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5988A - 전지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전지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5988A
KR20120135988A KR1020110054931A KR20110054931A KR20120135988A KR 20120135988 A KR20120135988 A KR 20120135988A KR 1020110054931 A KR1020110054931 A KR 1020110054931A KR 20110054931 A KR20110054931 A KR 20110054931A KR 20120135988 A KR20120135988 A KR 20120135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afety device
battery pack
conductive sheets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7386B1 (ko
Inventor
김태혁
최승돈
장민철
홍승택
이진규
강달모
조승수
황세연
홍슬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10054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386B1/ko
Priority to PCT/KR2012/004487 priority patent/WO2012169793A2/ko
Priority to EP12796274.4A priority patent/EP2696398B1/en
Priority to JP2014511308A priority patent/JP5700739B2/ja
Priority to CN201280026227.2A priority patent/CN103563129B/zh
Publication of KR20120135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5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386B1/ko
Priority to US14/062,352 priority patent/US909973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sh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둘 이상의 전지셀 또는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의 일측에 장착되어, 침상체의 관통, 물리적 변형을 유발하는 강한 외력의 인가 등과 같은 이벤트의 발생시, 우선적으로 단락되어 안전성을 담보하는 장치로서, 상호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도전성 시트들; 상기 도전성 시트들이 삽입 장착되고 전면을 제외한 외면을 감싸고 있는 전기절연성의 하우징; 상기 전면을 커버하는 밀폐부재; 및 상기 도전성 시트들을 전지모듈의 전지셀들 중 하나의 양극 및 음극에 각각 연결하는 접속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지팩 안전장치 {Safety Device for Battery Pack}
본 발명은 전지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둘 이상의 전지셀 또는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의 일측에 장착되어 침상체의 관통시 우선적으로 단락되어 안전성을 담보하는 장치로서, 상호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도전성 시트들, 상기 도전성 시트들이 삽입 장착되고 전면을 제외한 외면을 감싸고 있는 전기절연성의 하우징, 상기 전면을 커버하는 밀폐부재, 및 상기 도전성 시트들을 전지모듈의 전지셀들 중 하나의 양극 및 음극에 각각 연결하는 접속부재를 포함하는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러한 이차전지 중 높은 에너지 밀도와 방전 전압의 리튬 이차전지에 대해 많은 연구가 행해졌고 또한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차전지는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PDA, 노트북 등의 모바일, 와이어리스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자전거(E-bike),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등의 동력장치에 대한 에너지원으로도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휴대폰, 카메라 등의 소형 디바이스에는 하나의 전지셀이 팩킹되어 있는 소형 전지팩이 사용됨에 반하여, 노트북, 전기자동차 등의 중대형 디바이스에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전지셀들(이하에서는, 때때로 "멀티-셀"로 칭하기도 함)을 병렬 및/또는 직렬로 연결한 전지팩이 팩킹되어 있는 중형 또는 대형 전지팩이 사용되고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튬 이차전지는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에 반해 안전성이 낮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리튬 이차전지는 과충전, 과방전, 고온에의 노출, 전기적 단락 등 비정상적인 작동 상태에서 전지 구성요소들인 활물질, 전해질 등의 분해반응이 유발되어 열과 가스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초래된 고온 고압의 조건은 상기 분해반응을 더욱 촉진하여 급기야 발화 또는 폭발을 초래하기도 한다.
리튬 이차전지의 안전성 문제는 멀티-셀 구조의 중대형 전지팩에서 더욱 심각하다. 멀티-셀 구조의 전지팩에서는 많은 개수의 전지셀들이 사용됨으로 인해 일부 전지셀에서의 작동 이상은 다른 전지셀들로 연쇄반응을 유발할 수 있고 그로 인한 발화 및 폭발은 자칫 대형 사고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대형 전지팩에는 과방전, 과충전, 과전류 등으로부터 전지 셀을 보호하기 위한 퓨즈, 바이메탈,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등의 안전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리튬 이차전지는 계속적인 사용, 즉, 계속적인 충방전 과정에서 발전소자, 전기적 연결부재 등이 서서히 열화되는 바, 예를 들어, 발전소자의 열화는 전극재료, 전해질 등의 분해에 의해 가스 발생을 유발하며, 그로 인해 전지셀(캔, 파우치형 케이스)은 서서히 팽창하게 된다. 또한,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안전 시스템인 BMS가 과방전, 과충전, 과전류 등을 탐지하고 전지팩을 제어/보호하고 있으나,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BMS가 작동되지 않으면 위험성이 커지고 안전을 위한 전지팩 제어가 어려워진다. 중대형 전지팩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전지셀들이 일정한 케이스 내에 고정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팽창된 전지셀들은 한정된 케이스 내에서 더욱 가압되고, 비정상적인 작동 조건 하에서 발화 및 폭발의 위험성이 크게 높아진다.
특히, 차량 등에 사용되는 전지팩의 경우, 차량의 충돌 등에 의해 전지팩에 물리적 변형을 유발할 정도의 강력한 외력이 인가되거나 침상체가 전지팩을 관통하는 경우 등이 초래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전지셀들 간에 쇼트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단락에 의한 전류의 급격한 흐름 및 전지의 발화 또는 폭발을 방지하고,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전지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팩의 일측에 장착되어, 외력에 의해 전지팩에 물리적 변형이 유발되거나, 침상체의 관통 등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할 때, 우선적으로 단락되어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전지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는,
둘 이상의 전지셀 또는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의 일측에 장착되어 침상체의 관통시 우선적으로 단락되어 안전성을 담보하는 장치로서,
상호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도전성 시트들;
상기 도전성 시트들이 삽입 장착되고 전면을 제외한 외면을 감싸고 있는 전기절연성의 하우징;
상기 전면을 커버하는 밀폐부재; 및
상기 도전성 시트들을 전지모듈의 전지셀들 중 하나의 양극 및 음극에 각각 연결하는 접속부재;
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차전지는 우수한 성능에도 불구하고 안전성 측면에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 침상체 등의 물체가 전지를 압박 또는 그것을 관통하게 되거나, 물리적 변형을 유발할 정도의 강력한 외력이 전지에 가해지는 경우, 양극과 음극이 접촉되면서 단락이 유발되고, 이러한 단락시 전극 활물질들의 반응에 의해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게 된다. 특히, 전지팩에서는 이러한 다수의 전지셀들이 사용됨으로 인해 일부 전지셀에서의 작동 이상은 다른 전지셀들로 연쇄반응을 유발할 수 있고 그로 인한 발화 내지 폭발에까지 이를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전지팩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으면, 상기와 같은 침상체에 의한 관통 내지 물리적 변형을 유발하는 강력한 외력의 인가시, 상대적으로 저항이 낮은 안전장치의 도전성 시트들에 우선적으로 전류가 흘러 의도적인 단락을 유발하고 통전을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전지셀들 간에 흐르는 에너지를 감소시켜 발화 및 폭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전 장치에서 상기 도전성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시트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구리, 알루미늄, 코발트, 크롬, 구리, 철, 마그네슘, 망간, 몰리브덴, 니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소재 또는 이들의 선택적인 합금일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단 및 하단에는 한 쌍의 도전성 시트가 이격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각각 한 쌍의 그루브들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루브들 사이에는, 도전성 시트들이 이격된 상태로 장착 고정될 수 있도록, 그루브들의 이격 거리에 상응하는 폭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돌기부의 크기는 상기 그루브의 높이를 기준으로 대략 10 내지 20 %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시트들의 상호 이격 거리는 설계 조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1 cm 내지 10 cm, 바람직하게는 0.5 cm 내지 5 cm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도전성 시트를 외부와 차단할 수 있도록 개방된 전면을 밀폐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안전성이 초래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외부 충격으로부터 도전성 시트를 보호하면서, 이물질의 유입, 수분의 침투 등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밀폐부재는, 예를 들어, 접속부재가 지나는 측면 위치를 제외하고 개방된 전면 및 대향 측면 일부를 밀폐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부재는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하우징에 장착되거나, 밀폐부재를 탄성 변형하면서 하우징의 전면에 밀착되거나,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힌지 구조로 부착되어 있거나, 소정의 체결구조에 의해 결합방식으로 장착되는 구조 등이 가능하다. 이러한 밀폐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같이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러한 소재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도전성 시트와 전지모듈의 양극과 음극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고 있다.
상기 하우징은 접속부재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부재와 도전성 시트와 연결된 위치에 대응하여 한 쌍의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진동의 발생시 접속부재가 도전성 시트 및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한편,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도전성 시트와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판상형의 스트립 또는 선형의 와이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판상형의 스트립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안전장치는, 침상체에 의한 관통 또는 물리적 변형을 유발하는 강한 외력의 인가시, 도전성 시트들에 우선적으로 전류가 흘러 의도적인 단락을 유발하므로, 전지셀들 간에 흐르는 에너지를 감소시켜 발화 및 폭발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는 전지모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소망하는 출력의 크기와 용량에 맞도록 자유로운 설계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안전장치를 사용하여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구조의 전지팩을 제공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전지팩은 동일 면에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돌출되어 있는 전지모듈 다수 개를 충적시킨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들을 동일한 면에 형성함으로써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들이 각각 다른 면에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전극단자들의 돌출부위로 인해 발생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전지팩을 보다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안전장치가 대면하고 있는 전지모듈에는 전지셀의 팽창시 전극단자 연결부위가 파괴되면서 단전되는 구조의 취약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전지모듈은 전지셀의 전극단자 연결 부위를 스웰링시 부피 팽창에 대한 취약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스웰링 부피가 한계치인 소정값 이상에 도달하면, 전극단자 연결부위로 팽창 응력이 집중되도록 하여 물리적 변형에 의해 파열되도록 유도한다. 전극단자 연결부위의 이러한 파열에 의해, 전지모듈 내부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져 충방전 과정이 중지됨으로써, 전지셀 또는 단위모듈의 스웰링 부피가 더 이상 증가하는 것을 억제하여, 전지모듈의 발화 또는 폭발을 방지하고 전지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약부는 안전장치가 대면하고 있는 전지모듈의 셀 커버에 절취부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지셀들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 소재의 고강도 셀 커버에 감싸인 구조로 하나의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바, 셀 커버에서 전극단자 연결부위와 인접한 일부 부위에 소망하는 형상으로 절취부를 형성하여 스웰링시 전지셀의 팽창 응력이 셀 커버의 절취부로 집중하도록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절취부의 크기는 전극단자 연결부의 파열 설정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지셀 스웰링이 전지셀의 두께를 기준으로 2 내지 5배의 부피 증가를 초래할 때, 전극단자 연결부가 파열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 범위는 소망하는 전지모듈의 안전성 시험 규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절취부의 크기를 너무 크게 만들면, 셀 커버에 의한 전지셀의 기계적 강성 보완과 정상적인 작동 조건에서 전지셀의 팽창 억제라는 본질적인 기능을 발휘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적정한 범위에서 절취부의 크기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한편, 상기 전지모듈들의 전극단자들은 바람직하게는 동일 선상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전극단자들의 전기적 접속부위에 전극단자 연결장치가 각각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전지모듈의 최외측으로부터 이격 거리를 유지하며 안전장치가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이격 거리는 1 cm 내지 20 cm, 바람직하게는 3 cm 내지 10 cm, 더욱 바람직하게는 3 cm 내지 7 cm일 수 있다. 상기 이격 거리가 너무 좁은 경우에는 과충전에 따른 스웰링의 거리 확보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고, 반대로 상기 너무 넓은 경우에는 전지팩의 부피가 커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는 하는 차량을 제공하다.
특히, 상기 구조의 차량은 소망하는 출력 및 용량에 따라 장착 효율성, 구조적 안정성을 등을 고려할 때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전지팩의 구조와 그것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구조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는 전지팩의 일측에 장착되어, 침상체의 관통 내지 물리적 변형을 유발하는 강한 외력의 인가시 우선적으로 단락되므로,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우징의 정면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지모듈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의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하우징의 정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안전부재(100)는 한 쌍의 구리 소재의 도전성 시트들(110); 도전성 시트들(110)이 삽입 장착되고 전면을 제외한 외면을 감싸고 있는 전기절연성의 하우징(120); 전면을 커버하는 밀폐부재(130); 및 도전성 시트들(110)을 전지모듈(200)의 전지셀들 중 하나의 양극 및 음극에 각각 연결하는 접속부재(140);을 포함한다.
하우징(120)의 내측 상단 및 하단에는 한 쌍의 도전성 시트(110)가 이격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각각 한 쌍의 그루브들(121, 1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루브들(121, 122) 사이에는, 도전성 시트들(110)이 이격된 상태로 장착 고정될 수 있도록, 그루브들(121, 122)의 이격 거리에 상응하는 폭(w)의 돌기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밀폐부재(130)는 전기절연성의 소재로, 도전성 시트(110)를 외부와 차단할 수 있도록 접속부재(140)가 지나는 측면 위치를 제외하고 개방된 전면 및 대향 측면 일부를 'ㄱ'자 형상으로 밀폐하고 있다.
접속부재(140)는 도전성 시트(110)와 전지모듈의 양극과 음극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판상형의 스트립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하우징(120)은 접속부재(14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접속부재(140)와 도전성 시트(110)와 연결된 위치에 대응하여 한 쌍의 홈부(125)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의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전지모듈의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전지팩(300)는 동일 면에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돌출되어 있는 전지모듈(200) 다수 개를 적층시킨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전지모듈(200)의 전극단자들은 전지팩(300)의 일측면에 모두 위치하고 있으며, 최외측의 전지모듈(202)로부터 약 5 cm의 이격 거리(d)를 유지하며 안전장치(100)가 장착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2의 전지모듈(202)의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전지모듈(202)은 전지셀들을 셀 커버로 감싼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전지모듈들(200) 중 안전장치(100)와 대면하고 있는 전지모듈(202)의 셀 커버(212)에는 절취부(21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지셀의 스웰링 두께가 전지셀 두께의 2배 이상이 되는 경우에, 전극단자 연결부위(214)가 절취부(215)로 돌출되어 단전되고, 그로 인해 전지모듈(200)의 전기적 연결이 끊기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8)

  1. 둘 이상의 전지셀 또는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의 일측에 장착되어 침상체의 관통시 우선적으로 단락되어 안전성을 담보하는 장치로서,
    상호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도전성 시트들;
    상기 도전성 시트들이 삽입 장착되고 전면을 제외한 외면을 감싸고 있는 전기절연성의 하우징;
    상기 전면을 커버하는 밀폐부재; 및
    상기 도전성 시트들을 전지모듈의 전지셀들 중 하나의 양극 및 음극에 각각 연결하는 접속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시트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시트는 구리, 알루미늄, 코발트, 크롬, 구리, 철, 마그네슘, 망간, 몰리브덴 및 니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소재 또는 이들의 둘 이상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단 및 하단에는 한 쌍의 도전성 시트가 이격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각각 한 쌍의 그루브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들 사이에는, 도전성 시트들이 이격된 상태로 장착 고정될 수 있도록, 그루브들의 이격 거리에 상응하는 폭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도전성 시트를 외부와 차단할 수 있도록 개방된 전면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도전성 시트와 전지모듈의 양극과 음극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접속부재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부재와 도전성 시트와 연결된 위치에 대응하여 한 쌍의 홈부가 형성되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판상형의 스트립 또는 선형의 와이어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안전장치를 사용하여 전기적 연결을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팩은 동일 면에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돌출되어 있는 전지모듈 다수 개를 충적시킨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12. 제 11 항에 있어서, 안전장치가 대면하고 있는 전지모듈에는 전지셀의 팽창시 전극단자 연결부위가 파괴되면서 단전되는 구조의 취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는 안전장치가 대면하고 있는 전지모듈의 셀 커버에 절취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의 크기는, 전지셀 스웰링이 전지셀의 두께를 기준으로 2 내지 5배의 부피 증가를 초래할 때, 전극단자 연결부위가 파열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들의 전극단자들은 동일 선상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전극단자들의 전기적 접속부위에 전극단자 연결장치가 각각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전지모듈의 최외측으로부터 이격 거리를 유지하며 안전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거리는 1 cm 내지 20 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17. 제 10 항에 따른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110054931A 2011-06-08 2011-06-08 전지팩 안전장치 KR101307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931A KR101307386B1 (ko) 2011-06-08 2011-06-08 전지팩 안전장치
PCT/KR2012/004487 WO2012169793A2 (ko) 2011-06-08 2012-06-08 전지팩 안전장치
EP12796274.4A EP2696398B1 (en) 2011-06-08 2012-06-08 Battery pack safety device
JP2014511308A JP5700739B2 (ja) 2011-06-08 2012-06-08 電池パック安全装置
CN201280026227.2A CN103563129B (zh) 2011-06-08 2012-06-08 用于电池组的安全装置
US14/062,352 US9099733B2 (en) 2011-06-08 2013-10-24 Safety device for battery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931A KR101307386B1 (ko) 2011-06-08 2011-06-08 전지팩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988A true KR20120135988A (ko) 2012-12-18
KR101307386B1 KR101307386B1 (ko) 2013-09-11

Family

ID=47296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931A KR101307386B1 (ko) 2011-06-08 2011-06-08 전지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99733B2 (ko)
EP (1) EP2696398B1 (ko)
JP (1) JP5700739B2 (ko)
KR (1) KR101307386B1 (ko)
CN (1) CN103563129B (ko)
WO (1) WO201216979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651B1 (ko) * 2013-12-19 2015-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고전압배터리
CN112531298B (zh) * 2020-12-02 2022-03-29 湖北平安电工科技股份公司 防护板板芯以及应用其的电池组防护板和车辆电池防护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6698B2 (ja) * 1997-08-25 2003-03-17 株式会社デンソー 電 池
JP3419272B2 (ja) * 1997-09-18 2003-06-23 株式会社デンソー 電 池
JP2001068156A (ja) * 1999-08-24 2001-03-16 Hitachi Maxell Ltd 積層形ポリマー電解質電池
JP2001068161A (ja) * 1999-08-24 2001-03-16 Hitachi Maxell Ltd 積層形ポリマー電解質電池
JP2001297795A (ja) * 2000-04-11 2001-10-26 Mitsubishi Chemicals Corp 電 池
JP4856815B2 (ja) * 2001-05-02 2012-01-18 トータル ワイヤレス ソリューショオンズ リミテッド シート型電池
CA2532241C (en) 2003-07-11 2011-03-08 Duk-Hyun Ryu Secondary battery with an improved safety
TWI275194B (en) * 2004-10-08 2007-03-01 Lg Chemical Ltd Secondary battery having an improved safety
KR100876456B1 (ko) * 2004-12-24 2008-12-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리형 커넥팅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이차전지 모듈의제조방법
JP5188813B2 (ja) * 2004-12-24 2013-04-24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二次電池モジュール製造のための分離型コネクティング部材及び電圧レベリングによる電池モジュール性能の向上方法
KR100720820B1 (ko) * 2005-05-10 2007-05-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압 레벨링에 의한 전지모듈 성능의 향상 방법 및 이를위한 병렬 접속장치
JP2007059170A (ja) * 2005-08-24 2007-03-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パック
KR100866767B1 (ko) * 2006-07-10 2008-11-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안전부재
JP2009064630A (ja) * 2007-09-05 2009-03-26 Sony Corp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5114788B2 (ja) * 2007-09-28 2013-01-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
US7943252B2 (en) * 2007-11-21 2011-05-17 Lg Chem, Ltd. Battery module of improved safety and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containing the same
JP4951547B2 (ja) 2008-02-14 2012-06-13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パック
KR101182150B1 (ko) * 2008-05-13 2012-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향상된 생산성과 안전성 구조의 전지팩
KR101082862B1 (ko) * 2008-10-14 2011-1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단자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KR101036067B1 (ko) * 2009-11-27 2011-05-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안전부재가 구비된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JP2012028089A (ja) 2010-07-21 2012-02-09 Sanyo Electric Co Ltd 非水系二次電池及び非水系二次電池パック
US8709628B2 (en) * 2010-09-02 2014-04-29 Bathium Canada Inc. Battery pack with connecting device
KR101310482B1 (ko) 2010-10-19 2013-09-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신규 구조의 전기소자
JP2012182022A (ja) * 2011-03-01 2012-09-20 Hitachi Maxell Energy Ltd バッテリーパ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7386B1 (ko) 2013-09-11
JP5700739B2 (ja) 2015-04-15
JP2014517469A (ja) 2014-07-17
CN103563129B (zh) 2015-11-25
EP2696398B1 (en) 2017-03-22
EP2696398A2 (en) 2014-02-12
WO2012169793A3 (ko) 2013-02-21
US9099733B2 (en) 2015-08-04
CN103563129A (zh) 2014-02-05
US20140050950A1 (en) 2014-02-20
EP2696398A4 (en) 2014-11-05
WO2012169793A2 (ko) 201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712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KR100881641B1 (ko) 안전 시스템을 구비한 중대형 전지팩
KR101447062B1 (ko)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169205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KR101029837B1 (ko)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JP5329527B2 (ja) 安全性を改良したバッテリーセル
KR101359310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EP3512008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CN109891627B (zh) 电池模块和包括所述电池模块的电池组和车辆
KR20120130361A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CN107710458B (zh) 电极引线和具有该电极引线的二次电池
KR102188446B1 (ko) 이차 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101487152B1 (ko) 단위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EP3916838A1 (en) Bus bar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307386B1 (ko) 전지팩 안전장치
KR20120056812A (ko) 안전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KR101722408B1 (ko) 이차 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101230868B1 (ko) 개폐시 안전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KR101986196B1 (ko) 배터리 모듈
KR20200139654A (ko) 이차 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