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211U - 쇼핑카트 - Google Patents

쇼핑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211U
KR20130002211U KR2020110008796U KR20110008796U KR20130002211U KR 20130002211 U KR20130002211 U KR 20130002211U KR 2020110008796 U KR2020110008796 U KR 2020110008796U KR 20110008796 U KR20110008796 U KR 20110008796U KR 20130002211 U KR20130002211 U KR 201300022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cart
shopping cart
handle
sho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87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균
Original Assignee
김인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균 filed Critical 김인균
Priority to KR20201100087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2211U/ko
Publication of KR201300022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21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04Means for facilitating stowing or transporting of the trolleys; Antitheft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1Ste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62B5/061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both ends or periphery of cart fitted with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501/00Manufacturing; Constructional features
    • B62B2501/04Production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형 마트 등에서 사용하는 쇼핑카트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카트 의 이동을 위하여 힘을 가할 경우 힘이 전달되는 부위가 종래의 카트 후방측에서 카트의 전방측으로 옮겨지도록 함에 의해 카트의 이동방향 조정이 용이하도록 한 쇼핑카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쇼핑카트는, 쇼핑 물건이 적재되는 바스켓과, 상기 바스켓에 연결되어 바스켓의 이동을 유도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바스켓에 연결하는 손잡이부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쇼핑카트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 연결프레임의 상기 바스켓에 연결되는 일측단부가 쇼핑카트의 전방측에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손잡이부에 힘이 가해질 경우 힘의 전달되는 부위가 카트 전방측이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쇼핑카트{shopping cart}
본 고안은 대형 마트 등에서 사용하는 쇼핑카트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카트 의 이동을 위하여 힘을 가할 경우 힘이 전달되는 부위가 종래의 카트 후측에서 카트의 전방측으로 옮겨지도록 함에 의해 카트의 이동방향 조정을 용이하게 한 쇼핑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핑카트란 백화점이나 대형 마트 등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끌고 다니면서, 구입하고자 하는 상품을 실어 계산대까지 가져가는 손수레를 말한다.
종래의 쇼핑카트는 주로 카트의 후방에서 힘을 가하여 밀고 다니기 때문에 카트가 비어 있을 때에는 좌우 방향으로의 조정에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쇼핑을 하면서 쇼핑 물품이 적재되어 무거워지게 되면서 카트의 좌우 방향으로의 조작이 어려워지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쇼핑카트의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쇼핑카트(10)는, 일반적으로 물건을 수용할 수 있는 바스켓(14)과, 상기 바스켓(14)의 후방에 위치한 손잡이부 연결프레임(13) 및 상기 바스켓(14)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 등으로 크게 구분된다.
상기 바스켓(14)은 다수의 프레임을 연결하여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골조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바스켓(14)의 후방에 위치한 손잡이부(17)와, 상기 바스켓(14)의 저부에 위치한 바스켓 지지프레임(11) 및 상기 바스켓 지지프레임(11)의 하단에 부착된 롤러(12)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 연결프레임(13)은 바스켓(14)의 후방 상측에서 연장되어 나와 연결된 제1 손잡이부 연결프레임(13a)과 바스켓(14)의 후방 하단에서 연장되어 나와 연결되는 제2 손잡이부 연결프레임(13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두 손잡이부 연결프레임(13)은 전체적으로 바스켓(14)의 후방에 편심되게 결합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한 구조의 종래의 쇼핑카트(10)에 있어서는, 손잡이부 연결 프레임(13)이 바스켓(14)의 양측 후방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바스켓(14)의 내부에 쇼핑 상품이 일정량 이상 적재되어 있는 경우 쇼핑카트(10)를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또는 쇼핑카트(10)의 방향을 전환하고자 할 경우 카트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종래의 쇼핑카트(10) 구조에서는, 외부 힘이 직접 인가되는 손잡이부(17)가 손잡이부 연결 프레임(13)을 매개로 하여 바스켓(14)의 후방측에 편심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이루므로 단순히 손잡이부(17)에 힘을 가해서는 카트의 방향 조정 등의 이동을 쉽게 할 수 없게 된다.
통상, 대형 마트의 경우 에스컬레이터로 매장을 이동하게 되는데, 에스컬레이터로의 이동시 카트를 180도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 경우 카트의 조작이 특히 더 어려워지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카트 의 이동을 위하여 손잡이부에 힘을 가할 경우 힘이 전달되는 부위가 종래의 카트 후방측에서 카트의 전방측으로 옮겨지도록 함에 의해 카트의 이동방향 조작이 용이하도록 한 쇼핑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쇼핑카트는, 쇼핑 물건이 적재되는 바스켓과, 상기 바스켓에 연결되어 바스켓의 이동을 유도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바스켓에 연결하는 손잡이부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쇼핑카트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 연결프레임의 상기 바스켓에 연결되는 일측단부가 쇼핑카트의 전방측에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손잡이부에 힘이 가해질 경우 힘의 전달되는 부위가 카트 전방측이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카트를 이동시키기 위해 인가되는 힘의 전달부위가 카트의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옮겨 지도록 구성함에 의해 카트를 전방에서 끌어주는 효과를 갖게 되며, 이에 따라 카트에 물품이 적재된 상태하에서도 방향 전환 등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를 또한 발휘한다.
도 1은 종래의 쇼핑카트의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쇼핑카트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쇼핑카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쇼핑카트의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도 3은 도 2의 쇼핑카트 구조에서 손잡이부 연결프레임이 보강된 상태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쇼핑카트(30)는 바스켓(34)과, 상기 바스켓(34)과 연결되어 바스켓(34)의 이동을 유도하는 손잡이부(37)와, 상기 바스켓(34)의 저부에 위치한 바스켓 지지프레임(31)과, 상기 바스켓(34)과 상기 바스켓 지지프레임(31)을 연결하는 바스켓 연결부재(35)와, 상기 손잡이부(37)를 상기 바스켓(34)에 연결하는 손잡이부 연결프레임(36) 및 상기 바스켓 지지프레임(31)의 하단에 부착된 롤러(3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본 고안의 상기 손잡이부 연결프레임(3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단이 손잡이부(37)와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바스켓(34)의 전방 측으로 연장되어 나와 결합된다.
즉, 본 고안의 상기 손잡이부 연결프레임(36)은 그 하측단부가 카트(10)에 연결되는 지점이 카트 바스켓(34)의 전방측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 연결프레(36)임의 하부 결합부(36b)는 바스켓(34)의 프레임상에 용접 등을 실시하여 견고한 결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 연결프레임(36)의 저부에 별도의 보강 프레임(36c)을 삽입하여 손잡이부 연결프레임(36)의 강성이 증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부호 36a는 상기 하부 결합부(36b)가 바스켓(34)의 프레임상에 결합된 부위를 나타내며 별도의 부재를 함께 덧대어 보강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상기 상부 손잡이부 연결프레임(36)은 바스켓(34)의 양측에 구비되도록 하여 바스켓(34)을 양측에서 잡아줌으로써 바스켓(34)의 들어올림이나 방향 전환 등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쇼핑카트(30)는 손잡이부(37)와 연결된 상부 손잡이부 연결프레임(33b)의 전방측 단부가 바스켓(34)의 전방에 까지 연장되어 나온 구조를 이룸으로써, 손잡이부(37)에 인가되는 힘이 바스켓(34)의 전방에까지도 미치게 되고, 이로 인해 손잡이부(37)에서의 조작에 의해 쇼핑카트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10,30 : 쇼핑카트 11,31 : 바스켓 지지프레임
12,32 : 롤러 13,33 : 손잡이부 연결프레임
14,34 : 바스켓 15,35 : 바스켓 연결부재
17,37 : 손잡이부

Claims (1)

  1. 쇼핑 물건이 적재되는 바스켓과, 상기 바스켓에 연결되어 바스켓의 이동을 유도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바스켓에 연결하는 손잡이부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쇼핑카트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 연결프레임의 상기 바스켓에 연결되는 일측단부가 쇼핑카트의 전방측에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손잡이부에 힘이 가해질 경우 힘의 전달되는 부위가 카트 전방측이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카트.
KR2020110008796U 2011-09-30 2011-09-30 쇼핑카트 KR2013000221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796U KR20130002211U (ko) 2011-09-30 2011-09-30 쇼핑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796U KR20130002211U (ko) 2011-09-30 2011-09-30 쇼핑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211U true KR20130002211U (ko) 2013-04-09

Family

ID=52425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796U KR20130002211U (ko) 2011-09-30 2011-09-30 쇼핑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221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658B1 (ko) 2016-03-25 2017-01-16 박주한 에스컬레이트와 에스컬레이트 사이의 방향전환이 용이한 쇼핑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658B1 (ko) 2016-03-25 2017-01-16 박주한 에스컬레이트와 에스컬레이트 사이의 방향전환이 용이한 쇼핑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22305S1 (en) Shopping cart component
USRE45915E1 (en) Shopping cart
JP5993427B2 (ja) 台車
WO2011071946A3 (en) Cargo container handling cart and system using same
WO2007131222A3 (en) Side-by-side tandem stroller with improved steering and handling
USD719195S1 (en) Jaw crusher support frame
KR20130002211U (ko) 쇼핑카트
CN203936645U (zh) 木工机械工作台
CA3015003C (en) Transporting device that can be moved by hand
US20110089651A1 (en) System for transporting goods
KR101253478B1 (ko) 운반대차
JP2014083929A (ja) ショッピングカート
KR101295674B1 (ko) 플라스틱 바스켓을 구비한 쇼핑카트용 프레임
KR20170000158U (ko) 자동 길이 가변형 손수레
CN203558092U (zh) 多功能手拉车
JP6536278B2 (ja) 医療用ワゴン
JP3201112U (ja) 運搬台車
KR200414737Y1 (ko) 수납함의 착탈이 가능한 카트
CN202806817U (zh) 一种购物车
CN204280156U (zh) 便于运输、折叠的盛物框
CN202716910U (zh) 一种折叠购物车
JP7298121B2 (ja) ワゴン
JP3180883U (ja) 搬送台車
CN104957859A (zh) 拼装式拉杆箱
JP2014172507A (ja) 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