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7213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7213A
KR20120137213A KR1020120016354A KR20120016354A KR20120137213A KR 20120137213 A KR20120137213 A KR 20120137213A KR 1020120016354 A KR1020120016354 A KR 1020120016354A KR 20120016354 A KR20120016354 A KR 20120016354A KR 20120137213 A KR20120137213 A KR 20120137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cooler
compartment
refrigerator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6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7316B1 (ko
Inventor
유따까 야게따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37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7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02Defroster control
    • F25D21/004Control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1Walls with condui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2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along the inside of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 F25D2317/0682Two or more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도어 포켓에 설치 또는 수납된 저수 탱크나 식품을 효율적으로 냉각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 있다.
냉동실(3)과 냉장실(4)을 구획하는 단열 구획벽(9)과, 냉동실(3)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5)와, 냉장실(4)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6)와, 냉동실(3)의 배면측에 냉동실(3)과 구획하여 설치한 냉각기실(11)과, 냉각기실(11) 내에 배치된 냉각기(16)와, 냉각기실(11) 내에 배치된 냉동실용 송풍기(14) 및 냉장실용 송풍기(15)와, 냉각기실(11)로부터 냉장실(4)로 냉기를 보내는 냉기 통로(17)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기 통로(17)는 단열 구획벽(9) 내의 후방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형성되고, 냉장실용 송풍기(15)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는, 냉기 통로(18)의 전방부의 제1 분출구(18b)로부터, 냉장실 도어(6)에 설치한 수납부(7)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분출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장고는, 냉동실의 후방에 팬 가드, 구획판 등을 통해 냉각기 및 송풍기 등을 설치하는 냉각기실을 설치하고 있다. 통상, 이 냉각기실의 깊이 치수는 대략 냉각기의 두께에 가깝고, 폭 및 높이 치수는 냉동실 내의 후방 부분(배면판부)과 동등한 치수이다. 최근에는 냉장고의 대형화에 수반하여 상기 냉각기도 대형화되는 경향에 있지만, 냉각기의 폭 치수보다도 냉동실(냉각실)의 폭 치수가 대폭 커지고 있다.
예를 들어, 냉각기의 두께가 50㎜ 내지 100㎜였던 경우, 냉각기실의 깊이는 거의 50㎜ 내지 100㎜ 이상으로 된다. 그리고 폭 치수는 냉동실 내부의 배면판부의 전체 폭으로 된다.
그러나, 냉각기의 폭은 이것에 추종하여 크게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냉각기에 공기가 흐르도록 냉각기의 측방을 구획 부재로 덮거나 단열재로 메우고 있었으므로, 냉장고의 용적의 일부를 낭비로 하고 있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냉각기의 양측이 낭비로 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서는, 냉각기의 주위를 덮어 냉각기실을 구성하고, 이 냉각기실의 상방에 송풍기를 배치하고, 냉각기실의 배면측에 냉장실로 냉기를 송풍하기 위한 냉기 통로를 형성하고 있다. 냉기 통로로부터의 냉기는, 냉장실 배면부에 위치하는 냉기 방출구로부터 냉장실로 방출되어, 냉장실 내의 식품을 냉각 후에 냉장실 전방의 상면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냉각기로 복귀하는 구성을 하고 있다.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냉장고는, 냉동실과 중간 저장실 사이를 단열 구획하는 제2 구획벽 내에 냉각기와, 이 냉각기를 수납하는 냉각실을 설치하고, 이 냉각실 후방의 주 송풍기실 내에 주 송풍기를, 중간 저장실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부 송풍기실 내에 부 송풍기를 설치하고 있다.
이 부 송풍기에 의해, 냉장고의 수납 공간의 안쪽부(배면벽부) 토출구로부터 전방(도어측)을 향해 냉기를 분출하는 구조이다.
다음에 특허 문헌 3에 개시된 냉장고는, 냉동실, 온도 전환실, 냉장실 등을 갖는 냉장고의 각 실의 배면측 공간에 송풍기 및 댐퍼 등을 설치하고, 또한 냉동실과 야채실의 배면측 공간에 걸쳐 냉각기실을 구성하고, 그 냉각기실 내에 냉각기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냉장고도, 각 실의 배면측 공간에 설치한 송풍기에 의해 냉기를 냉장고의 수납 공간의 안쪽부(배면벽부)로부터 전방(도어측)을 향해 분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는, 냉장실 송풍기를 냉장실의 배면측 공간에 설치하고, 냉장실 댐퍼는 냉각기실 내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4에 개시된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각기실 등 사이를 구획판으로 구획하고, 냉각기실 내에 냉각기 및 냉동실용 송풍기, 냉장실용 송풍기를 설치하고, 냉동실은 상기 구획판에 설치한 냉동실 냉기 토출 풍로로부터 냉동실용 송풍기를 사용하여 냉기를 분출하고, 냉동실 냉기 복귀 풍로로부터 냉각기 하부로 복귀시키는 냉기 풍로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냉장실에 있어서는, 냉장실 수납 공간의 안쪽부(배면벽부) 전체에 설치된 냉기 분출구로부터 냉기를 분출하고,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획하는 구획벽 전방부에 설치된 흡입구로 복귀시키는 냉기 풍로를 구성하고 있다.
일본 특허 제3073636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공고 소61-35910호 공보 일본 특허 제4357448호 공보 일본 특허 제2922129호 공보
특허 문헌 1 내지 4에 개시된 냉장고는, 냉기가, 냉장실 배면부의 냉기 방출구로부터 냉장실로 방출되므로, 냉기 방출구 부근의 식품에 의해 차단되어 냉장실 전방 부분의 식품까지 냉기가 도달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도어 포켓 부근으로 흘러 오는 시점에서는, 냉장실 내의 식품을 냉각하여 냉기의 온도가 상승되어 있어, 냉장실 전방 부분의 식품 및 도어 포켓에 수납된 식품의 냉각을 단시간에 냉각할 수 없다. 그뿐만 아니라, 도어와 냉장고가 접하고 있는 부분은, 냉장고 외부의 공기의 열이 열전도되어 가열된다. 이로 인해, 냉장고 외부의 공기의 온도가 높은 계절이나 환경에 있어서는, 도어와 냉장고가 접하고 있는 부근의 고내 온도는 다른 부분보다도 온도가 높아지기 쉽다. 또한, 특허 문헌 1 내지 3은, 이하의 특성을 갖는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냉장고는, 냉각기의 양측의 용적이 낭비로 되어 있고, 또한 냉각기실의 배면측에 냉장실로 냉기를 송풍하기 위한 냉기 통로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냉각기실의 깊이 치수에 더하여 냉기 통로의 깊이 치수만큼이 커진다.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동실 하방의 수납실을 구획하는 제2 구획벽 내에 냉각기 등을 설치하는 냉장고이다. 이러한 종류의 냉장고는, 냉동실 내의 깊이 방향 치수가 커지므로 깊이 방향으로는 넓게 이용할 수 있지만, 제2 구획벽 내의 상하면부에 위치하는 실의 상하 방향의 치수가 작아진다. 이와 같이 깊이 방향으로 넓은 경우는, 안쪽에 수납된 식품을 앞쪽의 식품으로 인해 취출하기 어렵기 때문에, 실질적인 사용을 고려한 내용적 효율의 면에서 채용이 기피되고 있다. 특히, 제2 구획벽의 일측면이 냉장실 등으로 되는 냉장고에 있어서는, 냉동실과의 온도차가 크기 때문에, 단열벽의 두께를 크게 확보할 필요가 있어, 내용적 확보의 효율이 낮다.
특허 문헌 3에 개시된 냉장고는, 냉장실의 배면측은 냉장실 송풍기가 설치되어 있는 용적만큼, 냉장실 내를 유효하게 사용할 수 없다.
상기 과제에 비추어 본 발명은, 도어 포켓에 설치 또는 수납된 식품의 냉각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동시에 소정의 온도로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을 채용한다. 그 일례로서,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획하는 단열 구획벽과,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와,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와, 상기 냉동실의 배면측에 상기 냉동실과 구획하여 설치한 냉각기실과, 상기 냉각기실 내에 배치된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실 내에 배치된 냉동실용 송풍기 및 냉장실용 송풍기와, 상기 냉각기실로부터 상기 냉장실로 냉기를 보내는 냉기 통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기 통로는 상기 단열 구획벽 내의 후방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형성되고, 상기 냉장실용 송풍기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는, 상기 냉기 통로의 전방부의 제1 분출구로부터, 상기 냉장실 도어에 설치한 수납부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포켓에 설치 또는 수납된 식품을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폭 넓은 냉동 냉장고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냉동 냉장고의 냉동실, 냉장실 내와 냉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확대 설명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
도 5는 도 4의 P부 확대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냉동 냉장고의 송풍기에 의한 냉기의 흐름의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냉장실용 송풍기에 의해 도어 포켓 내의 음료수를 냉각하는 냉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외기온이나 각 실의 온도 상태에 맞추어 송풍기와 압축기를 개별로 제어하여, 급속 운전, 에너지 절약 운전을 행하는 냉동 냉장고의 동작 설명도.
도 9는 저부하시와 고부하시의 압축기 및 송풍기 등의 운전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특히 서리 냉각 운전을 설명하는 기본 제어 동작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냉장고에 대해,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냉동 냉장고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냉동실, 냉장실 내와 냉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확대 설명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 도 5는 도 4의 P부 확대 설명도이다.
우선, 도 1, 도 2에 있어서, 부호 1은 냉동 냉장고 본체, 이 본체(1)는 내용적이 600L, 혹은 700L를 갖는 것으로, 조립되는 냉각기(16)(후술함)의 폭이 500㎜를 초과하고, 냉동 냉장고의 상자체(2) 치수는 750 내지 800㎜를 초과하는 폭 치수가 큰 냉동 냉장고이다. 이 상자체(2) 내부에는, 냉동실(3) 및 냉장실(4)과, 이들 전방면 개구부를 각각 폐색하는 냉동실 도어(5)와 냉장실 도어(6)를 구비한다.
냉장실 도어 포켓(7)에는, 음료수를 내장한 저수 탱크(또는 보틀)(8)가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되어 있다. 단열 구획벽(9)에 의해, 상기 실온이 약 -18℃인 냉동실(3)과 실온이 약 3℃인 냉장실(4)을 단열 구획하고 있다. 구획판(또는 팬 가드)(10)은, 냉동실의 배면측에 설치되어 냉동실(3)과 냉각기실(11)을 구획한다. 이 구획판(10)은 냉동실용 송풍기(14)가 냉동실에 분출하는 분출구(12)와, 냉동실(3)에 분출된 냉기를 냉각기(16) 하부로 복귀시키기 위한 냉기 흡입구(13)를 갖는다.
다음에 도 2, 도 3, 도 4에 있어서, 부호 15는 앞의 냉동실용 송풍기(14)와 마찬가지로 냉각기(16)의 상부에, 또한 냉동실용 송풍기(14)와 병설되도록 설치된 냉장실용 송풍기이다. 이 냉장실용 송풍기(15) 및 앞의 냉동실용 송풍기(14)는, 각각을 독립적으로 동작시키는 냉동실용 온도 제어기 및 냉장실용 온도 제어기(모두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양 송풍기(14, 15)는 독립적으로 운전된다.
즉, 냉동실용 송풍기(14)는 냉각기(16)에 의해 냉각된 냉기를 냉기 분출구(12)로부터 냉동실(3)로 분출하고, 그것을 냉기 흡입구(13)로부터 냉각기(16)로 회수한다. 이것을 반복함으로써, 냉동실(3)은 설정 온도, 예를 들어 -18℃로 냉각하는 작용을 한다.
한쪽의 냉장실용 송풍기(15)는 냉각기(16)를 거친 냉기를, 후술하는 송풍로인 송풍 덕트(17), 단열 구획벽(9)에 형성한 냉기 통로(18) 등을 통해 냉장실(4)의 도어 포켓(수납부) 상부로 분출한다. 냉장실(4), 도어 포켓부를 냉각한 냉기는, 냉장실(4) 저부에 설치된 용기(19)와 내부 상자(2a) 저면과의 사이의 간극 통로(20) 및 R실 복귀 냉기 통로(28)를 통해 냉각기(16)로 복귀되는 냉기 순환을 행한다.
이때, 상기 냉각기(16)의 냉기 복귀구 부근에는 도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기(16)의 전방면과 구획판(10)과의 사이 및 냉각기(16)와 내부 상자(2a)와의 사이에 간극 5.0 내지 10.0㎜의 공간(냉기 바이패스) A, B를 형성해 둔다. 또한 이 공간 A, B는 냉각기(16)의 하방 대략 전역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간극 A, B는 냉각기(16)에의 착상(着霜) 분포(하면이 서리에 의해 먼저 막혀, 상면에는 서리가 부착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현상)의 치우침을 없애 냉각기의 냉각 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있다.
부호 17은 송풍 덕트이다. 이 송풍 덕트(17)는 도 2, 도 3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냉각기실(11) 내이며, 냉각기(16), 냉장실용 송풍기(15)의 측방에 생기는 무효 공간을 이용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폭 넓은 냉동 냉장고이므로, 냉각기(16)를 도 2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상자(2a)의 일측벽에 가까이 대고 설치하면, 냉각기(16)의 측방에는 통상 50㎜ 이상의 공간이 생긴다. 상기 송풍 덕트(17)는, 이 공간을 이용하여 도 2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치하였다. 이 송풍 덕트(17)는, 스티로폼 등의 단열재를 형(型)으로 성형하여 덕트 형상으로 만든 것으로, 이것을 내부 상자(2a)에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하였다.
부호 21은, 상기 냉장실용 송풍기(15)의 마우스 링이다. 이 마우스 링(21)은,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냉장실용 송풍기(15)가 송풍하는 냉기를, 송풍로인 송풍 덕트(17)로 유도하는 안내용 통로(22)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송풍로인 송풍 덕트(17)는, 단열 구획벽(9)에 설치된 냉기 통로(18)에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접하고, 송풍 덕트(17) 내의 냉기가 냉기 통로(18)측으로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송풍로인 송풍 덕트(17)는, 냉기 통로(18)와 일체로 제작해도 된다.
여기서, 상기 냉기 통로(18)에 대해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냉기 통로(18)의 한쪽 개구(18a)는 송풍 덕트(17)에 연접하는 부분에 개방되고, 다른 쪽 단부의 개구(18b)는 도어 포켓(7)의 상단(7a)부에 대향하도록 설치된 분출구이다. 이하, 분출구(18b)라 칭한다. 즉, 냉기 통로(18)는 도어 포켓(7)의 상단 위치 부근까지 이르고 있다.
환언하면, 송풍 덕트(17)로부터 수취한 냉기를 도어 포켓(7)의 상단(7a)부측으로 분사하는 구성으로, 상기 단열 구획벽(9) 내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을 위해, 상기 냉기 통로(18)는 단열 구획벽(9)의 후방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형성되어 있고, 다른 쪽 단부의 개구인 분출구(18b)는 도어 포켓 상단(7a)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그 선단이 냉기 분출구로 되어 있다.
부호 23은 제2 냉기 통로이며, 한쪽은 상기 냉기 통로(18)의 입구부[냉기 통로의 한쪽 개구(18a)의 부근]에 접속되고, 다른 쪽은 냉장실(4)의 안쪽부(배면벽부 또는 배면판부)로부터 냉기를 분출하는 냉장실 냉기 통로(24)에 접속되어 있다. 이 냉장실 냉기 통로(24) 내의 냉기는 후술하는 분출구(25a)로부터 냉장실(4) 전체로 분출되어 간다.
부호 25는 냉기 통로 형성용 냉장실 구획판이며,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냉장실 냉기 통로(24)측에 단열재(26)를 갖고, 내부 상자(2a)의 배면측 부분과의 사이에 냉장실 냉기 통로(24) 등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단열재(26)는 냉장실 구획판(25) 표면에 서리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2 냉기 통로(23)를 통해, 이 냉장실 냉기 통로(24) 내에 도입된 냉기의 일부는 냉장실 구획판(25)에 설치된 분출구(25a)로부터 냉장실(4) 내에 가느다란 실선 화살표와 같이 냉장실(4) 전체로 분출되고, 나머지 냉기는 가느다란 파선 화살표와 같이 야채 등을 수납하는 용기(19)측으로 보내진다. 보내진 냉기는 용기(19)의 외주를 따라 흘러 용기(19) 내를 간접적으로 냉각한다.
그리고, 용기(19) 내를 냉각한 냉기는 용기(19)와 내부 상자(2a) 사이에 만들어진 간극 통로(20)를 거쳐 도 4에 도시하는 냉장실 복귀 통로(28)를 경유하여 냉각기(16)로 복귀된다.
이상과 같이, 냉장실(4) 내에 수납된 수납물은, 냉장실 도어 포켓(7)측으로 분출된 냉기와 냉장실 구획판(25)에 설치한 분출구(25a)로부터 분출된 냉기에 의해, 냉장실 내 전체를 전후로부터 둘러싸도록 냉각한다. 이에 의해, 수납물의 수납 위치에 큰 영향을 받는 것이 억제되어, 냉각 불균일이 작아져 보존 성능이 한층 더 향상된다.
상기 냉동 냉장고의 냉기의 흐름을 설명한다. 냉동실용 송풍기(14)에 의해 냉기 분출구(12)로부터 분출된 냉기는, 도 2, 도 3, 도 4에 도시한 굵은 실선 화살표와 같이, 냉동실(3) 내(수납 식품)를 냉각한 후, 냉기 흡입구(13)로부터 냉각기(16)로 복귀되는 냉기 순환을 반복한다. 이에 의해, 냉동실(3) 내 온도는, 설정된 실온으로 된다.
한편, 냉장실용 송풍기(15)에 의해 냉장실(4)측으로 분출되는 냉기는, 도 2, 도 3의 가느다란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기(16)에 의해 냉각된 후에 송풍 덕트(17)측으로 보내지고, 이 냉기의 일부가 냉기 통로의 한쪽 개구부(18a)를 경유하여 가느다란 실선 화살표와 같이 냉기 통로(18)로 들어가고, 냉기 통로(18)의 다른 쪽 단부의 개구(18b)로부터 도어 포켓(7)의 방향으로 분출된다.
나머지 냉기는, 가느다란 실선 화살표와 같이, 냉기 통로의 한쪽 개구(18a)로부터 제2 냉기 통로(23) 및 냉장실 냉기 통로(24)로 들어간 냉기는, 냉장실 배면의 냉장실 구획판에 설치한 분출구(25a)로부터 냉장실(4)로 분출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 통로(18)의 다른 쪽 단부에 개방된 분출구(18b) 및 분출구(25a)로부터 분출된 냉기는, 용기(19)와 내부 상자(2a) 저면 부분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 통로(20)에 흡입된다.
이 간극 통로(20)에는 용기(19)의 외주를 냉각한 냉기도 통과한다. 즉, 용기(19)의 상면과 용기 커버(29)와의 사이, 혹은 상단의 용기 저벽(19a), 하단의 용기(19)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냉각용 간극 통로(27)를 통과한 냉기도, 상기 간극 통로(20)를 유통한다. 그리고 이들 냉기는 냉장실 복귀 냉기 통로(28)를 통과하여 냉각기(16)로 복귀된다.
냉장실(4)을 냉각한 후의 냉기는, 도 5에 도시한 실선 화살표와 같이, 냉각기(16)로 복귀시킨다. 이 냉각기(16)의 하부에는, 냉각기(6)에 부착된 서리를 제거하는 유리관 히터(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유리관 히터(31)의 표면에는, 방열 핀(32)을 갖고 있다.
물 수용 통(33)은, 냉각기(16)에 부착된 서리를 녹인 제상수를 수용한다. 통부(33a)는 단열 구획벽(9)을 관통하여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 파이프(34)의 수용부(34a)에 면하고 있다.
복귀 덕트(35)는, 도 4,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단부가 냉장실 복귀 냉기 통로(28)에 연접하고 다른 쪽 단부가 물 수용 통(33)의 내측[냉각기(16)의 하부]에 연접하고 있다. 또한, 이 복귀 덕트(3, 5)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냉장실(4)의 배면부 중앙에 설치된 냉장실 복귀 냉기 통로(28) 내를 상승하는 복귀 냉기를 냉각기(16)의 하면으로 복귀시키도록, 물 수용 통(33)의 배면부로부터 복귀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냉동 냉장고의 냉기의 흐름을 도 6에 의해 설명한다. 부호 3은 냉동실, 4는 냉장실, 14는 냉동실용 송풍기, 15는 냉장실용 송풍기, 16은 냉각기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냉각기실(11) 내에 설치된 전동 댐퍼(36)는, 송풍 덕트(17) 내에 설치되어, 냉장실(4)로 보내지는 냉기량을 조정하여, 냉장실(4) 내의 온도를, 설정 온도를 예를 들어 3℃로 유지한다.
냉동실(3)은, 냉동실용 송풍기(14)에 의해 송풍된 냉기가, 냉각기(16), 냉동실(3), 냉각기(16)의 순으로 냉기가 흐르도록 형성된 냉기 순환 경로를 흐른다. 냉장실(4)은, 냉장실용 송풍기(15)에 의해 송풍된 냉기가, 냉각기(16), 전동 댐퍼(36), 냉장실(4), 냉각기(16)의 순으로 흐르도록 냉기 순환 경로를 흐른다. 이 냉기 순환에 의해, 각각의 실(3, 4)은 소정의 온도로 냉각된다.
전동 댐퍼(36)는,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냉각기(16)의 측방에 설치한 송풍 덕트(17) 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냉장실 내를 구성하는 배면판부는 플랫화되어, 선반 면적이 확대된다.
다음에, 냉장실용 송풍기(15)로부터 송풍된 냉기가 냉장실의 전방부, 특히 도어 포켓(7) 내의 수납품을 냉각하는 흐름에 대해, 도 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부호 1은 냉동 냉장고 본체, 3은 냉동실, 4는 냉장실, 7은 냉장실 도어 포켓, 8은 음료수 등을 수납한 저수 탱크, 이 저수 탱크(8)는 페트병이라도 좋다. 부호 14는 냉동실용 송풍기, 15는 냉장실용 송풍기, 16은 냉각기, 18은 단열 구획벽(9) 내에 설치된 냉기 통로, 18b는 앞의 냉장실 도어 포켓(7)부에 냉기를 분사하는 냉기 통로(18)의 다른 쪽 단부의 개구의 분출구이다.
냉기 통로의 다른 쪽 단부의 개구(18b)로부터 냉장실 도어 포켓(7) 방향으로 분출된 냉기는, 도어 포켓부를 상방으로부터 냉각하여 수납품이나 저수 탱크(8) 내의 음료수를 신속하게 냉각한다. 이와 동시에 도어 포켓(7)측으로 분출된 냉기는, 냉장실(4) 내의 전방부에 수납된 식품 등을 냉각하게 된다.
따라서, 냉장실에 수납된 식품은, 냉장실의 전후로부터 분출되는 냉기에 의해 불균일 없이 전체적으로 균일화하여 냉각된다. 이에 의해, 식품의 보존성은 향상된다.
다음에, 외기온이나 각 실의 온도 상태에 따라서, 냉동실 냉각 운전 및 에너지 절약 운전으로 되는 냉장실 냉각 운전에 대해 도 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부호 14는 냉동실용 송풍기, 15는 냉장실용 송풍기, 16은 냉각기, 37은 압축기이다. 이들 냉동실용 송풍기(14), 냉장실용 송풍기(15), 압축기(37)는 인버터 제어되고, 회전수를 수 단계로 가변할 수 있다. 또한, 이 냉동 냉장고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외기 온도 센서, 냉동실 온도 센서, 냉장실 온도 센서 등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 냉동 냉장고 본체(1)는, 통상 운전, 냉동실 냉각 운전, 냉장실 냉각 운전 등의 운전 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도 8은, 상기 운전 모드에 맞추어 압축기(37), 냉동실용 송풍기(14), 냉장실용 송풍기(15)의 운전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8의 압축기의 회전수는, 예를 들어 고속은 4300RPM, 중속은 3100RPM, 저속은 2200 내지 1500RPM을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냉동실 냉각 운전시에는, 하이파워로 신속하게 냉동실을 냉각할 수 있고, 냉장실 냉각 운전에서는 저속 회전으로 낭비가 없는 에너지 절약 운전을 할 수 있다.
저부하시와 고부하시의 압축기 및 송풍기 등의 운전 상태를 설명한다. 특히, 냉장실 운전과 서리 냉각 운전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종축의 압축기, 냉동실용 송풍기, 냉장실용 송풍기는 회전수의 증감을, 전동 댐퍼는 개폐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기기의 회전수 등을, 외기온이 낮은 저부하시와, 외기온이 높은 고부하시에, 어떻게 제어되는지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냉장실 운전, 서리 냉각 운전을 할 수 있다.
도 9에 있어서, 냉장실 운전이라 함은, 압축기의 시동시에 회전수를 1500RPM의 저속화를 도모하고, 냉동실용 송풍기의 운전은 오프로 하고, 냉장실용 송풍기는 저속으로 회전시키고, 전동 댐퍼를 개방하여, 냉각기가 냉각될 때까지의 일정 시간, 냉장실로 송풍하여 냉장실을 냉각하는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하는 운전을 말한다.
서리 냉각 운전이라 함은, 압축기의 정지시에, 전동 댐퍼를 개방하고, 냉동실용 송풍기는 운전을 오프로 하고, 냉장고용 송풍기를 운전하여 냉각기에 부착된 서리의 잠열에 의해 냉각한 냉기를 냉장실로 송풍하여, 냉장실을 냉각하는 운전을 말한다.
이것에 의해, 냉각기에 부착된 서리의 잠열을 이용하여 냉장실을 냉각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약 성능이 높은 냉장고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서리의 잠열에 의해 냉각한 냉기를 냉장실로 송풍함으로써, 상기 냉각기를 제상하고, 상기 제상이 거의 완료되었다고 간주할 수 있는 타이밍에, 상기 냉장실로의 냉기의 송풍을 정지한다. 즉, 냉각기에 부착된 서리가 소정량 이하로 감소된 경우에 있어서, 소정의 냉장실 온도 이하로 된 경우는 상기 냉장실로의 냉기의 송풍이 정지되고, 냉장실 온도가 소정의 온도 이상인 경우는 냉장실로의 송풍을 계속하는 동시에 압축기를 운전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다음 효과가 얻어진다.
즉,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획하는 단열 구획벽과,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와,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와, 상기 냉동실의 배면측에 상기 냉동실과 구획하여 설치한 냉각기실과, 상기 냉각기실 내에 배치된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실 내에 배치된 냉동실용 송풍기 및 냉장실용 송풍기와, 상기 냉각기실로부터 상기 냉장실로 냉기를 보내는 냉기 통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기 통로는 상기 단열 구획벽 내의 후방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형성되고, 상기 냉장실용 송풍기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는, 상기 냉기 통로의 전방부의 제1 분출구로부터, 상기 냉장실 도어에 설치한 수납부(도어 포켓)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분출한다.
이에 의해, 냉장실 전방 부분의 식품 및 도어 포켓에 수납된 식품을 신속하게 냉각할 수 있고, 냉장실 내의 식품의 보존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는, 열용량이 큰 저수 탱크 내의 음료수를 냉각시키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을 독립된 송풍기로 냉각할 수 있으므로, 온도 설정, 최적 냉각을 행하기 쉽다. 또한, 냉장고가 대형화되어, 냉각기실이 냉각기의 폭 치수에 비해 폭 치수가 커져도, 이 폭 치수가 커진 만큼의 공간을 이용하여 송풍 덕트를 구성하므로, 무효 공간이 증대되는 일이 없는 냉장고가 얻어진다.
또한, 냉동실용 송풍기, 냉장실용 송풍기 등에 의해, 냉동실, 냉장실로 냉기를 송풍하여, 상기 양 실을 독립적으로 냉각하는 냉장고로 한다. 이에 의해, 도어 포켓 내에 수납되는 저수 탱크 내의 음료수를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냉장고로 할 수 있다.
또한, 송풍 덕트는 냉기를 냉장실 배면으로부터 분출하는 제2 냉기 통로에도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냉장실 내의 식품을 냉장실의 전방측 상방과 후방으로부터 냉각하므로, 냉기가 도달하기 어려운 곳에 냉기가 흐르기 쉬워져, 식품의 보존성이 향상된다.
또한, 송풍 덕트의 도중에 냉기 통로 등에 송풍하는 냉기량을 조정하는 전동 댐퍼를 설치하였다. 이에 의해, 냉장실 내의 배면판부는 플랫화되어 선반 면적이 확대되고, 실질적인 수납량을 확대할 수 있어 용적 효율이 높아진다.
또한, 상기 냉기 통로는, 냉기를 상기 냉장실 배면으로부터 상기 냉장실 내로 분출하는 제2 분출구를 구비한 제2 냉기 통로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냉기 및 상기 제2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냉기를 상기 냉각기실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통로를, 상기 냉장실 배면부에 설치하였다.
이것에 의해, 수납부(도어 포켓부) 및 냉장실과 열교환한 후, 도어 포켓부에 수납된 식품이나 저수 탱크 내의 음료수는 신속하게 냉각되는 것은 물론, 냉장실 내에 수납된 식품은 냉장실의 전방면측 상방 및 배면으로부터 분출되는 냉기에 의해 균일하게 냉각되므로, 식품의 보존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어 포켓에 저수 탱크 등의 열용량이 큰 것이 배치되는 경우는, 저수 탱크에 중점적으로 집중하여 분사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저수 탱크 내의 음료수가 신속하게 냉각되는 동시에, 도어 포켓에 수납된 다른 식품도 신속하게 냉각되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냉기 및 상기 제2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냉기를 상기 냉각기실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통로는, 상기 냉장실 하부에 설치한 용기와 상기 냉장실 저면과의 사이의 간극 통로를 통과한 냉기가 흐르도록 냉장실 배면부에 설치하였다.
이와 같이 하면, 전방측 상방으로부터의 냉기가 용기의 전방부측의 표면을 따라 흘러 냉각하고, 배면부로부터의 냉기가 용기의 후방부측으로부터 용기 표면을 따라 흘러 냉각하고, 이들 전방측 상방으로부터의 냉기와 배면부로부터의 냉기에 의해, 용기 전체를 감싸도록 냉각하므로, 용기 전체의 온도를 균일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용기 내부의 온도차에 의해 부분적으로 발생하는 서리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냉장실의 저부에 설치한 냉기 및 커버 상면을 흐르는 냉기에 의해 용기 내를 간접적으로 냉각함으로써, 야채 등의 식품이 건조되거나 냉기가 부분적으로 직접 냉각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야채 등의 건조되기 쉬운 식품의 수납에 적합한 용기로 할 수 있다.
또한, 냉각기실 내에 설치되는 냉동실용 송풍기, 냉장실용 송풍기는 냉각기의 상부에 위치하고, 양 송풍기 모두 냉각기를 거친 냉기를 흡입하여, 냉장실용 송풍기는 도어 포켓부 및 냉장실을 향해 냉기를 분출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것에 의해, 냉각기에 부착된 서리의 잠열을 이용하여 냉장실을 냉각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약화가 도모된 냉장고가 얻어진다.
또한, 냉각기의 전방면과 구획판과의 사이 및 냉각기와 내부 상자와의 사이에, 착상 분포의 치우침을 없애는 간극 5 내지 10㎜의 공간을 냉각기의 하방 대략 전역에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것에 의해, 냉장실에의 냉기량이 증대되는 대형 냉동 냉장고의 냉각기라도, 일부 냉장실의 복귀 냉기에 의해 일부분이 조금 일찍 서리 발생을 일으켜도, 냉각기 전체가 기능을 상실하는 일이 없는 냉장고가 얻어진다.
또한, 압축기의 정지시에 냉장실용 송풍기를 운전하여, 냉각기에 부착된 서리의 잠열에 의해 냉각한 냉기를, 냉기 통로의 전방부의 분출구(18b)로부터 하방에 위치하는 냉장실 도어 포켓(7)의 상부 방향으로 냉기를 분출하는 동시에, 냉장실 배면의 냉기 통로(24)를 통과시켜 분출구(25a)로부터 냉장실을 향해 냉기를 분출하여, 냉장실을 냉각하도록 하였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어 냉장실을 냉각하는 데, 냉각기에 부착된 서리의 잠열을 이용하여 냉장실을 냉각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약화가 도모된 냉장고가 얻어진다. 또한, 냉장실 도어 포켓(7)에 가까운 분출구(18b)로부터 냉장실 도어 포켓(7)의 상부 방향으로 냉기를 분출하여 냉각하므로, 냉장고 외부의 열이 도어와 냉장고가 접하고 있는 부분으로부터 열전도되어 냉장실 도어 포켓(7) 및 이 근방을 가열해도, 온도 상승을 방지 혹은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서리의 잠열에 의해 냉각한 냉기로 냉장실을 냉각하도록 냉장실로 송풍하는 동시에, 상기 냉각기에 부착된 서리가 소정량 이하로 감소한 경우에 있어서, 소정의 냉장실 온도 이하로 된 경우는 상기 냉장실로의 냉기의 송풍이 정지되고, 냉장실 온도가 소정의 온도 이상인 경우는 냉장실로의 송풍을 계속하는 동시에 압축기를 운전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것에 의해, 에너지 절약 성능이 높고, 냉장실 내의 식품을 소정 온도의 범위로 유지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각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단열 구획벽 내의 후방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형성된 냉기 통로에 상기 송풍로를 접속하고, 냉장실용 송풍기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를 냉기 통로의 전방부의 개구로부터, 냉장실 도어 포켓 상부 방향으로 냉기를 분출하도록 하였으므로, 냉장실 전방 부분의 식품 및 도어 포켓에 수납된 식품을 신속하게 냉각할 수 있고, 냉장실 내의 식품의 보존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1 : 냉동 냉장고 본체
2 : 상자체
2a : 내부 상자
3 : 냉동실
4 : 냉장실
5 : 냉동실 도어
6 : 냉장실 도어
7 : 냉장실 도어 포켓(수납부)
7a : 도어 포켓의 상단
8 : 저수 탱크(페트병 등)
9 : 단열 구획벽
10 : 구획판
11 : 냉각기실
12 : 냉기 분출구(냉동실용)
13 : 냉기 흡입구
14 : 냉동실용 송풍기
15 : 냉장실용 송풍기
16 : 냉각기
17 : 송풍 덕트(냉기 통로)
18 : 냉기 통로
18a : 냉기 통로 후방부의 개구
18b : 냉기 통로 전방부의 개구(분출구)
19 : 용기
20 : 간극 통로
21 : 마우스 링
22 : 안내용 통로
23 : 제2 냉기 통로
24 : 냉장실 냉기 통로
25 : 냉장실 구획판
25a : 분출구
26 : 단열재
27 : 냉각용 간극 통로
28 : 냉장실 복귀 냉기 통로
29 : 용기 커버
30 : 선반
31 : 유리관 히터
32 : 방열 핀
33 : 물 수용 통
33a : 통부
34 : 배수 파이프
34a : 수용부
35 : 복귀 덕트
36 : 전동 댐퍼
37 : 압축기

Claims (10)

  1.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획하는 단열 구획벽과,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와,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와, 상기 냉동실의 배면측에 상기 냉동실과 구획하여 설치한 냉각기실과, 상기 냉각기실 내에 배치된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실 내에 배치된 냉동실용 송풍기 및 냉장실용 송풍기와, 상기 냉각기실로부터 상기 냉장실로 냉기를 보내는 냉기 통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기 통로는 상기 단열 구획벽 내의 후방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형성되고, 상기 냉장실용 송풍기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는, 상기 냉기 통로의 전방부의 제1 분출구로부터, 상기 냉장실 도어에 설치한 수납부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용 송풍기 및 상기 냉장실용 송풍기는, 각각 상기 냉동실 및 상기 냉장실로 냉기를 송풍하고, 상기 냉동실 및 상기 냉장실을 독립적으로 송풍하여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통로는, 냉기를 상기 냉장실 배면으로부터 상기 냉장실 내로 분출하는 제2 분출구를 구비한 제2 냉기 통로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통로의 도중에 상기 냉기 통로로 송풍하는 냉기량을 조정하는 전동 댐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냉기 및 상기 제2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냉기를 상기 냉각기실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통로를, 상기 냉장실 배면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냉기 및 상기 제2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냉기를 상기 냉각기실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통로는, 상기 냉장실 하부에 설치한 용기와 상기 냉장실 저면과의 사이의 간극 통로를 통과한 냉기가 흐르도록 냉장실 배면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용 송풍기 및 상기 냉장실용 송풍기는, 상기 냉각기의 상방에 위치하여 상기 냉각기를 거친 냉기를 흡입하고, 상기 냉장실용 송풍기는 상기 수납부 및 상기 냉장실을 향해 냉기를 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실의 전방벽과의 사이 및 상기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실의 후방벽과의 사이이며, 상기 냉각기의 하방 영역에, 착상(着霜) 분포의 치우침을 억제하는 5 내지 10㎜의 공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5항에 있어서, 압축기의 정지시에, 상기 냉장실용 송풍기가 운전되어, 상기 냉각기에 부착된 서리의 잠열에 의해 냉각된 냉기가 상기 제1 분출구 및 상기 제2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에 부착된 서리의 잠열에 의해 냉각된 냉기를 상기 냉장실로 송풍하고, 상기 냉각기에 부착된 서리가 소정량 이하로 감소하고, 상기 냉장실의 온도가 소정값 이하로 된 경우, 상기 냉장실로의 냉기의 송풍을 정지하고, 상기 냉장실의 온도가 소정값 이상으로 된 경우, 상기 냉장실로의 송풍을 계속하고, 또한 상기 압축기를 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20016354A 2011-06-10 2012-02-17 냉장고 KR1013873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29748A JP5417382B2 (ja) 2011-06-10 2011-06-10 冷蔵庫
JPJP-P-2011-129748 2011-06-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213A true KR20120137213A (ko) 2012-12-20
KR101387316B1 KR101387316B1 (ko) 2014-04-18

Family

ID=47302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354A KR101387316B1 (ko) 2011-06-10 2012-02-17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417382B2 (ko)
KR (1) KR101387316B1 (ko)
CN (1) CN1028184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48013B2 (ja) * 2014-08-22 2017-12-13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6588249B2 (ja) * 2015-06-24 2019-10-0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CN105466106A (zh) * 2015-12-22 2016-04-06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
CN108253694A (zh) * 2018-01-09 2018-07-06 广州美的华凌冰箱有限公司 一种风冷冰箱
CN109945585A (zh) * 2019-03-13 2019-06-28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控制方法和制冷设备
JP2022098937A (ja) * 2020-12-22 2022-07-04 アクア株式会社 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3379A (ja) * 1983-02-10 1983-11-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冷蔵庫
JP3187890B2 (ja) * 1991-11-26 2001-07-16 三洋電機株式会社 冷蔵庫
KR940009644A (ko) * 1992-10-09 1994-05-20 배순훈 냉장고의 온도조절 방법 및 장치
JPH0777376A (ja) * 1993-09-07 1995-03-20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KR0182533B1 (ko) * 1994-11-15 1999-05-01 윤종용 냉장고 및 그 온도제어방법
KR100193175B1 (ko) 1995-11-22 1999-06-15 가나이 쓰도무 보틈프리저식 냉장고
KR0171523B1 (ko) * 1996-09-25 1999-03-20 배순훈 냉장고의 냉기 단속 장치
KR100194358B1 (ko) * 1997-05-12 1999-06-15 전주범 댐퍼를 이용한 냉기단속구조를 갖는 냉장고
JPH10311654A (ja) * 1997-05-13 1998-11-24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JP2000097542A (ja) * 1998-09-24 2000-04-04 Hitachi Ltd 冷蔵庫
KR20000009637U (ko) * 1998-11-09 2000-06-05 전주범 냉장고의 에어커텐 장치
JP2000146400A (ja) * 1998-11-10 2000-05-26 Toshiba Corp 冷蔵庫
CN2397461Y (zh) * 1999-08-13 2000-09-20 合肥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改进制冷风道的电冰箱
KR100578362B1 (ko) 1999-09-14 2006-05-1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
JP2002098459A (ja) * 2000-09-27 2002-04-05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
JP2002295953A (ja) * 2001-03-30 2002-10-09 Fujitsu General Ltd 冷蔵庫
JP2003130527A (ja) * 2001-10-25 2003-05-08 Sharp Corp 冷蔵庫
CN100359268C (zh) * 2003-08-25 2008-01-0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电冰箱的冷气排出装置
KR100547341B1 (ko) * 2004-01-28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2008039296A (ja) * 2006-08-07 2008-02-21 Toshiba Corp 冷蔵庫
JP4644271B2 (ja) * 2008-06-09 2011-03-0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5011267B2 (ja) * 2008-11-28 2012-08-29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4960399B2 (ja) * 2009-03-24 2012-06-27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JP5380214B2 (ja) * 2009-09-04 2014-01-0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18417A (zh) 2012-12-12
JP2012255615A (ja) 2012-12-27
CN102818417B (zh) 2016-01-13
KR101387316B1 (ko) 2014-04-18
JP5417382B2 (ja)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9427B2 (ja) 冷蔵庫
US9476631B2 (en) Ice making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0889821B1 (ko) 온도조절 챔버를 구비한 냉장고
KR101387316B1 (ko) 냉장고
US8429926B2 (en) Ice storage bin and icemaker apparatus for refrigerator
KR101306536B1 (ko) 냉장고
KR20040067643A (ko) 온도조절 챔버를 구비한 냉장고
JP6134610B2 (ja) 冷蔵庫
KR101455864B1 (ko) 냉기 덕트 및 냉장고
JP2013190126A (ja) 冷蔵庫
KR100451341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
KR102508224B1 (ko) 냉장고
TW201839339A (zh) 電冰箱
JP5941838B2 (ja) 冷蔵庫
KR19990030104A (ko) 냉장고
KR101260559B1 (ko) 냉장고
JP2013190124A (ja) 冷蔵庫
JP2010071563A (ja) 冷蔵庫
KR200292004Y1 (ko) 냉장고
KR101139586B1 (ko)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1263437B1 (ko) 냉장고
KR20100028828A (ko) 냉장고
JP2014156947A (ja) 冷蔵庫
JP2013190125A (ja) 冷蔵庫
KR20040062786A (ko) 김치저장실을 구비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