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1677A -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1677A
KR20120111677A KR1020110030313A KR20110030313A KR20120111677A KR 20120111677 A KR20120111677 A KR 20120111677A KR 1020110030313 A KR1020110030313 A KR 1020110030313A KR 20110030313 A KR20110030313 A KR 20110030313A KR 20120111677 A KR20120111677 A KR 20120111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building
ceiling
constructed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1853B1 (ko
Inventor
이필훈
고용현
우지성
고민주
정무현
강현식
양문혁
이주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한라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한라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10030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853B1/ko
Publication of KR20120111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에 구성되는 다수의 공간 중에서 임의의 한 공간 높이를 다른 공간보다 높게 건축물 각층 모두에게 적용하여 시공하도록 한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건축물 내부 공간 중에서 각층의 로비 또는 홀, 회의실, 예식장, 극장, 사무실, 박물관, 전시실, 등과 같이 높이를 요하는 공간에 대해서 각층 마다 효율적으로 공간 활용하는 효과가 있고 특히, 아파트와 같은 건축물의 경우에 종래의 일반 건축물 보다 거실 높이가 높아짐으로, 일조(日照)량이 많아지고, 조망(眺望)이 좋아지는 직접적인 효과가 있고 간접적으로는 동일한 평수의 거실이라도 본 발명과 같이 거실의 높이가 높으면 보다 넓어 보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방법{Method for constructing building by space utilization}
본 발명은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에 구성되는 다수의 공간 중에서 임의의 한 공간 높이를 다른 공간보다 높게 건축물 각층 모두에게 적용하여 시공하도록 한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건축물은 건축물 내부의 공간의 높이가 모두 균일하게 시공되고 있는 바, 대표적으로 아파트인 경우에 거실, 화장실, 주방, 침실 모두의 공간에 대해서 그 높이가 모두 균일하게 시공되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건축물에 공간활용 개념이 개입된 기술이 나타나고 있는데, 그중에서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08782 호인 가변형 아파트 구조물은 동일규모의 세대별 거주공간이 슬래브에 의해 다층으로 시공되는 집단 거주용 아파트의 구조시스템에 있어서, 각 세대별 거주공간 내에 천장측 슬래브를 직접 받치도록 적어도 하나의 내부기둥을 세우고, 옆세대와 코어 및 외부공간과의 경계상에 배치되어 그 내부기둥과 함께 천장측 슬래브를 받치는 수개의 외부 기둥을 세우며, 외부공간과의 경계상에 세워진 외부기둥들 위에는 그 내외부기둥들과 함께 천장측 슬래브를 지지하는 골조를 이루는 외부보를 지지시키고, 각 경계상의 출입을 위한 통로와 채광 및 환기를 위한 개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각 외부기둥과 접하여 수직하중 및 횡하중에 대한 강성을 보유하는 전단벽체를 시공하여, 벽식조와 라멘조의 이중골조구조물로서 실내에 내력벽이 없고 임의로 칸막이 벽체를 시공하고 해체할 수 있는 종래의 기술이다.
또한, 종래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3659호인 절곡형 소형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구조물은 계단 혹은 승강기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각 단위세대를 일정한 방향 및 각도로 배치하는 절곡형의 소형 공동주택에 있어서, 계단과 승강기가 설치된 절곡부를 구조물의 내면으로 연장 구성하되, 연장된 부분만큼 확대된 공간부를 갖는 구조물 외면에 그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에 인접한 세대 중 어느 한 세대 또는 좌/우에 인접한 각각의 세대에 발코니를 갖는 욕실을 설치하여 절곡부에 인접하는 각 단위세대의 거실 또는 침실과 연결되도록 하며, 단위세대의 침실과 거실 중 창호부분이 설치된 외벽으로는 모두 발코니가 설치되는 평면 구성한 종래의 기술이다.
더욱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96360호인 조립식의 환경친화적 및 마을공동체적인 아파트 등 빌딩형건축물의 설계 시공방법은 아파트 등의 주거용 빌딩이나 호텔 등의 숙박용빌딩, 수면, 휴식용의 캡슐형 빌딩, 오피스텔이나 일반 사무 및 상업용 빌딩을 형성함에 있어서, 빌딩의 기본구조체는 기존 방식으로 건축을 하고 각 세대 또는 호실의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전체나 일부가 한 유니트로 사전제작된 후 기본구조체에 투입 조립되는 단계와; 빌딩내에 형성된 각 세대, 호실 및 또는 공동시설공간, 공동시설 등을 그 전체나 또는 일부를 한옥, 북미/유럽식 전통목조건물, 동양식전통가옥, 빠오, 방갈로, 근대 서양식 주택, 1층집, 2층집 등 다양한 종류의 건물형태로 이루고 단순한 복도식 통로가 아닌 길, 길섶 화단, 화단, 텃밭, 담장, 목책 생나무울타리, 토방, 마루, 샘과 빨래터, 옥내의 방, 식당과 거실과의 사이 또는 실외 공간과의 사이에 전통가옥 등에서 사용되는 미닫이문, 창호문, 창호지문, 등 및 별채, 다락방 등, 기타 이에 준하는 환경친화적 및 전통생활적 시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소정공간에 형성되는 단계로 이루어진 종래의 기술이 있었다.
이와 같은 상기 종래의 기술들은 공간을 활용하려는 개념이 포함된 기술이지만, 본 발명과 같이 같은 층에 형성된 다수의 공간 중에서 임의의 공간 높이를 다른 공간보다 높게 시공하는 기술이 적용되지 않음은 물론이고 본 발명과 같은 기술은 종래에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 각층마다 건축물에 구성되는 임의의 한 공간 높이를 높게 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방법은 지면에 건축물 1층의 제 1 바닥이 시공되고 상기 제 1 바닥과 수평으로 연장되게 제 2 바닥이 시공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2 바닥과 대응되면서 일정높이만큼 높게 제 1 천장을 시공하고, 상기 제 1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의 2배에 해당하는 높이에 제 2 천장을 시공하여, 제 1 바닥과 제 2 천장에 의하여 제 1 공간이 형성되어 건축물 1층이 시공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1 천장이 건축물 2층의 제 3 바닥이 되고 동시에 상기 제 3 바닥과 연장되게 시공하되 상기 제 1 바닥이 갖는 면적을 갖도록 제 4 바닥이 시공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2 천장과 연장되게 시공하되 상기 제 3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만큼의 높이에 제 3 천장을 시공하며, 상기 제 4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의 2배에 해당하는 높이에 제 4 천장을 시공하여 제 4 바닥과 제 4 천장 사이에 제 2 공간이 형성되어 건축물 2층이 시공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2 천장이 건축물 3층의 제 5 바닥이 되고 상기 제 3 천장이 건축물 3층의 제 6 바닥이 되되, 상기 제 5 바닥과 제 6 바닥이 일체형으로 수평되게 시공되는 제 5 단계와, 상기 제 4 천장과 연장되게 시공하되 상기 제 6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만큼의 높이에 제 5 천장을 시공하며, 상기 제 5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의 2배에 해당하는 높이에 제 6 천장을 시공하여 상기 제 1, 2 공간과 같은 제 3 공간을 제 5 바닥과 제 6 천장 사이에 제 3 공간이 형성되는 건축물 3층이 시공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 내지 제 6 단계를 반복하여 옥상까지 시공하는 제 7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방법은 지면에 건축물 2층 제 10 바닥과 연장되게 건축물 1층의 제 11 바닥을 시공하고 상기 제 10 바닥과 같은 면적을 갖도록 제 12 바닥이 시공되되 상기 제 10 바닥이 시공되는 지면보다 일정높이 절곡된 지면에 시공되는 제 21 단계와, 상기 제 11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제 10 천장이 시공되고 상기 제 12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의 2배에 해당하는 높이에 제 11 천장을 시공하되 상기 제 10 천장과 수평으로 연장되게 시공하며, 제 12 바닥과 제 11 천장에 의하여 제 10 공간이 형성되고 건축물 1층이 시공되는 제 22 단계와, 상기 제 10 천장은 건축물 2층의 제 13 바닥이 되고, 상기 제 13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와 동일한 높이 만큼에 제 12 천장이 시공되고, 상기 제 10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의 2배에 해당하는 높이에 제 13 천장이 시공되어서, 상기 제 10 바닥과 제 13 천장에 의하여 제 20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 12 천장과 제 13 천장이 일체형으로 수평하게 시공됨에 따라 건축물 2층이 시공되는 제 23 단계와, 상기 제 11 천장은 건축물 3층의 제 14 바닥이 되고, 상기 14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 2배에 해당하는 높이에 제 14 천장이 시공되어서 제 10, 20 공간과 같은 제 30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12 천장이 건축물 3층의 제 15 바닥이 되고, 상기 제 15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에 해당하는 높이에 제 15 천장이 시공되되, 상기 제 14 천장과 제 15 천장이 일체형으로 수평하게 시공됨에 따라 건축물 3층이 시공되는 제 24 단계, 및 상기 제 20 단계 내지 제 23 단계를 반복하여 옥상까지 시공하는 제 25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 내부 공간 중에서 각층의 로비 또는 홀, 회의실, 예식장, 극장, 사무실, 박물관, 전시실, 등과 같이 높이를 요하는 공간에 대해서 각층 마다 효율적으로 공간활용하는 효과가 있고 특히, 아파트와 같은 건축물의 경우에 종래의 일반 건축물 보다 거실 높이가 높아짐으로, 일조(日照)량이 많아지고, 조망(眺望)이 좋아지는 직접적인 효과가 있고 간접적으로는 동일한 평수의 거실이라도 본 발명과 같이 거실의 높이가 높으면 보다 넓어 보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 방법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활용 건축물 모형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활용 건축물이 구축된 시뮬레이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 방법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활용 건축물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활용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서, 본 발명의 천장 시공은 벽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것임으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천장은 벽 시공이 포함된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방법 흐름도로서, 상기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지면에 건축물 1층의 제 1 바닥이 시공되고 상기 제 1 바닥과 수평으로 연장되게 제 2 바닥이 시공되는 제 1 단계(S11)와, 상기 제 2 바닥과 대응되면서 일정높이만큼 높게 제 1 천장을 시공하고, 상기 제 1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의 2배에 해당하는 높이에 제 2 천장을 시공하여, 제 1 바닥과 제 2 천장에 의하여 제 1 공간이 형성되어 건축물 1층이 시공되는 제 2 단계(S12)와, 상기 제 1 천장이 건축물 2층의 제 3 바닥이 되고 동시에 상기 제 3 바닥과 연장되게 시공하되 상기 제 1 바닥이 갖는 면적을 갖도록 제 4 바닥이 시공되는 제 3 단계(S13)와, 상기 제 2 천장과 연장되게 시공하되 상기 제 3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만큼의 높이에 제 3 천장을 시공하며, 상기 제 4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의 2배에 해당하는 높이에 제 4 천장을 시공하여 제 4 바닥과 제 4 천장 사이에 제 2 공간이 형성되어 건축물 2층이 시공되는 제 4 단계(S14)와, 상기 제 2 천장이 건축물 3층의 제 5 바닥이 되고 상기 제 3 천장이 건축물 3층의 제 6 바닥이 되되, 상기 제 5 바닥과 제 6 바닥이 일체형으로 수평되게 시공되는 제 5 단계(S15)와, 상기 제 4 천장과 연장되게 시공하되 상기 제 6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만큼의 높이에 제 5 천장을 시공하며, 상기 제 5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의 2배에 해당하는 높이에 제 6 천장을 시공하여 상기 제 1, 2 공간과 같은 제 3 공간을 제 5 바닥과 제 6 천장 사이에 제 3 공간이 형성되는 건축물 3층이 시공되는 제 6 단계(S16), 및 상기 제 1 단계 내지 제 6 단계를 반복하여 옥상까지 시공하는 제 7 단계(S17)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지면에 건축물 1층의 제 1 바닥이 시공되고 상기 제 1 바닥과 수평으로 연장되게 제 2 바닥이 시공되는 제 1 단계(S11)는, 건축물을 구축하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시행되는 파일공사를 비롯하여 지면기초공사를 수행한 이후에 제 1 바닥(10)이 시공되면 제 1 바닥(10)과 수평으로 연장되게 제 2 바닥(11)이 시공되며, 상기 제 1 바닥(10)과 제 2 바닥(11)은 건축물 1층에 턱이 발생하지 않도록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시공되면 건축물 1층의 바닥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바닥과 대응되면서 일정높이만큼 높게 제 1 천장을 시공하고, 상기 제 1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의 2배에 해당하는 높이에 제 2 천장을 시공하여, 제 1 바닥과 제 2 천장에 의하여 제 1 공간이 형성되어 건축물 1층이 시공되는 제 2 단계(S12)는, 건축물 내부에 다수의 공간이 형성되는 바, 예컨대 아파트의 경우에는 주방에 해당하는 공간, 거실에 해당하는 공간, 화장실에 해당하는 공간 등이 상기 다수의 공간에 해당되며, 상기 다수의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 2 바닥(11)과 대응되면서 일정높이만큼 높게 제 1 천장(12)을 시공한다.
이후, 제 1 바닥(10)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 2배 높게 제 2 천장(13)을 시공하게 되고, 이에 따라 건축물 1층의 제 1 다른 공간(11-1; 제 2 바닥(11)과 제 2 천장(13)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보다 일정높이 높은 제 1 공간(10-1)이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도 3의 '가'에 도시된 A, A`부분은 거실이라 하고, B, B`부분은 거실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이라고 하며 상기 나머지 공간(B, B`)의 높이를 H라하고 거실(A)의 높이를 2H라고 하면, 제 1 바닥(10) 상부에 형성된 제 1 공간(10-1) 즉, 거실(A)의 높이는 다른 공간(B)보다 H높이(일정높이)만큼 높게 시공한다.
따라서, 건축물 1층의 거실(A) 높이는 다른 공간보다 H만큼 높아지며 건축물 2층을 보면, 건축물 2층의 거실(A') 역시 건축물 1층 거실(A)과 같이 2H만큼 시공되는 한편, 도 3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 1층 거실(A)가 건축물 2층에 끼워지듯이 시공되어 건축물 1층의 건축물 2H가 되고 건축물 2층의 거실(A') 높이도 2H가 되는 것이다.
실제 모형도인 도 4를 이용하여 다시 한번 살펴보면, D1은 1층이고 D2는 2층을 도시한 것으로써, 1층의 거실(A)은 종래의 아파튼 구조와 별 다른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D2에 도시된 C부분까지 시공됨으로써, D1의 거실(A)이 2층 높이까지 된다.
이와 같이, 거실(A)의 높이가 종래의 일반 건축물 보다 높아짐으로, 일조(日照)량이 많아지고, 조망(眺望)이 좋아지는 직접적인 작용을 하고, 간접적으로는 동일한 평수의 거실이라도 본 발명과 같이 거실(A)의 높이가 높으면 보다 넓어 보이는 작용을 한다.
상기 거실(A)만을 가지고 실시예를 들었지만, 거실(A) 이외에 건축물 사용에 따라 다수의 공간 중 임의의 특정공간만을 상기 거실(A)과 같이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공간(10-1)은 건물 외벽에 시공되어 일조권과 조망권이 확보되도록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제 2 단계(S11)는 건축물 1층을 시공함에 있어서, 임의의 제 1 공간(10-1)이 다른 공간들보다 높게 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천장이 건축물 2층의 제 3 바닥이 되고 동시에 상기 제 3 바닥과 연장되게 시공하되 상기 제 1 바닥이 갖는 면적을 갖도록 제 4 바닥이 시공되는 제 3 단계(S13)는, S11단계에서와 같이 건축물 1층이 시공된 이후에 건축물 1층 상부에 적층되게 시공되는 건축물 2층의 바닥을 시공하기 위한 단계로서, 제 1 천장(12)은 자연스럽게 건축물 2층의 제 3 바닥(12-1)이 된다.
이후, 건축물 2층은 건축물 1층의 바닥과 동일한 평면적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 3 바닥(12-1)과 연장되게 시공하되 상기 제 1 바닥(10)이 갖는 면적을 갖도록 제 4 바닥(14)이 시공된다.
아울러, 상기 제 3 바닥(12-1)과 제 4 바닥(14)은 수평되게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제 4 바닥(14) 하부에 형성된 공간을 활용하여 건축물 2층만 특별하게 제 4 바닥(14) 구조를 변경하여 설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천장과 연장되게 시공하되 상기 제 3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만큼의 높이에 제 3 천장을 시공하며, 상기 제 4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의 2배에 해당하는 높이에 제 4 천장을 시공하여 제 4 바닥과 제 4 천장 사이에 제 2 공간이 형성되어 건축물 2층이 시공되는 제 4 단계(S14)는, 상기 제 3 단계(S13)에 의해서 시공된 제 3 바닥(12-1)과 제 4 바닥(14)을 이용하여 건축물 2층의 천장이 시공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 2 천장(13)과 연장되게 시공하되, 상기 제 3 바닥(12-1)과 대응되게 제 3 천장(15)을 시공하는 것이다.
또한, 건축물 2층 역시 상기 제 1 공간(10-1)과 같은 제 2 공간(14-1)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 4 바닥(14)과 대응되게 시공하되, 상기 일정높이의 2 배에 해당하는 높이만큼 위치한 곳에 제 4 천장(16)을 시공한다.
따라서, 제 2 공간(14-1)의 높이 즉 제 4 천장(16)의 높이는 상기 제 1 공간(10-1)의 높이와 동일하고, 건축물 2층 공간들 중에서 상기 제 2 공간(14-1)을 제외한 제 2 다른 공간(11-2)의 높이는 제 1 다른 공간(11-1)의 높이와 동일하다.
상기 제 2 천장이 건축물 3층의 제 5 바닥이 되고 상기 제 3 천장이 건축물 3층의 제 6 바닥이 되되, 상기 제 5 바닥과 제 6 바닥이 일체형으로 수평되게 시공되는 제 5 단계(S15)는, 건축물 3층의 바닥을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건축물 3층의 바닥은 상기 제 2 천장(13)과 제 3 천장(15) 시공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시공되며, 단지 건축물 3층의 바닥을 평탄하게 유지되도록 제 2 천장(13)과 제 3 천장(15)을 수평으로 일체화되게 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 4 천장과 연장되게 시공하되 상기 제 6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만큼의 높이에 제 5 천장을 시공하며, 상기 제 5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의 2배에 해당하는 높이에 제 6 천장을 시공하여 상기 제 1, 2 공간과 같은 제 3 공간을 제 5 바닥과 제 6 천장 사이에 제 3 공간이 형성되는 건축물 3층이 시공되는 제 6 단계(S16)는 상기 제 5 단계(S15)에 의해서 건축물 3층의 바닥이 시공되면 건축물 1층과 동일 구조를 갖도록 건축물 3층을 시공하는 것으로써, 건축물 2층의 제 4 천장(16)과 연장되게 시공하되 제 6 바닥(15-1)과 대응되게 제 5 천장(17)을 시공한다. 이때, 제 6 바닥(15-1)과 제 5 천장(17)의 높이는 상기 일정높이와 같은 높이이고 제 4 천장(16)과 제 5 천장(17)은 일체화되게 시공하되 수평으로 시공한다.
또한, 건축물 3층 역시 상기 제 1, 2 공간(10-1, 14-1)과 같은 제 3 공간(13-2)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 5 바닥(13-1)으로부터 상기 일정높이의 2배에 해당하는 높이에 제 6 천장(18)을 시공하되, 제 5 바닥(13-1)과 대응되게 시공한다.
따라서, 건축물 1층의 제 1 공간(10-1) 상부에 건축물 3층의 제 3 공간(13-2)이 형성되고 또한, 건축물 2층의 제 2 공간(14-1) 상부에 건축물 4층의 제 4 공간(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는 건축물이 시공된다.
상기 제 1 단계 내지 제 5 단계를 반복하여 옥상까지 시공하는 제 7 단계(S17)는 상기 제 1 단계 내지 제 5 단계를 반복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짝수층끼리 구조가 동일하고, 홀수층끼리 구조가 동일하게 옥상까지 시공되며, 옥상의 구조는 정해진 현 법규에 맞게 시공한다.
이때, 도 5는 단지 하나의 일실시예일뿐, 여러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방법 흐름도로서, 상기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지면에 건축물 2층 제 10 바닥과 연장되게 건축물 1층의 제 11 바닥을 시공하고 상기 제 10 바닥과 같은 면적을 갖도록 제 12 바닥이 시공되되 상기 제 10 바닥이 시공되는 지면보다 일정높이 절곡된 지면에 시공되는 제 21 단계(S21)와, 상기 제 11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제 10 천장이 시공되고 상기 제 12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의 2배에 해당하는 높이에 제 11 천장을 시공하되 상기 제 10 천장과 수평으로 연장되게 시공하며, 제 12 바닥과 제 11 천장에 의하여 제 10 공간이 형성되고 건축물 1층이 시공되는 제 22 단계(S22)와, 상기 제 10 천장은 건축물 2층의 제 13 바닥이 되고, 상기 제 13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와 동일한 높이 만큼에 제 12 천장이 시공되고, 상기 제 10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의 2배에 해당하는 높이에 제 13 천장이 시공되어서, 상기 제 10 바닥과 제 13 천장에 의하여 제 20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 12 천장과 제 13 천장이 일체형으로 수평하게 시공됨에 따라 건축물 2층이 시공되는 제 23 단계(S23)와, 상기 제 11 천장은 건축물 3층의 제 14 바닥이 되고, 상기 14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 2배에 해당하는 높이에 제 14 천장이 시공되어서 제 10, 20 공간과 같은 제 30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12 천장이 건축물 3층의 제 15 바닥이 되고, 상기 제 15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에 해당하는 높이에 제 15 천장이 시공되되, 상기 제 14 천장과 제 15 천장이 일체형으로 수평하게 시공됨에 따라 건축물 3층이 시공되는 제 24 단계(S24)와, 상기 제 20 단계 내지 제 23 단계를 반복하여 옥상까지 시공하는 제 25 단계(S25)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지면에 건축물 2층 제 10 바닥과 연장되게 건축물 1층의 제 11 바닥을 시공하고 상기 제 10 바닥과 같은 면적을 갖도록 제 12 바닥이 시공되되 상기 제 10 바닥이 시공되는 지면보다 일정높이 절곡된 지면에 시공되는 제 21 단계(S21)는 도 1의 실시예와 같이 수평형태의 지면이 아니고 절곡된 형태의 지면에 도 1의 실시예에서 기재한 제 1 내지 제 3 공간(10-1, 14-1, 13-2)이 형성되도록 건축물을 구성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건축물 2층에 해당하는 제 10 바닥(20)이 지면에 시공된 이후에, 상기 제 10 바닥(20)과 연장되게 건축물 1층에 해당하는 제 11 바닥(21)이 시공된다.
이후, 상기 시공된 제 11 바닥(21)을 기준으로 상기 일정간격 지하로 절곡된 지면에 제 12 바닥(23)이 시공된다.
결과적으로 건축물 기초에 해당하는 건축물 2층의 제 10 바닥(20), 건축물 1층의 제 11 바닥(21), 건축물 11층의 제 12 바닥(22)이 지면에 시공되는 것이다.
상기 제 11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제 10 천장이 시공되고 상기 제 12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의 2배에 해당하는 높이에 제 11 천장을 시공하되 상기 제 10 천장과 수평으로 연장되게 시공하며, 제 12 바닥과 제 11 천장에 의하여 제 10 공간이 형성되고 건축물 1층이 시공되는 제 22 단계(S22)는, 상기 제 21 단계(S21)에서 시공된 제 11 바닥(21), 제 12 바닥(22)을 이용하여 건축물 1층을 구성하기 위해서 제 10 천장(23), 제 11 천장(24)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10 천장(23)은 제 11 바닥(21)과 대응되게 시공하되, 상기 일정높이만큼의 높이에 시공되고 상기 제 11 천장(24)은 제 12 바닥(22)과 대응되게 시공하되 상기 일정높이의 2배에 해당되는 높이에 시공되며 상기 제 10 천장(23)과 제 11 천장(24)은 수평으로 일체화되게 시공된다.
따라서, 제 11 바닥(21), 제 12 바닥(22), 제 10 천장(23), 제 11 천장(24)에 의해서 건축물 1층에 공간이 형성되고 특히, 제 12 바닥(22)과 제 11 천장(24)에 의해서 형성된 제 10 공간(22-1) 제 10 다른 공간(21-1)보다 상기 일정높이 만큼 높게 시공된다.
상기 제 10 천장은 건축물 2층의 제 13 바닥이 되고, 상기 제 13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와 동일한 높이 만큼에 제 12 천장이 시공되고, 상기 제 10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의 2배에 해당하는 높이에 제 13 천장이 시공되어서, 상기 제 10 바닥과 제 13 천장에 의하여 제 20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 12 천장과 제 13 천장이 일체형으로 수평하게 시공됨에 따라 건축물 2층이 시공되는 제 23 단계(S23)는, 제 21 단계(S21)와 제 22 단계(S22)에 의해서 건축물 1층이 시공되면, 제 23 단계(S23)는 건축물 2층을 시공하기 위한 것인 바, 상기 제 10 천장(23)은 자연스럽게 건축물 2층의 제 13 바닥(23-1)이 되고 상기 제 13 바닥(23-1)은 건축물 3층의 제 14 바닥(24-1)과 수평으로 일체화된다.
따라서, 제 21 단계(S21)에 의해서 시공된 상기 제 10 바닥(20)과 제 13 바닥(23-1)에 의해서 건축물 2층의 바닥이 시공된다.
이후에, 상기 제 13 바닥(23)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만큼에 해당하는 높이에 제 12 천장(23)이 시공되고, 또한, 제 12 천장(23)과 연장되게 시공하되, 상기 제 10 바닥(20)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의 2배에 해당하는 높이에 시공함으로써, 건축물 2층이 시공된다.
따라서, 건축물 2층은 제 10 바닥(20)과 제 13 천장(24)에 의해서 상기 제 10 공간(22-1)과 같은 제 2 공간(20-1)이 형성된다.
상기 제 11 천장은 건축물 3층의 제 14 바닥이 되고, 상기 14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 2배에 해당하는 높이에 제 14 천장이 시공되어서 제 1, 2 공간과 같은 제 3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12 천장이 건축물 3층의 제 15 바닥이 되고, 상기 제 15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에 해당하는 높이에 제 15 천장이 시공되되, 상기 제 14 천장과 제 15 천장이 일체형으로 수평하게 시공됨에 따라 건축물 3층이 시공되는 제 24 단계(S24)는 건축물 2층 상부에 건축물 3층을 시공하는 바, 건축물 3층을 시공하기 위해서, 건축물 1층의 제 11 천장(24)은 건축물 3층이 되는 제 14 바닥(24-1)이 됨으로, 상기 제 14 바닥(24-1)과 대응되는 상기 일정높이의 2배에 해당하는 높이에 제 14 천장(27)이 시공된다.
따라서, 상기 제 14 바닥(24-1)과 제 14 천장(23)에 의하여 형성된 제 30 공간(24-2)은 상기 제 1, 2 공간(22-1, 20-1, 24-2)과 동일한 공간이 된다.
이후에, 건축물 2층의 제 12 천장(23)은 건축물 3층의 제 15 바닥(23-1)이 되며, 상기 제 15 바닥(23-1)과 대응됨과 동시에 상기 제 14 천장(27)과 연장되게 제 15 천장(28)을 시공한다.
이상과 같이 시공됨에 있어서, 건축물 1층의 제 10 다른 공간(21-1)은 종래에 시공되는 건축물 높이(도3의 B, B`와 같은 높이)가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제 10 다른 공간(21-1)은 옥상까지 시공되는 각층에 시공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핵심과 거리가 있음으로 그 기술을 생략한다.
상기 제 20 단계 내지 제 23 단계를 반복하여 옥상까지 시공하는 제 25 단계(S25)는 상기 제 20 단계 내지 제 23 단계를 반복하여 옥상까지 시공되며, 옥상의 구조는 정해진 현 법규에 맞게 시공한다.
상기 도 1의 실시예와 도 4의 실시예에 의한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방법의 다른 특징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 1의 실시예와 도 4의 실시예에 의한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방법으로 건축되는 건축물은 극장, 예식장, 회의실, 사무실, 박물관(전시실)과 같이 높이를 요구하는 공간에 시공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대표적으로 예식장의 경우에 결혼이라는 행사를 보다 감각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예식장의 어느 한 공간의 높이가 필요할 경우가 발생하지만, 종래의 건축물 고주에 의하면 위층에 영향을 주게 되지만, 본 발명과 같이 시공하게 되면 윗층에 영향을 주지 않고도 예식장 한부분만의 공간을 높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 상기 도 1의 제 1 단계(S11) 내지 제 7 단계(S17)는 건축물 1층에 상기 제 1 공간(10-1)이 다수개 시공되면 건축물 2층이 다수개 제 1 공간(10-1)이 시공되게 구성되며 건축물 2층에 제 2 공간(14-1)이 다수개 시공되면 건축물 3층에 다수개 제 2 공간(14-1)이 시공되게 구성되는 것을 반복하여 건축물 옥상까지 구성된다.
또한, 도 6의 제 21 단계(S21) 내지 제 25 단계(S25) 역시도 건축물 1층에 상기 제 10 공간(22-1)이 다수개 시공되면 건축물 2층이 다수개 제 10 공간(22-1)이 시공되게 구성되며 건축물 2층에 제 20 공간(20-1)이 다수개 시공되면 건축물 3층에 다수개 제 20 공간(20-1)이 시공되게 구성되는 것을 반복하여 건축물 옥상까지 구성된다.
즉, 도 1의 제 1 단계(S11) 내지 제 7 단계(S17)와 도 6의 제 21 단계(S21) 내지 제 25 단계(S25)에 의한 것은 도 3의 (가)에 도시된 A(거실)와 같은 공간은 건축물 1층에 주방, 침실 등 다수개 구성될 수 있고 그 구성에 적합하게 건축물 2층이 시공되는 것은 당업자라면 너무나 자명한 것이고 이를 반복하여 옥상까지 시공된다.
다음, 상기 도 1의 제 1 단계(S11) 내지 제 7 단계(S17)는 건축물 1층의 제 1 공간(10-1)이 전방에 시공되고 건축물 2층의 제 2 공간(14-1)이 좌측에 시공되고 건축물 3층의 제 3 공간(13-2)이 후방에 시공되고 건축물 4층의 제 4 공간(도시하지 않음)이 우측에 시공되는 방법으로 옥상까지 시공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빨간색부분이 본 발명 시공기술이 개입된 공간에 해당되며 이러한 공간이 건축물 1층부터 옥상까지 전후좌우로 시공된다.
또한, 상기 도 6의 제 21 단계(S21) 내지 제 25 단계(S25) 역시도 건축물 제 1 층의 제 10 공간(22-1)이 전방에 시공되고, 건축물 2층의 제 20 공간(20-1)이 좌측에 시공되고, 건축물 3층의 제 3 공간(24-2)이 후방에 시공되고 건축물 4층의 제 4 공간(도시하지 않음)이 우측에 시공되는 방법으로 옥상까지 시공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도 1의 상기 제 1 공간(10-1) 내지 제 3 공간(13-2)과 같은 공간은 지상에서 옥상까지 시공됨에 있어서, 건축물 전체 구조상 모서리에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 6의 제 10 공간(22-1) 내지 제 30 공간(24-2)과 같은 공간은 지상에서 옥상까지 시공됨에 있어서, 건축물 전체 구조상 모서리에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모서리에 상기 제 1 공간(10-1) 내지 제 3 공간(13-2)과 같은 공간과 제 10 공간(22-1) 내지 제 30 공간(24-2)과 같은 공간이 시공됨에 따라 모서리의 양측에 의해서 일조권이 더욱 확보되고 조망권이 더욱 확보될 수 있다.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고, 이상에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일 뿐,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제 1 바닥 10-1 : 제 1 공간
11 : 제 2 바닥 11-1 : 제 1 다른 공간
12 : 제 1 천장 12-1 : 제 3 바닥
12-2 : 제 2 다른 공간 13 : 제 2 천장
13-1 : 제 5 바닥 13-2 : 제 3 공간
14 : 제 4 바닥 14-1 : 제 2 공간
15 : 제 3 천장 15-1 : 제 6 바닥
16 : 제 4 천장 17 : 제 5 천장
18 : 제 6 천장 20 : 제 10 바닥
20-1 : 제 20 공간 21 : 제 11 바닥
21-1 : 제 10 다른 공간 22 : 제 12 바닥
22-1 : 제 10 공간
23 : 제 10 천장 23-1 : 제 13 바닥
24 : 제 11 천장 24-1 : 제 14 바닥
24-2 : 제 30 공간 25 : 제 12 천장
25-1 : 제 15 바닥 26 : 제 13 천장
27 : 제 14 천장 28 : 제 15 천장

Claims (11)

  1. 지면에 건축물 1층의 제 1 바닥이 시공되고 상기 제 1 바닥과 수평으로 연장되게 제 2 바닥이 시공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2 바닥과 대응되면서 일정높이만큼 높게 제 1 천장을 시공하고, 상기 제 1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의 2배에 해당하는 높이에 제 2 천장을 시공하여, 제 1 바닥과 제 2 천장에 의하여 제 1 공간이 형성되어 건축물 1층이 시공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1 천장이 건축물 2층의 제 3 바닥이 되고 동시에 상기 제 3 바닥과 연장되게 시공하되 상기 제 1 바닥이 갖는 면적을 갖도록 제 4 바닥이 시공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2 천장과 연장되게 시공하되 상기 제 3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만큼의 높이에 제 3 천장을 시공하며, 상기 제 4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의 2배에 해당하는 높이에 제 4 천장을 시공하여 제 4 바닥과 제 4 천장 사이에 제 2 공간이 형성되어 건축물 2층이 시공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2 천장이 건축물 3층의 제 5 바닥이 되고 상기 제 3 천장이 건축물 3층의 제 6 바닥이 되되, 상기 제 5 바닥과 제 6 바닥이 일체형으로 수평되게 시공되는 제 5 단계와;
    상기 제 4 천장과 연장되게 시공하되 상기 제 6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만큼의 높이에 제 5 천장을 시공하며, 상기 제 5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의 2배에 해당하는 높이에 제 6 천장을 시공하여 상기 제 1, 2 공간과 같은 제 3 공간을 제 5 바닥과 제 6 천장 사이에 제 3 공간이 형성되는 건축물 3층이 시공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 내지 제 6 단계를 반복하여 옥상까지 시공하는 제 7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7 단계는
    극장, 예식장, 회의실, 사무실, 박물관(전시실)과 같이 높이를 요구하는 곳에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방법.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 내지 제 7 단계는
    건축물 1층에 상기 제 1 공간이 다수개 시공되면 건축물 2층이 다수개 제 1 공간이 시공되게 구성되며 건축물 2층에 제 2 공간이 다수개 시공되면 건축물 3층에 다수개 제 2 공간이 시공되게 구성되는 것을 반복하여 건축물 옥상까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방법.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제 1 단계 내지 제 7 단계는
    건축물 1층의 제 1 공간이 앞에 형성되고 건축물 2층의 제 2 공간이 좌측에 형성되고 건축물 3층의 제 3 공간이 뒤측에 형성되고 건축물 4층의 제 4 공간이 우측에 형성되는 방법으로 옥상까지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방법.
  5.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간 내지 제 3 공간과 같은 각각의 공간들은 지상에서 옥상까지 시공됨에 있어서, 건축물 모서리에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방법.
  6.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건축물 2층에 해당하는 제 4 바닥을 지면에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방법.
  7. 지면에 건축물 2층 제 10 바닥과 연장되게 건축물 1층의 제 11 바닥을 시공하고 상기 제 10 바닥과 같은 면적을 갖도록 제 12 바닥이 시공되되 상기 제 10 바닥이 시공되는 지면보다 일정높이 절곡된 지면에 시공되는 제 21 단계와;
    상기 제 11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제 10 천장이 시공되고 상기 제 12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의 2배에 해당하는 높이에 제 11 천장을 시공하되 상기 제 10 천장과 수평으로 연장되게 시공하며, 제 12 바닥과 제 11 천장에 의하여 제 10 공간이 형성되고 건축물 1층이 시공되는 제 22 단계와;
    상기 제 10 천장은 건축물 2층의 제 13 바닥이 되고, 상기 제 13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와 동일한 높이 만큼에 제 12 천장이 시공되고, 상기 제 10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의 2배에 해당하는 높이에 제 13 천장이 시공되어서, 상기 제 10 바닥과 제 13 천장에 의하여 제 20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 12 천장과 제 13 천장이 일체형으로 수평하게 시공됨에 따라 건축물 2층이 시공되는 제 23 단계와;
    상기 제 11 천장은 건축물 3층의 제 14 바닥이 되고, 상기 14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 2배에 해당하는 높이에 제 14 천장이 시공되어서 제 10, 20 공간과 같은 제 30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12 천장이 건축물 3층의 제 15 바닥이 되고, 상기 제 15 바닥과 대응되면서 상기 일정높이에 해당하는 높이에 제 15 천장이 시공되되, 상기 제 14 천장과 제 15 천장이 일체형으로 수평하게 시공됨에 따라 건축물 3층이 시공되는 제 24 단계; 및
    상기 제 20 단계 내지 제 23 단계를 반복하여 옥상까지 시공하는 제 25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21 내지 제 25 단계는
    극장, 예식장, 회의실, 사무실, 박물관(전시실)과 같이 높이를 요구하는 곳에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방법.
  9. 청구항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1 단계 내지 제 25 단계는
    건축물 1층에 상기 제 10 공간이 다수개 시공되면 건축물 2층이 다수개 제 10 공간이 시공되게 구성되며 건축물 2층에 제 20 공간이 다수개 시공되면 건축물 3층에 다수개 제 20 공간이 시공되게 구성되는 것을 반복하여 건축물 옥상까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방법.
  10. 청구항 7항에 있어서, 제 21 단계 내지 제 25 단계는
    건축물 제 1 층의 제 10 공간이 전방에 시공되고, 건축물 2층의 제 20 공간이 좌측에 시공되고, 건축물 3층의 제 30 공간이 후방에 시공되고 건축물 4층의 제 40 공간이 우측에 시공되는 방법으로 옥상까지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방법.
  11. 청구항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0 공간 내지 제 30 공간과 같은 각각의 공간들은 지상에서 옥상까지 시공됨에 있어서, 건축물 전체 구조상 모서리에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방법.
KR1020110030313A 2011-04-01 2011-04-01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방법 KR101281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313A KR101281853B1 (ko) 2011-04-01 2011-04-01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313A KR101281853B1 (ko) 2011-04-01 2011-04-01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677A true KR20120111677A (ko) 2012-10-10
KR101281853B1 KR101281853B1 (ko) 2013-07-03

Family

ID=47282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313A KR101281853B1 (ko) 2011-04-01 2011-04-01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85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6176B2 (ja) * 1987-02-25 1995-06-14 株式会社長谷工コーポレーション 集合住宅
JP3600776B2 (ja) * 2000-04-21 2004-12-15 株式会社ラルブ 層状集合住宅の居室配置構造
DE50302100D1 (de) 2003-03-03 2006-03-30 Zwimpfer Basel Hans Wohnhaus mit gestafelten Geschosswohnungen
KR20090110981A (ko) * 2008-04-21 2009-10-26 랜드마크씨앤디(주) 복층 아파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1853B1 (ko)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6714B2 (en) Buildings formed of a plurality of prefabricated modules
DK2617911T3 (en) Method and system for construction of a building
US10487493B2 (en) Building design and construction using prefabricated components
JP2003013618A (ja) 集合住宅
KR101744138B1 (ko) 주거 및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시킨 다층식 큐브 하우스
KR101119034B1 (ko) 아파트 건물의 베란다식 발코니 시공구조
JP6467262B2 (ja) ユニット式建物
KR101281853B1 (ko) 공간 활용 건축물 시공방법
JP5886778B2 (ja) ユニット式建物
JP2862780B2 (ja) 平面雁行形の高層住宅及び平面雁行形の高層住宅における間取り方式
JP3494372B2 (ja) 建 物
JP2009041224A (ja) 集合住宅
JP4189817B2 (ja) ユニット式建物
KR102500200B1 (ko) 단위세대별 단독 돌출 테라스 제공을 위한 공동주택 건축 방법과 이를 통해 형성된 건물 내 단위세대 구조
JP5198670B1 (ja) 木造住宅および木造住宅の設計方法
JP7040720B2 (ja) 狭小建物
JP2006063699A (ja) 立体駐車場付き建築物
JP2010121334A (ja) 建物
JP4246078B2 (ja) 集合住宅
JP4597545B2 (ja) 重層長屋住宅
JPH0874428A (ja) 工業化住宅
JP2021046725A (ja) スキップ床の支持構造及び施工方法
RU13963U1 (ru) Каркас многоэтажного панельного здания
RU81748U1 (ru) Дом центрической композиции
RU84893U1 (ru) Многоэтажное полносборное односекционное здание меридиональной ориента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