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7629A -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7629A
KR20120097629A KR1020110016952A KR20110016952A KR20120097629A KR 20120097629 A KR20120097629 A KR 20120097629A KR 1020110016952 A KR1020110016952 A KR 1020110016952A KR 20110016952 A KR20110016952 A KR 20110016952A KR 20120097629 A KR20120097629 A KR 20120097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terminal
connector cable
line
ear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룡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6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7629A/ko
Priority to US13/401,194 priority patent/US8742995B2/en
Publication of KR20120097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6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01Q1/46Electric supply lines or communication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73Adaptation for carrying or wearing by persons or anim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3/00Antennas with active circuits or circuit elements integrated within them or attached to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orientation by switching energy from one active radiating element to another, e.g. for beam switching
    • H01Q3/247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orientation by switching energy from one active radiating element to another, e.g. for beam switching by switching different parts of a primary active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FM 라디오방송과 DMB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로 사용될 때 안테나의 방사 특성을 고려하여 스위칭 기능을 갖도록 구현되는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DMB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안테나라인을 내장한 제 1 커넥터 케이블; 제 1 안테나라인과 연결되어 FM 라디오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제 2 안테나라인을 내장한 제 2 커넥터 케이블; 및 제 1 커넥터 케이블과 제 2 커넥터 케이블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안테나라인과 제 2 안테나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거나 분리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이어폰으로 FM 라디오방송과 DMB의 안테나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Earphone antenna of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FM 라디오방송과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로 사용될 때 안테나의 방사 특성을 고려하여 스위칭 기능을 갖도록 구현되는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요자들의 요구에 따라 DMB 기능과 FM 라디오방송 기능을 모두 갖춘 휴대단말기가 많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DMB와 FM 라디오방송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안테나가 필요한데, 특히, FM 라디오방송의 경우, 이어폰 안테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100)는 커넥터 케이블(connector cable; 110), 좌측스피커 케이블(left speaker cable; 141L) 및 우측스피커 케이블(right speaker cable; 141R)을 포함한다. 커넥터 케이블(110)은 일단이 커넥터(connector; 120)와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이 좌측스피커 케이블(141L)과 우측스피커 케이블(141R)에 연결되어 있다. 좌측스피커 케이블(141L)의 일단에는 좌측 이어폰스피커(left earphone speaker; 140L)가 형성되어 있으며, 우측스피커 케이블(141R)의 일단에는 우측 이어폰스피커(right earphone speaker; 140R)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케이블(110)의 내부에는 커넥터(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FM 라디오방송용 안테나라인(antenna line)(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FM 라디오방송용 안테나라인은 커넥터(120)가 휴대단말기의 이어잭(ear jack; 196)에 연결되면 FM 라디오방송을 수신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100)는 FM 라디오방송만을 수신하고, DMB는 휴대단말기(190)에 장착되어 있는 리트랙터블 안테나(retractable antenna; 195)에 의해 수신되었다. 그런데, 리트랙터블 안테나(195)는 휴대단말기(190)에 내장되어 있을 때 휴대단말기(190)의 내부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휴대단말기(190)의 소형화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리트랙터블 안테나(195)가 탈착가능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리트랙터블 안테나(195)와 휴대단말기(190)를 연결하는 커넥터(도시되지 않음)가 파손되거나 리트랙터블 안테나(195)를 분실하는 경우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이어폰으로 FM 라디오방송과 DMB의 안테나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DMB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안테나라인을 내장한 제 1 커넥터 케이블; 제 1 안테나라인과 연결되어 FM 라디오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제 2 안테나라인을 내장한 제 2 커넥터 케이블; 및 제 1 커넥터 케이블과 제 2 커넥터 케이블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안테나라인과 제 2 안테나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거나 분리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DMB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안테라인과, 제 1 안테나라인과 연결되어 FM 라디오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제 2 안테나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거나 분리하는 스위치를 포함함으로써, 하나의 이어폰으로 FM 라디오방송과 DMB의 안테나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 휴대단말기를 더욱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제 1 안테나라인을 DMB 안테나와 FM 라디오방송 안테나의 일부로 공용함으로써, 원가절감 및 사용의 편리함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의 스위치의 내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의 스위치 조작부가 DMB 안테나 모드 위치(A)에 있을 때의 스위치의 내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의 제 1 커넥터 케이블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 1 커넥터 케이블의 변형례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의 스위치의 내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의 스위치 조작부가 DMB 수신위치(A)에 있을 때의 스위치의 내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의 제 1 커넥터 케이블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 1 커넥터 케이블의 변형례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2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200)는 제 1 커넥터 케이블(210a), 제 2 커넥터 케이블(210b) 및 스위치(230)를 포함한다.
제 1 커넥터 케이블(210a)은,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200)를 휴대단말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시키며, DMB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안테나라인(210Ga)이 내장되어 있는 케이블이다. 제 1 커넥터 케이블은, 일단에 휴대단말기의 이어잭에 삽입하기 위한 커넥터(220)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이 스위치(230)와 연결되어 있다. 제 1 커넥터 케이블(210a)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외면에 절연체(250)가 피복되어 있는 좌측음성신호라인(210L), 우측음성신호라인(210R), 마이크신호라인(210M) 및 제 1 안테나라인(210Ga)을 포함한다. 절연체(250)의 외면에는 절연성자켓(260)이 피복되어 있다.
좌측음성신호라인(210L)은 일단이 커넥터(220)의 좌측음성단자(220L)와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이 제 2 커넥터 케이블(210b)과 좌측스피커 케이블(241L)을 통해 좌측 이어폰스피커(240L)에 연결되어 있다. 우측음성신호라인(210R)은 일단이 커넥터(220)의 우측음성단자(220R)와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이 제 2 커넥터 케이블(210b)과 우측스피커 케이블(241R)을 통해 우측 이어폰스피커(240R)에 연결되어 있다. 마이크신호라인(210M)은 일단이 커넥터(220)의 마이크단자(220M)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이 마이크(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안테나라인은 일단이 커넥터(220)의 그라운드겸용 안테나단자(220G)와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이 스위치(230)의 제 1 안테나라인단자(211a)에 연결되어 있다.
DMB의 주파수는 174~216 MHz로서, λ/4를 만족하는 길이가 대략 40cm이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안테나 라인(210Ga)이 제 1 커넥터 케이블(210a)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커넥터 케이블(210a)의 길이(L1)가 40c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여, 도 5에 도시된 제 1 커넥터 케이블의 변형례의 내부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제 1 커넥터 케이블(270a)은, 도 5에 도시된 제 1 커넥터 케이블(210a)과 유사하게, 각각의 외면에 절연체(251)가 피복되어 있는 좌측음성신호라인(270L), 우측음성신호라인(270R), 마이크신호라인(270M)을 포함하고 있으며, 절연체(250)의 외부에 절연성자켓(261)이 피복되어 있다. 다만, 절연피복(252)이 절연체(251)와 절연성자켓(261)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안테나라인(270Ga)이 절연피복(252)의 외면을 나선형으로 감싸고 있는 점이 다르다. 본 변형례에 따르면, 제 1 안테나라인(270Ga)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커넥터 케이블(210a)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짧은 제 1 커넥터 케이블로 DMB 안테나 기능을 하는 제 1 안테나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 커넥터 케이블(210b)은 스위치(230)와 좌ㅇ우측스피커 케이블(241L, 241R)을 연결하며, 제 1 안테나라인(210Ga)과 연결되어 FM 라디오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제 2 안테나라인(210Gb)이 내장되어 있는 케이블이다. FM 라디오방송의 주파수는 88~108MHz로서, DMB의 주파수보다 짧아서 λ/4는 더 길어지기 때문에, 제 2 안테나라인(210Gb)이 제 1 안테나라인(210Ga)과 연결되어 제 1 안테나라인(210Ga)보다 더 긴 안테나라인을 형성하여, FM 라디오방송을 수신하게 된다.
제 2 커넥터 케이블(210b)은, 그 내부가 도면에 따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5에 도시된 제 1 커넥터 케이블(210a)과 유사하게, 각각의 외면에 절연체(250)가 피복되어 있는 좌측음성신호라인(210L), 우측음성신호라인(210R), 마이크신호라인(210M) 및 제 2 안테나라인(210Gb)을 포함한다. 만약, 마이크가 스위치(230) 또는 제 1 커넥터 케이블(210a)의 경로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마이크신호라인(210M)은 제 2 커넥터 케이블(210b)에 포함되지 않을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2 커넥터 케이블(210b)은 스위치(230)에 고정되어 있다.
스위치(230)는 제 1 안테나라인(210Ga)과 제 2 안테나라인(210Gb)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거나 분리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 케이블(210a)과 제 2 커넥터 케이블(210b)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230)는 조작부(231), 조작부단자(232), 제 1 안테나라인(210Ga)의 말단에 연결된 제 1 안테나라인단자(211a), 및 제 2 안테나라인(210Gb)의 말단에 연결된 제 2 안테나라인단자(211b)를 포함한다. 조작부(231)는 사용자가 DMB 안테나 모드 또는 FM 라디오방송 안테나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조작하는 구성요소이다. 조작부단자(232)는 조작부(231)에 고정되어 제 1 안테나라인단자(211a)와 제 2 안테나라인단자(211b)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거나 분리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 1 안테나라인단자(211a)와 접촉하는 제 1 조작부단자(232a)와 제 2 안테나라인단자(211b)와 접촉하는 제 2 조작부단자(232b)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231)가 FM 라디오방송 안테나 모드 위치(B)에 있는 경우, 제 1 안테나라인과 제 2 안테나라인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 1 안테나라인과 제 2 안테나라인이 하나의 FM 라디오방송 안테나의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조작부(231)가, 도 2에 도시된 DMB 안테나 모드 위치(B)에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조작부단자(232b)가 제 2 안테나라인단자로부터 분리되어, 제 1 안테나라인과 제 2 안테나라인은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이에 따라, 제 1 안테나라인이 홀로 DMB 안테나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3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300)는 제 1 커넥터 케이블(310a), 제 2 커넥터 케이블(310b) 및 스위치(330)를 포함한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300)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200)와 달리, 제 2 커넥터 케이블(310b)이 스위치로(330)부터 탈착가능하다. 이러한 탈착가능한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 2 커넥터 케이블(310b)의 일단에는 제 2 커넥터 케이블(310b)을 스위치(330)와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321)가 형성되어 있고, 스위치(330)에는 커넥터(321)를 삽입하기 위한 이어잭(333)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커넥터 케이블(310b)의 커넥터(321)는, 제 1 커넥터 케이블(310a)의 커넥터(320)와 유사하게 좌측음성단자(321L), 우측음성단자(321R), 마이크단자(321M) 및 그라운드겸용 안테나단자(321G)를 포함한다. 좌측음성단자(321L)는 제 1 커넥터 케이블(310a)의 좌측음성신호라인과 제 2 커넥터케이블(310b)의 좌측음성신호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우측음성단자(321R)는 제 1 커넥터 케이블(310a)의 우측음성신호라인과 제 2 커넥터 케이블(310b)의 우측음성신호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마이크단자(321M)는 제 1 커넥터 케이블(310a)의 마이크신호라인과 제 2 커넥터 케이블(310b)의 마이크신호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그라운드겸용 안테나단자(321G)는 제 1 커넥터 케이블(310a)의 제 1 안테나라인과 제 2 커넥터 케이블(310b)의 제 2 안테나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300)의 구성은, 이러한 구조를 제외하면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200)의 구성과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커넥터 케이블(310a)만을 휴대단말기의 이어잭에 연결하여 DMB를 시청할 수 있다. 이 때, DMB의 음향은 휴대단말기의 스피커로 듣게 된다.
또한, 제 2 커넥터 케이블(310b)의 커넥터(321)를 스위치(330)의 이어잭(333)에 연결하여, 이어폰 스피커(340L, 340R)를 통하여 DMB를 시청할 수도 있다. 휴대단말기는 제 2 커넥터 케이블(310b)이 스위치(330)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저항을 감지하여 판단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스위치(330)의 조작부(331)를 DMB 안테나 모드 위치(A)와 FM 라디오방송 안테나 모드 위치(B) 중 하나에 위치시킴으로써 DMB를 시청할 수도 있고, FM 라디오방송을 청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중심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된 형태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200, 300: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
110: 커넥터 케이블 120, 220, 320, 321: 커넥터
141L, 141R, 241L, 241R, 341L, 341R: 스피커 케이블
140L, 140R, 240L, 240R, 340L, 340R: 이어폰스피커
190: 휴대단말기 195: 리트랙터블 안테나
210a, 310a: 제 1 커넥터 케이블 210b, 310b: 제 2 커넥터 케이블
230, 330: 스위치 231, 331: 조작부
210L, 210R, 270L, 270R: 음성신호라인 210M, 270M: 마이크신호라인
210Ga, 270Ga: 제 1 안테나라인 210Gb: 제 2 안테나라인
232: 조작부단자 211a: 제 1 안테나라인단자
211b: 제 2 안테나라인단자
220L, 220R, 320L, 320R, 321L, 321R: 음성단자
220M, 320M, 321M: 마이크단자
220G, 320G, 321G: 그라운드겸용 안테나단자

Claims (7)

  1. DMB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안테나라인을 내장한 제 1 커넥터 케이블;
    상기 제 1 안테나라인과 연결되어 FM 라디오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제 2 안테나라인을 내장한 제 2 커넥터 케이블; 및
    상기 제 1 커넥터 케이블과 상기 제 2 커넥터 케이블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안테나라인과 상기 제 2 안테나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거나 분리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라인의 길이는 40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사용자가 DMB 안테나 모드 또는 FM 라디오방송 안테나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제 1 안테나라인의 말단에 연결된 제 1 안테나라인단자와 상기 제 2 안테나라인의 말단에 연결된 제 2 안테나라인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거나 분리시키기 위한 조작부단자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 케이블이 상기 스위치로부터 탈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 케이블의 일단에는 상기 제 2 커넥터 케이블을 상기 스위치와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에는, 상기 제 2 커넥터 케이블의 커넥터를 삽입하기 위한 이어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
KR1020110016952A 2011-02-25 2011-02-25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 KR2012009762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952A KR20120097629A (ko) 2011-02-25 2011-02-25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
US13/401,194 US8742995B2 (en) 2011-02-25 2012-02-21 Earphone antenna of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952A KR20120097629A (ko) 2011-02-25 2011-02-25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629A true KR20120097629A (ko) 2012-09-05

Family

ID=46718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952A KR20120097629A (ko) 2011-02-25 2011-02-25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42995B2 (ko)
KR (1) KR201200976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53918A (zh) * 2016-07-22 2016-12-21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防尘塞以及信号处理方法
US9876884B2 (en) 2016-02-12 2018-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52430B (zh) 2013-09-26 2016-10-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連接器、天線及電子裝置
KR102396558B1 (ko) 2017-09-28 2022-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폰 안테나를 위한 이어잭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7728991B (zh) * 2017-09-30 2021-01-15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和fm播放方法
CN109121034B (zh) 2018-08-01 2020-06-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基于音量的主从切换方法及相关产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3690B1 (ko) 2005-03-09 2006-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길이 선택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용이어폰
JP4123262B2 (ja) * 2005-10-07 2008-07-23 ソニー株式会社 イヤホンアンテナ
JP2007150386A (ja) * 2005-11-24 2007-06-14 Mitsumi Electric Co Ltd イヤホンアンテナ
US8428670B2 (en) * 2007-04-11 2013-04-23 Sony Corporation Reception device, antenna, and junction cab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76884B2 (en) 2016-02-12 2018-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erefor
CN106253918A (zh) * 2016-07-22 2016-12-21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防尘塞以及信号处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18158A1 (en) 2012-08-30
US8742995B2 (en) 2014-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4895B2 (ja) アンテナ装置
KR20120097629A (ko)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
JP4743240B2 (ja) 受信装置、中継ケーブル及び電源装置
JP2006025392A (ja) イヤホンケーブルアンテナ装置、接続ケーブル及び放送受信装置
US20090169044A1 (en) Earphone Antenna
WO2005124923A1 (ja) 携帯電話機
JP2006345307A (ja) 線状アンテナ
US20130222702A1 (en) Headset, circuit structure of mobile apparatus, and mobile apparatus
CN202679578U (zh) 具有天线的耳机
US8848104B2 (en) Whip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8379900B2 (en) Connecting device, antenna device, and receiving device
JP4743148B2 (ja) 受信装置及びアンテナ
US7856259B2 (en) In-built FM antenna
JP2010068168A (ja) 受信装置、中継ケーブル及び電源装置
JP4715603B2 (ja) アンテナ装置
CN106688142B (zh) 天线
KR20110099515A (ko) 이에스디 강화 기능을 갖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KR101853123B1 (ko) 이어폰 안테나 장치
KR101624915B1 (ko) 휴대단말기 이어폰 안테나
JP5007806B2 (ja) イヤホンアンテナ装置
KR101175744B1 (ko) 안테나 내장형 이어폰 어셈블리
JP5303872B2 (ja) 受信装置及び中継ケーブル
JP2009021795A (ja) イヤホン、アンテナ及び携帯型電子機器
JP4924171B2 (ja) 受信装置、アンテナ及び中継ケーブル
KR20060014236A (ko)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수신기능을 구비한 신호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