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466B1 -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466B1
KR102507466B1 KR1020210154583A KR20210154583A KR102507466B1 KR 102507466 B1 KR102507466 B1 KR 102507466B1 KR 1020210154583 A KR1020210154583 A KR 1020210154583A KR 20210154583 A KR20210154583 A KR 20210154583A KR 102507466 B1 KR102507466 B1 KR 102507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learning
processor
answ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4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은영
Original Assignee
콜라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콜라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콜라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4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4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 G09B7/07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questions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컨텐츠 중 제1 학습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학습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구현되는 제1 레이어를 이용해 제공하는 단계; 복수의 버튼을 상기 제1 레이어 위에 형성되는 제2 레이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터치 버튼 중 제1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버튼에 매칭된 제1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smart study material}
본 발명은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 및 인터넷의 보급으로 전자문서는 이제 일반적인 것이 되었다. 기존의 책, 노트, 회계장부 등 거의 모든 형태의 종이 문서들이 소프트웨어적인 전자문서로 대체되고 있다. 전자문서는 용이하게 복제될 수 있고, 통신망을 통해 지리적, 시간적 제한없이 매우 빠르게 유통될 수 있으며, 완벽하게 보존될 수 있고, 보관을 위해 큰 물리적 공간이 필요하지 않다. 이러한 기존의 종이 문서들에 비해 비교할 수 없는 장점에 의해 전자 문서의 제작 및 보급은 점점 더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전자 문서의 발전에 따라 학생들의 학습을 위한 학습 교재도 전자 문서의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학습 교재는 단순한 문제 풀이와 채점의 기능만 제공한다.
공개번호 10-2015-0123013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문제 풀이 외 노트필기, 해설페이지 보기, 개념 페이지 보기, 동영상 강의 보기 등 다양한 기능을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방법은 복수의 레이어를 구성하여 레이어 별로 콘텐츠, 오브젝트 및 화면을 배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방법은, 복수의 컨텐츠 중 제1 학습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학습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구현되는 제1 레이어를 이용해 제공하는 단계; 복수의 버튼을 상기 제1 레이어 위에 형성되는 제2 레이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터치 버튼 중 제1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버튼에 매칭된 제1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학습 컨텐츠의 이전 학습 종료 지점부터 상기 제1 학습 컨텐츠를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터치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는,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터치 버튼을 표시한다.
상기 복수의 터치 버튼은, 상기 제1 학습 컨텐츠의 문제 유형에 따라 버튼의 종류, 개수, 형상 및 색깔이 결정된다.
상기 제1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답안 입력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답안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답안 입력 화면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답안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답안 입력 화면은, 상기 제1 학습 컨텐츠의 문제 유형에 따라, 화면의 구성 및 상기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그래픽 오브젝트가 결정된다.
상기 복수의 터치 버튼은, 채점 버튼, 페이지 이동 버튼, 동영상 재생 버튼, 즐겨찾기 버튼 및 메모 버튼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학습자들이 문제를 통해 빠르고 편리하게 학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방법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방법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콘텐츠의 문제 유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화면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화면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화면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1)은, 학습자에게 스마트 학습 교재를 제공한다. 학습 교재는, 교과서, 전과, 학습 참고서, 문제집, 대학 교재, 논술 교재 등 학습에 요구되는 도서로 설명될 수 있다.
시스템(1)은,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 및 서버(20)를 포함한다.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는 서버(20)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는, 서버(2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는, 서버(2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는, 학습자가 소지할 수 있다. 학습자는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를 통해 제공되는 문제를 풀고 답안을 기록할 수 있다. 학습자는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여러 기능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서버(10)는,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에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는,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에 여러 문제 유형의 스마트 학습 교재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는,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서버(10)는,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이경우,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는,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한 기계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는, 통신부(11), 위치 데이터 생성부(12), 사용자 입력부(13), 센싱부(14), 출력부(15), 메모리(16), 프로세서(17), 인터페이스부(18) 및 전원 공급부(19)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는,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는, 서버(20)일 수 있다.
통신부(11)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각종 통신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Radio Frequency) 회로 및 RF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데이터 생성부(12)는,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 입력부(13)에서 수집한 데이터는, 프로세서(17)에 의해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는, 음성 입력부(예를 들면, 마이크로 폰), 터치 입력부(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 및 기계식 입력부(예를 들면, 버튼)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4)는,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 내 정보,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마이크로폰(microphone),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부, 햅팁 모듈, 광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6)는, 프로세서(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16)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는, 프로세서(17)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6)는 프로세서(17)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는, 프로세서(17)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6)는, 프로세서(17)의 하위 구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8)는, 외부의 전자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80)는, 단자, 핀, 케이블, 포트, 회로, 소자 및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는,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의 각 유닛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통신부(11), 위치 데이터 생성부(12), 사용자 입력부(13), 센싱부(14), 출력부(15), 메모리(16), 인터페이스부(18), 전원 공급부(1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전원 공급부(19)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전원 공급부(19)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처리하고, 신호를 생성하고,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 위치 데이터 생성부(12), 사용자 입력부(13), 센싱부(14), 출력부(15), 메모리(16), 프로세서(17), 인터페이스부(18), 전원 공급부(19)는,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방법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방법의 플로우 차트이다.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방법은, 프로세서(17)의 연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7)는, 복수의 컨텐츠 중 제1 학습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S310). 복수의 컨텐츠가 메모리(16)에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부(13)를 통해 학습자가 제1 학습 컨텐츠의 선택을 입력하는 경우, 프로세서(17)는 제1 학습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제1 학습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구현되는 제1 레이어를 이용해 제공할 수 있다(S320).
프로세서(17)는 제1 학습 컨텐츠를 메모리(16)로부터 불러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7)는 서버(20)에 저장된 제1 학습 컨텐츠를 통신부(11)를 통해 불러올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제1 학습 컨텐츠를 제1 레이어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제1 학습 컨텐츠를 복수의 레이어 중 제1 레이어에 표시할 수 있다. 제1 레이어에 표시되는 제1 학습 컨텐츠는 일종의 그래픽 오브젝트로 설명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복수의 레이어를 구성하고, 각각의 레이어에 서로 다른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그래픽 처리를 통해 복수의 레이어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320)에서, 프로세서(17)는, 제1 학습 컨텐츠의 이전 학습 종료 지점부터 제1 학습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조건이 만족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330). 조건은, 복수의 버튼이 표시되기 위한 선제 조건일 수 있다.
조건은 제1 레이어에 표시된 페이지, 챕터, 문제 유형, 문제 난이도, 즐겨찾기 문제 모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1 레이어에, 특정 문제 페이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프로세서(17)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벤트는 사용자 입력부(13)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벤트는, 학습자의 터치 입력(예를 들면, 답안 입력, 전체 문제 풀이 종료, 핵심 문제로 분류된 문제 풀이 종료, 난이도 상으로 분류된 문제 풀이 종료)에 따라 생성된 신호에 기초한 것일 수 있다.제1 레이어에, 특정 문제가 표시된 상태에서, 답안 입력 버튼 또는 채점하기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17)는, 이벤트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레이어에, 특정 화면이 표시되는 경우, 프로세서(17)는,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는, 제1 페이지, 제1 챕터, 제1 문제 유형, 제1 난이도의 문제 또는 즐겨찾기 설정된 문제가 제1 레이어에 표시되는 경우,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17)는 복수의 버튼을 제2 레이어에 표시할 수 있다(S340).
복수의 버튼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그래픽 오브젝트로 소프트 버튼으로 설명될 수 있다.
제2 레이어는 제1 레이어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레이어 상에 표시되는 그래픽 오브젝트는 가장 아래에 표시되고, 제2 레이어 상에 표시되는 그래픽 오브젝트는 제1 레이어 위에 표시될 수 있다.
제1 레이어 상에 표시되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와 제2 레이어 상에 표시되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가 겹쳐진 경우, 제2 그래픽 오브젝트가 차지하는 면적만큼 제1 그래픽 오브젝트는 일부가 표시되지 않고 제2 그래픽 오브젝트는 온전히 표시된다.
한편, 복수의 터치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S340)에서, 프로세서(17)는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S330)하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복수의 터치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터치 버튼은, 제1 학습 컨텐츠의 문제 유형에 따라 버튼의 종류, 개수, 형상 및 색깔이 결정될 수 있다.
복수의 터치 버튼은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의 위치에 따라 형상 및 색깔이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위치 데이터 생성부(12)로부터 제1 학습 컨텐츠가 선택된 시점의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터치 버튼의 형상 및 색깔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가 폐쇄된 공간(예를 들면, 집, 독서실 등)에 위치하는 경우, 프로세서(17)는, 복수의 터치 버튼을 개방된 공간에 있는 경우보다 더 작고 더 연한 색깔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가 개방된 공간(예를 들면, 학교, 학원, 도서관 등)에 위치하는 경우, 프로세서(17)는, 복수의 터치 버튼을 폐쇄된 공간에 있는 경우보다 더 크고 더 진한 색깔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조도 센서로부터 제1 학습 컨텐츠가 선택된 시점의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 주변의 조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조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터치 버튼의 형상, 색깔, 밝기 및 채도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는, 타이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타이머로부터 제1 학습 컨텐츠가 선택된 시점의 시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터치 버튼의 형상, 색깔, 밝기 및 채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터치 버튼의 표시 방식을 달리함으로써, 상황에 맞는 학습자의 집중력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는, 제1 레이어에 표시된 내용에 따라 복수의 터치 버튼을 다르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는, 제1 레이어에 표시된 페이지, 챕터, 문제 유형, 문제 난이도, 즐겨찾기 문제 모음에 기초하여 복수의 터치 버튼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사용자 입력부(13)를 통해, 복수의 터치 버튼 중 제1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할수 있다(S350).
제1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17)는, 제1 버튼에 매칭된 제1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S360).
프로세서(17)는, 제1 기능을 제2 레이어 위에 형성되는 제3 레이어에서 실행할 수 있다. 제3 레이어 상에 표시되는 그래픽 오브젝트는 제1 레이어 상에 표시되는 그래픽 오브젝트 및 제2 레이어 상에 표시되는 그래픽 오브젝트 위에 표시될 수 있다.
제1 레이어 상에 표시되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와 제2 레이어 상에 표시되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 및 제3 레이어 상에 표시되는 제3 그래픽 오브젝트가 겹쳐진 경우, 제3 그래픽 오브젝트가 차지하는 면적만큼 제1 그래픽 오브젝트 및 제2 그래픽 오브젝트는 표시되지 않고 제3 그래픽 오브젝트는 온전히 표시된다.
한편, 제1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S320)는, 학습자의 답안 입력과 관련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학습 컨텐츠 화면에는 답안 입력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학습 컨텐츠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프로세서(17)는, 답안 입력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321).
프로세서(17)는, 답안 입력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S324). 예를 들면, 프로세서(17)는, 답안 입력 화면을 제2 레이어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7)는, 답안 입력 화면과 복수의 터치 버튼을 제2 레이어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답안 입력 화면은, 제1 학습 컨텐츠의 문제 유형에 따라, 화면의 구성 및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그래픽 오브젝트가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답안 입력 화면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답안을 수신할 수 있다(S327).
한편, 실시예에 따라, S320 단계는, 학습에 필요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학습 컨테츠가 수학 문제인 경우, S320 단계는, 필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학습 컨텐츠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프로세서(17)는, 필기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17)는, 필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는, 필기 화면을 제2 레이어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필기 화면에 대한 사용자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필기 내용을 기록할 수 있다. 이후에, S321 내지 S327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제1 학습 컨테츠가 영어 듣기 문제인 경우, S320 단계는, 오디오 재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학습 컨텐츠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프로세서(17)는, 오디오 재생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17)는, 제1 학습 컨텐츠와 관련된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다. 이후에, S321 내지 S327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S320 단계는, 동영상 재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학습 컨텐츠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프로세서(17)는, 동영상 재생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17)는, 제1 학습 컨텐츠와 관련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이후에, S321 내지 S327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콘텐츠의 문제 유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학습 컨텐츠는 복수의 문제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문제각각은 여러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제는 선다형(511), 진위형(512), 연결형(513), 배열형(514) 및 단답형, 완성형, 논술형(515)으로 구분될 수 있다.
S324 단계에서, 프로세서(17)는, 문제의 유형에 따라 사용자 답안 수신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문제 유형을 선택형(선다형, 진위형, 연결형, 배열형)과 서답형(단답형, 완성형, 논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선다형(511) 문제의 경우, 프로세서(17)는, 답안 입력 화면에 보기 번호의 터치 입력 좌표 설정하는 방식으로 답안 수신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해당 좌표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의해 답안을 수신할 수 있다.
진위형(512) 문제의 경우, 프로세서(17)는, 답안 입력 화면에 O, X 터치 입력 좌표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답안 수신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해당 좌표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의해 답안을 수신할 수 있다.
연결형(513) 문제의 경우, 프로세서(17)는, 답안 입력 화면에 드래그 입력이 가능한 좌표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답안 수신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해당 좌표에 대한 드래그 입력에 의해 답안을 수신할 수 있다.
배열형(514) 문제의 경우, 프로세서(17)는, 답안 입력 화면에 보기 텍스트에 대한 드래그 앤 드랍 좌표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답안 수신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해당 좌표에 대한 드래그 앤 드랍 입력에 의해 답안을 수신할 수 있다.
단답형, 완성성, 논술형(515) 문제의 경우, 프로세서(17)는, 답안 입력 화면에 답안을 직접 기재할 수 있는 영역의 좌표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답안 수신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해당 좌표에 대한 텍스트 입력에 의해 답안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좌표는 디스플레이에서의 특정 지점과 복수의 지점들을 연결함으로써 생성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7)는, 학습 컨텐츠를 제1 레이어에 표시할 수 있다. 학습 컨텐츠는 복수의 문제를 포함한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7)는, 제1 레이어에 복수의 문제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제1 레이어에 답안 입력 버튼(605)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복수의 터치 버튼(610, 620, 630, 640, 650, 660)을 제2 레이어에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터치 버튼은, 채점 버튼(610), 페이지 이동 버튼(620, 630), 동영상 재생 버튼(640), 즐겨찾기 버튼(650), 메모 버튼(660) 및 공유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복수의 터치 버튼 중 제1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1 버튼에 매칭된 제1 기능을 제2 레이어 위에 형성되는 제3 레이어에서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채점 버튼(610)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17)는 제3 레이어에 기 입력된 답안에 대한 채점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채점 결과 오답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17)는, 틀린 문제와 유사 문제 풀기 버튼을 제2 레이어에 더 표시할 수 있다. 틀린 문제와 유사 문제 풀기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17)는, 틀린 문제와 유사 문제로 분류된 문제들을 제1 레이어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서버(20)는, 복수의 문제들을 주제, 진도, 유형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같은 주제, 진도, 유형에 속하는 문제들은 유사 문제로 분류한 채로 그루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해설 버튼(620)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17)는 제3 레이어에 해설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념 버튼(630)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17)는 제3 레이어에 문제의 개념을 설명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영상 버튼(640)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17)는, 제3 레이어에 문제와 관련된 동영상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즐겨찾기 버튼(650)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17)는, 제3 레이어에 즐겨찾기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 버튼(660)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17)는, 제3 레이어에 사용자가 필기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유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17)는 제3 레이어에 해당 문제를 외부에 전송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따라, 프로세서(17)는, 해당 문제를 타인(예를 들면, 선생님, 친구 등)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7)는,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고, 해당 문제를 SNS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타인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사용자가 선택한 버튼에 해당하는 좌표와 관련된 정보를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는 메타 정보로 명명될 수 있으며, 답안 입력, 채점하기, 페이지 이동하기, 파일 재생, 노트 필기 및 즐겨찾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관련된 것이다.
한편, 복수의 터치 버튼은 이어서 학습하기 버튼 및 틀린 문제와 유사 문제 풀기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학습하기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17)는 제3 레이어에 이전의 학습 지점부터 제1 학습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 차트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는, 문제풀이 외 노트필기, 해설 페이지 보기, 개념 페이지 보기, 동영상 강의 보기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는, 전자 문서의 열람, 학습 중인 콘텐츠 또는 선택한 콘텐츠 이동하여 학습 시작, 학습 콘텐츠와 다양한 기능의 버튼 표시, 버튼을 클릭 / 터치하여 각 버튼에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을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는, 콘텐츠를 배경 레이어로 로딩할 수 있다(S710). 여기서, 배경 레이어는, 상술한 제1 레이어일 수 있다.
학습자는 복수의 전자 문서 중 학습을 원하는 전자 문서를 선택할 수 있다.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는 학습자가 학습해야 하는 컨텐츠 또는 선택한 컨텐츠를 배경 레이어로 로딩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 파일에는 사용자가 어디까지 공부했는지 저장된다.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데이터 파일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학습해야 하는 컨텐츠를 로딩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데이터 파일은 메모리(16)로부터 호출되거나, 서버(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는, 추가 영역의 위치를 버튼으로 생성시켜 레이어로 추가할 수 있다(S720).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는, 선택한 컨텐츠에 문제가 있는 경우, 문제와 관련된 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버튼 레이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버튼 레이어는, 상술한 제2 레이어일 수 있다.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는, 문제 데이터 파일에서 학습자가 공부할 컨텐츠에 따라 필요한 버튼들을 레이어로 생성하여 추가할 수 있다.
문제 데이터 파일은, 각 문제별로, 문서 번호, 문서 페이지, 문제 번호, 문제 유형, 정답, 개념 페이지 번호, 해설 페이지 번호, 파일(동영상, 오디오) 저장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다.
문제 데이터 파일은, 좌표 데이터(문제 번호 영역, 문제 영역, 정답 입력 영역, 버튼 영역 등)를 가지고 있다.
문제 데이터 파일은, 버튼 영역 좌표 데이터(채점하기, 페이지 이동, 파일 재생, 노트 필기, 즐겨찾기 등)를 가지고 있다.
한편, 문제 데이터 파일은 메모리(16)로부터 호출되거나, 서버(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는, 문제 유형별로 답안 입력하는 방법을 다르게 지원할 수 있다.
문제 유형은 선택형(진위형, 연결형, 선다형, 배열형)과 서답형(단답형, 완성형, 논술형)으로 구분된다.
선다형의 경우, 보기 번호의 좌표 데이터, 보기 텍스트의 좌표 데이터에 기초하여 답안 입력 방식이 제공된다.
진위형의 경우, 정답 입력 좌표 데이터에 기초하여 답안 입력 방식이 제공된다.
연결형의 경우, 정답 입력 좌표 데이터, 보기 텍스트에 기초하여 답안 입력 방식이 제공된다.
배열형의 경우, 정답 입력 좌표 데이터, 보기 텍스트에 기초하여 답안 입력 방식이 제공된다.
단답형, 완성형, 논술형의 경우, 정답 입력 좌표 데이터에 기초하여 답안 입력 방식이 제공된다.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는,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 터치 입력을 수신하여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S740).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는, 각 문제별로 클릭 / 터치한 해당 좌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S750).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좌표 영역의 메타 정보(문제 풀기, 채점하기, 페이지 이동, 파일 재생, 노트 필기, 즐겨찾기)를 서버(20)로 전송한다.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는, 좌표 데이터에 해당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S760).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는, 문제 데이터 파일에서 선택한 기능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읽어와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10)는, 기능을 상술한 제3 레이어에서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따른 기능은 답안 표시, 채점하기, 페이지 이동, 동영상(오디오 파일) 재생, 노트 필기, 즐겨찾기를 포함한다. 답안 표시는 문제 유형에 따른 답안을 입력하고 답안을 표시하는 기능이다. 채점하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답과 정답을 비교하여 문제 번호에 정답, 오답 여부를 표시하는 기능이다. 페이지 이동은 정답, 해설, 개념 페이지로 이동하는 기능이다. 노트 필기는 문제 위에 필기한 내용을 저장하는 기능이다. 즐겨찾기는 선택한 문제를 모아 볼 수 있도록 문제 정보를 따로 저장하는 기능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화면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7)는, 단답형의 수학 문제를 제1 레이어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제1 레이어에 답안 입력 버튼(811) 및 더보기 버튼(812)를 표시할 수 있다.
답안 입력 버튼(811)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17)는, 답안 입력 영역(821)을 표시할 수 있다. 답안 입력 영역(821)에 답안이 입력된 후, 채점하기 버튼(822)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17)는, 채점 결과(831)를 표시하고, 제2 레이어에 복수의 터치 버튼(832)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터치 버튼(832)에 포함되는 버튼의 종류는 제1 레이어에 표시되는 문제의 유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단답형의 수학 문제의 경우, 복수의 터치 버튼(832)은, 개념 보기 버튼, 해설 보기 버튼, 동영상 보기 버튼, 즐겨찾기 버튼, 메모하기 버튼, 공유하기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레이어에 표시된 더보기 버튼(812)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17)는, 제2 레이어에 복수의 터치 버튼(832)을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화면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7)는, 선택형의 영어 듣기 문제를 제1 레이어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7)는, 제1 레이어에 듣기 버튼(911) 및 더보기 버튼(912)을 표시할 수 있다.
보기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17)는, 채점하기 버튼(922)을 표시할 수 있다. 채점하기 버튼(922)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17)는, 채점 결과(931)를 표시하고, 제2 레이어에 복수의 터치 버튼(932)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터치 버튼(932)에 포함되는 버튼의 종류는 제1 레이어에 표시되는 문제의 유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선택형의 영어 듣기 문제의 경우, 복수의 터치 버튼(932)은, 듣기 버튼, 개념 보기 버튼, 해설 보기 버튼, 동영상 보기 버튼, 즐겨찾기 버튼, 메모하기 버튼, 공유하기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레이어에 표시된 더보기 버튼(912)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17)는, 제2 레이어에 복수의 터치 버튼(932)을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장치
20 : 서버

Claims (7)

  1. 스마트 문제집 제공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컨텐츠 중 제1 학습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학습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구현되는 제1 레이어를 이용해 제공하는 단계;
    복수의 터치 버튼을 상기 제1 레이어 위에 형성되는 제2 레이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터치 버튼 중 제1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버튼에 매칭된 제1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터치 버튼에 포함되는 버튼의 종류를, 상기 제1 레이어에 표시되는 문제의 유형에 따라 결정하되, 상기 문제와 관련된 데이터 파일에서 학습자가 공부할 컨텐츠에 따라 버튼들을 생성하고,
    상기 문제가 단답형의 수학 문제인 경우, 상기 복수의 터치 버튼에, 개념 보기 버튼을 포함시키고,
    상기 문제가 선택형의 영어 듣기 문제인 경우, 상기 복수의 터치 버튼에, 듣기 버튼을 포함시키고,
    상기 복수의 터치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는,
    위치 데이터 생성부로부터 제1 학습 컨텐츠가 선택된 시점의 상기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터치 버튼의 형상 및 색깔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 버튼의 형상 및 색깔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장치가 집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장치가 학교에 위치하는 경우보다 상기 복수의 터치 버튼을 더 연한 색깔로 더 작게 표시하고,
    상기 장치가 학교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장치가 집에 위치하는 경우보다 상기 복수의 터치 버튼을 더 진한 색깔로 더 크게 표시하는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학습 컨텐츠의 이전 학습 종료 지점부터 상기 제1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답안 입력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답안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답안 입력 화면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답안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답안 입력 화면은,
    상기 제1 학습 컨텐츠의 문제 유형에 따라, 화면의 구성 및 상기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그래픽 오브젝트가 결정되는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방법.
  7. 삭제
KR1020210154583A 2021-11-11 2021-11-11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방법 KR102507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583A KR102507466B1 (ko) 2021-11-11 2021-11-11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583A KR102507466B1 (ko) 2021-11-11 2021-11-11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466B1 true KR102507466B1 (ko) 2023-03-08

Family

ID=85508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583A KR102507466B1 (ko) 2021-11-11 2021-11-11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46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2827A (ko) * 2003-12-12 2004-01-07 이태범 학습내용제공서버와 학습서비스프로그램을 이용한인터넷기반자동학습시스템
KR20120105988A (ko) * 2011-03-17 2012-09-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 그의 교육 컨텐츠 제공을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KR20120117633A (ko) * 2011-04-14 2012-10-24 (주)블루핀 스마트 단말기에서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20138440A (ko) * 2011-06-15 2012-12-26 엔에이치엔(주) 웹 페이지의 시각적 파라미터 조절 시스템 및 방법
KR101289004B1 (ko) * 2012-10-15 2013-07-23 이주환 외국어 학습 정보 제공방법, 외국어 학습 방법 제공 시스템 및 외국어 학습용 장치
KR20150123013A (ko) 2014-04-24 2015-11-03 손종민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2827A (ko) * 2003-12-12 2004-01-07 이태범 학습내용제공서버와 학습서비스프로그램을 이용한인터넷기반자동학습시스템
KR20120105988A (ko) * 2011-03-17 2012-09-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 그의 교육 컨텐츠 제공을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KR20120117633A (ko) * 2011-04-14 2012-10-24 (주)블루핀 스마트 단말기에서 이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및 평가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20138440A (ko) * 2011-06-15 2012-12-26 엔에이치엔(주) 웹 페이지의 시각적 파라미터 조절 시스템 및 방법
KR101289004B1 (ko) * 2012-10-15 2013-07-23 이주환 외국어 학습 정보 제공방법, 외국어 학습 방법 제공 시스템 및 외국어 학습용 장치
KR20150123013A (ko) 2014-04-24 2015-11-03 손종민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olari Media ecology: Exploring the metaphor to expand the theory
US9099010B2 (en) Content authoring application
US10083617B2 (en) Portable apparatus and screen displaying method thereof
US8638319B2 (en) Customer authoring tools for creating user-generated content for smart pen applications
EP2581894A2 (en) Electronic learning application
CN105579985A (zh) 用于共享内容的方法和装置
US20160162137A1 (en) Interactive Digital Workbook Using Smart Pens
US20130129310A1 (en) Electronic book
JP2013145265A (ja) サーバ、学習用端末装置、および学習コンテンツ管理方法
US9042808B2 (en) Didactic appliance
Sluÿters et al. Consistent, continuous, and customizable mid-air gesture interaction for browsing multimedia objects on large displays
KR101330715B1 (ko) 맞춤형 교수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방법
US8890873B2 (en) Interactive electronic book
TW201407565A (zh) 紙電腦行動學習及測驗系統之方法
CN111008312A (zh) 适用于网络教学的课程回顾方法及课程回顾系统
Woodill Unique affordances of mobile learning
KR102507466B1 (ko) 스마트 학습 교재 제공 방법
CN106933443B (zh) 一种电子书数据处理的方法、装置及电子书阅读器
Cao A tablet based learning environment
KR102516701B1 (ko) 오답 노트 생성 장치
TW201135481A (en) Annotating apparatus for electronic book
KR20220013172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napp Technology for one-shot instruction and beyond
Brudy Designing for Cross-Device Interactions
KR20120031190A (ko) 학습자 필기가 가능한 동영상 강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