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4644A - 물리적 객체를 가지고 음악을 학습, 작곡, 및 연주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물리적 객체를 가지고 음악을 학습, 작곡, 및 연주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4644A
KR20160104644A KR1020167020173A KR20167020173A KR20160104644A KR 20160104644 A KR20160104644 A KR 20160104644A KR 1020167020173 A KR1020167020173 A KR 1020167020173A KR 20167020173 A KR20167020173 A KR 20167020173A KR 20160104644 A KR20160104644 A KR 20160104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code
identifier
pattern
ca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0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 시
Original Assignee
정 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 시 filed Critical 정 시
Priority claimed from PCT/CN2014/080317 external-priority patent/WO2015113360A1/en
Publication of KR20160104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6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2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notes
    • G09B15/023Electrically operat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8Chor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91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 G10H2220/101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for graphical creation, edition or control of musical data or parameters
    • G10H2220/106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for graphical creation, edition or control of musical data or parameters using icons, e.g. selecting, moving or linking icons, on-screen symbols, screen regions or segments representing musical elements or paramet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21Keyboards, i.e. configuration of several keys or key-like input devices relative to one another
    • G10H2220/236Keyboards, i.e. configuration of several keys or key-like input devices relative to one another representing an active musical staff or tablature, i.e. with key-like position sensing at the expected note positions on the staff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441Image sensing, i.e. capturing images or optical patterns for musical purposes or musical control purposes
    • G10H2220/455Camera input, e.g. analyzing pictures from a video camera and using the analysis results as contro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악을 학습, 작곡, 접근하고 연구하기 위한 시스템과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시스템은 각각 식별자를 포함하고 음악-관련 지시자가 할당된 복수의 물리적 객체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나아가 상호작용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호작용 표면은 상기 상호작용 표면의 위에 배치된 물리적 객체의 상기 상호작용 표면에 관련한 위치 정보 및 상기 지시자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구조적인 패턴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호작용 표면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객체들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구조적인 패턴으로부터 음악 단편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물리적 객체를 가지고 음악을 학습, 작곡, 및 연주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Composing, and Playing Music with Physical Objects}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상호작용 보드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Board)”의 명칭으로서 2013년 3월 12일 출원된 국제 특허 출원 제PCT/CN2013/072481호의 일부 계속 출원인, “상호작용 보드에 대한 객체의 아이디와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 Object's ID and Location Relative to an Interactive Board)”의 명칭으로서 2014년 1월 30일 출원된 제PCT/CN2014/071850호의 일부 계속 출원인, “상호작용 보드에 대한 객체의 아이디와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 Object's ID and Location Relative to an Interactive Board)”의 명칭으로서 2014년 3월 6일 출원된 제PCT/CN2014/072961호의 일부 계속 출원인, “물리적 객체를 가지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mputer Program with Physical Objects)”의 발명의 명칭으로서 2014년 6월 13일 출원된 제PCT/CN2014/079891호의 일부 계속 출원이다. 상기 출원 각각의 모든 개시는 참조로서 여기에 포함되어 있다.
[기술분야]
본 발명 및 그것의 실시예는 전자 장치상의 음악 애플리케이션의 분야에 대한 것이다. 특히, 음악을 연주하고 작곡하기 위해 카드를 사용하는 상호작용 표면에 대한 것이다.
음악은 인간의 가장 훌륭한 창작의 하나이다. 음악은 복잡한 형태들, 신택스(syntax), 색상들, 및 조음(調音, articulation)들로 표현되고, 이것들은 인간 생물학과 고아(高雅)한 수학 둘 다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음악 학습, 작곡, 접근 및 연주는 가장 본질적인 인간의 활동에 속한다. 전문적인 음악가가 연주하고 세상의 다른 사람들이 향유하는 예술 형태라는 것 이외에, 수많은 연구는 음악이 어린이의 인지 개발에 매우 유익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근 세기 동안 기술의 진보의 이유로, 음악에 접근하고 즐기는데 있어 장애물은 거의 없다. 음악은 연주회장과 녹음 스튜디오에서 공연된다. 공연은 매우 다양한 포맷과 채널을 통해 녹음되고, 저장되고, 전파된다. 따라서, 거의 모든 음악은 임의의 장소에서 임의의 시간에 적정한 접근 기회를 가진 누군가가 이용 가능하다.
그럼에도, 근 세기를 통한 그러한 기술적 진보에 불구하고, 전문가와 초심자 모두, 매우 나이가 많은 사람 또는 어린이가 이미 음악에 흥미를 가지게 되는 때인 2살에서 3살만큼 어린 나이를 포함하는 매우 나이가 적은 사람에게 이 음악 학습과 작곡하는데 도움이 되는 여전히 많은 개선 가능 요인이 있다.
우리는 음악 학습 및 작곡에 있어 세가지 주요 장애물을 본다.
1. 기술 요구. 음악 학습의 가장 흔하게 연습되는 형식은 특별한 악기의 학습이다. 예를 들어, 부모는 종종 그들의 아이에게 피아노를 가르치기 위해 피아노 선생님을 고용한다. 반면에 음악가들은 음표를 작곡하기 위해 피아노를 연주한다. 말할 필요도 없이, 아마추어 수준에서 피아노 연주에 능숙해지기 위해서 수년의 격렬한 연습이 필요하다. 이는 부모에 의해 어린이에게 꽤 자주 강요되고 시간, 돈과 가능한 대로 어린이의 음악에 대한 많은 관심이 소요되는 과정이다. 피아니스트가 되기 위해 엄청난 연습과 희생이 소요된다.
2. 이용 가능한 도구. 하나의 악기에 능숙하게 되는 것은 누군가에게 음악 단편(music piece, 音樂片段)을 작곡하는 능력을, 선율과 리듬의 모든 범위에 걸쳐, 빠르게 부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피아노에 능숙한 것은 누군가가 드럼, 트럼펫, 또는 바이올린을 가지고 빠르게 음악을 작곡할 수 있게 하지 않는다. 애플사의 대중적인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개러지밴드(GarageBand)는 사용자가 타악기, 관악기 및 현악기의 요소들을 가지고 음악을 창작하도록 한다; 그러나, 원곡의 구성에 관련되어 개러지밴드의 기능은 아쉬운 점이 많다.
3. 음악 신택스. 음악의 신택스는 고도로 복합적이다. 코드(chord), 온음계적 코드, 임시표(accidental), 장조와 단조 그리고 그들의 많은 유형, 변형, 등가 그리고 도치(inversion)는 전문적인 음악가가 아닌 그리고 음악이론의 복잡한 사항을 배우지 않은 대부분의 어린이와 대다수의 사람들이 간단히 이해할 수 없다. 어떤 이는 마이크에 노래를 부르거나 전자 피아노상에 몇 개의 키들을 누르는 것에 의해 “음악을 창작”할 수 있지만, 음악 신택스의 정확한 언어 없이, 그러한 기본적인 녹음은 정확하게 묘사될 수 없고, 또한 그것은 해부되거나, 분석되거나, 더 개선될 수 없다.
우리는 그러므로 음악을 배우고 창작하는데 요구되는 기술을 크게 감소시키는 시스템의 창작에 대한 필요성을 절감한다. 그것은 전 범위의 악기를 쉽게 이용 가능하게 하고, 누군가의 음악 신택스에 대한 숙달에 더 적게 기초하고 누군가의 감상과 상상에 더 많이 기초하여 창작되도록 정교한 구조와 복잡한 신택스를 허용한다.
본 발명은 음악을 학습, 작곡, 접근하고 연주하기 위한 시스템과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시스템은: 구조적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의 옆이나 위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객체는 식별자 및 할당된 음악-관련 지시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객체들; 상기 식별자를 인식하고 상호작용 표면 상에 배치된 객체의 위치 정보를 인식하도록 구성된 상호작용 표면; 상기 상호작용 표면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된(operatively linked)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식별자와 음악-관련 지시자간의 상관관계의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사용자에게 실시간 피드백을 제공하는 청각 또는 시각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단 두 개 이상의 객체들이 상기 상호작용 표면에 배치되면, 그것들은 구조적인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프로세스는 상기 구조적인 패턴으로부터 음악 단편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악 연관 지시자는 음악의 신택스의 기호로서 해석될 수 있는 음악 기호, 아라비아 숫자, 색상, 아이콘, 수치(figure), 또는 상(像)으로부터 유도된다. 음악 기호는 다음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음높이와 길이를 가지는 하나의 음표; 근음(root)이 되는 음표를 가지는 하나의 코드; 쉼(rest)과 쉼의 길이; 음표의 음높이를 바꾸는 임시표들; 음표의 길이를 수정하는 도트(dot) 또는 타이(tie)들; 장화음, 단화음, 3화음 또는 7화음들; 음악 단편의 장음계 또는 단음계를 정의하는 조표(key signature)들; 같은 음 조류(pitch class)에서 음표의 음높이를 높이거나 낮추는 것;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들과 특정한 청중, 정서 및 목적을 위해 음악을 보강하기 위해 맞춤형으로 사용되는 것들을 포함하는, 음악 단편의 텍스처(texture), 음색, 강약(dynamics) 및 조음을 정의하는 기호들.
음악-관련 지시자는 또한 복수의 프로그래밍 기능들 중 선택되는 부호가 될 수 있고, 다음을 포함한다: 프로세서에 의해 음악 단편으로 해석되기 위해 지시자들을 구조적 패턴으로 조직하는 시작, 끝, 반복, 조건, 그리고 점프; 음악 부호와 함께 사용될 때, 각각의 부호의 변화들이 보여지고 선택되도록 허용하는 토글(toggle); 하나의 객체가 첫 번째 구조적 패턴을 나타내도록 할당될 수 있고, 그 결과인 객체가 두 번째 구조적 패턴으로 병합될 수 있는, 등호(equal) 및 할당(assign); 음악 단편을 전자 파일로서 유지관리하고, 복수의 음악 단편으로부터 더 큰 음악 단편의 통합을 가능하게 하는, 기록, 검색(retrieve), 저장, 취소, 삭제, 그룹, 그룹해제, 연결, 연결해제, 결합, 및 분리.
음악 연관 지시자는 또한, 타악기, 관악기, 현악기들을 포함하는 악기들을 나타내는 부호, 및 인간의 목소리와 자연으로부터의 소리를 나타내는 부호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의 식별자는 상기 객체의 고유 광학 패턴에 의해 정의된다.
상기 고유 광학 패턴은 음악 부호의 표기, 언어학 또는 수학적 부호의 표기, 아이콘 또는 그래픽의 표기, 또는 2D 또는 3D 형상의 고유 패턴, 색상 그리고 인간의 눈에 보이거나 보이지 않는 텍스처가 될 수 있다. 그러한 식별자들은 상기 객체 상에 제작되거나, 또는 영구적이거나 지워질 수 있는 그러한(앞서 언급한) 표기로 사용자에 의해 상기 객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에 부착되거나 아니면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카메라는 상기 고유 광학 패턴을 인식할 수 있고, 프로세서로 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나아가 메모리에 저장된 식별자들과 음악 관련 지시자들간의 상관 관계의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인지한 각각의 식별자에 음악-관련 지시자를 매치(match)한다. 구조적인 패턴에서 각각의 객체들의 식별자 및 위치에 연관된 음악-관련 지시자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세스는 나아가 복수의 객체들에 의해 형성된 구조적인 패턴으로부터 음악 단편을 추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의 식별자는 객체에 임베디드된 고유 식별 코드(unique identification code; UID)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UID는 RF 식별 칩, 정전용량의 색인표들(tabs)의 고유의 패턴, 또는 자기적인 색인표들의 고유의 패턴으로 인코드(encode)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호작용 표면은 상기 객체의 상기 UID를 RF 안테나, 정전용량의 센서 스위치들의 어레이, 또는 자기적인 센서 스위치들의 어레이를 통해 인식하고, 상기 프로세서로 그 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나아가 메모리에 저장된 식별자들과 음악 관련 지시자들간의 상관 관계의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인지한 각각의 식별자에 음악 관련 지시자를 매치(match)한다. 구조적인 패턴에서 각각의 객체들의 식별자 및 위치에 연관된 음악-관련 지시자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세스는 나아가 복수의 객체들에 의해 형성된 구조적인 패턴으로부터 음악 단편을 추론한다.
상기 객체의 식별자는 상기 객체에 할당된 음악-관련 지시자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는 버튼, 카드, 블록, 조각상(figurine), 또는 인간의 눈 뿐 아니라 상호작용 표면의 센서 및 안테나에게, 명확하게 인식 가능한 2D 또는 3D 구조적인 패턴들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서로 나란하게 또는 다른 하나의 위에 배치되기 쉬운 또 다른 2D 또는 3D 블록 구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는 또한 상호작용 표면의 위에 또는 옆에 배치되는 물리적 시트가 될 수 있고, 그러한 물리적 시트 위에 인쇄되고 프로세서가 음악 단편으로 변환되는 상기 구조적인 패턴에 포함되는 음악 관련 지시자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적 스크린이 상기 상호작용 표면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한 전자적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프로세서가 음악 단편으로 번역하는 상기 구조적인 패턴에 포함되는 음악 관련 지시자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각 액세서리들이 작동가능하게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상호 작용하는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각 액세서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생성된 음악 단편의 소리를 연주하는 오디오 장치이다.
일 실시예에서, ABCDEFG, 보표, 음자리표, 코드, 쉼표, 휴지표들, 임시표, 그리고 박자표와 같은 표준적인 서구 음악 부호들, 또는 도, 레, 미, 파, 솔, 라, 시와 같은 표준적인 솔페주(
Figure pct00001
) 음악 부호들, 또는 1, 2, 3, 4, 5, 6, 7과 같은 간소화된 숫자의 음악 부호로 쓰여진 그러한 악보로서, 상기 감각 액세서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생성된 음악 단편의 악보를 보일 수 있는 시각 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 원리, 컨셉트와 장점을 더 적절하게 보이기 위해서,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가 신규하고 가치있는 사용자 경험을 어떻게 제공하는지, 다양한 실시예들은 나아가 부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 묘사된다.
이러한 도면들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제공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프로세스 흐름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상호작용 표면 위에 배치된 음악 시트와 음악 시트 위에 깔끔하게 배치되고 그 위에 인쇄된 다양한 음악 관련 지시자를 가지는 카드들의 그룹을 가지는 상호작용 표면의 접사를 도시한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음계에서 7음표를 위한 두 개의 세트의 디자인을 도시한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음계 상에서 음표의 음높이를 반 단계만큼 변경하기 위해 사용되는 두 개의 카드의 다자인을 도시한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음계 상에서 음표의 음높이를 일 옥타브만큼 변경하기 위해 사용되는 두 개의 카드의 다자인을 도시한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표의 리듬과 길이의 지시자인 카드 상에 인쇄된 부호에 대한 디자인을 도시한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에 대한 디자인을 도시한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음계에서 음근에 기초한 화음 카드의 디자인을 도시한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작용 표면의 위에 배치된 음악 시트를 가지는 상호작용 표면의 접사와 또한 코드 카드를 사용한 음악 시트 위에 깔끔하게 배치되고 그 위에 인쇄된 다양한 음악 관련 지시자를 가지는 카드들의 그룹을 도시한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적인 음근에 기초한 코드 변화 카드에 대한 디자인을 도시한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의 개시는 구체적으로 하기에서 논의된다. 구체적인 구현들이 논의되는 동안, 이것은 설명을 위해 행해지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와 사상으로부터의 분리없이 다른 구성 및 배열의 사용을 인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프로세스 흐름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어 시스템과 방법을 도시한다. 시스템은 프로세서(103) 및 메모리부(104)로 구성된, 컴퓨터 시스템(102)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상호작용 표면(101)을 포함한다. 상호작용 표면(101)은 나아가 상호작용 표면(101)의 컴퓨터 시스템(102)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센서 또는 감지 장치(105)를 포함한다. 센서 또는 감지 장치(105)는 상호작용 표면(101)상에 또는 근처에 배치된 객체(106)의 위치 및 고유한 아이디(ID)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묘사된 시스템은 나아가 컴퓨터 시스템(102)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오디오 스피커 및/또는 점등 장치와 같은 사용자 피드백 장치(107)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서 묘사된 시스템 디자인을 사용하여 음악 단편을 창작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1959 로저스와 해머스타인(Rogers & Hammerstein) 뮤지컬 “사운드 오브 뮤직”에서 쇼 튠(show tune)의 유명한 에델바이스(Edelweiss) 멜로디의 첫 여덟 절의 창작된 멜로디임을 알 수 있다.
이 멜로디를 창작하기 위해, 뮤지컬-관련 지시자로 각인된 카드들(202)은 상호작용 표면(201)에 배치된다. 이 카드들(202)의 일부는 7음표의 단순화된 숫자의 표현을 사용한 음표 카드들(203)이다. 다른 카드들(204)은 음악 리듬-관련 지시자(하나의 비트(beat)를 위한 지시자를 표현하는 이 경우에 ‘-‘)가 각인되고, 어떤 다른 카드들(205)은 음표 카드들(203)상에서 음높이를 바꾸기 위해 사용되는 음높이 변경 카드들이다.
상호작용 표면(201)의 아래 부분은 또한 상호 작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위한, 플레이 버튼(206), 리플레이 버튼(207) 및 정지 버튼(208)을 포함하는, 기능 버튼들을 갖는다.
도 2에서 묘사된 실시예를 사용해 멜로디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음악 진행 라인들(209)을 따라(음표 카드들(203)보다 위에 배치되는 음높이 변경 카드들(205)에 대해서는 제외하고) 상호작용 표면(201)의 위에 음표, 리듬 및 음높이 변경 카드들(202)을 배치한다. 일단 카드들(202)이 상호작용 표면(201) 위에 적절하게 배치되면, 센서 또는 감지 장치는 상호작용 표면(201)의 표면에 관한 위치와 관련된 그것은 물론이고 카드들(202)의 UID를 획득하고, 이 정보를 컴퓨터 시스템에 전송한다. 상기 정보는 그 다음 컴퓨터 시스템의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사용자가 음악 진행 라인들(209)을 따라 상호작용 표면(201)의 위에 더 많은 카드들(202)을 배치함에 따라, 컴퓨터 시스템은 음표, 리듬 및 음높이를 변경하는 카드들(202)의 동반 열을 그것의 메모리 안에 저장할 것이고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창작하는 음악 멜로디를 추론한다.
마지막으로, 일단 사용자가 그가 창작한 음악 카드들(202)의 패턴에 만족하면, 사용자는 음향의 스피커로 일반적으로 구성된, 피드백 장치를 통해 컴퓨터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멜로디를 연주하도록 하기 위해 플레이 버튼(206)을 누를 수 있다.
도 2에서 묘사된 실시예가 음악을 창작하기 위한 적절한 예시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보다 완전하고 포괄적인 음악을 창작하는 장치를 가지기 위하여 수많은 애드-온(add-ons)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적인 개략도이고, 도 2와 비교하여 향상된 정교함을 가지는 일 예의 시스템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호작용 표면(301)은 프로세서(306)뿐 아니라 메모리부(307)로 구성되는 컴퓨터 시스템(308)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카메라(304)(또한 컴퓨터 시스템(308)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는 카메라(304)가 상호작용 표면(301)의 모든 영역의 전체상(overview)을 가지는 그런 방식으로 상호작용 표면(301)의 측면에 부착되는 기둥(303)의 윗부분에 놓인다. 상호작용 표면의 위에 배치되는 카드들(305)과 같은 객체들은 카메라(304)에 의해 즉각적으로 감지되고 이러한 카드들(305)에 인쇄된 지시자들은 카메라(304)를 통해 컴퓨터 시스템(308)에 의해 인식된다. 따라서, 식별자(즉, 지시자)의 타입은 물론이고 상호작용 표면(301)과 관련된 객체의 위치와 배향은 컴퓨터 시스템(308)에 의해 인식된다. 사용자에게 오디오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컴퓨터 시스템(308)은 또한 작동가능하게 스피커 시스템(309)과 연결된다.
도 3에서 묘사된 실시예에서 식별자는 음악-관련 지시자와 동일하나, 이것은 시스템이 상호작용 표면의 컴퓨터 시스템과 카드의 UID가 무선 통신하기 위해 카드안에 임베디드된 RFID 칩을 사용하는 실시예의 사례가 아닐 것이다. 그러한 사례에서, 카드의 위치와 배향은 상호작용 표면의 표면을 가로질러 임베디드된 센서의 세트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다른 시스템 실시예는 상호작용의 표면 위에 배치된 객체의 위치 및 배향 정보, UID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디자인된 센서의 어레이를 가지는 상호작용 표면을 가진다.
다른 시스템 실시예는 상호작용 표면으로서 전자적 스크린을 가진다. 이 실시예는 정보 전달의 비용뿐 아니라 간편함의 측면에서 수많은 장점을 제공한다.
상호작용 표면을 위한 다양한 기술과 디자인에도 불구하고, 단순함을 위해서, 본 발명은 도 3에서 도시된 시스템 디자인(즉, 카드의 식별자/지시자, 위치 및 배향 정보를 감지하기 위하여 카메라를 사용한)을 사용하여 묘사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상호작용 표면 위에 배치된 음악 시트와 음악 시트 위에 깔끔하게 배치되고 그 위에 인쇄된 다양한 음악 관련 지시자를 가지는 카드들의 그룹을 가지는 상호작용 표면의 접사를 도시한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도 3에 묘사된 시스템을 사용하여, 도 4는 나아가 상호작용 표면(401) 위에 배치된 음악 시트(402)와, 음악 시트(402)위에 깔끔하게 배치되고 그 위에 다양한 음악-관련 지시자가 인쇄된 카드들(403)의 선택물을 가지는 상호작용 표면(401)의 접사를 묘사한다. 이 특별한 실시예에서, 음악 단편은 7음표(즉, 그것들에 인쇄된 문자들 C, D, E, F, G, A 또는 B을 가지는 카드들)의 사용을 통해 창작된다.
도 4에서 묘사된 실시예는 어떻게 사용자가 단순한 멜로디를 창작하기 위한 음악 생성 영역(415)에 카드들(403)의 선택물을 배치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일단 사용자가 음악 시트(402) 위에 카드들을 배치하면 그것들은 그들의 멜로디를 연주하기 위해 진행할 수 있다(replay 버튼(405)을 누름으로써), 또는 그들의 멜로디를 정지할 수 있다(pause 버튼(406)을 누름으로써).
본 발명의 카드들(403)은 각각 다른 그것의 표면에 인쇄된 음악-관련 지시자를 갖는다. 이러한 지시자들은 다양한 형태들 및 패턴들을 가질 수 있고 다른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카드들은 다음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것으로 가장 잘 묘사될 수 있다: 음표; 음높이 변경; 리듬; 멜로디; 악기; 그리고 코드.
1. 음표 카드들
이러한 카드들(403)은 임의의 음악 단편의 핵심 요소이다. 그들은 도 4에서 묘사되는 음악 시트(402)상에서 대시(dashed) 라인(407)을 따라 배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음계에서 7음표를 위한 두 개의 세트의 디자인을 도시한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는 음표 카드들을 위한 두 가지의 다른 디자인을 포함한다: 보표 기보법과 문자 기보법. 이 두 개의 디자인의 세트는 도 5에서 묘사되고 각각의 카드들의 세트는 반음계에서 동일한 7음표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여, 좌측편 상에 위와 아래의 두 개의 카드(501, 502)는 두 개의 외형 스타일로, 동일한 음표, Middle C를 묘사한다. 상좌측 카드(501)는 음 높이 위치를 가지는 보표 기보법을 사용하여 Middle C 음표를 묘사하고 하좌측 카드(502)는 음이름 C를 가지고 동일한 Middle C를 묘사한다. 양쪽 디자인 모두 카메라(304)로 받아 들여질 수 있고 도 3에 묘사된 컴퓨터 시스템(308)은 이러한 카드들에 대한 식별자로서의 이러한 지시자를 인식하도록 커스터마이즈(customize)된다는 것에 주목할 것이다.
흥미롭게도, 만약 사용자가 7 카드들(어떤 디자인을 사용하든)을 도 5에 묘사된 것처럼 동일한 순서로 음악 시트(402)(그것은 상호작용 표면(401)의 위에 그 자체로 배치된)의 위에서 음표 카드들을 위해 디자인된 대시 라인(407)내에 배치한다면, 그리고 그 다음 play 버튼(404)이 눌러진다면, 그 다음, 컴퓨터 시스템은 성공적으로 솔페주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멜로디를 연주할 것이다.
2. 음높이 변경 카드
이러한 카드(408, 409)는 각각의 음표 카드들(403)의 음높이를 바꾸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각각의 음표 카드들(403) 위에 얹거나 포개지는 이러한 특별한 카드들(408, 409)을 예상한다. 이 행위는 즉시 카메라(304)와 컴퓨터 시스템(308)에 의해 인식될 것이고 그 다음 멜로디의 음높이는 이에 따라 바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음계 상에서 음표의 음높이를 반 단계만큼 변경하기 위해 사용되는 두 개의 카드의 다자인 - 임시표를 도시한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는 음높이 변경 카드들의 두 개의 다른 형태를 포함한다: 반음계에서 반 단계만큼 음표의 음높이를 변경하는 카드들 및 일 옥타브만큼 음표의 음높이를 변경하는 카드들.
도 6에서 첫번 째 카드(601)의 부호는 반 단계만큼 음악의 고저를 올리기 위해 사용되는 ??(sharp) 임시표에 대한 디자인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도 6에서 두번째 카드(602)의 부호는 반 단계만큼 음높이를 낮추기 위해 사용되는 플랫(flat) 임시표에 대한 디자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음계 상에서 음표의 음높이를 일 옥타브만큼 변경하기 위해 사용되는 두 개의 카드의 다자인을 도시한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첫번째 카드(701)의 부호는 일 옥타브 더 높게 음표를 올리기 위한 디자인을 도시한 예시적인 개략도인 반면에 두번째 카드(702)의 부호는 일 옥타브만큼 음표를 낮추기 위해 사용되는 디자인이다.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어떻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음표 카드(403)의 음높이를 변경하기 위해 도 6 및 도 7에 묘사된 음높이 변경 카드들을 사용할 수 있는지 알 수 있다. 플랫 임시표에 대한 부호로서 도 6에서 묘사되었던 지시자를 가지는 세 개의 카드들(408)이 세 개의 음표 카드들(403)의 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일 옥타브 높게 음표를 올리기 위한 부호로서 도 7에서 묘사되었던 부호를 가지는 카드(409)가 또 다른 음표 카드(403)의 위에 배치되어 있다.
사실상, 음표 카드들(403) 위에 포개진 이러한 음표 변경 카드들(408, 409)은 음표가, 카메라(304)를 통해, 컴퓨터 시스템(308)이 읽는 음높이 변경 카드 지시자에 따라 그들의 음높이를 변경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play(404) 또는 replay(405) 버튼을 누른 후에 컴퓨터 시스템(308)은 그 다음 수정된 멜로디를 연주하도록 스피커(309)에 지시한다.
3. 리듬 카드
도 4를 참조하여, 이러한 카드들(410)은 음표(403)의 리듬 및 길이의 지시자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러한 특별한 카드들(410)이 빈 라인(411)에 보여지는 공간에서 각각의 음표 카드들(403) 바로 위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상한다. 대시 라인(407)의 모든 박스에 채워질 필요 없는 음표 카드들(403)과는 다르게, 리듬 카드들(410)은 음표 카드 대시 라인(407)보다 위에 위치한 빈 라인(411)의 각각의 박스에 채워져야 한다는 것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하여 리듬을 나타내는 빈 라인(411)의 박스들은 음표 대시 라인(407)상에 박스들과 마주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리듬 카드들은 멜로디의 리듬을 창작하기 위해 빈 라인(411) 위에 정렬된다.
다시, 음표 카드(403) 및 음높이 변경 카드(408)와 마찬가지로, 리듬 카드(410)가 빈 라인(411)에 배치되자마자, 카메라(304)를 통해, 컴퓨터 시스템(308)은 리듬 카드(410)의 위에 인쇄된 부호를 인식하고 정보를 처리하기 시작한다.
본 실시예는 리듬 카드들(410)에 대한 수많은 다른 지시자들을 포함한다; 각각은 다른 기능들을 가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표의 리듬과 길이의 지시자인 카드 상에 인쇄된 부호에 대한 디자인을 도시한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통상의 기술자는 도 8에 도시된 지시자가 음표의 리듬과 길이를 보이기 위한 국제 표준(아시아 국가들에서 널리 사용되는)인 것을 인지할 것이다. 그러므로, 멜로디에 대한 다양한 부호의 효과는 더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4. 멜로디 카드:
4.1 멜로디 카드에 멜로디를 할당
일단 사용자가 음표(403), 음높이 변경(408), 및 리듬 카드들(410)을 뮤직 시트(402)(이는 상호작용 표면(401)의 위에 배치됨)상에 배치하고 그가 창작한 멜로디 세그먼트(segment)에 만족하면, 멜로디 카드(412)의 사용을 통해 이 세그먼트를 저장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러한 멜로디 카드들(412)은 음악 시트(402)의 하부 라인에 배치된다. 도 4에 묘사된 예에서 사용자가 창작한 멜로디 세그먼트를 저장하길 원한다고 가정하면,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것은 멜로디 카드(412)를 뮤직 시트(402)의 하부 우측에 묘사된 사각의 영역(413)에 배치하는 것이 전부이다.
부호 “>“(414)를 가지는 버튼에 인접한 이 사각의 영역(413)에서 사용자는 (음표, 음높이, 및 리듬 카드들의 사용을 통해) 보드에서 창작된 멜로디를 사각의 영역(413)에 배치된 멜로디 카드(412)에 할당한다. 그러므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양한 음악 지시자 카드들은 “멜로디 창작 영역”(415)(사각의 굵은 라인 안의 영역으로 도시된) 에 정렬되고 사용자는 그 다음 이 멜로디를 6으로 번호가 매겨진 멜로디 카드(412)로 할당하도록 한다.
4.2 다수의 멜로디를 멜로디 카드에 할당
상술한 접근과 동일하게, 일단 다수의 멜로디가 다수의 멜로디 카드들(412)에 할당된 경우, 다수의 멜로디는 그 다음 하나의 멜로디 카드에 할당될 수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할 것은 다수의 멜로디 카드들(412)을 차례로 뮤직 시트(402)의 가장 아랫단의 대시 라인으로 도시된 “멜로디 창작 영역”(416)으로 배치하는 것이 전부이다. 또 다시, 사용자는 그 다음 새로운 멜로디 카드(412)를 대시 라인(416)의 우측의 사각의 영역(413)의 위에 배치하도록 하고 그 다음 그것에 인접한 “=“버튼(417)을 누른다. 이것은 대시 라인(416)에 배치된 일련의 멜로디 카드들이 새로운 멜로디 카드로 할당되도록 하고 완전한 음악 단편의 메인 테마가 창작된다.
5. 악기 카드
이러한 카드들(418)은 컴퓨터 시스템(308)에게 악기가 멜로디 생성 영역(415)에서 창작된 멜로디를 연주하도록 지시한다. 도4를 참조하면, 세 개의 악기 카드들(418)이 음악 시트(402)의 맨 아래 좌측에서 지정된 악기 할당 영역(419)에 배치된 것을 볼 수 있다.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멜로디를 연주하기 위해 단지 네 개의 악기 카드들(418)이 동시에 사용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피아노, 트럼펫 및 기타를 위한 악기 카드들(418)이 선택되었다. 이것은 만약 사용자가 플레이(404) 또는 리플레이(405) 버튼을 누른다면 그 다음 멜로디 창작 영역(415)에서 창작된 멜로디가 피아노, 트렘펫 및 기타의 음향을 동시에 사용하여 연주될 것임을 의미할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에 대한 디자인을 도시한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6. 템포( Tempo ) 버튼
사용자가 멜로디 생성 영역에서 생성된 멜로디의 템포(즉, 분 당 비트)를 수정하기 위해, 사용자는 간단히 음악 시트(402)의 아래 우측에 위치한 TEMPO 업(420) 또는 TEMPO 다운(423) 버튼을 누른다. 이러한 키와 상호 작용은 멜로디 창작 영역(415)에서 창작된 멜로디의 템포를 증가시키거나 느리게 할 것이다.
7. 키( key ) 버튼
사용자가 멜로디 생성 영역에서 생성된 멜로디의 음악 조성을 수정하기 위해, 사용자는 간단히 음악 시트(402)의 아래 우측에 위치한 KEY 업(421) 또는 KEY 다운(422) 버튼을 누르면 된다. 이러한 키와 상호 작용은 멜로디 창작 영역(415)에서 창작된 멜로디의 전체의 반음계의 위치를 올리거나 낮출 것이다.
8. 코드( Chord ) 카드
발명의 본 실시예는 또한 코드 카드의 사용을 통해 화음이 뮤직 시트(402)와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음계에서 음근에 기초한 화음 카드의 디자인을 도시한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코드 카드의 디자인이 반음계에서 음근에 기초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카드들은 도 4에서 사용된 음표 카드들이 사용된 방식과 동일하게 사용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작용 표면의 위에 배치된 음악 시트를 가지는 상호작용 표면의 접사와 또한 코드 카드를 사용한 음악 시트 위에 깔끔하게 배치되고 그 위에 인쇄된 다양한 음악 관련 지시자를 가지는 카드들의 그룹을 도시한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어떻게 반음계에서 음근에 기초한 코드 카드들(1101)이 보다 복합적인 멜로디 구조를 창작하기 위해 멜로디 창작 영역에 배치되는지 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적인 음근에 기초한 화음 변화 카드에 대한 디자인을 도시한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이러한 코드 변화 카드에 사용된 부호들이 국제 표준 (예를 들어, m - 단3화음(triad); aug - 증3화음; dim - 감3화음…등)임을 알 수 있고 이 문서의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코드 변화 카드들(1102)은 도 4에서 사용된 음높이 변화 카드들(408)과 매우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된다. 즉, 사용자는 구체적인 3화음을 형성하기 위해 그것들을 코드 카드들(1101)의 위에 포갠다. 예를 들어, G 장조에서 장3화음인 코드 카드 C(1103)를 살피면, 사용자가 코드 변화 카드 m6(1104)를 코드 카드(1103) 위에 겹쳐놓은 것을 알 수 있다. 그 결과는 G 장3화음이 이제 G 단6도(minor 6th) 3화음으로 변형된다는 것이다.
9. 텍스처 ( texture ) 수정
마지막으로 멜로디의 텍스처는 악기 카드(1105)를 지정된 영역(1106)안에 배치하고 그 다음 멜로디 창작 영역의 좌측에 위치한 여섯 개의 악기 스타일 옵션 버튼들(1107) 중 하나를 선택하여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피아노 악기 카드(1105)는 지정된 영역에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 다음 이어서 어떤 옵션 버튼들(1107)을 눌러 다른 피아노 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로 표시된 옵션 버튼(1107)은 그랜드 피아노를 연주할 수 있고, 2로 표시된 옵션 버튼(1107)은 전자 피아노를 연주할 수 있으며, 옵션 버튼(1107)은 오르간을 연주할 수도 있다.
나아가, 악기 카드(1105)가 지정된 영역(1106)에 배치되지 않는 경우; 그 다음 사용자는 어떤 옵션 버튼(1107)을 눌러 어떤 6 코드 스타일(예를 들어, 아르페지오(arpeggio), 옥타브 굴림(rolling of the octaves), 등)을 선택할 수 있다.

Claims (28)

  1. 구조적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의 옆 또는 위에 배치되고, 각각의 객체는 식별자 및 할당된 음악-관련 지시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객체;
    상호작용 표면으로서, 상기 상호작용 표면 상에 또는 근처에 배치된 객체의 상기 식별자 및 위치 정보를 인식하도록 구성된 상기 상호작용 표면;
    상기 상호작용 표면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된(operatively linked)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식별자 및 음악-관련 지시자 간의 상관관계의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객체가 구조적인 패턴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호작용 표면 위에 또는 근처에 배치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구조적인 패턴으로부터 음악 단편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음악 학습, 작곡 및 연주를 위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제1 객체의 음악-관련 지시자는 음악 부호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객체의 상기 음악 부호와 위치 정보에 따라서 상기 음악 단편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음악 학습, 작곡 및 연주를 위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제2 객체를 위한 음악-관련 지시자는 프로그래밍 부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가 상기 상호작용 표면 상에 또는 근처에 배치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객체의 상기 프로그래밍 부호에 따라서 상기 제1 객체의 상기 음악 부호를 프로그램하도록 구성되는 음악 학습, 작곡 및 연주를 위한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제3 객체를 위한 음악-관련 지시자는 악기 부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3 객체가 상기 상호작용 표면 상에 또는 근처에 배치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객체의 상기 음악 부호와 상기 제3 객체의 상기 악기 부호에 따라서 상기 음악 단편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음악 학습, 작곡 및 연주를 위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의 상기 식별자는 고유 식별 코드(UID)를 포함하고, 상기 UID는 RF 식별 칩, 정전용량의 색인표의 패턴, 및 자기적인 색인표의 패턴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장치를 가지고 인코드(encode)되는 음악 학습, 작곡 및 연주를 위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의 상기 식별자는 고유 광학 패턴과 상관관계가 있고, 상기 상호작용 표면은 상기 상호작용 표면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카메라 또는 센서 어레이를 통해 상기 고유 광학 패턴을 인식하는 음악 학습, 작곡 및 연주를 위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광학 패턴은 상기 객체 상에 사전 제작된 음악 학습, 작곡 및 연주를 위한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광학 패턴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객체 상에 표기되는 음악 학습, 작곡 및 연주를 위한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의 상기 식별자는 상기 객체에 할당된 음악-관련 지시자인 음악 학습, 작곡 및 연주를 위한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상기 상호작용 표면의 위에 배치되는 물리적 시트를 포함하는 음악 학습, 작곡 및 연주를 위한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작용 표면에 동작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음악-관련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전자적 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음악 학습, 작곡 및 연주를 위한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감각 액세서리를 더 포함하는 음악 학습, 작곡 및 연주를 위한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감각 액세서리는 오디오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장치로 상기 음악 단편을 연주하도록 구성된 음악 학습, 작곡 및 연주를 위한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감각 액세서리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음악 단편의 악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음악 학습, 작곡 및 연주를 위한 시스템.
  15. 복수의 객체를 구조적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상호작용 표면 상에 또는 근처에 배치하는 단계로서, 각각의 객체는 식별자를 포함하고 음악-관련 지시자가 할당된 단계;
    객체의 상기 식별자 및 위치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객체의 상기 식별자로부터 상기 음악-관련 지시자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구조적인 패턴으로부터 음악 단편을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악 학습, 작곡 및 연주를 위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제1 객체의 음악-관련 지시자는 음악 부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객체의 상기 음악 부호와 위치 정보에 따라서 상기 음악 단편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악 학습, 작곡 및 연주를 위한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제2 객체를 위한 음악-관련 지시자는 프로그래밍 부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가 상기 상호작용 표면 상에 또는 근처에 배치되면, 상기 제2 객체의 상기 프로그래밍 부호에 따라서 상기 제1 객체의 상기 음악 부호를 프로그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악 학습, 작곡 및 연주를 위한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제3 객체를 위한 음악-관련 지시자는 악기 부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3 객체가 상기 상호작용 표면 상에 또는 근처에 배치되면, 상기 제1 객체의 상기 음악 부호와 상기 제3 객체의 상기 악기 부호에 따라서 상기 음악 단편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악 학습, 작곡 및 연주를 위한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의 상기 식별자는 고유 식별 코드(UID)를 포함하고, 상기 UID는 RF 식별 칩, 정전용량의 색인표의 패턴, 및 자기적인 색인표의 패턴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장치를 가지고 인코드(encode)되는 음악 학습, 작곡 및 연주를 위한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의 상기 식별자는 고유 광학 패턴과 상관관계가 있고,
    상기 상호작용 표면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카메라 또는 센서 어레이를 통해 상기 고유 광학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악 학습, 작곡 및 연주를 위한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상에 상기 고유 광학 패턴을 사전 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악 학습, 작곡 및 연주를 위한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상에 상기 고유 광학 패턴을 표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악 학습, 작곡 및 연주를 위한 방법.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의 상기 식별자는 상기 객체에 할당된 음악-관련 지시자인 음악 학습, 작곡 및 연주를 위한 방법.
  24. 제15항에 있어서,
    객체는 물리적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호작용 표면의 위에 물리적 시트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악 학습, 작곡 및 연주를 위한 방법.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작용 표면에 동작가능하도록 연결된 전자적 스크린 상에 음악-관련 부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악 학습, 작곡 및 연주를 위한 방법.
  26. 제15항에 있어서,
    감각 액세서리로 상기 음악 단편을 보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악 학습, 작곡 및 연주를 위한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감각 액세서리는 오디오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장치로 상기 음악 단편을 연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악 학습, 작곡 및 연주를 위한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감각 액세서리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음악 단편의 악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악 학습, 작곡 및 연주를 위한 방법.
KR1020167020173A 2014-01-30 2014-06-19 물리적 객체를 가지고 음악을 학습, 작곡, 및 연주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046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PCT/CN2014/071850 2014-01-30
CN01471850 2014-01-30
CN01472961 2014-03-06
CNPCT/CN2014/072961 2014-03-06
CN01479891 2014-06-13
CNPCT/CN2014/079891 2014-06-13
PCT/CN2014/080317 WO2015113360A1 (en) 2014-01-30 2014-06-19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composing,and playing music with physical objec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644A true KR20160104644A (ko) 2016-09-05

Family

ID=56976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0173A KR20160104644A (ko) 2014-01-30 2014-06-19 물리적 객체를 가지고 음악을 학습, 작곡, 및 연주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464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3944A (ko) * 2019-02-26 2020-09-03 박나원 휴대용 작곡 및 연주 시스템
US12067961B2 (en) * 2021-06-08 2024-08-20 Koto Co., Ltd. Musical instrument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3944A (ko) * 2019-02-26 2020-09-03 박나원 휴대용 작곡 및 연주 시스템
US12067961B2 (en) * 2021-06-08 2024-08-20 Koto Co., Ltd. Musical instrument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9336B2 (ja) 物理的オブジェクトにより音楽の学習、作曲及び演奏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91837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composing, and playing music with physical objects
WO20151133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composing,and playing music with physical objects
US5144875A (en) Music sheet
US9082386B1 (en) Two dimensional musical keyboard
JP2013515288A (ja) 教育用弦楽器タッチスクリーンシミュレーション
CN101128859A (zh) Morpheus(梦神)音乐符号系统
CN107481581B (zh) 用于钢琴教学的计算机辅助方法和计算机系统
JP2018146718A (ja) 教習装置、教習プログラムおよび教習方法
US7306226B2 (en) Musical game
JP7157377B2 (ja) 演奏情報表示装置及び演奏情報表示方法、演奏情報表示プログラム、並びに、電子楽器
CN105453168A (zh) 用物体进行学习、创作和演奏音乐的系统和方法
CN103632657B (zh) 一种一指弹交响乐系统
KR20160104644A (ko) 물리적 객체를 가지고 음악을 학습, 작곡, 및 연주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302212B1 (en) Device for teaching music performance through tactile pitch association and methods of use
US12067961B2 (en) Musical instrument system
CN210804855U (zh) 初学者快速成曲钢琴
CN106981233B (zh) 一种智能钢琴大屏显示教学系统
CN108091207A (zh) 一种盲人钢琴
Biamonte Musical representation in the video games Guitar Hero and Rock Band
CN216697565U (zh) 一种用于培养音乐素养和思维的学习用具
JP6155458B1 (ja) ビートチャート数字譜
Kuo Strategies and methods for improving sight-reading
JP7473781B2 (ja) 音要素入力媒体、読取変換装置、及び、楽器システム、並びに、楽音生成方法
TW201405544A (zh) 樂器及樂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