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5013A - Mems 공진기, 이를 구비하는 센서 및 mems 공진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Mems 공진기, 이를 구비하는 센서 및 mems 공진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5013A
KR20120115013A KR1020110032913A KR20110032913A KR20120115013A KR 20120115013 A KR20120115013 A KR 20120115013A KR 1020110032913 A KR1020110032913 A KR 1020110032913A KR 20110032913 A KR20110032913 A KR 20110032913A KR 20120115013 A KR20120115013 A KR 20120115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or
mems resonator
wire
base substrate
reson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9636B1 (ko
Inventor
임근배
안태창
김진영
성중우
이상우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10032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9636B1/ko
Priority to PCT/KR2011/003333 priority patent/WO2012138006A1/en
Priority to US13/519,451 priority patent/US9032795B2/en
Publication of KR20120115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 H03H3/00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07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of micro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24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of material which is not piezoelectric, electrostrictive, or magnetostri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B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e.g. MICROMECHANICAL DEVICES
    • B81B7/00Microstructural systems; Auxiliary parts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 B81B7/02Microstructural systems; Auxiliary parts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containing distinct electrical or optical devices of particular relevance for their function, e.g.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C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 B81C1/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or systems in or on a substrate
    • B81C1/0064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or systems in or on a substrate for improv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a device
    • B81C1/0065Mechanical properties
    • B81C1/00682Treatments for improving mechanical properties, not provided for in B81C1/00658 - B81C1/0065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01C19/56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e.g. vibratory angular rate sensors based on Coriolis forces
    • G01C19/5783Mountings or housings not specific to any of the devices covered by groups G01C19/5607 - G01C19/5719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2244Details of micro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338Suspension mea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24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of material which is not piezoelectric, electrostrictive, or magnetostrictive
    • H03H9/2405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of material which is not piezoelectric, electrostrictive, or magnetostrictive of micro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2447Beam resonators
    • H03H9/2457Clamped-free beam reson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B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e.g. MICROMECHANICAL DEVICES
    • B81B2201/00Specific applications of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 B81B2201/02Sensors
    • B81B2201/0271Resonators; ultrasonic reson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machines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EMS 공진기, 이를 구비하는 센서 및 MEMS 공진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MEMS 공진기는, 일면에서 리세스되는 리세스부를 구비하는 MEMS 공진기의 베이스 기판과, 상기 리세스부의 빈공간을 이용하여 진동하도록 상기 베이스 기판에 장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리세스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진동자, 및 상기 진동자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여 상기 MEMS 공진기의 고유주파수를 조정하도록 상기 진동자와 베이스 기판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공진기의 고유주파수가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MEMS 공진기, 이를 구비하는 센서 및 MEMS 공진기의 제조방법{MEMS RESONATOR, SENSOR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MEMS RESONATOR}
본 발명은 미세전자기계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공진기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하여 제조된 MEMS 공진기 및 센서에 관한 것이다.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공진기는 필터, 센서, 트랜스듀서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MEMS 공진기를 이용한 센서로는 공진형 MEMS 자이로스코프, 가속도계와 같은 관성센서들이 있다. MEMS 공진형 자이로스코프의 경우는 구동부와 측정부의 주파수를 일치시키면 감지능력이 크게 증가하기 때문에 MEMS 공진기의 고유주파수 조정방법이 매우 필요하다. 이 밖에도 MEMS 공진기를 이용한 디바이스에서 고유주파수 오차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보정하여 제품의 균일도를 높이기 위해서 고유주파수 조정방법이 이용된다.
MEMS 공진기의 고유주파수 조정방법으로는 레이저 절제, 화학 기상 증착, 집속 이온빔 증착 등의 방법이 주로 이용된다. 레이저 절제를 이용한 MEMS 공진기 주파수 조정방법은 레이저를 이용해 공진기의 질량을 제거하여 주파수를 조정하고, 화학 기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집속 이온빔(Focused ion beam, FIB) 증착을 이용한 방법은 MEMS 공진기에 물질을 증착하여 공진기의 질량을 늘려 주파수를 조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고가의 장비, 설비를 필요하고, 수행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조정된 주파수를 되돌릴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MEMS 공진기 및 이의 제조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MEMS 공진기의 고유주파수를 간단하게 조정(설정)할 수 있는 MEMS 공진기, 이를 구비하는 센서 및 MEMS 공진기의 고유주파수 조정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역적 특성을 구비하는 MEMS 공진기 및 MEMS 공진기의 제조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미세전자기계시스템(MEMS) 공진기는, 일면에서 리세스되는 리세스부를 구비하는 MEMS 공진기의 베이스 기판과, 상기 리세스부의 빈공간을 이용하여 진동하도록 상기 베이스 기판에 장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리세스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진동자, 및 상기 진동자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여 상기 MEMS 공진기의 고유주파수를 조정하도록 상기 진동자와 베이스 기판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기판에는 상기 일면을 덮도록 이루어지는 박막이 증착되고, 상기 진동자는 상기 박막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박막과 상기 진동자의 일면에는 각각 제1 및 제2 금속막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 및 제2 금속막을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 및 제2 금속막을 전극으로 하는 유전영동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유전영동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금속막에 부착되는 나노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금속막은 상기 박막과 상기 진동자로부터 상기 빈 공간으로 돌출되는 구조물들에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금속막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상기 와이어는 전압의 인가에 의하여 절단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진동자는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고정단과 상기 리세스부로 연장되는 자유단을 구비하는 외팔보를 이루거나, 상기 리세스부를 가로질러 양단이 각각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고정보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센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진동자를 구비하는 상기 MEMS 공진기, 및 가속도 또는 각속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진동자의 변위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센서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진동자를 구비하는 MEMS 공진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과 진동자에 각각 제1 및 제2 전극막이 생성된 MEMS 공진기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전극막의 사이에 나노입자가 혼합된 용액을 충전하는 단계, 및 상기 진동자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여 상기 MEMS 공진기의 고유주파수를 조정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전극막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베이스 기판과 진동자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EMS 공진기의 고유주파수 조정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조하는 단계는, 베이스 기판에 박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박막이 기설정된 패턴을 형성하도록 식각하는 단계와, 상기 패턴이 형성된 박막에 상기 제1 및 제2 금속막을 증착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을 식각하여 상기 진동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용액에는 폴리머의 단량체가 혼합된다. 상기 나노입자는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금나노입자 및 은나노입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과 관련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조정방법은 상기 MEMS 공진기의 고유주파수를 복원시키도록 상기 와이어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와이어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MEMS 공진기, 이를 구비하는 센서 및 MEMS 공진기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전기적으로 와이어를 생성하므로써, 기초적인 장비를 이용하여 저비용으로 신속히 MEMS 공진기의 고유주파수를 조정(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공진형 MEMS 자이로스코프, 가속도계 등과 같은 공진형 센서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생성된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간단히 절단함으로써 MEMS 공진기의 고유주파수를 되돌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 형성을 통한 MEMS 공진기의 고유주파수 조정방법은 저비용으로도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므로, 기존보다 더 넓은 범위의 MEMS 공진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EMS 공진기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2a 내지 도 2h는 와이어가 생성되기 전의 MEMS 공진기를 제조하는 개념도들
도 3은 도 1의 제조방법에서 와이어가 생성되기 전의 MEMS 공진기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MEMS 공진기에 와이어 생성용 용액을 공급하는 개념도
도 5는 도 3의 MEMS 공진기에서 와이어를 생성시키는 개념도
도 6은 도 5와 같이 MEMS 공진기에 생성된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절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MEMS 공진기의 현미경 사진에 대응하는 개념도
도 8은 도 7의 A부분의 확대도
도 9는 도 7의 MEMS 공진기가 적용된 센서의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MEMS 공진기의 고유주파수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MEMS 공진기의 고유주파수가 조정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MEMS 공진기, 이를 구비하는 센서 및 MEMS 공진기의 제조방법(고유주파수 조정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EMS 공진기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h는 와이어가 생성되기 전의 MEMS 공진기를 제조하는 개념도들이고, 도 3은 도 1의 제조방법에서 와이어가 생성되기 전의 MEMS 공진기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MEMS 공진기에 와이어 생성용 용액을 공급하는 개념도이고, 도 5는 도 3의 MEMS 공진기에서 와이어를 생성시키는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5와 같이 MEMS 공진기의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절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MEMS 공진기의 제조방법은 먼저, 베이스 기판과 진동자에 각각 제1 및 제2 전극막이 생성된 MEMS 공진기를 제조한다(S100).
MEMS 공진기는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진동자를 구비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형태의 공진기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하는 단계(S100)는 박막을 증착하는 단계, 식각하는 단계, 금속막을 증착하는 단계 및 진동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박막을 증착하는 단계에서 베이스 기판에 박막이 증착된다. 예를 들어, 도 2a와 같이 작업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기판(101)을 준비하고, 도 2b와 같이 저압 화학 기상 증착(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tion, LPCVD) 등을 통해서 기판(101)에 저응력 실리콘 질화막(102)을 증착한다.
식각하는 단계에서는 기설정된 패턴이 형성되도록 상기 박막을 식각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c와 같이 패턴막(103)을 포토리소그래피를 이용하여서 형성하고, 반응성 이온 식각(Reactive ion etching, RIE)을 이용해서 실리콘 질화막(102)을 개구된 패턴(104)을 따라 식각한다.
금속막을 증착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패턴이 형성된 박막에 상기 제1 및 제2 금속막을 증착한다. 예를 들어, 도 2e와 같이 기존의 패턴막(103)을 제거하고 새로운 패턴막(105)을 포토리소그래피를 이용하여 형성하고, 도 2f와 같이 크롬, 골드로 이루어진 금속막(106)을 증착한다. 이후에, 도 2g와 같이 상기의 패턴막(105)을 제거하면 제1 전극막(고정측 전극, 107)과 제2 전극막(진동자 측의 전극, 108)이 형성된다.
진동자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베이스 기판을 식각하여 상기 진동자를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트라메틸 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Tetramethyl-Ammonium Hydroxide, TMAH) 용액을 이용해서 전체를 식각하면 도 2h 및 도 3과 같이 최종적으로 MEMS 공진기가 준비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MEMS 공진기는 도 3과 같이, 외팔보 형태의 진동자(112)를 구비하는 MEMS 공진기로서, 와이어 형성을 위한 서로 대칭되는 구조물(109, 110)을 구비한다. 상기 두 개의 구조물(109, 110)의 사이에는 와이어 형성을 위한 공간(111)이 형성된다. 상기 구조물은(109, 110)은 상기 공간(111)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조물은(109, 110)은 각각 베이스 기판 및 진동자(112)으로부터 서로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MEMS 공진기 제조 단계(S100)의 일 예에서 설명한 실리콘 기판(101), 저응력 실리콘 질화막(102), 크롬 골드로 이루어진 금속막(106)은 다른 재료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공정 방법으로 이용한 저압 화학 기상 증착, 반응성 이온 식각, 포토리소그래피의 방법도 본 발명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작 방법으로 상술한 MEMS 공진기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MEMS 공진기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1 및 제2 전극막의 사이에 나노입자가 혼합된 용액을 충전한다(S200).
상기 용액은 용매와 나노입자를 혼합하여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용매에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CNT)가 0.01 내지 10 중량% 만큼 첨가되며, 나아가 용액에 대하여 계면활성제 및 초음파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진동자(112) 측의 와이어 형성을 위한 구조물(110)과 이와 마주보는 박막 측의 상기 와이어 형성을 위한 구조물(109)간의 와이어 형성을 위한 공간(111)에 와이어 형성을 위해 제조한 용액(121)이 공급된다.
상기 나노 입자는 탄소 나노 튜브(CNT) 뿐만 아니라 풀러렌(C60), 금나노입자, 은나노입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액에는 용매에 나노입자 외에도 피롤, 아닐린 등의 기능성 폴리머의 단량체가 혼합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진동자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여 상기 MEMS 공진기의 고유주파수를 조정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전극막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베이스 기판과 진동자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생성한다(S300).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제1 및 제2 전극막(107, 108)에 함수 발생기(114)를 이용해서 전압을 가한다. 상기 전압은 1kHz 내지 100MHz의 주파수 범위의 교류 전압이 될 수 있다. 상기 전압의 인해 와이어 합성을 위한 용액(121) 내의 나노입자들은 유전영동에 의해서 와이어 합성을 위한 구조물(109, 110)에 모이게 되며, 나아가 서로 달라붙어서 와이어(122)를 형성한다.
MEMS 공진기의 고유주파수(f)는 공진기의 탄성계수(k)와 유효질량(m)에 의해서 식 (1)과 같이 결정되어진다.
Figure pat00001
도 5를 참조하면, 형성된 와이어는 진동자(112)의 탄성계수를 늘리거나(k+k') 유효질량을 줄여서(m-m') MEMS 공진기의 고유주파수(f')를 증가시킨다. 이는 식 (2)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탄성계수는 와이어의 물성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고, 유효질량은 MEMS 공진기의 전극구조물 배치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상기 MEMS 공진기의 고유주파수를 복원시키도록 상기 와이어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와이어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6과 같이 MEMS 공진기에 형성된 와이어(122)를 전기적인 방법을 이용해서 절단하게 되면 와이어의 영향이 없어져 MEMS 공진기의 고유주파수는 원상태로 회복된다.
예를 들어, 함수 발생기(114)를 통해서 와이어 합성을 위한 제1 및 제2 전극막(107, 108)에 강한 전압을 인가하면 와이어(122)에 강한 전류가 흐르게 되며, 이를 통하여 와이어(122)가 전기적으로 절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와이어 생성을 이용한 MEMS 공진기의 주파수 조정 방법은 기초적인 장비로 와이어를 생성하여 MEMS 공진기의 고유주파수를 조정하고 상기 와이어를 간단히 절단함으로써 MEMS 공진기의 고유주파수를 되돌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작되는 MEMS 공진기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센서에 대하여 도 3과 함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MEMS 공진기의 현미경 사진에 대응하는 개념도이며, 도 8은 도 7의 A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9는 도 7의 MEMS 공진기가 적용된 센서의 개념도이다.
도시에 의하면, MEMS 공진기(200)는 베이스 기판(201), 진동자(212) 및 와이어(222)를 포함한다.
베이스 기판(201)는 일면에서 리세스(recess)되는 리세스부(201a)를 구비하며, 진동자(212)는 상기 리세스부(201a)의 빈공간을 이용하여 진동하도록, 상기 베이스 기판(201)에 장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리세스부(201a)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리세스부(201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자가 변형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진동자(212)는 상기 기판(201)에 연결되는 고정단과 상기 리세스부(201a)로 연장되는 자유단을 구비하는 외팔보를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진동자는 상기 리세스부를 가로질러 양단이 각각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고정보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의하면, 베이스 기판(201)에는 상기 일면을 덮도록 이루어지는 박막(202)이 증착되고, 진동자(212)는 상기 박막(202)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이루어진다.
박막(202)과 진동자(212)의 일면에는 각각 제1 및 제2 금속막(207, 208)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금속막(207, 208)은 각각 기판측 박막과 진동자측 박막으로부터 리세스부의 빈공간을 향하여 돌출된 구조물들(209, 210)에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물들(209, 210)은 복수의 쌍으로 구비되며, 각 쌍들은 기설정된 거리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222)는 진동자(212)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여 상기 MEMS 공진기(200)의 고유주파수를 조정하도록, 상기 진동자(212)와 베이스 기판(201)에 각각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와이어(222)는 제1 및 제2 금속막(207, 208)을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와이어(222)는 제1 및 제2 금속막(207, 208)을 전극으로 하는 유전영동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전영동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금속막(207, 208)에 부착되는 나노입자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는 전압의 인가에 의하여 절단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가역적인 MEMS 공진기(200)가 구현된다.
이하, 본 발명의 MEMS 공진기가 적용될 수 있는 센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센서는 센서 본체, 도 7 및 도 8의 MEMS 공진기(200)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MEMS 공진기는 센서 본체에 장착되며, 제어부가 가속도 또는 각속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진동자의 변위를 검출한다.
이러한 센서의 일 예로서, 도 7 및 도 8의 MEMS 공진기는 도 9의 공진형 자이로스코프에 적용될 수 있다. 도 9의 공진형 자이로스코프는 기존에 알려진 자이로스코프의 구조에 본 발명의 MEMS 공진기를 적용한 것이다.
도시에 의하면, 공진형 자이로스코프는 자이로의 프루프매스를 구동축으로 진동을 시키고 이때 외부에서 들어오는 각속도에 의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발생하는 코리올리힘에 의해 변화되는 감지축의 변위를 측정하여 각속도를 감지한다. 공진형 자이로스코프는 수직하게 교차되는 측정축, 감지축을 갖고, 각축은 질량, 스프링, 댐핑 시스템으로 각각의 공진주파수를 갖는다. 그리고 공진점에서 최대의 변위를 나타내며, 높은 Q-factor에 같은 힘을 정적으로 가했을 때 보다 1000~100000배 수준의 높은 변위를 보인다. 측정축은 공진주파수로 진동시켜서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변위를 최대로 한다. 이때 측정축의 공진주파수가 구동축의 공진주파수와 일치되면 측정축의 변위가 최대가 되어 자이로의 감도가 크게 향상된다. 따라서, 고유주파수의 조정이 간단한 도 7의 MEMS 공진기(200)가 적용된 공진형 자이로스코프는 보다 용이하게 감지능력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도 7의 MEMS 공진기는 캔틸레버 센서에 적용될 수 있다. 캔틸레버 센서는 캔필레버 표면에 물질 결합에 의한 질량변화와, 질량변화에 따른 공진주파수 변화를 측정하는 원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7의 MEMS 공진기가 적용되면 주파수 튜닝에 의해 민감한 영역으로 공진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MEMS 공진기의 고유주파수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MEMS 공진기의 고유주파수가 조정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진동 신호 분석기(FFT analyzer, 801)의 출력전압이 압전소자(PZT, 802)에 연결되며, 이를 통하여 MEMS 공진기의 진동자(212)에 진동이 가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출력전압은 일정한 전압이 주파수를 변화시키면서 증가하게 되며, 압전소자(802)는 주파수를 변화시키며 MEMS 공진기의 진동자(212)에 진동을 가한다. 진동자(212)의 진동은 레이저 진동계(803)가 측정하여 전압신호로 진동 신호 분석기(801)에 입력한다. 진동 신호 분석기(801)는 주파수에 따른 진동자의 진동을 기록하여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와이어를 생성하기 전인 기본 상태에서 측정된 MEMS 공진기의 고유주파수는 5.89kHz 이며, 이는 와이어를 생성하면 5.96 kHz 로 증가한다. 또한, 그래프를 참조하면, 와이어를 절단하였을 때에, MEMS 공진기의 고유주파수는 5.89kHz 로 복원된다.
상기와 같이 나노입자로 구성된 와이어를 생성함에 따라, 공진기의 기계적 특성을 조절하고, 이를 통해 고유주파수가 조정된다. 나아가, 와이어가 생성될 전극의 배치와 와이어의 물성변화를 통해, 고유주파수는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MEMS 공진기, 이를 구비하는 센서 및 MEMS 공진기의 제조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5)

  1. 일면에서 리세스되는 리세스부를 구비하는 미세전자기계시스템(MEMS) 공진기의 베이스 기판;
    상기 리세스부의 빈공간을 이용하여 진동하도록, 상기 베이스 기판에 장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리세스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진동자; 및
    상기 진동자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여 상기 MEMS 공진기의 고유주파수를 조정하도록, 상기 진동자와 베이스 기판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MEMS 공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에는 상기 일면을 덮도록 이루어지는 박막이 증착되고,
    상기 진동자는 상기 박막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EMS 공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과 상기 진동자의 일면에는 각각 제1 및 제2 금속막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 및 제2 금속막을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EMS 공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 및 제2 금속막을 전극으로 하는 유전영동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EMS 공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유전영동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금속막에 부착되는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EMS 공진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금속막은 상기 박막과 상기 진동자로부터 상기 빈 공간으로 돌출되는 구조물들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EMS 공진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금속막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EMS 공진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전압의 인가에 의하여 절단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EMS 공진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는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고정단과 상기 리세스부로 연장되는 자유단을 구비하는 외팔보를 이루거나, 상기 리세스부를 가로질러 양단이 각각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고정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EMS 공진기.
  10. 센서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진동자를 구비하고,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MEMS 공진기; 및
    가속도 또는 각속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진동자의 변위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센서.
  11.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진동자를 구비하는 MEMS 공진기의 고유주파수 조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과 진동자에 각각 제1 및 제2 전극막이 생성된 MEMS 공진기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전극막의 사이에 나노입자가 혼합된 용액을 충전하는 단계; 및
    상기 진동자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여 상기 MEMS 공진기의 고유주파수를 조정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전극막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베이스 기판과 진동자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EMS 공진기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하는 단계는,
    베이스 기판에 박막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박막이 기설정된 패턴을 형성하도록 식각하는 단계;
    상기 패턴이 형성된 박막에 상기 제1 및 제2 금속막을 증착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을 식각하여 상기 진동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EMS 공진기의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에는 폴리머의 단량체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EMS 공진기의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는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금나노입자 및 은나노입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MEMS 공진기의 제조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MEMS 공진기의 고유주파수를 복원시키도록 상기 와이어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와이어를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MEMS 공진기의 제조방법.
KR1020110032913A 2011-04-08 2011-04-08 Mems 공진기, 이를 구비하는 센서 및 mems 공진기의 제조방법 KR101239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913A KR101239636B1 (ko) 2011-04-08 2011-04-08 Mems 공진기, 이를 구비하는 센서 및 mems 공진기의 제조방법
PCT/KR2011/003333 WO2012138006A1 (en) 2011-04-08 2011-05-04 Mems resonator, sensor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mems resonator
US13/519,451 US9032795B2 (en) 2011-04-08 2011-05-04 MEMS resonator, sensor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MEMS reson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913A KR101239636B1 (ko) 2011-04-08 2011-04-08 Mems 공진기, 이를 구비하는 센서 및 mems 공진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013A true KR20120115013A (ko) 2012-10-17
KR101239636B1 KR101239636B1 (ko) 2013-03-11

Family

ID=46969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913A KR101239636B1 (ko) 2011-04-08 2011-04-08 Mems 공진기, 이를 구비하는 센서 및 mems 공진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32795B2 (ko)
KR (1) KR101239636B1 (ko)
WO (1) WO20121380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0898A3 (en) * 2013-06-07 2015-05-0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icromechanical resonant switches and charge pump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40230B2 (en) 2011-06-27 2017-01-10 Invensense, Inc. Methods for CMOS-MEMS integrated devices with multiple sealed cavities maintained at various pressures
US9718679B2 (en) 2011-06-27 2017-08-01 Invensense, Inc. Integrated heater for gettering or outgassing activation
US9738512B2 (en) 2012-06-27 2017-08-22 Invensense, Inc. CMOS-MEMS integrated device including multiple cavities at different controlled pressur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10252920B2 (en) * 2015-09-07 2019-04-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owfield sensors for monitoring liquid flow
KR101724488B1 (ko) 2015-12-11 2017-04-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Mems 공진기
CA3030308C (en) 2016-07-29 2022-04-05 The Board Of Trustees Of Western Michigan University Magnetic nanoparticle-based gyroscopic sensor
US10771040B2 (en) * 2017-07-12 2020-09-08 Nutech Ventures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the actuation voltage for electrostatic MEMS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0636A (en) * 1975-03-03 1976-02-24 Sperry Rand Corporation Acoustic delay surface wave motion transducer systems with enhanced stability
US4715227A (en) * 1986-09-02 1987-12-29 The Singer Company Multisensor assembly with angular rate piezoelectric crystal beam
KR100394016B1 (ko) 2001-07-16 200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mems 공진기 및 그 제조방법,상기 공진기를 이용한 주파수 발생기
US20040011650A1 (en) * 2002-07-22 2004-01-22 Frederic Zenhauser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ipulating polarizable analytes via dielectrophoresis
US7857956B2 (en) * 2003-02-27 2010-12-2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nanoelectrodes
JPWO2005012923A1 (ja) * 2003-08-04 2006-09-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加速度センサ
JP2006041911A (ja) * 2004-07-27 2006-0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emsフィルタ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81354B2 (ja) * 2004-09-10 2009-12-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振動子の支持構造および物理量測定装置
JP2006308543A (ja) * 2005-03-31 2006-11-09 Fujitsu Media Device Kk 角速度センサ
JP2007058105A (ja) * 2005-08-26 2007-03-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マイクロミラー素子及び可動構造
JP5622347B2 (ja) * 2006-08-09 2014-11-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慣性センサ装置
US8362618B2 (en) * 2006-11-08 2013-01-29 Northeastern University Three dimensional nanoscale circuit interconnect and method of assembly by dielectrophoresis
DE102007001516B3 (de) * 2007-01-10 2008-04-3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ikromechanisches Bauelement mit einstellbarer Resonanzfrequenz durch Geometrieänder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sselben
KR100949375B1 (ko) * 2007-10-31 2010-03-25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 와이어 제조 방법, 그리고 미세 와이어를 포함하는 센서 제조 방법
US8232544B2 (en) * 2008-04-04 2012-07-31 Nokia Corporation Nanowire
KR101000642B1 (ko) * 2009-02-25 2010-12-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Mems구동기의 기계적 구속에 의한 마이크로 공진기의 고유 주파수 튜닝장치, 이를 구비한 마이크로 공진기, 그 제조방법 및 튜닝방법
US20120085649A1 (en) * 2010-03-09 2012-04-12 Virginia Tech Intellectual Properties, Inc. Dielectrophoresis devices and methods therefor
US20120061241A1 (en) * 2010-09-15 2012-03-15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0898A3 (en) * 2013-06-07 2015-05-0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icromechanical resonant switches and charge pumps
US9431201B2 (en) 2013-06-07 2016-08-3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icromechanical resonant switches and charge pum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32795B2 (en) 2015-05-19
KR101239636B1 (ko) 2013-03-11
US20120279302A1 (en) 2012-11-08
WO2012138006A1 (en) 201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9636B1 (ko) Mems 공진기, 이를 구비하는 센서 및 mems 공진기의 제조방법
Mochida et al. A micromachined vibrating rate gyroscope with independent beams for the drive and detection modes
JP5543085B2 (ja) 表面技術を用いて製造されたピエゾ抵抗検出共鳴素子
CN103363978B (zh) 陀螺仪设备和制造微机电陀螺仪的方法
US8256289B2 (en) Angular rate sensor
KR101100021B1 (ko) Z-축 각속도 센서
JP5680310B2 (ja) 歪みゲージによる面外検出を用いた表面技術におけるジャイロメーター
JP3327150B2 (ja) 共振型角速度センサ
US7546768B2 (en) Mounting structure of angular rate sensor
JP5875844B2 (ja) ピエゾ電気駆動部を備えるmems振動ビーム加速度計
JP2006053152A (ja) 振動数検出を用いたマイクロジャイロメーター
US8686714B2 (en)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and a method of providing an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JP5024803B2 (ja) 検知センサ
CN102980565B (zh) 圆环波动微机械陀螺及其制备方法
WO2018105132A1 (ja) 確率共振を通じた振動エネルギーハーベスタ及びこれを用いた振動エネルギーハーベスティングシステム
Khan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 MEMS butterfly resonator using synchronizing beam and out of plane actuation
JP4362877B2 (ja) 角速度センサ
CN111065889A (zh) 振动陀螺仪
CN116086420B (zh) 一种振环型mems陀螺仪及其制作方法
JP4362739B2 (ja) 振動型角速度センサ
JP4586425B2 (ja) 振動式トランスデューサ
JP2020118603A (ja) 角速度センサ
JP5418355B2 (ja) 角速度センサ
JP5193541B2 (ja) 角速度検出装置
JP3800238B2 (ja) 角速度センサ及び角速度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