 제3 브라켓(730)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부분(731)은 제1 브라켓(710)과 고정 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제1 부분(731)은 제3 브라켓(730)의 슬라이딩(sliding) 동작을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731)은 제2 부분(732)의 제1 슬릿(745)을 따라 움직이기 위한 제1 고정 부재(7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정 부재(740)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 부재(740)는 복수의 볼트 및 너트의 쌍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 부재(740)는 하나의 직선 형태의 금속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부분(731)은 제3 브라켓(730)의 슬라이딩 동작 이후 제2 부분(732)을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 부재(7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 부재(750)는 제1 부분(731)의 홀(hole) 및 제2 부분(732)의 체결 구조(755)에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제1 부분(731)의 홀 및 제2 부분(732)의 체결 구조(755)는 제2 고정 부재(750)의 형상에 따라 달리 구성될 수 있다.
제2 부분(732)은 제3 브라켓(730)의 슬라이딩 동작을 위한 제1 슬릿(74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릿(745)은 제1 부분(732)의 제1 고정 부재(740)를 가이드(guide)하기 위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 부재(740)는 제1 슬릿(745)을 따라 움직이도록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부분(732)과 제1 브라켓(710) 사이의 이격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2 부분(732)은 체결 구조(765)를 통해 제3 부분(733)과 체결하기 위한 제3 고정 부재(7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고정 부재(760)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의 선은 제2 브라켓(720)이 회전하는 동작의 중심인 회전축일 수 있다. 제2 부분(732)은 제3 부분(733)의 곡선 형태의 제2 슬릿(775)과 연결되는 슬리브(7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으나, 이하 도 9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슬리브(770)는 체결을 위한 너트, 슬리스 블록(block), 및 슬리브 블록을 따라 연장되는 체결을 위한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부분(733)은 제2 슬릿(775) 내에서 제2 슬릿(775)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리브(770)를 통해 회전될 수 있다. 제3 부분(733)의 제2 슬릿(775) 및 슬리브(770) 구조의 움직임을 통해, 제2 브라켓(720) 및 통신 장비가 회전될 수 있다.
제3 브라켓(730)은 제2 브라켓(720) 및 제2 브라켓(720)과 체결되는 통신 장비의 위치(예: 방향, 오리엔테이션(orientation))를 변경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브라켓(730)은 제2 브라켓(720)과 인접한 가장자리 및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다른 가장자리가 접하는 일 영역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적어도 하나의 곡선 형태의 제2 슬릿(77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조립 구조(700)는 2개의 곡선 형태의 슬릿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조립 구조(700)는 하나의 곡선 형태의 포함하거나, 3개 이상의 곡선 형태의 슬릿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곡선 형태의 슬릿들이 많아질수록, 제2 브라켓(720) 및 통신 장비의 회전시 조립 구조(700)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제3 부분(733)은 제2 부분(732)과 결합하기 위한 체결 구조(76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부분(733)은 제2 브라켓(720)과 체결을 위한 체결 구조(78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조립 구조(700)는 설치 환경과 연결하기 위한 제1 브라켓(710), 통신 장비를 체결하기 위한 제2 브라켓(720), 및 제1 브라켓(710) 및 제2 브라켓(720) 사이의 제3 브라켓(7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브라켓(730)은 조립 구조(700)의 슬라이딩 동작 및 회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립 구조(700)는 설치를 위한 공간이 협소한 상황에서도 통신 장비와 설치 환경을 연결할 수 있다. 조립 구조(700)를 통해 결합된 통신 장비는 설치 환경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고, 통신 장비에 의해 송수신되는 신호가 설치 환경으로부터 받는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조립 구조(700)를 통해 일정 각도만큼 회전되어 설치된 통신 장비는 다른 외부 장치와 효율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조립 구조(700)를 통해 설치 환경과 연결된 통신 장비는 통신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도 8은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의 예에 대한 육면도이다. 도 8의 조립 구조(800)는 도 6a 및 도 6b의 조립 구조(600) 및 도 7의 조립 구조(700)와 동일하게 이해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8은 조립 구조(800)가 이동하거나 회전(또는 틸팅)되지 않은 상태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을 참고하면, 조립 구조(800)의 정면도(810), 좌측면도(820), 우측면도(830), 상측면도(840), 하측면도(850), 및 후면도(860)를 도시한다. 정면도(810)를 참고하면, 조립 구조(800)의 제2 브라켓의 일 면은 통신 장비와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 구조(예: 홀(hole), 슬릿(sli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조립 구조(800)의 제2 브라켓은 2개의 접촉면들을 통해 통신 장비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브라켓은 1개의 접촉면을 통해 통신 장비와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브라켓의 구조는 제2 브라켓과 결합되는 통신 장비의 종류, 통신 장비의 사이즈 또는 통신 장비와 결합되는 방식 등에 기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좌측면도(820) 및 우측면도(830)를 참고하면, 조립 구조(800)는 조립 구조(80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면에 대하여 서로 대칭적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조립 구조(800)의 슬라이딩을 위한 슬리브는 조립 구조(800)를 관통하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바, 조립 구조(800)는 좌측에서 우측 또는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관통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조립 구조(800)의 슬리브가 포함하는 너트 또는 볼트의 위치는 반대로 변경될 수도 있다.
상측면도(840)를 참고하면, 조립 구조(800)는 제3 브라켓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관통하는 2개의 제2 고정 부재들 및 제2 브라켓과 제3 브라켓을 연결하기 위한 체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면도(850)를 참고하면, 조립 구조(800)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관통하는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고, 슬리브는 조립 구조(800)의 좌측면에서 우측면까지 연장되는 슬리브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조립 구조(800)는 2개의 슬리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도(860)를 참고하면, 조립 구조(800)는 설치 환경과 연결하기 위한 제1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 조립 구조(800)의 제1 브라켓은 조립 구조(800)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가장 긴 형상으로 구성되나, 이는 설명을 위한 예시에 불과하다. 다시 말해서, 조립 구조(800)의 제1 브라켓은 제3 브라켓과 유사한 길이를 갖는 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브라켓이 상단 및 하단으로 길게 형성되는 경우, 짧은 경우에 비하여 설치 환경과 보다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도 9는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의 예에 대한 다른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 브라켓은 특정 물체와 다른 물체 따위를 고정 또는 결합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와 동등하거나 유사한 의미를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은 결합 부재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조립 구조(900)는 브라켓들이 모인 하나의 브라켓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조립 구조(900)는 조립체(assembly), 브라켓 조립체, 결합을 위한 조립체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9의 조립 구조(900)는 도 6a 및 도 6b의 조립 구조(600)와 동일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조립 구조(900)는 제1 브라켓(bracket)(910), 제2 브라켓(920), 및 제3 브라켓(930)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립 구조(900)는 통신 장비(미도시)와 설치 환경(미도시) 사이에 위치 또는 배치되고, 통신 장비와 설치 환경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제1 브라켓(910)은 조립 구조(900)를 설치 환경(예: 폴(pole), 천장, 벽면, 첨탑 등)에 연결하기 위한 구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브라켓(910)은 베이스 브라켓(911) 및 서포트 브라켓(91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브라켓(911)은 제3 브라켓(930)과 연결되는 부분으로, 제1 브라켓(910)의 메인 브라켓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브라켓(910)은 베이스 브라켓(911)과 설치 환경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하면서 체결력을 높일 수 있는 서포트 브라켓(912)을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브라켓(912)은 상부의 브라켓 및 하부의 브라켓을 포함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브라켓(910)은 제3 브라켓(930)의 제1 부분(931) 및 베이스 브라켓(911)의 체결을 위한 고정 부재(913, 9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브라켓(910)은 베이스 브라켓(911)과 서포트 브라켓(912)을 연결하기 위한 고정 부재(91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913, 914)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915)는 나사 또는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 부재(913, 914)는 복수의 구성들을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는 나사, 스크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915)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브라켓(920)은 통신 장비(예: RU(radio unit), RU와 DU(digital unit)을 포함하는 AU(access unit), 및 smallcell 등)와 체결하기 위한 메인 브라켓인 유닛 브라켓(921)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브라켓(921)과 접촉하는 통신 장비에 체결되기 위해, 메인 브라켓(921)은 상부면과 하부면이 서로 이격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메인 브라켓(921)은 제2 브라켓(920)과 결합되는 통신 장비의 종류, 통신 장비의 사이즈 또는 통신 장비와 결합되는 방식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2 브라켓(920)은 제3 브라켓(930)과 직접적으로 체결하기 위한 고정 부재(980, 98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980, 984)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 부재(980, 984)는 복수의 구성들을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는 나사, 스크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립 구조(900)는 고정 부재(980, 984)를 위한 슬리브 블록(981), 슬리브 블록(981)을 유닛 브라켓(921)에 체결하기 위한 고정 부재(982), 고정 부재(984)를 제3 부분(933)에 체결하기 위하 홀더(983), 및 홀더(983)를 제3 부분(933)에 체결하기 위한 고정 부재(9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 블록(981), 고정 부재(982), 홀더(983), 및 고정 부재(985)는 고정 부재(980, 984)의 체결력을 높이고 체결에 따른 제2 브라켓(920) 및 제3 브라켓(930)의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브라켓(920) 및 제3 브라켓(930)의 체결 방식이 달라지는 경우, 슬리브 블록(981), 고정 부재(982), 홀더(983), 및 고정 부재(985)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브라켓(930)은 제1 부분(931), 제2 부분(932), 및 제3 부분(9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931)은 제1 브라켓(910)과 제3 브라켓(930)을 연결하는 구조일 수 있다. 제1 부분(931)은 베이스 브라켓(911)과 고정 부재(914, 915)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제1 부분(931)은 제3 브라켓(930)의 슬라이딩(sliding) 동작을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931)은 제2 부분(932)의 제1 슬릿(945)을 따라 움직이기 위한 제1 고정 부재(9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 부재(940)는 제1 부분(931)에 체결되고, 제1 부분(931)과 제2 부분(932)이 겹쳐지는 경우, 제1 슬릿(945)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정 부재(940)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 부재(940)는 복수의 볼트 및 너트의 쌍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 부재(940)는 하나의 직선 형태의 금속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조립 구조(900)는 제3 브라켓(930)의 슬라이딩 동작 이후 제2 부분(932)을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 부재(950, 9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 부재(950, 952)는 제1 부분(931)의 홀(hole) 및 제2 부분(932)의 체결 구조에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제1 부분(931)의 홀은 원형, 제2 부분(932)의 체결 구조는 슬릿 형태로 도시하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부분(931)의 홀 및 제2 부분(932)의 체결 구조는 제2 고정 부재(950, 952)의 형상에 따라 달리 구성될 수 있다. 조립 구조(900)는 제2 고정 부재(950, 952)의 결합을 위한 홀더(951) 및 홀더(951)를 제1 부분(931)에 체결하기 위한 고정 부재(9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더(951) 및 고정 부재(953)는 제2 고정 부재(950, 952)의 체결력을 높이고 체결에 따른 제1 부분(931) 및 제2 부분(932)의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부분(931) 및 제2 부분(932)의 체결 방식이 달라지는 경우, 홀더(951) 및 고정 부재(953)은 생략될 수도 있다.
조립 구조(900)는 제2 부분(932) 및 제3 부분(933)을 결합하기 위한, 제3 고정 부재(96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고정 부재(960)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 부재(960)는 복수의 구성들을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는 나사, 스크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고정 부재(960)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의 선은 제3 부분(933)의 회전 운동의 회전축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부분(933)은 제2 브라켓(920) 및 제2 브라켓(920)과 체결되는 통신 장비의 위치(예: 방향, 오리엔테이션(orientation))를 변경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부분(933)은 제2 브라켓(920)과 인접한 가장자리 및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다른 가장자리가 접하는 일 영역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적어도 하나의 곡선 형태의 제2 슬릿(97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3 고정 부재(960)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의 선일 수 있다. 도 9의 조립 구조(900)는 2개의 곡선 형태의 제2 슬릿(975)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조립 구조(900)는 하나의 곡선 형태의 포함하거나, 3개 이상의 곡선 형태의 슬릿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곡선 형태의 슬릿들이 많아질수록, 제2 브라켓(920) 및 통신 장비의 회전시 조립 구조(900)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조립 구조(900)는 제3 부분(933), 제2 브라켓(920), 및 통신 장비의 회전 동작을 위한 슬리브(sleeve)(970 내지 972)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970 내지 972)는 제2 부분(932)에 체결되고, 제3 부분(933)과 제2 부분(932)이 겹쳐지는 경우, 제2 슬릿(975)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슬리브(970 내지 972)는 체결을 위한 너트(970), 슬리스 블록(block)(971), 및 슬리브 블록(971)을 따라 연장되는 체결을 위한 볼트(9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부분(933)은 제2 슬릿(975) 내에서 제2 슬릿(975)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리브(970 내지 972)를 통해 회전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참고하면, 조립 구조(900)의 하나의 구조인 제3 브라켓(930)이 포함하는 복수의 부분들(931, 932, 933)을 통해, 조립 구조(900)는 통신 장비와 설치 환경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통신 장비의 오리엔테이션(또는 위치)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립 구조(900)는 제1 부분(931)과 제2 부분(932)의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통신 장비와 설치 환경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비와 설치 환경 사이의 간격은 통신 장비로부터 송수신되는 신호가 설치 환경에 의해 받는 간섭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조립 구조(900)는 제2 부분(932)과 제3 부분(933)의 회전 동작(또는 틸팅)을 통해 통신 장비의 오리엔테이션을 변경할 수 있다. 회전 동작(또는 틸팅)을 통해 통신 장비의 오리엔테이션의 범위는 회전축을 중심으로하는 회전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각은 제2 슬릿(975)의 곡선 형태의 개구(opening)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2 슬릿(975)의 곡선 형태의 개구는 통신 장비의 커버리지(coverage)에 따라 결정되어 설계될 수 있다. 통신 장비가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고, 통신 장비의 송수신부가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설치된 경우를 가정하자. 예를 들어, 통신 장비의 커버리지가 45°인 경우, 통신 장비의 수직 방향에 존재하는 사용자들은 통신 장비를 통해 서비스를 받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설치 환경에서는 통신 장비를 지면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할 필요가 있다. 요구되는 회전 각도는 최소 45°만큼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슬릿(975)을 따라 통신 장비가 최대로 회전 가능한 각도는 70°일 수 있고, 이 때 통신 장비와 설치 환경 사이의 간격은 150mm일 수 있다.
본 개시의 통신 장비의 위치를 조절가능한 조립 구조(900)는 보다 간소화된 구조를 통해 공간 활용을 최소화하면서 통신 장비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통신 장비의 위치를 조절가능한 조립 구조(900)는 하나의 구성을 통해 슬라이딩 동작 및 회전 동작을 모두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및/또는 회전된 조립 구조(900)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하여 통신 장비와 설치 환경 사이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고, 조립 구조(900)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의 이동(sliding) 동작에 예를 도시한다. 도 10의 조립 구조(1000-1, 1000-2)는 도 6a 및 도 6b의 조립 구조(600)와 동일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조립 구조(1000-1)는 제3 브라켓(1030)의 제1 부분(1031)과 제2 부분(1032)이 최대한 중첩(overlapped)된 상태로, 슬라이딩되지 않은 상태(이하, 제1 상태)이다. 제1 상태의 조립 구조(1000-1)는 제1 브라켓(1010)과 제2 브라켓(1020) 사이의 거리가 최소일 수 있다. 조립 구조(1000-2)는 제3 브라켓(1030)의 제1 부분(1031)과 제2 부분(1032)이 조립 구조(1001-1)와 일부만 중첩(overlapped)된 상태된 상태로, 슬라이딩된 상태(이하, 제2 상태)이다. 제2 상태의 조립 구조(1000-2)는 제1 브라켓(1010)과 제2 브라켓(1020) 사이의 거리가 최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 구조(1000-1)의 경우, 제1 부분(1031)의 제1 고정 부재(1040)는 제2 부분(1032)의 제1 슬릿(1045) 내에서 제1 방향의 끝과 제1 슬릿(1045)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은 제1 브라켓(1010)에서 제2 브라켓(1020)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조립 구조(1000-1)의 경우, 제2 고정 부재(1050)는 체결된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 구조(1000-2)의 경우, 제1 부분(1031)의 제1 고정 부재(1040)는 제2 부분(1032)의 제1 슬릿(1045) 내에서 제2 방향의 끝과 제1 슬릿(1045)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제2 브라켓(1020)에서 제1 브라켓(1010)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조립 구조(1000-1)에서 조립 구조(1000-2)의 상태로 변경할 때, 제2 고정 부재(1050)는 체결이 해제되어 제2 부분(1032)이 이동한 이후 다시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고정 부재(1040)는 고정을 위한 복수의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제1 고정 부재(1040)는 2개의 원형 나사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이는 원형 나사가 1개만 존재하는 경우, 조립 구조는 직선 방향의 운동이 아닌 곡선 방향으로의 회전되기 때문이다. 2개의 원형 나사들을 통해 제2 부분(1032)은 제1 부분(1031)에 대하여 직선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고정 부재(1040)는 하나의 직선 형태의 고정을 위한 부재일 수 있고, 하나의 타원 형태의 고정을 위한 부재일 수 있다. 또는, 제1 고정 부재(1040)는 3개 이상의 부재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상태의 조립 구조(1000-1)와 제2 상태의 조립 구조(1000-2)를 도시하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아니며, 본 개시의 조립 구조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의 조립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의 회전(rotating, tilting) 동작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도 11의 조립 구조(1100-1, 1100-3)는 도 6a 및 도 6b의 조립 구조(600)와 동일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조립 구조(1100-1)는 제3 브라켓(1130)의 제1 부분(1131)과 제2 부분(1132)이 최대 면적만큼 중첩된(overlapped) 상태로, 슬라이딩되지 않은 상태(이하, 제1 상태)이다. 제1 상태의 조립 구조(1100-1)는 제1 브라켓(1110)과 제2 브라켓(1120) 사이의 거리가 최소일 수 있다. 조립 구조(1100-3)는 제3 브라켓(1130)의 제1 부분(1131)과 제2 부분(1132)이 일부 중첩된(overlapped) 상태에서, 제3 부분(1133)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이하, 제3 상태)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3 상태의 조립 구조(1100-3)는, 도 10의 조립 구조(1000-2)에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조립 구조(1100-3)는 제3 부분(1133)이 최대 회전각만큼 회전된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 구조(1100-1)의 경우, 제1 부분(1131)의 제1 고정 부재(1140)는 제2 부분(1132)의 제1 슬릿(1145) 내에서 제1 방향의 끝과 제1 슬릿(1145)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은 제1 브라켓(1110)에서 제2 브라켓(1120)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조립 구조(1100-1)의 경우, 제2 고정 부재(1150)는 체결된 상태일 수 있다. 조립 구조(1100-1)는 도 10의 조립 구조(1000-1)와 동일한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 구조(1100-3)의 경우, 제1 부분(1131)의 제1 고정 부재(1140)는 제2 부분(1132)의 제1 슬릿(1145) 내에서 제2 방향의 끝과 제1 슬릿(1145)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제2 브라켓(1120)에서 제1 브라켓(1110)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조립 구조(1100-1)에서 조립 구조(1100-2)의 상태로 변경할 때, 제2 고정 부재(1150)는 체결이 해제되고, 제2 부분(1132)이 이동한 이후 다시 체결될 수 있다. 조립 구조(1100-3)는 도 10의 조립 구조(1000-2)를 전제한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 구조(1100-3)의 경우, 제3 부분(1133)이 제3 고정 부재(1160)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슬리브(1170)는 제2 슬릿(1175)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립 구조(1100-3)는 슬리브(1170)가 제2 슬릿(1175) 내에서 시계 방향으로 최대로 회전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슬라이딩되거나 슬라이딩되기 이전의 조립 구조에서 조립 구조(1100-3)로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슬리브(1170)의 볼트 및 너트의 체결이 해제되어 회전되고, 이후 슬리브(1170)의 볼트 및 너트는 다시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슬리브(1170)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의 슬리브(1170)는 2개의 슬리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슬리브(1170)는 하나의 슬리브, 또는 3개 이상의 슬리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1170)의 개수에 따라 안정성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리브(1170)의 개수가 많을수록, 회전 시 조립 구조의 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슬리브(1170)의 개수가 적을수록, 조립 구조의 공정이 단순화되고 생산 비용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슬리브(1170)의 개수가 적을수록, 설치시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보다 협소한 공간에서도 조립 구조는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2a는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와 설치 환경 사이의 결합 상태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도 12b는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와 설치 환경 사이의 결합 상태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2a 및 도 12b의 조립 구조(1200)는 도 6a 및 도 6b의 조립 구조(600)와 동일하게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설치 환경은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통신 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치 환경은 벽면, 천장, 폴(pole), 타워(tower) 등일 수 있다.
도 12a를 참고하면, 설치 환경은 벽면(1280)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조립 구조(1200)는 통신 장비(1250)와 벽면(1280) 사이에 위치하여, 통신 장비(1250)와 벽면(1280)을 연결할 수 있다. 통신 장비와 체결된 상태로, 조립 구조(1200)는 슬라이딩 및 회전될 수 있다. 도 12a의 예에서 조립 구조(1200)는 슬라이딩되지 않고, 조립 구조(1200)의 제3 부분이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2b를 참고하면, 설치 환경은 폴(1285)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 구조(1200)는 통신 장비(미도시)와 폴(1285) 사이에 위치하여, 통신 장비와 폴(1285)을 연결할 수 있다. 조립 구조(1200)는 폴(1285)과 연결하기 위하여, 스틸 밴드(steel band)(1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립 구조(1200)의 제1 브라켓(1210)은 스틸 밴드(1290)를 통해 폴(1285)과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브라켓(1210)은 스틸 밴드(1290)와 연결되기 위한 체결 부재(12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부재(1295)는 제1 브라켓(1210)으로부터 연장되고, 스틸 밴드(1290)가 제1 브라켓(1210)을 통과할 수 있도록 공간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 구조(1200)는 하나 이상의 스틸 밴드(1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b의 조립 구조(1200)와 같이 2개의 스틸 밴드(1290)들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스틸 밴드(1290)들에 대응하여, 제1 브라켓(1210)은 2개의 체결 부재(1295)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스틸 밴드(1290) 및 체결 부재(1295)의 개수 및 형태는 통신 장비의 종류(예: 타입, 무게 등), 설치 환경, 및 설치 상태 등을 고려하여 변경될 수 있다.
도 13은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3의 조립 구조(1300)는 도 6a 및 도 6b의 조립 구조(600)와 유사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조립 구조(1300)는 조립 구조(600)와 달리, 제3 브라켓(1330)의 구조가 보다 간소화된 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은 특정 물체와 다른 물체 따위를 고정 또는 결합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와 동등하거나 유사한 의미를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은 결합 부재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조립 구조(1300)는 브라켓들이 모인 하나의 브라켓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조립 구조(1300)는 조립체(assembly), 브라켓 조립체, 결합을 위한 조립체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 구조(1300)는 제1 브라켓(bracket)(1310), 제2 브라켓(1320), 및 제3 브라켓(1330)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립 구조(1300)는 제2 브라켓(1320)을 통해 통신 장비(1380)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조립 구조(1300)는 제1 브라켓(1310)을 통해 설치 환경(미도시)과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브라켓(1310)의 제3 브라켓(1330)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는 면을 통해 설치 환경과 체결될 수 있다. 제1 브라켓(1310)은, 고정 부재(예: 나사, 볼트 및 너트, 스크류(screw) 등)를 통해 설치 환경과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브라켓(1310)은 고정 부재(예: 나사, 볼트 및 너트, 스크류(screw) 등)를 통해 제3 브라켓(1330)과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브라켓(1310)은 제3 브라켓(1330)과 분리되지 않고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브라켓(1320)은 조립 구조(1300)와 통신 장비(1380)를 체결하기 위한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브라켓(1320)의 제3 브라켓(1330)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는 면을 통해 설치 환경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브라켓(1320)은, 고정 부재(예: 나사, 볼트 및 너트, 스크류(screw) 등)를 통해 통신 장비(138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브라켓(1320)은, 고정 부재를 통해 제3 브라켓(1330)과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브라켓(1330)은 제1 브라켓(1310)과 제2 브라켓(1320) 사이에서 제1 브라켓(1310)과 제2 브라켓(1320)을 연결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의 조립 구조(600)와 달리, 조립 구조(1300)는 간소화된 구조의 제3 브라켓(1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브라켓(1330)은 제1 부분(1331) 및 제2 부분(13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브라켓(1330)은 슬라이딩 동작을 위한 직선 형태의 제1 슬릿(1345), 제1 슬릿(1345) 내에 위치하도록 제1 부분(1331)에 체결되는 제1 슬리브(1340), 회전 동작을 위한 곡선 형태의 제2 슬릿(1355), 및 제2 부분(1332)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제2 슬리브(1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릿(1345)은 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슬릿(1345)은 제1 슬리브(1340)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의 선을 회전축으로한 곡선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조립 구조(1300)의 슬라이딩 및 회전 동작에 대한 내용은 이하 도 15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4a는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의 다른 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a에서, 조립 구조(1400)는 도 13의 조립 구조(1300)를 분해하여 나타낸 것으로, 도 13의 조립 구조(1300)와 동일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4a를 참고하면, 조립 구조(1400)는 제1 브라켓(bracket)(1410), 제2 브라켓(1420), 및 제3 브라켓(14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은 특정 물체와 다른 물체 따위를 고정 또는 결합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와 동등하거나 유사한 의미를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은 결합 부재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조립 구조(1400)는 브라켓들이 모인 하나의 브라켓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조립 구조(1400)는 조립체(assembly), 브라켓 조립체, 결합을 위한 조립체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조립 구조(1400)는 통신 장비(미도시)와 설치 환경(미도시) 사이에 위치 또는 배치되고, 통신 장비와 설치 환경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제1 브라켓(1410)은 조립 구조(1400)를 설치 환경(예: 폴(pole), 천장, 벽면, 첨탑 등)에 연결하기 위한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브라켓(1410)의 제3 브라켓(1430)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는 면을 통해 설치 환경과 체결될 수 있다. 제1 브라켓(1410)은, 고정 부재(1412)(예: 나사, 볼트 및 너트, 스크류(screw) 등)를 통해 설치 환경과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브라켓(1410)은 고정 부재(1411)(예: 나사, 볼트 및 너트, 스크류(screw) 등)를 통해 제3 브라켓(1430)과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브라켓(1410)은 제3 브라켓(1430)과 분리되지 않고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2 브라켓(1420)은 조립 구조(1400)와 통신 장비를 체결하기 위한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브라켓(1420)의 제3 브라켓(1430)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는 면을 통해 설치 환경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브라켓(1420)은, 고정 부재(예: 나사, 볼트 및 너트, 스크류(screw) 등)를 통해 통신 장비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브라켓(1420)은, 고정 부재(1460) 및 고정 부재(1460)와 결합되는 체결 구조(1465)를 통해 제3 브라켓(1430)과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1460) 및 체결 구조(1465)는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브라켓(1430)은 제1 부분(portion)(1431) 및 제2 부분(14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1431)은 제1 브라켓(1410)과 제3 브라켓(1430)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부분(1431)은 제1 브라켓(1410)과 고정 부재(1411)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제1 부분(1431)은 제3 브라켓(1430)의 슬라이딩(sliding) 동작을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1431)은 제2 부분(1432)의 제1 슬릿(1445)을 따라 움직이기 위한 제1 슬리브(1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리브(1440)는 체결을 위한 너트, 슬리스 블록(block), 및 슬리브 블록을 따라 연장되는 체결을 위한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리브(1440)는 제1 슬릿(1445) 내에 위치하도록 제1 부분(1431)과 체결될 수 있다. 제1 슬리브(1440)가 제1 슬릿(1445)을 따라(along) 이동됨에 따라, 조립 구조(1400)는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 때, 제1 슬릿(1445)을 따라 이동이 완료된 후, 제2 슬리브(1450)는 제2 부분(1431)이 회전되지 않도록 제1 부분(1431) 또는 제1 부분(1431) 및 제2 부분(1432)과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부분(1432)은 회전 동작을 위한 제2 슬릿(145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슬릿(1455)은 제1 슬리브(1440)를 중심으로 하여 일정거리 이격된 채로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조립 구조(1400)의 제2 부분(1432)은 제1 슬리브(1440)를 관통하는 가상의 선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 슬리브(1450)는 제2 부분(1432)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슬리브(1440)가 제1 슬릿(1445)을 따라 이동되어 제2 부분(1432)이 제1 부분(1431)에 대하여 슬라이딩된 후, 제2 부분(1432)이 회전되지 않도록 제2 슬리브(1450)는 제2 부분(1432)의 가장자리에 걸친 상태로 제1 부분(1431)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부분(1432)이 제1 슬리브(1440)를 중심으로 회전되기 위하여, 제2 슬리브(1450)는 체결이 해제될 수 있다. 제2 슬리브(1450)의 체결이 해제된 후, 제2 부분(1432)은 회전될 수 있고, 제2 슬리브(1450)는 제2 부분(1432)의 곡선 형태의 제2 슬릿(1455)을 관통하여 제1 부분(1431)에 다시 체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조립 구조(1400)는 설치 환경과 연결하기 위한 제1 브라켓(1410), 통신 장비를 체결하기 위한 제2 브라켓(1420), 및 제1 브라켓(1410) 및 제2 브라켓(1420) 사이의 제3 브라켓(1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브라켓(1430)은 조립 구조(1400)의 슬라이딩 동작 및 회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조립 구조(1400)는 설치를 위한 공간이 협소한 상황에서도 통신 장비와 설치 환경을 연결할 수 있다. 조립 구조(1400)를 통해 결합된 통신 장비는 설치 환경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고, 통신 장비에 의해 송수신되는 신호가 설치 환경으로부터 받는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조립 구조(1400)를 통해 일정 각도만큼 회전되어 설치된 통신 장비는 다른 외부 장치와 효율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조립 구조(1400)를 통해 설치 환경과 연결된 통신 장비는 통신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4b는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의 다른 예에 대한 육면도이다. 도 14b의 조립 구조(1400)는 도 13의 조립 구조(1300) 및 도 14a의 조립 구조(1400)와 동일하게 이해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4b는 조립 구조(1400)가 이동하거나 회전(또는 틸팅)되지 않은 상태의 예를 도시한다.
도 14b를 참고하면, 조립 구조(1400)의 정면도(1401), 좌측면도(1402), 우측면도(1403), 상측면도(1404), 하측면도(1405), 및 후면도(1406)를 도시한다. 정면도(1401)를 참고하면, 조립 구조(1400)의 제2 브라켓의 일 면은 통신 장비와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 구조(예: 홀(hole), 슬릿(sli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4b에서는 조립 구조(1400)의 제2 브라켓은 2개의 접촉면들을 통해 통신 장비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브라켓은 1개의 접촉면을 통해 통신 장비와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브라켓의 구조는 제2 브라켓과 결합되는 통신 장비의 종류, 통신 장비의 사이즈 또는 통신 장비와 결합되는 방식 등에 기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좌측면도(1402) 및 우측면도(1403)를 참고하면, 조립 구조(1400)는 조립 구조(140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면에 대하여 서로 대칭적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조립 구조(1400)의 슬라이딩을 위한 슬리브는 조립 구조(1400)를 관통하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바, 조립 구조(1400)는 좌측에서 우측 또는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관통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조립 구조(1400)의 슬리브가 포함하는 너트 또는 볼트의 위치는 반대로 변경될 수도 있다.
상측면도(1404)를 참고하면, 조립 구조(1400)는 2개의 슬리브들은 제3 브라켓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관통하는 슬리브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측면도(1405)를 참고하면, 조립 구조(1400)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관통하는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고, 슬리브는 조립 구조(1400)의 좌측면에서 우측면까지 연장되는 슬리브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b의 조립 구조(1400)는 2개의 슬리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도(1406)를 참고하면, 조립 구조(1400)는 설치 환경과 연결하기 위한 제1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b에서 조립 구조(1400)의 제1 브라켓은 조립 구조(1400)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가장 긴 형상으로 구성되나, 이는 설명을 위한 예시에 불과하다. 다시 말해서, 조립 구조(1400)의 제1 브라켓은 제3 브라켓과 유사한 길이를 갖는 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브라켓이 상단 및 하단으로 길게 형성되는 경우, 짧은 경우에 비하여 설치 환경과 보다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도 15는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의 이동(sliding) 동작 및 회전(rotating, tilting) 동작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도 15의 조립 구조(1500-1, 1500-2, 1500-3)는 도 13의 조립 구조(1300)와 동일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5를 참고하면, 조립 구조(1500-1)는 제3 브라켓(1530)의 제1 부분(1531)과 제2 부분(1532)이 최대한 중첩된(overlapped) 상태로, 슬라이딩되지 않은 상태(이하, 제4 상태)이다. 제4 상태의 조립 구조(1500-1)는 제1 브라켓(1510)과 제2 브라켓(1520) 사이의 거리가 최소일 수 있다. 조립 구조(1500-2)는 제3 브라켓(1530)의 제1 부분(1531)과 제2 부분(1532)이 일부만 중첩된(overlapped) 상태로, 슬라이딩된 상태(이하, 제5 상태)이다. 제5 상태의 조립 구조(1500-2)는 제1 브라켓(1510)과 제2 브라켓(1520) 사이의 거리가 최대일 수 있다. 조립 구조(1500-3)는 제3 브라켓(1530)의 제1 부분(1531)과 제2 부분(1532)이 일부 중첩된(overlapped) 상태(즉, 제5 상태)에서, 제2 부분(1532)이 제1 슬리브(1540)를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이하, 제6 상태)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3 상태의 조립 구조(1500-3)는, 제2 상태의 조립 구조(1500-2)에서 회전된 상태이다. 다만,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조립 구조는 일부만 슬라이딩된 이후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조립 구조(1500-3)는 제2 부분(1532)이 최대 회전각만큼 회전된 상태일 수 있다. 다만,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조립 구조는 부분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 구조(1500-1)의 경우, 제1 부분(1531)의 제1 슬리브(1540)는 제1 부분(1532)의 제1 슬릿(1545) 내에서 제2 방향의 끝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은 제2 브라켓(1520)에서 제1 브라켓(1510)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제2 슬리브(1550)는 제2 부분(1532)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부분(1532)의 가장자리에 걸친 상태로 제1 부분(1531)에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 구조(1500-2)의 경우, 제1 부분(1531)의 제1 슬리브(1540)는 제1 부분(1531)의 제1 슬릿(1545) 내에서 제1 방향의 끝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2 방향과 반대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제1 브라켓(1510)에서 제2 브라켓(1520)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조립 구조(1500-1)에서 조립 구조(1500-2)의 상태로 변경될 때, 제2 고정 부재(1550)는 체결이 해제되고, 제2 부분(1532)이 이동한 이후 제2 슬릿(1555) 내에서 제1 부분(1531)과 제2 부분(1532)을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도 1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4 상태의 조립 구조(1500-1)와 제5 상태의 조립 구조(1500-2)를 도시하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아니며, 본 개시의 조립 구조는 제4 상태와 제5 상태 사이의 조립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 구조(1500-3)의 경우, 제1 부분(1531)의 제1 슬리브(1540)는 제1 부분(1532)의 제1 슬릿(1545) 내에서 제1 방향의 끝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은 제1 브라켓(1510)에서 제2 브라켓(1520)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 구조(1500-3)의 경우, 제2 부분(1532)이 제1 슬리브(1540)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제2 슬리브(1550)는 제2 슬릿(1555)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조립 구조(1500-3)는 제2 슬리브(1550)가 제2 슬릿(1555) 내에서 시계 방향으로 최대로 회전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슬라이딩되거나 슬라이딩되기 이전의 조립 구조에서 조립 구조(1500-3)로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제2 슬리브(1550)의 볼트 및 너트의 체결이 해제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후 제2 슬리브(1550)의 볼트 및 너트는 다시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슬릿(1555)을 따라 통신 장비가 최대로 회전 가능한 각도는 70°일 수 있고, 이 때 통신 장비와 설치 환경 사이의 간격은 150mm일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조립 구조의 하나의 구조인 제3 브라켓이 포함하는 복수의 부분들을 통해, 조립 구조는 통신 장비와 설치 환경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통신 장비의 오리엔테이션(또는 위치)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립 구조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통신 장비와 설치 환경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비와 설치 환경 사이의 간격은 통신 장비로부터 송수신되는 신호가 설치 환경에 의해 받는 간섭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조립 구조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회전 동작(또는 틸팅)을 통해 통신 장비의 오리엔테이션을 변경할 수 있다. 회전 동작(또는 틸팅)을 통해 통신 장비의 오리엔테이션의 범위는 회전축을 중심으로하는 회전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각은 제2 슬릿의 곡선 형태의 개구(opening)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2 슬릿의 곡선 형태의 개구는 통신 장비의 커버리지(coverage)에 따라 결정되어 설계될 수 있다. 통신 장비가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고, 통신 장비의 송수신부가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설치된 경우를 가정하자. 예를 들어, 통신 장비의 커버리지가 45°인 경우, 통신 장비의 수직 방향에 존재하는 사용자들은 통신 장비를 통해 서비스를 받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설치 환경에서는 통신 장비를 지면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할 필요가 있다. 요구되는 회전 각도는 최소 45°만큼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슬릿을 따라 통신 장비가 최대로 회전 가능한 각도는 70°일 수 있고, 이 때 통신 장비와 설치 환경 사이의 간격은 150mm일 수 있다.
도 16은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6의 조립 구조(1600)는 도 6a 및 도 6b의 조립 구조(600) 또는 도 13의 조립 구조(1300)와 유사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조립 구조(1600)는 조립 구조(600)와 달리, 제3 브라켓(1630)의 구조가 보다 간소화된 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은 특정 물체와 다른 물체 따위를 고정 또는 결합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와 동등하거나 유사한 의미를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은 결합 부재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조립 구조(1300)는 브라켓들이 모인 하나의 브라켓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조립 구조(1600)는 조립체(assembly), 브라켓 조립체, 결합을 위한 조립체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 구조(1600)는 제1 브라켓(bracket)(1610), 제2 브라켓(1620), 및 제3 브라켓(1630)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립 구조(1600)는 제2 브라켓(1620)을 통해 통신 장비(1680)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조립 구조(1600)는 제1 브라켓(1610)을 통해 설치 환경(미도시)과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립 구조(1600)는 제1 브라켓(1610)의 제3 브라켓(1630)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는 면을 통해 설치 환경과 체결될 수 있다. 제1 브라켓(1610)은, 고정 부재(예: 나사, 볼트 및 너트, 스크류(screw) 등)를 통해 설치 환경과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브라켓(1610)은 고정 부재(예: 나사, 볼트 및 너트, 스크류(screw) 등)를 통해 제3 브라켓(1630)과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브라켓(1610)은 제3 브라켓(1630)과 분리되지 않고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브라켓(1620)은 조립 구조(1600)와 통신 장비(1680)를 체결하기 위한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브라켓(1620)의 제3 브라켓(1630)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는 면을 통해 설치 환경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브라켓(1620)은, 고정 부재(예: 나사, 볼트 및 너트, 스크류(screw) 등)를 통해 통신 장비(168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브라켓(1620)은, 고정 부재를 통해 제3 브라켓(1630)과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브라켓(1630)은 제1 브라켓(1610)과 제2 브라켓(1620) 사이에서 제1 브라켓(1610)과 제2 브라켓(1620)을 연결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의 조립 구조(600)와 달리, 조립 구조(1600)는 간소화된 구조의 제3 브라켓(16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브라켓(1630)은 제1 부분(1631) 및 제2 부분(16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브라켓(1630)은 슬라이딩 동작을 위한 제1 부분(1631)의 레일 구조(미도시), 제1 부분(1631) 및 제2 부분(1632)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1 슬리브(1640), 회전 동작을 위한 곡선 형태의 슬릿(1655), 및 제2 부분(1632)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제2 슬리브(165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릿(1645)은 제1 슬리브(1640)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의 선을 회전축으로한 곡선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조립 구조(1600)의 슬라이딩 및 회전 동작에 대한 내용은 이하 도 18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7a는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의 다른 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a에서, 조립 구조(1700)는 도 16의 조립 구조(1600)를 분해하여 나타낸 것으로, 도 16의 조립 구조(1600)와 동일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7a를 참고하면, 조립 구조(1700)는 제1 브라켓(bracket)(1710), 제2 브라켓(1720), 및 제3 브라켓(17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은 특정 물체와 다른 물체 따위를 고정 또는 결합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와 동등하거나 유사한 의미를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은 결합 부재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조립 구조(1700)는 브라켓들이 모인 하나의 브라켓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조립 구조(1700)는 조립체(assembly), 브라켓 조립체, 결합을 위한 조립체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조립 구조(1700)는 통신 장비(미도시)와 설치 환경(미도시) 사이에 위치 또는 배치되고, 통신 장비와 설치 환경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제1 브라켓(1710)은 조립 구조(1700)를 설치 환경(예: 폴(pole), 천장, 벽면, 첨탑 등)에 연결하기 위한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브라켓(1710)의 제3 브라켓(1730)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는 면을 통해 설치 환경과 체결될 수 있다. 제1 브라켓(1710)은, 고정 부재(1712)(예: 나사, 볼트 및 너트, 스크류(screw) 등)를 통해 설치 환경과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브라켓(1710)은 고정 부재(1711)(예: 나사, 볼트 및 너트, 스크류(screw) 등)를 통해 제3 브라켓(1730)과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브라켓(1710)은 제3 브라켓(1730)과 분리되지 않고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2 브라켓(1720)은 조립 구조(1700)와 통신 장비를 체결하기 위한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브라켓(1720)의 제3 브라켓(1730)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는 면을 통해 설치 환경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브라켓(1720)은, 고정 부재(예: 나사, 볼트 및 너트, 스크류(screw) 등)를 통해 통신 장비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브라켓(1720)은, 고정 부재(1760) 및 고정 부재(1760)와 결합되는 체결 구조(1765)를 통해 제3 브라켓(1730)과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1760) 및 체결 구조(1765)는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브라켓(1730)은 제1 부분(portion)(1731) 및 제2 부분(17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1731)은 제1 브라켓(1710)과 제3 브라켓(1730)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부분(1731)은 제1 브라켓(1710)과 고정 부재(1711)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제1 부분(1731)은 제3 브라켓(1730)의 슬라이딩(sliding) 동작을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1731)은 연장 가능한 레일 구조(177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 구조(1770)는 제3 브라켓(1730)의 슬라이딩 동작을 위해 2단으로 분리되어 연장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레일 구조(1770)는 3단 이상으로도 분리되어 연장될 수 있다. 레일 구조(1770)는 슬릿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조립 구조(1700)는 슬라이딩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1775)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 구조(1770)는 제1 부분(1731)의 레일 구조(1770)를 관통하도록 체결된 고정 부재(1775)를 통해 슬라이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조립 구조(1700)는 제1 부분(1731)과 제2 부분(1732)을 연결하기 위한 제1 슬리브(17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리브(1740)는 제1 부분(1731)의 일부와 제2 부분(1732)을 관통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부분(1731)의 일부는 레일 구조(1770)에 의해 연장된 제1 부분(1731)의 하나의 단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슬리브(1740)는 체결을 위한 너트, 슬리스 블록(block), 및 슬리브 블록을 따라 연장되는 체결을 위한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부분(1732)은 회전 동작을 위한 슬릿(1755)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릿(1755)은 제1 슬리브(1740)를 중심으로 하여 일정거리 이격된 채로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조립 구조(1700)의 제2 부분(1732)은 제1 슬리브(1740)를 관통하는 가상의 선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 슬리브(1750)는 제2 부분(1732)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제2 부분(1732)이 제1 슬리브(1740)를 중심으로 회전되기 위하여, 제2 슬리브(1750)는 체결이 해제될 수 있다. 제2 슬리브(1750)의 체결이 해제된 후, 제2 부분(1732)은 회전될 수 있고, 제2 슬리브(1750)는 제2 부분(1732)의 곡선 형태의 슬릿(1755)을 관통하여 제1 부분(1731)에 다시 체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조립 구조(1700)는 설치 환경과 연결하기 위한 제1 브라켓(1710), 통신 장비를 체결하기 위한 제2 브라켓(1720), 및 제1 브라켓(1710) 및 제2 브라켓(1720) 사이의 제3 브라켓(17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브라켓(1730)은 조립 구조(1700)의 슬라이딩 동작 및 회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조립 구조(1700)는 설치를 위한 공간이 협소한 상황에서도 통신 장비와 설치 환경을 연결할 수 있다. 조립 구조(1700)를 통해 결합된 통신 장비는 설치 환경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고, 통신 장비에 의해 송수신되는 신호가 설치 환경으로부터 받는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조립 구조(1700)를 통해 일정 각도만큼 회전되어 설치된 통신 장비는 다른 외부 장치와 효율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조립 구조(1700)를 통해 설치 환경과 연결된 통신 장비는 통신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7b는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의 다른 예에 대한 육면도이다. 도 17b의 조립 구조(1700)는 도 13의 조립 구조(1300) 및 도 17a의 조립 구조(1700)와 동일하게 이해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7b는 조립 구조(1700)가 이동하거나 회전(또는 틸팅)되지 않은 상태의 예를 도시한다.
도 17b를 참고하면, 조립 구조(1700)의 정면도(1701), 좌측면도(1702), 우측면도(1703), 상측면도(1704), 하측면도(1705), 및 후면도(1706)를 도시한다. 정면도(1701)를 참고하면, 조립 구조(1700)의 제2 브라켓의 일 면은 통신 장비와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 구조(예: 홀(hole), 슬릿(sli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7b에서는 조립 구조(1700)의 제2 브라켓은 2개의 접촉면들을 통해 통신 장비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브라켓은 1개의 접촉면을 통해 통신 장비와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브라켓의 구조는 제2 브라켓과 결합되는 통신 장비의 종류, 통신 장비의 사이즈 또는 통신 장비와 결합되는 방식 등에 기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좌측면도(1702) 및 우측면도(1703)를 참고하면, 조립 구조(1700)는 조립 구조(170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면에 대하여 서로 대칭적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조립 구조(1700)의 슬라이딩을 위한 슬리브는 조립 구조(1700)를 관통하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바, 조립 구조(1700)는 좌측에서 우측 또는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관통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조립 구조(1700)의 슬리브가 포함하는 너트 또는 볼트의 위치는 반대로 변경될 수도 있다.
상측면도(1704) 및 하측면도(1705)를 참고하면, 조립 구조(1700)는 슬라이딩 동작을 위한 레일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 구조는 제3 브라켓의 제1 부분에 포함될 수 있고, 레일 구조에 의해 제1 부분은 복수의 단들로 연장될 수 있다. 슬라이딩된 레일 구조를 고정하기 위하여, 조립 구조(1700)는 레일 구조를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후측면도(1706)를 참고하면, 조립 구조(1700)는 설치 환경과 연결하기 위한 제1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b에서 조립 구조(1700)의 제1 브라켓은 조립 구조(1700)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가장 긴 형상으로 구성되나, 이는 설명을 위한 예시에 불과하다. 다시 말해서, 조립 구조(1700)의 제1 브라켓은 제3 브라켓과 유사한 길이를 갖는 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브라켓이 상단 및 하단으로 길게 형성되는 경우, 짧은 경우에 비하여 설치 환경과 보다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도 18은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의 이동(sliding) 동작 및 회전(rotating, tilting) 동작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도 18의 조립 구조(1800-1, 1800-2, 1800-3)는 도 16의 조립 구조(1600)와 동일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8을 참고하면, 조립 구조(1800-1)는 제3 브라켓(1830)의 제1 부분(1831)의 레일 구조가 연장되지 않은 상태로, 슬라이딩되지 않은 상태(이하, 제7 상태)이다. 제7 상태의 조립 구조(1800-1)는 제1 브라켓(1810)과 제2 브라켓(1820) 사이의 거리가 최소일 수 있다. 조립 구조(1800-2)는 제3 브라켓(1830)의 제1 부분(1831)의 레일 구조가 연장된 상태로, 슬라이딩된 상태(이하, 제8 상태)이다. 제8 상태의 조립 구조(1800-2)는 제1 브라켓(1810)과 제2 브라켓(1820) 사이의 거리가 최대일 수 있다. 조립 구조(1800-3)는 제3 브라켓(1830)의 제1 부분(1831)의 레일 구조가 연장된 상태(즉, 제8 상태)에서, 제2 부분(1832)이 제1 슬리브(1840)를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이하, 제9 상태)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3 상태의 조립 구조(1800-3)는, 제8 상태의 조립 구조(1800-2)에서 회전된 상태이다. 다만,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조립 구조는 일부만 슬라이딩된 이후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조립 구조(1800-3)는 제2 부분(1832)이 최대 회전각만큼 회전된 상태일 수 있다. 다만,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조립 구조는 부분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 구조(1800-1)의 경우, 제1 부분(1831)의 제1 슬리브(1840)는 제1 부분(1831)의 가장자리 및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다른 가장자리가 접하는 영역에서 제1 부분(1831) 및 제2 부분(1832)과 체결될 수 있다. 제2 슬리브(1850)는, 제2 부분(1832)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릿(1855) 내에서 제1 부분(1831) 및 제2 부분(1832)을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 구조(1800-2)의 경우, 제1 부분(1831)의 레일 구조가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은 제1 브라켓(1810)에서 제2 브라켓(1820)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조립 구조(1800-1)에서 조립 구조(1800-2)의 상태로 변경할 때, 레일 구조를 위한 고정 부재는 체결이 해제될 수 있다. 레일 구조가 연장된 이후, 연장된 레일 구조를 관통하도록 다시 체결될 수 있다. 도 1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7 상태의 조립 구조(1800-1)와 제8 상태의 조립 구조(1800-2)를 도시하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아니며, 본 개시의 조립 구조는 제7 상태와 제8 상태 사이의 조립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 구조(1800-3)의 경우, 제2 부분(1832)이 제1 슬리브(1840)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제2 슬리브(1850)는 곡선 형태의 슬릿(1855)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조립 구조(1800-3)는 제2 슬리브(1850)가 슬릿(1855) 내에서 시계 방향으로 최대로 회전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슬라이딩되거나 슬라이딩되기 이전의 조립 구조에서 조립 구조(1800-3)로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제2 슬리브(1850)의 볼트 및 너트의 체결이 해제되어 회전되고, 이후 제2 슬리브(1850)의 볼트 및 너트는 다시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슬릿(1855)을 따라 통신 장비가 최대로 회전 가능한 각도는 70°일 수 있고, 이 때 통신 장비와 설치 환경 사이의 간격은 150mm일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8을 참고하면, 조립 구조의 하나의 구조인 제3 브라켓이 포함하는 복수의 부분들을 통해, 조립 구조는 통신 장비와 설치 환경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통신 장비의 오리엔테이션(또는 위치)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립 구조는 제1 부분의 레일 구조에 의한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통신 장비와 설치 환경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비와 설치 환경 사이의 간격은 통신 장비로부터 송수신되는 신호가 설치 환경에 의해 받는 간섭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조립 구조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회전 동작(또는 틸팅)을 통해 통신 장비의 오리엔테이션을 변경할 수 있다. 회전 동작(또는 틸팅)을 통해 통신 장비의 오리엔테이션의 범위는 회전축을 중심으로하는 회전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각은 제2 슬릿의 곡선 형태의 개구(opening)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2 슬릿의 곡선 형태의 개구는 통신 장비의 커버리지(coverage)에 따라 결정되어 설계될 수 있다. 통신 장비가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고, 통신 장비의 송수신부가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설치된 경우를 가정하자. 예를 들어, 통신 장비의 커버리지가 45°인 경우, 통신 장비의 수직 방향에 존재하는 사용자들은 통신 장비를 통해 서비스를 받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설치 환경에서는 통신 장비를 지면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할 필요가 있다. 요구되는 회전 각도는 최소 45°만큼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슬릿을 따라 통신 장비가 최대로 회전 가능한 각도는 70°일 수 있고, 이 때 통신 장비와 설치 환경 사이의 간격은 150mm일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18을 참고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장비의 위치를 조절가능한 조립 구조는 기존의 고정형 조립 구조에 비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이용될 수 있다. 기존의 고정형 조립 구조는 생산 과정에서 결정된 사이즈로 고정되나,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는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통신 장비와 설치 환경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구조는 설치 환경(예: 벽면, 천장, 폴(pole)), 통신 장비 등을 고려한 설치 조건에 기반하여 이격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유동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는 간소화된 구조만으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어, 생산 비용 및 공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구조의 사이즈를 최소화하도록 이격 거리가 조절될 수 있고, 조립 구조의 포장 및 배송이 기존의 조립 구조에 비하여 저비용 고효율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통신 장비는 설치 환경과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통신 장비는 설치 환경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는 기존의 틸팅 기능을 포함하는 조립 구조에 비하여 간섭을 효율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틸팅 기능을 포함하는 조립 구조는 통신 장비와 설치 환경 사이의 이격 거리가 고정적이거나, 틸팅을 위한 최소 이격 거리가 요구될 수 있다. 즉, 기존의 틸팅 기능을 포함하는 조립 구조는 구조적인 한계에 의해 불필요한 돌출 구간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는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틸팅 기능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요구되는 이격 거리만큼만 이격할 수 있어 간섭을 효율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틸팅 기능을 포함하는 조립 구조는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틸팅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나,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슬라이더블 조립 구조는 하나의 구조에 의해 틸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는 추가적인 결합용 부재를 통해 설치 환경과 결합함으로써 공간 활용성이 높고, 저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고정형 조립 구조 또는 틸팅 기능을 포함하는 조립 구조는 복수의 구성요소들에 의해서 통신 장비와 설치 환경(예: 벽면, 천장, 폴(pole))을 연결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 구조는 하나의 구조를 통해 통신 장비와 설치 환경을 연결할 수 있어, 공간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조립체(assembly)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제1 브라켓(bracke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립체는 통신 장비를 거치하기 위한 제2 브라켓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립체는 상기 제1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 각각에 체결되고, 상기 제2 브라켓의 오리엔테이션(orientation)의 변경 및 상기 제2 브라켓의 위치의 변경을 위한, 상기 제1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 사이의 제3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브라켓은, 상기 제1 브라켓과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제1 부분(por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브라켓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에 대하여 배열되고(arrangerd with respect to), 제1 방향으로 배치된 제1 슬릿 및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sleeve)를 포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슬릿 내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 또는 상기 제1 슬릿 내에서 상기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에 따라, 상기 제1 부분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3 브라켓은 상기 제2 브라켓에 체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에 대하여 배열되고, 곡선으로 형성된 제2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에 대하여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2 슬릿 내에서 제1 회전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 또는 상기 제2 슬릿 내에서 상기 제1 회전 방향에 반대인 제2 회전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에 따라,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부분은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고정 부재를 통해 상기 제2 부분에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는 2개의 세트들의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부분은 제3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3 고정 부재를 통해 상기 제3 부분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3 고정 부재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가상의 선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는 제1 슬리브 및 제2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슬릿은 상기 제1 슬리브에 대응하는 슬릿 및 상기 제2 슬리브를 대응하는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3부분의 상기 제2 브라켓과 인접한 가장자리 및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다른 가장자리가 접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곡선으로 형성된 제2 슬릿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슬릿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70°의 회전각을 갖는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브라켓이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의 범위는, 상기 제1 슬릿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립체는,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스틸 밴드(steel ban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제1 브라켓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스틸 밴드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지국(base station)은 통신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폴(pol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폴 및 상기 통신 장비 사이의 조립체(assembl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립체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제1 브라켓(bracke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립체는 통신 장비를 거치하기 위한 제2 브라켓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립체는 상기 제1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 각각에 체결되고, 상기 제2 브라켓의 오리엔테이션(orientation)의 변경 및 상기 제2 브라켓의 위치의 변경을 위한, 상기 제1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 사이의 제3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브라켓은, 상기 제1 브라켓과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제1 부분(por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브라켓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에 대하여 배열되고(arrangerd with respect to), 제1 방향으로 배치된 제1 슬릿 및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sleeve)를 포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슬릿 내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 또는 상기 제1 슬릿 내에서 상기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에 따라, 상기 제1 부분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3 브라켓은 상기 제2 브라켓에 체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에 대하여 배열되고, 곡선으로 형성된 제2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에 대하여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2 슬릿 내에서 제1 회전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 또는 상기 제2 슬릿 내에서 상기 제1 회전 방향에 반대인 제2 회전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에 따라,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부분은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고정 부재를 통해 상기 제2 부분에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는 2개의 세트들의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부분은 제3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3 고정 부재를 통해 상기 제3 부분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3 고정 부재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가상의 선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는 제1 슬리브 및 제2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슬릿은 상기 제1 슬리브에 대응하는 슬릿 및 상기 제2 슬리브를 대응하는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3부분의 상기 제2 브라켓과 인접한 가장자리 및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다른 가장자리가 접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곡선으로 형성된 제2 슬릿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슬릿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70°의 회전각을 갖는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브라켓이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의 범위는, 상기 제1 슬릿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립체는,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스틸 밴드(steel ban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제1 브라켓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스틸 밴드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ompact disc-ROM,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s, DVD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20)

  1. 조립체(assembly)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제1 브라켓(bracket);
    통신 장비를 거치하기 위한 제2 브라켓; 및
    상기 제1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 각각에 체결되고, 상기 제2 브라켓의 오리엔테이션(orientation)의 변경 및 상기 제2 브라켓의 위치의 변경을 위한, 상기 제1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 사이의 제3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브라켓은:
    상기 제1 브라켓과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제1 부분(portion);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에 대하여 배열되고(arrangerd with respect to), 제1 방향으로 배치된 제1 슬릿 및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sleeve)를 포함하는 제2 부분,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슬릿 내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 또는 상기 제1 슬릿 내에서 상기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에 따라, 상기 제1 부분에 대하여 이동됨; 및
    상기 제2 브라켓에 체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에 대하여 배열되고, 곡선으로 형성된 제2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에 대하여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2 슬릿 내에서 제1 회전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 또는 상기 제2 슬릿 내에서 상기 제1 회전 방향에 반대인 제2 회전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에 따라,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대하여 회전되는,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고정 부재를 통해 상기 제2 부분에 체결되는,
    조립체.
  3. 청구항 1 및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는 2개의 세트들의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조립체.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제3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3 고정 부재를 통해 상기 제3 부분에 체결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3 고정 부재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가상의 선인,
    조립체.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 각각은 너트, 슬리브 블록(sleeve block), 및 상기 슬리브 블록을 따라 연장된 볼트를 포함하는,
    조립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는 제1 슬리브 및 제2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릿은 상기 제1 슬리브에 대응하는 슬릿 및 상기 제2 슬리브를 대응하는 슬릿을 포함하는,
    조립체.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3부분의 상기 제2 브라켓과 인접한 가장자리 및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다른 가장자리가 접하는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곡선으로 형성된 제2 슬릿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조립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릿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70°의 회전각을 갖는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조립체.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브라켓이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의 범위는, 상기 제1 슬릿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길이에 따라 결정되는,
    조립체.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스틸 밴드(steel band)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제1 브라켓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스틸 밴드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립체.
  11. 기지국(base station)에 있어서,
    통신 장비;
    폴(pole); 및
    상기 폴 및 상기 통신 장비 사이의 조립체(assembly)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체는:
    상기 폴과 연결되는 제1 브라켓(bracket);
    상기 통신 장비를 거치하기 위한 제2 브라켓; 및
    상기 제1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 각각에 체결되고, 상기 제2 브라켓의 오리엔테이션(orientation)의 변경 및 상기 제2 브라켓의 위치의 변경을 위한, 상기 제1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 사이의 제3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브라켓은:
    상기 제1 브라켓과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제1 부분(portion);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에 대하여 배열되고(arrangerd with respect to), 제1 방향으로 배치된 제1 슬릿 및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sleeve)를 포함하는 제2 부분,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슬릿 내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 또는 상기 제1 슬릿 내에서 상기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에 따라, 상기 제1 부분에 대하여 이동됨; 및
    상기 제2 브라켓에 체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에 대하여 배열되고, 곡선으로 형성된 제2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에 대하여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2 슬릿 내에서 제1 회전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 또는 상기 제2 슬릿 내에서 상기 제1 회전 방향에 반대인 제2 회전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에 따라,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대하여 회전되는,
    기지국.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고정 부재를 통해 상기 제2 부분에 체결되는,
    기지국.
  13. 청구항 11 및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는 2개의 세트들의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기지국.
  14.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제3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3 고정 부재를 통해 상기 제3 부분에 체결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3 고정 부재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가상의 선인,
    기지국.
  15.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 각각은 너트, 슬리브 블록(sleeve block), 및 상기 슬리브 블록을 따라 연장된 볼트를 포함하는,
    기지국.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는 제1 슬리브 및 제2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릿은 상기 제1 슬리브에 대응하는 슬릿 및 상기 제2 슬리브를 대응하는 슬릿을 포함하는,
    기지국.
  17.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3 부분의 상기 제2 브라켓과 인접한 가장자리 및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다른 가장자리가 접하는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곡선으로 형성된 제2 슬릿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기지국.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릿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70°의 회전각을 갖는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기지국.
  19.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브라켓이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의 범위는, 상기 제1 슬릿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길이에 따라 결정되는,
    기지국.
  20.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폴과 연결하기 위한 스틸 밴드(steel band)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제1 브라켓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스틸 밴드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
KR1020220123815A 2022-09-28 2022-09-28 조절 가능한 통신 장비 조립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KR2024004425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815A KR20240044259A (ko) 2022-09-28 2022-09-28 조절 가능한 통신 장비 조립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PCT/KR2023/013464 WO2024071727A1 (ko) 2022-09-28 2023-09-07 조절 가능한 통신 장비 조립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815A KR20240044259A (ko) 2022-09-28 2022-09-28 조절 가능한 통신 장비 조립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259A true KR20240044259A (ko) 2024-04-04

Family

ID=90478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815A KR20240044259A (ko) 2022-09-28 2022-09-28 조절 가능한 통신 장비 조립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44259A (ko)
WO (1) WO202407172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729B1 (ko) * 2007-07-23 2009-07-22 (주)센트로닉스 틸팅장치
TW201037895A (en) * 2009-04-08 2010-10-16 Microelectronics Tech Inc Angle adjustment apparatus for disk antenna and disk antenna using the same
WO2016185638A1 (ja) * 2015-05-15 2016-11-24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の取付器具、角度調整方法、及び通信装置
KR102261060B1 (ko) * 2019-03-25 2021-06-04 김문규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
KR102157068B1 (ko) * 2020-05-21 2020-09-18 (주)엘투비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1727A1 (ko) 202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1987B2 (en)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s, and integrated antenna structures
US10098018B2 (en) Configurable antenna and method of operating such a configurable antenna
US9960500B2 (en) Compact antenna array using virtual rotation of radiating vectors
US9438278B2 (en) Multi-array antenna
US11916284B2 (en) Small cell antenna assembly and module for same
US8717251B2 (en) Antenna configuration provides coverage
US20020140618A1 (en) Multiband telecommunication antenna
US20140243043A1 (en) Universal small cell backhaul radio architecture
KR19990063664A (ko) 휴대 전화 단말기용 수직 보정 안테나
US2013015594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balancing band performance
KR101063936B1 (ko) 안테나 고정 장치
KR20100051840A (ko) 셀룰러 및 점대점 통신이 가능한 안테나
KR20240044259A (ko) 조절 가능한 통신 장비 조립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US20220330037A1 (en) Adjustable communication equipment assembly structure and apparatus including same
CN107394346B (zh) 通信装置
US11515642B2 (en) Antenna cover with integrated static lens
US20210336337A1 (en) High-gain reconfigurable antenna
CN101359772B (zh) 双环辐射单元和平板天线
US10658754B2 (en) Antenna array including suppressor
KR102666066B1 (ko) 밀리미터 웨이브 통신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마운트 부재
US11784388B2 (en) Reconfigurable antenna with a strands antenna radiation pattern
US20230110480A1 (en) Mounting brackets, filter units configured to couple to the mounting brackets and related methods
US11335989B2 (en) Sectorized antenna assembly
KR20240012301A (ko) 소형 기지국 안테나 장치용 멀티펑션 링크 어셈블리
EP4311026A1 (en)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for multi-link commun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