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9734A - 시트 형성 스크린 - Google Patents

시트 형성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9734A
KR20120139734A KR1020127023437A KR20127023437A KR20120139734A KR 20120139734 A KR20120139734 A KR 20120139734A KR 1020127023437 A KR1020127023437 A KR 1020127023437A KR 20127023437 A KR20127023437 A KR 20127023437A KR 20120139734 A KR20120139734 A KR 20120139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itudinal
threads
thread
fabric
fabric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3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5421B1 (ko
Inventor
볼프강 헤게르
Original Assignee
안드리츠 테크날러지 앤드 에셋 매니지먼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62704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2013973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안드리츠 테크날러지 앤드 에셋 매니지먼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안드리츠 테크날러지 앤드 에셋 매니지먼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139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DTREATMENT OF THE MATERIALS BEFORE PASSING TO THE PAPER-MAKING MACHINE
    • D21D5/00Purification of the pulp suspension by mechanical means; Apparatu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5/00Woven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0027Screen-cloths
    • D21F1/0036Multi-layer screen-cloths
    • D21F1/0045Triple layer fabric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Abstract

다층 직물로서 형성된 시트 형성 스크린이 설명되고, 직물은 16개의 종방향 스레드의 종방향 스레드 반복부를 갖고, 그 4개의 종방향 스레드(11 내지 14)는 상부 종방향 스레드로서 형성되고, 그 8개의 종방향 스레드(31 내지 38)는 하부 종방향 스레드로서 형성되고, 그 나머지 4개의 종방향 스레드(21 내지 24)는 제 1 직조부를 교대로 완성하는 서로의 옆에 각각 배열된 2개의 종방향 스레드의 2개의 기능성 종방향 스레드 쌍을 형성하고, 2개의 기능성 종방향 스레드 쌍을 형성하는 4개의 종방향 스레드의 적어도 하나는 상부 직물층 및 하부 직물층 모두에서 연장하여 이에 의해 하부 직물층을 상부 직물층에 바인딩한다.

Description

시트 형성 스크린{SHEET FORMING WIRE}
본 발명은 파이버 현탁액의 배수를 위한 제지기의 습윤 단부의 시트 형성 섹션 내의 제지 프로세스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다층 직물로 제조된 시트 형성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제지의 주 프로세스는 소위 시트 형성 스크린 또는 제지 스크린을 사용하여 제지기의 습윤 단부의 시트 형성 스크린 내의 여과에 의해 파이버 현탁액을 배수함으로써 실행되는 시트의 형성(=시트 형성)이다.
이와 관련하여, 파이버 현탁액은 물 내에 현탁된 목재 또는 셀룰로오스 파이버, 충전제 및 보조 화학제의 혼합물이다.
가능한 한 균일하게 페이퍼 시트를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시트 형성 직전의 파이버 현탁액 내의 물의 양을 대략 99%로 증가시키거나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는 파이버가 물 내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게 하는데, 이는 형성될 시트의 품질에 유리하다.
물의 양은 시트 형성 섹션 내의 전술된 여과 프로세스에 의해, 즉 시트 형성 프로세스 중에 대략 80%로 감소된다. 페이퍼 파이버 및 충전제 및 보조제는 부직포 직물의 형태로 균일하게 분포된 방식으로 제지 스크린 상에 잔류한다.
과거에는 배수 프로세스가 포드리니어(Fourdrinier) 제지기에 부착된 제지기 스크린에 의해 주로 발생하지만, 주로 트윈 와이어 제지기가 예를 들어 소의 갭 포머(gap former)의 형태로 현재 사용되고 있다. 이들 트윈 와이어 제지기는 파이버 현탁액이 2개의 제지 스크린들 사이에 형성된 갭 내로 스프레이되어, 배수가 양 스크린을 통해 동시에 발생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의해 여과 프로세스 및 따라서 또한 제지기의 제조 속도를 상당히 가속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2,000 m/min 초과의 속도를 갖는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낮은 표면 중량을 갖는 페이퍼의 유형을 위한 제지기가 현재 존재한다.
제조될 페이퍼에 대한 이들 극단적인 요건 및 제지기 내에 존재하는 조건은 특히 이 목적으로 설계되고 높은 파이버 지지, 높은 개방도 및 높은 기계적 안정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시트 형성 스크린을 필요로 한다. 게다가, 낮은 직물의 마킹 경향, 즉 페이퍼 형성 스크린의 높은 균일도가 특히 그래픽 페이퍼의 분야에서 필요하다.
특정 사용 목적에 적응된 상이한 방식으로 형성된 2개의 측면을 포함하는 다층 제지 스크린이 과거 수년간에 걸쳐 이들 적용 분야에 대해 가치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 유형의 스크린은 상부 조직의 상부측에 의해 형성된 페이퍼 측면을 갖는다. 습관적인 언어 사용에서, 페이퍼 측면은 또한 스크린의 상부 측면이라 칭하고, 페이퍼 시트를 형성하는 것과 관련된다. 게다가, 이들 스크린은 하부 직물의 하부 측면에 의해 형성된 기계 측면을 갖는다. 스크린의 하부 측면이라 또한 칭할 수 있는 기계 측면은 제지기의 부재에 접촉한다. 각각의 스크린 측면은 기계 방향 및 교차 방향으로 갖는다. 이 관점에서, 기계 방향(또한 "기계 방향"에 대해 MD)은 페이퍼 웨브의 연장 방향, 따라서 또한 제지기 스크린의 연장 방향을 칭하고, 때때로 교차 기계 방향이라 또한 칭하는 교차 방향(또한 "교차 기계 방향"에 대해 CMD)은 제지기 스크린의 평면에서 90°만큼 회전된 방향, 즉 페이퍼 및 스크린의 연장 방향에 횡단하여 위치된 방향이다.
현대식 제지기 스크린의 매우 특정 구성에 기인하여, 그렇지 않으면 스크린의 작동 모드가 보장되지 않거나 충분하게 보장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페이퍼 및 기계측 또한 기계 및 교차 방향의 모두는 상호 교환 가능하지 않다. 예를 들어, 스크린의 이동/순환을 실현하는 기계측 상의 기계 방향 스레드(thread)(=종방향 스레드)는 상당히 돌출하거나 튀어나온 횡방향 스레드에 의해 마모에 대해 보호될 수 있다. 페이퍼측에 종방향 스레드 및 횡방향 스레드의 균형된 관계를 제공하는 것은 페이퍼 파이버의 양호한 침착 가능성을 보장할 수 있다. 파이버 지지에 대해, 또한 스크린의 마킹에 대한 경향에 대해, 가장 간단하고 동시에 직물 엔지니어링의 가장 오래된 기본 직조부가 상부 직물에 대해 따라서 페이퍼측에 대해, 즉 소위 평평한 직조부에 대해 가치가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 종류의 직조부에서, 그 반복부(=직조부의 최소 반복 유닛)는 2개의 날실(일반적으로, 스크린의 종방향 스레드/기계 방향 스레드는 날실에 의해 형성됨) 및 2개의 씨실(일반적으로, 스크린의 횡방향 스레드는 씨실에 의해 형성됨)에 의해 정확하게 형성되고, 스레드는 특히 친밀하고 균일한 방식으로 직물에 접속된다. 평평한 직조부는 페이퍼 시트를 형성하기 위해 매우 양호하게 적합되고 따라서 페이퍼측에 대해 매우 양호하게 적합되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기계측에 대해서는 매우 양호하게 적합되지는 않는다. 제지기 스크린이 평평한 직조 페이퍼측을 구비하면, 따라서 평평한 직조부 아래에 제 2 파이버층을 제공하여, 스크린에 충분한 안정성 및 마모 잠재성을 제공하는 스크린의 기계측을 형성하는 것이 적합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2개의 층의(즉, 페이퍼측을 형성하는 상부 직물 및 기계측을 형성하는 하부 직물의) 접속이, 페이퍼측에 대해 적당한 평평한 직조부가 이러한 층 접속을 위한 특히 바람직하지 않은 전제 조건을 수반하는 사실에 기인하여 무엇보다도 특정 과제이다.
종래 기술은 2개의 스크린 직물층을 접속하기 위한 상이한 접근법을 설명하고 있는데, 그 일 접근법은 종방향 또는 횡방향에서 연장하는 부가의 개별 바인더 스레드의 사용을 설명하고 있다. 이 접근법에 따르면, 2개의 완성되고 완료된 직물층은 개별의 직물-외부 바인더 스레드에 의해 서로 접속되고, 이 바인더 스레드는 대응 직물층 직조부를 수립하기 위해 요구되지 않고 기여하지 않는다. 양 직물층은 각각의 직물층 내에서만 연장되어 이에 의해 각각의 직물층 패턴 및/또는 각각의 직물층 직조부를 완전하게 생성하는 종방향 스레드 및 횡방향 스레드로 이루어진다. 이 접근법은 예를 들어 상부 직물의 씨실 및 하부 직물의 씨실과 바인딩되는 개별 바인더 씨실이 사용되는 CA 1 115 177 A1호 및 개별 날실이 바인더 스레드로서 사용되는 DE 39 28 484 A1호에 설명되어 있다. 다른 예는 DE 42 29 828 A1호, WO 93/00472호 및 EP 0 136 284 A2호에서 발견될 수 있다. 개별 바인더 스레드는 일반적으로 각각의 직물층을 형성하는 스레드보다 얇도록 구성되는데(예를 들어, CA 1 115 177 A1호 참조), 이는 바인더 스레드가 직물 형성 스레드에 추가하여 직물 구조체 내에 합체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관점에서, 특히 평평한 직조부 내에 이러한 개별 바인더 스레드에 대해 적은 공간이 제공된다. 다르게는, 바인더 스레드는 직조부의 원래 균질한 구조체와 간섭할 수 있어, 페이퍼 내에 마킹을 야기하는 불완전부가 특히 페이퍼측에 제공된 평평한 직조부에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는 얇은 바인더 스레드가 마모되고 대량의 연마성 충전제를 처리하고 또는 그 구성이 기계 방향에서 굽힘으로 스크린 상에 상당한 스트레인을 부여하는 파괴가 특히 기계 방향에서 다소 빨라져서, 2개의 직물층이 먼저 변위되고 그 결과로서 분리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변경된 직물/스크린에 의해 고품질의 페이퍼를 제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대안으로서, 소위 기능성 횡방향 스레드 쌍으로서 상호 작용하는 적어도 2개의 횡방향 스레드가 사용될 수 있다. 기능 쌍의 횡방향 스레드 중 하나 또는 모두는 상부 직물 및 하부 직물 내에서 교대로 연장한다. 이 관점에서, 기능 쌍의 양 횡방향 스레드는 페이퍼측 평평한 직조부의 실질적으로 방해받지 않은 횡방향 스레드, 즉 상부 상호 접속된 횡방향 스레드를 형성할 수 있다. 페이퍼측에서 실질적으로 방해받지 않은 횡방향 스레드를 형성하기 위해 현재 요구되지 않는 기능 쌍의 이들 스레드부는 직물 내부에서 연장하고 하부 직물을 상부 직물에 바인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하부 직물을 바인딩하는 스레드부는 예를 들어 동시에 하부 직물 또는 그 직조부를 완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횡방향 스레드는 2개의 기능성 횡방향 스레드 쌍 사이에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평평한 직조부만을 완성하지만(즉, 상부 직물 내에서만 연장함), 바인딩 기능은 갖지 않는다. 이 접근법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예를 들어, EP 0 097 966 A2호, EP 794 283 A1호, WO 99/06630 A1호, WO 99/06632 A1호 및 WO 02/14601 A1호에서 발견될 수 있다. 바인더 스레드 및 상부 직물을 형성하는 횡방향 스레드가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어, 이에 의해 페이퍼측의 균일성이 증가될 수 있게 되는 것이 이 해결책의 장점이다. 게다가, 재료 사용량이 제한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바인딩 강도가 감소된다. 더욱이, 이 접근법은 내부 마모 및 그와 연계된 층 분리를 충분한 방식으로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았다. 제지기 내의 롤러 및 드레인 부재에 대한 스크린의 편향은 종방향에서 스크린의 굽힘을 유도한다. 이 관점에서, 2개의 직물층의 하나는 항상 압축되고, 반면에 다른 하나는 팽창된다. 마찰이 2개의 개별층의 내부측에서 발생하고, 이는 내부 마모를 유도한다. 게다가, 횡방향으로 배향된 바인더 스레드는 직물 내에서 약간 이동되고, 이는 마찰 및 따라서 또한 횡방향으로 배향된 바인더 스레드와 하나의 층에서만 합체된 스레드 사이의 마모를 유도한다.
다른 대안은 소위 기능성 종방향 스레드 쌍에 의한 층의 접속일 수 있다. 양 직물층이 주 굽힘 방향에서 연장하는 스레드에 의해 관통되면, 길이의 차이는 매우 짧은 간격으로 균형화된다. 내부 상대 이동의 가능성은 실제로 더 이상 관련되지 않는 정도로 감소된다. 이와 관련하여, DE 100 30 650 C1호 및 US 2007/0 157 988호에 설명된 해결책은 실제로는 거기에 설명된 기능성 종방향 스레드 쌍에 의한 페이퍼측 평평한 직조부로의 기계측의 바인딩이 층 분리를 더 이상 유도하지 않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기계측 교차 방향 스레드의 긴 부유, 소위 날실 변경 위치의 수 및 분포 및 기계측 기계 방향 스레드로의 페이퍼의 분배에 기인하여, 이들 직물은 페이퍼 내의 마킹, 직물 내의 물 함량 및 파이버 지지에 대한 이들의 한계에 부합하고, 경량 그래픽 페이퍼에 대해 거의 사용될 수 없다.
EP 0 069 101호 및 EP 093 096호는 또한 기능성 종방향 스레드 쌍에 의한 층 접속을 개시하고 있다.
EP 1 767 692 A2호는 다층 직물을 개시하고 있고, 여기서 페이퍼측 평평한 직조부는 기계측 4-샤프트 직조부에 바인딩된다. 상부 직물에서, 상부 직물 내에서만 연장하는 상부 종방향 스레드 및 종방향 스레드의 기능 쌍은 교대로 제공된다. 각각의 상부 종방향 스레드는 서로의 옆에 쌍으로 배열된 2개의 하부 종방향 스레드 위로 연장하고, 이들 하부 종방향 스레드는 하부 직물 내에서만 연장된다. 각각의 기능성 종방향 스레드 쌍은 한편으로는 상부 직물 내의 상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를 형성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 아래에 배열되어 하부 직물 내에서만 연장하는 하부 종방향 스레드의 좌측 및 우측에 하부 직물을 바인딩한다. 하부 직물은 전적으로 하부 횡방향 스레드 및 하부 종방향 스레드로 이루어지고, 한편 하부 직물 내에서 연장하는 기능성 종방향 스레드 쌍의 스레드부에 의해 상부 직물에만 바인딩된다(바인딩 스레드부는 개별의 직물-외부 바인더 스레드로서 작용함). 직물은 18개의 종방향 스레드의 종방향 스레드 반복부를 갖는데, 그 중 3개는 상부 종방향 스레드로서 형성되고, 그 중 9개는 하부 종방향 스레드로서 형성되고, 나머지 6개의 종방향 스레드는 3개의 기능 쌍을 형성한다. 정의(이하 참조)에 따르면, 2:3(6:9) 또는 1:2(6:12)의 종방향 스레드비가 얻어진다[각각의 하나의 하부 종방향 스레드로서 서로의 옆에 쌍으로 배열된 하부 종방향 스레드를 고려하면, 1:1(6:6) 또는 2:3(6:9)의 비가 얻어짐].
유사한 접근법이 WO 2004/085740 A2호 및 WO 2004/085741 A1호에 설명되어 있고, 여기서 WO 2004/085740 A2호는 4개의 상부 종방향 스레드, 4개의 기능 쌍 및 8개의 하부 종방향 스레드로 분배되는 20개의 스레드의 종방향 스레드 반복부를 갖는 직물을 개시하고 있다. WO 2004/085741 A1호에 개시된 직물은 4개의 상부 종방향 스레드, 4개의 기능 쌍 및 4개의 하부 종방향 스레드로 분배된 16개의 스레드의 종방향 스레드 반복부를 가져, 2:1(8:4) 또는 1:1(8:8)의 종방향 스레드비가 얻어지게 된다. 양 직물에서, 하부 직물은 단지 기능 쌍의 스레드부에 의해 상부 직물에만 바인딩되는데, 즉 하부 직물은 하부 종방향 스레드 및 하부 횡방향 스레드에 의해 전적으로 마지막으로 형성된다.
EP 1 826 316 A2호는 4개의 상부 종방향 스레드, 12개의 하부 종방향 스레드 및 4개의 기능 쌍을 갖는 종방향 스레드 반복부(즉, 24개의 스레드의 종방향 스레드 반복부)를 갖는 직물을 설명하고 있다. 상부 날실 및 기능 쌍은 기능 쌍에 의해 완전한 하부측에 바인딩되는 페이퍼측 평평한 직조부를 형성한다. 적어도 3개의 상이한 날실 시스템이 직물을 제조하기 위해 요구된다. 상부 종방향 스레드 및 기능 쌍은 교대로 배열되고, 이는 2개의 상이한 상부 날실 시스템과 중첩하는 페이퍼측 직조부 패턴을 유도한다.
EP 1 527 229 B1호 및 EP 1 220 964 B1호는 각각 3개의 날실로 구성된 3중 날실을 개시하고 있는데, 그 날실은 각각 상부 직물 및 하부 직물 내에서 연장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제조가 용이하고 전술된 요구, 즉 예를 들어 높은 파이버 지지, 높은 기계적 안정성, 낮은 마킹 경향 및 안정한 층 접속에 부합하는 다층 직물로 제조된 시트 형성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시트 형성 스크린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의 다른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에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 형성 스크린은 16개의 종방향 스레드의 종방향 스레드 반복부를 갖는 다층 직물로 형성되고, 그 중 4개의 종방향 스레드는 상부 종방향 스레드로서 형성되고, 그 중 8개의 종방향 스레드는 하부 종방향 스레드로서 형성된다. 나머지 4개의 종방향 스레드는 서로의 옆에 배열된 각각의 2개의 종방향 스레드의 2개의 기능성 종방향 스레드 쌍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기능성 종방향 스레드 쌍을 형성하는 4개의 종방향 스레드의 각각은 상부 직물층 및 하부 직물층 모두 내에서 연장하고, 이에 의해 상부 직물층은 하부 직물층에 단단히 접속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종방향 스레드는 상부 직물층 내에서 연장하는 횡방향 스레드와 함께 상부 직물층의 직조부(즉, 예를 들어 페이퍼측 직조부)를 부분적으로 형성하고, 8개의 하부 종방향 스레드는 하부 직물층 내에서 연장하는 횡방향 스레드와 함께 하부 직물층의 직조부(즉, 예를 들어 기계측 직조부)를 부분적으로 형성하고, 나머지 4개의 종방향 스레드에 의해 형성된 2개의 기능성 종방향 스레드 쌍은 상부 직물층의 직조부 및 하부 직물층의 직조부의 모두를 완성한다. 이 관점에서, 2개의 기능 쌍의 종방향 스레드는 대응 직조 패턴 내에 삽입되는 2개의 상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 및 2개의 하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기능성 종방향 스레드 쌍을 형성하는 4개의 종방향 스레드 중 적어도 하나는 상부 직물층 및 하부 직물층 모두 내에서 연장되고, 이에 의해 상부 직물층이 하부 직물층에 접속된다. 양 직물층 내에서 연장되지 않는 2개의 종방향 스레드 쌍의 종방향 스레드는 상부층 내에서 그리고 2개의 층 사이에서 교대로, 즉 상부층 내에서 그리고 직물의 내부에서 교대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기능성 종방향 스레드 쌍을 형성하는 모든 4개의 종방향 스레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마찬가지로 상부 직물층 및 하부 직물층 모두 내에서 연장되어, 직물층들의 신뢰적인 접속이 보장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종방향 스레드는 상부 직물층 내에서 연장하는 횡방향 스레드와 함께 상부 직물층의 직조부(즉, 예를 들어 페이퍼측 직조부)를 부분적으로 형성하고, 8개의 하부 종방향 스레드는 하부 직물층 내에서 연장하는 횡방향 스레드와 함께 하부 직물층의 완전한 직조부(즉, 예를 들어 기계측 직조부)를 미리 형성한다. 각각의 종방향 스레드 쌍의 2개의 종방향 스레드는 상부 직물층의 직조부를 교대로 완성한다. 따라서, 2개의 기능 쌍의 종방향 스레드는 상부 직물층의 직조부를 완성하는 2개의 상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를 형성한다. 게다가, 하부 및 상부 직물층 모두 내에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스레드는 하부 종방향 스레드에 의해 완전하게 형성된 하부 직물층을 개별 바인더 스레드로서 작용하는 상부 직물층에 바인딩한다. 기능 쌍의 양 종방향 스레드가 상부 직물층 및 하부 직물층 모두 내에서 연장하면, 종방향 스레드 쌍의 2개의 종방향 스레드는 제 1 직조부를 교대로 완성하고, 게다가 하부 종방향 스레드에 의해 완전하게 형성된 하부 직물층을 상부 직물층에 교대로 바인딩한다. 이는 후자의 경우에, 상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를 형성하기 위해 현재 사용되지 않는 기능 쌍의 스레드부가 하부 직물층을 상부 직물층에 접속하기 위해, 하부 직물 내에서 연장하여 개별 바인더 스레드로서 작용하는 적어도 횡방향 스레드를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증가된 수의 바인딩점 및 따라서 더 강한 층 접속의 장점을 갖는다. 게다가, 기능 쌍의 양 스레드는 후자의 경우에 동일한 스레드 길이를 갖는데, 이는 균일한 인터레이스(interlace)를 유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층으로의 상부층의 접속은 따라서 개별 접속 스레드에 의한 또는 기능성 횡방향 스레드 쌍에 의한 층 접속에 비교하여 전술된 장점을 유도하는 기능성 종방향 스레드 쌍에 의해 실현된다(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러나,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개별 접속 스레드가 기능성 종방향 스레드 쌍에 추가하여 제공되는 유형의 스크린을 예를 들어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직물이 16개의 종방향 스레드의 종방향 스레드 반복부를 갖는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그리고 4개의 상부 종방향 스레드, 8개의 종방향 스레드 및 2개의 기능 쌍으로의 16개의 종방향 스레드의 청구된 분배에 기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페이퍼 형성 스크린은 16개의 샤프트와 2개의 날실 빔(warp beam)(종방향 스레드가 날실에 의해 형성되면)의 샤프트 패키지를 구비하는 직조기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16개의 종방향 스레드는 8개의 스레드 각각의 2개의 날실 빔 유닛으로 분리될 수 있고, 제 1 유닛은 각각의 반복부의 8개의 하부 종방향 스레드를 포함하고 제 2 유닛은 각각의 반복부의 나머지 8개의 종방향 스레드를 포함한다. 16개의 샤프트 및 2개의 날실 빔을 구비한 직조기가 복수의 다른 직물/스크린의 제조를 위해 요구되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이 현존하는 직조기에 의해 임의의 문제점 없이 제조될 수 있게 된다. 이는 개별 직조기를 사용하거나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을 제조하기 위해 현존하는 직조기를 재구성하도록(예를 들어, 샤프트를 추가하거나 회수함으로써) 요구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은 기계의 이전의 재구성이 필요하지 않고 다른 16-샤프트 스크린의 제조 파괴 중에 오히려 제조될 수 있다.
16개의 종방향 스레드의 청구된 분배/할당은 4:8 또는 1:2의 상부 종방향 스레드 대 하부 종방향 스레드의 비를 초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의 제 1 실시예에 대해, 2개의 기능 쌍의 4개의 종방향 스레드 중 각각의 2개는 이들 4개의 종방향 스레드가 양 층 내의 직물의 형성에 기여하고 각각 2개의 복합 종방향 스레드를 형성함에 따라 각각 하부 및 상부 직물층에 할당될 수 있어, 6:10 또는 3:5의 총 종방향 스레드비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의 제 2 실시예에서, 종방향 스레드비를 계산할 때 단지 2개의 상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만이 고려되면, 6:8 또는 3:4의 종방향 스레드비가 얻어진다. 4개의 종방향 스레드가 상부 직물 및 하부 직물에 균등하게 분배되면(하부 직물층 내의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스레드만이 개별 바인더 스레드로서 작용할지라도),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6:10 또는 3:5의 비가 얻어진다. 3:5 또는 3:4의 설명된 종방향 스레드비 및 일반적으로 페이퍼측을 형성하는 수반된 상부 직물층 내의 감소된 종방향 스레드수는 그 연장부가 스크린 종방향에서보다 스크린 교차 방향에서 더 큰 페이퍼측 교차 메시의 형성을 조장한다. 이러한 교차 메시는 페이퍼 파이버가 제지기의 작동 및 그 헤드 박스 내의 유동 조건에 기인하여 주로 기계 방향으로 배향됨에 따라 높은 파이버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 이는 스크린 표면이 일정한 총 스레드수를 갖는 파이버 지지 능력 및 상당한 투과성 및 상응하는 디자인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소 횡방향 방식으로 배향된 스크린의 페이퍼측은 향상된 파이버 지지를 제공한다. 비교적 큰 수의 하부 종방향 스레드는 교차 메시의 형성과 함께 진행하는 기계 방향에서의 스크린 팽창의 증가 및 강도의 페이퍼측 감소를 균형화하는데, 즉 페이퍼측 종방향 스레드의 감소에 의해 발생된 임계 기계 방향에서 스크린의 팽창의 증가 및 강도의 감소는 큰 수의 기계측 종방향 스레드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확하게 2개의 상부 종방향 스레드 및/또는 정확하게 4개의 하부 종방향 스레드는 2개의 기능성 종방향 스레드 쌍 사이에서 직물 내에 배열되고, 이에 의해 특히 균일한 페이퍼측 및 기계측이 각각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종방향 스레드 및 기능 쌍의 종방향 스레드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종방향 스레드가 날실에 의해 형성되면, 상부 종방향 스레드 및 기능 쌍의 종방향 스레드는 따라서 공통 날실 빔 상에 권취될 수 있다. 하부 종방향 스레드의 직경은 예를 들어 상부 종방향 스레드 및 기능 쌍의 종방향 스레드의 직경에 동일하다(특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대안적으로, 하부 종방향 스레드의 직경은 상부 종방향 스레드 및 기능 쌍의 종방향 스레드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특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직물 내에서 연장하는 모든 횡방향 스레드는 상부 직물 내에만 배열되는 상부 횡방향 스레드로서 형성되고, 그리고/또는 하부 직물 내에서 연장하는 모든 횡방향 스레드는 하부 직물 내에만 배열된 하부 횡방향 스레드로서 형성된다.
하부 직물 내에서 연장하는 횡방향 스레드는 예를 들어 상부 직물층 내에서 연장하는 횡방향 스레드보다 직경이 클 수 있다.
상부 직물 내에서 연장하는 횡방향 스레드 대 하부 직물 내에서 연장하는 횡방향 스레드의 비는 예를 들어 1 초과, 예를 들어 적어도 또는 정확하게 2:1 또는, 예를 들어 적어도 또는 정확하게 3:2일 수 있다. 상부 직물 내에서 연장하는 큰 수의 횡방향 스레드는 전술된 페이퍼측 횡방향 메시의 형성을 조장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부 직물 및 상부 직물 내에서 연장하는 특정 수의 횡방향 스레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직조부(=상부 직물층의 직조부)는 예를 들어 평평한 직조부일 수 있고, 제 2 직조부(=하부 직물층의 직조부)는 예를 들어 5-샤프트 직조부(특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대안예에서, 이 관점에서, 2개의 기능 쌍의 4개의 종방향 스레드는 제 2 직조부의 설명/평가를 위한 2개의 하부 종방향 스레드로서 고려되는 2개의 하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를 형성함) 또는 4-샤프트 직조부(특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대안예에서)(이와 관련하여, 4-샤프트 직조부 또는 5-샤프트 직조부는 직조부가 4개 또는 5개의 샤프트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달리 말하면 이러한 직조부의 반복부는 4개 또는 5개의 날실 및 종방향 스레드 각각을 가짐)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부 직물의 특정 직조부 또는 하부 직물의 특정 직조부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부 직물 및 하부 직물은 예를 들어 평평한 직조부와 같은 동일한 직조부를 또한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의 다른 변형예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이하, 본 출원에 사용되는 용어의 일부가 정의될 것이다.
종방향 스레드는 제지기의 기계 방향에 배열된 스크린/직물의 스레드이다. 편평한 직조 스크린에서, 종방향 스레드는 직조 직기(weaving loom)의 날실에 의해 형성된다. 원형 직조된 직물이 반대로 씨실에 의해 종방향 스레드를 실현한다.
횡방향 스레드는 제지기의 기계 방향에 횡방향으로 배열된 스크린/직물의 스레드이다. 편평한 직조 스크린에서, 횡방향 스레드는 씨실에 의해 형성된다. 원형 직조된 직물이 반대로 직조 직기의 날실에 의해 횡방향 스레드를 실현한다.
직물층은 횡방향 스레드 및 종방향 스레드(또는 날실 및 씨실)로 이루어진 단층 직물이다.
상부 직물 또는 상부 직물층은 일반적으로 특히 미세한 방식으로 형성되고, 일반적으로 스크린의 페이퍼측(=외향으로 배향된 상부 직물의 상부측)을 형성하고, 그 위에 페이퍼 파이버층이 형성되어 있는 직물층이다. 상부층은 스크린의 "논리적 상부층"에 위치된다.
하부 직물 또는 하부 직물층은 일반적으로 특히 강인한 방식으로 형성되고, 일반적으로 스크린의 기계측(=외향으로 배향된 하부 직물의 하부측)을 형성하고, 마모를 생성하는 제지기의 구동 및 드레인 부재와 직접 접촉하게 되는 직물층이다.
상부 횡방향 스레드는 상부 직물 내에만 위치되고 상부 직물 내에서 연장하는 횡방향 스레드와 상호 직조되는 스레드이다. 상부 횡방향 스레드는 상부 직물을 전혀 떠나지 않는데, 즉 이들은 하부 직물 내로 변경되지 않는다.
상부 횡방향 스레드는 상부 직물 내에만 위치되고 상부 종방향 스레드와(뿐만 아니라 기능 쌍의 종방향 스레드와) 상호 직조되는 스레드이다. 상부 횡방향 스레드는 상부 직물을 전혀 떠나지 않는데, 즉 이들은 하부 직물 내로 변경되지 않는다.
하부 종방향 스레드는 하부 직물 내에만 위치되고 하부 직물 내에서 연장하는 횡방향 스레드와 상호 직조되는 스레드이다. 하부 종방향 스레드는 하부 직물을 전혀 떠나지 않는데, 즉 이들은 상부 직물 내로 변경되지 않는다.
하부 횡방향 스레드는 하부 직물 내에만 위치되고 하부 종방향 스레드와(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또한 기능 쌍의 종방향 스레드와) 상호 직조되는 스레드이다. 하부 횡방향 스레드는 하부 직물을 전혀 떠나지 않는데, 즉 이들은 상부 직물 내로 변경되지 않는다.
기능성 종방향 스레드 쌍은, 스크린/직물 내에서의 그 위치가 하나의 직물층에 한정되지 않는, 즉 기능 쌍의 종방향 스레드가 단지 하나의 직물층 내에서만 연장하지 않는 서로 바로 옆에 위치된 2개의 종방향 스레드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기능성 종방향 스레드 쌍의 양 종방향 스레드는 하부 직물 및 상부 직물의 모두 내에서 연장하는데, 즉 종방향 스레드 쌍의 종방향 스레드는 상부 직물층과 하부 직물층 사이에서 변경된다(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대안예에서). 그러나, 기능 쌍의 하나 또는 양 종방향 스레드는 직물의 내부와 2개의 층 중 하나 사이에서 또한 변경될 수 있다(제 2 실시예의 제 2 대안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 쌍의 2개의 스레드는 상부 종방향 스레드의(예를 들어 상부 날실의) 작업 및 하부 종방향 스레드의(예를 들어 하부 날실의) 작업의 모두를 함께 충족하고, 게다가 이들의 연장에 기인하여 상이한 직물층을 상호 접속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상부 종방향 스레드 및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하부 종방향 스레드는 또한 "각각 상부 및 하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라 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 쌍의 2개의 종방향 스레드는 함께 상부 직물-내부 종방향 스레드("상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의 작업 및 적용 가능하면 하부 직물-외부 바인더 스레드의 작업을 충족한다.
종방향 스레드 반복부가 직물 내의 종방향 스레드의 최소 반복 유닛이다. 종방향 스레드가 날실에 의해 형성되면, 종방향 스레드 반복부의 스레드수는 직물을 제조하기 위해 요구된 샤프트의 수에 대응한다.
본 발명이 도면을 참조하여 2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상부 직물층을 (A)에 의해 나타내고 하부 직물층을 (B)에 의해 나타내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의 개략적으로 도시된 완전한 반복부의 사시도.
도 2는 횡방향 스레드가 생략되어 있는, 2개의 직물층으로의 16개의 종방향 스레드의 분포의 개략도.
도 3은 도 1의 직물의 정면도(종방향 스레드 및 횡방향 스레드 연장부의 단면이 보여질 수 있음).
도 4는 6 내지 10의 종방향 스레드(및 각각 날실)의 비 및 도 1의 직조의 페이퍼측 및 기계측 횡방향 스레드의 기본 연장부가 보여질 수 있는, 도 1의 직물의 사시도.
도 5는 그 아래에 위치된 기계측이 생략되어 있는, 도 1의 직물의 페이퍼측의 개략 평면도.
도 5a는 상부 횡방향 스레드가 상부 종방향 스레드 또는 상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에 의해 바인딩되는 바인딩 위치가 "x"로 마킹되어 있는, 상부 직물의 직조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1의 직물의 하부 직물층의 개략 평면도(그 위에 위치된 페이퍼측이 없음).
도 6a는 하부 횡방향 스레드가 하부 종방향 스레드 또는 하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에 의해 바인딩되는 바인딩 위치가 "x"로 마킹되어 있는, 하부 직물의 직조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1의 전체 직물의 개략 평면도, 즉 기능 쌍의 변화 위치를 포함하는, 페이퍼측(상부 직물) 및 그 아래에 위치된 기계측(하부 직물)의 모두의 평면도.
도 8은 도 1 내지 도 7의 직물을 실현하기 위한 직조기의 16개의 샤프트 내의 반복부의 16개의 날실의 순서화에 관한 개략 평면도.
도 9는 하부 직물층이 생략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층 직물의 상부 직물층의 개략 평면도.
도 9a는 상부 횡방향 스레드가 상부 종방향 스레드 또는 상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에 의해 바인딩되는 바인딩 위치가 "x"로 마킹되어 있는, 상부 직물의 직조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층 직물의 하부 직물층의 개략 평면도.
도 10a는 하부 횡방향 스레드가 하부 종방향 스레드에 의해 바인딩되는 바인딩 위치가 "x"로 마킹되어 있고, 하부 직물이 기능성 종방향 스레드 쌍의 종방향 스레드에 의해 상부 직물에 바인딩되는 바인딩 위치가 "-"로 마킹되어 있는, 하부 직물의 직조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개략 정면도.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직물을 도시한다. 직물은 다층 직물, 예를 들어 스크린으로서, 예를 들어 제지 프로세스 중에 요구되는 바와 같은 시트 형성 스크린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부 직물층은 도면 부호 (A)에 의해 나타내고, 반면에 하부 직물층은 도면 부호 (B)에 의해 나타낸다. 상부층은 예를 들어 스크린의 페이퍼측을 형성할 수 있고, 하부층은 예를 들어 스크린의 기계측을 형성할 수 있다.
직물의 정확하게 하나의 반복부, 즉 전체 직물의 최소 반복 유닛이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반복부는 정확하게 16개의 종방향 스레드(=기계 방향 스레드)(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4 참조) 및 정확하게 30개의 횡방향 스레드(=기계 교차 방향 스레드)(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7 참조)를 포함한다. 종방향 스레드는 예를 들어 날실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횡방향 스레드는 예를 들어 씨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직물은 16개의 샤프트(16개의 스레드의 종방향 스레드 반복부에 대응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도 8 참조).
16개의 종방향 스레드는 하부 직물층 및 상부 직물층에 이하와 같이 분배된다. 4개의 종방향 스레드(11, 12, 13, 14)는 상부 직물층 내에서만 연장되고(예를 들어, 도 5 참조), 따라서 이하에 상부 종방향 스레드라 칭할 것이다. 8개의 종방향 스레드(31, 32, 33, 34, 35, 36, 37, 38)는 반대로 하부 직물층 내에서만 연장되고(예를 들어, 도 6 참조), 따라서 이하에 하부 종방향 스레드라 칭할 것이다.
직조 반복부의 나머지 4개의 종방향 스레드(21, 22, 23, 24)는 2개의 소위 기능 쌍으로서 형성된다. 서로에 대해 바로 옆에 배열된 2개의 종방향 스레드(21, 22)는 제 1 기능 쌍을 형성하고, 서로에 대해 바로 옆에 배열된 2개의 종방향 스레드(23, 24)는 제 2 기능 쌍을 형성한다. 2개의 기능 쌍을 형성하는 4개의 종방향 스레드(21, 22, 23, 24)는 각각 하부 직물층 및 상부 직물층 내에서 연장하는데, 즉 이들 4개의 종방향 스레드(21, 22, 23, 24)는 상부 직물층과 하부 직물층 사이에서 변경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항상 기능 쌍의 2개의 종방향 스레드의 정확하게 하나가 이 관점에서 페이퍼측 상에 위치된다. 이는 쌍의 2개의 종방향 스레드의 제 1 스레드가 페이퍼측 상에 위치되면, 기능 쌍의 2개의 종방향 스레드의 다른 하나는 직물 내에 또는 기계측에 위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쌍의 하나의 종방향 스레드가 페이퍼측을 떠나자마자, 즉 직물의 내부 내로 또는 기계측으로 변경되자마자, 다른 종방향 스레드는 그 위치를 차지하고 페이퍼측으로 연장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능 쌍의 각각의 종방향 스레드는 이를 떠나기 전에 페이퍼측 상에서 9개의 상부 횡방향 스레드의 경로 상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종방향 스레드(22)는 9개의 횡방향 스레드(104 내지 112) 위 아래로 교대로 연장하고, 종방향 스레드(21)는 횡방향 스레드(114 내지 120)(도시된 반복부의) 및 횡방향 스레드(101, 102)(인접한 반복부의) 위 아래로 교대로 연장한다. 따라서, 양 기능 쌍(21, 22 및 23, 24)은 2개의 "상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부 직물층이 반복부마다 4개의 상부 종방향 스레드 및 2개의 상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를 갖는다(도 5 참조).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정확하게 2개의 상부 종방향 스레드(12, 13)가 2개의 기능 쌍(21, 22 및 23, 24) 사이 및 2개의 복합 종방향 스레드 사이에 각각 배열된다. 도 5에 의해 더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스레드 쌍의 종방향 스레드 사이의 변경은 상부 횡방향 스레드(101, 107) 아래에서(그리고 도 6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횡방향 스레드 위에서, 즉 하부층과 상부층 사이 및 직물의 내부에서 각각) 발생한다. 소위 그로부터의 변경 위치는 도 5 및 도 6에 A1, A2, B1 및 B2에 의해 지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기능 쌍의 위치는 다른 기능 쌍의 변경 위치에 대해 3개의 상부 횡방향 스레드에 의해 오프셋되도록 배열된다.
도 5a는 상부 직물의 직조 패턴을 도시한다. 이 관점에서, 어떻게 2개의 종방향 스레드(21, 22)가 함께 페이퍼측의 직조 패턴 내에 삽입되는 상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를 형성하는지, 즉 상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21, 22)는 페이퍼측 평평한 직조부를 형성하기 위해 요구될 수도 있는 상부 종방향 스레드를 대체하는지를 명백히 알 수 있다. 동일한 것이 종방향 스레드(23, 24)에 적용된다.
게다가, 예를 들어 도 6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항상 기능 쌍의 2개의 종방향 스레드의 정확하게 하나가 이 실시예에 따라 기계측에 위치된다. 이는 쌍의 2개의 종방향 스레드의 제 1 스레드가 기계측 상에 위치되면, 2개의 종방향 스레드의 다른 하나는 페이퍼측에 위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쌍의 하나의 종방향 스레드가 기계측을 떠나자마자, 다른 종방향 스레드는 그 위치를 차지하고 기계측으로 연장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능 쌍의 각각의 종방향 스레드는 이를 떠나기 전에 기계측 상에서 5개의 하부 횡방향 스레드의 경로 상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2개의 기능 쌍(21, 22 및 23, 24)은 동시에 2개의 "상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 및 2개의 "하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를 형성한다. 따라서, 하부 직물층이 반복부마다 8개의 하부 종방향 스레드 및 2개의 하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를 갖는다(도 6 참조).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정확하게 4개의 하부 종방향 스레드(33, 34, 35, 36)가 2개의 기능 쌍(21, 22 및 23, 24) 사이 및 2개의 복합 종방향 스레드 사이에 각각 배열된다.
30개의 횡방향 스레드 중에서, 20개의 횡방향 스레드(101 내지 120)는 상부 직물층 및 페이퍼측에 각각 할당되고, 10개의 횡방향 스레드(201 내지 210)는 하부 직물층 및 기계측에 각각 할당된다. 상부층의 20개의 횡방향 스레드(101 내지 120)는 하부층의 10개의 횡방향 스레드(201 내지 210)보다 직경이 작다. 20개의 횡방향 스레드(101 내지 120)는 상부 직물층 내에서만 연장하고, 10개의 횡방향 스레드(201 내지 210)는 하부 직물층 내에서만 연장한다. 이는 횡방향 스레드(101 내지 120)의 어느 것도 기계측으로 변경되지 않고 횡방향 스레드(201 내지 210)의 어느 것도 페이퍼측으로 변경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횡방향 스레드(101 내지 120)는 따라서 상부 횡방향 스레드라 칭할 것이고, 횡방향 스레드(201 내지 210)는 하부 횡방향 스레드라 칭할 것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수의 상부 및 하부 횡방향 스레드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상부 횡방향 스레드 대 하부 횡방향 스레드의 도시된 비(여기서, 2:1)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라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게다가, 상부 횡방향 스레드의 직경은 예를 들어 하부 횡방향 스레드의 직경과 같거나 클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상부 종방향 스레드(11 내지 14) 및 2개의 종방향 쌍(21, 22 및 23, 24)에 의해 형성된 2개의 상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는 20개의 상부 횡방향 스레드(101 내지 120)와 함께 페이퍼측 및 상부 직물층에 각각 평평한 직조부를 형성한다. 이 관점에서, 상부 종방향 스레드(11)는 상부 횡방향 스레드(101 내지 120) 중 하나의 위 및 하나의 아래로 교대로 연장한다(연속/시퀀스=1*위의 회수, 1*아래의 회수). 동일한 것이 상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21, 22)에 적용되고, 상부 횡방향 스레드 위 아래의 그 연장부는 하나의 상부 횡방향 스레드에 의해 상부 종방향 스레드(11)의 연장부에 대해 오프셋된다. 이는 상부 종방향 스레드(11)가 상부 횡방향 스레드(101) 위로 그리고 상부 횡방향 스레드(102) 아래로 연장하는 반면, 상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21, 22)는 상부 횡방향 스레드(101) 아래로 그리고 상부 횡방향 스레드(102) 위로 연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부 종방향 스레드(12) 및 상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23, 24)는 상부 종방향 스레드(11)와 동일한 연장부를 갖고, 상부 횡방향 스레드(101 내지 120)에 대한 상부 종방향 스레드(13, 14)의 연장부는 상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21, 22)의 것에 대응한다. 달리 말하면, 상부 종방향 스레드 및 상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의 각각은 직물 내에 모든 제 2 상부 횡방향 스레드를 바인딩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관점에서 절대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입증되었지만, 페이퍼측 평평한 직조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도면 부호 A1에 의해 지시된 위치에서, 스레드(21)는 직물의 내부에 투입되고 하부층으로 변경된다. 교환시에, 스레드(22)는 도면 부호 A1에 의해 지시된 위치에서 페이퍼측으로 변경되고, 거기서 스레드(21)를 "대체"한다. 도면 부호 A2에 의해 지시된 위치에서, 스레드(22)는 직물의 내부로 재투입되고 하부층으로 변경된다. 교환시에, 스레드(21)는 A2에 의해 지시된 위치에서 페이퍼측으로 변경되고, 거기서 스레드(22)를 "대체"한다.
도 6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8개의 하부 종방향 스레드(31 내지 38) 및 2개의 기능 쌍(21, 22 및 23, 24)에 의해 형성된 2개의 하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는 10개의 하부 횡방향 스레드(201 내지 210)와 함께 기계측 및 하부 직물 내에 각각 5-샤프트 직조부를 형성한다. 그러나, 기계측의 도시된 실시예/구성은 다수의 가능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단지 하나일 뿐인데, 즉 도시된 직조부가 이 관점에서 적절한 것으로 입증되더라도, 다른 기계측 직조부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직물 반복부 내의 하부 종방향 스레드(31 내지 38) 및 하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21, 22 및 23, 24)의 각각은 정확하게 2개의 하부 횡방향 스레드 내에 바인딩되고 나머지 8개의 하부 횡방향 스레드 상에 부유한다(도 6a 참조). 연속/시퀀스는 이하와 같은데, 즉 "4개의 하부 횡방향 스레드 위, 하부 횡방향 스레드 아래"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하부 종방향 스레드(31)는 하부 횡방향 스레드(201, 206)에 직조되고 하부 횡방향 스레드(202 내지 205 및 207 내지 210) 위에 부유한다. 도 6에 도시된 5-샤프트 직조부의 피치는 2개 또는 2개의 하부 횡방향 스레드이다. 이는 다음의 종방향 스레드(32)[즉, 하부 종방향 스레드(31)에 인접한 하부 종방향 스레드]가 하부 횡방향 스레드(203, 208)에 직조하고, 다음의 하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21, 22)는 하부 횡방향 스레드(205, 210)에 직조되는 등이다. 하부 종방향 스레드(31, 32, 33, 34) 및 하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21, 22)에 의해 형성된 5-샤프트 직조부는 하부 종방향 스레드(35, 36, 37, 38) 및 하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23, 24)에 의해 반복된다. 달리 말하면, 도 6은 기계측 5-샤프트 직조부의 2개의 종방향 스레드 반복부(뿐만 아니라, 함께 기계측 직조부의 4개의 반복부가 도시되도록 2개의 횡방향 스레드 반복부)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직물층의 직조부 및 하부 직물층의 직조부 모두는 따라서 2개의 기능 쌍(21, 22 및 23, 24)에 의해 완성된다. 이는 종방향 스레드(21, 22, 23, 24)(예를 들어, 날실)가 상부 횡방향 스레드(예를 들어, 면 씨실) 및 하부 횡방향 스레드(예를 들어, 바닥 씨실)와 모두 상호 직조되어, 이에 의해 각각의 직물 또는 각각의 직조부를 완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달리 말하면, 2개의 기능 쌍(21, 22 및 23, 24)은 각각의 직조부, 도시된 실시예에서 페이퍼측 평평한 직조부 및 기계측 5-샤프트 직조부를 형성하는 것에 기여한다. 게다가, 페이퍼측 및 기계측은 2개의 기능 쌍(21, 22 및 23, 24)에 의해 상호 접속된다.
2개의 기능 쌍(21, 22 및 23, 24)의 종방향 스레드는 하부 직물 및 상부 직물 내의 직물-내부 스레드로서 기능하고, 동시에 바인더 스레드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 쌍의 스레드는 모두 대응 직물의 필수부로서 하부 직물 내에 그리고 기계측에 각각 사용되고, 상부 직물 내에 그리고 페이퍼측에 각각 사용된다. 각각의 직물 내에서의 이들의 직조는 하부 직물을 상부 직물에 바인딩하기 위해 뿐만 아니라 대응 직물 내의 기능 바인딩점을 형성하기 위해 기능한다.
2개의 기능 쌍에 의한 페이퍼측 및 기계측 직조부의 전술된 완성은 도 5 및 도 6의 조합으로부터 특히 명백하다. 이 관점에서, 도 5의 스레드(22)는 상부 횡방향 스레드(104, 106, 108, 110, 112)를 직조하고, 이 관점에서 페이퍼측 평평한 직조부를 완성하고, 반면에 도 6의 스레드(21)는 하부 횡방향 스레드(205)를 직조하여 이에 의해 기계측 5-샤프트 직조부를 완성한다[이 직조 없이, 횡방향 스레드(205)는 하부 종방향 스레드의 어느 것에 의해서도 직조되지 않기 때문에 직물로부터 하강할 수 있음]. 도 6의 하부 횡방향 스레드(210)를 직조하기 위해 스레드(22)가 하향으로 변경되어 이에 의해 기계측 직조부를 완성하면, 상부 횡방향 스레드(114, 116, 118, 120)를 직조하기 위해 스레드(21)는 상향으로 변경되어 이에 의해 페이퍼측 평평한 직조부를 완성한다. 따라서, 종방향 스레드(21, 22)의 모두는 페이퍼측 직조부(이 실시예에 따르면, 평평한 직조부) 및 기계측 직조부(이 실시예에 따르면, 5-샤프트 직조부)를 교대로 완성한다.
도 7은 "조합된" 도면으로서 개별 방식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2개의 층을 도시한다. 양 층은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상부층은 시트 형성 스크린의 페이퍼측을 표현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종방향 스레드는 직물의 평면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2개의 하부 종방향 스레드 사이에 항상 배치된다. 이 관점에서, 상부 종방향 스레드(11)는 평면도에서 실질적으로 2개의 하부 종방향 스레드(31, 32) 사이에 위치되고, 상부 종방향 스레드(12)는 주로 하부 종방향 스레드(33, 34) 사이에 위치되고, 상부 종방향 스레드(13)는 실질적으로 하부 종방향 스레드(35, 36) 사이에 위치되고, 상부 종방향 스레드(14)는 실질적으로 하부 종방향 스레드(37, 38) 사이에 위치된다. 이는 4:8 또는 1:2의 상부 대 하부 종방향 스레드의 비를 초래한다. 기능 쌍의 4개의 종방향 스레드(21, 22, 23, 24)가 하부 직물층 및 상부 직물층에 균등하게 분배되면(이들이 양 층 내에 직물을 형성하는데 기여하고 각각의 층 내에 2개의 복합 종방향 스레드를 형성하기 때문에), 6:10 또는 3:5의 종방향 스레드비가 얻어진다(도 2 참조).
도 7에 의해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퍼측의 소위 횡방향 메시(기계 방향/종방향에서 그 연장부가 횡방향에서보다 작음)의 형성은 비교적 적은 수의 상부 종방향 스레드 및 상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에 의해 조장된다(각각 6:10 및 3:5의 종방향 스레드비로부터 발생함). 이러한 횡방향 메시는 파이버 현탁액 내에 포함된 파이버의 유리한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 비교적 많은 수의 하부 종방향 스레드 및 하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는 횡방향 메시의 형성과 함께 진행하는 기계 방향에서 스크린 팽창의 증가 및 페이퍼측에서 강도의 감소를 균형화할 수 있다.
도 7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횡방향 스레드는 평면도에서 모든 하부 횡방향 스레드 위에 배열된다. 게다가, 상부 횡방향 스레드는 항상 2개의 하부 횡방향 스레드 사이에 배열된다. 이는 20:10 또는 2:1의 상부 대 하부 횡방향 스레드의 비를 초래한다. 이미 전술된 바와 같이, 이 비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증가된 수의 상부 횡방향 스레드는 횡방향 메시의 형성을 조장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종방향 스레드(11 내지 14)의 직경은 기능 쌍의 스레드(21 내지 24)의 직경과 동일하다. 이에 의해, 한편으로는 균일한 페이퍼측이 얻어질 수 있다. 페이퍼측의 균일성은 2개의 기능 쌍의 4개의 변경 위치(A1, A2, B1, B2)에 의해서만 약간 영향을 받는다. 페이퍼측 직조부는 단지 상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 또는 상부 종방향 스레드 및 상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가 교대로 제공되어 있는 종래 기술의 페이퍼측 직조부에 비교하여, 2개의 기능 쌍 및 2개의 상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 각각에 대한 4개의 상부 종방향 스레드의 도시된 비에 의해, 특히 상부 종방향 스레드 및 기능 쌍(기능 쌍 사이의 2개의 상부 종방향 스레드)의 도시된 분포에 의해 거의 전혀 "간섭을 받지" 않는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부 종방향 스레드(11 내지 14) 및 기능 쌍의 스레드(21 내지 24)는 임의의 어려움 없이 동일한 날실 빔[도 8의 날실 빔(X2)]에 적용될 수 있다.
하부 종방향 스레드(31 내지 38)의 직경은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기능 쌍의 스레드(21 내지 24) 및 상부 종방향 스레드(11 내지 14)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어, 이에 의해 4개의 변경 위치(A1, A2, B1, B2)에 의해서만 중단되는 균일한 기계측이 얻어진다.
명료화를 위해 매우 간단화된 방식으로, 도 2는 페이퍼측(A) 및 기계측(B)으로의 종방향 스레드의 기능적 분배를 재차 도시한다. 이 방식은 제 1 경우에, 설명된 직물이 각각 3:5의 종방향 스레드 반복부를 갖고 8개의 샤프트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는 인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종방향 스레드(11)의 연장부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부 종방향 스레드(13)의 것과 유사하지 않다.
도 1, 도 3 및 도 4는 설명된 직물 및 시트 형성 스크린의 3차원 도면을 각각 도시한다.
도 8은 도 1 내지 도 7에 따른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직조기를 개략도로 도시한다. 2개의 날실 빔(X1, X2)이 도시되어 있다. 제 1 날실 빔(X1)은 하부 종방향 스레드를 운반하고, 제 2 날실 빔(X2)은 상부 종방향 스레드 및 기능 쌍의 종방향 스레드를 운반한다. 물론, 도 8은 단지 2개의 날실 빔의 작은 부분만을 도시하고 있는데(종방향 스레드 반복부에 따라), 즉 날실 빔(X1)의 종방향에서 볼 때 스레드(38)는 다른 스레드(31)로 이어지고, 이어서 다른 스레드(32)로 이어지는 등이다. 날실 빔(X1)의 스레드(31)는 샤프트(S1) 내로 후크 결합되거나 또는 이를 통해 관통된다. 전술된 도시되지 않은 다른 스레드(31)는 또한 샤프트(S1) 내로 후크 결합된다[직물의 모든 다른 스레드(31)와 같이]. 샤프트(S1)가 상승되면, 모든 스레드(31)는 샤프트(S1)와 함께 상승되어, 씨실이 모든 스레드(31) 아래로 관통될 수 있게 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모든 상부 종방향 스레드(32)는 제 2 샤프트(32) 내에 후크 결합되고, 모든 상부 종방향 스레드(33)는 11개의 샤프트(S11) 내에 후크 결합되는 등이다. 16개의 종방향 스레드의 종방향 스레드 반복부를 갖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직물을 제조하기 위해(도 8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면 부호 X4로 나타냄), 따라서 종방향 스레드가 16개의 샤프트(S1, S2,S3,..., S16)로 이루어지는 날실로 제조되면 샤프트 패키지(X3)가 요구된다.
이는 16개의 종방향 스레드가 8개의 스레드 각각의 2개의 유닛으로 분리되고, 개별 날실 빔(X1, X2) 각각은 각각의 유닛에 할당되고, 스레드는 이들의 기능에 따라 개별적으로 직조 직기의 샤프트(X3) 내에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전술되어 있는 이들의 기능과 연관하여 날실의 논리적 할당을 야기한다.
특히 상부 직물과 하부 직물의 연결이 기능성 종방향 스레드쌍에 의해 얻어지는 직물과 같은, 복수의 상이한 직물이 2개의 날실 빔(X1, X2)과 연계하여 16-샤프트 샤프트 패키지(X3)의 설명된 조립체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직물의 예는 예를 들어 각각 DE 100 30 650 C1호 및 WO 2007/087852호에 설명된 바와 같은 스크린 및 직물이다. 따라서, 다수의 직물/스크린이 그 사이에 직조기를 재구성할 필요 없이 하나의 동일한 직조기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예를 들어 제지 프로세스 중에 요구되는 바와 같이 스크린으로서, 예를 들어 시트 형성 스크린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층 직물을 도시한다. 이 관점에서, 도 9는 상부 직물층(즉, 스크린의 페이퍼측)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반면에 도 10은 하부 직물층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다층 직물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9 및 도 10은 직물의 정확하게 하나의 반복부를 도시한다. 도 9 및 도 10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반복부는 정확하게 16개의 종방향 스레드(=기계 방향 스레드) 및 정확하게 12개의 횡방향 스레드(=기계 교차 방향 스레드)로 이루어진다. 종방향 스레드는 예를 들어 날실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횡방향 스레드는 예를 들어 씨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직물은 16개의 샤프트에 의해, 즉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조립체에 의해 제 1 실시예에 따른 직물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16개의 종방향 스레드는 하부 직물층 및 상부 직물층에 이하와 같이 분배된다. 4개의 종방향 스레드(11, 12, 13, 14)는 상부 종방향 스레드로서 형성되고 상부 직물층 내에서만 연장되고(도 9 참조), 반면에 8개의 종방향 스레드(31, 32, 33, 34, 35, 36, 37, 38)는 하부 직물층 내에서만 연장하는 하부 종방향 스레드로서 형성된다(도 10 참조). 2개의 기능 쌍은 직물 반복부의 나머지 4개의 종방향 스레드(21, 22, 23, 24)로부터 형성되고, 이 관점에서 2개의 종방향 스레드(21, 22)는 서로에 대해 바로 옆에 배열되어 제 1 기능 쌍을 형성하고, 종방향 스레드(23, 24)는 서로에 대해 바로 옆에 위치되어 제 2 기능 쌍을 형성한다. 4개의 종방향 스레드(21, 22, 23, 24)의 각각은 하부 직물층 및 상부 직물층의 모두 내에서 연장하는데, 즉 이들 4개의 종방향 스레드(21, 22, 23, 24)의 각각은 반복부 내의 상부 및 하부 직물층 사이에서 변경한다.
도 9 및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 쌍의 2개의 종방향 스레드의 정확하게 하나는 각각 항상 페이퍼측 및 상부 직물층 내에 있다. 이는 쌍의 2개의 종방향 스레드 중 하나가 페이퍼측 및 상부 직물층에 각각 위치되면, 기능 쌍의 2개의 종방향 스레드의 다른 하나는 직물 내에(즉, 상부층과 하부층 사이에) 또는 하부 직물층 내에 위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기능 쌍의 하나의 종방향 스레드가 페이퍼측을 떠나자마자, 다른 종방향 스레드는 그 위치를 차지하고 페이퍼측 상에서 연장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능 쌍의 각각의 종방향 스레드는 페이퍼측 상에서 5개의 상부 횡방향 스레드의 경로 상으로 연장하고 동시에 3개의 횡방향 스레드를 직조한다. 따라서, 양 기능 쌍(21, 22 및 23, 24)은 2개의 "상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를 형성하여, 상부 직물층이 직물의 종방향 스레드 반복부마다 4개의 상부 종방향 스레드 및 2개의 복합 종방향 스레드를 갖게 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정확하게 2개의 상부 종방향 스레드(12, 13)가 2개의 기능 쌍(21, 22 및 23, 24) 사이 및 2개의 복합 종방향 스레드 사이에 각각 배열된다. 제 1 종방향 스레드 쌍(21, 22)의 종방향 스레드 변경은 상부 횡방향 스레드(101, 107) 아래에서 발생하고, 제 2 종방향 스레드 쌍(23, 24)의 변화는 상부 횡방향 스레드(104, 110) 아래에서 발생한다. 최종적인 변경 위치는 도 9에 도면 부호 A1, A2, B1 및 B2에 의해 지시되어 있다. 하나의 기능 쌍의 변경 위치는 다른 기능 쌍의 변경 위치에 대해 3개의 상부 횡방향 스레드에 의해 오프셋되도록 배열된다.
도 10 및 도 10a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직물층 내에 현재 위치되지 않은 기능성 종방향 스레드 쌍의 종방향 스레드부는 적어도 하나의(도시된 예에서 정확하게 하나) 하부 횡방향 스레드 아래로 연장함으로써 상부 직물층에 하부 직물층을 바인딩하고 이에 의해 이를 직조한다(하부 직물층의 평면도에서). 이 관점에서, 하부 직물을 바인딩하는 기능 스레드 쌍의 종방향 스레드는 하부 직물에 대해 개별의 "직물-외부" 바인더 스레드로서 작용하는데, 즉 하부 직물을 바인딩하는 스레드는 기계측의 형성 및 하부 직물의 형성에 각각 기여하지 않는다. 이는 이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기능 쌍(21, 22 및 23, 24)이 임의의 "하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를 형성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예를 들어 하부 종방향 스레드가 하부 직물의 횡방향 스레드의 위 아래로 교대로 연장하여 이에 의해 4개의 횡방향 스레드를 직조하고, 반면에 기능 쌍의 2개의 종방향 스레드- 하부 복합 스레드로서 고려되면 -는 단지 2개의 하부 횡방향 스레드를 함께 직조하고 "하나의 횡방향 스레드 아래, 3개의 횡방향 스레드 위"의 연장부를 갖는 사실에 의해 도 10 및 도 10a에 도시되어 있다. 게다가, 기계측 5-샤프트 직조부에 따라, 각각의 횡방향 스레드는 기계측 반복부마다 정확하게 2회 직조되고(도 10은 기계측 직조부의 4개의 반복부를 도시하고 있음, 이하 참조), 기능 쌍(21, 22)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 하부 횡방향 스레드(203, 207)는 하부 종방향 스레드(32, 33)에 의해 미리 2회 직조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 직물층은 종방향 스레드 반복부마다 정확하게 8개의 하부 종방향 스레드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정확하게 4개의 하부 종방향 스레드(33, 34, 35, 36)가 2개의 기능 쌍(21, 22 및 23, 24) 사이에 배열된다.
12개의 횡방향 스레드의 12개의 횡방향 스레드(101 내지 112)는 상부 직물층에 할당되고, 12개의 횡방향 스레드의 8개의 횡방향 스레드(201 내지 208)는 하부 직물층에 할당된다. 상부층의 12개의 횡방향 스레드(101 내지 112)는 하부층의 8개의 횡방향 스레드(201 내지 208)보다 직경이 작다. 12개의 횡방향 스레드(101 내지 112)는 상부 횡방향 스레드로서 형성되고 상부 직물층 내에서만 연장되고, 8개의 횡방향 스레드(201 내지 208)는 하부 직물층 내에서만 연장되는 하부 횡방향 스레드로서 형성된다. 이는 횡방향 스레드(101 내지 112)의 어느 것도 기계측 및 하부 직물층 각각에서 변경되지 않고, 횡방향 스레드(201 내지 208)의 어느 것도 페이퍼측 및 상부 직물층 각각에서 변경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시된 수의 상부 및 하부 횡방향 스레드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고 또한 상부 횡방향 스레드 대 하부 횡방향 스레드의 도시된 비(여기서, 12:8 또는 3:2)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라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게다가, 상부 횡방향 스레드의 직경은 예를 들어 하부 횡방향 스레드의 직경과 같거나 클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상부 종방향 스레드(11 내지 14) 및 2개의 기능 쌍(21, 22 및 23, 24)에 의해 형성된 2개의 상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는 12개의 상부 횡방향 스레드(101 내지 112)와 함께 페이퍼측 평평한 직조부를 형성한다. 이 관점에서, 상부 종방향 스레드(11)는 상부 횡방향 스레드(101 내지 112) 위 아래로 교대로 연장한다(연속/시퀀스=위로 1회, 아래로 1회). 상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21, 22)의 연장부는 정확하게 하나의 상부 횡방향 스레드에 의해 상부 종방향 스레드(11)의 연장부에 대해 오프셋된다. 상부 종방향 스레드(12) 및 상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23, 24)는 상부 종방향 스레드(11)와 동일한 연장부를 갖고, 상부 종방향 스레드(13, 14)의 연장부는 상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21, 22)의 연장부에 대응한다. 따라서, 상부 종방향 스레드 및 상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의 각각은 모든 제 2 상부 횡방향 스레드를 직물 내로 직조한다. 이 직조부는 상부 직물 및 페이퍼측 각각에 대해 적절한 것으로 입증되었지만, 본 발명은 페이퍼측 평평한 직조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8개의 하부 종방향 스레드(31 내지 38)는 8개의 하부 횡방향 스레드(201 내지 208)와 함께 기계측 4-샤프트 직조부를 형성한다. 그러나, 하부 직물의 도시된 실시예/구성은 다수의 가능한 예시적인 실시예 중 단지 하나일 뿐인데, 즉 도시된 직조부가 이와 관련하여 적절한 것으로 입증되더라도 다른 기계측 직조부가 마찬가지로 제공될 수 있다. 8개의 하부 종방향 스레드(31 내지 38)의 각각은 하부 횡방향 스레드 위 아래로 교대로 연장하여 이에 의해 정확하게 4개의 하부 횡방향 스레드에 직조된다. 이 관점에서, 예를 들어 하부 종방향 스레드(31)는 하부 횡방향 스레드(202, 204, 206, 208)에 직조되고, 하부 종방향 스레드(32)는 하부 횡방향 스레드(201, 203, 205, 207)에 직조되는데, 즉 종방향 스레드(31)에 인접하여 배열된 종방향 스레드(32)의 연장부가 하나의 횡방향 스레드에 의해 오프셋된다. 종방향 스레드(32)에 인접하여 배열된 종방향 스레드(33)의 연장부는 종방향 스레드(32)의 연장부에 대응하고, 종방향 스레드(33)에 인접하여 배열된 종방향 스레드(34)의 연장부는 종방향 스레드(31)의 연장부에 대응한다. 하부 종방향 스레드(31, 32, 33, 34)에 의해 형성된 4-샤프트 직조부가 하부 종방향 스레드(35, 36, 37, 38)에 의해 반복된다. 게다가, 기계측 4-샤프트 직조부는 4개의 하부 횡방향 스레드 후에 반복된다. 달리 말하면, 기계측 4-샤프트 직조부의 4개의 반복부는 도 10 및 도 10a에 도시되어 있다. 모든 하부 횡방향 스레드는 기계측 직조 반복부마다 2회 직조된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따라서 단지 상부 직물층의 직조부만이 2개의 기능 쌍(21, 22 및 23, 24)의 종방향 스레드에 의해 완성된다. 하부 직물층의 직조부는 단지 8개의 하부 종방향 스레드(하부 직물 내에서 연장하는 횡방향 스레드와 함께)에 의해 형성된다. 2개의 기능 쌍(21, 22 및 23, 24)의 종방향 스레드는 미리 완전히 형성된 직물을 상부 직물에 바인딩하는 하부 직물 내의 개별 바인더 스레드로서 사용된다.
도 9에 도시된 상부 직물층이 도 10에 도시된 하부 직물층(제 1 실시예의 도 7에 대응함) 상에 배치되면, 직물의 평면도는 항상 2개의 하부 종방향 스레드 사이의 상부 종방향 스레드를 도시한다. 이 관점에서, 상부 종방향 스레드(11)는 평면도에서 실질적으로 2개의 하부 종방향 스레드(31, 32)(도 11 참조)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 종방향 스레드(21)는 실질적으로 하부 종방향 스레드(33, 34)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 종방향 스레드(13)는 실질적으로 하부 종방향 스레드(35, 36)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 종방향 스레드(14)는 실질적으로 하부 종방향 스레드(37, 38) 사이에 배치된다. 이는 4:8 또는 1:2의 상부 대 하부 종방향 스레드의 비를 초래한다. 게다가, 4개의 종방향 스레드(21, 22, 23, 24)에 의해 형성된 2개의 상부 복합 종방향 스레드가 상부 직물층에 할당되면, 6:8 또는 3:4의 종방향 스레드비가 얻어진다[이 실시예에 따라 하부 직물층 내에 직물 기능을 갖지 않고 단지 개별 직물 스레드로서만 작용하는 4개의 종방향 스레드(21, 22, 23, 24)의 어느 것도 하부 직물층에 할당되지 않으면]. 4개의 종방향 스레드(21, 22, 23, 24)가 상부 직물 및 하부 직물에 균일하게 분배되면,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6:10 또는 3:5의 비가 얻어진다. 6:8(및 각각 6:10)의 설명된 종방향 스레드비 및 그와 함께 진행하는 페이퍼측 상의 감소된 종방향 스레드 수는 유리한 파이버 지지를 허용하는 횡방향 메시(도 9 참조)의 형성을 조장한다. 비교적 큰 수의 하부 종방향 스레드는 횡방향 메시의 형성과 함께 진행하는 기계 방향에서 스크린 팽창의 증가 및 강도의 감소를 균형화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직물에서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상부 종방향 스레드(11 내지 14)의 직경은 기능 쌍의 스레드(21 내지 24)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단지 4개의 변경 위치(A1, A2, B1, B2)에 의해 약간만 간섭되는 균일한 페이퍼측이 얻어질 수 있다. 게다가, 상부 종방향 스레드(11 내지 14) 및 기능 쌍의 스레드(21 내지 24)는 공통 날실 빔[예를 들어, 도 8의 날실 빔(X2)] 상에 어떠한 어려움 없이 배열될 수 있다.
하부 종방향 스레드(31 내지 38)의 직경은 예를 들어 제 1 실시예에 따른 직물에서와 같이, 상부 종방향 스레드(11 내지 14) 및 기능 쌍의 스레드(21 내지 24)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하부 종방향 스레드가 개별 날실 빔[예를 들어, 도 8의 날실 빔(X1)]에 적용될 수 있고 기계측 직조부가 하부 종방향 스레드에 의해서만 형성되기 때문에, 하부 종방향 스레드에 대해 더 큰 직경을 갖는 스레드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하부 종방향 스레드가 기능 쌍의 종방향 스레드보다 직경이 크면, 하부 종방향 스레드는 하부 직물 내의 섹션에서 연장하는 기능 쌍의 종방향 스레드보다 더 멀리 기계측으로부터 돌출하여, 개별 바인더 스레드로서 작용하는 기능 쌍의 종방향 스레드가 연마 및 마모에 대해 하부 종방향 스레드에 의해 보호되게 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직물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직물과 같이 도 8에 도시된 직조기 및 날실 조립체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Claims (10)

  1. 시트 형성 스크린으로서,
    제 1 직조부를 포함하는 상부 직물층(A) 및 제 2 직조부를 포함하는 하부 직물층(B)을 갖는 다층 직물로서 형성되고,
    상기 다층 직물은 16개의 종방향 스레드의 종방향 스레드 반복부를 갖고,
    그 중 4개의 종방향 스레드들(11, 12, 13, 14)은 상기 상부 직물층 내에서만 배타적으로 연장하는 상부 종방향 스레드들로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직물층 내에서 연장하는 횡방향 스레드들(101 내지 120, 101 내지 112)과 상호 직조되어, 그에 의해 상기 제 1 직조부를 부분적으로 형성하고,
    그 중 8개의 종방향 스레드들(31, 32, 33, 34, 35, 36, 37, 38)은 상기 하부 직물층 내에서만 배타적으로 연장하는 하부 종방향 스레드들로서 형성되고 거기서 상기 하부 직물층 내에서 연장하는 횡방향 스레드들(201 내지 210, 201 내지 208)과 상호 직조되고,
    그 중 나머지 4개의 종방향 스레드들(21, 22, 23, 24)은 서로의 옆에 각각 배열된 2개의 종방향 스레드들의 2개의 기능성 종방향 스레드 쌍들(21, 22; 23, 24)을 형성하고, 각각의 종방향 스레드 쌍의 2개의 종방향 스레드들은 제 1 직조부를 교대로 완성하고, 4개의 종방향 스레드들 중 하나 이상 또는 모두는 상부 직물층 및 하부 직물층의 모두 내에서 연장하는 2개의 기능성 종방향 스레드 쌍을 형성하여 이에 의해 하부 직물층을 상부 직물층에 바인딩하는 시트 형성 스크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8개의 하부 종방향 스레드들(31, 32, 33, 34, 35, 36, 37, 38)은 상기 하부 직물층 내에서 연장하는 횡방향 스레드들(201 내지 210)과 상호 직조되고, 이에 의해 제 2 직조부를 부분적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종방향 스레드 쌍(21, 22; 23, 24)의 2개의 종방향 스레드들은 제 1 직조부 및 제 2 직조부 모두를 교대로 완성하는 시트 형성 스크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8개의 하부 종방향 스레드들(31, 32, 33, 34, 35, 36, 37, 38)은 상기 하부 직물층 내에서 연장하는 횡방향 스레드들(201 내지 208)과 상호 직조되고, 이에 의해 제 2 직조부를 완전히 형성하고, 상기 상부 직물층 및 상기 하부 직물층 모두 내에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스레드는 상기 하부 종방향 스레드들에 의해 완전히 형성된 하부 직물층을 상기 상부 직물층에 바인딩하는 시트 형성 스크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기능성 종방향 스레드 쌍을 형성하는 4개의 종방향 스레드들 모두는 상기 상부 직물층 및 상기 하부 직물층 모두 내에서 연장하고, 각각의 기능 쌍의 2개의 종방향 스레드들은 상기 하부 종방향 스레드들에 의해 완전히 형성된 하부 직물층을 상기 상부 직물층에 교대로 바인딩하는 시트 형성 스크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상 정확하게 2개의 상부 종방향 스레드들(12, 13) 및/또는 정확하게 4개의 하부 종방향 스레드들(33, 34, 35, 36)이 2개의 기능성 종방향 스레드 쌍들(21, 22; 23, 24) 사이에서 직물 내에 배열되는 시트 형성 스크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종방향 스레드들(11 내지 14), 상기 하부 종방향 스레드들(31 내지 38) 및 상기 기능 쌍의 종방향 스레드들(21 내지 24)는 동일한 직경을 갖는 시트 형성 스크린.
  7.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쌍의 종방향 스레드들(21 내지 24) 및 상부 종방향 스레드들(11 내지 14)은 동일한 직경을 갖고, 상기 하부 종방향 스레드들(31 내지 38)의 직경은 상기 상부 종방향 스레드들(11 내지 14) 및 상기 기능 쌍의 종방향 스레드들(21 내지 24)의 직경보다 큰 시트 형성 스크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직물층 내에서 연장하는 모든 횡방향 스레드들은 상기 상부 직물층 내에서만 연장하는 상부 횡방향 스레드들(101 내지 120, 101 내지 112)로서 형성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하부 직물층 내에서 연장하는 모든 횡방향 스레드들은 상기 하부 직물층 내에서만 연장하는 하부 횡방향 스레드들(201 내지 210, 201 내지 208)로서 형성되는 시트 형성 스크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직물층 내에서 연장하는 횡방향 스레드 대 상기 하부 직물층 내에서 연장하는 횡방향 스레드의 비는 1 초과, 예를 들어 적어도 또는 정확하게 2:1 또는 예를 들어 적어도 또는 정확하게 3:2인 시트 형성 스크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직조부는 평평한 직조부이고, 그리고/또는 상기 제 2 직조부는 5-샤프트 직조부 또는 4-샤프트 직조부인 시트 형성 스크린.
KR1020127023437A 2010-05-21 2011-05-17 시트 형성 스크린 KR1014254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17055.0 2010-05-21
DE102010017055A DE102010017055A1 (de) 2010-05-21 2010-05-21 Blattbildungssieb
PCT/EP2011/057978 WO2011144616A1 (de) 2010-05-21 2011-05-17 Blattbildungssieb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734A true KR20120139734A (ko) 2012-12-27
KR101425421B1 KR101425421B1 (ko) 2014-07-31

Family

ID=44627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437A KR101425421B1 (ko) 2010-05-21 2011-05-17 시트 형성 스크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631832B2 (ko)
EP (1) EP2470716B1 (ko)
JP (1) JP5607757B2 (ko)
KR (1) KR101425421B1 (ko)
CN (1) CN102741474B (ko)
BR (1) BR112012028079B1 (ko)
DE (1) DE102010017055A1 (ko)
ES (1) ES2485385T3 (ko)
PL (1) PL2470716T3 (ko)
RU (1) RU2527375C2 (ko)
WO (1) WO201114461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3973A (ko) * 2013-08-05 2015-11-04 안드리츠 쿠페라스 게엠베하 주행측 상에 다른 플로트 길이를 가지는 씨줄을 구비하는 제지장치 스크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18465A1 (de) * 2013-09-16 2015-03-19 Voith Patent Gmbh Formiersieb
US20210254245A1 (en) * 2016-09-06 2021-08-19 Nippon Filcon Co., Ltd. Industrial two-layered fabric
CA3035714A1 (en) * 2016-09-06 2018-03-15 Nippon Filcon Co., Ltd Industrial two-layered fabric
DE102017010756A1 (de) * 2017-07-10 2019-01-10 Gkd - Gebr. Kufferath Ag Gewebe, Filterelement, Filter und Verwendung davon
IT202000000637A1 (it) * 2020-01-15 2021-07-15 Feltri Marone S P A Tessuto triplo di fabbricazione della carta
DE102022117304B3 (de) 2022-07-12 2023-10-12 Voith Patent Gmbh Gewebeband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20852B (sv) 1978-06-12 1981-11-02 Nordiskafilt Ab Formeringsvira
US4314589A (en) * 1978-10-23 1982-02-09 Jwi Ltd. Duplex forming fabric
US4359069A (en) * 1980-08-28 1982-11-16 Albany International Corp. Low density multilayer papermaking fabric
SE430425C (sv) 1981-06-23 1986-09-19 Nordiskafilt Ab Formeringsvira for pappers-, cellulosa- eller liknande maskiner
SE441016B (sv) 1982-04-26 1985-09-02 Nordiskafilt Ab Formeringsvira for pappers-, cellulosa- eller liknande maskiner
DE3224187C2 (de) 1982-06-29 1989-01-12 Hermann Wangner Gmbh & Co Kg, 7410 Reutlingen Verband-Gewebe als Bespannung für den Blattbildungsbereich einer Papiermaschine
AT382653B (de) 1983-09-22 1987-03-25 Hutter & Schrantz Ag Entwaesserungssieb fuer papiermaschinen u.dgl.
DE3615304A1 (de) * 1986-05-06 1987-11-12 Wangner Gmbh Co Kg Hermann Bespannung fuer den blattbildungsteil einer papiermaschine
FI81624C (fi) 1988-12-08 1990-11-12 Tamfelt Oy Ab Pappersmaskinduk.
DE3938159A1 (de) * 1989-11-16 1991-05-23 Oberdorfer Fa F Verbundgewebe fuer papiermaschinensiebe
US5238536A (en) 1991-06-26 1993-08-24 Huyck Licensco, Inc. Multilayer forming fabric
DE4229828C2 (de) 1992-09-07 1996-07-04 Kufferath Andreas Gmbh Papiermaschinensieb in Form eines Verbundgewebes
US5454405A (en) * 1994-06-02 1995-10-03 Albany International Corp. Triple layer papermaking fabric including top and bottom weft yarns interwoven with a warp yarn system
GB9604602D0 (en) 1996-03-04 1996-05-01 Jwi Ltd Composite papermaking fabric with paired weft binder yarns
US5967195A (en) * 1997-08-01 1999-10-19 Weavexx Corporation Multi-layer forming fabric with stitching yarn pairs integrated into papermaking surface
US5881764A (en) * 1997-08-01 1999-03-16 Weavexx Corporation Multi-layer forming fabric with stitching yarn pairs integrated into papermaking surface
US6112774A (en) * 1998-06-02 2000-09-05 Weavexx Corporation Double layer papermaker's forming fabric with reduced twinning.
GB2351505A (en) * 1999-06-29 2001-01-03 Jwi Ltd Two-layer woven fabric for papermaking machines
GB9924012D0 (en) 1999-10-12 1999-12-15 Stone Richard Forming fabric woven with warp triplets
US6227256B1 (en) * 1999-12-13 2001-05-08 Albany International Corp. Multi-layer papermaking fabric having long weft floats on its support and machine surfaces
US6244306B1 (en) * 2000-05-26 2001-06-12 Weavexx Corporation Papermaker's forming fabric
DE10030650C1 (de) 2000-06-29 2002-05-29 Kufferath Andreas Gmbh Papiermaschinensieb
US6253796B1 (en) * 2000-07-28 2001-07-03 Weavexx Corporation Papermaker's forming fabric
DE10039736A1 (de) 2000-08-16 2002-03-07 Kufferath Andreas Gmbh Verbundgewebe
US6379506B1 (en) * 2000-10-05 2002-04-30 Weavexx Corporation Auto-joinable triple layer papermaker's forming fabric
DE10123204C2 (de) * 2001-05-12 2003-03-27 Kufferath Andreas Gmbh Papiermaschinensieb
JP3956341B2 (ja) 2001-06-29 2007-08-08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工業用多層織物
FI112261B (fi) * 2002-05-06 2003-11-14 Tamfelt Oyj Abp Paperikonekudos
GB2391557A (en) 2002-08-06 2004-02-11 Richard Stone Forming fabric for papermaking
DE10253491B3 (de) * 2002-11-16 2004-05-13 Andreas Kufferath Gmbh & Co. Kg Papiermaschinensieb
US6860969B2 (en) * 2003-01-30 2005-03-01 Weavexx Corporation Papermaker's forming fabric
US6896009B2 (en) * 2003-03-19 2005-05-24 Weavexx Corporation Machine direction yarn stitched triple layer papermaker's forming fabrics
US7059357B2 (en) 2003-03-19 2006-06-13 Weavexx Corporation Warp-stitched multilayer papermaker's fabrics
US7007722B2 (en) * 2003-11-17 2006-03-07 Voith Paper Patent Gmbh Forming fabric
DE102004016640B3 (de) * 2004-03-30 2005-08-11 Andreas Kufferath Gmbh & Co. Kg Sieb, insbesondere Papiermaschinensieb
KR101184894B1 (ko) * 2004-08-04 2012-09-21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쌍으로 된 고유 날실 바인더를 갖는 날실 러너 트리플층직물
CA2579591C (en) * 2004-09-30 2009-09-01 Roger Danby Double layer forming fabric with high centre plane resistance
JP4762529B2 (ja) * 2004-11-17 2011-08-31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工業用二層織物
JP4762530B2 (ja) * 2004-11-30 2011-08-31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工業用二層織物
JP2006322109A (ja) * 2005-05-19 2006-11-30 Nippon Filcon Co Ltd 工業用二層織物
JP4563260B2 (ja) * 2005-06-14 2010-10-13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工業用二層織物
US7219701B2 (en) 2005-09-27 2007-05-22 Weavexx Corporation Papermaker's forming fabric with machine direction stitching yarns that form machine side knuckles
DE102005060301A1 (de) * 2005-12-16 2007-06-21 Voith Patent Gmbh Papiermaschinenbespannung
DE102006001388A1 (de) 2006-01-11 2007-07-12 Andreas Kufferath Gmbh & Co. Kg Papiermaschinensieb
US7275566B2 (en) 2006-02-27 2007-10-02 Weavexx Corporation Warped stitched papermaker's forming fabric with fewer effective top MD yarns than bottom MD yarns
DE102006016660C5 (de) * 2006-04-08 2009-09-03 Andreas Kufferath Gmbh & Co Kg Oberseite, insbesondere Papierseite, sowie Papiermaschinensieb
JP4896686B2 (ja) 2006-11-30 2012-03-14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縦溝が形成された工業用二層織物
CN101126211A (zh) * 2007-09-21 2008-02-20 刘勇 造纸用成型网
MX2010003679A (es) 2007-10-05 2010-09-30 Nippon Filcon Kk Tela industrial de dos capa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3973A (ko) * 2013-08-05 2015-11-04 안드리츠 쿠페라스 게엠베하 주행측 상에 다른 플로트 길이를 가지는 씨줄을 구비하는 제지장치 스크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2126053A (ru) 2014-06-27
EP2470716A1 (de) 2012-07-04
RU2527375C2 (ru) 2014-08-27
BR112012028079A2 (pt) 2016-08-02
US8631832B2 (en) 2014-01-21
US20130105030A1 (en) 2013-05-02
KR101425421B1 (ko) 2014-07-31
JP5607757B2 (ja) 2014-10-15
WO2011144616A1 (de) 2011-11-24
DE102010017055A1 (de) 2011-11-24
ES2485385T3 (es) 2014-08-13
EP2470716B1 (de) 2014-05-14
PL2470716T3 (pl) 2014-10-31
BR112012028079B1 (pt) 2020-02-11
CN102741474A (zh) 2012-10-17
CN102741474B (zh) 2015-01-14
JP2013517388A (ja) 201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1595B2 (en) Wear side weave pattern of a composite forming fabric
KR101277527B1 (ko) 다중 윤곽선 바인더들을 구비한 3층 직물
EP1731664A1 (en) Forming fabric having three layers of weft yarns
KR101425421B1 (ko) 시트 형성 스크린
US7604025B2 (en) Forming fabric having offset binding warps
KR20010012470A (ko) 제지(製紙)용 표면에 통합된 결합 사(絲) 쌍을 가진 다층성형 직물
US10060076B2 (en) Paper machine screen
KR20150123973A (ko) 주행측 상에 다른 플로트 길이를 가지는 씨줄을 구비하는 제지장치 스크린
JP5711946B2 (ja) 工業用二層織物
CN101278091A (zh) 造纸机织物
US7493922B2 (en) Paper machine mesh
JP2012506959A (ja) フォーミングファブリック
KR101550664B1 (ko) 제지기 스크린
US7472726B2 (en) Paper machine mesh
US7770606B2 (en) Upper side, in particular paper side, and papermaking-machine fabric
JP2013501153A (ja) 繊維質ウェブ材料を製造するためのフォーミングファブリック
CA2988906C (en) Triple papermaking fabr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