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060B1 -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060B1
KR102261060B1 KR1020200015319A KR20200015319A KR102261060B1 KR 102261060 B1 KR102261060 B1 KR 102261060B1 KR 1020200015319 A KR1020200015319 A KR 1020200015319A KR 20200015319 A KR20200015319 A KR 20200015319A KR 102261060 B1 KR102261060 B1 KR 102261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delete delete
angle
fix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5088A (ko
Inventor
김문규
조현숙
Original Assignee
김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규 filed Critical 김문규
Priority to PCT/KR2020/00402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197251A1/ko
Publication of KR20200115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42Rigid mas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n a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4Pivotable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 상부의 각도조절장치 및 방향조절 장치 제거하고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여 도시미관을 개선하고, 안테나의 무게 부담과 상관없이 간단한 조작으로 경사각도를 조작할 뿐만 아니라 조절된 경사각도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바닥으로부터 세워지는 지주; 상기 지주에 상측과 하측에 각각 구비된 상부 핀 고정부 및 하부 핀 고정부; 판재로 되어 곡선 형태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을 통해 핀이 삽입되어 상기 상부 핀 고정부와 하부 핀 고정부에 고정됨으로써 회전상태가 고정되며, 일단부에 안테나가 고정되어 회전상태에 따라 안테나의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회전유지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Antenna support apparatus for base stations}
본 발명은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테나 상단의 각도조절장치를 제거하여 미관상 환경친화적으로 개선함과 동시에 간단한 구조에 의해 기지국용 안테나의 전파 지향 경사 각도를 손쉽게 조절하면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기지국용 안테나 각도조절 장치가 구비된 안테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지국은 건물의 옥상, 도로변, 야산 등에 다수의 안테나가 고정설치되어 이동통신 신호를 중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통신 기지국용 안테나는 그 한 예로 등록실용신안 20-0442822(이동통신 기지국용 안테나)에 나타나 있는데, 이를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안테나(10)의 상부 및 하부는 클램프(20)를 매개로 지지대(2)에 설치되며, 이 클램프(20)에는 클램프(20)를 조였다가 풀 수 있는 방위각 조절용 볼트(22)가 설치되고, 상부의 클램프(20)에는 경사각 조절용 볼트(32)로 하여 링크 이동을 가져오는 링크절(30)이 설치되는 구성을 가진다.
즉, 안테나(10)의 경사각의 조절은 경사각 조절용 볼트(32)를 풀고 링크절(30)을 접었다 폈다하면서 이루어지고, 방위각조절은 지지대(2)로부터 방위각 조절용 볼트(22)를 풀어 원하는 위치로 회전시킨 후 다시 고정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작업자가 방위각 및 경사각 조절용 볼트(22)(32)를 풀고 지상의 원하는 목표지점을 향하여 안테나(10)를 회전시키거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경사각 조절은 링크절(30)의 펼침 정도에 의해 결정되고, 그 펼침 상태를 경사각 조절용 볼트(32)에 의해 고정하게 되는데, 시간이 경과되면서 안테나(10)의 자체 무게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하중이 경사각 조절용 볼트(32)에 계속 가해지게 되면, 경사각 조절용 볼트(32)가 헐거워지면서 안테나(10)의 기울임 각도가 매우 커지게 된다.
즉, 안테나(10)가 초기 설정된 방향을 지향하지 않고, 하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원하는 않는 방향을 향하게 됨으로써 자칫 통신 장애 등의 문제점을 가져오게 된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안테나 각도 및 방향을 조절하는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여 미관상으로 보기가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링크절(30)이 안테나(10)의 후면 상측에 위치함으로써 보행자 시각에 많이 노출되므로 도시미관을 해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설치 및 유지보수시에 작업자가 높은 위치에서 작업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좋지 않고, 자칫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방향과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조를 안테나의 하부 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도시미관을 개선하고, 간단한 조작으로 안테나의 방향 및 지향 각도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는,
바닥으로부터 세워지는 지주;
상기 지주에 상측과 하측에 각각 구비된 상부 핀 고정부 및 하부 핀 고정부;
판재로 되어 곡선 형태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을 통해 핀이 삽입되어 상기 상부 핀 고정부와 하부 핀 고정부에 고정됨으로써 회전상태가 고정되며, 일단부에 안테나가 고정되어 회전상태에 따라 안테나의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회전유지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안테나의 지향 각도를 손쉽고 안정적으로 조절함은 물론 조절된 경사각도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설정된 전파 지향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안테나의 경사각도의 틀어짐에 의한 통신 장애 등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안테나의 후면 하부에 안테나의 각도 및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구조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에 의한 설치 및 유지보수가 안전하면서도 매우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미관상 환경친화적이면서도 간단한 조작으로 안테나의 지향 각도를 손쉽고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의 이동통신 기지국용 안테나의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도2의 주요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해 안테나의 지향 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를 보인 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그 구조에 의해 안테나의 지향 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를 보인 도.
도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와 그 구조에 의해 안테나의 지향 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를 보인 도.
도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보인 도.
도8은 본 발명들의 각 실시예에 축지지부가 부가된 상태에서 안테나의 지향 각도를 지지하는 구조를 갖는 제5실시예를 보인 도.
도9부터 도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보인 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보인 도.
도13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를 보인 도.
도14 및 도15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를 보인 도.
도16부터 도19까지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를 보인 도.
도20부터 도22까지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를 보인 도.
도23 및 도24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를 보인 도.
도25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를 보인 도.
도26 및 도27은 본 발명의 제14실시예를 보인 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이고, 도3은 도2의 주요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의해 안테나의 지향 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를 보인 도이다.
도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중량의 고정체(100)에 지지되어 상하방향으로 세워진 지주(200)에 안테나(500)의 기울임 각도 즉 상하 지향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회전유지부(400)가 구비되는 구조로서, 그 구체적인 구조를 도3을 통해 설명한다.
도3에서와 같이 지주(200)의 상측에는 캡 형태의 연결구(300)가 씌워지며, 그 연결구(300)의 상측 전방에는 상부 핀 고정부(310)가 구비되고, 또한 연결구(300) 상에서 상기 상부 핀 고정부(310)의 하측 후방에는 하부 핀 고정부(32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구(300)는 지주(200)에 좌우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조임부(33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핀 고정부(310)와 하부 핀 고정부(320)를 지주(200)에 고정할때 상기 연결구(300)를 제거하고 각각의 조임부(330)를 구비하고 있는 클램프형태로 된 상부 핀 고정부(310)와 하부 핀 고정부(320)를 지주(200)에 각각 고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핀 고정부(310)는 지주의 상측 꼭대기에 구비될 수도 있고 지주의 상측 후방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회전유지부(400)는 곡선의 판 형태로 된 2개의 회전부(410,420)를 구비하고, 그 각 회전부(410,420)가 지주(200)의 상측에서 양측에 각각 위치하며, 곡선 형태의 가이드 홈(411,421)이 각각 형성되며, 고정핀(311,321)이 이 가이드 홈(411,421)과 상기 상부 핀 고정부(310) 및 하부 핀 고정부(320)를 관통하여 삽입된다.
여기서, 고정핀(311,321)은 볼트와 너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410,420)의 외부 양측에서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조이게 되면, 그 조임력에 의해 회전부(410,420)가 상부 핀 고정부(310) 및 하부 핀 고정부(320)에 고정되는 구조이다.
상기 회전부(410,420)의 하측은 고정부(430)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측 일단부에는 안테나(500)를 지지하는 후방 프레임(510)에 연결된다.
따라서, 도4에서와 같이 고정핀(311,321)을 풀어서 회전부(410,420)의 조임력을 해제한 다음 회전유지부(400)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가이드 홈(411,421) 상에서 고정핀(311,321)이 이동하면서 안테나(500)의 지향 각도가 조절되고, 다시 고정핀(311,321)을 조이게 되면, 회전유지부(400)가 상부 핀 고정부(310)와 하부 핀 고정부(320)에 고정되어 조절된 안테나(500)의 지향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도로서, 도5(a)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구(300)의 하측에서 지주(200) 상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하부 힌지부(210)가 더 구비되고, 그 하부 힌지부(210)와 회전유지부(400)의 하측 사이에는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길이가변부(600)가 구비된 구조이다.
즉, 상기 길이가변부(600)의 하측은 하부 힌지부(210)에 힌지(62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측은 회전유지부(400)의 하측에서 힌지(610)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길이가변부(600)는 예를 들어 턴버클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안테나(500)의 하중에 의해 회전유지부(400)에 가해지는 회전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안테나(500)의 지향 각도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5(b)와 같이 안테나(500)의 기울임 각도를 크게 하는 경우에 회전유지부(400)가 전방으로 회전하여 기울어짐으로써 안테나(500)를 지지하며, 이때 회전유지부(400)와 하부 힌지부(210) 사이에 고정되는 길이가변부(600)의 길이를 가변시킴으로써 회전유지부(400)의 기울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고정핀(311,321)에 의해 회전유지부(400)가 상부 핀 고정부(310) 및 하부 핀 고정부(320)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핀(311,321)을 푼 다음 길이가변부(600)의 길이를 조절하게 되면, 회전유지부(400)가 회전하여 안테나(500)의 지향각도가 조절되며, 이후 고정핀(311,321)을 조여서 고정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도5의 길이가변부(600) 대신에 길이가 가변되지 않는 바 형태의 연결부(640)를 구비하고, 하부 힌지부(210)가 지주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하부 힌지부(210)와 회전유지부(400) 사이에서 연결부(640)의 상측과 하측이 힌지(610,620)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도6(b)와 같이 하부 힌지부(210)가 지주(200) 상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회전유지부(400)의 회전 상태를 유지하여 안테나(500)의 지향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서, 상부 핀 고정부(310)가 상부 연장부(310-1)에 지주(200)의 의해 전방으로 연장되고, 하부 핀 고정부(320)로 하부 연장부(320-1)에 의해 지주(200)의 전방으로 연장된 구조로서, 하부 연장부(320-1)는 상부 연장부(310-1) 보다 덜 연장됨으로써 가이드 홈(411,421)의 곡선을 자연스럽게 따르도록 구성된다.
또한, 회전유지부(400) 즉, 회전부(410,420)에는 동일한 위치에 다수의 핀공(440)이 형성되어 있고, 도7(c)에서와 같이 하부 연장부(320-1)에도 핀 고정공(320-2)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를 통해 고정핀(441)이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회전유지부(400)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핀 고정공(320-2)은 상부 연장부(310-1)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연장부(310-1) 또는 하부 연장부(320-1) 어느 한 쪽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로서, 상기 각 실시예에 안테나(500)를 축지지할 수 있는 축지지부(220)가 더 구비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지주(20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도록 축지지부(220)가 구비되고, 그 축지지부(200)에 회전축(230)이 구비됨으로써 안테나(500)가 축지지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안테나(500)의 하측부위가 축지지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안테나(500)가 상하방향에서 회전유지부(400)와 회전축(23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지향 각도가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는 중량의 고정체(100)에 지지되어 상하방향으로 세워진 지주(200)에 후방프레임(510)이 지지부(52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방프레임(510)에 안테나(500)가 설치되며, 상기 안테나(500)의 기울임 각도 즉 상하 지향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부회전부(400)와 하부회전부(700)가 구비되는 구조로서, 그 구체적인 구조를 도10을 통해 설명한다.
상기의 상부회전부(400)와 회전유지부(400)는 동일한 부호를 가지지만,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지금부터는 도면부호'400'을 상부회전부에 부여하여 설명한다.
상기 지지부(520)는 지주(200)에 고정되는 클램프(521)와, 상기 클램프(521)의 양측으로부터 전방부위로 나란히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편(522,523)과, 상기 지지편(522,523)에 후방프레임(510)이 힌지핀(524)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후방프레임(510)이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후방프레임(510)의 상하방향 회전을 임의의 각도에서 구속시키기 위하여 상부회전부(400)와 하부회전부(700)가 구비되는데, 상기 상부회전부(400)는 곡선의 판 형태로 되어 일측이 상기 후방프레임(510)에 각각 고정되는 2개의 회전부(450,460)를 구비하고, 그 각 회전부(450,460)가 지주(200)의 상측부위에서 지주(200)를 가운데 두고 양측에 각각 위치하며, 그 회전부(450,460)에는 각각 곡선 형태의 가이드 홈(451,461)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홈(451,461)은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라운드되는 형태를 가지며, 고정핀(470)이 이 가이드 홈(451,461)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여기서, 고정핀(470)은 볼트와 너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450,460)의 외부 양측에서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조이게 되면, 그 조임력에 의해 회전부(450,460)가 지주(200) 방향으로 가압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450,460)가 지주(200)의 전방부위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고정핀(470)의 조임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보강브라켓(48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보강 브라켓(480)은 'U' 형태로 되어 지주(200)의 후방으로부터 회전부(450,460)의 사이로 삽입되어 내측으로는 지주(200)를 수용하게 된다.
상기 보강 브라켓(480)의 전방부위 양측에는 각각 핀 삽입공(481,482)이 형성되는데, 지주(200)가 내측으로 수용되었을 때 지주(200)의 전방부위에 근접한 부위에 상기 핀 삽입공(481,482)이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핀(470)이 핀 삽입공(481,482)에 삽입되면 보강 브라켓(480)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주(20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핀(470)이 가이드홈(451,461)과 핀 삽입공(481,482)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회전부(450,460)와 보강브라켓(480)이 지주(200)에 고정된다.
상기 상부회전부(400)의 하측부위 즉 지지부(520)를 가운데 둔 상태의 하측부위에는 상부회전부(40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하부회전부(700)가 위치하는데, 이러한 하부회전부(700)의 구조는 상기 상부회전부(400)와 상하 대칭구조를 갖는다.
즉, 지지부(520)를 가운데 두고 상부회전부(400)와 하부회전부(700)가 위치하며, 다만 상부회전부(400)의 가이드홈(451,461)은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라운드진 형태를 가지고, 하부회전부(700)의 가이드홈은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라운드진 형태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도11(a)에서와 같이 지지부(520), 상부회전부(400), 하부회전부(7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회전부(400)의 고정핀(470)과 하부회전부(700)의 고정핀을 풀어서 회전부의 조임력을 해제한 다음 도11(b)에서와 같이 상부회전부(400)와 하부회전부(700)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가이드 홈에서 고정핀이 이동하면서 안테나의 지향 각도가 조절되고, 다시 고정핀을 조이게 되면, 상부회전부(400)와 하부회전부(700)의 회전부와 보강브라켓이 지주(200)를 가압하여 고정됨으로써 조절된 안테나(500)의 지향 각도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지주(200)의 양측에서 고정핀에 의해 상부회전부(400)와 하부회전부(700)를 지주(200) 쪽으로 압박할 때 크기가 한정된 지지부(520)를 압박하지 않고, 직접 지주(200)를 압박함으로써 안테나(500)를 견고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로서, 상부회전부(400)와 하부회전부(700)의 회전부의 구조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보강브라켓(480) 대신에 클램프가 적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이러한 클램프(480)도 마찬가지로 상부회전부(400)와 하부회전부(700)를 지주(200)에서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으로서, 클램프(480)에도 핀 삽입공(481,482)이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핀(470)이 회전부(450,460)의 가이드홈(451,461)과 핀 삽입공(481,482)에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그 조임력에 의해 회전부(450,460)를 클램프(480)쪽으로 가압하여 상부회전부(400)의 회전상태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하부회전부(700)의 클램프도 마찬가지로 상부회전부(400)의 클램프(48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로서, 도13(a)는 제6실시예 또는 제7실시예로부터 하부회전부(700)의 구조가 삭제된 형태를 가지며, 지지부(520)를 중심으로 상부회전부(400)에 의해 안테나(500)를 회전시켜 고정시키는 구조이다.
반대로, 도13(b)에서와 같이 상부회전부(400)의 구조가 삭제되어 지지부(520)를 중심으로 하부회전부(700)에 의해 안테나(500)를 회전시켜 고정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도13(c)에서와 같이 안테나(500)의 기울임 각도가 커질수록 후방프레임(510)의 하측부위가 고정핀(770)과 가까워지게 되어 흔들림없이 고정력이 크게 증대되는 장점을 갖는다.
즉. 안테나(200)의 기울임 각도가 커질수록 회전하중이 커지기 때문에 기울임 각도가 커질 때 더욱 견고한 지지력을 갖는 구조인 것이다.
도14 및 도15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를 보인 도로서, 지주(200)의 상측에는 클램프 형태의 지지부(800)가 체결되어 안테나(500)의 후면 부위에 고정된 후방 프레임(510)에 힌지(811)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안테나(500)가 전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상기 지지부(800)로부터 전방으로 한 쌍의 지지편(810)이 간격을 두고 나란히 연장되고, 그 전방부위에 힌지(811)가 구비되는 구조를 갖는다.
하부 회전부(700)의 한 쌍의 회전부(720,730)는 곡선의 판 형태로 형성되며, 회전부(720,730) 사이에 지주(20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회전부(720,730)에는 각각 동일한 위치에 곡선 형태의 가이드 홈(721,731)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부(720,730)의 일측은 상기 후방 프레임(510)에 고정된다.
상기 회전부(720,730)는 상기 지지부(800)의 하측에 위치하며, 가이드 홈(721,731)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직선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회전부(720,730)는 상기 후방 프레임(510)의 하측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후방 프레임(510)에 별도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주(200)를 중심으로 가이드홈(721,731)의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고정핀(770)이 삽입됨으로써 안테나(500)가 전후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15은 고정핀(770)의 조임에 의해 회전부(720,730)를 지주(200)쪽으로 가압하여 안테나(500)의 지향각도를 고정시킬 때 고정핀(770)의 조임력을 증가시켜 안테나(5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연결고정부(780,790)가 추가된 구조를 보인 것이다.
이러한 한 쌍의 연결고정부(780,790)는 평평한 판재로 형성되고, 전방에는 전방 고정공(781,791)이 각각 형성되고, 후방에는 장공형태의 후방 고정공(782,79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부(720,730)의 외측면에 위치하여 전방 고정공(781,791)에는 고정핀(770)이 끼워져 관통되고, 후방 고정공(782,792)에는 또다른 고정핀(770)이 관통되어 너트에 조여짐으로써 고정핀(770)의 조임력을 크게 증가시킨다.
또한, 후방 고정공(782,792)은 장공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안테나(500)의 지향각도를 조절할 때 한 쌍의 고정핀(770)의 거리가 변하면 즉, 회전부(720,730)가 지주(200)에 수평방향으로 위치할 때와 사선방향으로 위치할 때 한 쌍의 고정핀(770)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게 되므로, 이를 감안하여 후방 고정공(782,792)이 장공형태로 형성된다.
반대로 전방 고정공(781,791)이 장공형태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16부터 도19까지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도13(b)의 구조에서 안테나(500)의 기울임 각도를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각도고정수단(820)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각도고정수단(820)은 턴버클 형태로 되어 그 상측은 안테나(500)를 지지하는 후방 프레임(510)에 회전가능하게 축지되고, 하측은 지지부(520)에 연결되어 축지됨으로써 안테나(500)의 기울임 각도에 따라 그 길이가 가변되면서 안테나(5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물론, 지주(200)에는 별도의 고정수단 예를 들면 클램프가 체결되어 상기 각도고정수단(820)의 하측이 축지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부 회전부(400) 또는 하부 회전부(700)에 의해서만 중량체의 안테나(500)의 고정력이 약할 수 있으므로, 상기의 각도고정수단(820)에 의해 안테나의 기울임 각도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각도고정수단(820)은 고정핀(770)이 안테나(500)의 하측에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안테나(500) 상부쪽의 하중이 커져서 안테나(500)의 설치 또는 유지보수시에 임시로 안테나(500)의 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설치 및 유지보수를 위해 하측의 고정핀(770) 또는 지지부(520)의 힌지핀(512)을 해체하는 경우에 안테나(500)의 무거운 하중을 작업자가 지탱하거나 별도의 지탱기구물을 이용하여 지탱하여야 하지만, 각도고정수단(820)에 의해 안테나(500)의 각도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손쉽게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18은 각도고정수단(820)이 스프링으로 대체되어 설치 또는 유지보수시에 안테나(500)의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9는 각도고정수단(820)의 또다른 형태로서, 각도고정수단(820)은 장볼트 형태의 샤프트(821)로 구성되고, 그 상측부위는 후방 프레임(510)에 축지되며, 샤프트(821)에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슬라이더(822)가 장착된다.
이러한 슬라이더(822)의 상하측에는 너트로 된 스토퍼(823,824)가 샤프트(821)에 체결됨으로써 슬라이더(822)의 위치를 샤프트(821) 상에서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슬라이더(822)의 양측이 지지부(520)에 고정되거나 별도의 구조물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면, 샤트프(821)의 상측으로부터 슬라이더(822)까지의 길이에 의해 안테나(500)의 기울임 각도가 조절됨은 물론 설치 또는 유지보수시에 안테나(500)가 기울임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스토퍼(823,824)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샤트프(821)의 상측으로부터 슬라이더(822)까지의 길이가 조절되어 안테나(500)의 기울임 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이러한 각도유지수단(820)의 구조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로서, 후방 프레임(510)의 하측에는 후방으로 반원의 형태로 돌출된 지지편(511)이 형성되고, 그 지지편(511)은 지지부(520)에 전후방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축지된다.
또한, 상기 지지편(511)에는 도10에서와 같이 상하방향에 서로 상하 대칭인 가이드 홈(513,514)이 형성되어 고정핀(470)에 의해 회전각도가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고정핀(470)을 조이게 되면, 지지편(511)이 지지부(520)쪽으로 압박하여 안테나(500)의 회전상태를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각도고정수단(820)은 도16에서와 같이 턴버클 형태로 되어 후방 프레임(510)과 지지부(520) 사이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며, 다른 방안으로 스프링 형태로 될 수 있다.
도21은 지지부(520)를 평판으로 형성하여 벽체에 앙카볼트(521)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지지편(511)이 회전하더라도 안테나(500)와 후방 프레임(510), 그리고 지지편(511)이 지지부(520)의 후방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어 지지편(511)을 벽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지지편(511)은 도22(a)에서와 같이 상측의 가이드 홈(513)만 형성되거나 또는 도22(b)와 같이 하측의 가이드 홈(514)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23은 본 발명의 제12실시예를 보인 도로서, 도21의 구조에서 가이드 홈(513,514)이 삭제되고, 그 대신 상부 가이드 홈(513)의 위치에 다수의 핀공(515)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어느 하나의 핀공(515)과 지지부(520)를 관통하여 고정핀(516)이 삽입됨으로써 도24에서와 같이 지지편(511)의 회전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각도고정수단(820)이 스프링으로 도시되었으나, 턴버클 형태 또는 샤프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25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를 보인 도로서, 도20에서의 지지편(511)이 후방 프레임(510)에 구비된 것이 아니라, 지지부(520)에 일체로 구비된 구조를 갖는다.
즉, 후방 프레임(510)의 하측이 지지부(520)와 일체로 된 지지편(511)에 힌지축(512)을 매개로 하여 전후방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고정핀(470)은 후방 프레임(510)의 하측을 관통하여 상기 힌지축(512)의 상측과 하측에 형성된 가이드 홈(513,514)에 각각 체결됨으로써 지지편(511)이 후방 프레임(510)을 압박하여 안테나(500)의 회전각도를 고정시키는 구조이다.
이 경우도 지지부(520)가 벽체에 고정될 수 있는 평판 구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며, 가이드 홈(513,514)도 힌지축(512)의 상측 또는 하측에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26 및 도27은 본 발명의 제14실시예를 보인 도로서, 지지부(520)가 하부회전부(700)의 회전을 지지하는 보강브라켓(480)과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서, 지지부(520)와 보강브라켓(480)는 연결부(525)에 의해 연결되는데, 이러한 연결부(525)는 바 형태로서 원형의 봉 형태를 가진 지주(200)의 외측면에 접하기 위하여 종방향으로 곡면을 가지게 됨으로써 지주(200)에 밀착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도27(a)에서와 같이, 상부회전부(400)의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하는 보강브라켓(480)과 지지부(520)가 연결부(525)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도27(b)와 같이 상부회전부(400)와 하부회전부(700)의 회전을 지지하는 각각의 보강브라켓과 지지부(520)를 연결부(525)가 연결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지지부(520)에 상부회전부(400), 하부회전부(700), 상부회전부(400) 및 하부회전부(700)가 일체로 된 구성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 - 고정체
200 - 지주
210 - 하부힌지부
220 - 축지지부
230 - 회전축
300 - 연결구
310 - 상부 핀 고정부
310-1 - 상부 연장부
311 - 고정핀
320 - 하부 핀 고정부
320-1 - 하부 연장부
320-2 - 핀고정공
321 - 고정핀
330 - 조임부
400 - 회전유지부
410,420 - 회전부
411,421 - 가이드 홈
430 - 고정구
440 - 핀공
441 - 고정핀
450,460 - 회전부
470 - 고정핀
480 - 보강브라켓
500 - 안테나
510 - 후방 프레임
511 - 지지편
512 - 힌지축
513,514 - 가이드 홈
515 - 핀공
516 - 고정핀
520 - 지지부
525 - 연결부
600 - 길이가변부
610,620 - 힌지
640 - 연결부
700 - 하부회전부
720,730 - 회전부
770 - 고정핀
780,790 - 연결고정부
800 - 지지부
820 - 각도고정수단

Claims (3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안테나의 후면에 고정되는 후방 프레임;
    상기 후방프레임에서 후방을 향해 돌출되며, 곡선 형태의 가이드 홈이 형성된 지지편;
    상기 지지편이 축설되어 상기 안테나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지주 또는 벽체에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지지편의 가이드 홈을 가로질러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지지편을 지지부쪽으로 압박하여 상기 안테나의 회전상태를 고정시키는 고정핀;
    상기 후방프레임과 지지부 사이에서 길이 조절에 의해 상기 안테나의 기울임 각도를 조절하여 안테나의 경사각도를 고정시키는 각도고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
  29. 삭제
  30. 안테나의 후면에 고정되는 후방 프레임;
    지주 또는 벽체에 고정되고, 전방으로 지지편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에 상기 후방 프레임이 힌지축에 의해 축설되며, 상기 힌지축의 상측 또는 하측에 곡선형태의 가이드 홈이 형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가이드 홈과 후방 프레임을 가로질러 고정됨으로써 상기 지지편을 후방 프레임쪽으로 압박하여 상기 안테나의 회전상태를 고정시키는 고정핀;
    상기 후방프레임과 지지부 사이에서 길이 조절에 의해 상기 안테나의 기울임 각도를 조절하여 안테나의 경사각도를 고정시키는 각도고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
  31. 삭제
  32. 제28항 또는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고정수단은 턴버클, 스프링, 장볼트 형태의 샤프트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
  33. 삭제
KR1020200015319A 2019-03-25 2020-02-09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 KR102261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4027 WO2020197251A1 (ko) 2019-03-25 2020-03-25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33360 2019-03-25
KR1020190033360 2019-03-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088A KR20200115088A (ko) 2020-10-07
KR102261060B1 true KR102261060B1 (ko) 2021-06-04

Family

ID=72883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319A KR102261060B1 (ko) 2019-03-25 2020-02-09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0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58290A1 (en) * 2021-06-18 2024-04-24 KMW Inc. Mounting apparatus for antenna device on support pole
KR20240044259A (ko) * 2022-09-28 2024-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조절 가능한 통신 장비 조립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WO2024081467A1 (en) * 2022-10-13 2024-04-18 Commscope Technologies Llc Mounting assembly for an antenna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2890A (en) * 1984-07-24 1987-03-24 Crean Robert F High rigidity, low center of gravity polar mount for dish type antenn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088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1060B1 (ko)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
CA2324851C (en) Free-arm shade
US5865410A (en) Universal staging bracket
US9243747B2 (en) Shade structure
CA2354943A1 (en) Tiltable and rotatable canopy frame for a sunshade
CN205004446U (zh) 天线调节装置
KR102396891B1 (ko)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
KR102128174B1 (ko)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
KR20140052746A (ko) 파라솔
KR102122177B1 (ko)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
KR102237530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태양광 패널 지지구
KR102145149B1 (ko) 5g 기지국 안테나 지지대
KR102124751B1 (ko)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
CN208445519U (zh) 一种太阳能电板支架
KR20200066784A (ko)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
CN113979386B (zh) 型材举升设备
KR102169719B1 (ko)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
US5967945A (en) Height control device for treadmill runner frame
KR20220113630A (ko)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
CN113123632B (zh) 一种抗风钢柱钢柱头加固结构及包括该加固结构的钢柱
KR102246026B1 (ko) 안테나 틸트가 가능한 고정 장치
KR20210039994A (ko) 안테나 지지장치
KR20220113182A (ko)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
KR20220113863A (ko) 안테나 지지장치
CN218276994U (zh) 一种安装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