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542A - 선박의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의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542A
KR20130000542A KR1020110061092A KR20110061092A KR20130000542A KR 20130000542 A KR20130000542 A KR 20130000542A KR 1020110061092 A KR1020110061092 A KR 1020110061092A KR 20110061092 A KR20110061092 A KR 20110061092A KR 20130000542 A KR20130000542 A KR 20130000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duct
ship
machine room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1661B1 (ko
Inventor
강민환
조원득
김판중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1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661B1/ko
Publication of KR20130000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선박의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은 선박의 데크 상부에 위치되는 공기 조절 장치 및 상기 공기 조절 장치로부터 이송되는 공기를 상기 선박의 엘리베이터 기계실까지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 조절 장치와 상기 선박의 엘리베이터 기계실를 연결하는 덕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조절 장치로부터 이송된 공기는 상기 덕트부를 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실로 유입된 후 상기 엘리베이터 트렁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의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 {AIR CONDITIONING SYSTEM FOR ELEVATOR OF A SHIP}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선박의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거주구에는 선박의 상부 데크(U DECK) 하부로부터 선박의 상부 데크(U DECK) 상부를 지나 선박의 거주구 최상층까지 연결되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된다.
선박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본체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공간을 형성하는 엘리베이터 트렁크(elevator trunk)와 엘리베이터 트렁크 내부에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기계들이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기계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엘리베이터 기계실은 선박의 엔진룸이 설치된 상부 데크 하부의 엔진룸 데크에 설치되는데, 종래에는 엘리베이터 기계실 내부를 별도로 환기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았다. 그리고 선박용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트렁크 내부에도 별개의 환기 장치가 설치되지 않았다.
그런데, 이와 같이 선박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의 트렁크 및 기계실에 별도의 환기 시설이 갖추어져 있지 않은 경우 엘리베이터 기계실에서 작동하는 기계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엘리베이터 기계실 내부의 온도가 증가함으로써 엘리베이터 트렁크 내부 및 외기와 온도차가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기계실 내부에서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기계실 내부의 기계 등에 녹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박의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으로서, 선박의 데크 상부에 위치되는 공기 조절 장치 및 상기 공기 조절 장치로부터 이송되는 공기를 상기 선박의 엘리베이터 기계실까지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 조절 장치와 상기 선박의 엘리베이터 기계실를 연결하는 덕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조절 장치로부터 형성된 냉각 공기는 상기 덕트부를 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실로 유입된 후 상기 엘리베이터 트렁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때, 상기 덕트부는 상기 공기 조절 장치로부터 상기 선박의 엘리베이터의 트렁크까지 연결된 제 1 덕트; 및 상기 트렁크 내부에서 상기 제 1 덕트로부터 상기 기계실까지 연결된 제 2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공기 조절 장치는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이며, 상기 공기 조화기는 상기 선박의 A 데크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덕트는 상기 A 데크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 2 덕트는 상기 트렁크의 측벽에 인접하게 수직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덕트에 설치된 방화 댐퍼 및 풍량 조절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덕트부는 상기 공기 조절 장치로부터 상기 선박의 엘리베이터의 기계실까지 연결된 제 3 덕트 및 상기 공기 조절 장치에서 상기 선박의 상부 데크 하부의 엔진룸으로부터 상기 기계실까지 연결된 제 4 덕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공기 조절 장치는 상기 선박의 상부 데크 상부에 설치된 팬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3 덕트는 상기 상부 데크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3 덕트에 설치된 방화 댐퍼 및 풍량 조절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계실은 상기 트렁크의 하부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기계실과 상기 트렁크 사이에는 개폐가능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트렁크의 상부 일측에는 외부와 연결되며 개폐 가능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의 상부 데크 상부에 위치되는 공기 조화기 또는 엔진룸을 냉각하기 위한 팬의 공기를 엘리베이터 기계실로 유입시킨 후, 기계실 내부의 공기를 기계실로부터 엘리베이터 트렁크를 통하여 배출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 기계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기계실 내부의 온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1)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1)은 선박 내부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내부를 환기시키기 위한 시스템이다. 본 실시예에서 선박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는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트렁크(20) 및 기계실(1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엘리베이터 트렁크(20)는 바닥면이 엔진룸 데크(E/R DECK)에 위치되며 엔진룸 데크(E/R DECK)로부터 선박 거주구의 탑 데크(TOP DECK)까지 연결된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엘리베이터 트렁크(20)의 내부에서는 엘리베이터(21)가 도시되지 않은 권양기와 같은 기계 장치에 의하여 선박의 트렁크(2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
한편, 엘리베이터 트렁크(20)의 하부 일측에는 엔진룸 데크(E/R DECK) 상에 엘리베이터 기계실(10)이 형성된다. 엘리베이터 기계실(10)에는 엘리베이터 트렁크(20) 내부에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21)를 작동하기 위한 공지된 기계 장치들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1)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트렁크(20) 및 기계실(10)을 환기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보다 상세히,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1)은 공기 조절 장치(30) 및 덕트부(3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 조절 장치(30)는 엘리베이터 기계실(10)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공기를 이송시키는 장치이다. 이 때, 공기 조절 장치(30)는 공기를 냉각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기계실(10)로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 조절 장치(30)에서 냉각된 차가운 공기이거나 또는 선박 외부의 외기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 조절 장치(30)는 선박의 데크 상부에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이다. 이 때, 공기 조절 장치(30)는 선박의 A 데크(A DECK)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공기 조절 장치(30)로부터 이송되는 공기를 기계실로 전달하기 위하여 공기 조절 장치와 기계실 사이에는 덕트부(31)가 형성된다.
덕트부(31)는 공기 조절 장치(30)로부터 엘리베이터 트렁크(20) 내부측으로 공기를 전달하는 제 1 덕트(32) 및 제 1 덕트(32)의 단부로부터 기계실까지 공기를 전달하는 제 2 덕트(34)를 포함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덕트(32)는 A 데크(A DECK)의 하부측에 위치된다. 제 1 덕트(32)의 일단은 공기 조절 장치(30)와 연결되며, 타단은 엘리베이터 트렁크(20)의 측벽(22)을 관통하여 엘리베이터 트렁크(20)의 내부로 연장된다.
제 1 덕트(32)는 엘리베이터 트렁크(20)의 내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열된 제 2 덕트(34)에 연결된다.
제 2 덕트(34)의 상단부는 제 1 덕트(32)와 연결되며, 제 2 덕트(34)의 하단부는 상부 데크(UDECK) 하측까지 연장된 후 다시 엘리베이터 트렁크(20)의 측벽(11)을 관통하여 기계실(10) 내부까지 연결된다.
한편, 제 1 덕트(32)의 내부에는 제 1 덕트(32)를 통하여 공기 조절 장치(30)로부터 기계실(10)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풍량 조절 댐퍼(42) 및 화재 방지를 위한 방화 댐퍼(44)가 설치된다.
이 때, 제 2 덕트(34) 내부에도 제 1 덕트(32)와 마찬가지로 풍량 조절 댐퍼(42) 및 방화 댐퍼(44)가 설치될 수 있다.
풍량 조절 댐퍼(42) 및 방화 댐퍼(44)는 이미 공지된 구성의 풍량 조절 댐퍼 및 방화 댐퍼를 사용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기계실(10)과 엘리베이터 트렁크(20) 사이의 측벽에는 개구(12)가 형성되며, 개구(12)에는 개폐가능한 창문(14)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기계실(10) 내부의 창문을 열면 기계실(10) 내부와 트렁크(20)가 서로 유체 소통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트렁크(20)의 상부 측벽(26)에는 개구(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23)에는 선박의 거주구 외부와 엘리베이터 트렁크(20)가 유체 소통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창문(24)이 개폐가능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트렁크(20)의 창문을 열면 엘리베이터 트렁크(20)와 선박의 외부가 서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1)은, 엘리베이터 기계실(10)의 온도가 올라가 기계실(10) 내부의 온도를 낮출 필요가 있는 경우 공기 조절 장치(30)로부터 냉각된 공기를 기계실(10)로 이송시킨다.
공기 조절 장치(30)로부터 나온 냉각 공기는 제 1 덕트(32) 및 제 2 덕트(34)를 지나 기계실(10) 내부로 유입된다.
이 때, 기계실(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자 할 경우, 엘리베이터 트렁크(20)와 엘리베이터 기계실(10) 사이의 창문(14)을 열어 엘리베이터 기계실(10)로부터 엘리베이터 트렁크(20) 측으로 공기를 배출한다.
엘리베이터 기계실(10)로부터 엘리베이터 트렁크(20) 측으로 배출된 공기는 엘리베이터 상부의 공기보다 더운 공기이며,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트렁크(20) 하부에 위치된 더운 공기는 자연 상승하여 엘리베이터 트렁크(20) 상부로 이동한 후 엘리베이터 트렁크(20) 상부의 창문(24)을 열었을 때 선박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공기 조절 장치(30)로부터 나온 냉각된 공기는 제 1 덕트(32) 및 제 2 덕트(34)를 지나 기계실(10) 내부를 냉각한 후 엘리베이터 트렁크(20)를 지나 선박의 거주구 밖으로 이동되고, 이와 같은 냉각 공기의 이동에 따라 엘리베이터 내부의 기계실(10) 및 트렁크(20) 내부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와 같이 공기 조절 장치(30)가 A 데크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 1 덕트(32)를 지나 엘리베이터 트렁크(2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 후 제 1 덕트(32)와 연결된 제 2 덕트(34)를 지나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그 후 기계실(10)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은 선박의 내부에 이미 형성된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공기 조절 장치로부터 기계실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함이다.
보다 상세히, 선박의 상부 데크(UDECK) 상측에서 A 데크(A DECK)의 하부에 위치된 공기 조절 장치(30)로부터 선박의 상부 데크(UDECK) 하측에 위치되는 기계실(10)로 공기를 공급하는 별도의 덕트를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그와 같은 덕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선박의 상부 데크(UDECK)를 관통하는 추가적인 덕트를 설치하는 것은 선박의 구조를 복잡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선박의 엘리베이터 트렁크 내부에 이미 비워져 있는 공간을 활용하여 기계실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 내부에서 별도로 선박 내부 구조를 변경함이 없이 덕트와 같은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트렁크(20)의 측벽에 A 데크(A DECK)의 하부에 위치되는 공기 조절 장치(30)로부터 이동된 공기가 지나는 덕트부(31)의 일부를 형성하고, 이와 같이 형성된 덕트부(31)를 통하여 공기를 기계실(10)로 안내함으로써, 선박의 구조를 거의 변경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기계실 측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1')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하고 제 1 실시예와 구별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 조절 장치는 선박의 상부 데크(UDECK)에 설치되는 팬(50)이다. 이 때, 팬(50)은 선박의 엔진룸(60)을 냉각하기 위하여 이미 선박의 상부 데크(UDECK)에 설치된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1')은 선박의 팬(50)으로부터 엔진룸 데크(E/R DECK) 상부의 엘리베이터 기계실(10)로 연결되는 제 3 덕트(52) 및 엔진룸으로부터 엘리베이터 기계실로 연결되는 제 4 덕트(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는 덕트부(51)를 포함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1')은 제 3 덕트(52) 또는 제 4 덕트(54) 하나만을 구비하거나 또는 두 덕트 모두를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3 덕트(52)는 팬(50)으로부터 엔진룸(60)으로 공기가 유동하는 덕트로부터 분기되거나 또는 그와 별개로 팬(50)으로부터 기계실(10)로 직접 연결된 덕트일 수 있다.
그리고, 제 3 덕트(52) 및 제 4 덕트(54)에는 제 1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풍량 조절 댐퍼(42) 및 방화 댐퍼(44)가 설치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1')에서는, 기계실 내부를 냉각하고자 하는 경우 팬(50)을 가동하여 제 3 덕트(52)를 통하여 기계실(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거나 또는 엔진룸(60)을 경유하여 제 4 덕트(54)를 통하여 기계실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엔진룸(60)의 높은 온도를 냉각하기 위하여 선박에 설치되는 팬(50)을 이용하여 기계실(10)을 냉각시킨 공기는 제 1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기계실(10)로부터 엘리베이터 트렁크(20)를 통하여 선박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제 3 덕트(52) 및 제 4 덕트(54)의 위치는 각각 A 데크(A DECK)의 하부 및 엔진룸 데크(E/R DECK)의 바닥부일 수 있다.
그러나, 제 3 덕트(52) 및 제 4 덕트(54)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팬으로부터 기계실로 A 데크 하부에서 연결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느 위치에든 제 3 덕트가 위치될 수 있으며, 엔진룸으로부터 기계실로 연결될 수 있는 위치라면 엔진룸 데크의 상부측에서 어느 위치에든 제 4 덕트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1')은 엔진룸(60)과 연결되어 엔진룸(60)을 냉각하기 위한 팬(50)으로부터 이송되는 외기를 직접 기계실(10)로 공급하거나 또는 엔진룸(60)을 경유하여 기계실(10)로 공급하도록 선박의 상부 갑판 하부에 덕트부를 형성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기계실을 냉각시킬 수 있는 환기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은 선박의 구조를 최소한으로 변경하면서 용이하게 엘리베이터의 기계실 및 트렁크를 환기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 10 엘리베이터 기계실
11 측벽 12 개구
14 창문 20 엘리베이터 트렁크
21 엘리베이터 22 측벽
23 개구 24 창문
26 상부 측벽 30 공기 조절 장치
32 제 1 덕트 34 제 2 덕트
42 풍향 조절 댐퍼 44 화재 댐퍼
50 팬 52 제 3 덕트
54 제 4 덕트

Claims (11)

  1. 선박의 엘리베이터의 환기 시스템으로서,
    상기 선박의 상부 데크(UDECK) 상부에 위치되는 공기 조절 장치 및
    상기 공기 조절 장치로부터 이송되는 공기를 상기 선박의 엘리베이터 기계실까지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 조절 장치와 상기 선박의 엘리베이터 기계실을 연결하는 덕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조절 장치로부터 형성된 냉각 공기는 상기 덕트부를 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실로 유입된 후 상기 엘리베이터 트렁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는
    상기 공기 조절 장치로부터 상기 선박의 엘리베이터의 트렁크까지 연결된 제 1 덕트; 및
    상기 트렁크 내부에서 상기 제 1 덕트로부터 상기 기계실까지 연결된 제 2 덕트를 포함하는, 선박의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절 장치는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이며,
    상기 공기 조화기는 상기 선박의 A 데크 하부에 위치되는, 선박의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덕트는 상기 A 데크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 2 덕트는 상기 트렁크의 측벽에 인접하게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선박의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덕트에 설치된 방화 댐퍼 및 풍량 조절 댐퍼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는
    상기 공기 조절 장치로부터 상기 선박의 엘리베이터의 기계실까지 연결된 제 3 덕트 및 상기 공기 조절 장치에서 상기 선박의 상부 데크 하부의 엔진룸으로부터 상기 기계실까지 연결된 제 4 덕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선박의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절 장치는 상기 선박의 상부 데크 상부에 설치된 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덕트는 상기 상부 데크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선박의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덕트에 설치된 방화 댐퍼 및 풍량 조절 댐퍼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은 상기 트렁크의 하부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기계실과 상기 트렁크 사이에는 개폐가능한 개구가 형성되는, 선박의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의 상부 일측에는 외부와 연결되며 개폐 가능한 개구가 형성되는, 선박의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
KR1020110061092A 2011-06-23 2011-06-23 선박의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 KR101291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092A KR101291661B1 (ko) 2011-06-23 2011-06-23 선박의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092A KR101291661B1 (ko) 2011-06-23 2011-06-23 선박의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542A true KR20130000542A (ko) 2013-01-03
KR101291661B1 KR101291661B1 (ko) 2013-08-01

Family

ID=47834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092A KR101291661B1 (ko) 2011-06-23 2011-06-23 선박의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6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179A (ko) * 2018-10-29 2020-05-08 현대건설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396A (ja) * 1985-07-18 1987-01-27 Nippon Kokan Kk <Nkk> 機関室の通風装置
JP2695931B2 (ja) * 1989-08-25 1998-01-14 日本電気株式会社 クリーンルーム用エレベータ設備
JPH03192085A (ja) * 1989-12-19 1991-08-21 Toshiba Corp エレベータ機械室用空調装置
KR100997181B1 (ko) * 2008-04-15 2010-11-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기관실의 공기 조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179A (ko) * 2018-10-29 2020-05-08 현대건설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차압 저감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1661B1 (ko) 201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44268A (zh) 空调室内机
JP5478185B2 (ja) 空調システム
CN105101737B (zh) 数据中心模块、数据中心冷却系统及方法
KR20070005672A (ko)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장치
JP6435125B2 (ja) 情報処理機器室用空調システム
JP6375101B2 (ja) 倉庫の換気方法
CN103430646A (zh) 主动地给开关柜的插入式单元的安装组件进行通风的装置
JP2016011770A (ja) 情報処理機器室用空調システム
JP6041844B2 (ja) 空調システム
EP3406980B1 (en) Air-conditioning system
JP6191485B2 (ja) 冷蔵倉庫
KR102119098B1 (ko) 엘리베이터 샤프트 냉각 시스템 및 방법
KR101291661B1 (ko) 선박의 엘리베이터용 환기 시스템
JP6339455B2 (ja) 情報処理機器室用空調システム
JP2009133617A (ja) 空調システム
CN101376477B (zh) 用于电梯的控制盘系统
CN107804638B (zh) 物品容纳设备
US11060753B2 (en) Air-conditioning system
JP6629045B2 (ja) 建物の空調構造
JP2008056371A (ja) エレベータ装置
JP5604791B2 (ja) 空調設備、空調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4005090A (ja) エレベータ装置
JP7240643B2 (ja) エレベータ
JP6093617B2 (ja) 蓄電池の設置構造
JP6052959B2 (ja) 空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