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0019A - 용기마개 - Google Patents

용기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0019A
KR20080100019A KR1020070046056A KR20070046056A KR20080100019A KR 20080100019 A KR20080100019 A KR 20080100019A KR 1020070046056 A KR1020070046056 A KR 1020070046056A KR 20070046056 A KR20070046056 A KR 20070046056A KR 20080100019 A KR20080100019 A KR 20080100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member
container
main body
fluid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희권
Original Assignee
노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희권 filed Critical 노희권
Priority to KR1020070046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0019A/ko
Publication of KR20080100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0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4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baffles, e.g. for controlling the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and closure-retaining means
    • B65D47/14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and closure-retaining means for 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88Venting occurring during initial closing or opening of the container, by means of a passage for the escape of gas between the closure and the lip of the container mouth, e.g. interrupted 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개폐 작용을 하는 용기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마개의 개폐 작용이 한 동작으로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입을 대고 마실 때 입을 대는 용기마개 부위의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기마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체가 저장되는 용기에 결합되고 상측이 개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측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배출구에 삽입되어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용기의 개폐작용을 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상기 회전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용기와 통하는 공기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를 개시한다.
용기, 마개

Description

용기마개 {Closure of Vessel}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용기마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IV-IV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V-V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용기마개 중 보호캡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2의 변형례들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2의 용기마개의 작동 상태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 : 본체 8 : 회전부재
10 : 승강부재 12 : 보호캡
18 : 배출통로 20 : 격벽
22 : 스커트 26 : 돌기
38, 40 : 나선부 42 : 밀봉부
44 : 걸림턱 46 : 스토퍼
본 발명은 용기의 개폐 작용을 하는 용기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마개의 개폐 작용이 한 동작으로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입을 대고 마실 때 입을 대는 용기마개 부위의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기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마개는 용기에서 분리한 후 용기에 담겨진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일반적인 타입과, 용기에 부착된 상태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개방하여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타입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음료 용기에 사용되는 용기마개의 경우 용기에서 분리하지 않아도 되고 빨아먹는 재미를 한층 느낄 수 있도록 용기마개가 용기에 부착된 상태로 유체가 배출되는 타입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용기마개는 용기에 부착된 상태에서 배출구를 개방하여 입을 대고 마시는 타입의 용기마개로서, 용기입구(102)에 나사 결합되고 상측으로 그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연장되어 그 끝부분에 용기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개방되는 본체(104)와, 본체(104)의 상측 외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중앙측에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08)가 형성되는 밀봉캡(110)과, 밀봉캡(110)의 외주면에 씌워져 배출구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캡(112)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4)는 개방되는 상측 중앙에 원형돌기(114)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원형돌기(114)의 둘레방향으로 개구되어 유체가 배출된다.
상기 밀봉캡(110)은 그 상측 둘레면에 손으로 잡고 뽑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116)가 연장 형성되고, 그 중앙측에 원형돌기(114)가 끼워져 밀봉 작용을 하고 원형돌기(114)가 이탈되면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08)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04)의 상측 둘레면에는 걸림돌기(118)가 형성되고 밀봉캡(110)의 내측면에 걸림돌기(118)와 걸림작용되는 스톱퍼(120)가 형성되어 밀봉캡(110)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용기마개는 유체를 마실 경우 보호캡(112)을 벗겨낸 후 손으로 밀봉캡의 손잡이부(116)를 잡고 상측방향으로 당기면 본체(104)의 원형돌기(114)에서 밀봉캡(110)의 배출구(108)가 이탈되면서 용기가 개방된 상태로 되어 유체가 배출구(108)를 통해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용기마개는 배출구를 개방시키기 위해서 밀봉캡(110)의 손잡이부(116)를 손으로 잡고 당겨야 하는데, 밀봉캡(110)의 머리 부위는 입을 대고 마시는 부위이기 때문에 위생상 불결한 상태로 마시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어린이나 야외에서 운동 및 작업 후에 불결한 손으로 밀봉캡(110)을 당겨야 되므로 비위생적인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용기마개는 그 특성상 탄산 음료 등 내압이 작용하는 유체가 저장되는 용기에는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 적용 범위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용기마개는 마개를 개방하기 위해서 여러 단계를 거쳐야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입을 대고 마시는 부위에 손이나 기타 다른 도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용기의 개방을 가능토록 하여 위생적인 면에서 탁월한 성능을 가질 수 있는 용기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 개의 부재들로 구성되며 그 부재들의 조립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용기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이 용이하면서 부재의 제작을 위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용기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에서 용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기통로를 추가로 형성하여 용기 내의 유체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용기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유체가 저장되는 용기에 결합되고 상측이 개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측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배출구에 삽입되어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용기의 개폐작용을 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상기 회전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용기와 통하는 공기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를 개시한다.
상기 공기통로는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외부로 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와 통하도록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승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요홈부로 구성되거나, 상기 공기통로는 상기 회전부재에 형성되어 외부로 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와 통하도록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승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요홈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는 관통공 또는 관통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가 저장되는 용기에 결합되고 상측이 개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측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배출구에 삽입되어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용기의 개폐작용을 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의 외측면에는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외측면에 형성된 돌기와 걸림되어 상기 보호캡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보호캡의 내측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의 수는 상기 회전부재의 돌기의 수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가 저장되는 용기에 결합되고 상측이 개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측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배출구에 삽입되어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용기의 개폐작용을 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와 걸림되어 상기 보호캡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보호캡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그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 중 일부의 길이는 나머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가 저장되는 용기에 결합되고 상측이 개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측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배출구에 삽입되어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용기의 개폐작용을 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배출구를 형성하도록 상단부에서 하측으로 배출실린더가 연장형성되며, 상기 승강부재의 상측부분 일부가 상기 배출실린더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를 개시한다.
상기 회전부재의 하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턱을 통과하여 결합된 후에 걸림턱에 걸림되어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회전부재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은 저면에 상측으로 향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의 외주면에는 나선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승강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부에 대응되는 나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는 내주면과 상기 배출실린더 사이의 공간이 외부로 통하도록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가 저장되는 용기에 결합되고 상측이 개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측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배출구에 삽입되어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용기의 개폐작용을 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와 조립을 위한 지그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의 상측에 씌워져 배출구를 보호함과 아울러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보호캡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는 유체가 저장되는 용기에 결합되고 상측이 개방되는 본체(4)와, 본체(4)의 개방된 상측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6)가 형성되는 회전부재(8)와, 회전부재(8)의 내측에 삽입되어 회전부재(8)의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용기를 개폐하는 승강부재(10)와, 회전부재(8)의 상측에 씌워져 배출구(6)를 보호함과 아울러 회전부재(8)를 회전시키는 보호캡(12) 등 복수 개의 부재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4)는 그 하측 내면에 용기의 용기입구에 나사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16)가 형성되고 외측 둘레면에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형성되며, 일측을 경계로 하여 하측의 직경에 비해 상측의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이 직경이 좁아지는 경계 부위의 내측에 유체가 배출되도록 개구된 격벽(2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4)의 하측에는 용기와 용기마개 사이를 고정시키는 스커트(2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스커트(22)는 본체(4)와 용기 사이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일정한 힘을 가하면 본체(4)와 분리되어 본체(4)와 용기 사이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격벽(20)에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10)가 삽입되어 회전을 방지하면서 직선이동을 가능케 함과 아울러 용기에 저장된 유체가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다수의 돌출홈(19)들을 갖는 배출통로(18)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통로(18)에 형성된 돌출홈(19)들은 승강부재(10)에 형성된 돌출부(11)의 끝단부분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배출통로(18)에 형성된 돌출홈(19)은 승강부재(10)의 돌출부(11)의 수보다 많게 형성되며 승강부재(10)의 끝단부분에 일부가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경우 저면 쪽으로 경사면(19a)이 형성되어 그 삽입이 용이하며 부재 간의 조립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8)는 본체(4)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개구된 중앙에는 승강부재(10)가 나사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나선부(40)가 형성되며 상측에는 본체(4)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부재(8)의 외면에는 보호캡(12)의 회전시 같이 회전되도록 보호캡(12)의 내면에 걸림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26)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26)는 요홈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돌기(26)는 회전부재(8)의 상측면 또는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보호캡(12)의 회전력 전달을 고려하여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형상은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나 완만한 곡선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8)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홈(28)이 형성되고 회전부재(8)가 끼워지는 본체(4)의 내주면에는 걸림홈(28)이 걸림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30)가 형성되어, 회전부재(8)가 본체(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공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승강부재(10)는 격벽(20)의 배출통로(18)에 끼워져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자, 삼각, 사각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돌출부(11)가 돌출 형성되며, 돌출부(11)의 외주면에는 회전부재(8)의 나선부(40)와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는 나선부(38)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부재(10)의 하측에는 격벽(20)의 내면에 밀착되어 밀봉 작용을 수행하는 밀봉부(42)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봉부(42)의 상측면과 격벽(20)의 저면 사이에는 밀봉부(42)와 격벽(20)이 밀착되었을 때 용기의 내부를 밀봉시킬 수 있도록 합성수지 등의 실링부재(13)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10)는 그 단면이 '-'자, 삼각, 사각 등의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11)이 격벽(20)의 배출통로(18)에 끼워진다. 이때, 배출통로(18) 중 승강부재(10)의 돌출부(11)가 끼워진 돌출홈(19)을 제외한 나머지 돌출홈(19)은 승강부재(10)의 돌출부(11)가 삽입되지 않아 나머지 돌출홈(19)를 통해 유체가 배출 된다.
여기에서, 승강부재의 나선부(38)와 회전부재의 나선부(40)는 승강부재(10)를 하측방향에서 상측방향으로 강제 박음식으로 조립시 나선부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강제 박음되는 방향으로 나선부의 경사각이 완만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승강부재(10)와 회전부재(8)의 나선부(38,40)의 중심선 상에서 강제 박음되는 방향측 경사각(a)이 반대 방향측 경사각(b)에 비해 비교적 완만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나선부 경사각(b)은 다소 크게 형성되어 회전부재(8)의 회전에 의해 승강부재(10)가 이동될 수 있는 이동력을 부여함과 아울러 회전부재(8)로부터 승강부재(1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나선부 경사각(a)은 완만하게 하여 강제 박음할 때 승강부재(1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상기 승강부재(10)는 회전부재 등과의 조립을 위하여 지그 등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15)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10)에 삽입홀(15)이 추가로 형성된 경우 지그를 이용하여 그 조립이 용이하며 사출재료를 줄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10)와 회전부재(8) 사이에는 승강부재(10)의 개폐 작용시 회전부재(8)가 일정 이상 회전됨에 따라 승강부재(10)가 회전부재(8)에서 빠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이탈 방지수단은 회전부재(8)의 배출구(6)에 일정 폭만큼 그 직경이 좁아지는 구조로 형성되는 걸림턱(44)과, 승강부재(10)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걸 림턱(44)과 상측 방향으로 억지 끼움된 후 승강부재(10)가 하측 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46)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스토퍼(46)는 승강부재(10)의 상측면에서 돌출되어 걸림턱(44)에 걸림 작용되는 것으로, 조립시 걸림턱(44)에 강제 박음식으로 끼워질 때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그 상측면은 일정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44)은 원형홀 형태로 형성되고, 걸림턱(44)에 삽입되는 승강부재(10)의 일측은 '-'자, 삼각, 사각 형태로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하여 그 사이를 통해 유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회전부재(8)에 형성되는 나선부(40)은 배출구(6)의 일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위치는 나선부(38)가 형성된 승강부재(10)와의 결합을 고려하여 걸림턱(44)의 바로 아래 중 일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걸림턱(44)이 형성되는 회전부재(8)는 배출구(6)를 형성하도록 상단부에서 하측으로 회전부재(8)의 내벽과 간격을 두고 배출실린더(48)가 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턱(44)은 배출실린더(48)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8)는 배출실린더(48)가 형성되고 그 끝단에 걸림턱(44)이 형성된 경우 승강부재(10)의 스토퍼(46)가 걸림턱(44)을 통한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불필요한 재질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보호캡(12)은 도 2,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4) 외측에 씌워지고, 그 둘레면에는 손으로 잡고 돌리기 용이하도록 미끄럼 방지용 돌기(12a)가 형성되고, 하측 둘레면에는 본체(4)의 하측 둘레면과의 사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스커트(5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호캡(12)의 내면에는 회전부재(8)의 돌기(26)와 걸림 작용되어 같이 회전되는 걸림돌기(60)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60)는 회전부재(8)에 형성된 돌기(26)에 대응되어 형성되며 조립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회전부재(8)의 돌기(26)의 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캡(12)에 형성된 걸림돌기(60)의 수와 회전부재(8)의 돌기(26)의 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경우 보호캡(12)의 걸림돌기(60)가 회전부재(8)의 돌기(26) 사이에 끼워지는 것이 원활해져 보호캡(12)과 본체(4)와의 결합이 용이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8)에 형성된 돌기(26)가 회전부재(8)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경우 보호캡(12)에 형성된 걸림돌기(60)들 중 적어도 일부가 나머지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캡(12)에 형성된 걸림돌기(60)들 중 적어도 일부가 나머지보다 길게 형성되면 보호캡(12)이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보호캡(12)의 걸림돌기(60)가 회전부재(8)의 돌기(26)가 서로 걸림되어 보호캡(12)의 회전력이 회전부재(8)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보호캡(12)은 보호캡(12)을 개봉한 후 다시 닫을 때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본체(4)와의 사이에 걸림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에서, 걸림수단은 보호캡(12)의 하단 내측 둘레면에 형성되는 걸림돌 기(52)와, 걸림돌기(52)가 끼워지는 본체(4)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되는 걸림홈(5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수단은 회전부재(8)가 끼워져 회전부재(8)의 외주면이 끼워지도록 보호캡(12)의 상단 내측 둘레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53)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용기마개는 회전부재(8)에 형성된 배출구(6)를 통하여 유체가 배출될 때 용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야 그 배출이 용이하게 되는바 용기 내부로의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공기통로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는 본체(4), 회전부재(8) 및 승강부재(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용기와 통하는 공기통로가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통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부(71)가 본체(4)에 형성되고, 관통부(71)와 연결되어 본체(4)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요홈부(72)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요홈부(72)들은 본체(4)와 접하는 회전부재(8)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통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부(73)가 회전부재(8)에 형성되고, 관통부(73)와 연결되어 회전부재(8)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요홈부(74)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요홈부(74)들은 회전부재(8)의 외주면에 접하는 본체(4)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통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8)이 배출실린더부(48)을 구비하는 경우 배출실린더부(48)과 연결되어 외부로 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부(75)가 회전부재(8)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통부(71, 73, 75)들은 관통공 또는 관통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공기통로를 구비한 용기마개는 사용자가 용기 내부에 저장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 배출구(6)을 통하여 배출될 때 별도로 형성된 공기통로를 통하여 공기가 용기의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유체가 보다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의 조립 과정 및 그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먼저,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본체(4)와 회전부재(8), 승강부재(10) 및 보호캡(12)을 금형 등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후 순서대로 나열한 상태에서 강제 박음식 방법에 의해 조립을 행한다.
즉, 본체(4)의 상측에서 회전부재(8)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 본체(4)의 내측으로 회전부재(8)가 삽입된다. 이때, 회전부재(8)의 걸림돌기(28)가 본체(4)의 걸림홈(30)이 끼움되어 본체(4)로부터 회전부재(8)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체(4)의 하측에서 승강부재(10)를 상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승강부재(10)를 회전부재(8)의 내측에 끼운다. 이때, 회전부재의 나선부(40)와 승강부재의 나선부(38)는 각각 그 조립되는 방향의 경사각이 완만하게 형성되므로 나선부(38,40)의 조립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승강부재(10)의 스토퍼(46)의 상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회전부재의 걸림턱(44)에 통과한 후 걸림턱(44)의 상측면에 위치되어 승강부재(10)가 하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본체(4)의 상측에서 보호캡(12)을 씌우면 보호캡의 스커트(50)가 본체에 억지 끼움되면서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되는 용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캡(12)을 손으로 잡고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보호캡의 스커트(50)가 뜯겨지면서 보호캡(12)과 본체(4)와의 사이가 분리된다. 이때, 보호캡(12)과 회전부재(8) 사이는 서로 걸림된 상태이기 때문에 보호캡(12)의 회전시 회전부재(8)도 같이 회전된다.
그러면, 회전부재(8)의 내측면에 나사 방식으로 체결되어 있는 승강부재(10)가 회전부재(8)의 회전에 의해 나선부(38,40)가 회전되면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승강부재(10)는 그 둘레측이 관통홀(18)에 걸림된 상태에서 회전부재(8)와 나선 결합되기 때문에 회전부재(8)의 회전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직선 이동된다.
이와 같이, 승강부재(1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밀봉부(42)와 격벽(20) 사이에 벌어지면서 유체가 배출되는 공간이 확보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캡(12)을 벗겨낸 후 용기에 자체에 일정 힘을 가하거나 용기를 기울이면 용기에 저장된 유체가 배출구(6)를 통해 배출된다.
즉, 용기에 저장된 유체는 승강부재의 밀봉부(42)와 격벽의 관통홀(18) 사이의 틈새로 배출되고 승강부재의 내측으로 안내되어 최종적으로 배출구(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는 보호캡을 회전시키면 회전부재가 회전되면서 승강부재가 하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용기의 배출구가 개방되므로 입을 대고 먹는 부위의 오염을 방지함과 아울러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는 승강부재와 회전부재의 나선부가 강제 박음되는 방향으로 그 경사각을 완만하게 형성되어 강제 박음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조립이 한번의 강제 박음 작업으로 끝나기 때문에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는 승강부재와 회전부재 사이에 승강부재의 개폐 작용시 승강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수단을 형성하여 마개의 개폐 작용시 승강부재가 회전부재에서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는 외부에서 용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기통로를 추가로 형성하여 용기 내의 유체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3)

  1. 유체가 저장되는 용기에 결합되고 상측이 개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측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배출구에 삽입되어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용기의 개폐작용을 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상기 회전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용기와 통하는 공기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로는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외부로 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와 통하도록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승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요홈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로는 상기 회전부재에 형성되어 외부로 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와 통하도록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승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요홈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관통공 또는 관통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5. 유체가 저장되는 용기에 결합되고 상측이 개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측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배출구에 삽입되어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용기의 개폐작용을 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의 외측면에는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외측면에 형성된 돌기와 걸림되어 상기 보호캡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보호캡의 내측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의 수는 상기 회전부재의 돌기의 수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6. 유체가 저장되는 용기에 결합되고 상측이 개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측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배출구에 삽입되어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용기의 개폐작용을 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와 걸림되어 상기 보호캡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보호캡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걸림돌기 가 그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 중 일부의 길이는 나머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7. 유체가 저장되는 용기에 결합되고 상측이 개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측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배출구에 삽입되어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용기의 개폐작용을 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배출구를 형성하도록 상단부에서 하측으로 배출실린더가 연장형성되며,
    상기 승강부재의 상측부분 일부가 상기 배출실린더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하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턱을 통과하여 결합된 후에 걸림턱에 걸림되어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회전부재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저면에 상측으로 향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의 외주면에는 나선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승강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부에 대응되는 나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용기마개.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내주면과 상기 배출실린더 사이의 공간이 외부로 통하도록 관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2. 유체가 저장되는 용기에 결합되고 상측이 개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측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배출구에 삽입되어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용기의 개폐작용을 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와 조립을 위한 지그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3. 제 1항 내지 제 3항 및 제 5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상측에 씌워져 배출구를 보호함과 아울러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보호캡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KR1020070046056A 2007-05-11 2007-05-11 용기마개 KR200801000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056A KR20080100019A (ko) 2007-05-11 2007-05-11 용기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056A KR20080100019A (ko) 2007-05-11 2007-05-11 용기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019A true KR20080100019A (ko) 2008-11-14

Family

ID=40286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056A KR20080100019A (ko) 2007-05-11 2007-05-11 용기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00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4582A (ko) * 2016-01-12 2017-07-20 삼화왕관주식회사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
KR102567570B1 (ko) * 2022-12-07 2023-08-16 문수화 화장품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4582A (ko) * 2016-01-12 2017-07-20 삼화왕관주식회사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
KR102567570B1 (ko) * 2022-12-07 2023-08-16 문수화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66099A (en) Two member pouring device having vent
US8403168B2 (en) Cup assembly
JP2002002751A (ja) 溢れ防止供給装置用改良エラストマー弁
KR100807212B1 (ko) 연결부재가 구비된 마개 분실방지 용기
CZ20001609A3 (cs) Bajonetový přední konec nádobky
US20050205587A1 (en) Cup assembly
US20050211737A9 (en) Bottle closure
JP2021010737A (ja) 便利なリフィル構造を有する化粧品容器
US20170190481A1 (en) Fluid container cover with axis straw
US20050236440A1 (en) Cap for a container
JP6514297B2 (ja) カプセル型内容物の排出速度が向上した包装容器
US20040099686A1 (en) Cutting apparatus of sealed beverage vessel
KR20080100019A (ko) 용기마개
EP2922764B1 (en) Cap for containers of carbonated products
KR200419676Y1 (ko) 액상 식품용 용기 뚜껑
KR100755035B1 (ko) 유체 용기용 마개
KR100732866B1 (ko)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
KR100696676B1 (ko) 액상물질 용기용 마개
KR100755036B1 (ko) 유체 용기용 마개
JP2009525924A (ja) 容器用の分与閉鎖体
AU2002359002A1 (en) The cutting apparatus of sealed beverage vessel
JP3243548U (ja) チューブ吐出エンドキャップの制御構造
US7182230B2 (en) Resealable closure system
KR200311480Y1 (ko) 빨대가 내장된 마개구조
KR100579442B1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