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9758A - 요리용 이형 시트재료 및 이형 표면 - Google Patents

요리용 이형 시트재료 및 이형 표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9758A
KR20120099758A KR1020127017404A KR20127017404A KR20120099758A KR 20120099758 A KR20120099758 A KR 20120099758A KR 1020127017404 A KR1020127017404 A KR 1020127017404A KR 20127017404 A KR20127017404 A KR 20127017404A KR 20120099758 A KR20120099758 A KR 20120099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release material
perfluoropolymer
nucleation structur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7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5588B1 (ko
Inventor
그레이엄 에이. 워너
티모시 피. 폴락
에브라임 린
존 루쏘
앤 비. 하디
제라드 티. 버스
Original Assignee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099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9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5Vessels with non-stick features, e.g. 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 C03C25/10Coating
    • C03C25/48Coating with two or more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25/50Coatings containing organic material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7/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7/1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9D1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tetrafluoroethe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612Composite web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4Of fluorinate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4Of fluorinate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544Addition polymer is perhaloge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oker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플루오로중합체가 함유된 층을 포함하는 요리용 이형 재료를 개시한다. 상기 요리형 이형 재료의 주면은 밀도가 제곱인치당 10개 이상인 핵형성 구조를 포함한다. 요리용 이형 재료는 보강재 및 상기 보강재 상부에 코팅되는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요리용 이형 재료는 주면을 형성하는 제2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요리용 이형 시트재료 및 이형 표면{COOKING RELEASE SHEET MATERIALS AND RELEASE SURFACES}
본 발명은 요리용 이형 시트 및 요리용 이형 시트의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품 산업에서, 특히 상업용 포장식품 및 가공식품, 또는 식당과 관련하여, 기업들은 일정한 방식으로 음식을 더 빠르게 요리하는 방법에 관심을 돌리고 있다. 또한 이들 기업은 정리(cleanup)작업을 비롯한 여러 작업을 간소화시키고, 고용인의 상해 위험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특정 요리과정 및 특정 식제품에는 기름 튀김(splatter) 현상 및 격렬히 끓이는 것과 관련하여 문제점들이 있다.
예를 들어, 육류 제품은 요리될 때 기름과 물을 복합적으로 생성하여, 기름이 튀게 만든다. 이러한 기름 튀김으로 인해, 깨끗한 환경을 유지하는데 더 많은 노력이 들 수 있다. 기름 튀김도의 증가는 화재 및 위생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뜨거운 기름이 튀면 고용원들이 위험해질 수 있다.
일예로, 쿠킹벨트(belt) 상에서 상업용 포장식품 또는 상업용 가공식품을 요리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열이 아래에서만 공급되는 편평한 표면(예컨대, 일반적인 가스레인지 구조) 상에서 육류를 요리할 수 있다. 이형 시트는 육류나 육즙이 요리표면(요리기구의 표면)에 들러붙는 것을 막아 준다. 적게 들러붙으므로 요리표면으로부터 고기를 긁어내는 수고가 줄어진다. 또한, 적게 들러붙으므로, 요리표면에서 긁어내야 하는 탄 찌꺼기가 줄어들어, 그 다음 요리되는 육류도 들러붙지 않게 된다.
다른 예로는, 열이 상부 및 하부 양쪽에서 공급되는 양면 그릴에서 육류를 요리할 수 있다. 비접착성(들러붙지 않는) 표면이 없는 벨트 또는 그릴의 경우, 그릴을 열면, 육류 제품은 표면에 들러붙거나 두 조각으로 찢겨질 수 있다. 그러므로, 업계는 비접착성 표면에 관심을 가져 왔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당업자는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수 특징 및 장점들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바람직한 시트재료의 단면 예시도를 포함한다.
도 2는 사용 중인 바람직한 표면상에서의 기름 및 물의 액적 예시도를 포함한다.
도 3과 도 4는 바람직한 핵형성 구조(nucleation structure)의 예시도를 포함한다.
도 5는 쿠킹시트(종이호일)를 구비한 바람직한 평면 그릴의 예시도를 포함한다.
도 6은 바람직한 양면 그릴의 예시도를 포함한다.
도 7은 바람직한 쿠킹필름의 예시도를 포함한다.
도 8과 도 9는 바람직한 쿠킹벨트 장치의 예시도를 포함한다.
도 10은 튀김을 시험하는 구성의 예시도를 포함한다.
도 11과 도 12는 1 내지 4 등급을 나타내는 바람직한 시험 시트의 예시도를 포함한다.
도 13, 도 14 및 도 15는 바람직한 시트재료 표면들의 예시도를 포함한다.
다른 도면상에서의 동일한 도면부호 사용은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표면 에너지가 낮은 재료는 음식이 들러붙는 것을 제한하는 비접착성 표면을 제공한다. 육류 제품과 같은 식품은 가열되면 흔히 기름과 물 둘 다 배출한다. 본 출원인은, 물과 기름 둘 다 그릴표면 또는 그릴 시트표면(특히, 표면 에너지가 낮은 재료로 형성된 면)에 있게 되면 물이 기름으로 코팅되어 과열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물의 일부가 순식간에 증기로 변할 때, 뜨거운 기름과 물이 표면에서 튀겨 나온다. 이러한 튀김은 다른 표면들에 기름을 분산시키므로 세척작업이 더 어려워진다. 또한, 이러한 튀김은 피부 또는 눈에 접촉될 때 특히 해로울 수 있다.
물과 기타 다른 액체 물질을, 특히 표면 에너지가 낮은 표면에서 또는 전자레인지 내에서 가열할 때 과열이 발생할 수도 있다. 휘젓기(disturbance)는 갑작스런 상변이를 일으켜, 뜨거운 액체가 용기에서 튀어오를 수 있게 할 수 있다.
특정의 일 구현예에서, 시트재료로는 플루오로중합체와 같은 저표면에너지 중합체가 있으며, 시트재료는 핵형성 구조를 가진 주면(major surface)을 포함한다. 이러한 시트재료는 그릴시트, 쿠킹벨트, 필름, 코팅 또는 이들의 조합 형태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그릴시트로서 특히 적합한 시트재료는 보강재 및 퍼플루오로중합체 코팅을 포함한다. 시트재료의 주면에는 핵형성 구조(예컨대, 공극 또는 균열) 밀도가 제곱인치당 10개 이상인 핵형성 구조가 포함된다. 핵형성 구조는 증발을 촉진하거나 작은 기포를 생기게 하여, 더 작은 기포로 끓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보다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핵형성 구조의 고유 크기는 50 마이크로미터 이하이다. 또한, 시트재료는 시트재료의 주면과 보강재 사이에 배치되는 플루오로중합체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쿠킹시트와 같은 시트재료(100)는 플루오로중합체 코팅층(104)으로 코팅된 보강재(110)를 포함한다. 탑코트(topcoat, 102)는 플루오로중합체 코팅층(104)상에 배치되거나, 그 상부에 놓일 수 있고, 언더코트(undercoat, 114)는 플루오로중합체 코팅층(104) 아래에 배치되거나, 그 하부에 놓일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상부에" 또는 "상부에 놓일(인)" 이라는 용어는, 요리표면 또는 가열대상(예컨대 음식)이 접촉되는 표면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운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다. "하부에" 또는 "하부에 놓일(인)" 이라는 용어는, 요리표면에서 상대적으로 더 먼 위치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탑코트(102)는 요리표면(108)을 형성한다. 탑코트(102)가 없으면, 플루오로중합체 코팅층(104)이 요리표면(108)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언더코트(114)는 그릴에 접촉하는 그릴 접촉면(112)을 형성한다. 언더코트(114)가 없으면, 플루오로중합체 코팅층(104)은 그릴 접촉면(112)을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한 중간층(116)이 플루오로중합체 코팅층(104)과 탑코트(1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다른 중간층(118)이 플루오로중합체 코팅층(104)과 언더코트(1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강재(110)는 직포 또는 부직포 섬유 보강재와 같은 섬유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섬유 보강재는 직포이거나, 임의 배향된 섬유가닥들이 인터메쉬(intermesh)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직물은 직포 유리섬유이다. 다른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직물은 니트(knit) 직물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보강재는 그 중에서도 세라믹, 플라스틱 또는 금속성 재료의 메쉬 또는 시트형 복합재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보강재(110)는 기판, 전형적으로는 시트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는, 높은 융점의 열가소성 수지(예컨대,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 케톤, 폴리아릴 케톤,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및 폴리에테르이미드); 특히 고온에서 열경화될 수 있는 열경화성 수지(예컨대, 폴리이미드); 상기 열가소성수지 또는 이와 유사한 열안정성 수지 및 열안정성 보강재(예컨대, 유리섬유, 그래파이트 및 폴리아라미드)에 기초한 코팅 섬유 또는 라미네이트(laminated) 섬유; 플라스틱 코팅된 금속 호일; 및 금속화된 호일 또는 금속 호일이 라미네이트된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된 지지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구현예들은 아라미드(예컨대 Kevlar® 또는 Nomex®), 불소화 중합체, 유리섬유, 그래파이트, 폴리이미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케톤, 폴리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조합물에서 선택되는 섬유로 형성된 직포 및 부직포 재료를 포함한다. 특히, 섬유 보강재는 열로 세정되거나 예비처리된 유리섬유 보강재를 포함한다. 대안으로, 섬유 보강재는 코팅된 유리섬유 보강재일 수 있다. 특정의 일 예에서, 유리섬유의 각 섬유는 중합체성 코팅으로 개별적으로 사이징될 수 있다.
특정의 일 예에서, 보강재(110)는 직물을 포함한다. 직물은 복수의 원사(yarn, 106)를 포함한다. 일 예에 의하면, 이들 원사(106)는 함께 인터위빙(접결)되어 직물을 형성한다. 도 1에 도시된 원사(106)는 일정한 간격으로 분포되어 있지만, 원사들(106)을 함께 다발로 묶을 수 있다.
특정의 일 예에서, 원사(106)의 각 필라멘트는 원사(106) 또는 직물에 혼입(incorporation)되기 전에 예비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필라멘트는 사이즈 코트(2차 접착제)로 코팅될 수 있다. 특정의 일 예에서, 사이즈 코트는 플루오로중합체(예컨대, 퍼플루오로중합체)와의 결합을 증진시키는 실란 또는 다른 소수성 또는 소유성(oleophobic) 화학물질을 포함한다.
특정의 일 예에서, 직물의 중량은 0.7 osy 내지 2.4 osy, 예컨대 0.8 osy 내지 1.5 osy, 또는 심지어 1.0 osy 내지 1.5 osy 범위이다. 직물은 경사 또는 위사 방향으로 20 내지 80 원사/inch, 예컨대 30 내지 70 원사/inch 또는 심지어 40 내지 65 원사/inch의 범위의 원사를 가질수 있다. 또한, 직물의 두께는 1.0mil 내지 3.0mil 범위, 예컨대 1.0mil 내지 2.3mil 범위, 또는 구체적으로 1.5mil 내지 2.3mil 범위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재(110)는 플루오로중합체 코팅층(104)내에 혼입된다. 대안으로, 플루오로중합체 코팅층(104)은 보강재(110)의 양쪽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보강재(110)는 그릴표면(112)에 더 가까이 있을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플루오로중합체 코팅층(104)은 플루오로중합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플루오로중합체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트리플루오로에틸렌,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비닐 플루오라이드, 퍼플루오로프로필 비닐 에테르, 퍼플루오로메틸 비닐 에테르,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물과 같은 단량체로 형성된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삼원공중합체, 또는 중합체 블렌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플루오로중합체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불소화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퍼플루오로프로필 비닐 에테르의 공중합체(퍼플루오로알콕시 즉 PFA),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퍼플루오로메틸 비닐 에테르의 공중합체(MFA), 에틸렌 및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공중합체(ETFE), 에틸렌 및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의 공중합체(EC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폴리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및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를 포함하는 삼원공중합체(THV), 또는 이들의 임의 블렌드 또는 임의 합금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플루오로중합체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불소화 에틸렌 프로필렌(FEP), 퍼플루오로알콕시(PFA), 폴리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물이 포함된다. 특히, 플루오로중합체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불소화 에틸렌 프로필렌(FEP), 퍼플루오로알콕시(PFA),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일 구현예에서, 플루오로중합체는 퍼플루오로중합체(예컨대, PTFE 또는 FEP)일 수 있다.
특정의 일 예에서, 플루오로중합체는 퍼플루오로중합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중합체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불소화 에틸렌 프로필렌(FEP), 퍼플루오로알콕시(PFA), 또는 이들의 임의 블렌드 또는 공중합체가 포함될 수 있다. 특정의 일 예에서, 플루오로중합체 코팅층(104)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탑코트(102)는 플루오로중합체 코팅층(104)의 상부에 형성되거나, 그 상부에 놓일 수 있다. 일 예에서, 탑코트(102)는 플루오로중합체(예컨대, 퍼플루오로중합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탑코트(102)는 PTFE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탑코트(102)는 열가소적으로 가공될 수 있는 플루오로중합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탑코트(102)는 퍼플루오로알콕시(PFA), 불소화 에틸렌 프로필렌(FEP), 또는 이들의 블렌드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탑코트(102)는 퍼플루오로중합체와 제2중합체의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2중합체는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 중합체는 폴리실록산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 중합체로는 폴리알킬실록산, 페닐실리콘, 플루오로실리콘,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물이 포함될 수 수 있다. 일 예에서, 폴리알킬실록산으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디프로필실록산, 폴리메틸프로필실록산,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물이 포함된다. 특히, 실리콘 중합체는 예비경화된 실리콘 중합체의 수성 분산액에서 유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실리콘 중합체는 수성 분산액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으며, 예비경화된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실리콘 중합체는 말단기 또는 첨가제(예컨대 가교제)를 이용하여 예비경화된 실리콘의 수성 분산액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 중합체는 Wacker-Chemie사(독일, 뮌헨)에서 시판 중인 실리콘 중합체 분산액(예컨대, Wacker CT27E 실리콘 고무 분산액) 또는 Dow Corning사에서 시판 중인 실리콘 중합체 분산액(예컨대, DC2-1266 실리콘 고무)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특히, 실리콘은 식품과 접촉해서 사용되거나 또는 의료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제형화된다(본원에서 "식품등급 이상" 으로 지칭됨). 또한, 시트재료는 식품과 접촉해서 사용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므로, 식품등급 이상(예컨대, 미국 식품의약청(FDA)에서 승인을 받음)일 수 있다.
블렌드 내 실리콘 중합체는 블렌드의 고형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 중량% 내지 80 중량%, 예컨대 0 중량% 내지 40 중량%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렌드는 2 중량% 내지 30 중량% 범위, 예컨대 5 중량% 내지 30 중량%의 범위, 10 중량% 내지 30 중량% 범위, 또는 심지어 15 중량% 내지 20 중량% 범위에 속하는 함량의 실리콘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블렌드는 60 중량% 내지 100 중량% 범위, 예컨대 75 중량% 내지 90 중량% 범위, 또는 심지어 80 중량% 내지 85 중량% 범위에 속하는 함량의 플루오로중합체(예컨대, 퍼플루오로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언더코트(114)는 플루오로중합체 코팅층(104)의 하부에 형성되거나, 그 하부에 놓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언더코트(114)는 퍼플루오로중합체(예컨대, PTFE)와 같은 플루오로중합체를 포함한다. 특정의 일 예에서, 언더코트(114)는 열가소적으로 가공될 수 있는 플루오로중합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언더코트(114)는 퍼플루오로알콕시(PFA), 불소화 에틸렌 프로필렌(FEP),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언더코트(114)와 탑코트(102)는 플루오로중합체 코팅층(104)의 양쪽에서 대칭층들을 형성한다. 대안으로, 언더코트(114)와 탑코트(102)는 플루오로중합체 코팅층(104)에 대해 비대칭 층들을 형성한다. 다른 예에서, 시트재료(100)는 탑코트(102) 또는 언더코트(114)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중간층(116)은 플루오로중합체 코팅층(104)의 상부에 놓이도록 형성될 수 있고, 중간층(118)은 플루오로중합체 코팅층(104)의 하부에 놓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이들 중간층(116,118)은 플루오로중합체로 형성될 수 있다. 플루오로중합체는 플루오로중합체 코팅층(104)의 플루오로중합체와는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중간층(116,118)의 플루오로중합체는 용융성 플루오로중합체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중간층(116,118)의 플루오로중합체는 가주성(castable) 플루오로중합체일 수 있다.
특히, 시트재료(100)는 핵형성 구조(미도시)를 가진 주면(108)을 포함한다. 핵형성 구조는 증발이 시작될 수 있는 핵형성점을 하나 이상 확정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핵형성 구조(208)는 시트재료의 주면(202)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핵형성 구조(208)는 고유 치수 "d" 를 가지며, 여기서 고유 치수란 시트재료에 의해 확정되는 평면에 평행하게, 핵형성 구조의 최소 치수의 평균으로 정의된다. 특정의 일 예에서, 핵형성 구조(208)의 고유 치수(d)는 100 마이크로미터 이하, 예컨대 50 마이크로미터 이하, 15 마이크로미터 이하, 5 마이크로미터 이하, 또는 심지어 1 마이크로미터 이하이다.
특히, 핵형성 구조(208)는 증발이 시작될 수 있는 돌기의 요홈 또는 표면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름(206)에 의해 둘러싸인 물(204)이 요리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증기로 변환될 수 있는 에너지를 가진 물 분자들이 핵형성 구조(208)의 핵형성점에 모여, 증기 기포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기포가 충분히 커지면 이들 기포는 핵형성점으로부터 분리되어 표면으로 올라온다. 많은 핵형성점은 많은 작은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각각의 작은 기포의 에너지는 물 또는 기름을 튀겨 멀리 보낼 정도로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핵형성점은 물(204)의 과열을 제한하고, 물의 파열(flash)을 제한하여 튀김현상을 국한시킨다.
도 3과 도 4는 바람직한 핵형성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핵형성 구조는 시트재료(300)의 표면(302)에 형성된 공극(304)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다른 예에서, 핵형성 구조는 시트재료(400)의 표면(402)에 형성되는 균열 또는 틈(404)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핵형성 구조가 하나 이상 조합되어 시트재료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시트재료(100)의 주면(예컨대, 요리표면(108))은 핵형성 구조(예컨대, 공극)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공극은 탑코트(102) 조성물이 원인이거나, 탑코트(102)를 형성할 때 비산(fugitive) 성분을 제거한 것이 원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코트(102)는 퍼플루오로중합체와 실리콘의 블렌드, 예컨대 PTFE와 식품등급 이상 실리콘의 블렌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블렌드는 전술된 바와 같다. 탑코트(102)를 형성하기 위해 이들 블렌드를 소결하면, 시트재료(100)의 표면(108)에 공극이 생길 수 있다.
다른 일 구현예에서, 요리표면(108)에 있는 공극은 탑코트(102)을 형성하는 조성물 내 비산 성분이 원인일 수 있다. 이들 비산 성분이 제거되면 시트재료의 요리표면(108)에 공극에 생긴다. 비산 성분은 번아웃(burn-out)을 통한 일부 소결과정으로 제거되거나, 소결 후속과정(예컨대, 용매조에서의 세척 또는 용해 조작)에서 제거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비산 성분은 그 증발온도 또는 산화온도가 탑코트(102)의 소결온도보다 낮은 번아웃 성분이다. 바람직한 번아웃 성분에는 중합체성 재료 또는 천연재료,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물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중합체성 번아웃 성분으로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와 같은 아크릴중합체,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개질-셀룰로오스 중합체류,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천연재료로는 활성 탄소, 종이 입자, 톱밥, 후추, 설탕, 식품 전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비산 성분은 소결과정 이후에 제거된다. 예를 들어, 비산 성분은 세척 또는 용해 조작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비산 성분은 산 가용성염을 포함한다. 상기 예에서는, 소결 이후에 시트재료(100)를 산조(acid bath) 또는 다른 용매에 노출시킴으로써 비산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추가적인 일 구현예에서, 탑코트(102)는 분무-코팅(spray-coating)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분무된 코팅은 몇 가지 후처리 조작(예컨대, a) 가열, b) 용매 세척) 후에 비산되는 입자를 함유하거나, c) 융기된 핵형성 부위를 형성하는 입자를 함유하거나, d) 건조 및 정착(fusing)시 틈을 형성할 정도로 두꺼울 수 있거나, 이들의 임의 조합된 특징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일 구현예에서, 핵형성 구조는 시트재료(100)의 표면(108)으로 부터 연장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코트(102)는 미립자 물질과 같은 내포제(inclusion agent)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내포제로는 유리 비드, 실리카, 알루미나, 규산 알루미늄 물질, 탄산칼슘, 황산칼슘, 기타 다른 비활성 세라믹 재료,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공극은 엠보싱(embossing) 또는 스탬핑(stamping)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시트재료(100)를 엠보싱 처리한 후 소결시킬 수 있다. 대안으로는, 시트재료(100)를 소결시킨 후에 엠보싱 처리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원하는 음각 패턴을 롤러 또는 프레스 상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턴은 시트재료(100) 내부로 압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패턴은 공극을 포함한다. 대안으로는, 돌출된 입자들이 내재된 종이를 시트재료 내부로 압착시킴으로써, 핵형성 구조가 요리표면(108) 내부로 스탬핑 또는 엠보싱되게 할 수 있다.
일 대안예에 의하면, 경질 입자를 요리표면(108) 상부에 분산시키고 요리표면 내부로 압착한 후에 제거하여, 공극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염 입자를 탑코트(102) 내부로 압착한 후, 세척시켜 없앤다.
특정의 일 구현예에서, 핵형성 구조는 균열 또는 틈을 포함할 수 있다. 두꺼운 층의 퍼플루오로중합체 재료를 단일패스(single pass)로 도포할 때, 상기 층에는 균열 또는 틈이 생기기 쉽다. 일 예로, PTFE 코팅을 단일패스로 도포하여 두께가 0.35mil이 넘는, 이를 테면 0.4mil 이상, 0.5mil 이상, 또는 심지어 0.6mil 이상인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에 의하면, 0.2mil로 도포된 Teflon® PFA 또는 Teflon® FEP 분산 코팅에 균열 또는 틈이 생길 수 있다.
시트재료의 요리표면(108)은 핵형성 구조 밀도가 제곱인치당 10개 이상인 핵형성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핵형성 구조의 핵형성 밀도는, 약 500 내지 1000 mil2 (1 mil = 1000분의 1 인치)의 면적에서 핵형성 구조의 수를 육안으로 센 값을 인치로 표시되는 면적으로 나누어서 구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요리표면(108)은 핵형성 구조를 제곱인치당 100개 이상, 예컨대 제곱인치당 500개 이상, 제곱인치당 1000개 이상, 제곱인치당 5000개 이상, 제곱인치당 10000개 이상, 제곱인치당 25000개 이상, 또는 심지어 제곱인치당 50000개 이상의 핵형성 구조 밀도로 포함한다.
시트재료(100)는 바람직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시트재료(100)의 두께는 5.0mil 이하, 예컨대 4.0mil 이하, 또는 심지어 3.2mil 이하이다. 예를 들어, 상기 두께는 3.0mil 이하, 예컨대 2.8mil 이하, 또는 심지어 2.4mil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시트재료(100)는 바람직한 기계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재료(100)는 경사 및 위사 방향 모두에서 바람직한 인장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시트재료(100)는 바람직한 사다리꼴 인열강도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시트재료(100)는 스트레스(distress)를 받은 후에도 바람직한 기계적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재료(100)는 바람직한 크리스(구김) 인장강도 및 크리스 사다리꼴 인열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시트재료(100)는 바람직한 MIT 굴곡성(flex performance)을 나타낼 수 있다.
특정의 일 구현예에서, 인장강도는 ASTM D902에 따라 측정가능하다. 시트재료(100)의 경사방향 인장강도는 30 lbs 이상으로, 예컨대 50 lbs 이상일 수 있다. 특히, 벨트와 관련해서, 시트재료의 경사방향 인장강도는 325 lbs 이상으로, 예컨대 450 lbs 이상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위사 방향 인장강도는 45 lbs 이상, 예컨대 65 lbs 이상, 또는 심지어 70 lbs 이상일 수 있다. 특히, 벨트와 관련해서, 벨트 재료의 위사 방향 인장강도는 150 lbs 이상, 예컨대 300 lbs 이상, 또는 심지어 400 lbs 이상일 수 있다.
시트재료(100)는, ASTM D4969에 의해 수정된 바와 같이, ASTM D751에 따라 측정하였을 때 바람직한 사다리꼴 인열강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쿠킹시트(100)의 사다리꼴 인열강도는 3.5 lbs 이상, 예컨대 4.0 lbs 이상일 수 있다. 특히, 벨트와 관련해서 벨트 재료의 바람직한 사다리꼴 인열강도는 5.5 lbs 이상, 예컨대 7.5 lbs 이상, 또는 심지어 12 lbs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시트재료(100)는 스트레스(예컨대, 크리스) 후에도 바람직한 인장강도 및 사다리꼴 인열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번 접은 것처럼 10 lb 롤러로 한 번 구긴 후, 인장강도 및 사다리꼴 인열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10 lb 롤러로 구겨진 후의 재료의 인장강도를 크리스 인장강도로 지칭하고, 구김 후의 사다리꼴 인열강도를 크리스 사다리꼴 인열강도로 지칭한다. 특히, 시트재료(100)의 크리스 인장강도는 경사방향으로 10 lbs이상, 예컨대 15 lbs 이상, 또는 심지어 17 lbs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시트재료(100)의 크리스 사다리꼴 인열강도는 0.5 lbs 이상, 예컨대 1.0 lbs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스트레스 하에서 시트재료(100)의 내구성 특성을 MIT 굴곡성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트재료(100)의 MIT 굴곡성은 10,000 이상, 예컨대 15,000 이상, 20,000 이상, 또는 심지어 25,000 이상일 수 있다. MIT 굴곡성은 내절도(folding endurance) 시험에 관한 ASTM D2176-63J에 따라 ½ 인치폭의 시험편에 2 파운드을 인가하면서 반복 측정한다.
다른 예에서, 시트재료(100)는 저투과성을 나타낸다. 특히, 시트재료(100)는, 비다공성이거나; 퍼플루오로중합체/실리콘 블렌드가 함유된 층과 같은 다공성을 띨 수 있는 층, 기공들이 실질적으로 상호연결되어 있지 않은 층, 또는 그 층에 국부화된 층이 아니다. 예를 들어, 시트재료(100)의 투과성을 ASTM D737에 따라 측정한 결과, 0.001 cu.in/min 이하이며, 예컨대 측정장비의 감도 내에서 약 0 cu.in/min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트재료(100)는 불투과성일 수 있다. 특정 예에서, 보강층 및 플루오로중합체-함유층을 포함하는 시트재료(100)의 투과도는 0.001 cu.in/min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시트재료(100)의 요리 성능을 시험한 결과, 양호한 성능을 보여 주었다. 특히, 시트재료(100)는 기름의 위킹(증발-흡수, wicking)과 탄화(charring)에 내성을 띤다. 일 예에서, 시트를 16시간이 넘게(통상, 1주일간) 400℉ 고온의 기름에 가함으로써 위킹을 시험한다. 기름이 직물 또는 쿠킹시트에 증발-흡수될 때, 기름은 탄화되어 상기 직물을 약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또한, 위킹은 직물과 필라멘트 모두를 변색시키는 경향이 있다. 전술한 시트재료(100)의 구현예들에서는 위킹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고, 기름의 탄화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고, 필라멘트 또는 직물의 변색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 따라서, 본원의 구현예들에 따른 시트재료(100)는 위킹 등급에서 합격 등급을 받는다.
다른 예에서, 시트재료의 기름 베이크 시험(bake test) 결과, 양호한 성능을 보여 주었다. 시트재료를 햄버거 기름과 라미네이트한 후, 알루미늄 호일에 싸서 1주일 동안 400℉의 오븐에서 베이킹한다. 바람직한 시트재료는 상기 시험 후에도 구조적 건전성을 유지하고 원사들의 위킹 및 탄화를 제한적으로 나타낸다.
튀김현상을 두 가지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첫번 째 방법은 요리표면으로부터 4인치 이상 튄 기름의 양을 측정한다. 두번째 방법은 요리표면으로부터 튄 기름의 대략적인 높이를 추산한다. 첫번 째 방법에서는, 시트재료를 그릴표면에 배치한다. 종이를 그릴표면으로부터 4인치 위에 놓고, 그릴표면에서 고기 패티(patty)를 요리한다. 무게가 약 115그램 나가는 고기 패티를 사용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수거된 전체 기름을 표준치와 육안으로 비교하여 점수를 매기고, 이를 3차례 반복하여 얻은 결과들의 평균을 내었다. 높이당 일련의 표준치에 대해 0에서 5에 해당되는 값으로 시트의 등급을 매겼다. 점수에서, 0 = 튀김 없음; 1 = 튀김이 거의 없으며, 사람을 다치게 할 정도로 충분하지 않음; 2 = 약간의 튀김; 5 = 튀김이 낮아, 사람의 손 높이 너머에까지 이르지는 않을 것임을 의미한다.
두번 째 방법에서는, 식당에서 제1그릴상의 튀김을 관찰하는 것으로, 양면 그릴을 열고 튀김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튀김의 횟수와 높이를 추산한다. 두 덩어리의 고기 패티를 시험에서 평가하였다.
특정의 구현예에서는, 쿠킹시트를 그릴의 표면에 도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 그릴(500)은 가열되는 플래튼(platen, 502)을 구비할 수 있다. 플래튼(502)의 요리표면상에, 그릴시트(504)를 배치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그릴시트(504)의 일면은 플래튼(502)과 접촉되고, 다른 면은 전술한 핵형성 구조를 포함한다. 일예로, 식제품(506)을 그릴시트(504)의 상부에 배치하고, 플래튼(502)의 열을 이용하여 요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은 양면 그릴(600)일 수 있다. 일예로, 그릴은 상부 플래튼(602) 및 하부 플래튼(604)을 포함한다. 그릴 플래튼(602 및 604)을 가열한다. 식재료(610)를 이들 그릴 플래튼(602 및 604) 사이에 배치하고, 그릴 플래튼(602 및 604)을 식재료(610) 둘레로 닫은 후 요리한다.
쿠킹시트(608)를 식재료(610)와 하부 그릴 플래튼(604) 사이에 배치하거나, 또는 이형 시트(606)를 식재료(610)와 상부 그릴 플래튼(602)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특히, 쿠킹시트(606 및 608)는 하부 플래튼(604) 또는 상부 플래튼(602)에 각각 수동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쿠킹시트(608)는 하부 플래튼(604) 상부에 도포될 수 있다. 일예로, 쿠킹시트(608)는 하부 플래튼(604)에 수동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쿠킹시트(608)는 하부 플래튼(604)에 부착될 수 있다.
실제로, 쿠킹시트(606 및 608)를 각각의 해당 플래튼(602 및 604)에 도포하고, 플래튼(602 및 604)을 가열한다. 식재료(610)를 플래튼 사이에서 쿠킹시트(608)의 상부와 쿠킹시트(606)의 아래에 배치하고, 플래튼(602 및 604)을 결합하여, 압력하에 식재료(610)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각각 가열한다. 일단 요리가 되었으면, 양면 그릴을 열어, 상부 플래튼(602)를 하부 플래튼(604)으로부터 분리한다. 식재료를 제거하고, 쿠킹시트(606 및 608)를 제자리에 둔다.
대안적 일 구현예에서, 시트재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재 없이 형성된 필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요리표면과 같은 표면(702)상에 핵형성 구조를 갖는 필름(700)을 형성할 수 있다. 필름(700)의 표면(702)은 핵형성 구조 밀도가 제곱인치당 10개 이상 또는 전술된 바와 같은 핵형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핵형성 구조는 공극 또는 균열일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필름(700)은 단일층 구조이다. 다른 예에서, 필름(700)은 보강층이 없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다층 구조이다. 필름(700)은 이형성 자립형 필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필름(700)은 기재에 라미네이트되거나 또는 다른 시트재료에 라미네이트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름(700)은 가열되는 기재 상에 배치되거나 라미네이트될 수 있다.
다른 일 구현예에서, 시트 재료는 쿠킹벨트를 형성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800)은 벨트(802)와 열원(806)을 포함한다. 벨트(802)는 플루오로중합체로 코팅된 가요성 지지체를 포함한다. 쿠킹벨트의 외부면에는 핵형성 구조 밀도가 제곱인치당 10개 이상인 핵형성 구조가 형성된다. 열원(806)에서 제공하는 발열량을 제어장치(810)를 사용하여 통제할 수 있다. 특정의 일 예에 의하면, 벨트 재료(100)의 두께는 8 mil 이하, 예컨대 14 mil 이하, 또는 심지어 20 mil 이하이다.
상기 특정의 구현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802)는 폐루프형 벨트를 형성한다. 폐루프형 벨트는 롤러(804)의 주위를 둘러싼다. 통상, 가열 벨트는 롤러(804) 주위를 돌고, 롤러(804) 둘레로 지속적인 회전운동을 하도록 가요성을 띤다. 코팅된 가요성 지지체가 벨트(802)의 일부분 또는 실질적으로 벨트(802)의 전체를 구성하기도 한다. 벨트(802)는 레이싱(lacing) 또는 걸쇠(clasp) 장치(808)와 같은 다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벨트(80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기계적 특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벨트(802)는 경사 및 위사 방향 모두에서 바람직한 인장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벨트(802)는 바람직한 사다리꼴 인열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벨트(802)는 스트레스 후에도 바람직한 기계적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벨트(802)는 바람직한 크리스 인장강도 및 크리스 사다리꼴 인열 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벨트(802)는 바람직한 MIT 굴곡성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시트재료는 도 9에 도시된 시스템(900)과 같은 이중 벨트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재료를 사용하여 벨트(902) 또는 벨트(908)를 형성할 수 있다. 적어도 벨트(902), 그리고 선택적으로 벨트(908)의 외부면에는 핵형성 구조가 형성된다. 각 벨트(902 또는 908)는 각각의 열원(906 또는 910)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특정의 일 예에 의하면, 식제품(912)을 벨트(902 또는 908) 사이에 놓고 요리한다. 보통, 벨트(902 또는 908)를 동일한 속도로 이동시킴으로써 식제품(912)이 전단(shear)되는 것을 막는다. 열원(906 또는 910)의 성질과 위치에 따라, 식제품(912)의 양면을 동시에 요리할 수 있다.
시트재료는 직물을 정량토출(dispens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직물은 개별적으로 사이즈 코팅된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유리섬유 직물이다. 직물은 플루오로중합체(예컨대, 퍼플루오로중합체)가 함유된 분산액에 딥코팅될 수 있다. 직물을 기준으로 초과량의 분산액을 정량한 후, 플루오로중합체 분산액을 가열하여 용매 및 계면활성제를 방출시키고, 상기 플루오로중합체를 고형화할 수 있다. 코팅 과정은 1회 또는 그 이상, 예컨대 2회 이상, 3회 이상, 또는 심지어 4회 이상 수행될 수 있다. 코팅된 직물의 일면 또는 양면 상부에 탑코트를 도포할 수 있다. 일예로, 코팅된 직물을 딥코팅시킴으로써, 직물에 다른 플루오로중합체가 함유되도록 할 수 있다. 대안으로는, 플루오로중합체 필름을 코팅된 직물에 라미네이트하거나, 코팅된 직물의 하나 이상의 표면상으로 한 층을 압출시킬 수 있다. 탑코트 도포 과정의 일부로서 또는 탑코트 도포과정의 후속으로, 핵형성 구조를 시트재료의 표면에 형성할 수 있다.
특정 예에 의하면, 시트재료는, 캐리어 웹(carrier web) 또는 보강재(예컨대, 직물)를 플루오로중합체(예를 들어, 퍼플루오로중합체)와 같은 저표면에너지 및 저마찰계수 재료로 코팅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일 예에서, 퍼플루오로중합체는 PTFE를 포함한다. 캐리어 웹 또는 보강재는 롤(roll)로 적용되며, 적어도 1면 이상은 액체매질 중에 분산된 불소화 중합체 입자가 함유된 현탁액으로 코팅된다. 특정의 일 구현예에서, 분산액은 계면활성제가 첨가된 PTFE 수성 분산액을 포함한다. 대안으로, 분산액은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을 수 있다.
캐리어 웹으로부터 초과량의 현탁액을 제거하기 위해 블레이드 또는 정량 막대를 위치시킨다. 이어서, 현탁액을 건조 및 소결시켜 캐리어 웹상에 층을 형성한다. 특정의 일 구현예에 의하면, 코팅된 현탁액을 약 150℉ 내지 약 300℉ 범위의 온도에서 건조시키고, 약 550℉ 내지 약 720℉ 범위의 온도에서 소결시킨다. 선택적으로는, 소결에 앞서 현탁액을 약 500℉ 내지 약 600℉ 범위의 온도에서 가열하여 코팅으로부터 계면활성제를 제거할 수 있다. 층의 두께는 코팅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는, 캐리어 웹을 현탁액으로 코팅하고, 현탁액을 건조시킨 후, 소결 전에, 제2코팅제를 상기 건조된 도포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불소화 중합체 코팅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약 0.2 내지 12 mil 이다. 예를 들어, 상기 두께는 약 0.2 내지 4 mil, 예컨대 약 0.5 내지 3 mil 일 수 있다. 제2층의 두께는 약 0.1 내지 약 5 mil, 예컨대 약 0.1 내지 3 mil, 또는 심지어 약 0.1 내지 1 mil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플루오로중합체 제2층을 제1층 상부에 도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층은 제2플루오로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플루오로중합체 도포는 전술한 방법과 유사한 딥 코팅법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대안으로, 제2층은 제1층 상부에 하나의 층을 압출시키는 방식으로 도포할 수 있다. 다른 예에 의하면, 제2층은 예컨대 열 라미네이션(heat lamination)법을 통해 제1층에 라미네이트될 수 있다.
탑코트는 제1층 또는 선택적 제2층 상부에 도포된다. 예를 들어, 탑코트는 전술한 방법과 유사한 딥코팅법으로 도포될 수 있다. 대안으로는, 외부면을 제1층 또는 선택적 제2층에 라미네이트함으로써, 요리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에 의하면, 탑코트는 분무 코팅을 통해 도포될 수 있다. 도포 과정의 일부로서 또는 탑코트 도포의 후속으로, 탑코트에 핵형성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극을 형성하기 위해, 탑코트를 플루오로중합체 및 식품등급 이상 실리콘의 블렌드로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블렌드는 퍼플루오로중합체를 함유할 수 있으며, 분산액의 고형물 함량을 기준으로 0 중량% 내지 80 중량%의, 예컨대 2 중량% 내지 40 중량% 함량의 실리콘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재료를 분산액에 딥코팅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분산액을 소결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탑코트의 표면을 따라, 핵형성 구조로서 기능하는 공극들이 나타난다.
다른 예에서, 공극은 전술된 비산 성분들과 같은 비산 성분을 함유하는 분산액으로 시트재료를 코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산액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물과 같은 비산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소결과정 중, 비산 성분은 코팅에서 이탈하여 공극을 남길 수 있다. 대안으로, 분산액은 미립자 물질과 같은 비산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성분은 소결 후속과정, 예컨대 세척 또는 용해 조작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핵형성 구조는 요리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산액은 고형 미립자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산액을 시트재료 상부에 코팅되고 소결시킬 때, 분산액이 고형화되어 요리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돌기가 생긴다.
균열 또는 틈을 형성하기 위해, 탑코트를 분산액으로 단일패스시켜 0.35 mil 이상, 예컨대 0.4 mil 이상의 두께로 도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두께는 0.4 mil 내지 0.8 mil의 범위일 수 있다. 특히, PTFE 분산액의 층이 건조 및 소결 중에 균열 또는 틈이 생기도록 정량바들을 세팅한다. 다른 예에서는, 균열된 또는 틈이 있는 Teflon® FEP 또는 Teflon® PFA의 층을 두께 0.2 mil 이상, 예컨대 두께 0.3 mil 이상의 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표면 내부로 패턴을 엠보싱 또는 스탬핑함으로써 압입부(indentation)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턴은 탑코트를 소결시킨 후나, 필름을 도포한 후에 적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는, 소결에 앞서 패턴을 적용하기도 한다. 다른 예에서는, 불규칙하게 내재된 입자들이 포함된 표면을 요리표면 내부로 압착하여 핵형성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전술한 방법을 사용하되, 보강층 대신에 캐리어를 사용하여 쿠킹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필름을 캐리어상에 형성한 후 상기 캐리어를 분리하여, 핵형성 구조가 포함된 요리표면을 가진 필름을 제공한다. 이러한 필름을 다른 캐리어에 라미네이트시켜 강성의 보강 재료를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을 사용하고, 이어서 시트재료의 단부들을 연결하여 폐루프를 형성함으로써, 외부면에 핵형성 구조가 포함된 쿠킹벨트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쿠킹시트는 컨베이어 벨트 상의 커버로서, 또는 용기 위의 라이너로서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추가적인 예에 의하면, 핵형성 구조를 가진 요리표면을 분무코팅법으로 도포할 수 있다.
특히, 시트재료, 쿠킹필름 또는 컨베이어 벨트는 요리용도에 적절한 재료 및 구조로 형성되며, 미국 식품의약청이 식품등급 이상으로 승인하지 않은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하지 않는다. 일예로, 컨베이어 벨트 또는 필름은 요식업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예로, 컨베이어 벨트 또는 필름은 베이컨, 닭고기, 혼합 육류 제품,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과 같은 육류의 요리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필름은 물을 끓이기 위해 사용되는 용기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트재료, 쿠킹시트, 또는 필름을 사용하여, 기름이 낮게 튀는 비접착성 요리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시트재료의 특정 구현예들은 바람직한 기술적 이점을 나타낸다. 특히, 쿠킹시트는 연장된 내구성 및 내인열성을 가진다. 특히, 코팅된 시트는 크리스, 기름 위킹 및 탄화에 내성을 띤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시험 결과에 의하면, 쿠킹시트는 열악한 조건하에서도 바람직한 요리 성능의 내구성을 보여주었다. 이런 식으로, 쿠킹시트는 식품 품질을 유지하는 내구성이 있는 필름을 제공한다.
특히, 출원인들은 비접착성을 나타내는 재료 역시 튀김현상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더 나아가, 출원인들은 비접착성을 잃지 않으면서 튀김현상을 제한하는 시트재료를 발견하였다.
실시예들
시험 방법
기름 베이크 시험: 햄버거 기름으로 적층된 시료를 알루미늄 호일로 쌌다. 상기 조립체를 1주일 이상의 기간 동안 400oF에서 베이킹하였다. 시트 내에서 시료들의 건전성, 위킹 및 탄화를 관찰하였다.
튀김 시험: 요리표면에서 4인치 이상 튄 기름의 양을 정성적으로(qualitative) 측정하였다. 도 10에 도시된 기구(1000)를 사용하여 튀김을 측정하였다. 시트재료(1002)를 그릴표면(1004)상에 배치하였다. 고기 패티가 요리되는 그릴표면으로부터 4인치 위에 종이(1006)를 위치시켰다. 무게가 약 115그램 나가는 고기 패티를 사용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수거된 전체 기름을 표준치와 육안으로 비교하여 점수를 매기고, 이를 3차례 반복하여 얻은 결과들의 평균을 내었다. 높이당 일련의 표준치에 대해 0에서 5에 해당되는 값으로 시트의 등급을 매겼다. 점수에서, 0 = 튀김 없음; 1 = 튀김이 거의 없으며, 사람을 다치게 할 정도로 충분하지 않음; 2 = 약간의 튀김; 5 = 튀김이 낮아, 사람의 손 높이 너머에까지 이르지는 않을 것임을 의미한다. 도 11은 등급 1(왼쪽) 및 등급 2(오른쪽)를 나타내는 종이 시트 시료들을 도시한다. 도 12는 등급 3(왼쪽) 및 등급 4(오른쪽)를 나타내는 종이 시트 시료들을 도시한다. 시료들의 위킹 또한 관찰하였다.
튀김 높이 시험: 한 식당에서 튀김현상을 관찰하였다. 고기 패티를 요리할 때, 튀김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튀김의 횟수와 최대 높이를 측정하였다. 두 덩어리의 고기 패티를 평가하였다.
크리스 시험: 한번 접은 것처럼 10 lb 롤러로 한 번 구긴 후, 인장강도 및 사다리꼴 인열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10 lb 롤러로 구겨진 후의 재료의 인장강도를 크리스 인장강도로 지칭하며, ASTM D902에 따라 측정하였다. 구김 후의 사다리꼴 인열강도를 크리스 사다리꼴 인열강도로 지칭하며, ASTM D4969에 의해 수정된 바와 같이 ASTM D751에 따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1080 유리섬유를 사용하여 시료들을 탑형 오븐에 마련하였으며, 이때 수지를 도포하는 바의 미터 번호(#)를 변경하여 탑코트로서 증착되는 PTFE를 유리섬유에 서로 다른 양으로 코팅하였다. 시료에 증착되는 층을 0.30 mil에서 0.80 mil까지 다양하게 하기 위해 상기 바를 변경하였다. 최종 PTFE층의 두께는 시료에 따라 상이하며, 두께가 증가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두 번 별개로 시행하여 결과를 중복 확인하였다.
표 1에 시료들의 성능을 나타내었다. 균열 개수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윈도우의 열에서, 4개의 인접한 원사에 걸친, 약 0.01" x 0.066" 의 면적 내에서의 균열 개수이다. 도 13은 유리 원사 사이의 윈도우에서 균열을 나타내는 시트재료의 예시도를 포함한다.
Figure pct00001
기름 베이크 시험 결과는 시트가 1주일 동안 뜨거운 기름에 내성을 가졌음을 나타낸다. 베이킹된 시트는 인성과 강도를 가졌다. 원사에는 탄화흔적이 없었으며, 표면은 쉽게 세정되었고, 세정 후 거의 새것으로 보였다. 상부면에서 약간의 위킹이 관찰되었지만 원사까지는 아니었고, 옆 가장자리에서는 위킹이 거의 없었다.
균열 개수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윈도우의 열에서, 4개의 인접한 원사에 걸친, 약 0.01" x 0.066" 의 면적 내에서의 균열 개수이다. 대부분의 시료에서 튀김현상이 나타나지 않았거나, 또는 3인치 미만의 높이로 튀없다. 특히, 기름-물 혼합은 거품을 형성하고, 튀김을 형성하지는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거품은 튀김 높이가 아주 상당히 낮으므로, 요리사가 부상 또는 화상을 입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한 결과이다.
균열현상과 관련하여, 약 0.3 mil에서, 균열을 일으키기에는 분산액이 충분히 패스되지 않았다. 0.35 mil가 넘는 경우에는, 7 내지 11 개의 균열이 각 시료에 대해 형성되었다.
실시예 2
충진재로서는, 완전히 분해되고 식품 용도로 흔히 사용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를 선택하였다.
시료 10은 1080 유리섬유/PTFE 층/및 PTFE에 5.8% PMMA의 층 구조로 형성하였다. 시료 11은 1080 유리섬유 상의 PTFE 2번 패스 및 비중 1.27로 1회 핸드 딥코팅된 PTFE 분산액 및 2% PMMA를 포함한다. 시료 12는, 시료 11의 분산액이 점도 85 cps, PTFE 고형물 33%, 및 비중 약 1.25로 희석되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시료 11과 동일하다. 건조상태를 기준으로 PMMA의 중량은 5.8%였다. 표 2에 이들 시료의 성능을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2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MMA는 상부면에 구멍들을 만든다. 예시된 바와 같이, 제곱인치당 수천 개의 핵형성점이 있다. PMMA는 700℉의 소결단계 중에 비산하며, 육안으로 보이는 잔류물을 깨끗한 중합체 내에 남기지 않는다. IR 스펙트럼 결과는 PMMA가 시료에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었다.
시료 10, 11 및 12는 튀김 높이 시험 중에 튀김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며, 낮게 튀었다. 튀김 점수는 0.3 정도로 낮았으며; 이는 3번 시행 중 2번은 전혀 튀김현상이 없었음을 의미한다.
기름 튀김 시험 결과는 시료 10 및 12가 1주일 동안 뜨러운 기름에 내성을 가졌음을 나타낸다. 시트는 인성과 강도를 가졌다. 원사에는 탄화흔적이 전혀 없었으며, 표면은 쉽게 세정되었고, 세정 후 거의 새것으로 보였다. 상부면에서 약간의 위킹이 관찰되었지만, 옆 가장자리에서는 위킹이 거의 없었다.
실시예 3
1080 유리섬유 상부에, 고형물 함량을 기준으로 20 중량%의 실리콘과 PTFE로 된 분산액을 코팅하여 시료를 마련하였다. 이들 시료는 여러 시판되는 실리콘 중의 하나를 포함한다. 도 15는 코팅에 형성된 표면 핵형성 구조를 도시한다. 표 3에 시료들의 두께, 실리콘 종류 및 성능을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3
시료 13은 튀김현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시료 14 및 시료 16의 튀김 점수는 3.0 및 3.7로, 다른 시료들에 비해 비교적 높았지만, 이 튀김 높이는 여전히 요리사의 손 아래이므로, 결과적으로 요리사의 손에는 거의 튀지 않았다. DC2-1266은 미국 식품안전청으로부터 식품용 등급을 받았다.
실시예 4
1080 유리섬유 및 PTFE층의 구조를 가진 시료를, 닙(nip)이 구비된 기계상의 두 인접한 롤러 중 하나에 120 그릿의 사포를 적용하여 엠보싱 처리하였다. 약간의 공압을 사용하여 상기 롤러들을 2개의 작은 실린더 상에 함께 밀었다. 공기압력을 10 에서 20, 30까지 변경하였고; 이로 인한 힘은 3.5, 7, 및 10.5 pli로 산출되었다. 이들 중 두 높은 압력으로 인해 사포는 유리섬유 내에 구멍을 만들었으며, 이로써 위킹 염료가 직물 내부로 상당히 흡수되었다. 구멍이 생기지 않은 시료(#18)는 6”높이의 튀김이 있었다. 표 4에 이들 시료들의 성능을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4
실시예 5
탑코트 분산액에 돌기를 형성하기 위한 첨가제를 포함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의 유리/PTFE 구조로 시료들을 형성하였다. 첨가제는 실리카; 둥근 유리 비드; 또는 NaAlSiOx(대체로 구형이지만, 모서리 부분이 많음) 중의 하나를 포함한다. 비드 및 NaAlSiOx의 크기는 5 내지 12 마이크론이었다. 튀김 점수 및 튀김 높이는 허용될 만한 수준이었다.
Figure pct00005
실시예 6
상기 시료들의 핵형성 구조 밀도를 관찰하였다. 표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방법은 핵형성 구조 밀도가 제곱인치당 5000개 이상인 핵형성 구조를 제공하였다. 또한, 각 핵형성 구조는 튀김현상을 완화시켰다.
Figure pct00006
실시예 7
기름을 두르고, 베이컨 몇 조각을 서로 나란하게 놓고 요리할 때 발생되는 튀김에 근거하여 시료 이형 시트를 평가하였다. 요리 도중에 튀김 시험을 실시하여, 몇몇 이형 시트 각각에서 튄 기름 양을 코팅되지 않은 강철 표면에서 요리된 베이컨의 튄 기름 양과 비교하였다. 베이컨은 맨(bare) 그릴에는 들러붙을 수 있지만, 이형 시트에는 들러붙지 않는다. 표 7은 이형 시트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 보다 이형 시트를 사용할 때 튀김이 더 적게 관찰되었음을 보여준다.
Figure pct00007
실시예 8
소시지 패티를 요리할 때 발생되는 튀김에 근거하여 시료 이형 시트를 평가하였다. 요리 도중에 튀김 시험을 실시하여, 몇몇 이형 시트 각각에서 튄 기름 양과 코팅되지 않은 강철 표면에서 요리된 소시지의 튄 기름 양을 비교하였다.
Figure pct00008
제1 양상에서, 요리용 이형 재료는 플루오로중합체가 함유된 층을 포함한다. 요리용 이형 재료는 핵형성 구조 밀도가 제곱인치당 10개 이상인 핵형성 구조를 포함하는 주면을 가진다. 제1양상의 일 예에서, 요리용 이형 재료는 쿠킹시트 또는 벨트의 형태이다.
제1 양상의 다른 예에서, 핵형성 구조는 틈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핵형성 구조는 공극, 홀, 또는 압입부를 포함한다.
제1 양상의 추가적인 일 예에서, 요리용 이형 재료는 미국 식품의약청의 정의에 따라 식품등급 이상으로 매겨진 것이다.
일 예에서, 핵형성 구조는 50 마이크로 이하, 예컨대 1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고유 치수를 가진다. 다른 예에서, 핵형성 구조 밀도는 제곱인치당 1000개 이상, 예컨대 제곱인치당 5000개 이상, 제곱인치당 10000개 이상, 제곱인치당 25000개 이상, 또는 심지어 제곱인치당 50000개 이상이다.
다른 예에서, 플루오로중합체는 퍼플루오로중합체를 포함한다. 퍼플루오로중합체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불소화 에틸렌 프로필렌(FEP), 퍼플루오로알콕시(PFA),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중합체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이다.
추가예에서, 요리용 이형 재료는 퍼플루오로중합체를 포함하며, 요리용 이형 재료의 주면을 형성하는 표면층을 더 포함한다. 표면층은 핵형성 구조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표면층은 퍼플루오로중합체와 식품등급 이상의 실리콘의 블렌드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요리용 이형 재료는 상기 층이 상부에 코팅되는 보강재를 더 포함한다. 보강재는 섬유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섬유재는 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직포는 유리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요리용 이형 재료의 튀김 점수는 3 이하로, 예컨대 2 이하이다.
제2 양상에서, 쿠킹시트는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직포, 상기 직포에 배치되고 퍼플루오로중합체를 포함하는 제1 코팅, 및 상기 제1 코팅 상부에 놓이고 상기 쿠킹시트의 주면을 형성하는 표면 코팅을 포함한다. 표면 코팅은 핵형성 구조 밀도가 제곱인치당 10개 이상인 핵형성 구조를 포함한다. 쿠킹시트의 두께는 5 mil 이하이다.
제2 양상의 일 예에서, 퍼플루오로중합체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불소화 에틸렌 프로필렌(FEP), 퍼플루오로알콕시(PFA),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물이다.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중합체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이다.
제2 양상의 다른 예에서, 표면 코팅은 퍼플루오로중합체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표면 코팅은 실리콘을 포함한다. 추가예에서, 표면 코팅은 퍼플루오로중합체 및 실리콘의 블렌드를 포함한다.
일예로, 핵형성 구조 밀도는 제곱인치당 1000개 이상이다. 두께는 4 mil 이하일 수 있다. 핵형성 구조는 50 마이크로 이하의 고유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제3 양상에서, 요리용 이형 재료를 형성하는 방법은 퍼플루오로중합체의 제1 코팅을 보강재에 도포하는 단계, 표면 코팅을 적용하여 주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곱인치당 10개 이상의 밀도로 상기 표면 코팅에 핵형성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양상의 일 예에서, 표면 코팅은 비산 재료를 포함하고, 이때 핵형성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비산 재료를 방출하여 공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표면 코팅은 퍼플루오로중합체를 포함하고, 0.35 mil가 넘는 두께를 가진다. 핵형성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는 표면 코팅을 소결하여 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핵형성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는 표면 코팅을 엠보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표면 코팅은 퍼플루오로중합체 및 실리콘의 블렌드를 포함한다. 핵형성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는 표면 코팅을 소결하여 공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예에서, 핵형성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는 표면 코팅을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제1코팅을 도포하는 단계는 보강재를 퍼플루오로중합체를 포함하는 분산액과 접촉시켜, 퍼플루오로중합체를 정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표면 코팅을 도포하는 단계는 제1코팅으로 코팅된 보강재를 퍼플루오로중합체를 포함하는 분산액과 접촉시켜, 퍼플루오로중합체를 정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예에서, 표면 코팅을 도포하는 단계는 제1코팅으로 코팅된 보강재를 퍼플루오로중합체 및 실리콘을 포함하는 분산액과 접촉시켜, 퍼플루오로중합체를 정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표면 코팅을 도포하는 단계는 표면 코팅을 형성하기 위한 분무 코팅을 포함한다.
제4 양상에서, 요리용 장치는 플루오로중합체를 포함하는 요리용 이형 재료를 포함한다. 요리용 이형 재료는 요리용 장치의 요리표면을 확정한다. 요리표면은 핵형성 구조 밀도가 제곱인치당 10개 이상인 핵형성 구조를 포함한다. 제4 양상의 일 예에서, 요리용 이형 재료는 가열되는 기재상에 배치된다.
제5 양상에서, 요리용 벨트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요리용 이형 재료 및 상기 요리용 이형 재료상에 배치되는 플루오로중합체층을 포함한다. 요리용 이형 재료는 핵형성 구조 밀도가 제곱인치당 10개 이상인 핵형성 구조를 포함하는 주면을 확정한다. 요리용 이형 재료는 폐루프를 형성한다. 제5 양상의 일 예에서, 요리용 벨트는 상기 요리용 이형 재료의 제1 및 제2 단부를 고정하여 폐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걸쇠를 포함한다.
일반 설명 및 실시예에서 전술된 모든 작용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며, 특정 작용의 일부는 요구되지 않을 수 있고, 기술된 작용들 외에도 하나 이상의 추가 작용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한다. 더욱이, 열거된 작용들의 순서대로 반드시 수행될 필요는 없다.
전술된 명세서에서는 특정 실시형태를 참조로 여러 개념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포함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은 제한적 의미보다는 예시적 의미로 간주되어야 하며, 이들 모든 수정예를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포함(구비, 함유)하는(하다) (comprises, comprising, includes, including, has, having)" 또는 이들의 기타 다른 변형예는 비배타적 항목들을 포함하고자 의도된다. 예를 들어, 여러 특징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공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는 이들 특징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공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분명하게 열거되지 않았거나 고유하지 않은 다른 기타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달리 분명하게 명시하지 않는 한, "또는" 이란 포괄적(inclusive-or)이고 배타적이지 않음(exclusive-or)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A 또는 B 조건은 하기 중 임의의 것 하나를 만족시킨다: A는 참이고(또는 존재한다), B는 거짓이다(또는 존재하지 않는다), A는 거짓이고 (또는 존재하지 않는다) B는 참이다(또는 존재한다), 및 A와 B 둘 다 참이다(또는 존재한다).
또한, 본원에 기술되는 부재 및 성분을 설명하고자 "하나의, 한(a, an)"을 사용하였다. 이는 오로지 편의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의 일반적 의미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명세서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명백하게 단수를 의미하지 않는 한 단수는 역시 복수를 포함한다.
이점, 기타 장점 및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특정 구현예들을 참조로 전술하였다. 그러나, 이점, 장점,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 및 임의의 이점, 장점 또는 해결책이 발생되거나 표명되도록 야기시킬 수 있는 임의의 특징(들)을 어느 하나 또는 모든 청구항의 중요하거나 필요하거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이해하여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를 읽은 후에, 숙련자라면 간결성을 위해 별개의 구현예들의 범위 내에서 본원에 기술된 구체적인 특성들을 단 하나의 구현예에서 조합되어 제공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반대로, 간결성을 위해 단 하나의 구현예 범위 내에서 기술된 다양한 특성들을 따로따로 또는 임의의 하부조합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범위로 명시된 값들에는 상기 범위 내에 속하는 각각의 모든 값이 포함된다.

Claims (47)

  1. 플루오로중합체가 함유된 층을 포함하는 요리용 이형 재료이며, 상기 요리형 이형 재료의 주면은 핵형성 구조 밀도가 제곱인치당 10개 이상인 핵형성 구조를 포함하는, 요리용 이형 재료.
  2. 제1항에 있어서, 요리형 이형 재료는 쿠킹시트 또는 벨트의 형태인 요리용 이형 재료.
  3. 제2항에 있어서, 요리형 이형 재료는 쿠킹시트인, 요리용 이형 재료.
  4. 제1항에 있어서, 핵형성 구조는 틈을 포함하는, 요리용 이형 재료.
  5. 제1항에 있어서, 핵형성 구조는 공극을 포함하는, 요리용 이형 재료.
  6. 제1, 2, 4 또는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요리용 이형 재료는 미국 식품의약청에서 식품등급 이상으로 등급이 매겨진, 요리용 이형 재료.
  7. 제1, 2, 4 또는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핵형성 구조는 5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고유 치수를 갖는, 요리용 이형 재료.
  8. 제7항에 있어서, 고유 치수는 10 마이크로미터 이하인 요리용 이형 재료.
  9. 제1, 2, 4 또는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핵형성 구조 밀도가 제곱인치당 1000개 이상인, 요리용 이형 재료.
  10. 제9항에 있어서, 핵형성 구조 밀도가 제곱인치당 5000개 이상인, 요리용 이형 재료.
  11. 제10항에 있어서, 핵형성 구조 밀도가 제곱인치당 10000개 이상인, 요리용 이형 재료.
  12. 제11항에 있어서, 핵형성 구조 밀도가 제곱인치당 25000개 이상인, 요리용 이형 재료.
  13. 제12항에 있어서, 핵형성 구조 밀도가 제곱인치당 50000개 이상인, 요리용 이형 재료.
  14. 제1, 2, 4 또는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루오로중합체는 퍼플루오로중합체를 포함하는, 요리용 이형 재료.
  15. 제14항에 있어서, 퍼플루오로중합체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불소화 에틸렌 프로필렌(FEP), 퍼플루오로알콕시(PFA),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물인, 요리용 이형 재료.
  16. 제15항에 있어서, 퍼플루오로중합체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인, 요리용 이형 재료.
  17. 제1, 2, 4 또는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요리용 이형 재료는 퍼플루오로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요리용 이형 재료의 주면을 형성하는 표면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표면층은 핵형성 구조를 포함하는, 요리용 이형 재료.
  18. 제1, 2, 4 또는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요리용 이형 재료는 퍼플루오로중합체와 식품 등급 이상 실리콘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표면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표면층이 주면을 형성하는, 요리용 이형 재료.
  19. 제1, 2, 4 또는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층이 상부에 코팅되는 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요리용 이형 재료.
  20. 제19항에 있어서, 보강재는 섬유 재료를 포함하는, 요리용 이형 재료.
  21. 제20항에 있어서, 섬유 재료는 직포를 포함하는, 요리용 이형 재료.
  22. 제21항에 있어서, 직포는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요리용 이형 재료.
  23. 제1, 2, 4 또는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요리용 이형 재료는 3 이하의 튀김 점수를 나타내는, 요리용 이형 재료.
  24. 제23항에 있어서, 튀김 점수는 2 이하인, 요리용 이형 재료.
  25.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직포;
    상기 직포상에 배치되고 퍼플루오로중합체를 포함하는 제1 코팅; 및
    상기 제1 코팅 상부에 놓이고, 쿠킹시트의 주면을 형성하며, 핵형성 구조 밀도가 제곱인치당 10개 이상인 핵형성 구조를 포함하는 표면 코팅을 포함하는 쿠킹시트이며, 상기 쿠킹시트의 두께는 5mil 이하인, 쿠킹시트.
  26. 제25항에 있어서, 퍼플루오로중합체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불소화 에틸렌 프로필렌(FEP), 퍼플루오로알콕시(PFA),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물인, 쿠킹시트.
  27. 제26항에 있어서, 퍼플루오로중합체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인, 쿠킹시트.
  28. 제25항에 있어서, 표면 코팅은 퍼플루오로중합체를 포함하는, 쿠킹시트.
  29. 제25항에 있어서, 표면 코팅은 실리콘을 포함하는, 쿠킹시트.
  30. 제25항에 있어서, 표면 코팅은 퍼플루오로중합체와 실리콘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쿠킹시트
  31. 제25, 26, 28, 29 또는 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핵형성 구조 밀도가 제곱인치당 1000개 이상인, 쿠킹시트.
  32. 제25, 26, 28, 29 또는 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께가 4mil 이하인, 쿠킹시트.
  33. 제25, 26, 28, 29 또는 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핵형성 구조의 고유 치수는 50 마이크로미터 이하인, 쿠킹시트.
  34. 퍼플루오로중합체의 제1 코팅을 보강재에 도포하는 단계;
    표면 코팅을 도포하여 주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표면 코팅에 제곱인치당 10개 이상의 밀도로 핵형성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요리용 이형 재료의 형성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표면 코팅은 비산 재료를 포함하고, 핵형성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비산 재료를 방출하여 공극을 형성하는 조작을 포함하는, 방법.
  36. 제34항에 있어서, 표면 코팅은 퍼플루오로중합체를 포함하고, 표면 코팅의 두께는 0.35mil을 초과하며, 핵형성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면 코팅을 소결하여 틈을 형성하는 조작을 포함하는, 방법.
  37. 제34항에 있어서, 핵형성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는 표면 코팅을 엠보싱하는 조작을 포함하는, 방법.
  38. 제34항에 있어서, 표면 코팅은 퍼플루오로중합체와 실리콘의 블렌드를 포함하고, 핵형성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면 코팅을 소결하여 공극을 형성하는 조작을 포함하는, 방법.
  39. 제34항에 있어서, 핵형성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면 코팅을 패터닝하는 조작을 포함하는, 방법.
  40. 제34항에 있어서, 제1 코팅을 도포하는 단계는 보강재를 퍼플루오로중합체를 포함하는 분산액과 접촉시켜 퍼플루오로중합체를 정착시키는 조작을 포함하는, 방법.
  41. 제34항에 있어서, 표면 코팅을 도포하는 단계는 제1 코팅으로 코팅된 보강재를 퍼플루오로중합체를 포함하는 분산액과 접촉시켜 퍼플루오로중합체를 정착시키는 조작을 포함하는, 방법.
  42. 제34항에 있어서, 표면 코팅을 도포하는 단계는 제1 코팅으로 코팅된 보강재를 퍼플루오로중합체 및 실리콘을 포함하는 분산액과 접촉시켜 퍼플루오로중합체를 정착시키는 조작을 포함하는, 방법.
  43. 제34항에 있어서, 표면 코팅을 도포하는 단계는 분무-코팅하여 표면 코팅을 형성하는 조작을 포함하는, 방법.
  44. 플루오로중합체를 포함하는 요리용 이형 재료를 포함하는 요리용 장치이며, 상기 요리용 이형 재료는 상기 요리 장치의 요리표면을 확정하고, 상기 요리표면에는 핵형성 구조 밀도가 제곱인치당 10개 이상인 핵형성 구조를 포함하는, 요리용 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요리용 이형 재료는 가열되는 기재상에 배치되는, 요리용 장치.
  46. 보강재를 포함하는 요리용 이형 재료 및 상기 요리용 이형 재료상에 배치되는 플루오로중합체층을 포함하는 요리 벨트이며, 상기 요리용 이형 재료는 핵형성 구조 밀도가 제곱인치당 10개 이상인 핵형성 구조를 포함하는 주면을 확정하며, 상기 요리용 이형 재료는 폐루프를 형성하는, 요리 벨트.
  47. 제46항에 있어서, 요리 벨트는 요리용 이형 재료의 제1 및 제2 단부를 연결하여 폐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걸쇠를 더 포함하는, 요리 벨트.
KR1020127017404A 2009-12-18 2010-12-17 요리용 이형 시트재료 및 이형 표면 KR1013955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642,124 US8673449B2 (en) 2009-12-18 2009-12-18 Cooking release sheet materials and release surfaces
US12/642,124 2009-12-18
PCT/US2010/061119 WO2011075683A2 (en) 2009-12-18 2010-12-17 Cooking release sheet materials and release surface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7713A Division KR101492430B1 (ko) 2009-12-18 2010-12-17 육류 제품의 요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758A true KR20120099758A (ko) 2012-09-11
KR101395588B1 KR101395588B1 (ko) 2014-05-16

Family

ID=441492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7404A KR101395588B1 (ko) 2009-12-18 2010-12-17 요리용 이형 시트재료 및 이형 표면
KR1020137027713A KR101492430B1 (ko) 2009-12-18 2010-12-17 육류 제품의 요리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7713A KR101492430B1 (ko) 2009-12-18 2010-12-17 육류 제품의 요리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8673449B2 (ko)
EP (1) EP2512307B1 (ko)
JP (2) JP5904950B2 (ko)
KR (2) KR101395588B1 (ko)
CN (2) CN105615620B (ko)
AU (1) AU2010330742B2 (ko)
BR (1) BR112012012370B1 (ko)
CA (1) CA2781671C (ko)
ES (1) ES2741962T3 (ko)
MX (1) MX2012006345A (ko)
PL (1) PL2512307T3 (ko)
RU (2) RU2515995C2 (ko)
WO (1) WO201107568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1265259B2 (en) 2010-06-11 2013-05-02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Cooking belt
CN103742954A (zh) * 2014-01-22 2014-04-23 苏州新区特氟龙塑料制品厂 一种新型特氟龙微波炉垫
US20170042371A1 (en) * 2015-02-02 2017-02-16 Jack Lindon Skinner Foldable Food Grade Cooking Surface and Method of Use
JP6789655B2 (ja) * 2016-04-04 2020-11-25 中興化成工業株式会社 シート
KR102270374B1 (ko) 2016-10-24 2021-07-01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중합체 조성물, 재료 및 제조 방법
CA3109789A1 (en) * 2018-08-20 2020-02-27 Advanced Flexible Composites, Inc. Nonstick cookware and material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MX2021012536A (es) * 2019-04-15 2021-11-12 Advanced Flexible Composites Inc Materiales compuestos antiadherentes y utensilios de cocina antiadherentes moldeados.
RU197831U1 (ru) * 2020-01-28 2020-06-02 Борис Валентинович Солдатов Фильтр одноразовый
CN114145651B (zh) * 2020-09-07 2023-06-02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浆料、烹饪容器及其制备方法和烹饪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05165A (en) 1975-07-21 1981-07-14 Jacques M.L. Berghmans Fluoropolymer finishes having improved scratch resistance
US4123401A (en) 1975-07-21 1978-10-3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inishes having improved scratch resistance prepared from compositions of fluoropolymer, mica particles or metal flake, a polymer of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s and a liquid carrier
EP0074412B1 (en) * 1981-03-23 1990-07-11 Fanuc Ltd. Numerical control system
US5230937A (en) 1983-04-13 1993-07-27 Chemfab Corporation Reinforced fluoropolymer composite
AU575320B2 (en) 1983-04-13 1988-07-28 Chemical Fabrics Corporation Perfluoro plastic coated substrates
US4770927A (en) 1983-04-13 1988-09-13 Chemical Fabrics Corporation Reinforced fluoropolymer composite
US4610918A (en) 1984-04-13 1986-09-09 Chemical Fabrics Corporation Novel wear resistant fluoropolymer-containing flexible composites
US4654235A (en) 1984-04-13 1987-03-31 Chemical Fabrics Corporation Novel wear resistant fluoropolymer-containing flexible composites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JP2942389B2 (ja) 1990-06-23 1999-08-3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弗素樹脂被覆物
JPH07114753B2 (ja) 1991-06-19 1995-12-13 東邦化成株式会社 加熱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US5508084A (en) * 1991-08-28 1996-04-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positionable articles having a microstructured surface, kits for producing same, and methods of use
JP3221017B2 (ja) 1991-11-01 2001-10-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電気液体加熱器
JPH067628U (ja) * 1992-06-30 1994-02-01 特殊電極株式会社 食品の連続的焼成装置
JPH0711581A (ja) 1993-06-23 1995-01-13 Toray Ind Inc 耐熱離型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529438B2 (ja) 1994-08-31 2004-05-24 シャープ株式会社 高温加熱用調理機器の調理面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2294187A (en) 1994-10-14 1996-04-17 Philips Electronics Nv Thermal control in a liquid heater
US5755297A (en) * 1994-12-07 1998-05-26 Dresser Industries, Inc. Rotary cone drill bit with integral stabilizers
JP4078680B2 (ja) 1996-06-22 2008-04-2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耐蝕性着色フッ素樹脂被覆物
JPH10316820A (ja) 1997-03-18 1998-12-02 Toto Ltd 超撥水性表面を有する部材及び超撥水性コ−ティング組成物
WO1998047830A1 (en) * 1997-04-18 1998-10-2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ransparent beads and their production method
US5931083A (en) * 1997-08-12 1999-08-03 The Frymaster Corporation Apparatus and system for conditioning food products
JP3165114B2 (ja) * 1998-07-31 2001-05-14 エヌ・ティ・ティ・アドバンステクノロジ株式会社 四フッ化エチレン樹脂シリコーン樹脂混合塗料及びその塗膜
TW567049B (en) * 1999-12-22 2003-12-21 Du Pont Electrically heated cooking device, two-sided cooking device, clamshell cooker, process for cooking food, and disposable insert
US20020123282A1 (en) 2001-01-03 2002-09-05 Mccarthy Thomas F. Fluoropolymer composites
WO2003006565A1 (fr) 2001-06-15 2003-01-23 Daikin Industries, Ltd. Composition de revetement de fluororesine, film de revetement et objet revetu
JP2003039582A (ja) * 2001-07-19 2003-02-13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湿潤防滑性シート及び湿潤防滑構造体
KR100647157B1 (ko) 2001-07-30 2006-11-23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불소 수지 코팅용 수성 분산 조성물
JP2004033393A (ja) 2002-07-02 2004-02-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CN1565333A (zh) * 2003-06-13 2005-01-19 周衍增 高耐磨高热效不粘炒锅及其制作工艺
JP2005087526A (ja) 2003-09-18 2005-04-07 Lion Corp フライパン用調理シート
US20060102013A1 (en) * 2004-11-16 2006-05-18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Method of cooking a food item
US20060134404A1 (en) * 2004-12-16 2006-06-22 Witsch Michael J Fluoropolymer release coating with improved heat transfer
US20070178133A1 (en) * 2005-11-09 2007-08-02 Liquidia Technologies, Inc. Medical device, materials, and methods
US8455069B2 (en) 2006-02-08 2013-06-04 W. L. Gore & Associates, Inc. Surface for a food preparation device
WO2008076140A2 (en) * 2006-12-13 2008-06-26 Lee Huang Energy efficient cookware
US20090049996A1 (en) 2007-08-24 2009-02-26 Manuel Calzada Thin film cooking and food transfer devices and methods
JP5046892B2 (ja) 2007-11-30 2012-10-10 ライオン株式会社 調理補助シート
CN100595244C (zh) * 2008-03-26 2010-03-24 天津科瑞达涂料化工有限公司 水性氟树脂不粘涂料及其制备方法
RU2486216C2 (ru) 2008-12-22 2013-06-27 Сэнт-Гобэн Перформанс Пластикс Корпрейшн Ткань с покрытием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лист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13463A (ja) 2013-04-22
RU2013155977A (ru) 2015-06-27
BR112012012370A2 (pt) 2016-03-22
EP2512307A2 (en) 2012-10-24
BR112012012370B1 (pt) 2020-01-21
RU2012127693A (ru) 2014-01-27
KR101395588B1 (ko) 2014-05-16
WO2011075683A3 (en) 2011-10-20
ES2741962T3 (es) 2020-02-12
AU2010330742A1 (en) 2012-05-31
CA2781671C (en) 2016-02-02
PL2512307T3 (pl) 2019-12-31
EP2512307B1 (en) 2019-05-15
RU2515995C2 (ru) 2014-05-20
EP2512307A4 (en) 2013-05-22
KR20130127006A (ko) 2013-11-21
CN105615620B (zh) 2018-04-03
CA2781671A1 (en) 2011-06-23
WO2011075683A2 (en) 2011-06-23
CN105615620A (zh) 2016-06-01
AU2010330742B2 (en) 2013-11-07
US20140147568A1 (en) 2014-05-29
US20110146501A1 (en) 2011-06-23
JP5904950B2 (ja) 2016-04-20
US9314132B2 (en) 2016-04-19
KR101492430B1 (ko) 2015-02-11
MX2012006345A (es) 2012-06-28
RU2569249C2 (ru) 2015-11-20
CN102639039A (zh) 2012-08-15
US8673449B2 (en) 2014-03-18
CN102639039B (zh) 2016-03-02
JP2015013211A (ja) 2015-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2430B1 (ko) 육류 제품의 요리방법
RU2571341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и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ленты контейнера для жарки
KR101249276B1 (ko) 불소중합체 코팅 물품
AU2014200490B2 (en) Cooking release sheet materials and release surfa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