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8909A - 카드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카드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8909A
KR20120108909A KR1020110131419A KR20110131419A KR20120108909A KR 20120108909 A KR20120108909 A KR 20120108909A KR 1020110131419 A KR1020110131419 A KR 1020110131419A KR 20110131419 A KR20110131419 A KR 20110131419A KR 20120108909 A KR20120108909 A KR 20120108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eccentric cam
arm
lever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0277B1 (ko
Inventor
아키히로 다다마사
히로유키 스즈키
아키노부 나카보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08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6Guiding cards; Checking correct operation of card-conveying mechanisms
    • G06K13/067Checking presence, absence, correct position, or moving status of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5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locking the inserted car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vey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편심 캠을 구동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장소나 방향의 제약을 받지 않고 배치할 수 있는 동시에, 편심 캠의 로크 해제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비용 저감이 가능한 카드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카드의 이상 검출시에 카드의 취출을 저지하는 저지 기구(100)는, 편심 캠(60)과, 지지구(53)와, 편심 캠용 솔레노이드(51)를 구비한다. 지지구(53)는, 십자 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암(53a 내지 53d)을 구비하고 있고, 4개의 암을 포함하는 제 1 평면상에서의 중심 위치가, 당해 제 1 평면에 있어서의 제 1 회전 중심과 일치하며, 또한, 상기 제 1 회전 중심을 포함하는 제 1 평면과 직교하는 제 2 평면상에서의 중심 위치가, 당해 제 2 평면에 있어서의 제 2 회전 중심과 일치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그리고, 암(53a 내지 53d) 중 1개가 편심 캠(60)과 걸어맞춰지고, 나머지 암 중 1개가 편심 캠용 솔레노이드(51)에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카드 처리 장치{CARD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기 카드나 IC 카드 등의 정보가 기록된 카드에 대하여, 정보의 판독 또는 기입을 행하는 카드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카드 처리 장치는,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카드 삽입부의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카드를 장치 내부로 반송한다. 그리고, 카드 처리 장치는, 판독 헤드를 이용해서, 카드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거나, 또는, 기입 헤드를 이용해서, 카드에 정보를 기입한다. 그 후, 카드 처리 장치는, 롤러를 역회전시킴으로써, 카드를 삽입구로부터 배출한다.
그런데, ATM(현금 자동 거래 처리 장치)과 같은 상위 장치에 부착되어 있는 카드 처리 장치에서는, 부정을 행하려는 자가, 의도적으로 카드를 카드 처리 장치 내에 걸리게 해서, 카드 처리 장치에 대하여 어떠한 농간을 부리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ATM의 이용자가 카드 처리 장치의 삽입구에 카드를 삽입하면, 카드가 카드 처리 장치 내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이상이 발생하면, 이용자는 이상의 해소를 요청하기 위해서, ATM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를 벗어나, 계원이 있는 곳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그 틈에 부정을 행하려는 자가 공구 등을 이용해서 카드 처리 장치 내에 걸린 카드를 취출해서 갖고 가 버려, 그 후 카드를 악용한다는 문제가 생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카드 삽입부로부터 카드가 취출되는 것을 저지하는 저지 기구를 구비한 카드 처리 장치가, 하기의 특허문헌 1?3에 제안되어 있다. 이 저지 기구는, 회전 가능한 편심 캠과, 이 편심 캠을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그래서, 카드의 걸림이 검출되면, 액추에이터가 작동해서 폄심 캠이 회전하고, 편심 캠의 외주 부분이 카드에 접촉함으로써, 카드 삽입부로부터의 카드의 취출을 저지하도록 하고 있다.
도 26 및 도 27은, 그러한 저지 기구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각 도면의 (A)는 저지 기구의 측면도, (B)는 저지 기구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B)에서는 (A)의 카드(2), 카드 삽입부(3), 및 셔터(14) 등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26은, 액추에이터인 솔레노이드(13)가 구동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편심 캠(10)은, 축(1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심 캠(10)은 축(11)에 대하여 편심되어 있다. 편심 캠(10)의 카드(2)에 면하는 측의 외주(9)는,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편심 캠(10)의 축(11)으로부터 외주(9)까지의 거리는 일정하지 않다. 편심 캠(10)의 외주(9)에는, 축(11)으로부터의 거리가, 반송로(5)를 반송되는 카드(2)에 접촉하지 않는 길이(L1)인 외주 부분(9a)과, 반송로(5)를 반송되는 카드(2)에 접촉하는 길이(L2)인 외주 부분(9b)이 포함되어 있다. 도 26의 (A)의 상태에서는, 외주 부분(9a)이 반송로(5)에 대하여 향하고 있지만, 외주 부분(9a)은 카드(2)에 접촉해 있지 않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편심 캠(10)을 축(1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외주 부분(9b)을 반송로(5)에 대하여 향하게 하면, 도 2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 부분(9b)이 카드(2)의 표면에 접촉한다.
축(11)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2)이 부착되어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12)은, 편심 캠(1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편심 캠(10)에 힘을 가하고 있다. 이것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12)의 하단부가 편심 캠(10)에 걸려 있기 때문이다. 한편, 비틀림 코일 스프링(12)의 상단부는 벽(34)에 닿아 있다.
도 2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13)의 플런저(plunger)(54)의 선단에는, 로드(18)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플런저(54)의 둘레에는 코일 스프링(55)이 설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55)은, 로드(18)에 솔레노이드(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힘을 가하고 있다. 로드(18)에는, 편심 캠(10)의 상부와 맞닿아서, 편심 캠(10)을 도 26의 (A)의 자세로 지지하는 지지구(支持具)(97)가 연결되어 있다. 지지구(97)는, 암(84), 롤러(87), 및 코일 스프링(88)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암(84)은 축(86)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축(86)은, 도시하지 않은 판이나 봉 등의 부재를 통해서 벽(34)에 고정되어 있다. 축(86)의 둘레에는 코일 스프링(88)이 설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88)의 일단은, 암(84)으로부터 돌출한 클로(claw)(90)에 닿아 있다. 코일 스프링(88)의 타단은, 도시하지 않은 판이나 봉 등의 부재를 통해서 벽(34)에 고정된 클로(89)에 닿아 있다. 암(84)의 중앙에는, 핀(83)이 설치되어 있다. 핀(83)은, 로드(18)에 설치된 홈(85)에 삽입되어 있다. 암(84)의 좌측에는, 롤러(87)가 설치되어 있다. 롤러(87)는, 축(9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롤러(87)는, 편심 캠(10)의 상부에 부착된 블록(91)의 우측면에 접촉해 있다. 이 때문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12)의 탄성력에 의해 편심 캠(10)이 축(1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해도, 편심 캠(10)의 회전은 저지된다.
솔레노이드(13)가 구동하면, 플런저(54)가 솔레노이드(13)의 내부로 끌려들어간다. 그러면, 도 26의 (B)에 있어서, 로드(18)의 홈(85)이 상방으로 이동하고, 홈(85)의 끝이 핀(83)에 닿아, 핀(83)도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도 26의 (B)에 있어서, 암(84)이 축(86)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롤러(87)가 축(9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롤러(87)와 블록(91)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은 작다.
카드 처리 장치(1)가 카드(2)의 걸림을 검출했을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13)가 구동한다. 도 27은, 솔레노이드(13)가 구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7의 (B)에 있어서, 플런저(54) 및 로드(18)가 상측으로 이동하고 있다. 홈(85)의 이동에 의해, 핀(83)이 상측으로 이동하고 있다. 핀(83)의 이동에 의해, 암(84)이 축(86)을 중심으로 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롤러(87)가 블록(91)의 우측면으로부터 배면으로 퇴피(退避)하기 때문에, 편심 캠(10)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12)의 탄성력에 의해 축(1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도 27의 (B)에 있어서, 편심 캠(10)의 상부가 우측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때, 코일 스프링(88)의 탄성력에 의해, 암(84)이 축(86)을 중심으로 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그러나, 코일 스프링(88)의 탄성력에 의해, 블록(91)의 배면과 롤러(87)가 접촉해서, 암(84)의 회전을 방해하고 있다. 도 2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심 캠(10)이 축(1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편심 캠(10)의 외주 부분(9b)이 카드(2)의 표면에 접촉한다. 이때, 편심 캠(10)으로부터 카드(2)의 표면에 대하여 가압력이 작용하고 있다.
편심 캠(10)이 카드(2)의 표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의 가압력과 함께, 카드(2)와 편심 캠(10)의 외주 부분(9b) 사이에서 큰 마찰력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부정을 행하려는 자가, 카드 삽입부(3)의 삽입구(3a)로부터, 공구 등을 사용해서, 걸린 카드(2)를 뽑아내려고 해도 용이하게 뽑아낼 수 없다.
도 27의 (A)의 상태에 있어서, 부정을 행하려는 자가, 더 큰 힘을 줘서 카드(2)를 삽입구(3)로부터 뽑아내려고 했을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카드(2)를 큰 힘으로 뽑아내려고 함으로써, 카드(2)와 편심 캠(1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편심 캠(10)이 축(1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한다. 그러면, 카드(2)에 접촉해 있는 외주 부분(9b)은, 카드(2)를 뽑아내려고 하는 방향과 거의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를 도 28에 나타낸다.
도 28에 있어서, 편심 캠(10)은, 축(11) 대하여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도 27의 (A)에 있어서, 카드(2)에 접촉해 있는 외주 부분(9b)보다 더 축(11)으로부터의 거리(L2')가 긴 외주 부분(9b')이 카드(2)에 접촉한다. 거리(L2')는, 거리(L2)보다 길다. 이에 따라, 더 큰 가압력이 편심 캠(10)으로부터 카드(2)의 표면에 작용해서, 편심 캠(10)과 카드(2) 사이의 마찰력도 더 커진다. 이 때문에, 더욱더, 카드(2)를 뽑아내는 것이 곤란해진다.
편심 캠(10)이 카드(2)에 가압력을 가하고 있는 상태에서, 편심 캠(10)의 위치를 로크(lock)하는 로크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카드 처리 장치(1)의 외부로부터 카드(2)를 밀거나 당겨도, 카드(2)를 이동시키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29 및 도 30은, 저지 기구에 로크 기구를 부설했을 경우의 구조도이다. 각 도면에 있어서, (A)는 측면도, (B)는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A), (B)에서는, 저지 기구의 지지구(97), 솔레노이드(13), 코일 스프링(12) 등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B)에서는, 벽(34), 셔터(14), 카드 삽입부(3) 등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편심 캠(10)의 외주(9)에, 치형부(108)가 형성되어 있다.
도 29는 솔레노이드(13)가 구동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벽(34)에는, 받침대(130)가 부착되어 있다. 받침대(130)의 축(138)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고정구(固定具)(134)가 부착되어 있다. 고정구(134)는, 편심 캠(10)의 위치를, 도 30의 (A)의 위치에 고정한다. 도 29의 (B)에 있어서, 고정구(134)의 좌측에는, 클로(137)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구(134)의 상측에는, 클로(135)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구(134)의 우측의 클로(133)에는 코일 스프링(131)의 일단이 부착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31)의 타단은, 받침대(130)의 구멍(132)에 걸려 있다. 이 때문에, 코일 스프링(131)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구(134)에는, 축(138)을 중심으로 해서 고정구(13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고 있다. 고정구(134)의 좌변(139)은, 레버(19)에 닿아 있다. 이 때문에, 고정구(134)의 회전은, 도 29의 (B)에 나타내는 상태로 정지해 있다. 도 29의 (B)에 있어서, 레버(19)는 해칭으로 표시되어 있다.
카드 처리 장치가, 카드(2)의 걸림을 검출하면, 솔레노이드(13)(도 26 참조)를 구동한다. 솔레노이드(13)가 구동하면, 도 29의 (A)에 있어서, 편심 캠(10)이, 축(1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외주(9)의 치형부(108)가 카드(2)에 접촉한다. 이때의 상태를 도 30에 나타낸다.
도 30에 있어서, 카드(2)를 뽑아내려고 하면, 치형부(108)와 카드(2)의 마찰력에 의해, 편심 캠(10)이,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려고 한다. 이에 따라, 치형부(108)가 카드(2)에 더 밀어붙여져서, 카드(2)가 빼내지는 것이 방지된다.
편심 캠(1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했기 때문에, 도 30의 (A)에 있어서, 편심 캠(10)의 레버(19)가 우측 위로 이동해 있다. 이 때문에, 도 3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19)가 고정구(134)의 좌변(139)으로부터 벗어나 있다. 따라서, 고정구(134)가, 코일 스프링(131)의 탄성력에 의해, 축(138)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측의 클로(135)와 레버(19)가 접촉하는 위치에서, 고정구(134)의 회전이 정지한다. 이에 따라, 레버(19)가 하측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즉, 편심 캠(10)이 로크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삽입구(3a)로부터 카드(2)를 더 삽입시켰을 경우, 카드(2)와 치형부(108)의 마찰력에 의해, 편심 캠(1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이때, 도 30의 (A)에 있어서, 레버(19)는, 좌측 아래로 이동하려고 한다. 그러나, 도 30의 (B)와 같이, 고정구(134)의 클로(135)와 레버(19)가 접촉해 있기 때문에, 편심 캠(1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카드 처리 장치(1)의 외부로부터, 카드(2)를 밀었다고 해도, 편심 캠(10)이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카드(2)는 이동하지 않는다. 한편, 카드(2)를 당겼을 때에는, 카드(2)와 치형부(108)의 마찰력에 의해, 편심 캠(1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해서, 치형부(108)가 카드(2)의 표면에 대하여 더 밀어붙여진다. 이 때문에, 카드(2)를 뽑아낼 수 없다.
따라서, 치형부(108)가 카드(2)에 접촉한 상태에서, 카드 처리 장치의 외부로부터 카드(2)를 밀거나 당겨도, 카드(2)는 이동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카드 처리 장치 내에 걸린 카드(2)가 도난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편심 캠(10)의 로크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도 30의 (B)에 있어서, 고정구(134)의 클로(137)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도 30의 (A)에 있어서, 레버(19)를 밀어내려, 편심 캠(1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지지구(97)의 암(84)(도 27 참조)이, 코일 스프링(88)의 탄성력에 의해, 축(86)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롤러(87)가 편심 캠(10)의 블록(91)의 우측면에 접촉하고(도 26 참조), 편심 캠(10)의 위치가 고정되어서, 도 29에 나타내는 상태로 돌아간다.
일본국 특허 제4223382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4346470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4401212호 공보
상술한 종래의 카드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도 2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암(84)의 핀(83)이 로드(18)의 홈(85)에 삽입되어 있고, 솔레노이드(13)가 구동하면, 로드(18)가 이동해서 홈(85)의 끝이 핀(83)에 닿아, 로드(18)와 함께 핀(83)이 이동함으로써, 암(84)이 축(86)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도 26의 (B)로부터 알 수 있듯이, 솔레노이드(13)가 암(84)을 견인하는 위치, 즉 핀(83)의 위치는, 암(84)의 지지점인 축(86)과, 암(84)의 작용점인 롤러(87)를 잇는 선상에 있다. 이렇게, 암(84)의 지지점과 작용점을 있는 선상의 점을 견인하는 구조에서는, 액추에이터인 솔레노이드(13)를 배치하는 장소와 방향이 제약을 받고, 예를 들면, 도 26의 (B)의 위치로부터 90° 우측 방향으로 회전한 위치에 솔레노이드(13)를 배치할 수는 없었다. 이 때문에, 주위의 부품이나 배선의 방해로 되지 않도록 솔레노이드(13)의 위치를 변경하려고 해도, 자유로운 위치에 솔레노이드(13)를 배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카드 처리 장치에서는, 솔레노이드(13)가 구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진동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에, 편심 캠(10)과 지지구(97)의 걸어맞춤이 분리되어(도 27 참조)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편심 캠(10)과 지지구(97)의 접촉력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편심 캠(10)에 시계 방향의 가압력을 부여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2)의 스프링력을 강하게 해서, 편심 캠(10)으로부터 암(84)의 롤러(87)에 큰 하중을 걸고 있었다. 따라서, 편심 캠(10)의 로크 해제시에는, 이 강한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레버(19)를 밀어내려야만 해서, 그 조작이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암(84)의 작용점의 마찰을 저감하기 위해, 베어링의 역할을 하는 롤러(87)를 설치할 필요가 있어,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편심 캠을 구동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장소나 방향의 제약을 받지 않고 배치할 수 있는 동시에, 편심 캠의 로크 해제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비용 저감이 가능한 카드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처리 장치는, 정보가 기록된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삽입부와, 이 카드 삽입부로부터 삽입된 카드의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 검출 수단과, 이 이상 검출 수단이 이상을 검출했을 경우에, 카드 삽입부로부터의 카드의 취출을 저지하는 저지 기구를 구비한다. 저지 기구는, 편심 캠과, 지지구와,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편심 캠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카드로부터 이간해서 당해 카드에 가압력을 부여하지 않는 제 1 위치와, 카드와 접촉해서 당해 카드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제 2 위치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지지구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편심 캠과 걸어맞춰짐으로써, 당해 편심 캠을 제 1 위치에 지지하고, 편심 캠과의 걸어맞춤을 해제함으로써, 편심 캠을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변위시킨다. 액추에이터는, 이상 검출 수단이 이상을 검출했을 경우에, 지지구와 편심 캠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도록, 지지구를 회동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지지구는, 십(十)자 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암을 구비하고 있고, 4개의 암을 포함하는 제 1 평면상에서의 중심 위치가, 당해 제 1 평면에 있어서의 제 1 회전 중심과 일치하며, 또한, 제 1 회전 중심을 포함하는 제 1 평면과 직교하는 제 2 평면상에서의 중심 위치가, 당해 제 2 평면에 있어서의 제 2 회전 중심과 일치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그리고, 4개의 암 중 1개가 편심 캠과 걸어맞춰지고, 나머지 암 중 1개가 액추에이터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액추에이터는, 4개의 암 중 편심 캠과 걸어맞춰지는 암 이외의 임의의 암(즉, 작용점을 갖지 않는 암)에 연결되므로, 종래와 같이 암의 지지점과 작용점을 잇는 선 상의 점을 견인하지 않고, 당해 선 상의 점 이외의 개소를 견인하게 된다. 이 때문에, 액추에이터를 배치하는 장소와 방향의 제약이 완화되어, 배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지지구는, 제 1 평면과 제 2 평면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중심 위치가 회전 중심과 일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전후 방향?좌우 방향?상하 방향의 모두에 대하여 밸런스가 잡히고, 어떤 방향으로 진동 충격이 가해져도, 지지구에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편심 캠으로부터 지지구에 큰 하중을 걸지 않아도, 진동 충격에 의해 편심 캠과 지지구의 걸어맞춤이 분리되어 오동작할 일이 없으므로, 편심 캠에 강한 스프링력을 작용시킬 필요가 없어, 편심 캠의 로크 해제의 조작이 용이해진다.
또한, 지지구와 편심 캠이 걸어맞춰지는 부분(작용점)의 하중이 작으므로, 종래와 같은 마찰 저감을 위한 롤러를 지지구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처리 장치는, 암이, 제 1 암과, 이 제 1 암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암과, 제 1 및 제 2 암과 직교하는 제 3 암과, 이 제 3 암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4 암으로 이루어지고, 제 1 암은 액추에이터에 연결되며, 제 2 암은 제 1 암과 균형을 잡는 추(錘)를 갖고, 제 3 암은, 제 1 및 제 2 암에 대하여 액추에이터와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편심 캠과 걸어맞춰지고, 제 4 암은, 제 1 및 제 2 암에 대하여 액추에이터와 동일한 측으로 연장되어 제 3 암과 균형을 잡는 추의 기능을 갖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처리 장치는, 편심 캠이 카드에 접촉하는 캠부와, 지지구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와, 캠부와 카드의 접촉을 해제할 때에 조작되는 레버를 구비하고 있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처리 장치는, 편심 캠을 제 2 위치에서 로크하기 위한 로크 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로크 기구는, 편심 캠의 레버에 접근하는 방향인 로크 방향과, 레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해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고정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고정구는, 걸림부와, 제 1 클로부와, 제 2 클로부를 갖고 있다. 편심 캠을 로크할 때에는, 당해 편심 캠의 제 2 위치로의 이동에 따라, 고정구가 로크 방향으로 회동했을 때에, 걸림부가 편심 캠의 레버에 걸린다. 또한, 편심 캠의 로크를 해제할 때에는, 고정구를 해제 방향으로 회동시킨 후, 레버를 밀어내렸을 때에, 당해 레버가 제 1 클로부를 밀어냄으로써, 고정구가 다시 로크 방향으로 회동한다. 또한, 편심 캠의 로크가 해제되고 당해 편심 캠이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고정구가 해제 방향으로 조작되었을 때에는, 제 2 클로부가, 레버와 맞닿아서, 당해 레버에 대하여, 편심 캠과 지지구의 걸어맞춤력을 강화하는 방향의 힘을 부여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편심 캠이 카드를 가압한 상태에서 로크되므로, 카드 삽입부로부터 카드가 취출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또한, 편심 캠이 로크되어 있지 않을 때에, 실수로 고정구가 해제 방향으로 조작되었다고 해도, 제 2 클로부로부터 편심 캠의 레버에 대하여, 편심 캠과 지지구의 걸어맞춤력을 강화하도록 작용하는 힘이 작용하므로, 편심 캠과 지지구의 걸어맞춤이 분리되어 편심 캠이 로크 상태로 될 일은 없어, 저지 기구의 오동작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처리 장치는, 편심 캠의 레버에, 지지구의 제 1 클로부를 밀기 위한 돌기를 설치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편심 캠을 구동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장소나 방향의 제약을 받지 않고 배치할 수 있는 동시에, 편심 캠의 로크 해제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비용 저감이 가능한 카드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처리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카드 처리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카드 삽입부 부근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저지 기구 및 로크 기구의 상세 구조도.
도 5는 편심 캠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지지구의 단면도.
도 7은 지지구의 밸런스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편심 캠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의 저지 기구의 도면.
도 9는 도 8의 상태에 있어서의 로크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편심 캠이 제 2 위치에 있을 때의 저지 기구의 도면.
도 11은 도 10의 상태에 있어서의 로크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로크 해제시의 조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로크 해제시의 조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카드 처리의 개략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5는 카드 처리의 개략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6은 카드 처리의 개략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7은 카드 처리의 개략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8은 카드 처리의 개략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9는 카드 처리의 개략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0은 카드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카드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카드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카드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카드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카드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카드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카드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카드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카드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카드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카드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종래의 저지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종래의 저지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종래의 저지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고정구가 설치된 종래의 저지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30은 고정구가 설치된 종래의 저지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분 또는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카드 처리 장치의 개략 구조를,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삽입 검출 센서(17)는, 카드(2)가 카드 삽입부(3)의 삽입구(3a)에 삽입된 것을 검출한다. 카드(2)에는,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카드(2)가 자기 카드일 경우에는, 카드(2)의 표면에 자기 스트라이프가 구비되어 있고, 이 자기 스트라이프에 자기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카드(2)가 접촉식 IC 카드일 경우에는, 카드(2)의 표면에 IC 접점이 구비되고, 카드(2)의 내부에 IC 접점과 접속된 IC 칩이 구비되어 있다. 카드(2)가 비접촉식 IC 카드일 경우에는, 카드(2)의 내부에 통신용의 안테나와 IC 칩이 구비되어 있다. 접촉식 IC 카드 및 비접촉식 IC 카드에서는, IC 칩에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IC 카드로서 접촉식 IC 카드를 예로 든다.
삽입 검출 센서(17)가 카드(2)의 삽입을 검출하면, 셔터(14)가 개방된다. 셔터(14)가 개방됨으로써, 카드(2)가 카드 처리 장치(1)의 내부로 반송 가능해진다. 카드(2)가 반송되는 반송로(5)는, 일점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도 26에서는, 셔터(14)는 반송로(5)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도 1의 경우는, 셔터(14)는 반송로(5)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반송로(5)는, 삽입구(3a) 및 상하의 롤러(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모터(25)(도 2 참조)가 구동함으로써, 롤러(4)가 회전한다. 삽입구(3a)로부터 삽입된 카드(2)가 롤러(3)에 맞닿으면, 회전하는 롤러(4)에 의해, 카드(2)는 카드 처리 장치(1)의 내부로 반송된다. 카드 검출 센서(6, 7, 8)는, 각각의 위치에서의 카드(2)의 유무를 검출한다. 카드(2)의 삽입 후, 카드 검출 센서(6)가 카드(2)를 검출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카드(2)를 검출하지 않는 상태로 되면, 셔터(14)가 폐쇄된다.
삽입된 카드(2)가 자기 카드일 경우에는, 자기 카드의 반송 중에, 자기 헤드(15)가, 자기 카드의 자기 정보를 판독하거나, 자기 카드에 자기 정보를 기입한다. 삽입된 카드(2)가 IC 카드일 경우에는, 카드(2)를 소정의 위치까지 반송한다. 그리고, IC 접점 헤드(16)를 강하시키기 위한 접점 헤드용 솔레노이드(28)(도 2 참조)가 구동함으로써, IC 접점 헤드(16)가 강하해서 IC 카드의 IC 접점에 접촉한다. 그리고, 이 IC 접점 헤드(16)가, IC 카드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IC 카드에 정보를 기입한다. 판독 또는 기입이 종료하면, 접점 헤드용 솔레노이드(28)(도 2 참조)가 구동을 정지함으로써, IC 접점 헤드(16)가 상승해서 IC 접점으로부터 멀어진다. 카드(2)에 대한 정보의 판독 또는 기입이 종료하면, 롤러(4)가 역회전해서, 카드(2)가 삽입구(3a)를 향해서 반송된다. 그리고, 카드 검출 센서(6)가 카드(2)를 검출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카드(2)를 검출한 상태로 되면, 셔터(14)가 개방된다. 이에 따라, 카드(2)가, 삽입구(3a)의 외부로 롤러(4)에 의해 반송된다.
삽입구(3a)의 근방에는, 저지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편심 캠(60)이 설치되어 있다. 편심 캠(60)은, 캠부(62)나 레버(63) 등을 구비하고 있고, 축(66)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편심 캠(60)을 포함하는 저지 기구의 상세 구조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상기의 카드 처리 장치(1)에서 발생하는 카드 이상의 일례로서, 카드 삽입부(3)의 삽입구(3a)에 어떠한 농간을 부려, 카드(2)의 삽입시 또는 배출시에, 카드(2)가 반송로(5) 내부에 걸리게 되었을 경우를 상정한다. 롤러(4)를 회전하려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롤러(4)가 회전하지 않을 경우에, 카드 처리 장치(1)는, 카드(2)가 카드 검출 센서(6)의 위치에서 걸려 있음을 검출한다. 카드 처리 장치(1)가, 카드(2)의 걸림을 검출하면, 후술하는 편심 캠용 솔레노이드(51)(도 2 참조)가 구동되고, 이것에 의거하여, 편심 캠(60)이 축(66)을 중심으로 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러면, 편심 캠(60)의 캠부(62)가 카드(2)의 표면에 접촉하고, 편심 캠(60)과 카드(2)의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므로, 카드(2)가 삽입구(3a)로부터 외부로 뽑아내지는 것이 저지된다. 이 경우의 상세 동작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다음으로, 카드 처리 장치(1)의 전기적 구성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CPU(20)는, 카드 처리 장치(1)의 각 부를 제어하거나 각 부로부터 정보를 취득한다. 자기 헤드(15)는, 카드(2)가 자기 카드일 경우에, 카드의 자기 스트라이프로부터 자기 정보를 판독하거나, 자기 스트라이프에 자기 정보를 기입한다. IC 접점 헤드(16)는, 카드(2)가 IC 카드일 경우에, 카드의 IC 접점과 접촉해서, IC 칩으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IC 칩에 정보를 기입한다.
모터(25)는, 롤러(4)(도 1 참조)에 기구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 모터(25)가 구동함으로써, 롤러(4)가 회전한다. 로터리 엔코더(26)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상 검출 수단의 일례이며, 모터(25)의 회전수를 검출한다. 카드 검출 센서(6, 7, 8)는, 반송로(5)(도 1 참조)의 소정의 위치에, 카드(2)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삽입 검출 센서(17)는, 삽입구(3a)에 카드(2)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각 센서(6, 7, 8, 17)는, 카드(2)의 존재를 검출하면, OFF 상태로부터 ON 상태로 전환된다. 셔터용 솔레노이드(27)는, 셔터(14)(도 1 참조)를 개폐하기 위한 솔레노이드이다. 편심 캠용 솔레노이드(51)는, 편심 캠(60)을 회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이다. 접점 헤드용 솔레노이드(28)는, IC 접점 헤드(16)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이다.
ROM(21)은, CPU(20)의 동작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RAM(22)은,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 파라미터나, 자기 헤드(15) 및 IC 접점 헤드(16) 등의 각 부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또한, RAM(22)은, 자기 헤드(15) 또는 IC 접점 헤드(16)에 의해 카드에 기입하는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통신부(24)는, 상위 장치와 통신을 행한다. 상위 장치의 예로서, 카드 처리 장치(1)가 탑재되어 있는 ATM이 있다. 통신부(23)는, 카드(2)로부터 판독한 정보나 카드(2)가 걸린 것 등을 나타내는 장해 정보 등을 상위 장치에 송신한다. 또한, 통신부(24)는, 상위 장치로부터 카드(2)에 기입하는 정보나 처리 대상의 카드(2)의 종류 정보 등을 수신한다.
다음으로, 카드 처리 장치(1)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 저지 기구와 로크 기구를 중심으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은, 카드 삽입부(3) 부근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고, 편의상, 삽입구(3a)의 상벽을 제거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의 삽입 검출 센서(17)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카드 삽입부(3)는, 수지 성형품의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드 처리 장치(1)의 전면(前面)에 설치된다. 카드 삽입부(3)에 형성된 삽입구(3a)에는, 카드(2)가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된다. 카드 삽입부(3)의 후방에는, 벽부(40)가 설치되어 있다. 벽부(40)의 후면(後面)측에는, 저지 기구(100)가 배설(配設)되어 있고, 벽부(40)의 전면측에는, 로크 기구(200)가 배설되어 있다.
도 4는, 저지 기구(100)와 로크 기구(200)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A)는 평면도, (B)는 사시도, (C)는 정면도, (D)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4에서는, 도 3의 벽부(4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저지 기구(100)는, 편심 캠(60)과, 지지구(53)와, 편심 캠용 솔레노이드(51)를 구비하고 있다. 편심 캠용 솔레노이드(51)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액추에이터의 일 실시형태이다.
편심 캠(60)은, 축(66)(도 4의 (D) 참조)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기부(基部)(61)와, 이 기부(61)에 부착된 캠부(62)와, 기부(61)와 일체로 형성된 레버(63)와, 기부(61)에 고정된 걸어맞춤부(64)를 구비하고 있다. 기부(61), 캠부(62) 및 레버(63)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걸어맞춤부(64)는 수지로 이루어진다. 캠부(62)에는, 치형부(齒部)(65)가 형성되어 있다. 축(66)은,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편심 캠(60)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도 8의 (B)의 부호 69)이 부설되어 있고, 이 스프링에 의해, 축(66)을 중심으로 하는 시계방향의 가압력이, 편심 캠(60)에 작용하고 있다.
도 5는, 편심 캠(60)을 나타내고 있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이다. 도 2의 편심 캠(10)과 마찬가지로, 편심 캠(60)에 있어서의 축(66)으로부터 캠부(62)의 외주까지의 거리는 등거리는 아니고, 캠부(62)의 외주에 대하여 축(66)이 편심되어 있다. 도 5의 (C)와 같이, 레버(63)의 선단 부근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기(67)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축(66)의 단부에는, E 링(68)이 장착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편심 캠(60)은, 축(66)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함으로써, 캠부(62)가 카드(2)로부터 이간한 위치(도 8의 (D)의 위치)와, 캠부(62)가 카드(2)와 접촉한 위치(도 10의 (D)의 위치)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로 돌아가서, 지지구(53)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지구(53)는, 도 4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십자 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암(53a 내지 53d)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암(53a 내지 53d)은, 수지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지지구(53)는, 축(57)에 지지되어 있고, 축(57)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축(57)은,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4개의 암(53a 내지 53d) 중, 제 1 암(53a)은, 편심 캠용 솔레노이드(51)의 플런저(58)(도 4의 (C) 참조)와 핀(52)(도 4의 (A) 참조)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제 2 암(53b)은, 제 1 암(53a)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제 1 암(53a)과 균형을 잡는 추(56)를 갖고 있다. 여기서는, 추(56)는 원주(圓柱) 형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제 2 암(53b)의 단부에 형성된 원통부에 장착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암(53a, 53b)과 직교하는 제 3 암(53c)은, 이들 암(53a, 53b)에 대하여 편심 캠용 솔레노이드(51)와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선단부가, 편심 캠(60)의 걸어맞춤부(64)에 형성된 노치(64a)와 걸어맞춰지게 되어 있다. 제 3 암(53c)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4 암(53d)은, 제 1 및 제 2 암(53a, 53b)에 대하여 편심 캠용 솔레노이드(51)와 동일한 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제 3 암(53c)과 균형을 잡는 추의 기능을 갖고 있다.
지지구(53)는, 편심 캠용 솔레노이드(51)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코일 스프링(59)에 의해, 도 4의 (A)에 있어서, 축(57)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지구(53)가 축(57)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함으로써, 제 3 암(53c)은, 편심 캠(60)과 걸어맞춰진 위치(도 8의 (A)의 위치)와, 편심 캠(60)과의 걸어맞춤이 분리된 위치(도 10의 (A)의 위치)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6은, 지지구(53)의 정면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제 1 암(53a)의 단부는, 핀(52)을 통해서 편심 캠용 솔레노이드(51)의 플런저(58)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코일 스프링(59)으로부터 하중을 받으므로, 제 1 암(53a)에는 상응하는 부하가 걸린다. 그래서, 이 제 1 암(53a)과의 밸런스를 잡기 위해, 제 2 암(53b)의 단부에 추(5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부호 81은 축(57)의 플랜지(flange)부이며, 부호 82는 축(57)의 단부에 장착된 E 링이다.
다음으로, 지지구(53)의 밸런스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밸런스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므로, 지지구(53)를 모식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 7의 (A)에 있어서, X 좌표와 Y 좌표를 도면의 방향으로 설정하고, 4개의 암(53a 내지 53d)을 포함하는 평면을 XY 평면으로 한다. 이 XY 평면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1 평면에 상당한다. 이때, XY 평면상에서 지지구(53)가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할 경우의 회전 중심은, 축(57)의 축심으로 된다. 이 회전 중심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1 회전 중심에 상당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암(53a)과 제 2 암(53b)에 대해서는, 제 2 암(53b)에, 제 1 암(53a)과 균형을 잡는 추(5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3 암(53c)과 제 4 암(53d)에 대해서는, 제 4 암(53d)이, 제 3 암(53c)과 균형을 잡는 추의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XY 평면상에서, 지지구(53)의 중심의 위치는, 회전 중심(축(57)의 축심)과 일치한다.
한편, 도 7의 (B)에 있어서, Z 좌표를 도면의 방향으로 설정하고, 축(57)을 포함하는 XY 평면과 직교하는 평면을 XZ 평면으로 한다. 이 XZ 평면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2 평면에 상당한다. 이때, XZ 평면상에서 지지구(53)가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할 경우의 중심 축선은, 축(57)의 축심 상에 있는 점(P)이다.
여기서, XZ 평면상에서의 지지구(53)의 중심의 위치가, 동 평면상의 회전 중심(점(P))과 일치하도록, 각 암(53a 내지 53d), 추(56), 플랜지부(81), E 링(82) 등의 형상이나 중량이 설계되어 있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XY 평면상에서, 지지구(53)의 중심 위치가 회전 중심과 일치하고, XZ 평면상에서도, 지지구(53)의 중심 위치가 회전 중심과 일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후?좌우?상하의 어느 한 방향으로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져도, 지지구(53)에 회전 모멘트는 발생하지 않는다.
다시 도 4로 돌아가서, 다음은 로크 기구(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기구(200)는, 고정구(70)와, 이 고정구(7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78)과, 고정구(70)에 대하여 탄성력을 부여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79)과, 축(78)이 고정되어 있는 프레임(80)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구(70)는, 활 형상으로 형성된 제 1 부분(71)과, 이 제 1 부분(71)으로부터 축(78)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2 부분(72)과, 이 제 2 부분(72)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3 부분(73)을 갖고 있다. 제 1 부분(71)에는, 로크 해제시에 고정구(70)를 회동시키기 위한 조작편(74)과, 편심 캠(60)의 레버(63)가 걸리는 걸림부(75)와, 레버(63)와 맞닿을 수 있는 클로부(7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3 부분(73)에는, 레버(63)의 돌기(67)(도 5의 (C) 참조)에 의해 밀리는 클로부(76)가 설치되어 있다. 클로부(76)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1 클로부에 상당하고, 클로부(77)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2 클로부에 상당한다.
제 1 부분(71)과 제 3 부분(73)은, 프레임(80)에 고정된 축(78)에 삽입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고정구(70)는, 축(78)을 중심으로 해서, 편심 캠(60)의 레버(63)에 접근하는 방향인 로크 방향(반시계 방향)과, 레버(6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해제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1 부분(71)의 걸림부(75)에는, 기어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79)은, 일단이 프레임(80)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 1 부분(71)에 고정된 핀(81)(도 4의 (A) 참조)에 연결되어 있다.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79)에 의해, 고정구(70)는, 도 4의 (C)에 있어서, 축(78)을 중심으로 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다음으로, 저지 기구(100)와 로크 기구(200)의 동작에 대해서,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통상시(대기시)에는, 저지 기구(100)는 도 8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다. 도 8에 있어서, (A)는 평면도, (B)는 사시도, (C)는 정면도, (D)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8에서는, 로크 기구(20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8의 상태에서는, 편심 캠용 솔레노이드(51)가 작동하고 있지 않고, 지지구(53)의 제 3 암(53c)의 선단이, 편심 캠(60)의 걸어맞춤부(64)에 형성된 노치(64a)에 걸어맞춰져 있다. 그리고, 지지구(53)는, 코일 스프링(59)의 탄성력을 받아서, 도 8의 (A)에서 축(57)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므로, 상기의 걸어맞춤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편심 캠(60)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69)(도 8의 (B) 참조)에 의해, 축(66)을 중심으로 하는 시계 방향의 힘을 받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제 3 암(53c)의 선단이, 편심 캠(60)의 걸어맞춤부(64)와 걸어맞춰져 있기 때문에, 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편심 캠(60)은, 도 8의 (D)에 나타내는 위치에 있다. 이 위치는, 캠부(62)가 카드(2)로부터 이간해서 카드(2)에 가압력을 부여하지 않는 위치이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1 위치에 상당한다.
도 9는, 저지 기구(100)가 도 8의 상태에 있을 때의, 로크 기구(200)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있어서, (A)는 평면도, (B)는 사시도, (C)는 정면도, (D)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9에서는, 편심 캠용 솔레노이드(51)와 지지구(53)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9의 상태에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79)에 의해, 고정구(70)는, 축(78)을 중심으로 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고, 제 1 부분(71)이, 편심 캠(60)의 레버(63)의 측면에 맞닿아 있다. 이 때문에, 고정구(70)는, 그 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지 않는다.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카드(2)의 걸림이 검출되면, 저지 기구(100)는 도 10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도 10에 있어서, (A)는 평면도, (B)는 사시도, (C)는 정면도, (D)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10에서는, 로크 기구(20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10의 상태에서는, 편심 캠용 솔레노이드(51)가 작동하고, 지지구(53)의 제 1 암(53a)이, 핀(52)을 통해서, 편심 캠용 솔레노이드(51)의 플런저(58)에 견인된다. 따라서, 지지구(53)는, 코일 스프링(59)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도 10의 (A)에서 축(57)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문에, 제 3 암(53c)의 선단이, 편심 캠(60)의 걸어맞춤부(64)에 형성된 노치(64a)로부터 이탈해서, 제 3 암(53c)과 편심 캠(60)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이 결과, 편심 캠(60)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69)의 탄성력에 의해, 축(66)을 중심으로 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도 10의 (D)에 나타내는 위치로 변위한다. 이 위치는, 캠부(62)가 카드(2)와 접촉해서 카드(2)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위치이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2 위치에 상당한다.
이 상태에서는, 도 2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카드(2)를 삽입구(3a)로부터 뽑아내려고 하면 할 수록, 카드(2)에 대한 캠부(62)의 가압력이 강해져서, 카드(2)를 뽑아내기가 곤란해진다. 특히, 캠부(62)에 형성되어 있는 치형부(65)가 카드(2)의 표면에 파고들어감으로써, 카드(2)를 삽입구(3a)로부터 뽑아내기가 한층 곤란해진다.
도 11은, 저지 기구(100)가 도 10의 상태에 있을 때의, 로크 기구(200)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있어서, (A)는 평면도, (B)는 사시도, (C)는 정면도, (D)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11에서는, 편심 캠용 솔레노이드(51)와 지지구(53)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편심 캠(60)이 도 10의 (D)에 나타내는 위치로 변위함에 따라, 레버(63)가 상방으로 튀어오른다. 이 때문에, 로크 기구(200)의 고정구(70)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79)의 가압력에 의해, 도 9의 (C)의 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로크 방향)으로 더 회동해서, 도 11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63)와 맞닿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때, 고정구(70)에 고정된 핀(81)이 프레임(80)에 형성된 안내 홈(80a)의 단부에 맞닿는 것에 의해서도, 고정구(70)의 회동이 규제된다.
이 상태에서는, 고정구(70)의 걸림부(75)의 일부가, 레버(63)와 걸리고 있다. 따라서, 레버(63)를 밀어내려서, 편심 캠(60)의 캠부(62)와 카드(2)의 접촉을 해제하는 것은 불가능해져서, 편심 캠(60)은 도 10의 (D)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로크된다. 이에 따라, 카드(2)가 삽입구(3a)로부터 뽑아내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상태에 있어서는, 걸림부(75)와 레버(63)의 사이에, 약간 간극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걸림」은, 이러한 경우도 포함한다.
편심 캠(60)의 로크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이하와 같은 조작을 행한다. 도 12 및 도 13은, 이 경우의 조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각 도면에 있어서, (A)는 평면도, (B)는 사시도, (C)는 정면도, (D)는 측면도이다. 또한, 각 도면 공히, 편심 캠용 솔레노이드(51)와 지지구(53)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먼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구(70)의 조작편(74)을 파지하고, 축(78)을 중심으로 해서, 고정구(70)를 시계 방향(해제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회동은, 도중까지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79)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행해지지만, 고정구(70)를 어느 정도까지 회동시킨 시점에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79)이 스냅 동작을 하고, 그 스프링력이, 고정구(7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작용한다. 이 때문에, 고정구(70)를 도 12의 (C)의 위치까지 회동시킨 후에, 조작편(74)의 파지를 해제해도, 고정구(70)는 반시계 방향(로크 방향)으로는 회동하지 않고, 이 위치에서 정지한다. 또한, 도 12의 (C)의 위치에서는, 고정구(70)의 핀(81)이 프레임(80)의 안내 홈(80a)의 단부에 맞닿음으로써, 고정구(70)의 그 이상의 회동이 규제된다.
다음으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심 캠(60)의 레버(63)를 밀어내린다. 이때, 고정구(70)의 걸어맞춤부(75)는, 레버(63)의 측방으로 퇴피해 있으므로, 고정구(70)에 방해될 일 없이, 레버(63)를 밀어내릴 수 있다. 레버(63)의 밀어내림에 의해, 편심 캠(60)은, 축(66)을 중심으로 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도 13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부(62)가 카드(2)로부터 멀어져 간다.
도 13의 상태로부터 레버(63)를 더 밀어내리면, 고정구(70)의 제 3 부분(73)에 형성된 클로부(76)가, 레버(63)에 설치된 돌기(67)에 의해 밀리기 때문에, 고정구(70)는, 축(78)을 중심으로 해서, 반시계 방향(로크 방향)으로 회동을 개시한다. 그리고, 레버(63)를 최후까지 밀어내리면, 고정구(70)는 도 9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렇게, 레버(63)에 돌기(67)를 설치하고, 이 돌기(67)로 클로부(76)를 미는 구조로 함으로써, 고정구(7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때의 레버(63)의 밀어내림량이 적어지고, 조작성이 향상한다.
한편, 레버(63)의 밀어내림에 의해, 편심 캠(6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편심 캠(60)의 걸어맞춤부(64)의 노치(64a)에, 지지구(53)의 제 3 암(53c)의 선단이, 코일 스프링(59)의 스프링력을 받아 걸어맞춰지고, 지지구(53)는 도 8의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와 같은 조작에 의해, 편심 캠(60)의 로크가 해제되고, 저지 기구(100)는 도 8의 상태로 돌아가며, 로크 기구(200)는 도 9의 상태로 돌아간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편심 캠용 솔레노이드(51)는, 4개의 암(53a 내지 53d) 중, 편심 캠(60)과 걸어맞춰지는 제 3 암(53c) 이외의 임의의 암에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암(53a)에 편심 캠용 솔레노이드(51)가 연결되어 있지만, 제 2 암(53b)이나 제 4 암(53d)에 편심 캠용 솔레노이드(51)를 연결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 2 암(53b)에 편심 캠용 솔레노이드(51)를 연결할 경우에는, 제 1 암(53a)에 추(56)가 설치된다.
제 3 암(53c) 이외의 암은, 작용점(편심 캠(60)과 걸어맞춰지는 부분)을 갖지 않는 암이기 때문에, 이들 암에 편심 캠용 솔레노이드(51)를 연결하면, 당해 솔레노이드(51)는, 암의 지지점(축(57))과 작용점을 잇는 선 상의 점 이외의 개소를 견인하게 된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이 암의 지지점과 작용점을 잇는 선 상의 점을 견인하는 경우에 비해, 편심 캠용 솔레노이드(51)를 배치하는 장소와 방향의 제약이 완화되고, 배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어느 한 방향으로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져도, 지지구(53)에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편심 캠(60)으로부터 지지구(57)에 큰 하중을 걸지 않아도, 진동 충격에 의해 편심 캠(60)과 지지구(57)의 걸어맞춤이 분리되어 저지 기구(100)가 오동작할 우려가 없다. 따라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69)(도 8의 (B) 참조)의 스프링력을 강화할 필요가 없으므로, 편심 캠(60)에 부여되는 가압력은 작아진다. 이 결과, 편심 캠(60)의 레버(63)를 밀어내리는 힘도 작아져서, 편심 캠(60)의 로크 해제의 조작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구(57)와 편심 캠(60)의 걸어맞춤 부분(작용점)의 하중이 작으므로, 종래와 같은 마찰 저항을 위한 롤러(87)(도 26 참조)를 지지구(57)에 설치할 필요가 없고, 제 3 암(53c)의 선단을, 편심 캠(60)의 걸어맞춤부(64)에 설치한 노치(64a)에 걸어맞추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에 따라, 롤러를 생략해서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크 기구(200)에도 연구가 실시되어 있다. 종래의 로크 기구에서는, 편심 캠이 로크되어 있지 않을 때에, 실수로 고정구가 해제 방향으로 조작되면, 편심 캠이 회동해서 오동작한다(로크 상태로 됨)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9(비로크 상태)에 있어서, 고정구(134)의 클로(137)를 상향으로 강하게 밀면, 클로(137)가 레버(19)에 맞닿고, 편심 캠(10)이, 축(1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의 힘을 받는다. 이 힘이 강하면, 편심 캠(10)과 암(84)의 걸어맞춤 상태가, 도 26의 상태로부터 도 27의 상태로 이행해서, 편심 캠(10)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로크 상태로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로크 기구(200)에서는, 편심 캠(60)이 로크되어 있지 않은 도 9의 상태에 있어서, 실수로 고정구(70)가 해제 방향(시계 방향)으로 조작되었을 경우, 고정구(70)의 클로부(77)가 레버(63)에 맞닿는다. 이 경우, 클로부(77)는 테이퍼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클로부(77)의 테이퍼면이 레버(63)의 하면의 에지와 선접촉한다. 그리고, 고정구(70)가 계속해서 해제 방향으로 조작되면, 클로부(77)로부터 레버(63)에 강한 힘이 가해지지만, 이 힘은 편심 캠(60)과 지지구(53)의 걸어맞춤력을 강화하도록 작용한다.
즉, 클로부(77)의 테이퍼면이 레버(63)의 하면의 에지를 미는 결과, 레버(63)는, 도 9의 (C)에서 상향의 힘에 더하여 좌향의 힘을 클로부(77)로부터 받는다. 이 좌향의 힘에 의해, 레버(63)는, 도 8의 (A)에 있어서 좌측으로 변위하려고 한다. 이에 따라 걸어맞춤부(64)도 좌측, 즉 제 3 암(53c)과의 걸어맞춤이 분리되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변위하려고 하므로, 제 3 암(53c)과 걸어맞춤부(64)가 더 강하게 걸어맞춰지게 된다. 그 결과, 고정구(70)가 해제 방향으로 조작되어도, 편심 캠(60)이 오동작해서 로크 상태(도 10)로 될 일은 없다.
다음으로, 카드 처리 장치(1)가, 삽입된 카드(2)에 대하여 정보의 판독 및 기입을 행하기 때문에, 카드(2)를 배출하기까지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카드(2)의 삽입시나 배출시에, 카드(2)가 걸렸을 경우의 처리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도 14는, 카드 처리 장치(1)에 있어서의 카드 처리의 개략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스텝 S1에 있어서, CPU(20)는, 통신부(24)를 통해서 카드(2)의 종류를 상위 장치로부터 수신한다. 여기서는, 카드(2)의 종류로서, 자기 카드 및 접촉식 IC 카드를 상정하고 있다. 다음으로, 스텝 S2에 있어서, CPU(20)는, 수신한 카드(2)의 종류가 자기 카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자기 카드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3에 있어서, CPU(20)는, 자기 카드의 수용 처리와, 자기 카드로부터의 자기 정보의 판독 처리를 행한다. 계속해서, 스텝 S4에 있어서, CPU(20)는, 자기 카드로의 자기 정보의 기입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스텝 S5에 있어서, CPU(20)는, 카드(2)의 배출 처리를 행한다. 스텝 S3, S4, S5의 카드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스텝 S2에 있어서, 수신한 카드(2)의 종류가 자기 카드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6에 있어서, CPU(20)는, 수신한 카드(2)의 종류가 IC 카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IC 카드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7에 있어서, CPU(20)는, IC 카드의 수용 처리와, IC 카드로부터의 정보의 판독 처리와, IC 카드로의 정보의 기입 처리를 행한다. 그후, 스텝 S5에 있어서, CPU(20)는, 카드(2)의 배출 처리를 행한다. 스텝 S7의 카드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스텝 S6에 있어서, 수신한 카드(2)의 종류가 IC 카드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CPU(20)는, 스텝 S7의 각 처리를 행하지 않고, 스텝 S5로 진행하여, 카드(2)의 배출 처리를 행한다. 이것은, 삽입된 카드가, 상정한 자기 카드 또는 IC 카드의 어느 것도 아니기 때문에, 카드 처리를 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도 15는, 도 14의 스텝 S3에 있어서의 자기 카드 수용 처리 및 자기 카드 판독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스텝 S20에 있어서, CPU(20)는, 삽입 검출 센서(17)가 삽입구(3a)로의 카드(2)(자기 카드)의 삽입을 검출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도 20은, 삽입구(3a)에 카드(2)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카드(2)의 선단이, 삽입 검출 센서(17)의 위치에 도달해 있지 않기 때문에, 셔터(14)는 폐쇄되어 있다.
삽입 검출 센서(17)가 카드(2)의 삽입을 검출하면, CPU(20)는, 다음 스텝 S21로 진행한다. 스텝 S21에 있어서, CPU(20)는, 셔터용 솔레노이드(27)를 구동한다. 이것에 의해,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14)가 반송로(5)를 개방한다. 도 21은, 카드(2)가, 카드 처리 장치(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15의 스텝 S22에 있어서, CPU(20)는, 모터(25)의 정전(正轉) 구동을 개시한다. 모터(25)가 정전 구동함으로써, 모터(25)에 접속되어 있는 각 롤러(4)는, 카드(2)를 카드 처리 장치(1)의 내부에 반송하는 방향(정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카드(2)는, 그 선단이 삽입구(3a)에 가장 가까운 롤러(4)에 맞닿을 때까지 삽입된 시점으로부터, 각 롤러(4)에 의해, 반송로(5)를 우방향으로 일정 속도로 반송되어 간다. 카드(2)가 반송되는 과정에서, 자기 헤드(15)는, 카드(2)에 기록되어 있는 자기 정보를 판독한다.
CPU(20)는, 로터리 엔코더(26)의 출력으로부터 얻어지는 모터(25)의 회전수에 의거하여, 피드백 제어를 행함으로써, 모터(25)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도 15의 스텝 S28에 있어서 모터(25)의 구동을 정지할 때까지, CPU(20)는, 모터(25)를 일정 속도로 연속해서 정전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스텝 S23에 있어서, CPU(20)는, 로터리 엔코더(26)가, 모터(25)의 회전수를 정기적으로 출력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CPU(20)가, 모터(25)에 구동 지령을 송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로터리 엔코더(26)가 모터(25)의 회전을 검출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로터리 엔코더(26)가 회전수를 정기적으로 출력하고 있으면, 카드(2)는, 일정 속도로 반송되고 있는 것으로 된다. 로터리 엔코더(26)가 회전수를 정기적으로 출력하고 있지 않으면(또는 로터리 엔코더(26)로부터의 출력이 없으면), 카드(2)가 걸려 있는 것으로 된다. 즉, 스텝 S23에서는, 카드(2)가 걸려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카드(2)가 걸려 있지 않으면, 스텝 S24로 진행한다. 카드(2)가 걸려 있으면, 스텝 S29로 진행한다.
스텝 S24에서는, 일정 속도로 반송되고 있는 카드(2)의 자기 스트라이프로부터, 자기 헤드(15)에 의해 자기 정보가 판독되고, CPU(20)는, 당해 자기 정보를 RAM(22)에 기억시킨다. 스텝 S24의 처리는, 모터(25)의 구동이 정지할 때까지, 연속해서 행해진다.
스텝 S25에 있어서, CPU(20)는, 카드 검출 센서(6)가 카드(2)를 검출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카드 검출 센서(6)가, 카드(2)를 검출했을 경우에는, 스텝 S23의 처리로 돌아간다. 카드 검출 센서(6)가 카드(2)를 계속해서 검출하고 있는 동안에는, CPU(20)는, 카드(2)가 걸려 있는지의 여부를 계속해서 판정한다. 즉, CPU(20)는, 스텝 S23, S24, S25의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카드(2)가 걸려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있다. 도 22는, 카드 검출 센서(6)가 카드(2)를 검출하고, 또한, 자기 헤드(15)가 카드(2)에 접촉해서 자기 정보를 판독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의 스텝 S25에 있어서, 카드 검출 센서(6)가 카드(2)를 검출하지 않게 되었을 경우에는, 카드(2)가, 삽입구(3a)를 통과해서, 카드 처리 장치(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경우, CPU(20)는, 스텝 S26으로 진행하고, 셔터용 솔레노이드(27)의 구동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셔터(14)가 폐쇄된다. 도 23은, 카드 검출 센서(6)가, 카드(2)를 검출하지 않게 되었을 때의 카드(2)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셔터용 솔레노이드(27)의 구동이 정지하고, 셔터(14)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셔터용 솔레노이드(27)의 구동이 정지되면, 스텝 S27에 있어서, CPU(20)는, 카드 검출 센서(8)가 카드(2)를 검출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카드 검출 센서(8)의 위치에 카드(2)가 존재하는 것은, 카드(2) 전체가 자기 헤드(15)를 통과했음을 의미한다. 도 24는, 카드(2)의 선단이 카드 검출 센서(8)의 위치에 도달하고, 카드(2)의 후단이 자기 헤드(15)를 통과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카드 검출 센서(8)가 카드(2)를 검출하면, 스텝 S28에 있어서, CPU(20)는, 모터(25)의 구동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각 롤러(4)의 회전이 정지하고, 카드(2)의 반송이 정지한다. 그리고, CPU(20)는, 통신부(24)를 통해서, RAM(22)에 기억되어 있는 자기 정보를 상위 장치에 송신한다. 이에 따라, 카드(2)의 자기 정보의 판독 처리가 종료한다.
한편, 스텝 S27에 있어서, 카드 검출 센서(8)가 카드(2)를 검출하고 있지 않을 경우는, 자기 헤드(15)와 카드(2)가 접촉해 있는 상태이다. 환언하면, 아직 카드(2)의 자기 정보 판독이 완료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 경우, CPU(20)는, 스텝 S23으로 돌아가서, 모터(25)의 구동에 의한 카드(2)의 반송, 및, 자기 헤드(15)에 의한 카드(2)의 자기 정보의 판독 처리를 계속한다.
여기서, 부정을 행하려는 자가, 카드 처리 장치(1)에 어떠한 농간을 부려, 카드(2)가 반송로(5)에 걸리게 했다고 한다. 카드(2)가 걸렸을 때의 카드(2)의 위치를 도 25에 나타낸다. 이 경우, CPU(20)로부터 모터(25)로 회전 지령이 출력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로터리 엔코더(26)는, 모터(25)의 회전수를 검출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CPU(20)는, 도 15의 스텝 S23에 있어서, 로터리 엔코더(26)가 모터(25)의 회전수를 정기적으로 출력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스텝 S29에 있어서, CPU(20)는, 카드 취출 저지 처리를 행한다. 스텝 S29의 처리의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후, CPU(20)는, 도 14에 나타내는 카드 처리를 강제적으로 종료(이상 종료)한다.
도 15에서 나타낸 플로우차트에서는, 스텝 S2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로터리 엔코더(26)가 정기적으로 회전수를 출력하고 있지 않을 때에, 카드 취출 저지 처리를 행하도록 했다. 이것 이외에, 로터리 엔코더(26)가 정기적으로 회전수를 출력하지 않고, 또한, 카드 검출 센서(6)가 카드(2)를 검출하고 있을 경우에 한하여, 카드 취출 저지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후자의 경우는, 카드(2)가 카드 검출 센서(6)의 위치에 존재할 때에만, 카드 취출 저지 처리가 행해진다.
도 16은, 도 15의 스텝 S29에 있어서의 카드 취출 저지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스텝 S30에 있어서, CPU(20)는, 편심 캠용 솔레노이드(51)를 구동한다. 그러면,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편심 캠(60)이 축(66)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하고, 캠부(62)의 외주(치형부(65))가 카드(2)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카드(2)가 삽입구(3a)로부터 취출되는 것이 저지된다. 그리고, 스텝 S31에 있어서, CPU(20)는, 통신부(24)를 통해서, 카드(2)가 반송로에 걸렸다는 장해 정보를 상위 장치에 연락한다.
도 17은, 도 14의 스텝 S4에 있어서의 자기 카드 기입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4의 스텝 S3의 처리가 종료한 시점에서는, 카드(2)는,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로(5)의 우단에 정지해 있다. 카드(2)를 반송로(5)의 삽입구(3a)측으로 반송하기 위해, 스텝 S40에 있어서, CPU(20)는, 모터(25)의 역전(逆轉) 구동을 개시한다. 모터(25)가 역전 구동함으로써, 모터(25)에 접속되어 있는 각 롤러(4)는, 카드(2)를 삽입구(3a)측으로 반송하는 방향(역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카드(2)는, 반송로(5)를 좌방향으로 반송되어 간다.
스텝 S41에 있어서, 카드 검출 센서(6)가 카드(2)를 검출하면, 스텝 S42에 있어서, CPU(20)는, 셔터용 솔레노이드(27)를 구동한다. 이에 따라, 셔터(14)가 개방된다. 따라서, 카드(2)는 삽입구(3a)까지 일단 반송되고, 이후의 처리에 있어서, 카드(2)의 선단으로부터 자기 정보를 기입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카드(2)의 위치는, 도 22에 나타내는 위치이다. 또한, 카드 처리 장치(1)의 반송로(5)를 길게 함으로써, 셔터(14)를 개방하는 일 없이, 카드(2)의 선단으로부터 자기 정보를 기입할 수 있는 위치에 카드(2)를 반송할 수 있다.
도 17의 스텝 S43에 있어서, 삽입 검출 센서(17)가 카드(2)를 검출하면, 스텝 S44에 있어서, CPU(20)는, 모터(25)의 정전 구동을 개시한다. 그리고, 스텝 S45에 있어서, CPU(20)는, 상위 장치로부터 연통부(24)를 통해서, 자기 카드에 기입 정보를 수신하고, RAM(22)에 기억한다. 계속해서, CPU(20)는, RAM(22)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에 의거하여, 반송 중인 카드(2)에 대하여, 자기 헤드(15)에 의해 자기 정보를 기입한다. 자기 정보의 기입은, CPU(20)가 기입 신호를 자기 헤드(15)에 부여하고 있는 기간만큼, 연속적으로 행해진다.
스텝 S46에 있어서, 카드 검출 센서(6)가 카드(2)를 검출하지 않게 되었을 경우에는, 셔터(14)의 위치에 카드(2)가 존재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스텝 S47에 있어서, CPU(20)는, 셔터용 솔레노이드(27)의 구동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셔터(14)가 폐쇄된다. 이때의 카드(2)의 위치는, 도 23에 나타내는 위치이다. 그리고, 카드(2)가 계속해서 반송되고, 스텝 S48에 있어서, 카드 검출 센서(8)가 카드(2)를 검출하면, 스텝 S49에 있어서, CPU(20)는, 모터(25)의 구동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각 롤러(4)의 회전이 정지하고, 카드(2)의 반송이 정지한다. 이때의 카드(2)의 위치는, 도 24에 나타내는 위치이다. 이후, CPU(20)는, 카드(2)로의 자기 정보의 기입 처리를 종료하고, 도 14의 스텝 S5로 진행해서, 카드(2)의 배출 처리를 행한다. 또한, 상술한 CPU(20)가 상위 장치로부터 카드(2)에 기입 정보를 수신하는 시기에 대해서는, 도 17의 스텝 S45의 자기 헤드(15)에 의한 기입 개시 전이면 언제라도 좋다.
도 18은, 도 14의 스텝 S5에 있어서의 카드 배출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4의 스텝 S4의 처리가 종료한 시점에서는, 카드(2)는,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로(5)의 우단에 정지해 있다. 카드(2)를 반송로(5)의 삽입구(3a)측으로 반송하여, 카드(2)를 배출하기 위해, 도 18의 스텝 S60에 있어서, CPU(20)는, 모터(25)의 역전 구동을 개시한다. 모터(25)가 역전 구동함으로써, 모터(25)에 접속되어 있는 각 롤러(4)는, 카드(2)를 삽입구(3a)측으로 반송하는 방향(역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카드(2)는, 반송로(5)를 좌방향으로 반송되어 간다. 모터(25)의 역전 구동은, 후술하는 스텝 S65에 있어서, 모터(25)의 구동이 정지할 때까지, 연속해서 행해진다.
카드(2)가, 삽입구(3a)측으로 반송되고, 스텝 S61에 있어서, 카드 검출 센서(6)가 카드(2)를 검출했을 때에는, 반송된 카드(2)는, 삽입구(3a)에 접근하고 있다. 그래서, 스텝 S62에 있어서, CPU(20)는, 셔터용 솔레노이드(27)를 구동한다. 이에 따라, 셔터(14)가 개방되고, 반송로(5)의 카드(2)를 삽입구(3a)로부터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스텝 S63에 있어서, CPU(20)는, 로터리 엔코더(26)가 모터(25)의 회전수를 정기적으로 출력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에 따라, 도 15의 스텝 S23과 마찬가지로, 카드(2)가 걸려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스텝 S63에 있어서, 로터리 엔코더(26)가 모터(25)의 회전수를 정기적으로 출력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즉 카드(2)가 걸려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CPU(20)는, 스텝 S29의 카드 취출 저지 처리를, 전술한 도 16의 플로우차트에 따라 실행한다. 그후, CPU(20)는, 카드 처리를 강제적으로 종료(이상 종료)한다.
한편, 도 18의 스텝 S63에 있어서, 로터리 엔코더(26)가 모터(25)의 회전수를 정기적으로 출력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즉 카드(2)가 반송로(5)에 있어서 걸려 있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64에 있어서, CPU(20)는, 카드 검출 센서(6)가 카드(2)를 검출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때, 카드(2)는, 롤러(4)의 회전에 의해 일정 속도로 삽입구(3a)를 향해서 반송되고 있다. 따라서, 카드(2)의 배출 방향에 있어서의 선단이 카드 검출 센서(6)의 위치를 통과하고 나서, 카드(2)의 후단이 삽입구(3)에 가장 가까운 롤러(4)를 통과할 때까지의 시간은, 미리 결정되어 있다. 그래서, 이 시간을 상술한 소정 시간으로 설정하고 있다. 카드 처리 장치(1)에 카드(2)가 걸리는 등의 이상이 발생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 S64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카드(2)는 모든 롤러(4)를 통과하여 종료해 있으므로, 스텝 S65에 있어서, CPU(20)는, 모터(25)의 구동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각 롤러(4)의 회전이 정지하고, 카드(2)의 반송이 정지한다. 한편, 스텝 S64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해 있지 않으면, 카드(2)는 모든 롤러(4)를 통과하여 종료해 있지 않으므로, CPU(20)는 롤러(4)에 의한 카드(2)의 반송을 계속한다.
상기의 예에서는, 시간을 계측함으로써, 모터(25)의 구동을 정지했지만, 이것 이외에, 반송로(5)에 있어서의 카드 검출 센서의 수를 늘려서, 카드(2)가 소정의 위치를 통과했을 때에, 모터(25)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해도 된다.
스텝 S65에 있어서, CPU(20)가 모터(25)의 구동을 정지하면, 스텝 S66에 있어서, CPU(20)는, 삽입 검출 센서(17)가 카드(2)를 검출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삽입 검출 센서(17)가 카드(2)를 검출한 경우에는, 삽입구(3a)에 카드(2)가 존재하고 있으므로, 카드(2)가 취출되기를 기다린다. 이용자가 삽입구(3a)로부터 카드(2)를 취출해서, 삽입 검출 센서(17)가 카드(2)를 검출하지 않게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67에 있어서, CPU(20)는, 셔터용 솔레노이드(27)의 구동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셔터(14)가 폐쇄되고, 카드 배출 처리가 종료한다.
도 19는, 도 14의 스텝 S7에 있어서의 IC 카드 수용 처리, IC 카드 판독 처리, 및 IC 카드 기입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4의 스텝 S2의 처리가 종료한 시점에서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구(3a)에 카드(2)(IC 카드)의 선단이 삽입되고 있는 상태에 있다.
도 19의 스텝 S70에 있어서, CPU(20)는, 삽입 검출 센서(17)가 삽입구(3a)로의 카드(2)의 삽입을 검출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삽입 검출 센서(17)가 카드(2)의 삽입을 검출하면, 스텝 S71에 있어서, CPU(20)는, 셔터용 솔레노이드(27)를 구동한다. 이에 따라, 셔터(14)가 개방되고, 카드(2)를 카드 처리 장치(1)의 내부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스텝 S72에 있어서, CPU(20)는, 모터(25)의 정전 구동을 개시한다. 모터(25)가 정전 구동함으로써, 모터(25)에 접속되어 있는 각 롤러(4)는, 카드(2)를 카드 처리 장치(1)의 내부에 반송하는 방향(정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카드(2)는, 반송로(5)를 우방향으로 반송되어 간다.
스텝 S73에 있어서, CPU(20)는, 로터리 엔코더(26)가 모터(25)의 회전수를 정기적으로 출력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에 따라, 도 15의 스텝 S23과 마찬가지로, 카드(2)가 걸려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스텝 S73에 있어서, 로터리 엔코더(26)가 모터(25)의 회전수를 정기적으로 출력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즉 카드(2)가 걸려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CPU(20)는, 스텝 S29의 카드 취출 저지 처리를, 상술한 도 16의 플로우차트에 따라 실행한다. 그후, CPU(20)는, 카드 처리를 강제적으로 종료(이상 종료)한다.
한편, 스텝 S73에 있어서, 로터리 엔코더(26)가 모터(25)의 회전수를 정기적으로 출력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즉, 카드(2)가 반송로(5)에서 걸려 있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74에 있어서, CPU(20)는, 카드 검출 센서(7)가 카드(2)를 검출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카드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카드(2)의 선단이, 카드 검출 센서(7)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에, 카드(2)의 IC 접점이 IC 접점 헤드(16)의 위치에 도달해 있도록, 카드 검출 센서(7)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스텝 S74에 있어서, 카드 검출 센서(7)가 카드(2)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 CPU(20)는, 스텝 S73으로 돌아가서, 카드(2)가 걸려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카드 검출 센서(7)가 카드(2)를 검출했을 경우는, 스텝 S75에 있어서, CPU(20)는, 셔터용 솔레노이드(27)의 구동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셔터(14)가 폐쇄된다. 그리고, 스텝 S76에 있어서, CPU(20)는, 모터(25)의 구동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각 롤러(4)의 회전이 정지하고, 카드(2)의 반송이 정지한다. 이때, 카드(2)의 IC 접점은, IC 접점 헤드(16)에 대향하여 위치해 있다.
스텝 S77에 있어서, CPU(20)는, 접점 헤드용 솔레노이드(28)를 구동해서, IC 접점 헤드(16)를 강하시킨다. 이에 따라, IC 접점 헤드(16)가 카드(2)의 IC 접점에 접촉한다. 그리고, 스텝 S78에 있어서, CPU(20)는, IC 접점 헤드(16)를 통해서, 카드(2)의 IC 칩으로부터 정보를 판독한다. CPU(20)는, 판독한 정보를 RAM(22)에 기억한다. 그리고, CPU(20)는, 통신부(24)를 통해서, RAM(22)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상위 장치에 송신한다.
이후, CPU(20)는, 통신부(24)를 통해서, 기입 정보를 상위 장치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CPU(20)는, 수신한 당해 정보를 RAM(22)에 기억한다. 그리고, 스텝 S79에 있어서, CPU(20)는, RAM(22)에 기억한 기입 정보를, IC 접점 헤드(16)를 통해서, 카드(2)의 IC 칩에 기입한다. 기입이 종료하면, 스텝 S80에 있어서, CPU(20)는, 접점 헤드용 솔레노이드(28)의 구동을 정지함으로써, IC 접점 헤드(16)를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IC 접점 헤드(16)가 카드(2)의 IC 접점으로부터 멀어진다. 이후, CPU(20)는, 도 14의 스텝 S5로 진행해서, 카드(2)의 배출 처리를 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상 기술한 것 이외에도, 다양한 실시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편심 캠(60)을 반송로(5)의 상방에 설치했지만, 편심 캠(60)은 반송로(5)의 하방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편심 캠(60)의 캠부(62)를 기부(61)와는 별개로 설치했지만, 기부(61)와 캠부(62)를 일체화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제 4 암(53d)에 추가 설치되어 있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 제 4 암(53d)에, 제 3 암(53c)과 균형을 잡는 추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고정구(70)의 걸림부(75)에 기어 형상의 요철을 형성한 예를 들었지만, 기어 형상의 요철을 대신하여, 걸림부(75)에 고정구(70)가 걸리는 노치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낸 구조의 저지 기구(100) 및 로크 기구(200)의 조합을 예로 들었지만, 본 실시형태에 의한 로크 기구(200)는, 도 4의 저지 기구(100)와는 상이한 구조를 구비한 저지 기구와 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26에 나타낸 종래의 저지 기구와의 조합도 가능하다. 요컨대, 카드에 접촉하는 캠부와, 지지구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와, 캠부와 카드의 접촉을 해제할 때에 조작되는 레버를 갖는 편심 캠을 구비한 저지 기구이면, 본 실시형태의 로크 기구(200)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자기 카드와 IC 카드의 양쪽을 처리 가능한 카드 처리 장치(1)에 본 발명을 적용했지만, 본 발명은, 자기 카드 전용의 장치나 IC 카드 전용의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IC 카드로서 접촉식 IC 카드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비접촉식 IC 카드를 취급하는 카드 처리 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ATM에 탑재되는 카드 처리 장치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처리 장치는, ATM 이외의 카드를 취급하는 기기에 탑재되는 카드 처리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1 : 카드 처리 장치
2 : 카드
3 : 카드 삽입부
26 : 로터리 엔코더
51 : 편심 캠용 솔레노이드
53 : 지지구
53a : 제 1 암
53b : 제 2 암
53c : 제 3 암
53d : 제 4 암
56 : 추
57 : 축
60 : 편심 캠
62 : 캠부
63 : 레버
64 : 걸어맞춤부
67 : 돌기
70 : 고정구
76 : 클로부
77 : 클로부
100 : 저지 기구
200 : 로크 기구

Claims (5)

  1. 정보가 기록된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삽입부와,
    상기 카드 삽입부로부터 삽입된 상기 카드의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 검출 수단과,
    상기 이상 검출 수단이 이상을 검출했을 경우에, 상기 카드 삽입부로부터의 카드의 취출을 저지하는 저지 기구를 구비한 카드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지 기구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카드로부터 이간해서 당해 카드에 가압력을 부여하지 않는 제 1 위치와, 상기 카드와 접촉해서 당해 카드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제 2 위치로 변위 가능한 편심 캠과,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편심 캠과 걸어맞춰짐으로써, 당해 편심 캠을 상기 제 1 위치에 지지하고, 상기 편심 캠과의 걸어맞춤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편심 캠을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변위시키는 지지구(支持具)와,
    상기 이상 검출 수단이 이상을 검출했을 경우에, 상기 지지구와 상기 편심 캠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도록, 상기 지지구를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구는, 십(十)자 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암을 구비하고 있고, 4개의 암을 포함하는 제 1 평면상에서의 중심 위치가, 당해 제 1 평면에 있어서의 제 1 회전 중심과 일치하며, 또한, 상기 제 1 회전 중심을 포함하는 제 1 평면과 직교하는 제 2 평면상에서의 중심 위치가, 당해 제 2 평면에 있어서의 제 2 회전 중심과 일치하는 구조를 갖고 있고,
    상기 4개의 암 중 1개가 상기 편심 캠과 걸어맞춰지고, 나머지 암 중 1개가 상기 액추에이터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제 1 암과, 이 제 1 암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암과, 상기 제 1 및 제 2 암과 직교하는 제 3 암과, 이 제 3 암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4 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암은 액추에이터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암은 제 1 암과 균형을 잡는 추(錘)를 갖고,
    상기 제 3 암은, 상기 제 1 및 제 2 암에 대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와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편심 캠과 걸어맞춰지고,
    상기 제 4 암은, 상기 제 1 및 제 2 암에 대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와 동일한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3 암과 균형을 잡는 추의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처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캠은, 상기 카드에 접촉하는 캠부와, 상기 지지구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와, 상기 캠부와 상기 카드의 접촉을 해제할 때에 조작되는 레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캠을 상기 제 2 위치에서 로크(lock)하기 위한 로크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레버에 접근하는 방향인 로크 방향과, 상기 레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해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고정구(固定具)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는, 걸림부와, 제 1 클로(claw)부와, 제 2 클로부를 갖고 있고,
    상기 편심 캠을 로크할 때에, 당해 편심 캠의 상기 제 2 위치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구가 상기 로크 방향으로 회동했을 때에, 상기 걸림부가 상기 레버에 걸리고,
    상기 편심 캠의 로크를 해제할 때에, 상기 고정구를 상기 해제 방향으로 회동시킨 후, 상기 레버를 밀어내렸을 때에, 당해 레버가 상기 제 1 클로부를 밀어냄으로써, 상기 고정구가 다시 상기 로크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편심 캠의 로크가 해제되고 당해 편심 캠이 상기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가 상기 해제 방향으로 조작되었을 때에, 상기 제 2 클로부가, 상기 레버와 맞닿아서, 당해 레버에 대하여, 상기 편심 캠과 상기 지지구의 걸어맞춤력을 강화하는 방향의 힘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처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에, 상기 제 1 클로부를 밀기 위한 돌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처리 장치.
KR1020110131419A 2011-03-24 2011-12-09 카드 처리 장치 KR1012202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65727 2011-03-24
JP2011065727A JP5473973B2 (ja) 2011-03-24 2011-03-24 カード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909A true KR20120108909A (ko) 2012-10-05
KR101220277B1 KR101220277B1 (ko) 2013-01-09

Family

ID=46858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419A KR101220277B1 (ko) 2011-03-24 2011-12-09 카드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473973B2 (ko)
KR (1) KR101220277B1 (ko)
CN (2) CN1026934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73973B2 (ja) * 2011-03-24 2014-04-16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カード処理装置
US9489547B2 (en) 2013-10-29 2016-11-08 Nidec Sankyo Corporation Card reader
CN106256002B (zh) * 2014-05-30 2018-12-18 日立欧姆龙金融系统有限公司 磁头支承装置以及卡处理装置
JP6424328B2 (ja) * 2014-12-12 2018-11-21 旭精工株式会社 カード処理装置
JP2016132564A (ja) * 2015-01-22 2016-07-25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媒体取扱装置
CN107004144B (zh) * 2015-04-10 2019-12-10 日立欧姆龙金融系统有限公司 卡处理装置及自动交易装置
RU2763118C1 (ru) * 2021-10-28 2021-12-27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ые приборы» (АО «Научные приборы») Толкатель карты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лазерной и/или электронной персонализации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32583A1 (de) 1997-07-29 1999-02-04 Mannesmann Vdo Ag Flach bauende Datenkartenaufnahme
JP3696468B2 (ja) * 2000-02-09 2005-09-21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カードリーダ
JP4223382B2 (ja) * 2003-05-23 2009-02-12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カード処理装置
JP4346470B2 (ja) * 2004-02-25 2009-10-21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カード処理装置
CN100386775C (zh) * 2004-10-25 2008-05-07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读卡器
JP4681378B2 (ja) * 2004-10-25 2011-05-1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カードリーダ
JP4295751B2 (ja) 2004-10-25 2009-07-15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カードリーダ
JP5473973B2 (ja) * 2011-03-24 2014-04-16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カード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0277B1 (ko) 2013-01-09
JP5473973B2 (ja) 2014-04-16
CN202523082U (zh) 2012-11-07
CN102693435A (zh) 2012-09-26
CN102693435B (zh) 2015-03-11
JP2012203521A (ja) 2012-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0277B1 (ko) 카드 처리 장치
JP5779433B2 (ja) 紙幣取扱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紙幣入金方法
WO2014051074A1 (ja) カードリーダ
EP1018693A2 (en) Card reader
JP5964191B2 (ja) カードリーダ
EP1630725B1 (en) Card processing device
JP6571554B2 (ja) カードリーダ
US8302962B2 (en)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having a shutter
JP3964046B2 (ja) ページ捲り装置およびページ捲り方法
JP5142740B2 (ja) 自動取引装置
US96443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ular locking
JP5898031B2 (ja) カードリーダ
US10162987B2 (en) Card reader
JP5659725B2 (ja) 磁気ヘッド駆動装置及び媒体取扱装置
JP6374340B2 (ja) カードリーダおよびカードリーダの制御方法
JP4346470B2 (ja) カード処理装置
JP5898030B2 (ja) カードリーダ
JP2005309857A (ja) 磁気カード処理装置
US1153547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ensing a printed document from a printer machine using a dispensing device
JP5276401B2 (ja) カード昇降装置およびカード発行回収装置
JPWO2017057189A1 (ja) カードリーダ
JP5727283B2 (ja) 搬送路開放構造を備えたカード処理装置
WO20231961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ensing a printed document from a printer machine using a dispensing device
JP5635942B2 (ja) 搬送路開放構造を備えたカード処理装置
JP2021064192A (ja) Pos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