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742B1 - 블록형 전자기타 및 전자기타 연주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형 전자기타 및 전자기타 연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742B1
KR101847742B1 KR1020160150534A KR20160150534A KR101847742B1 KR 101847742 B1 KR101847742 B1 KR 101847742B1 KR 1020160150534 A KR1020160150534 A KR 1020160150534A KR 20160150534 A KR20160150534 A KR 20160150534A KR 101847742 B1 KR101847742 B1 KR 101847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switch
user device
guitar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도
이영준
홍민철
이선제
김영빈
우재문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50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7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 G10D1/085Mechanical design of electric guit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G10G7/005Carrying cases for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7/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16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string input, i.e. special characteristics in string composition or use for sensing purposes, e.g. causing the string to become its own sens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461Transducers, i.e. details, positioning or use of assemblies to detect and convert mechanical vibrations or mechanical strains into an electrical signal, e.g. audio, trigger or control signal
    • G10H2220/525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vibration sensing or vibration excitation in the audio range; Piezoelectric strain sensing, e.g. as key velocity sensor; Piezoelectric actuators, e.g. key actuation in response to a control voltag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 G10H2230/015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or palmtop computing devices used for musical purposes, e.g. portable music players, tablet computers, e-readers or smart phones in which mobile telephony functions need not be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형 전자기타에 관한 것으로, 6개의 진동판 및 각각의 진동판들과 연결되는 6개의 진동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바디, 바디에 연결되고, 복수 개의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제1 스위치부 및 제1 스위치부와 연결되는 제1 기판을 포함하는 제1 넥, 제1 넥에 연결되고, 복수 개의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제2 스위치부 및 제2 스위치부와 연결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하는 제2 넥, 바디, 제1 넥 및 제2 넥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는 통신부 및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스위치들과 연결되는 제1 및 제2 기판 상의 지점들 사이에 각각 저항이 위치하고, 푸쉬되어 기판과 접촉되는 스위치의 종류에 따라 제1 또는 제2 넥의 양 단에서 측정되는 전압 값이 상이할 수 있으며, 측정되는 전압 값 및 진동감지센서에 의하여 판별되는 진동이 일어나는 진동판의 종류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음향 정보가 음향출력부를 통하여 출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록형 전자기타 및 전자기타 연주 방법{THE METHOD AND APPARATUS WHICH BLOCK TYPE ELECTRONIC GUITAR}
본 발명은 블록형 전자기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현이 아닌, 스위치를 이용하여 초심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분리형으로 구성되어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한 기타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생활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여가 생활을 즐기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고, 대표적으로 기타 등 악기를 배우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기타는 여섯 개의 현을 이용하고, 왼 손가락으로 현을 눌러 음정을 고르고 오른 손가락으로 현을 튕겨 연주하는 현악기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기타의 현은 스틸 또는 나일론으로 되어 있어 초심자 혹는 여성이 연주하기에는 여러움이 있고, 기타의 무게로 인하여 보관이나 이동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한국 등록특허 20-0399201 등에서는 기타를 접이식 또는 분리식으로 교체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기타 바디부의 크기를 본질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기존의 현을 사용하여 초심자 또는 여성이 접근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바디와 넥 부분의 분리가 가능한 기타를 제공하여 기타의 무게로 인하여 보관, 운반 및 연주에 어려움을 겪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스틸 또는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현이 아닌 스위치 방식을 이용하여 줄의 간격 및 거친 재질에 의하여 연주에 어려움을 겪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스피커 등 사용자 디바이스로 음향을 출력하여 협소한 공간 등 음향의 방출의 곤란성이 있는 공간에서도 연주할 수 있는 기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블록형 전자기타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전자기타는 6개의 진동판 및 각각의 진동판들과 연결되는 6개의 진동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바디, 바디에 연결되고, 복수 개의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제1 스위치부 및 제1 스위치부와 연결되는 제1 기판을 포함하는 제1 넥, 제1 넥에 연결되고, 복수 개의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제2 스위치부 및 제2 스위치부와 연결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하는 제2 넥, 바디, 제1 넥 및 제2 넥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는 통신부 및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스위치들과 연결되는 제1 및 제2 기판 상의 지점들 사이에 각각 저항이 위치하고, 푸쉬되어 기판과 접촉되는 스위치의 종류에 따라 제1 또는 제2 넥의 양 단에서 측정되는 전압 값이 상이할 수 있으며, 측정되는 전압 값 및 진동감지센서에 의하여 판별되는 진동이 일어나는 진동판의 종류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음향 정보가 음향출력부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에 의하여 기타가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동 가능하고, 푸쉬되는 스위치 및 판별되는 진동판에 따른 음향 정보가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전자 기타는 기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통신부에 의하여 사용자 디바이스 및 제어부가 연동되고, 사용자 디바이스에 입력된 제어 정보가 제어부로 전송되고, 제어부에 의하여 진동감지센서의 센싱 주기 및 센싱 감도, 스위치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 음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전자 기타의 바디, 제1 넥 및 제2 넥 중 적어도 하나는 분리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전자기타 연주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타 연주 방법은 기타의 넥(Neck)에 위치하는 스위치가 푸쉬되는 단계, 기타의 바디에 위치하는 진동감지센서에서 진동판의 진동을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진동판 및 푸쉬된 스위치에 대응되는 음향 정보를 매칭하는 단계 및 매칭된 음향 정보에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진동판 및 스위치에 대응되는 음향 정보는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매칭된 음향 정보가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단계 및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음향 정보에 대응되는 음향이 출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타 연주 방법은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진동감지센서의 센싱 주기 및 센싱 감도, 스위치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 음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전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전자기타에 의하면 바디와 넥 부분의 분리가 가능한 기타를 제공하여 기타의 무게로 인하여 보관, 운반 및 연주에 어려움을 겪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스틸 또는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현이 아닌 스위치 방식을 이용하여 초심자, 여성 등의 연주가 용이한 전자기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 스피커 등 사용자 디바이스로 음향을 출력하여 소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전자기타의 각 구성 및 사용 자 디바이스의 연동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전자기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는 블록형 전자기타의 바디의 분리 형태를 나타낸다.
도 3b는 블록형 전자기타의 제1 넥의 분리 형태를 나타낸다.
도 3c는 블록형 전자기타의 제2 넥의 분리 형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블록형 전자기타의 바디, 제1 넥 및 제2 넥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블록형 전자기타의 바디, 제1 넥 및 제2 넥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타 연주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타 연주 방법의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동되어 출력되는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전자기타(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는 블록형 전자기타(10)의 바디(100)의 분리 형태를 나타내고, 도 3b는 블록형 전자기타(10)의 제1 넥(200)의 분리 형태를 나타내며, 도 3c는 블록형 전자기타(10)의 제2 넥(300)의 분리 형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블록형 전자기타(10)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전자기타(10)는 6개의 진동판(110) 및 각각의 진동판(110)들과 연결되는 6개의 진동감지센서(120)를 포함하는 바디(100), 바디(100)에 연결되고, 복수 개의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제1 스위치부(210) 및 제1 스위치부(210)와 연결되는 제1 기판을 포함하는 제1 넥(200), 제1 넥(200)에 연결되고, 복수 개의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제2 스위치부(310) 및 제2 스위치부(310)와 연결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하는 제2 넥(300), 바디(100), 제1 넥(200) 및 제2 넥(300)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는 통신부(400) 및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600)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스위치들과 연결되는 제1 및 제2 기판 상의 지점들 사이에 각각 저항이 위치하고, 푸쉬되어 기판과 접촉되는 스위치의 종류에 따라 제1 또는 제2 넥(200, 300)의 양 단에서 측정되는 전압 값이 상이할 수 있으며, 측정되는 전압 값 및 진동감지센서(120)에 의하여 판별되는 진동이 일어나는 진동판(110)의 종류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음향 정보가 음향출력부(600)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100)는 휘어지는 PLA 재질의 얇은 판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초심자의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재질은 한정되지 않고 사용 가능한 모든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진동감지센서(120)들는 바디(100) 내부의 MCU의 ADC핀(ADC-1)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넥(200) 및 제2 넥(300)에 위치하는 스위치들 역시 별도의 ADC핀(ADC-2)을 이용하여 푸쉬 정보가 전달될 수 있고, MCU를 이용하여 그 값을 읽어 제어부(50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진동감지센서(120)의 정보가 ADC-1에 할당되고, 푸쉬된 스위치들의 정보가 ADC-2에 할당되게 된다. 이후 통신부(400)를 통하여 STX-진동이 인식된 진동판(110)의 번호-푸쉬된 스위치 번호-ETX 형태의 프로토콜이 사용자 디바이스(20)로 전달될 수 있다. 전달되는 프로토콜 형태의 예시는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112016110552139-pat0000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전자기타(10)의 각 구성 및 사용 자 디바이스의 연동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전자기타(10)는 통신부(400)에 의하여 기타가 사용자 디바이스(20)와 연동 가능하고, 푸쉬되는 스위치 및 판별되는 진동판(110)에 따른 음향 정보가 사용자 디바이스(20)로 전송되고, 사용자 디바이스(20)에 의하여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전자 기타는 기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통신부(400)에 의하여 사용자 디바이스(20) 및 제어부(500)가 연동되고, 사용자 디바이스(20)에 입력된 제어 정보가 제어부(500)로 전송되고, 제어부(500)에 의하여 진동감지센서(120)의 센싱 주기 및 센싱 감도, 스위치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 음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블루투스 스피커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격 제어가 가능하고, 음향이 출력될 수 있는 모든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전자기타(10)의 구동을 제어할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400)는 무선 인터넷 모듈을 이용할 수 있고,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랜(Wireless LAN; WLAN), 와이파이(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또한 통신부(4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에 따라, 근거리에 위치한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을 의미 하는 이동통신 모듈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디바이스(20)와 통신을 수행하고, 패킷을 송신하거나 패킷에 포함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면, 통신부(400)는 상술한 바 외에 다른 형태의 통신 모듈을 채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블록형 전자기타(10)의 바디(100), 제1 넥(200) 및 제2 넥(300)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 내고, 도 5는 블록형 전자기타(10)의 바디(100), 제1 넥(200) 및 제2 넥(300)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전자 기타의 바디(100), 제1 넥(200) 및 제2 넥(300) 중 적어도 하나는 분리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서 표현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전자기타(10)는 기타 케이스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100)가 기타 케이스의 외부에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고, 기타 케이스의 내부에 제1 넥(200) 및 제2 넥(300)의 보관이 가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타 연주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전자기타 연주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타 연주 방법은 기타의 넥(Neck)에 위치하는 스위치가 푸쉬되는 단계(S100), 기타의 바디에 위치하는 진동감지센서에서 진동판의 진동을 감지하는 단계(S200), 감지된 진동판 및 푸쉬된 스위치에 대응되는 음향 정보를 매칭하는 단계(S300) 및 매칭된 음향 정보에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고, 진동판 및 스위치에 대응되는 음향 정보는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타 연주 방법의 사용자 디바이스(20)와 연동되어 출력되는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타 연주 방법은 매칭된 음향 정보가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단계(S500) 및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음향 정보에 대응되는 음향이 출력되는 단계(S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타 연주 방법은 사용자 디바이스(20)에 의하여 진동감지센서(120)의 센싱 주기 및 센싱 감도, 스위치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 음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과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장치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방법과 관련하여, 전술한 장치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블록형 전자기타
20: 사용자 디바이스
100: 바디
110: 진동판
120: 진동감지센서
200: 제1 넥
210: 제1 스위치부
300: 제2 넥
310: 제2 스위치부
400: 통신부
500: 제어부
600: 음향출력부

Claims (8)

  1. 블록형 전자기타로서,
    6개의 진동판 및 각각의 상기 진동판들과 연결되는 6개의 진동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 연결되고, 복수 개의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제1 스위치부 및 상기 제1 스위치부와 연결되는 제1 기판을 포함하는 제1 넥;
    상기 제1 넥에 연결되고, 복수 개의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제2 스위치부 및 상기 제2 스위치부와 연결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하는 제2 넥;
    상기 바디, 상기 제1 넥 및 상기 제2 넥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는 통신부; 및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스위치들과 연결되는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상의 지점들 사이에 각각 저항이 위치하고, 푸쉬되어 상기 기판과 접촉되는 상기 스위치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 넥의 양 단에서 측정되는 전압 값이 상이하며,
    상기 측정되는 전압 값 및 상기 진동감지센서에 의하여 판별되는 진동이 일어나는 진동판의 종류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음향 정보가 상기 음향출력부를 통하여 출력되고,
    상기 바디, 상기 제1 넥 및 상기 제2 넥은 각각 분리 가능하고,
    상기 바디는 기타 케이스의 외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넥 및 상기 제2 넥과 연결되어, 상기 블록형 전자기타는 상기 기타 케이스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블록형 전자기타는 현(string)이 제거된 상태이고,
    상기 제1 넥 및 상기 제2넥 각각의 일 단부에는, 넥의 내부공간을 향하여 함몰된 ㄱ자형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로부터 넥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넥의 외부를 향하여 돌출된 L자형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1 넥의 ㄱ자형 함몰부와 상기 제 2 넥의 L자형 돌출부는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응하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넥의 ㄱ자형 함몰부와 상기 제 2 넥의 L자형 돌출부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현이 제거된 블록형 전자기타의 넥 전체가 구성되고,
    상기 바디는 가요성(flexibility) 소재의 얇은 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통신부에 의하여 상기 기타가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동 가능하고,
    상기 푸쉬되는 스위치 및 상기 판별되는 진동판에 따른 음향 정보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음향이 출력되는 것인 블록형 전자기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및 상기 제어부가 연동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입력된 제어 정보가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진동감지센서의 센싱 주기 및 센싱 감도, 상기 스위치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 상기 음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 가능한 것인 블록형 전자기타.
  4. 삭제
  5. 블록형 전자기타를 이용한 전자기타 연주 방법으로서,
    상기 기타의 넥(Neck)에 위치하는 스위치가 푸쉬되는 단계;
    상기 기타의 바디에 위치하는 진동감지센서에서 진동판의 진동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진동판 및 상기 푸쉬된 스위치에 대응되는 음향 정보를 매칭하는 단계; 및
    상기 매칭된 음향 정보에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판 및 상기 스위치에 대응되는 음향 정보는 미리 설정되어 있고,
    상기 바디 및 상기 넥은 분리 가능하고,
    상기 바디는 기타 케이스의 외부에 결합되고, 상기 넥과 연결되어, 상기 전자기타는 상기 기타 케이스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넥에는,
    상기 바디에 연결되고, 복수 개의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제1 스위치부 및 상기 제1 스위치부와 연결되는 제1 기판을 포함하는 제1 넥과,
    상기 제1 넥에 연결되고, 복수 개의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제2 스위치부 및 상기 제2 스위치부와 연결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하는 제2 넥이 포함되고,
    상기 블록형 전자기타는 현(string)이 제거된 상태이고,
    상기 제1 넥 및 상기 제2넥 각각의 일 단부에는, 넥의 내부공간을 향하여 함몰된 ㄱ자형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로부터 넥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넥의 외부를 향하여 돌출된 L자형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1 넥의 ㄱ자형 함몰부와 상기 제 2 넥의 L자형 돌출부는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응하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넥의 ㄱ자형 함몰부와 상기 제 2 넥의 L자형 돌출부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현이 제거된 블록형 전자기타의 넥 전체가 구성되고,
    상기 바디는 가요성(flexibility) 소재의 얇은 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블록형 전자기타의 통신부에 의하여 상기 기타가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동 가능하고,
    상기 제1 넥 또는 제 2 넥 상에서의 푸쉬되는 스위치 및 상기 기타의 진동판에 따른 음향 정보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음향이 출력되는 것인 전자기타 연주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된 음향 정보가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상기 음향 정보에 대응되는 음향이 출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타 연주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하여 상기 진동감지센서의 센싱 주기 및 센싱 감도, 상기 스위치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 상기 음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타 연주 방법.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60150534A 2016-11-11 2016-11-11 블록형 전자기타 및 전자기타 연주 방법 KR101847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534A KR101847742B1 (ko) 2016-11-11 2016-11-11 블록형 전자기타 및 전자기타 연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534A KR101847742B1 (ko) 2016-11-11 2016-11-11 블록형 전자기타 및 전자기타 연주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7742B1 true KR101847742B1 (ko) 2018-04-11

Family

ID=61975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534A KR101847742B1 (ko) 2016-11-11 2016-11-11 블록형 전자기타 및 전자기타 연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7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201Y1 (ko) * 2005-08-01 2005-10-20 김정곤 기타
KR101380159B1 (ko) * 2012-03-26 2014-04-0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악기연주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201Y1 (ko) * 2005-08-01 2005-10-20 김정곤 기타
KR101380159B1 (ko) * 2012-03-26 2014-04-0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악기연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9579B2 (en) Networked speaker system with follow me
KR102045281B1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426551B2 (en) Distributed wireless speaker system with light show
CN105282223A (zh) 对宠物载运工具应用网格网络
CN109857256A (zh) 动态触觉转换系统
CN108351890A (zh) 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US20190391675A1 (en) Input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ES2411478T3 (es) Manipulación de datos sensible al contexto
CN105049922A (zh) 用upnp对与主显示器在相同房间的候选同伴设备的接近检测
CN107613128A (zh) 一种音量调节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7082320A1 (ja) 電子機器制御装置、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電子機器制御プログラム
KR101431392B1 (ko) 음파신호를 이용한 통신방법, 통신장치 및 정보제공 시스템
CN105960827A (zh) 识别无线插接站的装置、系统和方法
CN107707642A (zh) 刷量终端确定方法及装置
KR101847742B1 (ko) 블록형 전자기타 및 전자기타 연주 방법
US99722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playback of information for blind users
CN109756825A (zh) 智能个人助理的位置分类
US20060067164A1 (en) User identification method, user identification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system
CN105680956B (zh) 电子设备及控制方法
CN107688639A (zh) 应用推荐方法、服务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6412803B2 (ja) 電気音響変換器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10113493A (zh) 多麦录音方法及相关产品
KR101575952B1 (ko) 사물인터넷이 적용된 놀이부재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장치
CN107657022A (zh) 一种文件检索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5049924A (zh) 对与主显示器在相同房间内的候选同伴显示设备的检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