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670B1 - 액체 운반선 로어 스툴의 잔유 배수구조물 - Google Patents

액체 운반선 로어 스툴의 잔유 배수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670B1
KR101303670B1 KR1020110119323A KR20110119323A KR101303670B1 KR 101303670 B1 KR101303670 B1 KR 101303670B1 KR 1020110119323 A KR1020110119323 A KR 1020110119323A KR 20110119323 A KR20110119323 A KR 20110119323A KR 101303670 B1 KR101303670 B1 KR 101303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stool
corrugated
drainage structure
residual oil
kn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3721A (ko
Inventor
하청인
김명섭
김동식
남궁문
이형록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9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670B1/ko
Publication of KR20130053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6Refuse discharge, e.g. for 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56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 B63B3/60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with curved or corrugated pl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운반선 로어 스툴(Lower Stool)의 잔유 배수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카고 탱크의 구획을 나누는 파형 격벽과 카고 탱크의 구획을 나눔과 동시에 상기 파형 격벽을 지지하는 로어 스툴을 포함하며, 상기 파형 격벽의 하단 오목한 부분과 접하는 로어 스툴의 상면 자체에 경사 너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운반선 로어 스툴의 잔유 배수구조물에 의하면 구조의 추가 제작 없이 로어 스툴 상면 자체가 너클(Knuckle) 형태의 경사면을 갖도록 함으로써 선미 트림에 따라 파형 격벽과 로어 스툴의 접면 부위에 남게 되는 잔유를 자연배수에 의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경사 덧판을 설치함에 따른 작업용 추가 공간이 없으므로 구조적 취약점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키고 좀더 넓은 화물적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액체 운반선 로어 스툴의 잔유 배수구조물{The Residual Oil Drainage Structure of Tanker Lower Stool}
본 발명은 액체 운반선 로어 스툴(Lower Stool)의 잔유 배수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탱크 내부 파형 격벽(Corrugated Bulkhead)의 하단과 접하는 로어 스툴 상판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화학제품이나 정유제품 등의 액체화물 하역 후 선박의 선미 트림(Trim)에 의하여 로어 스툴 상부에 잔유가 고이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액체운반선 로어 스툴의 잔유 배수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학제품이나 정유제품 등의 액체화물을 운반해야 하는 액체화물운반선에 있어서는 액체화물의 특성상 화물 하역 시 탱크에 고여 잔존하고 있는 액체화물의 잔유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를 규정에 의하여 하역 이후 잔유량이 일정 기준을 넘지 않도록 제약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화학제품운반선(Chemical Tanker)은 파형격벽(a)을 이용하여 카고 탱크(Cargo Tank)를 구분하며, 상기 파형격벽(a)의 지지를 위해 이와 내저부(Inner Bottom) 사이에 로어 스툴(b)을 시공하게 되는데 파형격벽(a) 형상의 특성상 화학제품의 하역 이후에도 선박의 선미 트림시 필연적으로 로어 스툴(b) 상부에 잔유가 고이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로어 스툴(b) 상면에 추가적인 경사 덧판(c)을 시공하여 잔유를 없애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는데, 이는 선미 트림 상태로 운항하는 선박의 특성상 로어 스툴 상부에 발생할 수 있는 화물 잔량을 자연 배수시킬 수 있어 추가적인 배관 시스템이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첫째, 추가적인 경사 덧판(c) 구조의 시공은 로어 스툴의 상부에 상기 경사 덧판(c)의 시공을 위한 새로운 보이드 스페이스(Void Space)를 생성해야 하므로 화물창의 적재량 (Tank Volume) 감소를 유발하게 되고,
둘째, 이러한 적재량 감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경사 덧판(c) 구조를 로어 스툴 상부에 가급적 가까이 시공하여 보이드 스페이스의 공간을 최소화해야 하는데, 이 경우 좁은 작업공간(d)을 유발하게 되어 열악한 작업성을 제공할 뿐 아니라 덧판 용접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또한, 경사 덧판 구조 시공을 위해 추가적인 부재가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현재 공개된 특허문헌을 발견할 수 없습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탱크 내부의 파형 격벽의 하단과 접하는 로어 스툴 상면 구조를 경사 너클이 형성되도록 개선함으로써, 화학제품이나 정유제품 등의 액체화물 하역 후에도 선박의 선미 트림시 로어 스툴 상부에 잔유가 남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하에 제안된 본 발명은 액체운반선 로어 스툴의 잔유 배수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카고 탱크의 구획을 나누는 파형 격벽과 카고 탱크의 구획을 나눔과 동시에 상기 파형 격벽을 지지하는 로어 스툴을 포함하며, 상기 파형 격벽의 하단 오목한 부분과 접하는 로어 스툴의 상면 자체에 경사 너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운반선 로어 스툴의 잔유 배수구조물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파형 격벽의 하단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과 접하는 로어 스툴의 상판에 형성되는 경사 너클은 선단이 깊은 2개의 측면 경사판에 의하여 중앙 경사판의 선단이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운반선 로어 스툴의 잔유 배수구조물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파형 격벽의 하단 오목한 부분과 접하는 로어 스툴의 상판 자체에 구비되는 경사 너클의 경사각은 적어도 1도 이상 4도 이하의 경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운반선 로어 스툴의 잔유 배수구조물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운반선 로어 스툴의 잔유 배수구조물에 의하면 구조의 추가 제작 없이 로어 스툴 상면 자체가 너클(Knuckle) 형태의 경사면을 갖도록 함으로써 선미 트림에 따라 파형 격벽과 로어 스툴의 접면 부위에 남게 되는 잔유를 자연배수에 의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경사 덧판을 설치함에 따른 작업용 추가 공간이 없으므로 구조적 취약점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키고 좀더 넓은 화물적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액체운반선 로어 스툴의 잔유 배수구조물을 예시한 도면으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 (c)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운반선 로어 스툴의 잔유 배수구조물을 예시한 도면으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 (c)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운반선 로어 스툴의 잔유 배수구조물을 예시한 도면으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 (c)는 사시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운반선 로어 스툴의 잔유 배수구조물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운반선 로어 스툴의 잔유 배수구조물을 예시한 도면으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 (c)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운반선 로어 스툴의 잔유 배수구조물에 있어서는 카고 탱크의 구획을 나누는 파형 격벽(10)과 카고 탱크의 구획을 나눔과 동시에 상기 파형 격벽(10)을 지지하는 로어 스툴(20)을 구비한다.
여기서, 파형 격벽(10)이란 선박에서 수밀이나 유밀이 요구되는 격벽의 판을 돌출부와 홈부가 연속 반복되는 형태 즉, 파형 모양으로 굽혀서 적용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러한 파형 격벽은 보강재를 생략할 수 있어서 선박의 무게를 경감시킬 수 있고, 강도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횡격벽에는 주로 수직 파형을 사용하고, 종격벽에서는 종강도를 고려하여 수평 파형을 사용한다. 파형 격벽은 보강 격벽(stiffened bulkhead)에 비해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화물의 선적 및 하역에 유리하며, 열 하중에 의한 팽창 및 수축에도 자유로운 장점이 있어 선박의 격벽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파형 격벽(10)은 이 파형 격벽(10)의 하단에 호퍼(Hopper)모양 또는 상자모양 등의 구조로 구비되는 로어 스툴(20)과 용접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는데,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로어 스툴(20)은 1개의 상판(21)과 2개의 경사판(22)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로어 스툴(20)의 상판(21)은 파형 격벽(10)의 하단부와 용접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어 파형 격벽(10)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상판(21)의 전단 및 후단에 하방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2개의 경사판(22)은 카고 탱크의 구획을 나눔과 동시에 상기 로어 스툴(20)의 상판(21)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파형 격벽(10)과 로어 스툴(20)이 접하는 접면부,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파형 격벽(10)의 하단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과 접하는 로어 스툴(20)의 상판(21) 자체에는 일정 각도를 갖는 경사 너클(30)이 형성되는데, 통상 선수 및 선미 드래프트(Draught)에 의한 선미 트림은 베이스 라인(Base Line)을 기준으로 1 ~ 2도로 미비하다. 따라서, 로어 스툴(20) 상판(21)에 형성되는 경사 너클(30)이 갖는 경사각(θ)은 적어도 1도 이상 4도 이하의 경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사각(θ)을 2 ~ 3도로 유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파형 격벽(10)의 하단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과 접하는 로어 스툴(20)의 상판(21)에 형성되는 경사 너클(30)은 후단에 비하여 선단이 깊은 2개의 측면 경사판(31)(32)에 의하여 중앙 경사판(33)의 선단이 2 ~ 3도 정도의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선박의 선미 트림시 로어 스툴(20)의 상판(21)에 잔유가 남지 않고 경사 너클(30)을 통하여 자연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경사 너클(30)은 양측에서 상기 파형 격벽(10)과 인접하는 부위에 위치한 2개의 측면 경사판(31)(32)에 의해 중앙 경사판(33)의 선단이 상기 로어 스툴(20)의 상판(21) 보다 깊게 상기 로어 스툴(20)의 일측 경사판(22)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운반선 로어 스툴의 잔유 배수구조물을 예시한 도면으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 (c)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로어 스툴(20)의 상판(21)에 형성되는 경사 너클(40)을 2개의 측면 경사판과 1개의 중앙 경사판으로 형성하고 있는 상기 실시예와는 달리, 중앙 절곡선(L)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2개의 경사판(41)(42)으로 구성함으로써 잔유의 배수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이때 중앙 절곡선(L)의 선단이 2 ~ 3도 정도의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선박의 선미 트림시 로어 스툴(20)의 상판(21)에 잔유가 남지 않고 경사 너클(40)을 통하여 자연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경사 너클(40)은 상기 파형 격벽(10)과 인접하는 부위에 위치한 2개의 경사판(41)(42)이 중앙 절곡선(L)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선단이 상기 로어 스툴(20)의 상판(21) 보다 깊게 상기 로어 스툴(20)의 일측 경사판(22)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운반선 로어 스툴의 잔유 배수구조물에 의하면 구조의 추가 제작 없이 로어 스툴 상면 자체가 너클 형태의 경사면을 갖도록 함으로써 선미 트림에 따라 파형 격벽과 로어 스툴의 접면 부위에 남게 되는 잔유를 자연배수에 의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경사 덧판을 설치함에 따른 작업용 추가 공간이 없으므로 구조적 취약점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키고 좀더 넓은 화물적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지금까지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운반선 로어 스툴의 잔유 배수구조물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및 변형이 가능 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라 할 수 있다.
10: 파형 격벽 20: 로어 스툴
21: 상판 22: 경사판
30,40 경사 너클 31,31: 측면 경사판
33: 중앙 경사판 41,42: 경사판
L: 중앙 절곡선

Claims (4)

  1. 액체운반선 로어 스툴의 잔유 배수구조물에 있어서,
    카고 탱크의 구획을 나누는 파형 격벽(10)과 카고 탱크의 구획을 나눔과 동시에 상기 파형 격벽(10)을 지지하는 로어 스툴(20)을 포함하며, 상기 파형 격벽(10)의 하단 오목한 부분과 접하는 상기 로어 스툴(20)의 상판(21) 자체에 경사 너클(30)이 구비되고, 상기 경사 너클(30)은 양측에서 상기 파형 격벽(10)과 인접하는 부위에 위치한 2개의 측면 경사판(31)(32)에 의해 중앙 경사판(33)의 선단이 상기 로어 스툴(20)의 상판(21) 보다 깊게 상기 로어 스툴(20)의 일측 경사판(22)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운반선 로어 스툴의 잔유 배수구조물.
  2. 삭제
  3. 액체운반선 로어 스툴의 잔유 배수구조물에 있어서,
    카고 탱크의 구획을 나누는 파형 격벽(10)과 카고 탱크의 구획을 나눔과 동시에 상기 파형 격벽(10)을 지지하는 로어 스툴(20)을 포함하며, 상기 파형 격벽(10)의 하단 오목한 부분과 접하는 상기 로어 스툴(20)의 상판(21) 자체에 경사 너클(40)이 구비되고, 상기 경사 너클(40)은 상기 파형 격벽(10)과 인접하는 부위에 위치한 2개의 경사판(41)(42)이 중앙 절곡선(L)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선단이 상기 로어 스툴(20)의 상판(21) 보다 깊게 상기 로어 스툴(20)의 일측 경사판(22)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운반선 로어 스툴의 잔유 배수구조물.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경사 너클(30)(40)의 경사각(θ)은 적어도 1도 이상 4도 이하의 경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운반선 로어 스툴의 잔유 배수구조물.
KR1020110119323A 2011-11-16 2011-11-16 액체 운반선 로어 스툴의 잔유 배수구조물 KR101303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323A KR101303670B1 (ko) 2011-11-16 2011-11-16 액체 운반선 로어 스툴의 잔유 배수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323A KR101303670B1 (ko) 2011-11-16 2011-11-16 액체 운반선 로어 스툴의 잔유 배수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721A KR20130053721A (ko) 2013-05-24
KR101303670B1 true KR101303670B1 (ko) 2013-09-04

Family

ID=48662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323A KR101303670B1 (ko) 2011-11-16 2011-11-16 액체 운반선 로어 스툴의 잔유 배수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36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27920B (zh) * 2014-12-10 2017-06-30 广船国际有限公司 混合式横舱壁结构组件及包含该组件的船
CN107264720A (zh) * 2017-06-27 2017-10-20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舶舱壁结构
CN107521621B (zh) * 2017-08-29 2020-01-17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具有倾斜式横壁凳的船舶
CN108438140B (zh) * 2018-03-28 2020-06-23 广船国际有限公司 变截面槽型壁组件及包含其的船舶
CN110371237B (zh) * 2019-07-30 2022-04-12 广船国际有限公司 槽型舱壁及船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16694A (en) * 1977-03-22 1978-10-1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Lower structure of wavy partition walls in cargo hold
JPS60183286A (ja) * 1984-02-29 1985-09-18 Nippon Kokan Kk <Nkk> 船艙隔壁の建造方法
US5267522A (en) 1992-11-10 1993-12-07 Skarhar, Inc. Stripping gutter for liquid cargo vessels
KR20110092559A (ko) * 2010-02-09 2011-08-18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파형격벽 하부 상판이 없는 하부스툴 및 그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16694A (en) * 1977-03-22 1978-10-1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Lower structure of wavy partition walls in cargo hold
JPS60183286A (ja) * 1984-02-29 1985-09-18 Nippon Kokan Kk <Nkk> 船艙隔壁の建造方法
US5267522A (en) 1992-11-10 1993-12-07 Skarhar, Inc. Stripping gutter for liquid cargo vessels
KR20110092559A (ko) * 2010-02-09 2011-08-18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파형격벽 하부 상판이 없는 하부스툴 및 그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721A (ko) 2013-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3670B1 (ko) 액체 운반선 로어 스툴의 잔유 배수구조물
CN102438889B (zh) 用于超大型油轮的货舱结构
KR20130003145U (ko) 액체 운반선 로어 스툴의 잔유 배수구조
KR20180048610A (ko) 해상 부체 구조물
KR101185517B1 (ko) 화물 운반선 및 그 건조 방법
KR102006691B1 (ko) 독립형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선박
KR101897727B1 (ko) 액화 가스 탱크의 선체 지지 구조 및 액화 가스 운반선
KR101258929B1 (ko) 용접 파형격벽을 구비한 선박
JP6368060B1 (ja) 液体貨物バラ積船
KR101986846B1 (ko) 컨테이너선의 구조를 고려한 독립형 액화천연가스 연료 탱크
KR101078434B1 (ko) 부양식 도크를 이용한 2척 선박 건조 방법
KR20170001445A (ko) 탑사이드 모듈이 설치된 선박
KR20120044879A (ko) 선박용 컨테이너 적재 구조물
KR20160061134A (ko) 콘테이너선 상갑판 화물창 코너의 응력 집중 해소를 위한 구조물
JP5613289B1 (ja) チップ専用船の倉内トランク構造
KR100650607B1 (ko) 부분 수평 종재 및 부분 종방향 형재를 구비한 이중 선체선박
KR20160112621A (ko) Flng의 경사 데크 구조
CN218949397U (zh) 一种气体运输船的液货舱布局结构
JP2004284526A (ja) バルクキャリヤにおけるアクセストランク
KR20130005890U (ko) 액체 화물 운반선
KR20140112788A (ko) 컨테이너 운반선의 화물창 구조
KR20140001989U (ko) 파형격벽 턴오버용 받침대
KR20100043341A (ko) 해치커버리스 컨테이너 선박의 컨테이너 지지 구조물
KR20120103182A (ko) 선박 화물창 어셈블리 및 선박 화물창 어셈블리 제조 방법
JP2005219559A (ja) 貨物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