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8825A - 에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 Google Patents

에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8825A
KR20120108825A KR1020110027169A KR20110027169A KR20120108825A KR 20120108825 A KR20120108825 A KR 20120108825A KR 1020110027169 A KR1020110027169 A KR 1020110027169A KR 20110027169 A KR20110027169 A KR 20110027169A KR 20120108825 A KR20120108825 A KR 20120108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main body
air cap
contain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3047B1 (ko
Inventor
장하진
고창희
김윤환
전광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일
Priority to KR1020110027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3047B1/ko
Publication of KR20120108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36Closures with frangible parts adapted to be pierced, torn, or removed, to provide discharge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 B65D2401/15Tearable part of the 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에어 캡은, 용기의 일면에 형성된 홀에 장착되고, 상기 홀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내벽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용기의 밀폐 또는 개봉 상태를 구현할 수 있도록, 밀폐시 일면이 상기 홀을 덮도록 형성되고, 밀폐 또는 개봉 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일체를 형성하도록 적어도 일단이 상기 본체와 연결되는 이음부가 구비되는 제1 덮개부 및 상기 제1 덮개부의 일면으로부터 적어도 일측으로 연장되고, 밀폐시 상기 본체의 걸쇠를 구비한 돌출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체결홀을 포함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덮개부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보관 또는 관리시에도 외적인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AIR CAP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용기의 공기 유입구에 장착되며, 밀봉 및 개봉 상태를 구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에어 캡 및 그를 구비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용기는 각종 액체류 등을 담아두는 용기로서, 일반적으로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용기의 배출구에는 개폐가능한 캡이 장착된다. 특히, 윤활유 또는 식용유 등을 담는 용기에는 위조방지 및 밀봉 기능을 구비하는 스파우트 캡(spout cap)이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스파우트 캡은 용기의 주둥이로서, 밀어 넣거나 당겨 인출시킬 수 있게 되어 있고 또, 밀봉 및 밀봉해제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스파우트 캡을 구비한 용기의 경우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지 않으면, 액체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므로, 배출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공기 유입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 유입구에는 공기의 유입 및 유출을 조절할 수 있도록 에어 캡(Air Cap)이 형성된다.
그러나, 에어 캡은 구조가 복잡하고, 조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최근에는 에어 캡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도 중 하나로 보다 용이하게 개폐되는 에어 캡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조작이 보다 간단한 에어 캡 및 그를 구비하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에어 캡의 각 구성들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도록 형성하여, 관리 및 보관이 용이한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에어 캡은, 용기의 일면에 형성된 홀에 장착되고, 상기 홀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내벽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용기의 밀폐 또는 개봉 상태를 구현할 수 있도록, 밀폐시 일면이 상기 홀을 덮도록 형성되고, 밀폐 또는 개봉 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일체를 형성하도록 적어도 일단이 상기 본체와 연결되는 이음부가 구비되는 제1 덮개부 및 상기 제1 덮개부의 일면으로부터 적어도 일측으로 연장되고, 밀폐시 상기 본체의 걸쇠를 구비한 돌출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체결홀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걸쇠는, 상기 돌출부의 일단에서 분기되는 제1멤버와 제2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멤버와 제2멤버는 탄성적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멤버와 제2멤버의 각 일단은, 상기 체결홀에 체결시, 적어도 상기 체결홀의 일부를 덮을 수 있게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본체는, 측면 단부가 상기 내벽에 접촉되고, 상기 홀을 덮도록 형성되는 제2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덮개부는, 개방시 공기의 유입 또는 유출이 가능하도록, 원형 외주에 일부가 측면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분리 마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 덮개부는, 상기 제1 덮개부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홀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내벽과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본체는, 외부 충격에 의하여 임의로 상기 체결이 해제되지 않게, 상기 제1 덮개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외벽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밀폐시 상기 이음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두께방향을 따라 일부분이 리세스된 안착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이음부는 밀폐시 상기 안착홈에 일면이 밀착되고 타면이 안착홈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안착홈의 하단에 근접하여 연결되고 상단은 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이음부는, 밀폐시 절곡되는 부분에서 절곡에 의한 변형이 용이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내벽은, 개방시 상기 용기 내의 내용물이 상기 내벽의 일부분을 따라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일부분이 상기 내벽으로부터 리세스된 가이드 홈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일면에 홀이 형성되는 용기 및 상기 용기의 밀폐 또는 개봉 상태를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홀에 장착되는 상기한 에어 캡을 포함하고, 상기 홀에 장착시, 상기 에어 캡이 고정되도록, 상기 홀에 삽입된 상기 본체의 일부가, 상기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형성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캡을 구비한 용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에어 캡은, 제1덮개의 이음부를 안착홈에 밀착시켜, 외부로 노출되는 이음부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보관 또는 관리시에도 외적인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으로 인하여, 개방 후 액체를 배출함에 있어서, 내용물이 가이드 홈을 따라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하여 용기의 보다 용이한 사용을 가능케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음부에 형성된 관통홀로 인하여 밀폐시 절곡에 의한 변형이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용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상태에서 에어 캡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라인 Ⅳ-Ⅳ를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도 3의 배면도.
도 6은 개봉 상태에서 에어 캡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라인 Ⅴ-Ⅴ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a와 도 8b는 각각 도 6의 평면도와 저면도.
도 9와 도 10은 각각 에어 캡의 동작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4, 도 5 및 도 7의 도면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 캡 및 그를 구비하는 용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의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용기(100)는 하우징(110) 및 에어 캡(20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용물은 예를 들어, 식용유, 윤활유 등의 액체가 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몸체(111)의 양단부를 각각 밀봉하는 상부 및 하부 커버(112 및 113)을 포함한다. 상부 및 하부 커버(112 및 113)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우징(110)은 사각기둥 형태가 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예를 들어 얇은 판재로 형성되며,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하우징(110)은 동일 체적내에 보다 많은 양의 액체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부 커버(112)에는 에어 캡(200)이 장착된다. 에어 캡(200)은 개폐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부 커버(112)에 구비되는 홀(120, 도 2 참조)에 배치된다.
사용자가 스파우트 캡(300)을 개방한 후에 하우징(110)을 기울이면, 하우징(110) 내의 액체가 스파우트 캡(30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에어 캡(200)은 스파우트 캡이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하우징(110) 내의 액체가 스파우트 캡(30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에어 캡(200)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 내로 유입된다. 이와 반대로 스파우트 캡을 개방하거나 밀폐한 후 에어 캡(200)을 통하여 액체를 배출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용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상태에서 에어 캡(200)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에어 캡(200)은 본체(220)와 제1 덮개부(210) 및 체결홀(211)을 포함한다.
본체(220)는 합성 수지를 사출하는 공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용기(100)의 일면에 형성된 홀(120)에 장착된다. 본체(220)는 원통형의 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그 내주면에 홀(120)과 연통되는 내벽(221)이 형성된다.
제1 덮개부(210)는 용기(100)를 밀폐하거나 개봉시킨다. 제1 덮개부(210)는 상기 본체(220)와 결합하여, 밀폐시 상기 홀(120)을 덮도록 형성되고, 개봉시 상기 홀(120)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밀폐시 상기 내벽(221)과 제1 덮개부(210)의 결합부(213)가 서로 끼움 결합된다.
제1 덮개부(210)와 본체(220)는 각각 양단이 이음부(214)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음부(214)는 일 예로, 에어 캡(200)의 제작시 사출을 통하여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제1 덮개부(210)는 일면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체결홀(211)이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홀(211)은 본체(220)의 돌출부(222)에 체결된다.
돌출부(222)는 본체(220)의 일면에서 제1 방향, 예를 들면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돌출부(222)는 돌출부(222)의 측방향으로 돌출된 걸쇠(223)를 구비하는데, 상기 체결홀(211)이 제1 방향으로 가압되면 제2 방향, 예를 들면 수평방향으로 탄성변형하여 체결홀(211)에 걸쇠(223)가 걸리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 캡(200)의 조작을 보다 간단하게 하고, 에어 캡(200)을 보다 용이하게 개폐시키는 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수단은 본체(220) 및 제1 덮개부(210)에 형성되는 복수의 요소들에 의하여 구현된다. 이하 이들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라인 Ⅳ-Ⅳ를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배면도이며, 도 6은 개봉 상태에서 에어 캡(200)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6의 라인 Ⅴ-Ⅴ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8a와 도 8b는 각각 도 6의 평면도와 저면도이며, 도 9와 도 10은 각각 에어 캡(200)의 동작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덮개부(210)는 제1 덮개부(210)의 일면(212)으로부터 홀(120)을 향하여 연장되는 결합부(213)를 포함한다. 결합부(213)는 원통형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벽(221)에 끼움 결합된다. 이때, 제1 덮개부(210)가 홀(120) 을 덮도록 배치되어 용기(100)의 밀폐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걸쇠(223)는 돌출부(222)의 일단에서 분기되는 제1멤버(223a)와 제2멤버(223b)를 포함한다. 상기 제1멤버(223a)와 제2멤버(223b)는 분기되는 부분에서 일단에 이르기까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다. 상기 간격은 탄성적으로 서로 좁혀지거나 넓혀질 수 있다.
제1멤버(223a)와 제2멤버(223b)의 각 일단은 체결홀(211)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부(225a, 225b)를 포함한다. 각 체결부(225a, 225b)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캡(200)의 배면에는 이음부(214)가 본체(220)와 제1 덮개부(210)를 연결하고 있다. 이음부(214)에는 관통홀(215)이 형성되는데, 관통홀(215)로 인하여 밀폐시 절곡에 의한 변형이 용이하게 된다.
즉, 관통홀(215)의 주변이 절곡되면, 절곡되는 주변부분에 인장 또는 압축으로 인하여 저항이 발생한다. 그러나 관통홀(215)이 구비되면, 주변부가 압축됨으로 인하여, 이에 대한 저항보다는 관통홀(215)을 향하도록 형상이 변형되게 된다.
그리고, 용기의 홀(120)에 삽입되는 본체의 외주면에는 걸림부(250)가 형성된다. 걸림부는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형성된다.
본체(220)가 홀(120)에 삽입시, 홀(120)이 걸림부(250) 및 걸림부(250)와 대향하여 돌출된 본체(220)의 일부분에 끼워져, 본체(220)는 홀(12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와 도 7 및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20)에는 제2 덮개부(230)가 형성된다. 제2 덮개부(230)는 내벽(221)에 의해 둘러 쌓이며, 상기 내벽(221)에 단면이 접촉한다.
이러한 제2 덮개부(230)는 공기 유입에 대하여는 2차 밀폐막이 되고, 용기(100) 내 내용물의 유출에 있어서는 1차 밀폐막이 된다. 이에 비해, 제1 덮개부(210)는 공기 유입에 대하여는 1차 밀폐막이 되고, 용기(100) 내 내용물의 유출에 있어서는 2차 밀폐막이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20)는 외부 충격에 의하여 임의로 체결홀(211)과 걸쇠(223)간의 체결이 해제되지 않도록, 제1 덮개부(2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외벽(224)을 포함한다.
도 3과 같은 밀폐 상태에서 제1 덮개부(210)의 일면은 외벽(224)보다 내측으로 리세스되도록 배치되어 충격이나 보관시 부주의 등에 의한 외적 영향에 의하더라도 밀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보관 또는 관리시, 용기들은 서로 적층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제1 덮개부가 개방될 수 있는 각 구성 요소들을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리세스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외적 영향에 의하더라도 항상 용기의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시 용기(100) 내의 내용물이 내벽(221)의 일부분을 따라 흐를 수 있도록 가이드 홈(226)이 형성된다.
가이드 홈(226)은 상기 일부분이 상기 내벽(221)으로부터 일정 간격 리세스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 홈(226)은 개방 후 액체를 배출함에 있어서, 내용물이 가이드 홈(226)을 따라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한다.
제2 덮개부(230)는 개봉시 절취되어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는 분리 마개부(240)를 포함한다. 즉 분리 마개부(240)는 제2 덮개부(230)에서 분리가능하도록 제2 덮개부(230)의 내주에 절취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어, 분리 마개부(240)의 외주는 제2 덮개부(230)의 내주와 연결되며, 상기 분리 마개부(240) 및 제2 덮개부(230)의 연결부분은 상기 분리 마개부(240) 및 제2 덮개부(230)보다 두께가 얇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분리 마개부(240)의 외주를 따라 연속되도록 형성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구조는 분리 마개부(240)의 외주와 제2 덮개부(230)의 내주 사이에 절취홈(231)을 형성하게 된다. 절취홈(231)은 분리 마개부(240)와 제2 덮개부(230) 사이의 양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분리 마개부(240)의 외주와 제2 덮개부(230)의 내주는 이격되며, 분리 마개부(240)의 외주와 제2 덮개부(230)의 내주 사이는 서로 이격되고, 이격 공간에 형성되는 복수의 절취편들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분리 마개부(240)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외주에 일부가 측면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연장부(241)는 개방시 공기의 유입 통로가 된다.
도 9와 도 10은 각각 에어 캡(200)의 동작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에어 캡(200)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에어 캡(200)은 용기(100)의 밀폐 상태와 개봉 상태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밀폐상태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체결홀(211)과 본체(220)부의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으로 손가락을 밀어 넣어 체결홀(211)과 걸쇠(223)를 서로 분리시키고, 체결홀(211)을 잡아당겨 본체(220)부의 내부를 노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10에서와 같이, 분리 마개부(240)의 일단과 연결된 원형 고리를 잡아당겨, 제2 덮개부(230)로부터 분리 마개부(240)를 절취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용기(100)의 개봉 상태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제1덮개의 이음부를 안착홈(327)에 밀착시켜, 외부로 노출되는 이음부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4, 도 5 및 도 7의 도면들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음부(314)가 배치되는 본체에 안착홈(327)이 형성된다. 안착홈(327)은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두께 방향을 따라 일부분이 리세스되도록 형성된다.
밀폐시 이음부(314)는 이러한 안착홈(327)에 일면이 밀착되어, 타면이 본체의 외주면보다 돌출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하여, 보관 또는 관리시에도 외적인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밀폐 상태에서, 이음부(314)는 안착홈(327)의 하단에 근접하여 본체와 연결되고, 안착홈(327)의 상단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음부(314)에는 관통홀(315)이 형성되는데, 관통홀(315)로 인하여 밀폐시 절곡에 의한 변형이 용이하게 된다.
즉, 관통홀(315)의 주변이 절곡되면, 절곡되는 주변부분에 인장 또는 압축으로 인하여 저항이 발생한다. 그러나 관통홀(315)이 구비되면, 주변부가 압축됨으로 인하여, 이에 대한 저항보다는 관통홀(315)을 향하도록 형상이 변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에어 캡 및 그를 구비하는 용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1)

  1. 용기의 일면에 형성된 홀에 장착되고, 상기 홀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내벽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용기의 밀폐 또는 개봉 상태를 구현할 수 있도록, 밀폐시 일면이 상기 홀을 덮도록 형성되고, 밀폐 또는 개봉 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일체를 형성하도록 적어도 일단이 상기 본체와 연결되는 이음부가 구비되는 제1 덮개부; 및
    상기 제1 덮개부의 일면으로부터 적어도 일측으로 연장되고, 밀폐시 상기 본체의 걸쇠를 구비한 돌출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체결홀을 포함하는 에어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는,
    상기 돌출부의 일단에서 분기되는 제1멤버와 제2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멤버와 제2멤버는 탄성적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캡.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멤버와 제2멤버의 각 일단은,
    상기 체결홀에 체결시, 적어도 상기 체결홀의 일부를 덮을 수 있게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측면 단부가 상기 내벽에 접촉되고, 상기 홀을 덮도록 형성되는 제2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덮개부는, 개방시 공기의 유입 또는 유출이 가능하도록, 원형 외주에 일부가 측면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분리 마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캡.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부는,
    상기 제1 덮개부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홀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내벽과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캡.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외부 충격에 의하여 임의로 상기 체결이 해제되지 않게, 상기 제1 덮개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외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캡.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밀폐시 상기 이음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두께방향을 따라 일부분이 리세스된 안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캡.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밀폐시 상기 안착홈에 일면이 밀착되고 타면이 안착홈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안착홈의 하단에 근접하여 연결되고 상단은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캡.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밀폐시 절곡되는 부분에서 절곡에 의한 변형이 용이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캡.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은,
    개방시 상기 용기 내의 내용물이 상기 내벽의 일부분을 따라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일부분이 상기 내벽으로부터 리세스된 가이드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캡.
  11.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일면에 홀이 형성되는 용기; 및
    상기 용기의 밀폐 또는 개봉 상태를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홀에 장착되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을 따르는 에어 캡을 포함하고,
    상기 홀에 장착시, 상기 에어 캡이 고정되도록,
    상기 홀에 삽입된 상기 본체의 일부가, 상기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형성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캡을 구비한 용기.
KR1020110027169A 2011-03-25 2011-03-25 에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KR101213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169A KR101213047B1 (ko) 2011-03-25 2011-03-25 에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169A KR101213047B1 (ko) 2011-03-25 2011-03-25 에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825A true KR20120108825A (ko) 2012-10-05
KR101213047B1 KR101213047B1 (ko) 2012-12-18

Family

ID=47280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169A KR101213047B1 (ko) 2011-03-25 2011-03-25 에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30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210B1 (ko) 2017-11-13 2019-09-30 주식회사 프리캔 손잡이가 결합된 용기 상판 제조장치 및 상판 제조방법
KR102065307B1 (ko) 2019-06-05 2020-01-10 주식회사 프리캔 손잡이가 결합된 용기 상판 제조장치 및 상판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3658B2 (ja) * 2005-06-30 2012-01-25 天龍化学工業株式会社 液体容器用の蓋装置
JP5122206B2 (ja) * 2007-07-31 2013-01-1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ヒンジキャ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3047B1 (ko) 201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4024U (ja) 栓およびその栓を備えた容器
JP6183847B2 (ja) 詰替え容器用栓体
KR20180007317A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KR101518718B1 (ko) 반복적으로 정량공급이 가능한 분말용기
KR101213047B1 (ko) 에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JP7158883B2 (ja) パウチパック用ホルダ及びパウチパック
JP5886520B2 (ja) 容器
US20090095822A1 (en) Spray head for spray bottle
JP5046105B2 (ja) 二剤混合容器
KR102372050B1 (ko) 진공보관함
JP6100183B2 (ja) 二重容器用液漏れ防止キャップ
JP2000079946A (ja) 液体容器
JP6454604B2 (ja) 泡吐出容器
JP5573168B2 (ja) 袋状容器
KR200265447Y1 (ko) 착탈식 보관용기
KR20170001939U (ko)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
JP7400265B2 (ja) 計量カップ及びその計量カップとコックとの組み合わせ
KR200471450Y1 (ko) 절약형 용기
KR101516809B1 (ko) 정량배출이 가능한 분말 저장용기
KR200467289Y1 (ko) 용기캡
JP2007302253A (ja) 吐出容器
KR101182332B1 (ko) 내용물 배출이 용이한 액체용기의 하우징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액체용기
KR100556572B1 (ko) 공기유입식 액체용기
KR200413393Y1 (ko) 개폐 가능한 통기구멍이 구비된 용기
JP6737631B2 (ja) 吐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