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9321A - 병마개 조립체 - Google Patents

병마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9321A
KR20020059321A KR1020020035017A KR20020035017A KR20020059321A KR 20020059321 A KR20020059321 A KR 20020059321A KR 1020020035017 A KR1020020035017 A KR 1020020035017A KR 20020035017 A KR20020035017 A KR 20020035017A KR 20020059321 A KR20020059321 A KR 20020059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bottle
liquor
hol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5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돈례
Original Assignee
안돈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돈례 filed Critical 안돈례
Priority to KR1020020035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9321A/ko
Publication of KR20020059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932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2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for initially filling and for preventing subsequent ref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위조양주의 재주입방지 및 원활한 배출을 가능하게 한 병마개 조립체에 대해 개시한다. 이는 상호 결합되어 소정 공간부를 형성하는 상부캡(110)과 하부캡(140)을 구비하며, 형성된 내부공간에는 회전팬(12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또한 하부캡(140)에 결합된 유동체(130)가 내부공간에 출몰하도록 되어 있다. 상하부캡(110)(140) 사이에 양주의 배출에 의해서 회전되는 회전팬(120)을 구비함으로써 양주를 정량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시적으로 많은 양의 배출을 방지시킴으로써 양주의 원활한 배출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배출되는 양주는 유도판(113)의 배면곡면을 따라 유도됨으로써 안정된 배출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유도판(113)과 회전팬(120)에 의해서 주사기 등의 투입이 방지되고 더욱이 유동체의 상면에 의해서 하부캡의 결합공이 폐쇄되므로 병 내부로 양주 등의 음용액의 재주입을 방지시킨다.

Description

병마개 조립체{stopper assembly}
본 발명은 병마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양주와 같은 고가의 주류가 위조된 후 빈 양주병에 주입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위조 양주의 제조 및 시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물질의 투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토록 한 병마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고가의 양주가 위조되어 사용되는 문제를 예방하고자 다양한 형태의 병마개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병마개의 개폐여부를 소비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구조로서, 주로 병마개의 하단에 절단선이 미리 구획된 커버링을 장착하거나 또는 병마개의 외부에 비닐이나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진 커버지를 부착시키는 방식이 적용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병마개 구조는 외관의 저급함으로 인하여 고가의 양주병에는 적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또한, 커버링이나 커버지의 모조 및 부착이 용이하여 신뢰성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다. 즉, 위조 양주 제조업자가 이미 소비된 빈 양주병 내에 가짜 양주를 주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양주를 믿고 구입할 수 없게 되어 양주의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최근에는 커버지와 커버링 외에 병마개 캡의 내부에 볼 밸브를 적용시킨 위조방지 구조물이 개발되어 시판 중에 있다. 이러한 위조방지 구조물은 병을 세운 상태에서는 볼 밸브가 병의 입구를 막아 유해물질의 주입을 예방하게 되고 병을 기울인 상태에서는 병의 입구가 열리게 되어 양주를 따라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양주 위조방지 구조물은 양주병을 일정각도로 기울인 상태에서 주사기 등을 이용하여 서서히 주입하면 위조양주의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양주의 위조여부를 확인할 수 없어서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70770호에는 위조방지 기능을 갖는 양주병 마개구조물이 개시되어 있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 마개구조물은 상부캡(20)과 하부캡(30) 그리고 상부캡(20)의 가이드 핀(24)에 끼움 결합되는 디스크 형상의 밑판(40)을 포함한다. 상부캡(20)과 하부 캡(30)은 플라스틱을 사출성형하여 제조되고, 밑판(40)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부 캡(20)의 몸체(21) 외벽에는 수나사부(22)가 형성된다. 수나사부(22)는 양주병 마개(도시되지 않음)의 방사상 내벽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몸체(21)의 방사상 내벽에는 통공(23)이 형성된 수평 연장부(26a)와 수직 연장부(26b)를 가지는 돌출부(26)가 형성된다. 통공(23)은 양주병(B) 내에 저장된 양주를 따를 때 공기의 진출입 통로가 되고 양주의 배출구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몸체(21)의 중앙부에는 가이드 핀(24)이 일체로 형성되고, 가이드 핀(24)의 헤드부분(24a)과 돌출부(26)의 수평 연장부(26a)는 상하로 일정간격만큼 이격되며, 가이드 핀(24)은 상부 캡(20)의 하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다. 이때, 가이드 핀(24)과 돌출부(26)의 수직 연장부(26b)는 수평으로 일정간격만큼 이격된다.
상부캡(20)과 하부캡(30)을 결합시킬 때 밑판(40)은 상부캡(20)의 가이드 핀(24)에 활주 가능하게 끼움 장착된다. 이를 위해서, 밑판(40)의 중앙에는 관통공(42)이 형성된다.
하부 캡(30)의 몸체(31)의 상부에는 방사상 외부로 연장된 상부 플랜지(32)가 형성된다. 상부 플랜지(32)는 상부캡(20)의 하부에 방사상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하부 플랜지(28)에 대응한다. 하부캡(30)의 상부플랜지(32)는 양주병 마개구조물을양주병(B)의 목부분 내로 삽입하여 장착할 때 걸림턱의 역할을 수행하여 양주병 마개구조물이 양주병(B)내로 빠지지 않은 상태로 삽입되게 한다.
하부 캡(30)의 하부에는 걸림턱(34)이 방사상 안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걸림턱(34) 사이에는 밑판 지지편(36)이 일체로 형성된다. 밑판 지지편(36)은 "열십자(+)"의 형상을 갖도록 하부 캡(30)의 몸체(31) 하부에 일체로 연장하여 형성된다.
양주병 마개구조물을 양주병(B)에 장착했을 때, 서로 밀착하여 접촉하는 상부캡(20)의 하부플랜지(28)와 하부캡(30)의 상부플랜지(32) 외부에는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진 커버밀봉지(50)가 부착된다. 커버밀봉지(50)는 양주병 마개구조물이 장착된 양주병(B)의 최초 개폐여부를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마개구조물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주병(B)의 목부분에 장착했을 때, 상부캡(20)의 가이드 핀(24)에 끼움 결합된 밑판(40)이 자체의 하중에 의해서 가이드 핀(24)의 최하부 말단에 위치하게 된다. 그 결과, 밑판(40)은 하부 캡(30)의 밑판 지지편(36) 상에 안착하면서 밑판 지지편(36)의 양주 유출구를 폐쇄하게 된다.
한편, 양주병 마개구조물이 목부분에 장착된 양주병(B)으로부터 양주를 따르려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주병(B)을 일정 각도로 뉘었을 때 양주의 유압에 의해서 밑판(40)이 가이드 핀(24)을 따라서 양주병(B)의 입구쪽으로 쏠리게 되어 양주가 유출된다.
즉, 밑판(40)이 가이드 핀(24)을 따라 상부 캡(20)의 수직 돌출부(26b) 쪽으로 밀림에 따라서 하부 캡(30)의 양주 유출구가 개방되고, 그 결과 양주병(B) 내의 양주가 하부캡(30)의 양주유출구를 통해서 수직 돌출부(26b)와 상부캡(20)의 방사상 내벽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한 후, 수직 돌출부(26b)에 형성된 통공(23)을 통해서 가이드 핀(24)과 돌출부(26)의 수직 연장부(26b) 사이, 그리고 가이드 핀(24)의 헤드부분(24a)과 돌출부(26)의 수평 연장부(26a) 사이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마개구조물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판(40)의 일측을 통하여 외부공기의 유입과 동시에 양주가 배출되게 되므로 배출흐름이 원활하지 못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의 사용을 번거롭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병 내부로부터 양주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개량된 병마개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병 내부로 양주 등의 음용액의 재주입을 방지시키는 병마개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병마개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분리 단면도,
도 3은 종래 사용상태도,
도 4a는 본 발명 조립체의 분리사시도,
도 4b는 상부캡을 나타낸 사시도,
도 4c는 하부캡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조립체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조립체의 작동 상태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 병마개 조립체는 외주연에 병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제2플랜지가 형성되고 중앙에 병의 내부와 연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저면에 연결리브에 의해 유도공이 형성된 하부캡과;
외주연에 상기 제2플랜지와 대응하는 제1플랜지가 형성되고, 중심부에 상기 결합공과 연통하는 상부유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유출공의 상부에 마련되고 저면에 결합축이 형성된 유도판을 가지는 상부캡과;
상기 결합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상면에 의해 상기 결합공이 폐쇄되고, 그 측면에 상기 결합공과 상기 상부유출공을 연통시키는 하부유출공이 형성된 유동체와;
상기 상부캡과 하부캡 사이에 수용되어 상기 결합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팬과;
상기 하부캡의 저면 유도공을 통하여 상기 유동체에 결합되며 단부에 스토퍼가 형성된 안내핀과;
상기 안내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와 하부캡의 저면 사이에 마련되는 웨이트;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캡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상부캡의 상면을 폐쇄시키는 뚜껑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유도판은 오목하게 형성되어서 음용액이 상부유출공을 통하여 유도판의 배면곡면을 따라 배출되도록 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유동체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캡의 결합축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공이 형성되어서, 유동체의 상하이동을 안내하게 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웨이트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돌출리브가 형성되어서 병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음용액이 돌출리브에 접함으로써 웨이트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 병마개 조립체는 양주를 따를 때에웨이트의 이동에 의해서 유동체가 병 입구측으로 이동하여 하부유출공이 개방되게 함으로써 하부캡의 결합공과 상부캡의 상부유출공을 연통시켜 양주의 배출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양주는 유도판에 의해서 상부유출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활하게 배출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병마개 조립체를 나타낸 도 4a 및 도 5를 참조하면, 이는 상호 결합되어 소정공간부를 형성하는 상부캡(110)과 하부캡(140)을 구비하며, 형성된 내부공간에는 회전팬(12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또한 하부캡(140)에 결합된 유동체(130)가 상기 내부공간에 출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부캡(140)은 외주연에 병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제2플랜지(142)가 형성되고 중앙에 병의 내부와 연통하는 결합공(141)이 형성되며 저면에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리브(145)에 의해 유도공(144)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2플랜지(142)의 저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의 입구에 결합시 탄력을 부여하여 밀폐시키는 결합리브(14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캡(110)은 외주연에 상기 제2플랜지(142)와 대응하는 제1플랜지(111)가 형성되고, 중심부에 상기 결합공(141)과 연통하는 상부유출공(114)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유출공(114)의 상부에 마련되고 저면에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축(115)이 형성된 유도판(113)을 가진다.
상기 유도판(113)은 오목하게 형성되어서 음용액이 상부유출공(114)을 통하여 유도판(113)의 배면곡면을 따라 배출되도록 된 구조를 가진다. 이 유도판(113)은 복수의 연결리브(부호 미표시)에 의해서 상부유출공(114)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유동체(130)는 상기 하부캡(140)의 결합공(1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상면(131)에 의해 상기 결합공(141)이 폐쇄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그 측면에는 상기 결합공(141)과 상기 상부유출공(114)을 연통시키는 하부유출공(1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동체(130)의 상면(131)에는 상기 상부캡(110)의 결합축(115)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공(133)이 형성되어서, 유동체(130)의 상하이동을 안내하게 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하부캡(140) 저면의 유도공(144)에는 단부에 스토퍼(161)가 형성된 안내핀(16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유동체(130)와 결합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내핀(160)에는 웨이트(weight;15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유동체(13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상기 웨이트(15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돌출리브(151)가 형성되어서 병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양주 등의 음용액이 돌출리브(151)에 접함으로써 저항을 높여 웨이트(150)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캡(11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112)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112)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상부캡(110)의 상면을 폐쇄시키는 뚜껑(100)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병 상단에 안착되는 제1,2플랜지(111)(142) 및 병 상단 가장자리는 커버밀봉지(부호 미표시)에 의해서 밀봉되어 진다.
이와 같은 병마개 조립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이 세워진 상태에서는 웨이트(150)의 자중에 의해서 유동체(130)가 하강되어 그 상면(131)으로 하여금 하부캡(140)의 결합공(141)을 폐쇄시킨다.
이 경우 주사바늘 등을 통한 위조 양주의 주입이 불가능해진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을 기울여 양주를 따르려 할 때에는 웨이트(150)가 병의 입구측으로 이동하여 유동체(130)를 이동시킨다. 이때 웨이트(150)는 그 돌출리브(151)들이 양주의 접촉으로 이동이 원활해지며, 이에 따라 유동체(130)의 빠른 이동으로 하부유출공(132)을 통하여 결합공(141)이 개방되게 된다.
개방된 하부유출공(132)을 통하여 배출되는 양주는 회전팬(120)을 회전시키면서 상부유출공(114)을 통하여 배출되게 되는 바, 이때 양주는 회전팬(120)의 회전에 의해서 정량적으로 배출되게 되며 일시에 많은 양의 양주가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시킨다. 또한, 배출되는 양주는 유도판(113)의 배면곡면을 따라 안내되므로, 병의 기울임에 따른 양주의 배출속도로 양주가 양주잔으로부터 흘려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유도판(113)의 상측으로는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양주의 배출을 원활하게 한다.
도면과 명세서는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하부캡 사이에 양주의 배출에 의해서 회전되는 회전팬을 구비함으로써 양주를 정량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시적으로 많은 양의 배출을 방지시킴으로써 양주의 원활한 배출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배출되는 양주는 유도판의 배면곡면을 따라 유도됨으로써 안정된 배출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유도판과 회전팬에 의해서 주사기 등의 투입이 방지되고 더욱이 유동체의 상면에 의해서 하부캡의 결합공이 폐쇄되므로 병 내부로 양주 등의 음용액의 재주입을 방지시킨다.

Claims (5)

  1. 외주연에 병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제2플랜지가 형성되고 중앙에 병의 내부와 연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저면에 연결리브에 의해 유도공이 형성된 하부캡과;
    외주연에 상기 제2플랜지와 대응하는 제1플랜지가 형성되고, 중심부에 상기 결합공과 연통하는 상부유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유출공의 상부에 마련되고 저면에 결합축이 형성된 유도판을 가지는 상부캡과;
    상기 결합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상면에 의해 상기 결합공이 폐쇄되고, 그 측면에 상기 결합공과 상기 상부유출공을 연통시키는 하부유출공이 형성된 유동체와;
    상기 상부캡과 하부캡 사이에 수용되어 상기 결합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팬과;
    상기 하부캡의 저면 유도공을 통하여 상기 유동체에 결합되며 단부에 스토퍼가 형성된 안내핀과;
    상기 안내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와 하부캡의 저면 사이에 마련되는 웨이트;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의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상부캡의 상면을 폐쇄시키는 뚜껑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판은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조립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체의 상면에 상기 상부캡의 결합축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조립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의 외주면에 복수의 돌출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조립체.
KR1020020035017A 2002-06-21 2002-06-21 병마개 조립체 KR200200593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017A KR20020059321A (ko) 2002-06-21 2002-06-21 병마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017A KR20020059321A (ko) 2002-06-21 2002-06-21 병마개 조립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978U Division KR200290771Y1 (ko) 2002-06-24 2002-06-24 병마개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321A true KR20020059321A (ko) 2002-07-12

Family

ID=27726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5017A KR20020059321A (ko) 2002-06-21 2002-06-21 병마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932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74128A1 (en) * 2003-02-19 2004-09-02 Hyun-Soo Chung Bottle cap
KR100846267B1 (ko) 2007-02-08 2008-07-16 김충구 액체용기의 꿀럭거림방지 주입구캡
WO2011046251A1 (ko) * 2009-10-14 2011-04-21 씨제이 제일제당(주) 병마개 조립체
EP4317009A1 (de) * 2022-08-05 2024-02-07 Tomil s.r.o. Reinigungsmittelbehält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1835U (ko) * 1979-08-21 1981-03-28
US4377242A (en) * 1980-03-12 1983-03-22 Seagrams Distillers Limited Anti-tampering devices for bottles
JPH0369462A (ja) * 1989-08-03 1991-03-25 Japan Crown Cork Co Ltd 排液量規制機能を有する注出栓
KR970006127A (ko) * 1995-07-07 1997-02-19 김경숙 자동개폐캡 및 내용액 자동토출방법
KR19980068663U (ko) * 1998-09-04 1998-12-05 손진영 자동여닫이 뚜껑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1835U (ko) * 1979-08-21 1981-03-28
US4377242A (en) * 1980-03-12 1983-03-22 Seagrams Distillers Limited Anti-tampering devices for bottles
JPH0369462A (ja) * 1989-08-03 1991-03-25 Japan Crown Cork Co Ltd 排液量規制機能を有する注出栓
KR970006127A (ko) * 1995-07-07 1997-02-19 김경숙 자동개폐캡 및 내용액 자동토출방법
KR19980068663U (ko) * 1998-09-04 1998-12-05 손진영 자동여닫이 뚜껑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74128A1 (en) * 2003-02-19 2004-09-02 Hyun-Soo Chung Bottle cap
KR100846267B1 (ko) 2007-02-08 2008-07-16 김충구 액체용기의 꿀럭거림방지 주입구캡
WO2011046251A1 (ko) * 2009-10-14 2011-04-21 씨제이 제일제당(주) 병마개 조립체
EP4317009A1 (de) * 2022-08-05 2024-02-07 Tomil s.r.o. Reinigungsmittelbehäl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67885B2 (ja) 流動製品の小出しパッケージ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4600130A (en) Squeeze pressure dispenser with integral siphon tube
US6216903B1 (en) Bi-directional operating closure for a liquid container
JP2000313455A (ja) 容器のバヨネット型口部
US5788108A (en) Dispensing closure with retractable lid
CN108698064A (zh) 分配器泵
US6053374A (en) Dosing cap for dispensing liquids
KR20020059321A (ko) 병마개 조립체
KR200290771Y1 (ko) 병마개 조립체
KR200301585Y1 (ko) 병마개 조립체
JP3620042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CA2424097A1 (en) Positive-orientation systems for closures and containers
US20060000791A1 (en) Anti-fraud cap for bottles
JP3620040B2 (ja) 液体容器の栓体
JP4663057B2 (ja) 流出筒を備えた容器蓋
JPS5823313Y2 (ja) エア−ポツト
KR200315101Y1 (ko) 컵 뚜껑
JP3795216B2 (ja) 注出容器のキャップ
JP3620038B2 (ja) 液体容器の栓体
JP3517027B2 (ja) 液体注出栓
KR200185918Y1 (ko) 용기용 밸브
KR200486082Y1 (ko) 배출 정확성을 확보한 캡어셈블리
CN217510237U (zh) 杯盖及杯具
KR200295694Y1 (ko) 병마개 조립체
JP2001192051A (ja) 飲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