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6726A -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6726A
KR20120116726A KR1020110034351A KR20110034351A KR20120116726A KR 20120116726 A KR20120116726 A KR 20120116726A KR 1020110034351 A KR1020110034351 A KR 1020110034351A KR 20110034351 A KR20110034351 A KR 20110034351A KR 20120116726 A KR20120116726 A KR 20120116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
vehicle
vehicle door
door
relay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2542B1 (ko
Inventor
설춘용
김신국
전준원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4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542B1/ko
Publication of KR20120116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2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for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61C17/12Control gea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locomotives from remote points in the train or when operating in multip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railway cars or mass transit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는 선두차에 구비되며 일단이 전원에 연결된 배선용 차단기, 상기 선두차에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타단에 연결되어 노멀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후부차 계전기 접점, 상기 선두차에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후부차 계전기 접점의 타단에 연결되어 노멀 열림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선두차에 마스콘 키가 투입된 후 오프되는 경우 닫힘 상태로 전환되는 선두차 계전기 접점, 일단이 상기 선두차 계전기 접점의 타단에 연결된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 상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의 타단과 접지 사이에 설치된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및 일단이 상기 선두차 계전기 접점의 타단과 상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의 일단에 공통 연결되고, 타단이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에 연결된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간 출입문 열림 및 닫힘에 대한 제어를 각기 다른 운전실에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철도차량의 운행 및 유지보수의 효율이 향상되고, 1인 승무 방식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A CONTROL CIRCUIT OF DOOR BETWEEN VEHICLES USED IN RAILWAY CAR}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간 출입문 열림 및 닫힘에 대한 제어를 각기 다른 운전실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철도차량의 운행 및 유지보수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1인 승무 방식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은 필요에 따라 다수의 차량을 서로 연결한 편성 단위로 운행된다.
이러한 철도차량을 구성하는 차량의 단부에는 승객, 운전자, 검수원 등이 차량 간을 이동하기 위한 차량간 출입문이 구비되어 있으며, 철도차량의 성능 개선 및 기술 발전에 따라 차량간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기식 도어 엔진을 탑재한 차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기식 도어 엔진을 채용한 차량간 출입문을 일괄 제어하는 방식에 따르면, 운전실에 열림 및 닫힘 스위치를 적용하여 하나의 운전실에서 단순하게 열림 및 닫힘 동작만을 할 수 있으며, 운전자 이외에 차장이 탑승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운전대 교환 시 차량간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단순히 하나의 운전실에서만 차량간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선두차 운전실에서 차량간 출입문을 모두 열어둔 상태에서, 운전자 또는 검수원이 후부차 운전실로 이동하여 차량간 출입문을 닫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철도차량의 운행 및 유지보수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운행 및 유지보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식 도어 엔진을 채용한 차량간 출입문이 설치된 철도차량에서 유지 보수 업무 및 운전대 교환 시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운전실에서 열림 및 닫힘 동작을 일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간 출입문 열림 및 닫힘에 대한 제어를 각기 다른 운전실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1인 승무 시에도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는 선두차에 구비되며 일단이 전원에 연결된 배선용 차단기, 상기 선두차에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타단에 연결되어 노멀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후부차 계전기 접점, 상기 선두차에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후부차 계전기 접점의 타단에 연결되어 노멀 열림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선두차에 마스콘 키가 투입된 후 오프되는 경우 닫힘 상태로 전환되는 선두차 계전기 접점, 일단이 상기 선두차 계전기 접점의 타단에 연결된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 상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의 타단과 접지 사이에 설치된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및 일단이 상기 선두차 계전기 접점의 타단과 상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의 일단에 공통 연결되고, 타단이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에 연결된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선두차에 마스콘 키가 투입된 후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를 통해 차량간 출입문 열림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가 상기 배선용 차단기와 상기 후부차 계전기 접점과 상기 선두차 계전기 접점과 상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를 매개로 상기 전원을 공급받아 여자되고, 상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가 여자되는 경우 상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이 닫힘 상태로 전환되어 자기 유지되고, 상기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는 상기 후부차 계전기 접점과 상기 선두차 계전기 접점과 상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을 매개로 상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차량간 출입문이 열림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선두차에 구비된 배선용 차단기를 오프시키는 경우, 상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의 자기 유지가 해제되고 상기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차량간 출입문은 닫힘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에 있어서, 후부차에 마스콘 키가 투입된 후 오프되면, 상기 선두차에 구비된 후부차 계전기 접점이 노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의 자기 유지가 해제되고, 상기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차량간 출입문은 닫힘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는 선두차에 구비되며 일단이 전원에 연결된 배선용 차단기, 상기 선두차에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타단에 연결되어 노멀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후부차 계전기 접점, 일단이 상기 후부차 계전기 접점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노멀 열림 상태를 유지하는 제1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 상기 제1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의 타단과 접지 사이에 설치된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일단이 상기 후부차 계전기 접점의 타단과 상기 제1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의 일단에 공통 연결되어 있으며 노멀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제2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 및 일단이 상기 제2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에 연결된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를 통해 차량간 출입문 열림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가 상기 배선용 차단기와 상기 후부차 계전기 접점과 상기 제1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를 매개로 상기 전원을 공급받아 여자되고, 상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가 여자되는 경우 상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이 닫힘 상태로 전환되어 자기 유지되고, 상기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와 상기 후부차 계전기 접점과 상기 제2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와 상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을 매개로 상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차량간 출입문이 열림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에 있어서, 후부차에 마스콘 키가 투입된 후 오프되면, 상기 선두차에 구비된 후부차 계전기 접점이 노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의 자기 유지가 해제되고, 상기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차량간 출입문은 닫힘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를 통해 차량간 출입문 닫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노멀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제2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가 열림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의 자기 유지가 해제되고, 상기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차량간 출입문은 닫힘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철도차량의 운행 및 유지보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식 도어 엔진을 채용한 차량간 출입문이 설치된 철도차량에서 유지 보수 업무 및 운전대 교환 시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운전실에서 열림 및 닫힘 동작을 일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간 출입문 열림 및 닫힘에 대한 제어를 각기 다른 운전실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1인 승무 시에도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철도차량의 운전실에 마스콘 키(mascon key)가 투입된 후 오프(off)된 상태라 하더라도 차량 제어전원이 유지되는 상태를 전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는 배선용 차단기(NFB), 후부차 계전기 접점(TCR), 선두차 계전기 접점(HCR),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 및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선용 차단기(NFB)는 선두차에 구비되어 있으며, 배선용 차단기(NFB)의 일단은 전원에 연결되고 배선용 차단기(NFB)의 타단은 후부차 계전기 접점(TCR)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배선용 차단기(NFB)는 회로 상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이를 차단하여 회로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배선용 차단기(NFB)를 운전자나 검수원이 수동으로 오프시킴으로써, 열림 상태로 설정된 차량간 출입문의 상태를 닫힘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후부차 계전기 접점(TCR)은 선두차와 후부차에 구비되어 있으며, 후부차 계전기 접점(TCR)의 일단은 배선용 차단기(NFB)의 타단에 연결되고 후부차 계전기 접점(TCR)의 타단은 선두차 계전기 접점(HCR)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후부차 계전기 접점(TCR)은 노멀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b 접점 타입의 접점이다. 즉, 후부차 계전기 접점(TCR)은 후부차에 마스콘 키가 투입된 경우에만, 노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된다.
선두차 계전기 접점(HCR)은 선두차와 후부차에 구비되어 있으며, 선두차 계전기 접점(HCR)의 일단은 후부차 계전기 접점(TCR)의 타단에 연결되고 선두차 계전기 접점(HCR)의 타단은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의 일단과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a)의 일단에 공통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선두차 계전기 접점(HCR)은 노멀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b 접점 타입의 접점이다. 즉, 선두차에 마스콘 키가 투입된 경우 열림 상태로 전환된다.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의 일단은 선두차 계전기 접점(HCR)의 타단과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a)의 일단에 공통 연결되어 있고,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의 타단은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의 일단과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a)의 타단에 공통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는 운전자나 검수원이 선두차에서 차량간 출입문 열림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의 일단은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의 타단과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a)의 타단에 공통 연결되어 있고,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의 타단은 접지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소자 상태를 유지하다가,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를 통해 차량간 출입문 열림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이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를 매개로 전원을 공급받아 여자 상태로 전환된다.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a)의 일단은 선두차 계전기 접점(HCR)의 타단과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의 일단에 공통 연결되어 있고,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a)의 타단은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의 타단과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의 일단 및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CONTROLLER)에 공통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a)은 노멀 오프 상태를 유지하다가,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가 여자되는 경우 닫힘 상태로 전환되고, 이후 자기 유지된다.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CONTROLLER)는 이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a)을 매개로 전원을 공급받아, 철도차량에 구비된 차량간 출입문들을 열림 상태로 전환시키는 명령을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차량간 출입문 열림 동작의 예>
가선의 전원이 차량에 공급되고 선두차에 마스콘 키가 투입된 후 오프된 상태에서,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를 통해 차량간 출입문 열림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아래와 같은 차량간 출입문 열림 동작이 수행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가 배선용 차단기(NFB)와 후부차 계전기 접점(TCR)과 선두차 계전기 접점(HCR)과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를 매개로 전원을 공급받아 여자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가 여자되는 경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a)이 닫힘 상태로 전환되어 자기 유지된다.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CONTROLLER)는 후부차 계전기 접점(TCR)과 선두차 계전기 접점(HCR)과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a)을 매개로 전원을 공급받아, 차량간 출입문이 열림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차량간 출입문 닫힘 동작의 하나의 예>
선두차에 구비된 배선용 차단기(NFB)를 오프시키는 경우, 아래와 같은 차량간 출입문 닫힘 동작이 수행된다.
설명의 편의상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선두차에 구비된 배선용 차단기(NFB)가 오프되면,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a)의 자기 유지가 해제되고,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CONTROLLER)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이와 같이,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CONTROLLER)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CONTROLLER)는 차량간 출입문이 닫힘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차량간 출입문 닫힘 동작의 다른 예>
후부차에 마스콘 키가 투입된 후 오프되는 경우에도, 아래와 같은 차량간 출입문 닫힘 동작이 수행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후부차에 마스콘 키가 투입된 경우, 선두차에 구비된 후부차 계전기 접점(TCR)이 노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된다.
후부차 계전기 접점(TCR)이 열림 상태로 전환되면,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a)의 자기 유지가 해제되고,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CONTROLLER)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이와 같이,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CONTROLLER)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CONTROLLER)는 차량간 출입문이 닫힘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는 배선용 차단기(NFB), 후부차 계전기 접점(TCR), 제1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1),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 제2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2) 및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선용 차단기(NFB)는 선두차와 후부차에 구비되어 있으며, 배선용 차단기(NFB)의 일단은 전원에 연결되고 배선용 차단기(NFB)의 타단은 후부차 계전기 접점(TCR)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배선용 차단기(NFB)는 회로 상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이를 차단하여 회로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배선용 차단기(NFB)를 운전자나 검수원이 수동으로 오프시킴으로써, 열림 상태로 설정된 차량간 출입문의 상태를 닫힘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후부차 계전기 접점(TCR)은 선두차와 후부차에 구비되어 있으며, 후부차 계전기 접점(TCR)의 일단은 배선용 차단기(NFB)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고, 후부차 계전기 접점(TCR)의 타단은 제1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1)의 일단과 제2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2)의 일단에 공통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후부차 계전기 접점(TCR)은 노멀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b 접점 타입의 접점이다. 즉, 후부차 계전기 접점(TCR)은 후부차에 마스콘 키가 투입된 후 오프되는 경우에만, 노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된다.
제1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1)의 일단은 후부차 계전기 접점(TCR)의 타단과 제2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2)의 일단에 공통 연결되어 있고, 제1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1)의 타단은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의 일단과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a)의 타단에 공통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1)는 노멀 열림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운전자나 검수원이 선두차에서 차량간 출입문 열림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닫힘 상태로 전환된다.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의 일단은 제1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1)의 타단과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a)의 타단에 공통 연결되어 있고,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의 타단은 접지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소자 상태를 유지하다가, 제1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1)를 통해 차량간 출입문 열림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이 제1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1)를 매개로 전원을 공급받아 여자 상태로 전환된다.
제2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2)의 일단은 제1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1)의 일단과 후부차 계전기 접점(TCR)의 타단에 공통 연결되어 있고, 제2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2)의 타단은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a)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제2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2)는 노멀 닫힘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운전자나 검수원이 선두차에서 차량간 출입문 닫힘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열림 상태로 전환된다.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a)의 일단은 제2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2)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고,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a)의 타단은 제1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1)의 타단과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의 일단 및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CONTROLLER)에 공통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a)은 노멀 오프 상태를 유지하다가,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가 여자되는 경우 닫힘 상태로 전환되고, 이후 자기 유지된다.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CONTROLLER)는 이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a)을 매개로 전원을 공급받아, 철도차량에 구비된 차량간 출입문들을 열림 상태로 전환시키는 명령을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차량간 출입문 열림 동작의 예>
제1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1)를 통해 차량간 출입문 열림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아래와 같은 차량간 출입문 열림 동작이 수행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가 배선용 차단기(NFB)와 후부차 계전기 접점(TCR)과 제1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1)를 매개로 전원을 공급받아 여자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가 여자되는 경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a)이 닫힘 상태로 전환되어 자기 유지된다.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CONTROLLER)는 배선용 차단기(NFB)와 후부차 계전기 접점(TCR)과 제2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2)와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a)을 매개로 전원을 공급받아, 차량간 출입문이 열림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차량간 출입문 닫힘 동작의 하나의 예>
제2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2)를 통해 차량간 출입문 닫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아래와 같은 차량간 출입문 닫힘 동작이 수행된다.
설명의 편의상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선두차에 구비된 제2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2)를 통해 차량간 출입문 닫힘 명령이 입력되면 제2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2)가 오프 즉, 열림 상태로 전환된다. 제2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2)가 열림 상태로 전환되면, 제2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SW2)를 매개로 한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a)의 자기 유지가 해제되고,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CONTROLLER)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이와 같이,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CONTROLLER)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CONTROLLER)는 차량간 출입문이 닫힘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차량간 출입문 닫힘 동작의 다른 예>
후부차에 마스콘 키가 투입된 후 오프되는 경우에도, 아래와 같은 차량간 출입문 닫힘 동작이 수행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후부차에 마스콘 키가 투입된 후 오프되는 경우, 선두차에 구비된 후부차 계전기 접점(TCR)이 노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된다.
후부차 계전기 접점(TCR)이 열림 상태로 전환되면,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RELAYa)의 자기 유지가 해제되고,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CONTROLLER)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이와 같이,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CONTROLLER)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CONTROLLER)는 차량간 출입문이 닫힘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철도차량의 운행 및 유지보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식 도어 엔진을 채용한 차량간 출입문이 설치된 철도차량에서 유지 보수 업무 및 운전대 교환 시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운전실에서 열림 및 닫힘 동작을 일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간 출입문 열림 및 닫힘에 대한 제어를 각기 다른 운전실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1인 승무 시에도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방식에 따르면, 하나의 운전실에서만 차량간 출입문 제어가 가능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가선 전압이 인입되고 있는 상태에서 선두차 운전실과 후부차 운전실에 관계없이 차량간 출입문의 제어가 가능하고, 가선 전압이 인입되지 않더라도 BV 핸들 또는 마스콘 KEY를 취급한 상태에서 차량간 출입문의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착역 등에서 운전대 교환시 선두차 운전실에서 운전자가 차량간 출입문을 일괄 제어하여 열고, 후부차 운전실에서 차량간 출입문을 일괄적으로 닫을 수 있게 되어, 운전자가 차량간 출입문을 통해 차량 내부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의 이동성이 증대되고, 운전대 교환시 운전자가 직접 차량 내부를 점검할 수 있게 되어 안전사고 예방에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NFB: 배선용 차단기
TCR: 후부차 계전기 접점
HCR: 선두차 계전기 접점
SW: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
SW1: 제1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
SW2: 제2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
RELAY: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RELAYa: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
CONTROLLER: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

Claims (8)

  1.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에 있어서,
    선두차에 구비되며 일단이 전원에 연결된 배선용 차단기;
    상기 선두차에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타단에 연결되어 노멀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후부차 계전기 접점;
    상기 선두차에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후부차 계전기 접점의 타단에 연결되어 노멀 열림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선두차에 마스콘 키가 투입된 후 오프되는 경우 닫힘 상태로 전환되는 선두차 계전기 접점;
    일단이 상기 선두차 계전기 접점의 타단에 연결된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
    상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의 타단과 접지 사이에 설치된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및
    일단이 상기 선두차 계전기 접점의 타단과 상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의 일단에 공통 연결되고, 타단이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에 연결된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을 포함하는,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두차에 마스콘 키가 투입된 후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를 통해 차량간 출입문 열림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가 상기 배선용 차단기와 상기 후부차 계전기 접점과 상기 선두차 계전기 접점과 상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를 매개로 상기 전원을 공급받아 여자되고,
    상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가 여자되는 경우 상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이 닫힘 상태로 전환되어 자기 유지되고,
    상기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는 상기 후부차 계전기 접점과 상기 선두차 계전기 접점과 상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을 매개로 상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차량간 출입문이 열림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두차에 구비된 배선용 차단기를 오프시키는 경우, 상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의 자기 유지가 해제되고 상기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차량간 출입문은 닫힘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
  4. 제2 항에 있어서,
    후부차에 마스콘 키가 투입된 후 오프되면, 상기 선두차에 구비된 후부차 계전기 접점이 노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의 자기 유지가 해제되고, 상기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차량간 출입문은 닫힘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
  5.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에 있어서,
    선두차에 구비되며 일단이 전원에 연결된 배선용 차단기;
    상기 선두차에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타단에 연결되어 노멀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후부차 계전기 접점;
    일단이 상기 후부차 계전기 접점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노멀 열림 상태를 유지하는 제1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
    상기 제1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의 타단과 접지 사이에 설치된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일단이 상기 후부차 계전기 접점의 타단과 상기 제1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의 일단에 공통 연결되어 있으며 노멀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제2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 및
    일단이 상기 제2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에 연결된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을 포함하는,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를 통해 차량간 출입문 열림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가 상기 배선용 차단기와 상기 후부차 계전기 접점과 상기 제1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를 매개로 상기 전원을 공급받아 여자되고,
    상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가 여자되는 경우 상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이 닫힘 상태로 전환되어 자기 유지되고,
    상기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와 상기 후부차 계전기 접점과 상기 제2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와 상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을 매개로 상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차량간 출입문이 열림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
  7. 제6 항에 있어서,
    후부차에 마스콘 키가 투입된 후 오프되면,
    상기 선두차에 구비된 후부차 계전기 접점이 노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의 자기 유지가 해제되고, 상기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차량간 출입문은 닫힘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를 통해 차량간 출입문 닫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노멀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제2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스위치가 열림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차량간 출입문 개폐제어 릴레이 접점의 자기 유지가 해제되고, 상기 차량간 출입문 컨트롤러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차량간 출입문은 닫힘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
KR1020110034351A 2011-04-13 2011-04-13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 KR101252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351A KR101252542B1 (ko) 2011-04-13 2011-04-13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351A KR101252542B1 (ko) 2011-04-13 2011-04-13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726A true KR20120116726A (ko) 2012-10-23
KR101252542B1 KR101252542B1 (ko) 2013-04-08

Family

ID=47284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351A KR101252542B1 (ko) 2011-04-13 2011-04-13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254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79399A (zh) * 2012-12-18 2013-03-20 唐山轨道客车有限责任公司 端门打开系统
CN103821424A (zh) * 2014-03-17 2014-05-28 南车南京浦镇车辆有限公司 改善稳定性的车门关闭控制方法
CN106959624A (zh) * 2017-03-27 2017-07-18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门控数据选取方法以及门控数据选取装置
CN110409953A (zh) * 2018-04-27 2019-11-0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门开闭控制装置、方法和系统
CN111016939A (zh) * 2019-11-27 2020-04-17 中车南京浦镇车辆有限公司 一种地铁车辆h型逻辑控制电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4342Y1 (ko) * 1995-10-24 1998-08-17 석진철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회로
KR100889792B1 (ko) * 2007-11-13 2009-03-20 현대로템 주식회사 열차출입문 제어시스템
KR20100008945U (ko) * 2009-03-03 2010-09-13 주식회사 우진기전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79399A (zh) * 2012-12-18 2013-03-20 唐山轨道客车有限责任公司 端门打开系统
CN102979399B (zh) * 2012-12-18 2016-02-10 唐山轨道客车有限责任公司 端门打开系统
CN103821424A (zh) * 2014-03-17 2014-05-28 南车南京浦镇车辆有限公司 改善稳定性的车门关闭控制方法
CN103821424B (zh) * 2014-03-17 2016-02-24 南车南京浦镇车辆有限公司 改善稳定性的车门关闭控制方法
CN106959624A (zh) * 2017-03-27 2017-07-18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门控数据选取方法以及门控数据选取装置
CN106959624B (zh) * 2017-03-27 2019-06-21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门控数据选取方法以及门控数据选取装置
CN110409953A (zh) * 2018-04-27 2019-11-0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门开闭控制装置、方法和系统
CN111016939A (zh) * 2019-11-27 2020-04-17 中车南京浦镇车辆有限公司 一种地铁车辆h型逻辑控制电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2542B1 (ko) 201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2542B1 (ko)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
CN109162544B (zh) 一种无人驾驶地铁列车的车门电解锁控制电路
CN201694065U (zh) 一种用于城轨车辆的集中救援缓解系统
KR100786668B1 (ko) 철도차량의 출입문 개별제어장치
CN107867280A (zh) 车辆联挂控制电路、紧急停车制动的方法、轨道交通车辆
CN106494464B (zh) 一种基于通信的列车控制系统的正线信号显示方法
CN211075914U (zh) 一种无人驾驶车辆的紧急解锁控制自保持电路
CN106285246B (zh) 车门单独控制的安全电路
CN103615172A (zh) 具有双侧开关门控制的电动客车车辆门控外部电路
CN105383525A (zh) 一种自动驾驶列车和站台的控制系统
CN102582608A (zh) 一种纯电动汽车紧急制动电气控制装置
CN112441073A (zh) 城轨列车旁路系统
KR20120032719A (ko) 철도차량의 추진제어회로
CN108698624A (zh) 铁路技术设备和用于运行铁路技术设备的方法
CN110654238A (zh) 一种新能源车辆电气系统及安全断电控制方法
KR101512083B1 (ko) 고속열차 승강문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1434307B1 (ko)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회로 및 그 철도차량
CN113492815B (zh) 落车制动控制装置及磁悬浮列车
CN112780146B (zh) 一种列车车门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10696867B (zh) 一种轨道交通车辆磁轨制动控制电路
KR101306103B1 (ko)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CN110615015A (zh) 一种轨道交通车辆磁轨制动逻辑控制系统
KR100889792B1 (ko) 열차출입문 제어시스템
CN212079015U (zh) 一种行车过程中禁止门开的保护系统
KR101074718B1 (ko) 철도차량의 도어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