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2470A - 제지(製紙)용 표면에 통합된 결합 사(絲) 쌍을 가진 다층성형 직물 - Google Patents

제지(製紙)용 표면에 통합된 결합 사(絲) 쌍을 가진 다층성형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2470A
KR20010012470A KR1019997010425A KR19997010425A KR20010012470A KR 20010012470 A KR20010012470 A KR 20010012470A KR 1019997010425 A KR1019997010425 A KR 1019997010425A KR 19997010425 A KR19997010425 A KR 19997010425A KR 20010012470 A KR20010012470 A KR 20010012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s
machine direction
yarn
direction yarns
upper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0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8540B1 (ko
Inventor
와드케빈제이
Original Assignee
웨벡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벡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웨벡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10012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2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5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0027Screen-cloths
    • D21F1/0036Multi-layer screen-cloths
    • D21F1/0045Triple layer fabr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2/00Paper making and fiber liberation
    • Y10S162/903Paper forming member, e.g. fourdrinier, sheet forming member

Landscapes

  • Paper (AREA)
  • Woven Fabric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anitary Thin Pa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층 제지용 성형 직물은 제지 표면에 결합 사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직물은 반복 유닛으로서 형성되며, 각각의 반복 유닛은 일군의 상부 기계 방향 사, 일군의 하부 기계 방향 사, 일군의 하부 기계 방향 사와 상호 직조되는 일군의 하부 기계 교차 방향 사, 및 기계 교차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결합 사의 쌍을 포함한다. 각 쌍의 제1 및 제2 결합 사는 상부 및 하부 기계 방향 사와 상호 직조되어서 제1 결합 사의 섬유 지지 부분은 상부 기계 방향 사와 상호 직조되고, 제2 결합 사의 결합 부분은 상부 기계 방향 사의 아래에 위치하며, 제2 결합 사의 섬유 지지 부분은 상부 기계 방향 사와 상호 직조되고, 제1 결합 사의 결합 부분은 상부 기계 방향 사의 아래에 위치한다. 제1 및 제2 결합 사는 위치 변경하는 상부 기계 방향 사의 아래를 통과할 때 서로 교차한다. 제1 및 제2 결합 사의 각각의 결합 부분은 최소한 하나의 하부 기계 방향 사의 아래를 통과한다. 결합 사의 섬유 지지 부분과 상부 기계 방향 사는 제지 표면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제지(製紙)용 표면에 통합된 결합 사(絲) 쌍을 가진 다층 성형 직물{MULTI-LAYER FORMING FABRIC WITH STITCHING YARN PAIRS INTEGRATED INTO PAPERMAKING SURFACE}
통상적인 장망초지(長網抄紙)(fourdrinier) 제지 공정에서, 셀룰로스 섬유(종이 "스톡"(stock)으로 공지됨)의 물 슬러리(slurry), 또는 부유액(suspension)은 2개 또는 그 이상의 롤(roll) 사이를 이송하는 초지망(抄紙網)과/또는 합성재(合成材)의 무한 벨트의 상행부의 상부로 공급된다. 자주 "성형 직물"로 칭해지는 벨트는 상행부의 상부 면상에 제지면을 구성하고, 여과기로서 작용하여 수성의 중간재로부터 종이 스톡의 셀룰로스 섬유를 분리하여 젖은 종이 직물을 성형한다. 수성 중간재는 직물의 상행부(즉 "기계 측")의 하부면에 위치한, 배수공으로 공지된 성형 직물의 망 개구(開口)를 통하여 중력 또는 진공으로써 배수된다.
성형부를 통과한 후, 종이 직물은 제지기의 압축부로 이송되고, 전형적으로 "압축 펠트(felt)"로 불리우는 다른 직물로 싸여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쌍의 압축 롤러 간격을 통하여 통과한다. 롤러의 압력은 종이 직물로부터 추가적으로 수분을 제거하고, 압축 펠트의 "압축(batt)" 층의 존재로써 수분 제거 능력이 종종 향상된다. 다음에 종이는 추가적인 수분 제거를 위해 건조부로 이송된다. 건조 후, 종이는 제2차 공정 및 포장을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
전형적으로, 제지용 직물은 두가지의 기초 직조 기술중의 하나로써 무한 벨트로 제조된다. 이 기술의 첫번째는, 공정을 중지해서 그 끝을 같이 재 직조(보통 접합으로 공지됨)하거나, 꿰맬수 있는 끝자락을 봉제하거나 또는 각각의 끝을 꺾어 젖혀서 꿰맬수 있는 루프로 재 직조하는 것과 같은 수종의 공지된 접합 방법중의 하나로써 그 끝이 만나서 무한 벨트를 형성하게 직물을 평 직조 공정에 의해서 평 직조하는 것이다. 평 직조 제지 직물에서는, 날실(warp yarn)은 기계 방향으로 연장되고 씨실(filling yarn)은 기계의 교차 방향으로 연장된다. 두번째 기술에서는, 직물을 무한 직조 공정으로 연속적인 벨트 형태로서 직접 직조한다. 무한 직조 공정에서는, 날실은 기계의 교차 방향으로 연장되고 씨실은 기계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대로, "기계 방향"(MD)과 "기계의 교차 방향"(CMD)이라는 용어는 각각 제지기 상의 제지 직물의 이동 방향에 따라 정렬된 방향과 직물 표면에 평행하고 이동 방향에는 횡단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상기한 직조 방법 양쪽 공히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사용하는 "무한 벨트"라는 용어는 양쪽 방법으로써 제조되는 벨트를 나타낸다.
특히 젖은 종이 직물이 처음으로 성형되는 제지기의 성형부에서 효율적인 장(sheet) 및 섬유 지지(fiber support)와, 와이어 흔적(wire marking)의 부재(不在)는 제지에서 중요한 고려 사항이 된다. 와이어 흔적은 장 흔적(sheet mark), 다공(多孔), 투시 및 작은 구멍과 같은 다수의 종이 특성에 영향을 줌으로써 정밀 제지 등급의 형성에서 특히 문제가 된다. 와이어 흔적은 셀룰로스 섬유의 끝이 성형 직물의 꼰실 또는 실 사이의 틈내에 존재하는 것과 같이 종이 직물내에서 발생하는 각 셀룰로스 섬유의 결과로써 생긴다. 이러한 문제는 종이 섬유가 실 사이의 틈새로 침투하기 보다는 직물의 인접 실과의 연결을 허용하는 공면(共面)(coplanar)의 표면을 가진 침투성 있는 직물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보편적으로 역점을 두어 다룬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대로, "공면"은 종이 성형 표면을 한정하는 실의 상부 끝단이 그 높이에서 사실상 평면을 나타내는 사실상 동일한 높이인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고품질 인쇄, 탄화, 담배, 전기 컨덴서에 사용하기 위한 정밀 제지 등급과 그와 동등한 정밀 제지 등급은 지금까지 전형적으로 매우 정밀하게 직조된 또는 정밀 와이어 망의 성형 직물상에서 성형된다.
유감스럽게도, 이러한 정밀 직조 성형 직물은 종종 예민하고 기계 및 기계 교차 방향의 어느쪽 또는 양쪽에서 치수 안정도가 부족하여(특히 운전중), 직물의 사용 수명이 단축된다. 그위에, 정밀 직조는 반대로 직물의 배수 특성에 영향을 주며 따라서 성형 직물로서는 덜 적합하게 된다.
정밀 직조와 관련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지 성형을 용이하게 하는 제지 성형 표면은 정밀 망사(網絲)이고 견고성과 내구성을 구비하는 기계 접촉 측은 조악(粗惡)한 망사의 다층 성형 직물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면, 정밀 망의 한 직물 층, 더 조악한 망의 다른 직물 층, 및 층을 같이 연결하는 결합 사를 포함하는 직물이 구성되었다. "3층" 직물로 공지된 이러한 직물은, 오스테르베르그(Osterberg)의 미합중국 특허 제4,501,303호, 보링거(Vohringer)의 미합중국 특허 제5,152,326호, 및 워드(Ward)의 미합중국 특허 제5,437,315호에 나타나 있다.
이러한 직물이 성공적으로 사용되었으나, 결합 사의 포함에 관련하여 몇개의 결점을 가지고 있다. 전형적인 3층 성형 직물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결합 사가 상부 및 하부층의 몇몇의 CMD 사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 및 하부 MD 사와 상호 직조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결합 사의 일부는 직물의 제지 표면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직물로 성형되는 종이의 모양은 결합 사의 존재로써(때때로 반대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더욱이, 3층 직물은 중층 마모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직물이 제지기에서 사용되므로, 상부 및 하부층은 롤에 의해 직물에 전해지는 장력으로 인해서 기계 방향과 기계 교차 방향 양쪽에서 서로에 관하여 이동하려고 한다. 소위 "하이 랩(high wrap)" 기계와 같이 롤 몇개는 직물의 상층부와 접촉하는 다수의 롤을 포함하는 제지기에서는 이러한 영향이 악화된다. 이러한 이동은 직물의 마모와 두께 감소의 원인이 되며, 이는 반대로 직물의 배수에 영향을 줄 수 있고, 따라서 제지의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많은 경우에서, 직물의 수명을 결정하는 것은 제지기에 대하여 직물 기계의 기계측 표면의 마모보다는 이러한 중층 마모이다.
더욱이, 3층 직물의 결합 사는 상부 CMD 사와는 다른 직조 패턴(즉, 상부 CMD 사는 상호 직조가 안 되고, 이것은 하부 CMD 사와 상호 직조됨)을 갖게 됨으로써, 결합 사와 상부 CMD 사 사이에는 장력이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상이점은 직물을 평면으로부터 일그러지게 유도하고, 다음에 이것은 직물에 의해서 생산되는 종이의 품질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3층 직물의 결합 사는 상부 및 하부 층을 연결하고 하부 층이 제지기와 접촉하는 동안에 마모 및 마손 조건에 견딜 수 있도록 충분이 강하고 내구성이 있어야 되며 또한 고 품질의 종이를 생산하기 위해 충분히 섬세하여야 된다. 이러한 균형을 충족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제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지에서 사용되는 직물(fabric)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평탄한 직조 상부 표면을 가진 본 발명의 20 통사 다층 성형 직물의 실시예의 평면도.
도 1B는 도 1의 직물의 하부 표면의 평 단면도.
도 2A부터 도 2J는 도 1A 및 도 1B의 직물의 결합 사의 단면도.
도 3A는 1x2 능직 상부 표면을 가진 본 발명의 24 통사 다층 성형 직물의 평면도.
도 3B는 도 3A의 직물의 하부 표면의 평 단면도.
도 4A부터 도 4F는 도 3A 및 도 3B의 직물의 결합 사의 단면도.
전술한 관점에서, 상부 직물 층에서 거의 일그러짐이 없는 다층 성형 직물 구조를 구성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고 품질 종이를 생산하는 다층 성형 직물 구조를 구성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부 및 하부 층을 견고한 연결 상태로 유지하는 다층 성형 직물 구조를 구성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중간 층의 마모 문제 해결에 역점을 두는 다층 성형 직물 구조를 구성하는 것이 본 발명의 그 다음 목적이다.
제지 표면에서 결합 사를 사용하는 다층 제지용 성형 직물과 관련하여 이러한 목적과 다른 목적이 본 발명으로써 충족된다. 본 발명의 직물은 반복되는 유닛(unit)으로 형성되며 각 유닛은 일군의 상부 기계 방향 사, 일군의 하부 기계 방향 사, 일군의 하부 기계 방향 사와 상호 직조된 일군의 하부 기계 교차 방향 사, 및 기계 교차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결합 사의 쌍을 포함한다. 각 쌍의 제1 결합 사 및 제2 결합 사는, 제1 결합 사의 섬유 지지 부분은 상부 기계 방향 사와 상호 직조되고, 제2 결합 사의 결합 부분은 상부 기계 방향 사의 아래에 위치하며, 제2 결합 사의 섬유 지지 부분은 상부 기계 방향 사와 상호 직조되고, 제1 결합 사의 결합 부분은 상부 기계 방향 사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부 및 하부 기계 방향 사와 상호 직조된다. 제1 및 제2 결합 사는 위치 변경하는 상부 기계 방향 사의 아래를 통과할 때 서로 교차한다. 제1 및 제2 결합 사의 각각의 결합 부분은 하부 기계 방향 사의 최소한 하나의 아래를 통과한다. 결합 사의 섬유 지지 부분과 상부 기계 방향 사는 제지 표면을 형성하며, 이것은 최소한 하나의 하부 기계 방향 사의 아래도 통과하지 않는 기계 교차 방향 사를 33% 이하 포함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전혀 포함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서 결합 사 양쪽은 하부 층을 상부 기계 방향 사에 결합하며 제지 표면의 중요한 부분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결합 사의 섬유 지지 부분은 상부 기계 방향 사와 평탄한 직조 제지 표면을 형성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것들은 1x2 능직(綾織)의 제지 표면을 형성한다. 각각의 경우에서, 결합 사의 밀집 상태는 직물의 층들을 단단하고 신뢰성있게 결합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시키는 것이 아니라, 본 실시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을 충분하고 완전하게 개시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10)으로 표시된 20 통사 다층 성형 직물을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 직물의 단순 반복 유닛을 보여준다. 직물(10)의 반복 유닛은 10 가닥의 상부 MD 사(11-20), 10 가닥의 하부 MD 사(21-30), 10 가닥의 하부 CMD 사(31-40), 및 (41a, 41b)로부터 (50a, 50b)까지의 결합 사 쌍을 포함한다.
먼저 도 1B를 참조하면, 직물(10)의 하부 층의 반복 유닛을 나타낸다. 하부 MD 사(21-30)는, 각각의 하부 CMD 사가 1 가닥의 하부 MD 사의 위, 4 가닥의 하부 MD 사의 아래를 통과하며 이러한 "위로 1/아래로 4"의 패턴을 반복하여서 통사 견수자(絹繡子)(harness satin) 형식 패턴으로 하부 CMD 사(31-40)와 상호 직조된다. 예를 들면, 하부 CMD 사(31)는 하부 MD 사(21)의 위, 하부 MD 사(22-25)의 아래, 하부 MD 사(26)의 위, 하부 MD 사(27-30)의 아래를 통과한다. 다른 하부 CMD 사도 "위로 1/ 아래로 4"의 직조 패턴을 따르나, 각각은 이웃한 제일 가까운 하부 CMD 사로부터 2 가닥의 하부 MD 사 만큼 옵셋(offset)된다. 따라서, 하부 CMD 사(32)는 하부 MD 사(21 및 22)의 아래, 하부 MD 사(23)의 위, 하부 MD 사(24-27)의 아래, 하부 MD 사(28)의 위, 하부 MD 사(29 및 30)의 아래를 통과한다. 따라서 하부 MD 사(23)가 하부 CMD 사(32)의 아래를 통과함으로써 형성된 "너클(knuckle)"은 하부 MD 사(21)가 하부 CMD 사(31)의 위를 통과함으로써 형성된 "너클"로부터 2 가닥의 하부 MD 사 만큼 옵셋된다.
도 1A를 참조하면, 직물(10)의 상부 층은 상부 MD 사와 결합 사 쌍의 부분으로써 형성된다.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합 사와 상부 MD 사는 연합하여 평탄한 직조 상부 표면을 형성한다. 결합 사와 상부 및 하부 MD 사의 상호 직조는 도 1A 및 도 2A부터 도 2J까지를 검토함으로써 이해할 수 있다.
반복 유닛의 각각의 결합 사는 상부 MD 사에 상호 직조된 섬유 지지 부분과 하부 MD 사에 상호 직조된 결합 부분의 두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것은 한 쌍중의 한가닥의 결합 사가 그 쌍중의 다른 가닥과 교차하는 "위치 변경하는" 상부 MD 사의 아래에서 분리된다. 각 쌍의 결합 사는 쌍의 한가닥 실의 섬유 지지 부분이 그 쌍의 다른 가닥 실의 결합 부분 위에 위치하도록 서로 간에 대하여 상호 직조된다. "a"(예, 41a, 42a, 43a)로 표시된 각 쌍의 결합 사의 섬유 지지 부분은 교번(交番) 형식으로 5 가닥의 상부 MD 사(3 가닥의 상부 MD 사 위와 2 가닥의 상부 MD 사 아래를 교대로 통과함)에 상호 직조되고, 쌍의 다른 결합 사("b"로 표시됨)는 상부 MD 사의 2가닥 위를 통과하며 이 2 가닥 MD 사 사이에 위치한 한가닥의 상부 MD 사의 아래를 통과한다. 섬유 지지 부분에서, 각각의 결합 사는 인접한 쌍의 결합 사의 섬유 지지 부분이 아래로 통과하는 상부 MD 사의 위로 통과하고, 인접한 쌍의 결합 사의 섬유 지지 부분이 위로 통과하는 상부 MD 사의 아래를 통과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결합 사는 상부 MD 사와 평탄한 직조 패턴을 형성한다(도 1A를 볼 것).
결합 부분에서, 각각의 결합 사는 반복 유닛내에서 1 가닥의 하부 MD 사의 아래로 통과한다. 각각의 결합 사는 결합 사를 가운데에 두는 하부 CMD 사의 위에 인접한 하부 MD 사로써 형성되는 두개의 너클 사이에 위치하는 하부 MD 사의 아래를 통과한다. 결합 사 쌍의 연합된 결합 부분은 직물(10)(도 1B를 볼 것)의 하부 표면 상에서 "위로 4/아래로 1"의 패턴을 확립한다.
결합 사의 직조 패턴을 결합 사(49a, 49b)가 상부 및 하부 MD 사에 상호 직조된 것을 나타내는 도 2I에서 예시한다. 섬유 지지 부분에서, 결합 사(49a)는 상부 MD 사(11, 13 및 15)의 위와 상부 MD 사(12 및 14)의 아래로 통과한다. 다음에는 위치 변경하는 상부 MD 사(16)의 아래와 하부 MD 사(26)의 위로 통과한다. 결합 부분에서, 결합 사(49a)는 하부 MD 사(27 및 29)의 위를 통과하면서 상부 MD 사(17-19)의 아래를 통과하고, 하부 MD 사(28)의 아래를 통과하여서 직물(10)의 하부 층을 결합한다. 그 다음 결합 사(49a)는 상부 위치 변경하는 MD 사(20)와 하부 MD 사(30)의 사이를 통과한다. 도 2I는 또한, 결합 사(49b)는 결합 사의 결합 부분이 결합 사(49a)의 아래에 있도록 상호 직조되고, 결합 사(49b)가 하부 MD 사(21, 22, 24, 25)의 위와 하부 MD 사(23)의 아래를 통과하면서 상부 MD 사(11-15)의 아래로 통과하는 것을 나타낸다. 섬유 지지 부분에서, 결합 사(49b)는 상부 MD 사(17)의 위, 상부 MD 사(18)의 아래와 상부 MD 사(19)의 위, 및 위치 변경하는 상부 MD 사의 아래를 통과하여서 결합 사(49a)로써 확립되는 교번의 직조를 계속한다.
도 2A부터 도 2H 및 도 2J(다른 결합 사 쌍의 상부 및 하부 MD 사와의 상호 직조 패턴을 나타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서로에 관하여서 결합 사(49a, 49b)에 대하여 상기한 동일 패턴은 다른 결합 사 쌍으로써 후속한디.
도 1A와 도 1B를 재 참조하면, 인접한 결합 사의 쌍은 이러한 결합 사 쌍 사이에서 3 가닥의 MD 사 만큼 옵셋되도록 상부 및 하부 MD 사에 상호 직조된다. 예를 들면, 결합 사(41a)는 상부 MD 사(15, 17 및 19)의 위와 하부 MD 사(32)의 아래로 통과한다. 결합 사(42a)는 상부 MD 사(12, 14 및 16)의 위와 하부 MD 사(39)의 아래로 통과한다. 따라서, 결합 사(42a)는 결합 사(43a)로부터 3 가닥의 상부 및 하부 MD 사 만큼 옵셋된다. 이 동일한 3 가닥의 MD 사 옵셋은 다른 결합 사의 상호 직조에 대해서 후속한다.
도 1A, 도 1B 및 도 2A로부터 도 2J에서 결합 사 쌍이 각각의 "a" 사(3 가닥의 상부 MD사의 위를 통과하는 결합 사)는 2 가닥의 "b" 사(2 가닥의 상부 MD사의 위를 통과하는 결합 사)의 사이에 위치하고, 각각의 "b" 사는 2 가닥의 "a" 사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부 및 하부 MD 사에 상호 직조되는 것을 또한 알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결합 사 쌍(41a, 41b, 42a, 42b)을 검사함으로써 나타난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 사(41b)는 결합 사(41a 및 42a)의 사이에 위치한다. 도 1A, 도 1B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 사(42a)는 결합 사(41b 및 42b)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성은 직물의 상부 표면의 제지 특성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특히 위치 변경하는 상부 MD 사에 관련하여 효과적인 것으로 발견되었다. 위치 변경하는 실이 한 쌍의 결합 사의 위를 통과하여 상부 표면 너클을 형성할 때, 이 너클은 상부 MD 사가 결합 사 또는 상부 CMD 사의 위로 통과하는 다른 위치 보다 그 위치에서 결합 사로부터 상향의 지지를 덜 받게 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너클은 다른 상부 MD 너클보다 약간 낮게 위치하는 경향이 있다.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위치 변경하는 상부 MD 사로써 형성된 너클은 일련의 변칙적인 대각선으로 한정되며, 이러한 대각선의 한 예는 결합 사(41a, 41b 및 43a, 43b)위의 상부 MD사(14), 결합 사(44a, 44b 및 46a, 46b)위의 상부 MD 사(15), 결합 사(47a, 47b 및 49a, 49b)위의 상부 MD 사(16), 및 결합 사(50a, 50b)위의 상부 MD 사(17)로써 형성된 너클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MD 사 너클로써 한정되는 변칙적인 대각선은 상기한 더 적은 상향 지지로 인하여 약간의 침하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대각선의 너클은 모두 나머지 상부 MD 너클에 비해 어느정도 낮게 위치하기 때문에, 이러한 직물 위에서 성형되는 종이는 이러한 패턴을 나타내고, 다음에 그위에 인쇄되는 형상에 영향을 주게 된다. 그러나, "b" 결합 사(2 가닥의 상부 MD 사의 위를 통과)가 후속하는 "a" 결합 사(3 가닥의 상부 MD 사의 위를 통과)의 교번 형식의 결합 사를 포함하고, 나타낸 바와 같이 "a" 및 "b" 사를 옵셋시킴으로써, 근접하여 위치한 상부 MD 너클(즉, 상부 MD 사(15, 16)로써 그위에 형성된 너클의 아래를 통과하는 결합 사(46b, 47a)의 섬유 지지 부분)의 한 쪽 위에 위치한 인접한 쌍의 결합 사의 섬유 지지 부분은 서로 인접하며, 이러한 너클의 다른 쪽 위에 위치한 그것의 쌍이 되는 실(즉, 결합 사(46a, 47b))의 섬유 지지 부분은 그 쌍의 다른 결합 사에 의해서 서로 분리된다. 결과적으로, 위치 변경하는 상부 MD 너클에 의해 형성된 대각선은 어느 정도 영향을 받아서 덜 명료하게 윤곽이 나타난다. 이렇게 직물(10)위에서 성형되는 종이는 이러한 너클로 인해서 덜 명료한 대각선 패턴을 갖게 되고, 종이 위에서의 인쇄도 개선된다.
당업자는 앞에 기술한 구성이, 한 쌍 중의 "a" 결합 사의 직조는 그 쌍 중의 "b" 결합 사의 직조에 선행하고, 반복 유닛 전체를 통하여서 이러한 순서를 유지함으로써 직물내에서 생성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모든 결합 사의 쌍이 이러한 패턴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나, 결합 사 쌍의 단지 적은 비율(예로 25%, 33%, 40% 또는 50%)이 이러한 교번 순서를 따르도록 순서를 변경 함으로써 얻어지는 이점도 있다.
당업자는 또한, 결합 사가 섬유 지지 부분과 결합 부분으로 상이하게 분리되는 다른 평탄한 직조 패턴이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직물은 한 쌍내의 각각의 결합 사가 섬유 지지 부분에서 2 가닥, 3 가닥, 4가닥, 또는 더 많은 가닥의 상부 MD 사의 위를 통과하는 상부 층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사는 상이한 수의 상부 MD 사의 위를 통과하거나, 또는 동일한 수의 위를 통과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결합 사의 결합 부분에서 하부 너클의 적절한 위치 조정이 상부 표면에서 결합 사의 패턴을 변경함으로써 이루어져야 된다.
본 발명의 다층 성형 직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3A, 도 3B 및 도 4A부터 도 4F에 나타내며, 대체로 (100)으로 표시된 다층 성형 직물의 반복 유닛을 나타낸다. 반복 유닛은 12 가닥의 상부 MD 사(101-112), 12 가닥의 하부 MD 사(141-152), 6 가닥의 하부 CMD 사(161-166), 및 12 가닥의 결합 사(181a, 181b-186a, 186b)를 포함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하부 MD 및 CMD 사로써 형성되는 직물(100)의 기계 쪽 표면은 "변칙적인 능직"의 패턴을 택한다. 각각의 하부 CMD 사는 하부 MD 사에 대하여 "위로 1/아래로 5"의 반복 패턴을 갖는다. 예를 들면, 하부 CMD 사(161)는 하부 MD 사(141)의 위, 하부 MD 사(142-146)의 아래, 하부 MD 사(147)의 위, 및 하부 MD 사(148-152)의 아래를 통과한다. 이러한 "위로 1/아래로 5"의 패턴은 나머지 CMD 사에서도 반복된다. 그러나, 하부 MD 사가 하부 CMD 사의 아래를 통과함으로써 형성된 하부 측 너클은 변칙적인 능직 패턴으로 배열되며, 하부 측 너클은 각각 하부 CMD 사(161-166)의 위에 하부 MD 사(141, 143, 145, 142, 146, 144)에 의해 형성되고, 각각 하부 CMD 사(161-166)의 위에 하부 MD 사(147, 149, 151, 148, 152, 및 150)에 의해 형성된다.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러한 너클은 능직 직물의 특징인 명백한 대각선을 형성하지 못하고 대신에 "변칙적인 능직" 패턴을 형성한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물(100)의 상부 표면은 상부 MD 사, 및 결합 사의 부분으로써 형성되는 1x2 능직 패턴을 갖는다. 앞서 기술한 직물(10)에서와 같이, 각 결합 사는 섬유 지지 부분과 결합 부분을 가지며, 이것은 그 아래에서 쌍의 결합 사가 서로 교차하는 위치 변경하는 상부 기계 방향 사로써 분리된다. 각 결합 사의 섬유 지지 부분은 상부 MD 사와 상호 직조될 때 "위로 2/아래로 1/위로 2"의 패턴을 따른다. 결합 부분에서는, 각 결합 사는 1 가닥의 하부 MD 사의 아래를 통과하는 예외를 가지고 상부 및 하부 MD 사의 사이를 통과한다. 결합된 하부 MD 사는 각 결합 사의 섬유 지지 부분과 결합 부분을 분리시키는 위치 변경하는 MD 사로부터 1 또는 2 가닥의 MD 사 만큼 떨어져서 위치한다.
이러한 패턴을 결합 사(185a)로써 예시하는 바, 도 4E에서 결합 패턴을 나타낸다. 결합 사(185a)는 위치 변경하는 상부 MD 사(106)의 아래를 통과하기 전에 상부 MD 사(101 및 102)의 위, 상부 MD 사(103)의 아래, 및 상부 MD 사(104, 105)의 위를 통과한다. 결합 부분에서는, 결합 사(185a)는 위치 변경하는 상부 MD 사(112)의 아래 및 하부 MD 사(152)의 위를 통과하기 전에 하부 MD 사(147 및 148)의 위, 하부 MD 사(149)의 아래, 및 하부 MD 사(148, 149)의 위를 통과한다.
결합 사의 쌍은 서로에 관하여 상부 MD 사와 상호 직조되어 섬유 지지 부분과 상부 MD 사는 1x2 능직 패턴을 형성한다. 다시 도 4E를 참조하면, 상기한 대로 결합 사(185a)는 상부 MD 사(101 및 102)의 위, 상부 MD 사(103)의 아래, 및 상부 MD 사(104, 105)의 위를 통과한다. 결합 사(185a, 185b) 모두는 위치 변경하는 상부 MD 사(106)의 아래를 통과한 후에 결합 사(185b)의 섬유 지지 부분은 결합 사(185a)에 의해 처음에 확립된 위로 2/아래로 1의 능직 패턴을 계속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결합 사(185b)는 위치 변경하는 상부 MD 사(112)의 아래를 통과하기 전에 상부 MD 사(107, 108)의 위, 상부 MD 사(109)의 아래 및 상부 MD 사(110, 111)의 위를 통과한다.
도 5A에서 결합 사는 상부 MD 사와 상호 직조되어, 각 섬유 지지 부분의 "위로 2" 부분이 그 결합 사 측면에 있는 인접한 결합 사 쌍의 결합 사의 "위로 2" 부분으로부터 1 가닥의 MD 사 만큼 옵셋되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결합 사(181a)는 상부 MD 사(102 및 103)의 위를 통과한다. 제일 가까운 상부 CMD 사(121 및 122)는 각각 상부 MD 사(101, 102 및 103, 104)의 위를 통과한다. 따라서, 1x2 능직의 명백한 대각선이 결합 사의 섬유 지지 부분으로써 형성된다.
도 3B에서 또한 어떻게 결합 사가 하부 MD 사에 결합되는 가를 나타낸다. 도 3B에서 각각의 결합 사가 하부 MD 사의 아래를 통과함으로써 형성되는 너클은 한 방향에서는, 2 가닥의 하부 CMD 사가 결합 사 너클과 하부 CMD 사 상에 그 하부 MD 사로써 형성된 너클 사이에 존재하고, 반대 방향에서는, 3 가닥의 하부 CMD 사가 결합 사 너클과 CMD 사 상에 그 하부 MD 사로써 형성된 그 다음 너클 사이에 존재하도록 위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 사(184a)는 하부 MD 사(141)의 아래를 통과하며 너클을 형성한다. 하부 MD 사(141)는 하부 CMD 사(161)의 아래를 통과하며 결합 사(184a)로써 형성된 너클로부터 3 가닥의 하부 CMD 사(162, 163, 164) 만큼 분리된 너클을 형성한다. 다른 방향으로 패턴을 계속하면, 하부 CMD 사(165 및 166)는 결합 사(184a)로써 형성된 너클과 하부 CMD 사(166) 뒤의 다음 하부 CMD 사(하부 CMD 사(161)와 동일한 직조 패턴을 보유함)의 아래의 하부 MD 사(141)로써 형성될 너클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결합 사(184a)의 결합 사 너클은 하부 MD 사 너클로부터 한 방향에서는 3 가닥의 하부 CMD 사 만큼, 다른 방향에서는 2 가닥의 CMD 사 만큼 분리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직물은 상부 층에서 다른 능직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추가로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직물은 1x3 또는 1x4의 능직 상부 층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능직 패턴의 어떤것은 직물(100)의 것과 같이 통상적인 능직일 수 있고, 또는 통상적인 4 또는 5 통사의 견수자 단일 층 직물의 표면의 것과 같은 변칙적인 능직 패턴을 택할 수 있다. 또한 결합 사 쌍의 섬유 지지 부분이 상이한 수의 상부 MD 사의 위를 통과하는 직물이 구성될 수도 있다. 각각의 예에서, 당업자는 섬유 지지 부분에서의 상이점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결합 사의 결합 부분의 적절한 변형을 이해하여야 한다.
당업자는, 여기에서 나타내고 상세히 기술한 평직 및 능직의 직물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능직 및 견수자와 같은, 직물의 제지 표면에 통합되는 결합 사 쌍과 상부 MD 사를 사용하는 다른 직물의 직조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직물(10 및 100)에서는 최소한 1 가닥의 하부 MD 사의 아래를 통과하지도 못하는 CMD 사를 나타내거나 바람직한 것도 아니지만, 본 발명의 직물은 단지 상부 MD 사와만 상호 직조되는 약간의 CMD 사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야 한다. 이것은 직물의 상부 표면에 33%(즉, 이것은 매 2 쌍의 결합 사에 대하여 1 가닥의 CMD 사보다 많지 않아야 됨) 이하를 포함해야 되고, 바람직하게는 상부 표면의 25% 또는 20% 이하를 포함하거나 제일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CMD 사를 상부 표면에서 제외하는 것이다.
결합 사 쌍이 하부 MD 사를 결합하는 하부 층에서 어느 수의 구성도 사용될 수 있다. 그 위에, 도시한 직물은 동일한 수의 상부 및 하부 CMD 사와 결합 사 쌍을 가지고 있으나, 이것은 본 발명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는 아니고, 각각의 하부 CMD 사에 대하여 2 가닥의 결합 사 쌍과 같이 다른 비율이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직물에서 사용되는 각 실의 구성은 요구되는 최종 제지용 직물의 성질에 따라서 변화된다. 예를 들면, 실은 다중 필라멘트사, 단 필라멘트사, 다중 필라멘트 연사 또는 단 필라멘트 연사, 방적사 또는 이것의 다른 결합사 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직물에서 사용하는 실을 구성하는 재료는 통상적으로 제지용 직물에서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은 면, 모,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아라미드(aramid), 나일론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당업자는 최종 직물의 적용 특징에 따라서 실의 재료를 선택해야 한다.
실의 칫수에 대하여는, 실의 특정 크기는 제지 표면의 크기와 여백에 의해 특히 제어된다. 통상적으로, 상부 MD 사의 직경은 하부 MD 사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거나 또는 작으며, 하부 CMD 사의 직경은 하부 MD 사의 직경보다 어느 정도 크다. 특정 직물에서는, 상부 MD 사의 직경은 약 0.11mm와 0.15mm 사이이고, 하부 CMD 사의 직경은 약 0.20mm와 0.40mm 사이이며, 하부 MD 사의 직경은 약 0.17mm와 0.25mm 사이이다. 결합 사의 직경은 전형적으로 약 0.11mm와 0.17mm 사이이다.
실은 또한 탄성계수에서 유리하게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 쌍의 결합 사보다 적은 수의 상부 MD사와 상호 직조되는 결합 사(직물(10)의 "b" 사와 같음)는 그 쌍의 결합 사보다 더 높은 탄성계수(전형적으로 약 10%와 50% 사이로 더 높음)를 갖는다.
앞의 설명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직물은 종래 기술의 3층 성형 직물에서 만나게 되는 문제점을 다룬다. 본 발명의 직물은 결합 사를 직물의 상부 표면으로서 사용하여, 그것이 평직, 능직, 견수자 또는 다른 패턴일지라도, 제지 표면의 적은 부분을 구성하는 결합 사의 포함에 동반되는 제지 표면의 결점을 회피한다. 결합 사에 기인하는 직물의 통합은 또한 내부 층의 마모를 크게 감소시킨다(완전히 제거하지 않으면). 더욱이, 결합 사가 제지 표면을 구성하기 때문에, 제지 표면을 일그러뜨릴 수 있는, 종래 기술에 의한 직물의 상부 CMD 사와 결합 사 사이의 장력의 상위는 본 발명의 직물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결합 사의 밀도는 또한 직물의 상부 및 하부 층을 더 완전하게 결합시키며, 설계자가 제지 성형 특성, 내구성 및 마모성에 균형을 맞추어서 실을 더 넓은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이고, 거기에 한정되는 것으로 추론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청구 범위와 거기에 포함되는 균등한 청구범위로써 한정된다.

Claims (26)

  1. 상부 기계 방향 사, 하부 기계 방향 사, 하부 기계 교차 방향 사, 및 제1 및 제2 결합 기계 교차 방향사 군을 포함하는 제지용 직물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다수의 반복 유닛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반복 유닛은,
    일군의 상부 기계 방향 사,
    일군의 하부 기계 방향 사,
    상기 하부 기계 방향 사 군과 상호 직조된 일군의 하부 기계 교차 방향 사를 포함하고,
    또한 제1 및 제2 결합 사 쌍은 기계 교차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 쌍의 상기 제1 및 제2 결합 사는 상기 상부 및 하부 기계 방향 사와 상호 직조되어, 상기 제1 결합 사의 섬유 지지 부분은 상기 상부 기계 방향 사와 상호 직조되고, 상기 제2 결합 사의 결합 부분은 상기 상부 기계 방향 사의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결합 사의 섬유 지지 부분은 상기 상부 기계 방향 사와 상호 직조되고, 상기 제1 결합 사의 결합 부분은 상기 상부 기계 방향 사의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결합 사는 위치 변경하는 상부 기계 방향 사의 아래를 통과할 때 서로 교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 사의 각각의 상기 결합 부분은 최소한 상기 하부 기계 방향 사의 하나의 아래를 통과하며,
    상기 결합 사의 상기 섬유 지지 부분 및 상기 상부 기계 방향 사는 제지 표면을 한정하고, 상기 제지 표면은 최소한 하나의 하부 기계 방향 사의 아래를 통과하지 못하는 기계 교차 방향 사의 33% 이하를 포함하는 제지용 직물.
  2. 제1항에 있어서, 결합 사의 제1 교번 쌍의 섬유 지지 부분은 제1 군의 교번 상부 기계 방향 사의 위와 제2 군의 교번 상부 기계 방향 사의 아래를 통과하고, 결합 사의 제2 교번 쌍의 섬유 지지 부분은 상기 제2 군의 교번 상부 기계 방향 사의 위와 상기 제1 군의 교번 상부 기계 방향 사의 아래를 통과하며, 결합 사의 상기 제1 및 제2 교번 쌍의 상기 섬유 지지 부분, 상기 제1 군의 교번 상부 기계 방향 사, 및 상기 제2 군의 교번 기계 방향 사는 상기 직물의 평탄한 직조 상부 표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제지용 직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사의 상기 섬유 지지 부분은 상기 기계 방향 사의 제1 숫자의 위를 통과하고, 상기 제2 결합 사의 상기 섬유 지지 부분은 상기 기계 방향 사의 제2 숫자의 위를 통과하며, 상기 제1 숫자는 상기 제2 숫자와 다른 것으로 한정되는 제지용 직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숫자는 상기 제2 숫자보다 크고, 상기 제2 결합 사는 상기 제1 결합 사보다 더 높은 탄성계수를 보유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제지용 직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숫자는 3이고, 제2 숫자는 2인 것으로 한정되는 제지용 직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 사는 상기 상부 기계 방향 사보다 적은 직경의 것으로 한정되는 제지용 직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 사의 각각의 상기 결합 부분은 상기 하부 기계 방향 사의 단지 하나의 아래를 통과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제지용 직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유닛은 10 가닥의 상부 기계 방향 사와 10 가닥의 하부 기계 방향 사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제지용 직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기계 방향 사와 상기 제1 및 제2 결합 사의 상기 섬유 지지 부분은 반복 패턴으로서 상호 직조되어 각각의 상기 섬유 지지 부분은 제1 쌍의 인접한 상부 기계 방향 사의 위와, 상기 제1 쌍에 인접한 제3 상부 기계 방향 사의 아래와, 상기 제3 상부 기계 방향 사에 인접하여 위치한 제2 쌍의 상부 기계 방향 사의 위를 통과하고, 인접한 결합 사의 섬유 지지 부분은 1 가닥의 상부 기계 방향 사 만큼 옵셋된 상부 기계 방향 사 쌍의 위를 통과하여, 상기 상부 기계 방향 사와 상기 제1 및 제2 결합 사의 상기 섬유 지지 부분이 1x2 능직 패턴을 형성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제지용 직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지용 표면은 최소한 하나의 하부 기계 방향 사의 아래를 통과하지 못하는 기계 교차 방향 사가 없는 것으로 한정되는 제지용 직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사는 상기 상부 및 하부 기계 방향 사와 상호 직조되어 결합 사의 인접한 쌍은 3 가닥의 상부 기계 방향 사 만큼 옵셋된 위치 변경하는 상부 기계 방향 사의 아래에서 교차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제지용 직물.
  12. 제1항에 있어서, 25%와 50% 사이의 상기 제1 및 제2 결합 사는 상기 상부 기계 방향 사와 교번으로 상호 직조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제지용 직물.
  13. 상부 기계 방향 사, 하부 기계 방향 사, 하부 기계 교차 방향 사, 및 제1 및 제2 결합 기계 교차 방향 사 군을 포함하는 제지용 직물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다수의 반복 유닛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반복 유닛은,
    일군의 상부 기계 방향 사,
    일군의 하부 기계 방향 사,
    상기 하부 기계 방향 사 군과 상호 직조된 일군의 하부 기계 교차 방향 사를 포함하고,
    또한 제1 및 제2 결합 사의 쌍은 기계 교차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 쌍의 상기 제1 및 제2 결합 사는 상기 상부 및 하부 기계 방향 사와 상호 직조되어, 상기 제1 결합 사의 섬유 지지 부분은 상기 상부 기계 방향 사와 상호 직조되고, 상기 제2 결합 사의 결합 부분은 상기 상부 기계 방향 사의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결합 사의 섬유 지지 부분은 상기 상부 기계 방향 사와 상호 직조되고, 상기 제1 결합 사의 결합 부분은 상기 상부 기계 방향 사의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결합 사는 위치 변경하는 상부 기계 방향 사의 아래를 통과할 때 서로 교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 사의 각각의 상기 결합 부분은 최소한 상기 하부 기계 방향 사의 하나의 아래를 통과하며, 25%와 50% 사이의 상기 결합 사는 상기 상부 기계 방향 사와 교번으로 상호 직조되고,
    상기 결합 사의 상기 섬유 지지 부분과 상기 상부 기계 방향 사는 제지 표면을 한정하며, 상기 제지 표면은 최소한 하나의 하부 기계 방향 사의 아래를 통과하지 못하는 기계 교차 방향 사의 33% 이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제지용 직물.
  14. 제13항에 있어서, 결합 사의 제1 교번 쌍의 섬유 지지 부분은 제1 군의 교번 상부 기계 방향 사의 위와 제2 군의 교번 상부 기계 방향 사의 아래를 통과하고, 결합 사의 제2 교번 쌍의 섬유 지지 부분은 상기 제2 군의 상부 기계 방향 사의 위와 상기 제1 군의 교번 상부 기계 방향 사의 아래를 통과하며, 결합 사의 상기 제1 및 제2 교번 쌍의 상기 섬유 지지 부분, 상기 제1 군의 교번 상부 기계 방향 사, 및 상기 제2 군의 교번 기계 방향 사는 상기 직물의 평탄한 직조 상부 표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제지용 직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사의 상기 섬유 지지 부분은 상기 기계 방향 사의 제1 숫자의 위를 통과하고, 상기 제2 결합 사의 상기 섬유 지지 부분은 상기 기계 방향 사의 제2 숫자의 위를 통과하며, 상기 제1 숫자는 상기 제2 숫자와 다른 것으로 한정되는 제지용 직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숫자는 상기 제2 숫자보다 크고, 상기 제2 결합 사는 상기 제1 결합 사보다 더 높은 탄성계수를 보유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제지용 직물.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숫자는 3이고, 상기 제2 숫자는 2인 것으로 한정되는 제지용 직물.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 사는 상기 상부 기계 방향 사보다 더 적은 직경인 것으로 한정되는 제지용 직물.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 사의 각각의 상기 결합 부분은 상기 하부 기계 방향 사의 단지 하나의 아래를 통과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제지용 직물.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유닛은 10 가닥의 상부 기계 방향 사와 10 가닥의 하부 기계 방향 사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제지용 직물.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사는 상기 상부 및 하부 기계 방향 사와 상호 직조되어 결합 사의 인접한 쌍은 3 가닥의 상부 기계 방향 사 만큼 옵셋된 위치 변경하는 상부 기계 방향 사의 아래에서 교차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제지용 직물.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지 표면은 최소한 하나의 하부 기계 방향 사의 아래를 통과하지 못하는 기계 교차 방향 사가 없는 것으로 한정되는 제지용 직물.
  23. 제지 방법은,
    (가) 제지용 직물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상부 기계 방향 사, 하부 기계 방향 사, 하부 기계 교차 방향 사, 및 제1 및 제2 결합 기계 교차 방향 사 군을 포함하고, 상기 직물은 다수의 반복 유닛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반복 유닛은,
    일군의 상부 기계 방향 사,
    일군의 하부 기계 방향 사,
    상기 하부 기계 방향 사 군과 상호 직조된 일군의 하부 기계 교차 방향 사를 포함하고,
    또한 제1 및 제2 결합 사의 쌍은 기계 교차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 쌍의 상기 제1 및 제2 결합 사는 상기 상부 및 하부 기계 방향 사와 상호 직조되어, 상기 제1 결합 사의 섬유 지지 부분은 상기 상부 기계 방향 사와 상호 직조되고, 상기 제2 결합 사의 결합 부분은 상기 상부 기계 방향 사의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결합 사의 섬유 지지 부분은 상기 상부 기계 방향 사와 상호 직조되고, 상기 제1 결합 사의 결합 부분은 상기 상부 기계 방향 사의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결합 사는 위치 변경하는 상부 기계 방향 사의 아래를 통과할 때 서로 교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 사의 각각의 상기 결합 부분은 최소한 상기 하부 기계 방향 사의 하나의 아래를 통과하며,
    상기 결합 사의 상기 섬유 지지 부분과 상기 상부 기계 방향 사는 제지 표면을 한정하고, 상기 제지 표면은 최소한 하나의 하부 기계 방향 사의 아래를 통과하지 못하는 기계 교차 방향 사의 33% 이하를 포함하는 제지용 직물을 구성하는 단계와,
    (나) 종이 스톡을 상기 직물에 도포하는 단계, 및
    (다) 상기 종이 스톡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지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결합 사의 제1 교번 쌍의 섬유 지지 부분은 제1 군의 교번 상부 기계 방향 사의 위와 제2 군의 교번 상부 기계 방향 사의 아래를 통과하고, 결합 사의 제2 교번 쌍의 섬유 지지 부분은 상기 제2 군의 상부 기계 방향 사의 위와 상기 제1 군의 교번 상부 기계 방향 사의 아래를 통과하며, 결합 사의 상기 제1 및 제2 교번 쌍의 상기 섬유 지지 부분, 상기 제1 군의 교번 상부 기계 방향 사, 및 상기 제2 군의 교번 기계 방향 사는 상기 직물의 평탄한 직조 상부 표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제지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기계 방향 사와 상기 제1 및 제2 결합 사의 상기 섬유 지지 부분은 반복 패턴으로서 상호 직조되어 각각의 상기 섬유 지지 부분은 제1 쌍의 인접한 상부 기계 방향 사의 위와, 상기 제1 쌍에 인접한 제3 상부 기계 방향 사의 아래와,상기 제3 상부 기계 방향 사에 인접하여 위치한 제2 쌍의 상부 기계 방향 사의 위를 통과하고, 인접한 결합 사의 섬유 지지 부분은 1 가닥의 상부 기계 방향 사 만큼 옵셋된 상부 기계 방향 사 쌍의 위를 통과하여, 상기 상부 기계 방향 사와 상기 제1 및 제2 결합 사의 상기 섬유 지지 부분이 1x2 능직 패턴을 형성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제지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지 표면은 최소한 하나의 하부 기계 방향 사의 아래를 통과하지 못하는 기계 교차 방향 사가 없는 것으로 한정되는 제지용 직물.
KR10-1999-7010425A 1997-08-01 1997-10-16 제지(製紙)용 표면에 통합된 결합 사(絲) 쌍을 가진 다층성형 직물 KR1005085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905,489 1997-08-01
US8/905,489 1997-08-01
US08/905,489 US5881764A (en) 1997-08-01 1997-08-01 Multi-layer forming fabric with stitching yarn pairs integrated into papermaking surface
PCT/US1997/018627 WO1999006630A1 (en) 1997-08-01 1997-10-16 Multi-layer forming fabric with stitching yarn pairs integrated into papermaking surf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2470A true KR20010012470A (ko) 2001-02-15
KR100508540B1 KR100508540B1 (ko) 2005-08-17

Family

ID=25420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0425A KR100508540B1 (ko) 1997-08-01 1997-10-16 제지(製紙)용 표면에 통합된 결합 사(絲) 쌍을 가진 다층성형 직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881764A (ko)
EP (1) EP1021616B1 (ko)
JP (1) JP4018336B2 (ko)
KR (1) KR100508540B1 (ko)
CN (1) CN1095010C (ko)
AT (1) ATE217657T1 (ko)
AU (1) AU728680B2 (ko)
BR (1) BR9714814A (ko)
CA (1) CA2288028C (ko)
DE (2) DE69712647T2 (ko)
NO (1) NO20000527L (ko)
NZ (1) NZ500341A (ko)
WO (1) WO19990066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7195A (en) * 1997-08-01 1999-10-19 Weavexx Corporation Multi-layer forming fabric with stitching yarn pairs integrated into papermaking surface
GB9811089D0 (en) * 1998-05-23 1998-07-22 Jwi Ltd Warp-tied composite forming fabric
GB2351505A (en) * 1999-06-29 2001-01-03 Jwi Ltd Two-layer woven fabric for papermaking machines
US6179013B1 (en) 1999-10-21 2001-01-30 Weavexx Corporation Low caliper multi-layer forming fabrics with machine side cross machine direction yarns having a flattened cross section
US6585006B1 (en) 2000-02-10 2003-07-01 Weavexx Corporation Papermaker's forming fabric with companion yarns
US6244306B1 (en) 2000-05-26 2001-06-12 Weavexx Corporation Papermaker's forming fabric
DE10030650C1 (de) * 2000-06-29 2002-05-29 Kufferath Andreas Gmbh Papiermaschinensieb
US6253796B1 (en) 2000-07-28 2001-07-03 Weavexx Corporation Papermaker's forming fabric
DE10039736A1 (de) * 2000-08-16 2002-03-07 Kufferath Andreas Gmbh Verbundgewebe
US6379506B1 (en) * 2000-10-05 2002-04-30 Weavexx Corporation Auto-joinable triple layer papermaker's forming fabric
US6745797B2 (en) 2001-06-21 2004-06-08 Weavexx Corporation Papermaker's forming fabric
MXPA03011115A (es) * 2001-07-09 2004-05-05 Astenjohnson Inc Tela de secado a traves de aire en capas multiples.
JP3925915B2 (ja) * 2002-05-24 2007-06-06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工業用二層織物
US6834684B2 (en) * 2002-10-24 2004-12-28 Albany International Corp. Paired warp triple layer forming fabrics with optimum sheet building characteristics
US7048012B2 (en) * 2002-10-24 2006-05-23 Albany International Corp. Paired warp triple layer forming fabrics with optimum sheet building characteristics
DE10253491B3 (de) 2002-11-16 2004-05-13 Andreas Kufferath Gmbh & Co. Kg Papiermaschinensieb
US6854488B2 (en) * 2002-12-24 2005-02-15 Voith Fabrics Heidenheim Gmbh & Co., Kg Fabrics with paired, interchanging yarns having discontinuous weave pattern
US6883556B2 (en) * 2002-12-30 2005-04-26 Albany International Corp. Double cross parallel binder fabric
US6860969B2 (en) 2003-01-30 2005-03-01 Weavexx Corporation Papermaker's forming fabric
US6837277B2 (en) 2003-01-30 2005-01-04 Weavexx Corporation Papermaker's forming fabric
US20060231154A1 (en) * 2003-03-03 2006-10-19 Hay Stewart L Composite forming fabric
US6896009B2 (en) * 2003-03-19 2005-05-24 Weavexx Corporation Machine direction yarn stitched triple layer papermaker's forming fabrics
US7059357B2 (en) 2003-03-19 2006-06-13 Weavexx Corporation Warp-stitched multilayer papermaker's fabrics
EP1636414B1 (en) * 2003-06-10 2009-05-06 Voith Patent GmbH Fabrics with multi-segment, paired, interchanging yarns
FI20030983A (fi) * 2003-06-30 2004-12-31 Tamfelt Oyj Abp Paperikonekudos
EP1656480A1 (en) * 2003-08-13 2006-05-17 Voith Fabrics Patent GmbH Fabrics employing binder/top interchanging yarn pairs
US6978809B2 (en) 2003-09-29 2005-12-27 Voith Fabrics Composite papermaking fabric
DE102004016640B3 (de) 2004-03-30 2005-08-11 Andreas Kufferath Gmbh & Co. Kg Sieb, insbesondere Papiermaschinensieb
US7243687B2 (en) * 2004-06-07 2007-07-17 Weavexx Corporation Papermaker's forming fabric with twice as many bottom MD yarns as top MD yarns
US7198067B2 (en) * 2004-08-04 2007-04-03 Albany International Corp. Warp-runner triple layer fabric with paired intrinsic warp binders
JP4440085B2 (ja) * 2004-11-26 2010-03-24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工業用二層織物
US7124781B2 (en) * 2005-02-01 2006-10-24 Albany International Corp. Multiple contour binders in triple layer fabrics
US7195040B2 (en) * 2005-02-18 2007-03-27 Weavexx Corporation Papermaker's forming fabric with machine direction stitching yarns that form machine side knuckles
US7059361B1 (en) 2005-04-28 2006-06-13 Albany International Corp. Stable forming fabric with high fiber support
NO338649B1 (no) * 2005-05-19 2016-09-26 Nippon Filcon Kk Industriell tolagsstruktur
US7484538B2 (en) * 2005-09-22 2009-02-03 Weavexx Corporation Papermaker's triple layer forming fabric with non-uniform top CMD floats
US7219701B2 (en) * 2005-09-27 2007-05-22 Weavexx Corporation Papermaker's forming fabric with machine direction stitching yarns that form machine side knuckles
DE102006001388A1 (de) * 2006-01-11 2007-07-12 Andreas Kufferath Gmbh & Co. Kg Papiermaschinensieb
US7275566B2 (en) 2006-02-27 2007-10-02 Weavexx Corporation Warped stitched papermaker's forming fabric with fewer effective top MD yarns than bottom MD yarns
US7580229B2 (en) 2006-04-27 2009-08-25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Current-perpendicular-to-the-plane (CPP) magnetoresistive sensor with antiparallel-free layer structure and low current-induced noise
JP4912036B2 (ja) * 2006-05-26 2012-04-04 富士通株式会社 指向性集音装置、指向性集音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487805B2 (en) * 2007-01-31 2009-02-10 Weavexx Corporation Papermaker's forming fabric with cross-direction yarn stitching and ratio of top machined direction yarns to bottom machine direction yarns of less than 1
US7624766B2 (en) * 2007-03-16 2009-12-01 Weavexx Corporation Warped stitched papermaker's forming fabric
DE102007020071A1 (de) * 2007-04-28 2008-10-30 Voith Patent Gmbh Formiersieb
WO2009018274A1 (en) * 2007-07-30 2009-02-05 Astenjohnson, Inc. Warp-tied forming fabric with selective warp pair ordering
US20090183795A1 (en) * 2008-01-23 2009-07-23 Kevin John Ward Multi-Layer Papermaker's Forming Fabric With Long Machine Side MD Floats
US7766053B2 (en) * 2008-10-31 2010-08-03 Weavexx Corporation Multi-layer papermaker's forming fabric with alternating paired and single top CMD yarns
US8196613B2 (en) * 2009-02-25 2012-06-12 Kevin John Ward Multi-layer papermaker's forming fabric with paired MD binding yarns
CA2680924A1 (en) * 2009-09-29 2011-03-29 Richard Stone Papermakers' forming fabric including pairs of machine side complementary yarns
US8251103B2 (en) 2009-11-04 2012-08-28 Weavexx Corporation Papermaker's forming fabric with engineered drainage channels
DE102010017055A1 (de) 2010-05-21 2011-11-24 Andritz Technology And Asset Management Gmbh Blattbildungssieb
DE102011054163B3 (de) 2011-10-04 2013-02-28 ANDRITZ KUFFERATH GmbH Papiermaschinensieb
DE102013106327B4 (de) 2013-06-18 2015-01-08 Andritz Technology And Asset Management Gmbh Papiermaschinensieb
DE102013108399B3 (de) * 2013-08-05 2014-11-27 ANDRITZ KUFFERATH GmbH Papiermaschinensieb, dessen laufseite querfäden mit unterschiedlicher flottierungslänge aufweist
JP5814330B2 (ja) * 2013-12-02 2015-11-17 日本フエルト株式会社 抄紙用織物
WO2018081330A1 (en) 2016-10-28 2018-05-03 Astenjohnson Guiding resistant forming fabric with balanced twill machine side layer
IT202000000637A1 (it) * 2020-01-15 2021-07-15 Feltri Marone S P A Tessuto triplo di fabbricazione della carta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54092C (de) * 1927-12-29 H G Waldhelm Filztuchfabrik Gewebter Entwaesserungsfilz bei Papiermaschinen
US3325909A (en) * 1966-01-27 1967-06-20 Huyck Corp Fabric for pumping fluids
SE430425C (sv) * 1981-06-23 1986-09-19 Nordiskafilt Ab Formeringsvira for pappers-, cellulosa- eller liknande maskiner
SE441016B (sv) * 1982-04-26 1985-09-02 Nordiskafilt Ab Formeringsvira for pappers-, cellulosa- eller liknande maskiner
EP0164434B1 (de) * 1984-06-14 1989-05-24 F. Oberdorfer GmbH & Co. KG Industriegewebe-Technik Papiermaschinen-Sieb
FR2597123B1 (fr) * 1986-04-10 1988-12-02 Thuasne & Cie Tissu elastique de contention
EP0224276B1 (de) * 1986-05-06 1990-03-28 Hermann Wangner GmbH & Co. KG Bespannung für den Blattbildungsteil einer Papiermaschine
DE3615304A1 (de) * 1986-05-06 1987-11-12 Wangner Gmbh Co Kg Hermann Bespannung fuer den blattbildungsteil einer papiermaschine
US4759975A (en) * 1986-11-06 1988-07-26 Asten Group, Inc. Papermaker's wet press felt having multi-layered base fabric
DE3923938A1 (de) * 1989-07-19 1991-01-31 Oberdorfer Fa F Formiergewebe fuer die nasspartie einer papiermaschine
US4987929A (en) * 1989-08-25 1991-01-29 Huyck Corporation Forming fabric with interposing cross machine direction yarns
DE3938159A1 (de) * 1989-11-16 1991-05-23 Oberdorfer Fa F Verbundgewebe fuer papiermaschinensiebe
US5238536A (en) * 1991-06-26 1993-08-24 Huyck Licensco, Inc. Multilayer forming fabric
US5421374A (en) * 1993-10-08 1995-06-06 Asten Group, Inc. Two-ply forming fabric with three or more times as many CMD yarns in the top ply than in the bottom ply
US5518042A (en) * 1994-09-16 1996-05-21 Huyck Licensco, Inc. Papermaker's forming fabric with additional cross machine direction locator and fiber supporting yarns
GB9604602D0 (en) * 1996-03-04 1996-05-01 Jwi Ltd Composite papermaking fabric with paired weft binder yar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88028A1 (en) 1999-02-11
WO1999006630A1 (en) 1999-02-11
BR9714814A (pt) 2000-07-25
JP2003526016A (ja) 2003-09-02
EP1021616A1 (en) 2000-07-26
DE69712647T2 (de) 2003-01-02
EP1021616B1 (en) 2002-05-15
ATE217657T1 (de) 2002-06-15
AU4822197A (en) 1999-02-22
NZ500341A (en) 2000-06-23
JP4018336B2 (ja) 2007-12-05
CN1095010C (zh) 2002-11-27
CN1256730A (zh) 2000-06-14
KR100508540B1 (ko) 2005-08-17
US5881764A (en) 1999-03-16
NO20000527D0 (no) 2000-02-01
DE69712647D1 (de) 2002-06-20
DE1021616T1 (de) 2001-04-05
CA2288028C (en) 2006-01-24
NO20000527L (no) 2000-02-01
AU728680B2 (en) 2001-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8540B1 (ko) 제지(製紙)용 표면에 통합된 결합 사(絲) 쌍을 가진 다층성형 직물
KR100547086B1 (ko) 제지(製紙)용 표면에 통합된 결합사(絲) 쌍을 가진 다층 성형 직물
CA2229613C (en) Papermaker's fabric with additional cross machine direction yarns positioned in saddles
US4989647A (en) Dual warp forming fabric with a diagonal knuckle pattern
JP3672319B2 (ja) 紙製造業者の形成される布及びこの布を使用して紙を製造するためのプロセス
US6379506B1 (en) Auto-joinable triple layer papermaker's forming fabric
KR100732001B1 (ko) 기계측 너클을 형성하는 기계방향 접결사를 구비한 제지용성형직물
US7861747B2 (en) Forming fabric having exchanging and/or binding warp yarns
AU2007201400B2 (en) Papermaker's forming fabric with cross-direction yarn stitching and ratio of top machined direction yarns to bottom machine direction yarns of 2:3
US20040149342A1 (en) Papermaker's forming fabric
US7878224B2 (en) Forming fabric having binding warp yarns
US7624766B2 (en) Warped stitched papermaker's forming fabric
AU699702B2 (en) Papermakers' forming fabr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