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6673A - 도르래를 이용한 양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중방법 - Google Patents

도르래를 이용한 양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6673A
KR20120126673A KR1020110044664A KR20110044664A KR20120126673A KR 20120126673 A KR20120126673 A KR 20120126673A KR 1020110044664 A KR1020110044664 A KR 1020110044664A KR 20110044664 A KR20110044664 A KR 20110044664A KR 20120126673 A KR20120126673 A KR 20120126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guide
inner frame
outer fram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4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근
정병석
이학주
장동운
박홍기
박진삼
안태상
황정현
황인규
Original Assignee
에스에이치공사
디알비동일 주식회사
쌍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이치공사, 디알비동일 주식회사, 쌍용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에이치공사
Priority to KR1020110044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6673A/ko
Publication of KR20120126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66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66Landings, receiv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도르래를 이용한 양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중방법은 내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가이드홈의 상단부에 고정도르래가 구성되고, 하단부에 가이드도르래가 구성된 가이드빔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되며, 힌지를 축으로 수직하방으로만 접혀지도록 구성된 지지부재가 형성된 외부프레임; "ㄷ"자형상으로 개구부가 상기 외부프레임의 가이드빔의 가이드홈을 마주보도록 구성되고, 사각형상으로 중앙부에 고정바가 구성되고, 개구부에는 고정도르래, 이송도르래와 가이드도르래가 상부, 중부, 하부에 각각 구성되며, 가이드롤러가 형성되어 외부프레임의 가이드빔의 내부에 안착되어 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롤러가 이동되도록 하는 내부프레임; 고정바에 건축자재를 적재할 수 있도록 적재판이 구성되며, 외주면에 난간대가 구성되는 대차캐리어; 대차캐리어의 하부에 구비되는 호이스트;와 호이스트와 외부프레임 및 내부프레임을 연결한 와이로 구성되어 호이스트를 작동시켜 내부프레임에 결착된 대차캐리어가 외부프레임을 따라 상승하도록 하여, 양중장치의 규모가 매우 작음에도 불구하고, 건축자재 등의 중량물을 양중(揚重, lifting)하여 저층뿐만 아니라 아무리 높은 고층 작업현장이더라도 용이하게 설치하여 작업 할 수 있으며, 같은 레벨뿐만 아니라 다른 레벨에서도 여러 대를 동시에 설치하여 양중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절감뿐만 아니라 공기단축에도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르래를 이용한 양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중방법{lifting heavy materials apparatus using pulle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도르래를 이용한 양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프레임을 건물 외벽에 설치하고 도르래를 이용하여 외부프레임을 따라 상승이동하는 내부프레임을 구성하여, 이미 완성된 골조부를 지지수단으로 하기 때문에 타워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내부프레임과 외부프레임을 번갈아 고정하여 상승시킴으로써 용이하게 건축자재 등의 중량물(重量物)을 양중(揚重, lifting)하여 고층 작업현장으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도르래를 이용한 양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중방법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현장에는 공사의 진척도에 따라 동바리, 비계 뿐 만 아니라 각종 건축자재들을 이송시켜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건축자재를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직접 운반을 하거나, 각 층의 슬래브에 장비반입구를 형성하여 자재를 이송하거나, 타워크레인이 설치되어 각종 건축자재를 양중 하였다. 그러나 작업자가 직접 운반하는 경우에는 자재들이 중량이 많이 나가서 힘들뿐만 아니라 이송의 한계가 있고, 작업자가 직접 계단이나, 가설물을 통하여 이송하여야 하기 때문에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슬래브에 장비반입구를 형성하여 자재를 이송하는 경우에는 장비반입구를 통하여 이송하는 경우에는 이송기간이 길어지고, 작업장 바닥에 장비반입구가 있어, 작업이 위험할 뿐만 아니라, 이송완료 후 다시 장비반입구를 메워야 하기 때문에 이 또한 공기가 길어질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이송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타워크레인은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도심의 번잡한 건축현장의 여건에 따라서 여러 대를 동시에 설치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최소한의 크레인을 설치하고 운영할 수밖에 없었으며, 건축자재 등의 중량물들을 이송하기 위해서는 타워크레인 운반 순서를 기다려서 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현장에서는 필요한 시점에 빠른 시간 내에 공사진행에 필요한 각종 중량물을 신속하게 적시에 공급받지 못할 뿐만 아니라 결과적으로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도르래를 이용한 양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중방법은 외부프레임을 건물 외벽에 설치하고 외부프레임을 따라 도르래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내부프레임을 구성하여, 양중장치의 규모가 매우 작음에도 불구하고, 건축자재 등의 중량물(重量物)을 양중(揚重, lifting)하여 저층뿐만 아니라 아무리 높은 고층 작업현장이더라도 내부프레임과 외부프레임을 번갈아가면서 고정시켜 올라가는 방식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설치하여 작업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같은 레벨뿐만 아니라 다른 레벨에서도 여러 대를 동시에 설치하여 양중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절감뿐만 아니라 중량물을 고층의 건축현장으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운반시켜 전체적으로 건축공사를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중량물 양중장치 및 양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가이드홈의 상단부에 고정도르래가 구성되고, 하단부에 가이드도르래가 구성된 가이드빔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되며, 힌지를 축으로 수직하방으로만 접혀지도록 구성된 지지부재가 형성된 외부프레임; "ㄷ"자형상으로 개구부가 상기 외부프레임의 가이드빔의 가이드홈을 마주보도록 구성되고, 사각형상으로 중앙부에 고정바가 구성되고, 개구부에는 고정도르래, 이송도르래와 가이드도르래가 상부, 중부, 하부에 각각 구성되며, 가이드롤러가 형성되어 외부프레임의 가이드빔의 내부에 안착되어 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롤러가 이동되도록 하는 내부프레임; 고정바에 건축자재를 적재할 수 있도록 적재판이 구성되며, 외주면에 난간대가 구성되는 대차캐리어; 대차캐리어의 하부에 구비되는 호이스트;와 와이어가 호이스트의 한방향으로 나와서 내부프레임의 가이드도르래, 외부프레임의 가이드도르래, 고정도르래, 내부프레임의 이송도르래, 고정도르래를 거치고 다시 반대쪽의 내부프레임의 고정도르래, 이송도르래, 외부프레임의 고정도르래, 가이드도르래, 내부프레임의 가이드도르래를 거쳐 호이스트로 감기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르래를 이용한 양중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내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가이드홈의 상단부에 고정도르래가 구성되고, 하단부에 가이드도르래가 구성된 가이드빔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되며, 힌지를 축으로 수직하방으로만 접혀지도록 구성된 지지부재가 형성된 외부프레임; "ㄷ"자형상으로 개구부가 상기 외부프레임의 가이드빔의 가이드홈을 마주보도록 구성되고, 사각형상으로 중앙부에 고정바가 구성되고, 개구부에는 이송도르래와 가이드도르래가 중부, 하부에 각각 구성되며, 가이드롤러가 형성되어 외부프레임의 가이드빔의 내부에 안착되어 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롤러가 이동되도록 하는 내부프레임; 고정바에 건축자재를 적재할 수 있도록 적재판이 구성되며, 외주면에 난간대가 구성되는 대차캐리어; 대차캐리어의 하부에 구비되는 호이스트;와 두 개의 와이어가 호이스트의 양방향으로 나와서 내부프레임의 가이드도르래, 외부프레임의 가이드도르래, 고정도르래, 내부프레임의 이송도르래를 차례로 거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르래를 이용한 양중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대차캐리어의 하부에서 내부프레임에 사선으로 지지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르래를 이용한 양중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대차캐리어의 상부에서 내부프레임에 사선으로 현수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르래를 이용한 양중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외부프레임의 지지부재를 슬래브에 앵커로 고정시키는 고정단계; 대차캐리어에 건축자재를 적재하는 적재단계; 호이스트를 작동시켜 내부프레임에 결착된 대차캐리어가 외부프레임을 따라 슬래브의 높이까지 상승하도록 하는 인양단계; 건축자재를 하차하는 하차단계; 나머지 자재 인양을 위해 아래층슬래브로 하강하는 하강단계; 이동 가능한 층의 작업이 모두 마무리될 때까지 적재단계, 인양단계, 하차단계, 하강단계를 반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르래를 이용한 양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하차단계 이후에 내부프레임을 외부프레임의 최상단까지 이동시키는 내부프레임이동단계; 내부프레임을 해당 슬래브에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고정단계; 슬래브에 고정된 외부프레임의 고정을 해체하는 해체단계; 호이스트를 작동시켜 가이드도르래와 가이드도르래의 높이가 같아지는 지점까지 고정된 내부프레임을 고정단으로 외부프레임을 인양시키는 외부프레임인양단계; 상기 인양된 외부프레임을 해당 슬래브에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앵커로 고정시키는 고정단계; 고정된 내부프레임의 지지부재의 앵커를 제거하여 내부프레임과 슬래브를 분리시키는 내부프레임분리단계; 로 이루어지면, 양중장치가 이동 가능한 층의 작업이 모두 마무리될 때까지 적재단계, 인양단계, 하차단계, 하강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르래를 이용한 양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도르래를 이용한 양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중방법은 외부프레임을 건물 외벽에 설치하고 외부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내부프레임을 구성하여 외부프레임과 내부프레임이 교대로 이동하여 수직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양중장치의 규모가 매우 작음에도 불구하고, 건축자재 등의 중량물(重量物)을 양중(揚重, lifting)하여 저층뿐만 아니라 아무리 높은 고층 작업현장이더라도 용이하게 설치하여 작업 할 수 있으며, 같은 레벨뿐만 아니라 다른 레벨에서도 여러 대를 동시에 설치하여 양중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절감뿐만 아니라 공기단축에도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르래를 이용한 양중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외부프레임과 내부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내부프레임의 정면도,
도 3b는 도 3a의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이 외부프레임의 가이드빔의 정면도,
도 4b는 본 발명이 외부프레임의 가이드빔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외부프레임과 내부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도르래를 이용한 양중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도르래를 이용한 양중장치의 상승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도르래를 이용한 양중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상승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도르래를 이용한 양중장치가 적용된 현장의 사시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도르래를 이용한 양중장치는 내부에 가이드홈(111)이 형성되며 가이드홈(111)의 상단부에 고정도르래(112)가 구성되고, 하단부에 가이드도르래(113)가 구성된 가이드빔(110)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되며, 힌지(510)를 축으로 수직하방으로만 접혀지도록 구성된 지지부재(500)가 형성된 외부프레임(100); "ㄷ"자형상으로 개구부(211)가 상기 외부프레임(100)의 가이드빔(110)의 가이드홈(111)을 마주보도록 구성되고, 사각형상으로 중앙부에 고정바(210)가 구성되고, 개구부(211)에는 고정도르래(240), 이송도르래(220)와 가이드도르래(230)가 상부, 중부, 하부에 각각 구성되며, 가이드롤러(250)가 형성되어 외부프레임(100)의 가이드빔(110)의 내부에 안착되어 가이드홈(111)을 따라 가이드롤러(250)가 이동되도록 하는 내부프레임(200); 고정바(210)에 건축자재를 적재할 수 있도록 적재판(310)이 구성되며, 외주면에 난간대(320)가 구성되는 대차캐리어(300); 대차캐리어(300)의 하부에 구비되는 호이스트(400);로 구성되어, 와이어(w)가 호이스트(400)의 한방향으로 나와서 내부프레임(200)의 가이드도르래(230), 외부프레임(100)의 가이드도르래(113), 고정도르래(112), 내부프레임(200)의 이송도르래(220), 고정도르래(240)를 거치고 다시 반대쪽의 내부프레임(200)의 고정도르래(240), 이송도르래(220), 외부프레임(100)의 고정도르래(112), 가이드도르래(113), 내부프레임(200)의 가이드도르래(230)를 거쳐 호이스트(400)로 감기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부프레임(100)은 내부에 가이드홈(111)이 형성되며 가이드홈(111)의 상단부에 고정도르래(112)가 구성되고, 하단부에 가이드도르래(113)가 구성된 가이드빔(110)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되며, 힌지(510)를 축으로 수직하방으로만 접혀지도록 구성된 지지부재(500)가 형성된다.
가이드홈(111)은 내부프레임(200)의 측면에 구성된 가이드롤러(250)가 가이드역할을 하며, 가이드홈(11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가이드빔(110)은 가이드홈(111)이 서로 마주보도록 쌍으로 구성되고, 가이드빔(110)의 사이에 내부프레임(200)이 위치하여 수직이동 하게 된다.
고정도르래(112)는 가이드빔(110)의 가이드홈(111)의 상단에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고, 가이드도르래(113)는 하단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지지부재(500)는 힌지(510)를 축으로 수직하방으로만 접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수직하방으로만 접혀지기 때문에, 외부프레임(100)이 상승할때는 지지부재(500)가 아래로 자연스럽게 접혀져 이동이 되고, 외부프레임(100)이 슬래브에 지지될때에는 상부로 접혀지지 않기 때문에 슬래브에 안착이 용이하다.
내부프레임(200)은 "ㄷ"자형상으로 개구부(211)가 상기 외부프레임(100)의 가이드빔(110)의 가이드홈(111)을 마주보도록 구성되고, 사각형상으로 중앙부에 고정바(210)가 구성되고, 개구부(211)에는 고정도르래(240), 이송도르래(220)와 가이드도르래(230)가 상부, 중부, 하부에 각각 구성되며, 가이드롤러(250)가 형성되어 외부프레임(100)의 가이드빔(110)의 내부에 안착되어 가이드홈(111)을 따라 가이드롤러(250)가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고정도르래(240), 이송도르래(220), 가이드도르래(230)는 내부프레임(200)의 양측면의 개구부(211)에 간격을 두고 각각 상부, 중부, 하부에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각각의 고정도르래(240), 이송도르래(220), 가이드도르래(230)는 와이어(w)로 호이스트(400)로 연결된다.
가이드롤러(250)는 내부프레임(200)의 측면에 구성되어, 외부프레임(100)의 가이드홈(111)을 따라 내부프레임(200)이 이동하는 가이드역할을 하여, 내부프레임(200)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외부프레임(100)을 따라 수직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내부프레임(200)은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형상으로 중앙부에 고정바(210)가 구성되고, 외부프레임(100)의 가이드빔(110)의 내부에 안착되어 가이드홈(111)을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
내부프레임(200)은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내부프레임(200)이 슬래브(s) 높이까지 대차캐리어(300)가 상승시에 대차캐리어(300)에 적재되어 있는 자재를 내릴 수 있는 개구부(350)가 되기 때문이다. 즉, 대차캐리어(300)가 연결되는 고정바(210)의 상부는 통로가 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뚫려 있도록 개구부(350)가 형성되어야 한다.
고정바(210)는 대차캐리어(300)가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내부프레임(200)의 틀을 연결시켜 구조가 견고해지게 하여 고정바(210)에 연결된 대차캐리어(300)가 견고히 체결되도록 한다.
대차캐리어(300)는 고정바(210)에 건축자재를 적재할 수 있도록 적재판(310)이 구성되며, 외주면에 난간대(320)가 구성된다.
호이스트(400)는 기성제품으로써, 용도에 따라 수동, 자동 용량에 맞춰 적용하여 사용한다. 호이스트(400)는 작업공간이나 적재공간이 협소하지 않도록 적재판(3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호이스트(400)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w)가 호이스트(400)의 한방향으로 나와서 내부프레임(200)의 가이드도르래(230), 외부프레임(100)의 가이드도르래(113), 고정도르래(112), 내부프레임(200)의 이송도르래(220), 고정도르래(240)를 거치고 다시 반대쪽의 내부프레임(200)의 고정도르래(240), 이송도르래(220), 외부프레임(100)의 고정도르래(112), 가이드도르래(113), 내부프레임(200)의 가이드도르래(230)를 거쳐 호이스트(400)로 감기도록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따라서 호이스트(400)를 가동시키면, 와이어의 한쪽을 감으면서 와이어의 길이가 짧아져 외부프레임(100)의 고정도르래(112)와 내부프레임(200)의 이송도르래(220)의 거리가 짧아지게 되는데, 이때, 외부프레임(100)을 슬래브(s)에 고정시켜 놓기 때문에, 내부프레임(200) 체가 외부프레임(100)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내부프레임(200)의 상승에 따라 내부프레임(200)에 구성되어 있는 대차캐리어(300)도 동반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일단 외부프레임(100)을 슬래브에 고정시켜놓은 상태에서 호이스트를 작동시키면, 외부프레임(100)의 고정도르래(112)와 내부프레임(200)의 이송도르래(220)의 거리가 짧아지게 되며, 외부프레임(100)이 고정된 상태이며, 이송도르래(220)에 고정된 내부프레임(200)이 외부프레임(100)을 따라 전체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외부프레임(100)을 3개 층의 슬래브의 높이로 형성해 놓는다면, 상기와 같이, 외부프레임(100)을 고정하고 호이스트(400)의 작동만으로 도 6a, 도 6b, 도 6c와 같이 차례로 2층, 3층의 높이까지 내부프레임(200)을 상승시킬 수 있다.
작업공정이 1층 레벨에서 상부로 올라간다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1층 높이에서 본 발명의 도르래를 이용한 양중장치의 외부프레임(100)을 구조물에 결착시키고 호이스트(400)를 작동시키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프레임(200)이 상부로 상승하게 되고 2층 슬래브의 레벨까지 내부프레임(200)이 상승하면 멈추고 하차작업을 하고, 작업 완료 후 다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층 슬래브의 레벨까지 내부프레임(200)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도르래를 이용한 양중장치는 내부에 가이드홈(111)이 형성되며 가이드홈(111)의 상단부에 고정도르래(112)가 구성되고, 하단부에 가이드도르래(113)가 구성된 가이드빔(110)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되며, 힌지(510)를 축으로 수직하방으로만 접혀지도록 구성된 지지부재(500)가 형성된 외부프레임(100); "ㄷ"자형상으로 개구부(211)가 상기 외부프레임(100)의 가이드빔(110)의 가이드홈(111)을 마주보도록 구성되고, 사각형상으로 중앙부에 고정바(210)가 구성되고, 개구부(211)에는 이송도르래(220)와 가이드도르래(230)가 중부, 하부에 각각 구성되며, 가이드롤러(250)가 형성되어 외부프레임(100)의 가이드빔(110)의 내부에 안착되어 가이드홈(111)을 따라 가이드롤러(250)가 이동되도록 하는 내부프레임(200); 고정바(210)에 건축자재를 적재할 수 있도록 적재판(310)이 구성되며, 외주면에 난간대(320)가 구성되는 대차캐리어(300); 대차캐리어(300)의 하부에 구비되는 호이스트(400);로 구성되어, 두 개의 와이어(w)가 호이스트(400)의 양방향으로 나와서 내부프레임(200)의 가이드도르래(230), 외부프레임(100)의 가이드도르래(113), 고정도르래(112), 내부프레임(200)의 이송도르래(220), 외부프레임(100)의 고정도르래(112)를 차례로 거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와이어(w)가 호이스트(400)의 양방향으로 나와서 내부프레임(200)의 가이드도르래(230), 외부프레임(100)의 가이드도르래(113), 고정도르래(112), 내부프레임(200)의 이송도르래(220)와 외부프레임(100)의 고정도르래(112)를 차례로 거치도록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두 개의 와이어가 호이스트(400)의 양방향으로 나와 연결되기 때문에, 호이스트(400)의 작동으로 양쪽 와이어가 감기면서 짧아져 외부프레임(100)의 고정도르래(112)와 내부프레임(200)의 이송도르래(220)의 거리가 짧아지게 되는데, 이때, 외부프레임(100)을 슬래브(s)에 고정시켜 놓기 때문에, 내부프레임(200) 체가 외부프레임(100)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내부프레임(200)의 상승에 따라 내부프레임(200)에 구성되어 있는 대차캐리어(300)도 동반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슬래브에 고정된 외부프레임(100)의 고정을 해제하고, 내부프레임(200)을 슬래브(s)에 고정한 다음 동일하게 호이스트(400)를 작동시킨다면, 도 7b, 도 7a의 순서로 외부프레임(100)이 내부프레임(200)을 고정단으로 하여 상승하게 된다.
또한, 대차캐리어(300)의 하부에서 내부프레임(200)에 사선으로 지지대(3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대(330)는 대차캐리어(300)와 내부프레임(200)의 연결된 상태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구성되며, 대차캐리어(300)의 하부에서 내부프레임(200)에 하향 사선방향으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또한, 대차캐리어(300)의 상부에서 내부프레임(200)에 사선으로 현수대(3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수대(340)는 대차캐리어(300)가 내부프레임(200)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쳐짐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성되며, 대차캐리어(300)의 상부에서 내부프레임(200)에 상향 사선방향으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도르래를 이용한 양중방법은 내부에 가이드홈(111)이 형성되며 가이드홈(111)의 상단부에 고정도르래(112)가 구성되고, 하단부에 가이드도르래(113)가 구성된 가이드빔(110)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되며, 힌지(510)를 축으로 수직하방으로만 접혀지도록 구성된 지지부재(500)가 형성된 외부프레임(100); "ㄷ"자형상으로 개구부(211)가 상기 외부프레임(100)의 가이드빔(110)의 가이드홈(111)을 마주보도록 구성되고, 사각형상으로 중앙부에 고정바(210)가 구성되고, 개구부(211)에는 고정도르래(240), 이송도르래(220)와 가이드도르래(230)가 상부, 중부, 하부에 각각 구성되며, 가이드롤러(250)가 형성되어 외부프레임(100)의 가이드빔(110)의 내부에 안착되어 가이드홈(111)을 따라 가이드롤러(250)가 이동되도록 하는 내부프레임(200); 고정바(210)에 건축자재를 적재할 수 있도록 적재판(310)이 구성되며, 외주면에 난간대(320)가 구성되는 대차캐리어(300); 대차캐리어(300)의 하부에 구비되는 호이스트(400);와 호이스트(400)와 외부프레임(100) 및 내부프레임(200)을 연결한 와이어(w)로 구성된 양중장치를 사용하여, 외부프레임(100)의 지지부재(500)를 슬래브(s)에 앵커(511)로 고정시키는 고정단계(S1); 대차캐리어(300)에 건축자재를 적재하는 적재단계(S2); 호이스트(400)를 작동시켜 내부프레임(200)에 결착된 대차캐리어(300)가 외부프레임(100)을 따라 슬래브(s)의 높이까지 상승하도록 하는 인양단계(S3); 건축자재를 하차하는 하차단계(S4); 나머지 자재 인양을 위해 아래층슬래브로 하강하는 하강단계(S5); 이동 가능한 층의 작업이 모두 마무리될 때까지 적재단계(S2), 인양단계(S3), 하차단계(S4), 하강단계(S5)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단계(S1)는 외부프레임(100)을 지지부재(500)와 외부프레임과 연결하고 다시 지지부재(500)를 슬래브(s)에 앵커(511)로 고정시킨다.
외부프레임(100)을 슬래브(s)와 고정시키는 것은 구조물의 측면에 고정시켰을 경우에는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외부프레임(100)이 이탈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슬래브에 고정시키는 것이며, 슬래브를 제외한 구조물은 벽체가 올라가기 전이기 때문에 고정시키는 공간이 부족한 까닭이기도 하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외부프레임(100)은 내부프레임(200)이 이동되는 가이드가 되는 것이다.
적재단계(S2)는 대차캐리어(300)에 건축자재를 적재한다. 적재단계는 하층에서 작업을 완료한 후에 각종 자재, 장비들 이송하기 위하여 적재하는 것이다.
인양단계(S3)는 호이스트(400)를 작동시켜 내부프레임(200)에 결착된 대차캐리어(300)가 외부프레임(100)을 따라 다음 레벨의 슬래브(s)의 높이까지 상승하도록 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호이스트(400)를 감도록 가동시키면, 와이어가 짧아지면서 고정도르래(112)와 이송도르래(220)간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고, 간격이 줄어들게 되면, 외부프레임(100)을 슬래브(s)에 고정시켜 놓기 때문에, 내부프레임(200) 전체가 외부프레임(100)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내부프레임(200)의 상승에 따라 내부프레임(200)에 연결 구성되어 있는 대차캐리어(300)도 동반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호이스트(400)를 작동시켜 대차캐리어(300)가 다음층의 슬래브에 위치하였을 때 정지시킨다.
하차단계(S4)는 건축자재를 하차하는 단계이다.
하강단계(S5)는 나머지 자재 인양을 위해 아래층슬래브로 내부프레임(200)을 하강시키는 단계이다.
이동 가능한 층의 작업이 모두 마무리될 때까지 적재단계(S2), 인양단계(S3), 하차단계(S4), 하강단계(S5)를 반복하여 건축자재의 이송이 마무리 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외부프레임(100)을 3개층의 슬래브의 높이로 형성해 놓는다면, 상기와 같이, 외부프레임(100)을 고정하고 호이스트(400)의 작동만으로 도 6a, 도 6b, 도 6c와 같이 차례로 2층, 3층의 높이까지 내부프레임(200)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슬래브에 고정된 외부프레임(100)의 고정을 해제하고, 내부프레임(200)을 슬래브(s)에 고정한 다음 동일하게 호이스트(400)를 작동시킨다면, 도 7b, 도 7a의 순서로 외부프레임(100)이 내부프레임(200)을 고정단으로 하여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차단계(S4) 이후에 내부프레임(200)을 외부프레임(100)의 최상단까지 이동시키는 내부프레임이동단계(S6); 내부프레임(200)을 해당 슬래브에 지지부재(500a)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고정단계(S7); 슬래브에 고정된 외부프레임(100)의 고정을 해체하는 해체단계(S8); 호이스트(400)를 작동시켜 가이드도르래(113)와 가이드도르래(230)의 높이가 같아지는 지점까지 고정된 내부프레임(200)을 고정단으로 외부프레임(100)을 인양시키는 외부프레임인양단계(S9); 상기 인양된 외부프레임(100)을 해당 슬래브에 지지부재(500)를 이용하여 앵커(511)로 고정시키는 고정단계(S10); 고정된 내부프레임(200)의 지지부재(500a)의 앵커를 제거하여 내부프레임(200)과 슬래브를 분리시키는 내부프레임분리단계(S11); 로 이루어지면, 양중장치가 이동 가능한 층의 작업이 모두 마무리될 때까지 적재단계(S2), 인양단계(S3), 하차단계(S4), 하강단계(S5)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적재단계(S2), 인양단계(S3), 고정단계(S4), 하강단계(S5), 내부프레임이동단계(S6)는 외부프레임(100)이 슬래브(s)에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프레임(100)을 따라 내부프레임(200)이 상부로 수직이동되며, 외부프레임인양단계(S9)는 슬래브(s)에 고정된 외부프레임(100)의 고정을 해체하고 내부프레임(200)을 중심으로 외부프레임(100)이 수직이동으로 상승을 하게 되는 것이다.
내부프레임이동단계(S6)은 상기 하차단계(S4) 이후에 내부프레임(200)을 외부프레임(100)의 최상단까지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이는 외부프레임(100)의 길이만큼의 슬래브까지 건축자재의 이송이 모두 끝났을 때, 다음 높이의 슬래브로 이동하기 위해서 이며, 상기 내부프레임(200)을 상기 외부프레임(100)의 최상단까지 이동시켜, 상기 내부프레임(200)을 고정단으로 외부프레임(100)을 상승시키기 위함이다.
고정단계(S7)는 내부프레임(200)을 해당 슬래브에 지지부재(500a)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단계이다.
지지부재(500a)를 이용하여 슬래브와 내부프레임(200)을 고정시켜, 내부프레임(200)을 고정단으로 만드는 것이다.
지지부재(500a)는 도 3a의 원안의 평면상세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프레임(200)의 상부 및 고정바(210)의 상부에 구성되며, 직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면, 내부프레임(200)을 고정하지 않을 때에는 고정프레임(200) 쪽으로 회전시켜 고정프레임(200)이 수직이동하는데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하고, 고정시킬 때에는 슬래브 쪽으로 회전시켜 슬래브에 앵커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시킨다.
해체단계(S8)는 슬래브에 고정된 외부프레임(100)의 고정을 해체하는 단계이다.
이는 외부프레임(100)을 고정하지 않고 내부프레임(200)을 고정시켜 내부프레임(200)을 고정으로 하여 외부프레임(100)을 상승시키기 위해서이다.
외부프레임인양단계(S9)는 호이스트(400)를 작동시켜 가이드도르래(113)와 가이드도르래(230)의 높이가 같아지는 지점까지 고정된 내부프레임(200)을 고정단으로 외부프레임(100)을 인양시키는 단계이다.
외부프레임(100)의 가이드도르래(113)와 내부프레임(200)의 가이드도르래(230)의 높이가 같아지는 지점은 외부프레임(100)이 내부프레임(200)의 최상단까지 이동되는 위치이기 때문이다.
고정단계(S10)는 상기 인양된 외부프레임(100)을 해당 슬래브에 지지부재(500)를 이용하여 앵커(511)로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내부프레임분리단계(S11)는 고정된 내부프레임(200)의 지지부재(500a)의 앵커를 제거하여 내부프레임(200)과 슬래브를 분리시키는 단계이다.
외부프레임(100)을 고정함과 동시에 내부프레임(200)을 슬래브 고정에서 해체하여, 호이스트(400) 가동으로 외부프레임(100)을 고정단으로 내부프레임(200)을 상승시키기 위해서이며, 적재단계(S2), 인양단계(S3), 고정단계(S4), 하강단계(S5)를 반복하여 건축자재를 양중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 도르래를 이용한 양중장치 100 : 외부프레임
110 : 가이드빔 111 : 가이드홈
112 : 고정도르래 113 : 가이드도르래
200 : 내부프레임 210 : 고정바
211 : 개구부 220 : 이송도르래
230 : 가이드도르래 240 : 고정도르래
300 : 대차캐리어 310 : 적재판
320 : 난간대 330 : 지지대
340 : 현수대 400 : 호이스트
500, 500a : 지지부재 510 : 힌지
511 : 앵커
s : 슬래브 w : 와이어

Claims (6)

  1. 내부에 가이드홈(111)이 형성되며 가이드홈(111)의 상단부에 고정도르래(112)가 구성되고, 하단부에 가이드도르래(113)가 구성된 가이드빔(110)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되며, 힌지(510)를 축으로 수직하방으로만 접혀지도록 구성된 지지부재(500)가 형성된 외부프레임(100);
    "ㄷ"자형상으로 개구부(211)가 상기 외부프레임(100)의 가이드빔(110)의 가이드홈(111)을 마주보도록 구성되고, 사각형상으로 중앙부에 고정바(210)가 구성되고, 개구부(211)에는 고정도르래(240), 이송도르래(220)와 가이드도르래(230)가 상부, 중부, 하부에 각각 구성되며, 가이드롤러(250)가 형성되어 외부프레임(100)의 가이드빔(110)의 내부에 안착되어 가이드홈(111)을 따라 가이드롤러(250)가 이동되도록 하는 내부프레임(200);
    고정바(210)에 건축자재를 적재할 수 있도록 적재판(310)이 구성되며, 외주면에 난간대(320)가 구성되는 대차캐리어(300);
    대차캐리어(300)의 하부에 구비되는 호이스트(400);로 구성되어, 와이어(w)가 호이스트(400)의 한방향으로 나와서 내부프레임(200)의 가이드도르래(230), 외부프레임(100)의 가이드도르래(113), 고정도르래(112), 내부프레임(200)의 이송도르래(220), 고정도르래(240)를 거치고 다시 반대쪽의 내부프레임(200)의 고정도르래(240), 이송도르래(220), 외부프레임(100)의 고정도르래(112), 가이드도르래(113), 내부프레임(200)의 가이드도르래(230)를 거쳐 호이스트(400)로 감기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르래를 이용한 양중장치.
  2. 내부에 가이드홈(111)이 형성되며 가이드홈(111)의 상단부에 고정도르래(112)가 구성되고, 하단부에 가이드도르래(113)가 구성된 가이드빔(110)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되며, 힌지(510)를 축으로 수직하방으로만 접혀지도록 구성된 지지부재(500)가 형성된 외부프레임(100);
    "ㄷ"자형상으로 개구부(211)가 상기 외부프레임(100)의 가이드빔(110)의 가이드홈(111)을 마주보도록 구성되고, 사각형상으로 중앙부에 고정바(210)가 구성되고, 개구부(211)에는 이송도르래(220)와 가이드도르래(230)가 중부, 하부에 각각 구성되며, 가이드롤러(250)가 형성되어 외부프레임(100)의 가이드빔(110)의 내부에 안착되어 가이드홈(111)을 따라 가이드롤러(250)가 이동되도록 하는 내부프레임(200);
    고정바(210)에 건축자재를 적재할 수 있도록 적재판(310)이 구성되며, 외주면에 난간대(320)가 구성되는 대차캐리어(300);
    대차캐리어(300)의 하부에 구비되는 호이스트(400);로 구성되어,
    두 개의 와이어(w)가 호이스트(400)의 양방향으로 나와서 내부프레임(200)의 가이드도르래(230), 외부프레임(100)의 가이드도르래(113), 고정도르래(112), 내부프레임(200)의 이송도르래(220), 외부프레임(100)의 고정도르래(112)를 차례로 거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르래를 이용한 양중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대차캐리어(300)의 하부에서 내부프레임(200)에 사선으로 지지대(3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르래를 이용한 양중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대차캐리어(300)의 상부에서 내부프레임(200)에 사선으로 현수대(3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르래를 이용한 양중장치.
  5. 내부에 가이드홈(111)이 형성되며 가이드홈(111)의 상단부에 고정도르래(112)가 구성되고, 하단부에 가이드도르래(113)가 구성된 가이드빔(110)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되며, 힌지(510)를 축으로 수직하방으로만 접혀지도록 구성된 지지부재(500)가 형성된 외부프레임(100); "ㄷ"자형상으로 개구부(211)가 상기 외부프레임(100)의 가이드빔(110)의 가이드홈(111)을 마주보도록 구성되고, 사각형상으로 중앙부에 고정바(210)가 구성되고, 개구부(211)에는 고정도르래(240), 이송도르래(220)와 가이드도르래(230)가 상부, 중부, 하부에 각각 구성되며, 가이드롤러(250)가 형성되어 외부프레임(100)의 가이드빔(110)의 내부에 안착되어 가이드홈(111)을 따라 가이드롤러(250)가 이동되도록 하는 내부프레임(200); 고정바(210)에 건축자재를 적재할 수 있도록 적재판(310)이 구성되며, 외주면에 난간대(320)가 구성되는 대차캐리어(300); 대차캐리어(300)의 하부에 구비되는 호이스트(400);와 호이스트(400)와 외부프레임(100) 및 내부프레임(200)을 연결한 와이어(w)로 구성된 양중장치를 사용하여,
    외부프레임(100)의 지지부재(500)를 슬래브(s)에 앵커(511)로 고정시키는 고정단계(S1);
    대차캐리어(300)에 건축자재를 적재하는 적재단계(S2);
    호이스트(400)를 작동시켜 내부프레임(200)에 결착된 대차캐리어(300)가 외부프레임(100)을 따라 슬래브(s)의 높이까지 상승하도록 하는 인양단계(S3);
    건축자재를 하차하는 하차단계(S4);
    나머지 자재 인양을 위해 아래층슬래브로 하강하는 하강단계(S5);
    이동 가능한 층의 작업이 모두 마무리될 때까지 적재단계(S2), 인양단계(S3), 하차단계(S4), 하강단계(S5)를 반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르래를 이용한 양중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차단계(S4) 이후에 내부프레임(200)을 외부프레임(100)의 최상단까지 이동시키는 내부프레임이동단계(S6);
    내부프레임(200)을 해당 슬래브에 지지부재(500a)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고정단계(S7);
    슬래브에 고정된 외부프레임(100)의 고정을 해체하는 해체단계(S8);
    호이스트(400)를 작동시켜 가이드도르래(113)와 가이드도르래(230)의 높이가 같아지는 지점까지 고정된 내부프레임(200)을 고정단으로 외부프레임(100)을 인양시키는 외부프레임인양단계(S9);
    상기 인양된 외부프레임(100)을 해당 슬래브에 지지부재(500)를 이용하여 앵커(511)로 고정시키는 고정단계(S10);
    고정된 내부프레임(200)의 지지부재(500a)의 앵커를 제거하여 내부프레임(200)과 슬래브를 분리시키는 내부프레임분리단계(S11);
    로 이루어지면, 양중장치가 이동 가능한 층의 작업이 모두 마무리될 때까지 적재단계(S2), 인양단계(S3), 하차단계(S4), 하강단계(S5)를 반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르래를 이용한 양중방법.
KR1020110044664A 2011-05-12 2011-05-12 도르래를 이용한 양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중방법 KR201201266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664A KR20120126673A (ko) 2011-05-12 2011-05-12 도르래를 이용한 양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664A KR20120126673A (ko) 2011-05-12 2011-05-12 도르래를 이용한 양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673A true KR20120126673A (ko) 2012-11-21

Family

ID=47511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4664A KR20120126673A (ko) 2011-05-12 2011-05-12 도르래를 이용한 양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6673A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21213A (zh) * 2016-08-31 2016-11-16 武汉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超高层全钢爬升外架多次变截面提升装置和施工方法
CN106592955A (zh) * 2016-11-16 2017-04-26 上海市建筑装饰工程集团有限公司 外墙脚手架内石材垂直运输平台
CN107165425A (zh) * 2017-05-25 2017-09-15 张志通 一种建筑用卸料平台
CN108821170A (zh) * 2018-07-31 2018-11-16 河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堆垛机载货台用防坠落锁紧机构
CN110145128A (zh) * 2019-05-30 2019-08-20 谢润 一种高层公共建筑施工用卸料平台
CN110409845A (zh) * 2019-08-01 2019-11-05 舜元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自行移动的卸料平台及其施工方法
WO2020104321A1 (de) * 2018-11-21 2020-05-28 Telejet Kommunikations Gmbh Etagen-aufzug
CN112177325A (zh) * 2020-09-25 2021-01-05 山西二建集团有限公司 一种大跨度混凝土施工悬挑模板结构
CN112796529A (zh) * 2020-12-30 2021-05-14 咸宁智锐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限位支座可调节的悬挑卸料钢构架
CN113503044A (zh) * 2021-08-09 2021-10-15 广州阿布建材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卸料平台
CN113982118A (zh) * 2021-09-02 2022-01-28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便于拆装的高层建筑钢结构
IT202100000770A1 (it) * 2021-01-18 2022-07-18 Fiorenzo Sartor Montacarichi da cantiere
CN116397864A (zh) * 2023-06-07 2023-07-07 山西省安装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沉井施工用脚手架装置
CN117585591A (zh) * 2024-01-17 2024-02-23 辽宁城建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施工的狭小空间吊运装置及其吊运方法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21213B (zh) * 2016-08-31 2018-05-08 武汉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超高层全钢爬升外架多次变截面提升装置和施工方法
CN106121213A (zh) * 2016-08-31 2016-11-16 武汉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超高层全钢爬升外架多次变截面提升装置和施工方法
CN106592955A (zh) * 2016-11-16 2017-04-26 上海市建筑装饰工程集团有限公司 外墙脚手架内石材垂直运输平台
CN107165425A (zh) * 2017-05-25 2017-09-15 张志通 一种建筑用卸料平台
CN108821170A (zh) * 2018-07-31 2018-11-16 河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堆垛机载货台用防坠落锁紧机构
WO2020104321A1 (de) * 2018-11-21 2020-05-28 Telejet Kommunikations Gmbh Etagen-aufzug
CN110145128A (zh) * 2019-05-30 2019-08-20 谢润 一种高层公共建筑施工用卸料平台
CN110145128B (zh) * 2019-05-30 2021-04-16 安徽明邦建设有限公司 一种高层公共建筑施工用卸料平台
CN110409845B (zh) * 2019-08-01 2024-05-28 舜元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自行移动的卸料平台及其施工方法
CN110409845A (zh) * 2019-08-01 2019-11-05 舜元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自行移动的卸料平台及其施工方法
CN112177325A (zh) * 2020-09-25 2021-01-05 山西二建集团有限公司 一种大跨度混凝土施工悬挑模板结构
CN112796529A (zh) * 2020-12-30 2021-05-14 咸宁智锐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限位支座可调节的悬挑卸料钢构架
IT202100000770A1 (it) * 2021-01-18 2022-07-18 Fiorenzo Sartor Montacarichi da cantiere
EP4029820A1 (en) * 2021-01-18 2022-07-20 Fiorenzo Sartor Construction hoist
CN113503044A (zh) * 2021-08-09 2021-10-15 广州阿布建材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卸料平台
CN113982118A (zh) * 2021-09-02 2022-01-28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便于拆装的高层建筑钢结构
CN116397864A (zh) * 2023-06-07 2023-07-07 山西省安装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沉井施工用脚手架装置
CN116397864B (zh) * 2023-06-07 2023-08-18 山西省安装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沉井施工用脚手架装置
CN117585591A (zh) * 2024-01-17 2024-02-23 辽宁城建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施工的狭小空间吊运装置及其吊运方法
CN117585591B (zh) * 2024-01-17 2024-04-16 辽宁城建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施工的狭小空间吊运装置及其吊运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6673A (ko) 도르래를 이용한 양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중방법
US9193567B2 (en) Method in the manufacture of an elevator
US8616340B2 (en)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JPH0821100A (ja) 揚重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構築資材の運搬方法
CN103402901A (zh) 方法和电梯配置
JP2000072344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716454B1 (ko) 다중 커튼월 양중틀 및 이를 이용한 커튼월 설치방법
JP3579816B2 (ja) 躯体構築用多目的ステージ
JP2008063873A (ja) 天井の搬送機構及び施工方法
JP2001097649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21038629A1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装置
JP7033993B2 (ja) 巻上機を用いた重量物搬送方法
JP2017071488A (ja) 重量物の階段揚重装置及び階段揚重方法
KR101341699B1 (ko) 코어형 양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중방법
JP3920527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
JP5410322B2 (ja) 構造体建造方法とそれに用いる構造体建造治具
JPH10167668A (ja) 垂直・水平搬送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6898161B2 (ja) 仮設通路システム、及び、高層構造物の修繕方法
JP5458385B2 (ja) クレーン
JPH05113026A (ja) 仮設足場構造体
JPH08338136A (ja) 建設用の昇降装置
KR101105255B1 (ko) 가이드레일을 이용한 건축자재 인양장치
JP2000053375A (ja) 旋回式天井クレーンに対応した垂直搬送システム
JPH10182066A (ja) 垂直搬送装置
JP2023128271A (ja) 工事用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