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7903A - 록업 장치 - Google Patents
록업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17903A KR20120117903A KR1020127022187A KR20127022187A KR20120117903A KR 20120117903 A KR20120117903 A KR 20120117903A KR 1020127022187 A KR1020127022187 A KR 1020127022187A KR 20127022187 A KR20127022187 A KR 20127022187A KR 20120117903 A KR20120117903 A KR 201201179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ston
- claw
- turbine
- axial direction
- drive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3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 F16F15/133—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34—Wound spr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2045/0205—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two chamber system, i.e. without a separated, closed chamber specially adapted for actuating a lock-up clutch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2045/0273—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friction surface of the lock-up clutch
- F16H2045/0284—Multiple disk type lock-up clutch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1/00—Rotary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41/24—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록업(lockup) 장치(7)는, 드리븐 플레이트(driven plate)(35)와, 피스톤(30)과, 스프링(33)과, 연결링(60)을 구비하고 있다. 피스톤(30)은, 터빈(4)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압력의 변화에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연결링(60)은 피스톤(30)을 드리븐 플레이트(35)에 연결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체식(流體式) 동력 전달 장치의 프론트 커버와 터빈을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록업(lockup)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체식 동력 전달 장치에는, 토크를 프론트 커버로부터 터빈에 직접 전달하기 위한 록업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 종류의 록업 장치는, 예를 들면, 피스톤과, 백 플레이트(back plate)와, 마찰 연결부와, 드라이브 플레이트(drive plate)와, 스프링과, 드리븐 플레이트(driven plate)을 가지고 있다.
피스톤은 프론트 커버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프론트 커버와 피스톤과의 사이에는 유압실(油壓室)이 형성되어 있다. 유압실의 압력이 변화하면 피스톤은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마찰 연결부는, 피스톤과 백 플레이트와의 축 방향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피스톤이 터빈측으로 이동하면 피스톤과 백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끼워넣어진다. 그 결과, 마찰 연결부를 통하여 프론트 커버로부터 드라이브 플레이트에 동력이 전달된다.
드라이브 플레이트는, 터빈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을 탄성 변형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드리븐 플레이트는, 스프링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터빈에 고정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마찰부에 있어서, 작동유가 흐를 때 이른바 드래그 토크(drag torque)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드래그 토크의 저감이 가능한 록업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록업 장치는, 유체식 동력 전달 장치의 프론트 커버와 터빈과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프론트 커버와 터빈을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 록업 장치는, 피스톤과, 드리븐 부재와, 탄성 부재와,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피스톤은, 터빈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압력의 변화에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드리븐 부재는 터빈에 고정되어 있다. 탄성 부재는 피스톤을 드리븐 부재에 회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연결한다. 연결 부재는 피스톤을 드리븐 부재에 연결한다.
상기한 록업 장치이면, 연결 부재에 의해 피스톤이 드리븐 부재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드래그 토크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토크 컨버터의 단면도(斷面圖)(제1 실시예)이다.
도 2는 록업 장치의 단면도(제1 실시예)이다.
도 3은 도 2의 III선 단면도(제1 실시예)이다.
도 4는 연결링 주변의 확대 단면도(제1 실시예)이다.
도 5의 (A)~(C)는 록업 장치의 조립 설명도(제1 실시예)이다.
도 6은 록업 장치의 단면도(제2 실시예)이다.
도 7은 연결링 유닛 주변의 확대 단면도(제2 실시예)이다.
도 8의 (A)~(C)는 록업 장치의 조립 설명도(제2 실시예)이다.
도 9는 록업 장치의 단면도(제3 실시예)이다.
도 10은 연결 플레이트 주변의 확대 단면도(제3 실시예)이다.
도 11의 (A)~(C)는 록업 장치의 조립 설명도(제3 실시예)이다.
도 12는 록업 장치의 단면도(제4 실시예)이다.
도 13은 도 6의 XIII선 단면도(제4 실시예)이다.
도 14는 드리븐 플레이트의 평면도(제4 실시예)이다.
도 15의 (A)~(C)는 록업 장치의 조립 설명도(제4 실시예)이다.
도 2는 록업 장치의 단면도(제1 실시예)이다.
도 3은 도 2의 III선 단면도(제1 실시예)이다.
도 4는 연결링 주변의 확대 단면도(제1 실시예)이다.
도 5의 (A)~(C)는 록업 장치의 조립 설명도(제1 실시예)이다.
도 6은 록업 장치의 단면도(제2 실시예)이다.
도 7은 연결링 유닛 주변의 확대 단면도(제2 실시예)이다.
도 8의 (A)~(C)는 록업 장치의 조립 설명도(제2 실시예)이다.
도 9는 록업 장치의 단면도(제3 실시예)이다.
도 10은 연결 플레이트 주변의 확대 단면도(제3 실시예)이다.
도 11의 (A)~(C)는 록업 장치의 조립 설명도(제3 실시예)이다.
도 12는 록업 장치의 단면도(제4 실시예)이다.
도 13은 도 6의 XIII선 단면도(제4 실시예)이다.
도 14는 드리븐 플레이트의 평면도(제4 실시예)이다.
도 15의 (A)~(C)는 록업 장치의 조립 설명도(제4 실시예)이다.
〔제1 실시예〕
<토크 컨버터의 전체 구성>
도 1을 사용하여 토크 컨버터(1)(유체식 동력 전달 장치의 일례)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의 좌측에는 엔진(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고, 도 1의 우측에 트랜스미션(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O-O선이 토크 컨버터(1) 및 록업 장치(7)의 회전 중심선이다. 그리고, 제1 실시예에서는, 유체식 동력 전달 장치로서 토크 컨버터를 예로 설명하지만, 유체식 동력 전달 장치는 스테이터(stator)를 가지고 있지 않은 유체 조인트 등의 다른 장치라도 된다.
토크 컨버터(1)는, 엔진측의 크랭크샤프트(crankshaft)(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트랜스미션의 입력 샤프트(도시하지 않음)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장치이며, 크랭크샤프트에 연결되는 프론트 커버(2)와, 임펠러(3)와, 터빈(4)과, 스테이터(5)와, 록업 장치(7)를 구비하고 있다.
프론트 커버(2)는, 환형(環形)의 커버 본체(10)와, 커버 본체(10)에 고정된 환형의 지지 플레이트(2a)와, 커버 본체(10)에 고정된 원판형의 백 플레이트(2b)를 가지고 있다. 지지 플레이트(2a)는, 록업 장치(7)의 제2 마찰 플레이트(52)(후술)를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고, 제2 마찰 플레이트(52)의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백 플레이트(2b)는 지지 플레이트(2a)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록업 장치(7)의 제1 마찰 플레이트(51)(후술)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록업 장치(7)의 연결 상태에서는 백 플레이트(2b)는 제1 마찰 플레이트(51)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한다.
임펠러(3)는, 임펠러 쉘(impeller shell)(12)과, 복수 개의 임펠러 블레이드(13)와, 임펠러 허브(14)를 가지고 있다. 임펠러 쉘(12)은 프론트 커버(2)에 고정되어 있다. 복수 개의 임펠러 블레이드(13)는 임펠러 쉘(12)에 고정되어 있다. 임펠러 허브(14)는 임펠러 쉘(12)의 내주부에 고정되어 있다. 프론트 커버(2) 및 임펠러(3)에 의해 작동유가 충전된 유체실이 형성되어 있다.
터빈(4)은, 트랜스미션의 입력 샤프트에 연결되어 있고, 유체실 내에서 임펠러(3)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터빈(4)은, 터빈 쉘(15)과, 복수 개의 터빈 블레이드(16)와, 터빈 허브(17)를 가지고 있다. 터빈 블레이드(16)는 터빈 쉘(15)에 고정되어 있다. 터빈 허브(17)는 터빈 쉘(15)의 내주부에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터빈 허브(17)는, 원판형의 플랜지(17a)와 터빈 허브 본체(17b)를 가지고 있다. 터빈 허브 본체(17b)는 트랜스미션의 입력 샤프트에 연결되어 있다. 플랜지(17a)는 터빈 허브 본체(17b)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플랜지(17a)에는 터빈 쉘(15)의 내주부가 복수 개의 리벳(18)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스테이터(5)는, 터빈(4)으로부터 임펠러(3)로 돌아오는 작동유를 정류(整流)하기 위한 기구이며, 임펠러(3)와 터빈(4)의 내주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테이터(5)는, 원판형의 스테이터 캐리어(stator carrier)(20)와, 스테이터 캐리어(20)의 외주부에 설치된 복수 개의 스테이터 블레이드(21)와, 원웨이 클러치(one way cluch)(22)를 가지고 있다. 스테이터 캐리어(20)는 원웨이 클러치(22)를 통하여 고정 샤프트(도시하지 않음)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프론트 커버(2)와 터빈 허브(17)와의 사이에는 스러스트(thrust) 베어링(25)이 설치되어 있다. 터빈 허브(17)와 스테이터 캐리어(20)와의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26)이 설치되어 있다. 스테이터 캐리어(20)와 임펠러 쉘(12)과의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27)이 설치되어 있다.
<록업 장치>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업 장치(7)는, 프론트 커버(2)와 터빈(4)을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이며, 토크 컨버터(1)의 프론트 커버(2)와 터빈(4)과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업 장치(7)는, 피스톤(30)과 복수 개의 스프링(33)(탄성 부재의 일례)과, 제1 마찰 플레이트(51)와, 제2 마찰 플레이트(52)와, 드리븐 플레이트(35)(드리븐 부재의 일례)와, 연결링(60)(연결 부재의 일례)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1 실시예에서는, 탄성 부재로서 스프링을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토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부재이면, 탄성 부재는 다른 부재라도 된다. 또한, 피스톤(30)이 피스톤 본체(36) 및 리테이닝 플레이트(retaining plate)의 2개의 부재를 가지고 있지만, 피스톤(30) 전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피스톤(30)이 3개 이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1) 피스톤(30)
피스톤(30)은, 프론트 커버(2)와 터빈(4)과의 사이의 공간을 축 방향으로 2분할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피스톤(30)에 의해 프론트 커버(2)와 터빈(4)과의 사이의 공간은, 제1 공간 A 및 제2 공간 B로 대략 분할되어 있다. 피스톤(30)은, 터빈(4)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압력의 변화에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공간 A와 제2 공간 B와의 사이에 압력차가 생기면, 피스톤(30)은 프론트 커버(2) 및 터빈(4)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30)은, 피스톤 본체(36)와, 리테이닝 플레이트(37)와, 복수 개의 리벳(40)을 가지고 있다. 피스톤 본체(36)는, 제1 마찰 플레이트(51) 및 제2 마찰 플레이트(52)를 프론트 커버(2)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부재이며, 제1 마찰 플레이트(51) 및 제2 마찰 플레이트(52)의 터빈(4) 측에 배치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36)는, 터빈 허브(17)의 터빈 허브 본체(17b)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36)는, 제2 마찰 플레이트(52)의 터빈(4) 측에 배치된 슬라이드 이동부(30b)와, 슬라이드 이동부(30b)의 외주측에 배치된 복수 개의 외주 클로우부(claw portion)(30c)와, 통형부(30d)를 가지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이동부(30b)는, 제1 마찰 플레이트(51) 및 제2 마찰 플레이트(52)를 프론트 커버(2) 측으로 압압(押壓)하는 환형의 부분이다. 슬라이드 이동부(30b)는 제2 마찰 플레이트(52)와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 클로우부(30c)는 슬라이드 이동부(30b)의 외주부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외주 클로우부(30c)는 제1 마찰 플레이트(51)를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외주 클로우부(30c)는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통형부(30d)는 터빈(4)의 터빈 허브 본체(17b)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부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빈 허브 본체(17b)에는 밀봉링(38)이 매립되어 있고, 밀봉링(38)에 의해 통형부(30d) 및 터빈 허브 본체(17b)의 슬라이드 이동 부분은 밀봉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테이닝 플레이트(37)는, 피스톤 본체(36)에 리벳(40)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스프링(33)을 탄성 변형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테이닝 플레이트(37)는, 피스톤 본체(36)에 고정된 환형의 고정부(37a)와, 고정부(37a)의 외주부에 배치된 지지부(37b)를 가지고 있다. 고정부(37a)는 피스톤 본체(36)의 터빈(4) 측에 배치되어 있다. 고정부(37a)의 내주부는 피스톤 본체(36)에 고정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37a)에는 복수 개의 개구(37c)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37c)는 연결링(60)의 연결 중간부(62) 및 클로우부 선단(63)과 같은 원주 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 중간부(62)는 개구(37c)에 삽입되어 있다.
개구(37c)의 형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37c)는, 제1 개구(37e)와, 제2 개구(37f)와, 제3 개구(37g)를 가지고 있다. 제1 개구(37e)는, 연결 중간부(62) 및 클로우부 선단(63)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연결 중간부(62) 및 클로우부 선단(63)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제2 개구(37f)는, 제1 개구(37e)의 반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어 있고, 제1 개구(37e)와 연결되어 있다. 제2 개구(37f)는, 제1 개구(37e)보다 원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환형부(61)와 대략 같은 반경 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개구(37f)를 형성함으로써, 환형부(61)가 축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해져, 클로우부 선단(63)을 드리븐 플레이트(35)에 걸 때, 연결 중간부(62) 및 클로우부 선단(63)을 터빈(4) 측으로 압입(壓入)할 수 있다[예를 들면, 도 5의 (C) 참조]. 제3 개구(37g)는, 제2 개구(37f)의 반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어 있고, 제2 개구(37f)와 연결되어 있다. 제3 개구(37g)는, 제2 개구(37f)보다 원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환형부(61)의 일부는 제3 개구(37g)와 중첩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37b)는 스프링(33)을 회전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지지부(37b)의 단면(斷面) 형상은 대략 C자형이며, 스프링(33)은 지지부(37b)의 내부에 수용되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37b)에는 복수 개의 접촉부(37d)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37d)는, 지지부(37b)의 내부로 돌출하는 부분이며, 스프링(33)의 단부를 회전 방향으로 지지하고 있다.
(2) 스프링(33)
스프링(33)은 피스톤(30)과 터빈(4)을 회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스프링(33)은 리테이닝 플레이트(37)의 지지부(37b)에 수용되고 있다. 스프링(33)의 단부는 접촉부(37d)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스프링(33)은 인접하는 접촉부(37d)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인접하는 스프링(33) 사이에는 드리븐 플레이트(35)의 돌기(35c)가 축 방향으로 삽입되어 있다. 피스톤(30)과 터빈(4)이 상대 회전하면, 접촉부(37d)와 돌기(35c) 사이에서 스프링(33)은 회전 방향으로 압축된다.
(3) 드리븐 플레이트(35)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리븐 플레이트(35)는, 스프링(33)의 단부와 회전 방향으로 맞닿아 있고, 터빈(4)의 외주부에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리븐 플레이트(35)는, 터빈(4)에 고정된 환형의 고정부(35a)와, 스프링(33)의 단부를 지지 가능한 복수 개의 돌기(35c)와, 고정부(35a)의 내주부에 설치된 환형의 클로우부(35b)를 가지고 있다. 돌기(35c)는, 고정부(35a)의 외주부로부터 피스톤(30) 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리테이닝 플레이트(37)의 지지부(37b) 내에 삽입되어 있다. 클로우부(35b)는 고정부(35a)의 내주부로부터 피스톤(30)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클로우부(35b)와 터빈(4)과의 축 방향 사이에는 간극 S가 확보되어 있다. 클로우부(35b)에는 연결링(60)이 걸려져 있고, 이 간극 S에는 연결링(60)의 클로우부 선단(63)이 배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링(60)의 조립을 고려하여, 드리븐 플레이트(35)에는 제1 테이퍼면(35d)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테이퍼면(35d)은 클로우부(35b)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1 테이퍼면(35d)은,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피스톤(30) 쪽을 향하고 있다. 도 5의 (A) ~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링(60)을 조립할 때, 연결링(60)의 클로우부 선단(63)은, 제1 테이퍼면(35d)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고, 제1 테이퍼면(35d)에 의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안내된다. 조립 작업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4) 제1 마찰 플레이트(51)
제1 마찰 플레이트(51)는 피스톤(30)과 프론트 커버(2)와의 축 방향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마찰 플레이트(51)는, 스프링(33)의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프론트 커버(2)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마찰 플레이트(51)는 피스톤(30)의 외주 클로우부(30c)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5) 제2 마찰 플레이트(52)
제2 마찰 플레이트(52)는 피스톤(30)과 프론트 커버(2)와의 축 방향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마찰 플레이트(52)는 제1 마찰 플레이트(51)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부(30b)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마찰 플레이트(52)는, 스프링(33)의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피스톤(30)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2 마찰 플레이트(52)는 프론트 커버(2)의 지지 플레이트(2a)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백 플레이트(2b) 및 슬라이드 이동부(30b)의 축 방향 사이에 제1 마찰 플레이트(51) 및 제2 마찰 플레이트(52)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록업 장치(7)에는 합계 3면의 동력 전달면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마찰 플레이트(51) 및 제2 마찰 플레이트(52)의 개수는 각각 1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마찰 플레이트(51) 및 제2 마찰 플레이트(52)가 각각 복수 개라도 된다. 이 경우, 제1 마찰 플레이트(51) 및 제2 마찰 플레이트(52)는 축 방향으로 교호적(交互的)으로 배치된다.
(6) 연결링(60)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링(60)은, 드리븐 플레이트(35)보다 얇은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있고, 피스톤(30)을 드리븐 플레이트(35)에 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결링(60)은 드리븐 플레이트(35)의 내주부[보다 상세하게는, 전술한 클로우부(35b)]에 걸려져 있다. 연결링(60)은, 피스톤(30)과 드리븐 플레이트(35)를 간극이 확보된 상태로 끼워넣고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링(60)은, 피스톤(30)의 프론트 커버(2) 측에 배치된 환형부(61)와, 환형부(61)로부터 터빈(4) 측의 연장되는 복수 개의 연결 클로우부(65)를 가지고 있다. 연결링(60)은 1개의 플레이트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형부(61)는, 환형의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있고,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테이닝 플레이트(37)의 지지부(37b)의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환형부(61)는 피스톤 본체(36)의 외주 클로우부(30c)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환형부(61)는, 드리븐 플레이트(35)보다 얇고, 비교적 작은 힘으로 축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환형부(61)는 축 방향으로 약간 탄성 변형되어 있고, 연결 클로우부(65)를 통하여 드리븐 플레이트(35)를 피스톤(30) 측으로 인장(引張)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는, 피스톤(30)의 통형부(30d)가 터빈 허브(17)와 맞닿아 있다. 따라서, 피스톤(30)은 도 1에 나타낸 위치에서 축 방향으로 유지되어 있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클로우부(65)는, 환형부(61)의 내주 에지로부터 터빈(4) 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결 클로우부(65)는, 드리븐 플레이트(35)의 피스톤(30)과 반대측에 배치된 클로우부 선단(63)과, 환형부(61) 및 클로우부 선단(63)을 연결하는 연결 중간부(62)를 가지고 있다. 연결 중간부(62)는, 환형부(61)의 내주 에지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 및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리테이닝 플레이트(37)의 개구(37c)를 관통하고 있다. 연결 중간부(62)는 드리븐 플레이트(35)의 클로우부(35b)보다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 중간부(62)의 단부에는 클로우부 선단(63)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로우부 선단(63)은, 연결 중간부(62)의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클로우부(35b)와 축 방향으로 맞닿아 있다. 피스톤(30)과 터빈(4)이 상대 회전하면, 클로우부(35b)와 클로우부 선단(63)은 슬라이드 이동한다. 조립을 고려하여, 클로우부 선단(63)에는 제2 테이퍼면(63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테이퍼면(63a)은,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터빈(4) 쪽을 향하고 있다. 도 5의 (A) ~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링(60)을 드리븐 플레이트(35)에 조립할 때, 드리븐 플레이트(35)의 제1 테이퍼면(35d)은 클로우부 선단(63)을 반경 방향 내측으로 안내한다. 이 때, 제2 테이퍼면(63a)이 제1 테이퍼면(35d)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테이퍼면(35d) 및 제2 테이퍼면(63a)은 축 방향에 대하여 약 45° 경사져 있지만, 제1 테이퍼면(35d) 및 제2 테이퍼면(63a)의 경사각은 45°에 한정되지 않는다.
<조립 작업>
여기서, 도 4 및 도 5의 (A) ~ 도 5의 (C)를 사용하여, 록업 장치(7)의 조립 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임펠러(3)에 스러스트 베어링(27), 스테이터(5), 스러스트 베어링(26) 및 터빈(4)이 순서대로 조립되고, 피스톤(30)이 터빈(4)의 터빈 허브(17)에 삽입된다. 이 때, 스프링(33)의 단부끼리의 사이에 드리븐 플레이트(35)의 돌기(35c)가 삽입된다.
그 후,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링(60)이 리테이닝 플레이트(37) 및 드리븐 플레이트(35)에 조립된다. 환형부(61)는 외주 클로우부(30c)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연결 중간부(62) 및 클로우부 선단(63)의 반경 방향 위치는 외주 클로우부(30c)의 반경 방향 위치와 대략 같다. 그러므로, 연결링(60)을 리테이닝 플레이트(37) 및 드리븐 플레이트(35)에 조립할 때, 연결링(60)이 피스톤 본체(36)의 외주 클로우부(30c)에 간섭할 것이 예상된다.
그러나,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 개구(37c)가 인접하는 외주 클로우부(30c)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에 따라 연결링(60)의 연결 중간부(62) 및 클로우부 선단(63)도 인접하는 외주 클로우부(30c) 사이에 삽입된다. 그러므로, 조립 시에 연결링(60)이 피스톤 본체(36)에 간섭하는 경우가 없어,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링(60)의 연결 클로우부(65)를 개구(37c)에 삽입할 수 있다.
연결 클로우부(65)를 개구(37c)에 삽입하면,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로우부 선단(63)이 클로우부(35b)에 접촉한다. 클로우부(35b)의 단부에 제1 테이퍼면(35d)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링(60)을 터빈(4)에 압입하면,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로우부 선단(63)이 제1 테이퍼면(35d)에 의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안내되어 연결 중간부(62)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휜다. 이 때, 클로우부 선단(63)의 단부에 제2 테이퍼면(63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 테이퍼면(63a)이 제1 테이퍼면(35d)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여, 클로우부 선단(63)이 원활하게 반경 방향 내측으로 안내된다.
환형부(61)가 리테이닝 플레이트(37)에 접촉된 상태에서, 다시 연결 클로우부(65)를 터빈(4) 측으로 압입하면, 클로우부 선단(63)이 클로우부(35b)의 터빈(4) 측으로 비집고 들어가, 연결 중간부(62)가 원 상태로 돌아온다. 이와 같이 하여, 연결링(60)의 조립이 완료된다.
<동작>
다음에, 토크 컨버터(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록업 장치(7)의 연결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엔진의 크랭크샤프트로부터 프론트 커버(2)에 동력이 전달되면, 프론트 커버(2)와 함께 임펠러(3)가 회전하고, 유체실 내의 작동유가 임펠러(3)로부터 터빈(4)으로 흐른다. 이 작동유의 흐름에 의해 터빈(4)이 회전하고, 터빈(4)에 연결된 입력 샤프트에 동력이 전달된다.
터빈(4)의 회전 속도가 소정의 레벨에 달하면, 록업 장치(7)에 의해 프론트 커버(2)와 터빈(4)이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유압 컨트롤 밸브(도시하지 않음)가 전환되고, 제1 공간 A의 작동유가 배출된다. 이 결과, 제2 공간 B의 압력이 제1 공간 A의 압력보다 높아져, 피스톤(30)이 프론트 커버(2) 측으로 이동한다.
피스톤(30)이 프론트 커버(2) 측으로 이동하면, 프론트 커버(2)와 피스톤 본체(36)와의 사이[보다 상세하게는, 백 플레이트(2b)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부(30b)와의 사이]에 제1 마찰 플레이트(51) 및 제2 마찰 플레이트(52)가 끼워넣어진다. 이 결과, 백 플레이트(2b), 제1 마찰 플레이트(51), 제2 마찰 플레이트(52) 및 슬라이드 이동부(30b)가 슬라이드 이동하고, 동력 전달면을 통하여 프론트 커버(2)로부터 피스톤(30)에 동력이 전달된다. 피스톤(30)에 동력이 전달되면, 스프링(33)을 통하여 피스톤(30)으로부터 터빈(4)에 동력이 전달되고, 록업 장치(7)의 연결 시의 충격을 스프링(33)이 흡수하면서, 최종적으로 피스톤(30)과 터빈(4)이 일체로 되어 회전한다. 또한, 록업 장치(7)의 연결 상태에서는, 엔진에서 발생하는 회전 변동이 스프링(33)에 의해 흡수 및 감쇠(減衰)된다.
작동유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프론트 커버(2)와 피스톤(30)이 상대 회전하는 경우가 있다. 프론트 커버(2)와 피스톤(30)이 상대 회전하면, 피스톤(30)이 프론트 커버(2) 측으로 끌어들여져, 제1 마찰 플레이트(51) 및 제2 마찰 플레이트(52) 주변의 작동유에 의해, 이른바 드래그 토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 토크 컨버터(1)에서는, 연결링(60)에 의해 피스톤(30)이 터빈(4) 측으로 인장되어 있으므로, 피스톤(30)이 프론트 커버(2)에 쉽게 끌어들여지지 않는다. 따라서, 드래그 토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 관한 록업 장치(107)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전술한 구성과 실질적으로 같은 기능을 가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성>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연결링(60)이 일체의 부재이지만, 연결링(60)이 복수 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록업 장치(107)는, 드리븐 플레이트(135)(드리븐 부재의 일례)와, 연결링 유닛(160)(연결 부재의 일례)을 구비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리븐 플레이트(135)는, 대략 환형의 고정부(135a)와, 복수 개의 클로우부(135b)와, 복수 개의 돌기(35c)를 가지고 있다. 고정부(135a)는 터빈(4)에 고정되어 있다. 클로우부(135b)는, 고정부(135a)의 내주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 및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고정부(135a)와 터빈(4)과의 사이에는 간극 S가 확보되어 있다. 간극 S에는 연결링 유닛(160)의 원판부(163)가 배치되어 있다.
전술한 연결링(60)과는 상이하게, 연결링 유닛(160)은 2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결링 유닛(160)은, 와이어 링(165)(링 부재의 일례)과, 와이어 링(165)과, 드리븐 플레이트(135)를 연결하는 연결링(169)을 가지고 있다.
연결링(169)은, 클로우부(135b)에 걸린 환형부(161)와, 와이어 링(165)에 걸린 복수 개의 연결 클로우부(168)를 가지고 있다. 환형부(161)는, 피스톤(30)과 터빈(4)과의 축 방향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환형의 플레이트가 절곡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환형부(161)는 원판부(163)와, 통형부(162)를 가지고 있다. 원판부(163)는, 환형의 플레이트이며, 드리븐 플레이트(135)의 클로우부(135b)와 터빈(4)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원판부(163)는 클로우부(135b)와 축 방향으로 맞닿아 있고, 피스톤(30)과 터빈(4)이 상대 회전하면, 클로우부(135b)와 원판부(163)는 슬라이드 이동한다. 통형부(162)는, 원판부(163)의 내주 에지로부터 피스톤(30) 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클로우부(135b)의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 개의 연결 클로우부(168)는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연결 클로우부(168)는, 환형부(161)로부터 터빈(4) 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환형부(161)로부터 돌출된 플레이트형의 부분이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결 클로우부(168)는, 드리븐 플레이트(35)의 피스톤(30)과 반대측에 배치된 클로우부 선단(166)과, 환형부(61) 및 클로우부 선단(166)을 연결하는 연결 중간부(164)를 가지고 있다.
연결 중간부(164)는, 통형부(162)로부터 프론트 커버(2) 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통형부(162)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연결 중간부(164)는 리테이닝 플레이트(37)의 개구(37c)를 관통하고 있다. 연결 중간부(164)의 단부에는 클로우부 선단(166)이 형성되어 있다. 클로우부 선단(166)은, 리테이닝 플레이트(37)의 터빈(4)과 반대측[프론트 커버(2) 측]에 배치되어 있고, 연결 중간부(164)의 단부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클로우부 선단(166)은, 연결 중간부(164)의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지만, 환형부(161)의 통형부(162)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와이어 링(165)은 연결 클로우부(168)에 걸려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와이어 링(165)은, 클로우부 선단(166)에 걸려져 있고, 클로우부 선단(166) 및 리테이닝 플레이트(37)의 축 방향 사이에 끼워넣어져 있다. 와이어 링(165)은 리테이닝 플레이트(37)의 터빈(4)과 반대측[프론트 커버(2) 측]에 배치되어 있다.
와이어 링(165)은, 절결(切缺)이 형성된 C자 형상을 가지고 있고, 반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립 시, 와이어 링(165)은 반경 방향 내측에 탄성 변형된 상태로 복수 개의 연결 클로우부(168)에 걸린다. 클로우부 선단(166) 및 와이어 링(165)은 외주 클로우부(30c)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와이어 링(165)의 내경은 피스톤 본체(36)의 외경보다 크다. 클로우부 선단(166)과 피스톤 본체(36)와의 사이에는 와이어 링(165)을 삽입할 수 있을 정도의 간극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와이어 링(165)은, 비교적 가는 와이어로 형성되어 있고, 비교적 작은 힘으로 축 방향으로도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와이어 링(165)은, 축 방향으로 약간 탄성 변형된 상태로 조립되어 있다.
<조립 작업>
여기서, 도 8의 (A) ~ 도 8의 (C)을 사용하여 연결링 유닛(160)의 조립 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드리븐 플레이트(135)를 터빈(4)에 고정시킬 때, 연결링(169)을 먼저 드리븐 플레이트(135)에 걸어 둔다. 연결링(169)은 터빈(4) 및 드리븐 플레이트(135)와 함께 조립이 행해진다.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30)이 터빈(4)에 조립된다. 이 때, 개구(37c)에 연결링(169)의 연결 클로우부(168)가 삽입된다. 다음에, 와이어 링(165)이 연결 클로우부(168)에 끼워넣어진다. 이 때, 와이어 링(165)이 절결을 가지고 있으므로, 스냅링과 같이 와이어 링(165)은 직경이 작아지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와이어 링(165)을 장착할 때,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링(165)이 클로우부 선단(166)의 반경 방향 내측을 통과하도록 탄성 변형되어, 도 8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테이닝 플레이트(37)와 클로우부 선단(166)과의 사이에 와이어 링(165)이 끼워넣어진다. 와이어 링(165)이 연결 클로우부(168)에 끼워넣어져 있는 상태로, 와이어 링(165)의 연결 클로우부(168) 주변부는 약간 터빈(4) 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있고, 와이어 링(165)의 일부가 개구(37c) 내에 비집고 들어가 있다.
이와 같이, 연결링 유닛(160)에 의해 피스톤(30)이 터빈(4)과 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술한 연결링(60)과 마찬가지로, 드래그 토크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에 관한 록업 장치(207)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전술한 구성과 실질적으로 같은 기능을 가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성>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연결링(60)의 일부 및 연결링 유닛(160)의 일부가 피스톤(30)의 프론트 커버(2) 측[터빈(4)과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연결 부재가 피스톤(30)의 터빈(4) 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록업 장치(207)는, 드리븐 플레이트(235)(드리븐 부재의 일례)와, 연결 플레이트(260)(연결 부재의 일례)를 가지고 있다. 드리븐 플레이트(235)는, 대략 환형의 고정부(235a)와, 복수 개의 클로우부(235b)와, 복수 개의 돌기(35c)를 가지고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235a)는 터빈(4)에 고정되어 있다. 클로우부(235b)는, 고정부(235a)의 내주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 및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고정부(235a)와 터빈(4)과의 사이에는 간극 S가 확보되어 있다. 간극 S에는 연결 플레이트(260)의 클로우부 선단(263)이 배치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260)는, 피스톤(30)[보다 상세하게는, 리테이닝 플레이트(37)]의 터빈(4) 측에 배치되어 있고, 리벳(40)에 의해 피스톤(30)에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결 플레이트(260)는, 피스톤(30)에 고정된 연결 플레이트 본체(261)와, 연결 플레이트 본체(261)의 외주부에 설치된 연결 클로우부(269)를 가지고 있다. 연결 플레이트 본체(261)의 내주부는 리벳(40)에 의해 리테이닝 플레이트(37) 및 피스톤 본체(36)에 고정되어 있다. 연결 플레이트 본체(261)는, 원판형의 부분이며, 리테이닝 플레이트(37)를 따른 형상을 가지고 있다. 연결 플레이트 본체(261)는, 드리븐 플레이트(235)보다 얇고, 비교적 작은 힘으로 축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클로우부(269)는, 드리븐 플레이트(235)에 걸려져 있고, 통형의 연결 중간부(262)와, 클로우부 선단(263)을 가지고 있다. 연결 중간부(262)는, 연결 플레이트 본체(261)의 외주 에지로부터 터빈(4) 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클로우부(235b)의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클로우부 선단(263)은, 연결 중간부(262)의 터빈(4) 측의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환형의 부분이며, 연결 중간부(262)의 단부가 절곡 형성되어 있다. 클로우부 선단(263)은 클로우부(235b)와 축 방향으로 맞닿아 있다. 조립을 고려하여, 클로우부 선단(263)에는 테이퍼면(263a)이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면(263a)은,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터빈(4) 쪽을 향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테이퍼면(263a)은 축 방향에 대하여 약 45°도 경사져 있다.
<조립 작업>
여기서, 도 11의 (A) 및 도 11의 (B)을 사용하여, 연결 플레이트(260)의 조립 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연결 플레이트(260)는 리벳(40)에 의해 피스톤 본체(36) 및 리테이닝 플레이트(37)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연결 플레이트(260) 및 피스톤(30)은 일체의 어셈블리로서 취급된다.
터빈(4)의 조립 후, 피스톤(30) 및 연결 플레이트(260)가 터빈(4)에 조립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260)의 클로우부 선단(263)이 드리븐 플레이트(235)의 클로우부(235b)에 접촉한다. 클로우부 선단(263)에 테이퍼면(263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피스톤(30) 및 연결 플레이트(260)를 터빈(4) 측으로 압입하면, 클로우부 선단(263)이 클로우부(235b)에 의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안내되고,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로우부 선단(263)이 클로우부(235b)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비집고 들어간다. 이 때, 연결 중간부(262)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또한, 피스톤(30) 및 연결 플레이트(260)를 터빈(4) 측으로 압입하면, 도 1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로우부 선단(263)이 드리븐 플레이트(235)의 터빈(4) 측에 비집고 들어가, 클로우부 선단(263)이 드리븐 플레이트(235)에 걸린다. 이와 같이 하여, 연결 플레이트(26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연결 플레이트(260)라도, 드래그 토크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제4 실시예에 관한 록업 장치(307)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전술한 구성과 실질적으로 같은 기능을 가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성>
전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는, 연결 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가 피스톤(30)의 터빈(4) 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연결 부재 전체가 피스톤(30)의 프론트 커버(2) 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2 내지 도 14에 나타낸 록업 장치(307)는, 드리븐 플레이트(335)(드리븐 부재의 일례)와, 와이어 링(360)(연결 부재의 일례)을 가지고 있다. 드리븐 플레이트(335)는, 대략 환형의 고정부(335a)와, 복수 개의 돌출부(335b)와, 복수 개의 돌기(35c)를 가지고 있다. 드리븐 플레이트(235)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335a)는 터빈(4)에 고정되어 있다. 돌출부(335b)는, 고정부(335a)의 내주부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돌출부(335b)는, 고정부(335a)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드리븐 연결부(335d)와, 드리븐 연결부(335d)의 단부에 설치된 드리븐 클로우부(335e)를 가지고 있다. 드리븐 연결부(335d)는 리테이닝 플레이트(37)의 개구(37c)에 삽입되어 있다. 드리븐 클로우부(335e)는 드리븐 연결부(335d)의 단부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드리븐 클로우부(335e)는, 리테이닝 플레이트(37)의 프론트 커버(2) 측에 배치되어 있고, 드리븐 연결부(335d)의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와이어 링(360)은, 드리븐 플레이트(335)와 피스톤(30)을 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와이어 링(360)은, 돌출부(335b)에 걸려져 있고, 드리븐 클로우부(335e)와 리테이닝 플레이트(37)와의 사이에 끼워넣어져 있다. 와이어 링(360)은 리테이닝 플레이트(37)의 터빈(4)과 반대측[프론트 커버(2) 측]에 배치되어 있다. 와이어 링(360)은, 절결(361)이 형성된 C자 형상을 가지고 있고, 반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리테이닝 플레이트(37)에는 고정부(37a)로부터 프론트 커버(2) 측으로 돌출된 위치 결정부(337g)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부(337g)는 예를 들면,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와이어 링(360)의 절결(361)에는, 이 위치 결정부(337g)가 끼워넣어져 있으므로, 와이어 링(360)은 리테이닝 플레이트(37)와 일체로 회전한다.
조립 시, 와이어 링(360)은 반경 방향 내측에 탄성 변형된 상태로 복수 개의 돌출부(335b)에 걸린다. 드리븐 클로우부(335e) 및 와이어 링(360)은 외주 클로우부(30c)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와이어 링(360)의 내경은 피스톤 본체(36)의 외경보다 크다. 드리븐 클로우부(335e)와 피스톤 본체(36)와의 사이에는 와이어 링(360)을 삽입할 수 있을 정도의 간극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와이어 링(360)은, 비교적 가는 와이어로 형성되어 있고, 비교적 작은 힘으로 축 방향으로도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와이어 링(360)은, 축 방향으로 약간 탄성 변형된 상태로 조립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개구(37c)는 원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와이어 링(360)은 드리븐 플레이트(335)의 돌출부(335b)에 의해 터빈(4) 측으로 인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와이어 링(360)의 돌출부(335b)에 걸려져 있는 부분의 주변부는, 축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있고, 개구(37c) 내로 약간 비집고 들어가 있다.
<조립 작업>
여기서, 도 15의 (A)~도 15의 (C)를 사용하여, 와이어 링(360)의 조립 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터빈(4)의 조립 후, 피스톤(30)이 터빈(4)에 조립된다. 도 1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테이닝 플레이트(37)의 개구(37c)에 돌출부(335b)가 삽입된다. 도 1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링(360)이 반경 방향 내측으로 변형된 상태로 드리븐 클로우부(335e)의 반경 방향 내측에 삽입된다. 그 후, 도 1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테이닝 플레이트(37)와 드리븐 클로우부(335e)와의 사이에 와이어 링(360)이 끼워넣어져 와이어 링(36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와이어 링(360) 및 드리븐 플레이트(335)라도, 드래그 토크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록업 장치는 이상에서 설명한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관한 록업 장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각종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상기한 록업 장치이면, 연결 부재에 의해 피스톤이 드리븐 부재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드래그 토크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기술은 록업 장치의 분야에서 유용하다.
1: 토크 컨버터(유체식 동력 전달 장치의 일례)
2: 프론트 커버
4: 터빈
7: 록업 장치
30: 피스톤
33: 스프링(탄성 부재의 일례)
35, 135, 235, 335: 드리븐 플레이트(드리븐 부재의 일례)
36: 피스톤 본체
37: 리테이닝 플레이트
51: 제1 마찰 플레이트
52: 제2 마찰 플레이트
60: 연결링(연결 부재의 일례)
160: 연결링 유닛(연결 부재의 일례)
260: 연결 플레이트(연결 부재의 일례)
360: 와이어 링(연결 부재의 일례)
2: 프론트 커버
4: 터빈
7: 록업 장치
30: 피스톤
33: 스프링(탄성 부재의 일례)
35, 135, 235, 335: 드리븐 플레이트(드리븐 부재의 일례)
36: 피스톤 본체
37: 리테이닝 플레이트
51: 제1 마찰 플레이트
52: 제2 마찰 플레이트
60: 연결링(연결 부재의 일례)
160: 연결링 유닛(연결 부재의 일례)
260: 연결 플레이트(연결 부재의 일례)
360: 와이어 링(연결 부재의 일례)
Claims (22)
- 유체식(流體式) 동력 전달 장치의 프론트 커버와 터빈과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터빈을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록업(lock up) 장치로서,
상기 터빈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압력의 변화에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
상기 터빈에 고정된 드리븐 부재(driven member);
상기 피스톤을 상기 드리븐 부재에 회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 부재;
상기 피스톤을 상기 드리븐 부재에 연결하는 연결 부재
를 포함하는, 록업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피스톤을 상기 드리븐 부재에 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록업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드리븐 부재의 내주부에 걸려져 있는, 록업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피스톤과 상기 드리븐 부재를 간극이 확보된 상태로 끼워넣고 있는, 록업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피스톤의 상기 프론트 커버 측에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과 맞닿는 환형부(環形部)와, 상기 환형부로부터 상기 터빈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드리븐 부재의 내주부에 걸린 연결 클로우부(claw portion)를 가지고 있는, 록업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연결 클로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개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연결 클로우부는, 상기 개구에 삽입되어 있는, 록업 장치.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클로우부는, 상기 환형부로부터 상기 터빈측으로 연장되는 연결 중간부와, 상기 연결 중간부의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드리븐 부재의 상기 피스톤과 반대측에 배치된 클로우부 선단을 가지고 있는, 록업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드리븐 부재의 내주부는,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고 상기 피스톤 측을 향한 제1 테이퍼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클로우부 선단은,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고 상기 터빈측을 향하는 제2 테이퍼면을 가지고 있는, 록업 장치.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1 마찰 플레이트와,
상기 피스톤과 상기 제1 마찰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 커버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2 마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제1 마찰 플레이트를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연결 클로우부는, 상기 지지부와 축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록업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부는, 상기 지지부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록업 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피스톤의 상기 프론트 커버 측에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과 맞닿는 링 부재와, 상기 드리븐 부재의 상기 피스톤과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드리븐 부재와 맞닿는 환형부와, 상기 환형부로부터 상기 프론트 커버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링 부재에 걸린 연결 클로우부를 가지고 있는, 록업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연결 클로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개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연결 클로우부는, 상기 개구에 삽입되어 있는, 록업 장치. -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클로우부는, 상기 환형부로부터 상기 프론트 커버 측으로 연장되는 연결 중간부와, 상기 연결 중간부의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링 부재의 상기 피스톤과 반대측에 배치된 클로우부 선단을 가지고 있는, 록업 장치. -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는, 절결(切缺)이 형성된 대략 C자 형상을 가지고 있는, 록업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피스톤과 상기 터빈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에 고정되어 있는, 록업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피스톤에 고정된 연결 부재 본체와, 상기 연결 부재 본체의 외주부에 설치되어 상기 드리븐 부재에 걸린 연결 클로우부를 가지고 있는, 록업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클로우부는, 상기 연결 부재 본체의 외주부로부터 상기 터빈측으로 연장되는 연결 중간부와, 상기 연결 중간부의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드리븐 부재의 내주부와 축 방향으로 맞닿는 클로우부 선단을 가지고 있는, 록업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우부 선단은,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고 상기 터빈측을 향하는 테이퍼면을 가지고 있는, 록업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리븐 부재는, 상기 터빈에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내주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 부재가 걸린 돌출부를 가지고 있는, 록업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드리븐 연결부와, 상기 드리븐 연결부의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드리븐 클로우부를 가지고 있는, 록업 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드리븐 클로우부 및 상기 피스톤의 사이에 협지되어 있는, 록업 장치. -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개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개구에 삽입되어 있는, 록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0-035754 | 2010-02-22 | ||
JP2010035754A JP4884543B2 (ja) | 2010-02-22 | 2010-02-22 | ロックアップ装置 |
PCT/JP2011/052112 WO2011102220A1 (ja) | 2010-02-22 | 2011-02-02 | ロックアップ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7903A true KR20120117903A (ko) | 2012-10-24 |
KR101457461B1 KR101457461B1 (ko) | 2014-11-03 |
Family
ID=44482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22187A KR101457461B1 (ko) | 2010-02-22 | 2011-02-02 | 록업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4884543B2 (ko) |
KR (1) | KR101457461B1 (ko) |
WO (1) | WO2011102220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83127A (ko) * | 2018-12-31 | 2020-07-08 |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 차량용 토크 컨버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297252B2 (ja) * | 2012-09-13 | 2018-03-20 | 株式会社エクセディ | 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装置 |
KR101803952B1 (ko) | 2016-05-25 | 2017-12-01 | 한국파워트레인 주식회사 | 차량용 토크 컨버터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60955U (ja) * | 1983-04-15 | 1984-10-27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ロツクアツプトルクコンバ−タ |
JPS59160955A (ja) * | 1984-02-21 | 1984-09-1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防爆式密閉形アルカリ蓄電池 |
JPH0643866B2 (ja) * | 1988-10-26 | 1994-06-08 | 株式会社大金製作所 | トルクコンバータ用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の摩擦装置 |
JPH0723850U (ja) * | 1993-10-07 | 1995-05-02 | 株式会社大金製作所 | 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装置 |
JP3623527B2 (ja) * | 1993-12-24 | 2005-02-23 | Nskワーナー株式会社 | ロックアップ機構付きトルクコンバータ |
JPH08312749A (ja) * | 1995-05-18 | 1996-11-26 | Nissan Motor Co Ltd | トルクコンバータ |
-
2010
- 2010-02-22 JP JP2010035754A patent/JP488454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
- 2011-02-02 KR KR1020127022187A patent/KR10145746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02-02 WO PCT/JP2011/052112 patent/WO2011102220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83127A (ko) * | 2018-12-31 | 2020-07-08 |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 차량용 토크 컨버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1169442A (ja) | 2011-09-01 |
WO2011102220A1 (ja) | 2011-08-25 |
KR101457461B1 (ko) | 2014-11-03 |
JP4884543B2 (ja) | 2012-02-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202147B (zh) | 减振装置 | |
KR101445587B1 (ko) | 토크 컨버터용 록업 장치 | |
KR102321117B1 (ko) |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 | |
CN107202146B (zh) | 液力变矩器 | |
KR20120085889A (ko) | 토크 컨버터 | |
JP2011047442A (ja) | トルクコンバータ用ロックアップ装置 | |
JP2015014355A (ja) | 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装置 | |
CN107202148B (zh) | 液力变矩器的锁定装置 | |
JP2006029553A (ja) | 流体式トルク伝達装置用ロックアップ装置 | |
KR20120117903A (ko) | 록업 장치 | |
JP2005273709A (ja) | 流体式トルク伝達装置のロックアップ装置 | |
KR102321322B1 (ko) |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 | |
JP2012077810A (ja) | 流体伝動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2007113661A (ja) | 流体式トルク伝達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ロックアップ装置 | |
KR102326417B1 (ko) |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 | |
KR20070042579A (ko) | 토크 컨버터 | |
JP2006090375A (ja) | 流体式トルク伝達装置のロックアップ装置 | |
JP2007113660A (ja) | 流体式トルク伝達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ロックアップ装置 | |
KR101763415B1 (ko) | 차량용 토크 컨버터 | |
JP2006118534A (ja) | 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 | |
JP2004116610A (ja) | ロックアップ装置のピストン連結機構 | |
JP2006153029A (ja) | 流体式トルク伝達装置のロックアップ装置 | |
JP2007051752A (ja) | 流体式トルク伝達装置 | |
JP2006064065A (ja) | 流体式トルク伝達装置 | |
JP2006177418A (ja) | 流体式トルク伝達装置のロックアップ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