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7897A - 피난갱문 - Google Patents

피난갱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7897A
KR20050087897A KR1020040013596A KR20040013596A KR20050087897A KR 20050087897 A KR20050087897 A KR 20050087897A KR 1020040013596 A KR1020040013596 A KR 1020040013596A KR 20040013596 A KR20040013596 A KR 20040013596A KR 20050087897 A KR20050087897 A KR 20050087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imer
closing
actuator
evac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3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길
Original Assignee
서윤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윤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윤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3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7897A/ko
Publication of KR20050087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789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5Control mo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1Adjustable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 E05Y2800/252Emergency conditions the elements functioning only in case of emergenc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피난터널에 기계식으로 자동폐쇄되는 자폐장치가 마련된 도어를 마련하되, 폐쇄작동 중에 후속되는 피난인의 통과시 그 작동이 정지되고, 또한 재개방이 가능함과 더불어, 재개방시 타이머가 다시 작동되어 자동폐쇄되어, 긴급상황시 피난을 유도함과 동시에 방연 및 방화를 수행하는 피난갱문이 개시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도어의 개방에는 연동하여 이동되지만, 도어의 폐쇄를 방해하는 작동체와: 이 작동체를 도어의 폐쇄작동에 대하여 항상 부세해서 도어의 자폐를 행하는 자폐기구와: 타이머 기구에 연동, 연결되어 작동 개시며 타이머 시간 동안 상기 작동체의 도어폐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기구와: 상기 타이머 시간 동안의 작동체의 열림방향의 이동에 대해서는 허용하는 허용기구를 마련해 자동문을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타이머 기구는 상기 작동체의 열림 동작 당초의 이동에 연동하여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위치까지 이동하고, 상기 작동체의 폐쇄작동 이동에 영동되어 작동위치로부터 비작동위치까지 복귀하는 가동체와, 작동위치에 도달한 상기 가동체를 검지해 작동 개시하는 타이머 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가동체에는 타이머 장치를 작동시키는 작동위치까지 도달한 이후는 상기 작동체의 이동으로부터 자유롭게 되는 피난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피난갱문{Escape Door for Tunnel}
본 발명은 피난갱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도어개방시 일정시간 경과 후 자동으로 폐쇄되는 피난갱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은 그 특성상 일방차선으로 구분되어 설계되어, 좌우차선상의 교환을 위해 피난갱문이 설치된다.
즉, 어느 하나의 차선에서 화재 등의 사고가 발생될 때, 반대차선으로의 대피를 위해 구분된 터널사이를 연결시켜줄 피난로로서 피난터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피난터널에는 피난갱문이 설치되며, 피난갱문은 작동의 용이성과 폐쇄의 용이성 양자를 만족하여야 하는데, 이는 화재시 대피의 용이성을 제공시켜줌과 더불어, 대피시나 완료시 방화벽으로서 차단벽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여야 하며, 악조건인 터널환경에 대응하여 재난시 작동되어야 한다.
즉, 피난갱문은 터널환경과 재난방어에 따른 조건이 있으며, 이것은 방화와 방연을 담당함과 더불어, 습기와 분진이 많은 터널환경에 적응할 신뢰성을 갖추고 있어야 하는 것이다.
특히, 피난갱문은 자폐기능을 가지고 있을 것이 요구된다.
이것은 피난갱문의 개방시 일정시간 경과 후 자동으로 폐쇄되는 기능을 의미하며, 사람 또는 차량의 피난과 더불어 긴급개방시 다시 복귀되어 방연과 방화의 기능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피난갱문은 전자방식이 배제된 기계식으로 마련되어야 함이 조건으로, 이는 화재 등의 재난시 전력공급이 중단될 경우에도 방화벽으로서 그 폐쇄의 수행이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은 피난터널에 기계식으로 자동폐쇄되는 자폐장치가 마련된 도어를 마련하되, 폐쇄작동 중에 후속되는 피난인의 통과시 그 작동이 정지되고, 또한 재개방이 가능함과 더불어, 재개방시 타이머가 다시 작동되어 자동폐쇄되어, 긴급상황시 피난을 유도함과 동시에 방연 및 방화를 수행하는 피난갱문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도어의 개방에는 연동하여 이동되지만, 도어의 폐쇄를 방해하는 작동체와: 이 작동체를 도어의 폐쇄작동에 대하여 항상 부세해서 도어의 자폐를 행하는 자폐기구와: 타이머 기구에 연동, 연결되어 작동 개시며 타이머 시간 동안 상기 작동체의 도어폐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기구와: 상기 타이머 시간 동안의 작동체의 열림방향의 이동에 대해서는 허용하는 허용기구를 마련해 자동문을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타이머 기구는 상기 작동체의 열림 동작 당초의 이동에 연동하여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위치까지 이동하고, 상기 작동체의 폐쇄작동 이동에 영동되어 작동위치로부터 비작동위치까지 복귀하는 가동체와, 작동위치에 도달한 상기 가동체를 검지해 작동 개시하는 타이머 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가동체에는 타이머 장치를 작동시키는 작동위치까지 도달한 이후는 상기 작동체의 이동으로부터 자유롭게 되는 피난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갱문이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1은 제 1실시예의 전체정면도, 도 2 는 개폐장치를 나타낸 수평단면설명도, 도 3 은 종단면도, 도 4 는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정면도, 도 5 는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정면도, 도 6 은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와 닫힘시의 작용 설명도 및 열림시의 작용 설명도, 도 7 은 제5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와 닫힘시의 작용 설명도 및 열림시의 작용 설명도, 도 8 은 제6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와 닫힘시의 작용 설명도 및 개방시의 작용설명도, 도 9 는 제 7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정면도, 도 10 은 제8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평면도와 폐쇄시의 작용 설명도 및 개방 작동시의 작용 설명도와 개방시의 작용 설명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도어(1)는 상측의 도어프레임(1a)에 고정된 바퀴(2)가 안내레일(3)을 주행하는 것에 의해 개폐되는 매달림 바퀴 타입의 미닫이문(슬라이드 도어)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안내레일(3)과 일체로 된 상부프레임(4)의 도어 정면 측에는 자폐기구를 내장한 개폐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장치(5)를 복개(覆蓋)하는 케이스(5a)에는 일단이 케이스 (5a)보다 돌출한 작동축(6)이 회동 자재토록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축(6)의 돌출 단부에는 작동 와이어의 일단이 권취되는 풀리(8)가 고정되어 있다.
상부프레임(4)의 도어 배면 측으로는 권취 용수철(미도시)을 내장한 작동 와이어(7)용의 권취장치(9)가 설치되며, 상기 권취장치(9)에 의해 작동와이어(7)는 상시 긴장한 상태로 권취장치(9) 측에 감기도록 마련되어 있다.
풀리(10)는 케이스(5a)내에서, 작동축(6)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풀리 (10)에는 케이스(5a)의 내벽에 고착된 권취장치(11)로부터 연장되는 권취 와이어(11a)의 일단이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권취 와이어(11a)의 풀리(10)로의 권취방향은 상기 작동와이어(7)의 풀리(8)로의 권취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권취장치(11)에 내장되는 권취용수철(미도시)의 작동력은 상기기 권취장치(9)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후술되는 작동축(6)으로의 회동 규제 작용이 해제되면, 작동축(6)은, 권취와이어(11a)가 권취장치(11)에 의해 권취되는 방향, 즉 작동 와이어(7)은 권취장치(9)로부터 인출되어 풀리(8)에 권취되는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회전해, 후술하는 작동체(12)를 닫힘 방향 측으로 강제이송하도록 되어 본 발명의 자폐기구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한편, 작동 와이어(7)의 소정 위치에는 전술한 작동체(12)가 고정되어 있지만, 상기 작동체(12)는 도어(1)의 도어프레임(1a)에 고정된 작동 브라케트(12a)에 대해 도어의 배면측에서만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1)를 수동으로 개방 할 경우, 개방 작동에 수반하는 작동 브라케트(12a)의 이동 작용으로 작동체(12)는 작동 와이어(7)과 함께 후측 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때, 권취와이어(11a)는 권취장치(11)로부터 인출되어 풀리(10)에 감기게 된다.
한편, 이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축(6)으로의 회동 규제 작용이 해제되면, 권취와이어(11a)의 권취장치(11)의 권취작동에 수반하는 작동 와이어(7), 즉 상세히는 작동체(12)의 도어 전방측(반화살표 A방향)으로의 강제 이송 작용에 의해 작동 브라케트(12a)는 도어 앞쪽으로 밀려 도어(1)를 자동적으로 닫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개폐 장치(5)에는, 권취장치(9)와 함께 자폐기구를 구성하는 작동축(6), 작동와이어(7), 권취장치(11), 작동체(12)등의 부재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작동축(6)에는 피니언 톱니바퀴(13)및 작동톱니바퀴(14)가 더 설치되어 있지만, 피니언 톱니바퀴(13)는 작동축(6)에 대해 상기 도어 열림 방향으로 회동에서는 일체로 회동하지만, 도어 닫힘 방향으로의 회동에서는 자유 회동하도록, 또 작동 톱니바퀴(14)는 반대로 작동축(6)에 대해 도어 닫힘 방향으로의 회동에서는 일체 회동하도록, 예를 들면 캠 클러치, 롤러 클러치 등의 클러치 기구를 내장 한 보스부(13a)(14a)를 개입시켜 각각 작동축(6)에 설치되어 있다.
피니언 톱니바퀴(13)에는 가동래크(15)가 치합되어 있음으로, 피니언 톱니바퀴(13)의 회동에 따라서 가동래크(15)는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피니언 톱니바퀴(13)는 도어의 닫힘 상태에서는 문의 앞쪽의 비작동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가동래크(15)의 치부(齒部)의 적당위치에 치합되고 있지만, 개방 작동 당초의 작동체(12)의 이동에 수반하는 피니언 톱니바퀴(13)의 가동래크(15)가 도어의 후측인 작동 위치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가동래크(15)의 도어의 앞쪽 절결부(15a)가 피니언 톱니바퀴(13)에 도달하면, 피니언 톱니바퀴(13)은 공회전해서 가동래크(15)의 이동이 정지하게 되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작동체(12)에 대한 가동래크(15)의 도망기구가 이루어진다.
한편, 도어의 닫힘 작동시에 있어, 피니언 톱니바퀴(13)는 작동축(6)의 도어 닫힘 방향으로의 회동에 대해서 자유롭지만, 가동래크(15)의 도어 후측 단부에 일단이 지지장착 탄성기기(15b)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래크(15)는 항상 비작동 위치에 복귀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어 닫힘 작동 개시와 동시에 피니언 톱니바퀴(13)는 도어의 앞쪽에 복귀하려고 하는 가동래크(15)에 의해 회동하지만, 복귀한 가동래크 (15)가 케이스(5a)에 접속정지했다고 하더라도, 계속하여 회전하는 작동축 (6)에 대해 피니언 톱니바퀴(13)은 자유회전하기 때문에 피니언 톱니바퀴 (13)과 가동래크(15)가치합되어 있더라도 어떠한 지장도 없게 된다.
한편, 타이머 장치(16)는 태엽 용수철 등을 내장하며, 상기 타이머 장치(16)의 작동축(16a)에 고정되는 작동팔(17) 하부에는 작동아암(17a)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작동아암(17a)은 작동팔(17)의 암스토퍼(17b)에 의해 지축(17c)를 지점으로 도어 앞쪽으로의 회동은 자유롭지만, 도어 후측으로의 회동은 규제되며, 작동팔(17)과 함께 작동축(16a)을 지점으로서 도어의 후측으로 회동해 타이머 장치(16)을 시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동래크(15)의 도어 후측 단부에는 시동팔(18)이 돌출설치 되며, 상기 시동팔(18)은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이동하는 가동 래크 (15)와의 일체이동에 의해, 작동아암(17a)에 접속 감시를 수행하며, 작동팔 (17)과 함께 도어의 후측으로 회동되어 타이머 장치(16)을 시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시동팔(18)은 항상 가동래크(15)에 나사장차되어 있으며, 이 에 의해 시동팔(18)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여 타이머장치(16)의 작동시간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작동 톱니바퀴(14)는, 축(19)에 고정되는 네일 톱니바퀴 (20)에 대해, 상기 축(19)에 고정되는 톱니바퀴(19a), 축(21)에 고정되는 톱니바퀴(21a)(21b)를 개입시켜 감속된 상태로 연동 연결하고 있다.
한편, 네일 톱니바퀴(20)용의 규제팔(22)은 지축(22a)를 지점으로 해서 상하 요동하지만, 규제팔(22)이 아래로 이동될 때, 규제팔(22)에 고정되는 이송체(22b)가 네일 톱니바퀴(20)에 치합하는 것에 의해 톱니바퀴(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계 회전 회동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작동축(6)은 도어 닫힘 방향으로의 회동(시계방향의 회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규제팔(22)의 선단측 하부 가장자리에는 작동팔(17)의 상부 가장자리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타이머장치(16)의 비작동시, 즉 작동팔(17)이 상하 방향으로 기립한 상태에서는 규제팔(22)은 위로 움직여서 이송체(22b)의 네일 톱니바퀴(20)으로의 치합이 해제되어 있지만, 가동래크(15)의 개방 작동에 수반하는 작동팔(17)의 회동으로 규제팔(22)은 아래로 동요해 이송체(22b)가 네일 톱니바퀴(20)에 치합되므로, 상기 자폐기구에 의한 네일 톱니바퀴(20)의 문 닫힘 방향으로의 회동 규제를 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본 실시예의 규제 기구가 이루어 진다.
여기서, 도면 중 22 c는 규제팔(22)의 인장 스프링, 23은 각 축(6)(19)(21)용의 베어링, 24는 컬럼, 25는 도어(1)의 아래쪽에 마련된 편차 멈춤용 부재이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완전히 닫힌 도어(1)의 닫힘시에 가동래크(15)는 도어의 앞쪽의 비작동 위치에 위치하여, 타이머장치(16)는 작동팔(17)이 상하 방향으로 서 있는 자세로 네일 톱니바퀴(20)과 이송체(22b)와의 치합이 해제된 부작동상태로 되어 있다.
화재등의 비상 사태가 발생해, 피난자가 도어(1)를 개방 할 경우, 상기 도어(1)에 고정되는 작동 브라켓(12a)와 작동체(12)는 도어의 후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작동체(12)가 작동 브라케트(12a)에 의해 도어의 후측 방향에의 이송 작용을 받으면, 작동 와이어(7)은 화살표 A방향으로 끌려가 풀리(8)를 권취 장치(11)에 대항해서 도 3에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하여 풀리로부터 인출되게 한다.
이 풀리(8)의 회동 피니언 톱니바퀴(13)도 회동하여, 도어 앞쪽의 비작동 위치인 가동래크(15)가 도어의 후측의 작동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가동래크(15) 선단의 시동팔(18)이 작동아암(17a)에 접속해 작동팔(17)을 축(16a)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타이머를 시동하게 하는 것과 동시에 규제팔(22)을 하강시켜 이송체(22b)를 네일 톱니바퀴(20)에 치합시켜 축(19)의 시계회전의 회동을 규제하게 된다.
이때 도어에, 작동축(6)은 개방 작동에 수반하는 권취장치(11)로부터의 권취 와이어(11a)가 인출작동해서 반대로 권취장치(11)에 의한 도어 닫힘 방향에 의한 회동 작용을 받게 되지만, 이송체(22b)와 손톱 톱니바퀴(20)과의 치합에 의한 축(19)의 일방향 회동 규제 작용에 의해서, 작동축(6)은 도어 닫힘 방향에의 회동은 규제되지만 개방 방향으로의 회동은 자유롭게 행해지게 된다.
따라서, 도어(1)는, 전부 열리지 않고 중도에서 개방되는 경우라도, 권취 장치(11)에 의한 자폐 작용을 받는 것 없이 상기 중도 위치에서 정지한다.
그리고 더 필요하면 도어(1)을 전개 방향으로 개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최종 피난자가 피난 후, 도어(1)를 닫으려고 하는 경우, 피난자는 열려 있는 도어(1)를 자유로이 닫을 수가 있다.
즉, 임의 위치에 열린 도어(1)는, 작동체(12)에 대해서 도어의 앞쪽으로부터 접속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도어 닫힘방향으로 작동체(12)와는 완전히 무관계하게 자유롭게 이송할 수가 있고, 따라서, 수동에 의한 닫힘 조작도 통상의 조작만으로 간단하게 행할 수가 있다.
좀 더 늦은 사람이 상기 수동으로 된 도어(1)를 열려고 할 경우, 도어(1)는 완전히 자유롭게 개방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수동에 의한 닫힘 조작을 잊은 경우에는, 도어 열림 조작시부터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타이머 장치(16)의 작동에 의해서, 열려 있는 도어 (1)는 자동적으로 닫히게 된다.
즉, 타이머 장치(16)는 타이머를 시동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지나면, 작동팔(17)을 상하 방향으로 기립 복귀해 규제팔(22)을 위로 움직여 네일 톱니바퀴(20)과 이송체(22b)의 치합을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작동축(6)의 닫힘 방향으로의 회동 규제가 해제되며, 작동축 (6)은 권취장치(11)의 권취용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작동와이어(7)을 풀리(8)에 감아 작동체(12)를 도어 앞쪽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 때 도어가 개방 상태에 있으면, 작동체(12)가 작동 브라케트(12a)에 접속해, 도어(1)를 자동적으로 닫히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도어(1)는 열림 작동 처음의 작동을 받아 작동하는 규제 기구에 의해서, 작동체(12)의 개방방향 이동은 허용하지만, 닫힘 방향의 이동은 타이머 시간 동안에 규제됨과 더불어, 도어가 닫히고 있는 중도이거나, 전부 여는 것 없이 임의의 중도 위치까지 열었다고 하더라도, 상기 임의의 위치에 개방된 도어(1)를 정지 보관 유지하고 있는 소정의 타이머 시간 동안, 도어(1)를 단독으로 닫힘 조작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그리고 이 때, 작동체(12)는 규제 기구에 의해 닫힘 방향의 이동은 규제된 채로 있으므로, 권취기구(11)가 무부하쪽으로 되돌려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 개방 상태에서 정지 유지된 것을 더 열리게 하는 경우, 작동체(12)는 개방 방향에 대한 이동이 허용되어 있으므로, 어떠한 도어제제가 없고 도어 (1)과 함께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개방 유지 상태에 있더라도 통상의 열림, 닫힘조작으로서 자유롭게 행할 수 있다.
더구나 타이머 시간을 경과하여, 규제팔(22)이 위로 움직여 규제 해제된 것에 의해, 권취장치(11)의 부세력에 의해 작동체(12)가 닫힘 방향으로 강제 이동되어 도어(1)가 자동 닫힘이 되지만, 이 때 처음의 자폐작동을 받아 가동래크(15)는 원래의 비작동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그 이후는 전부 닫힘 후에 있어서는 물론이고, 자폐도중에 있어도 다시 도어(1)를 임의 위치까지 개방 조작해 다시 타이머 시간 중 그 위치에 열림 유지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동래크(15)의 도어의 앞쪽부에 절결부(15a)가 마련되어 가동 래크(15)가 작동 위치에 도달한 이후는, 피니언 톱니바퀴(13)가 표류하여 작동축(6)의 회전으로부터 가동래크(15)를 자유롭게 하는 도망기구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도어에 가동래크(15)를 길게 형성시킬 필요가 없어져 장치 전체를 컴팩트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구나, 닫힘시에는 가동래크(15)는 탄성기기(15b)에 의해 끌려가고 있기 때문에, 도어에 가동래크(15)의 피니언 톱니바퀴(13)로의 치합은 확실히 행해진다.
또, 피니언 톱니바퀴(13)은, 작동축(6)에 대해 열림 방향으로의 회동은 일체적이지만, 닫힘방향의 회동은 자유로우므로, 닫힘 작동시에 가동래크(15)가 피니언 톱니바퀴(13)으로 치합한 채로 짧은 가동래크(15)의 도어의 선단이 닫힘 완료 이전에 케이스(5a)에 접속해 비작동 위치에 복귀하지만, 또한 작동축(6)이 닫힘 회동한다고 하더라도 피니언 톱니바퀴(13)은 그대로 작동축(6)만이 회동하게 되어 어떤 지장도 없다.
또한, 작동 톱니바퀴(14)는 피니언 톱니바퀴(13)과는 반대로 작동축 (6)에 대해 열림 방향의 회동에서는 자유 회동하고, 닫힘 방향의 회동에서는 일체 회동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개시 작동시에 있어 작동축(6)이 회동하는 것과 관계없이 작동 톱니바퀴(14)는 회동하지 않게 되므로, 축(19) 역시 회동하지 않는 것이고, 따라서, 열림 작동시에 네일 톱니바퀴(20)과 이송체(22b)와의 치합 이행 작용이 없어 기계 작동음 발생 없이 조용히 도어를 열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고, 그리고 전기된 실시예에서는 작동와이어(7)의 일단을 권취장치(9)로 연결한 것이므로, 풀리(8)로부터 인출되는 작동와이어(7)는 상시 긴장 상태로 되고, 원활한 개폐 작동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제2 실시 예와 같이, 작동와이어(7) 대신에 작동체인(31)을 이용한 것도 좋으며, 이 경우 장시간 사용시 작동체인(31)이 늘어날 수 도 있지만, 타이트풀리와 같은 것을 마련하여 이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임의의 위치에 개방했을 때의 자폐기구의 작동 규제는, 예를 들면 도 5 에 나타내는 제 3 실시예와 같이 마련해도 무방하다.
즉, 작동축(6)에 대해서 네일 톱니바퀴(30)를 작동축(6)의 개방 회동에 대해서 자유 회동하도록 일방향으로 회전 자재 가능하게케 설치하고, 개방 작동에서 작동 위치로 이동한 가동래크(15)의 작동이송체(30a)를 네일 톱니바퀴(30)로 치합하는 것에 의해, 임의의 위치까지 개방되었을 때 작동축(6)의 도어 닫힘 회동을 규제하게 하여 소정 시간의 경과 후, 타이머 장치(16)의 지령에 의해 이송체(30a)의 네일 톱니바퀴(30)와의 치합이 해제되고, 이에 의해 스스로 닫히도록(자폐) 한 것이다.
또한, 개방 작동시에 가동래크(15)가 비작동 위치까지 복귀한 이후에 작동축(6)으로부터 자유롭게 되는 도망기구로서는,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어 닫힘시 피니언 톱니바퀴(13)와 가동래크(15)가 치합되고 있는 것을 고려해 특수한 보스부(13a)를 사용했지만, 이와 같은 것을 이용하지 않고도, 예를 들면 가동래크(15)의 복귀시에 피니언 톱니바퀴(13)가 가동래크(15)에 대해서 표류하도록 도어의 후측에도 절결부를 마련해 두어도 바람직하다.
더욱이, 이 경우 개방 작동시에 가동래크(15)가 피니언 톱니바퀴(13)로 반드시 치합되도록 케이스(5a)와 가동래크(15)와의 사이에 스프링을 개재하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동래크(15)의 복귀는 전기된 실시예에 있어 탄성기기(15b)를 이용하였지만, 예를 들면, 도 6 및 도 7 에 각각 나타내는 제4, 제5 실시 예와 같이 탄성기기를 이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즉, 제4 실시 예의 것은, 작동축(6)에는 피니언 톱니바퀴(13) 외에도 하나의 부피니언 톱니바퀴(32)가, 피치온 톱니바퀴(13)과는 반대로 작동축(6)의 도어 닫힘 회동에서만 일체 회동하는 일방향 회전 클러치를 내장한 보스부 (32a)를 개입시켜 설치되고 있다.
또한, 부피니언 톱니바퀴(32)에 대응하는 부가동래크(33)가 가동래크(15)와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지만, 부가동래크(33)는, 도어의 후측의 치(齒)부가 노치해지고 있고, 가동래크(15)가 도어의 최선단쪽으로 이동되는 닫힘시에는 절결부(33a)가 부피니언 톱니바퀴(32)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개방 작동에 수반하는 작동축(6)의 회동시에, 전술한 가동래크(15)의 절결부(15a)가 피니언 톱니바퀴(13) 위치에 위치해 피니언 톱니바퀴(13)가 표류하고 있는 상태로, 부피니언 톱니바퀴(32)는 부가동래크(33)과 치합한다.
이 경우, 부피니언 톱니바퀴(32)는 작동축(6)의 개방 방향에의 회동에 대해서는 자유롭기 때문에 작동축(6)이 더욱 개방 회동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도어 닫힘 작동시에는, 작동축(6)과 부피니언 톱니바퀴(32)는 일체로 회동하며, 부가동래크(33)를 도어의 앞쪽으로 이송하기 위해, 가동래크(15)는 전기된 실시 예와 같이 탄성기기를 마련하지 않아도 도어의 앞쪽으로 복귀한다.
그리고, 복귀시에 있어 부피니언 톱니바퀴(32)는 부가동래크(33)의 절결부 (33a)로 표류하기 위해 작동축(6)이 더욱 닫힘 회동되어도 무방한 것이다.
한편, 제5 실시예는 상기 제4 실시 예와 같이, 부가동래크(33)를 마련하는 것 없이 한 대의 가동래크(15)로 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즉, 작동축(6)에는 평톱니바퀴(34)를 부피니언 톱니바퀴 3과 같은 일방향 회전 클러지를 내장한 보스부(34a)를 개입시켜 설치하고, 또 평톱니바퀴(34)를 가동래크(15)에도 치합하는 폭넓은 평톱니바퀴(34)와 가동래크(15)에도 치합하는 폭넓은 평톱니바퀴(35)에 중간 톱니바퀴(36)를 개입시켜 연동한다.
그리고, 닫힘시에 있어 작동축(6)에 대해서 자유 회동하는 피니언 톱니바퀴(13)는 가동래크(15)로 치합하고, 작동축(6)과 일체회동하는 평톱니바퀴(35)는 가동래크(15)의 도어의 후측에 마련한 절결부(15b)위치에 위치해 표류하여, 개방시에 있어 작동축(6)과 일체회동하는 피니언 톱니바퀴(13)은 가동래크(15) 도어의 앞쪽에 마련한 절결부(15a)위치에 위치해 표류하지만, 작동축(6)에 대해서 자유 회동하는 평톱니바퀴(35)는 가동래크(15)에 치합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가동래크(15)는 탄성기기를 이용하는 것 없이 도어(1)의 개폐 작동에 대응해서 이동하게 되고, 이와 같이, 가동래크(15)의 이동은 여러가지 기구로 행할 수가 있게된다.
또한, 타이머 장치(16)의 시동은 시동팔(18)에 의해 행하도록 되어 있지만, 도 8 에 나타내는 제 6 실시예와 같이, 가동래크 피니온 방식으로 행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즉, 이 경우 타이머 장치(16)의 축(16a)에, 닫힘 방향의 회동에 대해서는 자유로운 일방향 회전 클러치를 내장한 보스부(37a)를 개입시키고 피니언 톱니바퀴(37)를 설치하여 개방 작동에 수반하는 가동래크(15)의 도어의 후측으로 이동해서 피니언 톱니바퀴(37)가) 회동하여 타이머 시동을 하고, 상승하고 있는 규제팔(22)를 아래로 이동시켜 작동축(6)의 닫힘 회동을 규제하여도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권취장치(11)는 태엽 용수철을 내장 한 것을 이용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위 정수 스프링을 이용한 것, 혹은 도 9 에서 나타내는 제 7 실시예와 같이, 풀리(10)로 하단 송곳(38)이 설치된 끈(39)의 상단측을 휘감아 작동축(6)의 닫힘 회동의 규제가 해제되었을 때, 송곳(38)에 의한 자중에 의해 도어(1)이 자동 닫히도록 한 것 등 , 도어(1)을 상시 닫힘측에 가중토록 하는 것이면 여러 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의 것은, 모두 최초 개방 작동시부터 타이머가 시동하는 것이지만, 도 10 에 나타내는 제 8 실시 예의 것은, 새롭게 작동되는 열림 작동시부터 타이머가 시동되는 유용한 작용효과를 보여준다.
즉, 작동축(6)에, 작동축(6)의 도어 열림 회동과 일체 회동하도록 일방향 회전 클러치의 보스부(40a)를 개입시켜 톱니바퀴(40)를 설치하고, 또한, 타이머 장치(16)의 축(16a)에는 소정 이상의 부하에서는 공회전하는 안전 클러치(41)을 개재해서 톱니바퀴(42)를 연동 연결한다.
그리고, 양톱니바퀴(40)(42)에 중간 톱니바퀴(43)를 개재해서 연동 연결하지만, 중간 톱니바퀴(43)는 상기 양톱니바퀴(40)(42)의 축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보다 하부에 위치한다.
중간 톱니바퀴(43)의 축(43a)을 지지하는 베어링(43b)에는 작동축(6)의 축 심지를 중심으로 한 원호상의 가이드홀(43c)을 천공 설치해 둔다.
또한, 톱니바퀴(42)에는 치(齒)부가 노치한 절결부(42b)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어(1)의 열림 작동으로 톱니바퀴(4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이것에 치합하는 중간 톱니바퀴(43)는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가이드홀(43c)에 의해서 위쪽으로 상승해 톱니바퀴 (42)로 치합하고 톱니바퀴(4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하여 타이머가 시동되게 한다.
그리고 톱니바퀴(42)의 절결부(42b)가 중간 톱니바퀴(43)위치에 도달하면, 양톱니바퀴(42)(43)의 치합은 해제된다.
이와 더불어, 도어(1)의 열림이 정지되면, 중간 톱니바퀴(43)은 가이드홀 (43c)에 안내되어 아래쪽으로 떨어진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타이머 작동 톱니바퀴(42)가 차례차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해, 톱니바퀴(42)의 치(齒)부가 중간치부(43)와 대응하더라도 중간 톱니바퀴(43)는 톱니바퀴(42)에 치합하는 것이 아니며, 이 때 작동축(6)과 타이머축(16a)과는 기어 연결된 것이라도 타이머 작동시는 완전히 무관계하게 되어, 타이머 작동에 수반하는 톱니바퀴(42)의 복귀회동에 의해서 작동 톱니바퀴(40)가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다.
한편, 타이머의 작동시에 도어(1)을 더욱 개방시키면, 중간 톱니바퀴(43)는 톱니바퀴(40)의 회동에 따라 다시 상승하고 톱니바퀴(42)에 치합되어, 타이머 장치(16)을 권입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 시점으로부터의 타이머 시동이 작동되어지며, 또한 이 경우, 재차 권입하는 것에 의해서 타이머 장치(16)는 설정 시간 이상 과도하게 권취되어 파손될 우려를 예상할 수 있지만, 그러한 경우 축(16a)의 그 이상의 회전 규제에 수반하는 안전 클러치(41)로의 과부하에 의해서 톱니바퀴(42) 측이 공회전하기 때문에 파손될 우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도어(1)는 매달림 바퀴방식의 미닫이도어 뿐 만이 아니라, 호차 방식의 미닫이도어에도 적용가능하며, 또 여닫이 도어방식이 채택되어도 무방한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은 단지 피난도어(비상도어)으로서 이용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어떠한 통로에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피난터널에 기계식으로 자동폐쇄되는 자폐장치가 마련된 도어가 설치되며, 이 도어는 폐쇄작동 중에 후속되는 피난인의 통과시 그 작동이 정지되고, 또한 재개방이 가능함과 더불어, 재개방시 타이머가 다시 작동되어 자동폐쇄되어, 긴급상황시 피난을 유도함과 동시에 방연 및 방화를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전체정면도,
도 2 는 개폐장치를 나타낸 수평단면설명도,
도 3 은 종단면도,
도 4 는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정면도,
도 5 는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정면도,
도 6 은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와 닫힘시의 작용 설명도 및 열림시의 작용 설명도,
도 7 은 제5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와 닫힘시의 작용 설명도 및 열림시의 작용 설명도,
도 8 은 제6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와 닫힘시의 작용 설명도 및 개방시의 작용설명도,
도 9 는 제 7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정면도,
도 10 은 제 8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평면도와 폐쇄시의 작용 설명도 및 개방 작동시의 작용 설명도와 개방시의 작용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도어, 2 - 바퀴,
3 - 안내 레일, 4 - 상부프레임 ,
5 - 개폐 장치, 6 - 작동축,
7 - 작동와이어, 8 - 풀리,
9 - 권취 장치, 10 - 풀리,
11 - 권취 장치, 12 - 작동체,
12a - 작동 브라케트, 13 - 피니언 톱니바퀴,
14 - 작동 톱니바퀴, 15 - 가동 래크,
16 - 타이머 장치, 17 - 작동팔,
17a - 작동암, 18 - 시동축,
19 - 축, 20 - 네일 톱니바퀴,
21 - 축, 22 - 규제팔,
22a - 지축, 22b - 이송체,
23 - 베어링, 24 - 칼라,
25 - 멈춤용부재, 30 - 네일 톱니바퀴,
30a - 이송체, 31 - 작동체인,
32 - 부피니언 톱니바퀴, 33 - 부가동래크,
34,35 -평톱니바퀴, 36 - 중간 톱니바퀴,
37 - 피니언 톱니바퀴, 38 - 송곳,
39 - 끈, 40 - 톱니바퀴,
41 - 안전 클러치, 42 - 톱니바퀴,
42a - 절결부, 43 - 중간 톱니바퀴,
43a - 축, 43b - 베어링,
43c - 가이드 홀,

Claims (1)

  1. 도어의 개방에는 연동하여 이동되지만, 도어의 폐쇄를 방해하는 작동체와: 이 작동체를 도어의 폐쇄작동에 대하여 항상 부세해서 도어의 자폐를 행하는 자폐기구와: 타이머 기구에 연동, 연결되어 작동 개시며 타이머 시간 동안 상기 작동체의 도어폐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기구와: 상기 타이머 시간 동안의 작동체의 열림방향의 이동에 대해서는 허용하는 허용기구를 마련해 자동문을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타이머 기구는 상기 작동체의 열림 동작 당초의 이동에 연동하여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위치까지 이동하고, 상기 작동체의 폐쇄작동 이동에 영동되어 작동위치로부터 비작동위치까지 복귀하는 가동체와, 작동위치에 도달한 상기 가동체를 검지해 작동 개시하는 타이머 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가동체에는 타이머 장치를 작동시키는 작동위치까지 도달한 이후는 상기 작동체의 이동으로부터 자유롭게 되는 피난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갱문.
KR1020040013596A 2004-02-27 2004-02-27 피난갱문 KR200500878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596A KR20050087897A (ko) 2004-02-27 2004-02-27 피난갱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596A KR20050087897A (ko) 2004-02-27 2004-02-27 피난갱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237U Division KR200416231Y1 (ko) 2006-01-25 2006-01-25 피난갱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7897A true KR20050087897A (ko) 2005-09-01

Family

ID=37270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3596A KR20050087897A (ko) 2004-02-27 2004-02-27 피난갱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789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757B1 (ko) * 2008-02-29 2008-10-29 에스텍이앤지(주) 기밀형 방화문
KR100969929B1 (ko) * 2009-12-02 2010-07-14 (주)해밀 감속수단을 구비한 피난갱문
KR101230243B1 (ko) * 2011-06-03 2013-02-06 송진화 미닫이 도어의 완충을 위한 자동폐쇄구
KR102364738B1 (ko) * 2021-08-18 2022-02-23 주식회사 정진이엔지 터널 비상 대피용 도어 자동 폐쇄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757B1 (ko) * 2008-02-29 2008-10-29 에스텍이앤지(주) 기밀형 방화문
KR100969929B1 (ko) * 2009-12-02 2010-07-14 (주)해밀 감속수단을 구비한 피난갱문
KR101230243B1 (ko) * 2011-06-03 2013-02-06 송진화 미닫이 도어의 완충을 위한 자동폐쇄구
KR102364738B1 (ko) * 2021-08-18 2022-02-23 주식회사 정진이엔지 터널 비상 대피용 도어 자동 폐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6891A (en) Mechanism for controlling the raising and lowering of a door
PT1878341E (pt) Dispositivo de trela para uma trela que pode ser enrolada e desenrolada mecanicamente, para passear animais
JPS62121291A (ja) 産業用ドアの開閉操作システム
US20130019432A1 (en) Self-closing sliding door assembly
KR101256450B1 (ko) 방화문용 도어클로저의 폐쇄력 보충장치
KR200416231Y1 (ko) 피난갱문
KR20050087897A (ko) 피난갱문
KR101256451B1 (ko) 방화문용 도어클로저의 폐쇄력 보충장치
JPH0434669B2 (ko)
KR101795365B1 (ko) 도어 클로저
JP5117985B2 (ja) 自動閉鎖装置
JP2001020594A (ja) 自閉式扉の開閉制御装置
JP3963858B2 (ja) 扉閉鎖順位調整器
JPH0533653Y2 (ko)
EA039735B1 (ru) Ворота
JPH0533654Y2 (ko)
JPH0627464B2 (ja) 自閉扉体の開閉装置
KR200223101Y1 (ko) 출입문용 피벗힌지
JP2003193743A (ja) 自動ドア
JP5289915B2 (ja) シャッター装置
JP2000291326A (ja) 開戸用のドアクローザ
JP4146276B2 (ja) シャッター装置
JP4829607B2 (ja) 出窓の自動開閉装置
JP2000282745A (ja) 作動体の作動速度または作動開始時等を制御する作動体コントロール装置
KR102263668B1 (ko) 수동 개폐기능을 갖는 배연창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