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9262A - 냉장 쇼케이스 - Google Patents

냉장 쇼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9262A
KR20120089262A KR1020127005774A KR20127005774A KR20120089262A KR 20120089262 A KR20120089262 A KR 20120089262A KR 1020127005774 A KR1020127005774 A KR 1020127005774A KR 20127005774 A KR20127005774 A KR 20127005774A KR 20120089262 A KR20120089262 A KR 20120089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room
unit base
side panel
showcas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5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야마사키
다쓰오 사에키
Original Assignee
호시자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자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자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9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92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82Details common to both closed and open ty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40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기계실에 설치되는 냉각기구의 유지보수작업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냉장 쇼케이스를 제공한다.
수납실(12)을 구성하고 또한 상기 수납실(12)을 냉각하는 냉각기를 구비한 단열 상자체(16)의 측부에 냉각기에 냉매를 순환공급 하는 냉각기구(80)가 설치되는 기계실(13)이 구성되고, 수납실(12) 및 기계실(13)의 전면측을 단일의 프론트 글래스(14)로 덮는다. 그리고 기계실(13)의 측면을 착탈가능한 제2사이드 패널로 구성하여 상기 제2사이드 패널을 떼어낸 상태에서 기계실(13)이 측방으로 개구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냉각기구(80)를 기계실(13)로부터 인출가능한 유닛 베이스(38)에 재치하여 제2사이드 패널을 떼어냄으로써 개구하는 기계실(13)의 측부 개구부를 통하여 유닛 베이스(38)를 기계실(13)로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냉장 쇼케이스{REFRIGERATED SHOWCASE}
본 발명은, 수납실(收納室)을 구성하는 단열 상자체(斷熱箱子體)의 측부에 기계실을 구비한 냉장 쇼케이스(冷藏 showcase)에 관한 것이다.
식품이나 음료품 등의 물품을 냉장보존 하는 냉장 쇼케이스로서는, 예를 들면 초밥집 등의 카운터에 설치되어 수납한 초밥 재료 등의 신선식료품을 전시하면서 냉장보존 하는 재료 케이스라고 불리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일반적인 냉장 쇼케이스는, 단열 상자체에 신선식료품 등의 물품을 냉장보존 하는 수납실이 구성되고 또한 상기 단열 상자체의 측부에 인접하여 설치된 기계실에 압축기나 응축기 등의 냉각기구가 설치되어서, 단열 상자체에 설치된 냉각기에 대하여 냉각기구로부터 냉매를 순환공급 함으로써 수납실내를 냉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납실의 전면측은, 내부에 수납한 물품을 앞측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프론트 글래스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프론트 글래스는 수납실로부터 기계실에 걸쳐서 덮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실과 기계실의 이음매를 없앴으로써 이음매 부분에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청소 등을 하기 쉽게 하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5-233471호 공보
그런데 상기한 냉장 쇼케이스에서는, 그 구조상 고장 등의 불량의 대부분은 기계실내에 수용된 상기 냉각기구에 있어서 발생한다. 기계실내에서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는, 기계실을 구성하는 패널 부재를 떼어내서 기계실을 개방함으로써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기계실의 전면측은 프론트 글래스에 의하여 덮어져 있으므로, 패널 부재를 떼어내서 기계실을 단지 일측부로 개방하는 것 만으로는 기계실 안쪽측의 작업성이 곤란해져버린다. 즉 유지보수작업 등에 있어서는, 작업의 저해요인이 되는 프론트 글래스를 사전에 떼어낼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프론트 글래스는, 수납실 및 기계실의 전면을 일체적으로 덮는 대형부재로서 그 중량도 커지므로, 프론트 글래스의 착탈작업은 복수의 작업원이 해야 하므로, 유지보수작업에 드는 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되어 있었다. 또 냉각기구의 유지보수작업 등에 있어서, 그 때마다 프론트 글래스를 착탈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작업효율의 저하를 초래하는 것으로도 연결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내재하는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것들을 적합하게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기계실에 설치되는 냉각기구의 유지보수작업 등이 용이한 냉장 쇼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극복하고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의 발명에 관한 냉장 쇼케이스는, 수납실을 구성하고 또한 상기 수납실을 냉각하는 냉각기를 구비한 단열 상자체의 측부에 상기 냉각기에 냉매를 순환공급 하는 냉각기구가 설치되는 기계실이 구성되고, 상기 수납실 및 기계실의 전면측을 단일의 프론트 글래스에 의하여 덮도록 구성된 냉장 쇼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의 측면을 착탈가능한 사이드 패널에 의하여 구성하여 상기 사이드 패널을 떼어낸 상태에서 기계실이 측방으로 개구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상기 냉각기구를 상기 기계실로부터 인출가능한 유닛 베이스에 재치하고, 사이드 패널을 떼어냄으로써 개구한 기계실의 측부 개구부를 통하여 유닛 베이스를 기계실로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극복하고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의 다른 발명에 관한 냉장 쇼케이스는, 수납실을 구성하고 또한 상기 수납실을 냉각하는 냉각기를 구비한 단열 상자체의 측부에 상기 냉각기에 냉매를 순환공급 하는 냉각기구가 설치되는 기계실이 구성되고, 상기 수납실 및 기계실의 전면측을 단일의 프론트 글래스에 의하여 덮도록 구성된 냉장 쇼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의 배면을 착탈가능한 배면 커버에 의하여 구성하여 상기 배면 커버를 떼어낸 상태에서 기계실이 후방으로 개구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냉각기구를 상기 기계실로부터 인출가능한 유닛 베이스에 재치하고, 상기 배면 커버를 떼어냄으로써 개구한 기계실의 후방 개구부를 통하여 유닛 베이스를 기계실로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또한 상기 기계실의 측면을 구성하는 사이드 패널과 상기 유닛 베이스 사이에 상기 기계실의 저면을 구성하는 바닥판에 연속하도록 설치하는 고정판을 삽입한 상태에서, 양 부재를 나사로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요지로 한다.
본원 발명에 관한 냉장 쇼케이스에 의하면, 기계실에 수용되는 냉각기구를 기계실 외부로 인출한 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효율의 향상이나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1]실시예1에 관한 냉장 쇼케이스를 정면측으로부터 본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기계실을 구성하는 제2사이드 패널을 떼어낸 상태를 나타낸다.
[도2]실시예1에 관한 냉장 쇼케이스를 일부 분해하여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다.
[도3]실시예1에 관한 냉장 쇼케이스를 수납실 및 기계실에 대응하는 장소를 배면측으로부터 본 상태로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4]실시예1에 관한 냉장 쇼케이스의 기계실측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제2사이드 패널, 톱커버 및 루버를 떼어낸 상태로 나타낸다.
[도5]실시예1에 관한 냉장 쇼케이스의 기계실측 내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개략도다.
[도6]실시예1에 관한 냉각기구를 설치한 유닛 베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7]도4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유닛 베이스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다.
[도8]실시예1에 관한 냉장 쇼케이스를 기계실에서 종단하여 나타내는 측면도다.
[도9]도8에 있어서, 기계실의 전부 및 후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10]실시예1에 관한 측부 프레임과 유닛 베이스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다.
[도11]실시예1에 관한 제2상부 프레임과 톱커버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다.
[도12]실시예1에 관한 제2사이드 패널의 결합부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13]실시예1에 관한 전원코드의 고정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a)는 냉장 쇼케이스를 배면측에서 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b)는 전원코드의 고정위치에서의 횡단 평면도다.
[도14]종래 구성에 관한 전원코드의 부싱(bushing)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a)는 전원코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종래 구성의 부싱의 고정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다.
[도15]실시예2에 관한 냉장 쇼케이스를 일부 분해하여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다.
[도16]실시예2에 관한 냉장 쇼케이스의 기계실측 내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개략도다.
[도17]실시예2에 관한 냉각기구를 설치한 유닛 베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냉장 쇼케이스에 대하여 적합한 실시예를 들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명세서 중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좌우」라 함은 냉장 쇼케이스를 정면측으로부터 본 상태에서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1>
도1 또는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1의 냉장 쇼케이스(10)는, 물품을 냉장보존 하는 수납실(12)이 단열 상자체(16)로 구성되고 또한 압축기(81)나 응축기(82), 팬모터(83) 등의 냉각기구(80)의 구성기기가 수용되어 배치되는 기계실(13)이 단열 상자체(16)의 일측부(실시예1에서는, 단열 상자체(16)의 좌측부)에 이웃하도록 구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장 쇼케이스(10)의 프론트 글래스(14)는, 상기 냉장 쇼케이스(10)의 좌우폭방향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수납실(12) 및 기계실(13)의 전부(前部) 및 상부(上部)를 한 장의 프론트 글래스(14)로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또, 프론트 글래스(14)에 있어서 기계실(13)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인쇄 등에 의하여 기계실(13)내를 앞측으로부터 볼 수 없게 하는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상기 단열 상자체(16)는, 도2 또는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수납실(12)의 저면을 구성하는 바닥부 단열벽(17)과, 상기 바닥부 단열벽(17)의 일방의 단부(냉장 쇼케이스(10)의 외면측이 되는 우단부)에 설치되어서 수납실(12)의 측면을 이루는 측부 단열벽(18)과, 상기 바닥부 단열벽(17)의 타방의 단부(기계실(13)측이 되는 좌단부)에 설치되어서 수납실(12)의 측면을 이루는 단열 구획벽(19)과, 상기 측부 단열벽(18) 및 단열 구획벽(19)의 상단 후부에 설치되어서 수납실(12)의 측면을 이루는 상부 단열벽(20)에 의하여 상자모양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단열 상자체(16)는, 상부 단열벽(20)이 상기 측부 단열벽(18) 및 단열 구획벽(19)의 상단 후부로 치우쳐 위치함으로써 전후 및 상방으로 개구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단열 상자체(16)의 전방 및 상방 개구를 프론트 글래스(14)에 의하여 수납실(12)내를 투시 가능하게 막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열 상자체(16)의 후방개구는, 수납실(12)에 대한 물품의 출납을 허용하는 물품출입구(22)로서 기능하고, 상기 물품출입구(22)에 설치된 좌우 슬라이드식의 슬라이드 도어(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실(12)의 내부에, 상기 냉각기구(80)로부터 냉매가 순환공급 되는 냉각기(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냉각기구(80)로부터 냉각기에 순환공급 되는 냉매에 의하여 수납실(12)을 냉각하게 되어 있다.
상기 단열 상자체(16)에 있어서 바닥부 단열벽(17)은,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방 및 좌우 측방으로 개구하고 단면이 대략 ㄷ자 모양으로 수지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된 바닥판 부재(25)의 상방개구 단부에, 상기 수납실(12)의 저면이 되는 보텀패널(28)을 부착하고, 상기 바닥판 부재(25)와 보텀패널(28) 사이에 발포재를 충전?발포 함으로써 단열재를 형성하여 단열벽을 구성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바닥부 단열벽(17)에 상기 측부 단열벽(18) 및 단열 구획벽(19)의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바닥판 부재(25)와 보텀패널(28) 사이에 충전된 발포재가, 측부 단열벽(18) 및 단열 구획벽(19)에 있어서의 수납실(12)의 내면을 이루는 내장판과 단열 상자체(16)의 외면을 이루는 외장판 사이에 주입되어서, 바닥부 단열벽(17), 측부 단열벽(18) 및 단열 구획벽(19)에 대하여 발포재를 한번에 충전?발포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부 단열벽(18) 및 단열 구획벽(19)의 상단 후부에는, 길이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상방으로 개구하는 오목부(31a, 31a)가 형성된 제1상부 프레임(31)이 나사고정 되어 있고, 상기 제1상부 프레임(31)의 오목부(31a, 31a)에 단열재(34)를 부착하여 상기 상부 단열벽(20)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단열벽(20)(제1상부 프레임(31))의 상면측은, 상기 냉장 쇼케이스(10)의 좌우폭방향의 대략 전폭에 걸쳐서 연장하는 톱커버(32)로 덮여짐과 아울러 상기 측부 단열벽(18)의 외면측은 장식용의 제1사이드 패널(33)에 의하여 덮여져 있다. 상기 제1사이드 패널(33)은, 상기 제1상부 프레임(31)의 우단부에 설치된 제1결합부(3lb)에, 상기 제1사이드 패널(33)의 상단부에 설치된 제2결합부(33a)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킨 상태에서 하단부가 측부 단열벽(18)에 나사고정 된다. 여기에서 상기 톱커버(32)는, 상기 제1사이드 패널(33)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외주 플랜지부(33b)와 상기 제1상부 프레임(31) 사이에 우단부가 협지되고, 후술하는 제2사이드 패널(65)의 외주 플랜지부(67)와 제2상부 프레임(51) 사이에 좌단부가 협지되어서 고정된다.
도2, 도4, 도5,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 단열벽(17)을 형성하는 상기 바닥판 부재(25)는, 상기 단열 구획벽(19)보다도 측방(기계실(13)측)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 부재(25)로 상기 기계실(13)의 저면을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바닥판 부재(25)는, 냉장 쇼케이스(10) 전체의 저면을 구성하고, 상기 수납실(12) 및 기계실(13)의 저면을 일체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 부재(25)에 있어서 냉장 쇼케이스(10)의 전면측에 접하는 전면부(26)의 상단부에는, 상기 프론트 글래스(14)의 하단부와 결합하는 결합홈(26a)이 길이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26a)에 프론트 글래스(14)의 하단부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부 단열벽(20)(제1상부 프레임(31))과 톱커버(32) 사이에 프론트 글래스(14)의 상단부를 협지함으로써 당해 프론트 글래스(14)가 고정된다. 또, 상기 프론트 글래스(14)의 우단부는 상기 제1사이드 패널(33)의 외주 플랜지부(33b)에 의하여 덮여진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 부재(25)에 있어서 냉장 쇼케이스(10)의 후면에 접하는 후면부(27)의 상단부에, 상기 슬라이드 도어의 하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슬라이드 레일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상부 단열벽(20)(제1상부 프레임(31))의 후단부에, 슬라이드 도어의 상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슬라이드 레일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하의 슬라이드 레일에 따라 슬라이드 도어를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상기 물품출입구(22)가 개폐된다. 또한, 상기 하부 슬라이드 레일은, 상기 바닥판 부재(25)의 후면부(27)에 있어서 수납실(12)에 대응하는 위치(즉 측부 단열벽(18)과 단열 구획벽(19) 사이)에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판 부재(25)에 있어서 기계실(13)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하부 슬라이드 레일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상기 기계실(13)은, 도3?도5, 도7?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냉장 쇼케이스(10)의 기부(基部)가 되는 상기 바닥판 부재(25)와, 구조부재로서 측벽을 구성하는 측부 프레임(53) 및 상기 단열 구획벽(19)과, 천장벽을 구성하는 제2상부 프레임(51)으로 골격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 구획벽(19), 바닥판 부재(25), 측부 프레임(53) 및 제2상부 프레임(51)에 대하여, 제2사이드 패널(65), 외장 패널(57), 루버(61), 톱커버(32), 프론트 글래스(14)를 조립하는 것으로 기계실(13)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고, 제2사이드 패널(65)을 떼어냄으로써 기계실(13)이 측방(실시예1에서는 좌방(左方))으로 개구하여 냉각기구(80)의 유지보수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5, 도8,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 부재(25)에는, 상기 기계실(13)의 저면을 구성하는 부분에 보강판(35)이 설치되어, 상기 바닥판 부재(25)(기계실(13)의 저면)의 보강이 됨과 아울러 상기 보강판(35)상에 상기 냉각기구(80)가 설치된 유닛 베이스(38)가 기계실(13)로부터 인출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강판(35)은, 상기 기계실(13)의 저면 전체를 덮는 바닥판(35a)의 전후 및 우측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하는 보강벽부(35b, 35c, 35d)를 구비하고 있고, 각 보강벽부(35b, 35c, 35d)가 바닥판 부재(25)의 전면부(26), 후면부(27) 및 단열 구획벽(19)에 대하여 각각 나사나 리벳 등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보강판(35) 전보강벽부(35b)에는, 상기 유닛 베이스(38)를 인출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으로서 레일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일부(36)는, 기계실(13) 내부로 대략 수평으로 연장하는 제1편(36a)과, 상기 제1편(36a)의 돌출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제2편(36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일부(36)의 제2편(36b)과 보강판(35)의 전보강벽부(35b) 사이에 유닛 베이스(38)의 전면벽(39)이 삽입되어서, 상기 유닛 베이스(38)를 좌우방향으로 안내하게 되어 있다.
상기 유닛 베이스(38)는, 도6, 도8,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개구하는 상자모양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압축기(81)나 응축기(82), 팬모터(83) 등의 냉각기구(80)를 고정하는 고정편이 적절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보강판(35)의 레일부(36)에 삽입되는 상기 유닛 베이스(38)의 전면벽(39)은, 상기 유닛 베이스(38)의 좌우의 측면벽(41)보다도 상방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닛 베이스(38)의 측면벽(41)이 레일부(36)와 간섭하지 않고 전면벽(39)을 측방으로부터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닛 베이스(38)에 있어서 제2사이드 패널(65)측의 측면벽(41)(실시예1에서는 좌측의 측면벽(41))에는, 기계실(13)의 골격구조를 이루는 상기 측부 프레임(53)에 형성된 제1결합부(후술)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결합함으로써 측부 프레임(53)이 유닛 베이스(38)에 대하여 위치결정 되도록 되어 있다. 또, 실시예1에서는, 상기 제2결합부로서 상기 유닛 베이스(38)의 좌측벽에 관통구멍(4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닛 베이스(38)의 후면벽(40)에는, 상단부에 외측(후방)으로 연장하는 돌출편(40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유닛 베이스(38)에 있어서 전면벽(39)으로부터 돌출편(40a)의 돌출 단부까지의 치수는, 상기 기계실(13)의 전후의 폭치수와 대략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상기 유닛 베이스(38)의 전면벽(39)을 상기 레일부(36)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편(40a)의 돌출 단부가 상기 바닥판 부재(25)에 있어서의 후면부(27)의 내면측에 근접하고, 유닛 베이스(38)를 기계실(13)에 대하여 인출 또는 수납 하는 데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 부재(25)의 전면부(26) 및 후면부(27)가 유닛 베이스(38)의 안내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유닛 베이스(38)의 후면벽(40)에는, 좌우방향으로 이간(離間)하는 위치에 후방으로 볼록하게 돌출하는 돌출부(40b, 40b)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돌출부(40b, 40b)의 돌출 단면(끝면)에 나사구멍(40c)이 형성되고, 유닛 베이스(38)를 기계실(13)내에 수납한 상태에서, 당해 돌출부(40b, 40b)의 나사구멍(40c)이 상기 바닥판 부재(25)의 후면부(27)에 형성된 관통구멍(27b, 27b)과 전후로 정렬하고, 각 관통구멍(27b, 27b)에 삽입된 나사를 대응하는 나사구멍(40c)에 나사삽입 함으로써 유닛 베이스(38)가 기계실(13)내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도2,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냉각기로부터 압축기(81)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매배관은, 구부러진 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매배관의 뱀모양 부분이 연장되어 휨변형 함으로써 기계실(13)로부터 상기 유닛 베이스(38)의 인출을 허용하고 있다. 또, 도2, 도6에서는, 압축기(81)와 냉각기를 접속하는 냉매배관 만을 도면에 나타냈지만, 응축기(82)로부터 냉각기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매배관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구부러진 뱀모양으로 형성되어서, 기계실(13)로부터 상기 유닛 베이스(38)의 인출을 허용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6,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유닛 베이스(38)에 있어서 후면벽(40)의 좌단부에는, 전후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구멍(40d)에, 외부전원에 접속되는 전원 코드(43)가 부싱(44)을 통하여 부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부싱(44)은, 상기 관통구멍(40d)에 결합하는 결합부(45)와, 상기 결합부(45)의 후부측에 설치되고 관통구멍(40d)보다 큰 직경이 되는 빠짐 방지부(46)를 구비하고, 상기 부싱(44)에 설치되어서 관통구멍(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삽입된 전원 코드(43)가 빠짐 방지부(46)의 후단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 부재(25)에 있어서의 후면부(27) 및 상기 보강판(35)에 있어서의 후보강벽부(35c)에는, 상기 유닛 베이스(38)를 기계실(13)에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관통구멍(40d)과 전후로 정렬하는 위치에, 전후로 관통하고 또한 좌단부로 개방하는 절단부(27a, 27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판(35) 및 유닛 베이스(38)의 각 절단부(27a)는, 상기 부싱(44)의 빠짐 방지부(46)와 정합(整合)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닛 베이스(38)를 기계실(13)에 수납한 상태에서 각 절단부(27a)에 부싱(44)의 빠짐 방지부(46)가 결합하고, 상기 유닛 베이스(38)를 기계실(13)로부터 인출할 때에 부싱(44)의 빠짐 방지부(46)가 각 절단부(27a)의 측방개구로부터 빠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빠짐 방지부(46)는 상기 각 절단부(27a)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빠짐 방지부(46)의 후단면이 바닥판 부재(25)의 후면부(27)와 동일면상에 위치하거나 또는 빠짐 방지부(46)의 후단면이 바닥판 부재(25)의 후면부(27)보다도 약간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13)의 측면을 구성하는 제2사이드 패널(65)의 하부 후단에 위치하는 외주 플랜지부(67)가 상기 빠짐 방지부(46)의 후단면에 접촉하여, 상기 유닛 베이스(38)의 후면벽(40)과 외주 플랜지부(67) 사이에서 빠짐 방지부(46)를 협지함으로써 부싱(44)을 고정하고 있다.
도2, 도3,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기계실(13)의 측부 골격을 이루는 측부 프레임(53) 및 기계실(13)의 상부 골격을 이루는 제2상부 프레임(51)은, 상기 측부 프레임(53)의 상단부에 제2상부 프레임(51)의 측단부 하면(실시예1에서는 좌측단부의 하면)을 대향시킨 상태에서 양 프레임이 나사로 고정되어서 일체로 취급할 수 있는 프레임 유닛(50)을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측부 프레임(53) 및 제2상부 프레임(51)의 각각에는, 보강용 리브(補强用rib)가 적당하게 형성되어서 기계실(13)의 골격구성 부재로서의 강성을 확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상부 프레임(51)의 후단부에는 기계실(13)의 배면을 구성하는 외장 패널(57)이 부착됨과 아울러, 제2상부 프레임(51)의 하면측에는 상기 냉장 쇼케이스(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 복스(control box)(59)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외장 패널(57)에는, 냉장 쇼케이스(10)의 배면측으로 노출하도록 전원 스위치(58)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 부재(25)의 후면부(27), 외장 패널(57), 단열 구획벽(19) 및 제2사이드 패널(65)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외주 플랜지부(67)에 의하여 구성되는 상기 기계실(13)의 후방 개구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61a)이 복수 형성된 루버(61)가 착탈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상기 루버(61)는, 상기 외장 패널(57)의 뒷편에 상단부를 삽입하고 상기 루버(61)의 하단부에 설치한 하부 결합부(6lb)를 상기 바닥판 부재(25)의 후면벽(40)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상기 기계실(13)의 후부 개구부를 폐쇄하는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응축기(82)의 루버(61)에는, 상기 응축기(82)에 있어서 루버(61)측에 접하는 면을 대략 전면적으로 덮는 필터(62)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루버(61)를 떼어낸 상태에서 기계실(13)의 후방 개구부로부터 필터(62)의 착탈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측부 프레임(53)에는, 상기 측부 프레임(53)에 있어서의 본체부(54)의 좌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연장편(5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편(55)에, 상기 유닛 베이스(38)에 형성된 제2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결합부로서의 결합폴(55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측부 프레임(53)의 연장편(55)을 상기 유닛 베이스(38)에 있어서의 측면벽(41)의 외면측과 대향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측부 프레임(53)(프레임 유닛(50))이 유닛 베이스(38)에 대하여 위치결정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부 프레임(53)(프레임 유닛(50))이 유닛 베이스(38)에 대하여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측부 프레임(53)의 본체부(54)의 하면이 유닛 베이스(38)의 측면벽(41)의 상단부에 접촉 또는 근접 하여 측부 프레임(53)에 작용하는 수직하중을 유닛 베이스(38)로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상부 프레임(51)은, 상기 수납실(12)과 기계실(13)을 구성하는 단열 구획벽(19)의 상단부에 우단부를 나사로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측부 프레임(53)의 제1결합부와 유닛 베이스(38)의 제2결합부를 결합하고 또한 상기 제2상부 프레임(51)을 단열 구획벽(19)에 고정함으로써 유닛 베이스(38)와 단열 구획벽(19) 사이에 상기 프레임 유닛(50)이 가설된다. 이 때에, 상기 수납실(12)측의 제1상부 프레임(31)과 기계실(13)의 제2상부 프레임(51)은 직선모양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톱커버(32)에 의하여 제1 및 제2상부 프레임(31, 51)의 전체를 일체적으로 덮을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글래스(14)에 있어서 기계실(13)에 대응하는 상단부는, 상기 제2상부 프레임(51)과 톱커버(32) 사이에 협지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3, 도4, 도7,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상부 프레임(31) 및 제2상부 프레임(51)의 상면에는 탄성변형 가능한 제1훅(31c, 51a)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톱커버(32)의 하면측에는 상기 제1훅(31c, 51a)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1훅(31c, 51a)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제2훅(32a)이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훅(31c, 51a) 및 제2훅(32a)은, 제1상부 프레임(31) 및 제2상부 프레임(51)의 상면을 덮도록 톱커버(32)의 하면을 접촉시킴으로써 결합하여 상기 제1상부 프레임(31) 및 제2상부 프레임(51)에 대하여 톱커버(32)가 위치결정 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제1상부 프레임(31) 및 제2상부 프레임(51)의 제1훅(31c, 51a)은 좌우방향의 동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상부 프레임(51)의 좌상단부에는, 제2상부 프레임(51)에 고정되는 제1고정편(52a)과, 상기 제2상부 프레임(51)의 좌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제1결합편(52b)에 의하여 L자 모양으로 형성된 제1결합부재(5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결합부재(52)를 통하여 제2사이드 패널(65)의 상부를 위치결정 하여 고정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재(52)의 제1고정편(52a)은, 상기 제2상부 프레임(51)과 측부 프레임(53)을 고정하는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상기 제2사이드 패널(65)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13)의 측부 개구부를 덮는 차폐판(66)에는, 상기 팬모터(83)의 구동에 의하여 기계실(13)내로 받아들인 공기를 배출하는 슬릿(66a)이 좌우방향으로 관통하여 다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차폐판(66)의 외주 가장자리부에는 그 전체 둘레에 걸쳐서 외주 플랜지부(6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판 부재(25)나 제2상부 프레임(51), 프론트 글래스(14)의 측단부를 상기 외주 플랜지부(67)로 피복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차폐판(66)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프레임 유닛(50)에 설치한 상기 제1결합부재(5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결합부재(69)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2결합부재(69)는, 상기 차폐판(66)에 고정되는 제2고정편(69a)과, 상기 제2고정편(69a)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기계실(13)의 내측으로 곡절되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52)의 제1결합편(52b)이 삽탈 가능한 결합구멍(69c)이 형성된 제2결합편(69b)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부재(69)에 있어서의 제2결합편(69b)의 결합구멍(69c)에, 상기 제1결합부재(52)의 제1결합편(52b)을 삽입결합 시킴으로써 제2사이드 패널(65)의 상부가 프레임 유닛(50)에 대하여 위치결정 되고, 이 상태에서 제2사이드 패널(65)의 하부를 상기 유닛 베이스(38)의 측면부에 나사결합 함으로써 당해 제2사이드 패널(65)이 고정된다.
이 때에, 상기 프레임 유닛(50)의 측부 프레임(53)에 있어서의 상기 연장편(55)이, 상기 제2사이드 패널(65)의 차폐판(66)과 유닛 베이스(38)의 측면벽(41) 사이에 협지고정 된다. 또한 상기 제2사이드 패널(65)의 외주 플랜지부(67)와 제2상부 프레임(51) 사이에, 제2상부 프레임(51)을 덮는 상기 톱커버(32)의 측단부가 협지되고 또한 상기 제2사이드 패널(65)의 외주 플랜지부(67)가 상기 전원 코드(43)의 빠짐 방지부(46)의 후단면에 접촉하여, 상기 부싱(44)의 빠짐 방지부(46)를 상기 유닛 베이스(38)의 후면벽(40)과의 사이에서 협지하고 있다. 즉 상기 제1사이드 패널(33)을 측부 단열벽(18)으로부터 떼어냄과 아울러 상기 제2사이드 패널(65)을 유닛 베이스(38) 및 프레임 유닛(50)으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상기 제1훅(31c, 51a) 및 제2훅(32a)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톱커버(32)을 떼어낼 수 있게 되어 있다.
(실시예1의 작용〕
다음에 상기한 실시예1에 관한 냉장 쇼케이스(1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냉각기구(80)의 유지보수작업 등을 하는 데에 있어서는, 우선 상기 제1사이드 패널(33)을 상기 단열 상자체(16)의 측부 단열벽(18)에 고정하는 나사를 풀고, 상기 제1상부 프레임(31)에 설치된 제1결합부(3lb)와 제1사이드 패널(33)의 제2결합부(33a)의 결합을 해제하여 당해 제1사이드 패널(33)이 떼내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사이드 패널(65)을 유닛 베이스(38)에 고정하는 나사를 풀고, 상기 프레임 유닛(50)에 설치한 제1결합부재(52)에 있어서의 제1결합편(52b)을, 제2사이드 패널(65)에 설치한 제2결합부재(69)에 있어서의 제2결합편(69b)의 결합구멍(69c)으로부터 뽑아내어, 당해 제2사이드 패널(65)을 떼어낸다. 이에 따라 상기 기계실(13)은, 상기 프레임 유닛(50)(측부 프레임(53))에 의하여 일부가 막힌 상태에서 대부분이 좌방으로 개구한다. 이 때, 상기 톱커버(32)의 양단의 협지고정이 해제되고, 상기 제1상부 프레임(31) 및 프레임 유닛(50)(제2상부 프레임(51))에 형성한 제1훅(31c, 51a)과 톱커버(32)에 형성한 제2훅(32a)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당해 톱커버(32)가 떼내어진다.
계속하여 상기 프레임 유닛(50)(제2상부 프레임(51))을 상기 단열 구획벽(19)에 고정하는 나사를 떼어내고, 상기 프레임 유닛(50)의 전체를 상기 프론트 글래스(14)의 상단부 하면을 따라 기계실(13)의 측방으로 뽑아냄으로써 상기 측부 프레임(53)의 결합폴(55a)이 유닛 베이스(38)의 관통구멍(41a)으로부터 뽑아내어져 결합해제 되어, 당해 프레임 유닛(50)이 기계실(13)로부터 떼내어진다. 이에 따라 기계실(13)이 측방으로 완전하게 개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13)의 측부 개구부를 완전하게 해방한 상태에서, 상기 바닥판 부재(25)의 후면부(27)의 관통구멍(27b)을 통하여 상기 유닛 베이스(38)의 돌출부(40b, 40b)의 나사구멍(40c)에 나사삽입된 나사를 풀어 상기 유닛 베이스(38)의 고정이 해제되어, 당해 기계실(13)의 측부 개구부로부터 유닛 베이스(38)를 인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1에 관한 냉장 쇼케이스(10)에서는, 제2사이드 패널(65)을 떼어냄으로써 기계실(13)이 측방으로 개구되어, 기계실(13)의 측방에 상기 유닛 베이스(38)를 인출하여 냉각기구(80)의 유지보수작업 등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프론트 글래스(14)를 떼어내지 않고 냉각기구(80)의 유지보수작업 등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한사람의 작업원으로 작업을 할 수 있어 비용절감을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냉각기구(80)가 설치되는 유닛 베이스(38)를 기계실(13)로부터 인출하여 유지보수작업 등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상기 기계실(13)의 저면을 구성하는 바닥판 부재(25)에 설치된 보강판(35)의 레일부(36)에, 상기 유닛 베이스(38)의 전면벽(39)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유닛 베이스(38)를 기계실(13)에 대하여 인출 또는 수납할 때에 있어서의 유닛 베이스(38)의 안정성이 높아지고, 작업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상기 유닛 베이스(38)의 전면벽(39)을 레일부(36)에 삽입함으로써 유닛 베이스(38)의 인출이나 수납을 할 때에, 상기 유닛 베이스(38)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어, 기계실(13)에 대하여 유닛 베이스(38)를 원활하게 인출하거나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닛 베이스(38)에 있어서의 전면벽(39)으로부터 돌출편(40a)의 돌출 단부까지의 치수를, 상기 기계실(13)의 전후의 폭치수(바닥판 부재(25)의 전면부(26)로부터 후면부(27)까지의 거리)와 대략 일치하도록 설정하여, 상기 바닥판 부재(25)의 전면부(26) 및 후면부(27)가 유닛 베이스(38)의 안내수단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인출 및 수납시의 유닛 베이스(38)의 안정성이 보다 향상되고 유지보수작업 등의 작업성을 한층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닛 베이스(38)를 안내하는 레일부(36)를 기계실(13)의 앞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유닛 베이스(38)의 후면벽(40)에 나사결합용의 돌출부(40b, 40b)를 형성함으로써, 쇼케이스 전면측에서 유닛 베이스(38)의 고정나사가 보이는 일이 없어 냉장 쇼케이스(10)의 의장성을 높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 부재(25)는, 상방 및 측방으로 개구하는 형상으로 수지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하고 있기 때문에, 냉장 쇼케이스(10)를 구성하는 부품수의 삭감이 도모됨과 아울러 조립공수나 밀봉공수의 삭감으로도 연결되어, 냉장 쇼케이스(10)의 제조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 부재(25)는, 상기 수납실(12)(단열 상자체(16)) 및 기계실(13)의 저면을 일체적으로 구성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 부재(25)만으로 냉장 쇼케이스(10)의 저면 전체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대폭적인 경량화가 도모되고 냉장 쇼케이스(10)의 제조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바닥판 부재(25)를 단일의 수지성형부품으로 함으로써, 복수 패널을 조립하여 바닥판 부재(25)가 형성되는 종래 구조와 같이 부재 상호간의 이음매가 냉장 쇼케이스(10)의 외면에 나타나는 일이 없어, 상기 냉장 쇼케이스(10)의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기구(80)에 대한 유지보수작업 등의 종료후에는, 상기한 순서의 반대인 순서로 각 부재를 조립함으로써 냉장 쇼케이스(10)가 복원된다. 즉 우선 기계실(13)로부터 인출된 유닛 베이스(38)를 상기 레일부(36)을 따라 기계실(13)내로 수납하고, 상기 바닥판 부재(25)의 후면부(27)에 형성한 관통구멍(27b)을 통하여 대응하는 돌출부(40b)의 나사구멍(40c)에 나사를 나사삽입 하여 기계실(13)내의 소정의 위치에 유닛 베이스(38)를 고정한다. 계속하여 상기 기계실(13)의 측부 개구부로부터 상기 프론트 글래스(14)의 상단부 하면을 따라 프레임 유닛(50)을 삽입하고, 측부 프레임(53)에 형성된 결합폴(55a)을 유닛 베이스(38)의 관통구멍(41a)에 삽입결합 하고 또한 제2상부 프레임(51)의 우단부를 상기 단열 구획벽(19)의 상단부에 나사결합 한 후에, 상기 제2상부 프레임(51)의 제1훅(51a)에 대하여 상기 톱커버(32)의 제2훅(32a)을 결합시켜서, 제1상부 프레임(31) 및 제2상부 프레임(51)의 각각을 톱커버(32)로 덮도록 부착한다. 그리고 상기 제1상부 프레임(31)의 제1결합부(3lb)와 제1사이드 패널(33)의 제2결합부(33a)를 결합시키고, 상기 제1사이드 패널(33)을 단열 상자체(16)의 측부 단열벽(18)에 나사고정 하고 또한 상기 프레임 유닛(50)에 설치한 제1결합부재(52)에 있어서의 제1결합편(52b)을 상기 제2사이드 패널(65)에 설치한 제2결합부재(69)에 있어서의 제2결합편(69b)의 결합구멍(69c)에 삽입결합 시켜서, 상기 제2사이드 패널(65)을 유닛 베이스(38)에 나사결합 시킴으로써 냉장 쇼케이스(10)가 복원된다.
이와 같이 상기 기계실(13)의 골격구조를 이루는 측부 프레임(53)과 제2상부 프레임(51)을 조립하여 프레임 유닛(50)으로서 일체적으로 취급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프레임 유닛(50)을 착탈하는 것 만으로 기계실 골격의 분해 및 복원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냉각기구(80)의 유지보수작업 등에 필요한 작업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 유닛(50)의 측부 프레임(53)은, 상기 연장편(55)은 유닛 베이스(38)의 측면벽(41)과 상기 제2사이드 패널(65) 사이에 견고하게 협지되기 때문에, 상기 측부 프레임(53)(연장편(55))을 단독으로 유닛 베이스(38)에 나사결합 할 필요가 없어 프레임 유닛(50)의 착탈작업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한편, 전원 코드(43)를 고정하는 부싱으로서는, 종래는 도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부싱(90)의 외주면에 홈부(90a)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부싱(90)이 고정되는 고정부재(91)에 형성된 관통구멍(91a)의 내주 가장자리부에 환상의 결합편(92)을 형성하는 버링가공(burring 加工)을 실시하여 당해 부싱(90)의 홈부(90a)에 결합편(92)을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고정부재(91)의 가공비용이 늘어나는 요인으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1의 부싱(44)은, 유닛 베이스(38)에 형성한 관통구멍(40d)에 결합되는 결합부(45)와 상기 결합부(45)보다 큰 직경의 빠짐 방지부(46)로 구성되어서, 상기 빠짐 방지부(46)를 유닛 베이스(38)의 후면벽(40)과 제2사이드 패널(65)의 외주 플랜지부(67)와의 사이에 협지하여 고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관통구멍(40d)에 버링가공을 실시하는 않고 상기 전원 코드(43)를 지지하는 부싱(44)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코드(43)를 잡아당겨도, 상기 부싱(44)에 있어서의 빠짐 방지부(46)의 후단면에 상기 제2사이드 패널(65)의 외주 플랜지부(67)가 접촉함으로써 부싱(44)이 이탈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전원 코드(43)의 취급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종래의 부싱(90)과 같이 고정부재(91)의 결합편(92)을 홈부(90a)에 결합하는 구성에서는, 필연적으로 고정부재(91)로부터 부싱(90)이 돌출하게 되어 미관이 떨어져 상품의 부가가치가 저하되는 것으로도 연결되는 난점이 지적되지만, 실시예1의 부싱(44)에서는 상기 유닛 베이스(38)의 관통구멍(40d)에 결합부(45)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바닥판 부재(25)의 후면부(27)와 빠짐 방지부(46)의 후단면과 대략 동일면에 위치하여 상기 후면부(27)로부터 부싱(44)이 후방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냉장 쇼케이스(10)의 의장성의 향상이 도모되는 이점도 있다.
<실시예2>
다음에 실시예2에 관한 냉장 쇼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실시예2에 관한 냉장 쇼케이스(100)의 기본구성은, 실시예1에서 설명한 냉장 쇼케이스(10)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동일한 기능을 구비하는 부재?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2에 관한 냉장 쇼케이스(100)에서는,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기계실(13)의 저면을 구성하는 바닥판 부재(25)의 후면부(27)는, 상기 측부 단열벽(18)으로부터 단열 구획벽(19)까지의 사이에만 형성되어, 상기 기계실(13)이 후방으로 완전하게 개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 부재(25)에는, 상기 제2사이드 패널(65)측의 측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고정판(102)이 연속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실시예2에 관한 냉장 쇼케이스(100)에서는, 냉각기구(80)가 설치된 유닛 베이스(108)를 상기 기계실(13)의 측부 개구부로부터는 인출이 불가능하게 구성되어서, 당해 유닛 베이스(108)를 기계실(13)의 후방 개구부로부터 인출가능 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판 부재(25)에는, 상기 기계실(13)에 접하는 뒤쪽 가장자리부에 상방으로 개구하는 결합홈(103)이 좌우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16 참조), 루버(61)의 하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실시예2에 관한 냉장 쇼케이스(100)에서는, 상기 바닥판 부재(25), 외장 패널(57), 단열 구획벽(19), 제2사이드 패널(65)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외주 플랜지부(67)의 각각에 의하여 형성되는 개구부에,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루버(61)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실시예2에 관한 루버(61)는, 실시예1와 마찬가지로 상기 외장 패널(57)의 뒷편에 상단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루버(61)의 하단부에 설치한 하부 결합부(6lb)를 상기 바닥판 부재(25)의 결합홈(103)에 착탈 가능하게 상방으로부터 삽입하는 것으로 부착된다. 즉 실시예2에서는, 상기 외장 패널(57) 및 루버(61)가 기계실(13)의 배면을 구성하는 배면 커버로서 기능하고, 상기 루버(61) 및 외장 패널(57)(프레임 유닛(50))을 떼어냄으로써 상기 유닛 베이스(108)를 기계실(13)로부터 인출가능 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루버(61)에 있어서 응축기(82)측에는, 상기 루버(61)를 대략 전면적으로 덮는 필터(62)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루버(61)를 떼어낸 상태에서 기계실(13)의 후방 개구부로부터 필터(62)의 착탈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루버(61) 및 필터(62)는, 상기 유닛 베이스(108)에 설치된 전원 코드(43)에 대응하는 모서리 부분(도15의 우측하부 모서리 부분)에 절단부(61c, 62a)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루버(61) 및 필터(62)와 전원 코드(43)와의 간섭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102)에는, 상기 기계실(13)의 골격구조를 이루는 상기 프레임 유닛(50)(측부 프레임(53))에 형성된 결합폴(제1결합부)(55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폴(55a)과 제2결합부를 결합함으로써 프레임 유닛(50)(측부 프레임(53))이 바닥판 부재(25)(고정판(102))에 대하여 위치결정 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실시예2에서는, 상기 제2결합부로서 상기 결합폴(55a)이 결합하는 관통구멍(102a)이 상기 고정판(102)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102)에는 전후방향으로 이간하는 위치에 나사관통구멍(102b, 102b)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2사이드 패널(65)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102)의 나사관통구멍(102b, 102b)과 좌우로 정렬하는 위치에 나사관통구멍(65a, 65a)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사이드 패널(65)의 나사관통구멍(65a, 65a)에 삽입된 나사를 고정판(102)의 나사관통구멍(102b, 102b)에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계실(13)에 설치되는 보강판(105)은, 도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기계실(13)의 저면 대략 전체를 덮는 바닥판(105a)의 전단부 및 좌우 측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보강벽부(105b, 105c)를 구비하고 있고, 각 보강벽부(105b, 105c)가 바닥판 부재(25)의 전면부(26), 단열 구획벽(19) 및 고정판(102)에 대하여 각각 나사나 리벳, 접착 등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된다. 또한, 도16에서는, 상기 보강판(105)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102)에 고정되는 좌보강벽부를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102)에 고정되는 좌보강벽부에는, 상기 고정판(102)의 나사관통구멍(102b, 102b)과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구멍(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관통구멍(102b, 102b)에 삽입된 나사가 기계실(13)내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도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보강판(105)에는, 상기 단열 구획벽(19)에 고정되는 우보강벽부(105c)에, 유닛 베이스(108)를 인출가능 하게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으로서의 레일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일부(106)의 기본구성은 실시예1의 레일부(36)와 같으며, 우보강벽부(105c)로부터 기계실(13) 내부로 대략 수평으로 연장하는 제1편(106a)과, 상기 제1편(106a)의 돌출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제2편(106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일부(106)의 제2편(106b)과 우보강벽부(105c) 사이에 유닛 베이스(108)의 우측면벽(110)이 삽입되어서, 상기 유닛 베이스(108)를 전후방향으로 안내하게 되어 있다.
상기 기계실(13)에 수용되는 유닛 베이스(108)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상방으로 개구하는 상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닛 베이스(108)를 기계실(13)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102)과 대향하는 좌측면벽(109)에 상기 고정판(102)의 나사관통구멍(102b, 102b)과 좌우로 정렬하도록 나사구멍(109a, 109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도17 참조). 즉 상기 제2사이드 패널(65)과 유닛 베이스(108)(좌측면벽(109)) 사이에 상기 고정판(102)을 사이에 둔 상태에서, 상기 제2사이드 패널(65)의 나사관통구멍(65a, 65a) 및 고정판(102)의 나사관통구멍(102b, 102b)에 삽입된 나사를 유닛 베이스(108)(좌측면벽(109))의 대응하는 나사구멍(109a, 109a)에 나사삽입 함으로써, 유닛 베이스(108)가 기계실(13)내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고 또한 제2사이드 패널(65)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강판(105)의 레일부(106)에 삽입되는 상기 유닛 베이스(108)의 우측면벽(110)은, 상기 유닛 베이스(108)의 전면벽(111) 및 후면벽(112)보다 상방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닛 베이스(108)의 전면벽(111) 및 후면벽(112)이 레일부(106)와 간섭하지 않고 우측면벽(110)을 후방으로부터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유닛 베이스(108)에 있어서의 우측면벽(110)으로부터 좌측면벽(109)까지의 치수는, 상기 기계실(13)의 좌우의 폭치수(단열 구획벽(19)으로부터 고정판(102)까지의 거리. 구체적으로는 보강판(105)의 우보강벽부(105c)로부터 좌보강벽부까지의 거리)와 대략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상기 단열 구획벽(19) 및 고정판(102)이 유닛 베이스(108)의 안내수단으로서 기능하여 기계실(13)에 대한 유닛 베이스(108)의 인출 및 수납시의 안정성을 높이고 있다.
〔실시예2의 작용〕
다음에 상기한 실시예2에 관한 냉장 쇼케이스(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냉각기구(80)의 유지보수작업 등을 하는 데에 있어서는, 상기 루버(61)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하부 결합부(6lb)와 상기 바닥판 부재(25)의 결합홈(103)과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루버(61) 및 필터(62)를 떼어낸 상태에서,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1사이드 패널(33) 및 제2사이드 패널(65)을 떼어낸다. 이에 따라 상기 기계실(13)은, 상기 프레임 유닛(50)(측부 프레임(53) 및 외장 패널(57))에 의하여 일부가 막혀진 상태에서 대부분이 좌방 및 후방으로 개구한다. 또한 상기 톱커버(32) 및 프레임 유닛(50)을 떼어냄으로써 기계실(13)이 후방으로 완전하게 개구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유닛 베이스(108)는, 상기 제2사이드 패널(65)을 고정판(102)에 고정하는 나사를 통하여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사이드 패널(65)의 제거에 따라 유닛 베이스(108)의 고정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실시예2에 관한 냉장 쇼케이스(100)에서는, 상기 제2사이드 패널(65) 및 프레임 유닛(50)(외장 패널(57))을 떼어냄으로써 상기 기계실(13)이 후방으로 개구됨과 아울러 유닛 베이스(108)의 고정이 해제되어, 상기 유닛 베이스(108)를 기계실(13)의 후방으로 인출하여 냉각기구(80)의 유지보수작업 등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프론트 글래스(14)를 떼어내지 않고 냉각기구(80)의 유지보수작업 등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한사람의 작업원으로 작업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비용절감을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냉각기구(80)가 설치되는 유닛 베이스(108)를 기계실(13)로부터 인출하여 유지보수작업 등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상기 기계실(13)의 저면을 구성하는 바닥판 부재(25)에 설치된 보강판(105)의 레일부(106)에 상기 유닛 베이스(108)의 우측면벽(110)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상기 유닛 베이스(108)를 인출하거나 수납하거나 할 때의 안정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사이드 패널(65)을 고정하는 나사를 이용하여 유닛 베이스(108)도 고정함으로써 쇼케이스 전면측에서 유닛 베이스(108)의 고정나사가 보이는 경우가 없어, 냉장 쇼케이스(100)의 의장성을 높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사이드 패널(65)을 나사결합 하는 것만으로 유닛 베이스(108)도 동시에 고정할 수 있고, 또 제2사이드 패널(65)을 떼어냄으로써 유닛 베이스(108)의 고정도 해제되기 때문에, 유지보수 등에 있어서의 냉장 쇼케이스(100)의 조립?분해의 작업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된다.
<변경예>
본원은 상기한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외의 구성을 적절하게 채용할 수 있다.
1. 실시예1, 2에서는, 기계실의 골격을 이루는 측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을 유닛화 하여 일체적으로 취급할 수 있도록 구성했지만, 상기 측부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을 독립한 부재로서 단독으로 취급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2. 실시예1, 2에서는, 수납실(단열 상자체) 및 기계실의 저면을 단일의 바닥판 부재로 형성하도록 했지만, 수납실(단열 상자체) 및 기계실의 저면을 개별로 형성하더라도 좋다.
3. 실시예1, 2에서는, 바닥판 부재를 수지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하도록 했지만, 복수의 패널 부재를 조립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4. 실시예1에서는, 유닛 베이스를 안내하는 레일부를 기계실의 앞측에 형성했지만, 기계실의 후부측에도 레일부를 형성하여 유닛 베이스의 전후의 벽부를 안내하여도 좋다.
5. 실시예1에서는, 측부 프레임에 형성한 결합폴을 유닛 베이스에 형성한 관통구멍에 삽입결합 시킨 상태에서 유닛 베이스와 사이드 패널 사이에 측부 프레임의 연장편을 협지하도록 구성했지만, 상기 측부 프레임의 연장편을 유닛 프레임에 개별로 나사결합 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측부 프레임은 바닥판 부재에 고정할 수도 있다.
6. 실시예1, 2에서는, 냉각기를 단열 상자체에 고정적으로 설치하도록 구성했지만, 수납실과 기계실을 구획하는 단열 구획벽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유닛 베이스를 인출했을 때에 냉각기도 일체적으로 인출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이 경우에는, 단열 상자체내에, 냉각기를 수용하는 냉각실을 수납실과는 독립하여 구성하고 또한 유닛 베이스를 기계실내에 수용한 상태에서 단열 구획벽의 개구부가 밀폐되도록 구성하여, 냉각실 및 기계실을 격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7. 실시예1, 2에서는, 수납실(단열 상자체)의 좌측부에 기계실을 설치하고, 유닛 베이스를 좌방으로 인출하도록 구성된 냉장 쇼케이스를 예시했지만, 수납실(단열 상자체)의 우측부에 기계실을 설치하고, 유닛 베이스를 우방(右方)으로 인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은 당연하다.
8. 실시예2에서는, 프레임 유닛을 구성하는 외장 패널과 루버에 의하여 기계실의 배면을 구성하는 배면 커버를 구성하도록 했지만, 루버 만으로 배면 커버를 구성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고, 또 기타 구성에 의하여 배면 커버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9. 실시예2에서는, 유닛 베이스를 안내하는 레일부를 수납실과 기계실을 구획하는 단열 구획벽측에 설치하도록 구성했지만, 고정판측에도 레일부를 형성하여 유닛 베이스의 좌우의 벽부를 안내하여도 좋다.

Claims (6)

  1. 수납실(12)을 구성하고 또한 상기 수납실(12)을 냉각하는 냉각기를 구비한 단열 상자체(16)의 측부에 상기 냉각기에 냉매를 순환공급 하는 냉각기구(80)가 설치되는 기계실(13)이 구성되고, 상기 수납실(12) 및 기계실(13)의 전면측을 단일의 프론트 글래스(front glass)(14)에 의하여 덮도록 구성된 냉장 쇼케이스(冷藏 showcase)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13)의 측면을 착탈가능한 사이드 패널(65)에 의하여 구성하여 상기 사이드 패널(65)을 떼어낸 상태에서 기계실(13)이 측방으로 개구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상기 냉각기구(80)를 상기 기계실(13)로부터 인출가능한 유닛 베이스(38)에 재치하고, 사이드 패널(65)을 떼어냄으로써 개구하는 기계실(13)의 측부 개구부를 통하여 유닛 베이스(38)를 기계실(13)로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쇼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베이스(38)의 전부(前部)를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36)을 상기 기계실(13)내에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유닛 베이스(38)를 기계실(13)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유닛 베이스(38)의 후부측이 나사로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쇼케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13)의 저면을 구성하는 바닥판 부재(25)는 상방으로 개구하고 단면이 ㄷ자 모양으로 수지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바닥판 부재(25)의 대향하는 대향면부(26, 27)를 따라 상기 유닛 베이스(38)가 안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쇼케이스.
  4. 수납실(12)을 구성하고 또한 상기 수납실(12)을 냉각하는 냉각기를 구비한 단열 상자체(16)의 측부에 상기 냉각기에 냉매를 순환공급 하는 냉각기구(80)가 설치되는 기계실(13)이 구성되고, 상기 수납실(12) 및 기계실(13)의 전면측(前面側)을 단일의 프론트 글래스(14)에 의하여 덮도록 구성된 냉장 쇼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13)의 배면을 착탈가능한 배면 커버(57, 61)에 의하여 구성하여 상기 배면 커버(57, 61)를 떼어낸 상태에서 기계실(13)이 후방으로 개구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상기 냉각기구(80)를 상기 기계실(13)로부터 인출가능한 유닛 베이스(108)에 재치하고, 상기 배면 커버(57, 61)를 떼어냄으로써 개구하는 기계실(13)의 후방 개구부를 통하여 유닛 베이스(108)를 기계실(13)로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쇼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13)내에 가이드 수단(106)을 설치하고, 상기 유닛 베이스(108)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패널(65)에 나사로 고정되는 벽부(109)와 대향하는 벽부(110)를 안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쇼케이스.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13)의 측면을 구성하는 사이드 패널(65) 및 상기 유닛 베이스(108) 사이에, 상기 기계실(13)의 저면을 구성하는 바닥판 부재(25)에 연속하도록 설치하는 고정판(102)을 삽입한 상태에서, 사이드 패널(65)과 유닛 베이스(108)를 나사로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쇼케이스.
KR1020127005774A 2009-10-19 2010-09-07 냉장 쇼케이스 KR201200892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40884 2009-10-19
JP2009240884 2009-10-19
JP2010179231A JP5687007B2 (ja) 2009-10-19 2010-08-10 冷蔵ショーケース
JPJP-P-2010-179231 2010-08-10
PCT/JP2010/065335 WO2011048879A1 (ja) 2009-10-19 2010-09-07 冷蔵ショーケー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9262A true KR20120089262A (ko) 2012-08-09

Family

ID=43900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5774A KR20120089262A (ko) 2009-10-19 2010-09-07 냉장 쇼케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31292B2 (ko)
EP (1) EP2457473B1 (ko)
JP (1) JP5687007B2 (ko)
KR (1) KR20120089262A (ko)
CN (1) CN102665491B (ko)
ES (1) ES2575153T3 (ko)
WO (1) WO20110488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6533A1 (ja) * 2010-10-27 2012-05-03 株式会社 テクノミライ 空調制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DE102013225650A1 (de) * 2013-12-11 2015-06-11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r spezifischen Begrenzungswand eines Maschinenraum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05321A (en) * 1959-08-25 1961-10-24 Philco Corp Multiple temperature refrigerator
US3665727A (en) * 1970-09-14 1972-05-30 Trane Co Sectionalized self-contained air conditioning unit
CA929756A (en) * 1971-11-19 1973-07-10 G. Maynard James Refrigeration unit
FR2423737A1 (fr) * 1978-04-20 1979-11-16 Lai Arredamenti Bar Negozi Unite frigorifique notamment destinee a la refrigeration des chambres froides d'un comptoir
US4457140A (en) * 1982-05-21 1984-07-03 Leitner Corporation Modular refrigeration unit and cabinet systems therewith
DE3318448A1 (de) * 1983-05-20 1984-11-22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Verfahren und arbeitsgeraetschaft zum einbauen eines motorkompressors in eine nische eines kuehlgeraetes
JPS6234514A (ja) * 1985-08-09 1987-02-14 三洋電機株式会社 冷蔵シヨ−ケ−ス
CA1229483A (en) * 1986-03-26 1987-11-24 Kevin Clifton Central air conditioning system
US4949554A (en) * 1989-09-08 1990-08-21 Specialty Equipment Companies, Inc. Single pane, curved glass lid, frozen food merchandiser
US5140830A (en) * 1990-10-31 1992-08-25 Consolidated Technology Corporation Self-contained indoor air conditioning system
US5347827A (en) * 1992-07-01 1994-09-20 The Coca-Cola Company Modular refrigeration apparatus
US5582026A (en) * 1992-07-07 1996-12-10 Barto, Sr.; Stephen W. Air conditioning system
US5245841A (en) * 1992-11-24 1993-09-21 Scotsman Group, Inc. Undercounter ice making machine
US5875645A (en) * 1997-04-10 1999-03-02 Gross-Given Manufacturing Company Self-sealing vending machine refrigeration apparatus
US6089036A (en) * 1998-09-02 2000-07-18 Stanley Knight Corporation Open-top chilling apparatus
US6082131A (en) * 1998-10-20 2000-07-04 Hoshizaki Denki Co., Ltd. Refrigerator
JP2000310474A (ja) * 1999-04-26 2000-11-07 Daiwa Industries Ltd 冷蔵庫機械室の引出し機構
US6170285B1 (en) * 1999-10-26 2001-01-09 Crane Co. Vending machine
USD453169S1 (en) * 2001-02-16 2002-01-29 Haier Group Corporation Wine cellar with long handle
US6519970B1 (en) * 2001-11-13 2003-02-18 General Electric Company High-side refrigeration unit assembly
US7234320B2 (en) * 2002-10-18 2007-06-26 Habco Beverage Systems Inc. Modular refrigeration unit and refrigerator
JP2004358017A (ja) * 2003-06-06 2004-12-24 Sanden Corp ショーケースの冷却ユニット設置構造
JP2005233471A (ja) * 2004-02-18 2005-09-02 Daiwa Industries Ltd ショーケース形冷蔵庫
JP2008014513A (ja) * 2006-07-03 2008-01-24 Sanden Corp ショーケース
JP4918413B2 (ja) * 2007-05-31 2012-04-18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冷蔵ショーケ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87007B2 (ja) 2015-03-18
US8931292B2 (en) 2015-01-13
ES2575153T3 (es) 2016-06-24
WO2011048879A1 (ja) 2011-04-28
EP2457473B1 (en) 2016-03-09
JP2011104345A (ja) 2011-06-02
US20120137717A1 (en) 2012-06-07
CN102665491B (zh) 2014-06-25
EP2457473A4 (en) 2012-12-05
EP2457473A1 (en) 2012-05-30
CN102665491A (zh)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0064A (en) Refrigerator with removable door hinge
KR20060081919A (ko) 냉장고
JP4283291B2 (ja) 冷蔵庫
KR20120089262A (ko) 냉장 쇼케이스
KR20080079105A (ko) 냉장고
EP3726170B1 (en) Refrigerator
JP2020051654A (ja) 冷蔵庫および断熱仕切装置
JP2967181B2 (ja) 低温貯蔵庫
US20220243973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5809547B2 (ja) 冷却貯蔵庫
JP7408427B2 (ja) 貯蔵庫
JP4504761B2 (ja) 電装箱
JP4502521B2 (ja) 冷却貯蔵庫
US11976875B2 (en) Refrigerator
JP7091125B2 (ja) 冷却貯蔵庫
JP4502520B2 (ja) 冷却貯蔵庫
JP5198084B2 (ja) 機器の操作パネル取付構造
JP5139109B2 (ja) 冷却庫
US20240085088A1 (en) Refrigerator
US20220357096A1 (en) Refrigerator
JP3542721B2 (ja) 飲料水抽出装置
US20220196314A1 (en) Refrigerator
KR200144891Y1 (ko) 쇼케이스
KR20210147272A (ko) 냉장고의 도어
JP2000245585A (ja) 冷蔵庫の下レー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