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2332B1 - 내용물 배출이 용이한 액체용기의 하우징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액체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 배출이 용이한 액체용기의 하우징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액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332B1
KR101182332B1 KR1020100041081A KR20100041081A KR101182332B1 KR 101182332 B1 KR101182332 B1 KR 101182332B1 KR 1020100041081 A KR1020100041081 A KR 1020100041081A KR 20100041081 A KR20100041081 A KR 20100041081A KR 101182332 B1 KR101182332 B1 KR 101182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iquid
cap
hole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1479A (ko
Inventor
현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일
Priority to KR1020100041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332B1/ko
Publication of KR20110121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20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location or arrangement of filling or discharge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14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를 향하는 외면과 액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한정하는 내면을 포함하며 상기 외면과 내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관통홀을 감싸며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서 상기 공간을 향하여 리세스되는 리세스부, 및 캡이 장착되도록 상기 리세스부에서 돌출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 중 상기 리세스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상기 액체의 배출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외면을 향하여 리세스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하우징 장치와, 그를 구비하는 액체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용물 배출이 용이한 액체용기의 하우징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액체용기{HOUSING APPARATUS ENHANCED A FUNCTION OF DISCHARGING LIQUID AND LIQUID CONTAI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부공간에 액체를 수용하고, 상기 액체를 배출하는 수단을 가지는 하우징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액체용기에 관한 것이다.
액체용기는 식용유 및 각종 액체류 등을 담아두는 용기로서, 일반적으로 액체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액체용기의 배출구에는 개폐가능한 캡이 장착되며, 내부의 액체를 배출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캡을 개방하고, 액체용기를 기울이게 된다.
최근에는 액체를 외부로부터 보다 견고히 밀봉함과 동시에 액체용기의 개폐를 보다 용이하게 구현하기 위하여, 액체용기의 배출구와 캡의 결합구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결합구조가 복잡해질수록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액체의 유동 경로에 장애물이 많아지게 되며, 이는 액체의 배출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액체의 완전한 배출을 제한한다. 따라서, 액체용기에는 액체의 배출을 도와주는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내용물이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하우징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액체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잔여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하우징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액체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하우징 장치는, 외부를 향하는 외면과 액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한정하는 내면을 포함하며 상기 외면과 내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관통홀을 감싸며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서 상기 공간을 향하여 리세스되는 리세스부, 및 캡이 장착되도록 상기 리세스부에서 돌출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 중 상기 리세스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상기 액체의 배출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외면을 향하여 리세스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리세스부에 대응하는 부분은 단차부 및 연결부를 포함한다. 단차부는 상기 내면과 평행하며 상기 내면과 단차를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연결부는 상기 단차부와 상기 내면을 연결한다.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연결부 및 단차부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단차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대응하도록 상기 외면에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내면과 수직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외면의 일 코너에 인접하고, 상기 리세스부는 환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환형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일 코너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의 단부에는 상기 캡에 걸림되도록 상기 관통홀의 외측으로 절곡되는 권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 장치를 구비하는 액체용기를 개시한다. 액체용기는, 외부를 향하는 외면과 액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한정하는 내면을 포함하며 상기 외면과 내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관통홀을 감싸며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서 상기 공간을 향하여 리세스되는 리세스부와, 상기 리세스부에서 돌출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장치, 및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며 개폐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캡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의 내면 중 상기 리세스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상기 액체의 배출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외면을 향하여 리세스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캡은 외측 돌출부 및 내측 돌출부를 포함한다. 외측 돌출부는 상기 캡의 외주에서 돌출되며 상기 장착부에 걸림되도록 형성된다. 내측 돌출부는 상기 외측 돌출부와 이격 배치되고, 상기 캡의 일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다. 상기 외측 및 내측 돌출부의 사이에는 상기 장착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 돌출부의 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서 상기 단차부까지 범위 내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하우징 장치 및 액체용기는 가이드 홈을 통하여, 내용물의 배출이 가이드되는 매커니즘을 간단하게 구현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캡은 리세스부에 안착되나, 하우징의 내부의 리세스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됨에 따라 캡의 견고한 장착과 내용물의 배출 가이드가 동시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 홈이 하우징의 내면에서 리세스됨에 따라, 잔여 내용물을 보다 용이하게 배출시킨다. 또한, 캡에 형성되는 내측 돌출부의 단부가 하우징의 내면에서 단차부까지 범위 내에 배치됨에 따라, 내용물의 배출 경로가 보다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의 종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액체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도 1의 액체용기의 내부에서 관통홀을 바라보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발명의 가이드 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액체용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100)의 종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액체용기(100)는 하우징(110) 및 캡(12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S)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용물은 예를 들어, 식용유 등의 액체가 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몸체의 양단부를 각각 밀봉하는 상부 및 하부 커버(112 및 113)을 포함한다. 상부 및 하부 커버(112 및 113)는 각각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하우징(110)은 사각기둥 형태가 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예를 들어 얇은 판재로 형성되며,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하우징(110)은 동일 체적내에 보다 많은 양의 액체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부 커버(112)에는 캡(120)이 장착된다. 캡(120)은 개폐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부 커버(112)에 구비되는 관통홀(114, 도 2 참조)에 배치된다. 사용자가 캡(120)을 개방한 후에 하우징(110)을 기울이면, 하우징(110) 내의 액체가 캡(12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110)에는 액체의 배출을 도와주는 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수단은 하우징(110) 및 캡(120)에 형성되는 복수의 요소들에 의하여 구현된다. 이하 이들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액체용기(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4는 도 1의 액체용기(100)의 내부에서 관통홀을 바라보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하우징(110)은 외부를 향하는 외면(115)과, 수용공간(S)을 한정하는 내면(116)을 구비한다. 이하, 외면(115)과 내면(116)은 상부 커버(112)의 양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부 커버(112)에는 관통홀(114)과 리세스부(130)가 형성된다.
관통홀(114)은 상부 커버(112)의 외면(115)과 내면(116)을 관통하며, 리세스부(130)는 관통홀(114)을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리세스부는 상부 커버(112)의 외면(115)에서 수용공간(S)을 향하여 리세스되며, 환형으로 이루어진다.
리세스부(130)에는 장착부(140)가 형성된다. 장착부(140)는 리세스부(130)의 내측에서 돌출되며 장착부(140)는 캡(120)이 장착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착부(140)의 단부에는 캡(120)에 걸림되도록 관통홀(114)의 외측으로 절곡되는 권취부(141)가 형성된다. 권취부(141)는 캡(120)에 구비되는 후크(121b)와 서로 걸림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를 통하여 캡(120)이 관통홀(114)에 고정된다.
상기 하우징(110), 리세스부(130) 및 장착부(140)는 서로 조합되어 액체를 수용하며 캡(120)이 장착될 수 있는 하우징 장치를 구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캡(120)은 보호캡(121), 외부마개(122) 및 내부마개(123)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캡(121)은 장착부(140)에 결합하고, 관통홀(114)에 내부마개(123)가 안착되며, 내부마개(123)에 외부마개(122)가 나사산을 이용하여 결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보호캡(121)의 외주에서 외측 돌출부(121a)가 돌출되고, 외측 돌출부(121a)의 단부에는 장착부(140)에 걸림되도록 후크(121b)가 형성된다.
내부마개(123)의 일면에서는 수용공간(S)을 향하여 내측 돌출부(123a)가 돌출된다. 내측 돌출부(123a)는 외측 돌출부(121a)와 이격 배치되고 관통홀(114)에 삽입된다.
보호캡(121)과 내부마개(123)가 결합되도록, 보호캡(121)에는 외측 돌출부(121a)와 이격된 위치에서 보호캡(121)의 원주를 따라 내측 돌기(121c)가 돌출되고, 내측 돌출부(123a)의 외주면에는 끼움단(123b)이 형성된다.
도시에 의하면, 끼움단(123b)은 수용공간(S)을 향하여 장착부(140)에 걸리는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외측 돌출부(121a) 및 내측 돌기(121c)의 사이에 끼워진다. 또한, 외측 돌출부(121a)와 내측 돌출부(123a)의 사이에는 장착부(140)가 수용되는 수용홈(124)이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관계에 의하여 보호캡(121) 및 내부마개(123)가 하우징(110)에 장착된다.
내부마개(123)에는 절취가능한 내부 캡(123a)이 구비되며, 사용자에 의하여 내부 캡(123a)이 제거되면, 제거된 부분이 액체용기의 배출 구멍을 형성하게 된다.
외부마개(122)는 내부마개(123)에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마개(122)와 내부마개(123)에는 서로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이를 통하여 외부마개(122)는 내부마개(123)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의 내면(116) 중 리세스부(130)에 대응하는 부분(150)에는 가이드 홈(160)이 형성된다. 가이드 홈(160)은 수용공간(S)내 액체 배출을 가이드하도록 하우징(110)의 외면(115)을 향하여 리세스된다.
리세스부(130)에 대응하는 부분(150)은 단차부(151) 및 연결부(152)를 포함한다.
단차부(151)는 하우징(110)의 내면(116)과 평행하며, 상기 내면(116)과 단차를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연결부(152)는 단차부(151)와 하우징(110)의 내면(116)을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단차부(151)는 리세스부(130)의 바닥에 대응하는 부분이 되고, 연결부(152)는 리세스부(130)의 측벽에 대응하는 부분이 된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연결부(152)는 하우징(110)의 내면(116)과 수직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액체의 배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가이드 홈(160)은 연결부(152) 및 단차부(151)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홈(160)은 연결부(152)로부터 단차부(151)로 연속되는 그루브를 이루게 된다.
가이드 홈(160)은 연결부(152)에서 단차부(151)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 홈(160)은 연결부(152)로부터 하우징(110)의 내면(116)으로 연장되는 그루브를 형성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의 외면(115)에는 상기 가이드 홈(160)에 대응하도록 상기 외면(115)에서 돌출되는 돌출부(170)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70)에 의하여, 사용자는 액체용기(100)에 액체 배출을 유도하는 가이드가 구비되어 있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시에 의하면, 관통홀(114)은 외면(115)의 일 코너에 인접하고, 가이드 홈(160)은 리세스부(130)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일 코너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 홈(160) 및 이에 대응하는 돌출부(170)는 관통홀(114)을 향햐여 폭이 좁아지도록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가이드 홈(160)이 내면(116)에 형성됨에 따라 캡(120)의 견고한 장착과 액체의 용이한 배출이 동시에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액체용기(100)는 가이드 홈(160)을 통하여 수용공간(S)내에 잔여하는 액체를 모두 배출시키기 용이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잔여 액체의 배출을 도와주기 위하여 수용홈(124)을 구성하는 내측 돌출부(123a)의 길이가 조절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내측 돌출부(123a)의 단부는 하우징(110)의 내면(116)에서 단차부(151)까지 범위 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내측 돌출부(123a)는 단차부(151)까지 돌출되며, 이를 통하여 내측 돌출부(123a)의 단부가 단차부(151)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
만약, 내측 돌출부(123a)가 단차부(151)를 넘는 범위까지 돌출되면, 단차부(151)를 넘어서 외부로 배출되는 액체는 보다 많은 유동 저항을 받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내측 돌출부(123a)의 단부가 단차부(151)를 넘지않는 범위로 형성됨에 따라, 캡(120)은 하우징(110)에 견고히 장착되고, 잔여 액체는 수용공간(S)으로부터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내측 돌출부(123a)의 단부가 단차부(151)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된다면, 단차부(151)에서 내측 돌출부(123a)의 단부를 가로지르는 액체의 유동 경로는 평면을 이루게 된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발명의 가이드 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가이드 홈(260)은 관통홀(214)을 향하여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 액체의 유동 저항이 보다 감소하므로, 곡면의 가이드 홈(260)은 특히 점성이 높은 액체의 경우에 유용한 배출 가이드를 제공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가이드 홈(360)은 하우징(310)의 내면(316)를 시작으로 연결부(352)를 지나 단차부(351)까지 이어지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부(352)의 외주를 벗어난 부분에는 가이드 홈(360)이 형성되지 않으며, 이에 의하여 하우징의 외면(315)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내면(316)과 연결부(352)가 이어지는 부분, 즉 절곡된 부분에는 가이드 홈(360)이 형성되지 않게 되며, 이를 통하여 가이드 홈(360)의 제조가 보다 용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하우징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액체용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9)

  1. 외부를 향하는 외면과, 액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한정하는 내면을 포함하며, 상기 외면과 내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사각기둥 형태의 하우징;
    상기 관통홀을 감싸며,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서 상기 공간을 향하여 리세스되는 리세스부; 및
    캡이 장착되도록 상기 리세스부에서 돌출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 중 상기 리세스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상기 액체의 배출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외면을 향하여 리세스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리세스부에 대응하는 부분은,
    상기 내면과 평행하며, 상기 내면과 단차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단차부; 및
    상기 단차부와 상기 내면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은 상기 사각기둥의 일 코너에 인접하고, 상기 리세스부는 환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일 코너에서 부채꼴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환형의 반경 방향을 따라 상기 단차부에서 시작되어 상기 연결부를 지나 상기 단차부와 반대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폭이 증가하면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하우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대응하도록 상기 외면에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하우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내면과 수직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하우징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단부에는 상기 캡에 걸림되도록 상기 관통홀의 외측으로 절곡되는 권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하우징 장치.
  8. 외부를 향하는 외면과 액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한정하는 내면을 포함하며 상기 외면과 내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사각기둥 형태의 하우징과, 상기 관통홀을 감싸며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서 상기 공간을 향하여 리세스되는 리세스부와, 상기 리세스부에서 돌출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장치; 및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며, 개폐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 중 상기 리세스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상기 액체의 배출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외면을 향하여 리세스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리세스부에 대응하는 부분은,
    상기 내면과 평행하며, 상기 내면과 단차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단차부; 및
    상기 단차부와 상기 내면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은 상기 사각기둥의 일 코너에 인접하고, 상기 리세스부는 환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일 코너에서 부채꼴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환형의 반경 방향을 따라 상기 단차부에서 시작되어 상기 연결부를 지나 상기 단차부와 반대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폭이 증가하면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캡의 외주에서 돌출되며 상기 장착부에 걸림되도록 형성되는 외측 돌출부; 및
    상기 외측 돌출부와 이격 배치되고, 상기 캡의 일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내측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및 내측 돌출부의 사이에는 상기 장착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 돌출부의 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서 상기 단차부까지 범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
KR1020100041081A 2010-04-30 2010-04-30 내용물 배출이 용이한 액체용기의 하우징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액체용기 KR101182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081A KR101182332B1 (ko) 2010-04-30 2010-04-30 내용물 배출이 용이한 액체용기의 하우징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액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081A KR101182332B1 (ko) 2010-04-30 2010-04-30 내용물 배출이 용이한 액체용기의 하우징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액체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479A KR20110121479A (ko) 2011-11-07
KR101182332B1 true KR101182332B1 (ko) 2012-09-20

Family

ID=45392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081A KR101182332B1 (ko) 2010-04-30 2010-04-30 내용물 배출이 용이한 액체용기의 하우징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액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3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444Y1 (ko) * 1997-07-25 2000-04-01 박종석 토출구 경사각을 갖는 음료 용기
KR100846267B1 (ko) * 2007-02-08 2008-07-16 김충구 액체용기의 꿀럭거림방지 주입구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444Y1 (ko) * 1997-07-25 2000-04-01 박종석 토출구 경사각을 갖는 음료 용기
KR100846267B1 (ko) * 2007-02-08 2008-07-16 김충구 액체용기의 꿀럭거림방지 주입구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479A (ko) 201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175B1 (ko) 단일 마개 구조를 가지는 액체 용기
KR101774176B1 (ko) 이중 마개 구조를 가지는 액체 용기
JP3184024U (ja) 栓およびその栓を備えた容器
RU2655150C2 (ru) Конструкция упаковки для хранения и распределения насыпного продукта
KR20180007317A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KR101385339B1 (ko) 습기 및 건조 방지용 화장품 용기
KR200363704Y1 (ko) 오픈시 내용물 혼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덮개
US9345351B2 (en) Liquid and solid packaging and mixing system and container
US20180282178A1 (en) Infusion Apparatus
CN112707011B (zh) 冷藏箱
KR101182332B1 (ko) 내용물 배출이 용이한 액체용기의 하우징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액체용기
JP5085357B2 (ja) 注出キャップ
KR101597495B1 (ko) 액체 보관용 용기
KR101949516B1 (ko) 반찬국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구획판이 구비되는 스테인레스 도시락 용기
US10597194B2 (en) Seed Container and Shell Receptacle
KR101213047B1 (ko) 에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KR101164409B1 (ko)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액체용기
KR200488255Y1 (ko) 분실 방지형 용기의 캡 결합구조
KR101539742B1 (ko)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
KR20180014610A (ko) 친환경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친환경 액체용기
JP5856454B2 (ja) ストロー付きキャップ
JP6454604B2 (ja) 泡吐出容器
KR101500475B1 (ko) 용기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액체용기
JP2006341905A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容器
KR101519305B1 (ko) 밀폐용기용 압착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