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7899A -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 - Google Patents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7899A
KR20120117899A KR1020127022021A KR20127022021A KR20120117899A KR 20120117899 A KR20120117899 A KR 20120117899A KR 1020127022021 A KR1020127022021 A KR 1020127022021A KR 20127022021 A KR20127022021 A KR 20127022021A KR 20120117899 A KR20120117899 A KR 20120117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sion
coil spring
pair
coil
spr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0478B1 (ko
Inventor
나오키 도미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에쿠세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41295A external-priority patent/JP479158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41294A external-priority patent/JP510655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에쿠세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에쿠세디
Publication of KR20120117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6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 F16D25/062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 F16D25/063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with clutch members exclusively moving axially
    • F16D25/0635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with clutch members exclusively moving axially with flat friction surfaces, e.g. dis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 F16D3/14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combined with a friction coupling for damping vibration or absorbing sh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2045/0205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two chamber system, i.e. without a separated, closed chamber specially adapted for actuating a lock-up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2045/0221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with damping means
    • F16H2045/0226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with damping means comprising two or more vibration dampers
    • F16H2045/0231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with damping means comprising two or more vibration dampers arranged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2045/0273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friction surface of the lock-up clutch
    • F16H2045/0294Single disk type lock-up clutch, i.e. using a single disc engaged between friction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설계의 자유도가 높은 토크 컨버터의 록업(lockup)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 록업 장치(7)는, 입력 회전 부재(71)와 출력 회전 부재(73)와, 탄성 부재(74)와, 서포트 부재(75)를 구비하고 있다. 탄성 부재(75)는, 입력 회전 부재(71)와 출력 회전 부재(73)를 회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연결한다. 서포트 부재(75)는, 입력 회전 부재(71)와 출력 회전 부재(73)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서포트 부재(75)는, 탄성 부재(74)를 지지하는 지지부(175)와, 탄성 부재(74)에 회전 방향으로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275)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는, 서포트 부재(75)의 지지부(175)가, 탄성 부재(74)의 외주측을 지지하는 외주측 지지부(175a)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외주측 지지부(175a)의 외주단은, 회전 방향을 향해 걸어맞춤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곡률이 연속적으로 작아지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LOCKUP DEVICE FOR TORQUE CONVERTER}
본 발명은, 록업(lockup) 장치, 특히, 토크를 전달하고, 또한 토션(torsion) 진동을 흡수?감쇠(減衰)하기 위한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토크 컨버터에는, 토크를 프론트 커버로부터 터빈에 직접 전달하기 위한 록업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 록업 장치는, 프론트 커버에 마찰 연결 가능한 피스톤과, 피스톤에 고정되는 리테이닝 플레이트(retaining plate)와, 리테이닝 플레이트에 지지되는 복수 쌍의 토션 스프링과, 복수 개의 토션 스프링을 통하여 회전 방향으로 피스톤에 탄성 연결되는 드리븐 플레이트(driven plate)와, 피스톤과 드리븐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서포트 부재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여기서는, 드리븐 플레이트는 터빈에 고정되어 있다(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 참조).
여기서는, 피스톤은, 프론트 커버와 터빈과의 사이의 공간을 축 방향으로 분할하고 있고, 피스톤의 외주부에 환형(環形)으로 뻗은 마찰 페이싱(friction facing)이 프론트 커버의 마찰면에 가압되면, 프론트 커버의 토크가 록업 장치에 전달된다. 그러면, 토크가 록업 장치로부터 터빈으로 전달된다. 이 때는, 록업 장치의 외주부에 배치된 복수 개의 토션 스프링에 의해, 엔진으로부터 입력되는 토크 변동이, 흡수?감쇠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토크 컨버터가 동작하고 있을 때는, 복수 개의 토션 스프링은, 서포트 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2-89657 일본공개특허 제2008-138797
특허 문헌 1에 나타낸 록업 장치(이하, 종래의 록업 장치라고 함)는, 서포트 부재를 가지고 있다. 이 서포트 부재에는, 직렬로 배치된 한쌍의 토션 스프링의 사이에 배치되는 서포트용의 클로우부(claw portion)와, 리테이닝 플레이트(드라이브 부재)를 조립하기 위한 절결부(切缺部)가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닝 플레이트에는, 토션 스프링의 단부와 맞닿고 토션 스프링을 원주 방향으로 압축하기 위한 압축용의 클로우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압축용의 클로우부를, 서포트 부재의 절결부에 삽입함으로써, 리테이닝 플레이트가 서포트 부재에 조립된다. 그러면, 한쌍의 토션 스프링의 사이에 서포트용의 클로우부가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한쌍의 토션 스프링은, 압축용의 클로우부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압축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록업 장치에서는, 서포트 부재에 절결부를 형성함으로써, 리테이닝 플레이트를 서포트 부재에 용이하게 조립하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록업 장치에서는, 한쌍의 토션 스프링이, 원심력의 발생 시에, 서포트 부재의 절결부의 부분에 응력이 집중될 우려가 있었다. 그러므로, 종래의 구성에서는, 중량이 무거운 토션 스프링은, 이용하는 것이 어려웠다. 특히, 한쌍의 토션 스프링 각각의 중량이 상이한 경우에는, 이 영향이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그리고, 여기서, 굳이 중량이 무거운 토션 스프링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서포트 부재의 판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이 문제에 대처하는 경우가 있었지만, 이 경우, 록업 장치의 중량이 무거워지게 되는 문제가 새롭게 발생하고 있었다.
한편, 특허 문헌 2에 나타낸 록업 장치에서는, 복수 쌍의 토션 스프링이 압축되면, 한쌍의 토션 스프링의 토션 특성에 기초하여, 복수 쌍의 토션 스프링의 토션 특성이 결정된다. 부가하자면, 복수 쌍의 토션 스프링의 토션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한쌍의 토션 스프링의 토션 특성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토션 특성은, 한쌍의 토션 스프링의 토션 각도(회전 각도)와 한쌍의 토션 스프링이 감쇠 가능한 토크 변동량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그러므로, 한쌍의 토션 스프링이 압축된 경우에는, 한쌍의 토션 스프링의 토션 강성(剛性)에 대응하는 토크 변동이 감쇠된다.
종래의 록업 장치에서는, 토션 특성은 선형이므로, 이 토션 특성을 사용하여 소정의 토크 변동을 감쇠하도록 하면, 토션 강성을 크게 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나, 토션 강성을 너무 크게 하면, 토션 스프링에 기인하는 진동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토션 특성을 바이리니어형(bilinear type)으로 설정하는 구성이 고려되었다. 토션 특성이 바이리니어형인 구성에서는, 토션 특성이 선형인 구성과 비교하여, 토션 스프링에 기인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토크 변동의 목표 감쇠량이 커지면, 바이리니어형의 토션 특성의 제1 토션 강성에서도, 토션 스프링에 기인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한편, 토크 변동의 목표 감쇠량이 큰 경우에, 토션 스프링에 기인하는 진동을 억제할 목적으로, 바이리니어형의 토션 특성의 제1 토션 강성을 작게 하면, 초기 진동은 억제할 수 있지만, 목표 감쇠량을 확보하기 위해, 제2 토션 강성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이 경우, 제1 토션 강성에 대한 제2 토션 강성의 비가 커져, 토션 특성의 굴곡점 및 이 굴곡점을 초과한 범위에 있어서, 새로운 진동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즉, 이 경우에도, 토션 스프링에 기인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행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설계의 자유도가 높은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일 스프링에 기인하는 진동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는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에 관한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는, 토크를 전달하고, 또한 토션 진동을 흡수?감쇠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 록업 장치는, 입력 회전 부재와, 출력 회전 부재와, 탄성 부재와, 서포트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탄성 부재는, 입력 회전 부재와 출력 회전 부재를 회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서포트 부재는, 입력 회전 부재와 출력 회전 부재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서포트 부재는, 탄성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탄성 부재에 회전 방향으로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는, 서포트 부재의 지지부가, 탄성 부재의 외주측을 지지하는 외주측 지지부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외주측 지지부의 외주단은, 회전 방향을 향해 걸어맞춤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곡률이 연속적으로 작아지게 되어 있다.
본 록업 장치에서는, 엔진의 토크가, 입력 회전 부재로부터 출력 회전 부재에 전달된다. 이 때, 토션 진동이 발생한 경우, 서포트 부재는, 걸어맞춤부에 의해 탄성 부재에 걸어맞추어지고, 지지부에 의해 탄성 부재를 지지한 상태에 있어서, 토션 진동이 탄성 부재에 의해 흡수?감쇠된다.
이와 같은 록업 장치에서는, 서포트 부재의 외주측 지지부의 외주단이 걸어맞춤부로부터 회전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외주측 지지부의 외주단의 곡률이 연속적으로 작아지게 되어 있으므로, 탄성 부재의 동작 중에 서포트 부재에 발생할 수 있는 응력 집중을 저감할 수 있다. 특히, 본 록업 장치에서는, 절결부와 같은 불연속인 부분을 서포트 부재에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종래의 록업 장치와 비교하여, 서포트 부재에 발생할 수 있는 응력 집중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록업 장치에서는, 서포트 부재에 발생할 수 있는 응력 집중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탄성 부재의 다양한 조합에 의해, 록업 장치를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본 록업 장치에서는, 서포트 부재에 발생할 수 있는 응력 집중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록업 장치와 비교하여, 서포트 부재의 판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록업 장치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록업 장치에서는, 서포트 부재의 외주측 지지부의 외주단의 곡률을 작게 한 부분으로부터, 록업 장치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즉, 본 록업 장치에서는, 종래의 록업 장치와 같이 조립용의 절결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록업 장치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한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에서는, 청구항 1의 장치에 있어서, 외주측 지지부의 외주단은, 외주측 지지부의 회전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외주측 지지부의 외주단이, 외주측 지지부의 회전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탄성 부재의 동작 중에 서포트 부재에 발생할 수 있는 응력 집중을 확실하게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록업 장치에서는, 서포트 부재에 발생할 수 있는 응력 집중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탄성 부재의 다양한 조합에 의해, 록업 장치를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이 록업 장치에서는, 전술한 것 외의 다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서포트 부재를 성형한 후에는, 형을 인출할 필요가 있지만, 외주측 지지부의 외주단을, 외주측 지지부의 회전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평면 형상으로 형성하여 둠으로써, 서포트 부재로부터 형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가 있다.
청구항 3에 관한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에서는, 청구항 1 또는 2의 장치에 있어서, 서포트 부재의 지지부가, 탄성 부재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를 더 가지고 있다. 이 측면 지지부는, 입력 회전 부재와 탄성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측면 지지부가, 입력 회전 부재와 탄성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측면 지지부가 쉽게 좌굴(座屈)되지 않아, 서포트 부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록업 장치에서는, 탄성 부재의 다양한 조합에 의해, 록업 장치를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본 록업 장치에서는, 종래의 록업 장치와 비교하여, 서포트 부재의 판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록업 장치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록업 장치에서는, 전술한 것 외의 다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한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에서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장치에 있어서, 서포트 부재의 지지부가, 탄성 부재의 내주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주측 연장부를 더 가지고 있다. 이 내주측 연장부는, 측면 지지부로부터 탄성 부재측을 향해 만곡되고, 탄성 부재의 내주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이 경우, 측면 지지부로부터 탄성 부재측을 향해 만곡된 부분에 의해, 내주측 연장부가 쉽게 좌굴되지 않아, 서포트 부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주측 연장부는, 탄성 부재의 내주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서포트 부재의 반경 방향의 휨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록업 장치에서는, 탄성 부재의 다양한 조합에 의해, 록업 장치를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본 록업 장치에서는, 종래의 록업 장치와 비교하여, 서포트 부재의 판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록업 장치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록업 장치에서는, 전술한 것 외의 다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5에 관한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에서는,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장치에 있어서, 서포트 부재의 걸어맞춤부가, 만곡부와, 회전 방향에 있어서 탄성 부재에 걸려 만곡부의 양 단부를 내측으로 절곡한 걸림부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서포트 부재의 걸어맞춤부에는, 만곡부의 양 단부를 내측으로 절곡한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걸림부를 탄성 부재는 확실하게 거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걸림부는, 만곡부의 양 단부를 내측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므로, 걸림부가 쉽게 좌굴되지 않아, 서포트 부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걸림부의 반경 방향의 휨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록업 장치에서는, 탄성 부재의 다양한 조합에 의해, 록업 장치를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본 록업 장치에서는, 종래의 록업 장치와 비교하여, 서포트 부재의 판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록업 장치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록업 장치에서는, 전술한 것 외의 다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6에 관한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는,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탄성 부재가, 복수 쌍의 제1 코일 스프링과, 복수 쌍의 제2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코일 스프링은, 입력 회전 부재와 출력 회전 부재와의 상대 회전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압축된다. 각 쌍의 제1 코일 스프링은, 서로가 직렬로 배치된다. 제2 코일 스프링은, 길이가 제1 코일 스프링의 길이보다 짧고, 제1 코일 스프링의 내주부에 배치된다.
이 록업 장치에서는, 엔진의 토크가, 입력 회전 부재로부터 출력 회전 부재로 전달된다. 이 때, 토션 진동이 발생한 경우, 복수 쌍의 제1 코일 스프링과, 복수 쌍의 제2 코일 스프링에 의해, 이 토션 진동이 흡수?감쇠된다.
이 경우, 먼저, 각 쌍의 제1 코일 스프링의 압축이 개시되면, 각 쌍의 제1 코일 스프링의 토션 강성에 따라 토션 진동이 흡수?감쇠된다(1단째의 토션 특성). 다음에, 각 쌍의 제1 코일 스프링 및 각 쌍의 제2 코일 스프링의 압축이 개시되면, 각 쌍의 제1 코일 스프링 및 각 쌍의 제2 코일 스프링의 토션 강성에 따라 토션 진동이 흡수?감쇠된다(2단째의 토션 특성). 마지막으로, 각 쌍의 제1 코일 스프링 및 각 쌍의 제2 코일 스프링이 압축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각 쌍의 제1 코일 스프링 중 어느 한쪽의 제1 코일 스프링과, 이 제1 코일 스프링의 내주부에 배치된 제2 코일 스프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코일 스프링을 압축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압축 가능한 제1 코일 스프링 및 제2 코일 스프링의 토션 강성에 따라 토션 진동이 흡수?감쇠된다(3단째의 토션 특성).
본 록업 장치에서는, 토션 특성을, 다단(多段) 즉 트리리니어형(tri-linear type)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록업 장치에서는, 토션 특성을 트리리니어형으로 설정함으로써, 토션 강성을 서서히 크게 설정할 수 있다. 특히, 1단째의 토션 강성을 작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토션 각도가 작은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록업 장치에서는, 토션 특성을 트리리니어형으로 설정함으로써, 토션 특성을 바이리니어형으로 설정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토션 강성의 비, 예를 들면, 제1 토션 강성에 대한 제2 토션 강성의 비(N2/N1), 및 제2 토션 강성에 대한 제3 토션 강성(N3/N2)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토션 특성에서의 각 굴곡점을 넘을 때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록업 장치에서는, 각 쌍의 제1 코일 스프링 중 어느 한쪽의 제1 코일 스프링과, 이 제1 코일 스프링의 내주부에 배치된 제2 코일 스프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코일 스프링을 압축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3단째의 토션 강성을 형성하므로, 록업 장치의 크기를 변경하지 않고, 트리리니어형의 토션 특성을 설정할 수 있다. 즉, 기존의 록업 장치의 크기를 변경하지 않고, 트리리니어형의 토션 특성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트리리니어형의 토션 특성은, 토크 변동의 목표 감쇠량의 대소에 관계없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특히, 토크 변동의 목표 감쇠량이 클 경우, 상기한 효과는 현저하게 나타난다.
청구항 7에 관한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에서는, 청구항 6의 장치에 있어서, 각 쌍의 제1 코일 스프링 중 어느 한쪽의 제1 코일 스프링과, 이 제1 코일 스프링의 내주부에 배치된 제2 코일 스프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코일 스프링을, 선간(線間) 밀착시킴으로써, 각 쌍의 제1 코일 스프링 중 어느 한쪽, 및 이 제1 코일 스프링의 내주부에 배치된 제2 코일 스프링을 압축 불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각 쌍의 제1 코일 스프링 및 각 쌍의 제2 코일 스프링이 압축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각 쌍의 한쪽의 제1 코일 스프링과, 이 제1 코일 스프링의 내주부에 배치된 한쪽의 제2 코일 스프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코일 스프링이, 선간 밀착하면, 선간 밀착된 코일 스프링은, 압축 불가능하게 되어, 토션 특성에 기여하지 않게 된다. 그러면, 압축 가능한 제1 코일 스프링 및 제2 코일 스프링의 토션 강성에 따라 토션 진동이 흡수?감쇠된다(3단째의 토션 특성).
본 록업 장치에서는, 각 쌍의 한쪽의 제1 코일 스프링과, 이 한쪽의 제1 코일 스프링의 내주부에 배치된 제2 코일 스프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선간 밀착에 의해, 트리리니어형의 토션 특성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록업 장치에서는, 제1 코일 스프링 및 제2 코일 스프링의 형상(코일 스프링의 전체 길이나 선간 거리 등)과, 제1 코일 스프링 및 제2 코일 스프링의 토션 강성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트리리니어형의 토션 특성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 록업 장치에서는, 전술한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8에 관한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에서는, 청구항 7의 장치에 있어서, 각 쌍의 제2 코일 스프링은, 서로의 길이가 같다. 또한, 각 쌍의 제2 코일 스프링 중 어느 한쪽과, 각 쌍의 제2 코일 스프링 중 어느 다른 쪽은, 토션 강성이 서로 상이하다. 또한, 각 쌍의 한쪽의 제2 코일 스프링을, 선간 밀착시킴으로써, 각 쌍의 제1 코일 스프링 중 어느 한쪽, 및 이 제1 코일 스프링의 내주부에 배치된 제2 코일 스프링을 압축 불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각 쌍의 제1 코일 스프링 및 각 쌍의 제2 코일 스프링이 압축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각 쌍의 한쪽의 제2 코일 스프링이 선간 밀착하면, 선간 밀착된 제2 코일 스프링은 압축 불가능하게 되어, 토션 특성에 기여하지 않게 된다. 그러면, 압축 가능한 제1 코일 스프링 및 제2 코일 스프링의 토션 강성에 따라 토션 진동이 흡수?감쇠된다(3단째의 토션 특성).
본 록업 장치에서는, 각 쌍의 한쪽의 제2 코일 스프링의 선간 밀착에 의해, 트리리니어형의 토션 특성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록업 장치에서는, 제1 코일 스프링 및 제2 코일 스프링의 형상(코일 스프링의 전체 길이나 선간 거리 등)과, 제1 코일 스프링 및 제2 코일 스프링의 토션 강성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트리리니어형의 토션 특성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 록업 장치에서는, 전술한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9에 관한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에서는, 청구항 8의 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제1 코일 스프링 각각의 토션 강성은 같다. 또한, 복수 개의 제1 코일 스프링 각각의 내주부에 배치된 제2 코일 스프링의 토션 강성은, 제1 코일 스프링의 토션 강성보다 작다.
이 경우, 복수 개의 제1 코일 스프링 각각의 토션 강성을 동일하게 설정하고, 복수 개의 제1 코일 스프링 각각의 내주부에 배치된 제2 코일 스프링의 토션 강성을 제1 코일 스프링의 토션 강성보다 작게 설정함으로써, 제2 코일 스프링이 토션 특성에 기여했을 때의 토션 강성을 확실하게 변경할 수 있다. 즉, 토션 강성이 급격하게 변화하지 않는 다단 특성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록업 장치에서는, 전술한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0에 관한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는,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장치에 있어서, 입력 회전 부재와 출력 회전 부재와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회전 규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회전 규제 수단에 의해, 입력 회전 부재와 출력 회전 부재와의 상대 회전이 규제된다. 그러면, 제1 코일 스프링 및 제2 코일 스프링에 의해 토션 진동을 흡수?감쇠하기 위한 댐퍼 동작이 정지한다. 즉, 회전 규제 수단에 의해, 3단째의 토션 특성의 상한이 설정된다. 이와 같이, 회전 규제 수단에 의해 3단째의 토션 특성의 상한을 설정함으로써, 토션 각도가 소정의 크기 이상으로 되었을 때, 토크를, 입력 회전 부재로부터 출력 회전 부재로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이 록업 장치에서는, 전술한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계의 자유도가 높은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에 기인하는 진동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록업 장치를 구비한 토크 컨버터의 단면(斷面) 부분도이다.
도 2는 상기 록업 장치의 정면 부분도이다.
도 3은 상기 록업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록업 장치의 스프링 홀더의 부분 외관도이다.
도 5는 상기 스프링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록업 장치의 트리리니어형의 토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록업 장치의 토션 스프링 작동 시의 모델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의 록업 장치가 채용된 토크 컨버터(1)의 단면(斷面) 부분도이다. 도 1의 좌측에는 엔진(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고, 도 1의 우측에 트랜스미션(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O-O는, 토크 컨버터 및 록업 장치의 회전축선이다. 도 2는 록업 장치의 정면 부분도이다. 도 6은 한쌍의 제1 토션 스프링 및 한쌍의 제2 토션 스프링이 작동했을 때의 트리리니어형의 토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토션 특성의 각 단계에서, 한쌍의 제1 토션 스프링 및 한쌍의 제2 토션 스프링이 작동했을 때의 모델도이다.
[토크 컨버터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채용된 토크 컨버터(1)의 종단면 개략도이다. 토크 컨버터(1)는, 엔진의 크랭크샤프트(crankshaft)(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트랜스미션의 입력 샤프트(도시하지 않음)에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1의 좌측에 도시하지 않은 엔진이 배치되고, 도 1의 우측에 도시하지 않은 트랜스미션이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O-O가 토크 컨버터(1)의 회전축이다. 또한, 화살표 R1이 토크 컨버터(1)의 회전 방향 구동측을 나타내고 있고, 화살표 R2가 그 반대측을 나타내고 있다(도 3 참조).
토크 컨버터(1)는, 주로, 플렉시블 플레이트(도시하지 않음)와 토크 컨버터 본체(5)로 구성되어 있다. 플렉시블 플레이트는, 원판형의 얇은 부재로 이루어지고, 토크를 전달하고, 또한 크랭크샤프트로부터 토크 컨버터 본체(5)에 전달되는 휨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부재이다. 따라서, 플렉시블 플레이트는, 회전 방향으로는 토크 전달에 충분한 강성을 가지고 있지만, 벤딩 방향으로는 강성이 낮게 되어 있다.
토크 컨버터 본체(5)는, 프론트 커버(11)와 3종의 날개차[임펠러(21)]와, 터빈(22), 스테이터(stator)(23)로 이루어지는 원환체(圓環體; torus) 형상의 유체 작동실(6)과, 록업 장치(7)로 구성되어 있다.
프론트 커버(11)는, 원판형의 부재이며, 플렉시블 플레이트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프론트 커버(11)의 내주단에는 센터보스(center boss)(16)가 설치되어 있다. 센터보스(16)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부재이며, 크랭크샤프트의 중심공 내에 삽입되어 있다.
플렉시블 플레이트의 내주부는 복수 개의 볼트에 의해 크랭크샤프트의 선단면에 고정되어 있다. 프론트 커버(11)의 외주측에는,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개의 너트(12)가 고정되어 있다. 이 너트(12) 내에 나사결합되는 볼트가 플렉시블 플레이트의 외주부를, 프론트 커버(11)에 고정시키고 있다.
프론트 커버(11)의 외주부에는, 축 방향 트랜스미션측으로 연장되는 외주측 통형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외주측 통형부(11a)의 선단에 임펠러(21)의 임펠러 쉘(impeller shell)(26)의 외주 에지가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결과, 프론트 커버(11)와 임펠러(21)에 의해, 내부에 작동유가 충전된 유체실이 형성되어 있다. 임펠러(21)는, 주로, 임펠러 쉘(26)과, 그 내측에 고정된 복수 개의 임펠러 블레이드(27)와, 임펠러 쉘(26)의 내주부에 고정된 임펠러 허브(28)로 구성되어 있다.
터빈(22)은 유체실 내에서 임펠러(21)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터빈(22)은, 주로, 터빈 쉘(30)과, 그 임펠러 측의 면에 고정된 복수 개의 터빈 블레이드(31)와, 터빈 쉘(30)의 내주 에지에 고정된 터빈 허브(32)로 구성되어 있다. 터빈 쉘(30)과 터빈 허브(32)는 복수 개의 리벳(33)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터빈 허브(32)의 내주면에는, 입력 샤프트에 걸어맞추어지는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터빈 허브(32)는 입력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스테이터(23)는, 터빈(22)으로부터 임펠러(21)로 돌아오는 작동유의 흐름을 정류하기 위한 기구(機構)이다. 스테이터(23)는 수지나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주조(鑄造)에 의해 일체로 제작된 부재이다. 스테이터(23)는 임펠러(21)의 내주부와 터빈(22)의 내주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테이터(23)는, 주로, 환형의 스테이터 쉘(35)과, 쉘(35)의 외주면에 설치된 복수 개의 스테이터 블레이드(36)로 구성되어 있다. 스테이터 쉘(35)은 원웨이 클러치(one way cluch)(37)를 통하여 통형의 고정 샤프트(도시하지 않음)에 지지되어 있다. 고정 샤프트는 입력 샤프트의 외주면과 임펠러 허브(28)의 내주면과의 사이를 연장하고 있다.
전술한 각 날개차(21, 22, 23)의 각 쉘(26, 30, 35)에 의해, 유체실 내에 원환체 형상의 유체 작동실(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체실 내에 있어서 프론트 커버(11)와 유체 작동실(6) 사이에는 환형의 공간(9)이 확보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낸 원웨이 클러치(37)는 래칫을 사용한 구조이지만, 롤러나 스프래그(sprag)를 사용한 구조라도 된다.
프론트 커버(11)의 내주부와 터빈 허브(32)와의 축 방향 사이에는 제1 스러스트(thrust) 베어링(41)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제1 스러스트 베어링(41)이 설치된 부분에 있어서, 반경 방향으로 작동유가 연통 가능한 제1 포트(17)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포트(17)는, 입력 샤프트 내에 설치된 오일 통로와 제1 유압실 A(후술)와, 터빈(22)과 프론트 커버(11)와의 사이의 공간 내를 연통시키고 있다. 또한, 터빈 허브(32)와 스테이터(23)의 내주부[구체적으로는 원웨이 클러치(37)]와의 사이에는 스러스트 부싱(42)이 배치되어 있다. 이 스러스트 부싱(42)이 배치된 부분에 있어서, 반경 방향 양측에 작동유가 연통 가능한 제2 포트(18)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포트(18)는, 입력 샤프트 및 고정 샤프트의 사이의 오일 통로와 유체 작동실(6)을 연통시키고 있다. 또한, 스테이터(23)[구체적으로는 쉘(35)]와 임펠러(21)[구체적으로는 임펠러 허브(28)]와의 축 방향 사이에는 제2 스러스트 베어링(43)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제2 스러스트 베어링(43)이 배치된 부분에 있어서, 반경 방향 양측에 작동유가 연통 가능한 제3 포트(19)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3 포트(19)는, 고정 샤프트 및 임펠러 허브(28)와의 사이의 오일 통로와 유체 작동실(6)을 연통시키고 있다. 그리고, 각각의 오일 통로는, 도시하지 않은 유압 회로에 접속되어 있고, 독립적으로 제1 ~ 제3 포트(17~19)에 작동유의 공급?배출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록업 장치의 구조]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업 장치(7)는, 터빈(22)과 프론트 커버(11)와의 사이의 공간(9)에 배치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양자를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기구이다. 록업 장치(7)는, 프론트 커버(11)와 터빈(22)과의 축 방향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록업 장치(7)는 전체가 원판형으로 되어 있고, 공간(9)을 대략 축 방향으로 분할하고 있다. 여기서는, 프론트 커버(11)와 록업 장치(7)와의 사이의 공간을 제1 유압실 A라고 하고, 록업 장치(7)와 터빈(22)과의 사이의 공간을 제2 유압실 B라고 한다.
록업 장치(7)는, 클러치 및 탄성 연결 기구의 기능을 가지고, 주로, 피스톤(71)과, 드라이브 플레이트(72)(리테이닝 플레이트)와, 드리븐 플레이트(73)와, 복수 개의 토션 스프링(74a, 74b)[제1 토션 스프링(174), 및 제2 토션 스프링(274)]과, 스프링 홀더(75)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서는, 한쌍의 토션 스프링(74a, 74b), 즉 한쌍의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 및 한쌍의 제2 토션 스프링(274a, 274b)에만,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피스톤(71)은, 클러치 연결?차단을 행하기 위한 부재이며, 또한 탄성 연결 기구로서의 록업 장치(7)에서의 입력 부재로서 기능한다. 피스톤(71)은 중심공이 형성된 원판 형상이다. 피스톤(71)은 공간(9)을 대략 축 방향으로 분할하도록, 공간(9) 내의 반경 전체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피스톤(71)의 내주 에지에는, 축 방향 엔진측으로 연장되는 내주측 통형부(71b)가 형성되어 있다. 내주측 통형부(71b)는 터빈 허브(32)의 엔진측의 외주면에 의해 회전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피스톤(71)은, 트랜스미션측의 터빈 허브(32)에 맞닿음으로써, 축 방향 트랜스미션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있다.
또한, 터빈 허브(32)의 엔진측의 외주면에는 내주측 통형부(71b)의 내주면에 맞닿는 환형의 밀봉링(32b)이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피스톤(71)의 내주 에지에 있어서 축 방향의 실링이 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71)의 외주측에는 마찰 연결부(71c)가 형성되어 있다. 마찰 연결부(71c)는, 반경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환형 부분이며, 축 방향 양면이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면으로 되어 있는 평면 형상이다. 마찰 연결부(71c)의 축 방향 엔진측에는 환형의 마찰 페이싱(76)이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피스톤(71)과 프론트 커버(11)의 평탄한 마찰면에 의해, 록업 장치(7)의 클러치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피스톤(71)의 외주 에지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부 등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드라이브 플레이트(72)는, 피스톤(71)의 외주부의 축 방향 트랜스미션측에 배치되어 있다. 드라이브 플레이트(72)는 금속판제의 환형의 부재이다. 드라이브 플레이트(72)는, 고정부(72a)와, 그로부터 외주측으로 연장되는 토크 전달부(72b)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부(72a)는 피스톤(71)의 축 방향 트랜스미션측 면에 맞닿고, 복수의 코킹(caulking)(71d)에 의해 피스톤(71)에 고정되어 있다. 토크 전달부(72b)는 고정부(72a)로부터 외주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토크 전달부(72b)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축 방향 트랜스미션측에 볼록부로 되도록 원활하게 만곡되고, 다음에, 축 방향 엔진측에 볼록부로 되도록 원활하게 만곡되고, 또한 축 방향 트랜스미션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72a)의 외주부 축 방향 트랜스미션측에는, 복수 개의 걸어맞춤부(72e)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부(72e)는, 다른 부분보다 축 방향 트랜스미션측으로 돌출된 부분이다.
복수 개의 토크 전달부(72b)의 회전 방향 사이는 각각이 스프링 수용부(72d)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스프링 수용부(72d)는 4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도 3에서는, 1개소의 스프링 수용부(72d)에만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스프링 수용부(72d) 내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일 스프링인 토션 스프링(74a, 74b)이 수용되어 있다. 토션 스프링(74a, 74b)은, 입력 부재인 피스톤(71)과, 출력 부재인 드리븐 플레이트(73)와 회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부재이다. 토션 스프링(74a, 74b)은,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 및 제2 토션 스프링(274a, 274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각 스프링 수용부(72d)에는, 한 쌍의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이 회전 방향으로 직렬로 작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1 토션 스프링(274a, 274b) 각각의 토션 강성이 서로 동일하게 되도록, 제1 토션 스프링(274a, 274b)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서는, 전체로 합계 8개의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이 사용되고 있다.
각 스프링 수용부(72d)에 배치된 한 쌍의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 각각의 내주부에는, 제2 토션 스프링(274a, 274b)이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토션 스프링(274a, 274b)은,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의 내주부에 있어서 회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전체에서는, 합계 8개의 제2 토션 스프링(274a, 274b)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여기서는, 각 스프링 수용부(72d)에 있어서, 회전 방향 R1측의 토션 스프링의 부호를, 「74a」, 「174a」, 및 「274a」라고 하고, 회전 방향 R2측의 토션 스프링의 부호를, 「74b」, 「174b」, 및 「274b」라고 하고 있다.
또한, 제2 토션 스프링(274a, 274b)의 길이가,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의 길이보다 짧아지도록, 제2 토션 스프링(274a, 274b)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2 토션 스프링(274a, 274b) 각각의 길이가 동일하게 되도록, 제2 토션 스프링(274a, 274b)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쌍의 제2 토션 스프링(274a, 274b) 중 어느 한쪽의 토션 강성과, 각 쌍의 제2 토션 스프링(274a, 274b) 중 어느 다른 쪽의 토션 강성이 서로 상이하도록, 제2 토션 스프링(274a, 274b)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회전 방향 R1측의 제2 토션 스프링(274a)의 토션 강성이, 회전 방향 R2측의 제2 토션 스프링(274b)의 토션 강성보다 작아지도록, 제2 토션 스프링(274a, 274b)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제1 토션 스프링(174a) 및 제2 토션 스프링(274a)으로 구성되는 1조의 토션 스프링은, 회전 방향으로 병렬로 작용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제1 토션 스프링(174b) 및 제2 토션 스프링(274b)으로 구성되는 1조의 토션 스프링은, 회전 방향으로 병렬로 작용한다. 그리고, 이들 2조의 토션 스프링은, 각각이 회전 방향으로 직렬로 작용한다.
드리븐 플레이트(73)는, 토션 스프링(74a, 74b)으로부터의 토크를 터빈(22)에 전달하기 위한 부재이다. 드리븐 플레이트(73)는, 터빈(22)의 터빈 쉘(30)의 외주측에 설치된다. 드리븐 플레이트(73)는, 주로, 장착부(73a)와, 복수 개의 클로우(73b)로 구성되어 있다. 장착부(73a)는,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터빈 쉘(30)에 고정되어 있다. 복수 개의 클로우(73b)는, 장착부(73a)의 외주 에지로부터 축 방향 엔진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클로우(73b)는, 드리븐 플레이트(72)의 토크 전달부(72b)에 대향하고 있고, 축 방향 엔진측에 볼록부로 되도록 만곡된 토크 전달부(72b)에 축 방향 트랜스미션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클로우(73b)는, 각 스프링 수용부(72d)에 배치된 한 쌍의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의 회전 방향 양단에 맞닿아 있다.
또한, 드리븐 플레이트(73)에는, 스토퍼 클로우(73b)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클로우(73b)는, 장착부(73a)의 내주 에지로부터 축 방향 엔진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스토퍼 클로우(73b)는, 인접하는 드라이브 플레이트(72)의 걸어맞춤부(72e)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드라이브 플레이트(72)와 드리븐 플레이트(73)와의 상대 회전이 커지고, 스토퍼 클로우(73b)가 회전 방향 중 어딘가의 걸어맞춤부(72e)에 맞닿으면, 토션 스프링(74a, 74b)[174a, 174b, 274a, 274b]의 압축 즉 댐퍼 동작은 정지한다. 이와 같이, 드라이브 플레이트(72)의 걸어맞춤부(72e)와 드리븐 플레이트(73)의 스토퍼 클로우(73b)는, 회전 규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부가하자면, 회전 규제 수단은, 드라이브 플레이트(72)의 걸어맞춤부(72e)와, 드리븐 플레이트(73)의 스토퍼 클로우(73b)로 구성되어 있다.
스프링 홀더(75)는, 토션 스프링(74a, 74b)을 서포트하기 위한 서포트 부재이다. 구체적으로는, 스프링 홀더(75)는, 토션 스프링(74a, 74b)을 반경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스프링 홀더(75)는, 피스톤(71) 및 드리븐 플레이트(73)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홀더(75)는, 드라이브 플레이트(72) 및 드리븐 플레이트(73)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 홀더(75)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로, 지지부(175)와 걸어맞춤부(275)를 가지고 있다. 지지부(175)는, 토션 스프링(74a, 74b)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지지부(175)는, 외주측 지지부(175a)와, 내주측 연장부(175b)와, 연결부(측면 지지부)(175c)를 가지고 있다.
외주측 지지부(175a)는, 연결부(175c)의 외주 에지로부터 축 방향 트랜스미션측으로 연장되는 통형의 부분이다. 외주측 지지부(175a)는, 걸어맞춤부(275)로부터 회전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외주단의 곡률이 연속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주측 지지부(175a)는, 외주측 지지부(175a)의 회전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외주단이 평면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을 부가하자면, 외주측 지지부(175a)는, 걸어맞춤부(275)로부터 회전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외주측 지지부(175a)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주측 지지부(175a)의 외주단의 선단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 d가, 연속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측 지지부(175a)를 회전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 외주측 지지부(175a)의 외주단은, 걸어맞춤부(275)로부터 회전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곡률이 연속적으로 작아지게 되어 있다[도 5의 (b) ~ 도 5의 (c) 참조]. 그리고, 외주측 지지부(175a)의 외주단은, 외주측 지지부(175a)의 회전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5의 (d) 참조]. 그리고, 도 5의 (b), 도 5의 (c), 및 도 5의 (d)의 각각은, 도 4의 V2 단면, 도 4의 V3 단면, 도 4의 V4 단면에 대응하고 있다.
이와 같은 외주측 지지부(175a)는,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의 외주측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의 외주측을 지지한다. 또한, 외주측 지지부(175a)는, 드라이브 플레이트(72)의 토크 전달부(72b)의 통형 부분보다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또한 외주측 지지부(175a)는, 드리븐 플레이트(73)의 클로우(73b)보다 더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다.
내주측 연장부(175b)는,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의 내주측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상세하게는, 내주측 연장부(175b)는, 연결부(175c)의 내주 에지로부터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 측을 향해 만곡되고,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의 내주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부가하자면, 내주측 연장부(175b)는, 연결부(175c)의 내주 에지로부터 축 방향 트랜스미션측으로 만곡되고 입력 샤프트 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내주측 연장부(175b)는, 피스톤(71)과 드라이브 플레이트(72)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부가하자면, 내주측 연장부(175b) 즉 스프링 홀더(75)의 내주측은, 피스톤(71)과 드라이브 플레이트(72)에 의해 위치결정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드라이브 플레이트(72)의 엔진측의 돌기(72c)가, 스프링 홀더(75)의 내주면, 예를 들면, 내주측 연장부(175b)의 선단부(175d)에 끼워맞추어져[인롱(印籠) 접합]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스프링 홀더(75)는, 피스톤(71)과 드라이브 플레이트(72)와의 사이에 있어서 위치 결정된다.
연결부(175c)는, 대략 원판형의 부분이며, 피스톤(71)의 마찰 연결부(71c)의 축 방향 트랜스미션측에 맞닿아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175c)는, 피스톤(71)과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과의 축 방향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175c)는, 피스톤(71)과 드라이브 플레이트(72)와의 축 방향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연결부(175c)는, 피스톤(71)의 마찰 연결부(71c)와 드라이브 플레이트(72)의 토크 전달부(72b)와의 축 방향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175c)는, 피스톤(71)과 드리븐 플레이트(73)와의 축 방향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연결부(175c)는, 피스톤(71)과 드리븐 플레이트(73)의 클로우(73b)와의 축 방향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스프링 홀더(75)는, 원심력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토션 스프링(74a, 74b)을 지지할 수 있다.
걸어맞춤부(275)는,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에 회전 방향에서 걸어맞추어지는 부분이다. 걸어맞춤부(275)는, 지지부(175)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부(275)는, 만곡부(275a)와 걸림부(275b, 275c)를 가지고 있다.
만곡부(275a)는, 인접하는 외주측 지지부(175a)와 인접하는 연결부(175c)를 연결하는 부분이다. 만곡부(275a)는, 외주측 지지부(175a) 및 연결부(175c)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275b, 275c)는, 회전 방향에 있어서,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을 거는 부분이다. 걸림부(275b, 275c)는, 만곡부(275a)의 양 단부를 내측으로 절곡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예를 들면, 걸림부(275b)는, 만곡부(275a)의 외주단을 축 방향 엔진측으로 절곡된 클로우 부분이다. 또한, 걸림부(275c)는, 만곡부(275a)의 내주단을 축 방향 트랜스미션측에 잘라세운 클로우 부분이다. 이들 걸림부(275b, 275c)는, 각 스프링 수용부(72d) 내의 한 쌍의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의 회전 방향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프링 홀더(75)는, 종단면에 있어서 축 방향 한쪽이 개방된 C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홀더(75)는, 중간 플로우트 보디(float body)로서 기능하고 있다. 여기서는, 걸어맞춤부(275), 예를 들면, 걸림부(275b, 275c)를 통하여,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으로부터 스프링 홀더(75)로 토크가 전달된다. 그리고, 제2 토션 스프링(274a, 274b)이 압축된 경우,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뿐아니라, 제2 토션 스프링(274a, 274b)로부터도, 스프링 홀더(75)는, 토크 전달을 받는다.
[토크 컨버터의 동작]
엔진 시동 직후에는, 제1 포트(17) 및 제3 포트(19)로부터 토크 컨버터 본체(5) 내에 작동유가 공급되고, 제2 포트(18)로부터 작동유가 배출된다. 제1 포트(17)로부터 공급된 작동유는 제1 유압실 A를 외주측으로 흐르고, 제2 유압실 B를 통과하여 유체 작동실(6) 내로 흘러든다. 그러므로, 제1 유압실 A와 제2 유압실 B와의 유압차(油壓差)에 의해 피스톤(71)은 축 방향 엔진측으로 이동하고 있다. 즉 마찰 페이싱(76)은 프론트 커버(11)로부터 멀어지고, 록업이 해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록업이 해제되어 있을 때는, 프론트 커버(11)와 터빈(22)과의 사이의 토크 전달은, 임펠러(21)와 터빈(22)과의 사이의 유체 구동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록업 장치의 동작]
토크 컨버터(1)의 속도비가 상승하고, 입력 샤프트가 일정한 회전수에 도달하면, 제1 포트(17)로부터 제1 유압실 A의 작동유가 배출된다. 이 결과, 제1 유압실 A와 제2 유압실 B와의 유압차에 의해, 피스톤(71)이 프론트 커버(11) 측으로 이동되고, 마찰 페이싱(76)이 프론트 커버(11)의 평탄한 마찰면에 가압된다. 이 결과, 프론트 커버(11)의 토크는, 피스톤(71)으로부터, 드라이브 플레이트(72) 및 토션 스프링(74a, 74b)을 통하여, 드리븐 플레이트(73)에 전달된다. 또한, 토크는, 드리븐 플레이트(73)로부터 터빈(22)에 전달된다. 즉, 프론트 커버(11)가 기계적으로 터빈(22)에 연결되고, 프론트 커버(11)의 토크가 터빈(22)을 통하여 직접 입력 샤프트에 출력된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토션 진동이 입력되어 토션 스프링(74a, 74b)이 압축을 반복하려면, 원심력에 의해 토션 스프링(74a, 74b)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스프링 홀더(75)의 외주측 지지부(175a)에 있어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러나, 스프링 홀더(75)는, 토션 스프링(74a, 74b)과 함께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는 부재이므로, 양 부재 사이에서의 슬라이드 이동 저항은 대폭 저감되어, 토션 진동 감쇠 성능은 충분히 발휘된다.
[록업 장치의 토션 진동 감쇠 특성]
전술한 록업 연결 상태에 있어서, 록업 장치(7)는, 토크를 전달하고, 또한 프론트 커버(11)로부터 입력되는 토션 진동을 흡수?감쇠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론트 커버(11)로부터 록업 장치(7)에 토션 진동이 입력되고, 드라이브 플레이트(72)와 드리븐 플레이트(73)와의 사이의 토션 각도 θ가 생기면,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이, 드라이브 플레이트(72)와 드리븐 플레이트(73)와의 사이에서 회전 방향으로 압축된다. 이 상태를, 제1 압축 상태 J1이라고 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은, 드라이브 플레이트(72)의 토크 전달부(72b)와 드리븐 플레이트(73)의 클로우(73b) 와의 사이에서 회전 방향으로 압축된다. 이 때, 스프링 홀더(75)는, 토션 스프링(74a, 74b)에 의해 압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드라이브 플레이트(72) 및 드리븐 플레이트(73)와 상대 회전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토션 각도 θ가 커지면, 각 쌍의 2개의 제2 토션 스프링(274a, 274b)이, 드라이브 플레이트(72)와 드리븐 플레이트(73)에 맞닿는다. 이 상태가, 도 6에서의 제1 굴곡점 P1에 상당한다. 그러면, 각 쌍의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 및 각 쌍의 제2 토션 스프링(274a, 274b)이, 드라이브 플레이트(72)와 드리븐 플레이트(73)와의 사이에서 회전 방향으로 압축된다. 이 상태를, 제2 압축 상태 J2라고 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 및 제2 토션 스프링(274a, 274b)은, 드라이브 플레이트(72)의 토크 전달부(72b)와 드리븐 플레이트(73)의 클로우(73b)와의 사이에서 회전 방향으로 압축된다. 이 때, 스프링 홀더(75)는, 토션 스프링(74a, 74b)에 의해 압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드라이브 플레이트(72) 및 드리븐 플레이트(73)와 상대 회전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토션 각도 θ가 더 커지면, 각 쌍의 2개의 제2 토션 스프링(274a, 274b) 중 어느 한쪽, 즉 토션 강성이 낮은 쪽의 제2 토션 스프링(274a)이, 선간 밀착된다. 이 상태가, 도 6에서의 제2 굴곡점 P2에 상당한다. 여기서, 토션 강성이 낮은 쪽의 제2 토션 스프링(274a)이, 선간 밀착하면, 선간 밀착된 제2 토션 스프링(274a)뿐아니라, 이 제2 토션 스프링(274a)을 내주부에 가지는 제1 토션 스프링(174a)도 압축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면, 각 쌍의 2개의 제2 토션 스프링(274a, 274b) 중 어느 다른 쪽, 즉 토션 강성이 높은 쪽의 제2 토션 스프링(274b)과, 이 제2 토션 스프링(274b)을 내주부에 가지는 각 쌍의 제1 토션 스프링(174b)이, 드라이브 플레이트(72)와 드리븐 플레이트(73)와의 사이에서 회전 방향으로 압축된다. 이 상태를, 제3 압축 상태 J3라고 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토션 스프링(174b) 및 제2 토션 스프링(274b)은, 드라이브 플레이트(72)의 토크 전달부(72b)와 드리븐 플레이트(73)의 클로우(73b)와의 사이에서 회전 방향으로 압축된다. 이 때, 스프링 홀더(75)는, 토션 스프링(74a, 74b)에 의해 압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드라이브 플레이트(72) 및 드리븐 플레이트(73)와 상대 회전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토션 각도 θ가 더 커지면, 최종적으로는, 드리븐 플레이트(73)의 스토퍼 클로우(73b)가, 드라이브 플레이트(72)의 걸어맞춤부(72e)에 맞닿는다. 이 상태가, 도 6에서의 제3 굴곡점 P3의 상태에 상당한다. 그러면, 동작 중인 각 쌍의 제1 토션 스프링(174b)과, 동작 중인 각 쌍의 제2 토션 스프링(274b)과의 압축이 정지한다. 이 상태를, 압축 정지 상태 P3라고 한다. 즉, 토션 스프링(74a, 74b)[174a, 174b, 274a, 274b]의 댐퍼 동작이 정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74a, 74b)[174a, 174b, 274a, 274b]이 동작하는 경우의 토션 특성을, 이하에 설명한다. 그리고,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여기서는, 한쌍의 토션 스프링(74a, 74b)[174a, 174b, 274a, 274b]의 토션 특성을 이용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압축 상태 J1에서는, 직렬로 배치된 2개의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의 토션 강성 N11[=1/{(1/K1+1/K1)}= 1/(2/K1)]이 시스템의 토션 강성 N1으로서 설정된다. 그러면, 이 시스템의 토션 강성 N1에 기초하여, 토션 특성의 제1 기울기 D1이 설정된다. 다음에, 제2 압축 상태 J2에서는, 병렬로 배치된 1조의 제1 토션 스프링(174a) 및 제2 토션 스프링(274a)의 토션 강성 N21(=K1+K2)과, 병렬로 배치된 다른 1조의 제1 토션 스프링(174b) 및 제2 토션 스프링(274b)의 토션 강성 N22(=K1+K2';K2<K2')와의 합성에 의해, 시스템의 토션 강성 N2(=1/(1/N21+1/N22)= 1/〔1/{1/(K1+K2)}+1/{1/(K1+K2')}〕)가 설정된다. 그러면, 이 시스템의 토션 강성 N2에 기초하여, 토션 특성의 제2 기울기 D2가 설정된다. 이어서, 제2 토션 스프링(274a)이 선간 밀착되고, 제2 압축 상태 J2로부터 제3 압축 상태 J3로 이행하면, 병렬로 배치된 1조의 제1 토션 스프링(174b) 및 제2 토션 스프링(274b)의 토션 강성 N33(= K1+K2')이, 시스템의 토션 강성 N3로서 설정된다. 그러면, 이 시스템의 토션 강성 N3에 기초하여, 토션 특성의 제3 기울기 D3가 설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트리리니어형의 토션 특성이 설정된다.
마지막으로, 제3 압축 상태 J3로부터 압축 정지 상태 P3로 이행하면, 토션 특성의 토션 각도 θ는 최대 토션 각도 θ에 달한다. 토션 각도 θ가 최대 토션 각도 θ에 달했을 때의 토크는, 토션 특성에서의 최대 토크로 된다.
여기에 나타낸 토션 특성은, 한쌍의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 및 이들 한쌍의 제1 토션 스프링의 내주부에 배치되는 한쌍의 제2 토션 스프링(274a, 274b)의 토션 특성이다. 그러므로, 록업 장치(7) 전체로서의 토션 특성, 즉 복수 쌍의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 및 복수 쌍의 제2 토션 스프링(274a, 274b)의 토션 특성은, 여기에 나타낸 토션 특성으로 설정된다.
[토션 진동 감쇠 특성의 유리한 효과]
본 록업 장치(7)에서는, 토션 특성을, 다단, 즉 트리리니어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토션 특성을 트리리니어형으로 설정함으로써, 토션 각도 θ에 따라 변화하는 토션 강성 N1, N2, N3를 급격하게 변경시키지 않고, 서서히 커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특히, 1단째의 토션 강성 N1을 작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토션 각도 θ가 작은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록업 장치(7)에서는, 토션 특성을 트리리니어형으로 설정함으로써, 토션 특성을 바이리니어형으로 설정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토션 강성의 비, 예를 들면, 제1 토션 강성에 대한 제2 토션 강성의 비(N2/N1), 및 제2 토션 강성에 대한 제3 토션 강성(N3/N2)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토션 특성에서의 각 굴곡점을 넘을 때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록업 장치(7)에서는, 각 쌍의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 중 어느 한쪽의 제1 토션 스프링과, 이 제1 토션 스프링의 내주부에 배치된 제2 토션 스프링(274a, 274b)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토션 스프링을 압축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3단째의 토션 강성을 형성하므로, 록업 장치의 크기를 변경하지 않고, 트리리니어형의 토션 특성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록업 장치(7)에서는, 각 쌍의 한쪽의 제2 토션 스프링(274a, 274b)의 선간 밀착에 의해, 트리리니어형의 토션 특성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록업 장치(7)에서는,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 및 제2 토션 스프링(274a, 274b)의 형상(토션 스프링의 전체 길이나 선간 거리 등)과,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 및 제2 토션 스프링(274a, 274b)의 토션 강성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트리리니어형의 토션 특성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록업 장치(7)에서는, 복수 개의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 각각의 토션 강성을 동일하게 설정하고, 복수 개의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 각각의 내주부에 배치된 제2 토션 스프링(274a, 274b)의 토션 강성을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의 토션 강성보다 작게 설정함으로써, 제2 토션 스프링(274a, 274b)이 토션 특성에 기여했을 때의 토션 강성을 확실하게 변경할 수 있다. 즉, 토션 강성이 급격하게 변화하지 않는 다단 특성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록업 장치(7)에서는, 회전 규제 수단(72e, 73c)에 의해, 3단째의 토션 특성의 상한이 설정된다. 이와 같이, 회전 규제 수단(72e, 73c)에 의해 3단째의 토션 특성의 상한을 설정함으로써, 토션 각도 θ가 소정의 크기 이상으로 되었을 때, 토크를, 입력측으로부터 출력측으로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스프링 홀더의 유리한 효과]
본 스프링 홀더(75)에서는, 외주측 지지부(175a)의 외주단이 걸어맞춤부로부터 회전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외주측 지지부(175a)의 외주단의 곡률이 연속적으로 작아지게 되어 있으므로, 원심력의 발생에 따라 스프링 홀더(75)에 발생할 수 있는 응력 집중을 저감할 수 있다. 특히, 외주측 지지부(175a)의 회전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는, 외주측 지지부(175a)의 외주단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원심력의 발생에 따라 스프링 홀더(75)에 발생할 수 있는 응력 집중을 확실하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스프링 홀더(75)에서는, 스프링 홀더(75)의 외주측 지지부(175a)의 외주단의 곡률이 작은 부분이나, 외주측 지지부(175a)의 회전 방향 중앙부의 평면 부분으로부터, 록업 장치(7)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스프링 홀더(75)에서는, 연결부(175c)가, 피스톤(71)과 토션 스프링(74a, 74b)과의 축 방향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연결부(175c)가 쉽게 좌굴되지 않아, 스프링 홀더(75)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스프링 홀더(75)에서는, 내주측 연장부(175b)가, 연결부(175c)로부터 토션 스프링(74a, 74b) 측을 향해 만곡된 부분에 의해, 쉽게 좌굴되지 않아, 스프링 홀더(75)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주측 연장부(175b)는, 토션 스프링(74a, 74b)의 내주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스프링 홀더(75)의 반경 방향의 휨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스프링 홀더(75)에서는, 스프링 홀더(75)의 걸어맞춤부(275)에는, 만곡부(275a)의 양 단부를 내측으로 절곡한 걸림부(275b, 275c)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걸림부(275b, 275c)를 토션 스프링(74a, 74b)에 확실하게 거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걸림부(275b, 275c)는, 만곡부(275a)의 양 단부를 내측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므로, 걸림부(275b, 275c)가 쉽게 좌굴되지 않아, 스프링 홀더(75)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걸림부(275b, 275c)의 반경 방향의 휨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2 토션 스프링(274a)의 선간 밀착에 의해, 제2 압축 상태 J2로부터 제3 압축 상태 J3로 이행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냈으나, 이와 같은 압축 상태의 이행은,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의 선간 밀착에 의해서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쌍을 이루는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 중 어느 한쪽의 토션 강성과, 쌍을 이루는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 중 어느 다른 쪽의 토션 강성을, 상이한 강성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제2 압축 상태 J2에 있어서, 쌍을 이루는 제1 토션 스프링(174a, 174b) 중 어느 한쪽에 선간 밀착을 발생시킴으로써, 압축 상태를, 제2 압축 상태 J2로부터 제3 압축 상태 J3로 이행할 수 있다. 즉, 토션 특성의 제3 기울기 D3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도, 트리리니어형의 토션 특성을 설정할 수 있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토크를 전달하고, 또한 토션 진동을 흡수?감쇠하기 위한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7: 록업 장치
71: 피스톤
72: 드라이브 플레이트
73: 드리븐 플레이트
74, 74a, 74b: 토션 스프링
174, 174a, 174b: 제1 토션 스프링
274, 274a, 274b: 제2 토션 스프링
75: 스프링 홀더
175: 지지부
175a: 외주측 지지부
175c: 측면 지지부
175b: 내주측 연장부
275: 걸어맞춤부
275a: 만곡부
275b, 275c: 걸림부
72e, 73c: 회전 규제 수단
D1: 토션 특성의 제1 기울기
D2: 토션 특성의 제2 기울기
D3: 토션 특성의 제3 기울기

Claims (10)

  1. 토크를 전달하고, 또한 토션(torsion) 진동을 흡수?감쇠(減衰)하기 위한 토크 컨버터의 록업(lockup) 장치로서,
    입력 회전 부재;
    출력 회전 부재;
    상기 입력 회전 부재와 상기 출력 회전 부재를 회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탄성 부재;
    상기 탄성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 부재에 회전 방향으로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상기 입력 회전 부재와 상기 출력 회전 부재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서포트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탄성 부재의 외주측을 지지하는 외주측 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외주측 지지부의 외주단은, 회전 방향으로 상기 걸어맞춤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곡률이 연속적으로 작아지게 되어 있는,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측 지지부의 외주단은, 상기 외주측 지지부의 회전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탄성 부재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를 더 가지고, 상기 측면 지지부는, 상기 입력 회전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탄성 부재의 내주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주측 연장부를 더 가지고, 상기 내주측 연장부는, 상기 측면 지지부로부터 상기 탄성 부재측을 향해 만곡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내주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는, 만곡부와,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에 걸려 상기 만곡부의 양 단부를 내측으로 절곡한 걸림부를 가지고 있는,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입력 회전 부재와 상기 출력 회전 부재와의 상대 회전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압축되는 복수 쌍의 제1 코일 스프링과, 길이가 상기 제1 코일 스프링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제1 코일 스프링의 내주부에 배치되는 제2 코일 스프링을 가지고,
    각 쌍의 상기 제1 코일 스프링은, 서로가 직렬로 배치되고,
    각 쌍의 상기 제1 코일 스프링 및 각 쌍의 상기 제2 코일 스프링이 압축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각 쌍의 상기 제1 코일 스프링 중 어느 한쪽의 상기 제1 코일 스프링과, 상기 어느 한쪽의 상기 제1 코일 스프링의 내주부에 배치된 상기 제2 코일 스프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코일 스프링을 압축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압축 가능한 상기 제1 코일 스프링 및 상기 제2 코일 스프링의 토션 강성(剛性)에 따라 토션 진동을 흡수?감쇠하는,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각 쌍의 상기 제1 코일 스프링 중 어느 한쪽의 상기 제1 코일 스프링과, 상기 어느 한쪽의 상기 제1 코일 스프링의 내주부에 배치된 상기 제2 코일 스프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코일 스프링을 선간(線間)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어느 한쪽의 상기 제1 코일 스프링, 및 상기 어느 한쪽의 상기 제1 코일 스프링의 내주부에 배치된 상기 제2 코일 스프링을 압축 불가능하게 하는,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각 쌍의 상기 제2 코일 스프링은, 서로의 길이가 같으며,
    각 쌍의 상기 제2 코일 스프링 중 어느 한쪽과, 각 쌍의 상기 제2 코일 스프링 중 어느 다른 쪽은 토션 강성이 서로 다르고,
    각 쌍의 상기 제2 코일 스프링 중 어느 한쪽을 선간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어느 한쪽의 상기 제1 코일 스프링, 및 상기 어느 한쪽의 상기 제1 코일 스프링의 내주부에 배치된 상기 제2 코일 스프링을 압축 불가능하게 하는,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각 쌍의 상기 제1 코일 스프링 각각은, 토션 강성이 서로 같으며,
    각 쌍의 상기 제2 코일 스프링 각각은, 토션 강성이 상기 제1 코일 스프링의 토션 강성보다 작은,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회전 부재와 상기 출력 회전 부재와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회전 규제 수단을 더 포함하는,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
KR1020127022021A 2010-02-26 2011-02-02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 KR1016604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41295A JP4791582B2 (ja) 2010-02-26 2010-02-26 トルクコンバータ用のロックアップ装置
JPJP-P-2010-041294 2010-02-26
JP2010041294A JP5106555B2 (ja) 2010-02-26 2010-02-26 トルクコンバータ用のロックアップ装置
JPJP-P-2010-041295 2010-02-26
PCT/JP2011/052148 WO2011105182A1 (ja) 2010-02-26 2011-02-02 トルクコンバータ用のロックアップ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0396A Division KR20140141698A (ko) 2010-02-26 2011-02-02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
KR1020167025813A Division KR101698014B1 (ko) 2010-02-26 2011-02-02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899A true KR20120117899A (ko) 2012-10-24
KR101660478B1 KR101660478B1 (ko) 2016-09-27

Family

ID=4450660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021A KR101660478B1 (ko) 2010-02-26 2011-02-02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
KR1020167025813A KR101698014B1 (ko) 2010-02-26 2011-02-02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
KR1020147030396A KR20140141698A (ko) 2010-02-26 2011-02-02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5813A KR101698014B1 (ko) 2010-02-26 2011-02-02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
KR1020147030396A KR20140141698A (ko) 2010-02-26 2011-02-02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52685B2 (ko)
KR (3) KR101660478B1 (ko)
CN (1) CN102782366B (ko)
DE (1) DE112011100683B9 (ko)
WO (1) WO20111051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36459B2 (en) 2013-05-16 2018-07-31 Exedy Corporation Lock-up device for torque conver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02719B1 (ja) * 2011-12-05 2013-06-05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装置
JP5632444B2 (ja) * 2012-11-27 2014-11-26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ロックアップ装置
JP5555784B1 (ja) * 2013-02-26 2014-07-23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ダイナミックダンパ装置
JP5684846B2 (ja) 2013-03-21 2015-03-18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装置
DE102014214553A1 (de) * 2013-08-06 2015-02-12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Deckelbaugruppe für einen Drehmomentwandler, die eine Antriebsplatte mit einem elastischen Vorspannungselement aufweist
US9732825B2 (en) 2014-04-25 2017-08-15 Valeo Embrayages Driven plate with intermediate plate centering guide
US10054207B2 (en) * 2015-11-19 2018-08-21 Valeo Embrayages Torque converter for a motor vehicle
JP2017166585A (ja) * 2016-03-16 2017-09-21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ダンパ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0949A (ja) * 2000-08-31 2002-03-08 Exedy Corp 弾性連結機構及び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装置
JP2002089657A (ja) 2000-09-13 2002-03-27 Exedy Corp 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装置
JP2002106639A (ja) * 2000-09-29 2002-04-10 Exedy Corp ダンパー機構
WO2006114236A1 (de) * 2005-04-27 2006-11-02 Daimlerchrysler Ag Hydrodynamischer drehmomentwandler mit einer überbrückungskupplung und einem torsionsdämpfer
JP2007247722A (ja) * 2006-03-14 2007-09-27 Exedy Corp 流体式トルク伝達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ロックアップ装置
JP2008138797A (ja) 2006-12-04 2008-06-19 Exedy Corp ロ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流体式トルク伝達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9002551A1 (en) * 1987-09-11 1989-03-23 Kabushiki Kaisha Daikin Seisakusho Lockup damper for torque converters
JPH05296290A (ja) * 1992-04-17 1993-11-09 Aisin Seiki Co Ltd 捩じり振動緩衝装置
CN1062814C (zh) * 1993-09-17 2001-03-07 卢克驱动系统有限公司 用于带变扭器的机动车的转矩传递系统
JP3618158B2 (ja) * 1995-12-08 2005-02-09 Nskワーナー株式会社 トルクコンバータ用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のスプリングダンパー装置
US5941354A (en) * 1996-11-26 1999-08-24 Exedy Corporation Lockup damper of torque converter
JP3745904B2 (ja) * 1998-08-27 2006-02-15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装置
DE19902191A1 (de) * 1999-01-21 2000-07-27 Mannesmann Sachs Ag Überbrückungskupplung für einen Drehmomentwandler
JP2000310282A (ja) * 1999-04-23 2000-11-07 Exedy Corp 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
DE10024191B4 (de) * 1999-05-21 2012-06-28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Drehmomentübertragungseinrichtung
DE10123615B4 (de) * 2000-05-26 2015-11-19 Exedy Corp. Drehmomentwandler mit Überbrückungskupplung
JP2005282688A (ja) * 2004-03-29 2005-10-13 Mazda Motor Corp 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付き流体伝動装置
DE102005034338A1 (de) * 2005-07-22 2007-01-25 Zf Friedrichshafen Ag Torsionsschwingungsdämpfer
US7784595B2 (en) * 2006-02-13 2010-08-31 Borgwarner Inc. Integrated clutch assembly damper arrangemen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0949A (ja) * 2000-08-31 2002-03-08 Exedy Corp 弾性連結機構及び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装置
JP2002089657A (ja) 2000-09-13 2002-03-27 Exedy Corp 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装置
JP2002106639A (ja) * 2000-09-29 2002-04-10 Exedy Corp ダンパー機構
WO2006114236A1 (de) * 2005-04-27 2006-11-02 Daimlerchrysler Ag Hydrodynamischer drehmomentwandler mit einer überbrückungskupplung und einem torsionsdämpfer
JP2007247722A (ja) * 2006-03-14 2007-09-27 Exedy Corp 流体式トルク伝達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ロックアップ装置
JP2008138797A (ja) 2006-12-04 2008-06-19 Exedy Corp ロ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流体式トルク伝達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36459B2 (en) 2013-05-16 2018-07-31 Exedy Corporation Lock-up device for torque conver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8014B1 (ko) 2017-01-19
CN102782366B (zh) 2015-05-20
KR101660478B1 (ko) 2016-09-27
DE112011100683B9 (de) 2021-04-15
US8752685B2 (en) 2014-06-17
KR20160114187A (ko) 2016-10-04
KR20140141698A (ko) 2014-12-10
WO2011105182A1 (ja) 2011-09-01
DE112011100683T5 (de) 2013-02-21
US20120292150A1 (en) 2012-11-22
DE112011100683B4 (de) 2021-02-25
CN102782366A (zh) 201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5377B2 (ja) トルクコンバータ用のロックアップ装置
KR20120117899A (ko)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
JP5408096B2 (ja) 流体伝動装置
JP5531728B2 (ja) 流体伝動装置
JP4755277B2 (ja) トルクコンバータ用ロックアップ装置
JP4773553B2 (ja) トルクコンバータ用ロックアップ装置
KR20170002387A (ko) 유체식 동력 전달 장치
JP2011122622A (ja) トルクコンバータ用ロックアップ装置
JP5585360B2 (ja) 流体伝動装置
JP4949503B2 (ja) トルクコンバータ用のロックアップ装置
JP5632444B2 (ja) ロックアップ装置
US6106400A (en)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ends of elastic members in a damper mechanism
JP4791582B2 (ja) トルクコンバータ用のロックアップ装置
JP5684846B2 (ja) 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装置
JP2011252584A (ja) トルクコンバータ用のロックアップ装置
JP5106555B2 (ja) トルクコンバータ用のロックアップ装置
JP4522220B2 (ja) 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
JP3517971B2 (ja) 流体伝動装置
JP2013072539A (ja) トルク変動吸収装置
JP7199824B2 (ja) トルクコンバータ振動吸収装置
JP6581027B2 (ja) ロックアップ装置
JPH0849757A (ja) 流体伝動装置
JP2000074174A (ja) トルクコンバータ
JP2006177418A (ja) 流体式トルク伝達装置のロックアップ装置
JP2000074179A (ja) トルクコンバ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029

Effective date: 201602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