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7572A - 물류 교육 장치 - Google Patents

물류 교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7572A
KR20120117572A KR1020110035390A KR20110035390A KR20120117572A KR 20120117572 A KR20120117572 A KR 20120117572A KR 1020110035390 A KR1020110035390 A KR 1020110035390A KR 20110035390 A KR20110035390 A KR 20110035390A KR 20120117572 A KR20120117572 A KR 20120117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driving
set portion
motor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9454B1 (ko
Inventor
박훤
문강현
Original Assignee
박훤
문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훤, 문강현 filed Critical 박훤
Priority to KR1020110035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454B1/ko
Publication of KR20120117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2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industrial processes; of machin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4Use of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류 교육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물류 시스템의 기초적인 설계 능력을 고취시킬 수 있는 물류 교육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블록; 상기 블록의 일 단에 결합하며, 중앙에 제1회전자가 설치되는 제1구동블록; 상기 블록의 타 단에 결합하며, 중앙에 제2회전자가 설치되는 제2구동블록; 상기 제1회전자와 상기 제2회전자에 설치되는 밸트; 및, 상기 블록과, 상기 제1구동불럭 및, 상기 제2구동블록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는 자석; 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자석은 상기 블록과 상기 제1구동블록 및 상기 제2구동블록 사이에서 자화되어 상기 블록과 상기 제2구동블록 및 상기 제2구동블록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교육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물류 교육 장치{EDUCATION DEVICE FOR DELIVERY SYSTEM}
본 발명은 물류 교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학습자가 뮬류 시스템을 설치하고, 설치한 물류 시스템을 직접 구동시켜 물류 시스템의 원리를 학습할 수 있는 물류 교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물류 시스템은 단순한 반복 작업을 필요로 하는 곳이나, 정밀한 공정을 요하는 곳에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다.
물류 시스템은 정밀하면서도 반복적인 작업을 기계가 하도록 함으로서, 인건비를 절약하도록 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물류 시스템은 보통 컨베이어를 이용한 이송 장치를 기본으로 하고, 컨베이어 주변에 로봇을 설치하여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여기서, 컨베이어나 로봇은 그 비용이 적게는 수억원부터 많게는 수십억원까지 호가하기도 한다.
그에 따라 물류 시스템을 배우기 위한 학습자들은 자신이 직접 설계하면서 시행착오를 겪어 그에 대한 능력을 습득하거나 설계 능력이 있는 사람들을 따라 다니며 도제 방식으로 일을 배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실제 산업현장에서는 고용후에 곧바로 물류 시스템 현장에 투입할 수 있는 인력만을 필요로 하며, 신입을 고용하는 경우에도 물류 시스템의 기초적인 설계 능력이 있는 주로 인력을 고용하고 있다.
하지만, 물류 시스템 장치들은 고가이고 그 규모도 크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현장 경험 없이 물류 시스템의 기초적인 설계 능력을 배우는 데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물류 시스템의 기초적인 설계 능력을 고취시킬 수 있는 물류 교육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물류 교육 장치는 블록; 상기 블록의 일 단에 결합하며, 중앙에 제1회전자가 설치되는 제1구동블록; 상기 블록의 타 단에 결합하며, 중앙에 제2회전자가 설치되는 제2구동블록; 상기 제1회전자와 상기 제2회전자에 설치되는 밸트; 및, 상기 블록과, 상기 제1구동불럭 및, 상기 제2구동블록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는 자석; 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자석은 상기 블록과 상기 제1구동블록 및 상기 제2구동블록 사이에서 자화되어 상기 블록과 상기 제2구동블록 및 상기 제2구동블록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물류 교육 장치는 회전축이 상기 제1회전자의 중심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1구동블록과 결합되고,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경우 제1회전자를 회전시켜 상기 밸트를 회전시키는 모터; 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류 교육 장치는 상기 블록과, 상기 제1구동블록, 상기 제2구동블록, 상기 밸트, 상기 자석 및, 상기 모터를 2세트로 각각 조립하여 제1세트부와 제2세트부로 구성하고, 평면상에 상기 제1세트부와 상기 제2세트부를 'ㄱ'형상으로 배치하며, 상기 제1세트부의 밸트 길이 방향에 이송체의 존재 유무를 판별하도록 상기 제1세트부의 일 단에 설치되는 사물 판별 센서; 상기 제2세트부의 일 단에 설치되는 제1접촉센서; 상기 제2세트부의 타 단에 설치되는 제2접촉센서; 및, 상기 제1세트부의 모터와 상기 제2세트부의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제1세트부의 모터와 상기 제2세트부의 모터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기; 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사물 판별 센서와 상기 접촉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세트부의 밸트 상부에 이송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세트부의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제1세트부의 밸트 상부에 배치된 이송체를 이송시키고, 상기 제1접촉센서에 이송체가 접촉되는 경우에 상기 제2세트부의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제2세트부의 밸트 상부에 위치하는 이송체를 이송시키며, 상기 제2접촉센서에 상기 이송체가 접촉되는 경우에 상기 제2세트부의 모터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류 교육 장치는 상기 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세트부의 타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체를 상기 제2세트부로 밀어내는 브라켓을 구비하는 제1구동실린더; 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접촉센서에서 상기 이송체의 검출시, 상기 브라켓이 상기 이송체를 상기 제2세트부로 밀어내도록 상기 제1구동실린더를 전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물류 교육 장치는 상기 제1세트부의 일정 상부 공간에서 상기 제1세트부와 수평하게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구동상판을 이동시키는 제1이송로봇; 상기 제1이송로봇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이송로봇과 결합되어 상기 제2이송로봇을 이송시키는 이송상판을 구비하는 제2이송로봇; 및, 상기 제2이송로봇의 구동상판에 결합되며, 단부에 진공흡착패드가 부착되는 제2구동실린더; 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어기는 제2이송로봇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이송로봇의 이송상판을 이송시켜 상기 제1이송로봇을 이송시키며, 상기 제1이송로봇의 구동상판을 이송시켜 상기 제2구동실린더를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구동실린더가 상기 진공흡착패드를 이용하여 상기 이송체를 흡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록과 상기 제1구동블록 중 어느 하나에는 위치결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과 상기 제1구동블록 중 어느 하나에는 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위치결정홀에 상기 위치결정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블록과 상기 제1구동블록의 결합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블록과 상기 제1구동블록 중 어느 하나에는 위치결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홀에 상기 자석이 삽입되어 상기 블록과 상기 제1구동블록을 자석결합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물류 교육 장치는 모터를 이용하여 컨베이어 시스템을 구현하는 물류 교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지지대 역할을 하는 복수 개의 블록; 및, 상기 복수 개의 블록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블록들에 자화되어 상기 블록들을 자석결합시키는 자석; 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블록들에는 위치결정홀과 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위치결정홀에 상기 위치결정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블록과 상기 제1구동블록의 결합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에는 위치결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홀에 상기 자석이 삽입되어 상기 블록들을 자석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블록들과 제1구동블록 및 제2구동블록들을 자석결합만으로 조립하므로, 블록들과 제1구동블록 및 제2구동블록을 학습자가 별다른 공구없이 손으로만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컨베이어 밸트 장치를 쉽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들과 제1구동블록 및 제2구동블록은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위치결정홀과 위치결정돌기를 형성하고 위치결정홀에 위치결정돌기를 삽입시킴으로서, 블록들과 제1구동블록 및 제2구동블록들이 틀어지지 않고 특정 위치에서 결합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류 교육을 받는 학습자들이 컨베이어의 원리를 이용한 블록들과 이송체를 이송시키는 이송로봇을 별도의 공구가 필요없이 간단하게 조립하고, 학습자 자신이 제어기의 프로그램을 작성하도록 함으로서 자동 물류 시스템의 설치에서 구동까지 매우 간단한 작업만으로 실습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교육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물류 교육 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되시된 블록의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구동블럭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 교육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이송로봇의 평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2이송로봇의 평면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교육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물류 교육 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되시된 블록(10)의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구동블럭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교육 장치는 블록(10), 제1구동블록(20), 제2구동블록(30), 밸트(40) 및, 자석(51, 52, 53)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모터(6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록(10)은 사각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블록(10)은 서로 간에 맞닿은 부위에 제1자석(51)이 삽입되어 블록(10)들간에 자석결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블록(10)은 제1위치결정홀(11)이 적어도 두 곳 이상 형성되고, 제1자석(51)은 제1위치결정홀(11) 각각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블록(10)은 제1위치결정홀(11)과 이격되는 곳에 제1위치결정돌기(12)를 적어도 두 곳 이상 돌출시켜 형성할 수 있다. 제1위치결정돌기(12)가 두 곳이상 돌출되어 형성되는 이유는 두 개의 제1위치결정돌기(12)가 각각 제1위치결정홀(11)에 삽입됨으로서, 블록(10)이 회전되지 못하도록 구속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제1위치결정돌기(12)는 두 개의 블록(10)을 결합시키는 경우에 다른 블록(10)의 제1위치결정홀(11)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 경우, 제1위치결정홀(11)의 내측에는 제1자석(51)이 삽입되어 형성되므로, 두 개의 블록(10)들을 결합시에 제1자석(51)과 제1위치결정돌기(12)가 자석결합되어 블록(10)들을 서로 간에 자석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위치결정홀(11)과, 제1위치결정돌기(12) 및, 제1자석(51)은 블록(10)의 양 단의 두 곳 모두 형성된다.
상기 제1구동블록(20)은 블록(10)의 일 단에 결합한다. 이러한 제1구동블록(2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제1회전자중심홀(21a)이 형성되어 모터(60)의 중심축(61)이 삽입되는 제1회전자(21) 및,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회전자(21)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고 모터(60)의 중심축(61)이 삽입되는 중심축삽입홀(23b)이 형성되는 제1몸통부(23)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 제1몸통부(23)는 일 측에 제2위치결정홀(23a)이 형성되고, 제2위치결정홀(23a)에는 제2자석(52)이 삽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구동블록(20)은 블록(10)과 결합하는 경우에 제2위치결정홀(23a)에 블록(10)의 제1위치결정돌기(12)가 삽입되어 제1자석(51)과 자석결합함으로서, 제1구동블록(20)과 블록(10)을 연결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블록(30)은 블록(10)의 일 단에 결합한다. 이러한 제2구동블록(3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제2회전자(31)와, 제2회전자(31)의 중심에 삽입되는 제2회전자중심축(32) 및,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회전자(31)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고 제2회전자중심축(32)이 삽입되는 제2중심축삽입홀(33b)이 형성되는 제2몸통부(33)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 제2몸통부(33)는 일 측에 제3위치결정홀(33a)이 형성되고, 제3위치결정홀(33a)에는 제3자석(53)이 삽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구동블록(30)은 블록(10)과 결합하는 경우에 제3위치결정홀(33a)에 제1위치결정돌기(12)가 삽입되어 제3자석(53)과 자석결합함으로서, 제2구동블록(30)과 블록(10)을 자석(51, 52, 53)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구동블록(30)은 모터(60)가 없는 것을 제외하면 제1구동블록(20)과 그 형상과 구조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밸트(40)는 제1회전자(21)의 외주면과 제2회전자(31)의 외주면을 두르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제1회전자(21)와 제2회전자(31) 사이에는 블록(10)이 설치되며, 밸트(40)는 제1회전자(21)와 제2회전자(31) 사이에 형성되는 블록(10)을 발판으로 하여 지탱된다.
상기 자석(51, 52, 53)은 본 실시예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제1자석(51), 제2자석(52) 및, 제3자석(53)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자석(51, 52, 53)들은 원통형 막대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블록(10)과, 제1구동불록(20) 및, 제2구동블록(30) 각각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자석(51, 52, 53)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블록(10)과 제1구동블록(20) 및 제2구동블록(30) 사이에서 자화되어 블록(10)과 제2구동블록(30) 및 제2구동블록(3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모터(60)는 회전축이 제1회전자(21)의 중심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제1구동블록(20)과 결합되고,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경우 제1회전자(21)를 회전시켜 밸트(40)를 회전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교육 장치는 블록(10)들과 제1구동블록(20) 및 제2구동블록(30)들을 자석결합만으로 조립하므로, 블록(10)들과 제1구동블록(20) 및 제2구동블록(30)을 학습자가 별다른 공구없이 손으로만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컨베이어 밸트 장치를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록(10)들과 제1구동블록(20) 및 제2구동블록(30)은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위치결정홀과 위치결정돌기를 형성하고 위치결정홀에 위치결정돌기를 삽입시킴으로서, 블록(10)들과 제1구동블록(20) 및 제2구동블록(30)들이 틀어지지 않고 특정 위치에서 결합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블록(10)은 외면에 자석을 삽입할 수 있는 홀을 몸통 주변의 면들에 각각에 형성하고, 상기 홀에 자석을 더 삽입하는 추가 구성으로, 블록(10)들을 서로 간에 수직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복수 개의 블록(10)들을 이용하여 다각형 지지대 구조의 컨베이어 밸트를 구현할 수 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 교육 장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이송로봇(5)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2이송로봇의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 교육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물류 교육 장치에 도시된 블록(10)과, 제1구동블록(20), 제2구동블록(30), 밸트(40), 자석(51, 52, 53) 및, 모터(60)를 2세트로 각각 조립하여 제1세트부(100)와 제2세트부(200)로 구성한 상태에서 사물 판별 센서(1), 제1접촉센서(2), 제2접촉센서(3), 제1구동실린더(4), 제1이송로봇(5), 제2이송로봇(6), 제2구동실린더(7) 및 제어기(8)를 부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물류 교육 장치의 블록(10)과, 제1구동블록(20), 제2구동블록(30), 밸트(40), 자석(51, 52, 53) 및, 모터(60)를 2세트로 각각 조립하여 제1세트부(100)와 제2세트부(200)로 구성한 상태에서 평면상에 상기 제1세트부(100)와 상기 제2세트부(200)를 'ㄱ'형상으로 배치한다.
상기 사물 판별 센서(1)는 제1세트부(100)의 밸트(40) 길이 방향에 이송체(1a)의 존재 유무를 판별하도록 제1세트부(100)의 일 단에 설치된다. 이러한 사물 판별 센서(1)는 밸트(40)의 길이 방향으로 초음파를 발신하여 수신량을 검출함으로서 사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초음파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사물 판별 센서(1)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접촉센서(2)는 제2세트부(200)의 일 단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1접촉센서(2)는 사물이 일정 거리 영역내에 위치하는 경우 이를 판별하는 센서로서, 와전류 센서 또는 리미트 스위치 또는 광전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1접촉센서(2)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접촉센서(3)는 제2세트부(200)의 타 단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2접촉센서(3)는 사물이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이를 판별하는 센서로서, 와전류 센서 또는 리미트 스위치 또는 광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2접촉센서(3)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구동실린더(4)는 제어기(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세트부(100)의 타 단부에 배치되며, 이송체(1a)를 제2세트부(200)의 밸트(40)로 밀어낸다. 이 경우, 제1구동실린더(4)는 단부에 브라켓(4a)을 구비하는데, 브라켓(4a)은 'ㄱ'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세트부(100)에 이송되는 이송체(1a)가 브라켓(4a)의 내측 귀퉁이 걸리도록 하는 스톱퍼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이송로봇(5)은 구동상판(5a), 케이스(5b), 가이드(5c), 제2모터(5d), 회전풀리(5e), 구동밸트(5f) 및, 다관철체인(5g)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제1이송로봇(5)은 제1세트부(100)의 일정 상부 공간에서 제1세트부(100)와 수평하게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구동상판(5a)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구동상판(5a)은 케이스(5b)의 측면에 설치되는 가이드(5c)를 따라 슬라이딩 구동된다. 이 경우, 제1이송로봇(5)은 케이스(5b)의 일 측에 결합되는 제2모터(5d)를 구비하고, 제2모터(5d)는 회전풀리(5e)의 중심축과 연결되어 회전풀리(5e)를 회전시킨다. 이 경우, 회전풀리(5e)는 서로 이격되도록 두 곳에 형성된 상태에서 구동밸트(5f)가 감겨진 상태로 케이스(5b)의 내측홀에 삽입되며, 제2모터(5d)의 회전시에 회전되어 구동밸트(5f)를 회전시킨다. 이 경우, 구동밸트(5f)의 일 지점에는 다관절체인(5g)이 결합되며, 구동밸트(5f)의 이동시에 다관절체인(5g)이 같이 이동되도록 하고, 다관절체인(5g)은 제1이송로봇(5)의 케이스(5b)에 결합된 가이드(5c)의 구동상판(5a)과 결합되어 구동밸트(5f)의 이동시에 체인을 이동시켜 구동상판(5a)을 제1이송로봇(5)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1이송로봇(5)은 밸트 방식을 이용한 일반적인 많이 이용되는 일축 이송 장치에 해당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1이송로봇(5)의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이송로봇(5)은 일 축으로 구동상판(5a)을 이송가능한 모든 로봇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이송로봇(6)은 제1이송로봇(5)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제1이송로봇(5)과 결합되어 제2이송로봇(6)을 이송시키는 이송상판(6a)을 구비한다. 여기서, 이송상판(6a)은 볼 스크류(6b)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며, 볼 스크류(6b)와 스크류 결합되어 볼 스크류(6b)의 회전시에 제2이송로봇(6)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볼 스크류(6b)는 제3모터(6c)가 결합되어 제3모터(6c)의 회전에 의해 이송상판(6a)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이송로봇(6)은 볼 스크류 방식을 이용한 일반적인으로 많이 이용되는 일축 이송 장치에 해당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2이송로봇(6)의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2이송로봇(6)은 이송상판(6a)을 일 축으로 이송가능한 모든 로봇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실린더(7)는 제2이송로봇(6)의 구동상판(5a)에 결합되며, 단부에 진공흡착패드(7a)가 부착된다.
상기 제어기(8)는 제1세트부(100)의 모터(60)와 제2세트부(200)의 모터(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물 판별 센서(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접촉센서(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접촉센서(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이송로봇(5)의 모터(60)의 제2모터(5d)와 제2이송로봇(6)의 제3모터(6c)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기(8)는 PLC컨트롤러 또는 피씨와 같은 중앙처리장치를 탑재한 프로그램 가능한 장치로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성들과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이들을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어기(8)는 피씨와 연결되어 PLC프로그램에 의해 제1세트부(100)와 제2세트부(200) 및 이송로봇들의 구동을 직접 프로그램 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기(8)의 구동을 설명하면, 먼저 제어기(8)는 제1세트부(100)의 밸트(40) 상부에 이송체(1a)가 존재하는 경우 사물 판별 센서(1)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고, 제1세트부(100)의 모터(60)를 구동시켜 제1세트부(100)의 밸트(40) 상부에 배치된 이송체(1a)를 이송시킨다.
다음, 제어기(8)는 제1접촉센서(2)에 이송체(1a)가 접촉되는 경우에 제1접촉센서(2)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은 후 제1세트부(100)의 모터(60)를 정지시키고, 제1구동실린더(4)에 신호를 보내 제1구동실린더(4)를 전진구동시켜 브라켓(4a)이 제1세트부(100)의 타 단부에 위치한 이송체(1a)를 제2세트부(200)의 일 단부의 밸트(40) 상부로 밀어내도록 한다.
이때, 제어기(8)는 제1접촉센서(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단절되는 경우에, 제2세트부(200)의 모터를 구동시켜 이송체(1a)를 제2세트부(200)의 길이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된다.
다음, 이송체(1a)가 이송되어 제2세트부(200)의 타 단으로 이송되는 경우에 제2접촉센서(3)는 이를 검출하여 제어기(8)로 신호를 보내고, 제어기(8)는 제2세트부(200)의 모터(60)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후, 제어기(8)는 일정시간 정지 시간을 갖고 제1이송로봇(5)에 신호를 보내 제1이송로봇(5)의 구동상판(5a)을 이송시켜 구동상판(5a)과 결합된 제2구동실린더(7)가 이송체(1a)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다음, 제어기(8)는 제2구동실린더(7)에 신호를 보내 제2구동실린더(7)를 전진시켜 제2구동실린더(7)의 흡착패드(7a)가 이송체(1a)를 흡착하도록 한다.
다음, 제어기(8)는 제1이송로봇(5)에 신호를 보내 제1이송로봇(5)의 구동상판(5a)을 이송시키고 제2이송로봇(6)에 신호를 보내 제2이송로봇(6)의 이송상판(6a)을 구동시킴으로서, 이송상판(6a)에 결합된 제1이송로봇(6)을 이동시킨다. 이 경우, 제어기(8)는 제1이송로봇(6)을 이동시켜 제1세트부(100)의 일 단에 제2구동실린더(7)가 배치되도록 한다.
이후, 제어기(8)는 제2구동실린더(7)의 흡착패드(7a)에 신호를 보내 이송체(1a)의 흡착을 중지시킨다. 그러면, 이송체(1a)는 최초 출발 위치인 제1세트부(100)의 밸트(60) 상부로 배치되고, 별다른 중지 신호가 없는 한 상기한 과정들을 계속적으로 반복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 교육 장치는 물류 교육을 받는 학습자들이 컨베이어의 원리를 이용한 블록들과 이송체를 이송시키는 이송로봇을 별도의 공구가 필요없이 간단하게 조립하고, 학습자 자신이 제어기의 프로그램을 작성하도록 함으로서 자동 물류 시스템의 설치에서 구동까지 매우 간단한 작업만으로 실습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블록
20 ; 제1구동블록
30 ; 제2구동블록
40 ; 밸트
51, 52, 53 ; 자석
60 ; 모터
100 ; 제1세트부
200 ; 제2세트부
1 ; 사물 판별 센서
2 ; 제1접촉센서
3 ; 제2접촉센서
4 ; 제1구동실린더
5 ; 제1이송로봇
6 ; 제2이송로봇
7 ; 제2구동실린더
8 ; 제어기

Claims (11)

  1. 블록;
    상기 블록의 일 단에 결합하며, 중앙에 제1회전자가 설치되는 제1구동블록;
    상기 블록의 타 단에 결합하며, 중앙에 제2회전자가 설치되는 제2구동블록;
    상기 제1회전자와 상기 제2회전자에 설치되는 밸트; 및,
    상기 블록과, 상기 제1구동불럭 및, 상기 제2구동블록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는 자석; 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자석은 상기 블록과 상기 제1구동블록 및 상기 제2구동블록 사이에서 자화되어 상기 블록과 상기 제2구동블록 및 상기 제2구동블록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교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축이 상기 제1회전자의 중심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1구동블록과 결합되고,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경우 제1회전자를 회전시켜 상기 밸트를 회전시키는 모터; 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교육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과, 상기 제1구동블록, 상기 제2구동블록, 상기 밸트, 상기 자석 및, 상기 모터를 2세트로 각각 조립하여 제1세트부와 제2세트부로 구성하고, 평면상에 상기 제1세트부와 상기 제2세트부를 'ㄱ'형상으로 배치하며,
    상기 제1세트부의 밸트 길이 방향에 이송체의 존재 유무를 판별하도록 상기 제1세트부의 일 단에 설치되는 사물 판별 센서;
    상기 제2세트부의 일 단에 설치되는 제1접촉센서;
    상기 제2세트부의 타 단에 설치되는 제2접촉센서; 및,
    상기 제1세트부의 모터와 상기 제2세트부의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제1세트부의 모터와 상기 제2세트부의 모터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기; 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사물 판별 센서와 상기 접촉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세트부의 밸트 상부에 이송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세트부의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제1세트부의 밸트 상부에 배치된 이송체를 이송시키고, 상기 제1접촉센서에 이송체가 접촉되는 경우에 상기 제2세트부의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제2세트부의 밸트 상부에 위치하는 이송체를 이송시키며, 상기 제2접촉센서에 상기 이송체가 접촉되는 경우에 상기 제2세트부의 모터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교육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세트부의 타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체를 상기 제2세트부로 밀어내는 브라켓을 구비하는 제1구동실린더; 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접촉센서에서 상기 이송체의 검출시, 상기 브라켓이 상기 이송체를 상기 제2세트부로 밀어내도록 상기 제1구동실린더를 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교육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세트부의 일정 상부 공간에서 상기 제1세트부와 수평하게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구동상판을 이동시키는 제1이송로봇;
    상기 제1이송로봇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이송로봇과 결합되어 상기 제2이송로봇을 이송시키는 이송상판을 구비하는 제2이송로봇; 및,
    상기 제2이송로봇의 구동상판에 결합되며, 단부에 진공흡착패드가 부착되는 제2구동실린더; 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어기는 제2이송로봇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이송로봇의 이송상판을 이송시켜 상기 제1이송로봇을 이송시키며, 상기 제1이송로봇의 구동상판을 이송시켜 상기 제2구동실린더를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구동실린더가 상기 진공흡착패드를 이용하여 상기 이송체를 흡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교육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과 상기 제1구동블록 중 어느 하나에는 위치결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과 상기 제1구동블록 중 어느 하나에는 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위치결정홀에 상기 위치결정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블록과 상기 제1구동블록의 결합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교육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과 상기 제1구동블록 중 어느 하나에는 위치결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홀에 상기 자석이 삽입되어 상기 블록과 상기 제1구동블록을 자석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교육 장치.
  8. 모터를 이용하여 컨베이어 시스템을 구현하는 물류 교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의 지지대 역할을 하는 복수 개의 블록; 및,
    상기 복수 개의 블록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블록들에 사이에서 자화되어 상기 블록들을 자석결합시키는 자석; 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교육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들 가운데 어느 하나는 위치결정홀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위치결정홀에 상기 위치결정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블록과 상기 제1구동블록의 결합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교육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들에는 위치결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홀에 상기 자석이 삽입되어 상기 블록들을 자석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교육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에는 적어도 두 곳 이상 위치결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자석은 상기 위치결정홀과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되어, 상기 위치결정홀들에 상기 자석이 삽입되어 상기 블록들을 자석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교육 장치.
KR1020110035390A 2011-04-15 2011-04-15 물류 교육 장치 KR101279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390A KR101279454B1 (ko) 2011-04-15 2011-04-15 물류 교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390A KR101279454B1 (ko) 2011-04-15 2011-04-15 물류 교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572A true KR20120117572A (ko) 2012-10-24
KR101279454B1 KR101279454B1 (ko) 2013-06-26

Family

ID=47285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390A KR101279454B1 (ko) 2011-04-15 2011-04-15 물류 교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4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36198A (zh) * 2013-04-28 2013-08-07 苏州博实机器人技术有限公司 机电一体化通用教学平台
RU190263U1 (ru) * 2018-07-19 2019-06-25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Дидактические Системы" Ленточный конвейер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и сортировки поступающих на него деталей в комплекте учеб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для монтажа, наладки и эксплуатации автоматических линий и мехатронных систем
CN110491273A (zh) * 2019-09-21 2019-11-22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土木建筑教学模型架
CN114783232A (zh) * 2022-04-25 2022-07-22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平山县供电分公司 一种用电安全普及营销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916B1 (ko) 2017-11-30 2020-04-03 정윤석 스마트 팩토리 물류제어 교육시스템
CN108922359A (zh) * 2018-06-23 2018-11-30 刘道灵 一种中高职智能制造教育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857Y1 (ko) * 2002-09-19 2003-02-12 지상근 생산자동화 트레이닝 키트
KR100823056B1 (ko) * 2006-12-22 2008-04-18 (주)에스에스앤아이 공장 자동화 교육용 시스템
JP2010160354A (ja) * 2009-01-08 2010-07-22 Murata Machinery Ltd 物流機器の操作教育システム
KR101028966B1 (ko) * 2009-04-29 2011-04-12 이규휘 유아용 자석블록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36198A (zh) * 2013-04-28 2013-08-07 苏州博实机器人技术有限公司 机电一体化通用教学平台
CN103236198B (zh) * 2013-04-28 2015-05-27 苏州博实机器人技术有限公司 机电一体化通用教学平台
RU190263U1 (ru) * 2018-07-19 2019-06-25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Дидактические Системы" Ленточный конвейер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и сортировки поступающих на него деталей в комплекте учеб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для монтажа, наладки и эксплуатации автоматических линий и мехатронных систем
CN110491273A (zh) * 2019-09-21 2019-11-22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土木建筑教学模型架
CN114783232A (zh) * 2022-04-25 2022-07-22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平山县供电分公司 一种用电安全普及营销装置
CN114783232B (zh) * 2022-04-25 2023-10-20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平山县供电分公司 一种用电安全普及营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9454B1 (ko)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9454B1 (ko) 물류 교육 장치
KR102096916B1 (ko) 스마트 팩토리 물류제어 교육시스템
EP3031756A1 (en) Linear drive transport system and method
US8978869B2 (en) Centrifugal bowl parts feeder system with segmented tooling sections
US10775396B2 (en) Sample handling device and method for sample handling
TW201600858A (zh) 搬運裝置
CN103796500B (zh) 电子元件安装装置和电子元件安装装置中的吸嘴识别方法
CN105293021B (zh) 零件输送系统和姿势调整器具
KR101782986B1 (ko) Plc 자동화 응용실습장치
KR102139950B1 (ko) 이물질 체크 및 마찰력이 감소된 식품용 컨베이어장치
KR101772631B1 (ko) 물류로봇용 위치보정 구동장치
EP3477797A1 (en) Assembly system and assembly method
JPWO2017056292A1 (ja) 実装ヘッド、及び表面実装機
CN104992611A (zh) 一种机电分离模块化多机器人生产实训系统及方法
CN201294057Y (zh) 自动流水线培训装置
CN203199599U (zh) 一种可以同时传送和识别多种工件的输送带
JP2023164640A (ja) 収容体移送キャリア
TW201402269A (zh) 設備加工系統
CN108029238B (zh) 旋转型的安装头及表面安装机
JP6099364B2 (ja) 組立装置
CN111882972A (zh) 智能柔性机电一体化通用教学平台
KR101383637B1 (ko) 지폐처리기용 롤러장치
CN213904713U (zh) 一种物料加工装配的实训装置
KR102143903B1 (ko) 냉장고 도어용 가스켓의 자석 삽입장치
TW201825915A (zh) 檢測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