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1885A -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 - Google Patents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1885A
KR20120111885A KR1020110111651A KR20110111651A KR20120111885A KR 20120111885 A KR20120111885 A KR 20120111885A KR 1020110111651 A KR1020110111651 A KR 1020110111651A KR 20110111651 A KR20110111651 A KR 20110111651A KR 20120111885 A KR20120111885 A KR 20120111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gas spring
holding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이찌 간다
Original Assignee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1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8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78Gas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좁은 스페이스에 작은 가스 스프링을 실장하여 개폐 부재를 크게 개폐한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는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개폐 기구(20)는 상부 보유 지지부(33)와 가스 스프링(34)과 하부 보유 지지부(28)로 이루어진다. 하부 보유 지지부(28)의 회동 부재(27)는 회동 단부를 부세 부재(25)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회동 부세되고, 회동 지지점 지지부(26)의 상방에서 가스 스프링(34)의 하단부를 지지함과 함께 가스 스프링(34)을 힌지(17)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부세한다. 가스 스프링(34)의 상단부는 상부 고정 부재(30)를 통하여 상부 보유 지지부(33)의 판 형상 부재(32)의 홈 구멍(31)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계합한다. 개폐 패널(18)이 상방으로 개방되어 가스 스프링(34)의 선단부가 신장되어 반력이 제로에 근접하면, 힌지(17)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받고 있는 부세력에 의해 가스 스프링(34)의 상단부는 초기 이동시의 홈 구멍(31)의 힌지(17)측 단부로부터 힌지(17)의 반대측 단부로 이동하여 정지하고, 완전 개방된 개폐 패널(18)을 지지한다.

Description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OPENING AND CLOSING MEMBER}
본 발명은,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좁은 스페이스에 작은 가스 스프링을 실장하여 개폐 부재를 크게 개폐한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는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나 ATM(automated teller[telling] machine) 등의 본체 장치 내부의 여러 장치의 메인터넌스를 행하기 위해, 통상시에는 폐쇄되어 있는 개폐 부재의 보닛이나 전방부 패널을 완전 개방한다. 그때, 완전 개방된 개폐 부재를 완전 개방 위치에 유지하는 부재로서 가스 스프링이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 참조).
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은, 도 2 및 도 3을 보면, 보닛(도어, 엔진 포드)의 완전 개방시에는, 가스 스프링의 하단부는 계지 홈부(11)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에 인입하여 가스 스프링이 계지 홈부(11)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ATM의 보수ㆍ운용ㆍ공장 내 제조 시험시에, 내부 유닛이나 부품류를 조작하는 경우, 개방 패널을 전방 방향으로부터 상방으로 개방하여 작업을 행하지만, 작은 가스 스프링이 실장 가능하게 기재되어 있다.
도 10은, 종래의 ATM의 일반적인 형상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ATM(1)은, 본체 캐비닛(2)의 상부 전방에 표시 유닛(3)과 일체인 개폐 패널(4)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 캐비닛(2)의 개폐 패널(4)로부터 후방 내부에는, 카드 삽입구(5)를 구비한 카드 판독 유닛(6)과, 그 하방에는, 현금 삽입 불출구(7)를 구비한 현금 수납 지불 유닛(8)이 배치되어 있다.
도 11의 (a), (b)는 상기한 바와 같은 ATM(1)의 개폐 패널(4)의 개폐에 가스 스프링을 이용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a), (b) 모두, 가스 스프링(9)(9a, 9b)의 하단부는 본체 캐비닛(2)의 내부 측벽의 지지부(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단부는 개폐 패널(4)의 보유 지지판 부재(12)에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도 11의 (a)는, 가스 스프링(9a)에 비교적 대형의 가스 스프링을 이용한 예를 나타내고 있고, 가스 스프링 전체가 대형이며, 피스톤(13a)의 신장이 길어, 개폐 패널(4)을 크게 완전 개방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형의 가스 스프링(9b)의 경우는 피스톤(13b)의 신장이 짧으므로, 개폐 패널(4)을 완전 개방해도 크게는 개방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가스 스프링에 의해 개방 부재의 중량을 지탱하는 충분한 반력과 개폐 부재의 충분한 개방 각도를 얻기 위해서는, 가스 스프링 자체의 반력의 변동이나, 온도 변화에 의한 변동, 경년 변화에 의한 반력 저하 등에 의해, 가스 스프링에 대한 초기 반력의 설정이 어렵다.
가스 스프링의 반력이 저하되면 완전 개방된 개폐 부재를 보유 지지할 수 없어, 개폐 부재가 자연 낙하된다. 가스 스프링에 일단 설정된 반력의 조정은 불가능하므로, 반력이 저하된 가스 스프링은 교환해야만 한다.
[특허 문헌 1]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01-150789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11-336415호 공보
그런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은, 완전 개방된 보닛을 폐쇄할 때에는, 일단 보닛을 한쪽 손으로 들어올려 가스 스프링의 하단부를 계지 홈부의 하부의 오목부로부터 부상하게 하고, 다른 쪽 손으로 가스 스프링을 안쪽 방향으로 압입하여 계지 홈부로부터 빼내면서 보닛을 폐쇄한다고 하는 수고를 요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자동차와 같이 본체 장치가 고가인 것은, 보닛의 사이즈나 중량에 따른 가스 스프링을 특별 주문할 수도 있지만, ATM과 같이 본체 장치의 사이즈나 내부 유닛의 구성에 제약이 많은 장치에서는, 가스 스프링에 대한 선택지에도 제약이 있다.
예를 들면, 보수 작업 등일 때에는 개폐 패널의 개방 각도를 크게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런데 개폐 패널의 중량을 지탱하기 위해 필요한 반력이 얻어지는 대형의 가스 스프링을 부착할 스페이스가 없으면, 소형의 가스 스프링을 부착할 수밖에 없고, 그렇게 하면 개방 각도가 좁아진다.
또한, 개폐 패널의 개방 각도를 크게 하는 것을 우선하여, 무리하게 대형의 가스 스프링을 채용한 경우에는, 내부의 실장 유닛 등의 크기의 제약을 받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상을 감안하여, 좁은 스페이스에 작은 가스 스프링을 실장하여 개폐 부재를 크게 개폐한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는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는, 개구부를 갖는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근방의 내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가스 스프링의 하부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동 부재와, 상기 회동 부재에 회동 부세시키는 부세 부재를 구비하는 하부 보유 지지부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의 개폐 힌지 근방의 내면에 고정하여 세워 설치되고, 상기 힌지에 가까운 단부를 제1 보유 지지점으로 하고, 상기 힌지로부터 먼 단부를 제2 보유 지지점으로 하는 상측 가장자리가 원호 형상을 이루는 홈 구멍을 갖는 상부 보유 지지부와, 상기 하부 보유 지지부에 하단부가 보유 지지되고 상기 상부 보유 지지부에 상단부가 보유 지지되는 가스 스프링을 갖고 구성된다.
이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에 있어서, 예를 들면, 상기 가스 스프링은, 상기 상단부를 상기 상부 보유 지지부의 상기 홈 구멍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계합시키고, 상기 상단부는, 상기 개폐 부재의 폐쇄시에는 상기 제1 보유 지지점에 계지하고, 상기 개폐 부재의 개방시에는 상기 제2 보유 지지점에 계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 보유 지지부는, 상기 부세 부재와 상기 회동 부재의 협동에 의해, 상기 개폐 부재의 개방시에, 상기 가스 스프링의 상기 상단부를 상기 홈 구멍의 상기 제1 보유 지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보유 지지점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가스 스프링을 상기 개구부의 외측 방향으로 부세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에 있어서, 예를 들면, 상기 상부 보유 지지부의 상기 상측 가장자리가 원호 형상을 이루는 상기 홈 구멍은, 상기 개폐 부재의 폐쇄시에는 상기 제1 보유 지지점의 상기 상측 가장자리의 부분은 다른 상기 상측 가장자리의 부분보다도 최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개폐 부재의 개방시에는 상기 제2 보유 지지점의 상기 상측 가장자리의 부분은 다른 상기 상측 가장자리의 부분보다도 최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에 있어서, 예를 들면, 상기 가스 스프링은, 상기 상단부가 상기 제1 보유 지지점에 계지하고 있을 때 및 상기 제2 보유 지지점에 계지하고 있을 때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를 연결하는 직선은, 상기 하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부 방향으로 경사져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에 있어서, 예를 들면, 상기 부세 부재는, 당김 부세력을 갖고, 일단부를 상기 케이스의 내부의 소정의 개소에 고정된 부세 부재 보유 지지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를 상기 회동 부재의 회동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회동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의 상기 부세 부재 보유 지지부보다도 낮은 위치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된 회동 지지점 지지부에 의해 회동 지지점 겸 하부 지지 구멍을 회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고, 그 회동 지지점 겸 하부 지지 구멍의 상방에 절결부를 갖고, 상기 가스 스프링은, 상기 하단부에, 상기 회동 부재의 상기 회동 지지점 겸 하부 지지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는 피보유 지지 구멍과, 그 피보유 지지 구멍의 상방에 형성되고 상기 가스 스프링의 축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상기 회동 부재의 상기 절결부에 감합하는 판 한쪽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단부에 대해 상기 회동 부재로부터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상단부는, 상기 제1 보유 지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보유 지지점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에 있어서, 예를 들면, 상기 회동 부재는, 상기 회동 지지점 겸 하부 지지 구멍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부세 부재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부세되고, 상기 절결부의 상기 회동 단부측의 단부에 의해, 상기 절결부에 감입하고 있는 상기 가스 스프링의 상기 판 한쪽 부재의 상기 회동 단부측의 단부를 누름 부세하고, 그 누름 부세력과, 상기 가스 스프링의 상기 피보유 지지 구멍과 상기 판 한쪽 부재의 돌출 설치부 사이의 거리에서, 상기 피보유 지지 구멍의 형성부에 회전력을 생성하고, 상기 개폐 부재의 완전 개방시에, 상기 회전력에 의해 상기 가스 스프링의 본체를 통하여, 그 가스 스프링의 상기 상단부를, 상기 상부 보유 지지부의 상기 홈 구멍의 상기 제1 보유 지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보유 지지점에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에 있어서, 예를 들면, 상기 상부 보유 지지부는, 상기 홈 구멍의 상방에 상기 홈 구멍의 상측 가장자리의 원호를 따라서 형성된 조정용 홈 구멍과, 가로 부분과 세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갈고리형(鉤型)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로 부분에 의해 상기 조정용 홈 구멍에 계합하고, 상기 조정용 홈 구멍에 대한 고정 위치를 상기 조정용 홈 구멍을 따라서 임의의 위치에 고정 수단에 의해 설정되고, 상기 세로 부분은 상기 홈 구멍을 가로지르도록 연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 보유 지지점을 위치 가변으로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좁은 스페이스에 종래보다도 사이즈가 작고, 반력도 작은 가스 스프링을 실장하여 개폐 부재를 크게 개폐한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는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를 제공 가능하게 한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로서의 ATM(automated teller[telling] machine)의 개폐 패널을 개폐하는 가스 스프링과 그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의 (a), (b)는 실시예 1에 따른 가스 스프링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의 (a)는 실시예 1에 따른 가스 스프링의 상단부와 개폐 패널의 계합 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 1의 A-A' 단면 화살표도, 도 3의 (b)는 그 분해 사시도.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에 있어서의 개폐 패널측의 계합부로 되는 상부 보유 지지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5의 (a)는 실시예 1에 따른 가스 스프링의 하단부와 ATM 본체 케이스의 계합 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 1의 B-B' 단면 화살표도, 도 5의 (b)는 그 분해 사시도.
도 6의 (a), (b)는 실시예 1에 따른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에 있어서의 ATM 본체 케이스측의 계합부로 되는 하부 보유 지지부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의 (a), (b), (c)는 실시예 1에 따른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에 있어서의 개폐 패널 개방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의 (a)?(f)는 실시예 1에 따른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에 있어서의 개폐 패널 폐쇄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실시예 2에 따른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에 있어서의 개폐 패널측의 계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종래의 ATM의 일반적인 형상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의 (a), (b)는 종래의 ATM의 개폐 패널의 개폐에 가스 스프링을 이용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로서의 ATM(automated teller[telling] machine)의 개폐 패널을 개폐하는 가스 스프링과 그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예의 ATM(15)은, 케이스로서의 본체 캐비닛(16)의 전방 상부에, 개폐 힌지(17)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로 회동하는 개폐 부재로서의 개폐 패널(18)을 구비하고 있다. 개폐 패널(18)은 상방에 표시 유닛(19)을 구비하고, 하방에 카드 삽입구(21)와 현금 삽입 불출구(2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에는, 개폐 기구(20)를 알기 쉽게 도시하기 위해, 카드 삽입구(21)에 대응하여 본체 캐비닛(16)의 내부 상단에 배설되어 있는 카드 판독 유닛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현금 삽입 불출구(22)에 대응하는 내부의 현금 수납 지불 유닛도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예의 개폐 기구(20)는, 개구부(23)를 갖는 본체 캐비닛(16)의 개구부 근방의 양측면 내부에 설치되고, 부세 부재 보유 지지부(24)와, 부세 부재로서의 나선 스프링(25)과, 회동 지지점 지지부(26)와, 회동 부재(27)로 이루어지는 하부 보유 지지부(2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예의 개폐 기구(20)는, 개구부(23)를 개폐하는 개폐 패널(18)의 개폐 힌지(17) 근방의 내면(29)에 고정하여 개폐 패널(18)의 내면에 대하여 세워 설치되고, 상측 가장자리가 원호 형상을 이루는 홈 구멍(31)을 갖는 판 형상 부재(32)로 이루어지는 상부 보유 지지부(3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예의 개폐 기구(20)는, 하부 보유 지지부(28)의 회동 부재(27)에 하단부가 보유 지지되고, 상부 보유 지지부(33)의 판 형상 부재(32)의 홈 구멍(31)에 상단부가 보유 지지되는 가스 스프링(34)을 구비하고 있다. 가스 스프링(34)은, 상단부를 상부 고정 부재(30)를 통하여 판 형상 부재(32)의 홈 구멍(31)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계합시키고 있다.
도 2의 (a), (b)는,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가스 스프링(34)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스 스프링(34)은, 내부에 고압 가스를 봉입한 실린더(35)와, 이 실린더(35) 내를 진퇴하는 피스톤(36)을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35)의 상단에는,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상부 고정 부재를 통하여 상부 보유 지지부(33)의 홈 구멍(31)에 계합하기 위한 계합 구멍(37)(이하, 상단부(37)라고도 함)과 판 한쪽 부재(38a)를 갖는 상부 계합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판 한쪽 부재(38a)는, 계합 구멍(37)의 하방에 있어, 가스 스프링(34)의 축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L형, T형, コ의 자형 등의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피스톤(36)의 하단에는, 이와 상세하게 후술하는 하부 보유 지지부(28)의 회동 부재(27)에 계합하기 위한 피보유 지지 구멍(39)과 판 한쪽 부재(41)를 갖는 하부 계합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판 한쪽 부재(41)는, 피보유 지지 구멍(39)의 상방에 있어, 가스 스프링(34)의 축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L형, T형, コ의 자형 등의 형상을 하고 있다(또한, 판 한쪽 부재(41) 및 상부 계합부(38)의 판 한쪽 부재(38a)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스 스프링(34)이 고정이 가능한 형상이면 됨).
이 가스 스프링(34)은, 도 2의 (a)에 도시하는 신장력(내부 가스에 의한 반력)이 제로가 되는 가장 신장할 때의 상태와, 도 2의 (b)에 화살표 a로 나타내는 신장력(이하, 반력이라고도 함)이 최대가 되는 최압축 길이의 상태의 2가지의 상태를 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의 (a)는, 상기의 가스 스프링(34)의 상단부(상부 계합부(38))와 개폐 패널(18)의 계합 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 1의 A-A' 단면 화살표도, 도 3의 (b)는 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패널(18)에는 판 형상 부재(32)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판 형상 부재(32)는, 단차부(32a)를 형성하고 있다. 이 단차부(32a)를 경계로 하여, 한쪽의 평판 형상 부분(32b)에 의해 개폐 패널(18)의 내면(내부 측면)(29)에 고정되고, 다른 쪽의 평판 형상 부분(32c)에 의해, 홈 구멍(31)과 상부 고정 부재(43)를 통하여 가스 스프링(34)의 상부 계합부(38)와 계합하고 있다.
상부 고정 부재(43)는, 축 부재(44)와, 컬러(45)와, 와셔(46)와, E링(47)으로 구성되어 있다. 축 부재(44)는, 큰 헤드부(44a), 둥근 막대 형상의 삽통부(44b), 및 삽통부(44b)의 선단부 근방에 형성된 링 고정 홈(44c)을 갖고 있다.
축 부재(44)는, 삽통부(44b)를, 판 형상 부재(32)의 평판 형상 부분(32c)에 대해 외측(개폐 패널(18)에 대한 외측)으로부터 홈 구멍(31)에 관통시키고, 헤드부(44a)를 평판 형상 부분(32c)의 외측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당접시키고 있다.
컬러(45)는, 판 형상 부재(32)의 평판 형상 부분(32c)과 축 부재(44)의 삽통부(44b) 및 가스 스프링(34)의 상부 계합부(38) 사이에 개재하여 장착되고, 홈 구멍(31)의 상측 가장자리에 접하여 슬라이딩하면서, 홈 구멍(31)에 대한 상부 계합부(38)의 미끄럼 이동을 원활하게 조성한다.
와셔(46)는, 삽통부(44b)에 감합하고, 상부 계합부(38)의 외측에 접하여, 계합 부재간의 분리 접촉을 조정한다. E링(47)은, 링 고정 홈(44c)에 감입하여, 헤드부(44a) 및 평판 형상 부분(32c)에 대하여, 컬러(45), 상부 계합부(38), 와셔(46)를 위치 결정한다.
도 4는, 상기 구성의 개폐 기구(20)에 있어서의 개폐 패널(18)측의 계합부로 되는 상부 보유 지지부(33)의 판 형상 부재(32)의 형상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또한, 도 4에는, 본체 캐비닛(16) 및 개폐 패널(18)의 일부를 개폐 힌지(17)와 함께 나타내고, 홈 구멍(31)에는 컬러(45)의 홈 구멍(31)에의 감입부를 이점 쇄선의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에는, 도 1 및 도 3과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도 1 및 도 3과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 형상 부재(32)의 홈 구멍(31)은, 상측 가장자리(31a)의 형상이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다. 여기서, 상측 가장자리(31a)란, 홈 구멍(31)에서 길이 방향의 구멍의 가장자리(2개의 가장자리) 중, 개폐 힌지(17)의 중심보다 먼(떨어진) 쪽의 가장자리이고, 도 4에서는 상측에 있는 가장자리이다. 또한, 하측 가장자리(31b)는, 상측 가장자리(31a)와 대향한 홈 구멍(31)의 가장자리이고, 도 4에서는 하측에 있는 가장자리이다.
또한, 홈 구멍(31)의 하측 가장자리(31b)의 형상은, 컬러(45)의 홈 구멍(31)에의 감입부가 홈 구멍(31) 내를 용이하게 미끄럼 이동 가능하면, 상측 가장자리(31a)의 원호 형상이어도 되고, 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선 형상이어도 된다.
이 홈 구멍(31)에는, 개폐 힌지(17)에 가까운 단부를 제1 보유 지지점(48)으로 하고, 개폐 힌지(17)로부터 먼 단부가 제2 보유 지지점(49)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가스 스프링(34)의 상단부의 상부 계합부(38)는, 개폐 패널(18)의 폐쇄시에는 제1 보유 지지점(48)에 계지하고, 개폐 패널(18)의 개방시에는 제2 보유 지지점(49)에 계지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5의 (a)는 상기 구성의 개폐 기구(20)에 있어서의 가스 스프링(34)의 하단부와 ATM(15)의 본체 캐비닛(16)의 계합 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 1의 B-B' 단면 화살표도이다. 도 5의 (b)는 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캐비닛(16)의 양측면 내부에는, 하부 고정 부재의 회동 지지점 지지부(26)(51, 42, 39, 와셔(52, 53))의 일부를 이루는 스터드(51)의 헤드부(51a)가 고정되어 있다. 스터드(51), 즉 회동 지지점 지지부(26)의 고정 위치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세 부재 보유 지지부(24)보다도 낮은 위치로, 본체 캐비닛(16)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하부 고정 부재는 상기 스터드(51) 외에, 회동 부재(27), 와셔(52), E링(5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회동 지지점 지지부(26)는, 스터드(51), 하부 계합부(42), 피보유 지지 구멍(39), 회동 부재(27), 회동 지지점 겸 하부 지지 구멍(56), 와셔(52), E링(53)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터드(51)는, 두께가 있는 헤드부(51a), 헤드부(51a)로부터 돌출 설치하는 둥근 막대 형상의 삽통부(51b), 및 삽통부(51b)의 선단부 근방에 형성된 링 고정 홈(51c)을 갖고 있다.
회동 부재(27)는, 판 형상 부재로 이루어진다. 회동 부재(27)는, 한쪽의 단부인 회동 단부(27a)에 나선 스프링(25)(도 1 참조)의 하단부가 계지하는 부세 부재 계지 구멍(54)이 형성되고, 다른 쪽의 단부 근방에 단면이 상부 방향 コ의 자형의 절결부(55)가 형성되고, 그 절결부(55)의 하방에, 회동 지지점과 하부 지지 구멍을 겸하는 회동 지지점 겸 하부 지지 구멍(56)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부재 구성에 있어서, 상기의 스터드(51)의 삽통부(51b)가 가스 스프링(34)의 하단부의 하부 계합부(42)의 피보유 지지 구멍(39)과 회동 부재(27)의 회동 지지점 겸 하부 지지 구멍(56)에 삽통되고, 그 삽통부(51b)의 선단부에 와셔(52)가 감합되고, 링 고정 홈(51c)에 E링(53)이 감입된다. 이때, 가스 스프링(34)의 하부 계합부(42)의 판 한쪽 부재(41)가 회동 부재(27)의 상부 방향 コ의 자형의 절결부(55)에 감입한다.
도 6의 (a)는, 도 5의 (a)의 D 화살표도이며, 도 5의 (a)에 도시하는 구성에 도 1에 도시한 하부 보유 지지부(28)의 모든 구성도 추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b)는, 상기 구성의 개폐 기구(20)에 있어서의 하부 보유 지지부(28)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6의 (a), (b)에는, 도 1 내지 도 5의 (a), (b)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도 1 내지 도 5의 (a), (b)와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선 스프링(25)의 상단부는, 본체 캐비닛(16)에 고정되어 있는 부세 부재 보유 지지부(24)에 계지하고 있다. 또한, 나선 스프링(25)의 하단부는, 회동 부재(27)의 회동 단부(27a)에 계지시키고 있다.
나선 스프링(25)은 항상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당김 부세력을 발생하고 있다. 이에 의해, 회동 부재(27)의 회동 단부(27a)는,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 부세된다.
한편, 회동 이동 부재(27)의 절결부(55)에는, 가스 스프링(34)의 하단부의 하부 계합부(42)의 판 한쪽 부재(41)가 감입되어 있다.
회동 부재(27)의 회동 단부(27a)가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 부세되면, 절결부(55)의 회동 단부측의 각부(55a)가 판 한쪽 부재(41)의 회동 단부측의 각부(41a)를 화살표 d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 부세한다.
이 화살표 d로 나타내는 누름 부세력은, 도 6의 (b)에 알기 쉽게 과장되어 나타내고 있지만, 회동 부재(27)가 실선 위치로부터 파선 위치에 회동하였다고 한 경우의, 절결부(55)의 각부(55a) 즉 판 한쪽 부재(41)의 각부(41a)의 피보유 지지 구멍(39)에 대한 수평 방향의 이동 거리 f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누름 부세력이다.
이 누름 부세력은, 회동 부재(27)의 절결부(55)의 각부(55a)로부터 판 한쪽 부재(41)의 각부(41a)에 걸리는 누름 부세력과, 가스 스프링(34)의 피보유 지지 구멍(39)과 판 한쪽 부재(41) 사이의 거리에서 형성되는 피보유 지지 구멍(39)에 대한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이 가스 스프링(34)의 하단부에 대해 회동 부재(27)로부터 가해지는 회전력은,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신장 상태로 되어 반력 제로가 되어 있는 가스 스프링(34)의 상단부를 화살표 e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캐비닛(16)의 개구부(23)(도 1 참조)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된다.
즉, 하부 보유 지지부(28)는, 나선 스프링(25)과 회동 부재(27)의 협동에 의해, 개폐 패널(18)의 개방시에는, 가스 스프링(34)의 상단부(37)를, 도 4에 나타내는 홈 구멍(31) 내에 있어서, 제1 보유 지지점(48)으로부터 제2 보유 지지점(49)으로 이동시키도록, 가스 스프링(34)을 개구부의 외측 방향(본체 캐비닛(16)의 외측 방향)으로 부세한다.
도 7의 (a), (b), (c)는, 상기 구성의 개폐 기구(20)에 있어서의 개폐 패널(18)의 개방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a)는 개폐 패널(18)이 완전하게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7의 (b)는 개폐 패널(18)이 화살표 k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람의 손(이하, 사람의 손 k라고 함)에 의해, 개방되어 있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7의 (c)는 개폐 패널(18)이 사람의 손 k에 의해 완전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a), (b), (c)에 있어서, 회동 부재(27)에는 도 6의 (a)에 도시한 나선 스프링(25)으로부터의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당김 부세력이 항상 가해져 있다. 따라서, 가스 스프링(34)의 하부 계합부(42)의 피보유 지지 구멍(39)에는, 도 6의 (a), (b)에서 설명한 회전력이 피보유 지지 구멍(39)을 중심으로 하여, 항상 생기고 있다.
그리고, 이 회전력은, 가스 스프링(34)의 상단부(37)의 홈 구멍(31)과의 계합부에 대하여, 도 3의 (a), (b)에 도시한 컬러(45) 및 축 부재(44)를 통하여, 도 7의 (a), (b), (c)의 파선 동그라미 g, m, n으로 둘러싸는 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 e로 나타내는 이동력을 항상 발생시키고 있다.
한편, 도 7의 (a)의 파선 동그라미 g로 둘러싸는 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 스프링(34)의 상단부(37)에는, 상기의 이동력 e 외에, 수직 방향의 상부 방향의 힘 Y와 수평 방향의 내부 방향(본체 캐비닛(16)의 내부 방향)의 힘 X가 작용하고 있다.
이 수직 상부 방향의 힘 Y와 수평 내부 방향의 힘 X는, 도 7의 (a)의 파선 동그라미 j로 둘러싸는 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 스프링(34)의 신장력(반력) i의 분력이다.
도 7의 (a)에 도시하는 개폐 패널(18)의 폐쇄시에는, 가스 스프링(34)의 상단부(37)에 가해지는 신장력 i의 쪽이, 피보유 지지 구멍(39)의 회전력에 수반하는 이동력 e보다도 크고, 또한 신장력 i도 그 분력 Y도 모두 크게 또한 상부 방향이다.
또한, 가스 스프링(34)의 상단부(37)가 계합하고 있는 홈 구멍(31)의 제1 보유 지지점(48)은, 그 상측 가장자리의 부분이 다른 상측 가장자리의 부분보다도 최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가스 스프링(34)의 상단부(37)가 홈 구멍(31)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홈 구멍(31)의 내를 이동하는 일은 없다.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람의 손 k가 개폐 패널(18)을 개방하여 위로 밀어 올려 가면, 홈 구멍(31)이 위로 이동함으로써, 가스 스프링(34)의 선단부가 위로 연장된다. 이 시점에서, 가스 스프링 신장력 i는, 선단부의 이동력 e보다도 작아지고, 신장력 i는 제로에 근접해 간다.
그리고, 도 7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람의 손 k가 개폐 패널(18)을 완전 개방하였을 때, 가스 스프링(34)의 신장력 i는 제로가 되고, 분력 X도 제로가 된다. 이에 의해, 가스 스프링(34)의 상단부(37)는, 피보유 지지 구멍(39)의 회전력에 수반하는 이동력 e에 의해, 파선 동그라미 n으로 둘러싸는 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금까지 계합하였던 홈 구멍(31)의 제1 보유 지지점(48)으로부터 제2 보유 지지점(49)으로 이동한다.
사람의 손 k가 개폐 패널(18)로부터 떨어지면, 개폐 패널(18)은 자체 중량에 의해 폐쇄되는 방향, 즉 가스 스프링(34)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가스 스프링(34)은 압축되면 다시 신장력이 생기므로, 개폐 패널(18)이 폐쇄되려고 하는 힘과, 다시 생긴 신장력이 균형이 잡히는 곳이 개폐 패널(18)의 완전 개방 위치로 된다. 도 7의 (c)에 도시하는 개폐 패널(18)의 완전 개방 위치는, 실제로는 상기 쌍방의 힘이 균형이 잡힌 개폐 패널(18)의 완전 개방 위치이다.
이와 같이, 본 예의 가스 스프링(34)의 상단부(37)는, 개폐 패널(18)이 폐쇄되어 있을 때의 홈 구멍(31)과의 계합점인 제1 보유 지지점(48)에 대해, 개폐 패널(18)이 완전 개방되었을 때의 홈 구멍(31)과의 계합점인 제2 보유 지지점(48)은, 제1 보유 지지점(48)보다도 개방된 개폐 패널(18)의 전방측(도 7의 (c)에서는 오른쪽 상측)으로 간다.
즉, 개폐 패널(18)에 대한 가스 스프링(34)의 보유 지지 위치가, 개폐 패널(18)의 개폐 힌지(17)에 대해, 제1 보유 지지점(48)보다도 개폐 패널(18)의 전방측(도 7의 (c)에서는 우측)으로 되므로, 개폐 힌지(17)에 대하여 개폐 패널(18)을 지탱하는 모멘트를 초기 이동시보다도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종래에는 곤란하게 된 좁은 스페이스에 작은 가스 스프링을 실장하는 것이 실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7의 (c)에 있어서, 가스 스프링(34)의 상단부(37)가 계합되는 홈 구멍(31)의 제2 보유 지지점(49)의 상측 가장자리의 부분은 다른 상측 가장자리의 부분보다도 최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피보유 지지 구멍(39)의 회전력에 의해 이동력 e로 제2 보유 지지점(49)의 외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는 가스 스프링(34)의 상단부(37)가, 상측 가장자리가 낮은 위치로 되는 제1 보유 지지점(48) 방향으로 이동하는 일은 없으며, 개폐 패널(18)의 완전 개방 상태가 유지된다.
도 8의 (a)?(f)는, 상기 구성의 개폐 기구에 있어서, 완전 개방된 개폐 패널(18)을 폐쇄할 때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a)의 개폐 패널(18)의 완전 개방시에 있어서, 가스 스프링(34)의 상단부(37)는, 홈 구멍(31)의 제2 보유 지지점(49)에 계지되어 있다.
이때, 가스 스프링(34)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연결하는 직선, 즉 축은, 하단부의 피보유 지지 구멍(39)을 기점으로 하는 연직선(57)에 대하여 본체 캐비닛(16)의 내측으로 경사져 있다.
여기서,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의 힘 즉 사람의 손 k로 개폐 패널(18)을 인하하면, 가스 스프링(34)이 압축된다. 압축된 가스 스프링(34)에는 반력 i가 생긴다.
이 반력 i로부터, 도 8의 (b)에 파선 동그라미 p로 둘러싸는 부분의 확대도인 파선 동그라미 q, 파선 동그라미 q의 파선 동그라미 r로 둘러싸는 부분의 확대도인 파선 동그라미 s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직 분력 Y와 수평 분력 X가 생긴다. 또한, 이하, 도 8의 (c)?(f)에는, 파선 동그라미 q로 나타내는 확대도만을 부가하여 나타낸다.
도 8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또한, 사람의 손 k로 개폐 패널(18)을 인하하면, 가스 스프링(34)이 더 압축되어, 반력 i와 함께 수평 분력 X가 커진다. 이 수평 분력 X가, 도 8의 (c), (d)에 화살표 t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 스프링(34)의 상단부(37)를, 홈 구멍(31)의 제1 보유 지지점(48)의 쪽으로 누르는 힘으로 된다.
이에 덧붙여, 홈 구멍(31)의 제2 보유 지지점(49)의 상측 가장자리가 다른 상측 가장자리보다도 위치가 내려가므로, 가스 스프링(34)의 반력 i에 의해, 그 상단부(37)가 제1 보유 지지점(48)의 쪽으로 이동하기 쉬운 상황이 생긴다.
그리고, 도 8의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스 스프링(34)의 상단부(37)가 제1 보유 지지점(48)으로 이동한다. 그 후에는, 또한, 사람의 손 k에 의해 도 8의 (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패널(18)이 압입되고, 도 7의 (a)에 도시한 폐쇄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본 예의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에서는, 개방할 때에도 폐쇄할 때에도, 간단히 한쪽 손으로 개폐할 수 있고, 다른 한쪽 손으로 가스 스프링을 누르거나 당기거나 하는 수고를 가할 필요가 없어 사용감이 양호하여 편리하다.
또한, 개폐 부재의 완전 개방시에는, 가스 스프링의 상단부가 초기 이동시보다도 개폐 부재가 개방된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개폐 힌지에 대한 개폐 부재에의 지지 토크가 폐쇄시의 위치에서 그대로 개폐 부재를 지탱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커지므로, 좁은 스페이스에 종래의 가스 스프링과 비교하여, 소형의 가스 스프링을 설치해도 개폐 부재를 크게 개방하여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개폐 기구가 장착되는 본체 장치측의 운용ㆍ보수ㆍ제조성이 향상된다. 또한, 작은 가스 스프링을 실장함으로써, 가스 스프링의 장착 영역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개폐 기구가 장착되는 본체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가스 스프링의 대소에 관계없이 동일 구조의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ATM 등의 개폐 패널부 내의 공간 설계에 제약을 받는 일이 없어, 설계의 자유도가 커져서 편리하다.
<실시예 2>
도 9는, 실시예 2에 따른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에 있어서의 개폐 패널측의 계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9에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번호와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가스 스프링의 하단부와 본체 캐비닛의 계합 관계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9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예에 있어서의 개폐 기구의 상부의 계합 부재로 되는 판 형상 부재(32)에 형성되는 홈 구멍(31)은, 실시예 1의 경우보다도 길이 방향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홈 구멍(31)의 상방에는, 홈 구멍(31)의 상측 가장자리의 원호를 따라서 조정용 홈 구멍(5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조정용 홈 구멍(58)에는, 갈고리형의 스토퍼 금속 부재(59)의 갈고리형의 가로 부분(59a)이 고정 수단인 2개의 비스(61)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 위치는 조정용 홈 구멍(58)을 따라서 임의로 설정된다. 스토퍼 금속 부재(59)의 갈고리형의 세로 부분(59b)은 홈 구멍(31)을 덮도록 배치되고, 세로 부분(59b)의 내측이 제2 보유 지지점(49)을 형성한다.
개폐 패널(18)의 완전 개방시에는, 가스 스프링(34)은, 그 상단부(37)를, 컬러(45)를 통하여, 스토퍼 금속 부재(59)의 갈고리형의 세로 부분(59b)이 형성하는 제2 보유 지지점(49)에 계지한다.
도 9의 (b)는 홈 구멍(31)의 길이가 실시예 1의 경우의 홈 구멍(31)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되도록, 스토퍼 금속 부재(59)를 힌지(17)의 쪽으로 치우쳐 조정용 홈 구멍(58)에 고정하여,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위치에 제2 보유 지지점을 설정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가스 스프링(34)이, 경년 변화에 수반하여 가스압(반력)이 저하되었을 때, 스토퍼 금속 부재(59)를 힌지(17)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가스 스프링(34)이 저하된 가스압에 균형잡히는 위치에 갈고리형의 세로 부분(59b)(제2 보유 지지점(49))을 설정하고, 스토퍼 금속 부재(59)를 조정용 홈 구멍(58)에 고정한다.
도 9의 (a)는, 스토퍼 금속 부재(59)를 홈 구멍(31)의 외측으로 완전히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위치는, 본 예의 개폐 기구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한계까지 가스압이 저하된 가스 스프링(34)으로도 완전 개방된 개폐 패널(18)을 지지할 수 있는 위치이다. 물론, 도 9의 (b)의 위치로부터 도 9의 (a)의 위치까지, 가스 스프링(34)의 가스압의 저하의 정도에 따라서 미세 조정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예의 개폐 기구에 따르면, 제2 보유 지지점의 이동에 의해, 가스압이 저하된 가스 스프링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가스압이 저하되었다고 해도 즉시 가스 스프링을 교환할 필요가 없게 되어 경제적이다.
또한, 가스 스프링의 가스압이 저하되어도, 제2 보유 지지점의 이동에 의해, 개폐 패널에 충분한 개방 각도를 갖게 할 수 있으므로, 항상 개폐 기구가 장착되는 본체 장치측의 운용ㆍ보수 작업이 용이해져 편리하다.
또한, 가스압이 저하된 가스 스프링을 사용해도, 제2 보유 지지점을 이동함으로써 보유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완전 개방된 개폐 패널이 자연 낙하할 염려가 없어져 안전하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ATM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하 방향의 개폐 패널을 갖는 모든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1 : ATM(automated teller[telling] machine)
2 : 본체 캐비닛
3 : 표시 유닛
4 : 개폐 패널
5 : 카드 삽입구
6 : 카드 판독 유닛
7 : 현금 삽입 불출구
8 : 현금 수납 지불 유닛
9(9a, 9b) : 가스 스프링
11 : 지지부
12 : 보유 지지판 부재
13a, 13b : 피스톤
15 : ATM
16 : 본체 캐비닛(케이스)
17 : 개폐 힌지
18 : 개폐 패널(개폐 부재)
19 : 표시 유닛
20 : 개폐 기구
21 : 카드 삽입구
22 : 현금 삽입 불출구
23 : 개구부
24 : 부세 부재 보유 지지부
25 : 나선 스프링
26 : 회동 지지점 지지부
27 : 회동 부재
27a : 회동 단부
28 : 하부 보유 지지부
29 : 개폐 패널 내면
30 : 상부 고정 부재
31 : 홈 구멍
32 : 판 형상 부재
33 : 상부 보유 지지부
34 : 가스 스프링
35 : 실린더
36 : 피스톤
37 : 계합 구멍(선단부)
38 : 상부 계합부
39 : 피보유 지지 구멍
41 : 판 한쪽 부재
42 : 하부 계합부
43 : 상부 고정 부재
44 : 축 부재
44a : 헤드부
44b : 삽통부
44c : 링 고정 홈
45 : 컬러
46 : 와셔
47 : E링
48 : 제1 보유 지지점
49 : 제2 보유 지지점
51 : 스터드
51a : 헤드부
51b : 삽통부
51c : 링 고정 홈
52 : 와셔
53 : E링
54 : 부세 부재 계지 구멍
55 : 상부 방향 コ의 자형의 절결부
56 : 회동 지지점 겸 하부 지지 구멍
57 : 하단부의 피보유 지지 구멍을 기점으로 하는 연직선
58 : 조정용 홈 구멍
59 : 스토퍼 금속 부재
59a : 가로 부분
59b : 세로 부분
61 : 비스

Claims (7)

  1. 개구부를 갖는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근방의 내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가스 스프링의 하부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동 부재와, 상기 회동 부재에 회동 부세시키는 부세 부재를 구비하는 하부 보유 지지부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의 개폐 힌지 근방의 내면에 고정하여 세워 설치되고, 상기 힌지에 가까운 단부를 제1 보유 지지점으로 하고, 상기 힌지로부터 먼 단부를 제2 보유 지지점으로 하는 상측 가장자리가 원호 형상을 이루는 홈 구멍을 갖는 상부 보유 지지부와,
    상기 하부 보유 지지부에 하단부가 보유 지지되고 상기 상부 보유 지지부에 상단부가 보유 지지되는 가스 스프링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스프링은, 상기 상단부를 상기 상부 보유 지지부의 상기 홈 구멍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계합시키고, 상기 상단부는, 상기 개폐 부재의 폐쇄시에는 상기 제1 보유 지지점에 계지하고, 상기 개폐 부재의 개방시에는 상기 제2 보유 지지점에 계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 보유 지지부는, 상기 부세 부재와 상기 회동 부재의 협동에 의해, 상기 개폐 부재의 개방시에, 상기 가스 스프링의 상기 상단부를 상기 홈 구멍의 상기 제1 보유 지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보유 지지점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가스 스프링을 상기 개구부의 외측 방향으로 부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유 지지부의 상기 상측 가장자리가 원호 형상을 이루는 상기 홈 구멍은, 상기 개폐 부재의 폐쇄시에는 상기 제1 보유 지지점의 상기 상측 가장자리의 부분은 다른 상기 상측 가장자리의 부분보다도 최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개폐 부재의 개방시에는 상기 제2 보유 지지점의 상기 상측 가장자리의 부분은 다른 상기 상측 가장자리의 부분보다도 최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스프링은, 상기 상단부가 상기 제1 보유 지지점에 계지하고 있을 때 및 상기 제2 보유 지지점에 계지하고 있을 때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를 연결하는 직선은, 상기 하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부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세 부재는, 당김 부세력을 갖고,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의 소정의 개소에 고정된 부세 부재 보유 지지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회동 부재의 회동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회동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의 상기 부세 부재 보유 지지부보다도 낮은 위치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된 회동 지지점 지지부에 의해 회동 지지점 겸 하부 지지 구멍을 회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고, 그 회동 지지점 겸 하부 지지 구멍의 상방에 절결부를 갖고,
    상기 가스 스프링은, 상기 하단부에, 상기 회동 부재의 상기 회동 지지점 겸 하부 지지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는 피보유 지지 구멍과, 그 피보유 지지 구멍의 상방에 형성되고 상기 가스 스프링의 축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상기 회동 부재의 상기 절결부에 감합하는 판 한쪽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단부에 대해 상기 회동 부재로부터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상단부는, 상기 제1 보유 지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보유 지지점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부재는,
    상기 회동 지지점 겸 하부 지지 구멍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부세 부재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부세되고,
    상기 절결부의 상기 회동 단부측의 단부에 의해, 상기 절결부에 감입하고 있는 상기 가스 스프링의 상기 판 한쪽 부재의 상기 회동 단부측의 단부를 누름 부세하고,
    상기 누름 부세력과, 상기 가스 스프링의 상기 피보유 지지 구멍과 상기 판 한쪽 부재의 돌출 설치부 사이의 거리에서, 상기 피보유 지지 구멍의 형성부에 회전력을 생성하고,
    상기 개폐 부재의 완전 개방시에, 상기 회전력에 의해 상기 가스 스프링의 본체를 통해, 그 가스 스프링의 상기 상단부를, 상기 상부 보유 지지부의 상기 홈 구멍의 상기 제1 보유 지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보유 지지점에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유 지지부는, 상기 홈 구멍의 상방에 상기 홈 구멍의 상측 가장자리의 원호를 따라서 형성된 조정용 홈 구멍과,
    가로 부분과 세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갈고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로 부분에 의해 상기 조정용 홈 구멍에 계합하고, 상기 조정용 홈 구멍에 대한 고정 위치를 상기 조정용 홈 구멍을 따라서 임의의 위치에 고정 수단에 의해 설정되고, 상기 세로 부분은 상기 홈 구멍을 가로지르도록 연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 보유 지지점을 위치 가변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
KR1020110111651A 2011-03-29 2011-10-28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 KR201201118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73538 2011-03-29
JP2011073538A JP5385331B2 (ja) 2011-03-29 2011-03-29 開閉部材の開閉機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885A true KR20120111885A (ko) 2012-10-11

Family

ID=46989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651A KR20120111885A (ko) 2011-03-29 2011-10-28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385331B2 (ko)
KR (1) KR20120111885A (ko)
CN (1) CN1027337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61315B (zh) * 2014-09-23 2016-09-14 林德(中国)叉车有限公司 一种双行程定位门启机构
CN104295176A (zh) * 2014-10-30 2015-01-21 安徽捷迅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箱子气弹簧支撑臂
CN107091522A (zh) * 2017-05-11 2017-08-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
CN108806926B (zh) * 2018-08-31 2024-07-16 长兴盛强电子器材股份有限公司 一种三相变压器
CN112530105A (zh) * 2020-12-10 2021-03-19 石波 一种具有面板自锁结构的金融终端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6415A (ja) * 1998-05-26 1999-12-07 Oki Electric Ind Co Ltd 開放パネルの構造
JP2000320234A (ja) * 1999-05-13 2000-11-21 Chuo Spring Co Ltd 障子、扉等の開閉機構
JP2003106036A (ja) * 2001-09-28 2003-04-09 Kokuyo Co Ltd 部材の支持装置
CN1260456C (zh) * 2004-07-23 2006-06-21 蔡康荣 一种闭门器结构
JP4708066B2 (ja) * 2005-04-04 2011-06-22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扉体閉止装置
JP2006299533A (ja) * 2005-04-15 2006-11-02 Toyo Kitchen & Living Co Ltd 収納家具
JP5215465B2 (ja) * 2009-06-30 2013-06-19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現金自動取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85331B2 (ja) 2014-01-08
CN102733704A (zh) 2012-10-17
CN102733704B (zh) 2015-01-28
JP2012207436A (ja) 201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1885A (ko) 개폐 부재의 개폐 기구
US20070163310A1 (en) Side lock apparatus
US7621419B2 (en) Door operating mechanism and unit
KR100957103B1 (ko) 차량용 도어래치장치
JP6155488B2 (ja) 複数パーツを備えた爪部を有するロック装置
US8567829B2 (en) Safety device, and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US20080290671A1 (en) Handle apparatus
KR200461272Y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1055007B1 (ko) 덮개체의 개폐기구 및 차량용 소품상자
US11541818B2 (en) Storage device
US20070046036A1 (en) Slidable and rotatable lock for a window or door
JP2007024460A (ja) 扉開閉機構及び冷蔵庫
WO2012128156A1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4127712B2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102004428B1 (ko) 냉장고
RU2684827C2 (ru) Узел для установки дверцы с отсеком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консоль салон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узел отсека салон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0612562B1 (ko) 도어개폐기구 및 장치
US8837122B2 (en) Front panel apparatus
JP2008014084A (ja) 錠装置
JP6886373B2 (ja) ロック装置
KR200355904Y1 (ko) 미서기창 잠금장치용 키퍼
JP4426422B2 (ja) ドアガード
JP6120135B2 (ja) 錠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収納装置
JP5166960B2 (ja) ゲーム機の施錠装置
CN115240338B (zh) 一种防止二次开启机构及其闸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