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890U - 액체 화물 운반선 - Google Patents

액체 화물 운반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890U
KR20130005890U KR2020120002610U KR20120002610U KR20130005890U KR 20130005890 U KR20130005890 U KR 20130005890U KR 2020120002610 U KR2020120002610 U KR 2020120002610U KR 20120002610 U KR20120002610 U KR 20120002610U KR 20130005890 U KR20130005890 U KR 201300058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liquid cargo
support member
w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6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기현
윤균중
정재우
하태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26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5890U/ko
Publication of KR201300058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89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56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4Contents retaining means
    • B65D90/0066Partition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액체 화물 운반선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 따른 액체 화물 운반선은, 중앙 탱크를 한정하는 양측벽의 중앙부를 상호 연결하여 지지하는 제 1 횡 지지부재; 및 각 윙 탱크를 한정하는 양측벽의 중앙부를 상호 연결하여 지지하는 한 쌍의 제 2 횡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체 화물 운반선{Liquid cargo carrier}
본 고안은 액체 화물 운반선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 원유 등과 같은 액체 화물을 운반하는 선박(100)의 경우, 액체 화물 저장 탱크(120)에 저장된 액체 화물에 의한 슬로싱을 감소시키고, 액체 화물 저장 탱크(120)의 외측 하부 코너에 집중된 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해 호퍼 구조를 두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호퍼 구조(150)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기 때문에 선박(100)의 건조 생산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최근 유조선의 침몰로 인한 원유 누출 사고가 잇따르고 있으며, 누출된 원유로 인해 해양 오염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이에 따라 외력에 의해 원유 저장 탱크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건조 생산성이 향상되고 향상된 구조 강도를 갖도록 구성된 액체 화물 운반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중앙 탱크와 상기 중앙 탱크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윙 탱크를 포함하는 액체 화물 저장 탱크가 선체에 배치된 액체 화물 운반선에 있어서, 상기 중앙 탱크를 한정하는 양측벽의 중앙부를 상호 연결하여 지지하는 제 1 횡 지지부재; 및 상기 각 윙 탱크를 한정하는 양측벽의 중앙부를 상호 연결하여 지지하는 한 쌍의 제 2 횡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각 윙 탱크의 외측 하부 코너에는 호퍼 구조가 없는 액체 화물 운반선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윙 탱크의 외측 하부 코너에는 각각 브라켓이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윙 탱크의 외측 하부 코너에는 호퍼 구조를 제거함으로써, 호퍼 구조를 만들기 위한 시간과 노력이 제거되고 선박 건조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 1 횡 지지부재 및 한 쌍의 제 2 횡 지지부재가 각각 중앙 탱크 및 한 쌍의 윙 탱크를 지지함으로써 액체 화물 저장 탱크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원유 운반선의 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6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은 액체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선박으로서, 선체(10)와, 선체(10)에 배치된 액체 화물 저장 탱크(20)를 포함한다.
액체 화물 저장 탱크(20)는 중앙 탱크(21)와 중앙 탱크(2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윙 탱크(22)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탱크(21)는 횡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내측 종격벽(11)에 의해 한정된다. 윙 탱크(22)는 횡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내측 종격벽(11)과 외측 종격벽(12)에 의해 한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윙 탱크(22)의 외측 하부 코너에는 호퍼 구조가 없다. 즉, 상하방향으로 놓인 외측 종격벽(12)과 좌우 방향으로 놓인 내저판(13)이 직접 만나 윙 탱크(22)의 외측 하부 코너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호퍼 구조를 만들기 위한 시간과 노력이 제거되어 선박 건조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은 중앙 탱크(21)를 한정하는 양측벽, 즉 한 쌍의 내측 종격벽(11)을 상호 연결하여 지지하는 제 1 횡 지지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횡 지지부재(30)는 각 내측 종격벽(11)의 중앙부를 상호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다.
제 1 횡 지지부재(30)는 내측 종격벽(11)에 형성된 웨브 프레임(17)과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은 각 윙 탱크(22)를 한정하는 양측벽, 즉 내측 종격벽(11)과 외측 종격벽(12)을 상호 연결하여 지지하는 한 쌍의 제 2 횡 지지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횡 지지부재(40)는 내측 종격벽(11)과 외측 종격벽 (12)의 중앙부를 상호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 윙 탱크(22)의 외측 하부 코너에 배치된 브라켓(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은 호퍼 구조가 없는 윙 탱크(22)의 외측 하부 코너부에 집중된 응력을 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브라켓은 윙 탱크(22)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선박(2, 3, 4)은 제 1 횡 지지부재 및 제 2 횡 지지부재의 유무에 있어서 앞선 실시예에 따른 선박(1)과 차이가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선박(2)은 중앙 탱크(22)에 제공된 제 1 횡 지지부재(30)를 포함하고, 제 2 횡 지지부재는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선박(3)은 한 쌍의 윙 탱크에 제공된 제 2 횡 지지부재(40)를 포함하고, 제 1 횡 지지부재는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선박(4)은 제 1 횡 지지부재 및 제 2 지지부재를 모두 포함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선박의 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5)은 액체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선박으로서, 선체(10)와, 선체(10)에 배치된 액체 화물 저장 탱크(20)를 포함한다. 액체 화물 저장 탱크(20)는 중앙 탱크(21)와 중앙 탱크(2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윙 탱크(2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은 중앙 탱크(21)를 한정하는 양측벽, 즉 한 쌍의 내측 종격벽(11)을 상호 연결하여 지지하는 제 1 횡 지지부재(30)와, 각 윙 탱크(22)를 한정하는 양측벽, 즉 내측 종격벽(11)과 외측 종격벽(12)을 상호 연결하여 지지하는 한 쌍의 제 2 횡 지지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횡 지지부재(30)는 각 내측 종격벽(11)의 중앙부를 상호 연결하여 지지하고, 제 2 횡 지지부재(40)는 내측 종격벽(11)과 외측 종격벽(12) 각각의 중앙부를 상호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횡 지지부재(30) 및 한 쌍의 제 2 횡 지지부재(40)가 각각 중앙 탱크(21) 및 한 쌍의 윙 탱크(22)를 지지함으로써 액체 화물 저장 탱크(20)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제 1 횡 지지부재(30) 및 한 쌍의 제 2 횡 지지부재(40)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5)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 구조(50)를 가질 수 있으나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 구조를 갖지 않을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선체
20 : 액체 화물 저장 탱크
30 : 제 1 횡 지지부재
40 : 제 2 횡 지지부재

Claims (2)

  1. 중앙 탱크와 상기 중앙 탱크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윙 탱크를 포함하는 액체 화물 저장 탱크가 선체에 배치된 액체 화물 운반선에 있어서,
    상기 중앙 탱크를 한정하는 양측벽의 중앙부를 상호 연결하여 지지하는 제 1 횡 지지부재; 및
    상기 각 윙 탱크를 한정하는 양측벽의 중앙부를 상호 연결하여 지지하는 한 쌍의 제 2 횡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각 윙 탱크의 외측 하부 코너에는 호퍼 구조가 없는 액체 화물 운반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윙 탱크의 외측 하부 코너에는 각각 브라켓이 설치되는 액체 화물 운반선.
KR2020120002610U 2012-03-30 2012-03-30 액체 화물 운반선 KR2013000589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610U KR20130005890U (ko) 2012-03-30 2012-03-30 액체 화물 운반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610U KR20130005890U (ko) 2012-03-30 2012-03-30 액체 화물 운반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890U true KR20130005890U (ko) 2013-10-10

Family

ID=52433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610U KR20130005890U (ko) 2012-03-30 2012-03-30 액체 화물 운반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589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5012A (ko) * 2014-12-19 2016-06-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창
CN114291200A (zh) * 2022-01-29 2022-04-08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制荡舱壁及巨型原油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5012A (ko) * 2014-12-19 2016-06-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창
CN114291200A (zh) * 2022-01-29 2022-04-08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制荡舱壁及巨型原油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6903B1 (ko) 결합형 래싱브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KR102001865B1 (ko) 초대형 유조선의 화물창 구조
KR101185517B1 (ko) 화물 운반선 및 그 건조 방법
KR20130005890U (ko) 액체 화물 운반선
KR102509825B1 (ko) 선박
KR101303670B1 (ko) 액체 운반선 로어 스툴의 잔유 배수구조물
KR102006691B1 (ko) 독립형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선박
KR20130003145U (ko) 액체 운반선 로어 스툴의 잔유 배수구조
KR101403619B1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KR102530022B1 (ko)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101986846B1 (ko) 컨테이너선의 구조를 고려한 독립형 액화천연가스 연료 탱크
KR20120064148A (ko) 컨테이너 운반선의 사이드 지지구조체
KR20120014633A (ko) 유조선의 화물창 구조
KR200476489Y1 (ko) 화물운반선의 래킹 벌크헤드 구조
CN208306922U (zh) 船用a型架支撑结构
KR20170029225A (ko) 유조선에서의 연료유 탱크 설치 구조
KR20110000590U (ko) 개방형 횡격벽 구조를 갖는 화물 운반선
KR20130041541A (ko) 컨테이너 운반선의 셀가이드 구조
KR101757276B1 (ko) 유조선의 화물창 구조
JP2014226987A (ja) チップ専用船の倉内トランク構造
KR101270969B1 (ko) 선박 화물창 어셈블리 및 선박 화물창 어셈블리 제조 방법
KR20120044879A (ko) 선박용 컨테이너 적재 구조물
JP2004284526A (ja) バルクキャリヤにおけるアクセストランク
KR101291247B1 (ko) 솔리드형 밸러스트 장치
KR20140096904A (ko) 해양 구조물의 상부갑판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