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1593A - 떼기 쉬운 접착용 테이프 제조방법 및 그 접착용 테이프 - Google Patents

떼기 쉬운 접착용 테이프 제조방법 및 그 접착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1593A
KR20120131593A KR1020110049874A KR20110049874A KR20120131593A KR 20120131593 A KR20120131593 A KR 20120131593A KR 1020110049874 A KR1020110049874 A KR 1020110049874A KR 20110049874 A KR20110049874 A KR 20110049874A KR 20120131593 A KR20120131593 A KR 20120131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release agent
film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실
이정현
이광현
Original Assignee
이윤실
이광현
이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실, 이광현, 이정현 filed Critical 이윤실
Priority to KR1020110049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1593A/ko
Publication of KR20120131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5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1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an adhesiv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5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process specific fea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프를 이용하여 상품을 포장할 때, 테이프를 떼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제거하고 보다 용이하게 떼어내고,떼어낼때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떼기 쉬운 접착용 테이프 제조방법 및 그 접착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특히, 테이프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종래와 같이 필름원단의 저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되, 상면에는 상기 접착층과의 접착력을 현저히 떨어트리는 이형제층을 형성하여, 감긴 테이프를 풀어 상품을 포장할 때 접착층과 필름원단의 상면 이형제층과의 접착력의 감소로 인하여 손쉽게 풀리고, 테이프를 푸는데 발생되는 소음을 제거하기 위한 떼기 쉬운 접착용 테이프 제조방법 및 그 접착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떼기 쉬운 접착용 테이프 제조방법 및 그 접착용 테이프{THE TAPE AND PRODUCT METHOD OF TAPE FOR SEGREGATION}
본 발명은 테이프를 이용하여 상품을 포장할 때, 테이프를 떼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제거하고 보다 용이하게 떼어내고 접착할 수 있도록 하는 떼기 쉬운 접착용 테이프 제조방법 및 그 접착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특히, 테이프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종래와 같이 필름원단의 저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되, 상면에는 상기 접착층과의 접착력을 현저히 떨어트리는 이형제층을 형성하여, 감긴 테이프를 풀어 상품을 포장할 때 접착층과 필름원단의 상면 이형제층과의 접착력의 감소로 인하여 손쉽게 풀리고, 테이프를 푸는데 발생되는 소음을 제거하기 위한 떼기 쉬운 접착용 테이프 제조방법 및 그 접착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프란 상품을 포장하기 위해서 필름원단의 일측면에는 접착층을 형성하고, 일정한 량만큼 원통형의 지관에 감아 놓은 것을 칭한다. 이러한 종래의 접착 테이프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 된다.
테이프를 형성하는 접착층의 접착력이 높을수록 떼기 힘들다는 것이다.
테이프란 일측면에 접착층이 도포되고, 이 접착층이 타측면에 밀착되어 롤의 형태로 감아 판매를 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이 테이프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테이프의 접착면을 테이프의 상면에서 떼어 접착테이프가 부착될 부분에 밀착시켜 접착한다. 그런데 이 접착테이프는 그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접착제의 고 밀착도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접착테이프를 사용하기 위해서 테이프의 접착층을 상면에서 떼어 풀어주고, 이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때, 종래의 접착테이프는 이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된다.
즉, 고 밀착도를 가진 접착층에 의해서 테이프가 잘 떼어지거나 풀어지지 않아서 빠른 사용이 불가능하다. 접착층이 테이프의 상면에 강하게 달라붙어 있기에 테이프를 풀기 어렵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렇게 고 밀착된 테이프 접착층을 떼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테이프를 이용하여 상품을 포장할 때, 테이프를 떼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제거하고 보다 용이하게 떼어내고 접착할 수 있도록 하는 떼기 쉬운 접착용 테이프 제조방법 및 그 접착용 테이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테이프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종래와 같이 필름원단의 저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되, 상면에는 상기 접착층과의 접착력을 현저히 떨어트리는 이형제층을 형성하여, 감긴 테이프를 풀어 상품을 포장할 때 접착층과 필름원단의 상면 이형제층과의 접착력의 감소로 인하여 손쉽게 풀리고, 테이프를 푸는데 발생되는 소음을 제거하기 위한 떼기 쉬운 접착용 테이프 제조방법 및 그 접착용 테이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떼기 쉬운 접착용 테이프 제조방법은, 테이프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단계; 원단필름(10)이 감겨진 필름롤(41)에서 원단필름(10)이 롤에 의해 당겨지고, 이 원단필름(10)이 이형코팅부(A)를 지날 때, 원단필름(10)의 일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코팅되는 이형제층(30)을 형성하고 1차 건조로(50)에서 1차건조시키는 단계; 제2단계; 이형제층(30)이 코팅된 원단필름(10)을 가이드롤(C)을 통해 이동시키되, 원단필름(10)의 타측면에 접착제(42)를 도포하는 단계; 제3단계; 이형제층(30)과 접착층(20)이 코팅된 원단필름(10)을 건조기(B)의 내측으로 이송시켜 이형제층(30)을 건조시키고, 지관(W)에 말아 테이핑롤(40)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원단필름(10) 하단의 접착층(20)과 상단의 이형제층(30)이 부드럽게 접착되어 테이프를 풀기 쉽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떼기 쉬운 접착용 테이프 제조방법에 따른, 제2단계의 접착제(42)를 도포하는 단계에는, 접착제(42)를 회전하는 접착층롤(43)의 외주면으로 묻히고, 그 접착층롤(43)의 외주면을 타고 이동하는 원단필름(10)의 접착면에 접착층(20)을 도포하는 단계이고 : 제1단계의 이형제층(30)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동일한 형상의 무늬나 모양을 도포하는 형태인 사선(31), 원형(32), 파형(33) 및 수평선(34)의 형태 중 하나의 형상을 코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떼기 쉬운 접착용 테이프는, 접착용 테이프에 있어서, 테이프를 형성하는 원단필름(10)의 하면은 접착층(20)을 형성하고, 원단필름(10)의 상면으로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동일 내지 유사한 형태의 형상이 코팅된 이형제층(30)을 형성하여, 이를 지관(W)에 감아 일정한 두께로 말아 놓아 테이프를 풀어 사용하려할 때, 접착층(20)과 이형제층(30)이 부드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떼기 쉬운 접착용 테이프에 따른, 이형제층(30)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동일한 형상의 무늬나 모양을 도포하는 형태인 사선(31), 원형(32), 파형(33) 및 수평선(34)의 형태 중 하나의 형상이고 : 이형제층(30)과 접착층(20)의 두께는, 접착층(20)이 이형제층(30)에 비하여 10-12배 두껍게 도포된다.
본 발명에 따라 테이프의 상면에 이형제층을 코팅하기에 접착층의 접착력은 떨어트리지 않으면서도, 테이프를 떼기 편하도록 한 점에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테이프의 원단필름 상면에 도포된 이형제층에서 접착층을 떼어낼 때 소음이 발생되지 않아 부드럽게 테이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테이프를 떼어 테이핑하기 용이하여 포장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날개를 가진 테이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날개를 가진 테이프를 제조하는 일반적인 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이형제층을 가진 테이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이형제층을 가진 테이프를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이형제층 테이프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이형제층의 서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테이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과정과 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제1단계; 원단필름(10)이 감겨진 필름롤(41)에서 원단필름(10)이 롤에 의해 당겨지고, 이 원단필름(10)이 이형코팅부(A)를 지날 때, 원단필름(10)의 일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코팅되는 이형제층(30)을 형성하고 1차 건조로(50)에서 1차건조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도시된 도 3과 도 4에서처럼 본 발명의 테이프 제작공정은 원단필름(10)이 다수의 롤과 가이드롤(C)에 감긴 상태에서 이동한다. 롤의 형태로 감긴 원단필름(10)은 원단필름롤(41)이 제조공정 시스템의 도입부에 감긴 상태에서, 첫 단이 풀리어 다수의 가이드롤(C)을 타고 이동하게 된다. 도시된 도 4에서처럼 이형제코팅부(A)는 이형제를 도포하기 위한 곳으로 롤을 통해서 이형제를 원단필름(10)의 하단에 코팅하거나 또 다른 별도의 수단을 통해서 코팅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이형제는 경화될 경우 그 표면이 매끈하여 접착제가 잘 접착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 이형제가 코팅된 테이프의 면과 접착면이 달라붙게 되면 뗄 때 손쉽게 떨어지고, 종래 테이프를 뗄 때 발생되었던 찍찍거리는 소음을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제2단계; 이형제층(30)이 코팅된 원단필름(10)을 가이드롤(C)을 통해 이동시키되, 원단필름(10)의 타측면에 접착제(42)를 도포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형제층(30)이 코팅된 원단필름(10)은 계속해서 이동하면서 이형제층(30)이 코팅된 타측면에 접착제를 코팅하게 된다. 일측면은 이형제층(30)이 코팅되고 타측면은 접착제가 코팅되는 것이다. 이 접착층(20)을 이용하여 상품을 포장하는데 있어서 포장지에 밀착되는 면이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접착층(20)은 원단필름(10)을 일정한 두께로 감은 테이프를 생산할 때에는 접착층(20)의 반대편 이형제층(30)과 밀착되어 롤링되기 위한 역할을 한다.
결국 본 발명은 종래 일반적인 테이프와 동일하게 일측면에 접착층(20)을 형성하고, 타측면에 이형제층(30)을 형성하여 접착층(20)이 이형제층(30)과 밀착되어 롤링되어 판매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제3단계; 이형제층(30)과 접착층(20)이 코팅된 원단필름(10)을 건조기(B)의 내측으로 이송시켜 이형제층(30)을 건조시키고, 지관(W)에 말아 테이핑롤(40)로 제조하는 단계를 거친다. 따라서 원단필름(10) 하단의 접착층(20)과 상단의 이형제층(30)이 부드럽게 접착되어 테이프를 풀기 쉽도록 한다.
이형제층(30)과 접착층(20)은 어느 정도 경화되어야 안정화된다. 이형제층(30)은 경화되어 원단필름(10)의 일측면에 견고히 밀착결합되어야 하고, 대기와 면접하는 표면도 매끈하게 고형화되어야 하는 것이다. 접착제도 원단필름(10)과 밀착된 부분은 경화되어 원단필름(10)에서 완벽하게 고착되어야 하고, 대기와 면접하는 표면도 그 접착력은 증대될 수 있을 정도로 건조되어야 한다. 이러한 모든 점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이형제층(30)과 접착층(20)이 코팅된 원단필름(10)이 가이드롤(C)을 타고 이동하면서 건조기(B)를 거치며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본 발명의 테이프는 도시된 도 4의 테이핑롤(40)로 감겨져 일정한 길이로 커팅되어 판매 또는 사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특이한 점은 다음과 같다.
즉, 제2단계의 접착제(42)를 도포하는 단계에는, 접착제(42)를 회전하는 접착층롤(43)의 외주면으로 묻히고, 그 접착층롤(43)의 외주면을 타고 이동하는 원단필름(10)의 접착면에 접착층(20)을 도포한다.
도시된 도 4에서처럼, 접착제(42)가 수용된 접착제수용함의 상부로 떠 있는 접착층롤(43)은 일정한 속도로 회전을 한다. 이때 이 접착층롤(43)의 외주면은 상기 접착제(42)가 달라붙게 된다. 또한 이 접착층롤(43)의 일측 외주면은 상기 원단필름(10)과 면접된 상태이기에 상기 원단필름(10)에는 접착제(42)가 전사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서 상기 접착층(20)을 형성하는 방법은 롤을 통해서 접착제(42)를 외주면에 도포한 상태로 이를 다시 원단필름(10)의 표면에 전사하여 접착층(20)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단계의 이형제층(30)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동일한 형상의 무늬나 모양을 도포하는 형태인 사선(31), 원형(32), 파형(33) 및 수평선(34)의 형태 중 하나의 형상을 코팅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도 6에 상세히 도시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 이형제층(30)은 테이프의 일측표면을 완벽하게 코팅한 상태의 층이 아니다.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고 동일 내지 유사한 무늬나 모양이 코팅되는 방식의 층이다. 이로 활용될 수 있는 형태가 도시된 도 6에서처럼 사선(31)의 형태가 있을 수 있고, 원형(32)의 점들이 코팅될 수 있으며, 파형(33)의 형태로 코팅이 가능하다. 물론 도시된 도 6의 (d)에서처럼 수평선(34)의 형태로 코팅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것이 중요한 이유는 도 6에서처럼 본 발명의 테이프는 일측면에 이형제층(30)이 도포되고, 타측면에 접착층(20)이 도포되어 테이프를 떼거나 풀을 때, 보다 용이하게 풀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게 때문이다. 테이프를 감아 보관할 때, 상기 접착층(20)이 이형제가 도포된 테이프 타측면과 밀착되는데, 이형제층(30)은 접착층(20)과 밀착되지만 견고하게 달라붙지 않는다.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이형제가 도포된 사선(31), 원형(32), 파형(33) 및 수평선(34)의 형태에는 면과 면의 접촉만이 있고, 이형제가 도포되지 않는 원단필름표면부분(39)을 극소화 형성에만 접착제가 달라붙게 된다. 상기 접착력은 면적 곱하기 단위면적당 점착력과 동일하다.따라서 테이프를 떼고, 풀을 때 손쉽게 풀리며, 테이프를 풀을 때 찢어지는 소음이 나지 않는 것이다.
더욱이 원단필름(10)에 고착된 접착제의 접착력이 너무 강할 경우에 원단필름(10)이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될 소지도 있었지만, 본 발명의 테이프의 경우 아무리 강한 고 강력의 접착제를 사용하여도 이러한 염려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럼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접착용 테이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도 3 내지 6에서처럼, 테이프를 형성하는 원단필름(10)의 하면은 접착층(20)을 형성하고, 원단필름(10)의 상면으로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동일 내지 유사한 형태의 형상이 코팅된 이형제층(30)을 형성하여, 이를 지관(W)에 감아 일정한 두께로 말아 놓아 테이프를 풀어 사용하려할 때, 접착층(20)과 이형제층(30)이 부드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된 제조방법에서 설명된 것처럼, 본 발명의 테이프(100)는 원단필름(10)의 일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동일 내지 유사한 형상이 코팅되는 이형제층(30)이 있고, 타측면에는 접착층(20)이 형성되어 테이핑롤(40)을 감을 경우에, 상기 이형제층(30)에 접착층(20)이 밀착되어 롤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결국 테이프를 풀 때, 상기 이형제층(30)과 접착층(20)의 연한 접착력으로 인하여 테이프를 풀거나 떼기 쉬운 것이다.
이러한 상기 이형제층(30)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동일한 형상의 무늬나 모양을 도포하는 형태인 사선(31), 원형(32), 파형(33) 및 수평선(34)의 형태 중 하나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이형제층(30) 실시예는 아주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한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미 제조방법에서 설명했기에 설명을 피한다. 단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이형제층(30)과 접착층(20)의 두께는, 접착층(20)이 이형제층(30)에 비하여 10-12배 두껍게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20)이 이형제층(30)에 비하여 더 두껍게 도포되는 것이 롤링을 위해서나 접착을 위해서도 유리하다. 너무 두툼하게 이형제층(30)이 도포되면 테이프가 일정한 두께로 감기는 롤링 작업시 테이프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다.
이렇듯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도 4에서처럼, 이형제층(30)과 접착층(20)을 형성하고, 건조시켜 테이프를 완성한다. 물론 종래에서처럼 테이핑롤(40)로 감기기 전에 날개부를 형성하는 종래 공지된 방법을 추가하여 실시될 수도 있다.
즉, 도시된 도 4에 블럭친 날개형성부(D)를 통해서 접착층의 좌우 폭 끝단에 별도의 이형제를 도포하거나 접착층을 긁어내는 공정을 추가할 수 있다. 물론 이와는 달리 날개부를 형성하는 방법은 많이 공지된 상태이다. 접착층의 형성 이후 날개부를 형성하는 방법 이외에 접착층의 형성 이전에 이미 날개부를 형성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또한 혼용하여 형성하는 방법도 존재한다.
하기에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이미 개발한 날개부 형성방법의 실례를 설명한다. 단지 참조를 위한 사항이다. 본 발명의 테이프를 제조하면서, 이 종래의 방법도 일부 차용하여 날개를 형성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해서 소개한다.
그럼 종래 사용되던 이 날개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 설명은 이미 공지된 사항이고, 종래의 기술이기에 도 1과 도 2를 통해서 설명한다. 중요한 사항은 이 도 1과 도 2의 도면은 종래의 기술이기에 본 발명을 설명하는 도 3 내지 도 6과 중복되는 도면의 부호를 가질 지 모른다.
도시된 도 2에서처럼, 종래 발명은 테이프를 위한 폭이 넓은 원단 필름(10)을 준비하는 단계를 거친다. 즉, 도시된 것처럼 테이프를 형성하는 넓은 형태의 필름을 준비하여 셋팅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바로 이렇게 원단 필름(10)을 준비하는 단계에서부터 시작된다.
다음으로 종래 발명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테이프의 날개(11)가 형성되는 부위에 이형제(200)를 도포하는 단계를 거친다. 즉, 일반적인 날개를 가진 테이프는 떼기 쉽고, 떼기 편한 테이프를 제작하고자 한다. 따라서 테이프의 일측 및 양쪽에 접착제(20)가 도포되지 않은 날개(11)부를 형성하고, 그 날개(11)를 잡고 박스 등의 상자에 접착된 테이프를 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 발명은 상기 원단 필름(10)에 접착력이 잘 활용되지 못하는 이형제(200)를 날개(11)부위에 일정한 간격을 가진 상태로 도시된 도 2에서처럼 선 도포하는 것이다. 이 이형제(200)가 도포된 부위는 후공정인 커팅과정에서 커팅되어 날개(11)로 사용될 것이다.
다음으로 이형제(200)가 도포된 상기 원단 필름(10)에 테이프 제조유닛(A)을 통해 접착제(20)를 전면적으로 도포하면서, 도포면의 두께를 조절하여 도포면을 균일하게 유지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즉, 도 5의 (c)와 (d)에서처럼, 이형제가 이미 도포된 원단 필름(10)의 표면에 전체적으로 접착제(20)를 도포한다. 이형제(200)층의 상부로도 접착제(20)를 도포하고, 이형제(200)가 도포되지 않은 원단 필름(10)의 표면에도 접착제(20)를 도포한다. 이때 중요한 사항은 상기 접착층을 도시된 테이프 제조유닛을 통해서 긁어 내게 되는데, 이 긁어내는 방식은 상기 이형제(200) 층의 상부로 도포된 접착층만을 밀어주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원단 필름(10)에 형성되는 접착제(20)층과 이형제(200) 층은 고른 두께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종래 발명은, 접착제(20)가 도포된 원단 필름(10)을 테이프감입롤(210)에 균일한 장력으로 감아주는 단계를 거친다. 즉, 상기 접착제(20)와 이형제(200)가 묻은 원단 필름(10)을 테이프감입롤(210)에 감아 일정한 두께로 제작하는 것이다. 즉, 테이프를 완성시키기 위한 과정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판매를 위하여 상기 접착제(20)가 도포된 원단 필름(10)을 테이프감입롤(210)의 외주면에 일정하게 감아 주는 것이다.
다음으로 종래 발명은, 상기 원단 필름(10)이 감긴 테이프감입롤(210)에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날개(11) 부위를 커팅하여 일정한 크기로 형성하는 단계를 거친다.
즉, 도시된 도 2에서처럼, 상기 접착제(20)와 이형제(200)가 도포된 상기 원단 필름(10)을 테이프 감입롤(210)에 감겨진 상태로 절단하는 것이다. 이때 그 커팅하는 방식은 상기 날개(11)가 될 이형제(200)가 코팅된 부위를 절단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테이프는 도시된 도 1에서처럼 그 일측 또는 양쪽에 날개(11)가 형성된 테이프로 제작될 수 있다. 이렇게 제작하고 나서 박스 등의 상자에 접착하고나서, 이를 뗄 때에는 상기 상자면에 달라 붇지 않은 날개(11)를 잡고 잡아당겨 테이프를 떼는 것이다.
10; 원단필름 20; 접착층
30; 이형제층 31; 사선
32; 원형 33; 파형
34; 수평선 40; 테이핑롤
41; 필름롤 42; 접착제
43; 접착층롤

Claims (6)

  1. 테이프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단계; 원단필름(10)이 감겨진 필름롤(41)에서 원단필름(10)이 롤에 의해 당겨지고, 이 원단필름(10)이 이형코팅부(A)를 지날 때, 원단필름(10)의 일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코팅되는 이형제층(30)을 형성하고 1차 건조로(50)에서 1차건조시키는 단계;
    제2단계; 이형제층(30)이 코팅된 원단필름(10)을 가이드롤(C)을 통해 이동시키되, 원단필름(10)의 타측면에 접착제(42)를 도포하는 단계;
    제3단계; 이형제층(30)과 접착층(20)이 코팅된 원단필름(10)을 건조기(B)의 내측으로 이송시켜 이형제층(30)을 건조시키고, 지관(W)에 말아 테이핑롤(40)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원단필름(10) 하단의 접착층(20)과 상단의 이형제층(30)이 부드럽게 접착되어 테이프를 풀기 쉽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떼기 쉬운 접착용 테이프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2단계의 접착제(42)를 도포하는 단계에는,
    접착제(42)를 회전하는 접착층롤(43)의 외주면으로 묻히고, 그 접착층롤(43)의 외주면을 타고 이동하는 원단필름(10)의 접착면에 접착층(20)을 도포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떼기 쉬운 접착용 테이프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1단계의 이형제층(30)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동일한 형상의 무늬나 모양을 도포하는 형태인 사선(31), 원형(32), 파형(33) 및 수평선(34)의 형태 중 하나의 형상을 코팅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떼기 쉬운 접착용 테이프 제조방법.
  4. 접착용 테이프에 있어서,
    테이프를 형성하는 원단필름(10)의 하면은 접착층(20)을 형성하고, 원단필름(10)의 상면으로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동일 내지 유사한 형태의 형상이 코팅된 이형제층(30)을 형성하여, 이를 지관(W)에 감아 일정한 두께로 말아 놓아 테이프를 풀어 사용하려할 때, 접착층(20)과 이형제층(30)이 부드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떼기 쉬운 접착용 테이프.
  5. 제4항에 있어서,
    이형제층(30)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동일한 형상의 무늬나 모양을 도포하는 형태인 사선(31), 원형(32), 파형(33) 및 수평선(34)의 형태 중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떼기 쉬운 접착용 테이프.
  6. 제4항에 있어서,
    이형제층(30)과 접착층(20)의 두께는,
    접착층(20)이 이형제층(30)에 비하여 10-12배 두껍게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떼기 쉬운 접착용 테이프.




KR1020110049874A 2011-05-26 2011-05-26 떼기 쉬운 접착용 테이프 제조방법 및 그 접착용 테이프 KR201201315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874A KR20120131593A (ko) 2011-05-26 2011-05-26 떼기 쉬운 접착용 테이프 제조방법 및 그 접착용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874A KR20120131593A (ko) 2011-05-26 2011-05-26 떼기 쉬운 접착용 테이프 제조방법 및 그 접착용 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593A true KR20120131593A (ko) 2012-12-05

Family

ID=47515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874A KR20120131593A (ko) 2011-05-26 2011-05-26 떼기 쉬운 접착용 테이프 제조방법 및 그 접착용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159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5608A (ko) * 2015-10-19 2017-04-27 김대영 무소음 테이프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000132U (ko) * 2018-07-09 2020-01-17 서경발 불꽃놀이구의 연속점화용 점화테이프
KR20200054403A (ko) * 2018-11-09 2020-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코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시스템 온 칩 및 그것의 태스크 스케줄링 방법
WO2020099787A1 (fr) * 2018-11-14 2020-05-22 Urgo Recherche Innovation Et Developpement Procédé et installation de fabrication d'une bande adhésive
KR20210023053A (ko) * 2019-08-21 2021-03-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그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5608A (ko) * 2015-10-19 2017-04-27 김대영 무소음 테이프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000132U (ko) * 2018-07-09 2020-01-17 서경발 불꽃놀이구의 연속점화용 점화테이프
KR20200054403A (ko) * 2018-11-09 2020-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코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시스템 온 칩 및 그것의 태스크 스케줄링 방법
WO2020099787A1 (fr) * 2018-11-14 2020-05-22 Urgo Recherche Innovation Et Developpement Procédé et installation de fabrication d'une bande adhésive
KR20210023053A (ko) * 2019-08-21 2021-03-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그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13383443A (zh) * 2019-08-21 2021-09-10 株式会社Lg新能源 电极以及用于制造该电极的设备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31593A (ko) 떼기 쉬운 접착용 테이프 제조방법 및 그 접착용 테이프
JP5822957B2 (ja) 多層マスキングテープ
AU2019229410B2 (en) Cotton Packaging Roll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8124209B2 (en) Transfer tape for cutting and spooling a paper web
JPH08509451A (ja) スプライシングテープ、及びスプライシングテープを使用したスプライシング方法とスプライス
JPH0346951A (ja) 接合テープ
US4379012A (en) Adhesive tape for and method of joining webs
JP2011512311A (ja) ドラム上にウェブ末端を固定する装置及び方法
US8178181B2 (en) Transfer tape for cutting and spooling a paper web
US20070075176A1 (en) Article,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ment of a roll of web material to a treated core
WO2003008311A1 (en) High-speed web-splicing tape and method of use thereof
ITMI20081434A1 (it) Apparecchiatura per l'incollaggio del lembo terminale di rotoli o log di materiale in foglio
KR20100136665A (ko) 떼기 쉬운 테이프 제조방법과 그 테이프
US6582547B1 (en) Method of preparing for a splice
JP2014524972A (ja) はみ出しているライナーを有する接着テープの製造方法
JP3490637B2 (ja) 材料ラップロール、該材料ラップロール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該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KR20110139802A (ko) 이형제 날개부를 가진 테이프 제조방법
KR20110000048A (ko) 떼기 쉬운 테이프 제조방법
JP5202273B2 (ja) 粘着テープロール
JP2012153388A (ja) 巻取ロール紙包装体および巻取ロール紙の包装方法
JP2015006934A (ja) フィルム巻取用巻芯及びその製造方法
CN218275851U (zh) 一种电缆自动剥皮机
JP2003150059A (ja) テープ型粘着ラベルの裏打ち材
JP5033260B1 (ja) ラベルロール体
US11900836B2 (en) Method for forming a label we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