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5584A - 미아방지용 장바구니 - Google Patents

미아방지용 장바구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5584A
KR20120085584A KR1020110007008A KR20110007008A KR20120085584A KR 20120085584 A KR20120085584 A KR 20120085584A KR 1020110007008 A KR1020110007008 A KR 1020110007008A KR 20110007008 A KR20110007008 A KR 20110007008A KR 20120085584 A KR20120085584 A KR 20120085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hopping cart
string member
shopping
inf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맹주한
Original Assignee
맹주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맹주한 filed Critical 맹주한
Priority to KR1020110007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5584A/ko
Publication of KR20120085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5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4Shopping bags; Shopping nets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미아방지용 장바구니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미아방지용 장바구니는: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갖는 본체와, 본체의 양측에 구비되어 어깨에 걸치거나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 및 본체에 구비되어 유아에게 연결 또는 유아가 파지할 수 있는 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아방지용 장바구니{SHOPPING BAG FOR PREVENTING MISSING CHILD}
본 발명은 미아방지용 장바구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바구니에 별도의 끈부재가 구비되어 유아에게 연결 또는 파지할 수 있어 쇼핑을 하거나 시장을 볼 때, 미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미아방지용 장바구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핑을 하거나 시장을 보기 위해서는 구입한 물품을 해당 쇼핑매장이나 마트 등에서 지급하는 비닐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의 쇼핑봉투에 담아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비닐 등으로 된 쇼핑봉투는 사용 시에는 간편하나 한번 사용 후 버려지게 되어 자원 낭비는 물론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사용을 제한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쇼핑이나 시장보기에 열중하다보면 사람이 붐비는 쇼핑매장이나 마트에서 동반한 아이를 잃어버릴 수 있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장바구니에 별도의 끈부재가 구비되어 유아에게 연결 또는 파지할 수 있어 쇼핑을 하거나 시장을 볼때, 미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미아방지용 장바구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끈부재를 이용하여 본체의 하면을 보강하여 내부에 담긴 물품의 하중을 견고히 지탱할 수 있는 미아방지용 장바구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아방지용 장바구니는: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갖는 본체와, 본체의 양측에 구비되어 어깨에 걸치거나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 및 본체에 구비되어 유아에게 연결 또는 유아가 파지할 수 있는 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끈부재는 본체의 양측면에 각각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끈부재와 파지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끈부재는 본체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중앙부가 본체 각각의 이면에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끈부재는 본체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고, 단부에 고리부재가 구비되며, 본체에는 고리부재가 결속되도록 걸이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체의 하단면 가장자리에는 끈부재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관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아방지용 장바구니는 본체에 별도의 끈부재가 구비되어 유아에게 연결 또는 파지할 수 있어 쇼핑을 하거나 시장을 볼 때, 미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끈부재가 본체의 하면을 감쌀 수 있어 본체의 하면을 지지하므로, 본체에 담기는 물품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아방지용 장바구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아방지용 장바구니 끈부재의 다른 용도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아방지용 장바구니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아방지용 장바구니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아방지용 장바구니 끈부재의 다른 용도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아방지용 장바구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아방지용 장바구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아방지용 장바구니 끈부재의 다른 용도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저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아방지용 장바구니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아방지용 장바구니(100)는 본체(110), 파지부(120) 및 끈부재(13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해당 물품을 수납하는 소정크기의 수납공간을 가지며,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110)는 형상이 자유롭게 접힐 수 있는 유연한 재질 즉, 섬유재나 피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물품의 무게 등에도 내구성을 가질 수 있는 나일론 등과 같은 합성섬유재로 형성된다.
파지부(120)는 본체(110)와 마찬가지로 물품의 무게 등에도 내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합성섬유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파지부(120)는 본체(110)에 양측면에 구비되어 어깨에 걸치거나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파지부(120)의 양단은 별도의 결속부재(125)에 의해 본체(110)에 고정되고, 상부로 연장되는 것이다.
결속부재(125)는 박음질에 의해 고정되는 섬유나 피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리벳 등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이러한, 파지부(120)에는 어깨에 걸쳐지는 경우, 어깨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본체(110)에 수납된 물품의 무게가 어깨에 가해지는 것을 완화하기 위하여 어깨에 접촉되는 부위에 충격흡수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끈부재(130)는 본체(110)에 구비되어 유아가 파지할 수 있는 것으로, 파지부(120)와 마찬가지로 합성섬유재로 이루어진다.
끈부재(130)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끈부재(130)를 유아가 파지하게 되므로, 유아의 손을 잡지 않고도 함께 쇼핑이나 시장을 볼 수 있으며, 미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끈부재(130)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하면을 보강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체(110)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각각 돌출 형성되는 착탈부재(140)가 구비되고, 끈부재(130)의 중앙부는 서로 대응되는 착탈부재(140)에 착탈 가능하여 본체(110)의 하면을 보강할 수 있다.
이는 끈부재(130)에 착탈부재(140)에 의해 본체(110)의 하면에서 서로 교차되어 본체(110)에 수납되는 물품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다.
착탈부재(140)는 본 발명에서 끈부재(130)가 안착되는 걸림편으로 이루어지며, 끈부재(130)의 중앙부를 상호 대응되는 본체(110) 이면에 착탈할 수 있는 고리, 똑딱이 등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끈부재(130)와 파지부(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끈부재(130)와 파지부(120)는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결속부재(125)에 의해 고정되고, 각각 구획되어 각각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아방지용 장바구니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아방지용 장바구니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아방지용 장바구니 끈부재의 다른 용도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저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체(110)는 유아에게 연결할 수 있는 끈부재(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끈부재(230)는 본체(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고, 단부에 고리부재(235)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10)에는 끈부재(230)의 고리부재(235)가 결속되도록 걸이부재(240)가 구비된다.
즉, 끈부재(230)의 단부에 형성되는 고리부재(235)를 이용하여 유아의 의류와 본체(110)를 연결하여 장바구니(100)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미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끈부재(230)를 고리부재(235)를 이용하여 걸이부재(240)에 결속시키면, 유아가 파지할 수 도 있다.
그리고, 끈부재(230)는 도 7 또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하면을 보강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체(110)의 하면 양측 가장자리에는 끈부재(23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관통홀(255)을 갖는 연결편(250)이 형성되고, 끈부재(230)가 관통홀(255)을 교차되게 관통한 후, 단부에 형성된 고리부재(235)를 걸이부재(240)에 결합하여 본체(110)의 하면을 보강하는 것이다.
따라서, 끈부재(230)가 연결편(250)의 관통홀(255)을 통해 본체(110)의 하면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지지하여 본체(110)에 수납되는 물품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미아방지용 장바구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실시예의 경우, 쇼핑을 하거나 시장을 볼 때 파지부(120)를 이용하여 본체(110)를 손에 들거나, 어깨에 걸치고, 구입한 물품은 본체(110)에 수납하면 된다.
사용자가 유아를 동반하였을 경우에는 본체(110)에 구비되는 'U'자형 끈부재(130)를 유아가 파지하게 함으로써, 유아와 함께 쇼핑이나 시장을 볼 수 있고, 미아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유아를 동반하지 않을 경우에는,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끈부재(130)를 다른 면에 형성되는 착탈부재(140)에 걸어준다.
끈부재(130)가 착탈부재(140)에 결속됨으로, 이동 시 본체(110)로부터 끈부재(13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끈부재(130)는 본체(110)의 하면에서 상호 교차되어, 본체(110)의 하면을 지지함으로써, 물품의 하중을 견고히 지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입한 물품을 본체(110)에 수납하고, 파지부(120)를 이용하여 손에 들거나, 어깨에 걸쳐 쇼핑이나 시장을 볼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유아를 동반하였을 경우에는 본체(110)의 측면에 형성되는 직선형의 끈부재(230)를 단부에 형성되는 고리부재(235)를 이용하여 유아의 의류에 연결한다.
따라서, 유아는 장바구니(100)로부터 끈부재(230)의 길이 이상 떨어지지 않으므로 미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유아를 동반하지 않을 경우에는 끈부재(230)를 연결편(250)의 관통홀(255)을 통해 지그재그 관통시켜 본체(110)의 하면을 지지하게 함으로써, 물품의 하중을 견고히 지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본체에 별도의 끈부재를 구비하여 쇼핑을 하거나 시장을 볼 때, 유아에게 연결 또는 파지할 수 있게 하여 미아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유아를 동반하지 않을 경우에는 끈부재가 본체의 하면을 지지하게 함으로써, 물품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미아방지용 장바구니 110 : 본체
120 : 파지부 125 : 결속부재
130, 230 : 끈부재 140 : 착탈부재
235 : 고리부재 240 : 걸이부재
250 : 연결편 255 : 관통홀

Claims (6)

  1.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양측에 구비되어 어깨에 걸치거나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유아에게 연결 또는 유아가 파지할 수 있는 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방지용 장바구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끈부재는 상기 본체의 양측면에 각각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방지용 장바구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끈부재와 상기 파지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방지용 장바구니.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끈부재는 상기 본체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중앙부가 상기 본체 각각의 이면에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방지용 장바구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끈부재는 상기 본체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고, 단부에 고리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고리부재가 결속되도록 걸이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방지용 장바구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단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끈부재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관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방지용 장바구니.
KR1020110007008A 2011-01-24 2011-01-24 미아방지용 장바구니 KR201200855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008A KR20120085584A (ko) 2011-01-24 2011-01-24 미아방지용 장바구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008A KR20120085584A (ko) 2011-01-24 2011-01-24 미아방지용 장바구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584A true KR20120085584A (ko) 2012-08-01

Family

ID=46871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008A KR20120085584A (ko) 2011-01-24 2011-01-24 미아방지용 장바구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55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274U (ko) * 2014-10-08 2016-04-18 예 리우 손잡이로 이용 가능한 등가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274U (ko) * 2014-10-08 2016-04-18 예 리우 손잡이로 이용 가능한 등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48057A1 (en) Tote Tether
US20090200347A1 (en) Luggage and box strap with handle
KR20220013554A (ko) 자전거 등을 위한 모듈식 가방
GB2429635A (en) Strap for carrying bags and the like on the shoulder
KR20120085584A (ko) 미아방지용 장바구니
US20150251681A1 (en) Detachable Stroller Handle Tray
US20150201738A1 (en) Shoulder Carry Assist
JP2019112052A (ja) ベビーカー用バッグ及びベビーカー用バッグの使用方法
KR200465653Y1 (ko) 들거나 멜 수 있는 손가방
JP6372961B2 (ja) サブバッグ
US20130056508A1 (en) Carrier
JP2009012830A (ja) 多用途風呂敷
JP3202435U (ja) サブバッグ
JP6206888B1 (ja) 手荷物バッグの留め具
JP3149690U (ja) 手提げバッグ
JP4423248B2 (ja) 手提げ用補助具
KR200439634Y1 (ko) 다용도 손잡이
JP3202800U (ja) 運搬具
JP3223787U (ja) バッグ
WO2010008512A2 (en) Equipment threading, carrier, packaging and sales display for stick sports
KR102354071B1 (ko) 운반용 다용도 가방
JP3199858U (ja) 傘ホルダー
KR20180114359A (ko) 휴대운반용 밴딩손잡이
JP6931514B2 (ja) 把持具
KR20210133475A (ko) 멜방구조를 갖는 접이식 가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