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8891A - 악기연주 시스템 - Google Patents

악기연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8891A
KR20130108891A KR1020120030713A KR20120030713A KR20130108891A KR 20130108891 A KR20130108891 A KR 20130108891A KR 1020120030713 A KR1020120030713 A KR 1020120030713A KR 20120030713 A KR20120030713 A KR 20120030713A KR 20130108891 A KR20130108891 A KR 20130108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module
guitar
sensor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0159B1 (ko
Inventor
서창준
이성건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30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159B1/ko
Publication of KR20130108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18Selecting circui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7/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 G10D1/085Mechanical design of electric guit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16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string input, i.e. special characteristics in string composition or use for sensing purposes, e.g. causing the string to become its own sens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185Stick input, e.g. drumsticks with position or contact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기연주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악기연주 시스템은 기타 형상의 바디를 포함하고, 기타의 현을 구현하는 복수개의 케이블 센서를 포함하는 케이블 센서부, 및 지판 상에서 기타의 현과 프렛에 의해 분할된 부분들에 대응하여 위치한 복수개의 택스위치를 포함하는 택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기타 모듈; 집개 형태의 바디 및 진동을 감지하는 필름 센서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개의 드럼 센서부를 포함하는 드럼 모듈; 및 기타 연습모드시 복수개의 코드들 중 선택된 코드의 운지 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기타 모듈의 상기 택 스위치들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감지된 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감지된 위치에 따른 음을 출력하고, 드럼 연습모드시 드럼 세트를 표시하고 상기 드럼 모듈의 상기 필름 센서들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필름 센서에 대응하는 타악기의 음을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악기연주 시스템{instrument playing system}
본 발명은 악기연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누구나 한 번쯤 악기를 배워 보고 싶은 마음을 가진다. 음악을 배우며 악기를 연주함에 있어서 첫째, 두뇌를 자극하는 효과가 있다. 악기를 연주 시 악기의 종류를 막론하고 섬세한 손길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평소에 잘하지 않던 행동을 함으로써 뇌의 자극을 더 주게 된다. 두 번째, 악기를 연주하기 위해서 몸을 움직여야 하는 특성상 종합적인 운동기구의 역할도 할 수 있다. 그 중 드럼은 악기 중에서도 최고라 불릴 만큼 신체에너지를 많이 사용한다고 알려진 악기이며, 기타 역시 리듬에 맞춰 음을 내기 위해서는 역동적인 움직임이 필요하기 때문에 운동의 기능도 겸비한다고 할 수 있겠다. 세 번째, 심리적 효과이다. 그 예로 최근 음악치료센터라든가 음악치료사들이 많이 활약하며 또한 일상생활에 지친 사람들에게 스트레스의 탈출구로도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바쁜 일상 속에서 시간을 내서 악기를 배우기란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기타의 경우 복잡한 코드에 절망하고 포기하기 일쑤이다. 또한, 바쁜 일상 속에 일반인이 항상 악기를 가지고 다니는 일도 쉽지 않을뿐더러 혼자서 배우고 즐기기가 그리 쉽지 만은 않다.
그에 따라, 악기 연주의 기분을 즐길 수 있는 게임들이 개발되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0053730호에는 각종 악기를 연주할 수 있는 악기연주용 게임기를 개시하고 있는데, 입력 수단으로서 건반 입력부, 드럼 입력부, 기타 입력부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게임기에서는 연주가 시작되면 디스플레이 상에 연주 악기에서 입력되어야 할 노트들을 표시하고, 사용자는 노트에 대응하여 해당 악기 입력부에서 입력을 수행한다. 이러한 게임기에서 악기 연주는 예컨대, 건반 입력부의 버튼을 노트에 대응하여 선택하거나, 기타 입력부의 기타줄을 손가락으로 튕기는 것이다. 따라서, 실제로 악기 연주를 연습할 수 있는 효과는 미미하다.
따라서, 실제 악기를 연주하는 것을 연습하기 위해서는 악기가 구비된 장소로 이동하거나 악기를 가지고 다녀야 한다. 그러나 바쁜 일상 속에서 시간을 내서 혼자서 배우고 즐기기가 쉽지 않으며 악기를 가지고 다니기도 불편하다.
국내특허공개공보 1020000053730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가지 악기 중에서 밴드에 사용되어 가장 인기가 많은 기타와 드럼을 누구나 쉽게 배우고 사용할 수 있는 악기연주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악기연주 시스템은, 기타 형상의 바디를 포함하고, 기타의 현을 구현하는 복수개의 케이블 센서를 포함하는 케이블 센서부, 및 지판 상에서 기타의 현과 프렛에 의해 분할된 부분들에 대응하여 위치한 복수개의 택스위치를 포함하는 택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기타 모듈; 집개 형태의 바디 및 진동을 감지하는 필름 센서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개의 드럼 센서부를 포함하는 드럼 모듈; 및 기타 연습모드시 복수개의 코드들 중 선택된 코드의 운지 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기타 모듈의 상기 택 스위치들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감지된 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감지된 위치에 따른 음을 출력하고, 드럼 연습모드시 드럼 세트를 표시하고 상기 드럼 모듈의 상기 필름 센서들로부터 진동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필름 센서에 대응하는 타악기의 음을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악기연주 시스템은 상기 드럼 모듈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제1 무선 통신부 및 상기 기타 모듈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하는 제1 유선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드럼 센서부는 상기 필름 센서의 진동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상기 제1 무선 통신부로 전송하는 제2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타 모듈은 상기 케이블 센서부 및 상기 택스위치부들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 센서부 및 상기 택스위치부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상기 제1 유선통신부로 전송하는 제2 유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무선 통신부는 지그비 통신 방식을 채용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유선 통신부는 RS-232 시리얼 통신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센서는 피에조 케이블 센서일 수 있고, 상기 필름 센서는 피에조 필름 센서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작곡모드시에 복수개의 코드들을 표시하고 선택된 코드들에 대응한 음원들을 하나의 음악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각 드럼 센서에 대응하여 진동 감지 레벨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드럼 비트연습 모드시, 상기 드럼 세트의 각각의 타악기에 대응한 노트들을 표시하며, 상기 노트들이 미리 결정된 라인에 도달할 때, 상기 드럼 센서들중 해당 드럼 센서로부터 진동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표시하며 상기 감지 신호에 대응한 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드럼 비트 생성모드시, 상기 드럼 세트의 각각의 타악기에 대응하여 상기 드럼 센서들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해당 타악기의 음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기타 연습모드시, 상기 선택된 코드의 운지 위치를 제1 마커들을 이용하여 표시하고, 상기 감지된 위치를 상기 제1 마커들과 다른 색을 갖는 제2 마커들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커들은 상기 운지 위치에서 연주자가 어떤 손가락을 운지해야하는 지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드럼 모듈은 7개의 드럼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 센서부는 각각 이햇, 스네어, 탐1, 탐2, 플로어탐, 베이스 및 크래쉬의 드럼 구성 악기에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드럼 모듈이 사용자에 의해 어디서나 설치될 수 있고 또한, 기타 모듈이 코드를 운지하는 것만으로도 음을 출력함으로써 악기에 다가서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공간적, 금전적 제약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남녀노소 누구나 언제 어디에서든지 혼자서도 간편하고 쉬운 조작으로 기타 연주 또는 드럼 연주를 쉽게 학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악기연주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악기연주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타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악기연주 시스템에서 기타 연습모드의 제어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타 연습모드 화면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악기연주 시스템에서 드럼 연습모드의 제어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연습 모드시의 화면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악기연주 시스템에서 작곡모드의 제어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곡모드시의 화면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비트 생성모드시의 화면을 나타낸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설정모드시의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밴드구성요소 중 현악기와 타악기의 한 종류인 기타와 드럼을 누구나 쉽게 배우고 사용할 수 있는 악기연주 시스템을 구현하여 사람이 혼자서도 밴드를 연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악기연주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악기연주 시스템은 사용자로 하여금 손쉽게 악기를 연주 연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악기연주 시스템은 크게 드럼 모듈(170)과 기타 모듈(180)로 구성된다. 드럼 모듈(170) 및 기타 모듈(180)은 피에조 케이블 센서와 필름 센서, 시리얼 통신, 지그비 통신을 이용하여 기타 모듈과 드럼 모듈을 구현하였고 출력부분은 소프트웨어에서 어플리케이션 화면과 사운드를 제공한다. 소프트웨어에서는 연습모드와 작곡모드 연주모드로 구성되어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악기연주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악기연주 시스템(100)은 프로세서(110), 표시부(120), 스피커(130), 메모리(140), 제1 무선 통신부(150), 제2 유선 통신부(160), 드럼 모듈(170), 기타 모듈(18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90)를 포함한다.
표시부(120)는 예컨대,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10)로부터 각종 데이터,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표시한다. 스피커(130)는 프로세서(130)로부터 제공되는 음원 데이터에 따라 소리를 출력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90)는 사용자가 악기연주 시스템을 조작할 수 있게 하며, 시스템이 사용자가 이용한 것에 대한 결과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90)를 통해 악기연주 시스템을 조작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음악파일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악기연주 시스템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음악파일 등을 표시하여 선택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일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음악파일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무선 통신부(150)는 프로세서(110)의 제어에 따라 드럼 모듈(170)에 포함된 복수개의 제2 무선 통신부와 통신한다. 바람직하게, 제1 무선 통신부(150)는 지그비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부(150)의 통신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블루투스 통신 방식이 채용될 수도 있다.
제1 유선 통신부(160)는 프로세서(110)의 제어에 따라 기타 모듈(180)에 포함된 제2 유선 통신부와 통신한다. 바람직하게, 제1 유선 통신부(160)는 RS-232 시리얼 통신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타 모듈(180)은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무선 방식의 통신을 이용하여 프로세서(110)와 통신할 수 있다.
드럼 모듈(170)은 일반의 사물들을 이용하여 드럼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드럼 모듈(170)은 복수개의 드럼 센서부(171-1 내지 171-n)을 포함한다. 일반적인 드럼은 이햇, 스네어, 탐1, 탐2, 플로어탐, 베이스, 크래쉬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드럼 모듈(170)은 7개의 드럼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7개의 드럼 센서부(171-1~171-n)은 각각 이햇, 스네어, 탐1, 탐2, 플로어탐, 베이스 및 크래쉬에 대응할 수 있다. 7개의 드럼 센서부가 진동을 감지하여 프로세서(110)로 제공한다. 프로세서(110)는 7개의 드럼 센서부로부터 감지값을 수신하면 7개의 드럼 센서부가 대응하는 드럼 구성 악기의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에 드럼 모듈(170)의 구성이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각 드럼 센서부(171-n)는 사물을 집음으로써 사물에 고정될 수 있는 집게 형태의 바디를 갖는다. 또한, 각 드럼 센서부(171-n)는 필름 센서(174) 및 제2 무선 통신부(174)를 포함한다.
각 드럼 센서부(171-n)는 통상의 핸드폰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제2 무선 통신부(175)가 구현되는 임베디드 PCB는 7x7cm 의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제2 무선 통신부(175)는 지그비 통신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필름 센서(174)는 진동 필름 센서로 구현되며, 바람직하게는 피에조 센서(Piezo sensor)로 구현된다. 피에조 센서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대부분의 물건들은 어떤 충격을 받았을 때 진동하게 된다. 따라서, 드럼 센서부(171-n)가 어떤 사물에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드럼 센서부(171-1~171-n)가 예컨대, 드럼 스틱을 이용하여 고정된 사물을 드럼을 치듯이 때리면, 필름 센서(174)는 드럼 센서부(171-1~171-n)가 고정된 사물의 진동을 감지한다.
다시 말해, 드럼 센서부(171-1~171-n)는 임의의 사물에 집게를 집는 형식으로 사물과 접촉하게 한다. 도 4에서는 드럼 센서부가 책(10), 책상(11) 및 CD케이스(12)에 연결된다. 또한, 드럼 센서부가 고정될 수 있는 사물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필름 센서(172)에 의해 감지된 진동 신호 또는 진동 데이터는 필름 센서(174)에 연결된 제2 무선 통신부(175)를 통해 프로세서(110)로 전달된다.
그에 따라, 프로세서(110)에 연결된 제1 무선 통신부(150)는 복수개의 제2 무선 통신부(175)와 통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 모듈이 7개의 드럼 센서부를 포함하면 제1 무선 통신부(150)는 7개의 제2 무선 통신부(175)와 1:7로 통신하게 된다.
프로세서(110)는 제1 무선 통신부(150)을 통해 필름 센서(174)에 의해 감지된 진동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진동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수개의 드럼 센서부(171-n)를 드럼으로 만들고 싶은 물건들에 각각 고정함으로써 각각 다른 드럼 구성 악기를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필름 센서와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물건에 고정될 수 있는 드럼 센서부를 구현함으로써 어디서나 설치 될 수 있는 전자 드럼 모듈을 제공하며, 그에 따라 드럼에 다가서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공간적, 금전적 제약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기타연주를 처음 배우는 사람들이 많이 어려워하는 부분 중 하나가 왼손으로 코드를 짚고, 오른손으로 기타 현을 쳐야 하는 점이다. 어느 정도 이상 숙련되지 않으면 동시에 양 손을 사용해서 연주하기 힘들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기타를 배우려고 하다가 중도 포기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기타 모듈(180)은 사용자가 코드를 잡을 때 손가락을 정확한 위치에 짚기만 하더라도 소리가 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를 위해, 기타 모듈(180)은 케이블 센서부(182), 택스위치부(184) 및 제2 유선 통신부(186)를 포함한다. 도 4에 기타 모듈(180)의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 4을 참조하면, 기타 모듈(180)은 통상적인 기타 형상의 바디를 포함하며, 지판(183)을 포함한다. 통상적인 기타는 지판(finger boards) 상에 복수개의 현을 포함한다. 현 부분은 기타를 연주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튕겨지는 부분이다. 케이블 센서부(182)가 복수개의 케이블 센서(186)를 포함하며, 기타의 현을 구현한다. 각 케이블 센서(186)은 피에조 진동 케이블 센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케이블 센서(186)은 제2 유선 통신부(186)에 연결되어 있다. 그에 따라, 복수개의 케이블 센서(186)에 의해 검출된 신호 또는 데이터는 제2 유선 통신부(186)을 통해 프로세서(110)로 전달된다. 제2 유선 통신부(186)에 따라 RS-232 시리얼 통신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10)는 제2 유선 통신부(186)으로부터 케이블 센서(186)의 진동 감지 신호 또는 데이터를 수신하면, 그에 대응하는 음을 스피커(13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이러한 복수개의 케이블 센서(186)은 사용자가 여러 음을 동시에 내거나 한 음씩 연주가 가능하게 한다.
또한, 통상적인 기타는 지판 상에 가지런히 박혀서 음정을 구분하는 금속인 프렛(fret)을 포함한다. 택스위치부(187)는 지판 상에서 기타의 현과 프렛에 의해 분할된 부분들에 대응하여 위치한 복수개의 택스위치(187)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택스위치(187)는 제2 유선 통신부(186)에 접속되며, 택스위치들(187)은 사용자에 의한 누름을 감지하면 제2 유선 통신부(186)을 통해 프로세서(110)로 감지를 통지한다.
따라서, 기타 모듈(180)은 현으로서 기능하는 케이블 센서(186)를 포함한 케이블 센서부(184) 및 프렛과 현에 의해 구분된 지판의 부분들에 각각 복수개의 탭스위치(187)를 포함하는 탭스위치부(185)를 포함하여, 실제 기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일반 기타와 동일한 방법으로 왼손으로 코드를 잡은 후 오른손으로 스윙을 하여 기타연주를 할 수 있다.
사용자가 기타 모듈(180)의 복수개의 케이블 센서(186) 중 일부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택스위치(187)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운지된 위치가 감지되어 프로세서(110)로 제공된다.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에 의해 운지된 택스위치(187)에 따라 다르게 음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단계적으로 왼손의 코드 짚기 연습을 충분히 한 후에 어느 정도 이상 코드 짚기가 숙련된 상태에서 오른손으로 기타 현을 치는 연습을 함께 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가 중도 포기하지 않고 보다 지속적인 연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프로세서(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 모듈(170) 및 기타 모듈(180)으로부터 전송된 감지 정보에 따라 음을 발생시켜 스피커(130)을 통해 출력한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사용자가 드럼 모듈(170) 또는 기타 모듈(180)을 이용하여 연주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음악을 작곡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악기연주 어플리케이션을 예컨대, PC 상에서 실행하면 프로세서(110)는 연주모드, 연습모드 작곡모드, 설정모드, 종료를 포함하는 메뉴항목들을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모드를 실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악기연주 시스템에서 기타 연습모드의 제어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는 기타에 관련한 연습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기타에 관련한 연습모드는 사용자로 하여금 기타 코드 42가지의 코드 운지법에 대해 숙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에 의해 기타에 관련한 연습모드가 실행되면, 단계 210에서 기타로 칠 수 있는 기타 코드들(231)을 표시부(120)의 화면 상에 표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타 연습모드 화면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20)의 화면 상에는 복수개의 기타 코드(231)가 표시되어 있다. 도 6에서는 주요 메이저 코드들(231)로서 C 코드, D 코드, E 코드, F 코드, G 코드, A 코드 및 B 코드를 표시하고, 메이저 코드들(231) 중 선택된 메이저 코드에 관련된 마이너 코드, 세븐스 코드 등의 코드들(233)이 표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타 코드들은 표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프로세서(110)는 사용자가 표시된 코드들 중 특정 코드(235)를 선택하는 지를 판단하고, 단계 214에서 선택된 코드에 대한 코드 운지 위치를 표시한다.
도 6에서는 기타의 지판(finger boards) 이미지(240)가 표시되고, 지판 이미지 상에 선택된 코드의 운지 위치들에 대응한 제1 마커들(250)이 표시된다. 이 경우, 제1 마커들(250)은 해당 운지 위치에서 연주자가 어떤 손가락을 운지해야하는 지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손가락들에 고유 숫자가 부여되어, 제1 마커들(150)이 해당 손가락의 숫자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120)의 화면에 따라 기타 모듈(170)의 해당 위치들을 손가락으로 운지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10)는 단계 218에서 기타 모듈(170)의 택스위치부(185)로부터의 감지 신호 또는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단계 220에서 화면 상에 감지된 위치를 표시한 제2 마커들(도시 생략)을 표시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110)는 코드의 운지 위치들(250)에 대응한 제1 마커들(250)의 색과 감지된 위치에 대응한 제2 마커들의 색을 다르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운지한 코드 위치가 올바른 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단계 222에서 연습모드가 종료되는 지를 판단하고, 종료되지 않았으면 단계 212로 되돌아 간다. 코드가 운지된 상태에서,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에 의해 케이블 센서(186)로부터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그에 대응하여 음을 출력한다. 다르게는 프로세서(110)는 코드가 운지되면 그에 대응하는 기타음을 출력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기존의 기타와 같이 현을 치는 경우에도 음을 발생시킬 수 있지만 현을 치지 않고 택스위치를 눌러서 악기를 연주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포크 기타와 일렉트릭 기타를 선택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코드별로 운지법이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기타모듈(170)을 이용하여 똑같이 코드를 눌러보면서 연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악기연주 시스템에서 드럼 연습모드의 제어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는 드럼에 관련한 연습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드럼에 관련한 연습모드는 사용자로 하여금 여러 가지 기본 리듬패턴들을 학습하고, 드럼 세트를 구성하는 여러 타악기들의 위치를 익히도록 한다. 이러한 드럼 연습모드를 위해 먼저 사용자는 복수개의 드럼 센서부를 사용자 주변의 사물들에 고정시키고 드럼 배치를 끝낸 후 드럼 연습모드를 실행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에 의해 드럼에 관련한 연습모드가 실행되면, 단계 312에서 드럼 세트를 표시부(120)의 화면 상에 표시한다.
이어서, 프로세서(110)는 단계 314에서 사용자에 의해 비트연습 모드가 실행되는 지를 판단한다. 프로세서(110)는 단계 314에서 사용자에 의해 비트 연습모드가 실행되지 않았으면, 단계 318로 진행한다.
프로세서(110)는 단계 318에서 드럼 센서들로부터 진동 감지 신호 또는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면 단계 320에서 해당 드럼 센서에 대응하는 타악기의 음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110)는 사용자가 사물을 칠 때 마다 화면상의 해당 타악기에 화면 이벤트를 실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드럼을 칠 타이밍이나 점수계산 등이 없이 자유롭게 드럼을 칠 수 있고, 사용자가 드럼을 학습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학습한다면 차후 연습모드 또는 밴드 연주모드에서 응용하여 연주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비트연습 모드가 실행되면, 프로세서(110)는 단계 316으로 진행하여 음악을 재생하고 재생되는 음악에 대응하는 노트들을 표시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연습 모드시의 화면을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비트연습 모드시에 화면에는 재생되는 음악에 맞춰진 리듬 패턴에 따라 각각의 타악기에 대응한 노트들(330)이 표시된다. 노트들(330)은 화면 상에서 위에서 아래로 움직이며, 노트들(330)이 미리 결정된 라인(332)에 도달할 때에 사용자는 해당 노트에 의해 지시된 타악기에 대응한 드럼 센서부가 고정된 사물을 예컨대, 드럼 스틱을 이용하여 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10)는 상기 노트들이 미리 결정된 라인(332)에 도달할 때, 상기 드럼 센서들중 해당 드럼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표시한다.
프로세서(110)는 단계 318에서 드럼 센서들로부터 진동 감지 신호 또는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면 단계 320에서 해당 드럼 센서에 대응하는 타악기의 음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이어서, 프로세서(110)는 단계 322에서 드럼 연습모드가 종료되는 지를 판단하고, 드럼 연습모드가 종료되지 않았으면 단계 314로 진행한다. 이와 같은 형태로 여러 가지 기본 리듬패턴들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드럼을 학습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학습한다면 차후 연습모드 또는 밴드 연주모드에서 응용하여 연주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악기연주 시스템에서 작곡모드의 제어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단계 412에서 표시부(120)의 화면 상에 코드 목록 및 악보를 표시한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곡모드시의 화면을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화면의 좌측에는 작곡시 선택될 수 있는 42개의 코드들(440)이 표시되어 있고, 화면의 우측에는 작곡 악보(450)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화면에는 음악 파일의 생성, 재생, 열기, 녹음, 저장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바(430)가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작곡모드시 화면에 표시된 복수개의 코드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프로세서(110)는 단계 416에서 선택된 코드를 음악 악보(450) 상에 도면부호 452로 지시된 바와 같이 표시한다.
이어서, 프로세서(110)는 단계 418에서 작곡한 음악 파일을 저장하는 지를 판단하고, 음악 파일을 저장하지 않으면 단계 414로 되돌아 간다. 프로세서(110)는 예컨대, 사용자가 작곡한 음악 파일을 저장하는 메뉴 항목을 선택하면 단계 420으로 진행하여 표시된 코드에 대응한 음원들을 메모리(140)으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음원들을 하나의 곡으로 저장한다. 음원들은 각각의 코드에 대응한 기타 연주음일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10)는 단계 422에서 저장된 곡의 재생이 선택되는 지를 판단하고, 저장된 곡의 재생이 선택되면, 단계 424에서 해당 곡에 대응한 음악 파일을 메모리로부터 로딩하여 재생한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사용자가 드럼 비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드럼 비트 생성모드시의 화면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드럼 세트의 각각의 타악기들에 대해 비트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비트 생성모드시의 화면을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녹음 버튼을 누르면 일정한 박자에 따라 드럼의 각각의 타악기들(510~516)에 대응한 화면의 칸들(524)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움직이며, 드럼을 칠 때마다 해당 드럼의 칸(520)에 표시가 된다. 드럼을 치는 비트를 만들어 내면서 작곡을 하는 기능이다. 프로세서(110)는 드럼 세트의 각각의 타악기에 대응하여 상기 드럼 센서들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해당 타악기의 음을 저장한다. 그에 따라, 만들어진 비트를 연습모드에 적용을 하여서 불러와서 직접 재생이 가능하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사용자가 드럼에 관련한 환경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설정모드시의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드럼모듈은 사물의 진동을 감지하여 드럼을 쳤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하지만 물건의 매질에 따라, 환경에 따라 진동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단계를 지정할 수 있게 하여 진동이 강한 물체에 설치된 드럼 모듈에는 진동 감지 레벨(560)이 높고, 진동이 약한 물체에는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설정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 또한 드럼 모듈을 설치할 때 특정 드럼 위치에 정해진 모듈을 일일이 따져서 설치하는 방식이 아니라 사용자가 적절한 위치에 어떤 모듈이든 구분 없이 마음대로 배치한 후, 몇 번째 모듈을 어느 위치에 설치하였는지 간단한 소프트웨어 설정만으로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드럼 모듈이 사용자에 의해 어디서나 설치될 있고 또한, 기타 모듈이 코드를 운지하는 것만으로도 음을 출력함으로써 악기에 다가서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공간적, 금전적 제약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남녀노소 누구나 언제 어디에서든지 혼자서도 간편하고 쉬운 조작으로 기타 연주 또는 드럼 연주를 쉽게 학습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프로세서 120: 표시부
130: 스피커 140: 메모리
150: 제1 무선 통신부 160: 제1 유선 통신부
170: 기타 모듈 180: 드럼 모듈
190: 사용자 인터페이스

Claims (15)

  1. 악기연주 시스템에 있어서,
    기타 형상의 바디를 포함하고, 기타의 현을 구현하는 복수개의 케이블 센서를 포함하는 케이블 센서부, 및 지판 상에서 기타의 현과 프렛에 의해 분할된 부분들에 대응하여 위치한 복수개의 택스위치를 포함하는 택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기타 모듈;
    집개 형태의 바디 및 진동을 감지하는 필름 센서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개의 드럼 센서부를 포함하는 드럼 모듈; 및
    기타 연습모드시 복수개의 코드들 중 선택된 코드의 운지 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기타 모듈의 상기 택 스위치들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감지된 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감지된 위치에 따른 음을 출력하고, 드럼 연습모드시 드럼 세트를 표시하고 상기 드럼 모듈의 상기 필름 센서들로부터 진동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필름 센서에 대응하는 타악기의 음을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악기연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모듈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제1 무선 통신부 및
    상기 기타 모듈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하는 제1 유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악기연주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드럼 센서부는 상기 필름 센서의 진동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상기 제1 무선 통신부로 전송하는 제2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타 모듈은 상기 케이블 센서부 및 상기 택스위치부들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 센서부 및 상기 택스위치부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상기 제1 유선통신부로 전송하는 제2 유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악기연주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무선 통신부는 지그비 통신 방식을 채용하는 악기연주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유선 통신부는 RS-232 시리얼 통신 방식을 채용한 악기연주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센서는 피에조 케이블 센서인 악기연주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센서는 피에조 필름 센서인 악기연주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작곡모드시에 복수개의 코드들을 표시하고 선택된 코드들에 대응한 음원들을 하나의 음악 파일로 저장하는 악기연주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드럼 센서에 대응하여 진동 감지 레벨이 설정될 수 있는 악기연주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드럼 비트연습 모드시, 상기 드럼 세트의 각각의 타악기에 대응한 노트들을 표시하며, 상기 노트들이 미리 결정된 라인에 도달할 때, 상기 드럼 센서들중 해당 드럼 센서로부터 진동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표시하며 상기 감지 신호에 대응한 음을 출력하는 악기연주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드럼 비트 생성모드시, 상기 드럼 세트의 각각의 타악기에 대응하여 상기 드럼 센서들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해당 타악기의 음을 저장하는 악기연주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타 연습모드시, 상기 선택된 코드의 운지 위치를 제1 마커들을 이용하여 표시하고, 상기 감지된 위치를 상기 제1 마커들과 다른 색을 갖는 제2 마커들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악기연주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커들은 상기 운지 위치에서 연주자가 어떤 손가락을 운지해야하는 지를 나타내는 악기연주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모듈은 7개의 드럼 센서부를 포함하는 악기연주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센서부는 각각 이햇, 스네어, 탐1, 탐2, 플로어탐, 베이스 및 크래쉬의 드럼 구성 악기에 대응하는 악기연주 시스템.
KR1020120030713A 2012-03-26 2012-03-26 악기연주 시스템 KR101380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713A KR101380159B1 (ko) 2012-03-26 2012-03-26 악기연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713A KR101380159B1 (ko) 2012-03-26 2012-03-26 악기연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891A true KR20130108891A (ko) 2013-10-07
KR101380159B1 KR101380159B1 (ko) 2014-04-01

Family

ID=49631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713A KR101380159B1 (ko) 2012-03-26 2012-03-26 악기연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1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67733B2 (en) 2014-05-16 2018-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laying music in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742B1 (ko) * 2016-11-11 2018-04-11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형 전자기타 및 전자기타 연주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8409B2 (ja) * 1999-02-16 2000-09-18 コナミ株式会社 音楽ゲームシステム、該システムにおける演出指示連動制御方法及び該システムにおける演出指示連動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可読記録媒体
JP2001129244A (ja) * 1999-11-01 2001-05-15 Konami Co Ltd 音楽演奏ゲーム装置、演奏ガイド画像表示方法及び演奏ガイド画像形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可読記録媒体
US8079907B2 (en) * 2006-11-15 2011-12-20 Harmonix Music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group musical interaction over a networ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67733B2 (en) 2014-05-16 2018-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laying music in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0159B1 (ko) 201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7892B1 (ko) 촉각작동 가능한 음악 게임용 주변장치
US9773480B2 (en) Electronic music controller using inertial navigation-2
US824646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tringed controllers and/or instruments
US89613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touchscreen as an interface for music-based gameplay
CN102792353A (zh) 教育性的弦乐器触摸屏模拟
US20190213904A1 (en) Learning assistant system capable of indicating piano fingering
CA2814869A1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creating control signals
KR101937099B1 (ko) 피아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70263231A1 (en) Musical instrument with intelligent interface
KR101380159B1 (ko) 악기연주 시스템
US10002598B2 (en) Selective pitch emulator for electrical stringed instruments
JP5402253B2 (ja) 動作評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433448B2 (ja) 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用プログラム
US20150075355A1 (en) Sound synthesizer
JP5402252B2 (ja) 動作評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