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4691A - 미닫이 도어의 완충을 위한 자동폐쇄구 - Google Patents

미닫이 도어의 완충을 위한 자동폐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4691A
KR20120134691A KR1020110053789A KR20110053789A KR20120134691A KR 20120134691 A KR20120134691 A KR 20120134691A KR 1020110053789 A KR1020110053789 A KR 1020110053789A KR 20110053789 A KR20110053789 A KR 20110053789A KR 20120134691 A KR20120134691 A KR 20120134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ear
power transmission
support wheel
transmiss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0243B1 (ko
Inventor
송진화
Original Assignee
송진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진화 filed Critical 송진화
Priority to KR1020110053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243B1/ko
Publication of KR20120134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폐쇄구를 구성함에 있어 동력전달부재는 일방향 회전댐퍼의 기어에 맞물려 도어에 완충력을 제공하는 요철부와, 상기 요철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태엽지지휠에 감기는 권취부로 구성하되, 상기 권취부는 요철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작은 너비를 가지도록 상기 요철부의 끝단에 연장 또는 결합되는 와이어로 형성되고; 상기 권취부의 너비에 대응하도록 상기 일방향 회전댐퍼의 기어와 보조기어의 외주면 중심에 안내홈이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미닫이 도어의 완충을 위한 자동폐쇄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미닫이 도어의 닫힘 시 도어의 이동력을 감쇄시키는 자동폐쇄구를 간소화된 구성으로 제공함으로써 관련 부속이 차지하는 체적을 획기적으로 줄여 비용절감을 기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자동폐쇄구를 구성하고 있는 동력전달부재의 일부를 와이어로 형성하되 상기 와이어의 안내를 위해 일방향 댐퍼의 기어와 보조기어의 외주면 중심에 안내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와이어가 마찰과 간섭없이 안내되도록 하여 도어가 안정적으로 닫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미닫이 도어의 완충을 위한 자동폐쇄구{Auto-closing means for sliding door}
본 발명은 미닫이 도어의 완충을 위한 자동폐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닫이 도어의 닫힘 시 도어의 이동력을 감쇄시키는 자동폐쇄구를 간소화된 구성으로 제공함으로써 관련 부속이 차지하는 체적을 획기적으로 줄여 비용절감을 기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자동폐쇄구를 구성하고 있는 동력전달부재의 일부를 와이어로 형성하되 상기 와이어의 안내를 위해 일방향 댐퍼의 기어와 보조기어의 외주면 중심에 안내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와이어가 마찰과 간섭없이 안내되도록 하여 도어가 안정적으로 닫히도록 하는 미닫이 도어의 완충을 위한 자동폐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의 구획된 공간에는 도어 조립체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도어 조립체는 미닫이 도어와 여닫이 도어로 구분되고, 전자의 미닫이 도어는 도어를 슬라이드 이동하며 개구부를 개폐하며, 후자의 여닫이 도어는 도어를 회동하며 개구부를 개폐한다.
특히, 상기 미닫이 도어는 현관문과 거실의 사이, 거실과 발코니 사이에 설치되고, 이러한 미닫이 도어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도어 새시와, 개구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개폐하는 부분도어들을 포함하며, 작동 방식에 따라 자동, 반자동 및 수동 방식이 있다.
상기와 같은 미닫이 도어 중 반자동 방식의 미닫이 도어는 사용자가 직접 어느 한 부분도어를 파지하여 열고 난 후, 손을 떼면 자동으로 부분도어가 폐쇄되는데, 상기 부분도어의 상부와 연결되는 실린더 장치를 통해 유압 또는 공기압으로 도어가 폐쇄 방향으로 이동되는 힘을 상쇄시켜 부드럽게 부분도어가 닫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반자동 미닫이 도어는 그 기능에 비해 실린더 장치와 같은 완충 장치가 전체 도어 조립체 내에서 많은 부피를 차지하고, 이에 따라 원가 상승이 이루어지며, 고장 시 수리 비용이 높게 소요되므로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특허출원 제10-2009-0108916호에 "문틀에 결합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에 있어서, 측면 문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새시; 하부 문틀에 결합되며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하부새시; 상부 문틀에 결합되며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상부새시;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새시 및 상부새시의 가이드레일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걸림 돌기가 형성된 도어; 및 상기 한 쌍의 측면새시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도어의 폐쇄방향으로 상기 도어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폐쇄부와, 상기 걸림 돌기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폐쇄 이동시 상기 도어의 상기 측면새시에 대한 상기 도어의 작동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갖는 자동폐쇄부재;를 포함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를 출원한 바 있다.
이때 상기 탄성폐쇄부는, 상기 걸림 돌기(432,432')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태엽지지휠(423)에 고정되어 감길 수 있도록 형성된 동력전달부재(421,421')와, 상기 동력전달부재(421,421')에 상기 도어의 폐쇄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태엽스프링(422)과, 상기 태엽스프링(422)을 지지하는 태엽지지휠(423)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지되, 상기 태엽스프링(422)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탄성력 조절부(424)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상기 탄성력 조절부(424)는, 비원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태엽지지휠(423과 함께 회전하는 헤드부(425)와, 상기 헤드부의 외주면을 가압?지지하여 회전을 저지하는 스토퍼(426)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재(421,421')와 맞물려 도어의 개방시 무부하로 자유 회전하고, 도어의 폐쇄시 일정 부하가 걸린 채 회전되도록 도어의 폐쇄 이동력을 감쇄하는 기어(480a)가 구비된 일방향 회전댐퍼(480)와, 상기 동력전달부재(421,421')가 태엽지지휠(423)에 감기도록 상기 동력전달부재(421,421')와 맞물려 이동방향을 전환 및 안내하는 보조기어(490)로 구성된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폐쇄부재(400,400')의 완충력에 의해 도어의 닫힘 시 상기 도어는 특정위치에서 서서히 닫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자동폐쇄부재(400,400')의 동력전달부재(421,421')는 일방향 회전댐퍼의 기어(480a)에 맞물려 도어에 완충력을 제공하는 요철부와, 상기 요철부의 끝단에 연장되어 태엽지지휠(423)에 감기는 권취부로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권취부는 상기 요철부와 일체로 형성된 밴드형상으로 도어의 개폐시 상기 일방향 회전댐퍼의 기어(480a)와 보조기어(490)에 간섭을 받고, 또 상기 기어(480a,490)의 외주면과 마찰을 일으키므로 도어가 안정적으로 개폐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미닫이 도어의 닫힘 시 도어의 이동력을 감쇄시키는 자동폐쇄구를 간소화된 구성으로 제공함으로써 관련 부속이 차지하는 체적을 획기적으로 줄여 비용절감을 기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자동폐쇄구를 구성하고 있는 동력전달부재의 일부를 와이어로 형성하되 상기 와이어의 안내를 위해 일방향 댐퍼의 기어와 보조기어의 외주면 중심에 안내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와이어가 마찰과 간섭없이 안내되도록 하여 도어가 안정적으로 닫히도록 하는 미닫이 도어의 완충을 위한 자동폐쇄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도어의 완충을 위한 자동폐쇄구는, 한 쌍의 측면새시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도어의 폐쇄방향으로 상기 도어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폐쇄부와, 상기 걸림 돌기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폐쇄 이동시 상기 도어의 상기 측면새시에 대한 상기 도어의 작동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갖는 자동폐쇄구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탄성폐쇄부는, 상기 걸림 돌기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태엽지지휠에 고정되어 감길 수 있도록 형성된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상기 도어의 폐쇄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태엽스프링과, 상기 태엽스프링을 지지하는 태엽지지휠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재와 맞물려 도어의 개방시 무부하로 자유 회전하고, 도어의 폐쇄시 일정 부하가 걸린 채 회전되도록 도어의 폐쇄 이동력을 감쇄하는 기어가 구비된 일방향 회전댐퍼와, 상기 동력전달부재가 태엽지지휠에 감기도록 상기 동력전달부재와 맞물려 이동방향을 전환 및 안내하는 보조기어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미닫이 도어의 자동폐쇄구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일방향 회전댐퍼의 기어에 맞물려 도어에 완충력을 제공하는 요철부와, 상기 요철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태엽지지휠에 감기는 권취부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권취부는 요철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작은 너비를 가지도록 상기 요철부의 끝단에 연장 또는 결합되는 와이어로 형성되고; 상기 권취부의 너비에 대응하도록 상기 일방향 회전댐퍼의 기어와 보조기어의 외주면 중심에 안내홈이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미닫이 도어의 닫힘 시 도어의 이동력을 감쇄시키는 자동폐쇄구를 간소화된 구성으로 제공함으로써 관련 부속이 차지하는 체적을 획기적으로 줄여 비용절감을 기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자동폐쇄구를 구성하고 있는 동력전달부재의 일부를 와이어로 형성하되 상기 와이어의 안내를 위해 일방향 댐퍼의 기어와 보조기어의 외주면 중심에 안내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와이어가 마찰과 간섭없이 안내되도록 하여 도어가 안정적으로 닫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 종래 미닫이 도어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참고도.
도 2 - 종래 미닫이 도어 조립체의 자동폐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 종래 미닫이 도어 조립체의 자동폐쇄부재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 -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도어의 자동폐쇄구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상기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도어의 완충을 위한 자동폐쇄구(400,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면새시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도어의 폐쇄방향으로 상기 도어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폐쇄부와, 상기 걸림 돌기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폐쇄 이동시 상기 도어의 상기 측면새시에 대한 상기 도어의 작동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갖는 자동폐쇄구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탄성폐쇄부는, 상기 걸림 돌기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태엽지지휠에 고정되어 감길 수 있도록 형성된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상기 도어의 폐쇄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태엽스프링과, 상기 태엽스프링을 지지하는 태엽지지휠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재와 맞물려 도어의 개방시 무부하로 자유 회전하고, 도어의 폐쇄시 일정 부하가 걸린 채 회전되도록 도어의 폐쇄 이동력을 감쇄하는 기어가 구비된 일방향 회전댐퍼와, 상기 동력전달부재가 태엽지지휠에 감기도록 상기 동력전달부재와 맞물려 이동방향을 전환 및 안내하는 보조기어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미닫이 도어의 자동폐쇄구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421,421')는 일방향 회전댐퍼(480)의 기어(480a)에 맞물려 도어에 완충력을 제공하는 요철부(421b)와, 상기 요철부(421b)의 끝단에 형성되어 태엽지지휠(423)에 감기는 권취부(421c)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권취부(421c)는 요철부(421b)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작은 너비를 가지도록 상기 요철부(421b)의 끝단에 연장 또는 결합되는 와이어로 형성되고; 상기 권취부(421c)의 너비에 대응하도록 상기 일방향 회전댐퍼(480)의 기어(480a)와 보조기어(490)의 외주면 중심에 안내홈(480b,490a)이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자동폐쇄구(400,400')는 탄성폐쇄부와 완충부로 구성되는데, 전자의 상기 탄성폐쇄부는 제1도어(130) 및 제3도어(150)의 폐쇄방향으로 상기 제1도어(130) 및 제3도어(150)를 탄성 가압하고, 후자의 상기 완충부는 걸림 돌기(432,432')에 결합되어 도어의 폐쇄 이동시 상기 도어가 측면새시(110)에 부딪힐 때 상기 측면새시(110)에 대한 상기 도어의 작동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탄성폐쇄부는 케이싱(410)에 수용되는데, 이때 상기 케이싱(410)은 박스 형상으로 마련되어 측면새시(110)의 내측면에 설치되거나 상부새시(200)의 가장자리 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410)의 내부에는 탄성폐쇄부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411)가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탄성폐쇄부는, 제1도어(130)에 마련된 걸림 돌기(432)에 일단이 걸림공(421a)을 통해 결합되는 동력전달부재(421)와, 제1수용부(411)에 수용되어 동력전달부재(421)에 도어의 폐쇄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태엽스프링(422)과, 상기 태엽스프링(422)이 감겨 있고 제1수용부(411)에 대하여 태엽스프링(422)을 지지하는 태엽지지휠(423)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더 나아가 상기 동력전달부재(421,42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 회전댐퍼(480)의 기어(480a)에 맞물려 도어에 완충력을 제공하는 요철부(421b)와, 상기 요철부(421b)의 끝단에 형성되어 태엽지지휠(423)에 감기는 권취부(421c)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권취부(421c)는 요철부(421b)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작은 너비를 가지도록 상기 요철부(421b)의 끝단에 연장 또는 결합되는 와이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태엽지지휠(423)은 케이싱(4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탄성력 조절부(424)에 의해 지지되는데, 이때 상기 탄성력 조절부(424)는, 비원형의 형상으로 태엽지지휠(423)과 함께 회전하는 헤드부(425)와, 상기 헤드부(425)의 외주면을 가압 지지하여 회전을 저지하는 스토퍼(426)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완충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재(421,421')와 맞물려 도어의 개방시 무부하로 자유 회전하고, 도어의 폐쇄시 일정 부하가 걸린 채 회전되도록 도어의 폐쇄 이동력을 감쇄하는 기어(480a)가 구비된 일방향 회전댐퍼(480)와, 상기 동력전달부재(421,421')가 태엽지지휠(423)에 감기도록 상기 동력전달부재(421,421')와 맞물려 이동방향을 전환 및 안내하는 보조기어(49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 댐퍼(48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무부하로 자유회전되지만,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저항이 발생하는 일방향 회전 댐퍼로, 상기 일방향 회전 댐퍼(480)는 도어가 폐쇄될 시 측면새시(110)와 접촉되어 충격을 주지 않고, 부드럽게 접촉될 수 있도록 폐쇄 이동력을 감쇄시키게 된다.
나아가 상기 동력전달부재(421,421')의 권취부(421c)의 너비에 대응하도록 상기 일방향 회전댐퍼(480)의 기어(480a)와 보조기어(490)의 외주면 중심에는 안내홈(480b,490a)이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일방향 회전댐퍼의 기어(480a)의 하부에 위치하여 동력전달부재(421,421')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롤러가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지지롤러의 외주면 중심에도 상기 권취부(421c)의 너비에 대응하도록 안내홈(미도시)을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일방향 회전 댐퍼(480)의 축과 연결된 기어(480a)가 동력전달부재(421,421')의 요철부(421b)와 맞물려 도어의 개방시 무부하로 자유 회전하고, 도어의 폐쇄시 일정 부하가 걸린 채 회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재(421)의 요철부(421b)는 일방향 회전 댐퍼의 기어(480a)와 맞물리는 측에 요철이 형성된 타임벨트의 형상이며, 길이방향으로 장력을 견딜 수 있도록 경성의 고무 또는 금속 재질로 제작된다.
나아가 상기 동력전달부재(421)의 요철부(421b)의 길이는 도어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500㎜ 내외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 미닫이 도어의 완충을 위한 자동폐쇄구(400,400')를 구성함에 있어 동력전달부재(421,421')의 일부를 와이어로 형성하되 상기 와이어의 안내를 위해 일방향 댐퍼의 기어(480a)와 보조기어(490)의 외주면 중심에 안내홈(480b,490a)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상기 와이어가 마찰과 간섭없이 안내되도록 하여 도어가 안정적으로 작동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0,400': 자동폐쇄구 421,421': 동력전달부재
421b: 요철부 421c: 권취부
423: 태엽지지휠 480: 일방향 회전댐퍼
480a: 기어 490: 보조기어
480b,490a: 안내홈

Claims (1)

  1. 한 쌍의 측면새시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도어의 폐쇄방향으로 상기 도어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폐쇄부와, 상기 걸림 돌기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폐쇄 이동시 상기 도어의 상기 측면새시에 대한 상기 도어의 작동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갖는 자동폐쇄구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탄성폐쇄부는, 상기 걸림 돌기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태엽지지휠에 고정되어 감길 수 있도록 형성된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상기 도어의 폐쇄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태엽스프링과, 상기 태엽스프링을 지지하는 태엽지지휠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재와 맞물려 도어의 개방시 무부하로 자유 회전하고, 도어의 폐쇄시 일정 부하가 걸린 채 회전되도록 도어의 폐쇄 이동력을 감쇄하는 기어가 구비된 일방향 회전댐퍼와, 상기 동력전달부재가 태엽지지휠에 감기도록 상기 동력전달부재와 맞물려 이동방향을 전환 및 안내하는 보조기어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미닫이 도어의 자동폐쇄구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421,421')는 일방향 회전댐퍼(480)의 기어(480a)에 맞물려 도어에 완충력을 제공하는 요철부(421b)와, 상기 요철부(421b)의 끝단에 형성되어 태엽지지휠(423)에 감기는 권취부(421c)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권취부(421c)는 요철부(421b)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작은 너비를 가지도록 상기 요철부(421b)의 끝단에 연장 또는 결합되는 와이어로 형성되고; 상기 권취부(421c)의 너비에 대응하도록 상기 일방향 회전댐퍼(480)의 기어(480a)와 보조기어(490)의 외주면 중심에는 안내홈(480b,490a)이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의 완충을 위한 자동폐쇄구.
KR1020110053789A 2011-06-03 2011-06-03 미닫이 도어의 완충을 위한 자동폐쇄구 KR101230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789A KR101230243B1 (ko) 2011-06-03 2011-06-03 미닫이 도어의 완충을 위한 자동폐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789A KR101230243B1 (ko) 2011-06-03 2011-06-03 미닫이 도어의 완충을 위한 자동폐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691A true KR20120134691A (ko) 2012-12-12
KR101230243B1 KR101230243B1 (ko) 2013-02-06

Family

ID=47902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789A KR101230243B1 (ko) 2011-06-03 2011-06-03 미닫이 도어의 완충을 위한 자동폐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24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549B1 (ko) * 2013-04-24 2014-10-13 박영호 슬라이드도어용 무동력 오토리턴 댐퍼장치
KR101436783B1 (ko) * 2014-06-27 2014-10-30 양승철 미닫이문 개폐장치
JP2018145683A (ja) * 2017-03-06 2018-09-20 トヨフレックス株式会社 ドアクローザ
KR20200129323A (ko) * 2019-05-08 2020-11-18 박인규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CN116159156A (zh) * 2022-12-01 2023-05-26 北京美迪孚医疗科技有限公司 家用呼吸机消毒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536B1 (ko) 2014-07-11 2016-03-25 권인희 슬라이딩 자동문용 댐퍼 제어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982B1 (ko) * 2003-03-24 2006-02-09 최윤묵 무전원 자동 미닫이
KR20050087897A (ko) * 2004-02-27 2005-09-01 서윤산업주식회사 피난갱문
KR20100120035A (ko) * 2009-05-04 2010-11-12 김송연 미닫이 도어 조립체
KR101174852B1 (ko) * 2009-11-12 2012-08-17 송진화 미닫이 도어 조립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549B1 (ko) * 2013-04-24 2014-10-13 박영호 슬라이드도어용 무동력 오토리턴 댐퍼장치
KR101436783B1 (ko) * 2014-06-27 2014-10-30 양승철 미닫이문 개폐장치
JP2018145683A (ja) * 2017-03-06 2018-09-20 トヨフレックス株式会社 ドアクローザ
KR20200129323A (ko) * 2019-05-08 2020-11-18 박인규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CN116159156A (zh) * 2022-12-01 2023-05-26 北京美迪孚医疗科技有限公司 家用呼吸机消毒柜
CN116159156B (zh) * 2022-12-01 2023-10-17 北京美迪孚医疗科技有限公司 家用呼吸机消毒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0243B1 (ko) 201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0243B1 (ko) 미닫이 도어의 완충을 위한 자동폐쇄구
KR101174852B1 (ko) 미닫이 도어 조립체
JP2013500410A (ja) ヒンジを備えた旋回可能に支承されたドア
JP6611360B2 (ja) ドア用のベアリング装置
WO2005068760A1 (ja) 緩衝装置
RU2594867C2 (ru) Шарнир
CA2819278A1 (en) Closing and damping device for displaceable furniture parts
JP5433908B2 (ja) 引出し用衝撃緩和装置
JP2020529543A (ja) スライドドア床操作装置
KR101493947B1 (ko) 미닫이도어의 완충장치
CN109681061B (zh) 一种带缓冲复位功能的合页及应用该合页的淋浴房门
KR20160106012A (ko) 3중(三重) 미닫이도어의 슬라이드 이동장치
KR20100120035A (ko) 미닫이 도어 조립체
JP4907335B2 (ja) ダンパー装置
KR101423933B1 (ko) 가구용 슬라이드 도어의 댐퍼 시스템
KR101710692B1 (ko)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완충장치
KR20170099045A (ko) 걸림턱에 의하여 개폐속도조절 및 자동이송이 가능한 폴딩도어
JP6617943B2 (ja) 閉鎖機構付きピボットヒンジ
KR20080076475A (ko) 스윙 도어
KR101998746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KR200455702Y1 (ko) 회전식 오일 댐퍼
KR101113135B1 (ko) 댐퍼내장형 도어힌지
CN113738210B (zh) 铰链结构及冰箱
KR101757757B1 (ko) 공동주택용 도어 실링장치
JP7221820B2 (ja) ド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