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0989A - 광기전력 모듈 - Google Patents

광기전력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0989A
KR20100080989A KR1020090000234A KR20090000234A KR20100080989A KR 20100080989 A KR20100080989 A KR 20100080989A KR 1020090000234 A KR1020090000234 A KR 1020090000234A KR 20090000234 A KR20090000234 A KR 20090000234A KR 20100080989 A KR20100080989 A KR 20100080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voltaic module
electrode
photovoltaic
slid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준
Original Assignee
한국철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철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0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0989A/ko
Publication of KR20100080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09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광기전력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기전력 모듈은,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외부에서 조사된 빛으로 전기를 생성하고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통하여 전기를 공급하는 광기전력 층,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광기전력 층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를 로드 선을 통하여 외부로 공급하는 접속함을 포함하는 광기전력 모듈이고, 접속함은, 일측부에 탄성체를 구비하고, 타측부에 버튼부를 구비하며, 일측부 및 타측부 사이에 로드선이 끼워지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슬라이더, 버튼부의 조작에 의하여 슬라이더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는 이동공간을 가지고, 로드선이 제1 관통홀과 동시에 끼워지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한다.
광기전력층, 접속함, 탄성체, 버튼부, 슬라이드

Description

광기전력 모듈{PHOTOVOLTAIC MODULE}
본 발명은 광기전력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석유나 석탄과 같은 기존 에너지 자원의 고갈이 예측되면서 이들을 대체할 대체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태양전지모듈은 에너지 자원이 풍부하고 환경오염에 대한 문제점이 없어 특히 주목 받고 있다.
광기전력 모듈은 빛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광전변환현상을 이용한다. 광기전력 모듈은 실리콘 반도체(silicon semiconductor)나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형태가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 반도체의 경우 불순물로 도핑된 실리콘 반도체에 빛이 입사되면 빛의 에너지가 반도체 내부의 전자와 홀을 발생시키고 반도체에 연결된 전극 및 도선을 통하여 외부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은 광기전력 모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시장이 형성됨에 따라 광기전력 모듈이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고 있다. 이에 따라 광기전력 모듈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기전력 모듈의 접속함에 삽입된 로드선을 별도의 솔더 공정에 의하지 않고 클램핑부로 고정시키는 것에 의하여, 광기전력 장치의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광기전력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솔더 공정시의 불량율을 최소화하여 제품 신뢰도가 향상된 광기전력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속함 내부에 클램핑부를 통과하고 상부로 돌출된 여분의 로드선을 용이하게 절단가능한 광기전력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광기전력 모듈은,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외부에서 조사된 빛으로 전기를 생성하고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통하여 전기를 공급하는 광기전력 층,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광기전력 층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를 로드 선을 통하여 외부로 공급하는 접속함을 포함하는 광기전력 모듈이고, 접속함은, 일측부에 탄성체를 구비하고, 타측부에 버튼부를 구비하며, 일측부 및 타측부 사이에 로드선이 끼워지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슬라이더, 버튼부의 조작에 의하여 슬라이더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는 이동공간을 가지고, 로드선이 제1 관통홀과 동시에 끼워지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는 클 램핑부를 포함한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인 광기전력 모듈은,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광기전력 모듈에 있어서, 슬라이더는 이동공간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인 광기전력 모듈은,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광기전력 모듈에 있어서, 슬라이더의 일측부에는 탄성체의 일단을 걸어 고정시키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된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인 광기전력 모듈은,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광기전력 모듈에 있어서, 이동공간의 저면 상에 탄성체의 타단을 걸어 고정시키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된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인 광기전력 모듈은,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광기전력 모듈에 있어서, 광기전력층은, 단결정 실리콘, 다결정 실리콘 또는 비정질 실리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인 광기전력 모듈은,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광기전력 모듈에 있어서, 로드선은, 구리 테이프(copper tape)이다.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인 광기전력 모듈은,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외부에서 조사된 빛으로 전기를 생성하고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통하여 전기를 공급하는 광기전력 층,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광기전력 층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를 로드 선을 통하여 외부로 공급하는 접속함을 포함하는 광기전력 모듈이고, 일측부에 탄성체를 구비하고, 타측부에 버튼부를 구비하며, 일측부 및 타측부 사이에 로드선이 끼워지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며, 외주면상에 제1 관통홀과 연통되는 제1 가이드 홀이 형성된 슬라이더, 버튼부의 조작에 의하여 슬라이더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는 이동공간을 가지고, 로드선이 제1 관통홀과 동시에 끼워지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며, 제2 관통홀과 연통되어 제1 가이드 홀과 함께 로드선을 안내하도록 각 외주면 상에 제2 가이드 홀이 형성된 본체로 구성된 클램핑부를 포함한다.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인 광기전력 모듈은,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인 광기전력 모듈에 있어서, 제1 가이드 홀 및 제2 가이드 홀은, 복수 개로 형성된다.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인 광기전력 모듈은,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인 광기전력 모듈에 있어서, 슬라이터의 일측부에는 탄성체의 일단을 걸어 고정시키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된다.
청구항 10에 관한 발명인 광기전력 모듈은,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인 광기전력 모듈에 있어서, 이동공간의 저면 상에 탄성체의 타단을 걸어 고정시키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된다.
청구항 11에 관한 발명인 광기전력 모듈은,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인 광기전력 모듈에 있어서, 슬라이더는 이동공간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청구항 12에 관한 발명인 광기전력 모듈은,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인 광기전력 모듈에 있어서, 광기전력층은, 단결정 실리콘, 다결정 실리콘 또는비정질 실리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청구항 13에 관한 발명인 광기전력 모듈은,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인 광기전력 모듈에 있어서, 로드선은, 구리 테이프(copper tape)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기전력 모듈에 의하면, 광기전력 모듈의 접속함에 삽입된 로드선을 별도의 솔더 공정에 의하지 않고 클램핑부로 고정시키는 것에 의하여, 광기전력 장치의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솔더 공정시의 불량율을 최소화하여 제품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함 내부에 클램핑부를 통과하고 상부로 돌출된 여분의 로드선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 외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기전력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기전력 모듈은 광기전력 층(100), 반사 방지막(110), 제1 전극(120), 제2 전극(130), 접속함(140) 및 보호층(150)을 포함한다.
광기전력 층(100)은 외부에서 조사된 빛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이러한 광기전력 층(100)은 단결정 광기전력 층, 다결정 광기전력 층 또는 화합물 광기전력 층 중 하나일 수 있다. 단결정 광기전력 층은 3족 또는 5족 불순물이 도핑된 단결정 실리콘을 포함하며, 다결정 광기전력 층은 3족 또는 5족 불순물이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한다. 화합물 광기전력 층은 Ⅰ-Ⅲ-Ⅵ 족 화합물 반도체, Ⅱ-Ⅵ 족 화합물 반도체, 또는 Ⅲ-Ⅴ 족 화합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방지막(110)은 광기전력 층(100) 상에 위치하며 외부에서 조사된 빛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광기전력 모듈의 광전변환효율을 증가시킨다.
제1 전극(120)은 광기전력 층(100)의 제1 타입 반도체층에 접촉할 수 있고 제2 전극(130)은 제1 타입 반도체층과 다른 광기전력층(100)의 제2 타입 반도체층과 접촉할 수 있다. 이 때 제1 타입 반도체층은 n 타입 반도체층 또는 p 타입 반도체층 중 하나일 수 있고 제2 타입 반도체층은 n 타입 반도체층 또는 p 타입 반도체층 중 나머지 하나일 수 있다.
접속함(140)은 제1 전극(120) 및 제2 전극(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광기전력 층(100)에서 생성된 전기를 외부로 공급한다. 접속함(140)은 제1 전극(120) 및 제2 전극(130)을 통하여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로드 선(250)을 통하여 외부의 로드와 연결된다. 여기서, 로드 선(250)은 구리 테이프 등의 도전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보호층(150)은 광기전력 층(100), 제1 전극(120) 및 제2 전극(130)을 온도 변화, 습기 또는 압력과 같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EVA(Ethylene Vinyl Acetate)나 PVB(Poly Vinyl Butylo)와 같은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원 발명의 접속함(140)에 대해서는 이후에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기전력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기전력 모듈은 기판(200), 제1 전극(210), 광기전력 층(220), 제2 전극(230), 버스 바(240), 연결부(250), 절연층(260), 제1 보호층(270), 제2 보호층(280) 및 접속함(290)을 포함한다.
광기전력 층(220)은 기판(200) 상에 위치하는 제1 전극(210)과 접촉하며 외부에서 조사된 빛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광기전력 층(220)은 단결정 실리콘, 다결정 실리콘 또는 비정질 실리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의 광기전력 층(220)은 비정질 실리콘을 포함한다. 비정질 실리콘을 포함하는 광기전력 층 (210)은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는 p 타입 반도체층, 진성 반도체층 및 n 타입 반도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210)은 p 타입 반도체층 또는 n 타입 반도체층 중 하나와 접촉한다. 제2 전극(230)은 n 타입 반도체층 또는 p 타입 반도체층 중 나머지 하나와 접촉한다.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30)은 서로 접촉함으로써 하나의 광기전력 셀과 다른 하나의 광기전력 셀은 서로 직렬 연결된다.
버스 바(240)는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30)과 연결되며 광기전력 층(220)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를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30)로부터 공급받는다. 이와 같은 버스 바(240)는 도전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 선(250)은 버스 바(220)와 연결되어 버스 바(22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다. 여기서, 이와 같은 로드 선(250)는 구리 테이프(copper tape)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구리 테이프를 이용하여 버스 바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다.
절연층(260)은 제2 전극(230)과 연결부(250) 사이에 위치하며 제2 전극(230)과 연결부(250)를 절연시킨다. 이와 같은 절연층(260)은 절연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호층(270)은 제1 전극(210), 광기전력 층(220), 제2 전극(230), 버스 바(240), 연결부(250) 및 절연층(260)을 외부의 온도 변화, 습기 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과 같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이와 같은 제1 보호층(270) 역시 EVA(Ethylene Vinyl Acetate)나 PVB(Poly Vinyl Butylo)와 같은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호층(280)은 제1 보호층(270) 상에 위치하며 제1 보호층(270)과 더불어 제1 전극(210), 광기전력 층(220), 제2 전극(230), 버스 바(240), 연결부(250) 및 절연층(260)을 보호한다. 제2 보호층(280)은 저철분 강화유리 또는 PVF(Poly-Vinyl Fluoride) 필름, PET(Poly-Ethylen Terephthalate) 필름, PVF(Poly-Vinyl Fluoride) 필름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샌드위치 구조로 형성된 TPT 구조의 백 시트(back sheet)일 수도 있으며, PVDF(Poly-VinyliDene Fluoride)필름, PET(Poly-Ethylen Terephthalate) 필름, PVDF(Poly-VinylDene Fluoride)필름이 순서대로 적층된 TPT 구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2 보호층(280)이 제1 보호층(270) 상에 위치함으로써 광기전력 층(220)에 대한 보호 능력이 커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기전력 모듈은 제2 보호층(280)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접속함(290)은 제1 보호층(270) 또는 제2 보호층(280) 상에 위치하며 로드 선(250)과 연결되어 광기전력 층(220)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외부에 공급한다. 접속함(290)은 제1 전극(210) 및 제2 전극(230)을 통하여 공급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외부의 로드와 연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기전력 모듈의 접속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기전력 모듈의 접속함(140, 290)은 제1 클램핑부(C1) 및 제2 클램핑부(C2)를 포함한다. 또한, 제1 클램핑부(C1)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 접속 단자(미도시) 및 제2 클램핑부(C2)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 접속 단자(미도시)를 포함한다. 제1 접속단자와 제2 접속단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광기전력 모듈의 제1 전극(120, 210) 및 제2 전극(130, 230)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1 접속단자와 제2 접속단자는, 제1 인터페이스(293) 및 제2 인터페이스(295)를 통하여 외부의 인버터(INV)와 같은 로드(load)와 연결될 수 있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기전력 모듈의 클램핑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클램핑부를 구성하는 제1 클램핑부(C1) 및 제2 클램핑부(C2)는 좌우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그 구성이 동일하므로, 제1 클램핑부(C1)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고, 제1 클램핑부(C1)와 그 구성이 동일한 제2 클램핑부(C2)에 대한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기전력 모듈의 클램핑부중 제1 클램핑부(C1)는, 슬라이더(310)와 본체(300)를 포함하여, 로드 선(25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슬라이더(310)는, 일측부에 탄성체(312)를 구비하고, 타측부에 버튼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이때, 버튼부는 도시된 슬라이더(310)의 일측부의 반대편으로서, 슬라이더 몸체의 너비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너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310)의 일측부 및 타측부 사이에 로드선(250)이 끼워지는 제1 관통홀(3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슬라이더(310)는 본체(300)의 이동공간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즉, 슬라이더(310)의 버튼부(미도시)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힘을 받아 본체(300)의 이동공간 내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드된다. 또한, 슬라이더(310)의 일측부에는 탄성체(312) 의 일단을 걸어 고정시키는 제1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여기서, 탄성체(312)는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슬라이더(310)의 일측부에는 스프링의 일단이 제1 돌출부(313)에 고정되어 부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탄성체(312)로서 스프링을 그 일 예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력을 가지는 소정의 물체도 이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체(300)는, 버튼부(미도시)의 조작에 의하여 슬라이더(31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는 이동공간을 가지고, 로드선(250)이 제1 관통홀(311)과 동시에 끼워지는 제2 관통홀(301)이 형성된다. 또한, 이동공간의 저면 상에 탄성체(312)의 타단을 걸어 고정시키는 제2 돌출부(314)가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체(312), 즉 스프링의 일단은 슬라이더(3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이동공간의 저면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접속함 내부에 구비된 클램핑부(C1, C2)를 포함하는 광기전력 모듈은, 사용자에 의하여 버튼부(미도시)에 힘이 가해져, 그 힘에 의하여 슬라이더(31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드되고, 슬라이더(310)의 일측부 및 타측부 사이에 형성된 제1 관통홀(311)과 본체에 형성된 제2 관통홀(301)이 서로 통하게 되고, 로드선(250)이 제1 관통홀(311) 및 제2 관통홀(301)을 통과하여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로드선(250)이 제1 관통홀(311) 및 제2 관통홀(301)을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 및 팽팽한 정도로 통과되면, 버튼부(미도시)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함으로서, 고정되게 된다. 그런 다음, 제1 클램핑부(C1)를 통과하고 상부로 돌출된 여분의 로드선(250)을 사용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다. 또한, 클램핑부(C1, C2)는 실런트(Sealants)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속함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기전력 모듈에 의하면, 광기전력 모듈의 접속함에 삽입된 로드선(250)을 별도의 솔더 공정에 의하지 않고 클램핑부(C1, C2)로 고정시키는 것에 의하여, 광기전력 모듈의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또한, 종래의 솔더 공정시의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기전력 모듈의 접속함 내부에 설치된 클램핑부의 구조에 대하여 도 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기전력 모듈의 클램핑 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기전력 모듈의 클램핑 부는, 접속함 내부에 형성되고, 슬라이더(410) 및 본체(400)로 구성된다. 이때, 도시된 클램핑부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이 접속함 내부 표면에 장착되게 된다.
슬라이더(410)는, 일측부에 탄성체(412)를 구비하고, 타측부에 버튼부(미도시)를 구비하며, 일측부 및 타측부 사이에 로드선(미도시, 도 4의 250)이 끼워지는 제1 관통홀(411)이 형성된다. 슬라이더(410)의 일측부에는 탄성체(412)의 일단을 걸어 고정시키는 제1 돌출부(도 4a의 313참조)가 형성된다. 또한, 외주면상에 제1 관통홀(411)과 연통되는 제1 가이드 홀(412)이 형성된다. 이때, 제1 가이드 홀(412)은 슬라이더(410)의 각 외주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410)는 이동공간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본체(400)는, 버튼부(미도시)의 조작에 의하여 슬라이더(410)가 상하 방향으 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는 이동공간을 가지고, 로드선이 제1 관통홀(411)과 동시에 끼워지는 제2 관통홀(401)이 형성되며, 제2 관통홀(401)과 연통되어 제1 가이드 홀(412)과 함께 로드선을 안내하도록 각 외주면 상에 제2 가이드 홀(402)이 형성된다. 제2 가이드 홀(402)은, 복수 개로 형성되고, 제2 관통홀(401)과 연통되어 슬라이더(410)가 슬라이드 되면, 제1 가이드 홀(412)이 제2 관통홀(401)과 거의 일치되고, 이를 통과한 로드선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동공간의 저면 상에 탄성체(412)의 타단을 걸어 고정시키는 제2 돌출부(도 4a의 314참조)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클램핑부의 형상이 전 후면이 사각형의 형상이고, 전후면 사이에 복수 개의 장방형 외주면을 가지는 것을 그 일 예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 후면내에 제1 관통홀과 연통되는 복수 개의 외주면 상의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다른 형상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기전력 모듈에 의하면, 광기전력 모듈의 접속함에 삽입된 로드선을 별도의 솔더 공정에 의하지 않고 클램핑부로 고정시키는 것에 의하여, 광기전력 장치의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종래의 솔더 공정시의 불량율을 최소화하여 제품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 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기전력 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기전력 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기전력 모듈의 접속함을 나타낸 도면.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기전력 모듈의 클램핑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기전력 모듈의 클램핑 부를 나타낸 도면.

Claims (13)

  1.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외부에서 조사된 빛으로 전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통하여 상기 전기를 공급하는 광기전력 층; 및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광기전력 층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를 로드 선을 통하여 외부로 공급하는 접속함을 포함하는 광기전력 모듈이고,
    상기 접속함은,
    일측부에 탄성체를 구비하고, 타측부에 버튼부를 구비하며, 상기 일측부 및 상기 타측부 사이에 상기 로드선이 끼워지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버튼부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는 이동공간을 가지고, 상기 로드선이 상기 제1 관통홀과 동시에 끼워지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된 본체
    로 구성된 클램핑부를 포함하는,
    광기전력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이동공간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광기전력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부에는 상기 탄성체의 일단을 걸어 고정시키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는,
    광기전력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공간의 저면 상에 상기 탄성체의 타단을 걸어 고정시키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되는,
    광기전력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기전력층은, 단결정 실리콘, 다결정 실리콘 또는 비정질 실리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광기전력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선은, 구리 테이프(copper tape)인,
    광기전력 모듈.
  7.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외부에서 조사된 빛으로 전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통하여 상기 전기를 공급하는 광기전력 층; 및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광기전력 층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를 로드 선을 통하여 외부로 공급하는 접속함을 포함하는 광기전력 모듈이고,
    상기 접속함은,
    일측부에 탄성체를 구비하고, 타측부에 버튼부를 구비하며, 상기 일측부 및 상기 타측부 사이에 상기 로드선이 끼워지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며, 외주면상에 상기 제1 관통홀과 연통되는 제1 가이드 홀이 형성된 슬라이더; 및
    상기 버튼부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는 이동공간을 가지고, 상기 로드선이 상기 제1 관통홀과 동시에 끼워지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통홀과 연통되어 상기 제1 가이드 홀과 함께 상기 로드선을 안내하도록 각 외주면 상에 제2 가이드 홀이 형성된 본체
    로 구성된 클램핑부를 포함하는,
    광기전력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홀 및 상기 제2 가이드 홀은, 복수 개로 형성되는,
    광기전력 모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부에는 상기 탄성체의 일단을 걸어 고정시키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는,
    광기전력 모듈.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공간의 저면 상에 상기 탄성체의 타단을 걸어 고정시키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되는,
    광기전력 모듈.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이동공간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광기전력 모듈.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기전력층은, 단결정 실리콘, 다결정 실리콘 또는 비정질 실리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광기전력 모듈.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선은, 구리 테이프(copper tape)인,
    광기전력 모듈.
KR1020090000234A 2009-01-05 2009-01-05 광기전력 모듈 KR201000809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234A KR20100080989A (ko) 2009-01-05 2009-01-05 광기전력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234A KR20100080989A (ko) 2009-01-05 2009-01-05 광기전력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989A true KR20100080989A (ko) 2010-07-14

Family

ID=42641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234A KR20100080989A (ko) 2009-01-05 2009-01-05 광기전력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09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60968A1 (de) 2010-08-20 2012-02-23 Hyundai Motor Co. Elektro-Hydraulische Variabler-Ventilhub-Vorricht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60968A1 (de) 2010-08-20 2012-02-23 Hyundai Motor Co. Elektro-Hydraulische Variabler-Ventilhub-Vorricht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32426A1 (en) Solar cell module
EP3503207A1 (en) Solar cell module
US9337357B2 (en) Bifacial solar cell module
US9564547B2 (en) Solar cell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2858124B1 (en) Bridged solar cell and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JP2015070260A (ja) 太陽電池
KR101502670B1 (ko) 태양광 모듈 어레이 및 다이오드 케이블
KR101923658B1 (ko) 태양전지 모듈
US20140352754A1 (en) Connector and solar cell module comprising the same
US8729384B2 (en) Solar cell module
KR101066851B1 (ko) 코너 키를 포함하는 광기전력 모듈
KR20140095658A (ko) 태양 전지
KR20180079425A (ko) 후면 전극형 태양전지 기판, 이의 제조방법 및 후면 전극형 태양전지
KR101305849B1 (ko) 태양전지 모듈
KR20100080989A (ko) 광기전력 모듈
US20120145218A1 (en) Thin film solar cell module
KR101983361B1 (ko)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US10505055B2 (en)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KR101779955B1 (ko) 박막 태양 전지 모듈
KR100909815B1 (ko) 접속함을 포함하는 광기전력 모듈
US20130312821A1 (en) Solar cell
US9685574B2 (en) Solar cell module
US9583659B2 (en) Solar cell module
KR20170000338U (ko) 태양전지 모듈
CN105637650B (zh) 太阳能电池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