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475B1 - 용기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액체용기 - Google Patents

용기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액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475B1
KR101500475B1 KR20130150040A KR20130150040A KR101500475B1 KR 101500475 B1 KR101500475 B1 KR 101500475B1 KR 20130150040 A KR20130150040 A KR 20130150040A KR 20130150040 A KR20130150040 A KR 20130150040A KR 101500475 B1 KR101500475 B1 KR 101500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p
hole
ring memb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50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하진
고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일
Priority to KR20130150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4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3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separate sealing elements
    • B65D41/044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용기 캡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단부가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바디부와, 상기 용기를 개폐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는 마개부와, 상기 마개부의 일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용기의 내외부를 연통하는 관통홀이 측벽에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관통홀을 막으면서 상기 용기 캡에 결합되도록 상기 돌출부의 측벽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의 내압에 의하여 변형하여 상기 관통홀을 개방하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링부재를 포함하는 용기 캡을 구현한다.

Description

용기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액체용기{CAP AND LIQUID CONTAI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체용기의 배출구에 장착되며, 개폐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용기 캡 및 그를 구비하는 액체용기에 관한 것이다.
액체용기는 각종 액체류 등을 담아두는 용기로서, 일반적으로 액체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액체용기의 배출구에는 개폐가능한 용기 캡이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용기 캡은 액체용기의 주둥이로서, 손잡이가 달린 마개를 당겨 인출시키고, 이를 통하여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액체용기는 내압이 높아지는 경우에 용기 캡이 변형되거나 개방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 다른 문제로, 상기 내압에 의하여 액체용기가 변형될 수도 있다. 최근에는 용기 캡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도 중 하나로 내부 가스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용기 캡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내부 가스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용기 캡 및 그를 구비하는 액체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보다 간단한 구조로 액체용기의 과압을 해소하는 용기 캡 및 그를 구비하는 액체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용기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용기 캡은, 상기 결합부의 단부가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바디부와, 상기 용기를 개폐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는 마개부와, 상기 마개부의 일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용기의 내외부를 연통하는 관통홀이 측벽에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관통홀을 막으면서 상기 용기 캡에 결합되도록 상기 돌출부의 측벽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의 내압에 의하여 변형하여 상기 관통홀을 개방하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링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링부재는 러버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마개부에는 상기 용기의 내부를 향하여 리세스되는 리세스홈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리세스홈의 바닥에서 돌출된다. 상기 돌출부의 측벽에는 상기 측벽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링부재가 끼워지는 둘레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상기 둘레홈의 바닥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리세스홈은 환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리세스홈이 형성되는 상기 마개부의 외면과 상기 돌출부의 단부면은 서로 동일평면상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면과 내면을 관통하는 개방홀과, 상기 개방홀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용기 캡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 캡은, 상기 결합부의 단부가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바디부와, 상기 용기를 개폐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는 마개부와, 상기 마개부의 일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용기의 내외부를 연통하는 관통홀이 측벽에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관통홀을 막으면서 상기 용기 캡에 결합되도록 상기 돌출부의 측벽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의 내압에 의하여 변형하여 상기 관통홀을 개방하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링부재를 포함하는 액체용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용기 캡 및 액체용기는 돌출부와 링부재의 조합에 의하여 액체용기의 내부가스를 배출함에 따라, 과압해소 메커니즘을 보다 간단하게 구현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통홀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를 통하여 사용자의 오동작에 의하여 관통홀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 캡 및 액체용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의 종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액체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액체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용기 캡 및 링 부재의 확대도들.
도 7은 도 4의 라인 A-A를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
도 8은 도 6의 용기 캡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 및 그를 구비하는 액체용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100)의 종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액체용기(100)는 하우징(110) 및 캡(20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S)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용물은 예를 들어, 식용유 등의 액체가 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몸체(111)의 양단부를 각각 밀봉하는 상부 및 하부 커버(112 및 113)을 포함한다. 상부 및 하부 커버(112 및 113)는 각각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하우징(110)은 사각기둥 형태가 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예를 들어 얇은 판재로 형성되며,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하우징(110)은 동일 체적내에 보다 많은 양의 액체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부 커버(112)에는 캡(200)이 장착된다. 캡(200)은 개폐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부 커버(112)에 구비되는 관통홀(114, 도 2 참조)에 배치된다. 사용자가 캡(200)을 개방한 후에 하우징(110)을 기울이면, 하우징(110) 내의 액체가 캡(20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용기 캡(200)이 내부 가스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구비한다. 이하, 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액체용기(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부 커버(112)에는 관통홀(114)과 리세스부(130)가 형성된다.
관통홀(114, 도 1 참조)은 상부 커버(112)를 관통하며, 리세스부(130)는 관통홀(114)을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리세스부는 상부 커버(112)의 외면에서 수용공간(S)을 향하여 리세스되며, 환형으로 이루어진다.
리세스부(130)에는 장착부(140)가 형성된다. 장착부(140)는 리세스부(130)의 내측에서 돌출되며 장착부(140)는 캡(200)이 장착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착부(140)의 단부에는 캡(200)에 걸림되도록 관통홀(114)의 외측으로 절곡되는 권취부(141)가 형성된다. 권취부(141)는 캡(200)에 구비되는 후크(221b)와 서로 걸림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를 통하여 캡(200)이 관통홀(114)에 고정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캡(200)은 외부마개(222) 및 내부마개(223)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114)에는 내부마개(123)가 안착되며, 내부마개(223)에 외부마개(222)가 나사산을 이용하여 결합된다.
내부마개(223)의 바디부의 외주에서 외측 돌출부(221a)가 돌출되고, 외측 돌기(221a)의 단부에는 장착부(또는 결합부, 140)에 걸림되도록 후크(221b)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221b)는 장착부(140)의 단부가 걸리도록 이루어지며, 내부마개(223)의 바디부에 형성되는 걸림턱이 될 수 있다.
내부마개(223)에는 절취가능한 내부 캡이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하여 내부 캡이 제거되면, 제거된 부분이 액체용기의 배출 구멍을 형성하게 된다.
외부마개(222)는 내부마개(223)에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마개(222)와 내부마개(223)에는 서로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이를 통하여 외부마개(222)는 내부마개(223)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내부마개(223)는 돌출부(230) 및 링부재(240)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230) 및 링부재(240)는 서로 조합되어, 내부 가스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형성한다.
상기 내부마개(223)는 마개부로서 명명될 수 있으며, 상기 마개부에는 상기 용기의 내부를 향하여 리세스되는 리세스홈(222)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30)는 상기 리세스홈(222)의 바닥에서 돌출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230)에는 상기 용기의 내외부를 연통하는 관통홀(231)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돌출부(230)가 상기 마개부(220)의 일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관통홀(231)은 상기 돌출부(230)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31)은 용기의 내부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통기공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돌출부(230)의 측벽에는 상기 측벽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링부재(240)가 끼워지는 둘레홈(232)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231)은 상기 둘레홈(232)의 바닥에 배치된다.
상기 링부재(240)는 상기 관통홀(231)을 막으면서 상기 용기 캡(200)에 결합되도록 상기 돌출부(230)의 측벽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의 내압에 의하여 변형하여 상기 관통홀(231)을 개방하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 상기 링부재(240)는 러버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부재(240)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이나 빗물 등이 관통홀(231)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내부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는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경우에 용기의 내압이 높아짐에 따라 링부재(240)가 변형하며, 이를 통하여 상기 관통홀(231)이 개방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외부마개(222)에는 공기구멍(22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구멍(222a)은 상기 외부마개(222)의 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구멍(222a)에 의하여 상기 관통홀(231)의 개방시에 배출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1100)의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액체용기(1100)는 하우징(1110) 및 용기 캡(1200)을 포함한다.
하우징(1110)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용물은 예를 들어, 식용유, 윤활유 등의 액체가 될 수 있다.
하우징(1110)은 몸체(1111)의 양단부를 각각 밀봉하는 상부 및 하부 커버(1112 및 1113)을 포함한다. 상부 및 하부 커버(1112 및 1113)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우징(1110)은 사각기둥 형태가 될 수 있다.
하우징(1110)은, 예를 들어 얇은 판재로 형성되며,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하우징(1110)은 동일 체적내에 보다 많은 양의 액체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부 커버(1112)에는 외면과 내면을 관통하는 개방홀이 구비되고, 상기 개방홀에 형성되는 결합부(1120, 도 5 참조)에 용기 캡(1200)이 장착된다. 용기 캡(1200)은 개폐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부 커버(1112)에 구비되는 배출구(1114, 도 5 참조)에 배치된다. 사용자가 용기 캡(1200)을 개방한 후에 하우징(1110)을 기울이면, 하우징(1110) 내의 액체가 용기 캡(120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용기 캡(1200)이 내부 가스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구비한다. 이하, 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액체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용기 캡 및 링 부재의 확대도들이며, 도 7은 도 4의 라인 A-A를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용기 캡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액체용기의 결합부(1120)에는 용기 캡(1200)이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1120)는 배출구(1114)의 내측에서 돌출되며 용기 캡(1200)이 장착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합부(1120)의 단부에는 용기 캡(1200)에 걸림되도록 배출구(1114)의 외측으로 절곡되는 권취부(1121)가 형성된다. 권취부(1121)는 용기 캡(1200)에 구비되는 걸림턱(1211)과 서로 걸림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를 통하여 용기 캡(1200)이 배출구(1114)에 고정된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용기 캡(1200)은 바디부(1210), 마개부(1220), 돌출부(1230) 및 링부재(124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1210)는 상기 걸림턱이 형성되는 상기 용기 캡(1200)의 메인 바디로서, 상기 배출구(1114)에 장착된다. 상기 마개부(1220)는 상기 용기를 개폐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연결된다. 상기 용기 캡(1200)에는 손잡이(1221)가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1221)와 상기 바디부(1210)의 사이에 관통홀(H)이 형성되도록 상기 손잡이(1221)는 상기 바디부(1210)의 외주연에서 돌출된다.
상기 돌출부(1230) 및 링부재(1240)는 서로 조합되어, 내부 가스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형성한다.
상기 마개부(1220)에는 상기 용기의 내부를 향하여 리세스되는 리세스홈(1222)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230)는 상기 리세스홈(1222)의 바닥에서 돌출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1230)에는 상기 용기의 내외부를 연통하는 관통홀(1231)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돌출부(1230)가 상기 마개부(1220)의 일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관통홀(1231)은 상기 돌출부(1230)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231)은 용기의 내부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통기공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돌출부(1230)의 측벽에는 상기 측벽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링부재(1240)가 끼워지는 둘레홈(1232)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231)은 상기 둘레홈(1232)의 바닥에 배치된다.
상기 링부재(1240)는 상기 관통홀(1231)을 막으면서 상기 용기 캡(1200)에 결합되도록 상기 돌출부(1230)의 측벽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의 내압에 의하여 변형하여 상기 관통홀(1231)을 개방하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 상기 링부재(1240)는 러버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링부재(1240)는 상측으로 긴 타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러버 밴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링부재(1340)는 오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링부재(1340)는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1331)도 상기 둘레홈(1332)을 따라 긴 장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링부재(1240)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이나 빗물 등이 관통홀(1231)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내부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는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경우에 용기의 내압이 높아짐에 따라 링부재(1240)가 변형하며, 이를 통하여 상기 관통홀(1231)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구조에 의하여, 과압해소 메커니즘이 보다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세스홈(1222)은 환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리세스홈(1222)이 형성되는 상기 마개부(1220)의 외면과 상기 돌출부(1230)의 단부면은 서로 동일평면상에 배치된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동일평면상에는 가림부재(1250, 도 2 참조)가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림부재(1250)는 스티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마개부(1220)의 외면과 상기 돌출부(1230)의 단부면에 접착된다. 이를 통하여 돌출부(1230), 링부재(1240) 및 관통홀(1231)의 존재가 외부로부터 가려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관통홀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를 통하여 사용자의 오동작에 의하여 관통홀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용기 캡 및 그를 구비하는 액체용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9)

  1. 용기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용기 캡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단부가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바디부;
    상기 용기를 개폐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는 마개부;
    상기 마개부의 일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용기의 내외부를 연통하는 관통홀이 측벽에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관통홀을 막으면서 상기 용기 캡에 결합되도록 상기 돌출부의 측벽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의 내압에 의하여 변형하여 상기 관통홀을 개방하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링부재를 포함하는 용기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에는 상기 용기의 내부를 향하여 리세스되는 리세스홈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리세스홈의 바닥에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측벽에는 상기 측벽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링부재가 끼워지는 둘레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둘레홈의 바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홈은 환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리세스홈이 형성되는 상기 마개부의 외면과 상기 돌출부의 단부면은 서로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는 러버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7. 외면과 내면을 관통하는 개방홀과, 상기 개방홀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용기 캡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 캡은,
    상기 결합부의 단부가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바디부;
    상기 용기를 개폐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는 마개부;
    상기 마개부의 일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용기의 내외부를 연통하는 관통홀이 측벽에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관통홀을 막으면서 상기 용기 캡에 결합되도록 상기 돌출부의 측벽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의 내압에 의하여 변형하여 상기 관통홀을 개방하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링부재를 포함하는 액체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에는 상기 용기의 내부를 향하여 리세스되는 리세스홈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리세스홈의 바닥에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측벽에는 상기 측벽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링부재가 끼워지는 둘레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
KR20130150040A 2013-12-04 2013-12-04 용기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액체용기 KR101500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0040A KR101500475B1 (ko) 2013-12-04 2013-12-04 용기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액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0040A KR101500475B1 (ko) 2013-12-04 2013-12-04 용기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액체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0475B1 true KR101500475B1 (ko) 2015-03-10

Family

ID=53026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50040A KR101500475B1 (ko) 2013-12-04 2013-12-04 용기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액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047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2298A (ja) * 2003-05-29 2004-12-16 Yashima Kogyo Kk 包装容器の内圧調整用樹脂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2298A (ja) * 2003-05-29 2004-12-16 Yashima Kogyo Kk 包装容器の内圧調整用樹脂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89871B2 (ja) 真空容器用ゴム封止材及びこれを用いた真空容器蓋
RU2365527C1 (ru) Затвор для сосуда
KR101673443B1 (ko) 화장품 용기
JP3184024U (ja) 栓およびその栓を備えた容器
KR101388092B1 (ko) 진공용기용 체크밸브와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뚜껑
JP2017132508A (ja) 吐出容器
TWI628116B (zh) 飲料用容器及其瓶蓋結構
JP4614185B2 (ja) 飲料容器の栓体
KR101385339B1 (ko) 습기 및 건조 방지용 화장품 용기
KR20170016793A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US20150290640A1 (en) Vessel
KR101500475B1 (ko) 용기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액체용기
KR101119441B1 (ko) 병마개 조립체
KR101788210B1 (ko) 페인트 통
KR102060918B1 (ko) 액체용기용 자동캡의 개폐장치
KR101504071B1 (ko) 가스배출수단이 형성된 액체용기용 용기마개
JP2018008715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KR101539742B1 (ko)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
KR101213047B1 (ko) 에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KR200488255Y1 (ko) 분실 방지형 용기의 캡 결합구조
KR101519305B1 (ko) 밀폐용기용 압착뚜껑
KR101182332B1 (ko) 내용물 배출이 용이한 액체용기의 하우징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액체용기
KR200459530Y1 (ko) 착탈식 일체형 캡
JP4974063B2 (ja) 保存容器
KR101893396B1 (ko) 산화 방지 기능을 갖춘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