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267B1 - 액체용기의 꿀럭거림방지 주입구캡 - Google Patents

액체용기의 꿀럭거림방지 주입구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267B1
KR100846267B1 KR1020070013067A KR20070013067A KR100846267B1 KR 100846267 B1 KR100846267 B1 KR 100846267B1 KR 1020070013067 A KR1020070013067 A KR 1020070013067A KR 20070013067 A KR20070013067 A KR 20070013067A KR 100846267 B1 KR100846267 B1 KR 100846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container
cap
hous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구
Original Assignee
김충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구 filed Critical 김충구
Priority to KR1020070013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2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4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baffles, e.g. for controlling the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내용물이 유출시 꿀럭거림이 발생되지 않고 원활하게 유출되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액체용기 주입구캡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공체로 형성되어 일측은 액체용기(10)의 주입구(12)와 상호 연통되도록 일체로 결합되는 하우징(21)과, 상기 하우징(21)의 타측에 상기 하우징(21)을 개폐하도록 결합되는 캡(31)을 포함하는 액체용기의 주입구캡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1)의 내측둘레부에 끼워지는 링부재(42)와, 이 링부재(42)에 부착되며 통과되는 액체에 와류를 일으키도록 된 복수개의 스크류날개 형상의 고정편(44)으로 이루어진 꿀럭거림방지스크류(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꿀럭거림방지 주입구캡이 제공된다.
액체용기, 캔, 주입구, 꿀럭거림, 스크류

Description

액체용기의 꿀럭거림방지 주입구캡 {Spout cap for liquid container}
도 1은 종래의 액체용기 주입구캡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주입구캡의 부분절결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부분절결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액체용기 12. 주입구
21. 하우징 31. 캡
40. 꿀럭거림방지스크류 42. 링부재
44. 스크류날개 48. 단턱부
본 발명은 액체용기의 꿀럭거림방지 주입구캡에 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액체 내용물이 주입되는 캔 등의 용기 개구부에 장착되며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내용물이 유출시 꿀럭거림이 발생되지 않고 원활하게 유출되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액체용기의 꿀럭거림방지 주입구캡에 대한 것이다.
유지나 식용유 등의 액체 내용물을 담는 캔(통)의 주입구에는 캡이 끼워지는데, 이러한 주입구캡 중에서 내용물을 배출할 때는 마개를 외부로 돌출시키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주입구캡을 내부로 밀어넣을 수 있도록 한 이른바, 스파우트 캡(spout cap)이 사용되고 있다. 도 1과 도 2는 이러한 종래의 스파우트 캡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용기(101)의 상면에는 내부에 액체를 주입하거나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주입구(112)가 형성되고, 이 주입구(112)에는 주입구(112)를 개폐할 수 있도록 주입구갭(100)이 결합된다.
이러한 주입구캡(100)은 중공체로 형성되어 일측이 주입구(112)와 상호 연통되게 결합되는 하우징(121)과, 하우징(121)의 타측에 하우징(121)을 개폐하도록 결합되는 캡(131)을 구비한다. 캡(131)은 원통형상을 가지며 내주면에 암나사부(133)가 형성된 원통부(133a)와, 이 원통부(132a)의 상측에 연장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 평판부(132b)와, 평판부(132b)의 둘레에 절취가능하게 반원 고리상으로 가접되 는 한 쌍의 손잡이(132c)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21)은, 액체용기(101)의 주입부(112)가 삽입될 수 있게 수용홈(124)이 형성된 용기결합부(122a)와, 일측은 용기결합부(122a)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은 점진적으로 직경이 축소되고 용기결합부(122a)에 대해 굴신가능하게 형성되는 굴신부(122b)와, 굴신부(122b)의 타측에 거의 동일한 직경으로 외경면에 수나사부(126)가 형성된 주입구부(122c)를 구비하고 있다. 주입구부(122c)의 내부에는 주입구부(122c)를 차단하는 속뚜껑(127)이 절취가능하게 형성되고, 속뚜껑(127)의 상면에는 속뚜껑(127)을 제거하기 위한 속뚜껑손잡이(128)가 형성된다.
한편, 용기결합부(122a)와 굴신부(122b)의 인접영역에는 액체용기(101)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 내용물의 유출시에 꿀럭거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측 둘레부로부터 중앙을 향해 돌출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판상의 꿀럭거림방지 리브(14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꿀럭거림 방지 리브(141)는 액체용기 주입구(121)의 유로상으로 돌출되어 유출되는 액체의 유로를 부분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액체의 급격한 유출에 의한 용기 내부의 급격한 진공발생 및, 용기 내부의 급격한 진공발생으로 인한 공기압에 의한 흐름차단 현상을 방지하여, 이러한 공기압에 의한 흐름차단에 의해 액체가 꿀럭거리면서 불규칙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액체용기의 주입구캡은 꿀럭거림방지 리브(141)가 판상의 형태로 주입구에서 내향돌출되므로, 이 돌출된 리브로 인해, 유출구의 단면적이 감소되어 액체의 유출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 꿀럭거림방지 리브(141)의 돌출길이를 줄이면 꿀럭거림을 방지하는 효과가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액체의 유출시에 꿀럭거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도 액체의 유출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꿀럭거림방지 액체용기의 주입구캡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공체로 형성되어 일측은 액체용기(10)의 주입구(12)와 상호 연통되도록 일체로 결합되는 하우징(21)과, 상기 하우징(21)의 타측에 상기 하우징(21)을 개폐하도록 결합되는 캡(31)을 포함하는 액체용기의 주입구캡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1)의 내측둘레부에 끼워지는 링부재(42)와, 이 링부재(42)에 부착되며 통과되는 액체에 와류를 일으키도록 된 복수개의 스크류날개 형상의 고정편(44)으로 이루어진 꿀럭거림방지스크류(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꿀럭거림방지 주입구캡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21)은 용기의 주입구(12)에 끼워지는 용기결합부(22a)와, 이 용기결합부(22a)로부터 점진적으로 반경이 축소되면 서 연장되며 용기결합부(22a)에 대해 굴신가능하게 형성되는 굴신부(22b)와, 이 굴신부(22b)의 일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주입구부(22c)를 구비하며, 상기 주입구부(22c)의 내주면에는 단턱부(48)가 형성되고, 상기 꿀럭거림방지스크류(40)는 상기 단턱부(48)에 가압 끼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꿀럭거림방지 주입구캡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용기결합부(22a)와 굴신부(22b)의 인접부위에는 중심부를 향해 내향돌출되는 복수개의 꿀럭거림방지 리브(4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꿀럭거림방지 주입구캡이 제공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이의 부분절결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액체용기 주입구캡(100)은 액체용기(10)의 주입구(12)에 결합되는 하우징(21)을 포함하는데, 이 하우징(21)은 용기의 주입구(12) 둘레에 끼워지도록 그 저부에 하향 개구된 수용홈(24)이 형성된 용기결합부(22a)와, 이 용기결합부(22a)에서 점진적으로 반경이 축소되어 연장되고 용기결합부(22a)에 대해 굴신가능하게 형성되는 굴신부(22b)와, 이 굴신부(22b)의 일측에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연장형성되고 외주면에 수사나부(26)가 형성된 주입구부(22c)를 구비한다. 주입구부(22c)의 내부에는 절취선을 따라 절취가능하게 주입구부(22c)를 차단할 수 있도록 된 속뚜껑(27)이 형성되며, 이 속뚜껑(27)의 상면에는 속뚜껑 제거를 위한 속뚜껑손잡이(28)가 형성된다.
캡(31)은 원통형상을 가지며 주입구부(22c)에 나사결합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부(33)가 형성되는 원통부(32a)와, 원통부(32)의 일측에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는 평판부(32b)와, 이 평판부(32b)의 둘레를 따라 절취가능하게 가접되는 반원형 고리상의 손잡이(32c)를 구비한다.
한편, 하우징(21)의 주입구부(22c)의 내주면, 즉 속뚜껑(27)의 하부에는 단턱부(48)가 돌출형성되고, 이 단턱부(48)에는 본 발명에 따른 꿀럭거림방지스크류(40)가 끼워진다. 이 꿀럭거림방지스크류(40)는 하우징(21)의 주입구부(22c)의 내주면에 끼워지는 링부재(42)와 이 링부재(42)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스크류날개 형상의 고정편(44)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액체용기(10)의 내부에 액체를 수용한 후 수용홈(24)에 액체용기(10)의 주입구(12)의 둘레부가 삽입되도록 액체용기(10)에 하우징(21)을 결합한다. 그리고 주입구부(22c)의 수나사부(26)와 캡(31)의 암나사부(33)를 상호 스크류체결하면 결합이 완료된다. 한편, 액체용기(10)의 내부의 내용물을 배출하고자 하면 먼저 가접된 손잡이(32c)를 당겨 평판부(32b)로부터 분리시키고, 손잡이(32c)를 계속 당기면 굴신부(22b) 및 주입구부(22c)가 용기결합부(22a)로부터 인출된다. 이 때, 주입구부(22c)의 내주면에 결합된 꿀럭거림방지스크류(40)가 외부로 당겨진다.
이어서, 손잡이(32c)를 돌려 스크류체결된 평판부(32b)를 하우징(21)으로부터 제거한 후에, 하우징(21)의 주입구부(22c) 내부의 속뚜껑손잡이(28)를 잡아 당 기면 속뚜껑(17)이 주입구부(22c)로부터 떨어져 나와서 주입구(22c)가 개방되고, 액체용기(10)를 기울이면 내부의 액체가 외부로 유출된다.
이때, 액체는 주입구부(22c)에 설치된 복수개의 스크류날개 형상의 고정편(44)에 의해 와류를 일으키면서 유속이 증대되어 신속하게 빠져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액체가 스크류날개 형상의 고정편(44)에 의해 주입구부(22c)에서 와류를 일으키면 유속이 빨라짐과 동시에 소용돌이로 인해 액체의 틈새가 발생되므로, 이 틈새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액체용기(10) 내부로 유입되므로, 용기 내부의 액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진공이 형성되는 것이 억제되므로, 공기압의 차이에 의해 액체의 유출이 방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에 더하여 꿀럭거림방지 리브(41)가 추가적으로 더 구비된다. 이 꿀럭방지 리브(41)는 종래의 꿀럭거림방지 리브(141)에 비해 그 크기나 개수를 줄이게 된다. 이 꿀럭거림방지 리브(41) 자체의 꿀럭거림방지 효과와 스크류날개 형상의 고정편(44)에 의한 와류형성을 통한 유속상승 및 공기의 신속한 유입효과에 의하여 액체의 유출시에 꿀럭방지역할을 양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액체용기의 주입구에 결합되는 주입구캡(10)의 유출통로 상에 스크류날개 형상의 고정편(44)이 구비된 꿀럭거림방지스크류(40)를 배치함으로써, 액체가 와류를 일으키면서 유출되도록 하여, 유출되는 액체의 유속을 저감하지 않으면서도 와류에 의해 형성되는 액체의 틈새를 타고 외부의 공기가 신속하게 용기 내부로 유입되므로, 용기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따라서, 용기 내부와 외부의 공기압력의 차이에 의해 액체의 유출이 방해되면서 유체가 꿀럭거리면서 잘 흘러나오지 않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입구캡(100)의 하우징(21)의 주입구부(22c)에 단턱부(48)를 형성하고, 꿀럭거림방지스크류(40)의 링부재(42)가 상기 단턱부(48)에 가압끼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써 꿀럭거림방지스크류(40)를 주입구캡(10)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중공체로 형성되어 일측은 액체용기(10)의 주입구(12)와 상호 연통되도록 일체로 결합되는 하우징(21)과, 상기 하우징(21)의 타측에 상기 하우징(21)을 개폐하도록 결합되는 캡(31)을 포함하는 액체용기의 주입구캡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1)의 내측둘레부에 끼워지는 링부재(42)와, 이 링부재(42)에 부착되며 통과되는 액체에 와류를 일으키도록 된 복수개의 스크류날개 형상의 고정편(44)으로 이루어진 꿀럭거림방지스크류(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꿀럭거림방지 주입구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1)은 용기의 주입구(12)에 끼워지는 용기결합부(22a)와, 이 용기결합부(22a)로부터 점진적으로 반경이 축소되면서 연장되며 용기결합부(22a)에 대해 굴신가능하게 형성되는 굴신부(22b)와, 이 굴신부(22b)의 일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주입구부(22c)를 구비하며, 상기 주입구부(22c)의 내주면에는 단턱부(48)가 형성되고, 상기 꿀럭거림방지스크류(40)는 상기 단턱부(48)에 가압 끼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꿀럭거림방지 주입구캡.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결합부(22a)와 굴신부(22b)의 인접부위에는 중심부를 향해 내향돌출되는 복수개의 꿀럭거림방지 리브(4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꿀럭거림방지 주입구캡.
KR1020070013067A 2007-02-08 2007-02-08 액체용기의 꿀럭거림방지 주입구캡 KR100846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067A KR100846267B1 (ko) 2007-02-08 2007-02-08 액체용기의 꿀럭거림방지 주입구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067A KR100846267B1 (ko) 2007-02-08 2007-02-08 액체용기의 꿀럭거림방지 주입구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6267B1 true KR100846267B1 (ko) 2008-07-16

Family

ID=39824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067A KR100846267B1 (ko) 2007-02-08 2007-02-08 액체용기의 꿀럭거림방지 주입구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62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332B1 (ko) * 2010-04-30 2012-09-20 주식회사 승일 내용물 배출이 용이한 액체용기의 하우징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액체용기
KR20160070208A (ko) * 2014-12-09 2016-06-20 (주)신한테크 포장용 캔 용기의 마개
KR102302775B1 (ko) * 2020-04-16 2021-09-15 신대명산업 주식회사 캔용기용 스파우트 캡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321A (ko) 2002-06-21 2002-07-12 안돈례 병마개 조립체
KR200289169Y1 (ko) * 2002-06-05 2002-09-13 우성제관주식회사 액체용기의 주입구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169Y1 (ko) * 2002-06-05 2002-09-13 우성제관주식회사 액체용기의 주입구캡
KR20020059321A (ko) 2002-06-21 2002-07-12 안돈례 병마개 조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332B1 (ko) * 2010-04-30 2012-09-20 주식회사 승일 내용물 배출이 용이한 액체용기의 하우징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액체용기
KR20160070208A (ko) * 2014-12-09 2016-06-20 (주)신한테크 포장용 캔 용기의 마개
KR101651019B1 (ko) * 2014-12-09 2016-09-06 (주)신한테크 포장용 캔 용기의 마개
KR102302775B1 (ko) * 2020-04-16 2021-09-15 신대명산업 주식회사 캔용기용 스파우트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41843B1 (en) Discharge cap for bottle-like container body
JP2014210136A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2009007066A (ja) 吐出キャップ
US11439260B2 (en) Non-spill cup and fluid control valve system with all round drinking rim
KR100846267B1 (ko) 액체용기의 꿀럭거림방지 주입구캡
JP6501699B2 (ja) 注出容器
EA006731B1 (ru)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утылки с выдвижным патрубком (варианты)
JP6576258B2 (ja) 抜栓付き吐出キャップ
JP2019011099A (ja) 注出キャップ
JP6945221B2 (ja) 液体注出用の部材及び容器
KR20080074276A (ko) 액체용기의 이물질 유입방지 주입구캡
JP6921639B2 (ja) 吐出キャップ
JP2004001836A (ja) 注出キャップ
KR200455090Y1 (ko) 뚜껑이 개봉된 상태에서 실링밴드의 빠짐이 방지되는 파우치 마개
JP2008162633A (ja) 容器
KR200481095Y1 (ko) 용기의 캡
JP2013133116A (ja) 吐出容器
KR101552510B1 (ko) 연결밴드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마개 개폐 구조
KR200179890Y1 (ko) 액체용기의 공기흡입구
KR200365965Y1 (ko) 액체용기 뚜껑
KR20080100019A (ko) 용기마개
KR200339902Y1 (ko) 유량조절용 이중마개
KR101361890B1 (ko) 액체용기 토출구에 삽입된 쿨렁거림 방지용 관
KR200289169Y1 (ko) 액체용기의 주입구캡
KR200228291Y1 (ko) 용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