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9399A -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 서버 및 전기차의 단말 - Google Patents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 서버 및 전기차의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9399A
KR20120089399A KR1020100114825A KR20100114825A KR20120089399A KR 20120089399 A KR20120089399 A KR 20120089399A KR 1020100114825 A KR1020100114825 A KR 1020100114825A KR 20100114825 A KR20100114825 A KR 20100114825A KR 20120089399 A KR20120089399 A KR 20120089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electric vehicle
energy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8223B1 (ko
Inventor
오창윤
이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4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223B1/ko
Publication of KR20120089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9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4Optimising energy costs, e.g. responding to electricity 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80Exchanging energy storage elements, e.g. removable batt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을 위한 방법, 서버 및 전기차의 단말이 제공된다.
전기차의 단말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운용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전기차의 단말은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수신한다.

Description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 서버 및 전기차의 단말{Method, Server and Terminal of Electric Vehicle for Manag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서 전기 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에게 보다 유용한 충전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하루 중 사용되는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보면, 전체 사용량에 대비하여 특정 시간대의 에너지 사용량이 집중될 수 있다. 전기 에너지 공급소는 특정 시간대의 최대 에너지 사용량까지 커버하도록 에너지를 공급하고, 또한 예측 불가한 추가 수요를 고려하여 추가 에너지를 생산한다. 또한 전기 에너지 공급소의 사업자는 최대 에너지 사용량을 고려하여 전기 에너지 공급소의 생산 및 관리 시설을 증대시킨다.
전기 에너지 생산 및 사용에 따른 비용, 그리고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환경적인 사항 등을 고려하여, 전기 에너지 공급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전기 에너지를 운송 수단에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충전 시스템 및 충전소 인프라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일측에 따르면, 서버의 전기차(electric vehicle) 충전 시스템 운영(managing) 방법은, 충전소들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prices)을 저장부에 유지하는 단계, 전기차의 단말로부터 상기 전기차의 위치 정보 및 배터리 레벨을 포함하는 차량 운용 메시지(vehicle operation message)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배터리 레벨을 이용하여 상기 충전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상기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충전소들은 현재 시각 이후의 적어도 둘의 시구간에 대응하는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상기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현재 시각 이후의 적어도 둘의 시구간에 대응하는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플러그인 방식의 에너지 가격들 및 충전소 배터리와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가 교환되는 배터리 교환 방식의 에너지 가격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는 상기 전기차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에너지 가격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지정된 에너지 가격 정보에 상응하는 가격과 같거나 작은 에너지 가격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는 상기 전기차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시구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상기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상기 지정된 시구간 정보에 상응하는 시구간의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는 상기 전기차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지역 정보에 상응하는 지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는 상기 전기차의 이동 목적지 및 상기 전기차의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목적지 및 상기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경로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상기 전기차가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 및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예약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 예약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단말에게 구매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로 구매 예약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구매 예약 정보는 상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 상기 전기차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전기차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단말에게 상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이력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일측에 따르면, 전기차(electric vehicle) 충전 시스템 운영(managing)을 위한 서버는, 충전소들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prices)을 유지하는 저장부, 전기차의 단말로부터 상기 전기차의 위치 정보 및 배터리 레벨을 포함하는 차량 운용 메시지(vehicle operation message)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배터리 레벨을 이용하여 상기 충전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상기 단말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플러그인 방식의 에너지 가격들 및 충전소 배터리와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가 교환되는 배터리 교환 방식의 에너지 가격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는 상기 전기차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에너지 가격 정보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상기 지정된 에너지 가격 정보에 상응하는 가격과 같거나 작은 에너지 가격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탐색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는 상기 전기차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시구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상기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상기 지정된 시구간 정보에 상응하는 시구간의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는 상기 전기차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지역 정보에 상응하는 지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탐색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는 상기 전기차의 이동 목적지 및 상기 전기차의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목적지 및 상기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경로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탐색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상기 전기차가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 및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예약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구매 예약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단말에게 구매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로 구매 예약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구매 예약 정보는 상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 상기 전기차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전기차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는 상기 단말에게 상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이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일측에 따르면, 전기차의 단말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은, 서버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운용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 및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예약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 예약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버로부터 구매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특정 지역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특정 지역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기초로 시간대별 참조 가격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참조 가격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가격을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에 포함될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전기 에너지 가격 정보로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상기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전기차의 배터리에 충전되는 플러그인 방식의 에너지 가격들 및 충전소 배터리와 전기차의 배터리가 교환되는 배터리 교환 방식의 에너지 가격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에너지 가격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상기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상기 지정된 에너지 가격 정보에 상응하는 가격과 같거나 작은 에너지 가격을 갖을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시구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상기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상기 지정된 시구간 정보에 상응하는 시구간의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는 상기 충전 지역 정보에 상응하는 지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는 전기차의 이동 목적지 및 전기차의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일측에 따르면,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을 위한 전기차의 단말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운용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수신하고, 구매 예약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구매 예약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버로부터 구매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 및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구매 예약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특정 지역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수신하는 제2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지역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기초로 시간대별 참조 가격들을 생성하고, 상기 참조 가격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가격을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에 포함될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전기 에너지 가격 정보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상기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전기차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플러그인 방식의 에너지 가격들 및 충전소 배터리와 전기차의 배터리가 교환되는 배터리 교환 방식의 에너지 가격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에너지 가격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상기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상기 지정된 에너지 가격 정보에 상응하는 가격과 같거나 작은 에너지 가격을 갖을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시구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상기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상기 지정된 시구간 정보에 상응하는 시구간의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는 상기 충전 지역 정보에 상응하는 지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는 전기차의 이동 목적지 및 전기차의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이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충전소들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저장부에 유지하고, 차량 운용 메시지를 이용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전기차의 단말에게 전송함으로써, 전기 에너지가 보다 효율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 서버 및 전기차의 단말이 제공된다.
또한, 전기차의 단말은 서버로부터 전기차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플러그인 방식의 에너지 가격 및 충전소 배터리와 전기차의 배터리가 교환되는 배터리 교환 방식의 에너지 가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충전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 서버 및 전기차의 단말이 제공된다.
또한, 전기차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에너지 가격 정보 및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충전소가 탐색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신뢰성 있는 충전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 서버 및 전기차의 단말이 제공된다.
도 1은 일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전기차의 에너지 공급 방식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서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차량 운용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사용자 터미널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충전소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절차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의 다른 측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절차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서버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의 다른 측에 따른 서버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일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전기차의 단말의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일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충전소를 선택하는 개념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전기차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구동하는 차량으로서, 전기 모터 및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차는 전기 에너지만으로 구동력을 얻는 전기 전용 차량 및 하이브리드 차량을 포함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구동할 수도 있고, 석유 및 수소 등의 에너지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차량일 수 있다.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서버(110), 전기차의 단말(120) 및 충전소(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10)와 전기차의 단말(120)의 연결은 무선 방식의 통신 연결일 수 있다. 서버(110)와 충전소(130)의 연결은 유무선 통신 방식에 제한 없이 서버(11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통신 연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10)는 인터넷으로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서버(110)와 전기차의 단말(120)의 연결을 위해 WiMAX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서버(110)와 충전소(130)의 연결에는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통신 방식들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충전소(130)는 충전소(130)의 단말일 수 있다. 충전소(130)의 단말은 충전소(130)에 구비된 컴퓨터 또는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상기 충전소(130)을 포함하는 복수의 충전소들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충전소들은 상기 서버(110)과 통신 연결을 이룰 수 있다.
전기차의 단말(120)은 차량 운용 장치(121) 및/또는 사용자 터미널(122)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운용 장치(121)는 전기차의 위치 정보 및 배터리 상태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운용 장치(121)는 전기차에 포함되거나, 전기차와 연동 가능한 블랙박스일 수 있다. 사용자 터미널(122)은 사용자에게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전기차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에너지 가격 또는 전기차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충전 지역 등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기차의 단말(120)은 차량 운용 장치(121) 및 사용자 터미널(122)이 결합된 하나의 장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기차의 단말(12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출력장치를 포함하는 블랙박스일 수 있다. 차량 운용 장치(121) 및 사용자 터미널(122)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ZigBee)와 같은 근거리 통신, WiMAX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전기차의 에너지 공급 방식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서 전기차의 에너지 공급 방식으로 사용되는 방식은 배터리 교환 방식(210) 및/또는 플러그인 방식(220)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교환 방식(210)은 충전소에 구비된 충전소 배터리(215)와 전기차(200)에 장착된 배터리(205)가 교환되는 방식일 수 있다. 플러그인 방식(220)은 충전기(225)를 통해 전기차(200)의 배터리(205)에 전기 에너지가 충전되는 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교환 방식(210)이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가 지정한 에너지량만큼 충전하기까지 걸리는 충전시간과 관계없이 배터리의 교환을 통해 전기차(200)에 전기 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충전소 배터리(215)와 교환되기 전의 배터리(205)의 배터리 레벨?? 여기서, 배터리 레벨은 배터리(205)에 남은 전기 에너지량을 나타냄 ??에 따라 배터리 교환 방식(210)의 가격에 남은 전기 에너지량에 대한 충전소에서 지정하는 보상 가격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서 배터리 교환 방식(210) 및 플러그인 방식(220)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차의 사용자는 전기차(200)의 배터리(205)가 충전되는데 소요되는 충전시간 및 비용을 고려하여, 전기차의 에너지 공급 방식으로 플러그인 방식(220) 또는 배터리 교환 방식(210)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전기차의 단말(120)은 충전시간 및 비용을 고려하여 플러그인 방식(220) 또는 배터리 교환 방식(210)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에너지 공급 방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에너지 공급소(예를 들어, 발전소)는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의 사용량을 고려하여 전기 에너지 가격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시간, 하루 또는 일주일 주기에 따라, 또는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업데이트하는 특정 이벤트에 따라, 현재 시각 이후의 24시간 동안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이 설정될 수 있다. 에너지 공급소에서 도 1의 충전소(130)로 공급되는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참조하여, 충전소(130)는 전기차에게 공급하는 전기 에너지에 대한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310 또는 320)을 결정할 수 있다. 전기 에너지 가격들(310 또는 320)은 전기차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플러그인 방식의 에너지 가격들(312 또는 322) 및 충전소 배터리와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가 교환되는 배터리 교환 방식의 에너지 가격(311 또는 32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소(130)는 플러그인 방식의 시간대별 에너지 가격들(312 또는 322) 및/또는 배터리 교환 방식의 시간대별 에너지 가격들(311 또는 321)에 대한 정보를 서버(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버(110)는 충전소(130)에 대한 플러그인 방식의 시간대별 에너지 가격들(312 또는 322) 및/또는 배터리 교환 방식의 시간대별 에너지 가격들(311 또는 321)을 저장부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서 적용되는 전기차의 에너지 공급 방식에 따라 플러그인 방식의 시간대별 에너지 가격들(312 또는 322) 또는 배터리 교환 방식의 시간대별 에너지 가격들(311 또는 321)이 충전소(130)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320)은 현재 시각을 포함하는 시구간 또는 현재 시각 이후의 1 일(24 시간)내에 적어도 둘의 시구간에 대응하는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인 방식의 에너지 가격들(322) 및 배터리 교환 방식의 에너지 가격들(321) 각각은 현재 시각 이후의 24 시간 내에 적어도 둘의 시구간에 대응하는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전기 에너지 가격들(320)에 상응하는 시간대는 미리 설정된 시구간들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13시부터 18시까지의 시구간이 미리 설정된 경우, 충전소들 각각은 해당 시구간에 상응하는 전기 에너지 가격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시간(예를 들어, 1 시간)이 특정 가격이 설정되어 유지되는 최소 시구간으로 약속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플러그인 방식의 에너지 가격들(322) 및 배터리 교환 방식의 에너지 가격들(321)에 상응하는 시간대는 서로 동일한 미리 설정된 시구간들(예를 들어, 0~t1)을 포함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서로 다른 시구간(예를 들어, t1~t2와 t1~t3)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서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서버(110)는 통신부(405), 저장부(430) 및 제어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430)는 충전소(130)를 포함하는 충전소들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prices)을 유지할 수 있다. 통신부(405)는 전기차의 단말(120)로부터 전기차의 위치 정보 및/또는 배터리 레벨을 포함하는 차량 운용 메시지(vehicle operation message)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운용 메시지는 전기차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에너지 가격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운용 메시지는 전기차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시구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운용 메시지는 전기차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운용 메시지는 전기차의 이동 목적지 및 전기차의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운용 메시지는 충전소 정보 요청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전기차의 위치 정보 및/또는 배터리 레벨을 이용하여 충전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선택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전기차의 단말(1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405)는 제1 통신부(410) 및 제2 통신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제1 통신부(410) 및 제2 통신부(420)는 하나의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통신부(410)는 전기차의 단말(120)로부터 차량 운용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통신부(410)는 전기차의 단말(120)에게 제어부(440)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기차의 단말(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부(410)는 전기차의 단말(120)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전기차가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 및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예약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부(410)는 구매 예약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전기차의 단말(120)에게 구매 확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부(410)는 전기차의 단말(120)에게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이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부(410)는 충전소(130)를 포함한 충전소들로부터 충전소의 위치 정보 및/또는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수신할 수 있다.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플러그인 방식의 시간대별 에너지 가격들 및 배터리 교환 방식의 시간대별 에너지 가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부(410)는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예를 들어, 충전소(130))로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 및 전기차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통신부(420)는 충전소(130)를 포함하는 충전소들로부터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부(420)는 전기차의 단말(120)로부터 구매 예약 메시지가 수신된 후,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로 구매 예약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430)는 제2 통신부(420)로부터 수신한 충전소(130)를 포함하는 충전소들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prices)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30)는 충전소들의 위치 정보를 충전소들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prices)과 함께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전기차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플러그인 방식의 에너지 가격들 및 충전소의 배터리와 전기차의 배터리가 교환되는 배터리 교환 방식의 에너지 가격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430)는 제1 통신부(410)로부터 수신한 차량 운용 메시지 또는 차량 운용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30)는 제1 통신부(410)로부터 수신한 구매 예약 메시지 또는 구매 예약 메시지에 포함된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 및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위치 정보 및/또는 배터리 레벨을 이용하여 충전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선택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전기차의 단말(1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산출부(441), 탐색부(442) 및 메시지 생성부(443)를 포함할 수 있다.
산출부(441)는 차량 운용 메시지에 포함된 배터리 레벨을 이용하여 이동 가능한 거리 및/또는 이동 가능한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탐색부(442)는 산출된 이동 가능한 거리 및/또는 이동 가능한 시간, 차량 운용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 전기차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에너지 가격 정보, 전기차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시구간 정보 또는 전기차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 등을 고려하여 시간대별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탐색할 수 있다. 탐색부(442)는 시간대별로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선택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및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에 대한 정보를 메시지 생성부(443)로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 생성부(443)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및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시지는 충전소의 위치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생성부(443)는 전기차의 단말(120)에게 전송할 구매 확인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구매 확인 메시지는 전기차의 단말(120)로부터 수신된 구매 예약 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다. 메시지 생성부(443)는 저장부(430)를 액세스하여 전기차의 단말(120)에게 전송할 충전 이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충전 이력 정보는 구매 예약 메시지에 포함된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들을 누적하여 관리되는 정보일 수 있다. 충전 이력 정보는 충전소들의 위치, 충전소들이 위치한 지역(또는 영역), 또는 충전소들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이력 정보는 상기 정보들의 통계를 바탕으로 지역별 평균적인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생성부(443)는 전기차의 단말(120)로부터 구매 예약 메시지가 수신된 후,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로 전송할 구매 예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매 예약 정보는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 및 전기차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매 예약 정보는 전기차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110)는 충전소들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저장부(430)에 유지하고, 차량 운용 메시지를 이용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전기차의 단말(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기차의 단말(120) 또는 전기차의 사용자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가지고, 에너지 공급 비용에 대한 경제성 및 에너지 공급 시간에 대한 효율성을 함께 고려하여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 및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을 선택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차량 운용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의 전기차의 단말(120)은 차량 운용 장치(121)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운용 장치(121)는 전기차에 포함되거나, 또는 전기차와 연동될 수 있다. 차량 운용 장치(121)는 제어부(550) 및 제1 통신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50)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운용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통신부(510)는 차량 운용 메시지를 서버(110)로 전송하고, 차량 운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1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수신하고, 구매 예약 메시지를 서버(110)로 전송하고, 구매 예약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110)로부터 구매 확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550)는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 및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예약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통신부(510)는 차량 운용 메시지를 서버(110)로 전송하고, 차량 운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1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전기차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플러그인 방식의 에너지 가격들 및 충전소 배터리와 전기차의 배터리가 교환되는 배터리 교환 방식의 에너지 가격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매 예약 메시지를 서버(110)로 전송하고, 구매 예약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110)로부터 구매 확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 운용 장치(121)는 제2 통신부(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부(520)는 사용자 터미널(122)로부터 특정 지역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터미널(122)이 차량 운용 장치(121)에 근접하는 경우, 차량 운용 장치(121)는 자동으로 사용자 터미널(122) 과 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하고, 사용자 터미널(122)로부터 특정 지역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포함한 초기화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50)는 특정 지역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기초로 시간대별 참조 가격들을 생성하고, 참조 가격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가격을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에 포함될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전기 에너지 가격 정보로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지역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서버(110)에서 생성된 충전 이력 정보에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서버(1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수신한 경우, 제2 통신부(520)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사용자 터미널(122)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2 통신부(520)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 및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를 사용자 터미널(12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로부터 구매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제2 통신부(520)는 구매 확인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터미널(122)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구매 확인 메시지에 대한 정보는 계약 정보 또는 계약에 대한 취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부(520)는 사용자 터미널(122)로부터 전기차의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시구간 정보,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 또는 목적지에 대한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부(520)는 사용자 터미널(122)로부터 충전소 정보 요청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차량 운용 장치(121)에서 제2 통신부(520)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운용 장치(121)는 입력부(미도시) 및 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운용 장치(121)에서 제2 통신부(520)가 없고, 입력부 및 출력부가 더 포함되는 경우, 제2 통신부(520)에서 송수신에 대응하던 정보의 송수신 동작들 각각은 입력부 또는 출력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입력부 및 출력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입력부는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 및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에 대한 정보를 전기차의 사용자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는 전기차의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시구간 정보,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 또는 목적지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출력부는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로부터 구매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출력부는 구매 확인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에 따르면, 제2 통신부(520)는 사용자 터미널(122)에게 전기차의 위치 정보 및/또는 배터리 레벨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부(520)는 전기차의 이동방향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부(520)는 사용자 터미널(122)로부터 사용자의 목적지,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 또는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차량 운용 장치(121)는 검출부(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검출부(530)는 전기차의 위치 정보 및/또는 배터리 레벨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검출부(530)는 전기차의 이동 방향을 획득할 수 있다. 검출부(530)는 위치 정보 또는 이동 방향을 획득하기 위해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나침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레벨은 전기차의 배터리에 남은 전기 에너지량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전히 충전될 수 있는 전기 에너지량을 100%로 가정할 경우, 배터리 레벨은 퍼센티지로 표현되는 상대적으로 남아 있는 전기 에너지량의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전기차의 배터리에 대응하는 배터리의 용량이 미리 알려져 있거나, 배터리 용량 정보를 알 수 있는 경우, 실제 남아 있는 전기 에너지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레벨은 남아 있는 전기 에너지량을 일의 양(예를 들어, 150 KWh)으로 표시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배터리 레벨은 충전될 수 있는 전기 에너지량에 대한 정보 또는 배터리 용량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저장부(540)는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에 대한 정보 및/또는 구매 예약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540)는 사용자 터미널(122)로부터 수신된 특정 지역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 및/또는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540)는 전기차의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지정된 시구간 정보,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 목적지, 또는 충전소 정보 요청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540)는 구매 확인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540)는 검출부(530)로부터 수신한 전기차의 위치 정보, 이동 방향, 또는 배터리 레벨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550)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운용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50)는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 및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예약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550)는 결정부(551) 및 메시지 생성부(55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에너지 가격 정보가 획득되지 않은 경우, 결정부(551)는 특정 지역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기초로 시간대별 참조 가격들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지역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서버(110)에서 수신된 충전 이력 정보에 포함된 것일 수 있다. 결정부(551)는 참조 가격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가격을 차량 운용 메시지에 포함될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전기 에너지 가격 정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메시지 생성부(552)는 차량 운용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차량 운용 메시지는 전기차의 위치 정보 및/또는 배터리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운용 메시지는 전기차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에너지 가격 정보, 지정된 시구간 정보,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 전기차의 이동 목적지, 전기차의 이동 방향, 충전소 정보 요청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수신한 경우, 메시지 생성부(552)는 사용자 터미널(122)에게 전송할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생성부(552)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 및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예약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로부터 구매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메시지 생성부(552)는 사용자 터미널(122)과의 프로토콜 또는 정보의 형태에 맞도록 구매 확인 메시지를 변형하여 변형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2 통신부(520)로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메시지 생성부(552)는 수신된 메시지를 변형하지 않고 바이패스 할 수도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사용자 터미널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의 전기차의 단말(120)은 사용자 터미널(12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터미널(122)은 전기차에 포함되거나, 또는 전기차 및/또는 차량 운용 장치(121)와 연동될 수 있다.
일측에 따라, 사용자 터미널(122)은 제2 통신부(620), 저장부(640), 제어부(650), 입력부(630) 및 출력부(6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부(620)는 도 5의 차량 운용 장치(121)에게 특정 지역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부(620)는 차량 운용 장치(121)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부(620)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 및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를 차량 운용 장치(121)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부(620)는 차량 운용 장치(121)로부터 구매 확인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부(620)는 전기차의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시구간 정보,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 또는 목적지에 대한 정보 등을 차량 운용 장치(121)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부(620)는 차량 운용 장치(121)에게 충전소 정보 요청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640)는 차량 운용 장치(121)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640)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에너지를 공급할 충전소 및/또는 에너지를 공급할 시구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640)는 특정 지역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 전기차의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지정된 시구간 정보,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 목적지, 또는 충전소 정보 요청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640)는 구매 확인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650)는 특정 지역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 전기차의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지정된 시구간 정보,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 목적지, 또는 충전소 정보 요청을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650)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에너지를 공급할 충전소 및/또는 에너지를 공급할 시구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50)는 차량 운용 장치(121)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에 대한 정보 및/또는 구매 확인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50)는 특정 지역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 전기차의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지정된 시구간 정보,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 목적지, 또는 충전소 정보 요청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630)는 특정 지역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 전기차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시구간 정보,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 목적지, 또는 충전소 정보 요청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사용자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630)는 버튼, 터치 스크린, 음성 인식 장치 또는 모션 인식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660)는 차량 운용 장치(121)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에 대한 정보 및/또는 구매 확인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630)는 스피커, 모니터 스크린 또는 진동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에 따라, 사용자 터미널(122)은 제1 통신부(610), 제2 통신부(620), 저장부(640), 제어부(650), 입력부(630) 및 출력부(6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50)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운용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통신부(610)는 차량 운용 메시지를 서버(110)로 전송하고, 차량 운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1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수신하고, 구매 예약 메시지를 서버(110)로 전송하고, 구매 예약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110)로부터 구매 확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650)는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 및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예약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통신부(610)는 차량 운용 메시지를 서버(110)로 전송하고, 차량 운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1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전기차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플러그인 방식의 에너지 가격들 및 충전소 배터리와 전기차의 배터리가 교환되는 배터리 교환 방식의 에너지 가격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매 예약 메시지를 서버(110)로 전송하고, 구매 예약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110)로부터 구매 확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통신부(620)는 차량 운용 장치(121)로부터 전기차의 위치 정보 및/또는 배터리 레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부(620)는 차량 운용 장치(121)로부터 전기차의 이동방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부(620)는 차량 운용 장치(121)에게 사용자의 목적지,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 및/또는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640)는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에 대한 정보 및/또는 구매 예약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640)는 전기차의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특정 지역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 및/또는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640)는 전기차의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지정된 시구간 정보,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 목적지, 또는 충전소 정보 요청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640)는 구매 확인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640)는 차량 운용 장치(121)로부터 수신한 전기차의 위치 정보, 이동 방향, 또는 배터리 레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650)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운용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50)는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 및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예약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650)는 결정부(651) 및 메시지 생성부(652)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정부(651)는 도 5의 결정부(551)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메시지 생성부(652)는 차량 운용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생성부(652)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 및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예약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생성부(652)는 차량 운용 장치(121)에게 전송할 사용자의 목적지,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 및/또는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 등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입력부(630) 및 출력부(6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입력부(630)는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 및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에 대한 정보를 전기차의 사용자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630)는 전기차의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시구간 정보,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 목적지, 또는 충전소 정보 요청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출력부(660)는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로부터 구매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출력부는 구매 확인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충전소에 구비되는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충전소의 단말은 충전소에 구비되는 컴퓨터 또는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충전소의 단말을 충전소로 칭한다.
충전소(130)는 제1 통신부(710), 제2 통신부(720), 저장부(730) 및 제어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소(130)는 전기차에게 공급하는 전기 에너지에 대한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결정할 수 있다.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전기차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플러그인 방식의 에너지 가격들 및 충전소 배터리와 전기차의 배터리가 교환되는 배터리 교환 방식의 에너지 가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소(130)는 플러그인 방식의 시간대별 에너지 가격들 및/또는 배터리 교환 방식의 시간대별 에너지 가격들에 대한 정보를 서버(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1 통신부(710)는 서버(110)로 충전소의 위치 정보 및/또는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전송할 수 있다.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플러그인 방식의 시간대별 에너지 가격들 및 배터리 교환 방식의 시간대별 에너지 가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부(710)는 서버(110)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 및/또는 전기차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통신부(720)는 충전소 관리자의 터미널과 통신할 수 있다. 충전소 관리자의 터미널은 제2 통신부(720)와 연결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입출력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충전소(130)는 제2 통신부(720)를 대신하여 입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부(720) 또는 입출력부는 충전소 관리자로부터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획득된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에 대한 정보는 가격이 변경되는 시구간 및 변경된 가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통신부(720)는 충전소 관리자에게 임의의 24시간에 대한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통신부(720)는 임의의 24시간에 대한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 중 충전소 관리자가 지정한 가격이 변경되는 시구간 및 변경된 가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 및 전기차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2 통신부(720) 또는 입출력부는 수신된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 및 전기차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충전소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730)는 충전소 관리자로부터 획득된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 및 전기차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740)는 서버(110)에게 제공하기 위해, 플러그인 방식의 시간대별 에너지 가격들 및/또는 배터리 교환 방식의 시간대별 에너지 가격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740)는 업데이트부(741) 및 메시지 생성부(742)를 포함할 수 있다.
업데이트부(741)는 충전소 관리자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서버에게 제공되는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에 대한 정보 형태로 만들고, 저장부(730)에 유지되는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데이트부(741)는 충전소 관리자가 지정한 가격이 변경되는 시구간 및 변경된 가격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임의의 24시간에 대한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충전소 관리자로부터 획득된 정보가 서버에게 제공되는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에 대한 정보 형태인 경우, 업데이트부(741)는 정보를 처리하지 않고 바이패스 할 수 있다.
메시지 생성부(742)는 플러그인 방식의 시간대별 에너지 가격들 및/또는 배터리 교환 방식의 시간대별 에너지 가격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생성부(742)는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 및 전기차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절차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서버(110), 전기차의 단말(120) 및 충전소(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차의 단말(120)은 차량 운용 장치(121) 및/또는 사용자 터미널(122)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805)에서, 충전소(130)는 서버(110)로 충전소의 위치 정보 및/또는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소(130)는 현재 시각을 포함하는 시구간 또는 현재 시각 이후의 적어도 둘의 시구간에 대응하는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서버(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버(110)는 충전소(130)를 포함하는 충전소들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prices)을 저장부에 유지할 수 있다.
단계(810)에서, 사용자 터미널(122)은 차량 운용 장치(121)에게 특정 지역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터미널(122)은 차량 운용 장치(121)에게 충전소 정보 요청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터미널(122)은 전기차의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시구간 정보,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 또는 목적지에 대한 정보 등을 차량 운용 장치(121)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815)에서, 차량 운용 장치(121)는 차량 운용 메시지를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운용 메시지는 사용자 터미널(122)로부터 수신된 정보 및 검출부로부터 획득된 정보 등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차량 운용 메시지는 전기차의 위치 정보, 배터리 레벨, 이동 목적지, 이동 방향, 전기차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에너지 가격 정보, 지정된 시구간 정보,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 또는 충전소 정보 요청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110)는 차량 운용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 및/또는 배터리 레벨 등을 이용하여, 전기차의 단말(120)에게 제공할 시간대별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탐색할 수 있다.
단계(820)에서, 서버(110)는 탐색결과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전기차의 단말(1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상기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현재 시각을 포함하는 시구간 또는 현재 시각 이후의 적어도 둘의 시구간에 대응하는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전기차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플러그인 방식의 에너지 가격들 또는 충전소 배터리와 전기차의 배터리가 교환되는 배터리 교환 방식의 에너지 가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825)에서, 서버(1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수신한 경우, 차량 운용 장치(121)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사용자 터미널(122)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830)에서, 사용자 터미널(122)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 및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를 차량 운용 장치(121)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835)에서, 차량 운용 장치(121)는 서버(110)로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 및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예약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840)에서, 서버(110)는 구매 예약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전기차의 단말(120)에게 구매 확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구매 확인 메시지는 계약 정보 또는 취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845)에서, 서버(110)는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예를 들면, 충전소(130))로 구매 예약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매 예약 정보는 에너지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 또는 전기차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850)에서, 차량 운용 장치(121)는 사용자 터미널(122)에게 구매 확인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구매 확인 메시지에 대한 정보는 계약 정보 또는 취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의 다른 측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절차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서버(110), 전기차의 단말(120) 및 충전소(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차의 단말(120)은 차량 운용 장치(121) 및/또는 사용자 터미널(122)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905)에서, 충전소(130)는 서버(110)로 충전소의 위치 정보 및/또는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전송할 수 있다. 서버(110)는 충전소(130)를 포함하는 충전소들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저장부에 유지할 수 있다.
단계(910)에서, 차량 운용 장치(121)는 사용자 터미널(122)에게 전기차의 위치 정보 또는 배터리 레벨 등을 포함하는 차량 운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운용 정보는 검출부를 통해 획득된 전기차의 이동방향 등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915)에서, 사용자 터미널(122)은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정보 및 차량 운용 장치(121)로부터 획득된 정보 등을 이용하여 생성된 차량 운용 메시지를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차량 운용 메시지는 전기차의 위치 정보, 배터리 레벨, 이동 목적지, 이동 방향, 전기차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에너지 가격 정보, 지정된 시구간 정보,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 또는 충전소 정보 요청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110)는 차량 운용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 및/또는 배터리 레벨 등을 이용하여, 전기차의 단말(120)에게 제공할 시간대별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탐색할 수 있다.
단계(920)에서, 서버(110)는 탐색결과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전기차의 단말(1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상기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현재 시각 이후의 적어도 둘의 시구간에 대응하는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930)에서, 사용자 터미널(122)은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 또는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를 차량 운용 장치(121)에게 전송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단계(93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단계(935)에서, 사용자 터미널(122)은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 및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예약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940)에서, 서버(110)는 구매 예약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전기차의 단말(120)에게 구매 확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계(945)에서, 서버(110)는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예를 들면, 충전소(130))로 구매 예약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매 예약 정보는 에너지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 또는 전기차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일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서버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서버는 충전소들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저장부에 유지할 수 있다. 서버는 전기차의 단말로부터 전기차의 위치 정보 및/또는 배터리 레벨을 포함하는 차량 운용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는 위치 정보 및/또는 배터리 레벨을 이용하여 충전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선택할 수 있다. 서버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계(1005)에서, 서버는 전기차의 단말로부터 차량 운용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로부터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수신할 수 있다. 서버는 충전소들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저장부에 유지할 수 있다. 하기 [표 1]은 서버의 저장부에 유지되는 충전소들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나타내는 예이다.
Figure pat00001
예를 들면, 서버는 충전소 S_a, 충전소 S_b 및 충전소 S_c 에 대한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저장부에 유지할 수 있다. 이때, 각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전기차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플러그인 방식의 에너지 가격들, 또는 충전소 배터리와 전기차의 배터리가 교환되는 배터리 교환 방식의 에너지 가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각 충전소로부터 현재 시각을 포함하는 시구간 또는 현재 시각 이후의 24시간에 포함된 적어도 둘의 시구간에 대응하는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충전소들 각각의 위치 정보를 저장부에 유지할 수 있다.
단계(1010)에서, 서버는 위치 정보 및/또는 배터리 레벨 등을 이용하여 이동 가능한 거리 또는 이동 가능한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단계(1015)에서, 서버는 산출된 이동 가능한 거리, 이동 가능한 시간, 차량 운용 메시지에 포함된 전기차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에너지 가격 정보, 지정된 시구간 정보,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 등을 고려하여 시간대별 충전소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탐색결과를 이용하여 전기차의 단말에게 제공할 시간대별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1020)에서, 서버는 탐색된 충전소의 수가 임계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1010) 내지 단계(1020)에 대해서는, 이후 도 1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1025)에서, 탐색된 충전소의 수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서버는 전기차의 단말에게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및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1030)에서, 서버는 전기차의 단말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상기 전기차가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 및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예약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1035)에서, 서버는 구매 예약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전기차의 단말에게 구매 확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로 구매 예약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일실시예의 다른 측에 따른 서버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1005)에서, 서버는 전기차의 단말로부터 차량 운용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운용 메시지는 충전소 정보 요청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로부터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1110) 내지 단계(1115)에 대해서는 도 10의 단계(1010) 내지 단계(1015)를 통해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1117)에서, 서버는 차량 운용 메시지에 포함된 충전소 정보 요청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값이 충전소 정보 요청을 나타내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라, 차량 운용 메시지에 포함된 충전소 정보 요청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가 충전소 정보 요청을 나타내는 경우, 단계(1125)에서 서버는 일정 시간 이내에 단말에게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및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시간은 차량 운용 메시지를 수신 후 가능한 즉시 또는 서버의 프로세스 시간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값일 수 있다. 상기 필드가 충전소 정보 요청을 나타내는 경우, 단계(1125)에서, 서버의 제어부는 전기차의 단말에게 제공할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측에 따라, 차량 운용 메시지에 포함된 충전소 정보 요청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가 충전소 정보 요청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 서버는 차량 운용 메시지를 전송한 전기차의 단말에 대한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운용 메시지에 포함된 충전소 정보 요청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가 충전소 정보 요청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 단계(1120)에서 서버는 탐색된 충전소의 수가 임계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1120) 내지 단계(1135)에 대해서는 도 10의 단계(1020) 내지 단계(1035)를 통해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도 13을 참조하여, 일측에 따라 단계(1010) 내지 단계(1020), 또는 단계(1110) 내지 단계(112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1010) 또는 단계(1110)에서, 서버는 위치 정보 및/또는 배터리 레벨 등을 이용하여 이동 가능한 거리 또는 이동 가능한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단계(1015) 또는 단계(1115)에서, 서버는 산출된 이동 가능한 거리, 이동 가능한 시간, 차량 운용 메시지에 포함된 전기차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에너지 가격 정보, 지정된 시구간 정보,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 등을 고려하여 시간대별 충전소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단계(1020) 또는 단계(1120)에서, 탐색된 충전소의 수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서버는 탐색결과를 이용하여 전기차의 단말에게 제공할 시간대별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단계(1117)에서, 차량 운용 메시지에 포함된 충전소 정보 요청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가 충전소 정보 요청을 나타내는 경우, 서버는 탐색결과를 이용하여 전기차의 단말에게 제공할 시간대별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A(1301)는 전기차의 위치 정보에 포함된 현재의 위치를 나타내고, 위치 F(1306)는 전기차의 목적지를 나타낸다. 위치 B(1302), 위치 C(1303), 위치 D(1304) 및 위치 E(1305)는 위치 A(1301)에서 위치 F(1306)까지의 경로상 경유지를 나타낸다. 심볼 S(130)는 충전소를 나타낸다.
단계(1010) 또는 단계(1110)에서, 도 4의 서버(110)의 산출부(441)는 차량 운용 메시지에 포함된 배터리 레벨을 이용하여 이동 가능한 거리(1321)를 산출할 수 있다.
단계(1015) 또는 단계(1115)에서, 서버(110)의 탐색부(442)는 위치 A(1301)를 중심점으로 갖고, 이동 가능한 거리(1321)를 반경으로 갖는 영역 내에서 전기차의 단말에게 제공할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단계(1015) 또는 단계(1115)에서, 탐색부(442)는 차량 운용 메시지에 포함된 이동 목적지 또는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경로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탐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탐색부(442)는 위치 A(1301)에서 위치 F(1306)까지의 경로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탐색할 수 있다. 이때, 탐색부(442)는 경로 주변의 일정 영역내에 포함된 충전소로 탐색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상의 한 위치를 중심으로 반경(1311)을 갖는 영역으로 탐색 범위를 제한하는 경우, 경로 주변의 일정 영역으로서 라인(1312) 및 라인(1313) 사이의 영역이 제한된 탐색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탐색부(442)는 라인(1312) 및 라인(1313) 사이의 영역에 포함된 충전소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단계(1015) 또는 단계(1115)에서, 탐색부(442)는 전기차의 이동 방향을 고려하여 충전소에 대한 탐색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A(1301)에서 위치 F(1306)까지의 경로가 상하행 복선 도로 중 우측 통행로일 수 있다. 이때, 탐색부(442)는 위치 A(1301)에서 위치 F(1306)로의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에 해당하는 영역에 포함된 충전소로 탐색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방향을 고려하여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한 충전소로 탐색 범위를 제한할 수도 있다.
또한, 단계(1015) 또는 단계(1115)에서, 탐색부(442)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에너지 가격 정보를 이용하여 충전소에 대한 탐색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탐색부(442)는 일정 영역내에 포함된 충전소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에너지 가격 정보에 상응하는 가격과 같거나 작은 에너지 가격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단계(1015) 또는 단계(1115)에서, 탐색부(442)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시구간 정보를 이용하여 충전소에 대한 탐색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탐색부(442)는 지정된 시구간 정보에 상응하는 시구간의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탐색결과를 이용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시구간 정보에 상응하는 시구간의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시구간이 현재 시각을 포함하는 시구간인 경우, 탐색부(442)는 위치 A(1301)를 중심으로 갖고, 반경(1333)을 갖는 영역에 포함된 충전소를 탐색할 수 있다. 여기서, 반경(1333)은 산출부(441)에 의해 산출된 값으로서, 지정된 시구간내 현재 시각 이후 도달할 수 있는 거리일 수 있다. 또한, 반경(1333)은 사용자 또는 서버에 의해 미리 설정된 크기 또는 시간이 반영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단계(1015) 또는 단계(1115)에서, 탐색부(442)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를 이용하여 충전소에 대한 탐색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탐색부(442)는 충전 지역 정보에 상응하는 지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탐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에 상응하는 지역은 위치 C(1303)를 중심으로 갖고, 반경(1331)인 영역일 수 있다. 여기서, 반경(1331)은 미리 설정되거나, 전기차의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충전 지역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행정 구역을 가리키는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충전 지역 정보는 현재 위치부터 이동 목적지까지의 경로와 무관하게 획득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차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에너지 가격 정보 또는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를 이용하여 충전소가 탐색됨으로써, 서버는 전기차의 단말 또는 사용자에게 보다 신뢰성 있는 충전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측에 따라, 도 10,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서버가 전기차의 단말에게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제공하기 위한 조건들을 살펴본다. 서버는 전기차의 단말로부터 차량 운용 메시지를 수신할 때마다,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전기차의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1020), 단계(1117) 또는 단계(1120)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단계(1117)에서의 판단결과로서, 차량 운용 메시지에 포함된 충전소 정보 요청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가 충전소 정보 요청을 나타내는 경우, 서버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전기차의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계(1020) 또는 단계(1120)에서의 판단결과로서, 차량 운용 메시지를 수신한 후 탐색된 충전소의 수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서버는 전기차의 단말에게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정보 및 배터리 레벨을 포함하는 차량 운용 메시지가 주기적으로 또는 미리 설정된 이벤트 기반으로 전기차의 단말에서 서버로 전송되고, 전기차가 위치 A(1301)에서 위치 F(1306)로 이동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동 가능한 거리(1321)에 도달하기 전에 위치 E(1305)에서 전기차의 단말이 차량 운용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 서버는 탐색된 충전소의 수가 임계값(일례로, 3)보다 작음을 판단하여, 충전소(1345) 및 충전소(1347)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전기차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차량 운용 메시지에 포함된 전기차의 배터리 레벨이 미리 설정된 수준 이하인 경우, 서버는 전기차의 단말에게 제공할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탐색할 수 있다. 즉, 서버는 전기차의 배터리 레벨이 미리 설정된 수준보다 큰 경우, 충전소를 탐색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상술한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제공하기 위한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 시각(또는 시간대) 또는 위치(또는 영역)에 상응하는 범위에 위치한 충전소들을 탐색하여 충전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선택하고, 선택된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전기차의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운용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가 위치 A(1301)를 나타내고,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에 상응하는 지역(1335)은 충전소(1345) 및 충전소(134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운용 메시지에 포함된 충전소 정보 요청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가 충전소 정보 요청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서버는 전기차의 배터리 레벨이 미리 설정된 수준(일례로, 전체 충전 용량의 15%) 이하인 경우의 이동 거리(1322)부터 전기차의 이동 가능한 거리(1321) 내에 위치한 충전소로 충전소의 탐색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서버는 전기차의 단말에게 우선적으로 충전소(1345) 및 충전소(1347)에 대한 정보(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 또는 충전소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충전소(1345) 및 충전소(1347)에 도달할 수 있는 예상 시각을 산출하여, 현재 시각 이후의 예상 시각을 포함하는 도달 가능한 시간대에 해당하는 충전소들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을 우선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충전소(1343) 및 충전소(1341)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전기차의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 A(1301)의 주변에 위치한 충전소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일측에 따라, 차량 운용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예를 들어,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탐색할 지, 이동 가능한 거리를 고려하여 탐색할 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서버는 선택적으로 탐색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차의 단말은 상기 정보에 따라 충전소의 정보를 보다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2는 일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전기차의 단말의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전기차의 단말은 서버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운용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전기차의 단말은 차량 운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전기차의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 및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예약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전기차의 단말은 구매 예약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로부터 구매 확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1205)에서, 전기차의 단말은 위치 정보 및/또는 배터리 레벨을 포함하는 차량 운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차량 운용 정보는 전기차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에너지 가격 정보, 지정된 시구간 정보,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 전기차의 이동 목적지 또는 전기차의 이동 방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1210)에서, 전기차의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충전소 정보 요청을 수신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충전소 정보 요청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 전기차의 단말은 단계(1220)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운용 메시지에 포함된 충전소 정보 요청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값이 정보 요청을 나타내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전기차의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충전소 정보 요청을 수신한 경우, 단계(1215)에서, 차량 운용 메시지에 포함된 충전소 정보 요청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값이 정보 요청을 나타내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단계(1220)에서, 전기차의 단말은 차량 운용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차량 운용 정보는 전기차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에너지 가격 정보, 지정된 시구간 정보,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 전기차의 이동 목적지, 전기차의 이동 방향 또는 충전소 정보 요청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1225)에서, 전기차의 단말은 차량 운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전기차의 단말은 전기차의 사용자에게 수신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하기 [표 2]는 전기차의 단말이 전기차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나타내는 예이다.
Figure pat00002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에 상응하는 도 13의 지역(1335)에 속한 충전소 S_a(1345) 및 S_b(134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시구간 또는 전기차가 도달 가능한 시간대를 고려하여, 13시부터 18시까지의 시구간 및 18시부터 21시까지의 시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시각을 포함하는 시구간 또는 현재 시각 이후의 미리 설정된 시구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의 시구간 및 현재 시각 이후의 24시간 동안의 시구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차의 단말은 전기차의 사용자에게 각 시구간에 대한 전기차의 배터리에 충전되는 플러그인 방식과 충전소 배터리와 전기차의 배터리가 교환되는 배터리 교환 방식의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차가 위치 A(1301)에서 위치 F(1306)로 이동하는 경우, 현재 위치 A(1301)의 주변에 있는 충전소 또는 이동 가능한 거리를 고려한 충전소 S_a(1345) 및 S_b(1347)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차의 사용자는 S_a(1345) 및 S_b(1347)의 위치 정보 또는 이동 가능한 거리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목적지 F(1306)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전기 에너지량을 확인할 수 있다. 목적지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전기 에너지량은 서버 또는 전기차의 단말에 의해 계산되어, 전기차의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필요한 전기 에너지량은 배터리 교환 방식보다 저렴한 플러그인 방식으로 공급받는 경우, 전기차의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만큼의 적절한 시간내 충전할 수 있는 량일 수 있다. 또한, 전기차의 사용자는 위치 B(1302) 이후의 경로에서는 에너지를 공급받길 원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전기차의 사용자는 위치 A(1301)의 주변에 있는 충전소의 정보 중 플러그인 방식의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확인하고, 전기차의 단말을 통해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기차는 충전소 S_a(1345) 및 S_b(1347) 중 하나의 충전소를 통해 배터리 교환방식으로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13시부터 18시까지의 시구간에 대해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를 우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전기차의 단말에 설정된 경우, S_a(1345) 및 S_b(1347)의 전기 에너지 가격들이 S_c(1341)의 전기 에너지 가격들보다 우선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18시부터 21시까지의 시구간에 대해 낮은 가격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가격 정보를 우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전기차의 단말에 설정된 경우, 낮은 전기 에너지 가격을 갖는 충전소가 우선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일측에 따라, 전기차의 단말은 우선하여 제공받을 충전소에 대한 정보의 구분 기준을 차량 운용 메시지를 이용하여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는 상기 정보의 구분 기준에 따라 정보를 탐색 및/또는 선택하거나, 정보를 구분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1220)에서 전송되는 차량 운용 메시지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에너지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전기차의 단말이 서버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지정된 에너지 가격 정보에 상응하는 가격과 같거나 작은 에너지 가격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1220)에서 전송되는 차량 운용 메시지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시구간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전기차의 단말이 서버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상기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지정된 시구간 정보에 상응하는 시구간의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1220)에서 전송되는 차량 운용 메시지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전기차의 단말이 서버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는 충전 지역 정보에 상응하는 지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기차의 단말은 서버로부터 우선하는 정보의 구분 기준이 없이 충전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정보에서 우선하여 제공할 정보를 구분하거나 또는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단계(1230)에서, 전기차의 단말은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 및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를 전기차의 단말의 제어부를 통해 자동으로 획득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단계(1235)에서, 전기차의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 및/또는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예약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1240)에서, 전기차의 단말은 구매 예약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로부터 구매 확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기차의 단말은 서버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이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이력 정보는 특정 지역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기차의 단말은 특정 지역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전기차의 단말은 특정 지역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기초로 시간대별 참조 가격들을 생성할 수 있다. 참조 가격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가격을 차량 운용 메시지에 포함될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전기 에너지 가격 정보로서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34)

  1. 서버의 전기차(electric vehicle) 충전 시스템 운영(managing) 방법에 있어서,
    충전소들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prices)을 저장부에 유지하는 단계;
    전기차의 단말로부터 상기 전기차의 위치 정보 및 배터리 레벨을 포함하는 차량 운용 메시지(vehicle operation message)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배터리 레벨을 이용하여 상기 충전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상기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플러그인 방식의 에너지 가격들 및 충전소 배터리와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가 교환되는 배터리 교환 방식의 에너지 가격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는
    상기 전기차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에너지 가격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지정된 에너지 가격 정보에 상응하는 가격과 같거나 작은 에너지 가격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는
    상기 전기차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시구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상기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상기 지정된 시구간 정보에 상응하는 시구간의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는
    상기 전기차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지역 정보에 상응하는 지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는
    상기 전기차의 이동 목적지 및 상기 전기차의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목적지 및 상기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경로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상기 전기차가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 및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예약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 예약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단말에게 구매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로 구매 예약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예약 정보는
    상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 및 상기 전기차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게 상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이력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
  10. 전기차(electric vehicle) 충전 시스템 운영(managing)을 위한 서버에 있어서,
    충전소들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prices)을 유지하는 저장부;
    전기차의 단말로부터 상기 전기차의 위치 정보 및 배터리 레벨을 포함하는 차량 운용 메시지(vehicle operation message)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배터리 레벨을 이용하여 상기 충전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상기 단말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플러그인 방식의 에너지 가격들 및 충전소 배터리와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가 교환되는 배터리 교환 방식의 에너지 가격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는
    상기 전기차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에너지 가격 정보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상기 지정된 에너지 가격 정보에 상응하는 가격과 같거나 작은 에너지 가격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탐색하는 서버.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는
    상기 전기차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시구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상기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상기 지정된 시구간 정보에 상응하는 시구간의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포함하는 서버.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는
    상기 전기차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지역 정보에 상응하는 지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탐색하는 서버.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는
    상기 전기차의 이동 목적지 및 상기 전기차의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목적지 및 상기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경로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탐색하는 서버.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상기 전기차가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 및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예약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구매 예약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단말에게 구매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로 구매 예약 정보를 전송하는 서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예약 정보는
    상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 및 상기 전기차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단말에게 상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이력 정보를 전송하는 서버.
  19. 전기차의 단말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에 있어서,
    서버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운용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 및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예약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 예약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버로부터 구매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특정 지역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특정 지역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기초로 시간대별 참조 가격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참조 가격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가격을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에 포함될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전기 에너지 가격 정보로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상기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전기차의 배터리에 충전되는 플러그인 방식의 에너지 가격들 및 충전소 배터리와 전기차의 배터리가 교환되는 배터리 교환 방식의 에너지 가격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에너지 가격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상기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상기 지정된 에너지 가격 정보에 상응하는 가격과 같거나 작은 에너지 가격을 갖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시구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상기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상기 지정된 시구간 정보에 상응하는 시구간의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는
    상기 충전 지역 정보에 상응하는 지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는
    전기차의 이동 목적지 및 전기차의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
  27.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을 위한 전기차의 단말에 있어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운용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수신하고, 구매 예약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구매 예약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버로부터 구매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 중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 및 에너지를 공급받을 시구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구매 예약 메시지를 생성하는
    전기차의 단말.
  28. 제27항에 있어서,
    특정 지역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수신하는 제2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지역의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기초로 시간대별 참조 가격들을 생성하고, 상기 참조 가격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가격을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에 포함될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전기 에너지 가격 정보로서 설정하는 전기차의 단말.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상기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전기차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플러그인 방식의 에너지 가격들 및 충전소 배터리와 전기차의 배터리가 교환되는 배터리 교환 방식의 에너지 가격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차의 단말.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에너지 가격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상기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상기 지정된 에너지 가격 정보에 상응하는 가격과 같거나 작은 에너지 가격을 갖는 전기차의 단말.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시구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의 상기 시간대별 전기 에너지 가격들은
    상기 지정된 시구간 정보에 상응하는 시구간의 전기 에너지 가격들을 포함하는 전기차의 단말.
  3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충전 지역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는
    상기 충전 지역 정보에 상응하는 지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소를 포함하는 전기차의 단말.
  33.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용 메시지는
    전기차의 이동 목적지 및 전기차의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전기차의 단말.
  34.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충전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전기차의 단말.
KR1020100114825A 2010-11-18 2010-11-18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 서버 및 전기차의 단말 KR101768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825A KR101768223B1 (ko) 2010-11-18 2010-11-18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 서버 및 전기차의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825A KR101768223B1 (ko) 2010-11-18 2010-11-18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 서버 및 전기차의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9399A true KR20120089399A (ko) 2012-08-10
KR101768223B1 KR101768223B1 (ko) 2017-08-14

Family

ID=46874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825A KR101768223B1 (ko) 2010-11-18 2010-11-18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 서버 및 전기차의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8223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2909A1 (en) * 2012-10-19 2014-04-24 Outwater Christopher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vehicle charging stations
CN106314178A (zh) * 2016-08-31 2017-01-11 法乐第(北京)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电池更换站及电池更换方法
KR20190082147A (ko) * 2017-12-29 2019-07-09 고고로 아이엔씨. 교환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 스테이션들 사이에서 에너지를 동적으로 할당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19185382A (ja) * 2018-04-10 2019-10-24 雄樹 出雲 バッテリー交換料金決定システム
WO2020080690A1 (ko) * 2018-10-17 2020-04-23 신지영 전기자동차의 운전자를 위한 배터리 정보 제공 방법,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소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전기자동차의 교체식 배터리 공급 서비스 방법
KR20210013965A (ko) * 2019-07-29 2021-02-08 나용범 스마트 전기 충전 시스템
CN112833895A (zh) * 2019-11-25 2021-05-25 丰田自动车株式会社 充电设施引导系统以及充电设施引导装置
KR20210059093A (ko) * 2019-11-14 2021-05-25 대영채비(주)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
CN113228447A (zh) * 2019-01-17 2021-08-06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送受电管理装置和程序
WO2021243221A1 (en) * 2020-05-28 2021-12-02 Enel X North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oice-activated electric vehicle service provisioning
CN113928171A (zh) * 2021-10-22 2022-01-14 上海融和智电新能源有限公司 一种撬装式移动换电的方法及系统
KR102432798B1 (ko) * 2021-05-20 2022-08-16 아우토크립트 주식회사 전기차 충전 카드 지갑 시스템 및 결제 요청 방법
GB2605834A (en) * 2021-04-15 2022-10-19 William Cowper Stephen System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EVs) and related methods
WO2023243895A1 (ko) * 2022-06-15 2023-12-21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배터리 충전 이용권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388B1 (ko) * 2018-01-11 2019-01-04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V2g 거래 활성화를 위한 포인트 시스템 구축 방법
KR101932109B1 (ko) * 2018-02-01 2018-12-24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신재생 에너지를 통한 전기 충전소의 변동 요금 안내 시스템
KR102483720B1 (ko) 2020-11-23 2023-01-03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고정식 충전장비와 이동식 충전장비에 기반한 전기차량 충전장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1405A (ja) * 2005-04-21 2006-12-07 Ntt Facilities Inc 二次電池供給システムおよび二次電池供給方法
JP2007148590A (ja) * 2005-11-24 2007-06-1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充電スタンド情報提供サーバ、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334604B2 (ja) * 2009-01-28 2013-11-06 中国電力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充電システム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2909A1 (en) * 2012-10-19 2014-04-24 Outwater Christopher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vehicle charging stations
CN106314178A (zh) * 2016-08-31 2017-01-11 法乐第(北京)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电池更换站及电池更换方法
KR20190082147A (ko) * 2017-12-29 2019-07-09 고고로 아이엔씨. 교환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 스테이션들 사이에서 에너지를 동적으로 할당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19185382A (ja) * 2018-04-10 2019-10-24 雄樹 出雲 バッテリー交換料金決定システム
WO2020080690A1 (ko) * 2018-10-17 2020-04-23 신지영 전기자동차의 운전자를 위한 배터리 정보 제공 방법,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소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전기자동차의 교체식 배터리 공급 서비스 방법
CN113228447A (zh) * 2019-01-17 2021-08-06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送受电管理装置和程序
KR20210013965A (ko) * 2019-07-29 2021-02-08 나용범 스마트 전기 충전 시스템
KR20210059093A (ko) * 2019-11-14 2021-05-25 대영채비(주)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
US20210156703A1 (en) * 2019-11-25 2021-05-2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harging facility guidance system and charging facility guidance device
CN112833895A (zh) * 2019-11-25 2021-05-25 丰田自动车株式会社 充电设施引导系统以及充电设施引导装置
US11598641B2 (en) * 2019-11-25 2023-03-0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harging facility guidance system and charging facility guidance device
WO2021243221A1 (en) * 2020-05-28 2021-12-02 Enel X North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oice-activated electric vehicle service provisioning
GB2605834A (en) * 2021-04-15 2022-10-19 William Cowper Stephen System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EVs) and related methods
KR102432798B1 (ko) * 2021-05-20 2022-08-16 아우토크립트 주식회사 전기차 충전 카드 지갑 시스템 및 결제 요청 방법
CN113928171A (zh) * 2021-10-22 2022-01-14 上海融和智电新能源有限公司 一种撬装式移动换电的方法及系统
WO2023243895A1 (ko) * 2022-06-15 2023-12-21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배터리 충전 이용권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8223B1 (ko) 201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9399A (ko) 전기차 충전 시스템 운영 방법, 서버 및 전기차의 단말
US9744873B2 (en)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charging a battery of a vehicle
JP5703094B2 (ja) 充電器情報通知システム、及び充電器情報通知方法
JP6595720B2 (ja) 経路探索装置、バッテリ情報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2802951B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network services
JP6041124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携帯通信端末、携帯通信端末の制御方法ならびに制御プログラム、サーバ、サーバの制御方法ならびに制御プログラム
CN102916462B (zh) 电池充电系统和方法
JP6132982B2 (ja) 電力授受システムおよび電力授受方法
KR102470999B1 (ko) 충전 관리 서버 및 충전 관리 서버의 제어 방법
JP5439449B2 (ja) 車両電力管理装置、車両電力管理システムおよび車両電力管理プログラム
CN109155016A (zh) 用于对电动车辆充电的方法和设备
CN109195828A (zh) 用于对电动车辆充电的方法和设备
US983167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101063656B1 (ko) 전기차량의 충전소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20102464A (ko) 전기자동차 충전 예약 시스템
JP2013065265A (ja) 充電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サーバ装置のプログラム
JP2019095196A (ja) 充電設備案内システム、充電設備案内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864881A (zh) 用于提供具有推荐充电的导航路线的方法和设备
JP6384339B2 (ja) 車両用電池の充電情報報知システム及び充電情報報知プログラム
CN102607580A (zh) 能够由关于车辆的计算系统执行的计算机实现的方法
CN109153338A (zh) 用于对电动车辆充电的方法和设备
JP2012226625A (ja) 充電スポットの予約システム
US20180099575A1 (en) Server and vehicle
JP2017143634A (ja) 充電制御システム
KR102603831B1 (ko) 차량, 차량과 통신하는 서버 및 차량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