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7610A - 스마트 단말기에서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단말기에서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를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7610A
KR20120117610A KR1020110072415A KR20110072415A KR20120117610A KR 20120117610 A KR20120117610 A KR 20120117610A KR 1020110072415 A KR1020110072415 A KR 1020110072415A KR 20110072415 A KR20110072415 A KR 20110072415A KR 20120117610 A KR20120117610 A KR 20120117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 answer
data
input
learning
corr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수
Original Assignee
(주)블루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핀 filed Critical (주)블루핀
Priority to KR1020120020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7633A/ko
Priority to PCT/KR2012/001542 priority patent/WO2012141426A2/ko
Publication of KR20120117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6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기에서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학습하고, 상기 학습된 결과에 대한 평가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 문제데이터 및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한 정답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문제데이터의 형식에 따른 정답입력창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문제데이터 및 정답데이터를 포함하는 문제세트를 생성하고,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답입력창을 생성하며, 상기 정답입력창으로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좌표값을 감지하는 학습평가 제어부; 및 문제데이터 및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답입력창을 출력하고, 상기 정답입력창으로 입력되는 입력값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단말기에서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를 위한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studying and evaluating using e-learning application in smart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기에서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학습하고, 상기 학습 내용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은 2가지 형태를 띠고 있다.
첫째, 각 문제를 정해진 형식에 맞추어 별도의 문제데이터로 생성하여 문제은행에 저장 및 관리하고 어플리케이션에서는 문제은행에 저장된 문제데이터들로 구성된 시험지를 다운받아 보여준다. 이 경우 문제를 전부 새롭게 입력해야 하며, 정해진 형식을 벗어나는 문제들은 지원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둘째, 서책 상에서 문제 및 보기항목에 대하여 각각 이벤트 영역을 지정하여 사용자가 정답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객관식 문제의 경우 문제 및 상기 문제에 해당하는 보기항목 각각의 이벤트 영역에 대한 좌표값을 갖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선택 받은 위치의 좌표값과 보기항목의 좌표값을 비교하여 정답을 인식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문제마다 다수의 좌표값을 갖도록 지정해주는 방식은 글자크기 및 문제 위치에 따라 좌표값이 변경되게 된다. 또한 이로 인해 개발기간 및 비용적 소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기에서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학습하고, 상기 학습된 내용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 문제데이터 및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한 정답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문제데이터의 형식에 따른 정답입력창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문제데이터 및 정답데이터를 포함하는 문제세트를 생성하고,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답입력창을 생성하며, 상기 정답입력창으로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좌표값을 감지하는 학습평가 제어부; 및 문제데이터 및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답입력창을 출력하고, 상기 정답입력창으로 입력되는 입력값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학습평가 제어부는 저장부에 저장되어있는 문제데이터와 정답데이터를 리드하여 문제세트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문제세트가 배치될 영역정보를 확인하고, 문제데이터 출력 위치 및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답입력창의 출력 위치를 결정하는 배열부; 상기 문제세트에 대한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정보에 따라 문제데이터 및 정답데이터를 식별하는 식별부;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답데이터의 입력 좌표값을 확인하는 입력 감지부; 및 상기 문제세트에 포함된 문제데이터와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답입력창을 출력하는 출력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학습평가 제어부는 상기 문제데이터에 따라 입력되는 정답데이터의 정답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정답여부에 대한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학습평가 제어부는 상기 문제데이터에 따른 정답데이터를 채점하고, 상기 채점결과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산출된 채점결과에 따른 이미지를 출력하는 결과 처리부; 상기 저장부는 상기 문제데이터와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답데이터 및 상기 정답데이터 형식에 따른 정답입력창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제세트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정답데이터가 특수문자이면, 상기 특수문자에 대응되는 아이템 번호(enum type)로 선언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학습평가 제어부는 상기 문제데이터가 객관식이면, 상기 정답입력창의 위치를 화면의 크기나 문제 배열 방식에 따라 x축 또는 y축을 유동적인 좌표값으로 설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에 저장되어있는 문제데이터와 정답데이터를 리드하여 문제세트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문제세트가 배치될 영역정보를 확인하고, 문제데이터 출력 위치 및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답입력창의 출력 위치를 결정하는 배열부; 상기 문제세트에 대한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정보에 따라 문제데이터 및 정답데이터를 식별하는 식별부;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답데이터의 입력 좌표값을 확인하는 입력 감지부; 및 상기 문제세트에 포함된 문제데이터와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답입력창을 출력하는 출력제어부; 상기 문제데이터에 따른 정답데이터를 채점하고, 상기 채점결과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산출된 채점결과에 따른 이미지를 출력하는 결과 처리부;를 포함한다.
객관식 문제데이터에 대한 학습 방법에 있어서, 문제데이터에 해당하는 정답입력란의 선택신호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답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정답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복수개의 보기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정답데이터로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정답데이터를 상기 정답입력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정답데이터를 입력은 상기 정답입력창에서 적어도 하나의 보기항목과 입력버튼의 선택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정답입력창에서 보기항목 중 선택 받은 적어도 하나의 정답데이터는 하이라이트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정답입력란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답데이터에 대해 선택신호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정답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정답입력창에서 기 입력된 정답데이터를 재입력 받는 단계; 상기 기 입력된 정답데이터를 해제하는 단계; 변경할 정답데이터를 입력 받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답입력란이 복수개이면, 선택신호가 입력되는 정답입력란을 감지하는 단계; 정답데이터를 입력 받기 위한 정답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정답입력창의 보기항목 중 하나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 받은 정답데이터를 상기 선택신호가 입력된 정답입력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주관식 문제데이터에 대한 학습 방법에 있어서, 문제데이터에 해당하는 정답입력란의 선택 신호를 입력 받는 단계; 텍스트를 입력 받기 위한 키패드를 화면의 소정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키패드를 통해 텍스트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텍스트를 상기 정답입력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정답입력란에 입력될 텍스트의 입력 정보를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정답입력란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정답입력란 각각에 대한 선택신호를 입력 받아 텍스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정답입력란에 입력될 텍스트가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복수개인 경우 띄어쓰기 또는 특수문자를 제외한 텍스트를 순차적으로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정답입력란에 입력 가능한 텍스트의 글자수를 초과하면, 상기 초과되어 입력되는 텍스트는 말 줄임표를 표시하거나, 글자수 초과를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디스플레하고, 상기 텍스트를 재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정답입력란에 입력될 정답데이터가 복수인 경우 각 정답항목을 띄어쓰기 또는 문장부호로 상기 정답항목을 구분할 수 있다.
문제데이터에 포함되는 그리기 아이콘의 선택신호를 입력 받는 단계; 그리기 모드에 해당하는 그리기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그리기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는 단계; 상기 문제데이터의 정답입력란에 정답데이터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 받은 정답데이터를 정답입력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문제데이터에 따라 입력된 정답데이터의 정답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채점아이콘의 입력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문제데이터와 동일한 식별자를 가진 정답데이터와 상기 입력된 정답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른 정답데이터의 채점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정답입력란에 입력된 정답데이터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정답데이터가 모두 정답인 경우 해당 항목을 정답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정답입력란에 입력된 정답데이터의 글자수가 정해져 있는 경우 상기 각 글자의 순서 및 개수가 일치하면 상기 정답데이터를 정답처리 할 수 있다.
상기 정답입력란이 복수개인경우 상기 복수개의 정답입력란 각각에 입력된 정답데이터의 정답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정답입력란에 입력된 정답데이터가 서술형 문제데이터의 정답데이터이면,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한 예시 정답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새로운 문제지 생성 없이 기존 서책에 있는 문제들을 최소한의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학습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정답 입력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이러닝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츠의 개발기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스마트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스마트 단말기의 학습평가 제어부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방법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객관식 정답입력을 위한 화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객관식 정답이 한 개인 경우의 정답 입력을 위한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객관식 정답이 하나인 경우 선택된 답을 변경시의 화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객관식 정답이 복수개인 경우의 정답 입력을 위한 화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객관식 정답이 복수개인 경우 선택된 답을 변경 시의 화면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객관식 정답이 복수개인 경우의 정답입력을 위한 화면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객관식 정답이 기호인 경우의 정답 입력을 위한 화면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객관식 정답이 기호인 경우의 정답 입력을 위한 화면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택된 객관식 정답을 변경 시 화면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객관식 정답 입력 시 복수개의 기호가 입력되는 경우의 화면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관식 정답 입력을 위한 화면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글자수가 정해진 주관식 정답 입력을 위한 화면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답이 복수개인 주관식 정답 입력을 위한 화면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서 따라 주관식 정답 입력을 위한 화면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리기 모드의 정답 입력 시 화면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술형 문제의 정답 입력 시 화면 예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술형 문제의 정답이 복수개인 경우의 정답 입력 시 화면 예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된 문제의 채점을 위한 화면 예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답이 한 개일 경우의 채점 결과 화면 예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답이 복수개인 경우의 채점 결과 화면 예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글자수가 정해진 주관식 정답의 채점 결과 화면 예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개의 주관식 정답 채점에 대한 결과 화면 예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술형 문제의 정답 채점 시 화면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스마트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스마트 단말기는 학습평가 제어부(100), 입력부(120), 저장부(140) 및 출력부(160)를 포함한다.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문제데이터 및 정답데이터를 포함하는 문제세트를 생성하고,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답입력창을 생성하며, 상기 정답입력창으로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좌표값을 감지한다.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상기 문제데이터의 형식에 따라 정답입력창의 형태를 결정한다. 상기 문제데이터는 객관식, 주관식, 서술형과 같은 형태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상기 문제데이터에 따른 정답데이터를 채점하고 상기 채점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산출된 채점결과는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입력 신호는 사용자 요청에 의하여 문제데이터를 선택하거나,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답데이터를 입력 받는다.
저장부(140)는 문제데이터 및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한 정답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문제데이터의 형식에 따른 정답입력창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140)는 상기 문제데이터와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답데이터 및 상기 정답데이터 형식에 따른 정답입력창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제세트를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140)는 상기 문제데이터,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답데이터 및 정답입력창에 동일한 식별자를 부여하여 매칭되도록 저장한다.
저장부(140)는 정답데이터를 텍스트, 숫자, 이미지, 특수문자 형태로 저장한다. 특히 특수문자는 상기 특수문자에 대응되는 아이템 번호로 선언하여 저장되도록 한다.
하기의 [표 1]은 상기 저장부에 특수문자 저장 시 선언되는 아이템 번호(enum type)의 예를 나타낸다.
순번 아이템 번호 특수기호 순번 아이템 번호 특수기호
1 1 > 6 6 =!
2 2 < 7 7
3 3 >= 8 8
4 4 <= 9 9
5 5 = 10 10
출력부(160)는 문제데이터 및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답입력창을 출력하고, 상기 정답입력창으로 입력되는 입력값을 출력한다. 또한 출력부(160)는 학습평가 제어부(100)에서 정답데이터의 정답여부를 판단하는 채점결과를 출력한다. 상기 출력부(160)가 터치스크린인 경우 상기 출력부(160)는 입력부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스마트 단말기의 학습평가 제어부의 블록 구성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생성부(101), 배열부(102), 식별부(103), 출력제어부(104), 입력감지부(105), 산출부(106) 및 결과처리부(106)를 포함한다.
생성부(101)는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문제데이터와 정답데이터를 리드(read)하여 문제세트를 생성한다.
상기 문제데이터는 객관식, 주관식, 서술형등과 같은 정답입력 형태 또는 문제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 숫자, 특수문자 등의 포함여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제상에 번호(ex. ①, ②, ③) 또는 기호(ex.ㄱ,ㄴ,ㄷ/가,나,다/a,b,c)가 있는 경우 객관식 문제데이터로 분류될 수 있다.
배열부(102)는 상기 문제세트가 배치될 영역정보를 확인하고, 문제데이터 출력 위치 및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답입력창의 출력 위치를 결정한다. 배열부(102)는 객관식 문제데이터의 답을 선택할 수 있는 정답입력창은 출력부(160) 화면 전체의 x축을 기준으로 가운데로 지정하고, y축은 상기 문제데이터에 따라 지정된 좌표값으로 설정하여 출력되도록 한다. 또는 상기 x축과 상기 y축은 문제데이터의 문장이 끝나는 지점 또는 텍스트가 존재하지 않는 임의 지점 과 같이 화면의 크기나 문제 배열 방식에 따라 유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배열부(102)는 상기 문제 데이터가 주관식 또는 서술형인 경우 상기 주관식 또는 서술형 정답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할 위치를 지정한다. 상기 키패드는 문제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하단에 상기 문제데이터가 가려지지 않는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제데이터가 화면 하단에 있는 경우 상기 키패드가 화면 하단에 나타나면 상기 문제데이터를 포함하는 페이지는 상기 키패드의 높이만큼 위로 이동된 위치에 디스플레이 한다.
식별부(103)는 상기 문제세트에 대한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정보에 따라 문제데이터 및 정답데이터를 식별한다. 식별부(103)는 동일한 식별자를 가진 문제데이터와 정답데이터 및 상기 문제데이터의 형식에 따른 정답입력창을 하나의 문제 세트로 식별자를 설정 및 분류한다.
출력 제어부(104)는 문제세트에 포함되는 문제데이터와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답입력창을 출력부(140)에서 출력한다.
입력 감지부(105)는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답데이터의 입력 좌표값을 확인한다. 입력 감지부(105)는 상기 문제데이터의 형식에 따라 정답데이터 입력을 위한 정답입력창 또는 키패드에서 입력되는 숫자, 기호, 텍스트 등의 입력 좌표값을 확인한다.
산출부(106)는 문제데이터에 따른 정답데이터를 채점하고, 상기 채점결과를 산출한다. 산출부(106)는 문제데이터와 동일한 식별자를 가진 정답데이터를 리드하고, 학습자로부터 입력 받은 정답데이터와 비교한다. 산출부(106)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학습자 정답데이터에 대한 정답 여부를 확인하고 결과를 산출하도록 한다.
결과 처리부(107)는 상기 학습자로부터 입력 받은 정답데이터의 정답여부에 따라 확인된 결과를 O, X와 같은 이미지로 처리하여 출력부(160)에서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방법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301단계에서 저장부(140)에 저장된 문제데이터를 리드(read)한다.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302단계에서 문제데이터가 출력되는 위치에 따라 정답입력창을 디스플레이 할 위치를 설정한다. 즉, 문제데이터가 출력되는 위치에 따라 정답입력창 또는 키패드가 디스플레이 될 위치가 설정된다.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303단계에서 상기 저장부(140)에서 리드된 문제데이터를 출력한다.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304단계에서 상기 문제데이터에 정답입력란의 선택신호를 감지한다. 상기 정답입력란은 문제데이터의 소정 위치에 ( )와 같은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선택신호 입력 시 ( ) 내부의 좌표값을 확인하고, 상기 좌표값에 대응되는 선택입력신호가 감지되면, 정답입력란에 대한 선택신호로 감지하게 된다.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304단계에서 정답입력란의 선택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문제데이터의 형식을 판단한다.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문제데이터가 객관식인 경우 310단계에서 정답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한다.
반면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상기 문제데이터가 주관식 또는 서술형인 경우 320단계에서 문자, 숫자, 특수기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한다.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상기 문제데이터가 그리기 문제데이터인 경우 330단계에서 상기 정답 입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그리기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 반면 객관식 문제데이터에 정답데이터가 기호이거나 주관식/서술형 문제데이터의 정답데이터 입력을 위한 키패드를 통해 정답데이터의 입력이 불가한 경우에도 그리기 메뉴를 통해 정답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340단계에서 정답데이터 입력이 완료됨을 감지하면, 상기 입력된 정답데이터를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350단계에서 상기 정답입력창, 키패드, 그리기 메뉴를 닫는다.(close)
도 4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객관식 문제데이터에 대한 정답입력을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4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객관식 문제데이터의 정답 입력을 위한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객관식 정답입력을 위한 화면 예시도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도 4(a)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객관식 문제의 정답입력란(400)의 선택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정답입력란(400)에 입력될 정답데이터의 선택을 위한 정답입력창(410)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정답입력창의 위치의 x축은 화면 전체의 가운데 지점으로 지정한다. 또한 상기 정답입력창이 디스플레이될 y축은 상기 객관식 문제데이터의 텍스트가 끝나는 지점으로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y축은 객관식 문제데이터의 위치 및 텍스트 위치에 따라 유동적일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x축에 대하여 특정 범위에 한정된 지정된 지점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상기 x축 역시 y축과 같이 화면의 크기나 문제 배열의 상태에 따라 유동적일 수 있다.
도 4(b)의 화면 예시도 (a)와 (b)는 화면의 좌측 또는 우측에 문제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정답입력창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 이다. 화면 예시도 (a)는 문제데이터가 우측페이지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이고, (b)는 문제데이터가 좌측페이지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객관식 정답이 한 개인 경우의 정답 입력을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도 5의 화면 예시도(a)와 같이 객관식 문제데이터 정답입력란(500)의 선택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정답입력란(500)에 입력될 정답항목을 선택 받기 위한 정답선택창(500)을 디스플레이한다.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상기 정답선택창(500)에서 복수의 보기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을 완료하는 입력아이콘(512)의 선택신호를 입력 받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객관식 문제데이터의 정답데이터로 다수의 보기항목 중 ②(511)를 선택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상기 정답입력창(510)에서 보기항목 중 ②(511)를 정답데이터로 선택 받으면, 화면 예시도 (c)와 같이 ②가 하이라이트 (513)되도록 표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객관식 정답이 하나인 경우 선택된 답을 변경시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6은 정답입력창을 통하여 입력된 정답데이터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6의 화면 예시도(a)와 같이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정답입력란(600)에 기 입력된 정답데이터에 대한 선택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기 선택된 정답데이터가 하이라이트된 상태로 정답선택창(610)을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화면예시도 (b)와 같이 학습자로부터 변경하고자 하는 새로운 정답데이터(611)를 입력 받으면 기 선택된 정답 데이터의 하이라이트를 해제하고 새로운 정답 데이터를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한다.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상기 입력을 종료하는 입력버튼을 입력 받는다. 따라서, 출력부(160)에서는 상기 정답입력란(600)에 변경된 정답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객관식 정답이 복수개인 경우의 정답 입력을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학습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답입력란(700)(800)의 선택 신호를 감지하면, 정답입력창(710)(810)을 디스플레이한다.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도 7과 도 8의 화면 예시도 (a)와 같이 정답입력창(710)(810)에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보기항목 중 복수개의 정답데이터(711, 712)(811, 812, 813, 814)를 입력 받는다. 이후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도 7 내지 도 8의 화면 예시도 (b)와 같이 상기 정답입력창(710, 810)을 통해 정답데이터의 입력을 완료하는 입력버튼(713)(815)을 입력 받는다.
따라서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화면 예시도 (c)와 같이 상기 화면 예시도(b)에서 입력 받은 복수개의 정답데이터를 정답입력란(700)(800)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객관식 정답이 복수개인 경우 선택된 답을 변경 시의 화면 예시도 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정답입력란에 기 입력된 정답항목에 대한 선택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기 선택된 정답항목의 선택을 취소하고, 새로운 정답항목을 입력 받기 위한 정답선택창(900)을 디스플레이한다.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정답선택창(900)을 디스플레이 시 기 선택되어 하이라이트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복수개의 정답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선택 신호를 감지하면, 해당 정답데이터(901)의 하이라이트를 해제한다.
이후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변경하고자 하는 정답데이터(902) 및 입력버튼(903)을 입력 받으면, 정답입력란에 변경된 정답데이터를 화면 예시도(c)와 같이 디스플레이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객관식 정답이 기호인 경우의 정답 입력을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화면 예시도 (a)와 같이 학습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답입력란(1000)의 선택 신호를 감지하면, 정답입력창(1010)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10에서는 상기 정답입력란(1000)에 입력될 정답데이터는 ○, ×, △, □, >,< 등과 같은 기호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화면 예시도(a)는 정답항목으로 ○ 또는 ㅧ를 입력 받는 경우이고, 화면 예시도(b)는 정답항목으로 > 또는 <를 입력 받는 경우이고, 화면 예시도(c)는 정답항목으로 ○ 또는 △를 입력 받는 경우의 예이다.
학습평가 제어부(1000)는 화면 예시도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정답입력창(1010)에서 ○ 또는 × 중 상기 정답입력란(1000)에 입력될 정답 데이터(1011)을 입력 받는다.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상기 정답데이터 입력이 완료됨을 알리는 입력버튼(1012)의 선택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정답입력창(1010)에서 입력된 정답데이터(1011)를 정답입력란(1000)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객관식 정답이 기호인 경우의 정답 입력을 위한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화면 예시도(a)와 같이 복수개의 정답입력란(1100) 중 어느 하나의 정답입력란(1100)에 대한 선택신호가 감지되면, 정답입력창(1100)을 디스플레이한다.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상기 정답입력창(1100)에서 정답데이터(1111)와 입력버튼(1112)의 선택신호를 입력 받으면, 화면 예시도(b)와 같이 복수개의 정답입력란(1100) 중 상기 선택신호가 입력된 정답입력란(1100)에 상기 정답데이터(1111)를 디스플레이한다.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객관식 문제데이터의 정답 데이터가 기호인 경우 정답데이터 입력 모드를 그리기 모드로 전환하여 학습자로부터 그리기 메뉴를 통해 해당 정답데이터의 기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택된 객관식 정답을 변경 시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복수의 정답입력란(1200) 중 어느 하나의 정답입력란(1200)에 기 입력된 정답데이터에 대한 선택신호가 감지하면 정답데이터가 입력된 정답입력란의 입력을 취소한다.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화면 예시도 (a)와 같이 정답데이터가 기 입력된 정답입력란(1200)의 선택신호가 감지되면, 정답입력창(1210)을 디스플레이한다.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상기 정답입력창(1210)에서 기 입력 받은 정답데이터를 재입력 받으면, 해당 정답데이터의 하이라이트가 해제된다. 이후 입력버튼(1212)에 대한 선택신호가 감지되면 화면 예시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입력된 정답데이터의 입력이 해제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객관식 정답 입력 시 복수개의 기호가 입력되는 경우의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화면 예시도 (a)와 같이 복수개의 정답 입력란 중 어느 하나의 정답입력란의 선택신호가 감지되면, 정답항목을 입력 받기 위한 정답입력창(1310)을 디스플레이한다.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상기 정답입력창(1310)에서 복수의 보기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1311)과 입력버튼의 선택신호를 입력 받으면 화면 예시도 (b)와 같이 상기 선택신호가 입력된 정답입력란(1301)에 상기 선택된 항목을 정답데이터(1311)로 디스플레이한다.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화면 예시도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답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은 정답입력란(1302)의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화면 예시도 (a)에서와 같이 정답입력창(1310)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기 정답데이터가 기 입력된 정답입력란(1301)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기 입력된 정답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정답데이터 변경은 도 12에서 설명한 내용과 유사하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관식 정답 입력을 위한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제데이터의 정답입력란(1400)의 선택신호를 입력 받으면, 상기 문제데이터의 형태를 판단한다.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상기 문제데이터의 형태에 따라 주관식으로 판단되는 경우 도 14(b)와 같이 화면의 소정 위치에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키패드는 문제데이터가 가려지지 않는 화면의 하단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화면의 하단에 문제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키패드 디스플레이 시 해당 문제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소정 영역 이동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소정 영역은 상기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되는 높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패드로 입력되는 정답데이터는 문자, 기호, 숫자등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글자수가 정해진 주관식 정답 입력을 위한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화면 예시도 (a) 또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제데이터에서 정답입력란(1500)(1510)의 선택신호를 입력 받으면, 상기 문제데이터의 형식을 확인한다. 상기 문제데이터의 형식이 주관식인 경우 화면 예시도 (c)와 같이 화면의 소정 위치에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한다.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학습자로부터 상기 키패드를 통하여 입력되는 텍스트, 숫자, 기호 등을 상기 정답입력란(1500)(1510)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의 일부 영역 또는 문제데이터, 정답입력란 등에 상기 주관식 글자수 등 정답데이터에 대한 힌트의 주관식 입력 정보를 제공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답이 복수개인 주관식 정답 입력을 위한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화면 예시도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정답입력란(1610), (1620)이 존재하는 주관식 문제데이터의 경우를 설명한다.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학습자로부터 복수의 정답입력란 중 어느 하나의 정답입력란에 대한 선택신호가 감지되면 정답데이터를 입력 받기 위한 키패드를 화면 예시도 (c)와 같이 디스플레이 한다.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상기 키패드로 입력되는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상기 복수개의 정답입력란 중 선택신호가 입력된 정답입력란에 디스플레이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서 따라 주관식 정답 입력을 위한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7에서는 주관식 문제데이터의 정답으로 복수의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순서대로 입력 받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화면 예시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관식 문제데이터의 정답입력란(1700)의 선택신호를 입력 받으면, 화면 예시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된다.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상기 키패드로 입력되는 문자, 숫자, 기호를 순차적으로 입력 받아 화면 예시도 (c)와 같이 정답입력란(1700)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정답입력란(1700)에는 띄어쓰기, 문장기호를 제외한 복수의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입력 받는다. 따라서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정답입력란에 입력된 연속되는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순서대로 정답데이터로 처리한다. 반면 정답입력란에 입력될 정답데이터가 상기 키패드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는 문제의 형태가 아닌 경우 정답데이터 입력모드를 그리기 모드로 전환하여 정답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리기 모드의 정답 입력 시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문제데이터가 그리기 문제데이터의 형식인 경우 화면 예시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문제데이터에 그리기 모드 아이콘(1800)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학습자로부터 상기 그리기 모드 아이콘(1800)의 선택신호를 입력 받으면, 화면 예시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기 모드에 따른 정답입력을 위한 다양한 그리기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그리기 메뉴를 학습자로부터 선택 받아 화면 예시도(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수와 같은 숫자, 문자, 기호 등을 정답입력란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술형 문제의 정답 입력 시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서술형 문제데이터는 주관식 문제데이터의 정답입력 방법과 유사하다.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화면 예시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답입력란(1900)의 터치 신호가 감지되면 화면 예시도 (b)와 같이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키패드의 일부 영역 또는 문제데이터, 정답데이터 입력란 등에 상기 정답데이터의 글자수 또는 힌트정보를 포함하는 정답데이터 입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상기 키패드를 통하여 학습자로부터 입력되는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화면 예시도 (c)와 같이 정답입력란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정답입력란에 입력되는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글자수가 상기 정답입력창에 입력 가능한 글자수를 초과하면 말줄임표(…)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글자수 초과를 알리는 경고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학습자로부터 텍스트 재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술형 문제의 정답이 복수개인 경우의 정답 입력 시 화면 예시도 이다.
도 20은 서술형 문제에 따른 다양한 정답데이터 입력 형태를 나타낸다.
화면 예시도(a)는 정답데이터가 복수개인 경우 키패드를 통하여 입력되는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띄어쓰기 또는 문법기호 등으로 구분하여 입력되는 경우의 예이다.
화면 예시도(b)는 복수의 정답입력란(2010a, 2010b)을 가지는 서술형 문제데이터의 형식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키패드를 통하여 선택신호가 감지되는 정답입력란에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각각 입력 받도록 하는 경우의 예이다.
화면 예시도 (c)는 정답입력란(2020)에 입력되는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글자수가 상기 정답입력창에 입력 가능한 글자수를 초과하면 말줄임표(…)로 표시되도록 하는 경우의 예이다. 또한 상기 말 줄임표 외에도 글자수 초과에 대한 경고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학습자로부터 텍스트를 재입력 받을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된 문제의 채점을 위한 화면 예시도 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문제데이터에 따라 입력된 정답데이터의 정답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채점 아이콘의 선택신호를 입력 받으면, 각 문제데이터에 따른 정답데이터의 정답 여부 및 기 저장된 정답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정답데이터는 학습자로부터 입력 받은 숫자, 문자, 기호 등의 다양한 정답데이터들에 대하여 저장부(140)에 기 저장된 정답데이터와 비교하여 정답 여부를 확인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채점 결과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채점아이콘과 정답보기아이콘, 힌트보기 아이콘 등은 각 문제데이터 마다 또는 상기 문제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마지막 페이지 등 다양한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답이 한 개일 경우의 채점 결과 화면 예시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화면 예시도 (a)는 객관식 문제데이터의 정답이 하나인 경우 정답입력란에 정답이 입력된 경우의 채점 결과 화면 예시도이다.
화면 예시도 (b)는 객관식 문제데이터의 정답이 하나이며 정답입력란에 오답이 입력된 경우의 채점 결과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화면 예시도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저장부(140)에 기 저장된 상기 문제데이터와 동일한 식별자를 가진 정답데이터를 리드한다. 상기 리드된 정답데이터는 상기 정답입력란에 기재된 정답데이터와 비교하여 정답여부를 확인하고, 채점 결과를 O. X로 표시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답이 복수개인 경우의 채점 결과 화면 예시도 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화면 예시도 (a)는 정답이 복수개인 경우 정답입력란에 입력된 복수개의 정답항목이 모두 정답인 경우의 채점 결과 화면 예시도 이다.
화면 예시도 (b)는 정답이 복수개인 경우 정답입력란에 입력된 정답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답데이터가 오답인 경우의 채점 결과 화면 예시도 이다.
상기 화면 예시도 (a) 내지 (c)와 같이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저장부에 기 저장된 상기 문제데이터와 동일한 식별자를 가진 정답데이터와 상기 정답 입력란에 기재된 정답데이터를 비교한다. 상기 비교결과 복수개의 정답데이터가 모두 정답인 경우 해당 문제데이터의 채점 결과를 O로 표시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글자수가 정해진 주관식 정답의 채점 결과 화면 예시도 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화면 예시도 (a)는 글자수가 정해져 있는 주관식 문제데이터의 정답데이터가 정답인 경우의 채점 결과 화면 예시도 이다.
화면 예시도 (b), (c)는 글자수가 정해져 있는 주관식 문제데이터의 정답데이터가 오답인 경우의 채점 결과 화면 예시도 이다.
상기 화면 예시도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저장부(140)에서 상기 문제데이터와 동일한 식별자를 가진 정답데이터를 리드하여 상기 문제데이터에 입력된 정답데이터를 채점한다. 채점기준은 글자수가 정해진 정답데이터에 대해 동일한 글자수, 글자순서, 글자 내용을 비교하게 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개의 주관식 정답 채점에 대한 결과 화면 예시도 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화면 예시도 (a) 내지 (c)는 복수개의 정답데이터가 각각 정답입력란에 입력되는 경우의 채점결과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 이다.
상기 화면 예시도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복수개의 정답입력란 각각에 입력된 정답데이터는 각각에 대해 정답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따라서 각 정답입력란에 대해 채점 결과를 표시하게 된다. 또한 정답입력란에 입력된 정답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문제데이터에 대해서는 정답여부(채점)를 확인하지 않는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술형 문제의 정답 채점 시 화면 예시도 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화면 예시도 (a)와 (b)는 서술형 문제데이터는 상기 입력된 정답데이터의 정답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저장부(140)에 기 저장된 정답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여 학습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서술형 문제데이터의 채점 요청 신호는 화면 예시도 (a)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채점 아이콘(예를 들어 '정답보기'아이콘)의 선택신호를 감지한다. 학습평가 제어부(100)는 화면 예시도(c)와 같이 해당 문제데이터와 동일한 식별자를 가지는 저장부에 기 저장된 정답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상술한 객관식 문제데이터 또는 주관식 문제데이터의 채점 방법과 상이하게, 학습자가 기 저장된 모범답안과 같은 예시 정답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서술형 문제데이터의 채점방식과 같이 객관식, 주관식 문제데이터에 대한 채점방식도 기 저장된 정답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여 학습자가 해당 객관식 또는 주관식 문제데이터에 대한 정답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문제데이터의 채점 결과에 다라 정답이 아닌 오답 데이터를 포함하는 문제데이터에 대하여 오답노트 형태의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문제데이터를 포함하는 페이지 별로 채점 결과에 따라 오답 데이터를 포함하는 문제데이터가 있는 페이지만을 검색하여 오답 노트를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5)

  1.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
    문제데이터 및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한 정답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문제데이터의 형식에 따른 정답입력창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문제데이터 및 정답데이터를 포함하는 문제세트를 생성하고,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답입력창을 생성하며, 상기 정답입력창으로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좌표값을 감지하는 학습평가 제어부; 및
    문제데이터 및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답입력창을 출력하고, 상기 정답입력창으로 입력되는 입력값을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평가 제어부는
    저장부에 저장되어있는 문제데이터와 정답데이터를 리드하여 문제세트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문제세트가 배치될 영역정보를 확인하고, 문제데이터 출력 위치 및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답입력창의 출력 위치를 결정하는 배열부;
    상기 문제세트에 대한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정보에 따라 문제데이터 및 정답데이터를 식별하는 식별부;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답데이터의 입력 좌표값을 확인하는 입력 감지부; 및
    상기 문제세트에 포함된 문제데이터와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답입력창을 출력하는 출력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평가 제어부는
    상기 문제데이터에 따라 입력되는 정답데이터의 정답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정답여부에 대한 결과를 산출하는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평가 제어부는
    상기 문제데이터에 따른 정답데이터를 채점하고, 상기 채점결과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산출된 채점결과에 따른 이미지를 출력하는 결과 처리부;
    를 포함하는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문제데이터와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답데이터 및 상기 정답데이터 형식에 따른 정답입력창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제세트를 저장하는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정답데이터가 특수문자이면, 상기 특수문자에 대응되는 아이템 번호(enum type)로 선언하여 저장하는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평가 제어부는
    상기 문제데이터가 객관식이면, 상기 정답입력창의 위치를 화면의 크기나 문제 배열 방식에 따라 x축 또는 y축을 유동적인 좌표값으로 설정하여 출력하는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 장치.
  8. 저장부에 저장되어있는 문제데이터와 정답데이터를 리드하여 문제세트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문제세트가 배치될 영역정보를 확인하고, 문제데이터 출력 위치 및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답입력창의 출력 위치를 결정하는 배열부;
    상기 문제세트에 대한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정보에 따라 문제데이터 및 정답데이터를 식별하는 식별부;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답데이터의 입력 좌표값을 확인하는 입력 감지부; 및
    상기 문제세트에 포함된 문제데이터와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답입력창을 출력하는 출력제어부
    상기 문제데이터에 따른 정답데이터를 채점하고, 상기 채점결과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산출된 채점결과에 따른 이미지를 출력하는 결과 처리부;
    를 포함하는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 장치.
  9. 객관식 문제데이터에 대한 학습 방법에 있어서,
    문제데이터에 해당하는 정답입력란의 선택신호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답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정답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복수개의 보기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정답데이터로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정답데이터를 상기 정답입력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답데이터를 입력은
    상기 정답입력창에서 적어도 하나의 보기항목과 입력버튼의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답입력창에서 보기항목 중 선택 받은 적어도 하나의 정답데이터는 하이라이트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답입력란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답데이터에 대해 선택신호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정답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정답입력창에서 기 입력된 정답데이터를 재입력 받는 단계;
    상기 기 입력된 정답데이터를 해제하는 단계;
    변경할 정답데이터를 입력 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답입력란이 복수개이면,
    선택신호가 입력되는 정답입력란을 감지하는 단계;
    정답데이터를 입력 받기 위한 정답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정답입력창의 보기항목 중 하나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 받은 정답데이터를 상기 선택신호가 입력된 정답입력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 방법.
  14. 주관식 문제데이터에 대한 학습 방법에 있어서,
    문제데이터에 해당하는 정답입력란의 선택 신호를 입력 받는 단계;
    텍스트를 입력 받기 위한 키패드를 화면의 소정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키패드를 통해 텍스트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텍스트를 상기 정답입력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답입력란에 입력될 텍스트의 입력 정보를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답입력란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정답입력란 각각에 대한 선택신호를 입력 받아 텍스트를 입력 받는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답입력란에 입력될 텍스트가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복수개인 경우 띄어쓰기 또는 특수문자를 제외한 텍스트를 순차적으로 입력 받는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답입력란에 입력 가능한 텍스트의 글자수를 초과하면, 상기 텍스트 글자수 초과를 알리는 경고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초과되어 입력되는 텍스트는 말 줄임표로 표시하는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답입력란에 입력될 정답데이터가 복수인 경우 각 정답항목을 띄어쓰기 또는 문장부호로 상기 정답항목을 구분하는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 방법.
  20. 문제데이터에 포함되는 그리기 아이콘의 선택신호를 입력 받는 단계;
    그리기 모드에 해당하는 그리기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그리기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는 단계;
    상기 문제데이터의 정답입력란에 정답데이터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 받은 정답데이터를 정답입력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 방법.
  21. 문제데이터에 따라 입력된 정답데이터의 정답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채점아이콘의 입력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문제데이터와 동일한 식별자를 가진 정답데이터와 상기 입력된 정답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른 정답데이터의 채점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정답입력란에 입력된 정답데이터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정답데이터가 모두 정답인 경우 해당 항목을 정답 처리하는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정답입력란에 입력된 정답데이터의 글자수가 정해져 있는 경우 상기 각 글자의 순서 및 개수가 일치하면 상기 정답데이터를 정답처리하는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정답입력란이 복수개인경우 상기 복수개의 정답입력란 각각에 입력된 정답데이터의 정답여부를 확인하는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정답입력란에 입력된 정답데이터가 서술형 문제데이터의 정답데이터이면,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한 예시 정답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 방법.
KR1020110072415A 2011-04-14 2011-07-21 스마트 단말기에서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2011761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024A KR20120117633A (ko) 2011-04-14 2012-02-28 스마트 단말기에서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를 위한 장치 및 방법
PCT/KR2012/001542 WO2012141426A2 (ko) 2011-04-14 2012-02-29 스마트 단말기에서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를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585 2011-04-14
KR20110034585 2011-04-14
KR20110050611 2011-05-27
KR1020110050611 2011-05-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610A true KR20120117610A (ko) 2012-10-24

Family

ID=472855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415A KR20120117610A (ko) 2011-04-14 2011-07-21 스마트 단말기에서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120020024A KR20120117633A (ko) 2011-04-14 2012-02-28 스마트 단말기에서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를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024A KR20120117633A (ko) 2011-04-14 2012-02-28 스마트 단말기에서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201176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2727A (ko) * 2016-06-20 2017-12-28 최병찬 제시문과 선택지 간의 언어 논리적 증명관계를 이용한 전자-북(e-book) 기반의 전자 문제집과 종이 문제집
WO2023027298A1 (ko) * 2021-08-25 2023-03-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673B1 (ko) * 2012-12-20 2013-09-04 주식회사 넥스트코어 플래시 카드 모드를 구비한 스마트기기용 학습노트방법
KR101697710B1 (ko) * 2014-05-09 2017-01-18 이찬석 학습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학습 제공 시스템
KR101691554B1 (ko) * 2014-06-16 2016-12-30 정병훈 교육용 컨텐츠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507466B1 (ko) * 2021-11-11 2023-03-08 콜라블 주식회사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2727A (ko) * 2016-06-20 2017-12-28 최병찬 제시문과 선택지 간의 언어 논리적 증명관계를 이용한 전자-북(e-book) 기반의 전자 문제집과 종이 문제집
WO2023027298A1 (ko) * 2021-08-25 2023-03-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633A (ko)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7610A (ko) 스마트 단말기에서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4563247B2 (ja) 学習支援システムおよび学習支援プログラム
US20090002334A1 (en) Electronic calcul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calculator
JP6963302B2 (ja) 漢字学習装置
US11138896B2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464253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こ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12225980A (ja) 文字学習機
KR20120118520A (ko) 난이도별 어휘 분류가 가능한 학습 단말 장치 및 방법
JP4929632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70229039A1 (en) Abacus calculation type mental arithmetic learning support device, abacus calculation type mental arithmetic learning support program, and abacus calculation type mental arithmetic learning support method
US8489389B2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dictionary function and computer-readable medium
CN112567440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KR100459030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 및 시스템
US20170186332A1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JP6325218B2 (ja) 文字認識結果検証装置及び文字読取システム
CN109545019B (zh) 学习辅助装置及学习辅助方法
KR101412112B1 (ko) 오답에 대한 시각화 패턴을 이용한 학습 장치 및 학습 방법
KR100496679B1 (ko) 전자매트를 이용한 영어학습방법 및 시스템
JP6100749B2 (ja) テストの得点入力用ソフトキーボード生成システム
JP2789466B2 (ja) 電子学習機
JP6540222B2 (ja) 手書き入力装置
KR101385622B1 (ko) 온라인을 통한 미술 적성 테스트 방법
JP2020013282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9168935A (ja) 入力装置、入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54234B1 (ko) 모바일장치에서의 철자학습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모바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