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6036A - 온도 감지 회로 - Google Patents

온도 감지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6036A
KR20120086036A KR1020110007237A KR20110007237A KR20120086036A KR 20120086036 A KR20120086036 A KR 20120086036A KR 1020110007237 A KR1020110007237 A KR 1020110007237A KR 20110007237 A KR20110007237 A KR 20110007237A KR 20120086036 A KR20120086036 A KR 20120086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ulse width
delay
temperature sensing
comparis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6486B1 (ko
Inventor
김광석
정성욱
우승한
류경호
정동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7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486B1/ko
Priority to US13/334,314 priority patent/US8864376B2/en
Publication of KR20120086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34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capacitative elements
    • G01K7/34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capacitative elements for 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time delay of a signal through a series of logical 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4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mounted by means of a rigid support, e.g. bracket or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감지 회로는, 지연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지연라인의 지연값에 대응되는 펄스폭을 가진 소스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상기 소스신호의 펄스폭을 확장하여 비교신호를 생성하는 펄스폭 확장부; 및 상기 비교신호와 기준신호의 펄스폭 차이를 이용하여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변화 감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도 감지 회로{TEMPERATURE SENSING CIRCUIT}
본 발명은 온도 감지 회로에 관한 것이다.
집적회로 내에서 온도의 변화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회로는, 현재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회로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온도 감지 회로는, 고온에서 회로를 보호하는 회로, 일정 온도에서 동작 특성이 변하는 회로, 그리고 온도계 등과 같은 회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온도에 따라서 집적회로의 동작속도, 내부저항값 등이 변화한다. 특히 집적회로의 집적도가 높아질수록 온도 변화가 집적회로의 프로세스(process)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정확한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것이 점점 중요해 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온도 감지 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감지 회로는, 비교신호 생성부(110), 제어부(120), 변화 감지부(13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온도 감지 회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비교신호 생성부(110)는 다수의 지연유닛(도 1에 미도시)를 포함하며 비교신호(RO)를 생성한다. 변화 감지부(130)는 비교신호(RO)와 기준신호(RE)의 펄스폭의 차이를 이용하여 온도의 변화량을 측정하게 된다. 이때 비교신호(RO)의 펄스폭은 다수의 지연유닛 중 활성화된 지연유닛들의 지연값의 합에 대응된다. 지연유닛들은 제어부(120)에서 생성된 제어코드(CON<0:A>)에 응답하여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된다.
온도 변화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온도 감지 동작에 앞서 초기 온도에서 비교신호(RO)와 기준신호(RE)의 펄스폭을 동일하게 맞추어 주는 동작이 필요하다. 지연유닛은 공정에 따라 다른 지연값을 가지므로 활성화된 지연유닛의 개수가 고정되어 있으면, 비교신호(RO)의 펄스폭은 공정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공정에 따른 지연유닛의 지연값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 제어부(120)는 초기 온도에서 비교신호(RO)와 기준신호(RE)의 펄스폭을 비교하여 동일해질 때까지 활성화된 지연유닛의 개수를 조절한다. 이러한 동작을 캘리브래이션(calibration) 동작이라 한다.
예를 들어 비교신호(RO)의 펄스폭이 기준신호(RE)의 펄스폭보다 크면 활성화된 지연유닛의 개수를 줄이고, 반대의 경우 활성화된 지연유닛의 개수를 늘린다. 비교신호(RO)와 기준신호(RE)의 펄스폭 동일해지면 활성화된 지연유닛의 개수를 유지하게 된다.
캘리브래이션 동작이 완료되면 변화 감지부(130)에서는 비교신호(RO)와 기준신호(RE)의 펄스폭의 차이동안 클럭(CLK)을 카운팅한다. 클럭(CLK)이 카운팅된 횟수, 정확히 말하면 비교신호(RO)와 기준신호(RE)의 펄스폭의 시간차이는 온도의 변화량과 선형적인 관계를 갖는다.
온도 변화를 더욱 정확히 감지하기 위해서는 비교신호 생성부(110)가 더 많은 수의 지연유닛을 활성화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 이유는 지연유닛이 많은 경우 온도가 조금만 변하여도 활성화된 지연유닛의 지연값의 합은 크게 변하므로 시간을 측정하는 것이 쉬워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지연유닛의 개수를 늘리면 회로의 면적이 증가한다. 따라서 온도 감지 회로의 해상도(resolution)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회로의 면적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하 자세한 사항은 「Dual-DLL-based CMOS all-digital temperature sensor for microprocessor thermal monitoring", IEEE international solid-state circuit conference, pp. 68-70, 2009」에 자세히 개시되어 있는바 생략한다.
본 발명은 해상도(resolution)는 유지하면서 회로의 면적을 줄인 온도 감지 회로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감지 회로는, 지연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지연라인의 지연값에 대응되는 펄스폭을 가진 소스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상기 소스신호의 펄스폭을 확장하여 비교신호를 생성하는 펄스폭 확장부; 및 상기 비교신호와 기준신호의 펄스폭 차이를 이용하여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변화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감지 회로는, 다수의 지연 유닛 및 하나 이상의 파인 지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지연 유닛 중 활성화된 지연 유닛들의 지연값과 상기 하나 이상의 파인 지연 유닛 중 활성화된 파인 지연 유닛들의 지연값의 합에 대응되는 펄스폭을 가진 소스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상기 소스신호의 펄스폭을 확장하여 비교신호를 생성하는 펄스폭 확장부; 초기온도에서 상기 비교신호와 기준신호의 펄스폭이 동일해지도록 상기 활성화된 지연 유닛 및 파인 지연 유닛의 개수를 조절하는 제어부; 및 상기 비교신호와 기준신호의 펄스폭 차이를 이용하여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변화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신호와 상기 기준신호의 펄스폭을 비교하여 업/다운 신호를 생성하는 위상 비교부; 및 상기 업/다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소스신호의 펄스폭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코드를 생성하는 제어코드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감지 회로는, 소스신호의 펄스폭을 확장하여 비교신호를 생성함으로써 회로의 면적을 감소시키면서도, 파인 지연 유닛을 이용하여 온도 감지의 해상도(resolution)는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온도 감지 회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 감지 회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 감지 회로의 구성도,
도 4는 온도 감지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파형도,
도 5는 캘리브래이션 완료 후 온도에 따른 비교신호(RO)의 펄스폭(PW)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 감지 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감지 회로는, 지연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지연라인의 지연값에 대응되는 펄스폭을 가진 소스신호(RS)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210), 소스신호(RS)의 펄스폭을 확장하여 비교신호(RO)를 생성하는 펄스폭 확장부(220) 및 비교신호(RO)와 기준신호(RE)의 펄스폭 차이를 이용하여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변화 감지부(230)를 포함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온도 감지 회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신호 생성부(210)는 지연라인을 포함하며, 지연라인의 지연값에 대응되는 펄스폭을 가진 소스신호(RS)를 생성한다. 지연라인은 다수의 지연유닛을 포함하며 다수의 지연유닛의 지연값의 합만큼의 지연값을 가진다. 신호 생성부(210)는 인에이블 신호(EN)에 응답하여 활성화된다. 인에이블 신호(EN)는 기준신호(RE)를 티플립플롭(201)을 이용하여 2분주하여 생성한다.
신호 생성부(210)는 일반적인 링 발진기(ring oscillator)에 해당한다. 참고로 링 발진기의 가장 단순한 형태는 홀수개의 인버터를 직렬로 연결하고 첫번째 인버터의 입력과 마지막 인버터의 출력을 연결한 발진기이다. 링발진기의 출력으로는 '하이'구간과 '로우'구간의 크기가 인버터들의 지연값의 합과 같은 클럭신호(clock signal)가 출력된다. 여기서 인버터가 지연유닛에 해당한다. 링발진기는 입력과 출력의 피드백을 통해 클럭신호를 생성한다.
소스신호(RS)가 활성화되는 시점을 기준신호(RE)가 활성화되는 시점과 맞추기 위해 신호 생성부(210)는 기준신호(RE)가 활성화되는 시점에 활성화된다. 이렇게 해야 비교신호(RO)와 기준신호(RE)의 활성화시점을 일치시켜 펄스폭의 차이를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이다.
펄스폭 확장부(220)는 소스신호(RS)의 펄스폭을 확장하여 비교신호(RO)를 생성한다. 펄스폭을 확장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티플립플롭(221, 222)을 포함한다. 티플립플롭(221, 222)은 소스신호(RS)의 주기를 2배로 늘려 비교신호(RO)를 생성한다. 따라서 비교신호(RO)의 펄스폭은 소스신호(RS)의 펄스폭의 2배가 된다. 티플립플롭이 N개인 경우 비교신호(RO)의 펄스폭을 소스신호(RS)의 펄스폭의 2N배까지 늘릴 수 있다. 다만 펄스폭 확장부(220)는 반드시 티플립플롭을 포함할 필요는 없고 소스신호(RS)의 펄스폭을 일정한 배율로 확장할 수 있는 구성이면 된다.
변화 감지부(230)는 비교신호(RO)와 기준신호(RE)의 펄스폭의 차이를 이용하여 온도 변화를 감지한다. 변화 감지부(230)에서는 비교신호(RO)와 기준신호(RE)의 펄스폭의 차이 동안 클럭(CLK)을 카운팅하여 카운팅된 결과를 가지고 온도 변화를 감지한다. 이는 온도에 따른 비교신호(RO)의 펄스폭의 변화가 선형성을 가지기 때문에 가능하다.
펄스폭 확장부(220)에서 소스신호(RS)의 펄스폭을 확장함으로써 온도에 따른 비교신호(RO)의 펄스폭 변화는 온도에 따른 소스신호(RS)의 펄스폭 변화의 2N배가 된다(펄스폭 확장부(220)가 N개의 티플립플롭 포함). 따라서 지연라인에서 종래의 1/2N개의 지연유닛을 가지고도 종래와 같은 감도를 가질 수 있으므로 회로의 면적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 감지 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감지 회로는, 다수의 지연 유닛(311) 및 하나 이상의 파인 지연 유닛(312)을 포함하고, 다수의 지연 유닛(311) 중 활성화된 지연 유닛들의 지연값과 하나 이상의 파인 지연 유닛(312) 중 활성화된 파인 지연 유닛들의 지연값의 합에 대응되는 펄스폭을 가진 소스 신호(RS)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310), 소스신호(RS)의 펄스폭을 확장하여 비교신호(RO)를 생성하는 펄스폭 확장부(320), 초기온도에서 비교신호(RO)와 기준신호(RE)의 펄스폭이 동일해지도록 활성화된 지연 유닛(311) 및 파인 지연 유닛(312)의 개수를 조절하는 제어부(330) 및 비교신호(RO)와 기준신호(RE)의 펄스폭 차이를 이용하여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변화 감지부(340)를 포함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온도 감지 회로에 대해 설명한다.
신호 생성부(310)는 인에이블 신호(EN)가 활성화(하이)된 구간에서 소스신호(RS)를 생성한다. 인에이블 신호(EN)는 티플립플롭(301)을 이용하여 기준신호(RE)의 주파수를 2분주하여 생성한다. 따라서 신호 생성부(310)는 기준신호(RE)에 응답하여 활성화된다. 인에이블 신호(EN)를 기준신호(RE)를 2분주하여 생성하는 이유는 먼저 비교신호(RO)의 활성화 시점을 기준신호(RE)와 동일하도록 하기 위함이고, 비교신호(RO)의 펄스폭의 초기값이 기준신호(RE)보다 크더라도 정확하게 생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인에이블 신호(EN)로 기준신호(RE)를 그대로 이용한다면 비교신호(RO)의 펄스폭의 최대값이 기준신호(RE)의 펄스폭으로 제한되어 정확한 캘리브래이션 동작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신호 생성부(310)는 다수의 지연 유닛(311) 및 하나 이상의 파인 지연 유닛(312)을 포함한다. 소스신호(RS)의 펄스폭은 다수의 지연 유닛(311) 중 활성화된 지연 유닛들의 지연값과 다수의 파인 지연 유닛(312) 중 활성화된 파인 지연 유닛들의 지연값의 합에 대응된다. 신호 생성부(310)에서 소스신호(RS)를 생성하는 원리는 링 발진기에서 신호를 생성하는 원리와 동일하다. 파인 지연 유닛(312)은 지연 유닛(311)보다 작은 지연값을 가지는데 이는 캘리브래이션 동작시 비교신호(RO)와 기준신호(RE)의 펄스폭을 더 정확하게 맞추기 위함이다.
신호 생성부(3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인버터를 포함하는 링 발진기로 구성될 수도 있고, 수개의 낸드 게이트를 포함하는 지연유닛을 포함하는 링발진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단위 지연 유닛은 사용자의 설계에 따라 인에이블/디스에이블이 가능한 다른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도 있다.
펄스폭 확장부(320)는 하나 이상의 티플립플롭(321, 322)을 포함할 수 있다. 티플립플롭(321, 322) 한개당 소스신호(RS)의 활성화 구간을 2배씩 증가시킨다. 따라서 티플립플롭((321, 322)이 N개인 경우 비교신호(RO)의 활성화구간은 소스신호(RS)의 2N배가 된다. 이하 도 3에서는 펄스폭 확장부(320)가 2개의 티플립플롭(321, 322)을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1) 캘리브래이션 동작
정확한 온도 감지를 위해서 온도 감지 동작을 시작하기 전에 공정에 따른 오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술한 캘리브래이션 동작을 수행한다. 캘리브래이션 동작이란 초기 온도에서 비교신호(RO)와 기준신호(RE)의 펄스폭을 동일하게 맞추는 동작을 말한다. 캘리브래이션 동작 수행시 제어부(330)는 활성화 상태에 있고, 변화 감지부(340)는 비활성화 상태에 있다.
제어부(330)는 비교신호(RO)와 기준신호(RE)의 펄스폭을 비교하여 업/다운 신호(UP/DN)를 생성하는 위상 비교부(331) 및 업/다운 신호(UP/DN)에 응답하여 소스신호(RS)의 펄스폭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코드(CON<0:A>)를 생성하는 제어코드 생성부(332)를 포함한다.
위상 비교부(331)는 비교신호(RO)의 펄스폭이 기준신호(RE)의 펄스폭보다 큰 경우에는 다운신호(DN)를 생성하고, 반대의 경우 업신호(UP)를 생성한다. 비교신호(RO)와 기준신호(RE)는 동일한 시점에 활성화되므로 펄스폭이 큰 쪽이 늦게 비활성화된다. 따라서 위상 비교부(331)는 비교신호(RO)와 기준신호(RE)의 비활성화 시점을 검출하는 위상 검출기(phase detector)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비교신호(RO)와 기준신호(RE)를 반전하여 활성화 시점을 검출할 수도 있다.
제어코드 생성부(332)는 업/다운신호(UP/DN)에 응답하여 제어코드(CON<0:A>)를 갱신한다. 제어코드(CON<0:A>)는 신호 생성부(310)에 포함된 다수의 지연 유닛(311)과 다수의 파인 지연 유닛(312)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한다. 업신호(UP)에 응답하여 활성화된 파인 지연 유닛(312) 또는 활성화된 지연 유닛(311)의 개수를 증가시키도록 제어코드(CON<0:A>)를 갱신한다. 다운신호(DN)에 응답하여 활성화된 파인 지연 유닛(312) 또는 활성화된 지연 유닛(311)의 개수를 감소시키도록 제어코드(CON<0:A>)를 갱신한다.
비교신호(RO)와 기준신호(RE)의 펄스폭이 동일해지면 종료신호(STOP)가 활성화되고 제어코드(CON<0:A>)의 값은 고정되고, 캘리브래이션 동작이 종료된다.
신호 생성부(310)가 지연 유닛(311) 만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코드(CON<0:A>) 갱신하여 비교신호(RO)의 펄스폭을 조절할 수 있는 최소값은 지연유닛의 지연값의 22배가 된다. 비교신호(RO)는 소스신호(RS)의 펄스폭을 22배로 늘린 것이므로 지연유닛 하나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여 소스신호(RS)의 펄스폭이 지연유닛의 지연값만큼 변하면, 비교신호(R0)는 소스신호(RS)의 펄스폭 변화량의 22배만큼 펄스폭이 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펄스폭 확장부(320)를 이용함으로써 비교신호(RO)가 종래와 동일한 펄스폭을 가지기 위해 필요한 지연 유닛의 개수는 종래의 1/22배로 줄어들었지만 캘리브래이션 동작의 정확도(resolution)도 그만큼 줄어든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연값이 지연 유닛(311)의 1/22배인 파인 지연 유닛(312)을 이용하는 것이다.
신호 생성부(310)가 지연값이 지연 유닛(311)의 1/22배인 파인 지연 유닛(312) 22개를 포함하는 경우 소스신호(RS)의 펄스폭을 조절할 수 있는 최소값은 지연 유닛(311)의 지연값의 1/22배가 된다. 따라서 비교신호(RE)의 펄스폭을 조절할 수 있는 최소값은 지연 유닛(311)의 지연값과 같아진다.
즉 본 발명은 펄스폭 확장부(320)가 N개의 티플립플롭을 포함하여 비교신호(RO)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지연 유닛(311)의 개수는 종래의 1/2N배로 줄여 면적은 많이 줄이면서, 지연값이 지연 유닛(311)의 1/2N배인 파인 지연 유닛(312) 2N개를 추가하여 비교신호(RO)의 펄스폭을 변화시킬 수 있는 최소값을 종래와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 비교신호(RO)를 생성하기 위해 1000개의 지연 유닛(311)을 필요로 한다고 하자. 이때 비교신호(RO)의 펄스폭을 변화시킬 수 있는 최소값은 지연 유닛(311)의 지연값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2개의 티플립플롭을 포함하는 펄스폭 확장부(320)를 이용하여 동일한 펄스폭을 가지는 비교신호(RO)을 생성하기 위해 250개의 지연 유닛(311)만을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신호 생성부(310)에 지연값이 지연값이 지연 유닛(311)의 22배인 파인 지연 유닛(312)을 22개 추가하면 비교신호(RO)의 펄스폭을 변화시킬 수 있는 최소값은 종래와 동일하게 지연 유닛(311)의 지연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2) 온도 감지 동작
캘리브래이션 동작을 완료하면 제어부(330)는 비활성화 상태에서 고정된 값의 제어코드(CON<0:A>)를 생성하고, 변화 감지부(340)는 활성화된다. 캘리브래이션 동작에 의해 초기 온도에서 비교신호(RO)와 기준신호(RE)의 펄스폭은 동일하다.
초기 온도에서 온도가 변화하게 되면 신호 생성부(310)에 포함된 지연유닛의 지연값이 변하므로 소스신호(RS)의 펄스폭이 변하고, 비교신소(RO)의 펄스폭은 소스신호(RS)의 펄스폭 변화량의 22배만큼 변하게 된다.
변화 감지부(340)에 포함된 XOR게이트(341)는 비교신호(RO)와 기준신호(RE)의 논리값이 다른 구간에서만 활성화되는 카운팅 신호(CNT)를 생성한다. 비교신호(RO)와 기준신호(RE)의 활성화 시점이 동일하므로 양 신호의 비활성화 시점의 차이와 양 신호의 펄스폭의 차이가 동일하기 때문이다.
변화 감지부(340)에 포함된 카운터(342)는 카운팅 신호(CNT)가 활성화된 구간에서 클럭(CLK)을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값이 레지스터부(343)에 저장된다. 저장된 값은 실제적으로 비교신호(RO)와 기준신호(RE)의 펄스폭의 차이 즉 시간에 관한 정보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비교신호(RO)의 펄스폭의 변화는 온도의 변화에 비례하므로 카운팅 결과를 이용하여 초기 온도에서 온도가 얼마나 변하였는지 알 수 있다.
도 4는 온도 감지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파형도이다.
제1구간(401)은 상술한 캘리브래이션 동작을 하는 구간이다. 제어부(330)는 초기 온도에서 비교신호(RO)의 펄스폭과 기준신호(RE)의 펄스폭이 동일해 질 때까지 비교신호(RO)의 펄스폭을 조절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비교신호(RO)와 기준신호(RE)의 폴링 엣지를 비교할 수도 있다. 다만 도 4의 경우 반전신호 '/RO'와 '/RE'인 라이징 엣지를 비교하여 비교신호(RO)와 기준신호(RE)의 펄스폭을 비교한 경우를 나타낸다.
제2구간(402)은 상술한 온도 감지 동작을 하는 구간이다. 변화 감지부(340)는 비교신호(RO)의 펄스폭과 기준신호(RE)의 논리값이 다른 구간에 활성화되는 카운팅 신호(CNT)를 생성한다. 이 구간에서 카운터(342)를 이용하여 클럭(CLK)의 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 결과를 레지스터부(343)에 저장한다.
레지스터부(343)에 저장된 결과는 온도 변화에 대한 정보로 변환되어 온도를 감지하는데 이용된다.
도 5는 캘리브래이션 완료 후 온도에 따른 비교신호(RO)의 펄스폭(PW)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라인(501)은 공정 코너가 슬로우(slow)인 경우 온도에 따른 비교신호(RO)의 펄스폭(PW) 변화를 나타내고, 제2라인(502)은 공정 코너가 티피컬(typical)인 경우 온도에 따른 비교신호(RO)의 펄스폭(PW) 변화를 나타내고, 제3라인(503)은 공정 코너가 패스트(fast)인 경우 온도에 따른 비교신호(RO)의 펄스폭(PW) 변화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캘리브래이션 동작이 완료된 후에는 공정 코너에 상관없이 초기 온도가 동일하다면 온도와 비교신호(RO)의 펄스폭(PW)은 선형적인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공정에 따른 지연유닛의 딜레이 값을 온도(T)와 공정항(process term)의 함수로 나타내면 D(T, P) = T?G(P)이다. 여기서 G(P)는 공정에 관련된 함수로 공정 코너가 슬로우에서 패스트로 갈수록 작아진다.
위 식에 의하면 비교신호(RO)의 펄스폭(PW)은 PW = 22?T?N?G(P)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N은 신호 생성부(310)의 지연유닛 중 활성화된 지연유닛의 개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캘리브래이션 동작을 통해 G(P)의 값이 변하여도 N의 값을 변화시켜 일정한 펄스폭(PW)을 만들면 캘리브래이션 동작을 완료한 뒤에는 비교신호(RO)의 펄스폭(PW)이 온도(T)에만 의존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지연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지연라인의 지연값에 대응되는 펄스폭을 가진 소스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상기 소스신호의 펄스폭을 확장하여 비교신호를 생성하는 펄스폭 확장부; 및
    상기 비교신호와 기준신호의 펄스폭 차이를 이용하여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변화 감지부
    를 포함하는 온도 감지 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라인은,
    다수의 지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지연유닛들의 지연값의 합만큼의 지연값을 가지는 온도 감지회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기준신호에 응답하여 활성화되어 상기 소스신호를 생성하는 온도 감지 회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폭 확장부는,
    하나 이상의 티플립플롭을 포함하는 온도 감지 회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 감지부는,
    상기 비교신호와 상기 기준신호의 펄스폭 차이 동안 클럭을 카운팅하여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회로.
  6. 다수의 지연 유닛 및 하나 이상의 파인 지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지연 유닛 중 활성화된 지연 유닛들의 지연값과 상기 하나 이상의 파인 지연 유닛 중 활성화된 파인 지연 유닛들의 지연값의 합에 대응되는 펄스폭을 가진 소스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상기 소스신호의 펄스폭을 확장하여 비교신호를 생성하는 펄스폭 확장부;
    초기온도에서 상기 비교신호와 기준신호의 펄스폭이 동일해지도록 상기 활성화된 지연 유닛 및 파인 지연 유닛의 개수를 조절하는 제어부; 및
    상기 비교신호와 상기 기준신호의 펄스폭 차이를 이용하여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변화 감지부
    를 포함하는 온도 감지 회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 감지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초기온도에서 상기 비교신호의 펄스폭과 상기 비교신호의 펄스폭이 동일해진 후에 온도 변화에 의해 상기 비교신호와 상기 기준신호의 펄스폭이 달라지면 상기 비교신호와 상기 기준신호의 펄스폭 차이를 이용하여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회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기준신호에 응답하여 활성화되어 상기 소스신호를 생성하는 온도 감지 회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폭 확장부는,
    하나 이상의 티플립플롭을 포함하는 온도 감지 회로.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 감지부는,
    상기 비교신호와 상기 기준신호의 펄스폭의 차이 동안 클럭을 카운팅하여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회로.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신호와 상기 기준신호의 펄스폭을 비교하여 업/다운 신호를 생성하는 위상 비교부; 및
    상기 업/다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소스신호의 펄스폭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코드를 생성하는 제어코드 생성부
    를 포함하는 온도 감지 회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신호와 상기 기준신호의 펄스폭이 동일하면 상기 제어코드의 값을 고정하는 온도 감지 회로.
KR1020110007237A 2011-01-25 2011-01-25 온도 감지 회로 KR101866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237A KR101866486B1 (ko) 2011-01-25 2011-01-25 온도 감지 회로
US13/334,314 US8864376B2 (en) 2011-01-25 2011-12-22 Temperature sensing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237A KR101866486B1 (ko) 2011-01-25 2011-01-25 온도 감지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036A true KR20120086036A (ko) 2012-08-02
KR101866486B1 KR101866486B1 (ko) 2018-06-12

Family

ID=46544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237A KR101866486B1 (ko) 2011-01-25 2011-01-25 온도 감지 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64376B2 (ko)
KR (1) KR1018664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0269A (ko) 2016-01-28 2017-08-0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20210270681A1 (en) * 2020-02-27 2021-09-02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or a time domain based temperature determin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2717B1 (en) * 2012-04-11 2016-04-26 Marvell International Ltd. Temperature sensor architecture
US9488530B2 (en) * 2013-10-23 2016-11-08 National Kaohsiung First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Time-domain temperature sensing system with a digital output and method thereof
KR102014681B1 (ko) 2019-06-07 2019-08-26 윤영자 폐지선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1280A (ja) * 1996-07-31 1998-02-20 Sanyo Electric Co Ltd パルス伸張回路
JP2003004547A (ja) * 2001-05-31 2003-01-08 Stmicroelectronics Inc 温度検知回路及び方法
KR100800470B1 (ko) * 2006-01-11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링 오실레이터로 구현된 온도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온도검출 방법
KR20100052665A (ko) * 2008-11-11 2010-05-2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온도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dll 회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5844A (en) * 1972-10-18 1974-07-23 Peripherals General Inc System for recovering phase shifted data pulses
US4219999A (en) * 1977-03-03 1980-09-02 Citizen Watch Company, Limited Electronic timepiece equipped with battery life display
US4876697A (en) * 1988-06-14 1989-10-24 Eastman Kodak Company Three-part decoder circuit
US7106115B2 (en) * 2000-06-29 2006-09-12 Timelab Corporation Arbitrary waveform synthesizer to generate one or more arbitrary waveforms
US7795934B2 (en) * 2003-12-11 2010-09-14 Micron Technology, Inc. Switched capacitor for a tunable delay circuit
US7873130B2 (en) * 2005-08-10 2011-01-18 Ludwig Lester F Frequency comparator utilizing enveloping-event detection via symbolic dynamics of fixed or modulated waveforms
CN100435109C (zh) * 2006-12-19 2008-11-19 威盛电子股份有限公司 数字式温度感测系统
JP5092794B2 (ja) * 2008-02-26 2012-12-05 日本電気株式会社 フレームパルス信号ラッチ回路および位相調整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1280A (ja) * 1996-07-31 1998-02-20 Sanyo Electric Co Ltd パルス伸張回路
JP2003004547A (ja) * 2001-05-31 2003-01-08 Stmicroelectronics Inc 温度検知回路及び方法
KR100800470B1 (ko) * 2006-01-11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링 오실레이터로 구현된 온도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온도검출 방법
KR20100052665A (ko) * 2008-11-11 2010-05-2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온도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dll 회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0269A (ko) 2016-01-28 2017-08-0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10388332B2 (en) 2016-01-28 2019-08-20 SK Hynix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with temperature detection
US10777237B2 (en) 2016-01-28 2020-09-15 SK Hynix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210270681A1 (en) * 2020-02-27 2021-09-02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or a time domain based temperature determin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64376B2 (en) 2014-10-21
KR101866486B1 (ko) 2018-06-12
US20120189033A1 (en) 201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62755B1 (en) Temperature sensing circuit and calibration method
TWI247124B (en) Method, apparatus, integrated circuit, integrated circuit chip and computer system for detecting on-die voltage variations
US7636001B2 (en) Digital DLL circuit
CN109387776B (zh) 测量时钟抖动的方法、时钟抖动测量电路和半导体装置
JPWO2006038468A1 (ja) 位相差測定回路
KR101866486B1 (ko) 온도 감지 회로
TWI420534B (zh) 作用時間校正電路
KR102224031B1 (ko) 회로 지연 감시장치 및 방법
JP2007024865A (ja) 半導体装置
TWI639311B (zh) 半導體設備
KR20190046421A (ko) 듀티 싸이클 감지기 및 위상 차이 감지기
KR20120032805A (ko) 펄스 폭에 따라 동작하는 슈미트 트리거 회로
JP2007267364A (ja) クロック信号のデューティサイクルを補正するための補正装置
CN108123682B (zh) 振荡装置
US7816956B2 (en) Power-on reset circuit
US9488530B2 (en) Time-domain temperature sensing system with a digital output and method thereof
KR102059429B1 (ko) 집적회로
JP2018017544A (ja) 温度検出回路および温度検出方法
JP2009031093A5 (ko)
US10656032B2 (en) Temperature sensor in an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of calibrating the temperature sensor
JP2009200681A (ja) 近接検出装置および近接検出方法
JP3864583B2 (ja) 可変遅延回路
JP2008085473A (ja) Σδad変換回路
JP2006229607A (ja) 半導体装置及び発振周波数補正方法
WO2011021276A1 (ja) 温度検出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温度検出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