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8740A - 태양광 모듈 어레이 및 다이오드 케이블 - Google Patents

태양광 모듈 어레이 및 다이오드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8740A
KR20120138740A KR1020127019854A KR20127019854A KR20120138740A KR 20120138740 A KR20120138740 A KR 20120138740A KR 1020127019854 A KR1020127019854 A KR 1020127019854A KR 20127019854 A KR20127019854 A KR 20127019854A KR 20120138740 A KR20120138740 A KR 20120138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module
diode
cable
connection
s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9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2670B1 (ko
Inventor
쟝 보리스 필립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20138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광전 에너지 발생을 위한 태양광 모듈, 태양광 모듈을 전기 부하에 접속하도록 태양광 모듈에 접속된 접속 하우징, 및 태양광 모듈에 역병렬 접속된 프리휠링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어레이에 관한 것이며, 프리휠링 다이오드는 접속 하우징과 태양광 모듈에 접속된 다이오드 케이블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광전 에너지 발생을 태양광 모듈, 태양광 모듈을 전기 부하에 접속하기 위해 태양광 모듈에 접속된 제1 접속 하우징, 태양광 모듈을 전기 부하에 접속하기 위해 태양광 모듈에 접속된 제2 접속 하우징, 및 태양광 모듈에 역병렬 접속된 프리휠링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어레이에 관한 것이며, 프리휠링 다이오드는 2개의 접속 하우징을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2개의 다이오드 케이블들 중 하나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다이오드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태양광 모듈 어레이 및 다이오드 케이블{SOLAR MODULE ARRAYS AND DIODE CABL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독립항의 특징부에 따른 태양광 모듈 어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태양광 모듈 어레이에 사용되는 다이오드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을 전력으로 광전 변환하는 태양광 모듈은 에너지를 생성하는 데 점점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효율 면에서, 다결정 황동광 반도체에 기초한 박막 태양광 모듈은 태양광의 스펙트럼에 적합한 밴드 갭 때문에 특히 높은 흡수 계수에 의해 구별되는 특히 구리-인듐 디셀레나이드(CuInSe2 또는 CIS)에 있어서 유리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개별 태양 전지에서는 1 V보다 작은 전압 레벨만이 도달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복수의 태양 전지는 기술적으로 유용한 출력 전압을 얻도록 태양광 모듈에 직렬 접속된다. 이를 위해, 박막 태양광 모듈은 태양 전지가 필름의 제조 동안 집적된 형태로 미리 직렬 접속될 수 있는 특별한 이점을 제공한다. 박막 태양광 모듈은 특허 문헌에 이미 수차례 개시되어 있다. 독일 특허 제4324318 C1호는 단지 일례로 참조된다.
전기 부하로의 접속을 위해, 태양광 모듈은 태양광 모듈의 배면측 상에 일반적으로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박스를 갖는다. 접속 박스는 접속 접촉부를 포함한다. 접속 접촉부와 태양 전지 회로 사이의 전기 접속은 예를 들어 태양 전지 회로로부터 모듈 외부의 접속 박스로 금속 스트립의 형태로 유도된다. 실제 응용에서, 복수의 태양광 모듈은 모듈 스트링을 형성하기 위해 접속 박스에 접속된 접속 케이블에 의해 종종 직렬 접속된다. 여기서, 모듈이 전류를 전달하는 정상 동작 상태에서 역 바이어스되도록 태양광 모듈의 접속 접촉부에 접속되는 프리휠링 다이오드 또는 바이패스 다이오드를 각 모듈에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섀도잉 또는 모듈 결함 때문에 태양광 모듈이 어떤 전류도 전달하지 못하면, 다른 태양광 모듈에 의해 전달되는 전류가 프리휠링 다이오드를 통해 흐를 수 있으므로, 역병렬 접속된 프리휠링 다이오드에 의해, 태양광 모듈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거나; 바이패싱에 의해, 전류 발생을 위한 모듈 스트링의 일시적으로 제한된 장애가 방지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제조의 단순화 및 제조 비용의 감소와 함께 종래의 태양광 모듈을 유리하게 개선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은 독립항의 특징을 갖는 태양광 모듈 어레이에 의해 본 발명의 제안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항의 특징에 의해 지시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광전 에너지 발생을 위한 태양광 모듈을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어레이가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모듈에는 직렬 접속된 복수의 태양 전지가 제공되어 있다. 태양광 모듈은 직렬 접속된 태양 전지를 집적한 결정, 다결정 실리콘 태양광 모듈 또는 박막 태양광 모듈일 수 있다. 특히, 반도체 필름은 황동광 화합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 화합물은 예를 들어 구리-인듐/갈륨-디설파이드/디셀레나이드(Cu(InGa)(SSE)2), 예를 들어 구리-인듐-디셀레나이드(CuInSe2 또는 CIS) 또는 관련 화합물, 카드뮴 텔루라이드 및/또는 박막 실리콘의 그룹으로부터의 I-III-VI-반도체일 수 있다.
태양광 모듈 어레이는 태양광 모듈을 전기 부하에 접속하기 위해, 특히 태양광 모듈을 추가적인 태양광 모듈과 직렬 접속하기 위해 태양광 모듈에 접속된 하나의(단일) 접속 하우징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접속 하우징은 직렬 접속된 태양 전지들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태양광 모듈의 접속 접촉부에 접속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 어레이에서, 태양광 모듈에 역병렬 접속된 프리휠링 또는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더 제공되며, 그것에 의해, 예를 들어 섀도잉으로 인해 태양광 모듈의 보호가 전력 발생의 부족의 경우에, 태양광 모듈의 보호가 달성된다. 이를 위해, 태양광 모듈의 2개의 접속 접촉부는 역 바이어스 접속된 프리휠링 다이오드를 통하여 상호 전기 접속된다.
프리휠링 다이오드가 접속 하우징과 태양광 모듈에 접속된 다이오드 케이블에 포함되는 것은 여기서 필수적이다. 여기서 그리고 이하에서, 용어 "다이오드 케이블"은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가요성 케이블을 의미하지만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접속 박스로 플러그 연결될 수 있는 강성 모듈도 의미한다. 특별한 사전 지식이 없어도, 다이오드 케이블은 접속 하우징의 기능에 따라 영구적으로 접속되고 환경 영향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여기서, 가요성 케이블은 일정하거나 규칙적인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일정한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전기 절연체 시스(sheath)에 의해 피복되는 와이어의 단일 코어 복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조치에 의해, 다이오드가 선택적으로 그리고 필요에 따라 태양광 모듈 어레이에 포함되고, 특히 태양광 모듈의 섀도잉이 예상되지 않는 응용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것이 유리하게 달성될 수 있다. 이것은 태양광 모듈 어레이의 간단하고 비용 효과적인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태양광 모듈 어레이에는, 즉 제조 후에, 그리고 특히 각 응용의 적당한 위치에 이미 놓여졌을 때, 프리휠링 다이오드가 유리하게 개장(retrofit)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프리휠링 다이오드 또는 다이오드 케이블이 개별적으로 보증가능할 수 있도록 태양광 모듈이 DIN EN 61646에 따라 보증되어야 한다는 사실에 기인하며, 그 결과 비용은 산업용 시리즈 제조 시에 상당한 정도까지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구체적인 예시적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드러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 어레이의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 다이오드 케이블은 상보적 커플링 요소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된 커플링 요소를 포함하는 커플링을 통해 접속 하우징에 전기 접속되며, 그것에 의해 특히 프리휠링 다이오드를 갖는 태양광 모듈 어레이의 간단한 장착, 특히 개장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프리휠링 다이오드는 커플링에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광전 에너지 발생을 위한 태양광 모듈을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어레이가 제공된다. 태양광 모듈 어레이는 태양광 모듈을 전기 부하에 접속하기 위해 태양광 모듈에 접속된 제1 접속 하우징 및 태양광 모듈에 접속된 제2 접속 하우징을 더 포함한다. 태양광 모듈 어레이는 태양광 모듈에 역병렬 접속되는 프리휠링 다이오드를 더 포함한다.
프리휠링 다이오드가 2개의 접속 하우징을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다이오드 케이블에 포함되는 것은 여기서 필수적이다. 따라서, 다이오드 케이블에 의해, 2개의 접속 하우징의 경우에도, 선택적으로 그리고 필요에 따라 프리휠링 다이오드를 갖는 태양광 모듈 어레이의 간단한 구비 또는 개장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오드 케이블은 태양 방사선이 가끔 있거나 영구적으로 섀도잉되는 표면 영역 또는 루프 영역에서 태양광 모듈 어레이의 태양광 모듈을 접속하도록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섀도우된 부위는 특히 굴뚝, 안테나, 루프의 상부 구조물, 및 다른 빌딩과 같은 구조적 시설 주위의 영역에 또는 나무의 영역에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 어레이는, 다이오드 케이블에 의해, 변경된 섀도우 조건에 적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오드 케이블은 간단한 방식으로 선택적인 구조 요소로서 개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 어레이의 대체 실시예는 적어도 2개의 태양광 모듈과, 다이오드 케이블에 의해 접속되는 태양광 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접속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태양광 모듈 어레이의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 다이오드 케이블은 상보적 커플링 요소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된 커플링 요소를 포함하는 커플링을 통해 2개의 접속 하우징에 각각 전기 접속되며, 이에 의해 다이오드 케이블은 접속 하우징에 특히 간단하게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프리휠링 다이오드는 2개의 커플링 중 하나에 포함될 수도 있다.
태양광 모듈 어레이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접속 하우징에는 태양광 모듈을 전기 부하에 접속하는 접속 케이블이 각각 제공되며, 여기서 다이오드 케이블은 2개의 접속 케이블에 도전 접속된다. 기술적 견지에서, 이 실시예는 각각의 경우에 상보적 커플링 요소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된 커플링 요소를 포함하는 커플링을 통한 간단한 설치를 위해 2개의 접속 케이블에 전기 접속된 다이오드 케이블로 특히 간단히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리휠링 다이오드는 2개의 커플링 중 하나에 포함될 수도 있다.
유리하게도, 다이오드 케이블의 양단에는, 한편으로 프리휠링 다이오드의 중간 접속과 2개의 접속 케이블의 접속, 및 다른 한편으로 전기 부하로의 접속 케이블의 접속이 접속 케이블의 구조적 변경을 수행하지 않고 간단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도록, 커플링 요소 및 상보적 커플링 요소가 각각 제공된다. 여기서, 다이오드 케이블의 커플링 요소 및 상보적 커플링 요소에는 프리휠링 다이오드를 태양광 모듈에 병렬 접속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역 극성 보호가 각각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조치에 의해, 프리휠링 다이오드의 에러 접속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역 극성 보호는 예를 들어 다이오드 케이블의 커플링 요소 및/또는 상보적 커플링 요소의 특수 컬러화 및/또는 형상화에 의해 구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양단에 커플링 요소 및 상보적 커플링 요소가 각각 제공되는 다이오드의 역병렬 접속을 위한 태양광 모듈 어레이에 사용되는 다이오드 케이블이 제공된다. 유리하게도, 커플링 요소 및/또는 상보적 커플링 요소에는 다이오드를 태양광 모듈에 병렬 접속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역 극성 보호가 각각 제공되며, 그 보호는 커플링 요소들의 특수 컬러화 및/또는 형상화에 의해 구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예시적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 어레이의 제1 예시적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 어레이의 제2 예시적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우선, 총괄적으로 참조 번호 1로 식별되는 태양광 모듈의 제1 예시적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예시되는 도 1을 참조한다.
태양광 모듈 어레이(1)는 태양광을 전력으로 광전 변환하는 데 이용되는 태양광 모듈(2), 예를 들어, 복수의 직렬 접속된 집적 태양 전지를 갖는 박막 태양광 모듈을 포함한다. 태양광 모듈은 예를 들어 소위 기판 구성에 기초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태양광 모듈은 통상 헤테로 접합(pn-접합)을 형성하는 박막으로 제조된 층 구조가 설치된 글래스로 된 기판을 갖는다. 이를 위해, 층 구조는 가시 스펙트럼 범위에서 방사선에 투과성인 정면 전극 층뿐만 아니라, 기판 상에 배치된 배면 전극 층, 도핑된 반도체로 제조된 광기전 활성 흡수제층, 버퍼층을 포함할 수 있다. 환경 영향에 대한 보호를 위해, 층 구조는 일반적으로 태양광에 투과성인 커버 플레이트로 밀봉된다. 태양광 모듈(2)은 예를 들어 금속 스트립의 행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직렬 접속된 태양 전지에 의해 상호 전기 접속되는 제1 접속 접촉부 및 제2 접속 접촉부를 포함한다.
그러한 태양광 모듈(2)의 기본 구조는 예를 들어 도입부에 언급된 문헌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어,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히 논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그것은 본 발명의 이해에 필수적이지 않으므로, 태양광 모듈(2)은 도면에 상세히 제공되지 않는다.
태양광 모듈 어레이(1)는 태양광 모듈(2)을 전기 부하에 접속하기 위해, 특히 태양광 모듈(2)을 다른 태양광 모듈에 직렬 접속하기 위해 2개의 접속 박스(3, 4)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접속 박스(3)는 도전체(상세히 도시되지 않음), 예를 들어 제1 접속 박스(3)의 제1 극 단자(5)에 접속되는 평판 도전체를 통해 태양광 모듈(2)의 제1 접속 접촉부에 도전 접속된다. 도전체는 이를 위해 예를 들어 태양광 모듈의 기판의 구멍을 통하여 유도될 수 있다. 대응하여, 제2 접속 박스(4)는 제2 접속 박스(4)의 제2 극 단자(6)에 접속되는 도전체(상세히 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태양광 모듈(2)의 제2 접속 접촉부에 도전 접속된다.
2개의 접속 박스(3, 4) 내부에서, 2개 이상의 도전체가 2개의 극 단자(5, 6) 상에 각각 접속되며, 즉 제1 접속 박스(3)에서 제1 암 접속부(7)에 의해 제1 극 단자(5)가 제1 커넥터 소켓(9)에 도전 접속되고, 제1 케이블 접속부(16)에 의해 제1 극 단자(5)가 제1 접속 케이블(14)에 도전 접속되며, 또한 제2 접속 박스(4)에서 제2 암 접속부(8)에 의해 제2 극 단자(6)가 제2 커넥터 소켓(10)에 도전 접속되고, 제2 케이블 접속부(17)에 의해 제2 극 단자(6)가 제2 접속 케이블(15)에 도전 접속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2개의 접속 케이블(14, 15)은 태양광 모듈(2)을 전기 부하에 접속하는 역할을 한다.
2개의 접속 박스(3, 4)는 다이오드 케이블(13)을 통해 상호 전기 접속되며, 이를 위해 다이오드 케이블(13) 양단에는 커넥터 플러그(11, 12)(상세히 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다이오드 케이블(13)은 분리가능 전기 플러그 접속부를 통해 커넥터 소켓(9, 10)으로 플러그 연결되는 커넥터 플러그(11, 12)에 의해 2개의 접속 박스(3, 4)에 접속된다. 다이오드 케이블(13)은 태양광 모듈(2)에 역병렬 접속되는 프리휠링 다이오드(18)를 포함한다. 프리휠링 다이오드(18)에 의해, 태양광 모듈(2)의 손상은, 예를 들어, 섀도잉 또는 에러 극성을 통한 모듈 결함의 경우에 방지되고, 섀도잉된 태양광 모듈은 통과된다. 태양광 모듈 어레이(1)에는, 다이오드 케이블(13)을 접속 박스(3, 4)내로 플러그 연결함으로써 간단한 방식으로 프리휠링 다이오드(18)가 구비되거나 개장(retrofit)될 수 있다. 따라서, 프리휠링 다이오드(18)는 선택적으로 그리고 필요에 따라 이용될 수 있음으로써, 태양광 모듈 어레이(1)의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프리휠링 다이오드(18)의 간단한 교체가 예를 들면 기능 장애의 경우에 가능해진다. 마지막으로, 다이오드 케이블(13)에 배치된 프리휠링 다이오드(18)는 효율적으로 냉각된다.
이것이 도 1에 도시되지 않을지라도, 태양광 모듈 어레이(1)의 변경 시에, 다이오드 케이블(13)은 제2 접속 박스(4)없이 강성 하우징에서 다이오드를 갖는 태양광 모듈(2)의 제2 접속 접촉부에 직접 도전 접속된다. 따라서, 그러한 태양광 모듈 어레이(1)는 단일 접속 박스(3)만을 포함한다.
태양광 모듈 어레이(1)의 제2 예시적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예시되는 도 2가 이제 참조된다. 불필요한 반복을 회피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대한 차이만이 설명되고, 그 외에는, 제1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한다.
따라서, 태양광 모듈 어레이(1)는 태양광 모듈(2)의 제1 접속 접촉부 및/또는 제2 접속 접촉부에 도전 접속된 제1 극 단자(5) 및 제2 극 단자(6)를 각각 갖는 2개의 접속 박스(3, 4)를 포함한다. 하나의 단일 전선만이 각각 2개의 극 단자(3, 4)로부터 각각 연장된다. 이러한 전선들은 제1 접속 케이블(14)에 도전 접속되는 제1 극 단자(5)에 접속된 제1 케이블 접속부(16) 및 제2 접속 케이블(15)에 도전 접속되는 제2 극 단자(6)에 접속된 제2 케이블 접속부(17)이다. 2개의 접속 케이블(14, 15)은 제1 플러그 접속부(25) 및 제2 플러그 접속부(26) 각각을 통해 프리휠링 다이오드(18)를 포함하는 다이오드 케이블(13)에 도전 접속된다. 2개의 플러그 접속부(25, 26)는 상호 분리가능하게 접속된 플러그 요소 및 상보적 플러그 요소로 각각 구성되며, 여기서 플러그 요소는 수 플러그(M)로 구성되고 상보적 플러그 요소는 암 플러그(F)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1 접속 케이블(14)의 자유단에는 제1 플러그 요소(19)가 제공되고, 제2 접속 케이블(15)의 자유단에는 제1 상보적 플러그 요소(20)가 제공된다. 다이오드 케이블(13)은 플러그 요소 및 상보적 플러그 요소가 각각 배치된 2개의 단인 양단에서 분기(fork)된다. 따라서, 다이오드 케이블(13)의 일단에는 제1 플러그 요소(19)와 함께 제1 플러그 접속부(25)를 형성하는 제2 상보적 플러그 요소(21)가 제공되고; 다이오드 케이블(13)의 타단에는 제1 상보적 플러그 요소(20)와 함께 제2 플러그 접속부(26)를 형성하는 제2 플러그 요소(22)가 제공된다. 제2 상보적 플러그 요소(21)와 유사하게, 제3 플러그 요소(23)가 다이오드 케이블(13)에 접속된다. 제2 플러그 요소(22)와 유사하게, 제3 상보적 플러그 요소(24)가 다이오드 케이블(13)에 접속된다. 제3 플러그 요소(23) 및 제3 상보적 플러그 요소(24)는 태양광 모듈(2)을 다른 태양광 모듈에 직렬 접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이오드 케이블(13)에 의해, 태양광 모듈 어레이(1)에는, 2개의 접속 케이블(14, 15)을 위한 특수한 구성을 제공하지 않고,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다이오드(18)가 구비되거나 개장될 수 있다.
다이오드 케이블(13)의 플러그 요소(22, 23) 및/또는 상보적 플러그 요소(21, 24)에는, 프리휠링 휠링 다이오드(18)가 순방향으로 태양광 모듈(2)에 에러 접속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역 극성 보호가 제공될 수 있다. 플러그 요소 및/또는 상보적 플러그 요소에는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컬러 코딩(color coding)이 제공되거나 특수한 형상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그러나, 플러그 요소 및/또는 상보적 플러그 요소의 임의의 다른 적당한 식별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프리휠링 다이오드가 필요에 따라 이용될 수 있도록 태양광 모듈에 역병렬 접속된 프리휠링 다이오드가 접속 박스 외부에 배치되는 태양광 모듈 어레이를 이용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프리휠링 다이오드를 갖는 태양광 모듈 어레이의 비용 절감 및 구비 또는 개장을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프리휠링 다이오드 및/또는 다이오드 케이블은 태양광 모듈과 관계없이 보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광전 에너지 발생을 위한 태양광 모듈(2), 태양광 모듈(2)을 전기 부하에 접속하도록 태양광 모듈(2)에 접속된 접속 하우징(3), 및 태양광 모듈(2)에 역병렬 접속된 프리휠링 다이오드(18)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어레이(1)에 관한 것이며, 프리휠링 다이오드(18)가 접속 하우징(3)과 태양광 모듈(2)에 접속된 다이오드 케이블(13)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태양광 모듈 어레이(1)의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 다이오드 케이블(13)은 커플링(9, 11)을 통해 접속 하우징(3)에 전기 접속되며, 커플링은 상보적 커플링 요소(9)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된 커플링 요소(11)를 포함한다.
태양광 모듈 어레이(1)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 프리휠링 다이오드(18)는 커플링(9, 11)에 포함된다.
1: 태양광 모듈 어레이 2: 태양광 모듈
3: 제1 접속 박스 4: 제2 접속 박스
5: 제1 극 단자 6: 제2 극 단자
7: 제1 암 접속부 8: 제2 암 접속부
9: 제1 커넥터 소켓 10: 제2 커넥터 소켓
11: 제1 커넥터 플러그 12: 제2 커넥터 플러그
13: 다이오드 케이블 14: 제1 접속 케이블
15: 제2 접속 케이블 16: 제1 케이블 접속부
17: 제2 케이블 접속부 18: 프리휠링 다이오드
19: 제1 플러그 요소 20: 제1 상보적 플러그 요소
21: 제2 상보적 플러그 요소 22: 제2 플러그 요소
23: 제3 플러그 요소 24: 제3 상보적 플러그 요소
25: 제1 플러그 접속부 26: 제2 플러그 접속부

Claims (12)

  1. 광전 에너지 발생을 위한 태양광 모듈(2),
    상기 태양광 모듈(2)을 전기 부하에 접속하도록 상기 태양광 모듈(2)에 접속된 제1 접속 하우징(3),
    상기 태양광 모듈(2)을 전기 부하에 접속하도록 상기 태양광 모듈(2)에 접속된 제2 접속 하우징(4), 및
    상기 태양광 모듈(2)에 역병렬 접속된 프리휠링 다이오드(18)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어레이(1)로서,
    상기 프리휠링 다이오드(18)는 2개의 상기 접속 하우징(3, 4)을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다이오드 케이블(13)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어레이(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 케이블(13)은 가요성 케이블을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어레이(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 케이블(13)은 상보적 커플링 요소(9, 10)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된 커플링 요소(11, 12)를 포함하는 커플링(9, 11, 10, 12)을 통해 2개의 접속 하우징(3, 4)에 각각 전기 접속되는, 태양광 모듈 어레이(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휠링 다이오드(18)는 상기 2개의 커플링(9, 11, 10, 12) 중 하나에 포함되는, 태양광 모듈 어레이(1).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접속 하우징(3, 4)의 각각에는 상기 태양광 모듈(2)을 전기 부하에 접속하는 접속 케이블(14, 15)이 제공되고, 상기 다이오드 케이블(13)은 상기 2개의 접속 케이블(14, 15)에 도전 접속되는, 태양광 모듈 어레이(1).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 케이블(13)은 상보적 커플링 요소(20, 21)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된 커플링 요소(19, 22)를 각각 포함하는 커플링(25, 26)을 통해 상기 2개의 접속 케이블(14, 15)에 전기 접속되는, 태양광 모듈 어레이(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휠링 다이오드(18)는 상기 2개의 커플링(25, 26) 중 하나에 포함되는, 태양광 모듈 어레이(1).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 케이블(13)의 양단에는 커플링 요소(22, 23) 및 상보적 커플링 요소(20, 21)가 제공되는, 태양광 모듈 어레이(1).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 케이블(13)의 상기 커플링 요소(22, 23) 및 상기 상보적 커플링 요소(20, 21)에는, 상기 프리휠링 다이오드(18)가 상기 태양광 모듈(2)에 병렬 접속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역 극성 보호가 각각 제공되는, 태양광 모듈 어레이(1).
  10. 다이오드(18)를 구비한 다이오드 케이블(13)로서,
    상기 다이오드(18)를 프리휠링 다이오드(18)로서 태양광 어레이(1)의 태양광 모듈(2)에 역병렬 접속하도록, 상기 다이오드 케이블의 양단에 커플링 요소(22, 23) 및 상보적 커플링 요소(22, 23)가 각각 제공되는, 다이오드 케이블(13).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요소(22, 23) 및 상기 상보적 커플링 요소(20, 21)에는, 상기 다이오드(18)가 상기 태양광 모듈(2)에 병렬 접속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역 극성 보호가 각각 제공되는, 다이오드 케이블(13).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역 극성 보호는 상기 커플링 요소(22, 23) 및/또는 상기 상보적 커플링 요소(20, 21)의 컬러화 및/또는 형상화에 의해 구체화되는, 다이오드 케이블(13).
KR1020127019854A 2010-01-29 2011-01-27 태양광 모듈 어레이 및 다이오드 케이블 KR1015026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152088.0 2010-01-29
EP10152088A EP2352178A1 (de) 2010-01-29 2010-01-29 Solarmodulanordnungen und Diodenkabel
PCT/EP2011/051129 WO2011092237A2 (de) 2010-01-29 2011-01-27 Solarmodulanordnungen und diodenkab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740A true KR20120138740A (ko) 2012-12-26
KR101502670B1 KR101502670B1 (ko) 2015-03-13

Family

ID=42235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9854A KR101502670B1 (ko) 2010-01-29 2011-01-27 태양광 모듈 어레이 및 다이오드 케이블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018518B2 (ko)
EP (2) EP2352178A1 (ko)
JP (1) JP2013518423A (ko)
KR (1) KR101502670B1 (ko)
CN (1) CN102714248B (ko)
EA (1) EA201290721A1 (ko)
ES (1) ES2753501T3 (ko)
WO (1) WO2011092237A2 (ko)
ZA (1) ZA2012053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6238A (ko) * 2011-10-19 2014-05-30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리본 케이블을 구비한 태양광 모듈 및 그의 제조 방법
US8581242B2 (en) * 2012-02-21 2013-11-12 Atomic Energy Council—Institute of Nuclear Energy Research Apparatus combining bypass diode and wire
DE102014017157B3 (de) * 2014-11-20 2016-01-28 Caetec Gmbh Thermoleitung und Modulblock zur Verbindung mit einem Thermomesssystem
WO2016100474A1 (en) 2014-12-16 2016-06-23 Abb Technology Ag Energy panel arrangement power dissipation
WO2016123305A1 (en) 2015-01-28 2016-08-04 Abb Technology Ag Energy panel arrangement shutdown
CN107454992B (zh) 2015-02-22 2020-01-14 Abb瑞士股份有限公司 光伏串反极性检测
US20190229674A1 (en) * 2015-10-22 2019-07-25 Eterbright Solar Corporation Solar Panel Module and Solar Panel Apparatus
US20210058027A1 (en) * 2019-05-15 2021-02-25 Gary William Oakley, Jr. Scalable solar modular array
DE102021122010A1 (de) * 2021-08-25 2023-03-02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Photovoltaikmodul und Anschlussanordnung für ein Photovoltaikmodul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1045A (ja) * 1993-06-23 1995-05-19 Kubota Corp 太陽電池発電装置用電装部材
DE4324318C1 (de) 1993-07-20 1995-01-12 Siemens Ag Verfahren zur Serienverschaltung einer integrierten Dünnfilmsolarzellenanordnung
JPH10135504A (ja) * 1996-10-31 1998-05-22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太陽電池モジュール配線用コネクタとその接続方法
JP2001148493A (ja) * 1999-11-19 2001-05-29 Sumitomo Wiring Syst Ltd 太陽電池パネル用のコネクタ装置
JP2001339088A (ja) * 2000-05-26 2001-12-07 Kyocera Corp 太陽電池装置
JP2002009326A (ja) * 2000-06-26 2002-01-11 Kanegafuchi Chem Ind Co Ltd 二極防水コネクタ及び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配線構造
JP2003078155A (ja) * 2001-09-05 2003-03-14 Canon Inc 太陽電池アレイの形成方法
WO2004064165A1 (ja) * 2001-10-12 2004-07-29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集合体、配線システム及び太陽光発電システム
CN2612074Y (zh) * 2003-02-24 2004-04-14 上海行田电产有限公司 太阳电池模块连接用端子盒装置
JP2005183660A (ja) * 2003-12-19 2005-07-07 Canon Inc 太陽電池モジュール
US7432439B2 (en) * 2004-03-12 2008-10-0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Terminal box
US7697247B2 (en) * 2006-11-10 2010-04-13 Abb Technology Ag Arc suppression circuit using a semi-conductor switch
DE102007027159A1 (de) * 2007-03-20 2008-09-25 Webasto Ag Solarzellenmodul
KR101188647B1 (ko) * 2008-05-05 2012-10-09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개량된 태양광 장치 및 방법
JP2009295615A (ja) * 2008-06-02 2009-12-1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車載用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0205805A (ja) * 2009-02-27 2010-09-16 Mitsubishi Heavy Ind Ltd 太陽電池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18423A (ja) 2013-05-20
CN102714248B (zh) 2017-05-03
EP2352178A1 (de) 2011-08-03
WO2011092237A2 (de) 2011-08-04
EP2529412B1 (de) 2019-08-07
ZA201205388B (en) 2013-04-24
ES2753501T3 (es) 2020-04-08
CN102714248A (zh) 2012-10-03
US20120285502A1 (en) 2012-11-15
KR101502670B1 (ko) 2015-03-13
US9018518B2 (en) 2015-04-28
EP2529412A2 (de) 2012-12-05
EA201290721A1 (ru) 2013-01-30
WO2011092237A3 (de) 201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2670B1 (ko) 태양광 모듈 어레이 및 다이오드 케이블
US20230158593A1 (en) Solar cell assembly
JP5676280B2 (ja) ソーラモジュール
KR102072319B1 (ko) 다이오드-포함 커넥터, 광기전 라미네이트 및 이를 사용한 광기전 조립체
US9331213B2 (en) Integrated power connectors for PV modules and their methods of manufacture
US20200295210A1 (en) Voltage matched multijunction solar cell
US20110308566A1 (en) Photovoltaic module and the way of connecting photovoltaic modules in a photovoltaic system
KR101283115B1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KR20110109900A (ko) 태양전지
KR101305849B1 (ko) 태양전지 모듈
JP2007180065A (ja) 太陽電池アレイ
US9583659B2 (en) Solar cell module
US9685574B2 (en) Solar cell module
KR100909815B1 (ko) 접속함을 포함하는 광기전력 모듈
US20150075586A1 (en) Solar cell module
KR20100080989A (ko) 광기전력 모듈
CN117997265A (zh) 基于钙钛矿结构的多结光伏组件用智能接线盒系统
KR20230007660A (ko) 태양광 모듈의 제조 방법
JP2022519264A (ja) 光電池、カプセル化光電池の製造方法、光起電タイル用及び光起電屋根タイル用の電気接続部セット
TWI427810B (zh) 太陽能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