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3680A - 부유 이송 플랫폼을 구비한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유 이송 플랫폼을 구비한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3680A
KR20120103680A KR1020127017451A KR20127017451A KR20120103680A KR 20120103680 A KR20120103680 A KR 20120103680A KR 1020127017451 A KR1020127017451 A KR 1020127017451A KR 20127017451 A KR20127017451 A KR 20127017451A KR 20120103680 A KR20120103680 A KR 20120103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conveyor
platform
conveyor belt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7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젤라 엘. 마샬
브리엔 지. 라우
데니스 케이 스카테스
로스 도일
글렌 알 맥콜
에드 제이 포인터
Original Assignee
라이트람,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트람, 엘엘씨 filed Critical 라이트람,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20103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6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6Fixed platforms or combs, e.g. bridges betwee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간극(38)에 걸쳐 상류 컨베이어(30)로부터 하류 컨베이어(31)로 물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플랫폼 및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송 플랫폼(40)은, 단부끼리 연결되도록 배치된 두 개의 컨베이어(30, 31) 사이에서 간극(38)에 끼워진다. 컨베이어 중 적어도 하나는, 간극에서 반전 부재(46)를 중심으로 방향을 반전시키는 컨베이어 벨트(36)를 포함한다. 이송 플랫폼(40)은 컨베이어 프레임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컨베이어 벨트(36) 또는 그 반전 부재(46)에 지지되어 간극에서 부유한다.

Description

부유 이송 플랫폼을 구비한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CONVEYOR TRANSFER SYSTEM WITH FLOATING TRANSFER PLATFORM}
기술된 이송 시스템은 전반적으로 동력 구동식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부끼리 연결된 컨베이어 벨트들 사이에서 물품이 이동되도록 하는 이송 플랫폼을 구비한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벨트 컨베이어는 종종 단부끼리 연결되어 배치되며, 상류 컨베이어 벨트의 하류 단부와 하류 컨베이어 벨트의 상류 단부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한다. 간극에는 통상적으로 고정 플레이트(dead plate)가 위치되어, 상류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하류 컨베이어 벨트로 간극에 걸쳐 이송되는 제품을 위한 라이드 오버면(ride-over surface)을 제공한다. 고정 플레이트는 두 벨트의 대향 단부들 사이에서 더 원활한 제품 이송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간극에서 노우즈 바(nosebar), 스프로켓, 또는 풀리를 중심으로 위쪽의 운반 경로 코스(carryway run)로부터 아래쪽의 복귀 경로 코스(returnway run)로 이행되게 한다. 고정 플레이트는 통상적으로, 상류 및 하류 컨베이어 벨트들의 상부 이송면과 대략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상부 제품-이송면을 구비하여 컨베이어 프레임에 부착된다. 고정 플레이트가 컨베이어 벨트 중 하나 또는 둘 다에 수직방향으로 오정렬되는 경우, 이러한 오정렬은 이는 제품이 걸려서 넘어지는 원인이 될 수 있는 불연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가 수평방향으로 오정렬되는 경우, 벨트들 중 하나와 접촉하게 되어 마모 또는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분명히, 부적절하게 정렬된 제품-이송 플레이트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유 이송 플랫폼을 구비한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들을 구현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은, 운반 방향으로 물품을 진행시키는 제1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제1 컨베이어, 및 간극에 걸쳐서 제1 컨베이어와 단부끼리 연결되도록 배치된 제2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제2 컨베이어는 운반 방향으로 물품을 진행시킨다. 이송 플랫폼은 제1 및 제2 컨베이어 벨트 사이의 간극에 배치된다. 이송 플랫폼은, 운반 방향으로 제1 및 제2 컨베이어 사이에서 이송하는 물품이 횡단하는 상부 이송면을 가진다. 제1 컨베이어 벨트는 간극에서 이송 플랫폼을 지지한다.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의 또 다른 양상은, 제1 컨베이어 벨트 및 제2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한다. 제1 컨베이어 벨트는 출구단을 향해 운반 방향으로 운반 경로를 따라 물품을 진행시킨다. 제2 컨베이어 벨트는 간극에 걸쳐 제1 컨베이어 벨트의 출구단에 인접한 입구단을 가진다. 제2 컨베이어 벨트는 제1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물품을 수신하고, 운반 방향으로 더 멀리 운반 경로를 따라 물품을 진행시킨다. 제1 컨베이어 벨트는 그 출구단에서 제1 반전 부재를 중심으로 운반 경로로부터 아래쪽의 복귀 경로로 방향을 반전시킨다. 제2 컨베이어 벨트는 그 입구단에서 제2 반전 부재를 중심으로 아래쪽의 복귀 경로로부터 운반 경로로 방향을 반전시킨다. 컨베이어 벨트들 사이의 간극에 배치된 이송 플랫폼은, 제1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제2 컨베이어 벨트로 이송되는 물품을 지지하는 이송면을 가진다. 제1 컨베이어 벨트, 제2 컨베이어 벨트, 제1 반전 부재, 및 제2 반전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간극에서 이송 플랫폼을 지지한다.
이송 플랫폼의 일 양상은, 제1 및 제2 단부를 가지는 상부 이송면, 및 상부 이송면의 제1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오목한 측면을 포함한다. 오목한 측면은, 상부 경로와 하부 경로 사이에서 방향을 반전시키는 컨베이어 벨트와의 접촉을 위한 접촉면을 가진다.
다음의 설명, 첨부된 청구항,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러한 예시적인 양상의 특징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부유 이송 플랫폼을 구비한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의 일 양상의 부등각 투영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유 이송 플랫폼의 부등각 투영도이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다수의 부분로 이루어진 도 2에서와 같은 이송 플랫폼의 부등각 투영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릴랙스 위치 및 후퇴 위치로 인입 가능한(retractable) 레그를 포함하는, 이송판의 또 다른 양상을 구비한 도 1에서와 같은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플랫폼의 측면을 따라 아치형 리브를 포함하는, 도 1의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에서 이용 가능한 이송 플랫폼의 또 다른 양상의 부등각 투영도이다.
도 6은 이송 롤러를 포함하는, 도 1의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이용 가능한 이송 플랫폼의 또 다른 양상의 부등각 투영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부유 이송 플랫폼을 구비한, 도 1에서와 같은 이송 컨베이어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이송 롤러 및 세그먼트형 상부면을 포함하는, 도 1의 컨베이터 이송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이송 플랫폼의 또 다른 양상의 부등각 투영도이다.
도 9는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 롤러를 가진 부유 이송 플랫폼을 구비한, 도 1에서와 같은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자석으로 구동되는 이송 롤러를 가지는 부유 이송 플랫폼을 구비한, 도 1에서와 같은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의 일부를 나타낸 부등각 투영도이다.
도 11은 노우즈 바 및 편평한 상부의 이송 플랫폼을 포함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의 또 다른 양상의 이송 부분을 보여주는 부등각 투영도이다.
도 12는 하나의 컨베이어 벨트는 스프로켓 주위에, 다른 하나의 벨트는 노우즈 바 주위에 관절식으로 연결되며, 플레이트에 대해 배치된(registered) 외벽을 가지는 부유 이송 플랫폼을 포함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의 또 다른 양상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배치 플레이트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을 가지는 이송 플랫폼을 구비한, 도 12에서와 같은 측면도이다.
도 14는 이송 플랫폼의 일반적인 기저부에 대한 부착부에 이송 롤러를 더 포함하는, 도 13에서와 같이 슬롯이 형성된 이송 플랫폼의 부등각 투영도이다.
도 15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에서의 도 14의 부유 이송 플랫폼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이송면을 따라 핑거를 더 포함하는, 도 13에서와 같이 슬롯이 형성된 이송 플랫폼의 부등각 투영도이다.
도 17은 홀드-다운 스프링을 포함하는 이송 플랫폼의 또 다른 양상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가중 저부를 포함하는, 도 1에서와 같은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에 사용 가능한 이송 플랫폼의 또 다른 양상의 부등각 투영도이다.
도 19는 컨베이어 벨트를 회전 마찰 접촉시키기 위해 플랫폼의 측면을 따라 롤러를 포함하는, 이송 플랫폼의 또 다른 양상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부유 이송 플랫폼의 이탈(wander)을 제한하기 위해 리테이너 레일을 더 포함하는, 도 1에서와 같은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의 일부를 나타낸 부등각 투영도이다.
도 21은 대향하는 컨베이어 벨트들의 단부에 구동 샤프트 또는 아이들 샤프트에 대한 부착부를 포함하는, 이송 컨베이어 시스템의 또 다른 양상의 등각 투영도이다.
도 22는 이송 플랫폼들이 지그재그로 배치되며, 도 1에서와 같은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3개가 나란히(side-by-side) 위치한 것을 보여주는 부등각 투영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을 구현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의 일 양상의 일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송 시스템은, 상류 컨베이어 벨트(36)의 상부 운반 경로 코스(34)를 따라 운반 방향(32)으로 물품을 진행시키는 상류 컨베이어(30)를 포함한다. 상류 컨베이어(30)는 대부분 이송 플랫폼(40)으로 채워진 간극(38)에 걸쳐 하류 컨베이어(31)와 단부끼리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하류 컨베이어(31)는, 이송 플랫폼(40)을 횡단하여 하류 컨베이어 벨트(37)의 상부 운반 경로(35) 위에서 운반 방향(32)으로 물품을 운반하는 상류 컨베이어(30)로부터 물품을 수신한다. 이송 플랫폼의 상부 이송면(42)은 원활한 이송을 위해서 상류 및 하류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와 대략 동일 평면을 이룬다. 상류 컨베이어 벨트(36)는, 상류 컨베이어의 출구단(48)에서 구동 샤프트에 장착된 스프로켓 또는 휠과 같은 반전 부재(46)를 중심으로 상부 운반 경로(34)로부터 하부 복귀 경로(44)로 방향을 반전시킨다. 하류 컨베이어 벨트(37)는, 하류 컨베이어의 입구단(49)에서 아이들 샤프트에 장착된 스프로켓 또는 휠과 같은 반전 부재(47)를 중심으로 하류 복귀 경로 경로(45)로부터 상부 운반 경로(35)로 방향을 반전시킨다. 상류 컨베이어 벨트는 통상적으로 구동-샤프트 반전 부재(46) 및 상류 반전 부재(미도시) 주위로 안내된다. 구동 모터(미도시)가 통상적으로 구동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류 컨베이어 벨트(36)를 운반 방향(32)으로 구동한다. 하류 컨베이어 벨트(37)는 통상적으로 아이들 샤프트 반전 부재(47) 및 하류 반전 부재(미도시) 주위로 안내된다. 하류 컨베이어 벨트 또한 통상적으로 구동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된다.
도 1의 이송 플랫폼(40)이 도 2에 확대 도시되어 있다. 이송 플랫폼은, 제1 단부(50)에서 제2 단부(51)로 연장된 편평한 상부의 제품 이송면(42)을 구비하여 대략 모래시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오목한 측면(52, 53)은 상부 이송면(42)의 두 단부로부터 저부(54)의 반대측 단부들로 하향 연장된다. 도 2의 이송 플랫폼의 오목한 측면(52, 53)은 90° 내지 180°의 원호를 통해 연장되는 매끄러운 아치형 표면을 제공하며, 컨베이어 벨트의 외측으로부터 돌출된 롤러들(56, 도 1)이 그러한 아치형 표면 상에서 저마찰 회전 접촉하여 주행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플랫폼(40)은, 고정 컨베이어 프레임 구조에 대한 부착부 없이, 두 컨베이어 벨트(36, 37)에 의해 간극(38)에서 전체적으로 지지된다. 측면(52, 53)의 오목한 아치형 표면은 각각의 반전 부재(46, 47) 주위에 관절식 연결된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어진 볼록한 원에 대응된다. 이송 플랫폼은 간극 내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지 않고 부유(float)하기 때문에, 예컨대 현형(chordal) 작용, 마모, 또는 정렬 상의 변화에 의한 벨트의 위치 변동에 대해 스스로 조정될 수 있다.
이송 플랫폼(40)의 형상은, 운반 방향(32)으로 상부 이송면(42)의 치수(58)가 운반 방향으로 간극(38)의 가장 좁은 치수(60)보다 크도록 이루어진다. 이런 식으로, 상부 이송면은 간극을 통해서 내려오지 못한다. 유사하게, 운반 방향으로 저부(54)의 치수(62)는 간극의 가장 작은 치수(60)보다 더 크다. 이런 식으로, 이송 플랫폼은 대향하는 두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간극 안에 자리잡게 된다(captured). 측면(52, 53)의 곡률은 반전 부재 주위에서 벨트들의 원에 대응되기 때문에, 벨트들은 그 상부와 대략 동일 평면을 이루는 상부 이송면(42)을 구비한 이송 플랫폼(40)을 지지한다.
이송 플랫폼의 또 다른 양상이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양상에서, 이송 플랫폼은 한 쌍의 분리 가능한 부분들, 즉 상부(66) 및 저부(68)를 포함한다. 상부(66)는 상부 이송면(42)을 포함하며, 두 컨베이어 사이의 간극(48)의 윗부분에 위치한다. 저부(68)는 상부의 반대측에서 간극의 아래부분 절반에 위치한다. 상부는, 플랫폼의 폭에 걸쳐 측방향으로 연장된 핀 홀(72)과 연통되는 리셉터클(70)을 포함한다. 저부(68)의 상부로부터 연장된 레그(74)는 상부(66)의 리셉터클(70)에 수용되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레그(74)의 말단에는 홀(76)이 형성되고, 이러한 홀은 레그가 리셉터클에 삽입될 때 핀 홀(72)과 정렬된다. 핀 홀 및 레그의 홀을 통과하는 연결 핀(78)은 이송 플랫폼(64)의 두 부분을 함께 고정한다. 이러한 2-부분(two-piece) 이송 플랫폼은, 핀이 제거되면 간극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고 이에 설치될 수 있다. 반면 도 2의 일체형(one-piece) 플랫폼(40)은, 컨베이어 시스템의 측부 중 하나를 통해서만 간극에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분리되어야 한다. 이음매(80)로 나타난 바와 같이, 일체형 또는 2-부분 이송 플랫폼은, 본딩 또는 체결구를 통해 이음매에서 함께 고정된, 도 2의 섹션(81)과 같은 모듈식 섹션들로 형성될 수 있다. 모듈식 구성은, 또한 사용 가능한 모놀리식 플랫폼의 경우보다 더 작은 단일 몰드를 가진 다양한 폭의 이송 플랫폼을 제조하기 위해 모듈들을 함께 모으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이송 플랫폼의 또 다른 양상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이송 플랫폼(65)은 상부 물품 이송면(67) 및 상부 이송면의 반대측에 하향 연장된 절곡 가능한 레그(69, 71) 세트를 포함한다. 도 4a에 도시된 레그의 릴랙스 위치에서, 교번적인 레그들(69, 71)은 상부 이송면의 상류 및 하류 단부(73, 75) 아래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상류 및 하류 컨베이어(30, 31)를 향해 만곡된다. 반대측으로 만곡되는 레그들은, 상류 및 하류 컨베이어 벨트(36, 37)와의 접촉에 의해 이송 플랫폼을 간극(38)에서 제 위치에 유지시킨다. 레그(69, 71)는, 컨베이어 벨트로부터의 압력 하에서 만곡된 형상을 유지하되, 이송 플랫폼을 간극(38)으로부터 제거하거나 이를 상기로부터 간극 내로 삽입하기 위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후퇴 위치로 수동으로 절곡될 수 있는, 내구성이 있는 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송 플랫폼의 또 다른 양상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플랫폼(82)은, 오목한 아치형 측면(52, 53)이 상부에서 저부로 연장된 아치형 리브(84)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이전에 설명된 플랫폼과는 다르다. 리브는 컨베이어 벨트(36, 37) 상에서 롤러(56)의 레인들 사이의 리세스에 끼워져, 간극을 따라 부유 이송 플랫폼의 측방향 이탈을 제한한다. 다시 말해서, 리브는 간극에서 이송 플랫폼의 측방향 위치 유지를 돕는 한편, 컨베이어 벨트와 접촉하는 오목한 측면의 형상은 수직 위치 유지를 돕는다.
이송 플랫폼의 또 다른 양상이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송 플랫폼(86)은, 플랫폼의 상부 이송면(42) 상에 개방된 리세스(90)에 위치하는 복수의 롤러(88)를 구비한다. 롤러의 돌출부(salient portion)가 상부 이송면을 지나 돌출되어, 물품(92)이 하나의 벨트(36)에서 다른 벨트(37)로 진행할 때 상부면을 횡단하는 물품에 대한 회전 지지/접촉면을 제공한다. 롤러들은 개별 액슬들(93) 또는 이송 플랫폼의 폭에 걸쳐 연장되어 이어진 액슬을 중심으로 운반 방향(32)으로 회전한다. 플랫폼 롤러(88)의 상부는 두 개의 컨베이어 벨트의 벨트 롤러(54)의 상부와 대략 동일 평면으로 유지된다. 도 7은 또한 반전 부재(46, 47)를 더욱 상세히 도시한다. 특히, 반전 부재는 구동 샤프트(96) 및 아이들 샤프트(97)에 장착된 톱니형 스프로켓(94)을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이송 플랫폼(98)의 양상은, 개별 액슬들 또는 하나의 연속된 액슬(93)에 장착된 복수의 롤러(88)를 포함한다. 액슬(들)은 이송 플랫폼의 불연속 상부 이송면을 형성하는 상부면(102)을 가진 지지대(stanchion, 100)에 지지된다. 롤러들의 돌출부는 지지대의 상부면(102) 위로 연장되어, 이송 플랫폼을 횡단하는 물품과 접촉하는 이송면을 형성한다.
능동 구동되는 물품-지지 롤러를 구비한 이송 플랫폼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에서처럼 수동 롤러를 구비하는 대신, 도 9의 이송 플랫폼(104)은, 플랫폼의 상부 이송면(42) 위로 돌출된 물품-지지 롤러(106)를 구비한다. 롤러들(106) 또는 일련의 롤러들은 동축으로 배치되어 롤러 기어(108)와 함께 회전한다. 롤러 기어는, 캠 로브(112)와 함께 회전하도록 동축으로 배치된 캠 기어(110)에 맞물린다. 캠 로브는 이송 플랫폼(104)의 측면(114) 외측으로 약간 돌출된다. 하류 컨베이어 벨트(37)가 운반 방향(32)으로 운반 경로를 따라 진행함에 따라, 측면(114)을 따라 주행하는 벨트 롤러들(56)은 돌출된 캠 로브를 밀어서 캠 기어(110)의 캠을 도 9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는 롤러 기어 및 이송 롤러(106)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이송 플랫폼에 걸쳐서 지지된 물품을 운반 방향(32)으로 하류 컨베이어 벨트(37) 상으로 회전시킨다. 구동된 이송 롤러는 또한 유동 중의 최종 물품이 이송 플랫폼 상부에서 꼼짝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동된 롤러를 구비한 이송 플랫폼의 또 다른 양상이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양상에서, 이송 플랫폼(116)은 액슬(119)에 장착된 세장형 롤러(118)를 구비하며, 이러한 롤러의 단부에 자석(120)이 매립된다. 세장형 롤러는, 플랫폼의 편평한 상부면(122) 상에 개방된 세장형 리세스(121)에 끼워진다. 플랫폼의 상부면은 세장형 리세스에 의해 분할되어 불연속적이다. 롤러(118)의 돌출부는 상부 이송면 위로 돌출된다. 자석 링(126)을 가진 로터(124)가 하류 컨베이어 벨트(37)의 아이들 샤프트(47)에 장착된다. 하류 컨베이어 벨트가 운반 방향(32)으로 진행함에 따라, 로터(124)는 나타난 바와 같이 도 10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하는 자석 링(126)은 개재되는 회전 가능한 자석 링(128)이 나타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유도하며, 이는 이송 롤러(118)가 나타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유도하고 지지된 물품을 운반 방향(32)으로 민다.
도 2에서와 같은 이송 플랫폼(40)과 함께 반전 부재의 또 다른 양상이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예에서, 반전 부재는 고정 노우즈 바(130)이며, 상류 또는 하류 컨베이어 벨트(132)가 이 주위를 둘러 싼다. 이송 플랫폼에 대향하는 노우즈 바의 면(134)은 교번적인 홈(136)과 리지(137)를 가진다. 벨트 롤러(57)의 레인은 홈 내에서 주행하고, 리지는 벨트의 측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노우즈 바는 벨트를 트랙 상에 유지시킨다.
도 11에서와 같이 노우즈 바(131)를 이용하되 홈과 리지를 포함하지 않는 이송 시스템이 도 12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 때 이송 플랫폼(140)의 일측에는 롤러가 없는 컨베이어 벨트(138)가 구비되고 반대측에는 롤러 벨트(132)가 구비된다. 컨베이어 프레임(144)에 부착된 수직 플레이트(142)는 고정 벽(143)을 형성하고, 이송 플랫폼(140)의 수직 배치면(146)이 이러한 벽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플랫폼 중 롤러 벨트(132)에 대향하는 오목한 아치형 측면(148)은 벨트 롤러(150)에 제공하는 표면 상에서 이러한 벨트 롤러가 회전할 수 있다. 이송 플레이트는, 롤러 벨트(132)와 벽(143) 사이의 제 자리에 조정 가능하게 유지되는 간극(38)에서 적당한 위치에 부유하게 된다. 유사한 배치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예에서, 이송 플랫폼(154)의 저부 상에 개방된 수직 홈(152)은, 컨베이어 프레임(144)에 부착된 플레이트(156)를 수용한다. 롤러 벨트(132)의 오목한 측면(148)에 더 가까운 홈의 측부는 배치면(158)을 형성하고, 이러한 등록면은 플레이트에 의해 제공된 벽(16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홈은 플레이트를 따라 플랫폼이 수직 이동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깊다.
도 13의 슬롯형 이송 플랫폼의 또 다른 양상이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예에서, 이송 플랫폼(162)은, 플랫폼의 일측 상에서 컨베이어 벨트(168)를 향해 더 외측으로 상부 이송면(166)을 연장시키는 캔틸레버형 돌출부(164)를 포함한다. 연장된 상부 이송면은 또한, 상부 이송면 위로 약간 돌출되어 간극에 걸친 물품의 회전을 돕는 롤러(170)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롤러의 상부는, 이송면을 횡단하는 물품을 위한 이송면을 형성한다. 이송 플랫폼의 돌출 부분은 플랫폼의 나머지 부분과 일체로(monolithically) 형성될 수 있고 또는 플랫폼의 기저부(174) 내로 끼워맞춤되는 별도의 교체형 부착부(172)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롤러를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은 핑거 플레이트 또는 편평한 플레이트와 같은 다양한 분리 가능 부착부가 일반적인 기저부(174)에 장착될 수 있다. 기저부는 오목한 측면(175)을 포함하고, 부착부(172)는 상부 이송면(166)의 일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틸레버형 돌출부는, 도 15에서와 같은 상승된 리브 컨베이어 벨트의 측방향 이격 상승 리브들(178) 사이의 공간 내로 연장되어 벨트로부터 플랫폼(179)의 상부 이송면 상으로 물품을 떼어내는 개별적인 핑거들(176)을 포함할 수 있다. 핑거(176)의 상부(180)는 상부 이송면(182)의 연장부를 정의한다.
이송 플랫폼의 또 다른 양상이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플랫폼(184)은 상부 이송면(187) 반대측에 절두형 저부(186)를 구비하여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플랫폼의 저부 상의 루프(190)와 컨베이어 프레임(192)의 일부분에 형성된 루프 또는 홀 사이에 인장 스프링(188)이 연결(hook)된다. 스프링은 플랫폼을 간극에 고정한다. 두 컨베이어 벨트(194, 195)는 상부 이송면(187)이 벨트의 상부와 대략 동일 평면으로 유지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지지한다.
T자 형상의 이송 플랫폼의 또 다른 양상이 도 18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예에서, 이송 플랫폼(200)의 저부(198)에 가중 플레이트(196)가 부착된다. 가중된 부분은 이송 플랫폼을 하향 고정하는 힘(hold-down force)인 스프링 인장을 중력으로 대체한다.
이송 플랫폼의 또 다른 양상이 도 19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양상은 플랫폼(206)의 오목한 아치형 측면(204)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롤러(202)를 포함하며, 외측에 롤러를 구비하지 않은 컨베이어 벨트(208)와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데 유용하다. 대안적으로, 벨트는 대략 원형의 볼록한 외부 운반면을 정의하는 만곡된 상부면(210)을 구비하며 롤러가 없는 벨트일 수 있고, 이송 플랫폼으로부터 돌출된 모든 롤러들(202)에 대해 오목한 접선에 대응되는 반전 부재(212)를 중심으로 벨트가 관절식으로 연결됨에 따라, 편평-상부 벨트보다 덜 울퉁불퉁하고 더 매끄러운 주행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부가 만곡된 벨트는 많은 경우에 도 2에서와 같이 아치형의 매끄러운 측면을 가지는 이송 플랫폼과도 잘 작동한다.
롤러 벨트와 함께 사용되는 이송 플랫폼의 오목한 측면 상의 리지 또는 리브는, 이러한 플랫폼이 간극에서 측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측방향 이탈을 제한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류 및 하류 컨베이어(30, 31)의 대향하는 측부 상에서 간극 옆에 배치되는 리테이너들(214)을 이용하는 것이다.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리테이너들은 도 20에서 플레이트로 도시되며, 컨베이어 프레임에 부착된다. 리테이너 플레이트는 간극을 따라 부유 이송 플랫폼(40)의 측방향 이동 범위를 제한한다.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의 또 다른 양상이 도 21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양상에서, 상부 이송면(218)을 구비한 이송 플랫폼(216)의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단부들이, 상류 및 하류 컨베이어 벨트(36, 37) 사이의 간극 옆에 배치된 요크(220)에 부착된다. 각각의 요크는, 두 벨트의 반전 부재를 형성하는 샤프트들(226, 227)에 맞물린 바우(bow, 224, 225)와 같은 유지 부재에 대향 단부들이 종결되는 보(beam, 222)를 포함한다. 유지 부재는 바우와 같이 샤프트를 완전히 둘러쌀 수 있고, 또는 요크를 제 위치에 유지하는 데 필요한 만큼만 샤프트의 주변부에 대응될 수 있다. 샤프트는 바우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한다. 이송 플랫폼의 단부는 요크의 보에 부착된다. 따라서, 이러한 양상에서, 이송 플랫폼은 벨트가 아닌 반전 부재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나, 하나 또는 두 벨트에 의해 지지되는 플랫폼과 같이, 반전 부재에 의해 지지된 이송 플랫폼(216)은 고정된 컨베이어 프레임에 대해 컨베이어 벨트와 함께 부유하며, 마찬가지로 스스로 조정된다.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의 또 다른 양상이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양상에서, 도 1에서와 같은 이송 컨베이어 3개가 나란히 병렬로 도시되어 있으며 모두 운반 방향(32)으로 진행한다. 상류 및 하류 컨베이어 벨트(36, 37) 사이의 간극(38)과 그에 따른 이송 플랫폼(86)은 그 이웃하는 컨베이어의 간극 및 플랫폼으로부터 거리(D)만큼 운반 방향으로 오프셋된다. 이러한 이송 플랫폼의 지그재그 배치는, 특히 나란히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컨베이어에 걸칠 정도로 큰 물품들이 꼼짝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기술된 이송 플랫폼은 사출 성형 또는 기계가공에 의해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거나, 금속 도는 기타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기술된 컨베이어 벨트는 힌지 조인트에서 함께 연결된 모듈들을 포함하는 모듈식 플라스틱 컨베이어 벨트이지만, 벨트는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또는 힌지가 없는 가요성 편평 벨트일 수 있다. 그리고 기술된 이송 플랫폼 중 일부는 일측의 벨트 컨베이어 및 다른 측의 다른 유형의 컨베이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송 시스템의 이송 플랫폼의 특징들은 이러한 특징들을 개시하기 위해 특정 조합으로 도시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예로서 도시된 것 이외의 조합으로 이러한 특징들을 이용할 수 있음을 인식한 것이다.

Claims (52)

  1. 운반 방향으로 물품을 진행시키는 제1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제1 컨베이어;
    간극에 걸쳐서 상기 제1 컨베이어와 단부끼리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운반 방향으로 상기 물품을 진행시키는 제2 컨베이어; 및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사이의 상기 간극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사이에서 상기 운반 방향으로 이송되는 물품이 횡단하는 상부 이송면을 가지는 이송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는 상기 간극에서 상기 이송 플랫폼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이송면은 편평한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이송면은 불연속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플랫폼은, 상기 운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상부 이송면 위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 및 제2 컨베이어 사이에서 이송되는 물품에 대한 회전 지지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운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내의 자석, 및 상기 롤러를 상기 운반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롤러 내의 자석에 작용하는 자석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플랫폼은, 상기 롤러 및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에 맞물리는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의 진행은 상기 기어를 회전시키고 그로 인해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플랫폼은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플랫폼은 모래시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플랫폼은 한 쌍의 분리 가능한 부분, 즉 상기 간극의 윗부분에 배치된 상부 이송면을 포함하는 상부 및 상기 간극의 아래 부분에 배치된 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방향으로 상기 상부 이송면의 치수는, 상기 운반 방향으로 상기 간극의 가장 좁은 치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플랫폼은, 상기 간극의 하측 상에서 상기 상부 이송면의 반대측에 배치된 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반 방향으로 상기 이송면의 치수 및 상기 저부의 치수는, 상기 운반 방향으로 상기 간극의 가장 좁은 치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플랫폼은 상기 상부 이송면의 반대측에 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부는 가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은 인장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 플랫폼은 상기 상부 이송면의 반대측에 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장 스프링의 일 단부는 상기 저부에 부착되고, 다른 단부는 컨베이어 프레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플랫폼은, 상기 상부 이송면으로부터 상기 운반 방향을 따라 연장된 핑거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핑거들의 상부는 상기 상부 이송면의 연장부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플랫폼은, 상기 상부 이송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제1 측면 및 그 반대측의 제2 측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면 중 적어도 하나는 오목한 아치형 표면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아치형 표면은 아치형 리브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는, 상기 이송 플랫폼의 상기 오목한 아치형 표면 상에서 회전하는 운반측을 따라 롤러들을 포함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는, 매끄러운 슬라이드 접촉을 위해 상기 오목한 아치형 표면의 곡률에 대응되는 볼록한 외부 운반 표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아치형 표면은 90° 내지 180°의 원호 상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플랫폼은, 상기 오목한 아치형 표면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와 접촉되는 복수의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아치형 표면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롤러와 접촉되는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는, 상기 롤러들과 접촉되는 볼록한 외부 운반 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은, 상기 간극 내에서 상기 상부 이송면 아래에서 연장된 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 플랫폼은, 상기 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된 배치면(registration surface), 및 상기 상부 이송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를 수용하고 상기 운반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에 상기 상부 이송면을 유지시키는 제1 오목한 측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플랫폼은, 상기 배치면에 의해 일측에서 경계를 이루는 수직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플랫폼은, 상기 배치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 오목한 표면의 반대측의 제2 측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부들에서 상기 간극 옆에 위치되어, 상기 간극을 따라 상기 이송 플랫폼의 이탈을 제한하는 제1 리테이너 및 제2 리테이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플랫폼은 상기 상부 이송면 반대측으로 하향 연장되는 제1 및 제2 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레그는, 상기 제1 컨베이어를 향해 상기 제1 레그가 만곡되는 릴랙스 위치로부터 상기 제1 레그가 수직인 후퇴 위치로 절곡 가능하며, 상기 제2 레그는, 상기 제2 컨베이어를 향해 상기 제2 레그가 만곡되는 릴랙스 위치로부터 상기 제2 레그가 수직인 후퇴 위치로 절곡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베이어는,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와 단부끼리 연결되도록 배치된 제2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은:
    상기 운반 방향으로 물품을 진행시키는 제3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한 제3 컨베이어;
    제2 간극에 걸쳐서 상기 제3 컨베이어 벨트와 단부끼리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3 컨베이어 벨트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이송하고, 물품을 또한 상기 운반 방향으로 더욱 진행시키는 제4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한 제4 컨베이어; 및
    상기 제3 및 제4 컨베이어 벨트 사이의 상기 제2 간극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로 이송되는 물품이 횡단하는 상부 이송면을 구비한 제2 이송 플랫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4 컨베이어 벨트는, 상기 제3 및 제4 컨베이어 벨트 사이의 제2 간극으로부터 상기 운반 방향으로 오프셋된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벨트 사이의 간극을 구비한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벨트와 병렬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3 및 제4 컨베이어 벨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간극에서 상기 제2 이송 플랫폼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30. 출구단을 향해 운반 방향으로 운반 경로를 따라 물품을 진행시키는 제1 컨베이어 벨트;
    간극에 걸쳐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출구단에 인접한 입구단을 구비하여,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상기 물품을 수신하고, 상기 운반 방향으로 상기 운반 경로를 따라 물품을 더욱 진행시키는 제2 컨베이어 벨트;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출구단의 제1 반전 부재로서,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는 상기 운반 경로로부터 하부의 복귀 경로로 상기 제1 반전 부재를 중심으로 방향을 반전시키는 것인, 제1 반전 부재;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입구단의 제2 반전 부재로서,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는 하부의 복귀 경로로부터 상기 운반 경로로 상기 제2 반전 부재를 중심으로 방향을 반전시키는 것인, 제2 반전 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벨트 사이의 간극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로 이송되는 상기 물품을 지지하는 이송면을 가지는 이송 플랫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 상기 제1 반전 부재, 및 제2 반전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간극에 상기 이송 플랫폼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은,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벨트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부들에서 상기 간극의 옆에 위치되는 제1 요크 및 제2 요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요크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반전 부재와 맞물리는 제1 및 제2 유지 부재에서 대향하는 단부들이 종결되는 보(beam)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플랫폼의 대향하는 단부들은 상기 제1 및 제2 요크의 상기 보에 부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반전 부재에 의해 상기 간극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반전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벨트 중 하나에 맞물린 스프로켓 또는 휠이 장착된 회전 가능한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반전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노우즈 바를 포함하고, 이를 중심으로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벨트 중 하나는 상기 운반 경로 및 상기 복귀 경로 사이에서 관절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34. 제1 및 제2 단부를 가진 상부 물품 이송면; 및
    상기 상부 물품 이송면의 제1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상부 경로 및 하부 경로 사이의 방향을 반전시키는 컨베이어 벨트와의 접촉을 위한 접촉면을 가진 오목한 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플랫폼.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이송면은 편평한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플랫폼.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물품 이송면은 불연속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플랫폼.
  37. 제34항에 있어서,
    운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상부 물품 이송면 위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물품 이송면을 횡단하는 물품을 회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플랫폼.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플랫폼.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은, 상기 롤러 내의 자석 및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롤러 내의 자석에 작용하는 자석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플랫폼.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은, 상기 롤러에 맞물리고 상기 오목한 측면 외측으로 연장된 기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플랫폼.
  41.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플랫폼은 T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플랫폼.
  42.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플랫폼은 모래시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플랫폼.
  43. 제34항에 있어서,
    항 쌍의 분리 가능한 부분, 즉 상기 상부 물품 이송면을 포함하는 상부, 및 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플랫폼.
  44.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플랫폼은, 상기 상부 물품 이송면 반대측의 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부는 가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플랫폼.
  4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플래폼은, 상기 상부 물품 이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핑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핑거의 상부는 상기 상부 물품 이송면의 연장부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플랫폼.
  4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물품 이송면의 상기 제2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반대측의 제2 측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플랫폼.
  4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측면은 아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플랫폼.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아치형 측면에 형성된 아치형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플랫폼.
  49.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아치형 측면은 90° 내지 180°의 원호 상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플랫폼.
  50.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측면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플랫폼.
  51.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플랫폼은, 상기 상부 물품 이송면 반대측으로 하향 연장되는 제1 및 제2 레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레그는, 상기 상부 물품 이송면의 상기 제1 단부 하에서 상기 제1 레그가 만곡되는 릴랙스 위치로부터 상기 제1 레그가 수직인 후퇴 방향으로 절곡 가능하며, 상기 제2 레그는, 상기 상부 물품 이송면의 상기 제2 단부 하에서 상기 제2 레그가 만곡되는 릴랙스 위치로부터 상기 제2 레그가 수직인 후퇴 방향으로 절곡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플랫폼.
  52.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측면을 포함하는 기저부; 및
    상기 상부 이송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저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 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플랫폼.
KR1020127017451A 2009-12-08 2010-12-02 부유 이송 플랫폼을 구비한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KR201201036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633,294 2009-12-08
US12/633,294 US8210341B2 (en) 2009-12-08 2009-12-08 Conveyor transfer system with floating transfer platfor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680A true KR20120103680A (ko) 2012-09-19

Family

ID=43629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7451A KR20120103680A (ko) 2009-12-08 2010-12-02 부유 이송 플랫폼을 구비한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210341B2 (ko)
EP (1) EP2509895B1 (ko)
JP (1) JP2013512833A (ko)
KR (1) KR20120103680A (ko)
CN (1) CN102695662B (ko)
DK (1) DK2509895T3 (ko)
MX (1) MX2012006596A (ko)
WO (1) WO20110717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80768C (en) * 2009-03-13 2023-09-05 Flexible Steel Lacing Company Hitch guard systems for conveyors
CH701686A1 (de) * 2009-08-24 2011-02-28 Wrh Walter Reist Holding Ag Stützvorrichtung zum fördern schwerer lasten.
ITMI20110642A1 (it) * 2011-04-14 2012-10-15 Rexnord Marbett Srl Disposizione di moduli di scorrimento
ES2368327B1 (es) * 2011-07-20 2012-09-18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Center, S.A. Junta longitudinal.
CN102745495A (zh) * 2012-07-11 2012-10-24 苏州岸肯电子科技有限公司 便携式皮带生产线的连接装置
CA2888481C (en) * 2012-10-26 2020-12-22 Laitram, L.L.C. Positively-driven, low tension transfer conveyor
CN103848198B (zh) * 2012-12-06 2016-12-21 苏州宏瑞达新能源装备有限公司 一种固化线过渡机构
US9022207B2 (en) 2012-12-28 2015-05-05 Gyre Innovations Lp Conveyor system bridge
WO2014106072A1 (en) 2012-12-28 2014-07-03 Gyre Innovations Lp Extruded multiwall tubular structure
US8978871B1 (en) * 2013-05-22 2015-03-17 Amazon Technologies, Inc. Conveyor system
WO2014193478A1 (en) 2013-05-28 2014-12-04 Gyre Innovations Lp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 multitubular structure
CN103863751B (zh) * 2014-04-08 2016-08-24 盛和(福建)机械制造有限公司 安全侧板及输送设备
MX2016013166A (es) * 2014-04-10 2017-06-15 Flexible Steel Lacing Co Protectores de transferencia de transportador.
US10233035B2 (en) 2014-04-10 2019-03-19 Flexible Steel Lacing Company Conveyor transfer guards
US9452896B2 (en) * 2014-09-25 2016-09-27 Laitram, L.L.C. Pop-up conveyor transfer system
CN107108126B (zh) * 2014-10-31 2019-07-05 莱特拉姆有限责任公司 摊铺罐的输送系统及方法
DE102014224506A1 (de) * 2014-12-01 2016-06-02 Robert Bosch Gmbh Rollenmodul mit Förderrollen und Mitnahmerollen
US9212006B1 (en) 2015-01-28 2015-12-15 Laitram, L.L.C. Conveyor with belt-actuated guide
US10287111B2 (en) 2015-01-30 2019-05-14 Laitram, L.L.C. LIM-driven roller transfer apparatus
USD780399S1 (en) 2015-04-10 2017-02-28 Flexible Steel Lacing Company Conveyor transfer guard
USD789643S1 (en) 2015-04-10 2017-06-13 Flexible Steel Lacing Company Conveyor transfer guard
US9567164B2 (en) 2015-04-17 2017-02-14 Laitram, L.L.C. Conveyor system with transfer belts
US9758317B2 (en) * 2015-07-12 2017-09-12 Eaglestone Inc. Low profile transfer conveyor for use with conveyor systems
CN108349656B (zh) * 2015-11-09 2020-04-21 莱特拉姆有限责任公司 具有动力弹出辊的输送机
WO2017099988A1 (en) * 2015-12-09 2017-06-15 Laitram, L.L.C. Conveyor transfer assembly
CN105398745A (zh) * 2015-12-25 2016-03-16 苏州智合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皮带输送机构的皮带导向块
KR101754945B1 (ko) * 2016-08-23 2017-07-06 김남국 물품이 적재된 목재 팔레트의 자동 반송 시스템
SG11201909461YA (en) * 2017-04-10 2019-11-28 Flexible Steel Lacing Co Conveyor transfer guards
CN107116165A (zh) * 2017-04-21 2017-09-01 耐世特凌云驱动系统(芜湖)有限公司 轴套自动搓花键装置
NL2018909B1 (nl) * 2017-05-12 2018-11-15 Vmi Holland Bv Werkwijze en drooginrichting voor het drogen van metalen blikken
US10427891B2 (en) * 2017-06-29 2019-10-01 Flexible Steel Lacing Company Transfer guard system and mount thereof
CN107900057A (zh) * 2017-11-23 2018-04-13 广东嘉俊陶瓷有限公司 清洗后瓷砖稳定系统
NL2021102B1 (en) * 2018-06-11 2019-12-16 Rexnord Flattop Europe Bv Modular conveyor belt transfer system
DE102019002935A1 (de) * 2019-04-23 2020-10-29 Interroll Holding Ag Eingreifschutz für Rollenförderer und Rollenförderer mit Eingreifschutz
US11661283B2 (en) 2020-09-22 2023-05-30 Flexible Steel Lacing Company Roller conveyor gap blocker
CN112722901A (zh) * 2020-11-11 2021-04-30 奥士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提升pcb水平线生产小尺寸板装置
IT202100001676A1 (it) 2021-01-28 2022-07-28 Movex S P A Apparecchiatura motorizzata di trasferimento per trasportatori di oggetti in massa
US20220258940A1 (en) * 2021-02-12 2022-08-18 Berry Global, Inc. Film Bundle Packaging
CN116692424A (zh) * 2022-03-03 2023-09-05 弹性钢接头公司 输送机缝隙阻挡器
CN116803869A (zh) * 2022-03-25 2023-09-26 弹性钢接头公司 输送机传输防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24444A (en) * 1950-02-25 1953-01-06 Jampol Company Inc Apparatus for free pivoting transfer rollers
GB1000623A (en) * 1963-08-20 1965-08-11 Sovex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bundle-transfer means for conveyors
US4288208A (en) * 1979-07-09 1981-09-08 Kuesters Eduard Belt arrangement and press equipped therewith for the continuous manufacture of wood chipboard and similar materials
DE3224557A1 (de) 1982-07-01 1984-01-05 Deutsche Bundespost, vertreten durch den Präsidenten des Fernmeldetechnischen Zentralamtes, 6100 Darmstadt Anordnung zum abgeben, uebergeben oder abstreifen von gegenstaenden bei foerdermitteln
US4613036A (en) * 1984-04-16 1986-09-23 Bourgeois Ronald D Roller conveyor with improved comb structure
US5065222A (en) * 1987-11-11 1991-11-12 Seiko Instruments Inc.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wo-layered passivation film
EP0352968B1 (en) * 1988-07-25 1994-10-26 Loderway Pty. Limited A moving walkway
IT222737Z2 (it) * 1991-09-19 1995-04-24 Regina Sud Spa Elemento terminale modulare per trasportatore
US5597062A (en) * 1994-09-07 1997-01-28 Rexnord Corporation Tensioned transfer plate for small pitch chain conveyor
US5584373A (en) * 1995-05-26 1996-12-17 Span Tech Corporation Conveyor system with passive roller transfer assembly
NL1001748C2 (nl) * 1995-11-27 1997-06-12 Vanderlande Ind Nederland Transportinstallatie.
US5957265A (en) * 1997-06-13 1999-09-28 Tekno, Inc. Conveyor with bridge roller assembly
EP0919493A1 (en) * 1997-11-12 1999-06-02 Rexnord Marbett S.p.A. Modular structure for a plate for receiving products supplied by a conveyor
US6959803B1 (en) * 2002-12-18 2005-11-01 Span Tech Llc Self-tensioning conveyor
US20080142341A1 (en) * 2003-12-10 2008-06-19 Layne James L High-speed self-tensioning conveyor
US7210569B1 (en) * 2004-02-09 2007-05-01 Tarpaulin.Com, Inc. Transfer device for conveyor belt
BRPI0519663A2 (pt) * 2005-01-03 2009-03-03 Laitram Llc transportador tendo uma correia transportadora com lanÇos, incluindo lanÇos segmentados para transferÊncia de extremidade sem folga
DE202006003116U1 (de) 2006-02-22 2006-04-27 SSI Schäfer PEEM GmbH Einrichtung zum Überbrücken eines Spalts zwischen Transportbändern
US20100108467A1 (en) * 2008-10-31 2010-05-06 Petro-Canada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oving a vehicle from dual belt conveyor to dual belt convey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2006596A (es) 2012-09-07
DK2509895T3 (da) 2014-06-02
JP2013512833A (ja) 2013-04-18
CN102695662A (zh) 2012-09-26
WO2011071743A1 (en) 2011-06-16
US20110132725A1 (en) 2011-06-09
EP2509895B1 (en) 2014-04-02
CN102695662B (zh) 2015-09-16
EP2509895A1 (en) 2012-10-17
US8210341B2 (en) 201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3680A (ko) 부유 이송 플랫폼을 구비한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EP1487723B1 (en) Rodless conveyor belt or chain
US7234589B2 (en) Conveyor belt and module with a self-adjusting edge
EP1902978B1 (en) Conveyor
CN107438573B (zh) 具有传送带的输送系统
JP2006027905A (ja) コンベヤ
EP2165948B1 (en) Link for a modular conveyor belt with a transverse belt
US4351429A (en) Conveyor with slip cleats
US7131531B1 (en) Roller shoes in modular-belt conveyors
CN109311593A (zh) 平顶侧驱动模块化输送带
EP2668123B1 (en) Conveyor belt and module with magnets
US9896271B1 (en) Conveyor accumulator for controlling the flow of articles being conveyed
US6481567B2 (en) Conveyor system with intermediate drive and related method
EP3825261B1 (en) A conveyor and a conveying system
CN108137235B (zh) 具有纵向导轨的输送带
EP1911694A1 (en) Rodless conveyor belt or chain
WO2023249745A1 (en) Short take-up belt conveyor
JP2006273439A (ja) 転換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