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4413A - 교육용 현악기의 터치 스크린 시뮬레이션 - Google Patents

교육용 현악기의 터치 스크린 시뮬레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4413A
KR20120124413A KR1020127019075A KR20127019075A KR20120124413A KR 20120124413 A KR20120124413 A KR 20120124413A KR 1020127019075 A KR1020127019075 A KR 1020127019075A KR 20127019075 A KR20127019075 A KR 20127019075A KR 20120124413 A KR20120124413 A KR 20120124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e
representation
string
played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9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이언 히로아키 츠가모토
Original Assignee
미소 미디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소 미디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미소 미디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20124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44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01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chords
    • G09B15/002Electrically operated systems
    • G09B15/003Electrically operated systems with indication of the keys or strings to be played on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A63F13/2145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the surface being also a display device, e.g. touch scree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1/00Means for the representation of music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10H1/0016Means for indicating which keys, frets or strings are to be actuated, e.g. using lights or le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42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guitar-like instruments with or without strings and with a neck on which switches or string-fret contacts are used to detect the notes being play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9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performance evaluation, i.e. judging, grading or scoring the musical qualities or faithfulness of a performance, e.g. with respect to pitch, tempo or other timings of a reference performan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91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 G10H2220/096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using a touch scree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 G10H2230/015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or palmtop computing devices used for musical purposes, e.g. portable music players, tablet computers, e-readers or smart phones in which mobile telephony functions need not be us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45Special instrument [spint], i.e. mimicking the ergonomy, shape, sound or other characteristic of a specific acoustic musical instrument category
    • G10H2230/075Spint stringed, i.e. mimicking stringed instrument features, electrophonic aspects of acoust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out keyboard; MIDI-like control therefor
    • G10H2230/135Spint guitar, i.e. guitar-like instruments in which the sound is not generated by vibrating strings, e.g. guitar-shaped game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터치 스크린(100)을 구비한 컴퓨터 상에서 구현되는 현악기 교육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은 음표가 연주되어야 할 시간의 일정 기간 이전에 음표 표현부(140)가 나타나서 (다수의 대응하는 음표를 연주하기 위해서 눌러지게 되는 다수의 위치를 갖는) 현 표현부를 따라서 목표 구역(150)으로 이동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음표 표현부가 목표 구역(150)에 도달하게 되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의 올바른 위치를 터치함으로써 해당 음표가 올바르게 연주되었을 때에 음표 표현부(140)는 반응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음표 표현부는 해당 음표를 올바르게 연주하기 위해서 터치되어야 하는 위치를 반영한다.

Description

교육용 현악기의 터치 스크린 시뮬레이션{EDUCATIONAL STRING INSTRUMENT TOUCHSCREEN SIMULATION}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및 스피커를 구비하고 다수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선택 사양적으로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이하에서는 "디바이스"로 지칭됨) 상에 설치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임의의 현악기 상에서 임의의 음악을 연주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교육 방법은 임의의 악기 상에서 음악을 배우고자 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걸림돌이 되는 전통적인 악보 표시법을 피하고 보다 직관적인 표현을 선호한다. 또한, 본 컴퓨터 프로그램은 임의의 현악기에 대한 연주 가능한 시각적 표현부 상에서의 교육용 모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통해서 초보자용 현악기를 쇼핑 및 구매하는데 관련된 시간 및 비용뿐만 아니라 다음 레벨의 악기(가령, 고급 각기 또는 성장하는 아이에 있어서는 더 큰 악기)를 쇼핑 및 구매하는데 사용되는 시간 및 비용을 이러한 악기가 본 디바이스에서 제공된 가상 악기보다 바람직할 때까지 피할 수 있게 한다. 말할 것도 없이, 그러한 실제 악기가 발생하는 사용자의 귀에 입히는 스트레스도 피할 수 있다.
악보를 보다 직관적인 표현 방식으로 변환(악보의 디지털화)시킴으로써 전통적인 악보 표시법을 배우는 것을 피할 수 있으며 특히 음악 이론을 가르치는데 사용되는 음악의 경우에 악보를 구입하는 비용이 필요 없게 된다. 즉, 음계, 코드 음계, 펼침 화음 음계(broken chord scale) 및 화음 프로그레션(chord progression)이 최소의 노력으로 모든 현악기에 대해서 모든 키에서 자동 생성되고 값없이 이용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음악 이론에서의 모든 음계는 임의의 현악기에 대한 따라하기 용이하면서 보다 직관적인 표현 방식으로 해서 거의 비용이 들지 않으면서 무한으로 재생될 수 있다.
가상 악기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손가락 위치를 기록할 수 있다. 기록된 정보는 이어서 사용자에 의해서 다시 재생 및 분석될 수 있다. 또는 기록된 정보는 인터넷 또는 몇몇 다른 정보 전달 매체를 통해서 다른 사용자들에게 공개될 수 있다. 이 다른 사용자들은 최초 사용자에 의해서 기록된 손가락 위치를 따라하려고 할 것이며 이로써 최초 사용자에 의해서 교육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아이폰(애플사) 및 안드로이드(오픈 핸드세트 얼라이언스(OHA))용 모바일 디바이스과 같은 디바이스 상에서 가용한 몇몇 가상 악기(현을 뜯어 소리를 내는 현악기 및 다른 타입의 악기)를 알고 있다. 기존의 어떠한 가상 악기도 임의의 노래를 설치 및 연습하는 수단을 제공하지 못하며 기존의 어떠한 가상 악기도 악기에 특정되지 않는 음악적 교육도 전혀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움직이는 음표가 현 상의 일 지점을 칠 때에 숫자 키를 누름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우쿨렐레(ukulele)를 연주하도록 돕는 www.hawaiiukulelehero.com에서 개시된 "ukulele hero"라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또한 알고 있다.
또한, 본 발명자는 Dance Dance Revolution이라는 게임이 다운비트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리듬 위치를 갖는 화살표에 상이한 색상을 제공하는 것을 알고 있다.
본 발명자는 또한 복수의 버튼 및 3 위치 스트링 적재형 토글로 구성된 "기타"를 사용하여서 임의의 노래의 리듬 및 일반적인 멜로디 형태를 시뮬레이션하는 몇몇 게임 콘솔을 알고 있다. 이러한 게임 콘솔은 사용자로 하여금 정확하게 한 개의 현(string) 및 몇 개의 프랫(fret)을 갖는 악기 상에서 노래를 연주하는 방법을 가르친다. 이러한 게임 콘솔에서는 사용자는 (토글에 의해서 시뮬레이션되는) 단지 하나의 현을 뜯는 동안에 다수의 버튼을 누르고 있어야 한다. 분명하게, 이러한 게임 콘솔은 현마다 최대 하나의 프랫이 눌러져서 현악기 상에서 임의의 코드(chord)를 연주하는 바와 같은 실제 기타 상에서 코드(다수의 동시적 음표(현악기용 현마다 최대 하나의 음표))를 연주하도록 사용자를 가르치는 목적을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바이스 상에 설치되어서 사용자에게 임의의 현악기 상에서 노래를 연주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초보자용 악기 및 다음 레벨의 악기를 쇼핑 및 구매하는데 소비되는 비용 및 시간을 이러한 구매가 경제적으로 유리할 때까지 피하게 하고 모든 인쇄된 악보의 구매, 특히 음악 이론과 관련 악보의 구매를 피하게 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바이스에 의해서 무한 재생 가능한 교육용 콘텐츠를 생성하는 수단 및 이러한 콘텐츠를 배포 및 수신하는 수단을 구비한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제적이고 컴팩트하고 용이하게 들고다닐 수 있는 제품을 디바이스 상에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또는 다른 디바이스 상의 파일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그러한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은 현악기 교육용 디바이스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 현악기 교육용 디바이스는 터치 스크린을 갖는 컴퓨터와, 상기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 하여금 대응하는 다수의 상이한 음표들을 연주하도록 터치될 수 있는 다수의 위치들을 갖는 현 표현부(string representation)를 표시한다. 상기 소프트웨어는 해당 음표가 연주되어야 하는 시간의 고정된 기간 이전에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해당 음표의 음표 표현부가 나타나서 상기 현 표현부를 따라서 목표 구역으로 이동하게 한다. 상기 음표 표현부는 자신이 그 상에서 이동하는 상기 현 표현부 상에서의 상기 음표를 올바르게 연주하기 위해서 터치되어야 하는 올바른 위치를 나타낸다. 상기 소프트웨어는 상기 음표 표현부가 상기 목표 구역에 도달하면 사용자가 상기 현 표현부의 올바른 위치를 터치함으로써 상기 음표가 올바르게 연주되었음을 상기 음표 표현부가 반응하게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게 알리는 동작이 수행되게 한다.
달리 말하면, 본 디바이스는 터치 스크린으로 하여금 현악기, 바람직하게는 플럿킹형 현악기용의 태블러추어(tablature)를 다음과 같이 직관적인 표현으로 표시하게 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프로그래밍된 (다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갖는 컴퓨터일 수 있다. 여기서, 연주될 각 음표의 시각적 표현부가 이 음표가 연주되어야 할 시간의 고정된 기간 이전에 나타난다. 디스플레이는 다수의 섹션으로 분할된다. 즉, 현악기 상의 매 현이 각 세션에 대응하도록 분할된다. 일 현 상에서 연주되어야 할 각 음표의 시각적 표현부가 디스플레이 상의 대응하는 섹션 내에 나타나고 이 섹션 내에서 (그 현을 따라서) 목표 구역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음표의 시각적 표현부는 해당 음표를 올바르게 연주하기 위해서 눌러져야 하는 현 표현부 상의 위치를 반영한다. 이는 (통상적인 기타 태블러추어에서와 같이) 프랫 번호를 사용하여서 수행되거나 (무프랫형(fretless) 현악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음표의 실제 명칭을 사용하여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이는 번호를 갖는 태블러추어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음의 정수가 아닌 정수와 일대일 방식으로 맵핑되는 값 세트를 사용하거나 상이한 음표들의 명칭과 맵핑되는 값 세트를 사용하여서 수행될 수 있다. 음표가 연주되어야 할 때에 고정된 허용치 내에서 사용자가 음표를 올바르게 연주하였다면(즉, 음표가 연주될 때에 상기 이동하는 시각적 표현부가 상기 목표 구역의 소정의 범위 내에 있게 되면), 음표가 올바르게 연주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음표의 시각적 표현부가 반응할 것이다. 이로써, 음표를 올바르게 연주한 바에 대해서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게 된다.
추가적인 가능한 동작 모드에서, 현악기 교육용 디바이스는 마이크로폰 입력부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실제 현 악기 또는 다른 악기 (또는 노래)를 연주하여서 입력부로 입력시킬 수 있다. 이 마이크로폰 입력부로의 입력 정보는 피치를 판정하기 위해서 분석된다. 상기 분석 결과가 상기 목표 구역의 특정된 허용치 내에 있는 시각적 표현부를 갖는 음표와 일치하는 피치를 산출하면 해당 음표가 또는 노래가 올바르게 연주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상기 음표 표현부가 반응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스크린 상의 이미지에 의해서 표현되는 노래를 연주하여서 마이크로폰으로 입력한 경우에, 각 음표가 올바르게 연주되었으면 스크린 상의 대응하는 음표 표현부가 반응할 것이다. 음표가 올바르게 연주되었다고 나타내도록 반응하지 못하게 되는 각 시각적 음표 표현부는 마이크로폰으로 입력되는 음표가 올바르게 연주되거나 불러지지 않았음을 반영한다. 이로써, 임의의 현악기 또는 다른 악기 상에서 임의의 노래를 연주하거나 임의의 노래를 부르는 방법을 학습하는데 본 발명의 디바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마이크로폰을 갖추고 있는 대부분의 현대의 컴퓨터에서 가능하다.
다른 가능한 동작 모드에서, 디바이스는 악기(본 명세서에서는 "가상 악기"로 지칭됨)의 프랫보드의 연주가능한 시각적 표현부의 상부 상에 상술된 정보를 표시한다. 스크린의 일 섹션은 플럿킹(plucking)용으로 지정되고 나머지는 "핑거링(fingering)"용으로 지정된다. 플럿킹은 현이 진동하게 하는 모든 수단을 포함한다. 가령, 플럿킹은 다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플럿킹, 스트러밍(strumming), 피킹(picking), 보잉(bowing) 또는 스트라이킹(striking)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핑거링 구역 내에서 현악기의 프랫들의 시각적 표현부들 간의 구역을 터치하고 이어서 스크린의 플럿킹 섹션 내에서 스크린 상에 표시된 현을 나타내는 라인을 따라서 손가락을 드래그하면, 디바이스의 스피커가 해당 프랫이 아래로 눌러지고 해당 현이 플럿킹될 때에 실제 악기로부터 방출될 수 있는 음표를 연주하게 된다. 먼저 기술된 동작 모드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사용하여서 음표를 올바르게 연주하면, 이 음표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부가 반응할 것이다. 이로써, 각 현악기의 각각의 가상 버전 상에서 임의의 노래를 연주하는 방식을 학습하는데 본 발명의 디바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본 디바이스를 사용하여서 실제 악기를 전혀 구매하지 않고서도 임의의 현악기 상에서의 임의의 노래를 연주하는 방식을 학습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과의 각 접촉 지점의 순간적 위치를 기록하도록 본 디바이스가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는 인터넷 또는 몇몇 다른 정보 전달 매체를 통해서 배포될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를 수령한 사용자들은 각 프랫이 먼저 눌러지는 순간, 각 접촉 지점이 움직이는 때 및 각 접촉 지점의 접촉이 해제될 때를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일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들의 연주를 무한정하게 재생 가능한 포맷으로 가르칠 수 있다.
선택 사양적으로, 바이올린과 같은 무프랫형 현악기를 연주하는 방식을 학습하는데 있어서도 본 디바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우쿨렐레(ukulele) 또는 전통적인 베이스 기타와 같은 4 개의 현을 갖는 프랫형 현악기와 관련하여서 본 발명을 나타내는 터치 스크린의 전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기타와 같은 6 개의 현을 갖는 프랫형 현악기와 관련하여서 본 발명을 나타내는 터치 스크린을 갖는 스마트 폰의 전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또는 스트링 베이스와 같은 4 개의 현을 갖는 무프랫형 현악기와 관련하여서 본 발명을 나타내는 터치 스크린을 갖는 스마트 폰의 전면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고려될 수 있는 최상의 모드에 따른 제 1 실시예(100)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터치 스크린 상에서의 우쿨렐레용 현 표현 방식을 나타내며 수직형 바(110)는 숫자를 이용하여서 프랫을 식별한다. 최 좌측 현(120)에 대한 현 표현부는 최 좌측 현 상에서 연주될 음표에 대응하는 스크린의 수직형 슬라이스를 규정한다. 연주될 음표에 대한 표현부는 현 표현부를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하향으로 움직인다. 여기서, 동일한 레벨에서 움직이는 다수의 음표 표현부(130)는 다수의 현들이 (일 코드를 연주하기 위해서) 동시에 연주될 것을 나타낸다. 동시에 연주될 현의 개수는 악기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다. 가령, 우쿨렐레에 있어서는 4 개이며 전통적인 기타의 경우에는 6 개이다. 바람직하게는, 음표 표현부는 눌러져서 해당 음표를 위해서 연주될 프랫을 식별하는 숫자를 표시하고 있다. 숫자 제로는 개방된 현을 나타낸다. 즉, 해당 현에 대해서는 어떠한 프랫도 눌러지지 않음을 나타낸다.
프랫형 현악기 상에서 프랫이 눌러지거나 연주된다는 것은 사용자가 상기 특정 프랫과 바디로부터 다음으로 먼 프랫 간에서 현을 프랫보드에 대향하여서 눌러서(현을 상기 특정 프랫 "후방"에서 눌러서) 이 특정 프랫으로부터 연장되고 바디를 향해서 내측으로 향해 있는 현의 일부가 자유롭게 진동함을 실제로 의미한다. 이로써, 본 명세서에서 일 프랫이 터치되거나 눌러지거나 일 플랫에서 연주된다고 기술되면, 사용자는 실제 프랫형 현악기에서와 같이 이 일 플랫 후방의 구역을 터치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무프랫형 현악기에서, 사용자는 소망하는 음표를 연주하기 위해서 필요한 현의 실제 구역을 터치한다.
본 발명이 구현되는 방식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 단일 음표 표현부(140)가 설명될 것이다. 이 단일 음표 표현부(140)는 좌측으로부터 3 번째 현을 따라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며 숫자 5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숫자 5는 소망하는 음표가 좌측으로부터 3 번째 현 상의 5 번째 프랫을 누름으로써 연주됨을 표시한다. 이 단일 음표부(140) (및 음표 표현부들(130)을 포함하는 모든 다른 음표 표현부들)은 터치 스크린의 목표 구역(150)을 향해서, 바람직하게는 바닥부 근처를 향해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한다. 단일 음표 표현부(140)와 같은 임의의 음표 표현부가 이 목표 구역에 도달하면, 해당 음표가 연주된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단일 음표 표현부(140)가 그 상을 이동하는) 현 표현부에 있어서 해당 단일 음표 표현부에 대응하는 프랫을 누른 상태에서 목표 구역(150) 내의 (단일 음표 표현부(140)가 그 상을 이동하는) 현 표현부를 터치함으로써 해당 음표가 연주된다. 선택 사양적으로, 목표 구역 내의 현 표현부를 다양한 모션으로 터치하는 바는 플럿킹(plucking), 스트러밍(strumming) 또는 피킹(picking)을 표현하도록 컴퓨터가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100)에서, 목표 구역은 "플럿킹" 구역일 수 있는데 이 플럿킹 구역에서는 음표는 터치 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연주되며 목표 구역 위의 구역은 "핑거링(fingering)" 구역이며 이 핑거링 구역에서는 프랫들이 터치 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눌러진다.
바람직하게는, 음표 표현부(140)에 대응하는 올바른 프랫을 누르면서 플럿킹 구역 내의 현 표현부를 터치함으로써 음표가 올바르게 연주되는 경우에, 음표 표현부(140)가 목표 구역(150)에 도달하면, 이 음표 표현부(140)는 상기 목표 구역을 넘어서 이동하기 이전에 가령 사라짐으로써 반응할 수 있다. 이는 마치 비디오 게임에서와 같은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컴퓨터는 스피커를 구비하고 음표 표현부(140)에 대응하는 음표는 이 음표가 올바르게 연주될 때에 스피커에 의해서 생성된다.
단일 음표 표현부(140)가 다수의 음표 표현부들(130)보다 목표 구역(150)에 더 가까이 있기 때문에, 이 단일 음표 표현부(140)는 다수의 음표 표현부(130)보다 앞서서 목표 구역(150)에 도달하게 되며, 이로써 이 단일 음표 표현부(140)가 다수의 음표 표현부들(130)보다 먼저 연주된다.
선택 사양적으로, 올바르게 연주되지 않은 음표의 음표 표현부(160)는 사라지는 대신에 목표 구역(150)을 넘어서 이동하게 된다. 이 제 1 실시예(100)에서, 올바르게 연주된 음표의 각 음표 표현부는 사라지며, 올바르게 연주되지 않은 음표의 음표 표현부(160)는 목표 구역을 지나서도 사라지지 않는다. 이렇게 사라지지 않는 바는 음표가 올바르게 연주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올바르게 연주되지 않은 음표의 음표 표현부(160)는 좌측으로부터 3 번째 현 상의 4 번째 플랫(170)을 누르면서 좌측으로부터 3 번째 스트링을 플럿킹(plucking)함으로써 연주되어야 했다. 이 프랫은 좌측으로부터 3 번째 상에 존재하며 숫자 4를 포함하고 있다.
선택 사양적으로, 음표가 올바르게 연주되지 않으면, 컴퓨터의 동작은 일시 정지되며 음표가 올바르게 연주되는 경우에만 컴퓨터의 동작이 진행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새로운 피스를 학습할 때에서와 같이 음표별로 연주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해서 여기에서 고려되는 최상의 모드의 제 2 실시예(200)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터치 스크린을 갖는 스마트 폰 상에서의 기타 (또는 다른 타입의 6 현 현악기)에 대한 현 표현부들을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서 수직 바들(210)은 프랫들을 숫자로 식별하고 있다. 최 좌측 현(220)의 현 표현부는 최좌측 현 상에서 연주될 음표에 대응하는 스크린의 수직 슬라이스를 규정한다. 연주(플럿킹, 스트러밍 또는 피킹)될 음표들의 음표 표현부들은 바람직하게는 현 표현부를 따라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어떠한 음표 표현부도 동일할 레벨에서 이동하지 않으며 따라서 어떠한 음표도 동시에 연주되지 않는다. 또한, 좌측으로부터 3 번째 현 표현부 및 4 번째 현 표현부는 연주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이들 표현부 상에서 이동하는 음표 표현부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좌측으로부터 5 번째 현 표현부는 프랫을 누르지 않고서 연주될 것인데, 그 이유는 이 5 번째 현 표현부를 따라서 이동하는 음표 표현부들에는 숫자 "0"이 부여되기 때문이다.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단일 음표의 단일 음표 표현부(240)는 좌측으로부터 2 번째 현 표현부를 따라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며 숫자 2가 표시되어 있는데, 이는 소망하는 음표가 좌측으로부터 2 번째 현 상의 두 번째 프랫을 누름으로써 연주됨을 나타낸다. 다시 한번 여기에서도, 단일 음표 표현부(240)(및 모든 다른 음표 표현부들)는 터치 스크린 상의 목표 구역(250)을 향해서, 바람직하게는 바닥부 근처를 향해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한다. 단일 음표 표현부(240)와 같은 임의의 음표 표현부가 목표 구역에 도달하면, 해당 음표가 연주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목표 구역(250) 내의 (상기 단일 음표 표현부(140)가 그 상을 이동하는) 현 표현부를 터치함으로써 해당 음표가 연주된다. 여기서도 선택 사양적으로, 음표 표현부를 터치하는 바는 플럿킹, 스트러밍 또는 피킹을 나타낼 수 있도록 컴퓨터가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200)에서, 목표 구역(250)은 "플럿킹" 구역이며 이 구역에서 해당 음표가 연주되며, 이 목표 구역 위의 구역은 "핑거링" 구역이며 이 구역에서는 음표 표현부들에 대응하는 프랫들 상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프랫들이 눌러진다.
다시 여기에서도, 음표 표현부(240)에 대응하는 올바른 프랫을 누르면서 플럿킹 구역에서의 현 표현부를 터치함으로써 해당 음표가 올바르게 연주되는 경우에, 음표 표현부(240)가 목표 구역(250)에 도달하면, 이 음표 표현부(240)가 목표 구역을 넘어서 이동하기 이전에 사라짐으로써 음표 표현부(240)는 반응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컴퓨터는 스피커를 구비하고 해당 음표가 올바르게 연주될 때에 해당 음표 표현부(240)에 대응하는 음표가 스피커에 의해서 생성된다.
여기에서, 선택 사양적으로, 올바르게 연주되지 않은 음표의 음표 표현부(260)는 목표 구역을 넘어서도 사라지지 않고 이동하거나 이 음표가 올바르게 연주될 때까지 컴퓨터의 동작은 정지되거나 이 두 방식의 조합도 가능하다.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해서 여기에서 고려되는 최상의 모드의 제 3 실시예(300)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터치 스크린을 갖는 스마트 폰 상에서의 바이올린(또는 다른 타입의 무프랫형 4 현 현악기)에 대한 현 표현부들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추가 정보가 다음과 같이 음표 표현부 내에 또는 음표 표현부 근처에 제공된다. 추가 정보는 바로 우측의 음표 표현부가 다운 보우(down bow)로 연주되어야 함을 나타내는 보잉 표시부(310)일 수 있다. 추가 정보는 기간 표시부(duration marking)(320)일 수 있으며 이 표시부의 시각적 길이는 이 표시부에 붙어 있는 해당 음표가 얼마나 오래 동안 유지되어야 하는지를 나타낸다. 추가 정보는 가령 좌측으로부터 세 번째의 A 현 상에 연주되는 B를 나타내는 음표의 명칭(330)일 수 있다. 추가 정보는 아티큘레이션 표시부(articulation marking)(340)일 수 있으며 이는 해당 음표 표현부 내의 도트(dot)이며 가령 음표 표현부의 상부 우측 코너 상의 도트는 메조 스타카토 아티큘레이션을 나타내며, 이 표시부가 없다면 바람직하게는 보우의 동일한 스트로크를 사용하기 바로 이전 또는 이후에 연주된 음표들은 보통 수준으로 떼어져야 한다. 추가 정보는 핑거링 표시부(350)일 수 있으며 가령 해당 음표 표현부의 바로 우측의 "4"는 이 해당 음표 표현부가 왼손의 4 번째 손가락 (약지)로 연주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또한, 추가 정보는 보우 기간 표시부(360)일 수 있으며 가령 이 표시부의 시각적 길이는 통상적으로 슬러(slur)라 지칭되는 바와 같이 2 개 이상의 음표들이 동일한 보우 스트로크 상에서 연주되어야 하는 경우에만 필요한 보우 스트로크(이 보우 스트로크로부터 상기 보우 기간 표시부가 연장됨)가 얼마나 오래 동안 연주되어야 하는지를 나타낸다.
선택 사양적으로, 음표 표현부에 컬러가 제공되어서 음악의 다운비트에 대한 리듬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가령, 4/4 박자에서, 녹색 음표가 다운비트 상에 있을 수 있는데 이는 4 분 음표에 대응하며, 청색 음표는 녹색 음표들 간의 중간에 존재할 수 있는데 이는 8 분 음표에 대응하며, 적색 음표가 청색 음표들 간의 중간에 존재할 수 있는데 이는 16분 음표에 대응한다. 이와 달리, 크로매틱 스케일에서의 12 분 음표 각각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마디 내의 위치가 음표 표현부의 기하학적 형상에 의해서 표시되며 컬러가 사용자의 선호 사항에 따라서 맞추어질 수 있는 피치-컬러 대응(pitch-color correspondence)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선호 사항에 대한 자기 발견을 용이하게 하며 학습 프로세스를 촉진시킬 수 있다.
위의 모든 실시예들에서, 바람직하게는, 음표 표현부는 터치 스크린의 상부에서 나타나며 터치 스크린의 바닥으로 이동하게 된다. 각 음표의 올바른 타이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메트로놈이 바람직하게는 밝은 색상의 직사각형 형태로 그려지며 이 직사각형은 해당 음표가 연주될 수 있는 기간 동안 나타날 시각적 표현부를 갖는 음표가 그 내에 존재하는 구역 상에 주기적으로 그려진다.
음악이 픽(또는 플렉트럼)으로 연주되어야 하는 경우에, 손가락으로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는 대신에, 인간의 손가락의 커패시턴스를 갖는 재료로 그 팁이 만들어진 플렉트럼이 사용될 수 있다.
음악이 픽(또는 플렉트럼)으로 연주되는 대신에 "핑거 스타일"로 연주되어야 하는 경우에, 각 음표의 시각적 표현부와 함께 하나 이상의 플럿킹 인스트럭션(plucking instruction)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엄지 손가락으로 플럿킹하는 경우에 문자 p, 검지 손가락으로 하는 경우에 문자 i, 가운데 손가락으로 하는 경우에 문자 m, 약지 손가락으로 하는 경우에 문자 a와 같이 통상적인 표기법에 대응하는 문자들을 사용하여서 이루어지거나 숫자들을 사용해서 이루어지거나 4 개의 개별 기호들을 사용하여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음악이 스트러밍 패턴(strumming pattern)과 관련되는 경우에, 화살표가 기타의 경우와 같은 통상적인 표기법에서 채용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스트러밍 방향을 가리키는 화살표가 코드를 구성하는 음표들의 시각적 표현부들 근처에 그려질 수 있다.
또한, (사용되고 있는 제안된 동작 모드가 어느 것인지 상관없이) 악기의 시각적 표현부가 존재하면, 후속되는 상이한 음표를 올바르게 연주하기 위해서 눌러져야 하는 프랫보드의 구역들을 시각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가령, 도 1에서, 단일 음표 표현부(140)에 의해서 표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서 세 번째의 현의 다섯 번째 프랫이 후속하여서 눌러지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터치해야 하는 구역은 가령 반투명한 직사각형(180)을 중첩시킴으로써 하이라이트 처리될 수 있다. 이는 또한 핑거링하는 손의 동작 타이밍을 플럿킹하는 손의 동작 타이밍과 분리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차후의 상이한 프랫으로 변경하려고 준비하는 시간을 갖는 동안에 (음악을 연주하기 위해서 요구된 레이트로 해서) 정확한 속도로 계속 플럿킹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차후의 상이한 프랫으로의 변경도 또한 정확한 속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핑거링들이 직사각형(180) 내에서 기술될 수 있다. 이로써, 후속 음표에 대응하는 올바른 후속 프랫을 연주하도록 터치되어야 할 후속 구역이 선택 사양적으로는 사용자가 프랫들을 변경해야 하기 이전에 하이라이트 처리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후속 프랫을 연주하여서 후속 음표를 정확한 속도로 연주하는 것을 준비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가상 악기로서 본 발명을 구현하는 일 동작 모드는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도 1의 수직형 바(110)를 따라서 핑거를 드래그함으로써, 사용자는 가시적이어서 연주될 수 있는 프랫을 시프트하거나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손가락을 디스플레이의 "핑거링" 영역의 임의의 부분 상에 놓게 되면 정확하게 하나의 현 상의 정확하게 하나의 프랫이 눌러질 것이다. 선택 사양적으로, 이 "핑거링" 영역 상에 놓인 각 손가락은 "바"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드래그되거나 다수의 현들 상의 단일 프랫을 누를 수 있다. 또한, 선택 사양적으로, "핑거링" 영역 상에 놓인 각 손가락은 현 표현부의 길이를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 드래그될 수 있으며 이로써 눌러지고 있는 프랫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두 동작은 서로 바꿔서 될 수 있다. "해머-온" 및 "풀-오프"와 같은 보다 고급 핑거링 기술들은 추가 버튼을 포함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추가 버튼이 눌러지면, (동일한 현 상의 어떠한 다른 보다 높은 프랫이 눌러지지 않는다고 가정되면) 연주자는 프랫을 누르는 것에 추가하여서 핑거링 영역 내의 손가락을 눌러서 해당 음표가 즉시 소리 나게 할 수 있다(이는 해머-온으로 알려짐). 또한, 추가 버튼이 눌러지면, (동일한 현 상의 어떠한 보다 높은 프랫도 눌러지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연주자는 프랫을 떼는 것 이외에 현재 핑거링 영역을 터치하고 있는 손가락을 분리하여서 동일한 현 상의 가장 높은 눌러진 프랫에 대응하는 음표가 소리 나게 할 수 있다(이는 풀-오프로 알려짐). (여기서, 동일한 현 상의 어떠한 프랫도 눌러지지 않는다면, 이 개방된 현이 연주된다).
이와 달리, 각 현 상의 각 프랫은 2 개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즉, 해당 현의 양 측 영역으로 분할된다. 손가락을 현의 좌측에 놓음으로써 해머-온이 연주될 수 있다(손가락을 현의 우측에 놓게 되면 해머-온이 연주되지 않는다). 풀-오프는 손가락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드래그하고 이어서 손가락을 뗌으로써 연주될 수 있다. 또한, 가속도계를 갖는 디바이스는 저크(jerk)(가속도의 시간 변화율) 임계치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 저크 임계치 이하에서는 해머-온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서 디바이스에 의해서 제공된 직관적 표현부들로 변환되는 악보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도록 인터넷 또는 몇몇 다른 정보 전달 매체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상에서의 터치 위치를 기록하게 할 수 있는 동작 모드를 제공하여서 그 디바이스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판독되는 포맷과 동일한 포맷으로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현악기에 대한 음악적 교육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언제나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음악 교육의 가치가 음악 교육에 드는 비용, 즉 실제 음악 악기를 구입하고 유지하는데 소모되는 비용에 의해서 무색 되어 버리는 경우에 가상 악기를 사용함으로써 특히 가치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플럿킹용 현악기에서 연주된 음악과 관련되는 교육용 컨텐츠를 기록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언제든지 사용될 수 있다. 이로써, 교육용 컨텐츠를 무한정 재생 가능한 포맷으로 즉각적으로 캡처할 수 있다.

Claims (18)

  1. 현악기 교육용 디바이스로서,
    터치 스크린을 갖는 컴퓨터와,
    상기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 하여금,
    대응하는 복수의 상이한 음표(musical note)들을 연주하도록 터치될 수 있는 복수의 위치들을 갖는 현(string)의 현 표현부(string representation)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과,
    음표의 음표 표현부를 출현시키고, 상기 음표가 연주되기 전의 고정된 시간 기간에 상기 현 표현부를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목표 구역으로 상기 음표의 음표 표현부를 이동시키는 동작 - 상기 음표 표현부는 상기 음표 표현부가 이동하는 상기 현 표현부 상에서 상기 음표를 올바르게 연주하기 위해서 터치되어야 하는 올바른 위치를 반영함 - 과,
    상기 음표 표현부가 상기 목표 구역에 도달하면 사용자가 상기 올바른 위치에서 상기 현 표현부를 터치함으로써 상기 음표가 올바르게 연주된 때를, 상기 음표 표현부가 반응하게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동작을 실행시키는 명령어들을 포함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현악기 교육용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된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프트웨어는 또한 상기 음표가 올바르게 연주되면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음표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서 가청 방식으로(audibly) 생성하게 하는
    현악기 교육용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표 표현부의 반응은 사라지는 것인
    현악기 교육용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 하여금 상기 현 표현부 아래에 프랫(fret)들을 디스플레이하게 하고,
    상기 프랫들은 대응하는 복수의 상이한 음표들을 연주하기 위해서 터치될 수 있는 상기 현 표현부 상의 복수의 위치들을 정의하며,
    상기 음표 표현부는 상기 음표를 올바르게 연주하기 위해서 터치될 프랫을 반영하는
    현악기 교육용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표가 올바르게 연주되기 위해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또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현 표현부의 올바른 위치를 터치하는 동안에 상기 음표 표현부가 상기 목표 구역에 도달하면 손가락이 플럿킹 구역(plucking area) 내의 현 표현부를 터치하도록 요구하는
    현악기 교육용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표가 올바르게 연주되기 위해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또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현 표현부의 올바른 위치를 먼저 터치하는 동안에 상기 음표 표현부가 상기 목표 구역에 도달하면 손가락이 플럿킹 구역 내의 현 표현부를 가로질러서 드래그되도록 요구하는
    현악기 교육용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플럿킹 명령어들, 스트러밍 패턴(strumming patterns), 보잉(bowing) 명령어들, 아티큘레이션 표시부(articulation markings), 음표 명칭, 핑거링 표시부(fingering markings) 및 마디(measures) 내의 하위 분할 구역(subdivision)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연주되어야 할 음표에 대한 정보가 상기 음표 표현부에 인접하거나 상기 음표 표현부 내에 나타나는
    현악기 교육용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또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음표가 올바르게 연주되지 않으면 일시 정지하게 하고 음표가 올바르게 연주되면 다시 동작을 재개하도록 하는
    현악기 교육용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과의 각 접촉 지점의 순간적 위치를 기록하는
    현악기 교육용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또한 후속 음표를 연주하기 위해서 상기 현 표현부 상의 올바른 위치를 연주하기 위한 후속 구역을 시각적으로 변경하는
    현악기 교육용 디바이스.
  11. 현악기 교육용 디바이스로서,
    실제 현악기에 의해서 연주되는 피치(pitch)를 분석하기 위해서 상기 실제 현악기에 접속될 수 있는 스크린 및 마이크로폰 입력부를 갖는 컴퓨터와,
    상기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스크린으로 하여금,
    대응하는 복수의 상이한 음표들을 연주하도록 눌려질 수 있는 복수의 위치들을 갖는 현의 현 표현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과,
    음표의 음표 표현부를 출현시키고, 상기 음표가 연주되기 전의 고정된 시간 기간에 상기 현 표현부를 따라 상기 스크린 상의 목표 구역으로 상기 음표의 음표 표현부를 이동시키는 동작 - 상기 음표 표현부는 상기 음표를 올바르게 연주하기 위해서 연주되어야 하는 상기 실제 현악기의 현 상에서의 올바른 위치를 반영함 - 과,
    상기 마이크로폰 입력부에 접속된 상기 실제 현악기로부터의 피치를 분석하는 동작과,
    상기 분석이 상기 목표 구역의 특정한 허용치(tolerance) 내에서 상기 음표 표현부와 일치하는 피치를 산출하면 사용자가 상기 실제 현악기 상의 피치를 연주함으로써 상기 음표가 올바르게 연주된 때를, 상기 음표 표현부가 반응하게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동작을 실행시키는 명령어들을 포함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현악기 교육용 디바이스.
  12. 현악기 교육용 디바이스로서,
    터치 스크린을 갖는 컴퓨터와,
    상기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 하여금,
    대응하는 복수의 상이한 음표들을 연주하도록 터치될 수 있는 복수의 위치들을 갖는 현의 현 표현부(string representation) 및 상기 현 표현부를 플럿킹(plucking)하기 위해서 터치될 수 있는 인접한 플럿킹 구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 상기 현 표현부의 일부는 핑거링 구역과 중첩됨 - 과,
    음표의 음표 표현부를 출현시키고, 상기 음표가 연주되기 전의 고정된 시간 기간에 상기 현 표현부를 따라 목표 구역으로 상기 음표의 음표 표현부를 이동시키는 동작 - 상기 음표 표현부는 상기 음표 표현부가 이동하는 상기 현 표현부 상에서 상기 음표를 올바르게 연주하기 위해서 터치되어야 하는 올바른 위치를 반영함 - 과,
    상기 음표 표현부가 상기 목표 구역에 도달하면 사용자가 상기 핑거링 구역 내의 현 표현부의 올바른 부분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는 동안에 상기 플럿킹 구역 내의 현 표현부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상기 음표가 올바르게 연주된 때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동작을 실행시키는 명령어들을 포함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현악기 교육용 디바이스.
  13. 실행시, 터치 스크린 및 스피커를 갖는 컴퓨터가 가상 악기가 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다운로드 가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파일로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며,
    상기 소프트웨어는,
    대응하는 복수의 상이한 음표들을 연주하도록 터치될 수 있는 복수의 위치들을 갖는 현의 현 표현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과,
    음표의 음표 표현부를 출현시키고, 상기 음표가 연주되기 전의 고정된 시간 기간에 상기 현 표현부를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목표 구역으로 상기 음표의 음표 표현부를 이동시키는 동작 - 상기 음표 표현부는 상기 음표를 올바르게 연주하기 위해서 터치되어야 하는 상기 현 표현부 상에서의 올바른 위치를 반영함 - 과,
    상기 음표 표현부가 상기 목표 구역에 도달하면 사용자가 상기 올바른 위치에서 상기 현 표현부를 터치함으로써 상기 음표가 올바르게 연주된 때를, 상기 음표 표현부가 반응하게 하고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음표를 연주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다운로드 가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파일.
  14. 실행시, 터치 스크린 및 스피커를 갖는 컴퓨터가 가상 악기가 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며,
    상기 소프트웨어는,
    현 표현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 상기 현 표현부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서 사운드가 나오게 되도록, 대응하는 복수의 상이한 음표들을 연주하기 위해 상기 현 표현부 상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위치시킬 수 있는 복수의 핑거 위치를 갖는 현의 현 표현부임 - 과,
    상기 핑거 위치에 응답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서 사운드를 생성하는 동작과,
    장래의 재생(playback)을 위해서 상기 핑거 위치를 기록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15. 터치 스크린을 갖는 컴퓨터를 사용하는 프로세스로서,
    실행시,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 하여금,
    대응하는 복수의 상이한 음표들을 연주하도록 터치될 수 있는 복수의 위치들을 각각 갖는 복수의 현 표현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과,
    음표의 적어도 하나의 음표 표현부를 출현시키고, 상기 음표가 연주되기 전의 고정된 시간 기간에 상기 현 표현부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목표 구역으로 상기 음표의 적어도 하나의 음표 표현부를 이동시키는 동작 - 상기 각 음표 표현부는 상기 음표 표현부가 이동하는 상기 현 표현부 상에서 상기 음표를 올바르게 연주하기 위해서 터치되어야 하는 올바른 위치를 반영함 - 과,
    상기 음표 표현부가 상기 목표 구역에 도달하면 사용자가 상기 올바른 위치에서 상기 현 표현부를 터치함으로써 상기 음표가 올바르게 연주된 때를, 상기 음표 표현부가 반응하게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동작을 실행시키는 명령어들을 포함한 소프트웨어를 컴퓨터 상에서 실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16. 실행시, 터치 스크린 및 스피커를 갖는 컴퓨터가 가상 악기가 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며,
    상기 소프트웨어는,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상이한 음표들을 연주하도록 터치될 수 있는 복수의 위치를 갖는 현악기 상의 복수의 현의 현 표현부 및 각 현 표현부를 플럿킹(plucking)하기 위한 플럿킹 구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 상기 각 현 표현부의 일부는 핑거링 구역과 중첩됨 - 과,
    적어도 하나의 음표의 음표 표현부를 출현시키고 상기 음표가 연주되기 전의 고정된 시간 기간에 상기 현 표현부를 따라 목표 구역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표의 음표 표현부를 이동시키는 동작 - 상기 음표 표현부는 상기 음표 표현부가 이동하는 상기 현 표현부 상에서 상기 음표를 올바르게 연주하기 위해서 터치되어야 하는 올바른 위치를 반영함 - 과,
    상기 음표 표현부가 상기 목표 구역에 도달하면 사용자가 상기 핑거링 구역 내의 현 표현부의 올바른 위치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는 동안에 상기 플럿킹 구역 내의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현 표현부를 터치함으로써 상기 음표가 올바르게 연주된 때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럿킹 구역 내의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현 표현부를 터치하는 것은 손가락을 상기 현 표현부를 가로질러 드래그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18.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실행시, 터치 스크린 및 스피커를 갖는 컴퓨터가 가상 악기가 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소프트웨어는,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상이한 음표들을 연주하도록 터치될 수 있는 복수의 위치를 갖는 현악기 상의 복수의 현의 현 표현부 및 각 현 표현부를 플럿킹(plucking)하기 위한 플럿킹 구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 상기 각 현 표현부의 일부는 플럿킹 구역과 중첩됨 - 과,
    적어도 하나의 음표의 음표 표현부를 출현시키고 상기 음표가 연주되기 전의 고정된 시간 기간에 상기 현 표현부의 적어도 하나를 따라 목표 구역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표의 음표 표현부를 이동시키는 동작 - 상기 음표 표현부는 상기 음표 표현부가 이동하는 상기 현 표현부 상에서 상기 음표를 올바르게 연주하기 위해서 터치되어야 하는 올바른 위치를 반영함 - 과,
    상기 음표 표현부가 상기 목표 구역에 도달하면 사용자가 핑거링 구역 내의 현 표현부의 올바른 위치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는 동안에 상기 플럿킹 구역 내의 현 표현부의 일부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상기 음표가 올바르게 연주된 때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품.
KR1020127019075A 2009-12-21 2010-12-21 교육용 현악기의 터치 스크린 시뮬레이션 KR201201244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8472609P 2009-12-21 2009-12-21
US61/284,726 2009-12-21
PCT/US2010/003237 WO2011084147A1 (en) 2009-12-21 2010-12-21 Educational string instrument touchscreen simul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413A true KR20120124413A (ko) 2012-11-13

Family

ID=43662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9075A KR20120124413A (ko) 2009-12-21 2010-12-21 교육용 현악기의 터치 스크린 시뮬레이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146477A1 (ko)
EP (1) EP2517192A1 (ko)
JP (1) JP2013515288A (ko)
KR (1) KR20120124413A (ko)
CN (1) CN102792353A (ko)
WO (1) WO20110841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246A (ko) * 2017-11-02 2019-05-10 한송이 현악기 운지 키트 및 이를 사용하여 만든 현악기 운지 교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98121A (zh) * 2010-06-17 2013-05-08 普尔想象力有限责任公司 具有单侧薄膜电容式触摸传感器的乐器
WO2012064847A1 (en) 2010-11-09 2012-05-18 Smule, Inc. System and method for capture and rendering of performance on synthetic string instrument
US8835738B2 (en) * 2010-12-27 2014-09-16 Apple Inc. Musical systems and methods
US10115378B1 (en) 2011-02-24 2018-10-30 Kurt Jennings Laser etched stringed instrum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US9082380B1 (en) 2011-10-31 2015-07-14 Smule, Inc. Synthetic musical instrument with performance-and/or skill-adaptive score tempo
WO2013090831A2 (en) * 2011-12-14 2013-06-20 Smule, Inc. Synthetic multi-string musical instrument with score coded performance effect cues and/or chord sounding gesture capture
US8796529B2 (en) * 2012-01-10 2014-08-05 Artiphon, Inc. Ergonomic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pseudo-strings
GB2514270B (en) * 2012-03-06 2019-11-06 Apple Inc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 of a played note on a virtual instrument
CN102760051B (zh) * 2012-03-26 2015-12-0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获得声音信号的方法及电子设备
US9000287B1 (en) * 2012-11-08 2015-04-07 Mark Andersen Electrical guitar interface method and system
GB201220849D0 (en) * 2012-11-20 2013-01-02 Caber Entpr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audio output composition and generation
US9472178B2 (en) * 2013-05-22 2016-10-18 Smule, Inc. Score-directed string retuning and gesture cueing in synthetic multi-string musical instrument
FI20135621L (fi) * 2013-06-04 2014-12-05 Berggram Dev Oy Ristikkoon perustuva käyttöliittymä sointuesitystä varten kosketusnäyttölaitteessa
CN103280212A (zh) * 2013-06-14 2013-09-04 苏州旭宇升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触控功能的乐器装置
CN103280133A (zh) * 2013-06-14 2013-09-04 苏州旭宇升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触控功能的乐器装置
TWM465647U (zh) * 2013-06-21 2013-11-11 Microtips Technology Inc 電吉他之音色處理轉接座
CN104346147A (zh) * 2013-07-29 2015-02-11 人人游戏网络科技发展(上海)有限公司 音乐游戏的节拍点的编辑方法及装置
CN104700822A (zh) * 2013-12-10 2015-06-10 刘波 数码触屏乐器
JP6471890B2 (ja) * 2014-09-22 2019-02-20 ヤマハ株式会社 音楽教習装置
JP2016062081A (ja) * 2014-09-22 2016-04-25 ヤマハ株式会社 音楽教習装置
CN104392714B (zh) * 2014-10-30 2017-11-17 广州音乐猫乐器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小提琴
CN104952430A (zh) * 2015-06-25 2015-09-30 广州心乐人信息科技有限公司 平板式乐器合奏装置、乐器合奏面板及乐器合奏组合面板
US9805702B1 (en) 2016-05-16 2017-10-31 Apple Inc. Separate isolated and resonance samples for a virtual instrument
US9679548B1 (en) * 2016-09-23 2017-06-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tring instrument fabricated from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bendable display
US10170088B2 (en) 2017-02-17 2019-0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uting device with touchscreen interface for note entry
US10083678B1 (en) * 2017-09-28 2018-09-25 Apple Inc. Enhanced user interfaces for virtual instruments
CN109801613B (zh) * 2019-01-14 2022-02-22 陕西理工大学 一种基于终端的大提琴演奏方法、装置及终端
CN109739388B (zh) * 2019-01-14 2022-02-22 陕西理工大学 一种基于终端的小提琴演奏方法、装置及终端
CN112419835A (zh) * 2019-08-22 2021-02-26 山西凡朵智慧科技有限公司 一种音乐教育学习系统
CN114882762A (zh) * 2022-06-15 2022-08-09 曾歆 一种民族乐器智能辅学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2981A (en) * 1999-12-09 2000-12-19 Visual Strings, Llc Finger placement sensor for stringed instruments
CN101556742A (zh) * 2001-10-20 2009-10-14 哈尔·C·索尔特 在音乐符号和学习乐器中提供指导的交互式游戏
IL151673A0 (en) * 2002-09-10 2003-04-10 Read And Pla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usical education instruction
US20040137984A1 (en) * 2003-01-09 2004-07-15 Salter Hal C. Interactive gamepad device and game providing means of learning musical pieces and songs
US7459624B2 (en) * 2006-03-29 2008-12-02 Harmonix Music Systems, Inc. Game controller simulating a musical instrument
US7521619B2 (en) * 2006-04-19 2009-04-21 Allegro Multimedia, Inc. System and method of instructing musical notation for a stringed instrument
US7304224B1 (en) * 2006-10-05 2007-12-04 Bettis Linda P Exercise and training device for acoustic guitar players
US7777117B2 (en) * 2007-04-19 2010-08-17 Hal Christopher Salter System and method of instructing musical notation for a stringed instrument
US7714220B2 (en) * 2007-09-12 2010-05-1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f-instruction
US8246461B2 (en) * 2008-01-24 2012-08-21 745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stringed controllers and/or instruments
US8414395B2 (en) * 2008-06-11 2013-04-09 Activision Publishing, Inc. Strum processing for music video game on handheld device
US7842872B2 (en) * 2008-12-30 2010-11-30 Pangenuity, LLC Steel pan tablature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8158869B2 (en) * 2008-12-30 2012-04-17 Pangenuity, LLC Music teaching tool for steel pan and drum players and associated methods
US7906720B2 (en) * 2009-05-05 2011-03-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a musical instrument
WO2012064847A1 (en) * 2010-11-09 2012-05-18 Smule, Inc. System and method for capture and rendering of performance on synthetic string instru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246A (ko) * 2017-11-02 2019-05-10 한송이 현악기 운지 키트 및 이를 사용하여 만든 현악기 운지 교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92353A (zh) 2012-11-21
US20110146477A1 (en) 2011-06-23
EP2517192A1 (en) 2012-10-31
WO2011084147A1 (en) 2011-07-14
JP2013515288A (ja) 201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4413A (ko) 교육용 현악기의 터치 스크린 시뮬레이션
US11663925B2 (en) Musical notation, system, and methods
JP6429336B2 (ja) 物理的オブジェクトにより音楽の学習、作曲及び演奏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6205280B (zh) 一种交互式动态彩色形意释谱方法与乐器弹奏教练装置
US89613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touchscreen as an interface for music-based gameplay
US8039721B2 (en) Kit and method for learning to play an instrument
US10446048B2 (en) Learning assistant system capable of indicating piano fingering
US8912418B1 (en) Music notation system for two dimensional keyboard
JP2001212369A (ja) タイプ練習機能を有するアミューズメントシステム、タイプ練習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CN108028040A (zh) 音乐演奏辅助装置和方法
JP6291689B2 (ja) 黒鍵をランドマークとして図式化した鍵盤楽器練習用表示装置
US10002598B2 (en) Selective pitch emulator for electrical stringed instruments
CN107067876B (zh) 一种琴声控制分体的可拼接式彩色分组电子乐谱及装置
CN105453168A (zh) 用物体进行学习、创作和演奏音乐的系统和方法
CN106981233B (zh) 一种智能钢琴大屏显示教学系统
KR20210009535A (ko) 연습용 기타 시스템 및 악기 시스템
JP5324193B2 (ja) 楽譜表示装置、楽譜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221472A (ja) 画像表示装置付きギター
JP7107720B2 (ja) 運指表示プログラム
JP3215042U (ja) 鍵盤図付き楽譜
KR20130108891A (ko) 악기연주 시스템
JP2002318579A (ja) 演奏用楽譜、表示装置および演奏用楽譜の記譜法
JPH1185145A (ja) 譜面作成装置
KR20160104644A (ko) 물리적 객체를 가지고 음악을 학습, 작곡, 및 연주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7209056A1 (ja) 限界負荷測定と負荷逓増練習にかかるイミッション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